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49852B1 - 의료용 바늘 및 의료용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의료용 바늘 및 의료용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9852B1
KR101149852B1 KR1020067011941A KR20067011941A KR101149852B1 KR 101149852 B1 KR101149852 B1 KR 101149852B1 KR 1020067011941 A KR1020067011941 A KR 1020067011941A KR 20067011941 A KR20067011941 A KR 20067011941A KR 101149852 B1 KR101149852 B1 KR 101149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
section
sectional area
medical needle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1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1580A (ko
Inventor
미츠오 후쿠다
세이지 아오야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라이트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라이트닉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라이트닉스
Publication of KR20060111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1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9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9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within the blood, pH-value of blood
    • A61B5/1405Devices for taking blood samples
    • A61B5/1411Devices for taking blood samples by percutaneous method, e.g. by lanc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015Source of blood
    • A61B5/150022Source of blood for capillary blood or interstitial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053Details for enhanced collection of blood or interstitial fluid at the sample site, e.g. by applying compression, heat, vibration, ultrasound, suction or vacuum to tissue; for reduction of pain or discomfort; Skin piercing elements, e.g. blades, needles, lancets or canulas, with adjustable piercing speed
    • A61B5/150061Means for enhancing collection
    • A61B5/150099Means for enhancing collection by negative pressure, other than vacuum extraction into a syringe by pulling on the piston rod or into pre-evacuated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053Details for enhanced collection of blood or interstitial fluid at the sample site, e.g. by applying compression, heat, vibration, ultrasound, suction or vacuum to tissue; for reduction of pain or discomfort; Skin piercing elements, e.g. blades, needles, lancets or canulas, with adjustable piercing speed
    • A61B5/150106Means for reducing pain or discomfort applied before puncturing; desensitising the skin at the location where body is to be pierc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206Construction or design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ing or production; packages; sterilisation of piercing element, piercing device or sampling device
    • A61B5/150229Pumps for assisting the blood samp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206Construction or design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ing or production; packages; sterilisation of piercing element, piercing device or sampling device
    • A61B5/150274Manufacture or production processes or steps for blood sampling devices
    • A61B5/150282Manufacture or production processes or steps for blood sampling devices for piercing elements, e.g. blade, lancet, canula, nee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381Design of piercing elements
    • A61B5/150389Hollow piercing elements, e.g. canulas, needles, for piercing the skin
    • A61B5/150396Specific tip design, e.g. for improved penetration characteris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381Design of piercing elements
    • A61B5/150389Hollow piercing elements, e.g. canulas, needles, for piercing the skin
    • A61B5/150404Specific design of proximal e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381Design of piercing elements
    • A61B5/150412Pointed piercing elements, e.g. needles, lancets for pierc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381Design of piercing elements
    • A61B5/150412Pointed piercing elements, e.g. needles, lancets for piercing the skin
    • A61B5/150419Pointed piercing elements, e.g. needles, lancets for piercing the skin comprising means for capillary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381Design of piercing elements
    • A61B5/150412Pointed piercing elements, e.g. needles, lancets for piercing the skin
    • A61B5/150427Specific tip design, e.g. for improved penetration characteris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381Design of piercing elements
    • A61B5/150442Blade-like piercing elements, e.g. blades, cutters, knives, for cutting the skin
    • A61B5/150458Specific blade design, e.g. for improved cutting and penetration characteris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381Design of piercing elements
    • A61B5/150503Single-ended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381Design of piercing elements
    • A61B5/150503Single-ended needles
    • A61B5/150511Details of construction of shaf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86Needle tip design, e.g. for improved pene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42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desensitising skin, for protruding skin to facilitate piercing, or for locating point where body is to be pierced
    • A61M5/422Desensitising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의료용 바늘은,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고, 이것에 수직한 평면으로 절단된 수직 단면의 단면적이 선단부로부터의 거리에 의존하여 규칙적으로 증감한다. 또한, 이 의료용 바늘은, 수직한 단면의 단면적이 극대가 되는 복수의 극대점, 및 수직 단면의 단면적이 극소가 되는 복수의 극소점을 갖고, 선단부에 가장 가까운 극대점에서의 수직 단면의 단면적은, 다른 각 극대점에서의 수직 단면의 단면적보다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이 의료용 바늘을 환자에게 천자했을 때, 환자에게 주는 아픔을 될 수 있는 한 작게 하고, 환자의 천자 부위에서의 손상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료용 바늘 및 의료용 디바이스{MEDICAL NEEDLE AND MEDICAL DEVICE}
본 발명은 란셋(lancet) 및 주사 바늘 등의 의료용 바늘, 및 이것을 이용한 의료용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고, 특히 생체 적합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의료용 바늘 및 이것을 이용한 의료용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통상, 치료 등의 목적으로 피하 주사를 행할 때, 환자의 적당한 피부 또는 근육에 주사 바늘을 찔러 넣고, 약제가 주사 바늘을 통해서 체내에 주입된다. 마찬가지로, 예컨대, 당뇨병 환자의 혈당치를 정기적으로 측정하기 위해서, 란셋을 적당한 신체 부분(예컨대, 손끝)에 천자(穿刺)하여, 미량의 혈액이 채취된다. 이와 같이, 주사 바늘 또는 란셋을 체내에 찔러 넣을 때, 환자는 상당한 아픔 또는 불쾌감을 느끼고, 천자된 부위의 세포가 광범한 영역에 걸쳐 손상을 입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환자에게 주는 아픔(불쾌감)을 될 수 있는 한 억제하고, 침습성(侵襲性)이 보다 낮은 주사 바늘 및 란셋이 강하게 요망되고 있다.
환자에게 될 수 있는 한 아픔을 주지 않는 주사 바늘이 이제까지 몇 가지 제안되어 있다. 예컨대, 일본 특허공개 제1998-57490호에 의하면, 주사 바늘이 환자 의 피부 또는 근육에 천자되었을 때 환자가 아픔을 느끼는 이유는, 주사 바늘의 선단부가 피부 또는 근육을 찝기 때문이라고 하여, 이것에 대처하기 위해, 주사 바늘의 선단부를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많은 사각면을 갖도록 성형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환자가 아픔을 느끼는 이유를 보다 상세하게 이하 설명한다. 주사 바늘이 체내의 세포 조직(피부 또는 근육 내)에 침입할 때, 주사 바늘 표면과 세포 조직이 접촉하는 표면적이 커져, 그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이 증대하는 한편, 주사 바늘 표면 부근에 있는 세포 조직이 피하 방향으로 강하게 잡아 당겨진다. 그 결과, 주변 세포 조직은 마찰력에 의해 큰 물리적인 스트레스가 부가되기 때문에 극단적으로 변형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세포가 잡아 뜯겨지고(파괴되고) 히스타민 및 브라디키닌 등의 통증발현 화학적 매개자가 방출되기 때문에, 환자는 매우 강한 아픔을 느낀다. 또한, 이러한 마찰력에 의한 물리적인 스트레스는 넓은 범위에 걸쳐, 주변 세포 조직이 상당한 손상을 입어 용이하게 회복되지 않기 때문에, 주사 바늘의 침습성은 매우 높게 된다.
미량의 혈액을 채취하기 위해서 적당한 신체 부위에 천자되는 란셋도 마찬가지로, 물리적 스트레스를 최대한 작게 하여, 즉 될 수 있는 한 적은 수의 세포 조직을 절개하고, 절개된 세포 이외의 세포 조직을 헤치고 들어가도록 하여, 세포 조직 내에 침입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손상을 주는 세포의 수를 될 수 있는 한 억제하여, 저침습성의 의료용 바늘(주사 바늘 및 란셋)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나의 태양은, 환자에게 주는 아픔(부담)이 최대한 작은 저침습성 의료용 바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제 1 태양은,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고, 이것에 수직한 평면으로 절단된 수직 단면의 단면적이 선단부로부터의 거리에 의존하여 규칙적으로 증감하는 의료용 바늘에 관한 것으로, 수직 단면의 단면적이 극대가 되는 복수의 극대점, 및 수직 단면의 단면적이 극소가 되는 복수의 극소점을 갖고, 선단부에 가장 가까운 극대점에서의 수직 단면의 단면적은, 다른 각 극대점에서의 수직 단면의 단면적과 같거나 그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의료용 바늘에 의하면,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통로가 내부 형성되고, 이 통로는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포함한다.
또한, 이 의료용 바늘은 후단부에 연결된 보유부를 갖고, 보유부는 통로와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챔버를 갖는다.
택일적으로는,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홈부를 갖는다.
마찬가지로, 이 의료용 바늘은 후단부에 연결된 보유부를 갖고, 보유부는 홈부와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챔버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이 의료용 바늘을 소정 방향에 평행한 평면에 투영하여 보았 을 때, 수직 단면의 단면적은 인접하는 극대점과 극소점의 사이에서 직선적 또는 곡선적으로 증감한다.
수직 단면은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 형상을 갖는다.
또한, 각 극대점에서의 수직 단면의 단면적은 선단부로부터 후단부로 향하여 서서히 작아진다.
또한, 각 극소점에서의 수직 단면의 단면적은 같다.
각 극소점에서의 수직 단면의 단면적은 선단부로부터 후단부로 향하여 서서히 커진다.
또한, 후단부에 가장 가까운 극소점에서의 수직 단면의 단면적은 다른 각 극소점에서의 수직 단면의 단면적보다 작다.
바람직하게는, 인접하는 한 쌍의 극대점 사이의 거리는 실질적으로 같다.
또는, 인접하는 한 쌍의 극대점 사이의 거리는 선단부로부터 후단부로 향하여 서서히 짧아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 의료용 바늘은 추가로 회절 격자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선단부는 10μm 이하의 곡률반경을 갖는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 의료용 바늘은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을 갖는다.
이 의료용 바늘은 생체 적합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생분해성 재료를 이용하여 일체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에 의하면, 생분해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는 의료용 바늘이 제공되고, 이 의료용 바늘은, 소정 방향에 수직한 평면으로 절단되었을 때, 선단부로부터의 거리에 의존하여 변화되는 단면적을 갖는 삼각형 형상의 단면을 갖고, 소정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일체로 성형되는, 단면적이 단조 증가하는 제 1 확대 영역, 단면적이 단조 감소하는 축소 영역, 및 단면적이 단조 증가하는 제 2 확대 영역을 갖고, 제 1 및 제 2 확대 영역에서 최대의 단면적을 부여하는 최대 단면이 실질적으로 같은 형상 및 단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의료용 바늘은, 소정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일체로 성형되는, 단면적이 단조 감소하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축소 영역, 및 단면적이 단조 증가하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확대 영역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축소 영역에서 최소의 단면적을 부여하는 최소 단면이, 최대 단면과 실질적인 상사 형상을 갖고, 최대 단면의 단면적의 약 1/4 이상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소 단면의 단면적이 최대 단면의 단면적의 약 4/9 이상이다. 또한, 제 1 및 제 2 확대 영역에서의 최대 단면 사이의 거리가 약 1μm 이상이다.
또한, 소정 방향에 수직한 임의의 평면으로 절단된 삼각형 형상의 단면이 실질적으로 일정한 단면적을 부여하도록 하는 일정 영역이, 축소 영역과 제 2 확대 영역 사이에서 일체로 성형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및 제 2 확대 영역의 단면적은 각각 제 1 및 제 2 증가 비율로 직선적으로 증가하고, 제 1 증가 비율은 제 2 증가 비율의 약 1/16배 이상 1배 이하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 1 증가 비율은 제 2 증가 비율의 약 1/9이다.
또한, 이 의료용 바늘은 생분해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의료용 바늘의 후단부에 연결된 보유부를 추가로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의료용 바늘 내부에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통로를 갖는다. 또한, 홀더부는 통로와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챔버를 갖는다. 그리고 통로는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통로는 소정의 거리만큼 이간(離間)하여 배치된 적어도 2개의 개구부를 갖는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의료용 바늘은 복수의 통로를 갖고, 홀더부는 각 통로와 개별적으로 연통하는 복수의 챔버를 갖는다. 택일적으로는, 의료용 바늘은 그 내부에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홈부를 갖는다.
또한, 이 의료용 바늘은, 소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약제를 수용하는 복수의 종공(縱孔), 및 종공을 밀봉하는 생분해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밀봉부를 추가로 갖고, 밀봉부의 소정 방향에 수직한 방향에서의 두께가 각 종공의 배치 위치에 따라 다르다.
본 발명의 제 3 태양에 의하면, 생분해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는 의료용 바늘이 제공되고, 이 의료용 바늘은, 소정 방향에 수직한 평면으로 절단되었을 때, 선단부로부터의 거리에 의존하여 변화되는 저변을 갖는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갖고, 소정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일체로 성형되는, 저변이 단조 증가하는 제 1 확대 영역, 저변이 단조 감소하는 축소 영역, 및 저변이 단조 증 가하는 제 2 확대 영역을 갖고, 제 1 및 제 2 확대 영역에서 최대의 저변을 부여하는 최대 단면이 실질적으로 같은 형상 및 저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의료용 바늘은, 소정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일체로 성형되는, 저변이 단조 감소하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축소 영역, 및 저변이 단조 증가하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확대 영역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축소 영역에서 최소의 저변을 부여하는 최소 단면이 최대 단면의 저변의 약 1/2 이상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소 단면의 저변이 최대 단면의 저변의 약 2/3 이상이다. 또한, 제 1 및 제 2 확대 영역에서의 최대 단면 사이의 거리가 약 1μm 이상이다. 또한, 축소 영역과 제 2 확대 영역 사이에, 이들을 연속적으로 접속하는 연속 곡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정 방향에 수직한 임의의 평면으로 절단된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이 실질적으로 일정한 길이의 저변을 주도록 하는 일정 영역이, 축소 영역과 제 2 확대 영역 사이에서 일체로 성형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및 제 2 확대 영역의 저변은 각각 제 1 및 제 2 증가 비율로 직선적으로 증가하고, 제 1 증가 비율은 제 2 증가 비율의 약 1/4배 이상 1배 이하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 1 증가 비율은 제 2 증가 비율의 약 1/3배이다.
이 의료용 바늘은 생분해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의료용 바늘의 후단부에 연결된 보유부를 추가로 갖는다.
본 발명의 제 4 태양에 의하면,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고, 이것에 수직한 평면으로 절단된 수직 단면의 단면적이 선단부로부터의 거리에 의존하여 규칙적으로 증감하는 의료용 바늘을 포함하는 의료용 디바이스가 제공되고, 이 의료용 바늘은, 수직 단면의 단면적이 극대가 되는 복수의 극대점, 및 수직 단면의 단면적이 극소가 되는 복수의 극소점을 갖고, 선단부에 가장 가까운 극대점에서의 수직 단면의 단면적은 다른 각 극대점에서의 수직 단면의 단면적과 같거나 그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의 의료용 바늘에 의하면, 환자에게 주는 아픔을 될 수 있는 한 적게 하고, 환자의 천자 부위의 손상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 1의 란셋의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각각 도 1에 나타내는 란셋의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 1의 별도의 란셋의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각각 도 3에 나타내는 란셋의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각각 실시형태 1의 별도의 란셋의 사시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 2의 란셋의 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각각 도 5에 나타내는 란셋의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 2의 별도의 란셋의 사시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각각 도 8에 나타내는 란셋의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 3의 란셋의 사시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c)은 각각 변형예 1의 란셋의 측면도, 평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각각 변형예 1의 별도의 란셋의 측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13(a) 및 도 13(b)은 각각 변형예 1의 다른 별도의 란셋의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각각 변형예 2의 란셋의 측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변형예 2의 별도의 란셋의 측면도이다.
도 16(a) 및 도 16(b)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 4의 란셋의 사시도이다.
도 17(a) 내지 도 17(c)은 도 16(a)에 나타내는 란셋의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8(a) 내지 도 18(c)은 도 16(b)에 나타내는 란셋의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9(a) 내지 도 19(d)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 5의 란셋의 사시도,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20(a) 및 도 20(b)은 실시형태 5의 택일적인 란셋의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21(a) 내지 도 21(c)은 실시형태 5의 변형예 3에 따른 란셋의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22(a) 내지 도 22(c)는 실시형태 5의 변형예 4에 따른 란셋의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23(a) 내지 도 23(c)은 실시형태 5의 변형예 5에 따른 란셋의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24(a) 내지 도 24(c)는 실시형태 5의 변형예 6에 따른 란셋의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 6에 따른 란셋의 평면도이다.
도 26은 실시형태 6의 변형예 7에 따른 란셋의 평면도이다.
도 27은 실시형태 6의 변형예 8에 따른 란셋의 평면도이다.
도 28(a) 내지 도 28(c)은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예 9에 따른 란셋의 저면도, 측방 단면도, 및 회절 격자의 일부를 확대하는 단면도이다.
도 29(a) 및 도 29(b)는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예 10에 따른 란셋의 평면도이다.
도 30(a) 내지 도 30(c)은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예 11에 따른 란셋의 정면 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31(a) 내지 도 31(c)은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예 12에 따른 란셋의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6, 101~112 란셋, 10 제 1 확대 영역(세포 절개 영역),
11 선단부, 12 제 1 대각선, 13 제 2 대각선, 14 저면,
15a, 15b, 16 변(능선), 17a, 17b 측면,
18 후단부, 20 축소 영역(마찰력 완화 영역), 21 측면,
22a, 22b, 22c 극대점, 23a, 23b, 23c, 23d 극소점,
24 회절 격자, 25 정점, 26 사면, 27 혈액, 28 입사빔, 29 반사빔,
30 제 2 확대 영역(세포 절개 영역), 37a, 37b 측면, 40 보유부,
51, 52, 53 Y-Z 평면, 60a, 60b 일정 영역, 71, 75, 76 통로,
72 개구부, 73 저면, 74 홈부, 77, 78 개구부,
81, 82, 83 챔버, 91 종공, 92 밀봉부.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바늘의 실시형태를 설명하지만, 발명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의료용 바늘 중에서도 중실(中實) 타입의 란셋의 실시형태를 주로 설명한다. 따라서, 구체적으로는 설명하지 않지만, 본 발명은 중공(中空) 타입의 주사 바늘에도 동등하게 적용되는 것으로 이해되고자 한다.
한편, 각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서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예컨대, 「X 방향」, 「Y 방향」, 「Z 방향」 등)를 적절히 이용하지만, 이것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이들 용어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정신 및 범주에 포함되는 모든 변형예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각 실시형태의 설명에 따라서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아니 된다.
(실시형태 1)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란셋을 이하에 설명한다. 란셋(1)을 이용하여, 예컨대, 당뇨병 환자의 혈당치 측정을 위해, 환자의 적당한 신체 부위(예컨대, 손끝)에 천자하여, 미량 혈액을 채취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란셋(1)은 X 방향으로 연장되고, 임의의 Y-Z 평면으로 절단했을 때 삼각형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그 삼각형 단면의 저변, 높이, 및 단면적은, 선단부(11)로부터의 거리 또는 X 방향에서의 위치에 의존하여 변화된다. 즉, 란셋(1)은, 이 단면적이 단조 증가하는 제 1 확대 영역(세포 절개 영역)(10), 단면적이 단조 감소하는 축소 영역(마찰력 완화 영역)(20), 및 추가로 다시 단면적이 단조 증가하는 제 2 확대 영역(세포 절개 영역)(30)을 갖는다. 또한, 보유부(40)가 제 2 확대 영역(30)에 연결되어 있다.
환언하면, 본 발명의 란셋(1)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 방향(X 방향)으로 연장되고, 이것에 수직한 평면(Y-Z 평면)으로 절단된 단면(수직 단면)의 단면적이 선단부(11)로부터의 거리에 의존하여 규칙적으로 증감한다. 또한, 란셋(1)은, 수직 단면의 단면적이 극대가 되는 복수의 극대점(Y-Z 평면(51, 53)), 및 수직 단면의 단면적이 극소가 되는 극소점(Y-Z 평면(52))을 갖고, 선단부에 가장 가까운 극대점(51)에서의 수직 단면의 단면적이, 다른 각 극대점(53)에서의 수직 단면의 단면적과 같게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본 발명의 란셋(1)은, 일반적으로는, 고분자 중합체, 생체 고분자, 단백질, 및 생체 적합성 무기 재료를 포함하는 임의의 생체 적합성 재료에 의해 구성된다.
고분자 중합체로서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글리콜, 파릴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실리콘, 폴리아이소프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불소 수지,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석시네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석시네이트, 폴리부틸렌 석시네이트 카보네이트,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폴리포름알데하이드, 폴리안하이드라이드, 폴리아미드(나일론6, 나일론66), 폴리부타다이엔,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비닐 알콜,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에스터 아미드,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설폰, 폴리에테르 설폰, ABS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폴리에테르 우레탄, 폴리에스터 우레탄, 폴리에테르 우레탄 요소(尿素)),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스타이렌, 폴리아세탈, 폴리부타다이엔, 에틸렌 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에틸렌 비닐 알콜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하이드로부틸레이트, 폴리오쏘에스터, 폴리락트산, 폴리글리콜,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락트산 공중합체, 폴리글리콜산?글리콜 공중합체, 폴리카프로노락톤 공중합체, 폴리다이옥산온, 퍼플루오로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사이아노아크릴레이트 중합체, 폴리부틸 사이아노아크릴레이트, 폴리알릴 에테르 케톤, 에폭시 수지, 폴리에스터 수지, 폴리이미드, 페놀 수지)가 포함된다.
또한, 생체 고분자로서는, 예컨대, 셀룰로스, 전분, 키틴?키토산, 한천, 카라기난, 알긴산, 아가로스, 불란, 만난, 커들란, 크산탄 검, 젤란 검, 펙틴, 자일로글루칸, 구아 검, 리그닌, 올리고당, 히아루론산, 시조피란, 렌티난 등이 포함되고, 단백질로서는 콜라겐, 젤라틴, 케라틴, 피블로인, 아교, 셀리신, 식물성 단백질, 우유 단백질, 난(卵) 단백질, 합성 단백질, 헤파린, 핵산이 포함되고, 당, 엿, 포도당, 맥아당, 자당 및 이들의 폴리머 얼로이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생체 적합성 무기 재료로서는, 예컨대, 세라믹, 나노 복합화 세라믹, Al2O3/ZrO2 복합 세라믹스, Si3N4계 나노 복합 재료, 수산화 아파타이트, 탄산칼슘, 카본, 흑연(나노그라파이버), 카본 나노튜브(CNT), 풀러렌 복합 재료,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중합체 복합 재료, 코발트 크롬 합금, 스테인레스 등이 포함된다.
단,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란셋(1)은 예컨대, 폴리락트산, 폴리글리콜산, 폴리카프로락톤, 콜라겐, 전분, 히아루론산, 알긴산, 키틴?키토산, 셀룰로스, 젤라틴 등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중합체, 및 이들의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생분해성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사용이 끝난 주사 바늘 및 란셋은, 여러 가지 감염증을 방지하기 위해 재이용하지 않고, 사용후 즉시 파기되며, 더구나 가연물 쓰레기로서가 아니라, 산업 폐기물로서 매립하여 처리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폴리락트산 등의 생분해성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된 란셋(1)이 매립 처리되면, 바람직하게도, 흙 중의 미생물에 의해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된다. 즉, 생분해성 재료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란셋(1)을 형성하면, 다른 생체 적합성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한 경우보다도 환경에 우수할 뿐만 아니라, 란셋의 일부가 결손하여 체내에 잔류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체내에서 용이하게 생분해되기 때문에, 매우 안전한 란셋을 실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a) 내지 (c)를 참조하면서, 실시형태 1의 란셋(1)을 구성하는 상술의 각 영역(10, 20, 30)의 외형 형상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 1 및 제 2 확대 영역(10, 30) 및 축소 영역(20)은, 소정의 사각추(四角錐)의 부분적인 외형 형상을 갖는다.
이 사각추는, 도 2(a)의 정면도 및 도 2(b)의 측면도에 있어서, 소정의 높이(H)를 갖고, 도 2(c)의 평면도에 있어서 소정의 길이를 1변으로 하여, 제 1 및 제 2 대각선(12, 13)을 갖는 마름모꼴 형상의 저면(14)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사각추의 저면(14)은 정방형이고(사각추는 정사각추이며), 제 1 및 제 2 대각선의 길이는 서로 같다(L1=L2). 더욱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정사각추의 높이(H)는, 제 1 및 제 2 대각선(12, 13)의 길이의 반이고(H= L1/2= L2/2), 이 때, 정사각추를 구성하는 측면은 정삼각형이 된다.
도 2(b)의 측면도에 있어서, 란셋(1)의 제 1 확대 영역(1O)은 제 1 대각선을 지나는 Y-Z 평면(51)으로 사각추를 절단하여 얻어지는 외형 형상을 갖고, 축소 영역(20)은 제 1 대각선을 지나는 Y-Z 평면(51), 및 이것과 평행한 평면(52)에 의해 사각추를 절단하여 얻어지는 외형 형상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제 2 확대 영역(30)은, 제 1 대각선을 지나는 Y-Z 평면(53), 및 이것과 평행한 평면(52)에 의해 별도의 사각추를 절단하여 얻어지는 외형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란셋(1)은, 제 1 확대 영역(10), 축소 영역(20) 및 제 2 확대 영역(30)이, 각 사각추의 제 2 대각선이 동일 직선 상에, 또한 각 사각추의 저면이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도록 일체로 성형된다.
이렇게 하여 구성된 란셋(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임의의 Y-Z 평면으로 절단했을 때, 삼각형 형상의 단면을 갖고, 그 저변, 높이 및 단면적은, 선단부(11)로부터의 거리 또는 X 방향에서의 위치에 의존하여 직선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한다. 한편, 본 발명의 확대 영역(10, 30) 및 축소 영역(20)에 관하여, 임의의 Y-Z 평면으로 절단된 단면의 저변 및 높이는, 선단부로부터의 거리를 파라미터로 하여, 직선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되지만, 곡선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할 수도 있고, 예컨대 2차 함수 등의 단조 증가 또는 단조 감소하는 임의의 함수로서 정의할 수 있다. 즉, 각 영역(10, 20, 30)에 있어서의 삼각형 단면의 저변, 높이, 및 단면적은, X 방향에서의 위치를 파라미터로 하는 선형 또는 비선형 함수로 주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란셋(1)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확대 영역(10, 30)에 있어서 최대의 단면적을 부여하는 최대 단면(Y-Z 평면(51 및 53)으로 절단한 단면)은, 서로 실질적으로 합동이고, 실질적으로 같은 삼각형 형상 및 크기를 가지며, 축소 영역(20)에서 최소의 단면적을 부여하는 최소 단면(Y-Z 평면(52)으로 절단한 단면)과 닮은 형상을 갖는다.
또한, 실시형태 1의 란셋(1)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찬가지로 X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일체로 성형되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축소 영역(20a, 20b) 및 확대 영역(30a, 30b)을 갖고 있더라도 좋다. 각 확대 영역(10, 30)에서 최대의 단면적을 부여하는 최대 단면은, 마찬가지로, 실질적으로 같은 형상 및 크기를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란셋(1)은, 체내의 세포 조직(피부 또는 근육 내)에 침입할 때,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확대 영역(세포 절개 영역)(10)의 선단부(11)를 지점으로 하여, 사각추를 구성하는 3개의 변(능선)(15a, 15b, 16)이 주변 세포를 절개하여, 제 1 확대 영역(10)의 저면(14) 및 한 쌍의 측면(17a, 17b)이 절개되지 않는 세포를 눌러 넓어지게 하여, 세포 조직 내에 침입한다. 이 때, 저면(14) 및 한 쌍의 측면(17a, 17b)과 주변 세포와의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은 매우 크고, 란셋(1)의 체내 침입에 따라, 주변 세포는 마찰력에 의해 심부(深部)로 향하여 강하게 끌려 들어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란셋(1)은, 제 1 확대 영역(1O)이 체내에 침입한 후, 추가로 체내에 진행하면, 축소 영역(마찰력 완화 영역)(20)에서의 단면적이 작게 되기 때문에, 축소 영역(20)과 주변 조직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은 실질적으로 저감되어, 주변 세포는, 자기의 탄성에 의해 원래의 정상 위치로 복귀한다. 따라서, 제 1 확대 영역(10)으로 잡아 당겨졌던 주변 세포가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 이것에 가해지는 물리적인 스트레스가 해소된다. 이와 같이, 란셋(1)이 사각추의 제 2 대각선의 길이의 반(L2/2)만 진행하면, 심부로 향하여 강하게 끌려 들어간 주변 세포는, 마찰력으로부터 해방되어, 잡아뜯기지 않고 정상 위치로 되돌아가기 때문에, 환자에게 주는 아픔을 실질적으로 저감하고, 넓은 범위에 걸쳐 주변 세포에 회복하기 어려운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란셋(1)의 축소 영역(20)이 체내에 침입하면, 제 1 확대 영역(10)과 마찬가지로, 제 2 확대 영역(세포 절개 영역)(30)을 구성하는 3개의 변(능선)(35a, 35b, 36)이 주변 세포를 절개하고, 저면 및 한 쌍의 측면(37a, 37b)이 절개되지 않은 세포를 넓히도록 하여, 세포 조직 내에 침입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및 2 확대 영역(10, 30)에 있어서 최대의 단면적을 부여하는 최대 단면은, 실질적으로 합동이고, 실질적으로 같은 형상 및 치수를 갖기 때문에, 란셋(1)이 체내 침입하는 데 있어서 필요 이상으로 주변 세포를 절개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란셋(1)이 체내에 침입하는 프로세스는, 각 확대 영역(10, 30)에서 주변 세포를 절개함과 함께, 그 밖의 세포를 밀어 헤쳐 침입하는 단계, 및 각 축소 영역(20)과 주변 세포와의 마찰력을 완화하여 주변 세포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단계를 반복하는 것에 의해 실현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광범위한 영역에서의 주변 세포를 원래의 위치에 복귀시키는 것에 의해, 환자에게 주는 아픔을 실질적으로 완화하여, 주변 세포에 손상을 될 수 있는 한 주지 않도록 하는 저침습성의 란셋(1)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주변 세포의 크기는, 란셋(1)을 천자하는 신체 부위에 의존하지만, 보통, 약 10μm이며, 모세 혈관 등의 미소 세포의 경우, 약 5μm이다. 이것에 대하여, 사각추의 제 1 및 제 2 대각선(12, 13)의 길이(L1, L2)는, 바람직하게는, 약 85 내지 약 180 μm의 범위에 있다. 또한, 사각추의 높이(H)는, 바람직하게는, 약 42.5 내지 약 90μm의 범위에 있다. 즉, 제 1 확대 영역(10)에서 최대의 단면적을 부여하는 최대 단면은, 약 85 내지 약 180μm의 저변과, 약 42.5 내지 약 90μm의 높이를 갖는 삼각형 형상을 갖는다.
이 때, 축소 영역(20)에서 최소의 단면적을 부여하는 최소 단면의 저변 및 높이(Y 방향 및 Z 방향의 치수)가, 최대 단면의 저변 및 높이의 반 이하가 되면, 축소 영역(20)과 제 2 확대 영역(30) 사이에서의 강도가 두드러지게 저감하여, 매우 꺾이기 쉽게 된다. 즉, 최소 단면의 저변 및 높이가, 각각 약 42.5 내지 약 90μm, 약 21.2 내지 약 45μm이면, 란셋(1)은 꺾이기 쉽게 된다. 따라서, 실시형태 1의 란셋(1)에 의하면, 축소 영역(20)에 있어서의 최소 단면의 저변 및 높이가, 최대 단면의 저변 및 높이의 약 1/2 이상이 되도록, 즉 최소 단면의 단면적이, 각 확대 영역(30)에 있어서의 최대 단면의 단면적의 약 1/4(1/2의 제곱) 이상이 되도록 설계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소 단면의 저변 및 높이가, 최대 단면의 저변 및 높이의 약 2/3 이상이 되도록, 즉 최소 단면의 단면적이, 각 확대 영역(10, 30)에 있어서의 최대 단면의 단면적의 약 4/9(2/3의 제곱) 이상이 되도록 설계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꺾이기 어렵고, 확실히 체내에 찔러 넣는 것이 가능한 신뢰성이 높은 란셋(1)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축소 영역(2O)은, 제 1 확대 영역(10)과 세포와의 사이의 마찰력을 저감 또는 완화하는 것으로, 적어도 세포 정도의 크기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확대 영역(10, 30)에 있어서의 최대 단면 사이의 거리(D), 즉 Y-Z 평면(51 및 53) 사이의 거리는, 적어도 1μm, 바람직하게는 5μm가 되도록 설계된다.
또한,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란셋(1)에 의하면, 축소 영역(20)의 측면(21) 및 제 2 확대 영역(30)의 측면(37)은 실질적으로 평면이고, 양자가 서로 교차하는 것에 의해 예각부(불연속부)가 형성된다. 이것에 대하여, 란셋(1)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21) 및 측면(37)을 연속적으로 접속하도록 하는 연속 곡면(58)을 갖고 있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측면(21, 37) 사이의 불연속부에서 집중하는 응력에 의해 란셋(1)을 꺾기가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4에 있어서는, 제 2 확대 영역(30)에 연결된 보유부(40)는, 삼각기둥 형상을 갖도록 도시했지만, 사각기둥이더라도 좋다.
(실시형태 2)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서, 실시형태 2의 란셋(2)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형태 2의 란셋(2)은, 축소 영역과 제 2 확대 영역 사이에 일체 성형된 일정 영역(보강 영역)을 갖는 점을 제외하면 실시형태 1의 란셋(1)과 같은 구성을 갖기 때문에, 중복하는 점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형태 2의 란셋(2)의 일정 영역(60)은,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소 영역(20)에서의 최소 단면과 실질적으로 같은 Y 및 Z 방향 치수(ly, lz)를 갖는 삼각형을 저면(61)으로 하고, X 방향 치수(lx)를 높이로 하는 삼각기둥의 외형 형상을 갖고, 축소 영역(20)과 제 2 확대 영역(30) 사이에서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서 설치된다. 따라서, 일정 영역(60)은, 이것을 임의의 Y-Z 평면으로 절단했을 때, 저변이 ly이고, 높이가 lz인 실질적으로 동일한 삼각형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실시형태 1의 축소 영역(20)에 있어서의 최소 단면에 대하여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실시형태 2에 있어서, 축소 영역(20)과 제 2 확대 영역(30) 사이의 강도를 충분히 보강하기 위해서는, 일정 영역(60)의 단면의 저변 및 높이(ly, lz)는, 바람직하게는, 확대 영역(10, 30)의 최대 단면의 저변 및 높이(L1, H)의 반 이상(ly≥L1/2, lz≥H/2), 더욱 바람직하게는 2/3 이상(ly≥2L1/3, lz≥2H/3)이 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실시형태 2의 란셋(2)은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찬가지로 X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일체로 성형되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축소 영역(20a, 20b), 일정 영역(60a, 60b) 및 확대 영역(30a, 30b)을 갖고 있더라도 좋다.
(실시형태 3)
도 10을 참조하면서, 실시형태 3의 란셋(3)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형태 3의 란셋(3)은, 제 1 확대 영역(10)의 선단부(11)가, 실시형태 1의 란셋(1)의 선단부보다도 날카롭게 되도록 설계되는 점을 제외하면, 실시형태 1의 란셋(1)과 같은 구성을 갖기 때문에, 중복하는 점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a)에 있어서, 제 2 확대 영역(30)에 있어서의 Y-Z 평면으로 절단된 단면의 높이 및 저변의 길이는, 일점 쇄선(54)으로 나타내는 구배(증가 비율)로 직선적으로 커지는 한편, 제 1 확대 영역(10)에서의 단면의 높이 및 저변의 길이는, 실선(55)으로 나타내는 구배(증가 비율)로 직선적으로 커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실선(55)으로 나타내는 제 1 확대 영역(10)에 있어서의 단면의 높이 및 저변의 길이가 증가하는 비율(k)은, 한쪽의 점선(56)으로 나타내는 구배(k1)로부터 다른쪽 점선(57)으로 나타내는 구배의 범위로 변화(k2)한다(k2≤k≤k1). 제 1 확대 영역(10)의 한쪽 점선(56)의 구배(k2)는, 제 2 확대 영역(30)의 일점 쇄선(54)으로 나타내는 구배(k0)와 같으며, 다른 쪽 점선(57)으로 나타내는 구배는 일점 쇄선(54)으로 나타내는 구배의 약 1/4배(k0/4)이다. 바람직하게는, 제 1 확대 영역(10)에 있어서의 단면의 높이 및 저변의 길이의 증가 비율(k)은, 제 2 확대 영역(30)의 그것보다도 약 1/3배(k0/3)가 되도록 설계된다(k0/4≤k≤k0, 바람직하게는, k=k0/3).
따라서, 제 1 확대 영역(10)에서의 단면의 단면적의 증가 비율(K)은, 제 2 확대 영역(30)에서의 단면의 단면적의 증가 비율(K0)의 약 1/16배(1/4의 제곱) 이상, 약 1배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약 1/9(1/3의 제곱)이다(K0/16≤K≤K0, 바람직하게는, K= K0/3). 예컨대, 각각의 확대 및 축소 영역의 외형 형상을 구성하는 사각추의 제 1 및 제 2 대각선의 길이(L1, L2)가 같고, 그 높이가 대각선의 1/2인(H=L1/2=L2/2) 경우, 제 1 확대 영역(10)의 X 방향의 길이는, L1/2로부터 2L1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3L1/2의 범위이며, 도 10(a)에 나타내는 선단부(11)에서의 능선각(θ)은, 약 14° 내지 45°의 범위에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18.3°가 된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 3의 란셋(3)의 제 1 확대 영역(10)에 있어서의 단면의 높이 및 저변의 길이는, 제 2 확대 영역(30)보다도 완만하게 증가하도록 설계되기 때문에, 제 1 확대 영역(10)의 선단부(11)가 실시형태 1보다도 날카롭게 된다. 따라서, 실시형태 3의 란셋(3)은, 세포 조직 내에 의해 용이하게 침입할 수 있고, 환자에게 주는 아픔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형태 1 내지 3의 란셋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되듯이, 예컨대, 파넉사(Fanuc Ltd.)의 초정밀나노가공기(FANUC ROBONANO α-0iA, 등록상표)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변형예 1)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서, 실시형태 1 내지 3의 변형예 1의 란셋(101)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변형예 1의 란셋(101)은, 내부에 통로 및 챔버를 갖는 점을 제외하면, 실시형태 1 내지 3의 란셋과 같은 구성을 갖기 때문에, 중복하는 점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변형예 1의 란셋(1O1)은,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확대 영역(1O,3O) 및 각 축소 영역(20)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X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통로(71)를 갖는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보유부(40)는, 도 11(b) 및 도 1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임의의 Y-Z 평면으로 절단되었을 때, 사각기둥 형상의 단면을 갖고, 그 내부에는 통로(71)와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챔버(81)가 형성된다. 또한, 란셋(101)의 선단부(11) 부근에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72)가, 예컨대, 도 11(a)에서는 축소 영역(20)의 저면(73) 상에 설치된다. 개구부(72)는, 임의의 형상을 갖고 있더라도 좋지만, 적혈구나 백혈구 등이 통로(71) 내에 침입하지 않도록, 바람직하게는 10μm 이하의 직경을 갖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통로(71) 내에는 서로 이간한 한 쌍의 전극(도시하지 않음)을 배치하고, 챔버(81) 내에는 미소 화학 분석 시스템(μTAS: Micro Total Analysis System) 등의 바이오센서(도시하지 않음)를 배치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란셋(101)에 의하면, 체내에 천자되었을 때, 개구부(72)로부터 들어간 혈청 성분을 미소 화학 분석 시스템에 의해 즉시 또한 용이하게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변형예 1의 란셋(101)은 주사 바늘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즉, 챔버(81)에 도시하지 않은 마이크로펌프를 접속시켜, 란셋(101)이 체내에 천자된 후, 챔버(81) 내에 음압을 형성함으로써 혈액을 용이하게 채집할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통로(71)와 개구부(72) 대신에, 란셋(101)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X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74)를 저면(73)에 설치하더라도 좋다. 이렇게 하여 마찬가지로, 홈부(74)에 한 쌍의 전극을 배치하고, 챔버(81) 내에는 바이오센서를 배치함으로써 원하는 혈액 성분을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택일적으로는, 변형예 1의 란셋(101)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찬가지로 X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도 13에서는 2개의) 통로(75, 76)를 갖고, 보유부(40) 내에는 각 통로(75,76)와 개별적으로 연통하는 복수의 챔버(82, 83)가 형성된다. 또한, 선단부(11) 부근에서, 각 통로(75,76)와 연통하는 복수의 개구부(77a~77c, 78a~78c)가, 예컨대, 도 13에서는 제 1 확대 영역(10), 축소 영역(20), 및 제 2 확대 영역(30)의 측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각 통로(75, 76)에 다른 전극대를 배치하고, 각 챔버(82, 83)에 개별의 바이오센서를 설치하여, 별종의 혈액 성분에 대하여 분석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약제를 각각의 챔버(82, 83)에 밀봉하여, 복수의 개구부(77, 78)를 통해서 약제를 체내에 서방(徐放)할 수 있다. 필요하면, 각 개구부(77, 78)를 같은 생분해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시트(도시하지 않음)로 밀봉하고, 체내에 천자하여 소정 시간 경과한 후에, 서방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각 개구부(77, 78)를 밀봉하는 시트의 두께를 통로(75,76)에 의해 변경하여, 각 챔버(82, 83) 내에 밀봉된 약제가 서방하는 타이밍을 제어할 수도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인접하는 개구부(77, 78)는 소정의 거리만큼 이간하여 배치된다. 예컨대, 한 쌍의 전극을 다른 개구부(77, 78)로부터 노출시키면, 전극 사이의 거리가 정확하게 결정되기 때문에, 그 전위차로부터 전극 사이에 개재하는 용액을 보다 엄밀히 분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광 섬유를 다른 개구부(77, 78)로부터 노출시켜, 이들로부터 출력되는 광선이 교차하는 영역에서의 용액을 기지의 거리로부터 정확히 분석할 수 있다.
(변형예 2)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서, 실시형태 1 내지 3의 변형예 2의 란셋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이하에 설명한다. 변형예 2의 란셋은, 약제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종공, 및 종공을 밀봉하는 밀봉부를 추가로 갖는 점을 제외하면, 실시형태 1의 란셋(1)과 같은 구성을 갖기 때문에, 중복하는 점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변형예 2의 란셋(102)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제를 수용하기 위한 Z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종공(91a~91d)과, 이것을 밀봉하기 위한 생분해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밀봉부(92)를 추가로 갖는다. 이 종공(91a~91d)에 약제를 포함하는 미소립체(微小粒體) 또는 유체(도시하지 않음)를 충전한 후, 종공(91a~91d)에서 일탈하지 않도록 이것을 밀봉부(92)로 밀봉한다.
이렇게 하여 형성된 란셋(102)을 체내에 천자하여 유치(留置)해 두면, 특히 밀봉부(92)를 구성하는 생분해성 재료가 서서히 분해되어, 종공(91a~91d)에 수용된 약제를 포함하는 미소립체 또는 유체를 서방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밀봉부(92)는, 그 Z 방향에서의 두께가 종공(91a~91d)의 배치 위치에 있어서 다르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밀봉부(92)는, 도 1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진 두께를 갖도록, 또는 도 1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차(段差)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하여, 각 종공(91a~91d)에 수용된 약제를 서방하는 시기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변형예 1 및 2에 있어서, 란셋의 통로(71), 챔버(81), 및 종공(91a~91d)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되듯이, 예컨대 엑시머 레이저 등의 광출력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는 레이저 장치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실시형태 4)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서, 실시형태 4의 란셋(4)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이하에 설명한다. 실시형태 1의 란셋(1)에 따르면, Y-Z 평면에 평행한 임의의 절단면에서 절단했을 때의 단면이 삼각형 형상이었던데 대하여, 실시형태 4의 란셋(4)의 절단면은 실질적으로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점을 제외하면, 실시형태 1의 란셋(1)과 같은 구성을 갖기 때문에, 중복하는 점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형태 1의 도 3 및 도 10과 실시형태 4의 도 16을 비교하면 용이하게 이해되듯이, 실시형태 4의 란셋(4)은, Y-Z 평면에 평행한 임의의 절단면에서 절단했을 때, 삼각형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또한, 사다리꼴 단면의 저변(윗바닥 및 밑바닥)은, 선단부(11)로부터의 거리 또는 X 방향에서의 위치에 의존하여 변화되는 한편, 그 높이는 일정(H)하다. 즉, 실시형태 4의 란셋(4)은, Y-Z 평면에 평행한 절단면에서 절단된 사다리꼴 단면의 저변이 단조 증 가하는 제 1 및 제 2 확대 영역(세포 절개 영역)(10, 30), 및 사다리꼴 단면의 저변이 단조 감소하는 하나 이상의 축소 영역(마찰력 완화 영역)(20)을 갖는다. 또한, 보유부(40)가 후속의 확대 영역(20)에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란셋(4)은, 상술의 생체 적합성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생분해성 재료를 이용하여 일체 성형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폐기 처분할 수 있고, 그 일부를 체내에 계류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 4의 란셋(4)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확대 영역(10, 30)에 있어서 최대의 단면적을 부여하는 최대 단면의 저변은, 실질적으로 같은 길이를 갖는다. 또한, 사다리꼴 단면의 높이(H)는, 세포 조직을 절개한다는 점에서는 될 수 있는 한 낮은(란셋(4)이 얇다) 쪽이 바람직하지만, 충분한 강도를 갖게 하기 위해서는 될 수 있는 한 높은(란셋(4)이 두껍다) 쪽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높이(H)는, 최대 단면의 저변, 즉 제 2 대각선(L2)의 약 1/8배 이상의 길이를 갖는다.
또한, 실시형태 4의 란셋(4)에 의하면, 도 17 및 도 18에 있어서, 축소 영역(20)에서 최소의 단면적을 부여하는 최소 단면의 저변은, 바람직하게는, 최대 단면의 저변의 약 1/2배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3배 이상이다.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실시형태 4의 란셋(4)에 의하면, 각 확대 영역(10, 30)에 있어서의 최대 단면 사이의 거리(D)가 적어도 약 1μm 이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추가적인 축소 영역 및 확대 영역을 제 2 확대 영역(20)에 이어서 일체로 성형할 수도 있다. 또한 상세 도시하지 않지만, 실시형태 2와 마찬가지로 임의의 Y-Z 평면으로 절단된 단면이 실질적으로 일정한 단면적을 부여하도록 하는 일정 영역(60)을, 축소 영역과 확대 영역 사이에 일체로 성형할 수도 있다.
덧붙여, 실시형태 3과 마찬가지로 실시형태 4의 란셋(4)의 제 1 확대 영역(10)에 있어서, 저변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확대 영역(30)보다도 완만하게 증가하도록 설계된다. 즉, 제 1 확대 영역(10)의 저변의 길이가 증가하는 비율은, 제 2 확대 영역(30)의 저변의 길이가 증가하는 비율의 약 1/4배 내지 약 1배의 범위로, 바람직하게는 약 1/3배가 되도록 설계된다. 이렇게 하여, 실시형태 4의 란셋(4)은, 세포 조직 내에 의해 용이하게 침입할 수 있고, 환자에게 주는 아픔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실시형태 5)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서, 실시형태 5의 란셋(5)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이하에 설명한다. 도 19(a)는, 도 3(란셋(1)) 및 도 10(a)(란셋(3))과 같은 사시도이고, 도 19(b)~(d)는, 도 4(a)~(c)(란셋(1))와 각각 같은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실시형태 1의 란셋(1)에 의하면, Y-Z 평면에 평행한 임의의 평면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이 삼각형 형상이었던데 대하여, 실시형태 5의 란셋(5)의 단면은 반원 형상을 갖는 점을 제외하면, 실시형태 1의 란셋(1)과 같은 구성을 갖기 때문에, 중복하는 점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즉, 본 발명의 란셋(5)은 소정 방향(X 방향)으로 연장되고, 이것에 수직한 평면으로 절단된 단면(Y-Z 평면으로 절단된 단면을 본원에서는「수직 단면」이라 한다)의 단면적이 선단부(11)로부터의 거리에 의존하여 규칙적으로 증감한다. 또한, 란셋(5)은, 수직 단면의 단면적이 극대가 되는 복수의 극대점(22a, 22b, 22c), 및 수직 단면의 단면적이 극소가 되는 복수의 극소점(23a, 23b, 23c)을 갖는다. 한편, 도 19에 나타내는 란셋(5)은, 각각 3개씩의 극대점 및 극소점을 갖도록 도시했지만, 임의의 복수의 극대점 및 극소점을 갖고 있더라도 좋다.
본 발명의 란셋(5)에 의하면, 선단부(11)에 가장 가까운 극대점(22a)에서의 수직 단면의 단면적이, 다른 각 극대점(22b, 22c)에서의 수직 단면의 단면적과 같고, 선단부(11)에 가장 가까운 극소점(23a)에서의 수직 단면의 단면적이, 다른 각 극소점(23b, 23c)에서의 수직 단면의 단면적과 같게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도 19에 도시한 란셋(5)에 있어서, 인접하는 한 쌍의 극대점 사이의 거리(D), 예컨대 극대점(22a)과 (22b) 사이의 거리는, 극대점(22b)과 (22c) 사이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같다.
또한, 본 발명의 란셋(5)을, 도 19(c)에 나타내는 X-Z 평면, 및 도 19(d)에 나타내는 X-Y 평면에 투영하여 보았을 때, 수직 단면의 단면적은, 인접하는 극대점과 극소점의 사이, 예컨대 극대점(22a)과 극소점(23a)의 사이, 극소점(23a)과 극대점(22b)의 사이에서 직선적으로 증감한다. 단,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직 단면의 단면적은, 인접하는 극대점과 극소점의 사이에서 곡선적으로 변화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여 구성된 란셋(5)은, 체내의 세포 조직(피부 또는 근육 내)에 천자될 때,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확대 영역(세포 절개 영역)(10)의 선단부(11)를 지점으로 하여, 주변에 있는 세포 조직을 넓히도록 하여, 세포 조직 내에 침입한다. 이 때, 제 1 확대 영역(10)과 주변 세포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은 매우 크고, 란셋(1)의 체내 침입에 따라, 주변 세포는 마찰력에 의해 심부로 향하여 강하게 끌려 들어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란셋(5)은, 제 1 확대 영역(10)이 체내에 침입한 후, 추가로 체내에 진행하면, 축소 영역(마찰력 완화 영역)(20)에서의 단면적이 작게 되기 때문에, 축소 영역(20)과 주변 조직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은 실질적으로 저감되어, 주변 세포는, 자기의 탄성에 의해 원래의 정상 위치에 복귀한다. 따라서, 제 1 확대 영역(10)으로 잡아 당겨졌던 주변 세포가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 이것에 가해지는 물리적인 스트레스가 해소된다.
마찬가지로, 란셋(5)의 제 2 확대 영역(30)이 체내에 침입할 때, 주변에 있는 세포 조직을 넓히도록 하여 세포 조직 내에 침입한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선단부(11)에 가장 가까운 극대점(22a)에서의 수직 단면의 단면적이, 다른 각 극대점(22b, 22c)에서의 수직 단면의 단면적과 같게 되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확대 영역(30)을 비롯한 확대 영역에서, 체내에 진입할 때에 필요 이상으로 주변 세포를 넓히는(주변 세포에 스트레스를 준다) 것을 회피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란셋(5)을, 도 20(a)에 나타내는 X-Z 평면, 및 도 20(b)에 나타내는 X-Y 평면에 투영하여 보았을 때, 축소 영역(20)의 사면이 X축과 교차하는 각도(α)는, 제 2 확대 영역(30)의 사면이 X축과 교차하는 각도(β)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란셋(5)이 제 1 확대 영역(10)을 넘어 체내에 침입했을 때, 축소 영역(20)에서의 단면적이 급격히 작게 되어, 양자간에 생기는 마찰력이 보다 빠르게 저감되어, 주변 세포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기 쉽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광범한 영역에서의 주변 세포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에 의해, 환자에게 주는 아픔을 실질적으로 완화하여, 주변 세포에 손상을 될 수 있는 한 주지 않도록 하는 저침습성의 란셋(5)을 제공할 수 있다.
(변형예 3 내지 6)
도 21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서, 실시형태 5의 변형예 3 내지 6의 란셋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이하에 설명한다. 본 발명의 란셋(5)은,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Y-Z 평면에 평행한 임의의 평면으로 절단했을 때의 수직 단면이 반원이다. 한편, 실시형태 5의 변형예 3 내지 6의 란셋(103, 104, 105 및 106)은, Y-Z 평면에 평행한 임의의 평면으로 절단했을 때의 수직 단면이 반원이 아니라, 도 21 내지 도 24에 각각 나타낸 바와 같이, 진원 형상, 타원 형상, 직사각형 형상, 및 육각형 형상을 갖는 점을 제외하면, 실시형태 5의 란셋(5)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변형예 3 내지 6의 란셋(103, 104, 105 및 106)은, 실시형태 5의 란셋(5)과 같은 이점을 가져, 환자에게 주는 아픔을 실질적으로 완화하고, 주변 세포에의 회복하기 어려운 손상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 6)
도 25를 참조하면서, 실시형태 6의 란셋(6)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이하에 설명한다. 도 25는, 도 4(c)(란셋(1)) 및 도 10(c)(란셋(3))과 같은 평면도이다. 실시형태 1의 란셋(1)에 의하면, 각 극대점에서의 수직 단면의 단면적은 전부 같았던데 대하여, 실시형태 6의 란셋(6)에 의하면, 선단부(11)에 가장 가까운 극대점(22a)에서의 수직 단면의 단면적이, 다른 각 극대점(22b, 22c) 등에서의 수직 단면의 단면적보다 크고, 특히 각 극대점(22a, 22b, 22c)에서의 수직 단면의 단면적은, 선단부(11)로부터 후단부(18)로 향하여 서서히 작아지는 점을 제외하면, 실시형태 1의 란셋(1)과 같은 구성을 갖기 때문에, 중복하는 점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 때, 도 25로부터 분명하듯이, 란셋(6)의 인접하는 한 쌍의 극대점 사이의 거리(D1, D2, D3, D4, D5)는, 선단부로부터 후단부로 향하여(-X 방향으로 향하여) 서서히 짧아진다. 또한, 도 25에 나타내는 란셋(6)에 있어서, 각 극대점(22a, 22b, 22c)에서의 수직 단면의 단면적이 선단부(11)로부터 후단부(18)로 향하여 서서히 작아지는 한편, 각 극소점(23a, 23b, 23c, 23d)에서의 수직 단면의 단면적은 일정하다.
일반적으로, 란셋(6)이 세포 조직 내에 천자된 상태에 있을 때, 즉 란셋(6)의 선단부(11)가 세포 조직 내에 있고, 보유부(40)가 사용자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 있을 때, 가장 큰 응력이 란셋(6)의 후단부(18)에 집중하기 쉽고, 후단부(18) 부근의 극소점(23d)에서 파단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 의하면, 각 극소점(23a, 23b, 23c, 23d)에서의 수직 단면의 단면적이 일정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후단부(18) 부근의 극소점(23d)에서 꺾이기 어려운 안전한 란셋(6)을 실현할 수 있다.
(변형예 7)
도 26을 참조하면서, 실시형태 6의 변형예 7의 란셋에 대하여 이하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형태 6의 변형예 7의 란셋(107)은, 각 극대점(22a, 22b, 22c)에서의 수직 단면의 단면적은 일정한 한편, 각 극소점(23a, 23b, 23c, 23d)에서의 수직 단면의 단면적은, 선단부(11)로부터 후단부(18)로 향하여(-X 방향으로) 서서히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후단부(18)에 가장 인접하는 극소점(23d)에서의 수직 단면이, 다른 방법에서의 극소점(23a, 23b, 23c)에서의 수직 단면보다도 크다. 따라서, 변형예 7에 의하면, 실시형태 6의 란셋(6)에 비하여, 후단부(18) 부근의 극소점(23d)에서, 보다 한층 더 꺾이기 어려운, 보다 안전한 란셋(107)을 제공할 수 있다.
(변형예 8)
도 27을 참조하면서, 실시형태 6의 변형예 8의 란셋에 대하여 이하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변형예 8의 란셋(108)에 있어서, 각 극대점(22a, 22b, 22c)에서의 수직 단면의 단면적이 일정하며, 후단부(18)에 가장 인접한 극소점(23d) 이외의 각 극소점(23a, 23b, 23c)에서의 수직 단면의 단면적도 마찬가지로 일정하다. 즉, 후단부(18)에 가장 인접한 극소점(23d)에서의 수직 단면의 단면적만이, 다른 각 극소점(23a, 23b, 23c)에서의 수직 단면의 단면적보다 작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란셋(108)은, 세포 조직 내에 천자한 후, 후단(18) 부근의 극소점(23d)에서 의도적으로 파단시켜, 란셋(108)의 일부를 체내에 유치할 수 있다. 단, 이와 같이 란셋(108)을 유치 바늘로서 이용하는 경우, 란셋(108)은 폴리락트산 등의 생분해성 재료를 이용하여 일체 성형할 필요가 있다.
부언하면, 란셋(107) 및 (108)은, 란셋(6)과 같은 효과를 가져, 환자에게 주는 아픔을 실질적으로 완화하고, 주변 세포로의 회복하기 어려운 손상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변형예 9)
도 28을 참조하면서, 상술의 실시형태 1 내지 6의 변형예 9에 따른 란셋(109)에 대하여 이하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8(a)은, 도 3에 나타내는 란셋(1)을 Z 방향에서(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향하여) 보았을 때의 저면도이고, 도 28(b)은, X-Z 평면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변형예 9의 란셋(109)은, 저면(73) 상에 회절 격자(24)가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절 격자(24)는, 도 28(c)의 일부 확대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하는 한 쌍의 정점(25) 사이의 거리(피치)(P)를 갖고, 예컨대, X 방향축과 45°의 각도로 경사진 사면(26)을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란셋(109)이 세포 조직 내에 천자되면, 회절 격자(24) 상의 사면(26)에 혈액(27)이 부착한다. 그리고 혈액(27)과 대기 사이의 계면은, 도 2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곡선적 궤적을 그리지만, 이 곡선적 형상은, 유체인 혈액(27)과 사면(26)을 구성하는 재료 사이에 작용하는 표면 장력에 의존한다. 예컨대, 친수성이 높은 폴리락트산을 이용하여 회절 격자(24)를 형성하면, 보다 다량의 혈액(27)이 회절 격자(24) 상에 부착한다. 이 때, 도시하지 않은 레이저 측정 장치 등으로부터의 입사빔(28)이 회절 격자(24)의 바로 위에서 조사되면, 입사빔(28)은, 사면(26)에서 다시 반사하여, 반사빔(29)으로서 레이저 측정 장치로 귀환한다. 이 때, 입사빔(28)과 반사빔(29) 사이의 간격을 d라고 하면, 레이저 빔의 광로 길이를 간격 d에 의해 일의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사면(26)에 부착한 혈액을 투과함에 의한 광 위상의 어긋남을 검출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광 위상의 어긋남이 검출되면, 혈액 중에 포함되는 케톤체의 함유량 또는 혈당량을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적혈구 등의 입상체가 회절 격자(24) 상에 부착하면, 혈당량 등의 측정에 오차가 생기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정점(25)간 피치(P)는, 적혈구 등보다도 작게 하여, 회절 격자(24) 상에 부착하기 어렵게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1 내지 25μm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변형예(9)에 따른 란셋(109)에 의하면, 도시하지 않은 레이저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혈액 중에 포함되는 케톤체의 함유량 또는 혈당량을 일순간에 측정할 수 있다.
(변형예 10)
도 29를 참조하면서, 상술의 실시형태 1 내지 6의 변형예 10에 따른 란셋(110)에 대하여 이하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9(a) 및 (b)는 도 4(c) 및 도 10(c)과 같은 평면도이고, 각각 10μm 및 3μm의 곡률반경을 갖는 선단부(11)를 포함하는 란셋(110)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란셋 및 주사 바늘의 선단부(11)가 둥그스름하여 뾰족하지 않은 경우, 이것이 세포 조직 내에 찔렸을 때에 느끼는 아픔은 강하다. 즉, 란셋(110)의 선단부(11)가 날카로우면 날카로울수록 아픔이 작게 되는 것은, 지금까지도 당업자에 널리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의 결과, 선단부(11)의 곡률반경이 약 10μm 이하인 란셋(110)을 피부에 찔러 넣었을 때에 받는 아픔이 실질적으로 경감되는 것을 발견했다.
그래서, 변형예 10에 따른 란셋(110)은, 도 2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 10μm의 곡률반경(R1)을 갖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2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 3μm의 곡률반경(R2)을 갖도록 설계된다. 이렇게 하여, 보다 아픔이 적은 란셋(110)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변형예 10에 따른 란셋(110)은, 도 29(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란셋(110)의 극대점(22) 및 극소점(23)을 다수 갖고, 인접하는 한 쌍의 극대점(22) 및 극소점(23)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예컨대, D= 1 내지 25μm) 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하여 구성된 란셋(110)에 의하면, 세포 조직 내에 천자되었을 때, 극대점(22) 또는 극소점(23)을 일종의 치수 게이지로서 이용할 수 있다. 택일적으로는, 선단부(11)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마킹 또는 색을 입혀, 선단부(11)로부터의 거리가 용이하게 시사되도록 하여도 좋다.
(변형예 11 및 12)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하면서, 실시형태 5의 변형예 11 및 12에 따른 란셋(111 및 112)에 대하여 이하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0(a) 내지 (c)는, 도 4(a) 내지 (c)와 같은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4에 나타내는 실시형태 1에 따른 한 쌍의 란셋(1a, 1b)을 보유부(40)에서 접합한 구조를 갖고, 한 쌍의 란셋(1a, 1b) 사이에 슬릿(31)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도 31(a) 내지 (c)는, 도 19(b) 내지 (d)와 같은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19에 나타내는 실시형태 5에 따른 한 쌍의 란셋(5a, 5b)을 보유부(40)에서 접합한 구조를 갖고, 한 쌍의 란셋(5a, 5b) 사이에 슬릿(31)이 형성되어 있다.
변형예 11 내지 12에 따른 란셋(111, 112)은 한 쌍의 란셋 사이에 슬릿(31)을 가져, 란셋(1, 5)과 같은 이점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이 변형예 11 내지 12에 따른 란셋(111, 112)에 의하면, 이것을 세포 조직 내에 천자하면, 미소한 슬릿(31) 속에서 혈액 또는 체액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 보유부(40)쪽으로 흡상된다. 따라서, 혈액에 포함되는 혈장, 세포, 단백질을 용이하게 채집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형태 및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에 있어서, 극대점 및 극소점, 나아가 능선 및 선단부는 불연속면을 갖는 것으로 하여 도시되어 있지만, 당업자이면 용이하게 이해되듯이, 도 5에 나타내는 연속 곡면(58)과 같이 연속적으로 추이하는 곡면을 갖고 있더라도 좋다.
즉, 상기의 실시형태 및 변형예는 본 발명을 단지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주는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Claims (32)

  1. 의료용 바늘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평면으로 절단된 수직 단면의 단면적이 선단부로부터의 거리에 의존하여 증감하는 의료용 바늘로서,
    수직 단면의 단면적이 극대가 되는 복수의 극대점, 및
    수직 단면의 단면적이 극소가 되는 복수의 극소점을 갖고,
    선단부에 가장 가까운 극대점에서의 수직 단면의 단면적은, 다른 각 극대점에서의 수직 단면의 단면적과 같거나 그보다 크고,
    복수의 극소점이 선단부에 가장 가까운 극대점과 후단부 사이에 배치되고, 극소점 각각이 한 쌍의 인접한 극대점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바늘.
  2.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통로가 내부 형성되고, 이 통로는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바늘.
  3. 제 2 항에 있어서,
    후단부에 연결된 보유부를 갖고,
    상기 보유부는, 통로와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챔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바늘.
  4.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홈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바늘.
  5. 제 4 항에 있어서,
    후단부에 연결된 보유부를 갖고,
    상기 보유부는, 홈부와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챔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바늘.
  6. 제 1 항에 있어서,
    바늘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평면에 투영하여 보았을 때, 수직 단면의 단면적은, 인접하는 극대점과 극소점 사이에서 직선적 또는 곡선적으로 증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바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단면이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다각형, 원형 및 타원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바늘.
  8. 제 1 항에 있어서,
    각 극대점에서의 수직 단면의 단면적이 선단부로부터 후단부로 향하여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바늘.
  9. 제 1 항에 있어서,
    각 극소점에서의 수직 단면의 단면적이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바늘.
  10. 제 1 항에 있어서,
    각 극소점에서의 수직 단면의 단면적이 선단부로부터 후단부로 향하여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바늘.
  11. 제 1 항에 있어서,
    후단부에 가장 가까운 극소점에서의 수직 단면의 단면적이, 다른 각 극소점에서의 수직 단면의 단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바늘.
  12. 제 1 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한 쌍의 극대점 사이의 거리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바늘.
  13. 제 1 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한 쌍의 극대점 사이의 거리가 선단부로부터 후단부로 향하여 짧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바늘.
  14.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정점 및 상기 정점 중 인접하는 한 쌍의 정점 사이에 경사진 사면을 포함하는 회절 격자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바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가 0 μm 초과 1O μm 이하의 곡률반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바늘.
  16. 제 1 항에 있어서,
    슬릿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바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생체 적합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바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생분해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바늘.
  19. 생분해성 재료로 이루어진 의료용 바늘로서,
    바늘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평면으로 절단되었을 때, 선단부로부터의 거리에 의존하여 증감하는 단면적을 갖는 삼각형 형상의 단면을 갖고,
    바늘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일체로 성형되는, 단면적이 단조 증가하는 복수의 확대 영역과 단면적이 단조 감소하는 복수의 축소 영역을 갖고,
    복수의 확대 영역에서 최대의 단면적을 부여하는 최대 단면이 같은 형상 및 단면적을 갖고,
    복수의 확대 영역 및 축소 영역 각각은, 바늘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교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바늘.
  20. 삭제
  21. 제 19 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축소 영역과 확대 영역 사이에, 이들을 연속적으로 접속하는 연속 곡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바늘.
  22. 제 19 항에 있어서,
    바늘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평면으로 절단된 삼각형 형상의 단면이 일정한 단면적을 부여하도록 하는 일정 영역이, 축소 영역과 확대 영역 사이에서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바늘.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생분해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의료용 바늘의 후단부에 연결된 보유부를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바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의료용 바늘 내부에 하나 이상의 통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바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부가, 통로와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챔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바늘.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가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바늘.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가, 이간(離間)하여 배치된 적어도 2개의 개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바늘.
  28. 제 24 항에 있어서,
    의료용 바늘이 복수의 통로를 갖고,
    상기 보유부가, 각 통로와 개별적으로 연통하는 복수의 챔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바늘.
  29. 제 23 항에 있어서,
    의료용 바늘 내부에 하나 이상의 홈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바늘.
  30. 제 23 항에 있어서,
    바늘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약제를 수용하는 복수의 종공(縱孔), 및 종공을 밀봉하는 생분해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밀봉부를 추가로 가지며, 바늘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에서의 밀봉부의 두께가 각 종공의 배치 위치에 따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바늘.
  31. 생분해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의료용 바늘로서,
    바늘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평면으로 절단되었을 때, 선단부에서의 거리에 의존하여 증감하는 저변을 갖는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갖고,
    바늘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일체로 성형되는, 저변이 단조 증가하는 복수의 확대 영역, 저변이 단조 감소하는 복수의 축소 영역을 가지며,
    복수의 확대 영역에서 최대의 저변을 부여하는 최대 단면이 같은 형상 및 저변을 갖고,
    복수의 확대 영역 및 축소 영역 각각은, 바늘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교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바늘.
  32. 바늘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평면으로 절단된 수직 단면의 단면적이 선단부로부터의 거리에 의존하여 증감하는 의료용 바늘을 포함하는 의료용 디바이스로서,
    상기 의료용 바늘이,
    수직 단면의 단면적이 극대가 되는 복수의 극대점, 및
    수직 단면의 단면적이 극소가 되는 복수의 극소점을 갖고,
    선단부에 가장 가까운 극대점에서의 수직 단면의 단면적은, 다른 각 극대점에서의 수직 단면의 단면적과 같거나 그보다 크고,
    복수의 극소점이 선단부에 가장 가까운 극대점과 후단부 사이에 배치되고, 극소점 각각이 한 쌍의 인접한 극대점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디바이스.
KR1020067011941A 2003-12-19 2004-12-16 의료용 바늘 및 의료용 디바이스 KR1011498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422999 2003-12-19
JP2003422999 2003-12-19
US10/784,877 2004-02-24
US10/784,877 US7361182B2 (en) 2003-12-19 2004-02-24 Medical lancet
PCT/JP2004/018781 WO2005058162A1 (ja) 2003-12-19 2004-12-16 医療用針および医療用デバイ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1580A KR20060111580A (ko) 2006-10-27
KR101149852B1 true KR101149852B1 (ko) 2012-05-25

Family

ID=34703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1941A KR101149852B1 (ko) 2003-12-19 2004-12-16 의료용 바늘 및 의료용 디바이스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7361182B2 (ko)
EP (1) EP1695664B1 (ko)
JP (6) JP3887657B2 (ko)
KR (1) KR101149852B1 (ko)
CN (2) CN100475141C (ko)
AT (1) ATE497726T1 (ko)
DE (1) DE602004031361D1 (ko)
WO (1) WO20050581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6924A (en) 1997-12-04 2000-03-14 Hewlett-Packard Company Cassette of lancet cartridges for sampling blood
US6391005B1 (en) 1998-03-30 2002-05-21 Agilent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enetration with shaft having a sensor for sensing penetration depth
DE10057832C1 (de) 2000-11-21 2002-02-21 Hartmann Paul Ag Blutanalysegerät
US8641644B2 (en) 2000-11-21 2014-02-04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Blood testing apparatus having a rotatable cartridge with multiple lancing elements and testing means
US9795747B2 (en) 2010-06-02 2017-10-24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Methods and apparatus for lancet actuation
WO2002100461A2 (en) 2001-06-12 2002-12-19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success rate of blood yield from a fingerstick
US9226699B2 (en) 2002-04-19 2016-01-05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Body fluid sampling module with a continuous compression tissue interface surface
EP1404233B1 (en) 2001-06-12 2009-12-02 Pelikan Technologies Inc. Self optimizing lancing device with adaptation means to temporal variations in cutaneous properties
US9427532B2 (en) 2001-06-12 2016-08-30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Tissue penetration device
US7041068B2 (en) 2001-06-12 2006-05-09 Pelikan Technologies, Inc. Sampling module device and method
DE60234597D1 (de) 2001-06-12 2010-01-14 Pelikan Technologies Inc Gerät und verfahren zur entnahme von blutproben
US7344507B2 (en) 2002-04-19 2008-03-18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ancet actuation
US7749174B2 (en) 2001-06-12 2010-07-06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ancet launching device intergrated onto a blood-sampling cartridge
DE60238914D1 (de) 2001-06-12 2011-02-24 Pelikan Technologies Inc Integriertes system zur blutprobenanalyse mit mehrfach verwendbarem probennahmemodul
WO2002100460A2 (en) 2001-06-12 2002-12-19 Pelikan Technologies, Inc. Electric lancet actuator
US7981056B2 (en) 2002-04-19 2011-07-19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lancet actuation
US8337419B2 (en) 2002-04-19 2012-12-25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Tissue penetration device
US7344894B2 (en) 2001-10-16 2008-03-18 Agilent Technologies, Inc. Thermal regulation of fluidic samples within a diagnostic cartridge
US7563232B2 (en) 2002-04-19 2009-07-21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netrating tissue
US9314194B2 (en) 2002-04-19 2016-04-19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Tissue penetration device
US7410468B2 (en) 2002-04-19 2008-08-12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netrating tissue
US7524293B2 (en) 2002-04-19 2009-04-28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netrating tissue
US7374544B2 (en) 2002-04-19 2008-05-20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netrating tissue
US7648468B2 (en) 2002-04-19 2010-01-19 Peliko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netrating tissue
US7141058B2 (en) 2002-04-19 2006-11-28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body fluid sampling device using illumination
US7909778B2 (en) 2002-04-19 2011-03-22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netrating tissue
US7491178B2 (en) 2002-04-19 2009-02-17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netrating tissue
US7331931B2 (en) 2002-04-19 2008-02-19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netrating tissue
US8221334B2 (en) 2002-04-19 2012-07-17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penetrating tissue
US7717863B2 (en) 2002-04-19 2010-05-18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netrating tissue
US7582099B2 (en) 2002-04-19 2009-09-01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netrating tissue
US7976476B2 (en) 2002-04-19 2011-07-12 Pelikan Technologies, Inc. Device and method for variable speed lancet
US8372016B2 (en) 2002-04-19 2013-02-12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body fluid sampling and analyte sensing
US8702624B2 (en) 2006-09-29 2014-04-22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Analyte measurement device with a single shot actuator
US7291117B2 (en) 2002-04-19 2007-11-06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netrating tissue
US7481776B2 (en) 2002-04-19 2009-01-27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netrating tissue
US7371247B2 (en) 2002-04-19 2008-05-13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netrating tissue
US8360992B2 (en) 2002-04-19 2013-01-29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penetrating tissue
US8784335B2 (en) 2002-04-19 2014-07-22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Body fluid sampling device with a capacitive sensor
US7892183B2 (en) 2002-04-19 2011-02-22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ody fluid sampling and analyte sensing
US7901362B2 (en) 2002-04-19 2011-03-08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netrating tissue
US9795334B2 (en) 2002-04-19 2017-10-24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penetrating tissue
US7547287B2 (en) 2002-04-19 2009-06-16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netrating tissue
US7229458B2 (en) 2002-04-19 2007-06-12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netrating tissue
US7232451B2 (en) 2002-04-19 2007-06-19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netrating tissue
US7708701B2 (en) 2002-04-19 2010-05-04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multi-use body fluid sampling device
US8579831B2 (en) 2002-04-19 2013-11-12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penetrating tissue
US9248267B2 (en) 2002-04-19 2016-02-02 Sanofi-Aventis Deustchland Gmbh Tissue penetration device
US7674232B2 (en) 2002-04-19 2010-03-09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netrating tissue
US8267870B2 (en) 2002-04-19 2012-09-18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body fluid sampling with hybrid actuation
US7297122B2 (en) 2002-04-19 2007-11-20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netrating tissue
US8574895B2 (en) 2002-12-30 2013-11-05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Method and apparatus using optical techniques to measure analyte levels
DE602004028463D1 (de) 2003-05-30 2010-09-16 Pelikan Technologies Inc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injektion von flüssigkeit
ES2490740T3 (es) 2003-06-06 2014-09-04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Aparato para toma de muestras de fluido sanguíneo y detección de analitos
WO2006001797A1 (en) 2004-06-14 2006-01-05 Pelikan Technologies, Inc. Low pain penetrating
EP1635700B1 (en) 2003-06-13 2016-03-09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Apparatus for a point of care device
US8282576B2 (en) 2003-09-29 2012-10-09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mproved sample capture device
US9351680B2 (en) 2003-10-14 2016-05-31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a variable user interface
US7361182B2 (en) * 2003-12-19 2008-04-22 Lightnix, Inc. Medical lancet
US7822454B1 (en) 2005-01-03 2010-10-26 Pelikan Technologies, Inc. Fluid sampling device with improved analyte detecting member configuration
EP1706026B1 (en) 2003-12-31 2017-03-01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fluidic flow and sample capture
US7819822B2 (en) * 2004-03-06 2010-10-26 Roche Diagnostics Operations, Inc. Body fluid sampling device
WO2005084530A2 (en) 2004-03-06 2005-09-15 F. Hoffmann-La Roche Ag Body fluid sampling device
US8591436B2 (en) * 2004-04-30 2013-11-26 Roche Diagnostics Operations, Inc. Lancets for bodily fluid sampling supplied on a tape
US7909776B2 (en) * 2004-04-30 2011-03-22 Roche Diagnostics Operations, Inc. Lancets for bodily fluid sampling supplied on a tape
US8828203B2 (en) 2004-05-20 2014-09-09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Printable hydrogels for biosensors
JP4491280B2 (ja) * 2004-05-27 2010-06-30 テルモ株式会社 穿刺針および穿刺具
US9775553B2 (en) 2004-06-03 2017-10-03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a fluid sampling device
EP1765194A4 (en) 2004-06-03 2010-09-29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DEVICE FOR SAMPLING LIQUIDS
US20060030788A1 (en) * 2004-08-04 2006-02-09 Daniel Wong Apparatus and method for extracting bodily fluid utilizing a flat lancet
US8652831B2 (en) 2004-12-30 2014-02-18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te measurement test time
US20080262444A1 (en) 2005-01-31 2008-10-23 Bioserentach Co., Ltd. Percutaneously Absorbable Preparation, Percutaneously Absorbable Preparation Holding Sheet, and Percutaneously Absorbable Preparation Holding Equipment
CN100415312C (zh) * 2005-06-20 2008-09-03 王月安 一次性注射器或输液器针头
US8057404B2 (en) * 2005-10-12 2011-11-15 Panasonic Corporation Blood sensor, blood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lood testing apparatus
CN100457210C (zh) * 2005-11-18 2009-02-04 吉林大学 无痛注射器
GR1005374B (el) * 2006-01-09 2006-12-14 Μιχαλης Ιωαννη Σολωμακακης Κουνουποβελονα
US20090093735A1 (en) * 2006-03-29 2009-04-09 Stephan Korner Test unit and test system for analyzing body fluids
JP2007333540A (ja) * 2006-06-14 2007-12-27 Sumitomo Electric Ind Ltd バイオセンサチッ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80281292A1 (en) * 2006-10-16 2008-11-13 Hickingbotham Dyson W Retractable Injection Port
US8622991B2 (en) 2007-03-19 2014-01-07 Insuline Medical Ltd. Method and device for drug delivery
CN104069567A (zh) * 2007-03-19 2014-10-01 茵苏莱恩医药有限公司 药物输送设备
JP4992030B2 (ja) * 2007-06-12 2012-08-08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生体用針体
US20090030381A1 (en) * 2007-07-23 2009-01-29 Lind Casey J Arced Hypodermic Needle
KR100915838B1 (ko) * 2007-07-30 2009-09-07 김윤성 주사기의 바늘구조
JP5044334B2 (ja) * 2007-09-06 2012-10-10 株式会社ニコン 採液収容装置
US9186097B2 (en) * 2007-09-17 2015-11-17 Roche Diabetes Care, Inc. Body fluid lancing, acquiring, and testing cartridge design
US8961431B2 (en) * 2009-09-28 2015-02-24 Roche Diagnostics Operations, Inc. Body fluid lancing, acquiring, and testing cartridge design
US20090177114A1 (en) * 2007-12-13 2009-07-09 Yem Chin Echogenic needle aspiration device
US8409133B2 (en) 2007-12-18 2013-04-02 Insuline Medical Ltd. Drug delivery device with sensor for closed-loop operation
EP2265324B1 (en) 2008-04-11 2015-01-28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Integrated analyte measurement system
EP2316339A4 (en) * 2008-08-01 2012-10-24 Lightnix Inc SENSOR WITH A PRECIOUS NEEDLE WITH A DUCTED CHANNEL
US9332973B2 (en) 2008-10-01 2016-05-10 Covidien Lp Needle biopsy device with exchangeable needle and integrated needle protection
US9186128B2 (en) 2008-10-01 2015-11-17 Covidien Lp Needle biopsy device
US8968210B2 (en) 2008-10-01 2015-03-03 Covidien LLP Device for needle biopsy with integrated needle protection
US9782565B2 (en) 2008-10-01 2017-10-10 Covidien Lp Endoscopic ultrasound-guided biliary access system
US11298113B2 (en) 2008-10-01 2022-04-12 Covidien Lp Device for needle biopsy with integrated needle protection
WO2010047426A1 (en) * 2008-10-25 2010-04-29 Youn-Sung Kim Structure of needle for syringe
US20100114677A1 (en) * 2008-11-06 2010-05-06 Mark Carlson System including automated teller machine with data bearing medium
US8961458B2 (en) 2008-11-07 2015-02-24 Insuline Medical Ltd. Device and method for drug delivery
US9375169B2 (en) 2009-01-30 2016-06-28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Cam drive for managing disposable penetrating member actions with a single motor and motor and control system
WO2012018486A2 (en) 2010-07-26 2012-02-09 Seventh Sense Biosystems, Inc. Rapid delivery and/or receiving of fluids
CN104434136A (zh) 2009-03-02 2015-03-25 第七感生物系统有限公司 用于抽出血液的装置
JP5748394B2 (ja) * 2009-03-30 2015-07-15 凸版印刷株式会社 針状体製造方法および針状体
JP5690813B2 (ja) * 2010-03-30 2015-03-25 テルモ株式会社 穿刺針および穿刺具
US8965476B2 (en) 2010-04-16 2015-02-24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Tissue penetration device
WO2012021801A2 (en) 2010-08-13 2012-02-16 Seventh Sense Biosystems, Inc. Systems and techniques for monitoring subjects
JP6055773B2 (ja) 2010-11-09 2016-12-27 セブンス センス バイオ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血液サンプリング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インターフェース
JP2012139407A (ja) * 2010-12-29 2012-07-26 Terumo Corp 穿刺体
US20130158468A1 (en) 2011-12-19 2013-06-20 Seventh Sense Biosystems, Inc. Delivering and/or receiving material with respect to a subject surface
WO2012149155A1 (en) 2011-04-29 2012-11-01 Seventh Sense Bio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llecting fluid from a subject
EP3236259A1 (en) 2011-04-29 2017-10-25 Seventh Sense Biosystems, Inc. Plasma or serum production and removal of fluids under reduced pressure
KR102237667B1 (ko) 2011-04-29 2021-04-12 세븐쓰 센스 바이오시스템즈, 인크. 유체들의 전달 및/또는 수용
JP5835944B2 (ja) * 2011-05-25 2015-12-24 学校法人 関西大学 穿刺ユニット
EP2815784A4 (en) * 2012-02-17 2015-07-01 Cosmed Pharmaceutical Co Ltd MICRONADEL WITH SHORT RESOLUTION TIME
JP6040563B2 (ja) * 2012-05-08 2016-12-07 高電工業株式会社 穿刺針、微量体液採取用冶具および微量薬液投与用冶具
US9615973B1 (en) * 2012-05-13 2017-04-11 Surgical Specialties Corporation Surgical knife
US9237905B2 (en) * 2012-11-28 2016-01-19 Ronald M. Chase Medical instrument for insertion into a body region of a subject
CN103211601B (zh) * 2013-04-09 2014-12-10 苏州市玮琪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采血针
JP6332786B2 (ja) 2014-02-14 2018-05-30 株式会社ライトニックス 医療用針および穿刺具
IL231751A (en) * 2014-03-27 2016-08-31 Tel Hashomer Medical Res Infrastructure & Services Ltd Medical device for tissue removal
CA2956793A1 (en) * 2014-06-27 2015-12-30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Apparatus for perforation and aspiration of inner ear
KR101906590B1 (ko) * 2016-01-14 2018-10-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니들 구조체 및 그를 구비하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IL251684B (en) 2017-04-09 2019-01-31 Tel Hashomer Medical Res Infrastructure & Services Ltd Device and method for creating a canal in soft tissue
WO2018221536A1 (ja) * 2017-05-29 2018-12-06 株式会社アルチザンラボ 穿刺針
CN110478569B (zh) * 2019-08-16 2021-07-16 吉林大学 一种防脱针仿生减痛静脉注射针头
CN113473927B (zh) 2019-12-24 2023-06-27 安吉美德医疗技术有限公司 用于创建tips分流器的穿刺装置
WO2021251478A1 (ja) * 2020-06-11 2021-12-16 国立大学法人東北大学 振動針装置及び針の挿入方法
CA3131957A1 (en) * 2021-04-07 2022-10-07 Assure Tech. (Hangzhou) Co., Ltd. Blood collection structure and whole blood and fingertip blood testing device and testing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92992A (en) * 1969-03-26 1970-02-03 Deknatel Inc Hypodermic needle
US20020198440A1 (en) * 2001-06-20 2002-12-26 Todd Snow Temporary dilating tip for gastro-intestinal tubes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68594U (ko) * 1976-11-13 1978-06-08
JPS5368594A (en) 1976-11-30 1978-06-19 Mitsubishi Electric Corp Radar receiver protector
NZ208203A (en) * 1983-09-15 1988-03-30 Becton Dickinson Co Blood lancet and shield: lancet has three cutting edges terminating in a point
JPS6131167A (ja) 1984-07-24 1986-02-13 西郷 諭美 周面に注出孔を有する注射針
US4884572A (en) * 1986-05-20 1989-12-05 Concept, Inc. Tack and applicator for treating torn bodily material in vivo
US5250066A (en) * 1990-03-19 1993-10-05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Plastic pointed articles and method for their preparation
DE69116533T2 (de) * 1990-12-13 1996-09-05 Cook Inc., Bloomington, Ind. Intraossale Nadel
US5542920A (en) * 1994-09-12 1996-08-06 Delab Needle-less parenteral introduction device
US5752942A (en) 1996-06-20 1998-05-19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Five beveled point geometry for a hypodermic needle
US5766163A (en) * 1996-07-03 1998-06-16 Eclipse Surgical Technologies, Inc. Controllable trocar for transmyocardial revascularization (TMR) via endocardium method and apparatus
US5928207A (en) 1997-06-30 1999-07-2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icroneedle with isotropically etched tip, and method of fabricating such a device
US6692499B2 (en) * 1997-07-02 2004-02-17 Linvatec Biomaterials Oy Surgical fastener for tissue treatment
US6183444B1 (en) * 1998-05-16 2001-02-06 Microheart, Inc. Drug delivery module
US6139562A (en) * 1998-03-30 2000-10-31 Agilent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ncising
CA2326125A1 (en) * 1998-04-01 1999-10-07 Bionx Implants Oy Bioabsorbable surgical fastener for tissue treatment
US6146387A (en) * 1998-08-26 2000-11-14 Linvatec Corporation Cannulated tissue anchor system
US7211088B2 (en) * 1999-02-02 2007-05-01 Arthrex, Inc. Bioabsorbable tissue tack with oval-shaped head and method of tissue fixation using the same
US6623492B1 (en) * 2000-01-25 2003-09-23 Smith & Nephew, Inc. Tissue fastener
GB0017999D0 (en) * 2000-07-21 2000-09-13 Smithkline Beecham Biolog Novel device
JP2002045423A (ja) 2000-08-01 2002-02-12 Doctor Japan Kk 穿刺針
EP1345646A2 (en) * 2000-12-14 2003-09-24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Microneedle devices and production thereof
US7445616B2 (en) * 2001-03-23 2008-11-04 Petrakis Dennis N Temperature responsive systems
EP1393678A4 (en) 2001-06-07 2007-05-09 Arkray Inc OUTPUT DEVICE
US6554809B2 (en) * 2001-08-02 2003-04-29 Teodulo Aves Epidural catheter needle
US20030028125A1 (en) * 2001-08-06 2003-02-06 Yuzhakov Vadim V. Physiological sample collection devic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20040249394A1 (en) * 2001-08-06 2004-12-09 Arthrex, Inc. Compact suture punch with malleable needle
JP2003116962A (ja) 2001-10-11 2003-04-22 Seirin Kk 鍼灸針
US7429258B2 (en) 2001-10-26 2008-09-30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icroneedle transport device
US6908453B2 (en) 2002-01-15 2005-06-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icroneedle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CA2419200C (en) 2002-03-05 2015-06-30 Bayer Healthcare Llc Fluid collection apparatus having an integrated lance and reaction area
JP4026745B2 (ja) 2002-03-26 2007-12-26 財団法人大阪産業振興機構 医療用システ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361182B2 (en) * 2003-12-19 2008-04-22 Lightnix, Inc. Medical lancet
US7645268B2 (en) * 2004-03-25 2010-01-12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Needles and methods of using same
US7850656B2 (en) * 2005-04-29 2010-12-14 Warsaw Orthopedic, Inc. Devices and methods for delivering medical agen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92992A (en) * 1969-03-26 1970-02-03 Deknatel Inc Hypodermic needle
US20020198440A1 (en) * 2001-06-20 2002-12-26 Todd Snow Temporary dilating tip for gastro-intestinal tub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061284B2 (ja) 2012-10-31
CN101254107B (zh) 2011-05-18
JP2006334420A (ja) 2006-12-14
WO2005058162A1 (ja) 2005-06-30
JP4649565B2 (ja) 2011-03-09
EP1695664A1 (en) 2006-08-30
DE602004031361D1 (de) 2011-03-24
CN100475141C (zh) 2009-04-08
JP4065906B2 (ja) 2008-03-26
EP1695664B1 (en) 2011-02-09
JP2010099501A (ja) 2010-05-06
US7740621B2 (en) 2010-06-22
US7361182B2 (en) 2008-04-22
JPWO2005058162A1 (ja) 2007-07-12
US20050149088A1 (en) 2005-07-07
KR20060111580A (ko) 2006-10-27
CN101254107A (zh) 2008-09-03
JP3887657B2 (ja) 2007-02-28
EP1695664A4 (en) 2008-03-26
ATE497726T1 (de) 2011-02-15
US20060100654A1 (en) 2006-05-11
JP2006297142A (ja) 2006-11-02
JP2006297141A (ja) 2006-11-02
JP2006334419A (ja) 2006-12-14
CN1882282A (zh) 2006-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9852B1 (ko) 의료용 바늘 및 의료용 디바이스
JP5044334B2 (ja) 採液収容装置
US6749575B2 (en) Method for transdermal nucleic acid sampling
US6183434B1 (en) Multiple mechanical microporation of skin or mucosa
EP3285851B1 (en) A microneedle and a chip
US20050261632A1 (en) High-Aspect-Ratio Microdevices and Methods for Transdermal Delivery and Sampling of Active Substances
US8998859B2 (en) Medical needle and puncturing instrument
Zhang et al. Design and fabrication of MEMS-based microneedle arrays for medical applications
Singh et al. Fabrication of microneedles
Mukerjee et al. Microneedle array with integrated microchannels for transdermal sample extraction and in situ analysis
AU2001283469B2 (en) Method for transdermal nucleic acid sampling
AU2001283469A1 (en) Method for transdermal nucleic acid sampling
Mukerjee et al. Microneedle array for transdermal bio-fluid sampling and drug deliv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1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12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7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5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5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