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74051B1 - 스캔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스캔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4051B1
KR100574051B1 KR1020050000850A KR20050000850A KR100574051B1 KR 100574051 B1 KR100574051 B1 KR 100574051B1 KR 1020050000850 A KR1020050000850 A KR 1020050000850A KR 20050000850 A KR20050000850 A KR 20050000850A KR 100574051 B1 KR100574051 B1 KR 100574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unit
cover
scan
docum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0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기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0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4051B1/ko
Priority to US11/299,826 priority patent/US2006014637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4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405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0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 G03G15/607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for detecting size, presence or position of orig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0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 H04N1/1013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sub-scanning by translatory movement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scanning components
    • H04N1/1017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sub-scanning by translatory movement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scanning components the main-scanning components remaining positionally invariant with respect to one another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51Top covers or the like
    • H04N1/00554Latches or hing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72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with refeeding for double-sided scanning, e.g. using one scanning head for both sides of a she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795Read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09Cleaning arrangements or preventing or counter-acting contamination from dust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9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 H04N1/191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the array comprising a one-dimensional array, or a combination of one-dimensional arrays, or a substantially one-dimensional array, e.g. an array of staggered elements
    • H04N1/192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one main scanning l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02Arrangement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one of the scanning methods covered by groups H04N1/04 - H04N1/207
    • H04N2201/0444Arrangement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one of the scanning methods covered by groups H04N1/04 - H04N1/207 for securing moveable scanning components, e.g. for transpor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안전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캔유닛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스캔유닛은, 원고가 올려지는 원고대를 갖춘 스캔 프레임; 상기 원고대의 하부에서 이동하며 원고를 독취하는 독취센서; 상기 원고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커버; 및 상기 독취센서와 상기 커버를 록킹 및 언록킹시키는 록킹유닛;을 포함한다.
커버, 스캔유닛, 독취센서, 록킹유닛

Description

스캔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Scan unit and apparatus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Ⅲ-Ⅲ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록킹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화상형성 프레임 120...화상형성유닛
140...배지부 200...스캔유닛
220...스캔 프레임 222...원고대
224,226,228...제1, 2, 3가이드홈 240...독취센서
260...커버 266...록킹홈
270...자동급지유닛 280...록킹유닛
282...베이스 284...제1록킹부재
286...제2록킹부재 287...제1후크돌기
288...가이드부재 289...제2후크돌기
290...손잡이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캔유닛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사기, 복합기, 팩시밀리등의 스캔기능을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는, 스캔할 원고를 올려놓기 위한 원고대와, 상기 원고대의 하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원고대상에 놓여진 원고로부터 화상정보를 독취하기 위한 독취센서와, 상기 독취센서에 의해 독취된 화상정보에 따라 인쇄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유닛과, 상기 원고대를 개폐시키기 위한 커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이동시 상기 독취센서가 임의적으로 움직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록킹부재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록킹부재는 사용자가 쉽게 발견할 수 있도록 화상형성장치의 외부로 드러나 있지 않아서 상기 독취센서의 록킹여부는 화상형성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조작패널의 디스플레이 창으로만 확인 가능하다. 이러한 이유로, 사용자는 상기 독취센서가 록킹된 상태를 인지하지 못하고 커버를 열어 원고를 스캐닝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독취센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는 록킹부재에 의해 고정된 독취센서를 이동시킬 수 없음으로 인해, 상기 모터는 과부하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모터로부터 상기 독취센서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도 과부하에 의한 기계적인 손상을 입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메인 콘트롤러도 상기 모터에 발생된 과부하에 의해 전기적인 손상을 입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손상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모터, 동력전달부재 및 메인 콘트롤러는 작동불능상태에 도달할 수 있게 되어, 결국, 스캔유닛 또는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는 수명이 단축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보다 안정적으로 구동될 수 있는 스캔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스캔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캔유닛은, 원고가 올려지는 원고대를 갖춘 스캔 프레임; 상기 원고대의 하부에서 이동하며 원고를 독취하는 독취센서; 상기 원고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커버; 및 상기 독취센서와 상기 커버를 함께 록킹 및 언록킹시키는 록킹유닛;을 포함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은, 원고를 독취하는 스캔유닛; 독취된 화상정보를 이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유닛을 수용하는 화상형성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스캔유닛은, 상기 화상형성 프레임에 설치되어 지지되며, 원고가 올려지는 원고대를 갖춘 스캔 프레임; 상기 원고대의 하부에서 이동하며 원고를 독취하는 독취센서; 상기 원고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커버; 및 상기 독취센서와 상기 커버를 함께 록킹 및 언록킹시키는 록킹유닛;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스캔 프레임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독취센서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1록킹부재; 및 상기 커버의 개방을 제한하기 위한 제2록킹부재; 상기 제1 및 제2록킹부재 각각의 일단이 지지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일단이 지지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스캔유닛의 외부인 화상형성장치의 배지공간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베이스 상에 마련된 손잡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스캔 프레임에는 상기 제1록킹부재를 가이드하기 위한 제1가이드홈; 사기 제2록킹부재를 가이드하기 위한 제2가이드홈; 및 상기 가이드부재를 가이드하기 위한 제3가이드홈;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록킹부재의 타단에는 제1후크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에는 상기 제1후크돌기에 대응하는 록킹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타단에는 상기 제3가이드홈과 접촉한 채로 슬라이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후크돌기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록킹부재, 가이드부재, 손잡이 및 베이스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에는 자동급지유닛이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 프레임(100), 화상형성유닛(120, 도 2참조) 및 스캔유닛(200)을 포함한다.
상기 화상형성 프레임(100)은, 상기 스캔유닛(200)을 지지하며 그 내부에는 스캔유닛(200)에 의해 독취된 정보에 따라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형성유닛(120)이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화상형성 프레임(100)의 상기 스캔유닛(200)과 마주하는 면에는 상기 화상이 형성되어 배출된 인쇄매체를 수용하기 위한 배지부(140)가 형성된다.
상기 화상형성유닛(120)은, 인쇄매체가 수용되는 급지장치(122)와, 상기 급지장치(122)로부터 급지된 인쇄매체를 이송시키는 복수개의 이송롤러(124) 및 이송된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시키는 현상유닛(126), 전사유닛(128) 및 정착유닛(130)을 포함한다. 이외 인쇄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이미 공지된 기술인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스캔유닛(200)은, 스캔 프레임(220), 독취센서(240), 커버(260) 및 록킹유닛(280)을 포함한다.
상기 스캔 프레임(220)은, 상기 화상형성 프레임(100)의 상면에 고정되며, 상기 스캔 프레임(220)의 상면에는 원고가 올려지는 원고대(222)가 마련된다. 상기 원고대(222)는 독취센서(240)가 화상정보를 읽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투명한 유리 판(Platen glass)등이 이용된다.
상기 독취센서(240)는, 상기 스캔 프레임(220)에 도 1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좌우(C 방향)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미도시된 모터 등에 연결되어 구동된다. 상기 독취센서(240)의 이동구조등은 이미 공지기술 인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독취센서(240)는 상기 원고대(222)에 올려진 원고의 화상정보를 좌우로 이동하면서 독취한다. 이러한 독취센서(240)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가 주로 사용되며 CIS(Contact Image Sensor)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260)는, 상기 스캔 프레임(220)에 도 1에 도시된 화살표의 방향(D 방향)과 같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원고대(222)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킨다. 그리고, 상기 커버(260)에는 원고를 자동급지하여 독취하기 위한 자동급지유닛(270)이 마련된다.
상기 자동급지유닛(270)은, 자동급지될 원고가 적재되는 원고적재대(272)와, 상기 원고적재여부를 감지하는 원고감지센서(미도시)와, 급지된 원고를 이송하는 복수개의 이송롤러(274)와, 이송되는 원고를 정렬시키기 위한 레지스트레이션 센서(미도시)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자동급지유닛(270)에 의해 급지된 원고가 복수개의 이송롤러(274)에 의해 이송되면서 상기 독취센서(240)에 의해 화상정보가 독취된다. 즉, 원고상의 화상정보를 독취하기 위해 상기 독취센서(240)가 이동하는 대신 상기 원고가 이동하므로서 상기 독취센서(240)의 이동이 불필요하게 된다.
상기 록킹유닛(28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282), 상기 베이스(282)의 일면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록킹부재(284)(286)와, 가이드부재(288) 및 상 기 베이스(282)의 타면에 마련되는 손잡이(29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282)는 상기 제1 및 제2록킹부재(284)(286), 가이드부재(288) 및 손잡이(290)와 사출성형등의 성형방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록킹부재(286)의 일단 및 상기 가이드부재(288)의 일단을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282)는 상기 스캔 프레임(220)의 하면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배지부(140)의 배지공간(141)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록킹유닛(280)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베이스(282)에 각각의 구성요소를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하거나 본딩하는 등의 수단에 의해서도 제조가 가능하다.
상기 제1록킹부재(284)는 상기 스캔 프레임(220)에 형성된 제1가이드홈(224)에 삽입되어 화상형성장치의 전후(E 방향)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상기 독취센서(240)의 이동방향(C 방향)을 가로막게 되며, 이에 의해 상기 독취센서(240)가 임의적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록킹부재(286)는, 상기 스캔 프레임(220)에 형성된 제2가이드홈(226)에 삽입되어 화상형성장치의 전후(E 방향)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제2록킹부재(286)의 타단에는 제1후크돌기(287)가 형성되며, 이에 대응되게 상기 커버(260)에는 록킹홈(266)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로 상기 제2록킹부재(286)가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경우, 상기 제1후크돌기(287)는 상기 커버(260)의 록킹홈(266)에 걸리게 되어 상기 커버(260)는 개방될 수 없는 록킹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록킹부재(286)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경우, 상기 커버(260)는 언록킹되어 스캔 프레임(220)상에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이드부재(288)는 상기 스캔 프레임(220)에 형성된 제3가이드홈(228)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288)의 타단에는 상기 제3가이드홈(228)으로부터 이탈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록킹유닛(280)의 전후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두개의 제2후크돌기(289)가 형성된다. 상기 제2후크돌기(289)는 상기 제3가이드홈(228)에 삽입시에는 서로 압축된 상태로 삽입되어 삽입이 완료된 후에는 원형상을 회복하면서 상기 제3가이드홈(228)에 걸리는 형상을 한다. 즉, 상기 가이드부재(288)는 상기 스캔 프레임(220)에 후크결합하는 형태로 조립된다.
상기 손잡이(29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록킹유닛(280)을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스캔유닛(200)의 외부로 노출되게 상기 베이스(282)의 타면에 마련된다. 즉, 상기 화상형성 프레임(100)의 일면에 마련된 배지부(140)의 배지공간(141)상에 위치한다.
이하,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우선, 도 5a에 도시된 상태는 상기 독취센서(240) 및 커버(260)가 언록킹상태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어느 때라도 커버(260)를 열고 원고대(222)에 원고를 올려 스캔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를 기울이거나 다른 장소로 옮겨야 할 경우, 사용자는 독취센서(240)가 임의적으로 이동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독취센서(240)를 록킹시켜 고정시켜야 한다. 이러한 록킹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사용자는 배지공간(141, 도 1참조)에 위치한 손잡이(290)를 C1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282) 및 이와 일체로 형성된 제1 및 제2록킹부재(284)(286) 및 가이드부재(288)는 C1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가이드부재(288)에 형성된 제2후크돌기(289)는 스캔 프레임(220)에 형성된 제3가이드홈(228) 내에서 상기 베이스(282)를 가이드한다. 그리고, 상기 제1록킹부재(284)는 독취센서(240)의 이동방향(지면에 수직한 방향)에 수직한 방향(C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독취센서(240)의 경로를 가로막는다. 이에 의해, 상기 독취센서(240)는 스캔 프레임(220)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게 된다. 한편, 제2록킹부재(286)는 커버(260) 및 스캔 프레임(220)에 형성된 제2가이드홈(226)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그 타단에 형성된 제1후크돌기(287)는 커버(260)에 형성된 록킹홈(266)에 걸리게 된다. 이에 의해 상기 커버(260)는 상기 스캔 프레임(220) 상에서 개방되지 않는 상태 즉, 록킹상태에 있게 된다. 록킹을 해제할 경우, 손잡이(290)를 C2 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260) 및 상기 독취센서(240)가 언록킹상태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록킹유닛(280, 도 4참조)에 의해, 상기 독취센서(240)를 록킹시킬 때 커버(260)가 동시에 록킹되므로서, 사용자는 록킹상태에서 커버(260)를 개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독취센서(240)가 록킹된 채 커버(260)를 열고 스캔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므로서, 상기 독취센서(240)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미도시) 및 모터(미도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커버와 독취센서를 함께 록킹시켜, 록킹된 독취센서의 구동을 미연에 방지하므로서 독취센서를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전달부재 및 모터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결국, 스캔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의 안전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동력전달부재 및 모터등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므로서 스캔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원고가 올려지는 원고대를 갖춘 스캔 프레임;
    상기 원고대의 하부에서 이동하며 원고를 독취하는 독취센서;
    상기 원고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커버; 및
    상기 독취센서와 상기 커버를 함께 록킹 및 언록킹시키는 록킹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스캔 프레임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독취센서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1록킹부재; 및
    상기 커버의 개방을 제한하기 위한 제2록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록킹부재 각각의 일단이 지지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일단이 지지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스캔유닛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베이스 상에 마련된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프레임에는,
    상기 제1록킹부재를 가이드하기 위한 제1가이드홈;
    사기 제2록킹부재를 가이드하기 위한 제2가이드홈; 및
    상기 가이드부재를 가이드하기 위한 제3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록킹부재의 타단에는 제1후크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에는 상기 제1후크돌기에 대응하는 록킹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유닛.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타단에는 상기 제3가이드홈과 접촉한 채로 슬라이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후크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록킹부재, 가이드부재, 손잡이 및 베이스는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유닛.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자동급지유닛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유닛.
  11. 원고를 독취하는 스캔유닛;
    독취된 화상정보를 이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유닛을 수용하는 화상형성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스캔유닛은,
    상기 화상형성 프레임에 설치되어 지지되며, 원고가 올려지는 원고대를 갖춘 스캔 프레임;
    상기 원고대의 하부에서 이동하며 원고를 독취하는 독취센서;
    상기 원고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커버; 및
    상기 독취센서와 상기 커버를 함께 록킹 및 언록킹시키는 록킹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스캔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독취센서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1록킹부재; 및
    상기 커버의 개방을 제한하기 위한 제2록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록킹부재 각각의 일단이 지지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일단이 지지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프레임과 마주하는 상기 화상형성 프레임의 일면에는 배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배지부의 배지공간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상에 마련된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프레임에는,
    상기 제1록킹부재를 가이드하기 위한 제1가이드홈;
    사기 제2록킹부재를 가이드하기 위한 제2가이드홈; 및
    상기 가이드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3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록킹부재의 타단에는 제1후크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에는 상기 제1후크돌기에 대응하는 록킹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타단에는 상기 제3가이드홈과 접촉한 채로 슬라이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후크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록킹부재, 가이드부재, 손잡이 및 베이스는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자동급지유닛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50000850A 2005-01-05 2005-01-05 스캔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574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850A KR100574051B1 (ko) 2005-01-05 2005-01-05 스캔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US11/299,826 US20060146375A1 (en) 2005-01-05 2005-12-13 Scan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850A KR100574051B1 (ko) 2005-01-05 2005-01-05 스캔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4051B1 true KR100574051B1 (ko) 2006-04-27

Family

ID=36640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0850A Expired - Fee Related KR100574051B1 (ko) 2005-01-05 2005-01-05 스캔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60146375A1 (ko)
KR (1) KR1005740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89666B2 (en) * 2007-01-25 2012-01-03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US8154770B2 (en) * 2007-01-31 2012-04-10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US8244167B2 (en) * 2007-01-31 2012-08-14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US8194255B2 (en) * 2007-09-14 2012-06-05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JP5197289B2 (ja) * 2008-10-08 2013-05-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読取記録装置
JP5376923B2 (ja) * 2008-12-05 2013-12-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AU2014222417B2 (en) 2013-02-26 2017-09-07 Belkin Vision Ltd. System for glaucoma treatment
JP6497029B2 (ja) * 2014-10-29 2019-04-1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読み取り装置
JP6942619B2 (ja) * 2017-12-06 2021-09-29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10301B2 (en) * 2000-11-20 2003-01-21 Murata Kikai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lock unit for preventing a reading unit and a platen cover from being opened simultaneously
US6937368B2 (en) * 2001-10-22 2005-08-30 Lite-On Technology Corp. Locking device for a movable module of an apparatus
US6851802B2 (en) * 2002-05-02 2005-02-08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device including mechanism to lock cover
JP4012061B2 (ja) * 2002-12-26 2007-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46375A1 (en) 2006-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99726C (zh) 稿件自动传送设备
EP0993173B1 (en) Image reading device
US810785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image reading unit with contacting portions which contact contacted portions when closing the image reading unit
KR100574051B1 (ko) 스캔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US7660548B2 (en) Image processing devices
US10530947B2 (en) Image rea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60044193A1 (en) Scanner Option Assembly for an Image Forming Device
WO2017086444A1 (ja) 画像読取装置
US726331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scan uni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5454540B2 (ja) 画像読取装置
US8213060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JP4645380B2 (ja) 画像読取装置
JP2017090908A (ja) 画像形成装置
JP4941667B2 (ja) 画像読取装置
JP2007273663A (ja) 電子機器
JP2014013971A (ja) 画像読取装置、及び記録装置
JP5571506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原稿の画像処理方法
JP3885291B2 (ja) センサ取付構造
CN109951610B (zh) 原稿送给装置、图像读取装置及图像形成装置
KR20080025966A (ko) 화상 형성 장치
JP2011223189A (ja) 画像読取装置
JP6443076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813271B2 (ja) 自動原稿搬送機構
JP6169336B2 (ja) 原稿読取装置
JP3972931B2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1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4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4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