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49088B1 - 나노미터 스케일 필라멘트 구조 합성 방법 및 그러한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부품 - Google Patents

나노미터 스케일 필라멘트 구조 합성 방법 및 그러한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9088B1
KR101149088B1 KR1020067009126A KR20067009126A KR101149088B1 KR 101149088 B1 KR101149088 B1 KR 101149088B1 KR 1020067009126 A KR1020067009126 A KR 1020067009126A KR 20067009126 A KR20067009126 A KR 20067009126A KR 101149088 B1 KR101149088 B1 KR 101149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component
nanoporous membrane
catalyst
pores
nanosc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9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3973A (ko
Inventor
디디에르 프리바트
쟝-에릭 베그로위
트래비스 웨이드
Original Assignee
에꼴레 폴리테크닉
상뜨르 나쇼날 드 라 러쉐르쉬 샹띠피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꼴레 폴리테크닉, 상뜨르 나쇼날 드 라 러쉐르쉬 샹띠피끄 filed Critical 에꼴레 폴리테크닉
Publication of KR20060133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3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9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9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B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 B82B3/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or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20Carbon compounds, e.g. carbon nanotubes or fullerenes
    • H10K85/221Carbon nano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1/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xides, or hydroxides of magnesium, boron, aluminium, carbon, 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B01J21/02Boron or alumi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B01J21/04Alumin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1/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xides, or hydroxides of magnesium, boron, aluminium, carbon, 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B01J21/18Carbon
    • B01J21/185Carbon nano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38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 B01J23/54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combined with metals, oxides or hydroxides provided for in groups B01J23/02 - B01J23/36
    • B01J23/56Platinum group metals
    • B01J23/63Platinum group metals with rare earths or actin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7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 B01J23/76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combined with metals, oxides or hydroxides provided for in groups B01J23/02 - B01J23/36
    • B01J23/83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combined with metals, oxides or hydroxides provided for in groups B01J23/02 - B01J23/36 with rare earths or actin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B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 B82B3/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or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 B82B3/0009Forming specific nano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0/00Nanotechnology for information processing, storage or transmission, e.g. quantum computing or single electron log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58Carbon nanotubes
    • C01B32/16Preparation
    • C01B32/162Preparation characterised by catalysts
    • CCHEMISTRY; METALLURGY
    • C30CRYSTAL GROWTH
    • C30BSINGLE-CRYSTAL GROWTH; UNIDIRECTIONAL SOLIDIFICATION OF EUTECTIC MATERIAL OR UNIDIRECTIONAL DEMIXING OF EUTECTOID MATERIAL; REFINING BY ZONE-MELTING OF MATERIAL; PRODUCTION OF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SINGLE CRYSTALS OR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FTER-TREATMENT OF SINGLE CRYSTALS OR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PPARATUS THEREFOR
    • C30B25/00Single-crystal growth by chemical reaction of reactive gases, e.g. chemical vapour-deposition growth
    • C30B25/02Epitaxial-layer growth
    • C30B25/18Epitaxial-layer growth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30CRYSTAL GROWTH
    • C30BSINGLE-CRYSTAL GROWTH; UNIDIRECTIONAL SOLIDIFICATION OF EUTECTIC MATERIAL OR UNIDIRECTIONAL DEMIXING OF EUTECTOID MATERIAL; REFINING BY ZONE-MELTING OF MATERIAL; PRODUCTION OF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SINGLE CRYSTALS OR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FTER-TREATMENT OF SINGLE CRYSTALS OR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PPARATUS THEREFOR
    • C30B29/00Single crystals or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ir shape
    • C30B29/60Single crystals or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shape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0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8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of inorganic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0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8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of inorganic material
    • D01F9/12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367Substrates
    • H01L21/0237Materials
    • H01L21/0242Crystalline insulat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518Deposited layers
    • H01L21/02521Materials
    • H01L21/02524Group 14 semiconducting materials
    • H01L21/02527Carbon, e.g. diamond-like carb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518Deposited layers
    • H01L21/02521Materials
    • H01L21/02524Group 14 semiconducting materials
    • H01L21/02532Silicon, silicon germanium, german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518Deposited layers
    • H01L21/02587Structure
    • H01L21/0259Microstructure
    • H01L21/02603Nano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518Deposited layers
    • H01L21/02587Structure
    • H01L21/0259Microstructure
    • H01L21/02606Nano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612Formation types
    • H01L21/02617Deposition types
    • H01L21/0262Reduction or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e.g. CV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612Formation types
    • H01L21/02617Deposition types
    • H01L21/02636Selective deposition, e.g. simultaneous growth of mono- and non-monocrystalline semiconductor materials
    • H01L21/02639Preparation of substrate for selective deposition
    • H01L21/02642Mask materials other than SiO2 or S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612Formation types
    • H01L21/02617Deposition types
    • H01L21/02636Selective deposition, e.g. simultaneous growth of mono- and non-monocrystalline semiconductor materials
    • H01L21/02639Preparation of substrate for selective deposition
    • H01L21/02645Seed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5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configuration
    • B01J35/58Fabrics or filaments
    • B01J35/59Membra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77/00Nanotechnology
    • Y10S977/70Nanostructure
    • Y10S977/734Fullerenes, i.e. graphene-based structures, such as nanohorns, nanococoons, nanoscrolls or fullerene-like structures, e.g. WS2 or MoS2 chalcogenide nanotubes, planar C3N4, etc.
    • Y10S977/742Carbon nanotubes, C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77/00Nanotechnology
    • Y10S977/70Nanostructure
    • Y10S977/762Nanowire or quantum wire, i.e. axially elongated structure having two dimensions of 100 nm or l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77/00Nanotechnology
    • Y10S977/84Manufacture, treatment, or detection of nanostructure
    • Y10S977/842Manufacture, treatment, or detection of nanostructure for carbon nanotubes or fullerenes
    • Y10S977/843Gas phase catalytic growth, i.e. chemical vapor de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 Inorganic Fibers (AREA)
  • Catalysts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 Polyoxymethylene Polymers And Polymers With Carbon-To-Carbon Bonds (AREA)

Abstract

나노 스케일 필라멘트 구조를 구비한 전자 부품 합성 방법으로서, 금속 촉매(7)가 나노 기공성 막(3) 내에 적층되고, 상기 촉매는 상기 나노 기공성 막(3)의 적어도 약간의 기공(8) 내에 침투하기에 적합하고, 필라멘트 구조가 나노 기공성 막(3) 내의 적어도 약간의 기공(8) 내의 상기 촉매 상에서 성장한다. 상기 나노 기공성 막(3)은 상기 기공(8)의 벽이 단결정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보장하기에 적합한 방식으로 제작되고, 적어도 상기 촉매(7)의 일부는 상기 단결정 영역 상에서 에피택스 성장한다.
나노 스케일 필라멘트, 탄소 나노 튜브,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Description

나노미터 스케일 필라멘트 구조 합성 방법 및 그러한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부품{METHOD FOR THE SYNTHESIS OF FILAMENT STRUCTURES ON A NANOMETRE SCALE AND ELECTRONIC COMPONENTS COMPRISING SUCH STRUCTURES}
본 발명은 나노 스케일 필라멘트 구조 합성 방법과 그러한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부품 분야에 관련된 것이다.
엑스. 호퍼(X. Hoffer) 등에 의한 "다중 벽 탄소 나노 튜브에서의 스핀-의존 자기 저항과 스핀-차지 분리"(Spin-dependent magnetoresistance and spin-charge separation in multiwall carbon nanotubes)("Condensed Matter"에 게재 예정이며 http://xxx.lanl.gov/PS_cache/condmat/pdf/0303/0303314.pdf에서 이용 가능) 문헌에 나노 스케일 필라멘트 구조를 구비한 전자 부품 합성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나노 스케일 필라멘트 구조"(nanoscale filamentary structure)라는 용어는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와이어(wire), 로드(rod), 튜브(tube) 등 본질적으로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구조를 형성하는 나노 스케일 구조를 지칭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상기에 언급된 문헌에서, 상기 나노 스케일 필라멘트 구조는 탄소 나노 튜브이다. 엑스. 호퍼(X. Hoffer) 등에 의한 전술한 문헌에 기재된 탄소 나노 튜브 합성 방법은,
-나노 기공성 막에, 상기 나노 기공성 막 내의 적어도 일부 기공 내로 침투하기에 적합한 금속 촉매를 부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나노 기공성 막 내의 적어도 일부 기공 내의 상기 촉매 상에서 필라멘트 구조를 성장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조작을 포함한다.
엑스. 호퍼(X. Hoffer) 등에 의한 상기 문헌에서, 얻어지는 탄소 나노 튜브는 반도체적 성질이나 금속 성질을 가질 수 있다고 하고 있다. 이러한 결정론(determinism)의 문제는 나노 튜브가 합성되는 동안에 나노 튜브의 키랄리티(chirality)를 조절할 수 없다는 사실과 특히 연관되어 있다. 이것은 전자 분야에 있어서 탄소 나노 튜브 사용에 주요한 장애가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나노 스케일 필라멘트 구조의 위치, 크기, 방향 특히 서로 간의 상대적인 구조의 방향을 동시에 좀 더 낫게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나노 스케일 필라멘트 구조 합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에 언급한 조작을 포함하는 외에도, 기공의 벽들이 단결정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보장하고, 상기 단결정 영역 상에서 적어도 일부의 촉매가 에피택스 성장하기에 적합한 방식으로 나노 기공성 막을 준비하는 조작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스케일 필라멘트 구조의 합성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나노 스케일 필라멘트 구조는 나노 기공성 막의 기공에서 성장한다. 따라서, 나노 스케일 필라멘트 구조의 밀도, 직경, 길이 및 방향의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수 많은 기공들에 공통되는 물질부(material element) 상에서 적어도 일부가 에피택스 성장하는 금속 촉매의 텍스쳐링(texturing), 방향, 결정화는 서로 간에 상대적으로 조절되는 나노 스케일 필라멘트 구조의 방향성의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나노 스케일 필라멘트 구조가 탄소 나노 튜브로 구성될 때에, 이것은 나노 튜브의 키랄리티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에피택스 성장"의 개념은 텍스쳐링, 방향성(orientation), 결정화(crystallization)의 3가지 성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다음의 처리를 적어도 하나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나노 기공성 막에 교정된(calibrated) 기공이 형성된다.
-나노 기공성 막은 실질적으로 평면 내에서 연장되는 것을 보장하기에 적합한 방식으로 제작되고, 기공은 제대로 정해진 방향, 예를 들면 실질적으로 상기 막의 평면에 수직하거나 평행한 방향으로 향하는 것을 보장하기에 적합한 방식으로 제작된다.
-나노 기공성 막의 기공의 벽의 단결정 영역은 상기 기공의 바닥에 대응된다.
-나노 기공성 막은 단결정 물질로 제작된다. 예를 들면, 나노 기공성 막은 단결정 기판의 양극 산화(anodic oxidation)에 의해 제작된다.
-나노 기공성 막은 단결정 기판 위로 이송되거나 단결정 기판 위에 적층되어 박층(thin layer) 형태로 제작된다. 그러한 환경 하에서, 상기 박층은 상기 단결정 기판 위에 이송되거나 적층되기 전에 또한 이미 나노 기공성 막일 수 있다.
-상기 박층을 단결정 기판 위로 이송하거나 적층하기 전에 장벽 층이 단결정 기판 위에 제작되며, 상기 장벽 층의 물질은 확산 장벽을 형성하고 적어도 일부분에서 기판을 구성하는 물질에 의해 촉매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에 적합하다.
-상기 막의 적어도 일부 기공 내에서 촉매가 성장하기 전에 물질을 형성하는 확산 장벽이 촉매가 그 밑에 있는 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에 적합하도록 적층된다. 예를 들면, 상기 확산 장벽은 기공의 바닥에 전기 도금된 텅스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촉매는 적어도 일부 기공 내에 전기도금에 의해 적층된다.
-상기 촉매는 적어도 일부 기공 내에 화학적 가스 적층법(chemical gas deposition)에 의해 적층된다.
-상기 촉매는 나노 기공성 막 내의 적어도 일부 기공 내에 적층되고, 이러한 방식으로 적층된 상태로 상기 촉매는 어닐링된다. 선택적으로 자기장 하에서 어닐링이 행해진다.
-전자 부품이 나노 기공성 막 상에 제작된다.
-상기 나노 스케일 필라멘트 구조는 탄소 나노 튜브이다.
-나노 스케일 필라멘트 구조는 화학기상법(chemical vapor deposition)에 의해 증착되며, 탄소 나노 튜브의 성장을 위한 촉매로서 전이 금속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희토류 금속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환경 하에서, 상기 촉매는 본질적으로 탄소를 잘 용해하는 물질인데, 예를 들면 그것은 철, 코발트, 니켈, 플라티늄 등 일 수 있으며, 또한 그것은 상기 성분 중 적어도 2 이상으로 이루어진 물질일 수도 있다.
-상기 나노 스케일 필라멘트 구조는 나노 와이어 또는 나노 로드일 수 있다. 그러한 환경하에서, 상기 촉매는 선택적으로 금과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금속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선행하는 항에 의한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나노 스케일 필라멘트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부품을 제공하는 데, 상기 부품은,
-단결정 영역을 포함하는 기공을 구비하는 나노 기공성 막, 및
-상기 나노 기공성 막의 적어도 일부 기공 내에 적어도 촉매의 일부는 나노 기공성 막의 단결정 영역 상에서 에피택스 성장되어 적층된 금속 촉매를 포함한다.
상기 부품은, 적어도 상기 나노 기공성 막의 일부분이 상기 나노 기공성 막의 다른 부분에 적층된 적어도 하나의 필라멘트 구조에 전압을 부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전극을 구성하는 나노 기공성 막의 일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부품은 다음의 처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부품은 상기 기판의 평면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나노 스케일 필라멘트 구조를 포함한다.
-부품은 그 자체로 나노기공성 막의 기공 내에 연장부를 가지는 전극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나노 스케일 필라멘트 구조는 탄소 나노 튜브이다.
-적어도 하나의 나노 스케일 필라멘트 구조는 로드 또는 와이어이다.
상기 특성들과 기타 사항들은 아래에서 기재된 한정되지 않은 예로서 주어지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의 기재에 따라 좀 더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기재된다.
도 1은 탄소 나노 튜브 합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선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탄소 나노 튜브를 포함하는 기공의 선도이다.
도 3은 촉매가 적층되어 있는 장벽 층에 의해 적어도 일부분이 둘러 싸여 있는 기공이 있는 나노 기공성 막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변형 실시예에 따라, 기판 위로 이송되어 지는 나노 기공성 막을 보여주는 선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한 구조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 4에서 도식적으로 나타낸 공정을 적용함에 있어서 나노 기공성 막을 이송하기 전에 기판 위에 장벽 층이 적층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을 제작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선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방법의 변형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 6과 유사한 선도이다.
도 8은 도 6과 도 7에 도시한 방법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를 보여주는 선도이다.
도 9는 나노 로드를 합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선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도시한 실시예 동안에 나노 로드의 성장을 야기하는 나노 기공성 막의 일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변형 실시예를 위한 오븐을 보여주는 선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는 2 가지의 응용과 관련된 예에 의하여 이하에서 설명된다.
첫 번째 응용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탄소 나노 튜브 형태로 나노 스케일 필라멘트 구조를 합성하기 위해 실시된다.
도 1은 첫 번째 응용과 연계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제한되지 않은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 본 방법은,
-알루미늄 기판(5)을 양극 산화(anodizing)하여 나노 기공성 막(3)을 제작하는 단계(100),
-선행 단계에서 얻어진 나노 기공성 막(3) 내에 촉매(7)를 형성하기 위해, 전이 금속(Ni, Cr, Co, Fe 등) 또는 플라티늄, 희토류(Y, Ce 등)와 합금화가 용이한 기타 원소를 전기 도금하는 단계(200)(상기 촉매(7)는 다량의 탄소를 용해하기에 적합한 원소이거나 화합물이다.), 및
-나노 기공성 막(3)의 기공(8)에 화학기상법(chemical vapor deposition)에 의해 탄소(15)를 적층하는 단계(300)를 포함한다.
나노 기공성 막을 얻기 위한 알루미늄 양극 산화 기술과 단계(100)에서 실시된 공정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Nielsch et al. 저 Adv. Mater. 12, 582 (2000) 또는 J. Magn. Magn. Mat. 249, 234 (2002) 참조]. 상기 기술은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는데, 기존의 정전위 전해 장치(potentiostat)만을 사용하므로 실시가 용이하고, 고내열성의 측면과 유전체적(dielectric) 성질의 관점 등에서 매우 탁월한 물질인 알루미나(Al2O3)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기술은, 실험실 수준에서, 직경이 5㎚~100㎚ 정도이고 길이가 0.5㎛~50㎛ 정도인 기공(8)의 배열을 구비하는 나노 기공성 막(3)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형적으로, 직경 60㎚의 기공을 얻기 위해서는, 기공 밀도는 ㎠ 당 1010 개의 기공의 수준이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기판(5)은 알루미늄 단결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수(a small number)의 시트(sheet) 또는 심지어는 단일의 시트로 된 탄소 나노 튜브를 얻기 위해서는 직경이 약 5㎚ 정도 또는 그 이하이고 길이는 1㎛ 이하 인 기공(8)이 있는 나노 기공성 막(3)이 제작되어야 한다. 전자 부품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기공 밀도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트의 수가 약 5 이하로 유지되는 정도에서는 탄소 나노 튜브의 키랄리티(chirality)는 보존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것은 소정의 키랄리티를 가지는 나노 튜브를 얻기 위해서는 직경이 5㎚~7㎚ 정도인 나노 기공을 얻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전자 분야에 적용 하기에 좀 더 상응하는 이점을 가진 탄소 나노 튜브를 얻는 것을 보장하게 된다.
전자 분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알루미늄 기판(5)은 양극 산화되어 나노 기공성 막(3)을 형성하고, 바람직하게는 탄소 나노 튜브를 구비하는 나노 구조 영역을 구획하기 위한 마스크와 전기적 연결을 구현하는데 좀 더 전용되는 영역을 사용한다.
촉매를 전기 도금하는 단계(200)는 나노 기공성 막(3)의 하부에 위치하는 알루미늄(9)과 전해 욕조(13) 내의 상대 전극(11) 간에 전위 차를 가함으로서 수행된다. 촉매를 전기 도금하는 단계(200)는 전해 성장 매개변수를 조절함으로서 수행된다(적층 전위차, 욕조 내 촉매의 농도, 욕조 염기도, 전위 차를 변화하는 적층 주파수 등). 그렇게 해서 상기 촉매의 단결정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양극 산화 하기 전에 상기 기판(5)의 알루미늄 단결정의 존재는 어느 정도 전기 도금하는 동안 에피택스 성장의 유발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한 기판(5) 위에 전기 도금되는 반도체 또는 금속의 결정 구조에 미치는 상기 기판(5)의 결정 구조의 영향이 설명되어 있다. 예를 들면, 엠.케이. 클라이너 트(M.K. Kleinert) 등에 의한 "Electrochemica Acta, 46 (2001) 3129" 논문에는 금(Au[100]) 위에 코발트를 전기 도금하여 상기 기판(5)의 대칭을 반영하는 정규적인 구조를 얻었다고 기재되어 있다. 피.에반스(P. Evanes) 등에 의한 "JMMM 260 (2003), 467" 논문에는 GaAs 기판 위에 전기 도금된 니켈은 두께 10~120㎚ 이상으로 에피택스 성장을 계속한다고 되어 있다.
상기 촉매는 선택적으로, 나노 기공성 막(3)을 얻기 위해 수행되는 단계인 기판(5)의 알루미늄 단결정을 양극 산화하는 단계(101) 중에 생성되는 산화 잔류물을 줄인 후에 전기 도금될 수 있다. 사전 교정(prior calibration)은 각 기공 내에 적층되는 촉매 원자의 수를 조절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한다.
전기 도금은, 빠르면서 잘 텍스쳐된 적층된 물질을 보존하면서 상기 기공(8)의 바닥에 촉매(7)가 적층될 수 있도록 하는 적층 기법이다.
또한 선택적으로, 전기 도금은 쉬운 자화축을 얻는 것을 고양하기 위해 자기장 하에서 수행될 수 있는데, 이는 탄소 나노 튜브의 다음 단계에서의 성장 중에 키랄리티를 조절할 수 있다.
촉매를 전기 도금하는 단계(200) 후에,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선택적으로 약 500 내지 630℃ 또는 그 이하의 온도에서 어닐링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도금 후에, 기판의 표면 상에 작은 입자 형태로 촉매가 존재하는 대신에 나노 기공성 막(3)의 기공(8) 내에 촉매가 포획되어 있는 것에 의해, 상기 촉매가 유착(coalesce)되는 표면 확산을 방지하면서 적당한(medium) 온도에서 결정화/에피택스 어닐링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상기 촉매의 나노 스케일의 크기를 유지하면서 적층 중 및/또는 어닐링에 의해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탄소(15)의 적층과 탄소 나노 튜브의 성장이 이루어지는 단계(300)는 화학기상법에 의해 느린 성장 속도로 수행된다. 이런 형태의 기술은 탄소 나노 튜브의 결정의 품질에 대한 좀 더 나은 제어가 가능하다. 특히, 전자 사이클론 공명 조건(electron cyclotron resonance condition)에서 플라즈마 보조 화학기상법(plasma-assisted chemical vapor deposition)은 저압 하에서의 작업을 가능하게 함에 따라 적층 속도의 훌륭한 제어가 가능하다.
전형적으로, 탄소 나노 튜브는 적층하는 동안 약 620℃로 설정된 온도에서 전구 기체(precursor gas)로서 아세틸렌을 사용하여 적층된다.
상기 양극 산화 단계(100)와 전기 도금 단계(200) 후에 알루미늄을 제거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따라서, 특히 탄소 나노 튜브가 성장하는 동안의 상기 온도는 650℃ 이상으로 올릴 수 있다. 이것은 또한 양극 산화와 전기 도금 후에 적층과 확산을 수행하여 알루미늄을 좀 더 내화적인(refractory) 금속과 합금화 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끝 부분에서 얻어지는 탄소 나노 튜브(15)는 그 성장이 상기 나노 기공성 막(3)과 상기 기판(5)의 단결정 물질 상에서 그 자체가 에피택스 성장한 촉매(7)에 의해 촉진되었기 때문에 방향성을 가지고 있다(도 2 참조). 따라서 나노 튜브의 키랄리티는 제대로 결정된다.
물론,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는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일 변형 실시예에서, 장벽 층(10)을 적층하는 단계(150)가 상기 양극 산화 단계(100)와 촉매(7)를 전기 도금하는 단계(200)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 장벽 층(10)은 상기 촉매(7)가 기판(5)으로부터 확산된 원소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상기 기공(8)의 바닥에서 촉매(7)의 에피택스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어닐링 단계를 사용하는 경우에 그러하다. 예에 의하면, 장벽 층(10)은 전기 도금된 텅스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다른 변형 실시예에서, 나노 기공성 막(3)은 양극 산화 단계(100)에서 알루미늄 층의 전체 두께에 걸쳐서 생성된다. 그런 후에 상기 나노 기공성 막은 단계(110)에서 알루미늄 기판(5) 위로 또는 좀 더 일반적으로는 단결정의 금속 기판 위로 이송된다.
도 5에 도시한 또 다른 변형 실시예에서, 상기된 단계(110)에서 그 두께에 걸쳐서 양극 산화된 나노 기공성 막(3)이 상기 기판(5) 위로 이송되기 전에, 알루미늄 기판(5) 위 또는 좀 더 일반적으로는 단결정의 금속 기판 위에 장벽 층(10)을 전기 도금하는 단계(160)가 수행되는데, 상기 막은 전에 미리 적층된 장벽 층(10)의 면 위에 이송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촉매(7)가 상기된 대로 단계(200)에서 적층된다.
게다가, 나노 기공성 막(3)으로서 알루미나 외의 물질이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 나이트라이드(AlN, 이 자체가 실리콘 위에서 에피택스 성장이 가능), 사파이어, 마그네슘 산화물(MgO) 등과 같은 절연 기판 위에서 에피택스 성장한 알루미늄 층으로부터 나노 기공성 막(3)의 알루미나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유사하게, 의도된 목적은 기판을 위해 선택된 방향성에 의존하는데, 다시 말하면 탄소 나노 튜브에 있어서 얻기 원하는 키랄리티이다.
또한, 탄소 나노 튜브가 적층되는 방식은 여러가지로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열간 필라멘트를 사용하는 화학기상법을 이용하여 좋은 결정 품질의 탄소 나노 튜브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전구 가스는 메탄 또는 당업자에게 이미 공지된 다른 탄소 함유 가스일 수도 있다. 사용되는 촉매의 기능을 최적화하는 온도가 구비될 수 있도록 적층 온도를 변화시키는 것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주요 장점 중의 하나는, 탄소 나노 튜브는 사전 교정된 크기의 기공 내에서 크기와 방향성이 모두 같은 촉매 나노 결정으로 부터 조절된 방식으로 성장된다는 사실에 기인하는데, 거기에서 얻어지는 탄소 나노 튜브도 마찬가지로 특히 직경과 그 키랄리티의 측면에서 모두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한 탄소 나노 튜브의 형상과 물성 특히 키랄리티의 제어는 전자 부품(트랜지스터, 발광 다이오드(LED), 센서, 엑추에이터 등)의 재현 방식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부품의 예가 도 6과 연계하여 이하에서 기재되어 있다. 전자 부품은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 FET)(50)를 포함한다.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50)는 다음 단계를 실시하여 제작된다.
-단결정의 절연 기판(AlN, 사파이어, MgO 등)(53) 상에서 알루미늄 층(51)이 에피택스 성장하는 단계(1000), 선택적으로는 상기 단결정 기판(53)은, 그 자체가 단결정이고 박층으로 에피택스 성장에 적합한 실리콘과 같은 기판 상에서 에피택스 성장한 절연 박층(AlN, 사파이어, MgO 등)으로 대치될 수 있다.
-알루미늄 층(51)의 두께로 에칭되는 스트립(55)을 에칭하는 단계(1010), 상기 기판(53)의 평면에서 상기 스트립(55)의 방향성은, 전기 도금에 의해 촉매 나노결정의 에피택스 성장을 최적화하기 위한 알루미늄 측면부(57)의 특정 측면 방향성을 고양하기 위해 선택된다.
-에피택스 성장한 알루미늄 층(51) 위에 전극(59)을 적층하는 단계(1020), 전극(59)은 다음의 양극 산화와 전기 도금을 위해 필요하다.
-에피택스 성장한 알루미늄 층(51)과 전극(59)으로 구성된 조립체를 폴리머 또는 실리카 같은 절연 물질(61) 또는 기타 절연 박층으로 둘러싸는 단계(1030), 상기 절연 물질(61)은 에피택스 성장한 알루미늄 층(51)의 상부와 전극(59)을 다음 단계의 양극 산화와 전기 도금에 사용되는 전해 용액으로부터 절연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둘러 싸는 절연 물질(61)에 의해 보호되지 않는 에피택스 성장한 알루미늄 층(51)의 측면부(57)를 양극 산화하는 단계(1040), 본 단계는 상기 단계(100)를 실시함에 의해 수행되며, 이것은 Al2O3/Al 계면(58)의 형성을 야기한다.
-상기 계면(58)에서 촉매(60)를 전기 도금하는 단계(1050), 본 단계는 상기한 공정(200)과 같은 방식으로 수행된다.
-층을 둘러 싸는 절연 물질(61)과 상기 전극(59)을 제거하는 단계(1060).
-상기 알루미늄(51)을 제거하는 선택적인 단계(1065), 특히 다음 단계에서 650℃ 이상의 온도에서 탄소 나노 튜브(63)를 성장시키기 위한 경우에 거치는 단계이다.
-화학기상법에 의해 탄소 나노 튜브(63)가 성장하는 단계(1070), 상기의 단계(300) 실시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에피택스 성장한 알루미늄을 산화시켜 형성한 알루미나로 구성된 스트립(55) 내에 고립부(island)(65)를 제작하는 단계(1080)(약간의 알루미늄(51)이 남아 있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스트립(55)은 적어도 탄소 나노 튜브(63)를 구비한 하나의 측면부(57)를 가지고 있으며, 선택적으로 상기 알루미나는 다시 에칭되어 탄소 나노 튜브(63)는 상기 측면부(57)로부터 돌출된다.
-드레인 면(drain side)(에피택스 성장한 알루미늄 층(51) 상의 또는 플러시 탄소 나노 튜브(63)와 함께) 상에서 그리고 소스 면(source side)(측면부(57) 위에서 플러시 탄소 나노 튜브(63)를 구비) 상에서 옴 접촉을 형성하기 위해 전형적으로는 티타늄인 금속(67)을 적층하는 단계(1090).
-채널(69)을 에칭하는 단계(1100).
-절연 박층(71), 전형적으로는 SiO2, 또는 TiO2와 같은 큰 유전 상수를 가지는 다른 물질을 적층하는 단계(1110).
-그리드(73)를 적층, 에칭하여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67a, 67b) 상에서 약간 중첩시키는 단계(1120).
FET(50)를 제작하는 상기의 방법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히, 도 7은 자체 정렬(self-alignment)에 의해 FET(50) 제작이 가능함을 보여 주고 있다.
예를 들면, 상기한 단계(1090) 내지 단계(1120)는 다음의 단계(1091) 내지 단계(1121)로 대치될 수 있다.
단계(1091) 동안, 금속(67)은 상기한 단계(1090)에 따라 적층된다.
단계(1101) 동안, 금속 층(67)은 나노 기공성 알루미나에 도달할 때까지 평탄화(planarization)에 의해 에칭된다. 이런 에칭은 화학적 기계적 연마(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로 알려져 있는, 당업자에게 이미 널리 알려져 있는 방법에 의해 수행된다.
유전 물질 층(71)과 금속 층(73)의 연속적인 적층은 단계(1111) 및 단계(1111')에서 이루어진다.
단계(1121) 동안에, 상기 금속 층(73)은 에칭되어 FET(50)의 그리드를 형성한다.
도 8에 도시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 6에 도시한 실시예의 단계(1050) 외의 단계들은 다음의 단계로 대치된다.
단계(1052) 동안, 수지(75)는 나노 기공성 막(3)의 높이의 분율에 대응하는 두께로 적층된다.
단계(1062) 동안, 상기 수지(75)에 의한 보호를 받지 못하는 표면 기공(8)들 은 선택적으로 탄소 나노 튜브 성장을 위한 촉매를 구성하지 않는 금속을 사용하여 채워지게 된다. 단계(1072) 동안, 상기 수지(75)는 제거되고 촉매(7)는 예를 들며, 상기의 단계(1030) 내지 단계(1060)에 기재된 방식에 따라 전기 도금된다.
단계(1082) 동안, 탄소 나노 튜브(63)는, 예를 들면 상기 단계(1070)와 같이 성장한다.
단계(1092) 동안, 탄소 나노 튜브(63)는 에칭되고 기공(8) 내의 상기 금속(71)은 에칭 분위기 하에 있다.
단계(1102) 동안,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접지는 예를 들면, 상기의 단계(1090) 및 단계(1100)와 유사한 방식으로 금속을 적층하고 에칭하는 것에 의해 적층된다.
단계(1112)에서는, 단계(1122) 동안 알루미나 내에서 우물부(79)가 개방된 상태에 있고, 기공(8) 내에서 상기 금속(77)과 접촉될 수 있도록 그리드(73)가 적층될 수 있다.
두 번째 응용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나노 와이어 또는 나노 로드 형태로 나노 스케일 필라멘트 구조를 합성하기 위해 실시된다. 이러한 구조들은 당업자들에게는 "휘스커"(whisker)로 이미 알려져 있다(프랑스 공개 공보 제2 658 839호 참조).
도 9는 상기 2번째 응용과 연계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제한되지 않은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두번째 응용에서, 본 방법은,
-단결정 알루미늄 기판(5)(또는 좀 더 일반적으로는 어떠한 단결정 금속의 기판)을 일부 양극 산화하여 나노 기공성 막(3)을 제작하는 단계(101),
-전 단계에서 제작한 나노 기공성 막(3) 내에 촉매(7)를 형성하기 위해 금 같은 금속을 전기 도금하는 단계(201),
-SiCl4와 H2로 구성된 혼합 가스의 흐름이 있는 오븐(81) 내에서 레이저 박리(laser ablation)에 의해 보조되는 화학기상법으로 실리콘과 게르마늄의 다중 층을 성장시키는 단계(301)를 포함한다. 이러한 다중 층 구조는 기공(8) 내면에서 단결정의 나노 로드(83)를 구성한다.
또한, 전자 부품을 제작하기 위해, 단계(401) 동안, 구리와 같은 전도성 금속(85)이, 단계(301) 동안에 만들어진 나노 로드(83)의 인근 기공(8) 내에, 예를 들면 전기 도금에 의해 적층된다.
양극 산화 단계(101)는 첫 번째 응용에서 실시되었던 것과 유사하다. 이것은 물론 동일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전기 도금 단계(201)는 전기 도금되는 촉매의 본질이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제외하면, 첫 번째 응용에서 실시되었던 것과 유사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것은 동일한 장점을 보유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201') 동안 선택적으로 단계(201) 동안에 적층된 촉매(7)를 어닐링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어닐링은 기판(5) 상에서 촉매의 에피택스 성장을 가능하게 한다.
단계(301)에서는 실리콘 적층과 실리콘-게르마늄 적층이 교대로 연속적으로 일어나는 301a, 301b, ..., 301i 단계로 구성된 실리콘과 게르마늄의 다중 층 구조의 성장이 일어난다. 이런 목적을 위해, 실리콘 도가니(87)와 게르마늄 타겟(89)이 오븐(81) 내에 놓여 진다. 실리콘 적층과 실리콘-게르마늄 적층이 교대로 일어나는 동안, SiCl4와 H2로 구성된 혼합 가스가 오븐(81)을 관통하여 지나가면서, 실리콘 도가니(87)와 게르마늄 타겟(89)으로부터 형성된 실리콘과 실리콘-게르마늄 증기를 운반한다. 실리콘이 적층되는 단계에서는 실리콘만이 증기화된다. 실리콘-게르마늄이 적층되는 단계에서는 실리콘이 증발되는 외에도 게르마늄 또한 레이저 박리에 의해 증기화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변형 실시예에서, 이러한 성장 단계(301)의 실시는 '나노레터즈(Nanoletters) 2, 83 (2002)'에서의 와이.우.(Y. Wu.) 등의 기사에 기초하고 있다. 레이저 박리는 프로그램 가능한 주기적인 증기원(puled vapor source)을 제공한다. 따라서, 나노 로드(83)가 각 나노 로드(83)의 전체 높이에 걸쳐서 잘 구획된 조성 분포를 가지고 블록 바이 블록(block by block)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높이 2㎛ 이고 직경이 35㎚ 이면서 Si/SiGe의 초격자(superlattice)의 단결정 나노 로드(83)가 제작된다. 그러한 일차원의 불균질 조직(heterostructure)은 발광 장치와 열전 장치와 같은 응용에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단계(401)는 단계(301)에서 제작된 나노 로드(83)에 인접한 기공 내에 예를 들면 당업자에게 이미 널리 알려져 있는 마스킹(masking)과 마 이크로리소그라피(microlithography) 기술(가능하게는 전자 마이크로리소그라피 기술)에 의해 구리를 전기 도금하는 것을 포함한다.
기판(5) 아래에 있는 알루미늄과 트랜지스터(50)의 소스 및 드레인 접지를 형성하기 위해 막 상에 적층된 상기 구리(85) 사이에 전위 차가 가해진 상태에서 구조가 얻어질 수 있다. 이때 기공 근처의 구리는 상기 트랜지스터(50)의 그리드를 형성한다.
이러한 두번째 응용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첫 번째 응용에서 실시되었던 것과 같은 변형이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특히, 장벽 층의 사용 및/또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나노 기공성 막의 이송이 도입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히, 상기한 수 개의 실시예들의 단계는 서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나노 기공성 막(3)의 기공(8) 내에는 이미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식에 의해 촉매 입자가 적층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화학 기체 적층법(CVD)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기술에 있어서, 오븐(81) 내에서 분해 되고 오븐 내에서 막(3)은 샘플 캐리어(99) 상에 위치하는 Ni(CO)5 또는 Fe(CO)5와 같은 카보닐 금속이 사용될 수 있다(도 11 참조). 예를 들면, Fe(CO)5 사용시, 약 250℃ 에서 분해가 일어난다. 또한, 더 높은 온도(약 600 내지 800℃)에서 분해되는 디실코펜타디에닐리론(dicylcopentadienyliron, ferrocene:Fe(Cp)2)와 같은 전구 기체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예를 들면 Ni, Fe 같은 금속이 기공(8) 내에 적층된다.

Claims (25)

  1. 나노 스케일 필라멘트 구조(63)를 구비한 전자 부품(50) 합성 방법으로서,
    -나노 기공성 막(nanoporous membrane)(3)에서 상기 나노 기공성 막(3)의 적어도 일부 기공(pore)(8)까지 침투하는 금속 촉매(7)를 적층하는 공정, 및
    -상기 나노 기공성 막(3)의 적어도 일부 기공(8) 내에서 상기 촉매(7) 상에서 필라멘트 구조(63)의 성장을 야기하는 공정으로 구성되는 조작을 포함하고, 상기 기공(8) 벽이 단결정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단결정 영역 상에서 적어도 일부의 금속 촉매(7)가 에피택스 성장하도록 상기 나노 기공성 막(3)을 준비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스케일 필라멘트 구조(63)를 구비한 전자 부품(50) 합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기공성 막(3)에 교정된(calibrated) 기공(8)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스케일 필라멘트 구조(63)를 구비한 전자 부품(50) 합성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나노 기공성 막(3)이 실질적으로 평면 내에서 연장되게 제작되고, 상기 기공(8)은 실질적으로 상기 막(3)의 상기 평면에 수직되는 방향을 향하게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스케일 필라멘트 구조(63)를 구비한 전자 부품(50) 합성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나노 기공성 막(3)이 실질적으로 평면 내에서 연장되게 제작되고, 상기 기공(8)은 실질적으로 상기 막(3)의 상기 평면에 평행한 방향을 향하게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스케일 필라멘트 구조(63)를 구비한 전자 부품(50) 합성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나노 기공성 막(3)의 상기 기공(8) 벽의 상기 단결정 영역은 상기 기공(8)의 바닥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스케일 필라멘트 구조(63)를 구비한 전자 부품(50) 합성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기공성 막(3)은 단결정 기판(5)의 양극 산화(anodic oxidation)에 의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스케일 필라멘트 구조(63)를 구비한 전자 부품(50) 합성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기공성 막(3)은 단결정 기판(5) 위로 이송되거나 단결정 기판(5) 위에 적층되어 박층(thin layer)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스케일 필라멘트 구조(63)를 구비한 전자 부품(50) 합성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결정 기판(5) 위에 상기 박층을 이송하거나 적층하기 전에 상기 단결정 기판(5) 위에 장벽 층(10)이 제작되고, 상기 장벽 층(10)의 물질은 확산 장벽을 이루고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촉매(6)가 상기 기판(5)을 구성하는 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스케일 필라멘트 구조(63)를 구비한 전자 부품(50) 합성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3)의 적어도 일부 기공(8) 내에 촉매(7)가 성장되기 전에, 물질을 구성하는 확산 장벽이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촉매(7)가 그 하부에 있는 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스케일 필라멘트 구조(63)를 구비한 전자 부품(50) 합성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7)가 적어도 일부의 상기 기공(8) 내에 전기 도금에 의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스케일 필라멘트 구조(63)를 구비한 전자 부품(50) 합성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7)가 적어도 일부의 상기 기공(8) 내에 화학적 가스 적층법(chemical gas deposition)에 의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스케일 필라멘트 구조(63)를 구비한 전자 부품(50) 합성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7)는 나노 기공성 막(3)의 적어도 일부 기공(8) 내에 적층되고 나서 이러한 방식으로 적층된 상태로 상기 촉매(7)가 어닐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스케일 필라멘트 구조(63)를 구비한 전자 부품(50) 합성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어닐링은 자기장 하에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스케일 필라멘트 구조(63)를 구비한 전자 부품(50) 합성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전자 부품(50)이 나노 기공성 막 상에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스케일 필라멘트 구조(63)를 구비한 전자 부품(50) 합성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스케일 필라멘트 구조(63)는 탄소 나노 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스케일 필라멘트 구조(63)를 구비한 전자 부품(50) 합성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7)는 전이 금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스케일 필라멘트 구조(63)를 구비한 전자 부품(50) 합성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멘트 구조(63)는 화학기상법(chemical vapor deposition)에 의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스케일 필라멘트 구조(63)를 구비한 전자 부품(50) 합성 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스케일 필라멘트 구조(63) 나노 와이어 또는 나노 로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스케일 필라멘트 구조(63)를 구비한 전자 부품(50) 합성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7)는 금과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리스트(list)의 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스케일 필라멘트 구조(63)를 구비한 전자 부품(50) 합성 방법.
  20. 제1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얻어진 적어도 하나의 나노 스케일 필라멘트 구조(63)를 포함하는 전자 부품으로서,
    -단결정 영역을 포함하는 기공(8)을 구비한 나노 기공성 막, 및
    -상기 나노 기공성 막(3)의 적어도 일부 기공(8) 내에 적어도 촉매의 일부는 나노 기공성 막(3)의 단결정 영역 상에서 에피택스 성장되어 적층된 금속 촉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자 부품(50).
  21. 제20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나노 기공성 막(3)의 일부분은 상기 나노 기 공성 막(3)의 다른 부분에 적층된 적어도 하나의 필라멘트 구조(63)에 분배되는 전압을 일으키는 전극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
  22. 제20항에 있어서, 기판(5) 위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기판(5)의 평면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필라멘트 나노 스케일 구조(63)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기공성 막(3)의 기공(8) 내에 그 자체로 연장부를 가지고 있는 전극(85)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
  24. 제20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필라멘트 나노 스케일 구조(63)는 탄소 나노 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
  25. 제20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필라멘트 나노 스케일 구조(63)는 로드 또는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
KR1020067009126A 2003-10-13 2004-10-12 나노미터 스케일 필라멘트 구조 합성 방법 및 그러한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부품 KR1011490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311959 2003-10-13
FR0311959A FR2860780B1 (fr) 2003-10-13 2003-10-13 Procede de synthese de structures filamentaires nanometriques et composants pour l'electronique comprenant de telles structures
PCT/FR2004/002584 WO2005037710A1 (fr) 2003-10-13 2004-10-12 Procede de synthese de structures filamentaires nanometriques et composants pour l'electronique comprenant de telles structur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3973A KR20060133973A (ko) 2006-12-27
KR101149088B1 true KR101149088B1 (ko) 2012-05-25

Family

ID=34355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9126A KR101149088B1 (ko) 2003-10-13 2004-10-12 나노미터 스케일 필라멘트 구조 합성 방법 및 그러한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부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846819B2 (ko)
EP (1) EP1673306B1 (ko)
JP (1) JP4970038B2 (ko)
KR (1) KR101149088B1 (ko)
AT (1) ATE392390T1 (ko)
DE (1) DE602004013172T2 (ko)
FR (1) FR2860780B1 (ko)
WO (1) WO20050377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68201B1 (fr) 2004-03-23 2007-06-29 Ecole Polytechnique Dgar Procede de fabrication de composants electroniques et composants electroniques obtenus par ce procede
FR2888041B1 (fr) 2005-06-30 2008-02-22 Centre Nat Rech Scient Plaque active d'ecran plat
US8043978B2 (en) * 2007-10-11 2011-10-25 Rik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electronic device
JP5276830B2 (ja) * 2007-11-13 2013-08-28 公益財団法人神奈川科学技術アカデミー インプリント用モールドの製造方法
TW200935635A (en) * 2008-02-15 2009-08-16 Univ Nat Chiao Tung Method of manufacturing nanometer-scale thermoelectric device
US7858506B2 (en) 2008-06-18 2010-12-28 Micron Technology, Inc. Diodes, and methods of forming diodes
US8211737B2 (en) 2008-09-19 2012-07-03 The University Of Massachusetts Method of producing nanopatterned articles, and articles produced thereby
US8247033B2 (en) 2008-09-19 2012-08-21 The University Of Massachusetts Self-assembly of block copolymers on topographically patterned polymeric substrates
US8518837B2 (en) 2008-09-25 2013-08-27 The University Of Massachusetts Method of producing nanopatterned articles using surface-reconstructed block copolymer films
FR2937055B1 (fr) 2008-10-09 2011-04-22 Ecole Polytech Procede de fabrication a basse temperature de nanofils semiconducteurs a croissance laterale et transistors a base de nanofils, obtenus par ce procede
DE102008053030A1 (de) * 2008-10-24 2010-04-29 Kme Germany Ag & Co. Kg Metall/CNT-und/oder Fulleren-Komposit-Beschichtung auf Bandwerkstoffen
WO2010101355A2 (ko) * 2009-03-06 2010-09-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키메릭 단백질, 그 제조방법 및 그 키메릭 단백질이 고정화된 나노센서 및 그 응용
FR2945891B1 (fr) * 2009-05-19 2011-07-15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Structure semiconductrice et procede de realisation d'une structure semiconductrice.
US8551806B2 (en) * 2009-10-23 2013-10-08 Nantero Inc. Methods for passivating a carbonic nanolayer
KR101636907B1 (ko) * 2009-12-08 2016-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다공성 나노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US9156682B2 (en) 2011-05-25 2015-10-13 The University Of Massachusetts Method of forming oriented block copolymer line patterns, block copolymer line patterns formed thereby, and their use to form patterned articles
WO2013122260A1 (en) 2012-02-15 2013-08-22 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Tablet
JP5909826B2 (ja) * 2012-05-11 2016-04-2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カーボンナノ構造体の製造方法
CA2882515C (en) 2012-08-31 2016-10-18 Soucy Techno Inc. Rubber compositions reinforced with fibers and nanometric filamentary structures, and uses thereof
US9840611B2 (en) 2013-10-18 2017-12-12 Soucy Techno Inc. Rubber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WO2015089647A1 (en) 2013-12-19 2015-06-25 Soucy Techno Inc. Rubber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JP2016522996A (ja) * 2014-05-30 2016-08-04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放熱構造及びその合成方法
US10614966B2 (en) 2014-08-11 2020-04-07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The University Of Arizona Aligned graphene-carbon nanotube porous carbon composite
US9735366B2 (en) * 2014-09-30 2017-08-15 Cnm Technologies Gmbh Heterostructure comprising a carbon nanomembrane
US9401488B2 (en) 2014-12-18 2016-07-26 Northrop Grumman Systems Corporation Cobalt-carbon eutectic metal alloy ohmic contact for carbon nanotube field effect transistors
EP3109201A1 (fr) 2015-06-24 2016-12-28 Luxembourg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LIST) Matériau biphasique à base de silice et de nanotubes de carbone
US10014373B2 (en) 2015-10-08 2018-07-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abrication of semiconductor junctions
US10355206B2 (en) 2017-02-06 2019-07-16 Nantero, Inc. Sealed resistive change element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27011A2 (en) * 2001-06-04 2003-04-03 Ut-Battelle, Llc Catalyst-induced growth of carbon nanotubes on tips of cantilevers and nanowires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4973A (en) * 1987-08-24 1988-11-15 Inmos Corporation Semiconductor contact silicide/nitride process with control for silicide thickness
FR2658839B1 (fr) * 1990-02-23 1997-06-20 Thomson Csf Procede de croissance controlee de cristaux aciculaires et application a la realisation de microcathodes a pointes.
JP3008852B2 (ja) * 1996-06-21 2000-02-14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放出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683783B1 (en) * 1997-03-07 2004-01-27 William Marsh Rice University Carbon fibers formed from single-wall carbon nanotubes
JP3740295B2 (ja) * 1997-10-30 2006-02-01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デバイス、その製造方法及び電子放出素子
US6129901A (en) * 1997-11-18 2000-10-10 Martin Moskovits Controlled synthesis and metal-filling of aligned carbon nanotubes
JP3902883B2 (ja) * 1998-03-27 2007-04-11 キヤノン株式会社 ナノ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6346189B1 (en) * 1998-08-14 2002-02-12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Carbon nanotube structures made using catalyst islands
AUPQ065099A0 (en) * 1999-05-28 1999-06-24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Substrate-supported aligned carbon nanotube films
AUPQ304199A0 (en) * 1999-09-23 1999-10-21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Patterned carbon nanotubes
KR100360476B1 (ko) * 2000-06-27 2002-11-08 삼성전자 주식회사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나노 크기 수직 트랜지스터 및 그제조방법
CN1155740C (zh) * 2000-07-04 2004-06-30 南京大学 大尺寸纳米有序孔洞模板的制备方法
JP2002141633A (ja) * 2000-10-25 2002-05-17 Lucent Technol Inc 垂直にナノ相互接続された回路デバイスからなる製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3602092B2 (ja) * 2000-11-21 2004-12-15 双葉電子工業株式会社 ナノカーボンの製造方法、ナノカーボンの製造装置、ナノカーボンのパターン化方法
US7189435B2 (en) * 2001-03-14 2007-03-13 University Of Massachusetts Nanofabrication
GB0111875D0 (en) * 2001-05-15 2001-07-04 Univ Cambridge Tech Synthesis of nanoscaled carbon materials
DE10123876A1 (de) * 2001-05-16 2002-11-28 Infineon Technologies Ag Nanoröhren-Anordn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Nanoröhren-Anordnung
US6761871B2 (en) * 2001-05-22 2004-07-13 Reginald Bernard Little Magnetic production of carbon nanotubes and filaments
US6709929B2 (en) * 2001-06-25 2004-03-23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Methods of forming nano-scale electronic and optoelectronic devices using non-photolithographically defined nano-channel templates
KR100837393B1 (ko) * 2002-01-22 2008-06-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탄소와 친화도가 높은 금속을 전극으로 구비하는 전자소자
WO2003069019A1 (en) * 2002-02-11 2003-08-21 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 Directed assembly of highly-organized carbon nanotube architectures
JP2006510229A (ja) * 2002-08-28 2006-03-23 ユニバーシティー オブ ピッツバーグ 対称性および秩序が制御された自己組織化されるナノポア・アレイ
US6605535B1 (en) * 2002-09-26 2003-08-12 Promos Technologies, Inc Method of filling trenches using vapor-liquid-solid mechanism
TWI261045B (en) * 2002-12-30 2006-09-01 Ind Tech Res Inst Composite nanofibers and their fabrications
US20050276743A1 (en) * 2004-01-13 2005-12-15 Jeff Lacombe Method for fabrication of porous metal templates and growth of carbon nanotubes and utilization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27011A2 (en) * 2001-06-04 2003-04-03 Ut-Battelle, Llc Catalyst-induced growth of carbon nanotubes on tips of cantilevers and nanowires
WO2003027011A3 (en) 2001-06-04 2003-10-16 Ut Battelle Llc Catalyst-induced growth of carbon nanotubes on tips of cantilevers and nanowire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LI, E. et al., Applied Physics Letters vol. 75, no. 3 pages 367-36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3973A (ko) 2006-12-27
EP1673306A1 (fr) 2006-06-28
DE602004013172D1 (de) 2008-05-29
EP1673306B1 (fr) 2008-04-16
US7846819B2 (en) 2010-12-07
JP4970038B2 (ja) 2012-07-04
DE602004013172T2 (de) 2009-06-18
JP2007509831A (ja) 2007-04-19
US20060292870A1 (en) 2006-12-28
WO2005037710A1 (fr) 2005-04-28
ATE392390T1 (de) 2008-05-15
FR2860780A1 (fr) 2005-04-15
FR2860780B1 (fr) 2006-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9088B1 (ko) 나노미터 스케일 필라멘트 구조 합성 방법 및 그러한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부품
JP5688775B2 (ja) グラフェン素材の製造方法
KR101668691B1 (ko) 마이크로구조화 및 나노구조화된 그래핀 및 그래파이트의 배리어 유도형 성장 방법
CN103378224B (zh) 外延结构的制备方法
US8865577B2 (en) Method for making epitaxial structure
US9231060B2 (en) Eptaxial structure
US9099307B2 (en) Method for making epitaxial structure
US20040175844A1 (en) Sacrificial template method of fabricating a nanotube
CN103378237B (zh) 外延结构
JP2004193523A (ja) ナノ構造体、電子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EP1807913B1 (en) Semiconductor device with tunable energy band gap
US20130285212A1 (en) Epitaxial structure
JP2006512218A (ja) ナノチューブを製造する犠牲テンプレート方法
US7417320B2 (en) Substrat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JP5622890B2 (ja) エピタキシャル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114284349A (zh) 石墨烯晶体管和制造石墨烯晶体管的方法
JP2005220436A (ja) 陽極酸化アルミナ膜を具備する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利用
JP2005059135A (ja)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を用いた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7145080A1 (ja)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ネットワーク複合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272110B1 (ko) 질화갈륨 나노 로드 제조 방법 및 질화갈륨 나노 로드 발광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1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10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5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5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