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64366B1 -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에 대하여 내장하는 센서를 보호할 수 있는 지엽류 취급장치 - Google Patents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에 대하여 내장하는 센서를 보호할 수 있는 지엽류 취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4366B1
KR101164366B1 KR1020117000455A KR20117000455A KR101164366B1 KR 101164366 B1 KR101164366 B1 KR 101164366B1 KR 1020117000455 A KR1020117000455 A KR 1020117000455A KR 20117000455 A KR20117000455 A KR 20117000455A KR 101164366 B1 KR101164366 B1 KR 101164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sheet
tray
case
conveying
lower co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0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7910A (ko
Inventor
도루 세키
노부오 다카시마
Original Assignee
니혼긴센기카이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긴센기카이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긴센기카이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17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7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4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436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4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ly, e.g. for separation from top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83/00Combinations of piling and depiling operations, e.g. performed simultaneously, of interest apart from the single operation of piling or depiling as such
    • B65H83/02Combinations of piling and depiling operations, e.g. performed simultaneously, of interest apart from the single operation of piling or depiling as such performed on the same pile or stack
    • B65H83/025Combinations of piling and depiling operations, e.g. performed simultaneously, of interest apart from the single operation of piling or depiling as such performed on the same pile or stack onto and from the same side of the pile or stac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00Coin inlet arrangements; Coins specially adapted to operate coin-freed mechanisms
    • G07F1/04Coin chutes
    • G07F1/041Coin chutes with means, other than for testing currency, for dealing with inserted foreign matter, e.g. "stuffing", "stringing" or "salting"
    • G07F1/045Coin chutes with means, other than for testing currency, for dealing with inserted foreign matter, e.g. "stuffing", "stringing" or "salting" the foreign matter being in the form of liqui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4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paper curr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0Details of frames, housings or mountings of the whol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4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60Other elements in face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 B65H2404/61Longitudinally-extending strips, tubes, plates, or wires
    • B65H2404/611Longitudinally-extending strips, tubes, plates, or wires arranged to form a chan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1/00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achieved
    • B65H2601/20Avoiding or preventing undesirable effects
    • B65H2601/26Damages to handling machine
    • B65H2601/261Clogging
    • B65H2601/2611Soi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지엽류 취급장치는, 반송통로(5)의 바닥면을 형성하기 위한 하부 커버(7)와 하부 커버(7)의 바닥에 부착된 하부 트레이(8)를 가지고 센서장치(3)의 하부 광학 센서 소자(3a)가 배치되는 하부 캐비티(3d) 사이에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6)를 포함하는 케이스(1)가 제공된다. 테이블의 주면 위에 떨어지는 액체가 그 지폐 삽입구로부터 뒷쪽으로 반송통로(5)에 들어가더라도, 배수 통로(15)를 통하여 배출되는 이물질에 의해 하부 캐비티(3d)의 전기기구가 손상을 받지 않는다.

Description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에 대하여 내장하는 센서를 보호할 수 있는 지엽류 취급장치{Document Handler Capable of Protecting a Built-in Sensor from Extraneous Substance}
본 발명은, 지엽류 취급장치, 특히,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먼지, 티끌, 액체 등과 같은 이물질에 대하여 내장 센서(built-in sensor)를 보호할 수 있는 지엽류 취급장치(document handler)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인 지엽류 취급장치는, 지엽류 취급기로서 자동 판매기, 환전기, 현금자동지급기, 자동예금기, 게임기 등에 탑재되는 지폐 또는 지엽류 감별 장치(bill or document validator)를 포함한다. 통상적인 지엽류 감별 장치는, 반송통로를 따라서 지엽류(document)를 반송하는 반송장치와, 반송통로를 따라서 반송되는 지엽의 물리적 특징을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발생하는 광학식의 센서장치(optical sensor)와, 센서장치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수신하여 반송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한다. 이러한 종류의 지엽류 감별 장치는, 예를 들면, 알프레드 에프 버저론(Alfred F. Bergeron) 등의 하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다.
[특허문헌 1] 미국 특허 제5,632,367호 공보
광학 센서는 지엽류 취급장치의 지엽류 삽입구 또는 그 부근에 통상적으로 배치되며, 이에 따라, 지엽류 삽입구를 통하여 외부로부터의 칩입하는 이물질에 의해 노출될 위험이 있어, 상기 센서의 오동작 또는 전기적 특성의 열화 등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지엽류 감별 장치는, 내장된 전기기구에 이물질의 침입을 유효하게 저지하거나 회피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엽류 취급장치의 반송통로 내에 침입하는 액체 또는 먼지 등의 이물질에 영향을 받지 않는 방수 구조의 완전 밀봉된 내장 전기/전자 기구를 가지는 지엽류 취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물질 침입에 의한 내장 전기기구에 전기적 기계적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지엽류 취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엽류 취급장치의 반송통로에 들어오는 이물질을 유효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지엽류 취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지엽류 취급장치는, 반송통로(5)를 형성하는 케이스(casement)(1)와, 반송통로(5)를 따라서 지엽류를 반송하는 반송장치(2)와, 반송통로(5)를 따라서 이동되는 지엽류의 물리적 특징을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광학 센서 소자(3a)를 가지는 광학식의 센서장치(3)와, 센서장치(3)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수신하여 반송장치(2)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한다. 케이스(1)는, 하부 커버(7)와, 하부 커버(7)의 바닥부에 결합되는 하부 트레이(8)를 가지며, 하부 커버(7)와 하부 트레이(8) 사이에서 하부 캐비티(3d)를 형성하는 하부 케이스(6)를 구비한다. 하부 커버(7)는 광투과성이며 발수성인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반송통로(5)의 하면을 제공한다. 광학 센서(3)의 하부 광학 센서 소자(3a)는 하부 캐비티(3d) 내에 배치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하부 커버(7)와 하부 트레이(8)는 이물질의 침입에 의한 손상과 기계적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하부 광학 센서 소자(3a)를 보호하기 위한 차폐 구조를 보완한다. 더불어, 하부 광학 센서 소자(3a)는 하부 커버(7)를 통하여 발광하거나 수광하여 지엽류의 물리적 특징을 감지할 수 있다.
일부 게임 또는 겜블러 장치는 테이블 내에 경사져 매설되는 지엽류 또는 지폐류 취급장치에 제공되는 테이블을 가지며, 지폐류 취급장치의 지폐류 삽입구가 상기 테이블의 주 표면의 높이와 같고, 작업자가 지폐류를 상기 지폐류 삽입구에 삽입하여 상기 지폐류 취급장치에 지폐류를 채워넣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테이블의 주 표면상에 떨어진 액체가 상기 삽입구로부터 반송통로(5)의 뒤쪽에 간혹 들어올 수 있다. 이 경우에, 광학 센서(3)의 하부 광학 센서 소자(3a)가 하부 커버 (7)와 하부 트레이(8) 사이에 형성된 하부 캐비티(3d)에 안전하게 배치되어 하부 커버(7)와 하부 트레이(8)의 차단 구조에 의해 하부 캐비티(3d)에 들어가는 액체를 차단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지엽류 취급장치의 전기기구에는 손상을 받지 않는다. 또한, 하부 광학 센서 소자(3a)로부터 조사되는 빛은, 광투과성 하부 커버 (7)를 지나 지엽류에 조사된 후, 상기 지엽류에 반사된 빛의 일부가 다시 하부 커버(7)를 지나서, 하부 광학 센서 소자(3a)에 의해 수광된다. 그렇지 않으면, 다른 일부의 빛이 지엽류를 투과하여, 상부 광학 센서 소자(3b)에 의해 수광되어 상부 및 하부 광학 센서 소자(3a, 3b)에 의해 수광된 빛은 지엽류의 광학적 특징을 원활하게 검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삽입구(5c)로부터 반송통로(5) 내에 침입하는 이물질은, 자중 또는 어떠한 운동력에 의해 개구부(13) 또는 배수 통로(15), 하부 케이스(6)의 내부를 통과하여, 하부 케이스(6)의 후방에 형성되는 배출구 (15a)로부터 배출되므로, 하부 케이스(6) 내에 유해한 이물질이 체류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발수성의 수지에 의해 하부 커버를 형성하고, 하부 광학 센서 소자가 하부 커버와 하부 트레이 사이를 둘러싼 하부 캐비티에 완전하게 밀봉되어, 반송통로 내에 침입하는 이물질에 의한 하부 광학 센서 소자의 손상을 회피하여, 지엽류 취급장치의 오동작 및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점과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첨부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연결하여 다음의 기재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엽류 취급장치의 종단면도
도 2는 상기 지엽류 취급장치에 제공되는 식별 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44에 도시한 식별 유닛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44에 도시한 식별 유닛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케이스의 종단면도
도 6은 케이스의 횡단면도
도 7은 하부 커버의 상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하부 커버의 바닥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하부 커버의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X-X선에 따른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XI-XI선에 따른 단면도
도 12는 하부 커버의 바닥면도
도 13은 도 12의 XⅢ-XⅢ선에 따른 단면도
도 14는 도 12의 XⅣ-XⅣ선에 따른 단면도
도 15는 하부 트레이의 평면도
도 16은 하부 트레이의 정면도
도 17은 하부 트레이의 배면도
도 18은 하부 트레이의 바닥면도
도 19는 하부 트레이의 우측면도
도 20은 하부 트레이의 좌측면도
도 21은 도 15에 도시한 XXI-XXI선에 따른 단면도
도 22는 상부 트레이의 평면도
도 23은 상부 트레이의 바닥면도
도 24는 도 22의 XXⅣ-XXⅣ선에 따른 단면도
도 25는 도 22의 XXV-XXV선에 따른 단면도
도 26은 도 22의 XXVI-XXVI선에 따른 단면도
도 27은 상부 커버의 평면도
도 28은 상부 커버의 바닥면도
도 29는 도 27의 XXIX-XXIX선에 따른 단면도
도 30은 도 27의 XXX-XXX선에 따른 단면도
도 31은 도 27의 XXXI-XXXI선에 따른 단면도
도 32는 도 27의 XXXⅡ-XXXⅡ선에 따른 단면도
도 33은 도 27의 XXXⅢ-XXXⅢ선에 따른 단면도
도 34는 도 27의 XXXⅣ-XXXⅣ선에 따른 단면도
도 35는 하부 프레임의 평면 사시도
도 36은 하부 프레임의 평면도
도 37은 하부 프레임의 바닥면도
도 38은 도 36의 XXXVⅢ-XXXVⅢ선에 따른 단면도
도 39는 도 36의 XXXIX-XXXIX선에 따른 단면도
도 40은 도 37의 XL-XL선에 따른 단면도
도 41은 도 37의 XLI-XLI선에 따른 단면도
도 42는 하부 케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3은 상부 케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엽류 취급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5는 도 44의 지엽류 취급장치의 측단면도
도 46은 본 발명의 지엽류 취급장치의 조립 사시도
도 47은 반송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48은 수납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49는 하부 케이스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0은 상부 케이스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지엽류 취급장치를 지엽류 감별 장치에 적용한 본 발명에 의한 지엽류 취급장치의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50에 대하여 아래에 설명한다.
도 44~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지엽류 감별 장치의 실시형태에서는, 반송 유닛(D)과, 반송 유닛(D)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식별 유닛 (H)과, 반송 유닛(D)에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반송 유닛을 지지하는 주프레임(F)과, 주프레임(F)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수납 유닛(S)을 구비한다.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별 유닛(H)은, 반송 유닛(D)에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반송 유닛(D) 및 수납 유닛(S)은, 주프레임(F)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도 4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 입구(40)를 가진 지폐 수납 기구(41)는 수납 유닛(S)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 도 4 및 도 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별 유닛(H)은, 반송통로(5)를 형성하는 케이스(1)와, 반송통로(5)를 따라서 지엽류 또는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장치(2)와, 반송통로(5)를 따라서 이동되는 지폐의 물리적 또는 광학적 특징을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발생하는 광학식의 센서장치(3)와, 센서장치(3)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수신하여 반송장치(2)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미도시)를 지지하는 인쇄회로기판 또는 기판(4)을 구비한다. 도 1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는, 센서장치(3)의 하부 광학 센서 소자(3a) 및 다른 전기 및/또는 전자소자를 수용하는 하부 케이스(6)와, 센서장치(3)의 상부 광학 센서 소자(3b) 및 다른 전기 및/또는 전자소자를 수용하는 상부 케이스(10)를 구비한다. 센서장치(3)에 의해 검출된 광학적 특징들은 지폐에 반사된 빛과 지폐를 투과한 후 센서장치(3)에 의해 수광된 빛의 양쪽 또는 어느 하나의 광학적 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장치(3)는, 하부 케이스(6) 내에 수용되는 하부 광학 센서 소자(3a)와, 상부 케이스(10) 내에 모두 수용되는 상부 광학 센서 소자(3b) 및 수광 소자(3c)와, 필요에 따라서, 반송통로(5)에 삽입되는 지폐를 검출하는 광학식 입구 센서(미도시) 및 지폐의 인쇄면의 잉크에 포함되는 철분을 검출하는 자기 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광학 센서 소자(3a)가 하부 케이스(6) 내에 배치되고, 도면에 도시하지 않는 제어장치가 조립된 기판(4)이 하부 프레임(17)과 하부 케이싱(18) 사이에 형성된 공간(4a)에 배치되며, 필요에 따라서, 하부 및 상부 광학 센서 소자(3a, 3b)는, 기판(4)에 실장되는 모든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전기 및/또는 전자소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기판(4) 상에 실장되는 제어장치는, 센서장치(3)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반송장치(2), 반송 유닛(D) 및 수납 유닛(S)에 제어 출력 신호를 송출하여, 반송 벨트(2a) 및 다른 구동 기구를 구동한다.
도 1, 도 2 및 도 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6)는, 광투과성 및 발수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반송통로(5)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부 커버(7)와, 하부 커버(7)의 바닥에 결합되는 하부 트레이(8)를 가지며, 하부 커버(7)와 하부 트레이(8)의 사이의 하부 캐비티(3d)를 형성하여 하부 캐비티(3d) 내에 센서장치 (3)의 하부 광학 센서 소자(3a)가 배치된다.
도 7 내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커버(7)는, 지폐의 반송을 위해 평활한 안내면을 형성하는 상면(7a)과 바닥면(7b)을 구비한다. 도 8로부터 명백하듯이, 하부 커버(7)의 바닥면(7b)은 거의 중앙에 일체로 형성된 투광부(7c)를 가지며 하부 또는 상부 광학 센서 소자(3a 또는 3b)로부터의 빛이 투광부(7c)를 통하여 투과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커버(7)에 형성되는 4개의 개구부(13) 내의 각각에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반송장치(2)의 반송 벨트(2a)가, 개구부 (13)로부터 반송통로(5) 내에 돌출하는 상태로, 하부 트레이(8) 내에 장착된다.
하부 커버(7)를 광투과성 수지로 형성하기 때문에,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광부(7c)의 상면(7a)에 복수의 리브(13a)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광학 센서 소자(3a)로부터 지폐를 향하는 빛 또는 지폐로부터 하부 광학 센서 소자(3a)를 향하는 빛이 투광성의 리브(13a)를 통과하므로, 검출광이 열화하지 않고, 지폐를 충분히 감별할 수 있다. 하부 커버(7) 위에 복수의 리브(13a)를 형성함으로써, 상면(7a)에 이송 지폐의 접착을 방지하여, 지폐를 원활하게 반송할 수 있는 동시에, 하부 커버(7)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할 수 있다.
도 22 내지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트레이(11)는, 평활한 지폐의 반송면을 형성하는 바닥면(11a)과, 바닥면(11a)의 이면이 되는 상면(11b)을 구비한다. 투광부(11c)는, 상면(11b)의 거의 중앙에 형성되어 그 투광부(11c) 내에서 상부 광학 센서 소자(3b)와 수광 소자(3c)를 배치하여, 지폐의 투과된 빛의 패턴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하부 커버(7)는 물론, 상부 트레이(11)를 광투과성 수지로 형성하기 때문에, 투광부(11c)의 바닥면(11a)에 복수의 리브(14a)를 형성하여도 좋다. 따라서, 상부 광학 센서 소자(3b)로부터 지폐를 향하는 빛 또는 지폐로부터 상부 광학 센서 소자(3b)를 향하는 빛이 투광성의 리브(14a)를 통과하므로, 지폐의 감별을 충분히 행할 수 있다.
리브(14a)는, 반송 지폐의 바닥면(11a)에의 접착을 방지하여, 지폐를 원활하게 반송할 수 있는 동시에, 상부 트레이(11)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8개의 누름 롤러(pinch roller)(61)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부 커버(12)에 부착되고, 상부 트레이(11)에 형성되는 8개의 개구부(14) 각각에 배치되는 한편, 누름 롤러(61)의 각각의 아래쪽 주위가 반송통로(5) 내에 돌출하여, 하부 케이스(6)에 마련된 반송 벨트(2a)에 접촉한다. 따라서, 지폐는 반송장치(5) 내에 삽입되고, 반송 벨트(2a)와 누름 롤러(61) 사이에 배치되어, 반송통로 (5)를 따라서 이동된다.
하부 커버(7)의 상면(7a)과 상부 트레이(11)의 바닥면(11a)은, 반송통로(5)를 따라 지폐를 반송하기 위한 평활하고 원활한 반송면을 형성한다. 하부 커버(7)와 상부 트레이(11)를 수지의 사출성형공정에 의해 형성하면, 평활한 상면(7a) 및 평활한 바닥면(11a)을 그대로 반송통로(5)의 하면(5a) 및 상면(5b)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 목적으로, ABS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아세탈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 수지에 의해 하부 커버(7) 및 상부 트레이(11)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선택된 수지는 하부 커버(7)와 상부 트레이(11)에 필요한 광학적 특성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적외선, 자외선, 적색, 녹색, 청색 등의 광파장에 대하여 광학적으로 투명한 여러 가지 수지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하부 커버(7), 하부 트레이(8), 상부 커버(12) 및 상부 트레이(11)를 동일 또는 다른 수지 재료로 성형해도 좋다. 하부 커버(7)와 상부 트레이(11) 중 각 광학 부분을, 투광성 수지 또는 이들 광학 부분을 투광할 수 있는 수지에 의해 형성할 수 있고, 하부 커버(7)와 상부 트레이(11) 중 그 외 비투광 부분을 비투광성 수지 또는 불투명 수지에 의해 일체 몰드 성형하여도 좋으며, 또한, 광학 및 비광학 부분을 결합한 하부 커버(7) 또는 상부 트레이(11)로 일체적으로 성형할 수도 있다. 그렇지 않으면, 수지 재료중에 도전성 재료를 배합하여, 하부 커버(7) 및 상부 트레이(11)에 도전성을 부여하면, 지폐와의 기계적 마찰에 의해 하부 커버(7) 또는 상부 트레이(11)에 대전하는 정전기를, 상기 전자 전도성 부품의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즉시 방전할 수 있다. 이것은, 정전기에 기인하는 하부 커버(7) 또는 상부 트레이(11)에 대하여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의 부착과 지폐의 재밍(jamming)을 확실히 방지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경우에, 하부 커버(7)와 상부 트레이(11)는, 예를 들면 하부 및/또는 상부 광학 센서 소자(3a, 3b)에 대향하는 부분을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비도전성 부분으로 해도 좋다. 다른 한편, 도 4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6)의 하부 커버(7)와 하부 트레이(8)를 부분적으로 얇은 벽의 연결부(connector)(20)로 일체로 형성하여, 연결부(20)를 따라 하부 케이스(6)을 접은 후, 하부 커버(7)와 하부 트레이(8)의 다른 쪽 상부를 하나로 포갤 수 있다. 이러한 동작에 따라, 하부 커버(7)와 하부 트레이(8) 사이에, 하부 케이스(6)의 제조 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면서 하부 광학 센서 소자(3a)가 위치하는 하부 캐비티(3d)를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도 5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0)의 상부 트레이(11)와 상부 커버(12) 모두를 부분적으로 얇은 벽의 연결부(21)로 일체로 형성하여, 연결부(21)를 따라 상부 케이스(10)을 접은 후, 상부 캐비티(3e)가 그 사이에 형성되는 상부 트레이 (11)와 상부 커버(12)의 다른 쪽 상부를 하나로 포개어, 상부 케이스(10)의 제조 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도록 상부 광학 센서 소자(3b)를 유지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트레이(8)는, 끼워맞춤부(set-in structure)(9)를 통하여 하부 커버(7)에 꼭맞게 결합되어, 센서장치(3)의 적어도 일부는, 끼워맞춤부(9)의 안쪽에 배치되어, 침입하는 액체에 대하여 방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끼워맞춤부(9)는, 도시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 또는 곡선의 요철, 단차 및 폴 래치(pawl-latch) 구조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여러 가지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센서장치(3)의 하부 광학 센서 소자(3a)는, 예컨대 복수의 발광소자와, 먼저 복수의 발광소자로부터 조사되어 하부 커버(7)를 통과하여 수광소자를 향해 지폐로 반사된 다음, 마침내 하부 커버(7)를 통과하는 빛을 수광하는 복수의 수광 소자를 구비한 접촉 이미지 센서로 통합하여 지폐의 투과광 패턴을 전기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센서장치(3)의 상부 광학 센서 소자(3b)는, 예컨대 복수의 발광소자와, 먼저 복수의 발광소자로부터 조사되어 상부 트레이(11)를 통과하여, 수광소자를 향해 지폐로 반사된 후, 마침내 다시 상부 트레이(11)를 통과하는 빛을 수광하는 복수의 수광 소자를 구비한 접촉 이미지 센서로 통합하여, 지폐의 투과광 패턴을 전기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상부 광학 센서 소자(3b)의 발광소자는 빛을 조사하고, 그 빛은 상부 트레이(11)의 바닥면(11a), 지폐 및 하부 커버(7)의 상면(7a)을 통과하고, 하부 광학 센서 소자(3a)의 하나 이상의 수광 소자에 의해 수광되어, 지폐의 투과광 패턴을 전기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반대로, 하부 광학 센서 소자(3a)의 발광소자로부터 조사되어, 하부 커버(7)의 상면(7a), 지폐 및 상부 트레이(11)의 바닥면(11a)을 통과하는 투과광을 상부 광학 센서 소자(3b)의 하나 이상의 수광 소자에 의해 수광하여, 지폐의 투과광 패턴을 전기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반송통로(5) 내에 액체 등의 대량의 이물질이 외부로부터 침입할 때에, 배수 통로(15)가 하부 커버(7)의 4개의 개구부(13)와 상부 트레이(11)의 8개의 개구부 (14)를 통하여 형성되어 반송통로(5) 외부로 이물질을 배출한다. 하부 커버(7)의 4개의 개구부(13)를 통하여 액체 등의 이물질을 위한 배수 통로(15)를 도 1의 굵은 선 화살표(51)로 나타낸다. 이러한 방식으로, 반송통로(5)의 삽입구(5c)로부터 들어오는 이물질은, 개구부(13) 또는 배수 통로(15)를 통하여 자중이나 운동력에 의해 하부 케이스(6)의 내부를 통과하여, 하부 케이스(6)의 후방에서 배출구(15a)를 통해 배출된다. 도 1의 파선 화살표(52)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통로(5) 내의 액체 등의 대량의 이물질은, 또한, 반송통로(5), 상부 트레이(11)의 8개의 개구부 (14) 및 배출구(15a)를 통하여 유출시킬 수 있다.
식별 유닛(H)을 조립할 때에, 하부 광학 센서 소자(3a)와 기타 전기/전자소자를 실장한 기판(4)을 하부 프레임(17)과 하부 케이싱(18) 사이의 하부 캐비티 (3d) 내에 배치한다. 그 후, 도 2에 도시한 적층 상태로, 하부 케이싱(18)과 상부 케이싱(19) 사이에 하부 케이스(6)와 상부 케이스(10)를 배치하여, 식별 유닛(H)의 조립이 완성된다. 계속하여,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떠한 공지의 래치 수단을 통하여 식별 유닛(H)을 반송 유닛(D)에 끼워맞추기 위하여, 반송 유닛(D)의 가이드 레일(30)을 따라서 식별 유닛(H)이 이동하면, 반송통로(5)가 반송 유닛(D)의 입구(32)에 자동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수납 유닛(S)을 주프레임(F)에 끼워맞춤하면, 수납 유닛(S)의 지폐 입구(40)는, 반송 유닛(D)의 출구(33)에 자동적으로 접속된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지엽류 취급장치는, 하기의 작용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1)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및 상부 광학 센서 소자(3a, 3b)가 발수성 수지의 하부 케이스(6)의 하부 커버(7)와 하부 트레이(8) 사이 및 발수성 수지의 상부 케이스(10)의 상부 커버(12)와 상부 트레이(11) 사이의 하부 및 상부 캐비티(3d 및 3c) 내에 각각 완전 밀봉되어 있기 때문에, 하부 및 상부 광학 센서 소자 (3a, 3b)는, 반송통로(5) 내에 침입하는 액체나 해로운 물질에 의해 손상을 받지 않는다.
(2) 이에 따라, 반송통로(5) 내에 침입하는 이물질에 의한 하부 광학 센서 소자(3a)의 손상을 회피하여, 지엽류 취급장치의 오동작 및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3) 액체 등의 이물질이 내부에 침입하여도, 이물질은, 자중 또는 어떠한 운동력에 의해, 하부 및 상부 케이스(6, 10)에 형성되는 개구부(13,14)를 통하여 하방으로 이동하여, 배출구(15a)를 통하여 식별 유닛(H)으로부터 자동적으로 또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4) 하부 및 상부 케이스(6, 10) 내에 전기 작동 장치를 수용하거나 내장할 수 있으므로, 지엽류 취급장치는 용이하게 취급, 운반 및 조립이 용이해지는 동시에, 예측하지 못한 전기적 단락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5) 하부 케이스(6)의 하부 커버(7)와 상부 케이스(10)의 상부 트레이(11)를 투광성의 재료로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지엽류 취급장치는, 하부 커버(7)와 상부 트레이(11)을 지나서 하부 및 상부 캐비티(3d 및 3e) 내의 하부 및 상부 광학 센서 소자(3a 및 3b)에 의해 수광된 빛을 이용하여, 반송통로(5)를 통과하는 지폐의 광학적 특성을 검출할 수 있다.
(6) 반송통로(5)가 하부 및 상부 케이스(6, 10)의 수지 성형 하부 커버(7)와 상부 트레이(11)에 의해 초래되는 평활하고 원활한 면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지폐는 반송통로(5)를 따라 재밍이나 막힘이 발생하지 않고 원활하게 반송될 수 있다.
(7) 식별 유닛(H)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에 열이 발생하더라도, 원래 배출하는 이물질을 위한 배수 통로(15)를 통하여 기류에 의해서 방열되어, 연속 동작시에 식별 유닛(H)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지엽류 취급장치가, 반송 유닛(D), 주프레임(F) 및 수납 유닛(S)과 함께 작동하는 식별 유닛(H)을 구비하는 것으로 기재되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식별 유닛(H)을 단독으로 지엽류 식별장치로서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지폐 이외의 은행권, 화폐, 쿠폰, 가주권 (scrip), 증권, 증명서 등의 유가 지엽을 취급하는데도 적용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특히 방수 또는 방진 구조를 가진 지폐 취급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23)

  1. 반송통로를 형성하는 케이스와,
    반송통로를 따라서 지엽류를 반송하는 반송장치와,
    상기 반송통로를 따라서 이동되는 상기 지엽류의 물리적 특징을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광학 센서 소자를 가지는 광학식의 센서장치와,
    상기 광학 센서장치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반송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하부 커버와, 하부 커버의 바닥부에 결합되는 하부 트레이를 가지며, 상기 하부 커버와 상기 하부 트레이 사이에서 하부 캐비티를 형성하는 하부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커버는 투광성이며 발수성인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반송통로의 하면을 형성하며,
    상기 광학 센서장치의 하부 광학 센서 소자가 상기 하부 캐비티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취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는, 평활한 지엽류의 반송면을 형성하는 상면을 포함하는 지엽류 취급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는, ABS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아세탈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 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지엽류 취급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는, 전기도전성을 가진 지엽류 취급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끼워맞춤부를 개재하여 상기 하부 커버에 상기 하부 트레이를 결합하고,
    상기 광학 센서장치의 상기 하부 광학 센서 소자를 상기 끼워맞춤부의 내측에 배치한 지엽류 취급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맞춤부는, 상기 하부 커버와 상기 하부 트레이를 연결하기 위하여, 사각 또는 곡선의 요철, 단차 및 폴 래치 구조중의 어느 하나인 지엽류 취급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장치는, 발광용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조사되어, 투광 가능한 하부 커버를 지나 지엽류로 반사된 후, 다시 수광소자를 향하여 반대 방향으로 하부 커버를 통과하는 빛을 수광하는 수광 소자를 구비한 지엽류 취급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에는, 상기 반송장치의 벨트 또는 롤러가 위치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벨트 또는 롤러가 개구부로부터 상기 반송통로로 돌출하는 상태로 위치되어 있는 지엽류 취급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를 통하여 형성한 배수 통로를 더 포함하여 상기 반송통로 내에 침입하는 액체를 배출하는 지엽류 취급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통로는, 상기 하부 케이스의 후방에 형성되는 배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배수 통로의 이물질이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지엽류 취급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반송통로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부 케이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상부 케이스는, 광투과성이며 발수성인 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 트레이와, 상부 트레이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부 트레이와 상부 커버 사이의 상부 캐비티를 형성하는 상부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장치는 상부 캐비티 내에 배치된 상부 광학 센서 소자를 포함하는 지엽류 취급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트레이는, 평활한 지엽류의 반송면을 형성하는 바닥면을 포함하는 지엽류 취급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ABS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아세탈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 수지에 의해 상기 상부 트레이를 형성한 지엽류 취급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트레이는, 전기도전성을 가진 지엽류 취급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끼워맞춤부를 통하여 상기 상부 트레이에 상기 상부 커버를 결합하고,
    끼워맞춤부의 내측에 상기 센서장치의 상부 광학 센서 소자를 배치한 지엽류 취급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장치는, 상기 하부 커버와 상기 하부 트레이 사이에 배치되는 발광소자와,
    상기 상부 트레이와 상기 상부 커버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조사되어, 투광 가능한 하부 커버를 지나 상기 지엽류와 상부 트레이를 통과하여 수광소자측을 향하는 빛을 수광하는 수광 소자를 구비하는 지엽류 취급장치.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장치는, 상기 상부 트레이와 상부 커버의 사이에 배치되어 발광하는 상부 광학 센서 소자와, 상부 광학 센서 소자로부터 조사되어, 상기 상부 트레이를 지나 수광 소자를 향하여 상기 지엽류와 하부 커버를 지나는 빛을 수광하는 수광 소자를 구비하는 지엽류 취급장치.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를 덮는 하부와 상부 케이싱 및,
    상기 하부 케이싱과 상기 하부 케이스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 기판을 더 포함하는 지엽류 취급장치.
  19. 제 11 항에 있어서, 개구부로부터 상기 반송통로내에 돌출하여 상기 반송장치의 벨트 또는 롤러가 배치하는 개구부를 상기 상부 트레이에 형성한 지엽류 취급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는, 연결부를 가지는 수지로 일체로 성형되는 하부 커버와 하부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케이스가, 상기 연결부를 따라 접혀져 다른 하부 커버와 하부 트레이의 상부에 포개져 상기 센서장치의 일부를 제공하는 하부 캐비티를 형성하는 지엽류 취급장치.
  21.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는, 연결부를 가지는 수지로 일체로 성형되는 상기 상부 트레이와 상부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케이스가, 상기 연결부 주위에 접혀져 다른 상부 트레이와 상부 커버의 상부에 포개져 상기 센서장치의 상부 광학 소자를 제공하는 상부 캐비티를 형성하는 지엽류 취급장치.
  22. 반송통로를 형성하는 케이스와,
    반송통로를 따라서 지엽류를 반송하는 반송장치와,
    반송통로를 따라서 이동되는 지엽류의 물리적 특징을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발생하는 광학식의 센서장치와,
    센서장치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수신하여 반송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케이스는, 하부와 상부 케이스를 구비하며,
    하부 케이스는, 광투과성이며 발수성인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반송통로의 하면을 형성하는 하부 커버와,
    하부 커버의 바닥부에 결합되어 하부 커버와 하부 트레이 사이의 하부 캐비티를 형성하는 하부 트레이를 가지며,
    상부 케이스는, 광투과성이며 발수성인 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 트레이와, 상부 트레이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부 트레이와 상부 커버 사이의 상부 캐비티를 형성하는 상부 커버를 가지며,
    센서장치는, 하부 캐비티내에 배치된 하부 광학 센서 소자와, 상부 캐비티내에 배치된 상부 광학 센서 소자를 포함하고,
    반송통로가 하부 케이스의 하부 커버와 상부 케이스의 상부 트레이의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취급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와 상부 트레이에는, 상기 반송장치의 벨트 또는 롤러가 위치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벨트 또는 롤러가 개구부로부터 상기 반송통로로 돌출하는 상태로 위치되어 있는 지엽류 취급장치.
KR1020117000455A 2008-06-09 2009-03-31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에 대하여 내장하는 센서를 보호할 수 있는 지엽류 취급장치 Active KR1011643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51043 2008-06-09
JP2008151043A JP5227087B2 (ja) 2008-06-09 2008-06-09 紙葉類取扱装置
PCT/JP2009/001479 WO2009150774A1 (en) 2008-06-09 2009-03-31 Document handler capable of protecting a built-in sensor from extraneous substa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910A KR20110017910A (ko) 2011-02-22
KR101164366B1 true KR101164366B1 (ko) 2012-07-09

Family

ID=41399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0455A Active KR101164366B1 (ko) 2008-06-09 2009-03-31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에 대하여 내장하는 센서를 보호할 수 있는 지엽류 취급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7980557B2 (ko)
EP (1) EP2300994A4 (ko)
JP (1) JP5227087B2 (ko)
KR (1) KR101164366B1 (ko)
CN (1) CN102113030B (ko)
AU (1) AU2009258817B2 (ko)
CA (1) CA2727480C (ko)
MX (1) MX2010013593A (ko)
RU (1) RU2446473C1 (ko)
TW (1) TWI383339B (ko)
WO (1) WO2009150774A1 (ko)
ZA (1) ZA20110024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4601B1 (ko) * 2017-11-03 2019-05-03 주식회사 넥스빌 지폐 계수기의 더블 검지 센서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37117B2 (ja) 2009-10-26 2014-07-02 日本金銭機械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
CN105447961B (zh) * 2014-08-27 2020-08-25 光荣株式会社 纸张处理装置
CN106373266B (zh) * 2016-09-05 2019-02-01 上海华铭智能终端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防水模块的票币回收装置
TWI601681B (zh) * 2017-02-17 2017-10-11 鴻發國際科技股份有限公司 文件儲存組件
JP6823739B2 (ja) * 2019-03-29 2021-02-03 日本金銭機械株式会社 紙葉鑑別装置、白基準データの調整方法、及びプログラム
PH12021552139A1 (en) * 2019-03-29 2022-08-15 Nippon Kinsen Kikai Kk Paper sheet sorting device, white-reference-data adjustment method, and program
JP7481927B2 (ja) 2020-06-30 2024-05-13 ニデック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媒体排出ユニット、媒体処理装置、および発行機
JP7198318B1 (ja) * 2021-08-06 2022-12-28 日本金銭機械株式会社 紙幣鑑別用光学センサ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4679A (en) * 1984-04-05 1989-12-05 Diebold Incorporated Secure transport construction for banking depository devices
KR970005397B1 (ko) * 1992-07-29 1997-04-16 가부시끼가이샤 닛뽄곤락스 지폐처리장치
JP3291704B2 (ja) * 1992-12-03 2002-06-10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紙幣識別装置
JP3307787B2 (ja) * 1994-02-15 2002-07-24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紙幣処理機の紙幣判別装置
US5462150A (en) * 1994-05-09 1995-10-31 Gamemax Corporation Collecting device for currencies
US5632367A (en) * 1995-01-23 1997-05-27 Mars, Incorporated Validation housing for a bill validator made by a two shot molding process
US5616915A (en) * 1995-01-23 1997-04-01 Mars Incorporated Optical sensor for monitoring the status of a bill magazine in a bill validator
JP3934714B2 (ja) * 1996-10-31 2007-06-20 日本金銭機械株式会社 紙幣鑑別装置
GB0118531D0 (en) * 2001-07-30 2001-09-19 Innovative Technology Ltd Handling banknotes and the like
DE10259288A1 (de) * 2002-12-18 2004-07-22 Giesecke & Devrient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für die Überprüfung von Banknoten
DE10332212A1 (de) * 2003-07-16 2005-02-24 Koenig & Bauer Ag Vorrichtungen zur Qualitätsprüfung von Prüfkörpern und ein Verfahren zum Prüfen der Qualität von Bogen
JP4566543B2 (ja) * 2003-10-10 2010-10-20 日本金銭機械株式会社 有価紙葉鑑別装置
US20050256807A1 (en) 2004-05-14 2005-11-17 Brewington James 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ultraviolet authentication of a scanned document
RU2344063C2 (ru) * 2004-06-04 2009-01-20 Де Ля Рю Интернэшнл Лимитед Способ сортировки документов (варианты)
JP4624163B2 (ja) * 2005-04-08 2011-02-02 ローレル精機株式会社 紙葉類収納繰出装置
FR2888378B1 (fr) * 2005-07-08 2007-10-12 Parkeon Machine de distribution de produits et/ou de services munie d'un lecteur de billets
JP4320656B2 (ja) * 2005-12-13 2009-08-26 三菱電機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4601B1 (ko) * 2017-11-03 2019-05-03 주식회사 넥스빌 지폐 계수기의 더블 검지 센서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83339B (zh) 2013-01-21
ZA201100244B (en) 2012-03-28
CN102113030B (zh) 2013-04-24
JP5227087B2 (ja) 2013-07-03
CN102113030A (zh) 2011-06-29
MX2010013593A (es) 2011-02-23
WO2009150774A1 (en) 2009-12-17
EP2300994A1 (en) 2011-03-30
EP2300994A4 (en) 2013-09-25
KR20110017910A (ko) 2011-02-22
RU2446473C1 (ru) 2012-03-27
US20090302529A1 (en) 2009-12-10
TW201011700A (en) 2010-03-16
AU2009258817A1 (en) 2009-12-17
CA2727480A1 (en) 2009-12-17
JP2009295125A (ja) 2009-12-17
AU2009258817B2 (en) 2012-03-15
US7980557B2 (en) 2011-07-19
CA2727480C (en) 2013-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4366B1 (ko)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에 대하여 내장하는 센서를 보호할 수 있는 지엽류 취급장치
JP4222585B2 (ja) 紙葉類収納装置
JPH11339098A (ja) 紙幣処理装置
JP5486127B2 (ja) ラインセンサユニット、自動取引装置
KR101992387B1 (ko) 계수기용 통합센서모듈 구조
KR100812254B1 (ko) 지폐 감별기
KR100574051B1 (ko) 스캔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AU7707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newing software in a software-operated machine
JP2006185076A (ja) 紙幣識別装置
JP2007317160A (ja) 携帯型紙幣識別装置
JP5608902B2 (ja) センサ調整用基準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センサ調整方法
JPH08180236A (ja) 紙葉類識別装置の光学検出部
KR102034952B1 (ko) 휴대형 위폐 감별기
JP2007102471A (ja) 紙幣識別装置
BRPI1010340A2 (pt) Manipulador de documento
JP4222620B2 (ja) 紙葉類収納装置
JP2006171852A (ja) 紙幣識別装置
JP3454592B2 (ja) 紙葉類処理装置
JP2018060263A (ja) 紙状体処理装置
KR101093951B1 (ko) 지폐부족 감지장치
JP5540771B2 (ja) 紙葉類識別装置、紙幣処理装置、及び紙幣取扱装置
JPH0579678U (ja) 紙幣取扱装置
JPH0643770U (ja) 紙幣取扱装置
KR20180022359A (ko) 카세트 모듈
JPH0555256U (ja) カ−ドの残量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10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7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7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