[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28697Y1 - 제초제 분사구 - Google Patents

제초제 분사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8697Y1
KR200428697Y1 KR2020060018353U KR20060018353U KR200428697Y1 KR 200428697 Y1 KR200428697 Y1 KR 200428697Y1 KR 2020060018353 U KR2020060018353 U KR 2020060018353U KR 20060018353 U KR20060018353 U KR 20060018353U KR 200428697 Y1 KR200428697 Y1 KR 2004286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nozzle
shade
pipe
spray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83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훈
Original Assignee
김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훈 filed Critical 김상훈
Priority to KR20200600183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86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86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869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1/00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unwanted vegetation, e.g. weeds
    • A01M21/04Apparatus for destruction by steam, chemicals, burning, or electricity
    • A01M21/043Apparatus for destruction by steam, chemicals, burning, or electricity by chemic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03Atomisers or mist blowers
    • A01M7/0017Portable atomisers, e.g. knapsack typ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01M7/006Mounting of the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32Shielding elements, i.e. elements preventing overspray from reaching areas other than the object to be spray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급호스관(6)에 연결되는 연결부(1)와, 상기 연결부(1)의 하부에 연결되는 파이프 형상의 분사관(2)과, 상기 분사관(2)의 하부에 설치된 하나 또는 둘이상의 노즐(5)과, 상기 분사관(2)과 노즐(5)사이에 설치되는 투명재질의 분사용갓(3)과, 상기 분사용갓(3)의 하부에 연결되어 설치되며 비산을 방지하는 날개(4)로 구성된 제초제 분사구에 관한 것이다
제초제분사구. 농약살포기.농약분사기. 노즐.

Description

제초제 분사구 { spray for weedicide }
도1 본 고안의 제초제 분사구 전체도
도2 본 고안의 제초제 분사구 분해상세도
도3 본 고안의 제초제 분사구 사용 상태도
도4 및 도5 본 고안의 제초제 분사구 다른 예
도면의 부호 설명
연결부(1), 분사관(2), 분사용갓(3), 날개(4), 노즐(5), 공급호스관(6), 호스연결부(11), 연결몸체(12), 링(13), 하부연결부(14), 상부연결부(21), 분사관몸체(22), 하부노즐연결부(23), 분사용갓몸체(31), 분사용갓통공(32), 분사용갓하부(33), 분사용갓주름(34), 날개자크(41), 노즐몸체(51), 통공(52), 방해판(53), 노즐안내부(54)
본 고안은 제초제 살포용 분사기에 사용되는 제초제 분사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 설명하면, 농약통을 등에 진 다음, 농약통에 연결되어 농약을 살포시 분사량과 분사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투명 분사용 갓을 착탈시켜 분사되는 사항 을 파악할 수 있도록 개량한 제초용 분사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농업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수박, 참외, 토마토와 같은 과일이나 엽채류들을 수확하고, 맛을 좋게 하면서도 고소득이 보장되는 하우스나 약초 등을 재배하는 농민이 증가하였다. 이와 더불어 농민들은 적기에 병충해를 방지하고 농작물의 성장을 촉진하기 위하여 양액이나 농약을 살포하여야 많은 수확과 병충해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초제 또는 농약 등을 살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종래의 살포기는 대부분 미세 노즐을 사용하여 미세한 물안개 형식으로 만들어 농약을 살포하여왔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농작물 재배면적에 따라 넓게 또는 좁게, 그리고 집중적 또는 희석하여 살포하거나, 사람의 손이 닿지 않거나 구석진 부분까지 살포해야 하는데 종래의 노즐은 노즐몸체 전방에 구비되는 단순한 구조로 농약의 분사량 또는 분사면적을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과, 사용도중 이물질의 영향으로 노즐이 막혀 살포시 많은 문제점이 있어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있어 왔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실1999-34256호에는 송풍통내의 송풍팬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의 압으로 약재통의 약재를 분사시킴과 동시에 분사되는 약재를 송풍통 내의 바람으로 살포시키며 분사노즐부에 회동 경계부가 상하로 구성되어 살포 방향을 임의로 조절하여 살포하는 약재살포기가 기재되어 있으며,
동 공보 공개번호 실1998-56894호에는 내부에는 유로가 형성되어 잇고 후방으로 분무기의 농약공급호스가 연결되는 노즐몸체의 전방에 대략 원뿔형의 분사용 갓이 캡으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노즐몸체와 캡사이에는 소정의 압력으로 분출되는 농약을 비산시키기 위한 금속재의 분사판이 개제되어 있는 농약 살포용 노즐에 있어서, 상기 노즐몸체는 상기 캡을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한 미끄럼방지파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분사관은 상기 노즐몸체의 전방에 일체로 형성되어 나사 결합된 상기 캡의 분사구멍과 간격조절에 의한 농약 분사량 및 거리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노즐몸체 일측에는 걸어 보관하기 위한 걸이용 끈을 구비한 농약살포용 노즐이 기재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실113943호에는 분사를 위해 압축스프링과 별도의 구동수단을 사용하는 대신 약제 탱크 내에 수축과 팽창이 자유로운 주름통과 압축 스프링을 안착시키고 그 상면에 승강판을 설치한 후 상기 주름통의 내에는 동력연무기로부터 발생되는 공기의 압력을 이용하여 액제형 약제를 주입하여 주름통을 팽창시킨 후 유량 조절밸브를 개폐 조작함으로서 상기 약제탱크내에 충전된 약제를 약제탱크 외부로 분출시키도록 하고 상기 분출되는 약제를 안개분사기를 통해 분사시키는 액제 농약살포기가 기술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실1996-7575호에는 와이어로프 구동에 의한 액체 살포용 회전노즐이 승하강 되면서 과실수 사이에서 과실수의 상, 하부를 고루 살포하는 상,하이동식 약제살포장치가 기재되어 있고,
동 공보 등록번호 제20-179700호에는 이동수단의 후미 양측에 지지브라켓을 부착하고 이동수단과 수직으로 지주를 세우며, 상기 지주에는 설치대를 협지고정하는 고정구와 지주를 따라서 승강하는 승강구가 마련된 승강수단의 승강구를 끼움하여 볼 트로 고정하고, 상기 고정구에는 하측이 개방된 설치대를 횡방향으로 설치하되, 설치대 양끝단과 지주 상단사이에 처짐방지수단으로 상호 연결하며, 설치대 내측에는 분배관을 내입하여 고정수단으로 고정하고, 상기 분배관은 공급호스와 연결하며, 분배관 양측에 한 개 이상의 연결관을 도출시켜 스프링쿨러와 연결함으로서, 이동수단을 이동시 스프링쿨러에 의해 농약이 살포되는 스프링쿨러를 이용한 농약살포기가 기재되어 있으나,
상기 종래의 기술들은 농약을 살포하는데 용이하나 일정거리이상을 살포할 수 없으며, 좌우로도 확산시켜 분사시키지 못하여 농약을 살포하는 시간을 장시간 요구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실1998-56894호, 고안의 명칭 농약살포용 노즐을 개량한 것으로서, 노즐몸체의 전방에 분사용 갓이 결합되며 분사용 갓의 하부에는 날개를 설치하여 분사시 제초제 또는 농약이 휘산되지 않도록 집중되도록 고안하였으며, 노즐을 한 개 내지 3개 부착하여 농작물에 따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분사용 갓을 투명하게 하여 분사되는 제초제 또는 농약의 분사량 또는 상태를 육안으로 식별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량한 제초제 분사구를 제공하는 것이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인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고안은 공급호스관(6)에 연결되는 연결 부(1)와, 상기 연결부(1)의 하부에 연결되는 파이프 형상의 분사관(2)과, 상기 분사관(2)의 하부에 설치된 하나 또는 둘이상의 노즐(5)과, 상기 분사관(2)과 노즐(5)사이에 설치되는 투명재질의 분사용갓(3)과, 상기 분사용갓(3)의 하부에 연결되어 설치되며 비산을 방지하는 날개(4)로 구성된 제초제 분사구에 관한 것이다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후방에 공급호스관이 연결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의 하부에는 파이프 형상의 분사관이 연결되며, (이때, 방향을 자유자재로 하여 횡 또는 수직으로 살포하는 밭의 고랑 형태등에 따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분사관의 하부에는 분사용갓을 중심으로 노즐이 연결되며,
노즐의 노즐몸체와 캡사이에는 소정 압력으로 분출되는 농약을 비산시키거나 농약재 또는 제초제를 비산시키는 금속재의 분사판이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분사용 갓은 투명재질로 성형되어 분사되는 양과 분사의 범위등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분사용 갓의 테두리에는 날개를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길게 또는 짧게 날개의 길이를 조절하여 제초제 또는 농약의 집중도를 조절할 수 있거나, 분사도중 바람에 휘산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농작물에 일정 또는 원하는 양의 농약 또는 제초제가 분사되도록 하였다.
노즐을 구성하는 노즐몸체의 전방 개구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나사 결합된 상기 캡의 분사구멍과의 간격 조절에 의한 제초제 또는 농약 분사량 및 거리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본 고안의 제초제 분사구 전체도, 도2 본 고안의 제초제 분사구 분해상세도, 도3 본 고안의 제초제 분사구 사용 상태도, 도4 및 도5 본 고안의 제초제 분사구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며, 연결부(1), 분사관(2), 분사용갓(3), 날개(4), 노즐(5), 공급호스관(6), 호스연결부(11), 연결몸체(12), 링(13), 하부연결부(14), 상부연결부(21), 분사관몸체(22), 하부노즐연결부(23), 분사용갓몸체(31), 분사용갓통공(32), 분사용갓하부(33), 분사용갓주름(34), 날개자크(41), 노즐몸체(51), 통공(52), 방해판(53), 노즐안내부(54)를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구조를 살펴보면 본 고안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호스관(6)에 연결되는 연결부(1)와, 상기 연결부(1)의 하부에 연결되는 파이프 형상의 분사관(2)과, 상기 분사관(2)의 하부에 설치된 하나 또는 둘이상의 노즐(5)과, 상기 분사관(2)과 노즐(5)사이에 설치되는 투명재질의 분사용갓(3)과, 상기 분사용갓(3)의 하부에 연결되어 설치되며 비산을 방지하는 날개(4)로 구성된 제초제 분사구의 구조인 것이다.
상기 연결부(1)는 상부에 호스(6)에 연결되어 결합되는 나사가 외부표면에 구비된 호스연결부(11)와, 상기 호스연결부(11)의 하부에 설치된 연결몸체(12)와, 상기 연결몸체(12)의 하부에 분사관(2)과 연결되며 나사가 외부표면에 구비된 하부연결부(14)와, 상기 하부연결부(14)의 일측에 구비된 링(13)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분사관(2)은 상부에 연결부(1)와 나사식으로 결합 되는 상부연결부(21)와, 상기 상부연결부(21)의 하부에 횡으로 파이프형상으로 구비된 분사관몸체(22)와, 상기 분사관몸체(22)의 하부에 다수개의 노즐(5)과 연결되는 하부노즐연 결부(23)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분사용갓(3)은 투명재질로 분사관(2)과 노즐(5)사이에 구비되며, 하부로 갈수록 넓게 형성된 깔때기 형상의 분사용갓몸체(31)와, 상기 분사용갓몸체(31)의 상부에 설치된 하나 또는 2이상의 분사용갓통공(32)과, 상기 분사용갓몸체(31)의 양측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분사용 갓주름(34)과, 하부에 설치되며 날개(4)와 연결되는 분사용갓하부(33)로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노즐(5)은 방해판(53)과 노즐안내부(54)를 내측에 삽입되며 중앙에 통공(52)이 구비된 노즐몸체(51)와, 상기 노즐몸체(51)에 안치되며 중앙에 통공이 형성된 방해판(53)과, 상기 방해판(53)의 내측에 설치되어 구비된 노즐안내부(54)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고안의 제초제 분사구의 사용방법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호스관(6)에 연결부(1)의 호스연결부(11)를 연결시켜, 수동 또는 자동펌프 또는 컴퓨레샤로 연결시키면, 연결부(1)의 하부에 연결되는 파이프 형상의 분사관(2) 하부에 다수개 연결된 노즐(5)에서 제초제 또는 농약이 분사되며, 분사시 제초제 또는 농약이 휘산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분사관(2)과 노즐(5)사이에 설치되는 투명재질의 분사용갓(3)과, 상기 분사용갓(3)의 하부에 연결되어 설치되며 비산을 방지하는 날개(4)를 설치하여 농작물에 일정농도의 제초제 또는 농약을 분사하는 것이다.
이때 필요에 따라, 도4 및 도5과 같이 분사관의 하부에 설치된 하나의 노즐(5) 또는 두 개의 노즐(5)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분사용갓(3)의 하부에 설치된 날개(4)는 하부에 날개쟈크(41)를 설치하여 다른 날개를 쟈크를 결착하여 하부로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노즐몸체의 전방에 분사용 갓이 결합되며 분사용 갓의 하부에는 날개를 설치하여 분사시 제초제 또는 농약이 휘산되지 않도록 집중되며, 노즐을 한 개 내지 3개 부착하여 농작물에 따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분사용 갓을 투명하게 하여 분사되는 제초제 또는 농약의 분사량 또는 상태를 육안으로 식별하여 조절하면서, 농작물에 따라 분사량과 분사거리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어 농약 살포작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제초제 분사구에 있어서,
    공급호스관(6)에 연결되는 연결부(1)와, 상기 연결부(1)의 하부에 연결되는 파이프 형상의 분사관(2)과, 상기 분사관(2)의 하부에 설치된 하나 또는 둘이상의 노즐(5)과, 상기 분사관(2)과 노즐(5)사이에 설치되는 투명재질의 분사용갓(3)과, 상기 분사용갓(3)의 하부에 연결되어 설치되며 비산을 방지하는 날개(4)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1)는 상부에 호스(6)에 연결되어 결합되는 나사가 외부표면에 구비된 호스연결부(11)와, 상기 호스연결부(11)의 하부에 설치된 연결몸체(12)와, 상기 연결몸체(12)의 하부에 분사관(2)과 연결되며 나사가 외부표면에 구비된 하부연결부(14)와, 상기 하부연결부(14)의 일측에 구비된 링(13)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분사관(2)은 상부에 연결부(1)와 나사식으로 결합 되는 상부연결부(21)와, 상기 상부연결부(21)의 하부에 횡으로 파이프형상으로 구비된 분사관몸체(22)와, 상기 분사관몸체(22)의 하부에 하나 또는 둘이상의 노즐(5)과 연결되는 하부노즐연결부(23)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분사용갓(3)은 투명재질로 분사관(2)과 노즐(5)사이에 구비되며, 하부로 갈수록 넓게 형성된 깔때기 형상의 분사용갓몸체(31)와, 상기 분사용갓몸체(31)의 상부에 설치된 하나 또는 2이상의 분사용갓통공(32)과, 상기 분사용갓몸체(31)의 양측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분사용 갓주름(34)과, 하부에 설치되며 날개(4)와 연결되는 분사용갓하부(33)로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노즐(5)은 방해판(53)과 노즐안내부(54)를 내측에 삽입되며 중앙에 통공(52)이 구비된 노즐몸체(51)와, 상기 노즐몸체(51)에 안치되며 중앙에 통공이 형성된 방해판(53)과, 상기 방해판(53)의 내측에 설치되어 구비된 노즐안내부(54)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제 분사구.
KR2020060018353U 2006-07-06 2006-07-06 제초제 분사구 Expired - Lifetime KR2004286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353U KR200428697Y1 (ko) 2006-07-06 2006-07-06 제초제 분사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353U KR200428697Y1 (ko) 2006-07-06 2006-07-06 제초제 분사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8697Y1 true KR200428697Y1 (ko) 2006-10-16

Family

ID=41777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8353U Expired - Lifetime KR200428697Y1 (ko) 2006-07-06 2006-07-06 제초제 분사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869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146B1 (ko) 2012-09-11 2012-10-23 신재헌 양방향 분사형 살충스프레이
KR200480168Y1 (ko) * 2016-02-03 2016-04-29 이주환 농약 살포용 분사장치
KR200490777Y1 (ko) * 2018-07-30 2020-01-03 (주)창금코퍼레이션 상부 개구부가 형성된 제초제 살포기의 보조커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146B1 (ko) 2012-09-11 2012-10-23 신재헌 양방향 분사형 살충스프레이
KR200480168Y1 (ko) * 2016-02-03 2016-04-29 이주환 농약 살포용 분사장치
KR200490777Y1 (ko) * 2018-07-30 2020-01-03 (주)창금코퍼레이션 상부 개구부가 형성된 제초제 살포기의 보조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2835B1 (ko) 식물 재배실의 방제 장치
CN104542544B (zh) 一种冬枣药液肥液自动喷洒机
US20170320074A1 (en) Tree and shrub sprinkler apparatus
AU2014201304B2 (en) Drop nozzle
US10130048B2 (en) Plant-protection cage with harvesting and produce-rinsing dome
JP2010155236A (ja) 低圧噴霧装置
KR200485967Y1 (ko) 양방향으로 살포되는 더블형 방제기
CN207235687U (zh) 一种具有可调喷灌角度和升降功能的喷灌装置
CN201644275U (zh) 一种超低量/低容量喷雾组合喷头
KR200428697Y1 (ko) 제초제 분사구
KR101917668B1 (ko) 관수 및 방제를 위한 농업용 스프링클러
KR101693260B1 (ko) 다기능 스프링클러
CN207433806U (zh) 一种植保无人机超声波药物喷头
KR102029714B1 (ko) 비닐 하우스용 무인 방제장치
KR100794607B1 (ko) 방사형 분무장치
KR100896395B1 (ko) 인삼포의 방제 시스템
KR20170081545A (ko) 양방향으로 살포되는 더블형 방제기
KR101833296B1 (ko) 센서탑재형 회전분무노즐
CN106416814A (zh) 一种带果实称重的爬藤装置
CN216722845U (zh) 一种果树悬吊式喷雾装置
KR200260878Y1 (ko) 농약살포기 노즐
CN104982247A (zh) 气泵、皮带式天牛杀灭车的制造和使用方法
KR200179700Y1 (ko)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농약 살포기
KR101331070B1 (ko) 형상유지 자바라를 이용한 분사구방향 가변고정형 농축산 방역기의 약제분사총
CN208807444U (zh) 一种农业大棚烟雾灭菌消毒杀虫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0706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00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707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16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70331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730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8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4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7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