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9692B1 - 데이터 출력회로 - Google Patents
데이터 출력회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69692B1 KR101869692B1 KR1020120001715A KR20120001715A KR101869692B1 KR 101869692 B1 KR101869692 B1 KR 101869692B1 KR 1020120001715 A KR1020120001715 A KR 1020120001715A KR 20120001715 A KR20120001715 A KR 20120001715A KR 101869692 B1 KR101869692 B1 KR 1018696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response
- read
- transfer
- shif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4
- 102100037362 Fibronect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9
- 101001027128 Homo sapiens Fibronect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9
- 108700043532 RpoB Protein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7274 generation of a signal involved in cell-cell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01100113692 Caenorhabditis elegans clk-2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100525016 Staphylococcus phage phi11 RINB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4 dela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57—Data output buffers, e.g. comprising level conversion circuits, circuits for adapting load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66—Output synchronization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11C7/222—Clock generating, synchronizing or distributing circuits within memory device
Landscapes
- Dram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 은 도 2에 도시된 데이터 출력회로에 포함된 출력인에이블신호생성부의 회로도이다.
도 4 는 도 2에 도시된 데이터 출력회로에 포함된 제1 카운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 는 도 4에 도시된 제1 카운터의 입출력 신호를 나타낸 타이밍도이다.
도 6 은 도 2에 도시된 데이터 출력회로에 포함된 제2 카운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은 도 2에 도시된 데이터 출력회로에 포함된 펄스생성부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8 은 제2 카운터와 펄스생성부의 입출력 신호를 나타낸 타이밍도이다.
도 9 는 도 2에 도시된 데이터 출력회로에 포함된 제1 제어신호생성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은 도 2에 도시된 데이터 출력회로에 포함된 제2 제어신호생성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은 제1 및 제2 전달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1 및 제2 제어신호생성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12 는 도 2에 도시된 데이터 출력회로에 포함된 인에이블신호생성부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13 은 도 2에 도시된 데이터 출력회로에 포함된 내부클럭생성부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14 는 도 2에 도시된 데이터 출력회로에 포함된 출력드라이버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1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12. 초기화부 20. 제1 카운터
21 ~ 24. 제1 내지 제4 레지스터
30. 제2 카운터 31. 제1 논리부
32 ~ 35. 제 5 내지 제8 레지스터
40. 펄스생성부 41. 제1 펄스생성부
42. 제2 펄스생성부 50. 제어신호생성부
51. 제1 제어신호생성부 52. 제2 제어신호생성부
60. 인에이블신호생성부 61. 제1 인에이블신호생성부
62. 제2 인에이블신호생성부 70. 내부클럭생성부
71. 제1 내부클럭생성부 72. 제2 내부클럭생성부
80. 출력드라이버
Claims (33)
- 테스트모드에 진입하여 제1 리드동작 시 발생되는 제1 전달제어신호 및 제2 리드동작 시 발생되는 제2 전달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생성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전달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 내부클럭을 생성하기 위한 제1 및 제2 인에이블신호를 생성하는 인에이블신호생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전달제어신호는 파워업구간 이후 리드동작 시 발생되는 제1 펄스신호에 응답하여 인에이블되는 신호인 데이터 출력회로.
-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생성부는
상기 파워업구간 이후 상기 리드동작 시 발생되는 상기 제1 펄스신호에 응답하여 인에이블되는 상기 제1 전달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1 제어신호생성부; 및
상기 파워업구간 이후 상기 리드동작 시 발생되는 제2 펄스신호에 응답하여 인에이블되는 상기 제2 전달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2 제어신호생성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출력회로.
-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신호생성부는
상기 파워업구간에서 인에이블되는 리셋신호에 응답하여 제1 노드를 풀업구동하는 제1 리셋부;
제1 반전펄스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노드의 신호를 제1 전달신호로 전달하는 제1 플립플롭;
상기 제1 펄스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전달신호를 제2 전달신호로 전달하는 제2 플립플롭;
상기 제1 반전펄스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전달신호를 제3 전달신호로 전달하는 제3 플립플롭;
상기 제1 펄스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3 전달신호를 상기 제1 노드로 전달하는 제4 플립플롭; 및
상기 제1 전달신호와 테스트모드신호를 논리연산하여 상기 제1 전달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1 논리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출력회로.
-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전달신호는 상기 파워업구간에서 디스에이블되는 신호인 데이터 출력회로.
-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신호생성부는
상기 파워업구간에서 인에이블되는 리셋신호에 응답하여 제2 노드를 풀업구동하는 제2 리셋부;
제2 반전펄스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노드의 신호를 제4 전달신호로 전달하는 제5 플립플롭;
상기 제2 펄스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4 전달신호를 제5 전달신호로 전달하는 제6 플립플롭;
상기 제2 반전펄스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5 전달신호를 제6 전달신호로 전달하는 제7 플립플롭;
상기 제2 펄스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6 전달신호를 상기 제2 노드로 전달하는 제8 플립플롭; 및
상기 제6 전달신호와 테스트모드신호를 논리연산하여 상기 제2 전달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2 논리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출력회로.
-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내지 제6 전달신호는 상기 파워업구간에서 디스에이블되는 신호인 데이터 출력회로.
-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 항에 있어서,
리드동작에 진입하여 인에이블되는 리드동작신호에 응답하여 인에이블되고, 버스트랭스 종료시점에 인에이블되는 버스트랭스종료신호에 응답하여 디스에이블되는 출력인에이블신호를 생성하는 출력인에이블신호생성부; 및
외부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인에이블신호를 시프팅시켜 출력시프팅신호를 생성하는 제1 카운터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출력회로.
-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인에이블신호생성부는
상기 리드동작신호 및 상기 버스트랭스종료신호에 응답하여 제3 노드를 구동하여 상기 출력인에이블신호를 생성하는 구동부; 및
파워업구간에서 인에이블되는 리셋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3 노드를 풀다운구동하여 상기 출력인에이블신호를 초기화하는 초기화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출력회로.
-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운터는
상기 외부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인에이블신호를 상기 외부클럭의 반 주기만큼 지연하여 제1 출력시프팅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출력인에이블신호를 상기 외부클럭의 한 주기만큼 지연하여 제2 출력시프팅신호를 생성하는 제1 레지스터; 및
상기 외부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출력시프팅신호를 상기 외부클럭의 반 주기만큼 지연하여 제3 출력시프팅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출력시프팅신호를 상기 외부클럭의 한 주기만큼 지연하여 제4 출력시프팅신호를 생성하는 제2 레지스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출력회로.
-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에이블신호생성부는
상기 테스트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제1 전달제어신호가 인에이블되면 인에이블되는 상기 제1 인에이블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테스트모드에서 벗어나는 경우 리드레이턴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및 제4 출력시프팅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제1 인에이블신호로 전달하는 제1 인에이블신호생성부; 및
상기 테스트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제2 전달제어신호가 인에이블되면 인에이블되는 상기 제2 인에이블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테스트모드에서 벗어나는 경우 상기 리드레이턴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및 제3 출력시프팅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제2 인에이블신호로 전달하는 제2 인에이블신호생성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출력회로.
-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에이블신호생성부는
제1 리드레이턴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출력시프팅신호를 제4 노드로 전달하는 제1 전달부;
제2 리드레이턴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4 출력시프팅신호를 상기 제4 노드로 전달하는 제2 전달부; 및
상기 제1 전달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4 노드의 신호를 버퍼링하여 상기 제1 인에이블신호를 생성하는 제3 논리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출력회로.
-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에이블신호생성부는
상기 제1 리드레이턴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출력시프팅신호를 제5 노드로 전달하는 제3 전달부;
상기 제2 리드레이턴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3 출력시프팅신호를 상기 제5 노드로 전달하는 제4 전달부; 및
상기 제2 전달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5 노드의 신호를 버퍼링하여 상기 제2 인에이블신호를 생성하는 제4 논리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출력회로.
-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7 항에 있어서,
테스트모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및 제2 리드동작 시 인에이블되는 상기 리드동작신호를 시프팅시켜 리드시프팅신호를 생성하는 제2 카운터;
리드레이턴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리드시프팅신호를 버퍼링하여 제1 및 제2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펄스생성부;
상기 제1 및 제2 인에이블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클럭을 버퍼링하여 상기 제1 및 제2 내부클럭을 생성하는 내부클럭생성부; 및
상기 제1 내부클럭에 응답하여 라이징데이터를 버퍼링하여 DQ패드를 통해 순차적으로 출력하고, 상기 제2 내부클럭에 응답하여 폴링데이터를 버퍼링하여 상기 DQ패드를 통해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출력드라이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출력회로.
-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카운터는
상기 외부클럭과 상기 테스트모드신호를 논리연산하여 제어클럭 및 반전제어클럭을 생성하는 제5 논리부;
상기 제어클럭 및 반전제어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리드동작신호를 상기 제어클럭의 반주기만큼 지연하여 제1 리드시프팅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리드동작신호를 상기 제어클럭의 한 주기만큼 지연하여 제2 리드시프팅신호를 생성하는 제3 레지스터; 및
상기 제어클럭및 반전제어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리드시프팅신호를 상기 제어클럭의 반 주기만큼 지연하여 제3 리드시프팅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리드시프팅신호를 상기 제어클럭의 한 주기만큼 지연하여 제4 리드시프팅신호를 생성하는 제4 레지스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출력회로.
-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생성부는
상기 리드레이턴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및 제4 리드시프팅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제1 펄스신호로 생성하는 제1 펄스생성부; 및
상기 리드레이턴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및 제3 리드시프팅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제2 펄스신호로 생성하는 제2 펄스생성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출력회로.
-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펄스생성부는
제1 리드레이턴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리드시프팅신호를 제6 노드로 전달하는 제5 전달부;
제2 리드레이턴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4 리드시프팅신호를 상기 제6 노드로 전달하는 제6 전달부; 및
상기 제6 노드의 신호를 버퍼링하여 상기 제1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제1 버퍼를 포함하는 데이터 출력회로.
-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펄스생성부는
상기 제1 리드레이턴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리드시프팅신호를 제7 노드로 전달하는 제7 전달부;
상기 제2 리드레이턴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3 리드시프팅신호를 상기 제7 노드로 전달하는 제8 전달부; 및
상기 제7 노드의 신호를 버퍼링하여 상기 제2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제2 버퍼를 포함하는 데이터 출력회로.
-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클럭생성부는
상기 제2 인에이블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클럭의 라이징 엣지에 동기 된 상기 제1 내부클럭을 생성하는 제1 내부클럭생성부; 및
상기 제1 인에이블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클럭의 폴링 엣지에 동기 된 상기 제2 내부클럭을 생성하는 제2 내부클럭생성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출력회로.
- 테스트모드에 진입하여 리드동작 시 발생되는 전달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생성부: 및
상기 전달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내부클럭을 생성하기 위한 인에이블신호를 생성하는 인에이블신호생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달제어신호는 파워업구간 이후 상기 리드동작 시 발생되는 펄스신호에 응답하여 인에이블되는 신호인 데이터 출력회로.
- 삭제
- [청구항 2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생성부는
상기 파워업구간에서 인에이블되는 리셋신호에 응답하여 제1 노드를 풀업구동하는 제1 리셋부;
반전펄스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노드의 신호를 제1 전달신호로 전달하는 제1 플립플롭;
상기 펄스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전달신호를 제2 전달신호로 전달하는 제2 플립플롭;
상기 반전펄스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전달신호를 제3 전달신호로 전달하는 제3 플립플롭;
상기 펄스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3 전달신호를 상기 제1 노드로 전달하는 제4 플립플롭; 및
상기 제1 전달신호와 테스트모드신호를 논리연산하여 상기 전달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1 논리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출력회로.
- [청구항 2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전달신호는 상기 파워업구간에서 디스에이블되는 신호인 데이터 출력회로.
- [청구항 2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동작에 진입하여 인에이블되는 리드동작신호에 응답하여 인에이블되고, 버스트랭스 종료시점에 인에이블되는 버스트랭스종료신호에 응답하여 디스에이블되는 출력인에이블신호를 생성하는 출력인에이블신호생성부; 및
외부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인에이블신호를 시프팅시켜 출력시프팅신호를 생성하는 제1 카운터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출력회로.
- [청구항 2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인에이블신호생성부는
상기 리드동작신호 및 상기 버스트랭스종료신호에 응답하여 제2 노드를 구동하여 상기 출력인에이블신호를 생성하는 구동부; 및
파워업구간에서 인에이블되는 리셋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노드를 풀다운구동하여 상기 출력인에이블신호를 초기화하는 초기화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출력회로.
- [청구항 2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운터는
상기 외부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인에이블신호를 상기 외부클럭의 반 주기만큼 지연하여 제1 출력시프팅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출력인에이블신호를 상기 외부클럭의 한 주기만큼 지연하여 제2 출력시프팅신호를 생성하는 제1 레지스터; 및
상기 외부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출력시프팅신호를 상기 외부클럭의 반 주기만큼 지연하여 제3 출력시프팅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출력시프팅신호를 상기 외부클럭의 한 주기만큼 지연하여 제4 출력시프팅신호를 생성하는 제2 레지스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출력회로.
- [청구항 2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에이블신호는 상기 테스트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전달제어신호가 인에이블되면 인에이블되는 신호인 데이터 출력회로.
- [청구항 2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에이블신호는 상기 테스트모드에서 벗어나는 경우 리드레이턴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및 제4 출력시프팅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전달되는 신호인 데이터 출력회로.
- [청구항 2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에이블신호생성부는
제1 리드레이턴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출력시프팅신호를 제3 노드로 전달하는 제1 전달부;
제2 리드레이턴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4 출력시프팅신호를 상기 제3 노드로 전달하는 제2 전달부; 및
상기 전달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3 노드의 신호를 버퍼링하여 상기 인에이블신호를 생성하는 제2 논리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출력회로.
- [청구항 2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23 항에 있어서,
테스트모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리드동작신호를 시프팅시켜 리드시프팅신호를 생성하는 제2 카운터;
리드레이턴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리드시프팅신호를 버퍼링하여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펄스생성부;
상기 인에이블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클럭을 버퍼링하여 상기 내부클럭을 생성하는 내부클럭생성부; 및
상기 내부클럭에 응답하여 라이징데이터를 버퍼링하여 DQ패드를 통해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출력드라이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출력회로.
- [청구항 3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카운터는
상기 외부클럭과 상기 테스트모드신호를 논리연산하여 제어클럭 및 반전제어클럭을 생성하는 제3 논리부;
상기 제어클럭 및 반전제어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리드동작신호를 상기 제어클럭의 반주기만큼 지연하여 제1 리드시프팅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리드동작신호를 상기 제어클럭의 한 주기만큼 지연하여 제2 리드시프팅신호를 생성하는 제3 레지스터; 및
상기 제어클럭 및 반전제어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리드시프팅신호를 상기 제어클럭의 반 주기만큼 지연하여 제3 리드시프팅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리드시프팅신호를 상기 제어클럭의 한 주기만큼 지연하여 제4 리드시프팅신호를 생성하는 제4 레지스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출력회로.
- [청구항 3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신호는 상기 리드레이턴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및 제4 리드시프팅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전달되는 신호인 데이터 출력회로.
- [청구항 3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생성부는
제1 리드레이턴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리드시프팅신호를 제4 노드로 전달하는 제3 전달부;
제2 리드레이턴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4 리드시프팅신호를 상기 제4 노드로 전달하는 제4 전달부; 및
상기 제4 노드의 신호를 버퍼링하여 상기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제1 버퍼를 포함하는 데이터 출력회로.
- [청구항 3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클럭은 상기 인에이블신호의 인에이블구간 동안 상기 외부클럭의 라이징 엣지에 동기 되어 생성되는 데이터 출력회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1715A KR101869692B1 (ko) | 2012-01-05 | 2012-01-05 | 데이터 출력회로 |
US13/617,637 US9058859B2 (en) | 2012-01-05 | 2012-09-14 | Data output circu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1715A KR101869692B1 (ko) | 2012-01-05 | 2012-01-05 | 데이터 출력회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80731A KR20130080731A (ko) | 2013-07-15 |
KR101869692B1 true KR101869692B1 (ko) | 2018-06-21 |
Family
ID=48743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01715A Expired - Fee Related KR101869692B1 (ko) | 2012-01-05 | 2012-01-05 | 데이터 출력회로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9058859B2 (ko) |
KR (1) | KR10186969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296066B2 (en) | 2016-01-25 | 2019-05-2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emiconductor device, semiconductor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emiconductor device |
KR102701819B1 (ko) * | 2019-06-10 | 2024-09-03 |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 리드 클럭 생성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회로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99405B1 (ko) | 2002-11-25 | 2005-07-05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데이터 출력버퍼 제어회로 |
US7994833B2 (en) * | 2005-09-28 | 2011-08-09 | Hynix Semiconductor Inc. | Delay locked loop for high spee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KR100883140B1 (ko) | 2007-11-02 | 2009-02-10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데이터 출력 제어회로,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의 동작방법 |
KR101188259B1 (ko) * | 2009-06-29 | 2012-10-05 |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테스트 방법 |
-
2012
- 2012-01-05 KR KR1020120001715A patent/KR101869692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09-14 US US13/617,637 patent/US9058859B2/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80731A (ko) | 2013-07-15 |
US20130176797A1 (en) | 2013-07-11 |
US9058859B2 (en) | 2015-06-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981776B (zh) | 双倍数据率虚拟静态随机存取存储器及其控制器、存取与操作方法、写入与读取方法 | |
JP5795486B2 (ja) | データ入力回路 | |
US8441888B2 (en) | Write command and write data timing circuit and methods for timing the same | |
TWI665683B (zh) | 在半導體記憶體中提供內部記憶體命令及控制信號之裝置及方法 | |
CN101149961B (zh) | 用于控制存储器接口的设备和方法 | |
US7499370B2 (en) |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CN111566737A (zh) | 包含用于半导体存储器的存储器命令的设备和方法 | |
JP2009158084A (ja) | 半導体メモリ素子及びその動作方法 | |
KR20150080060A (ko) | 스큐를 보정하는 리시버 회로,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및 시스템 | |
US10587256B2 (en) | Operation method of signal receiver, pulse width controlle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
JP2010009735A (ja) | セットアップ/ホールドタイム測定装置 | |
US20110267907A1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semiconductor system including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US8593902B2 (en) | Controller and access method for DDR PSRA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CN109800192B (zh) | 电子设备、fpga芯片及其接口电路 | |
KR20140026839A (ko) | 반도체칩 및 반도체시스템 | |
KR101869692B1 (ko) | 데이터 출력회로 | |
CN111540392A (zh) | 时钟生成电路以及包含时钟生成电路的存储器件 | |
KR20150014611A (ko) | 데이터 출력회로 | |
US9406371B1 (en) | Semiconductor devices and semiconductor systems including the same | |
KR101047002B1 (ko) | 데이터버퍼 제어회로 및 반도체 메모리 장치 | |
US9224443B2 (en) | Semiconductor devices and electronic systems including the same | |
KR100976406B1 (ko) | 플립플롭 및 그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
KR101018689B1 (ko) | 반도체 메모리 장치와 시스템 구동 방법 | |
KR20090047988A (ko) | 반도체 집적회로의 데이터 입력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0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1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1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30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6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6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