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32800B1 - 데이터입력회로 - Google Patents

데이터입력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2800B1
KR101132800B1 KR20100054316A KR20100054316A KR101132800B1 KR 101132800 B1 KR101132800 B1 KR 101132800B1 KR 20100054316 A KR20100054316 A KR 20100054316A KR 20100054316 A KR20100054316 A KR 20100054316A KR 101132800 B1 KR101132800 B1 KR 101132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ata
clock
latch
gene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54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4634A (ko
Inventor
권경환
강태진
이상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20100054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2800B1/ko
Priority to CN201110072004.7A priority patent/CN102281051B/zh
Priority to JP2011096494A priority patent/JP5795486B2/ja
Priority to US13/096,669 priority patent/US8867302B2/en
Publication of KR20110134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4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800B1/ko
Priority to US14/489,575 priority patent/US907042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2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for memories with random access ports synchronised on clock signal pulse trains, e.g. synchronous memories, self timed memori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06Data managing, e.g. manipulating data before writing or reading out, data bus switches or control 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87Data input latch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93Input synchroniz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96Write circuits, e.g. I/O line write driv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11C7/222Clock generating, synchronizing or distributing circuits within memory device

Landscapes

  • Dram (AREA)

Abstract

데이터입력회로는 라이트레이턴시가 경과된 후 발생되는 펄스를 포함하는 시프팅신호를 생성하고, 시프팅신호의 펄스가 발생하는 시점부터 버스트구간동안 내부클럭을 샘플링하여 샘플링클럭을 생성하는 클럭샘플링부와, 상기 시프팅신호를 상기 샘플링클럭에 동기시켜 래치하여 레벨신호를 생성하고, 버스트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레벨신호로부터 최종클럭을 생성하는 최종클럭생성부와, 상기 최종클럭을 래치하여 인에이블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인에이블신호에 응답하여 정렬된 데이터를 래치시켜 출력하기 위한 라이트래치신호를 생성하는 라이트래치신호생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데이터입력회로{DATA INPUT CIRCUIT}
본 발명은 라이트동작 오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데이터입력회로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메모리장치는 집적도의 증가와 더불어 그 동작 속도의 향상을 위하여 계속적으로 개선되어 왔다. 동작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메모리칩 외부에서 주어지는 클록과 동기되어 동작할 수 있는 소위 동기식(Synchronous) 메모리 장치가 등장되었다.
처음 제안된 것은 메모리 장치의 외부로부터의 클록의 상승 에지(rising edge)에 동기되어 하나의 데이터 핀에서 클록의 한 주기에 걸쳐 하나의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이른바 SDR(single data rate) 동기식 메모리 장치이다.
그러나 SDR 동기식 메모리 장치 역시 고속 동작을 요구하는 시스템의 속도를 만족하기에는 불충분하며, 이에 따라 하나의 클록 주기에 두 개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식인 DDR(Double Data Rate) 동기식 메모리 장치가 제안되었다.
DDR 동기식 메모리 장치의 각 데이터 입출핀에서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클록의 상승 에지(rising edge)와 하강 에지(falling edge)에 동기되어 연속적으로 두 개의 데이터가 입출력되는바, 클록의 주파수를 증가시키지 않더라도 종래의 SDR 동기식 메모리 장치에 비하여 최소한 두 배 이상의 대역폭(band width)을 구현할 수 있어 그 만큼 고속동작이 구현 가능하다.
한편, DDR 동기식 메모리 장치는 내부적으로 멀티-비트(multi-bit)를 한꺼번에 처리하는 멀티비트 프리패치 방식을 사용한다. 멀티비트 프리패치 방식은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에 동기시켜 병렬로 정렬시킨 후, 외부 클럭 신호에 동기되어 입력되는 라이트 명령에 의해 정렬된 멀티비트의 데이터를 한꺼번에 메모리 셀 어레이에 저장하는 방식을 말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데이터입력회로의 멀티-비트 프리차지 방식을 보여주는 타이밍도이다.
라이트 동작이 개시되면 내부데이터(IDATA)들이 라이징 데이터스트로브신호(DQS_R) 및 폴링 데이터스트로브신호(DQS_F)에 동기되어 정렬된다. 즉, 내부데이터(IDATA)들은 라이징 데이터스트로브신호(DQS_R) 및 폴링 데이터스트로브신호(DQS_F)에에 동기되어 래치되고, 폴링 데이터스트로브신호(DQS_F)의 마지막 펄스에 동기되어 제1 내지 제4 정렬데이터(ALGND1~ALGND4)로 출력된다. 제1 내지 제4 정렬데이터(ALGND1~ALGND4)는 데이터입력클럭(DIN_CLK)에 동기하여 라이트드라이버(미도시)에 전달된다.
내부데이터(IDATA)들의 입력이 종료되면 포스트앰블(postamble) 구간동안 데이터스트로브신호(DQS)는 프리차지 상태가 된다. 그런데, 포스트앰블(postamble) 구간에서 X1과 같이 데이터스트로브신호(DQS)가 링잉(ringing)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데이터스트로브신호(DQS)에 링잉(ringing)이 발생하면 X2에서와 같이 라이징 데이터스트로브신호(DQS_R) 및 폴링 데이터스트로브신호(DQS_F)에도 링잉(ringing)이 발생한다. 이는 라이징 데이터스트로브신호(DQS_R)가 데이터스트로브신호(DQS)의 라이징에지(rising edge)에 동기되어 발생되고, 폴링 데이터스트로브신호(DQS_F)가 데이터스트로브신호(DQS)의 폴링에지(falling edge)에 동기되어 발생되기 때문이다.
라이징 데이터스트로브신호(DQS_R) 및 폴링 데이터스트로브신호(DQS_F)에 발생된 링잉(ringing)은 포스트앰블 구간에서 입력이 종료된 내부데이터(IDATA)를 래치하므로, 유효하게 래치되고 정렬되어 출력된 제1 내지 제4 정렬데이터(ALGND1~ALGND4)를 파괴하여 라이트 동작에 오류를 야기한다.
본 발명은 포스트앰블구간에서 데이터스트로브신호의 링잉에 따른 라이트동작 오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데이터입력회로를 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라이트레이턴시가 경과된 후 발생되는 펄스를 포함하는 시프팅신호를 생성하고, 시프팅신호의 펄스가 발생하는 시점부터 버스트구간동안 내부클럭을 샘플링하여 샘플링클럭을 생성하는 클럭샘플링부와, 상기 시프팅신호를 상기 샘플링클럭에 동기시켜 래치하여 레벨신호를 생성하고, 버스트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레벨신호로부터 최종클럭을 생성하는 최종클럭생성부와, 상기 최종클럭을 래치하여 인에이블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인에이블신호에 응답하여 정렬된 데이터를 래치시켜 출력하기 위한 라이트래치신호를 생성하는 라이트래치신호생성부를 포함하는 데이터입력회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데이터를 제1 및 제2 내부스트로브신호에 동기시켜 정렬하여 라이징데이터 및 폴링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정렬부와, 데이터스트로브신호의 마지막 폴링에지를 감지하여 라이트래치신호를 생성하는 데이터스트로브신호감지회로와, 상기 라이트래치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라이징데이터 및 상기 폴링데이터를 래치시켜 입력데이터로 출력하는 데이터래치부를 포함하는 데이터입력회로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데이터입력회로의 멀티-비트 프리차지 방식을 보여주는 타이밍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데이터입력회로에 포함된 데이터스트로브신호 감지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데이터스트로브신호 감지회로에 포함된 클럭샘플링부의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클럭샘플링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데이터스트로브신호 감지회로에 포함된 최종클럭생성부의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최종클럭생성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데이터스트로브신호 감지회로에 포함된 라이트래치신호생성부의 도면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데이터입력회로에 포함된 데이터래치부 및 전달부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데이터입력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 보호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버퍼(10), 데이터스트로브신호버퍼(11), 커멘드버퍼(12), 클럭버퍼(13), 데이터정렬부(2), 데이터스트로브신호 감지회로(3), 데이터래치부(4), 데이터입력클럭생성부(5), 전달부(6) 및 라이트드라이버(7)를 포함한다.
데이터버퍼(10)는 데이터(DATA)를 버퍼링하여 내부데이터(IDATA)를 생성한다. 데이터스트로브신호버퍼(11)는 데이터스트로브신호(DQS) 및 반전데이터스트로브신호(DQS)를 입력받아 제1 내부스트로브신호(DQS_R) 및 제2 내부스트로브신호(DQS_F)를 생성한다. 여기서, 제1 내부스트로브신호(DQS_R)는 데이터스트로브신호(DQS)의 라이징에지(rising edge)에 동기되어 생성되고, 제2 내부스트로브신호(DQS_F)는 데이터스트로브신호(DQS)의 폴링에지(falling edge)에 동기되어 생성된다. 커멘드버퍼(12)는 외부커맨드(EXTCMD)를 버퍼링하여 라이트동작을 위한 라이트커맨드(WT_CMD)를 생성한다. 클럭버퍼(13)는 클럭(CLK)을 버퍼링하여 내부클럭(ICLK)을 생성한다.
데이터정렬부(2)는 제1 내부스트로브신호(DQS_R)에 동기하여 내부데이터(IDATA)를 래치하여 출력하는 제1 래치(20)와, 제2 내부스트로브신호(DQS_F)에 동기하여 제1 래치(20)의 출력신호를 래치하여 제1 라이징데이터(D1R)로 출력하는 제2 래치(21)와, 제1 내부스트로브신호(DQS_R)에 동기하여 제1 라이징데이터(D1R)를 래치하여 제2 라이징데이터(D2R)로 출력하는 제3 래치(22)와, 제2 라이징데이터(D2R)를 소정 구간 지연시켜 제3 라이징데이터(D3R)로 출력하는 제1 지연기(23)와, 제2 내부스트로브신호(DQS_F)에 동기하여 내부데이터(IDATA)를 래치하여 제1 폴링데이터(D1F)로 출력하는 제4 래치(24)와, 제1 내부스트로브신호(DQS_R)에 동기하여 제1 폴링데이터(D1F)를 래치하여 제2 폴링데이터(D2F)로 출력하는 제5 래치(25)와, 제2 폴링데이터(D2F)를 소정 구간 지연시켜 제3 폴링데이터(D3F)로 출력하는 제2 지연기(26)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래치(20), 제2 래치(21), 제3 래치(22), 제4 래치(24) 및 제5 래치(25)는 D-플립플롭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데이터정렬부(2)에서 출력되는 제1 라이징데이터(D1R), 제3 라이징데이터(D3R), 제1 폴링데이터(D1F) 및 제3 폴링데이터(D3F)는 정렬되어 출력된다.
데이터스트로브신호 감지회로(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럭샘플링부(30), 최종클럭생성부(31) 및 라이트래치신호생성부(32)를 포함한다.
클럭샘플링부(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트커맨드(WT_CMD)를 제1 내지 제4 라이트레이턴시신호(WL<1:4>)에 의해 설정되는 라이트레이턴시만큼 시프팅하여 출력하는 시프팅부(300)와, 시프팅부(300)의 출력신호를 반전버퍼링하여 시프팅신호(WR_WL)를 출력하는 버퍼로 동작하는 인버터(IV30)와, 라이트커맨드(WT_CMD)가 입력되는 시점부터 제1 내지 제4 라이트레이턴시신호(WL<1:4>)에 의해 설정되는 라이트레이턴시 및 제1 및 제2 버스트신호(BL4, BL8)에 의해 설정되는 버스트구간이 경과되는 시점까지 로직로우레벨로 디스에이블되는 구간신호(SECT)를 생성하는 구간신호생성부(301)와, PMOS 트랜지스터(P30) 및 NMOS 트랜지스터들(N30, N31)로 구성되어, 시프팅신호(WR_WL) 및 구간신호(SECT)에 응답하여 구동신호(DRV)를 구동하는 구동부(302)와, 구동신호(DRV)를 래치하는 래치부(303)와, 구동신호(DRV)가 로직하이레벨인 구간에서 내부클럭(ICLK)을 샘플링클럭(SPL_CLK)으로 전달하는 전달소자로 동작하는 낸드게이트(ND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라이트레이턴시신호(WL<1>)가 로직하이레벨이면 라이트레이턴시가 1로 설정되어 라이트커맨드(WT_CMD) 입력 후 내부클럭(ICLK)의 1주기 구간이 경과된 후 라이트동작을 위한 데이터 입력이 개시된다. 또한, 제2 라이트레이턴시신호(WL<2>)가 로직하이레벨이면 라이트레이턴시가 2로 설정되어 라이트커맨드(WT_CMD) 입력 후 내부클럭(ICLK)의 2주기 구간이 경과된 후 라이트동작을 위한 데이터 입력이 개시된다. 한편, 제1 버스트신호(BL4)가 로직하이레벨이면 데이터가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버스트구간이 내부클럭(ICLK)의 4주기 구간동안으로 설정되고, 제2 버스트신호(BL8)가 로직하이레벨이면 버스트구간이 내부클럭(ICLK)의 8주기 구간동안으로 설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클럭샘플링부(30)의 동작을 도 4를 참고하여 살펴보되, 제1 라이트레이턴시신호(WL<1>)가 로직하이레벨이고, 제1 버스트신호(BL4)가 로직하이레벨로 설정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30에서 라이트커맨드(WT_CMD)가 입력되면 시프팅부(300)는 라이트커맨드(WT_CMD)를 내부클럭(ICLK)의 1주기 구간만큼 시프팅하므로, 인버터(IV30)는 t31에서 시프팅신호(WR_WL)를 출력한다.
이때, 구간신호생성부(301)에서 생성되는 구간신호(SECT)는 라이트커맨드(WT_CMD)가 입력되는 t30에서부터 라이트레이턴시(내부클럭(ICLK)의 1주기 구간) 및 버스트구간(내부클럭(ICLK)의 4주기 구간)이 경과되는 t32까지 로직로우레벨로 디스에이블된다.
구동부(302)의 PMOS 트랜지스터(P30)는 시프팅신호(WR_WL)의 로직로우레벨 펄스가 입력되는 t31에서 턴온되어 구동신호(DRV)를 풀-업구동하고, 구동부(302)의 NMOS 트랜지스터들(N30, N31)은 구간신호(SECT)가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는 t32에서 구동신호(DRV)를 풀-다운구동한다. 따라서, 샘플링클럭(SPL_CLK)은 구동신호(DRV)가 로직하이레벨로 구동되는 상태에서 내부클럭(ICLK)이 전달되어 생성된다.
최종클럭생성부(3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프팅신호(WR_WL)를 샘플링클럭(SPL_CLK)에 동기시켜 래치하여 제1 레벨신호(LEV1)를 생성하는 제1 레벨신호생성부(310)와, 제1 레벨신호(LEV1)를 샘플링클럭(SPL_CLK)에 동기시켜 래치하여 제2 레벨신호(LEV2)를 생성하는 제2 레벨신호생성부(311)와, 제2 레벨신호(LEV2)를 샘플링클럭(SPL_CLK)에 동기시켜 래치하여 제3 레벨신호(LEV3)를 생성하는 제3 레벨신호생성부(312)와, 제3 레벨신호(LEV3)를 샘플링클럭(SPL_CLK)에 동기시켜 래치하여 제4 레벨신호(LEV4)를 생성하는 제4 레벨신호생성부(313)와, 제2 레벨신호(LEV2)를 반전시켜 출력하는 인버터(IV31)와, 제1 레벨신호(LEV1) 및 인버터(IV31)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부정논리곱 연산을 수행하여 제1 출력신호(OUT1)를 생성하는 낸드게이트(ND31)와, 제4 레벨신호(LEV4)를 반전시켜 출력하는 인버터(IV32)와, 제3 레벨신호(LEV1) 및 인버터(IV32)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부정논리곱 연산을 수행하여 제2 출력신호(OUT2)를 생성하는 낸드게이트(ND32)와, 제1 출력신호(OUT1)를 반전시키는 인버터(IV33)와, 제1 출력신호(OUT1) 및 제2 출력신호(OUT2)를 입력받아 부정논리곱 연산을 수행하여 제3 출력신호(OUT3)를 생성하는 낸드게이트(ND33)와, 제1 버스트신호(BL4)가 로직하이레벨인 경우 인버터(IV33)의 출력신호를 전달하는 전달게이트(T31)와, 제2 버스트신호(BL8)가 로직하이레벨인 경우 낸드게이트(ND33)의 출력신호를 전달하는 전달게이트(T32)와, 전달게이트들(T31, T32)에서 전달된 신호를 버퍼링하여 최종클럭(FIN_CLK)으로 전달하는 버퍼부(314)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내지 제4 레벨신호생성부(310~313)는 D-플립플롭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최종클럭생성부(31)의 동작을 도 7을 참고하여 살펴보되, 제2 버스트신호(BL8)가 로직하이레벨로 설정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레벨신호생성부(310)는 시프팅신호(WR_WL)의 로직로우레벨 펄스가 입력된 후 샘플링클럭(SPL_CLK)의 라이징펄스가 입력되는 시점, 즉, t33에 동기하여 로직하이레벨로 레벨천이하는 제1 레벨신호(LEV1)를 생성한다. 또한, 제2 내지 제4 레벨신호생성부(311~313)는 각각 후속하는 샘플링클럭(SPL_CLK)의 라이징펄스에 동기하여 로직하이레벨로 레벨천이하는 제2 내지 제4 레벨신호(LEV2~4)를 생성한다. 낸드게이트(ND31)에서 출력되는 제1 출력신호(OUT1)는 제1 레벨신호(LEV1)가 로직하이레벨로 레벨천이하는 t33에서부터 제2 레벨신호(LEV2)가 로직하이레벨로 레벨천이하는 t34까지 로직로우레벨로 생성된다. 또한, 제2 출력신호(OUT2)는 제3 레벨신호(LEV3)가 로직하이레벨로 레벨천이하는 t35에서부터 제4 레벨신호(LEV4)가 로직하이레벨로 레벨천이하는 t36까지 로직로우레벨로 생성된다. 그리고, 제3 출력신호(OUT3)는 제1 출력신호(OUT1) 및 제2 출력신호(OUT2)의 로직로우레벨 펄스가 생성되는 구간에서 로직하이레벨로 발생되는 펄스를 포함한다. 앞서, 가정한 바와 같이, 로직하이레벨의 제2 버스트신호(BL8)에 의해 전달게이트(T32)가 턴온되어 제3 출력신호(OUT3)가 버퍼링되어 최종클럭(FIN_CLK)으로 출력된다. 따라서, 최종클럭(FIN_CLK)은 t33에서 t34까지의 구간 및 t35에서 t36까지의 구간에서 로직하이레벨로 생성된다.
라이트래치신호생성부(3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클럭(FIN_CLK)을 래치하여 인에이블신호(EN)를 생성하는 인에이블신호생성부(320)와, 인에이블신호(EN)에 응답하여 라이트래치신호(WR_LAT)를 생성하는 펄스생성부(321)를 포함한다.
인에이블신호생성부(320)는 로직하이레벨의 지연내부스트로브신호(DQS_Fd)가 입력되는 경우 최종클럭(FIN_CLK)을 래치하여 풀-업신호(PU) 및 풀-다운신호(PD)를 생성하는 클럭래치부(3200)와, 풀-업신호(PU) 및 풀-다운신호(PD)에 응답하여 인에이블신호(EN)를 구동하는 인에이블신호구동부(3201)를 포함한다. 지연내부스트로브신호(DQS_Fd)는 제2 내부스트로브신호(DQS_F)를 소정 구간 지연시킨 신호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인에이블신호생성부(320)는 로직하이레벨의 지연내부스트로브신호(DQS_Fd)가 입력되는 상태에서 로직하이레벨의 최종클럭(FIN_CLK)을 래치하여 로직하이레벨의 풀-업신호(PU) 및 풀-다운신호(PD)를 생성하므로, 인에이블신호(EN)는 로직로우레벨로 구동된다. 로직로우레벨로 구동된 인에이블신호(EN)는 지연내부스트로브신호(DQS_Fd) 또는 최종클럭(FIN_CLK)이 로직로우레벨로 천이할 때 로직하이레벨로 천이된다.
펄스생성부(321)는 인에이블신호(EN)를 반전지연시키는 반전지연부(3210)와, 인에이블신호(EN) 및 반전지연부(3210)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논리곱 연산을 수행하여 라이트래치신호(WR_LAT)를 생성하는 논리부(3211)를 포함한다. 라이트래치신호(WR_LAT)는 인에이블신호(EN)가 로직하이레벨로 천이하는 시점부터 반전지연부(3210)의 지연구간동안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된다.
데이터래치부(4)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트래치신호(WR_LAT)에 동기하여 제3 라이징데이터(D3R)를 래치하여 제1 입력데이터(DIN<1>)를 생성하는 제1 데이터래치(40)와, 라이트래치신호(WR_LAT)에 동기하여 제1 라이징데이터(D1R)를 래치하여 제2 입력데이터(DIN<2>)를 생성하는 제2 데이터래치(41)와, 라이트래치신호(WR_LAT)에 동기하여 제1 폴링데이터(D1F)를 래치하여 제3 입력데이터(DIN<3>)를 생성하는 제3 데이터래치(42)와, 라이트래치신호(WR_LAT)에 동기하여 제3 폴링데이터(D3F)를 래치하여 제4 입력데이터(DIN<4>)를 생성하는 제4 데이터래치(43)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내지 제4 데이터래치(40~43)는 D-플립플롭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데이터래치부(4)는 라이트래치신호(WR_LAT)의 라이징에지(rising edge)에 동기하여 제3 라이징데이터(D3R), 제1 라이징데이터(D1R), 제1 폴링데이터(D1F) 및 제3 폴링데이터(D3F)를 래치하여 제1 내지 제4 입력데이터(DIN<1:4>)로 출력한다. 따라서, 제1 내지 제4 입력데이터(DIN<1:4>)는 라이트래치신호(WR_LAT)의 라이징에지(rising edge)에서부터 내부클럭(ICLK)의 2주기 구간동안 펄스폭을 갖는 신호로 출력된다. 이는 라이트래치신호(WR_LAT)를 생성하는 최종클럭(FIN_CLK)의 주기가 내부클럭(ICLK)의 2주기 구간으로 생성되기 때문이다.
데이터입력클럭생성부(5)는 내부클럭(ICLK)을 소정구간 지연시켜 데이터입력클럭(DIN_CLK)을 생성한다. 데이터입력클럭(DIN_CLK)의 생성구간은 스펙(specification)에 따라 결정되므로, 이에 따라 데이터입력클럭생성부(5)의 지연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전달부(6)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입력클럭(DIN_CLK)에 동기하여 제1 내지 제4 입력데이터(DIN<1:4>)를 라이트드라이버(7)에 전달하는 전달소자들로 동작하는 NMOS 트랜지스터들(N60~N63)로 구성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살펴본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데이터입력회로의 동작을 도 10을 참고하여 살펴보되, 제1 라이트레이턴시신호(WL<1>)가 로직하이레벨이고, 제1 버스트신호(BL4)가 로직하이레벨로 설정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우선, 데이터버퍼(10)는 데이터(DATA)를 버퍼링하여 내부데이터(IDATA)를 생성하고, 데이터스트로브신호버퍼(11)는 데이터스트로브신호(DQS) 및 반전데이터스트로브신호(DQS)를 입력받아 제1 내부스트로브신호(DQS_R) 및 제2 내부스트로브신호(DQS_F)를 생성하며, 커멘드버퍼(12)는 외부커맨드(EXTCMD)를 버퍼링하여 라이트동작을 위한 라이트커맨드(WT_CMD)를 생성하고, 클럭버퍼(13)는 클럭(CLK)을 버퍼링하여 내부클럭(ICLK)을 생성한다.
다음으로, 데이터정렬부(2)는 제1 내부스트로브신호(DQS_R) 및 제2 내부스트로브신호(DQS_F)에 동기하여 내부데이터(IDATA)를 순차적으로 래치하여 제1 라이징데이터(D1R), 제3 라이징데이터(D3R), 제1 폴링데이터(D1F) 및 제3 폴링데이터(D3F)를 t5에서 정렬하여 출력한다.
다음으로, 데이터스트로브신호 감지회로(3)는 제2 내부스트로브신호(DQS_F)의 최종 폴링에지(falling edge)를 감지하여 t4에서부터 t6까지 로직하이레벨로 발생되는 펄스를 포함하는 최종클럭(FIN_CLK)을 생성한다. 이는 제1 라이트레이턴시신호(WL<1>)가 로직하이레벨이므로 t2에서부터 내부클럭(ICLK)이 샘플링클럭(SPL_CLK)으로 출력되고, 제1 버스트신호(BL4)가 로직하이레벨이므로 t4에서부터 내부클럭(ICLK)의 한주기동안 로직하이레벨을 펄스폭을 갖는 펄스가 최종클럭생성부(31)에서 선택되어 출력되기 때문이다.
또한, 데이터스트로브신호 감지회로(3)는 라이트래치신호생성부(32)에서 지연내부스트로브신호(DQS_Fd)에 동기하여 최종클럭(FIN_CLK)을 래치하여 라이트래치신호(WR_LAT)를 생성한다. 라이트래치신호(WR_LAT)는 지연내부스트로브신호(DQS_Fd)의 마지막 폴링에지(falling)에 동기하여 발생된다.
다음으로, 데이터래치부(4)는 데이터래치부(4)는 라이트래치신호(WR_LAT)의 라이징에지(rising edge)에 동기하여 제3 라이징데이터(D3R), 제1 라이징데이터(D1R), 제1 폴링데이터(D1F) 및 제3 폴링데이터(D3F)를 래치하여 제1 내지 제4 입력데이터(DIN<1:4>)로 출력한다.
다음으로, 전달부(6)는 데이터입력클럭(DIN_CLK)에 동기하여 제1 내지 제4 입력데이터(DIN<1:4>)를 라이트드라이버(7)에 전달한다.
이상 살펴본 본 실시예의 데이터입력회로는 제2 내부스트로브신호(DQS_F)의 마지막 펄스를 감지하여 라이트래치신호(WR_LAT)를 생성하고, 라이트래치신호(WR_LAT)의 라이징에지(rising edge)에 동기하여 제3 라이징데이터(D3R), 제1 라이징데이터(D1R), 제1 폴링데이터(D1F) 및 제3 폴링데이터(D3F)를 래치하여 제1 내지 제4 입력데이터(DIN<1:4>)로 출력한다. 이때, 라이트래치신호(WR_LAT)는 라이트레이턴시 및 버스트구간에 관한 정보를 토대로 라이트동작을 위한 데이터입력이 종료되는 구간에서 발생되는 펄스를 포함하는 최종클럭(FIN_CLK)으로부터 생성된다. 따라서, 라이트래치신호(WR_LAT)는 데이터스트로브신호(DQS)의 입력이 종료되는 t6이후의 포스트앰블구간에서 데이터스트로브신호(DQS)의 링잉현상(Y1)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즉, 데이터스트로브신호(DQS)의 링잉현상(Y1)에 따라 제1 내부스트로브신호(DQS_R) 및 제2 내부스트로브신호(DQS_F)에 링잉현상(Y2)이 발생하더라도, 최종클럭(FIN_CLK)을 래치하여 생성된 라이트래치신호(WR_LAT)에는 데이터스트로브신호(DQS)의 링잉현상(Y1) 및 제1 내부스트로브신호(DQS_R) 및 제2 내부스트로브신호(DQS_F)에 링잉현상(Y2)이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라이트래치신호(WR_LAT)는 내부클럭(ICLK)의 2주기구간만큼 주기를 갖는 최종클럭(FIN_CLK)으로부터 생성되므로, 마찬가지로 내부클럭(ICLK)의 2주기구간만큼 주기를 갖는다. 따라서, 데이터래치부(4)에서 라이트래치신호(WR_LAT)에 동기되어 출력되는 제1 내지 제4 입력데이터(DIN<1:4>)는 내부클럭(ICLK)의 2주기구간만큼 펄스폭을 갖는 신호로 출력되므로, 전달부(6)에서 데이터입력클럭(DIN_CLK)에 동기되어 출력될 때 마진(margin)이 충분히 확보된다.
10: 데이터버퍼 11: 데이터스트로브신호버퍼
12: 커멘드버퍼 13: 클럭버퍼
2: 데이터정렬부 20: 제1 래치
21: 제2 래치 22: 제3 래치
23: 제1 지연기 24: 제4 래치
25: 제 5 래치 26: 제2 지연기
3: 데이터스트로브신호 감지회로 30: 클럭샘플링부
300: 시프팅부 301: 구간신호생성부
302: 구동부 303: 래치부
31: 최종클럭생성부
310~323: 제1 내지 제4 레벨신호생성부
314: 버퍼부 32: 라이트래치신호생성부
320: 인에이블신호생성부 3200: 클럭래치부
3201: 인에이블신호구동부 321: 펄스생성부
3210: 반전지연부 3211: 논리부
4: 데이터래치부 40~43: 제1 내지 제4 데이터래치
5: 데이터입력클럭생성부 6: 전달부
7: 라이트드라이버

Claims (23)

  1. 내부데이터를 제1 및 제2 내부스트로브신호에 동기시켜 정렬하여 제1 내지 제3 라이징데이터 및 제1 내지 제3 폴링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정렬부;
    데이터스트로브신호의 마지막 폴링에지를 감지하여 라이트래치신호를 생성하는 데이터스트로브신호감지회로; 및
    상기 라이트래치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라이징데이터 및 상기 제1 내지 제3 폴링데이터를 래치시켜 입력데이터로 출력하는 데이터래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정렬부는 상기 제1 내부스트로브신호에 동기하여 상기 내부데이터를 래치하여 출력하는 제1 래치, 상기 제2 내부스트로브신호에 동기하여 상기 제1 래치의 출력신호를 래치하여 상기 제1 라이징데이터로 출력하는 제2 래치, 상기 제1 내부스트로브신호에 동기하여 상기 제1 라이징데이터를 래치하여 상기 제2 라이징데이터로 출력하는 제3 래치, 및 상기 제2 라이징데이터를 소정 구간 지연시켜 상기 제3 라이징데이터로 출력하는 제1 지연기를 포함하는 데이터입력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부스트로브신호는 상기 데이터스트로브신호의 라이징에지에 동기되어 생성되고, 상기 제2 내부스트로브신호는 상기 데이터스트로브신호의 폴링에지에 동기되어 생성되는 데이터입력회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정렬부는
    상기 제2 내부스트로브신호에 동기하여 상기 내부데이터를 래치하여 상기 제1 폴링데이터로 출력하는 제4 래치;
    상기 제1 내부스트로브신호에 동기하여 상기 제1 폴링데이터를 래치하여 상기 제2 폴링데이터로 출력하는 제5 래치; 및
    상기 제2 폴링데이터를 소정 구간 지연시켜 상기 제3 폴링데이터로 출력하는 제2 지연기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입력회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스트로브신호감지회로는
    라이트레이턴시가 경과된 후 발생되는 펄스를 포함하는 시프팅신호를 생성하고, 시프팅신호의 펄스가 발생하는 시점부터 버스트구간동안 내부클럭을 샘플링하여 샘플링클럭을 생성하는 클럭샘플링부;
    상기 시프팅신호를 상기 샘플링클럭에 동기시켜 래치하여 레벨신호를 생성하고, 버스트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레벨신호로부터 최종클럭을 생성하는 최종클럭생성부; 및
    상기 최종클럭을 래치하여 인에이블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인에이블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라이트래치신호를 생성하는 라이트래치신호생성부를 포함하는 데이터입력회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샘플링부는
    라이트레이턴시신호에 응답하여 라이트커멘드를 상기 라이트레이턴시만큼 시프팅하는 시프팅부;
    상기 시프팅부의 출력신호를 버퍼링하여 상기 시프팅신호를 생성하는 버퍼;
    상기 라이트커멘드, 상기 라이트레이턴시신호 및 버스트신호를 입력받아 구간신호를 생성하는 구간신호생성부;
    상기 시프팅신호와 상기 구간신호에 응답하여 구동신호를 구동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내부클럭을 상기 샘플링클럭으로 전달하는 전달소자를 포함하는 데이터입력회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신호는 상기 라이트커멘드가 입력되는 시점부터 상기 라이트레이턴시에 의해 설정되는 라이트레이턴시 및 상기 버스트신호에 따라 설정되는 버스트구간이 경과되는 시점까지 디스에이블되는 데이터입력회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시프팅신호의 펄스가 입력되는 시점부터 상기 구간신호가 인에이블되는 시점까지 상기 구동신호를 풀-업구동하는 데이터입력회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소자는 상기 구동신호가 풀-업구동되는 구간동안 상기 내부클럭을 상기 샘플링클럭으로 전달하는 데이터입력회로.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클럭생성부는
    상기 시프팅신호를 상기 샘플링클럭에 동기시켜 래치하여 제1 레벨신호를 생성하는 제1 레벨신호생성부;
    상기 제1 레벨신호를 상기 샘플링클럭에 동기시켜 래치하여 제2 레벨신호를 생성하는 제2 레벨신호생성부;
    상기 제1 레벨신호의 레벨천이 시점부터 상기 제2 레벨신호의 레벨천이 시점까지 펄스폭을 갖는 제1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제1 논리소자; 및
    제1 버스트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논리소자의 출력신호를 버퍼링한 신호를 전달하는 제1 전달소자를 포함하는 데이터입력회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클럭생성부는
    상기 제2 레벨신호를 상기 샘플링클럭에 동기시켜 래치하여 제3 레벨신호를 생성하는 제3 레벨신호생성부;
    상기 제3 레벨신호를 상기 샘플링클럭에 동기시켜 래치하여 제4 레벨신호를 생성하는 제4 레벨신호생성부;
    상기 제3 레벨신호의 레벨천이 시점부터 상기 제4 레벨신호의 레벨천이 시점까지 펄스폭을 갖는 제2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제2 논리소자; 및
    제2 버스트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논리소자의 출력신호를 버퍼링한 신호를 전달하는 제2 전달소자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입력회로.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래치신호생성부는
    상기 제2 내부스트로브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최종클럭을 래치하여 풀-업신호 및 풀다운신호를 생성하는 클럭래치부; 및
    상기 풀-업신호 및 상기 풀다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인에이블신호를 구동하는 인에이블신호구동부를 포함하는 데이터입력회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래치부는 상기 제2 내부스트로브신호를 지연시켜 생성된 지연내부스트로브신호의 펄스가 입력되는 구간에서 상기 최종클럭을 래치하는 데이터입력회로.
  14. 제 1 항에 있어서,
    내부클럭을 소정 구간 지연시켜 데이터입력클럭을 생성하는 데이터입력클럭생성부; 및
    상기 데이터입력클럭에 동기하여 상기 입력데이터를 라이트드라이버로 전달하는 전달부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입력회로.
  15. 라이트레이턴시가 경과된 후 발생되는 펄스를 포함하는 시프팅신호를 생성하고, 시프팅신호의 펄스가 발생하는 시점부터 버스트구간동안 내부클럭을 샘플링하여 샘플링클럭을 생성하는 클럭샘플링부;
    상기 시프팅신호를 상기 샘플링클럭에 동기시켜 래치하여 레벨신호를 생성하고, 버스트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레벨신호로부터 최종클럭을 생성하는 최종클럭생성부; 및
    상기 최종클럭을 래치하여 인에이블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인에이블신호에 응답하여 정렬된 데이터를 래치시켜 출력하기 위한 라이트래치신호를 생성하는 라이트래치신호생성부를 포함하는 데이터입력회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샘플링부는
    라이트레이턴시신호에 응답하여 라이트커멘드를 상기 라이트레이턴시만큼 시프팅하는 시프팅부;
    상기 시프팅부의 출력신호를 버퍼링하여 상기 시프팅신호를 생성하는 버퍼;
    상기 라이트커멘드, 상기 라이트레이턴시신호 및 버스트신호를 입력받아 구간신호를 생성하는 구간신호생성부;
    상기 시프팅신호와 상기 구간신호에 응답하여 구동신호를 구동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내부클럭을 상기 샘플링클럭으로 전달하는 전달소자를 포함하는 데이터입력회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신호는 상기 라이트커멘드가 입력되는 시점부터 상기 라이트레이턴시에 의해 설정되는 라이트레이턴시 및 상기 버스트신호에 따라 설정되는 버스트구간이 경과되는 시점까지 디스에이블되는 데이터입력회로.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시프팅신호의 펄스가 입력되는 시점부터 상기 구간신호가 인에이블되는 시점까지 상기 구동신호를 풀-업구동하는 데이터입력회로.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소자는 상기 구동신호가 풀-업구동되는 구간동안 상기 내부클럭을 상기 샘플링클럭으로 전달하는 데이터입력회로.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클럭생성부는
    상기 시프팅신호를 상기 샘플링클럭에 동기시켜 래치하여 제1 레벨신호를 생성하는 제1 레벨신호생성부;
    상기 제1 레벨신호를 상기 샘플링클럭에 동기시켜 래치하여 제2 레벨신호를 생성하는 제2 레벨신호생성부;
    상기 제1 레벨신호의 레벨천이 시점부터 상기 제2 레벨신호의 레벨천이 시점까지 펄스폭을 갖는 제1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제1 논리소자; 및
    제1 버스트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논리소자의 출력신호를 버퍼링한 신호를 전달하는 제1 전달소자를 포함하는 데이터입력회로.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클럭생성부는
    상기 제2 레벨신호를 상기 샘플링클럭에 동기시켜 래치하여 제3 레벨신호를 생성하는 제3 레벨신호생성부;
    상기 제3 레벨신호를 상기 샘플링클럭에 동기시켜 래치하여 제4 레벨신호를 생성하는 제4 레벨신호생성부;
    상기 제3 레벨신호의 레벨천이 시점부터 상기 제4 레벨신호의 레벨천이 시점까지 펄스폭을 갖는 제2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제2 논리소자; 및
    제2 버스트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논리소자의 출력신호를 버퍼링한 신호를 전달하는 제2 전달소자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입력회로.
  22.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래치신호생성부는
    내부스트로브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최종클럭을 래치하여 풀-업신호 및 풀다운신호를 생성하는 클럭래치부; 및
    상기 풀-업신호 및 상기 풀다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인에이블신호를 구동하는 인에이블신호구동부를 포함하는 데이터입력회로.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래치부는 상기 내부스트로브신호를 지연시켜 생성된 지연내부스트로브신호의 펄스가 입력되는 구간에서 상기 최종클럭을 래치하되, 상기 내부스트로브신호는 데이터스트로브신호의 폴링에지에 동기되어 생성되는 데이터입력회로.
KR20100054316A 2010-06-09 2010-06-09 데이터입력회로 KR101132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54316A KR101132800B1 (ko) 2010-06-09 2010-06-09 데이터입력회로
CN201110072004.7A CN102281051B (zh) 2010-06-09 2011-03-24 数据输入电路
JP2011096494A JP5795486B2 (ja) 2010-06-09 2011-04-22 データ入力回路
US13/096,669 US8867302B2 (en) 2010-06-09 2011-04-28 Data input circuit
US14/489,575 US9070429B2 (en) 2010-06-09 2014-09-18 Data input circu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54316A KR101132800B1 (ko) 2010-06-09 2010-06-09 데이터입력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4634A KR20110134634A (ko) 2011-12-15
KR101132800B1 true KR101132800B1 (ko) 2012-04-02

Family

ID=45106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54316A KR101132800B1 (ko) 2010-06-09 2010-06-09 데이터입력회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8867302B2 (ko)
JP (1) JP5795486B2 (ko)
KR (1) KR101132800B1 (ko)
CN (1) CN1022810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0680B1 (ko) 2010-08-30 2012-10-16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리프레시 제어회로 및 그를 이용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140026046A (ko) 2012-08-24 2014-03-05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데이터입력회로
KR102138110B1 (ko) * 2013-10-04 2020-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래시 메모리를 기반으로 하는 저장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20150090486A (ko) * 2014-01-29 2015-08-06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테스트 장치
KR102143654B1 (ko) * 2014-02-18 2020-08-1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장치
KR20160093434A (ko) * 2015-01-29 2016-08-08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고속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회로,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및 시스템
KR20170013486A (ko) * 2015-07-27 2017-02-07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장치 및 반도체시스템
US10141044B2 (en) * 2016-02-02 2018-11-27 Mediatek Inc. Memory interface circuit having signal detector for detecting clock signal
KR102475817B1 (ko) * 2016-03-17 2022-12-08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장치 및 반도체시스템
JP2018055330A (ja) * 2016-09-28 2018-04-05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6637872B2 (ja) * 2016-10-28 2020-01-29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マルチポートメモリおよび半導体装置
US10522206B2 (en) 2017-04-06 2019-12-31 SK Hynix Inc. Semiconductor device and system
KR20180127755A (ko) * 2017-05-22 2018-11-3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데이터 정렬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JP2019008859A (ja) 2017-06-28 2019-01-17 東芝メモリ株式会社 半導体装置
KR102370156B1 (ko) * 2017-08-23 2022-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메모리 모듈과 반도체 메모리 장치
CN109584944B (zh) * 2017-09-29 2024-01-05 三星电子株式会社 支持多输入移位寄存器功能的输入输出电路及存储器件
KR102441423B1 (ko) * 2017-12-21 2022-09-07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스트로브 신호 생성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US10607671B2 (en) * 2018-02-17 2020-03-31 Micron Technology, Inc. Timing circuit for command path in a memory device
US10923166B2 (en) 2018-02-27 2021-02-16 SK Hynix Inc. Semiconductor devices performing a write leveling training operation and semiconductor systems including the semiconductor devices
US11232820B2 (en) * 2018-02-27 2022-01-25 SK Hynix Inc. Semiconductor devices performing a write leveling training operation and semiconductor systems including the semiconductor devices
KR102608911B1 (ko) * 2018-07-13 2023-12-04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장치
US10418125B1 (en) * 2018-07-19 2019-09-17 Marvell Semiconductor Write and read common leveling for 4-bit wide DRAMs
CN108922571B (zh) * 2018-08-02 2024-01-23 珠海一微半导体股份有限公司 一种ddr内存的读数据信号处理电路及读数据处理方法
KR102692011B1 (ko) * 2018-11-02 2024-08-05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장치
KR102687581B1 (ko) * 2018-12-31 2024-07-24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클럭 생성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
KR102538706B1 (ko) * 2019-01-08 2023-06-02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장치
CN110364202B (zh) * 2019-07-22 2021-08-24 上海兆芯集成电路有限公司 存储器装置
US11164623B1 (en) * 2020-06-16 2021-11-02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data strobe write timing
JP2022017054A (ja) * 2020-07-13 2022-01-25 キオクシア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US11211103B1 (en) * 2020-08-18 2021-12-28 Micron Technology, Inc. Burst clock control based on partial command decoding in a memory device
KR20230134388A (ko) * 2022-03-14 2023-09-2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장치
US12190992B2 (en) 2022-05-13 2025-01-07 Changxin Memory Technologies, Inc. Command processing circuit and data processing circuit
CN117095711A (zh) * 2022-05-13 2023-11-21 长鑫存储技术有限公司 命令处理电路及数据处理电路
CN117636943A (zh) * 2022-08-16 2024-03-01 长鑫存储技术有限公司 应用于存储器的写调平电路、及其控制方法、控制装置
CN115603713B (zh) * 2022-12-01 2023-04-04 深圳市恒运昌真空技术有限公司 一种脉冲信号处理方法、装置及匹配电路
CN118351910A (zh) * 2023-01-06 2024-07-16 长鑫存储技术有限公司 一种控制电路、控制方法和存储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5396A (ko) * 2003-04-28 2004-11-1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동기형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입력 장치 및 이를이용한 데이터 입력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1A (en) * 1845-05-01 Isaac l
JPH07130166A (ja) * 1993-09-13 1995-05-19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同期型半導体記憶装置
JP4216415B2 (ja) * 1999-08-31 2009-01-28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装置
US6728162B2 (en) * 2001-03-05 2004-04-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ata input circuit and method for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397890B1 (ko) * 2001-07-04 2003-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펄스 신호를 발생시키는 고속 입력 리시버
KR100403635B1 (ko) * 2001-11-06 2003-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입력 회로 및 데이터입력 방법
KR100498466B1 (ko) * 2002-11-30 2005-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선된 데이터 기입 제어 회로를 가지는 4비트 프리페치방식 fcram 및 이에 대한 데이터 마스킹 방법
KR100542712B1 (ko) * 2003-08-25 2006-01-1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동기형 디램의 라이트 패스 구조
KR100630742B1 (ko) 2005-03-17 2006-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Dqs도메인에서 클록 도메인으로의 변환을 위한 데이터샘플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데이터 입력 회로
KR100798794B1 (ko) 2005-09-29 2008-01-2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메모리소자의 데이터 입력장치
US7391671B2 (en) * 2005-09-29 2008-06-24 Hynix Semiconductor Inc. Data input device for use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772716B1 (ko) * 2006-08-31 2007-11-0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832030B1 (ko) * 2007-03-31 2008-05-2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데이터 입력블록을 포함하는 반도체메모리소자
KR101113331B1 (ko) * 2010-07-30 2012-03-1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데이터입력회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5396A (ko) * 2003-04-28 2004-11-1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동기형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입력 장치 및 이를이용한 데이터 입력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867302B2 (en) 2014-10-21
US9070429B2 (en) 2015-06-30
CN102281051B (zh) 2015-03-25
CN102281051A (zh) 2011-12-14
KR20110134634A (ko) 2011-12-15
JP2011258302A (ja) 2011-12-22
JP5795486B2 (ja) 2015-10-14
US20150016196A1 (en) 2015-01-15
US20120113728A1 (en) 201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2800B1 (ko) 데이터입력회로
KR101113331B1 (ko) 데이터입력회로
KR100303775B1 (ko) 디디알 에스디램에서 데이터스트로브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및 장치
KR100950483B1 (ko) 셋업/홀드 타임 측정 장치
JP2005322374A (ja) 周波数変化によってデータの出力タイミングを制御するための半導体メモリ装置
KR20140026046A (ko) 데이터입력회로
KR20110060513A (ko) 라이트드라이빙 장치
KR20170098539A (ko) 데이터 정렬 장치
KR100956772B1 (ko) 링잉 방지 장치
US8379475B2 (en) Clock control circuit and clock generation circuit including the same
JP2008059735A (ja) 半導体メモリ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100924356B1 (ko) 커맨드 디코더 및 커맨드 신호 생성회로
KR20150014611A (ko) 데이터 출력회로
US9406371B1 (en) Semiconductor devices and semiconductor systems including the same
KR101046997B1 (ko) 데이터 입력회로
KR100732761B1 (ko) 반도체 장치
KR101869692B1 (ko) 데이터 출력회로
KR100951657B1 (ko) 데이터 스트로브 버퍼 회로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입력버퍼 장치
KR101047002B1 (ko) 데이터버퍼 제어회로 및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070117248A (ko) 인풋 셋업/홀드 타임 마진을 확보할 수 있는 샘플링 클럭생성 회로, 샘플링 클럭 생성 방법, 동기형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메모리 시스템
KR20080047027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8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3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3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2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2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