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정 표시 장치는 고정세 (高精細), 박형, 경량, 및 저소비 전력 등의 우수한 특장을 갖는 평면 표시 장치로서, 최근, 표시 성능의 향상, 생산 능력의 향상, 및 다른 표시 장치에 대한 가격 경쟁력 향상에 수반하여, 그 시장 규모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다.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표시 품위의 개선이 진행되는 상황하에서, 시야각 특성에 관한 문제로서 백화 등, 표시 휘도의 계조 의존성인 γ 특성의 시각 의존성 문제가 새롭게 현재화 (顯在化) 되어 있다.
γ 특성의 시각 의존성 문제란, 정면 방향에서 관측하였을 때의 γ 특성과, 경사 방향에서 관측하였을 때의 γ 특성이 상이하다는 문제이다. 정면 방향에서 관측할 때와 경사 방향에서 관측할 때에 γ 특성이 상이하다는 것은, 계조 표시 상태가 관측 방향에 따라 상이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γ 특성의 시각 의존성 문제는, 사진 등의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 수신기가 수신한 텔레비전 방송을 표시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특히 큰 문제가 된다.
상기 γ 특성의 시각 의존성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기술로는, 종래 멀티 회소 (繪素) 구동으로 불리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참조). 멀티 회소 구동이란, 1 개의 표시 회소를, 휘도가 상이한 2 개 이상의 부회소로 분할하여 구성함으로써, 시야각 특성, 즉 γ 특성의 시각 의존성을 개선하는 기술이다.
이하에서는, 멀티 회소 구동의 원리에 대하여, 도 11 내지 도 16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 은, 액정 표시 장치의 액정 표시 패널에서의 γ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또한, 도 11 에 나타내는 그래프에 있어서, 세로축은 휘도비이며, 가로축은 계조 (전압) 이다. 도 11 에 나타내는 그래프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내어져 있는 특성은, 통상적인 구동 방식으로 구동되는 액정 표시 패널을 정면 방향에서 관측한 경우의 γ 특성으로, 이러한 γ 특성을 갖는 경우에는 가장 정상적인 시인성이 얻어진다. 또한, 여기서 통상적인 구동 방식이란, 1 개의 표시 회소가 복수의 부회소로 분할되지 않는 구동 방식을 의미한다. 도 11 에 나타내는 그래프에 있어서, 파선으로 나타내어져 있는 특성은, 통상적인 구동 방식으로 구동되는 액정 표시 패널을 경사 방향에서 관측한 경우의 γ 특성으로, 이러한 γ 특성을 갖는 경우에는, 정상적인 시인성에 대한 γ 특성의 편차가 발생되어 있다. 또한, 그 편차의 정도는, 휘도비가 0 또는 1 에 가까운 부분에서 작아져 있고, 휘도비가 0 또는 1 에서 먼 부분에서 커져 있다. 요컨대, 그 편차의 정도는, 명휘도 및 암휘도를 나타내는 부분에서는 작아져 있고, 중간조를 나타내는 부분에서는 커져 있다. 이 때문에, 경사 방향에서의 시인의 중간조의 표시 휘도는 매우 커지고, 그 결과 경사 방향에서의 시인에서는 백화 등이 발생한다.
한편, 멀티 회소 구동에서는, 1 개의 표시 회소에 있어서 목표가 되는 휘도를 얻는 경우에, 그 1 개의 표시 회소를 구성하는 복수의 부회소에서의 평균 휘도를, 그 목표가 되는 휘도로 하도록 회소의 구동을 제어한다. 멀티 회소 구동에서는, 정면 방향에서 관측한 경우의 γ 특성이 통상적인 구동 방식과 동일한 특성이 된다. 요컨대, 멀티 회소 구동에서는, 정면 방향에서 관측한 경우의 γ 특성이, 도 11 에 나타내는 그래프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내어져 있는 특성이 되어, 가장 정상적인 시인성이 얻어진다. 한편으로, 멀티 회소 구동에서는, 경사 방향에서 관측한 경우의 γ 특성이, 도 11 에 나타내는 그래프에 있어서, 1 점 쇄선에 의해 나타내어져 있는 특성이 되어, 휘도의 편차는 저감된다. 이는, 휘도의 편차가 작은 명휘도 부근 및 암휘도 부근의 영역 표시를 부회소마다에 의해 실시하고, 또한 그 부회소의 휘도의 평균에 의해, 중간조 휘도의 영역 표시를 실시함에 의한다.
다음으로, 멀티 회소 구동으로 구동되는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 회소의 구성 예를, 도 12 에 나타낸다.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개의 표시 회소 (120) 는, 부회소 (121, 122) 라는 복수의 부회소로 분할되어 있다. 또, 부회소 (121) 는, TFT (Thin Film Transistor : 123) 를 통해서 주사선 (Gn) 및 신호선 (Sm) 에 접속되어 있고, 부회소 (122) 는, TFT (124) 를 통해서 주사선 (Gn) 및 신호선 (Sm) 에 접속되어 있다. TFT (123, 124) 의 게이트 전극은, 서로 공통 (동일) 되는 주사선 (Gn) 에 접속되어 있다. 또, TFT (123, 124) 의 소스 전극은, 서로 공통 (동일) 되는 신호선 (Sm) 에 접속되어 있다.
부회소 (121) 는, 액정 용량 (CLC100) 및 보조 용량 (CCS100) 을 갖고 있다. 액정 용량 (CLC100) 및 보조 용량 (CCS100) 은 모두, 일방의 전극이 TFT (123) 의 드레인 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액정 용량 (CLC100) 의 타방의 전극은, 대향 전압 (VCOM100) 에 접속되어 있다. 보조 용량 (CCS100) 의 타방의 전극은, 보조 용량 배선 (125) 에 접속되어 있다. 이로써, 보조 용량 (CCS100) 에는, 보조 용량 배선 (125) 으로부터 보조 용량 대향 전압 (이하, CS 전압이라고 한다) 이 인가될 수 있다.
또, 부회소 (122) 는, 액정 용량 (CLC101) 및 보조 용량 (CCS101) 을 갖고 있다. 액정 용량 (CLC101) 및 보조 용량 (CCS101) 은 모두, 일방의 전극이 TFT (124) 의 드레인 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액정 용량 (CLC101) 의 타방의 전극은, 대향 전압 (VCOM101) 에 접속되어 있다. 보조 용량 (CCS101) 의 타방의 전극은, 보조 용량 배선 (126) 에 접속되어 있다. 이로써, 보조 용량 (CCS101) 에는, 보조 용량 배선 (126) 으로부터 상기 보조 용량 (CCS100) 에 공급될 수 있는 CS 전압과 상이한 CS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도 12 에 나타내는 표시 회소 (120) 에 있어서, 부회소 (121, 122) 의 각각에 인가되는 소스 전압 및 CS 전압의 파형의 일례를 도 13 에 나타낸다.
도 12 에 나타내는 구성을 갖는 표시 회소 (120) 에서는, 분할된 복수의 부회소 (121, 122) 에 대하여 각각 상이한 CS 전압을 인가한다. 이로써, TFT (123) 의 드레인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은, TFT (124) 의 드레인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과는 상이한 전압이 된다. 그리고, 부회소 (121, 122) 에서는, 표시되는 계조도 서로 상이한 것이 된다. 또한 이 경우, CS 전압은, AC (alternating current) 에 의해 구동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TFT (123, 124) 의 소스 전극은, 서로 동일한 게이트 타이밍으로 온이 되는데, TFT (123, 124) 의 드레인 전극에 접속되는 CS 전극 (즉, 보조 용량 (CCS100, CCS101)) 의 전압은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TFT (123) 와 TFT (124) 에서는 실제로 유지되는 전압이 상이한 것이 된다. 그리고 이로써, 부회소 (121, 122) 에서는 서로 상이한 휘도, 즉 서로 상이한 계조의 표시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조 용량 배선 (125) 에서의 CS 전압과, 보조 용량 배선 (126) 에서의 CS 전압은,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대략 동일한 진폭 및 주파수를 가짐과 함께 위상이 대략 180 도 상이하다. 또, 다음 프레임에 있어서는, TFT (123, 124) 의 소스 전압의 반전에 맞추어, CS 전압은 반전된다. 이렇게 하여 CS 전압은, AC 에 의해 구동되게 된다.
여기서, 부회소 (121) 에 인가되는 전압 (Va), 및 부회소 (122) 에 인가되는 전압 (Vb) 은, 목표가 되는 휘도를 부여하는 본래의 인가 전압 (Vm) 에 대하여, 하기 수식 (1),
Vm = (Va + Vb)/2 … (1)
라는 관계를 만족한다. 이로부터, 상기 목표가 되는 휘도는, 부회소 (121, 122) 의 표시 휘도의 평균에 의해 얻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특허문헌 2 에는, 수평 주사 기간이 짧은 고정세의 액정 표시 패널에 대하여, CS 전압의 반전을 프레임 주기보다 긴 주기로 실시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고정세의 액정 표시 패널에 있어서는, 수평 주사 기간이 짧아짐과 함께 보조 용량의 수가 많아진다. 이러한 액정 표시 패널에서는, CS 전압을 부여하기 위한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파형에 둔화가 발생한다. 이 파형 둔화의 정도는, 액정 표시 패널 내의 장소에 따라 상이하기 때문에, 부회소 전극으로 인가되는 실효적인 전압도, 그 액정 표시 패널 내의 장소에 따라 상이한 것이 된다. 이로써, 액정 표시 패널에서는, 표시의 휘도 불균일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2 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에서는, CS 전압의 진동 주기를 길게 하고 있다. 이로써, 특허문헌 2 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에서는, 상기 표시의 휘도 불균일을 저감시키고 있다.
예를 들어, 1 프레임마다 CS 전압의 파형을 반전시키는 경우에는,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전압 (Va 및 Vb) 의 기초가 되는, 2 종류의 CS 전압 파형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
또, 도 14 의 각 그래프에서는, 2 프레임마다 CS 전압의 파형을 반전시키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2 프레임마다 CS 전압의 파형을 반전시키는 경우에는, 위상이 1 프레임만큼 어긋난 파형을 갖는 CS 전압을 추가로 준비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도 14 의 각 그래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VCSVtypeA1」~ 「VCSVtypeA4」라는 4 종류의 CS 전압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 또, 이 경우, 액정 표시 패널 상에서의 CS 전압의 신호선은,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소의 양단 (兩端), 또한 보조 용량 배선 (150) 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CSVtypeA1」~ 「CSVtypeA4」로 이루어지는 간선 (151) 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CS 전압은, 간선 (151) 으로부터 인출된 보조 용량 배선 (150) 에 의해, 각 보조 용량 (152) 에 공급되고 있다.
또, 도 16 에는, 액정 표시 패널의 유리 기판에서의,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배선을 나타낸다.
액정 표시 패널 (160) 의 유리 기판 (161) 에는, 신호선 (Sm) 에 표시 신호를 공급하는 소스 드라이버 (162) 와, 주사선 (Gn) 에 주사선 구동 신호 (주사선 신호) 를 부여하는 게이트 드라이버 (163) 가 실장되어 있다. 여기서는, 게이트 드라이버 (163) 로서, 게이트 드라이버 (163A, 163B) 가 실장되어 있다.
소스 드라이버 (162) 를 제어하는 신호, 게이트 드라이버 (163) 를 제어하는 신호, 및 보조 용량 구동 신호는, 도시되지 않은 컨트롤러에서 생성되어 소스 드라이버 (162) 에 공급되고 있다. 이 중, 게이트 드라이버 (163) 를 제어하는 신호 및 보조 용량 구동 신호는, 소스 드라이버 (162) 의 패키지 상에 형성된 배선 (164) 을 통하여, 유리 기판 (161) 상의 각 배선 (165) 에 부여되고 있다. 또한, 이 중 게이트 드라이버 (163) 를 제어하는 신호는, 유리 기판 (161) 상의 배선 (165) 을 통하여, 게이트 드라이버 (163A) 의 입력 단자에 공급되고 있다.
게이트 드라이버 (163A) 는, 상기 주사선 구동 신호를 생성함과 함께, 다음단 (段) 의 게이트 드라이버 (163B) 로 상기 제어 신호 (소스 드라이버 (162) 를 제어하는 신호 및 게이트 드라이버 (163) 를 제어하는 신호) 를 공급한다.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유리 기판 (161) 상의 각 배선 (165) 은, 기간 신호선으로서 기간 배선 (166) 을, 주사선 (Gn) 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신장하고 있다. 그리고, 보조 용량 구동 신호는, 기간 배선 (166) 으로부터 인출된 보조 용량 배선 (CSL) 에 의해, 각 보조 용량 (CCS) 에 공급되고 있다. 또한, 도 16 에 나타내는 참조 부호로서, 설명을 실시하지 않은 참조 부호 「CLC」는 액정 용량, 참조 부호 「VCOM」은 대향 전압이다.
또한, 게이트 드라이버 등의 구동용 LSI (Large Scale Integration) 의 실장 방법으로서, 특허문헌 3 에는, 예를 들어 실리콘에 의해 구성된 드라이버 소켓 (이른바, 인터포저 기판) 을 사용하여, 협피치로 구성되는 구동용 LSI 의 출력 단자를 넓혀놓은, 액정 드라이버 실장 패키지가 개시되어 있다. 이 액정 드라이버 실장 패키지에 의하면, LSI 와 패널의 접속을 중계하는 기재 (이른바, 테이프 캐리어) 의 단자 피치가 협피치일 필요가 없어지므로 편의상 좋다.
이하, 이 기술에 대하여, 도 23 내지 도 25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3 은, 특허문헌 3 에 관한 IC 칩 실장 패키지의 상면도, 및 그 상면도의 G-G 선에서의 화살표 단면도이다.
특허문헌 3 에 관한 IC 칩 실장 패키지의 특징은, 드라이버 소켓 (701) 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도 24 및 도 25 는, 드라이버 소켓 (701) 을 나타내고 있다. 도 24 는, 드라이버 소켓 (701) 에 집적 회로인 액정 드라이버 (601) 가 실장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그 사시도의 I1-I1 선에서의 화살표 단면도이다. 또, 도 25 는, 그 액정 드라이버 (601) 가 그 드라이버 소켓 (701) 에 실장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라이버 소켓 (701) 에는, 드라이버 소켓?필름 (도 23 의 필름 (501) 참조) 간 범프 (702), 드라이버?드라이버 소켓간 범프 (703), 및 드라이버 소켓 상 배선 (705) 이 형성되어 있다.
드라이버 소켓 (701) 의 드라이버?드라이버 소켓간 범프 (703) 는, 드라이버 소켓 (701) 과, 액정 드라이버 (601) 에 형성된 드라이버 범프 (704) 를 접속시키고 있다 (도 24 참조). 드라이버?드라이버 소켓간 범프 (703) 와 드라이버 범프 (704) 에서의 범프의 피치는 대략 동일 피치이며, 예를 들어 20 ㎛ 이하이다.
한편, 드라이버 소켓 (701) 의 드라이버 소켓?필름간 범프 (702) 는, 드라이버 소켓 (701) 과 필름 (501) 에 형성된 배선 (502) 을 접속시키고 있다 (도 23 참조). 드라이버 소켓?필름간 범프 (702) 의 피치는, 예를 들어 50 ㎛ 이상으로 되어 있으며, 드라이버?드라이버 소켓간 범프 (703) 와 드라이버 범프 (704) 에서의 범프의 피치보다 넓다.
그리고, 도 24 에 나타내는 액정 드라이버 (601) 가 형성된 드라이버 소켓 (701) 을, 드라이버 소켓?필름간 범프 (702) 를 사용하여, 도 23 에 나타내는 필름 (501) 에 실장한다.
드라이버 소켓 (701) 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실장을 실시하는 필름 (501) 에서의 범프의 피치로는, 액정 드라이버 (601) 의 드라이버 범프 (704) 의 피치에 맞춘, 20 ㎛ 이하의 피치가 필요해지는데, 드라이버 소켓 (701) 을 사용한 경우에는, 드라이버 소켓 (701) 의 드라이버 소켓?필름간 범프 (702) 의 피치인 50 ㎛ 로 할 수 있게 된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액정 표시 패널에서의 표시의 휘도 불균일을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보조 용량에 공급하는 배선의 임피던스를 저하시킬 필요가 있다. 그리고, 그 배선의 임피던스를 저하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그 배선의 선폭을 굵게 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선은, 표시를 실시하는 화소와 동일한 패널, 즉 표시를 실시하는 화소와 동일한 유리 기판 상에 배치되어 있다. 그 유리 기판 상에 형성된 배선은 배선 저항이 크기 때문에, 그 배선의 임피던스를 저하시키기 위해서는, 그 배선의 선폭을 충분히 굵게 해야 한다. 그리고 이로써, 그 액정 표시 패널에서는 상기 기간 배선이 매우 굵어져, 표시 화소 이외의 영역이 커져 버린다. 결과적으로, 그 액정 표시 패널에서는 액연 (額緣) 의 협소화가 곤란하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 특허문헌 2 에 개시되는 기술에서는, CS 전압의 진동 주기를 길게 함으로써, 파형 둔화의 영향을 억제하여 상기 표시의 휘도 불균일을 저감시키고 있는데, 이 경우에는 사용하는 CS 전압의 파형의 종류가 많아진다. 이 때문에, 액정 표시 패널에서는 CS 전압 생성을 위한 전압원이 다수 필요해지고, 이에 수반하여 표시 화소 이외의 영역이 커져 버린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특허문헌 2 에 개시되는 기술에서도 동일하게, 액연의 협소화가 곤란하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특허문헌 3 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은, 구동용 LSI 의 적합한 실장 방법의 기술에 지나지 않으며, 멀티 회소 구동으로 구동되는 표시 장치에서의 적용을 전제로 하는 기술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멀티 회소 구동으로 구동되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액연의 협소화를 실현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는,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주사선 구동 장치와, 1 개의 표시 회소가 분할된 복수의 부회소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부회소는, 각각 상이한 보조 용량 배선에 접속된 보조 용량을 갖고 있으며, 상기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되는 보조 용량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보조 용량을 구동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부회소를 각각 상이한 휘도로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장치로서, 상기 주사선 구동 장치는, 상기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해야 할 보조 용량 구동 신호가 입력되며, 입력된 그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파형을 정형하여 그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하는 버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파형을 정형하는」처리란, 그 보조 용량 구동 신호에 발생하는 둔화를 저감시키는 처리 등의, 그 보조 용량 구동 신호에 의한 보조 용량의 구동을 적합하게 실시하기 위한 처리, 즉 그 보조 용량의 구동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처리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버퍼는, 슈미트 트리거 기능을 갖고 있어, 이러한 처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보조 용량 구동 신호는, 일단 주사선 구동 장치에 형성된 버퍼에 입력된다. 그리고, 버퍼는, 자신에게 입력된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파형을 정형하여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한다.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는, 이렇게 하여 주사선 구동 장치의 버퍼에 의해 보조 용량을 구동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에서는,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버퍼를 통해서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함으로써, 파형의 둔화가 저감된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즉 보조 용량의 구동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에서는, 기간 배선을 구성하는 배선의 선폭을 가늘게 해도 파형 둔화, 표시의 휘도 불균일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이 때문에,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에서는, 파형 둔화의 영향을 억제하고 표시의 휘도 불균일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CS 전압의 파형의 종류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에서는, 표시 화소 이외의 영역을 작게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멀티 회소 구동으로 구동되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액연의 협소화를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는, 상기 주사선 구동 장치는, 상기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해야 할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그대로 그 각 보조 용량 배선과는 다른 외부로 출력하는 배선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는 상기 주사선 구동 장치를 복수개 구비하고, 상기 각 주사선 구동 장치는 상기 배선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주사선 구동 장치는,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상기 보조 용량 배선과는 다른 외부로 출력하는 배선을 추가로 구비한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에서는, 그 배선을 통해서 복수개의 주사선 구동 장치끼리를 접속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로써, 그 복수개의 주사선 구동 장치 사이에서는,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일방의 주사선 구동 장치로부터 타방의 주사선 구동 장치에 입력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그 타방의 주사선 구동 장치에서는,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자신이 갖는 버퍼를 통해서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함으로써, 파형의 둔화가 저감된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즉 보조 용량의 구동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복수개의 주사선 구동 장치가 보조 용량을 구동한다는 것은, 즉 복수개의 버퍼를 사용하여 보조 용량을 구동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보조 용량의 구동 능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에서는, 기간 배선을 구성하는 배선의 선폭을 더욱 가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는, 상기 각 보조 용량 배선은, 상기 각 주사선 구동 장치 중 어느 것의 버퍼에 접속되는 것마다 분단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주사선 구동 장치마다,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공급을 독립적으로 실시함으로써,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에서는 기간 배선의 분단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기간 배선에 있어서는, 임피던스의 저하가 용이해지기 때문에, 기간 배선을 구성하는 배선의 선폭을 더욱 가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는, 상기 주사선 구동 장치는, 상기 버퍼를 복수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복수개의 버퍼를 사용하여 보조 용량을 구동함으로써, 보조 용량의 구동 능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에서는, 기간 배선을 구성하는 배선의 선폭을 더욱 가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는, 상기 각 보조 용량 배선은, 상기 복수의 버퍼 중 어느 버퍼에 접속되는 것마다 분단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버퍼마다,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공급을 독립적으로 실시함으로써,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에서는 기간 배선의 분단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그 기간 배선에 있어서는, 임피던스의 저하가 용이해지기 때문에, 그 기간 배선을 구성하는 배선의 선폭을 더욱 가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는, 상기 주사선 구동 장치의 버퍼는, 자신에게 입력된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오버 슛 구동에 의해 상기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주사선 구동 장치의 버퍼는,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오버 슛 구동에 의해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한다. 이로써, 각 보조 용량 배선에 접속되는 보조 용량이 충전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부회소의 구동을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로써,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에서는, 주사선의 증가에서 기인하여 구동 시간이 짧아지는 경우에도, 표시의 휘도 불균일을 저감시켜 표시의 편차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는,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주사선 구동 장치와, 1 개의 표시 회소가 분할된 복수의 부회소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부회소는, 각각 상이한 보조 용량 배선에 접속된 보조 용량을 갖고 있으며, 상기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되는 보조 용량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보조 용량을 구동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부회소를 각각 상이한 휘도로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장치로서, 상기 주사선 구동 장치는, 적어도 상기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해야 할 보조 용량 구동 신호가 입력되며, 입력된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파형을 정형하여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하는 제 1 버퍼와,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해야 할 보조 용량 구동 신호가 입력되며, 입력된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파형을 정형하여 각 보조 용량 배선과는 다른 외부로 출력하는 제 2 버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보조 용량 구동 신호는, 일단 주사선 구동 장치에 형성된 제 1 버퍼에 입력된다. 그리고, 제 1 버퍼는, 자신에게 입력된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파형을 정형하여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한다.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는, 이렇게 하여 주사선 구동 장치의 제 1 버퍼에 의해 보조 용량을 구동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에서는, 보조 용량 구동 신호가 또한, 주사선 구동 장치에 있어서, 제 1 버퍼와는 별도로 형성된 제 2 버퍼에 일단 입력된다. 그리고, 제 2 버퍼는, 자신에게 입력된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파형을 정형하여, 각 보조 용량 배선과는 다른 외부로 출력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에서는,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제 1 버퍼를 통해서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함으로써, 파형의 둔화가 저감된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즉 보조 용량의 구동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에서는, 기간 배선을 구성하는 배선의 선폭을 가늘게 하는 경우에도, 파형 둔화, 표시의 휘도 불균일 등의 발생에 의한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이 때문에,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에서는, 파형 둔화의 영향을 억제하여, 표시의 휘도 불균일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CS 전압의 파형의 종류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에서는, 표시 화소 이외의 영역을 작게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멀티 회소 구동으로 구동되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액연의 협소화를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주사선 구동 장치의 제 2 버퍼에 입력된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외부로 출력함으로써, 파형의 둔화가 저감된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외부의 장치에 입력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는, 상기 주사선 구동 장치를 복수단 구비하고, 최후단의 주사선 구동 장치보다 앞단에 구비되는 각 주사선 구동 장치의 제 2 버퍼는 각각, 그 각 주사선 구동 장치의 다음단에 구비되는 주사선 구동 장치의 제 1 버퍼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에 관한 주사선 구동 장치에서는, 최후단의 주사선 구동 장치보다 앞단에 구비되는 각 주사선 구동 장치의 제 2 버퍼가, 그 각 주사선 구동 장치의 다음단에 구비되는 주사선 구동 장치의 제 1 버퍼와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에서는, 이렇게 하여 그 각 주사선 구동 장치끼리를 순차 접속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로써, 각 주사선 구동 장치 사이에서는, 파형의 둔화가 저감된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각 주사선 구동 장치에 순차 입력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각 주사선 구동 장치에 있어서는,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자신이 갖는 제 1 버퍼를 통해서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함으로써, 파형의 둔화가 저감된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즉 보조 용량의 구동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복수단의 주사선 구동 장치가 보조 용량을 구동한다는 것은, 즉 복수개의 제 1 버퍼를 사용하여 보조 용량을 구동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보조 용량의 구동 능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에서는, 기간 배선을 구성하는 배선의 선폭을 더욱 가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보조 용량 구동 신호는, 주사선 구동 장치의 제 2 버퍼를 통해서 다음단의 주사선 구동 장치로 출력되기 때문에,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둔화 및 지연에서 기인하는, 상기 복수의 주사선 구동 장치 사이에서의,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파형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는, 상기 주사선 구동 장치의 제 1 버퍼는, 자신에게 입력된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오버 슛 구동에 의해 상기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주사선 구동 장치의 제 1 버퍼는,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오버 슛 구동에 의해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한다. 이로써, 각 보조 용량 배선에 접속되는 보조 용량이 충전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부회소의 구동을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로써,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에서는, 주사선의 증가에서 기인하여 구동 시간이 짧아지는 경우에도, 표시의 휘도 불균일을 저감시켜 표시의 편차를 줄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는, 상기 주사선 구동 장치에는, 상기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해야 할 보조 용량 구동 신호가 입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주사선 구동 장치는,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1 개의 표시 회소가 분할된 복수의 부회소를 구비하고, 그 복수의 부회소는, 각각 상이한 보조 용량 배선에 접속된 보조 용량을 갖고 있으며, 그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되는 보조 용량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그 보조 용량을 구동함으로써, 그 복수의 부회소를 각각 상이한 휘도로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장치에 구비되어, 상기 표시 장치에 형성되어 있는 주사선을 구동하는 주사선 구동 장치로서, 상기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해야 할 보조 용량 구동 신호가 입력되며, 입력된 그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파형을 정형하여 그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하는 버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보조 용량 구동 신호는, 일단 주사선 구동 장치 자체에 형성된 버퍼에 입력된다. 그리고, 버퍼는, 자신에게 입력된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파형을 정형하여, 표시 장치의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한다. 본 발명에 관한 주사선 구동 장치는, 이렇게 하여 자체에 형성된 버퍼에 의해 보조 용량을 구동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관한 주사선 구동 장치에서는,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버퍼를 통해서 표시 장치의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함으로써, 파형의 둔화가 저감된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표시 장치의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즉 표시 장치에서의 보조 용량의 구동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관한 주사선 구동 장치에서는, 표시 장치에서의 기간 배선을 구성하는 배선의 선폭을 가늘게 하는 경우에도, 파형 둔화, 표시의 휘도 불균일 등의 발생에 의한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이 때문에, 본 발명에 관한 주사선 구동 장치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에서는, 파형 둔화의 영향을 억제하고, 표시의 휘도 불균일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CS 전압의 파형의 종류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에 관한 주사선 구동 장치에서는, 멀티 회소 구동으로 구동되는 표시 장치에서의 표시 화소 이외의 영역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멀티 회소 구동으로 구동되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액연의 협소화를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주사선 구동 장치는, 상기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해야 할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그대로 당해 각 보조 용량 배선과는 다른 외부로 출력하는 배선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입력된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그대로 보조 용량 배선과는 다른 외부로 출력하는 배선을 추가로 구비한다. 그 때문에, 그 배선을 통해서, 본 발명에 관한 주사선 구동 장치와 외부의 장치를 접속시킴으로써, 그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외부의 장치에 입력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주사선 구동 장치는, 상기 버퍼는, 자신에게 입력된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오버 슛 구동에 의해 상기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버퍼는,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오버 슛 구동에 의해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한다. 이로써, 각 보조 용량 배선에 접속되는 보조 용량이 충전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부회소의 구동을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로써, 본 발명에 관한 주사선 구동 장치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에서는, 주사선의 증가에서 기인하여 구동 시간이 짧아지는 경우에도, 표시의 휘도 불균일을 저감시켜 표시의 편차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주사선 구동 장치는,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1 개의 표시 회소가 분할된 복수의 부회소를 구비하고, 그 복수의 부회소는, 각각 상이한 보조 용량 배선에 접속된 보조 용량을 갖고 있으며, 그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되는 보조 용량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그 보조 용량을 구동함으로써, 그 복수의 부회소를 각각 상이한 휘도로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장치에 구비되어, 상기 표시 장치에 형성되어 있는 주사선을 구동하는 주사선 구동 장치로서, 적어도 상기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해야 할 보조 용량 구동 신호가 입력되며, 입력된 그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파형을 정형하여 그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하는 제 1 버퍼와, 그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해야 할 보조 용량 구동 신호가 입력되며, 입력된 그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파형을 정형하여 그 각 보조 용량 배선과는 다른 외부로 출력하는 제 2 버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보조 용량 구동 신호는, 일단 주사선 구동 장치 자체에 형성된 제 1 버퍼에 입력된다. 그리고, 제 1 버퍼는, 자신에게 입력된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파형을 정형하여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한다. 본 발명에 관한 주사선 구동 장치는, 이렇게 하여 자체에 형성된 제 1 버퍼에 의해 보조 용량을 구동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관한 주사선 구동 장치에서는, 보조 용량 구동 신호가 또한, 제 1 버퍼와는 별도로 형성된 제 2 버퍼에 일단 입력된다. 그리고, 제 2 버퍼는, 자신에게 입력된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파형을 정형하여, 각 보조 용량 배선과는 다른 외부로 출력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관한 주사선 구동 장치에서는,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제 1 버퍼를 통해서 표시 장치의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함으로써, 파형의 둔화가 저감된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표시 장치의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즉 표시 장치가 갖는 보조 용량의 구동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관한 주사선 구동 장치에서는, 표시 장치에서의 기간 배선을 구성하는 배선의 선폭을 가늘게 하는 경우에도, 파형 둔화, 표시의 휘도 불균일 등의 발생에 의한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이 때문에, 본 발명에 관한 주사선 구동 장치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에서는, 파형 둔화의 영향을 억제하고 표시의 휘도 불균일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CS 전압의 파형의 종류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에 관한 주사선 구동 장치에서는, 멀티 회소 구동으로 구동되는 표시 장치에서의 표시 화소 이외의 영역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멀티 회소 구동으로 구동되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액연의 협소화를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제 2 버퍼에 입력된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외부로 출력함으로써, 파형의 둔화가 저감된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외부의 장치에 입력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주사선 구동 장치는, 상기 제 1 버퍼는, 자신에게 입력된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오버 슛 구동에 의해 상기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제 1 버퍼는,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오버 슛 구동에 의해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한다. 이로써, 각 보조 용량 배선에 접속되는 보조 용량이 충전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부회소의 구동을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로써, 본 발명에 관한 주사선 구동 장치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에서는, 주사선의 증가에서 기인하여 구동 시간이 짧아지는 경우에도, 표시의 휘도 불균일을 저감시켜 표시의 편차를 줄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주사선 구동 장치는, 상기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해야 할 보조 용량 구동 신호가 입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는,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주사선과, 그 복수개의 주사선을 구성하는 각 주사선에 공급되는 주사선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그 각 주사선을 구동하는 주사선 구동 장치를 구비하고, 1 개의 표시 회소는, 복수의 부회소로 분할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부회소는, 각각 상이한 보조 용량 배선에 접속된 보조 용량을 갖고 있으며, 상기 각각 상이한 보조 용량 배선을 구성하는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되는 보조 용량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그 각 보조 용량 배선에 접속된 각 보조 용량을 구동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부회소를 각각 상이한 휘도로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장치로서, 상기 주사선 구동 장치는, 상기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해야 할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그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하기 위한 제 1 단자와, 상기 각 주사선에 공급해야 할 주사선 구동 신호를 그 각 주사선에 공급하기 위한 제 2 단자를 각각 복수개 구비하고, 적어도 상기 복수개의 상기 제 1 단자 중 어느 1 개의 단자가, 상기 복수개의 제 2 단자 중 어느 2 개의 단자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에서는, 보조 용량 구동 신호가, 주사선 구동 장치에 형성된 제 1 단자로부터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되기 때문에, 그 주사선 구동 장치에 의해 그 보조 용량 배선에 형성된 보조 용량의 구동을 실시할 수 있다.
여기서, 주사선 구동 장치에는, 제 1 단자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그 주사선 구동 장치에서는, 그 복수개의 제 1 단자의 각각에 보조 용량 배선을 접속시킴으로써,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복수개의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멀티 회소 구동으로 구동되는 표시 장치의 경우에는, 1 개의 표시 회소가 복수의 부회소로 분할되고, 또한 그 복수의 부회소는, 각각 상이한 보조 용량 배선을 갖고 있는데, 주사선 구동 장치에, 그 보조 용량 배선의 개수만큼 제 1 단자를 형성하고, 그 보조 용량 배선과 그 제 1 단자를 각각 접속함으로써, 그 주사선 구동 장치를 사용하여 그 보조 용량 배선의 각각에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 주사선 구동 장치에 제 1 단자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하기 위한 기간 배선을, 그 주사선 구동 장치 외부에 형성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기간 배선을 구성하고 있는 배선을 굵게 하는 것, 혹은 그 배선에 있어서, 파형 둔화의 영향을 억제하고 표시의 휘도 불균일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CS 전압의 파형의 종류를 증가시키는 것에서 기인하여, 액연의 협소화가 곤란해져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주사선 구동 장치에서는, 적어도 상기 복수개의 제 1 단자 중 어느 1 개의 단자가, 복수개의 주사선의 각각에 주사선 구동 신호를 공급하기 위하여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제 2 단자 중 어느 2 개의 단자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상기 주사선 구동 장치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제 2 단자 사이에 상기 제 1 단자가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그 주사선 구동 장치에서는, 그 제 2 단자 근방에 형성되어 있는 보조 용량 배선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상기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요컨대,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에서는, 상기 주사선 구동 장치에 의해, 상기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상기 각 보조 용량 배선에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에서는, 표시 화소 이외의 영역을 작게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멀티 회소 구동으로 구동되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액연의 협소화를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는, 상기 주사선 구동 장치는, 자신의 외부로부터 상기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해야 할 보조 용량 구동 신호가 입력되는 제 3 단자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 3 단자와 상기 제 1 단자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제 3 단자로부터,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주사선 구동 장치에 입력하여, 제 1 단자로부터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는, 상기 주사선 구동 장치는,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와, 자신의 외부로부터 상기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해야 할 보조 용량 구동 신호가 입력되는 제 3 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기판과, 상기 주사선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그 주사선 구동 신호를 상기 제 2 단자에 공급하는 집적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는, 상기 제 3 단자와 상기 제 1 단자 사이에, 그 제 3 단자로부터 상기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해야 할 보조 용량 구동 신호가 입력되며, 입력된 그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파형을 정형하여 그 제 1 단자에 출력하는 버퍼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는, 상기 집적 회로는, 상기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해야 할 보조 용량 구동 신호가 입력되며, 입력된 그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파형을 정형하여 출력하는 버퍼를 구비하고, 상기 버퍼는, 입력 단자가 상기 제 3 단자에 접속되어 있고, 출력 단자가 상기 제 1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는, 상기 기판은, 상기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해야 할 보조 용량 구동 신호가 입력되며, 입력된 그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파형을 정형하여 출력하는 버퍼를 구비하고, 상기 버퍼는, 입력 단자가 상기 제 3 단자에 접속되어 있고, 출력 단자가 상기 제 1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제 3 단자로부터 주사선 구동 장치에 입력된 보조 용량 구동 신호는 버퍼에 입력된다. 그리고, 그 버퍼는, 자신에게 입력된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파형을 정형하여, 제 1 단자로부터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파형을 정형하는」처리란, 당해 보조 용량 구동 신호에 발생하는 둔화를 저감시키는 처리 등의, 당해 보조 용량 구동 신호에 의한 보조 용량의 구동을 적합하게 실시하는 처리, 즉 당해 보조 용량의 구동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처리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버퍼는, 슈미트 트리거 기능을 갖고 있어, 그 슈미트 트리거 기능을 갖는 버퍼에 의해서는, 이러한 처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에서는,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상기 버퍼를 통해서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함으로써, 파형의 둔화가 저감된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그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즉 보조 용량의 구동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에서는, 보조 용량 배선에 선폭을 가늘게 하는 경우에도, 파형 둔화, 표시의 휘도 불균일 등의 발생에 의한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에서는, 표시 화소 이외의 영역을 더욱 작게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멀티 회소 구동으로 구동되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추가적인 액연의 협소화를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는, 상기 버퍼는 자신에게 입력된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오버 슛 구동에 의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버퍼는,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오버 슛 구동에 의해 출력한다. 이로써, 보조 용량 구동 신호가 공급되는 각 보조 용량 배선에 접속되는 보조 용량이 충전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부회소의 구동을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로써,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에서는, 주사선의 증가에서 기인하여 구동 시간이 짧아지는 경우에도, 표시의 휘도 불균일을 저감시켜 표시의 편차를 줄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는, 주사선 구동 장치와, 1 개의 표시 회소가 분할된 복수의 부회소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부회소는, 각각 상이한 보조 용량 배선에 접속된 보조 용량을 갖고 있으며, 상기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되는 보조 용량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보조 용량을 구동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부회소를 각각 상이한 휘도로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장치로서, 상기 주사선 구동 장치는, 상기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해야 할 보조 용량 구동 신호가 입력되며, 입력된 당해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파형을 정형하여 당해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하는 버퍼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는, 주사선 구동 장치와, 1 개의 표시 회소가 분할된 복수의 부회소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부회소는, 각각 상이한 보조 용량 배선에 접속된 보조 용량을 갖고 있으며, 상기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되는 보조 용량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보조 용량을 구동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부회소를 각각 상이한 휘도로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장치로서, 상기 주사선 구동 장치는, 적어도 상기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해야 할 보조 용량 구동 신호가 입력되며, 입력된 당해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파형을 정형하여 당해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하는 제 1 버퍼와, 당해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해야 할 보조 용량 구동 신호가 입력되며, 입력된 당해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파형을 정형하여 당해 각 보조 용량 배선과는 다른 외부로 출력하는 제 2 버퍼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주사선 구동 장치는, 1 개의 표시 회소가 분할된 복수의 부회소를 구비하고, 당해 복수의 부회소는, 각각 상이한 보조 용량 배선에 접속된 보조 용량을 갖고 있으며, 당해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되는 보조 용량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당해 보조 용량을 구동함으로써, 당해 복수의 부회소를 각각 상이한 휘도로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장치에 구비되어, 상기 표시 장치에 형성되어 있는 주사선을 구동하는 주사선 구동 장치로서, 상기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해야 할 보조 용량 구동 신호가 입력되며, 입력된 당해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파형을 정형하여 당해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하는 버퍼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주사선 구동 장치는, 1 개의 표시 회소가 분할된 복수의 부회소를 구비하고, 당해 복수의 부회소는, 각각 상이한 보조 용량 배선에 접속된 보조 용량을 갖고 있으며, 당해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되는 보조 용량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당해 보조 용량을 구동함으로써, 당해 복수의 부회소를 각각 상이한 휘도로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장치에 구비되어, 상기 표시 장치에 형성되어 있는 주사선을 구동하는 주사선 구동 장치로서, 적어도 상기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해야 할 보조 용량 구동 신호가 입력되며, 입력된 당해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파형을 정형하여 당해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하는 제 1 버퍼와, 당해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해야 할 보조 용량 구동 신호가 입력되며, 입력된 당해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파형을 정형하여 당해 각 보조 용량 배선과는 다른 외부로 출력하는 제 2 버퍼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는, 복수개의 주사선과, 그 복수개의 주사선을 구성하는 각 주사선에 공급되는 주사선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그 각 주사선을 구동하는 주사선 구동 장치를 구비하고, 1 개의 표시 회소는, 복수의 부회소로 분할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부회소는, 각각 상이한 보조 용량 배선에 접속된 보조 용량을 갖고 있으며, 상기 각각 상이한 보조 용량 배선을 구성하는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되는 보조 용량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그 각 보조 용량 배선에 접속된 각 보조 용량을 구동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부회소를 각각 상이한 휘도로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장치로서, 상기 주사선 구동 장치는, 상기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해야 할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그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하기 위한 제 1 단자와, 상기 각 주사선에 공급해야 할 주사선 구동 신호를 그 각 주사선에 공급하기 위한 제 2 단자를 각각 복수개 구비하고, 적어도 상기 복수개의 제 1 단자 중 어느 1 개의 단자가, 상기 복수개의 제 2 단자 중 어느 2 개의 단자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다.
따라서, 멀티 회소 구동으로 구동되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액연의 협소화를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실시형태 1]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주사선 구동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게이트 드라이버 (주사선 구동 장치 : 1) 는, 컨트롤 로직 (11A 및 11B), 쌍방향 시프트 레지스터 (12), 레벨 시프터 (13), 및 출력 회로 (14) 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또한, 게이트 드라이버 (1) 는, 버퍼 (21A 및 21B) 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또한, 도 1 에 도시되어 있는 원형의 부재는 모두, 게이트 드라이버 (1) 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로서, 그 원형의 부재에 붙여져 있는 부호 (문자) 는, 각 단자의 단자명이다.
게이트 드라이버 (1) 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 「LBR」은, 쌍방향 시프트 레지스터 (12) 의 시프트 방향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 단자이다. 이 단자 「LBR」은, 상태 「H」와 상태 「L」을 갖고 있다. 게이트 드라이버 (1) 에서는, 그 제어 신호에 따라 단자 「LBR」이 상태 「H」와 상태 「L」에서 전환됨으로써, 쌍방향 시프트 레지스터 (12) 의 시프트 방향을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이로써, 출력 회로 (14) 가 출력하는 주사선 구동 신호의 주사 방향이 결정된다.
게이트 드라이버 (1) 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 「GSPOI」및 단자 「GSPIO」는,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를, 단자 「LBR」에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전환하는 기능을 갖는 IO (Input/Output) 단자이다.
상기 단자 「LBR」이 상태 「H」인 경우에는, 단자 「GSPOI」가 입력 단자가 되고, 단자 「GSPIO」가 출력 단자가 된다. 상기 단자 「LBR」이 상태 「L」인 경우에는, 단자 「GSPOI」가 출력 단자가 되고, 단자 「GSPIO」가 입력 단자가 된다.
또한, 단자 「GSPOI」및 단자 「GSPIO」중, 입력 단자의 기능을 갖는 단자는, 쌍방향 시프트 레지스터 (12) 의 동작을 개시시키기 위한 신호 (이하, 「주사 개시 신호」라고 한다) 가 입력되는 것이다. 또, 단자 「GSPOI」및 단자 「GSPIO」중, 출력 단자의 기능을 갖는 단자는, 주사 개시 신호를, 게이트 드라이버 (1) 와 캐스케이드 접속되는 도시되지 않은 다음단의 게이트 드라이버에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다음단의 게이트 드라이버」란, 예를 들어 게이트 드라이버 (1) 가, 후술하는 도 4 에 나타내는 게이트 드라이버 (1A) 인 경우, 도 4 에 나타내는 게이트 드라이버 (1B) 이다.
게이트 드라이버 (1) 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 「GCKOI」및 단자 「GCKIO」는, 단자 「GSPOI」및 단자 「GSPIO」와 동일하게,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를, 단자 「LBR」에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전환하는 기능을 갖는 IO 단자이다.
상기 단자 「LBR」이 상태 「H」인 경우에는, 단자 「GCKOI」가 입력 단자가 되고, 단자 「GCKIO」가 출력 단자가 된다. 상기 단자 「LBR」이 상태 「L」인 경우에는, 단자 「GCKOI」가 출력 단자가 되고, 단자 「GCKIO」가 입력 단자가 된다.
또한, 단자 「GCKOI」및 단자 「GCKIO」중, 입력 단자의 기능을 갖는 단자는, 쌍방향 시프트 레지스터 (12) 의 구동 클록 신호가 입력되는 것이다. 또, 단자 「GCKOI」및 단자 「GCKIO」중, 출력 단자의 기능을 갖는 단자는, 구동 클록 신호를 상기 다음단의 게이트 드라이버에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게이트 드라이버 (1) 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 「VGL」및 단자 「VGH」는, 출력 회로 (14) 를 동작시키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전원이 접속되는 전원 단자이다. 또한, 출력 회로 (14) 는, 주사선 구동 신호를, 후술하는 단자 「OG1」~ 단자 「OG272」에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단자 「VGL」에 인가되는 전원 전압을 vgl, 단자 「VGH」에 인가되는 전원 전압을 vgh 로 하면, 출력 회로 (14) 는 주사선 구동 신호를, vgl 로부터 vgh 까지의 진폭을 갖는 신호로서 출력한다.
게이트 드라이버 (1) 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 「VCC」는, 게이트 드라이버 (1) 를 동작시키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전원이 접속되는 전원 단자이다. 게이트 드라이버 (1) 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 「GND」는 접지 단자이다.
또, 게이트 드라이버 (1) 에는, 272 개의 단자 「OG1」~ 단자 「OG27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원 각 도면에서는 편의상, 단자 「OG1」~ 「OG272」중, 일부의 단자에 대하여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이 단자 「OG1」~ 단자 「OG272」는, 출력 회로 (14) 로부터의 주사선 구동 신호를 게이트 드라이버 (1) 의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주사선 구동 신호의 외부 출력 단자이다.
여기서, 단자 「OG1」~ 단자 「OG272」는, 주사선 (Gn : 도 4 참조) 이 접속됨으로써, 주사선 (Gn) 에 주사선 구동 신호를 부여하여 주사선 (Gn) 을 구동하는, 게이트 드라이버 (1) 의 주사선 구동 단자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게이트 드라이버 (1) 는, 단자 「OG1」~ 단자 「OG272」라는 272 개의 단자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최대 272 개의 주사선을 구동할 수 있다.
게이트 드라이버 (1) 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 「CSVtypeA1R」~ 단자 「CSVtypeA4R」및, 단자 「CSVtypeA1L」~ 단자 「CSVtypeA4L」은,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버퍼 (21A 및 21B) 에 입력하기 위한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입력 단자이다.
게이트 드라이버 (1) 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 「CSVtypeA1′R」~ 단자 「CSVtypeA4′R」은, 버퍼 (21A) 로부터 출력된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단자 「CSVtypeA1′L」~ 단자 「CSVtypeA4′L」은, 버퍼 (21B) 로부터 출력된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저마다 각 보조 용량 배선 (예를 들어, 도 4 의 보조 용량 배선 (51) 참조) 에 출력하기 위한,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출력 단자이다.
단자 「CSVtypeA1R」은, 단자 「CSVtypeA1L」과 접속되어 있다. 단자 「CSVtypeA2R」은, 단자 「CSVtypeA2L」과 접속되어 있다. 단자 「CSVtypeA3R」은, 단자 「CSVtypeA3L」과 접속되어 있다. 단자 「CSVtypeA4R」은, 단자 「CSVtypeA4L」과 접속되어 있다.
단자 「CSVtypeA1R」~ 단자 「CSVtypeA4R」과, 단자 「CSVtypeA1L」~ 단자 「CSVtypeA4L」의 각 접속 부분에는, 버퍼 (21A) 의 일단 (입력 단자) 및 버퍼 (21B) 의 일단 (입력 단자) 이 접속되어 있다. 버퍼 (21A) 의 타단 (출력 단자) 은, 단자 「CSVtypeA1′R」~ 단자 「CSVtypeA4′R」에 접속되어 있고, 버퍼 (21B) 의 타단 (출력 단자) 은, 단자 「CSVtypeA1′L」~ 「CSVtypeA4′L」에 접속되어 있다.
게이트 드라이버 (1) 에 입력된 보조 용량 구동 신호는, 단자 「CSVtypeA1R」~ 단자 「CSVtypeA4R」과, 단자 「CSVtypeA1L」~ 단자 「CSVtypeA4L」의 각 접속 부분으로부터 버퍼 (21A 및 21B) 에 입력된다. 버퍼 (21A 및 21B) 는, 입력된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파형을 정형하여, 단자 「CSVtypeA1′R」~ 단자 「CSVtypeA4′R」과, 단자 「CSVtypeA1′L」~ 단자 「CSVtypeA4′L」에 출력한다. 게이트 드라이버 (1) 에서는, 버퍼 (21A 및 21B) 를 통과함으로써, 파형의 둔화가 저감된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하여, 각 보조 용량 배선에 접속되는 보조 용량 (도 4 참조) 을 구동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 및 주사선 구동 장치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버퍼는, 입력의 팬 인 수의 조절, 및 출력의 구동 능력 향상 등에 적합하게 사용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력용으로서 사용되는 버퍼의 상당수는, 슈미트 트리거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입력 신호의 잡음 제거, 및 파형 정형을 실시할 수 있다.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파형을 정형하는」처리란, 보조 용량 구동 신호에 발생하는 둔화를 저감시키는 처리,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진폭을 증폭시키는 처리 등의, 보조 용량 구동 신호에 의한 보조 용량의 구동을 적합하게 실시하기 위한 처리, 즉 당해 보조 용량의 구동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처리 전반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버퍼는, 상기 슈미트 트리거 기능에 의해, 이러한 처리를 비교적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다.
게이트 드라이버 (1) 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 「VCSH」및 단자 「VCSL」은, 본 발명에 관한 주사선 구동 장치에 형성되어 있는 버퍼를 동작시키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전원이 접속되는 전원 단자이다. 즉, 게이트 드라이버 (1) 에서의, 단자 「VCSH」및 단자 「VCSL」은, 버퍼 (21A 및 21B) 를 동작시키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전원이 접속되는 전원 단자라고 해석할 수 있다. 단자 「VCSH」및 단자 「VCSL」에 인가되는 전원 전압은, 단자 「VCSH」의 전원 전압이 단자 「VCSL」의 전원 전압보다 높아져 있다.
도 2 는, 상기 버퍼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에 나타내는 버퍼 (210) 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각 버퍼 (버퍼 (21A, 21B, 22, 및 23)) 로서 적합하게 사용되는 것이다. 도 2 에 나타내는 버퍼 (210) 는, 입력 단자 (211), 2 개의 인버터 (212A 및 212B), 및 출력 단자 (213) 가 이 순서로 접속된 구성이다.
도 2 에 나타내는 버퍼 (210) 는, 입력 단자 (211) 가, 도 1 에 나타내는 게이트 드라이버 (1) 에서의, 단자 「CSVtypeA1R」과 단자 「CSVtypeA1L」사이, 단자 「CSVtypeA2R」과 단자 「CSVtypeA2L」사이, 단자 「CSVtypeA3R」과 단자 「CSVtypeA3L」사이, 및 단자 「CSVtypeA4R」과 단자 「CSVtypeA4L」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이는, 도 2 에 나타내는 버퍼 (210) 를, 도 1 에 나타내는 버퍼 (21A) 로서 사용하는 경우, 및 도 1 에 나타내는 버퍼 (21B) 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공통된다.
도 1 에 나타내는 버퍼 (21A) 로서 사용하는 경우, 버퍼 (210) 의 출력 단자 (213) 는, 도 1 에 나타내는 게이트 드라이버 (1) 에서의, 단자 「CSVtypeA1′R」~ 단자 「CSVtypeA4′R」에 접속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버퍼 (21B) 로서 사용하는 경우, 버퍼 (210) 의 출력 단자 (213) 는, 도 1 에 나타내는 게이트 드라이버 (1) 에서의, 단자 「CSVtypeA1′L」~ 단자 「CSVtypeA4′L」에 접속되어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버퍼 (210) 에 형성되어 있는, 2 개의 인버터 (212A 및 212B) 는 모두, 전원 라인 (VCSH) 이, 도 1 에 나타내는 게이트 드라이버 (1) 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 「VCSH」에 접속되며, 전원 라인 (VCSL) 이, 도 1 에 나타내는 게이트 드라이버 (1) 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 「VCSL」에 접속된다.
인버터 (212A) 는, 단자 「VCSH」로부터의 전압이 소스 단자에 인가되는 p 채널형의 MOS (Metal Oxide Semiconductor)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212AP) 와, 단자 「VCSL」로부터의 전압이 소스 단자에 인가되는 n 채널형의 MOS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212AN) 를 구비하는 인버터 회로이다.
트랜지스터 (212AP 및 212AN) 의 각 게이트 단자는, 입력 단자 (211) 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 (212AP 및 212AN) 의 각 드레인 단자는 서로 접속되어 있고, 또한 그 접속 부분에는 인버터 (212B : 트랜지스터 (212BP 및 212BN) 의 각 게이트 단자) 가 접속되어 있다.
인버터 (212B) 는, 단자 「VCSH」로부터의 전압이 소스 단자에 인가되는 p 채널형의 MOS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212BP) 와, 단자 「VCSL」로부터의 전압이 소스 단자에 인가되는 n 채널형의 MOS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212BN) 를 구비하는 인버터 회로이다.
트랜지스터 (212BP 및 212BN) 의 각 게이트 단자는, 인버터 (212A : 트랜지스터 (212AP 및 212AN) 의 각 드레인 단자의 접속 부분) 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 (212BP 및 212BN) 의 각 드레인 단자는 서로 접속되어 있고, 또한 그 접속 부분에는 출력 단자 (213) 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도 2 에 나타내는 버퍼 (210) 는, 인버터 (212A 및 212B) 를 2 단으로 접속하여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주사선 구동 장치에 있어서, 주사선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원리에 대하여 그 개요를 설명한다.
먼저, 도 1 에 나타내는 게이트 드라이버 (1) 의 단자 「LBR」에는, 그 단자 「LBR」을 「H」상태 또는 「L」상태로 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공급된다. 이로써, 게이트 드라이버 (1) 에서는, 쌍방향 시프트 레지스터 (12) 의 시프트 방향이 결정되고, 주사선 구동 신호의 주사 방향이 결정된다. 또한, 여기서는, 단자 「LBR」을 「H」상태로 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상기 원리의 개요를 설명한다. 이 때, 출력 회로 (14) 가 출력하는 주사선 구동 신호의 주사 방향, 즉 주사선 구동 신호가 공급되는 주사선의 순서는, 단자 「OG1」에 접속된 주사선, 단자 「OG2」에 접속된 주사선, …, 단자 「OG272」에 접속된 주사선이 된다.
수직 동기 신호를 기초로 생성된 주사 개시 신호가, 게이트 드라이버 (1) 의 단자 「GSPOI」로부터 입력되면, 쌍방향 시프트 레지스터 (12) 는 게이트 드라이버 (1) 의 단자 「GCKOI」로부터 입력되는 구동 클록 신호에 동기하여 시프트 동작을 개시하고, 그 시프트 동작에 의해 펄스 신호인 제 1 펄스를 생성한다. 또한, 이 구동 클록 신호에는, 수평 동기 신호를 기초로 생성된 신호가 사용된다.
상기 제 1 펄스는, 레벨 시프터 (13) 에 의해, 상기 전압 (vgl) 으로부터 상기 전압 (vgh) 의 진폭을 갖는 신호로 레벨 변환되어, 출력 회로 (14) 로부터 단자 「OG1」에 접속된 주사선에 출력된다. 다음으로, 쌍방향 시프트 레지스터 (12) 는, 상기 시프트 동작에 의해, 제 1 펄스와는 다른 펄스 신호인 제 2 펄스를 생성한다. 이 제 2 펄스는, 레벨 시프터 (13) 에 의해, 상기 전압 (vgl) 으로부터 상기 전압 (vgh) 의 진폭을 갖는 신호로 레벨 변환되어, 출력 회로 (14) 로부터 단자 「OG2」에 접속된 주사선에 출력된다.
즉, 쌍방향 시프트 레지스터 (12) 는, 상기 시프트 동작에 의해, 제 n 의 펄스와는 다른 펄스 신호인 제 (n + 1) 의 펄스를 생성한다. 이 제 (n + 1) 의 펄스는, 레벨 시프터 (13) 에 의해, 상기 전압 (vgl) 으로부터 상기 전압 (vgh) 의 진폭을 갖는 신호로 레벨 변환되어, 출력 회로 (14) 로부터 단자 「OG (n + 1)」에 접속된 주사선에 출력된다. 다음으로, 쌍방향 시프트 레지스터 (12) 는, 상기 시프트 동작에 의해, 제 (n + 1) 의 펄스와는 다른 펄스 신호인 제 (n + 2) 의 펄스를 생성하는, …, 와 같은 방식으로, 이상의 동작을 단자 「OG272」에 접속된 주사선에 펄스 (제 272 의 펄스) 가 출력될 때까지 반복한다. 또한 여기서, 「n」이란, 쌍방향 시프트 레지스터 (12) 의 경우, 1 ~ 270 사이의 임의의 자연수 중 어느 것이다. 상기 쌍방향 시프트 레지스터 (12) 에서의 시프트 동작에서는, 수평 동기 신호와 동기하는 신호가 사용된다. 그 때문에, 단자 「OG1」~ 단자 「OG272」로부터 출력하는 주사선 구동 신호는, 그 수평 동기 신호의 1 주기마다 대응하는 주사선을 1 개 구동하게 된다.
상기 시프트 동작이 종료되면, 즉 단자 「OG272」에 접속된 주사선에 주사선 구동 신호를 출력하면, 게이트 드라이버 (1) 는 단자 「GSPIO」로부터 주사 개시 신호를 출력함과 함께, 단자 「GCKIO」로부터 구동 클록 신호를 출력한다. 주사 개시 신호 및 구동 클록 신호는, 상기 다음단의 게이트 드라이버에 입력된다. 이로써, 그 다음단의 게이트 드라이버에서는, 게이트 드라이버 (1) 와 동일한, 주사선 구동 장치에서의 주사선 구동 신호 생성 동작을 개시한다. 게이트 드라이버 (1) 가, 272 개의 주사선을 구동하는 경우, 상기 다음단의 게이트 드라이버에서는, 273 개째의 주사선으로부터, 274 개째의 주사선, 275 개째의 주사선, …, 와 같은 방식으로, 주사선에 주사선 구동 신호를 부여하게 된다.
도 3 은, 게이트 드라이버 (1) 의 외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주사선 구동 장치의 특징을 보다 명확하게 도시하기 위하여, 도 3 에 나타내는 게이트 드라이버 (1), 후술하는 도 8 에 나타내는 게이트 드라이버 (2), 및 후술하는 도 10 에 나타내는 게이트 드라이버 (3) 는 모두, 보조 용량 구동 신호가 통과하는 부재를 투시하여 도시하고 있다.
게이트 드라이버 (1) 는, 테이프 (31) 에 버퍼 (21A 및 21B) 를 구비한 집적 회로 (32) 를 실장한 구성이다. 또한, 도 3 에 나타내는 게이트 드라이버 (1) 에 있어서, 각종 단자가 형성된 단자부 (33) 에 붙여져 있는 부호 (문자) 는, 게이트 드라이버 (1) 의 각 단자에 대응하는 테이프 (31) 의 단자명이다.
게이트 드라이버 (1) 의 각 단자는, 단자부 (33) 의 중앙에 단자 「OG1」~ 단자 「OG272」가 배치되어 있고, 그 양측에 단자 「CSVtypeA1′R」~ 단자 「CSVtypeA4′R」과, 단자 「CSVtypeA1′L」~ 단자 「CSVtypeA4′L」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그 밖의 단자는, 단자부 (33) 에 있어서, 단자 「CSVtypeA1′R」~ 단자 「CSVtypeA4′R」및 단자 「CSVtypeA1′L」~ 단자 「CSVtypeA4′L」보다 더욱, 게이트 드라이버 (1) 의 양단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도 3 에 각각 2 단자 형성된 단자 「VGL」, 단자 「VGH」, 단자 「GND」, 단자 「LBR」, 단자 「VCC」, 단자 「VCSH」, 및 단자 「VCSL」은 모두, 그 2 단자에서의 일방의 단자와 타방의 단자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단자 「CSVtypeA1R」~ 단자 「CSVtypeA4R」은, 단자 「CSVtypeA1L」~ 단자 「CSVtypeA4L」과 접속되어 있다.
또한 편의상, 도 3, 도 8, 및 도 10 에서는, 보조 용량 구동 신호가 통과하는 배선 (예를 들어, 단자 「CSVtypeA1R」과 단자 「CSVtypeA1L」을 접속시키는 배선) 이 복수 존재하는 지점을, 1 개의 굵은 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단자 「GSPOI」와 단자 「GSPIO」는, 일방이 입력 단자가 되면 타방이 출력 단자가 되는 입출력 관계를 갖고 있다. 즉, 단자 「GSPOI」및 단자 「GSPIO」는, 일방의 단자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타방의 단자로부터 출력한다. 이들 단자 「GSPOI」및 단자 「GSPIO」는, 단자부 (33) 의 각 양단에 배치되는 것이 적합하다. 또, 단자 「GCKOI」및 단자 「GCKIO」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단자부 (33) 의 각 양단에 배치되는 것이 적합하다.
버퍼 (21A 및 21B)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버퍼 (21A) 의 입력 단자 및 버퍼 (21B) 의 입력 단자가, 단자 「CSVtypeA1R」~ 단자 「CSVtypeA4R」과, 단자 「CSVtypeA1L」~ 단자 「CSVtypeA4L」의 각 접속 부분에 접속되어 있고, 버퍼 (21A) 의 출력 단자가, 단자 「CSVtypeA1′R」~ 단자 「CSVtypeA4′R」에 접속되어 있으며, 버퍼 (21B) 의 출력 단자가, 단자 「CSVtypeA1′L」~ 단자 「CSVtypeA4′L」에 접속되어 있다.
도 4 는, 게이트 드라이버 (1) 를, 표시 장치의 기판에 실장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의 특징을 보다 명확하게 도시하기 위하여, 도 4 에 나타내는 액정 표시 패널 (표시 장치 : 40), 후술하는 도 17 에 나타내는 액정 표시 패널 (170), 및 후술하는 도 18 에 나타내는 액정 표시 패널 (180) 은 모두, 각 액정 표시 패널 자체에 형성되는 게이트 드라이버 내부를 부분적으로, 즉 게이트 드라이버 내부에 있어서, 주사선 구동 신호가 통과하지 않는 부재를 투시하여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4, 후술하는 도 17, 및 후술하는 도 18 에서는 모두,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로서, 표시 장치에 본 발명에 관한 주사선 구동 장치를 2 개 실장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에 관한 주사선 구동 장치는, 표시 장치의 기판에 1 개만 실장되어도 되고, 3 개 이상 실장되어도 된다.
이하, 도 4 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의 구성 및 동작 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정 표시 패널 (40) 에서는, 1 개의 표시 회소 (41) 가 복수의 부회소 (42 및 43) 로 분할되어 있다. 또, 부회소 (42) 는, TFT (44) 를 통해서 주사선 (Gn) 및 신호선 (데이터선 : Sm) 에 접속되어 있다. 또, 부회소 (43) 는, TFT (45) 를 통해서 주사선 (Gn) 및 신호선 (Sm) 에 접속되어 있다. 즉, TFT (44 및 45) 의 게이트 전극은, 공통 (동일) 되는 주사선 (Gn) 에 접속되어 있다. 또, TFT (44 및 45) 의 소스 전극은, 공통 (동일) 되는 신호선 (Sm) 에 접속되어 있다.
부회소 (42 및 43) 는 각각, 액정 용량과 보조 용량을 갖고 있다. 이들 각 액정 용량 및 각 보조 용량은, 일방의 전극이 각각 TFT (44 및 45) 의 드레인 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각 액정 용량의 타방의 전극은 각각, 대응하는 대향 전압에 접속되어 있다. 각 보조 용량의 타방의 전극은 각각, 보조 용량 배선 (46) 과 보조 용량 배선 (47) 에 접속되어 있다. 이로써, 부회소 (42 및 43) 에서의 각 보조 용량에는, 각각 보조 용량 배선 (46 및 47) 으로부터 CS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즉, 부회소 (42 및 43) 는, 도 12 에 나타내는 부회소 (121 및 122) 와 동일한 접속 관계를 갖고 있다. 이 결과, 부회소 (42) 에서의 보조 용량에 인가되는 CS 전압과, 부회소 (43) 에서의 보조 용량에 인가되는 CS 전압은 서로 상이한 전압이 될 수 있다.
요컨대, 도 4 에 나타내는 표시 회소 (41) 는, 도 12 에 나타내는 표시 회소 (120) 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이다.
액정 표시 패널 (40) 에서는 먼저, 컨트롤러 (48) 로부터 도 1 에 나타내는 게이트 드라이버 (1) 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게이트 드라이버 (1A) 에, 보조 용량 구동 신호, 주사선 구동 신호의 기초가 되는 게이트 드라이버의 제어 신호 (주사 개시 신호 및 구동 클록 신호), 및 각종 전원 전압이 입력된다. 이 때, 게이트 드라이버 (1A) 는, 단자군 (C1) 의 단자 「LBR」과 단자 「VCC」가 접속됨으로써 「H」상태로 고정된다.
게이트 드라이버 (1A) 에는, 보조 용량 구동 신호가, 단자군 (C1) 의 단자 「CSVtypeA1R」~ 단자 「CSVtypeA4R」로부터 입력된다. 또, 게이트 드라이버 (1A) 의 단자 「LBR」이 「H」상태이기 때문에, 게이트 드라이버의 제어 신호는, 게이트 드라이버 (1A) 의 단자군 (C1) 의 단자 「GSPOI」및 단자 「GCKOI」로부터 입력된다. 또, 각종 전원 전압은, 게이트 드라이버 (1A) 의 단자군 (C1) 의, 단자 「VGL」, 단자 「VGH」, 단자 「GND」, 단자 「VCC」, 단자 「VCSL」, 및 단자 「VCSH」로부터 입력된다.
여기서, 도 4 에 있어서, 단자 「LBR」, 단자 「VGL」, 단자 「VGH」, 단자 「GND」, 단자 「VCC」, 단자 「VCSL」, 및 단자 「VCSH」는, 단자군 (C1 및 C2) 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게이트 드라이버 (1A) 에서의 테이프 (31) 의 단자부 (33) 의 각 양단에, 각각 1 단자씩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단자군 (C1) 에 형성된 이들 단자와, 단자군 (C2) 에 형성된 이들 단자는, 서로 동일한 단자명을 갖는 단자끼리가 접속되어 있다.
또,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군 (C1) 에 단자 「GSPOI」및 단자 「GCKOI」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단자 「GSPIO」및 단자 「GCKIO」는 단자군 (C2) 에 형성된다. 이 경우, 단자군 (C1) 에 형성된 단자 「GSPOI」는, 단자군 (C2) 에 형성된 단자 「GSPIO」에 접속되고, 단자군 (C1) 에 형성된 단자 「GCKOI」는, 단자군 (C2) 에 형성된 단자 「GCKIO」에 접속된다.
동일하게,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군 (C1) 에 단자 「CSVtypeA1R」~ 단자 「CSVtypeA4R」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단자 「CSVtypeA1L」~ 단자 「CSVtypeA4L」은 단자군 (C2) 에 형성된다. 그리고, 단자군 (C1) 에 형성된 단자 「CSVtypeA1R」~ 단자 「CSVtypeA4R」은, 단자군 (C2) 에 형성된 단자 「CSVtypeA1L」~ 단자 「CSVtypeA4L」에 접속된다.
또한, 게이트 드라이버 (1A) 의 단자군 (C2) 에 형성된 단자 「CSVtypeA1L」~ 단자 「CSVtypeA4L」과, 게이트 드라이버 (1A) 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게이트 드라이버 (1B) 의 단자군 (C1) 에 형성되는 단자 「CSVtypeA1R」~ 단자 「CSVtypeA4R」을, 예를 들어 유리 기판 (49) 상의 배선에 의해 접속시킴으로써, 액정 표시 패널 (40) 에서는, 게이트 드라이버 (1A) 에 입력되는, 보조 용량 구동 신호, 게이트 드라이버의 제어 신호, 및 각종 전원 전압을, 게이트 드라이버 (1A) 로부터 게이트 드라이버 (1B) 에 공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액정 표시 패널 (40) 에서는, 컨트롤러 (48) 로부터 입력된 주사선 구동 신호의 기초가 되는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서술한 원리에 의해 게이트 드라이버 (1A) 가 주사선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게이트 드라이버 (1A) 의 단자 「OG1」~ 단자 「OG272」는, 대응하는 액정 표시 패널 (40) 의 각 주사선 (Gn) 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게이트 드라이버 (1A) 는, 단자 「OG1」~ 단자 「OG272」에 접속되는 각 주사선 (Gn) 에 주사선 구동 신호를 부여한다.
한편, 컨트롤러 (48) 로부터 입력된 보조 용량 구동 신호는, 게이트 드라이버 (1A) 의 집적 회로 (32) 의 내부에 형성되는 버퍼 (21A 및 21B) 에서 파형 정형이 이루어지고, 단자 「CSVtypeA1′R」~ 단자 「CSVtypeA4′R」및 단자 「CSVtypeA1′L」~ 단자 「CSVtypeA4′L」로부터 출력된다. 단자 「CSVtypeA1′R」~ 단자 「CSVtypeA4′R」및 단자 「CSVtypeA1′L」~ 단자 「CSVtypeA4′L」은, 액정 표시 패널 (40) 에서의 보조 용량의 각 기간 라인 (기간 배선 : 50) 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각 기간 라인 (50) 에는, 각 보조 용량 배선 (51) 이 접속되어 있다. 버퍼 (21A 및 21B) 로부터, 단자 「CSVtypeA1′R」~ 단자 「CSVtypeA4′R」및 단자 「CSVtypeA1′L」~ 단자 「CSVtypeA4′L」에 출력되는, 파형의 둔화가 저감된 보조 용량 구동 신호는, 단자 「CSVtypeA1′R」~ 단자 「CSVtypeA4′R」과, 단자 「CSVtypeA1′L」~ 단자 「CSVtypeA4′L」에 접속되어 있는 보조 용량 배선 (51) 모두에 부여되고, 이로써 보조 용량 배선 (51) 에 각각 접속된 보조 용량이 구동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기간 라인 (50) 은, 게이트 드라이버 (1A) 의 단자 「CSVtypeA1′R」~ 단자 「CSVtypeA4′R」및 단자 「CSVtypeA1′L」~ 단자 「CSVtypeA4′L」에 접속되어 있는 보조 용량 배선 (51) 단위에서의 분단이 가능하다. 기간 라인 (50) 은, 특정한 1 개의 버퍼에 접속된 보조 용량 배선 (51) 마다 분단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도 4 에 나타내는 액정 표시 패널 (40) 에서는, 보조 용량 구동 신호가 입력되는 게이트 드라이버 (1A 및 1B) 를 구비한다. 그리고, 게이트 드라이버 (1A 및 1B) 는 각각, 보조 용량 구동 신호가 입력되고, 당해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파형을 정형하는 버퍼 (21A 및 21B) 를 구비한다. 또한, 버퍼 (21A 및 21B) 는 각각, 자신에게 입력된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파형을 정형하여, 각 보조 용량 배선 (51) 에 출력함으로써, 각 보조 용량 배선 (51) 에 파형의 둔화가 저감된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공급한다.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에서는, 기간 배선을 형성할 필요는 있지만, 당해 기간 배선은, 종래 기술에 관한 표시 장치와 같이 액정 표시 패널 전체에 신장하여 형성하는 필요가 없다. 즉,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에서는, 종래 기술에 관한 표시 장치와 같이, 액정 표시 패널 전체의 보조 용량 배선에 접속되는 보조 용량을 구동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에서는, 기간 배선을 구성하는 배선의 선폭을, 종래 기술에 관한 표시 장치의 기간 배선을 구성하는 배선의 선폭과 비교하여 가늘게 할 수 있다. 또한, 버퍼의 크기에도 관계되기 때문에 일괄적으로 말할 수는 없지만, 종래 기술에 관한 표시 장치가 4 개의 게이트 드라이버에 의해 보조 용량을 구동하는 경우, 표시 장치 대신에, 도 4 에 나타내는 액정 표시 패널 (40) 의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종래 기술에 관한 표시 장치의 기간 배선은, 8 개의 기간 배선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도 4 에 나타내는 액정 표시 패널 (40) 에서는, 기간 라인 (50) 을 구성하는 배선 선폭을, 예를 들어 종래 기술에 관한 표시 장치에서의 기간 배선의 선폭의 1/8 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에서는, 액연의 협소화를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는, 기간 배선이 분단되지 않고, 그 표시 장치에 형성되는 주사선 구동 장치마다, 상기 서술한 기능을 갖는 버퍼를 1 개 또는 복수개 형성하고, 각 버퍼로부터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는, 각 주사선 구동 장치가, 표시 장치에 분산 실장되어 있고, 이에 수반하여 각 표시 장치 내부에 형성되는 버퍼도 분산되어 복수개 실장되어 있음에 의한다. 이 경우에는, 각 버퍼 총계의 구동 능력이 충분히 높으면, 상기 기간 라인을 분단하지 않고, 기간 배선을 구성하는 배선의 선폭을 가늘게 할 수도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주사선 구동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 에 나타내는 게이트 드라이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게이트 드라이버 (1) 의 구성에 있어서, 단자 「CSVtypeA1′R」~ 단자 「CSVtypeA4′R」, 또는 단자 「CSVtypeA1′L」~ 단자 「CSVtypeA4′L」이 생략되어 있다. 즉, 도 5 에 나타내는 게이트 드라이버 (2) 는,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출력 단자로서, 단자 「CSVtypeA1′」~ 단자 「CSVtypeA4′」가 1 세트 형성되어 있다.
또, 도 5 에 나타내는 게이트 드라이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게이트 드라이버 (1) 의 구성에 있어서, 단자 「OVCSH」및 단자 「OVCSL」이 추가된 구성이다.
도 5 에 나타내는 게이트 드라이버 (2) 는, 1 개의 버퍼 (22) 를 구비한다. 이에 수반하여,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단자 「VCSH」및 단자 「VCSL」은, 버퍼 (22) 를 동작시키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전원이 접속되는 전원 단자가 된다.
단자 「OVCSH」및 단자 「OVCSL」은, 단자 「VCSH」및 단자 「VCSL」과 동일하게, 버퍼 (22) 를 동작시키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전원이 접속되는 전원 단자이다. 여기서, 단자 「OVCSH」에 인가되는 전원 전압은, 단자 「VCSH」에 인가되는 전원 전압보다 수 V 높다. 또, 단자 「OVCSL」에 인가되는 전원 전압은, 단자 「VCSL」에 인가되는 전원 전압보다 수 V 낮다.
도 6 은, 상기 버퍼의 다른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에 나타내는 버퍼 (220) 는 버퍼 (22), 및 후술하는 버퍼 (23 : 도 9 참조) 로서 적합하게 사용되는 것이다. 도 6 에 나타내는 버퍼 (220) 는, 도 2 에 나타내는 버퍼 (210) 의 구성에 있어서, 인버터 (212B) 대신에 인버터 회로 (212C) 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인버터 회로 (212C) 는, 인버터 (212B) 의 구성에 있어서, 트랜지스터 (212BP) 의 소스 단자에 스위치 (SW1) 를 추가로 구비하고, 트랜지스터 (212BN) 의 소스 단자에 스위치 (SW2) 를 추가로 구비하는 구성이다.
스위치 (SW1 및 SW2) 는 모두, 예를 들어 c 접점 동작을 실시하는 단극의 전환 스위치에 의해 구성된다. 스위치 (SW1) 는, 자신의 온 오프를 전환함으로써, 트랜지스터 (212BP) 의 소스 단자가 단자 「VCSH」에 접속되는 경우와, 단자 「OVCSH」에 접속되는 경우를 전환한다. 스위치 (SW2) 는, 자신의 온 오프를 전환함으로써, 트랜지스터 (212BN) 의 소스 단자가 단자 「VCSL」에 접속되는 경우와, 단자 「OVCSL」에 접속되는 경우를 전환한다.
여기서, 스위치 (SW1) 는, 입력 단자 (211) 로부터 입력되는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상승 순간부터 소정 시간만큼, 트랜지스터 (212BP) 의 소스 단자가 단자 「OVCSH」에 접속되고, 그 이외의 시간에 있어서는, 트랜지스터 (212BP) 의 소스 단자가 단자 「VCSH」에 접속된다. 동일하게, 스위치 (SW2) 는 상기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하강 순간부터 소정 시간만큼, 트랜지스터 (212BN) 의 소스 단자가 단자 「OVCSL」에 접속되고, 그 이외의 시간에 있어서는, 트랜지스터 (212BN) 의 소스 단자가 단자 「VCSL」에 접속된다.
도 6 에 나타내는 버퍼 (220) 에 있어서, 스위치 (SW1 및 SW2) 의 전환 동작을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어하는 경우, 상기 버퍼가 출력하는 신호는 도 7 에 나타내는 파형이 된다.
도 7 은, 버퍼 (220) 에 의해, 이른바 오버 슛 처리가 실시된 후의, 신호의 파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또한, 도 7 에 나타내는 그래프에 있어서, 세로축은 상기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레벨이며, 가로축은 시간이다.
스위치 (SW1) 는, 도 7 에 파형을 나타내는 상기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상승 순간 (T1) 으로부터, 상승 순간 (T1) 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의 T2 까지의 사이 (T3) 에 있어서, 트랜지스터 (212BP) 의 소스 단자와, 단자 「VCSH」의 전위보다 수 V 높은 전위를 갖는 단자 「OVCSH」를 접속시킨다. 또, T3 이외의 시간에 있어서, 스위치 (SW1) 는 트랜지스터 (212BP) 의 소스 단자와, 단자 「VCSH」를 접속시킨다.
스위치 (SW2) 는, 도 7 에 파형을 나타내는 상기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하강 순간 (T4) 으로부터, 하강 순간 (T4) 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의 T5 까지의 사이 (T6) 에, 트랜지스터 (212BN) 의 소스 단자와, 단자 「VCSL」의 전위보다 수 V 낮은 전위를 갖는 단자 「OVCSL」을 접속시킨다. 또, T6 이외의 시간에 있어서, 스위치 (SW2) 는, 트랜지스터 (212BN) 의 소스 단자와, 단자 「VCSL」을 접속시킨다.
도 5 에 나타내는 게이트 드라이버 (2) 에서는, 버퍼 (22) 로서 도 6 에 나타내는 버퍼 (220) 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도 5 에 나타내는 게이트 드라이버 (2) 에서는, 단자 「CSVtypeA1R」~ 단자 「CSVtypeA4R」로부터 버퍼 (22) 에 입력되는 보조 용량 구동 신호에 대하여, 상기 서술한 도 7 에 나타내는 오버 슛 처리를 실시하고, 단자 「CSVtypeA1′」~ 단자 「CSVtypeA4′」로부터 출력한다. 이로써, 도 5 에 나타내는 게이트 드라이버 (2) 에서는, 상기 오버 슛 처리에 의해,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상승에 있어서는, 출력될 전압보다 높은 전위를 일단 출력하고, 그 후 목적으로 하는 전위를 출력한다. 동일하게, 도 5 에 나타내는 게이트 드라이버 (2) 에서는, 상기 오버 슛 처리에 의해,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하강시에는, 출력될 전압보다 낮은 전위를 일단 출력하고, 그 후 목적으로 하는 전위를 출력한다. 이로써, 보조 용량 및 액정 용량의 충전 시간을 앞당겨, 목적으로 하는 전압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단시간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로써, 도 5 에 나타내는 게이트 드라이버 (2) 에서는, 주사선의 증가에서 기인하여 보조 용량의 구동 시간이 짧아지는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5 에 나타내는 게이트 드라이버 (2) 에서는, 주사선의 증가에서 기인하여 보조 용량의 구동 시간이 짧아지는 경우에도, 보조 용량을 적절히 구동할 수 있기 때문에 표시의 휘도 불균일을 저감시켜 표시의 편차를 줄일 수 있다.
도 8 은, 도 5 에 나타내는 게이트 드라이버 (2) 의 외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에 나타내는 게이트 드라이버 (2) 는, 테이프 (31) 에 버퍼 (22) 를 구비하는 집적 회로 (62) 를 실장한 구성이다. 또, 도 8 에 나타내는 게이트 드라이버 (2) 는 단자부 (63) 를 갖고 있다.
도 8 에 나타내는 게이트 드라이버 (2) 에서는, 단자 「CSVtypeA1′」~ 단자 「CSVtypeA4′」가 단자부 (63) 의 중앙에 배치된다.
또, 단자 「OVCSH」는, 단자부 (63) 에서의 단자 「VCSH」와 단자 「VCSL」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또, 단자 「OVCSL」의 일방은, 단자부 (63) 에서의 단자 「VCSL」의 일방과 단자 「GSPOI」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단자 「OVCSL」의 타방은, 단자부 (63) 에서의 단자 「VCSL」외 타방과 단자 「GSPIO」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8 에 나타내는 게이트 드라이버 (2) 는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4 와 동일한 요령에 의해, 게이트 드라이버 (2A 및 2B) 로서, 표시 장치로서의 액정 표시 패널 (170) 에 실장할 수 있다. 단자 「OVCSH」및 단자 「OVCSL」은, 일방이 도 17 에 나타내는 액정 표시 패널 (170) 에 관한 단자군 (C11 : 도 4 에 나타내는 게이트 드라이버 (1A) 의 단자군 (C1) 에 대응하는 단자군) 에, 타방이 단자군 (C12 : 도 4 에 나타내는 게이트 드라이버 (1A) 의 단자군 (C2) 에 대응하는 단자군) 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단자군 (C11) 에 형성된 단자 「OVCSH」는, 단자군 (C12) 에 형성된 단자 「OVCSH」에 접속되어 있고, 단자군 (C11) 에 형성된 단자 「OVCSL」은, 단자군 (C12) 에 형성된 단자 「OVCSL」에 접속되어 있다. 단자 「CSVtypeA1′」~ 단자 「CSVtypeA4′」는, 액정 표시 패널 (170) 에서의 보조 용량의 기간 라인 (171) 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기간 라인 (171) 에는, 보조 용량 배선 (172) 등의 보조 용량 배선이 접속되어 있다. 버퍼 (22) 로부터, 단자 「CSVtypeA1′」~ 단자 「CSVtypeA4′」에 출력되는, 파형의 둔화가 저감된 보조 용량 구동 신호는, 단자 「CSVtypeA1′」~ 단자 「CSVtypeA4′」에 접속되어 있는 보조 용량 배선 모두에 부여된다.
도 17 에 나타내는 액정 표시 패널 (170) 의 구성에 의해서도, 도 4 에 나타내는 액정 표시 패널 (40) 과 동일한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도 5 에 관한 형태에서는, 버퍼 (22) 로서 도 6 에 나타내는 버퍼 (220) 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버퍼 (22) 로서 도 2 에 나타내는 버퍼 (210) 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반대로, 상기 서술한 도 1 에 관한 형태에서의 버퍼 (21A) 및/또는 버퍼 (21B) 는, 도 6 에 나타내는 버퍼 (220) 가 사용되어도 된다.
도 9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주사선 구동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 에 나타내는 게이트 드라이버 (3) 는, 도 5 에 나타내는 게이트 드라이버 (2) 의 구성에 있어서, 버퍼 (제 2 버퍼 : 23) 를 추가로 구비하는 구성이다. 이에 수반하여,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단자 「VCSH」및 단자 「VCSL」은 버퍼 (제 1 버퍼 : 22) 및 버퍼 (23) 를 동작시키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전원이 접속되는 전원 단자가 된다.
또, 도 9 에 나타내는 게이트 드라이버 (3) 에는, 단자 「CSVtypeA1R」~ 단자 「CSVtypeA4R」및 단자 「CSVtypeA1L」~ 단자 「CSVtypeA4L」대신에, 단자 「CSVtypeA1I」~ 단자 「CSVtypeA4I」및 단자 「CSVtypeA1O」~ 단자 「CSVtypeA4O」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드라이버 (3) 에 형성된 단자 「CSVtypeA1I」~ 단자 「CSVtypeA4I」는,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버퍼 (23) 에 입력하기 위한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입력 단자이다. 게이트 드라이버 (3) 에 형성된 단자 「CSVtypeA1O」~ 단자 「CSVtypeA4O」는, 버퍼 (23) 로부터 입력된 상기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보조 용량 배선과는 다른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출력 단자이다.
요컨대, 게이트 드라이버 (3) 에 형성된 단자 「CSVtypeA1O」~ 단자 「CSVtypeA4O」는, 게이트 드라이버 (3) 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도시되지 않은 다음단의 게이트 드라이버에 형성된 단자 「CSVtypeA1I」~ 단자 「CSVtypeA4I」와 접속됨으로써, 다음단의 게이트 드라이버에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관한 주사선 구동 장치로서, 도 8 에 나타내는 게이트 드라이버 (3) 를 2 개 (즉, 후술하는 도 18 에 나타내는 게이트 드라이버 (3A 및 3B)), 도 4 에 나타내는 요령과 동일한 요령에 의해 실장하는 경우, 게이트 드라이버 (3A) 에 형성된 단자 「CSVtypeA1O」~ 단자 「CSVtypeA4O」는, 게이트 드라이버 (3B) 에 형성된 단자 「CSVtypeA1I」~ 단자 「CSVtypeA4I」에 접속된다 (도 18 참조).
버퍼 (23) 는, 일단 (입력 단자) 이 게이트 드라이버 (3) 의 단자 「CSVtypeA1I」~ 단자 「CSVtypeA4I」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 (출력 단자) 이 게이트 드라이버 (3) 의 단자 「CSVtypeA1O」~ 단자 「CSVtypeA4O」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버퍼 (23) 는, 단자 「CSVtypeA1I」~ 단자 「CSVtypeA4I」와 단자 「CSVtypeA1O」~ 단자 「CSVtypeA4O」사이에 있어서, 버퍼 (22) 가 접속된 부분보다 단자 「CSVtypeA1O」~ 단자 「CSVtypeA4O」에 가까운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도 9 에 나타내는 게이트 드라이버 (3) 에서는, 단자 「CSVtypeA1I」~ 단자 「CSVtypeA4I」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버퍼 (22) 를 통해서 단자 「CSVtypeA1′」~ 단자 「CSVtypeA4′」로부터 보조 용량 배선에 출력한다.
한편, 도 9 에 나타내는 게이트 드라이버 (3) 에서는, 단자 「CSVtypeA1I」~ 단자 「CSVtypeA4I」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버퍼 (23) 를 통해서 단자 「CSVtypeA1O」~ 단자 「CSVtypeA4O」로부터 상기 보조 용량 배선과는 다른 외부 (예를 들어, 상기 다음단의 게이트 드라이버) 로 출력한다.
이로써, 복수의 주사선 구동 장치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둔화 및 지연에서 기인하는, 당해 복수의 주사선 구동 장치 사이에서의, 상기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파형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도 9 에 나타내는 게이트 드라이버 (3) 는, 표시 장치에 주사선 구동 장치가 다수 실장되는 경우에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버퍼 (23) 로서 사용되는 버퍼는, 당연히 도 2 에 나타내는 버퍼 (210) 여도 상관없지만, 도 6 에 나타내는 버퍼 (220) 인 것이 보다 적합하다.
도 10 은, 도 9 에 나타내는 게이트 드라이버 (3) 의 외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에 나타내는 게이트 드라이버 (3) 는, 테이프 (31) 에 버퍼 (22 및 23) 를 구비한 집적 회로 (72) 를 실장한 구성이다. 또, 도 10 에 나타내는 게이트 드라이버 (3) 는 단자부 (73) 를 갖고 있다. 또한, 도 10 에 나타내는 게이트 드라이버 (3) 에서는, 단자 「CSVtypeA1I」~ 단자 「CSVtypeA4I」가 단자부 (73) 의 일단에, 단자 「CSVtypeA1O」~ 단자 「CSVtypeA4O」가 단자부 (73) 의 타단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9 에 나타내는 게이트 드라이버 (3) 는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4 와 동일한 요령에 의해, 게이트 드라이버 (3A 및 3B) 로서, 표시 장치로서의 액정 표시 패널 (180) 에 실장할 수 있다.
도 18 에 나타내는 액정 표시 패널 (180) 은, 보조 용량 구동 신호가 입력되는 게이트 드라이버 (3A 및 3B) 를 구비한다. 그리고, 게이트 드라이버 (3A 및 3B) 는 각각, 자신에게 입력된 보조 용량 구동 신호가 입력되는 버퍼 (22 및 23) 를 구비한다. 버퍼 (22) 는, 자신에게 입력된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파형을 정형하여, 단자 「CSVtypeA1′」~ 단자 「CSVtypeA4′」로부터, 기간 라인 (181) 에 접속된 보조 용량 배선 (182) 등의 보조 용량 배선에 출력함으로써, 보조 용량 배선 (182) 에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공급한다. 한편, 버퍼 (23) 는, 자신에게 입력된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파형을 정형하여, 단자 「CSVtypeA1O」~ 단자 「CSVtypeA4O」로부터, 보조 용량 배선 (182) 과는 상이한 외부로 출력한다. 또한 그 일례로서, 게이트 드라이버 (3A) 의 버퍼 (23) 는, 자신에게 입력된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게이트 드라이버 (3A) 의 단자 「CSVtypeA1O」~ 단자 「CSVtypeA4O」로부터, 게이트 드라이버 (3B) 의 단자 「CSVtypeA1I」~ 단자 「CSVtypeA4I」로 출력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에서는, 주사선 구동 장치 내부에서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주사선 구동 장치에 형성된 버퍼에 의해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파형을 정형하여,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동일하게, 본 발명에 관한 주사선 구동 장치에서는, 자신의 내부에서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자체에 형성된 버퍼에 의해 당해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파형을 정형하여, 표시 장치의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실시형태 2]
도 19 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에 구비되는 주사선 구동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9 에 나타내는 게이트 드라이버 실장 기판 (주사선 구동 장치 : 401) 은, 인터포저 기판 (기판 : 403) 에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 회로 : 402) 가 실장되어 구성되어 있다.
또, 게이트 드라이버 (402) 는, 컨트롤 로직 (11A 및 11B), 쌍방향 시프트 레지스터 (12), 레벨 시프터 (13), 출력 회로 (14), 및 버퍼 (22) 를 구비하는 구성으로서, 도 5 에 나타내는 게이트 드라이버 (2) 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여기서부터는, 게이트 드라이버 실장 기판 (401) 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 게이트 드라이버 실장 기판 (401) 에 형성되어 있는 각 단자는, 도 19 에 있어서 원형의 부재로서 도시되어 있다. 또, 그 원형의 부재에 붙여져 있는 부호 (문자) 는, 게이트 드라이버 실장 기판 (401) 에 형성되어 있는 각 단자의 단자명이 된다. 게이트 드라이버 실장 기판 (401) 에 형성되어 있는 각 단자는 모두, 게이트 드라이버 (402) 와 인터포저 기판 (403) 의 각각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서로 동일한 단자명을 갖는 단자끼리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로써, 게이트 드라이버 실장 기판 (401) 에서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혹은 인가되는 전압을, 인터포저 기판 (403) 을 통해서 게이트 드라이버 (402) 로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이로써, 게이트 드라이버 실장 기판 (401) 에서는, 게이트 드라이버 (402) 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혹은 인가되는 전압을, 인터포저 기판 (403) 을 통해서 외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여기서는, 게이트 드라이버 (402) 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인지, 인터포저 기판 (403) 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인지에 상관없이, 게이트 드라이버 실장 기판 (401) 에 형성되어 있는 각 단자의 설명을, 단자명이 상이한 것마다 실시한다.
단자 「LBR」은, 쌍방향 시프트 레지스터 (12) 의 시프트 방향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 단자이다. 단자 「LBR」은, 상태 「H」와 상태 「L」을 갖고 있으며, 당해 제어 신호에 따라 상태 「H」와 상태 「L」을 전환함으로써, 쌍방향 시프트 레지스터 (12) 의 시프트 방향을 제어한다. 그리고 이로써, 출력 회로 (14) 가 출력하는 주사선 구동 신호는 그 주사 방향이 결정된다. 또한, 출력 회로 (14) 는, 주사선 구동 신호를 후술하는 단자 「OG1」~ 「OG272」에 출력하기 위하여 형성되어 있는 회로이다.
단자 「GSPOI」및 단자 「GSPIO」는,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를 상기 단자 「LBR」에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전환하는 기능을 갖는 IO 단자이다. 상기 단자 「LBR」이 상태 「H」인 경우에는, 단자 「GSPOI」가 입력 단자가 되고, 단자 「GSPIO」가 출력 단자가 된다. 상기 단자 「LBR」이 상태 「L」인 경우에는, 단자 「GSPOI」가 출력 단자가 되고, 단자 「GSPIO」가 입력 단자가 된다. 단자 「GSPOI」및 단자 「GSPIO」중 입력 단자의 기능을 갖는 단자는, 쌍방향 시프트 레지스터 (12) 의 동작을 개시시키기 위한 주사 개시 신호를 게이트 드라이버 (402) 에 입력하기 위한 단자가 된다. 또, 단자 「GSPOI」및 단자 「GSPIO」중 출력 단자의 기능을 갖는 단자는, 그 주사 개시 신호를 게이트 드라이버 (402) 와 캐스케이드 접속된 도시되지 않은 다음단의 게이트 드라이버에 출력하기 위한 단자가 된다.
단자 「GCKOI」및 단자 「GCKIO」는, 단자 「GSPOI」및 단자 「GSPIO」와 동일하게,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를, 상기 단자 「LBR」에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전환하는 기능을 갖는 IO 단자이다. 요컨대, 상기 단자 「LBR」이 상태 「H」인 경우에는, 단자 「GCKOI」가 입력 단자가 되고, 단자 「GCKIO」가 출력 단자가 된다. 그리고, 상기 단자 「LBR」이 상태 「L」인 경우에는, 단자 「GCKOI」가 출력 단자가 되고, 단자 「GCKIO」가 입력 단자가 된다. 단자 「GCKOI」및 단자 「GCKIO」중 입력 단자의 기능을 갖는 단자는, 쌍방향 시프트 레지스터 (12) 의 구동 클록 신호를 게이트 드라이버 (402) 에 입력하기 위한 단자가 된다. 또, 단자 「GCKOI」및 단자 「GCKIO」중 출력 단자의 기능을 갖는 단자는, 그 구동 클록 신호를 상기 다음단의 게이트 드라이버에 출력하기 위한 단자가 된다.
단자 「VGL」및 단자 「VGH」는, 출력 회로 (14) 를 동작시키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전원이 접속되는 전원 단자이다. 단자 「VGL」에 인가되는 전원 전압을 vgl, 단자 「VGH」에 인가되는 전원 전압을 vgh 로 하는 경우, vgl 은 vgh 보다 작다. 또 이 경우, 출력 회로 (14) 는 상기 주사선 구동 신호를, vgl 로부터 vgh 까지의 진폭을 갖는 신호로서 단자 「OG1」~ 단자 「OG272」에 출력한다.
단자 「VCC」는, 게이트 드라이버 (402) 를 동작시키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전원이 접속되는 전원 단자이다. 단자 「GND」는 접지 단자이다.
단자 「OG1」~ 단자 「OG272」(제 2 단자) 는, 출력 회로 (14) 로부터의 주사선 구동 신호를, 게이트 드라이버 실장 기판 (401) 의 외부로 출력하는 주사선 구동 신호의 출력 단자이다. 표시 장치에 형성되는 주사선이 단자 「OG1」~ 단자 「OG272」에 직접 접속되거나, 혹은 주사선과 단자 「OG1」~ 단자 「OG272」가 배선 등을 통해서 접속됨으로써, 단자 「OG1」~ 단자 「OG272」로부터 출력되는 주사선 구동 신호는 주사선에 공급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주사선은, 자신에게 공급된 주사선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된다. 또한, 단자 「OG1」~ 단자 「OG272」는, 1 개의 단자에 대하여 1 개의 주사선을 접속시킬 수 있게 된다. 요컨대, 단자 「OG1」~ 「OG272」는, 1 개의 단자에 대하여, 1 개의 주사선에 주사선 구동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게이트 드라이버 실장 기판 (401) 에 있어서, 단자 「OG1」~ 단자 「OG272」의 각각에 접속된 합계 272 개의 주사선을 구동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실시형태에 관한 주사선 구동 장치에서는, 단자 「OG1」~ 단자 「OG272」에서의 적어도 1 개의 단자에, 주사선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즉, 주사선 구동 장치에 있어서, 합계 271 개 이하의 주사선을 구동하는) 구성이어도 상관없다.
단자 「CSVtypeA1R」~ 단자 「CSVtypeA4R」(제 3 단자), 및 단자 「CSVtypeA1L」~ 단자 「CSVtypeA4L」은, 외부로부터 보조 용량 구동 신호가 입력되는,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입력 단자이다. 단자 「CSVtypeA1′」~ 단자 「CSVtypeA4′」(제 1 단자) 는, 보조 용량 배선 (예를 들어, 후술하는 도 22 의 보조 용량 배선 (451)) 이 직접 접속되거나, 혹은 배선 등을 통해서 보조 용량 배선과 접속됨으로써,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접속된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할 수 있는,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출력 단자이다.
단자 「VCSH」및 단자 「VCSL」은, 버퍼 (22) 를 동작시키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전원이 접속되는 전원 단자이다. 또한, 단자 「VCSH」의 전원 전압은, 단자 「VCSL」의 전원 전압보다 높아져 있다.
단자 「OVCSH」및 단자 「OVCSL」은, 버퍼 (22) 를 동작시키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전원이 접속되는 전원 단자이다. 여기서, 단자 「OVCSH」에 인가되는 전원 전압은, 단자 「VCSH」의 전원 전압과 비교하여 수 V 높게, 단자 「OVCSL」에 인가되는 전원 전압은, 단자 「VCSL」의 전원 전압과 비교하여 수 V 낮게, 각각 설정되어 있다.
게이트 드라이버 (402) 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 「CSVtypeA1R」~ 단자 「CSVtypeA4R」은, 게이트 드라이버 (402) 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 「CSVtypeA1L」~ 단자 「CSVtypeA4L」과 접속되어 있다. 또, 게이트 드라이버 (402) 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 「CSVtypeA1R」~ 단자 「CSVtypeA4R」과, 게이트 드라이버 (402) 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 「CSVtypeA1L」~ 단자 「CSVtypeA4L」사이에는, 버퍼 (22) 의 입력 단자가 접속되어 있다. 버퍼 (22) 의 출력 단자는, 게이트 드라이버 (402) 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 「CSVtypeA1′」~ 단자 「CSVtypeA4′」에 접속되어 있다.
도 19 에 나타내는 게이트 드라이버 실장 기판 (401) 에 입력된 보조 용량 구동 신호는, 단자 「CSVtypeA1R」~ 단자 「CSVtypeA4R」(혹은, 단자 「CSVtypeA1L」~ 단자 「CSVtypeA4L」) 로부터 버퍼 (22) 에 입력된다. 버퍼 (22) 는 입력된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파형을 정형하여, 파형이 정형된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단자 「CSVtypeA1′」~ 단자 「CSVtypeA4′」를 통해서 보조 용량 배선으로 출력한다. 게이트 드라이버 실장 기판 (401) 에서는, 이렇게 하여 파형의 둔화가 저감된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하여, 보조 용량 배선에 접속된 보조 용량을 구동하고 있다.
단, 버퍼 (22) 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에서의 필수 구성은 아니기 때문에 생략 가능하다. 버퍼 (22) 가 생략되는 경우, 게이트 드라이버 실장 기판 (401) 에서는, 게이트 드라이버 (402) 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 「CSVtypeA1R」~ 단자 「CSVtypeA4R」과, 게이트 드라이버 (402) 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 「CSVtypeA1L」~ 단자 「CSVtypeA4L」사이에, 게이트 드라이버 (402) 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 「CSVtypeA1′」~ 단자 「CSVtypeA4′」가 접속되게 된다.
인터포저 기판 (403) 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 「CSVtypeA1′」~ 단자 「CSVtypeA4′」는 각각, 복수개의 단자를 갖고 있다.
또,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터포저 기판 (403) 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 「CSVtypeA1′」~ 단자 「CSVtypeA4′」는, 인터포저 기판 (403) 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 「OG1」과 단자 「OG272」사이에 적절히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터포저 기판 (403) 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 「CSVtypeA1′」~ 단자 「CSVtypeA4′」는, 인터포저 기판 (403) 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 「OG1」과 단자 「OG272」사이를 제외한 부분에 적절히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즉, 인터포저 기판 (403) 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 「CSVtypeA1′」~ 단자 「CSVtypeA4′」는, 적어도 1 개의 단자가, 인터포저 기판 (403) 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 「OG1」과 단자 「OG272」사이 (즉, 복수개의 단자 「OG1」~ 「OG272」중 어느 2 개의 단자 사이) 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게이트 드라이버 (402) 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 「CSVtypeA1′」~ 단자 「CSVtypeA4′」는 각각, 인터포저 기판 (403) 상에 형성된 배선 (404) 에 의해, 인터포저 기판 (403) 에 형성되어 있는 모든 단자 「CSVtypeA1′」~ 「CSVtypeA4′」에 접속되어 있다.
버퍼 (22) 는, 당연히 버퍼 (210 : 도 2 참조) 여도 되고, 버퍼 (220 : 도 6 참조) 여도 된다. 버퍼 (220) 에서는, 보조 용량 구동 신호에 대하여, 상기 서술한 오버 슛 구동이 이루어진다. 이로써, 도 19 에 나타내는 게이트 드라이버 (402) 에서는, 오버 슛 처리에 의해,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상승에 있어서는, 출력될 전압보다 높은 전위를 일단 출력하고, 그 후 목적으로 하는 전위를 출력한다. 동일하게, 도 19 에 나타내는 게이트 드라이버 (402) 에서는, 상기 오버 슛 처리에 의해,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하강시에는, 출력될 전압보다 낮은 전위를 일단 출력하고, 그 후 목적으로 하는 전위를 출력한다. 이로써, 보조 용량 및 액정 용량의 충전 시간을 앞당겨, 목적으로 하는 전압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단시간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로써, 도 19 에 나타내는 게이트 드라이버 (402) 에서는, 주사선의 증가에서 기인하여 보조 용량의 구동 시간이 짧아지는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19 에 나타내는 게이트 드라이버 (402) 에서는, 주사선의 증가에서 기인하여 보조 용량의 구동 시간이 짧아지는 경우에도, 보조 용량을 적절히 구동할 수 있기 때문에 표시의 휘도 불균일을 저감시켜 표시의 편차를 줄일 수 있다.
여기서, 게이트 드라이버 (402) 에서의, 주사선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원리의 개요는, 도 5 에 나타내는 게이트 드라이버 (2) 와 동일하고, 또한 도 1 에 나타내는 게이트 드라이버 (1) 와 동일하다.
즉, 도 19 에 나타내는 게이트 드라이버 (402) 의 단자 「LBR」에는, 단자 「LBR」을 「H」상태 또는 「L」상태로 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공급된다. 이로써, 게이트 드라이버 (402) 에서는, 쌍방향 시프트 레지스터 (12) 의 시프트 방향이 결정되고, 이로써 주사선 구동 신호의 주사 방향이 결정된다. 여기서는, 단자 「LBR」을 「H」상태로 하는 경우를 상정하고, 상기 개요를 설명한다. 이 경우, 출력 회로 (14) 가 출력하는 주사선 구동 신호의 주사 방향, 즉 주사선 구동 신호가 공급되는 주사선의 순서는, 단자 「OG1」에 접속되는 주사선, 단자 「OG2」에 접속되는 주사선, …, 단자 「OG272」에 접속되는 주사선이 된다.
수직 동기 신호를 기초로 생성된 주사 개시 신호가, 게이트 드라이버 (402) 의 단자 「GSPOI」로부터 입력되면, 쌍방향 시프트 레지스터 (12) 는, 게이트 드라이버 (402) 의 단자 「GCKOI」로부터 입력되는 구동 클록 신호에 동기하여 시프트 동작을 개시하고, 그 시프트 동작에 의해 펄스 신호인 제 1 펄스를 생성한다. 이 구동 클록 신호에는, 수평 동기 신호를 기초로 생성된 신호가 사용된다.
상기 제 1 펄스는, 레벨 시프터 (13) 에 의해, 상기 전압 (vgl) 으로부터 상기 전압 (vgh) 의 진폭을 갖는 신호로 레벨 변환되어, 주사선 구동 신호로서 출력 회로 (14) 로부터 단자 「OG1」에 접속되어 있는 주사선에 출력된다. 다음으로, 쌍방향 시프트 레지스터 (12) 는, 상기한 시프트 동작에 의해, 제 1 펄스와는 다른 펄스 신호인 제 2 펄스를 생성한다. 이 제 2 펄스는, 레벨 시프터 (13) 에 의해, 상기 전압 (vgl) 으로부터 상기 전압 (vgh) 의 진폭을 갖는 신호로 레벨 변환되어, 주사선 구동 신호로서 출력 회로 (14) 로부터 단자 「OG2」에 접속되는 주사선에 출력된다.
즉, 쌍방향 시프트 레지스터 (12) 는, 상기한 시프트 동작에 의해, 제 n 의 펄스와는 다른 펄스 신호인 제 (n + 1) 의 펄스를 생성한다. 이 제 (n + 1) 의 펄스는, 레벨 시프터 (13) 에 의해, 상기 전압 (vgl) 으로부터 상기 전압 (vgh) 의 진폭을 갖는 신호로 레벨 변환되어, 주사선 구동 신호로서 출력 회로 (14) 로부터 단자 「OG (n + 1)」에 접속되는 주사선에 출력된다. 다음으로, 쌍방향 시프트 레지스터 (12) 는, 상기한 시프트 동작에 의해, 제 (n + 1) 의 펄스와는 다른 펄스 신호인 제 (n + 2) 의 펄스를 생성한다 …, 와 같은 동작을, 단자 「OG272」에 접속되는 주사선에 펄스 (제 272 의 펄스) 에 기초하여 생성된 주사선 구동 신호가 출력될 때까지 반복한다.
상기한 쌍방향 시프트 레지스터 (12) 에서의 시프트 동작에서는, 수평 동기 신호와 동기하는 신호가 사용되고 있다. 그 때문에, 단자 「OG1」~ 「OG272」로부터 출력하는 주사선 구동 신호는, 그 수평 동기 신호의 1 주기마다 주사선을 1 개 구동한다.
상기한 시프트 동작이 종료되면, 즉 단자 「OG272」에 접속되는 주사선에 주사선 구동 신호를 출력하면, 게이트 드라이버 (402) 는, 단자 「GSPIO」로부터 주사 개시 신호를 출력함과 함께, 단자 「GCKIO」로부터 구동 클록 신호를 출력한다. 그 주사 개시 신호 및 구동 클록 신호는, 상기 다음단의 게이트 드라이버에 입력된다. 이로써, 그 다음단의 게이트 드라이버에서는, 게이트 드라이버 (402) 와 동일한, 주사선 구동 장치에서의 주사선 구동 신호 생성 동작을 개시한다. 예를 들어, 게이트 드라이버 (402) 가 272 개의 주사선을 구동하는 경우, 상기 다음단의 게이트 드라이버에서는, 273 개째의 주사선으로부터 274 개째의 주사선, 275 개째의 주사선, …, 와 같은 방식으로 주사선에 주사선 구동 신호를 부여한다.
도 20 은, 게이트 드라이버 실장 기판 (401) 이 탑재된 주사선 구동 장치 패키지의 외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게이트 드라이버 실장 기판 (401) 에 의해, 예를 들어 후술하는 도 22 에 나타내는 액정 표시 패널 (440) 과 같은, 멀티 회소 구동으로 구동되는 표시 장치에 형성된 보조 용량 배선에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경우, 및 게이트 드라이버 실장 기판 (401) 에 의해, 표시 장치에 형성된 주사선에 주사선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경우, 게이트 드라이버 실장 기판 (401) 은, 도 20 에 나타내는 주사선 구동 장치 패키지 (430) 의 형태로 그 표시 장치에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특징점을 보다 명확하게 도시하기 위하여, 도 20 에 나타내는 주사선 구동 장치 패키지 (430) 에서는, 보조 용량 구동 신호가 통과하는 부재를 투시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20 에 나타내는 주사선 구동 장치 패키지 (430) 는, 테이프 (431) 에 게이트 드라이버 실장 기판 (401) 이 실장된 구성이다.
또한, 도 20 에 나타내는 주사선 구동 장치 패키지 (430) 에 있어서, 단자부에는, 게이트 드라이버 실장 기판 (401) 의 각 단자에 대응하는, 표시 장치의 단자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자부란, 주사선 구동 장치 패키지 (430) 에 있어서, 게이트 드라이버 실장 기판 (401) 에 형성되어 있는 각 단자의 단자명과 동일한 부호 (문자) 가 붙여져 있는 부재로서, 주사선 구동 장치 패키지 (430) 의 우단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부재이다. 도 20 에 나타내는 주사선 구동 장치 패키지 (430) 에 형성되어 있는 각 단자는 모두, 게이트 드라이버 실장 기판 (401) 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와, 서로 동일한 단자명을 갖는 단자끼리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로써, 도 20 에 나타내는 주사선 구동 장치 패키지 (430) 에서는, 게이트 드라이버 실장 기판 (401) 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혹은 전압을, 주사선 구동 장치 패키지 (430) 외부로 출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편의상, 도 20 에서는, 보조 용량 구동 신호가 통과하는 복수의 배선 (예를 들어, 단자 「CSVtypeA1R」과 단자 「CSVtypeA1L」을 접속시키는 배선 (434)) 및 배선 주변의 배선을, 1 개의 굵은 선에 의해 도시하고 있다.
주사선 구동 장치 패키지 (430) 는, 단자부의 중앙 부근에 단자 「OG1」~ 단자 「OG272」가 배치되어 있고, 단자 「OG1」~ 단자 「OG272」사이 (및 단자 「OG1」~ 단자 「OG272」의 양측) 에 단자 「CSVtypeA1′」~ 단자 「CSVtypeA4′」가 적절히 배치되어 있다. 그 밖의 단자는, 단자 「OG1」~ 단자 「OG272」보다 단자부의 단부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단자부의 단자 「CSVtypeA1R」~ 단자 「CSVtypeA4R」은, 단자부의 단자 「CSVtypeA1L」~ 단자 「CSVtypeA4L」과, 테이프 (431) 및 게이트 드라이버 실장 기판 (401) 에 형성되어 있는 배선 (434) 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단자부에 각 2 단자 형성되어 있는, 단자 「VGL」, 단자 「VGH」, 단자 「GND」, 단자 「LBR」, 단자 「VCC」, 단자 「VCSH」, 단자 「VCSL」, 단자 「OVCSH」, 및 단자 「OVCSL」은 모두, 당해 2 단자에서의 일방의 단자와 타방의 단자가, 게이트 드라이버 실장 기판 (401) 에서의 동일한 단자명을 갖는 단자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단자 「GSPOI」및 단자 「GSPIO」는, 일방이 입력 단자가 되면 타방이 출력 단자가 되는 입출력 관계를 갖는다. 즉, 단자 「GSPOI」및 단자 「GSPIO」는, 일방의 단자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타방의 단자로부터 출력한다. 단자 「GSPOI」및 단자 「GSPIO」는, 단자부의 양단에 배치되는 것이 적합하다. 또, 단자 「GCKOI」및 단자 「GCKIO」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단자부의 양단에 배치되는 것이 적합하다.
또, 도 21 은, 게이트 드라이버 실장 기판 (401) 의 개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21 의 (a) 는, 게이트 드라이버 (402) 가 인터포저 기판 (403) 에 실장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1 의 (b) 는, 게이트 드라이버 (402) 가 인터포저 기판 (403) 에 실장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1 의 (c) 는,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구동하는 버퍼 (22) 가 인터포저 기판 (403) 상에 형성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터포저 기판 (403) 에는, 도시되지 않은 필름 단자에 접속되는 단자-기판간 범프 (435) 와, 기판 상 배선 (436) 이 형성되어 있고, 기판 상 배선 (436) 에 의해 게이트 드라이버 (402) 와 단자-기판간 범프 (435) 가 접속되어 있다.
입력측의 단자-기판간 범프 (435a) 는, 게이트 드라이버 실장 기판 (401) 에서의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입력 단자, 즉 인터포저 기판 (403) 의 단자 「CSVtypeA1R」~ 단자 「CSVtypeA4R」, 및 단자 「CSVtypeA1L」~ 단자 「CSVtypeA4L」(도 19 참조) 이다. 입력측의 단자-기판간 범프 (435a) 에는, 배선 (434 : 도 20 참조) 이 접속되고, 기판 상 배선 (436a) 에 의해, 게이트 드라이버 (402) 에서의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입력 단자, 즉 게이트 드라이버 (402) 의 단자 「CSVtypeA1R」~ 단자 「CSVtypeA4R」, 및 단자 「CSVtypeA1L」~ 단자 「CSVtypeA4L」에 접속되어 있다 (도 21 의 (b) 참조). 또한, 여기서는 편의상, 게이트 드라이버 실장 기판 (401) 에서의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입력 단자를 1 단자만 도시하고 있으며, 게이트 드라이버 (402) 에서의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입력 단자에 대하여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입력 단자는, 게이트 드라이버 (402) 또는 인터포저 기판 (403) 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 「CSVtypeA1R」~ 단자 「CSVtypeA4R」, 및 단자 「CSVtypeA1L」~ 단자 「CSVtypeA4L」의 총 수만큼, 게이트 드라이버 (402) 또는 인터포저 기판 (403) 에 형성되어 있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
게이트 드라이버 (402) 에서의 보조 용량 구동 신호의 입력 단자는, 게이트 드라이버 (402) 내의 버퍼 (22) 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고, 버퍼 (22) 의 출력 단자는, 도시되지 않은 게이트 드라이버 (402) 의 단자 「CSVtypeA1′」~ 단자 「CSVtypeA4′」에 접속된다 (도 21 의 (b) 참조). 게이트 드라이버 (402) 의 단자 「CSVtypeA1′」~ 단자 「CSVtypeA4′」와, 인터포저 기판 (403) 의 출력측의 범프 (435b) 는 기판 상 배선 (436b) 에 의해 접속되는데, 그 범프 (435b) 는, 주사선 구동 신호가 통과하는 패드 (범프 : 435c) 사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보조 용량 구동 신호가 통과하는 기판 상 배선 (436b) 은, 주사선 구동 신호가 통과하는 기판 상 배선 (436c) 과 교차시킬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보조 용량 구동 신호가 통과하는 기판 상 배선 (436b) 과, 주사선 구동 신호가 통과하는 기판 상 배선 (436c) 은, 인터포저 기판 (403) 상에 있어서 교차하도록 서로 상이한 층에 형성된다.
또한,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구동하는 버퍼 (22) 는, 도 21 의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터포저 기판 (403) 상에 형성되어도 된다.
인터포저 기판 (403) 은, 집적 회로를 제조하는 공정과 동일한 제조 공정에서 제조되기 때문에, 배선층을 2 층으로 하는 것, 및 버퍼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2 는, 주사선 구동 장치 패키지 (430) 를, 표시 장치의 기판에 실장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특징점을 보다 명확하게 도시하기 위하여, 도 22 에 나타내는 액정 표시 패널 (표시 장치 : 440) 에서는, 보조 용량 구동 신호가 통과하는 부재를 투시한 상태로 도시하고 있다.
또, 도 22 에서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로서, 표시 장치에 주사선 구동 장치 패키지 (430) 를 2 개 실장하는 액정 표시 패널 (440) 에 대하여 설명하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주사선 구동 장치 패키지 (430) 는, 액정 표시 패널 (440) 의 기판에 1 개만 실장되어도 되고, 3 개 이상 실장되어도 된다.
이하, 도 22 를 사용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구성 및 동작 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정 표시 패널 (440) 에서는, 1 개의 표시 회소 (441) 가 복수의 부회소 (442 및 443) 로 분할되어 있다. 또, 부회소 (442) 는, TFT (444) 를 통해서 주사선 (Gn) 및 신호선 (데이터선 : Sm) 에 접속되어 있다. 또, 부회소 (443) 는, TFT (445) 를 통해서 주사선 (Gn) 및 신호선 (Sm) 에 접속되어 있다. 즉, TFT (444 및 445) 의 게이트 전극은, 공통 (동일) 되는 주사선 (Gn) 에 접속되어 있다. 또, TFT (444 및 445) 의 소스 전극은, 공통 (동일) 되는 신호선 (Sm) 에 접속되어 있다.
부회소 (442 및 443) 는, 액정 용량과 보조 용량을 갖고 있다. 이들 액정 용량 및 보조 용량은 모두, 일방의 전극이 TFT (444 및 445) 의 드레인 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액정 용량의 타방의 전극은, 대향 전압에 접속되어 있다. 보조 용량의 타방의 전극은, 보조 용량 배선 (446 및 447) 에 접속되어 있다. 이로써, 부회소 (442 및 443) 에서의 보조 용량에는, 보조 용량 배선 (446 및 447) 으로부터 CS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즉, 부회소 (442 및 443) 는, 도 12 에 나타내는 부회소 (121, 122) 와 동일한 접속 관계를 갖는다. 그 때문에, 부회소 442 에서의 보조 용량에 인가되는 CS 전압과, 부회소 (443) 에서의 보조 용량에 인가되는 CS 전압은, 서로 상이한 전압이 될 수 있다.
요컨대, 도 22 에 나타내는 표시 회소 (441) 는, 도 12 에 나타내는 표시 회소 (120) 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이다.
액정 표시 패널 (440) 에서는 먼저, 도시되지 않은 컨트롤러로부터 주사선 구동 장치 패키지 (430) 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주사선 구동 장치 패키지 (430A) 에, 보조 용량 구동 신호, 주사선 구동 신호의 기초가 되는 게이트 드라이버의 제어 신호 (주사 개시 신호 및 구동 클록 신호), 및 각종 전원 전압이 입력된다. 여기서, 단자 「LBR」은 단자 「VCC」와 접속되어 있으며, 이로써, 단자 「LBR」은 상기 「H」상태로 고정된다. 또한, 주사선 구동 장치 패키지 (430A) 에는, 보조 용량 구동 신호가 단자 「CSVtypeA1R」~ 단자 「CSVtypeA4R」로부터 입력된다. 또, 단자 「LBR」이 「H」상태이기 때문에, 게이트 드라이버의 제어 신호는 단자 「GSPOI」및 단자 「GCKOI」로부터 입력된다. 또, 각종 전원 전압은, 단자 「VGL」, 단자 「VGH」, 단자 「GND」, 단자 「VCC」, 단자 「VCSL」, 단자 「VCSH」, 단자 「OVCSL」, 및 단자 「OVCSH」로부터 입력된다.
여기서, 도 22 에 있어서 단자 「LBR」, 단자 「VGL」, 단자 「VGH」, 단자 「GND」, 단자 「VCC」, 단자 「VCSL」, 단자 「VCSH」, 단자 「OVCSL」, 및 단자 「OVCSH」는, 서로 동일한 단자명을 갖는 단자끼리가 접속되어 있다. 또, 도 2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GSPOI」는 단자 「GSPIO」에 접속되어 있고, 단자 「GCKOI」는 단자 「GCKIO」에 접속되어 있다.
동일하게, 도 2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CSVtypeA1R」~ 단자 「CSVtypeA4R」은 단자 「CSVtypeA1L」~ 단자 「CSVtypeA4L」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그 때문에, 주사선 구동 장치 패키지 (430A) 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 「CSVtypeA1L」~ 단자 「CSVtypeA4L」과, 주사선 구동 장치 패키지 (430A) 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주사선 구동 장치 패키지 (430B) 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 「CSVtypeA1R」~ 단자 「CSVtypeA4R」을 각각 접속시킴으로써, 액정 표시 패널 (440) 에서는, 주사선 구동 장치 패키지 (430A) 에 입력되는 보조 용량 구동 신호, 게이트 드라이버의 제어 신호, 및 각종 전원 전압을, 주사선 구동 장치 패키지 (430A) 로부터 주사선 구동 장치 패키지 (430B) 에 공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액정 표시 패널 (440) 에서는,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입력된 주사선 구동 신호의 기초가 되는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서술한 원리에 의해, 주사선 구동 장치 패키지 (430A) 가 주사선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주사선 구동 장치 패키지 (430A) 의 단자 「OG1」~ 단자 「OG272」는, 액정 표시 패널 (440) 의 주사선 (Gn) 에 각각 접속된다. 그리고, 주사선 구동 장치 패키지 (430A) 는, 단자 「OG1」~ 단자 「OG272」에 접속되는 각 주사선 (Gn) 에 주사선 구동 신호를 부여한다.
한편,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단자 「CSVtypeA1R」~ 단자 「CSVtypeA4R」에 입력된 보조 용량 구동 신호는, 주사선 구동 장치 패키지 (430A) 의 게이트 드라이버 실장 기판 (401) 에 형성되어 있는 버퍼 (22) 를 통해서, 단자 「CSVtypeA1′」~ 단자 「CSVtypeA4′」로부터 출력된다. 주사선 구동 장치 패키지 (430A) 의 단자 「CSVtypeA1′」~ 단자 「CSVtypeA4′」에는, 보조 용량 배선 (451) 이 접속된다. 버퍼 (22) 로부터 출력되는, 파형의 둔화가 저감된 보조 용량 구동 신호는, 주사선 구동 장치 패키지 (430A) 의 단자 「CSVtypeA1′」~ 단자 「CSVtypeA4′」에 접속되어 있는 보조 용량 배선 (451) 모두에 부여되고, 이로써 보조 용량 배선 (451) 에 접속되는 보조 용량이 구동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에서는, 종래 기술에 관한 표시 장치와 같이, 기간 배선을 액정 표시 패널 전체에 형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에서는, 액연의 협소화를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는, 주사선 구동 장치 내부에서 보조 용량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당해 주사선 구동 장치로부터 각 보조 용량 배선에 공급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9 에 나타내는 게이트 드라이버 실장 기판 (401) 의 게이트 드라이버 (402) 로서, 도 5 에 나타내는 게이트 드라이버 (2) 가 사용되고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1 에 나타내는 게이트 드라이버 (1) 가 사용되어 있어도 되며, 도 9 에 나타내는 게이트 드라이버 (3) 가 사용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여러 변경이 가능하며, 상이한 실시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히 조합하여 얻어지는 실시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워드프로세서, 퍼스널 컴퓨터, 및 텔레비전 방송의 수신기 등에 사용되는 표시 장치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표시 장치, 및 당해 표시 장치에 형성되어 있는 주사선을 구동하는 주사선 구동 장치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