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25404B1 - 마텐자이트형 열간 단조용 비조질강 및 열간 단조 비조질강 부품 - Google Patents

마텐자이트형 열간 단조용 비조질강 및 열간 단조 비조질강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5404B1
KR101125404B1 KR1020097008669A KR20097008669A KR101125404B1 KR 101125404 B1 KR101125404 B1 KR 101125404B1 KR 1020097008669 A KR1020097008669 A KR 1020097008669A KR 20097008669 A KR20097008669 A KR 20097008669A KR 101125404 B1 KR101125404 B1 KR 101125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hot forging
toughness
machinability
ho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8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8806A (ko
Inventor
신야 데라모또
게이 미야니시
마사유끼 하시무라
Original Assignee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78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8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5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540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18Hardening; Quenching with or without subsequent tempering
    • C21D1/25Hardening, combined with annealing between 300 degrees Celsius and 600 degrees Celsius, i.e. heat refining ("Vergü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7/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 C21D7/1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by hot work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4Dispersions; Precipit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8Martens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6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rods or wi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간 단조로 성형한 후의 제어 냉각에 의해, 그 후의 재가열하여 켄칭 템퍼링의 조질 처리를 행하지 않더라도, 강의 주체 조직이 마텐자이트로 되고, 고강도ㆍ고인성이고, 또한 피삭성이 우수한 강 부품이 얻어지는 열간 단조용 비조질강, 및 상기 강으로 이루어지는 열간 단조 비조질강 부품을 제공하는 것으로, 질량%로, C : 0.10 내지 0.20%, Si : 0.10 내지 0.50%, Mn : 1.0 내지 3.0%, P : 0.001 내지 0.1%, S : 0.005 내지 0.80%, Cr : 0.10 내지 1.50%, Al : 0.1 초과 내지 0.20%, N : 0.0020 내지 0.0080%를 함유하고, 잔량부가 실질적으로 Fe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텐자이트형 열간 단조용 비조질강, 및 이들 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품의 일부 또는 전부에 있어서의 전체 단면의 강 조직이 실질적으로 유효 결정 입경이 15㎛ 이하인 마텐자이트 조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단조 비조질강 부품이다
마텐자이트형 열간 단조용 비조질강, 피삭성, 켄칭성, 유효 결정립, 고용 Al

Description

마텐자이트형 열간 단조용 비조질강 및 열간 단조 비조질강 부품{MARTENSITE TYPE NON-HEAT TREATED STEEL FOR HOT FORGING AND HOT FORGING NON-HEAT TREATED STEEL PART}
본 발명은, 자동차나 산업 기계 등의 기계 부품에 가공되는 강 중, 특히 열간 단조로 성형한 후의 제어 냉각에 의해 주체 조직이 마텐자이트로 되고, 열간 단조 후에 켄칭 템퍼링의 조질 처리를 실시하지 않더라도, 강도ㆍ인성에 부가하여 피삭성을 향상시킨 마텐자이트형 열간 단조용 비조질강, 및 그 강으로 이루어지는 열간 단조 비조질강 부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자동차나 산업 기계 등의 기계 부품의 대부분은, 일반적으로 중탄소강 또는 저탄소강으로 이루어지는 소재 봉강으로부터 부품 형상으로 열간 단조한 후, 재가열하고, 켄칭 템퍼링의 조질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고강도 및 고인성을 부여해 왔다.
그러나, 이 조질 처리에는 엄청난 열에너지가 필요하게 되는 동시에, 처리 공정이 증가하고, 반제품의 증대 등으로 인해, 부품 제조 비용 중에서 조질 비용이 점유하는 비율이 커진다. 이로 인해, 이와 같은 구조 부품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제조 공정을 간략화시켜, 조질 비용을 저감시키기 위해, 켄칭 템퍼링의 조질 처리 를 생략한 열간 단조용 비조질강이 개발되어 왔다.
비조질강을 사용한 열간 단조 부품은, 한번에 1200℃ 이상으로 가열하여, 1000 내지 1200℃ 정도의 고온에서 단조하고 있었다. 그러나, 1200℃ 이상에서 가열함으로써 오스테나이트 입자는 조대화되고, 1000 내지 1200℃의 고온에서 단조함으로써 가공 후에 재결정이 진행하고, 냉각 과정에서 얻어지는 페라이트-펄라이트 조직은 거칠어지고, 그로 인해 비조질강을 사용한 열간 단조 비조질 부품은, 조질 처리를 실시한 강 부품과 비교하면 일반적으로 내력비, 충격값이 작아진다.
이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소55-82749호 공보에서는, 기계 구조용 강의 Mn량을 높이고, 또한 V을 소량 첨가함으로써, 또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소55-82750호 공보에서는, 기계 구조용 강에 소량의 V을 첨가함으로써, 또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소56-169723호 공보에서는, 성분계의 제어에 부가하여, 단조 후의 냉각 과정에 있어서 1000 내지 550℃ 사이에서의 온도 범위를 0.7℃/sec 이하의 속도로 냉각함으로써, MnS을 핵으로 하는 입내 페라이트를 다량 분산하고, 그 결과 미립화한 조직으로 되어, 인성이나 피로 특성이 향상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에서 얻어지는 페라이트-펄라이트 조직은 여전히 거칠고, 조직 미세화에 의한 충격값이나 강도의 증가량은 작은 것이 현재 상태이다.
최근, 지구 환경 보호를 위해, 자동차의 저연비화가 점점 요구되고 있고, 자동차의 저연비화를 달성하기 위한 유효한 수단 중 하나는 차량의 경량화이고, 부품 강도 향상에 의한 부품의 소형화가 지향되고 있다. 그러나, 현행의 페라이트-펄라이트형 비조질강의 강도의 한계는 1000㎫ 정도이고, 최근 고강도ㆍ고인성의 요구에 는 대응할 수 없게 되어 오고 있다.
한편, 1000㎫ 이상의 강도로 높은 인성을 양립시키기 위해서는, 탄화물이 미세 분산하는 마텐자이트 조직 혹은 베이나이트 조직으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열간 단조 상태에서, 마텐자이트 혹은 베이나이트 조직으로 하는 비조질강이 지금까지 많은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129953호 공보에서는, 비교적 저탄소량의 0.04 내지 0.20%로 함으로써 Ms점을 높여 셀프 템퍼의 효과를 겨냥하고, 또한 Ti, B 등의 원소를 첨가하여 켄칭성을 크게 하고, 또한 단조 후 급랭하는 방법으로 마텐자이트 또는 베이나이트 조직, 혹은 마텐자이트와 베이나이트의 혼합 조직으로 함으로써, 고강도와 함께, 양호한 인성이 얻어지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소63-130749호 공보에서는, Ti, B를 첨가하지 않고 N를 높이고, Ar3점 이상으로부터 급랭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129953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소63-130749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고강도재에서는, Ca, Te나 Bi 등의 피삭성 향상 원소를 첨가했다고 해도 피삭성 향상의 효과는 작다.
또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0-129393호 공보에서는, 적정량의 Mn과 Cu를 복합 첨가함으로써, 높은 항복 강도 및 양호한 인성이 얻어지고, 적정량의 Ti와 Zr을 첨가하고, Ti 탄황화물이나 Zr 탄황화물을 미세 분산함으로써, MnS의 생성량을 감소시키고, 나아가서는 강재의 피삭성이 향상된다는 견해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Ti 탄황화물이나 Zr 탄황화물은 경질이므로 절삭시에 공구 손상의 원인으로 되어, 공구 마모를 촉진하는 경우가 있다. 어느 것에 의해서도 고강도ㆍ고인성이고, 또한 피삭성이 우수한 강 및 기계 부품을 얻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최근, 차량 경량화에 의한 연비 향상의 요청으로부터, 자동차용 열간 단조 비조질강 부품의 새로운 고강도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들 비조질강 부품의 고강도화에 수반하는 문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인성 및 피삭성의 저하이지만, 상술한 종래 기술에서는, 강도ㆍ인성 등의 기계적 성질에 부가하여, 피삭성을 함께 향상시키는 것은 용이하지 않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열간 단조로 성형한 후의 제어 냉각에 의해, 그 후 재가열하여 켄칭 템퍼링의 조질 처리를 행하지 않더라도, 강의 주체 조직이 마텐자이트로 되고, 강도ㆍ인성 등의 기계적 성질에 부가하여, 피삭성을 함께 향상시킨 열간 단조용 비조질강, 및 상기 강으로 이루어지는 열간 단조 비조질강 부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종래 켄칭 템퍼링의 조질 처리를 행하지 않고, 열간 단조 성형 후의 제어 냉각에 의해 주체 조직을 마텐자이트로 하고, 마텐자이트형 비조질강의 고인성화, 또한 양호한 피삭성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최적인 강 성분 및 조직에 대해 다양한 검토를 거듭한 결과, 강 성분에 있어서 특히 Al을 통상의 열간 단조용 강의 Al량보다 많이 첨가하고, N를 통상의 열간 단조용 강의 N량보다 적게 첨가함으로써 하기의 견해를 얻고, 마텐자이트형 비조질강에 있어서, 냉각 속도의 넓은 범위에서, 강도ㆍ인성 등의 기계적 성질에 부가하여, 피삭성을 함께 향상시키는 것을 발견했다.
1) 고용 Al량이 증가함으로써, 고강도인 동시에, 고피삭성을 얻을 수 있다.
2) 고용 Al량이 증가함으로써, 파괴의 단위인 유효 결정립의 조대화를 억제하여 고인성을 확보하고, 냉각 속도가 느린 경우라도, 냉각 중에 Al 질화물이 균일하게 미세 석출되어, 유효 결정립의 조대화를 억제하고, 고강도인 동시에, 고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들 견해를 기초로 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고강도ㆍ고인성이고, 또한 피삭성을 향상시킨 마텐자이트형 열간 단조용 비조질강, 및 그 강으로 이루어지는 열간 단조 비조질강 부품이며, 그 요지는 이하와 같다.
(1) 질량%로, C : 0.10 내지 0.20%, Si : 0.10 내지 0.50%, Mn : 1.0 내지 3.0%, P : 0.001 내지 0.1%, S : 0.005 내지 0.8%, Cr : 0.10 내지 1.50%, Al : 0.1 초과 내지 0.20%, N : 0.0020 내지 0.0080%를 함유하고, 잔량부가 실질적으로 Fe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텐자이트형 열간 단조용 비조질강.
(2) 또한, 질량%로, B : 0.0005 내지 0.0050%, Ti : 0.005 내지 0.030%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마텐자이트형 열간 단조용 비조질강.
(3) 또한, 질량%로, Nb : 0.05 내지 0.30%, V : 0.05 내지 0.30%, Mo : 0.05 내지 1.0 %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마텐자이트형 열간 단조용 비조질강.
(4)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마텐자이트형 열간 단조용 비조질강으로 이루어지는 열간 단조 비조질강 부품이며, 상기 부품의 일부 또는 전부에 있어서의 전체 단면의 강 조직이 실질적으로, 유효 결정 입경 : 15㎛ 이하인 마텐자이트 조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단조 비조질강 부품.
(5) (4)에 기재된 부품이며, 상기 부품의 일부 또는 전부에 있어서의 전체 단면의 강 조직이 실질적으로, 유효 결정 입경 : 15㎛ 이하인 마텐자이트 조직인 부위의 강 중의 고용 Al이 0.05 내지 0.18 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단조 비조질강 부품.
도 1은 표 3의 본 발명예 No.1 내지 16과 비교예 No.19 내지 23의 인장 강도와 피삭성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열간 단조 후의 제어 냉각에 의해 마텐자이트 조직으로 되는 것을 기대하는 것이며, 특히 강 성분으로서, Al은, 통상의 비조질강보다 많은 0.1초과 내지 0.20%를 첨가함으로써, 파괴의 단위인 유효 결정립의 조대화를 억제하여 고인성을 확보하고, 또한 N는, 통상의 비조질강보다 낮은 0.0020 내지 0.0080%를 함유시킴으로써, 고용 Al량이 증가하여 피삭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강 성분으로 한 후에, 열간 단조 후의 제어 냉각에 의해, 실질적으로 유효 결정 입경이 15㎛ 이하를 갖는 마텐자이트 조 직을 얻고, 게다가 켄칭 템퍼링의 조질 처리를 행하지 않고, 고강도ㆍ고인성이고, 또한 피삭성을 향상시킨 열간 단조용 비조질강 부품을 얻는 것이다.
우선, 청구항 1 내지 3에서 규정하고 있는 강의 합금 성분의 한정 이유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본 발명을 적용한, 청구항 1에 기재되어 있는 마텐자이트형 열간 단조용 비조질강은 비교적 소형 내지 두께가 얇아서 담금질이 충분히 되는 부품, 혹은 내부 경도가 표면부만큼 필요하지 않은 부품에 적당하고, 예를 들어 자동차의 엔진 등에 사용되는 크랭크 샤프트나, 커넥팅 로드, 혹은 자동차의 서스펜션부 등에 사용되는 너클 등의 구조 부품에 적용할 때에 특히 적합하다.
또한 청구항 2에서 규정하고 있는 마텐자이트형 열간 단조용 비조질강은 비교적 대형 내지 충분한 켄칭성을 필요로 하는 부품에 적용할 수 있다. 청구항 3에서 규정하고 있는 마텐자이트형 열간 단조용 비조질강은 청구항 1, 2에서 제조된 강보다도 더 고강도ㆍ고인성을 필요로 하는 부품에 적용할 수 있다.
[청구항 1에서 규정의 성분]
C : 0.10 내지 0.20%
C는, 강의 켄칭성과 마텐자이트 강 및 부품의 강도를 결정하는 가장 기본적인 원소이다. 강 및 부품으로서 충분한 강도를 얻기 위해 하한을 0.10%, 바람직하게는 하한을 0.14%로 한다. 한편, Ms점을 높여 단조 켄칭 과정에서 자기 템퍼링을 얻기 위해, 상한을 0.20%로 한다. 또한 0.20% 초과에서는 인성이 저하된다는 점도, C의 상한을 0.20%로 한 이유이다.
Si : 0.10 내지 0.50%
Si는, 고용 강화에 의한 재료 강도 확보를 위해, 또한 탈산 원소로서 유효한 원소이지만, 0.10% 미만에서는 그 효과는 발현되지 않고, 또한 충분한 예비 탈산을 행할 수 없다. 이로 인해, Si의 하한을 0.10%로 했다. 한편, 0.50% 초과에서는, 경질 산화물을 발생하여 인성 및 피삭성을 저하하는 등의 폐해도 발생한다. 이로 인해, Si의 상한을 0.50%로 했다.
Mn : 1.0 내지 3.0%
Mn은, 고용 강화에 의해 강을 강화하는 동시에, 켄칭성을 높이는 원소이고, 또한 마텐자이트의 생성을 촉진하는데 있어서 유효한 원소이다. 이 Mn이 1.0% 미만에서는, 소기의 마텐자이트 조직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하한을 1.0%로 한다. 또한, 이 Mn은, S에 의한 열간 취성을 방지하는 유용 원소이고, 강 중의 S을 황화물로서 고정, 분산시키기 위해 필요하지만, Mn량이 커지면 소지(素地)의 경도가 커져 인성이나 피삭성을 저하시키므로, 상한을 3.0%로 한다.
P : 0.001 내지 0.1%
P은, 강 소지의 경도가 커지고, 취화시킴으로써 피삭성 향상에 효과가 있는 원소이지만, 0.001% 미만에서는 전술한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고, 또한 0.1% 초과에서는 강 소지의 경도가 지나치게 커져 오히려 인성을 열화시키므로 상한을 0.1%로 한다.
S : 0.005 내지 0.8%
S은 MnS을 형성하고, 피삭성을 향상시키는 원소이지만, 0.005% 미만에서는 충분한 효과는 얻어지지 않는다. 한편, Mn량에도 의존하지만, 0.8% 초과에서는, MnS이 조대화되고, 이것에 수반하여 MnS에는 단조시의 이방성이 발생하기 때문에, 기계적 성질의 이방성이 커지고, 경우에 따라서는 균열의 기점으로 되어 가공성을 열화시킨다. 이로 인해, S의 함유량을 0.005 내지 0.8%로 했다.
Cr : 0.10 내지 1.50%
Cr은 켄칭성을 높이고, 또한 강도 및 인성을 향상시키는 원소이고, 0.10% 미만에서는 그 효과는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1.5% 초과에서는, 그 효과가 포화될 뿐만 아니라, Cr탄화물을 생성시키고, 반대로 인성이 저하되는 동시에 피삭성도 저하된다. 이로 인해, Cr의 함유량을 0.10 내지 1.50%로 했다.
Al : 0.1 초과 내지 0.20%
Al은 탈산에 유효한 원소이고, 또한 고온시의 오스테나이트 중 또는 마텐자이트 중에 고용 및 질화물로서 존재하고, 파괴의 단위인 유효 결정립의 조대화를 억제하고, 고인성을 유지한다. 또한, 강 중의 고용 Al은 피삭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들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기 위해서는, 0.1% 초과의 첨가가 필요하다. 그러나, 과잉으로 첨가하면 경질 산화물을 형성하여, 오히려 인성 및 피삭성의 저하를 초래한다. 이로 인해, Al의 함유량을 0.1 초과 내지 0.20%로 했다.
N : 0.0020 내지 0.0080%
N는 각종 원소와 질화물을 형성하고, 유효 결정립의 조대화를 억제하여 고인성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 충분한 효과를 얻기 위해, 하한 0.0020%로 한다. 그러나, 이 N를 과잉으로 첨가하면, AlN이 다량으로 석출되어 AlN이 조대화되는 동 시에, 고용 Al이 감소한다. 따라서, 상한 0.0080%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0060%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0050% 이하이다.
[청구항 2에서 규정의 성분]
B : 0.0005 내지 0.0050%
B는 강 중에 고용 B로서 존재하면, 켄칭성 향상의 효과를 높이고, 또한 인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그들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0.0005% 이상 필요하지만, 0.0050% 초과에서는, 그 효과도 포화되어, 인성을 저하시킨다. 이로 인해, B의 함유량은 0.0005 내지 0.0050%로 했다.
Ti : 0.005 내지 0.030%
Ti은, 불가피적 불순물로서 혼입되는 N와 결합함으로써, Ti질화물을 형성하고, 이에 의해 BN의 석출을 억제하여 고용 B를 증대시키고, B가 BN으로 되어 B의 켄칭성 향상 효과가 소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B에 의한 켄칭성 향상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Ti질화물을 형성하고, 유효 결정립의 조대화를 억제하여 고인성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들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0.005% 이상 필요하다. 그러나, 0.030% 초과에서는, 조대한 Ti질화물이 형성되어, 오히려 인성을 저하시키고, 또한 피삭성도 저하된다. 이로 인해, Ti의 함유량은 0.005 내지 0.030%로 했다.
[청구항 3에서 규정의 성분]
Nb : 0.05 내지 0.30%
Nb는 Nb탄질화물을 형성하고, 유효 결정립의 조대화를 억제하고, 고인성, 고 강도를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온에서 강 중에 고용하고, 켄칭성을 증대시킨다. 이들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05% 이상 필요하다. 그러나, 0.30% 초과에서는 조대한 Nb탄질화물이 형성되어, 오히려 인성을 저하시킨다. 이로 인해, Nb의 함유량은 0.05 내지 0.30%로 했다.
V : 0.05 내지 0.30%
V은 Nb와 마찬가지로 V 탄질화물을 형성하고, 유효 결정립의 조대화를 억제하여 고인성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온에서 강 중에 고용하고, 켄칭성을 증대시킨다. 이들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05% 이상 필요하다. 그러나, 0.30% 초과에서는 조대한 V탄질화물이 형성되어, 오히려 인성을 저하시킨다. 이로 인해, V의 함유량은 0.05 내지 0.30%로 했다.
Mo : 0.05 내지 1.0%
Mo은 켄칭성 향상에 기여하는 동시에, 탄화물에 의한 입계 강도의 저하를 유효하게 저지하는 원소이다. 0.05% 미만에서는 그 효과는 인정되지 않고, 1.0% 초과를 첨가해도 그 효과가 포화된다. 이로 인해, Mo의 함유량은 0.05 내지 1.0%로 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규정한 상기 강 성분 외에,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Sn, Zn, Pb, Sb, REM 등을 함유시킬 수 있다.
[청구항 4의 한정 이유]
다음에, 청구항 4에 기재되어 있는 열간 단조 비조질강 부품의 특징에 있어서, 부품에 따라서는, 부품 내에서 높은 강도, 인성에 필요한 부위와 필요하지 않 은 부위가 존재하는 부품이나, 부품 전체가 높은 강도, 인성을 필요로 하는 부품이 있다. 본 발명은, 부품의 일부 또는 전부의 높은 강도, 인성이 필요한 부위에 있어서의 전체 단면의 강 조직을, 실질적으로 유효 결정 입경이 15㎛ 이하인 마텐자이트 조직으로 하는 것이다. 부품의 일부 또는 전부의 높은 강도, 인성이 필요한 부위에 있어서의 상기한 한정 이유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청구항 1 내지 3에 기재되어 있는 마텐자이트형 열간 단조용 비조질강을 사용하여, 열간 단조 후, 냉각할 때, 단조 부품의 두께나 합금 원소의 첨가량에 따라서, 수냉, 유냉, 공냉, 혹은 이들에 상당하는 냉각 능력을 갖는 냉각 매체로 냉각하고, 강 조직이, 실질적으로, 유효 결정 입경 15㎛ 이하인 마텐자이트 조직으로 된다. 그 강 조직이 마텐자이트 조직 이외인 경우, 인성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마텐자이트 조직이라 함은, 면적률로 95% 이상이 마텐자이트 조직인 경우를 말하고, 잔량부는 베이나이트, 펄라이트, 잔류 오스테나이트 등으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유효 결정 입경이라 함은, 샤르피 시험 후의 취성 파면을 관찰하고, 의벽개(quasi-cleavage) 내지 벽개에 의해 형성된 하나의 평평한 취성 파면의 평균 길이이다. 강 조직을 유효 결정 입경이 15㎛ 이하인 마텐자이트 조직으로 하는 것은, 1100㎫ 이상의 강도와 고인성을 양립시키기 위해서이다.
강 조직을 실질적으로, 유효 결정 입경이 15㎛ 이하인 마텐자이트 조직으로 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열간 단조 후의 냉각시의 냉각 속도를 강 성분이나 단조 부품의 두께에 의해 수냉, 유냉, 공냉의 수단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 성분이 켄칭성을 향상시키는 원소가 적은 청구항 1을 만족하는 마텐자이트형 열간 단조용 비조질강이고, 단조 부품의 두께가 40㎜ 이상으로 두꺼운 경우에는 수냉을 선택하고, 강 성분이 켄칭성을 향상시키는 원소가 많은 청구항 2와 3을 동시에 만족하는 마텐자이트형 열간 단조용 비조질강이고, 단조 부품의 두께가 20㎜ 이하로 얇은 경우에는 수냉, 유냉, 공냉 중 어느 것을 선택해도 좋고, 미리 실험에 의해 적정 조건을 구해 둘 수 있다.
[청구항 5의 한정 이유]
청구항 5에 기재되어 있는 열간 단조 비조질강 부품의 특징의 한정 이유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열간 단조 비조질강 부품에 있어서는, 질량%로, 고용 Al : 0.05 내지 0.18%를 함유시킴으로써 강 소지를 취화시켜, 피삭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0.05% 미만에서는 상기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다. 한편, 고용 Al량은 강 중의 Al량, N량이나 가열 온도 등으로 결정되나, 0.18% 초과를 고용할 수는 없다. 고용 Al량을 0.05% 이상으로 하기 위해서는, 열간 단조 전의 가열 온도를 1150℃ 이상, 바람직하게는 120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250℃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고용 Al량을 상기와 같이 하는 부위는, 부품 내에서 적어도, 열간 단조하고, 냉각하여 강 조직이 실질적으로, 유효 결정 입경이 15㎛ 이하인 마텐자이트 조직인 부위이지만, 다른 부위가 상술한 고용 Al량이라도 좋다.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이하에 상세하게 서술한다.
(제1 실시예)
표 1에 나타낸 화학 성분을 갖는 강 150㎏을 진공 용해로에서 용융 제조 후, 열간 압연에 의해 직경 50㎜인 봉강으로 한 후, 강 중의 고용 Al량을 확보하기 위해, 가열 온도를 1250℃로서 열간 단조하고, 직경이 20㎜인 원기둥 형상으로 연신 단조하고, 본 발명예 No.13, No.14, 비교예 No.22, No.23을 제외하고 나머지 모두에 대해, 즉시 25℃의 물을 사용하여 냉각하고, 본 발명예 No.13, No.14, 비교예 No.22, No.23에 대해, 즉시 100℃의 오일(JIS 1종 1호)을 사용하여 냉각했다. 즉, 이 No.13, No.14, No.22, No.23에 대해서는 냉각 속도를 느리게 하고 있다. 그리고, 이 본 발명예 및 비교예의 강재에 대해, 인장 시험, 충격 시험, 피삭성 시험을 행하고, 그 특성을 평가했다. 또한, 표 1의 밑줄은 본 발명에서 규정한 성분의 범위 외 조건이다.
덧붙여, No.17, 18은 C의 함유량을, No.19, 20, 22, 23은 Al의 함유량을, No.21은 N의 함유량을, No.24에 대해서는 Si의 함유량을, No.25, 26에 대해서는 Mn의 함유량을, No.27에 대해서는, Cr의 함유량을, No.28에 대해서는 Ti, B의 함유량을, No.29에 대해서는 P의 함유량을, 각각 본 발명에 있어서 규정한 범위로부터 일탈시키고 있다.
Figure 112009025663049-pct00001
인장 시험은, 직경 20㎜인 둥근 막대로부터 JIS3호 시험편을 잘라내어, 인장 강도를 평가했다. 또한, 충격 시험편은 연신 단조 방향으로 JIS3호 시험편을 잘라내어, JIS Z 2242에 규정되어 있는 방법으로, 실온에 있어서의 샤르피 충격 시험을 실시했다. 그때, 평가 지표로서 단위 면적당의 흡수 에너지를 채용했다.
유효 결정 입경은, 샤르피 충격 시험 후의 취성 파면의 길이 방향 단면을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의벽개 내지 벽개에 의해 형성된 직선적인 취성 파면의 길이를 20점 측정하여 평균한 것이다.
피삭성 평가의 지표로서는, 드릴 천공 시험에서는 누적 구멍 깊이 1000㎜까지 절삭 가능한 최대 절삭 속도 VL1000(m/min)을 채용했다. 여기서 말하는 VL1000이라 함은, 1000㎜ 길이의 구멍 뚫기가 가능한 드릴의 절삭 속도로, 수치가 클수록 피삭성은 양호한 것을 나타낸다. 드릴 천공 시험 조건은 표 2에 나타낸다.
강 조직은 광학 현미경 또는 주사형 현미경에 의해 관찰했다. M은 주체 조직이 마텐자이트 조직을 나타낸다. B는 주체 조직이 베이나이트 조직을 나타낸다. 마텐자이트 면적률은 전체 조직 중의 마텐자이트의 면적률이고, 직경 20㎜인 둥근 막대의 직경 방향 단면을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촬영한 조직 사진을 화상 처리하여 판정했다. 강 중 고용 Al은, 강 중 전체 Al량으로부터 Al 질화물로서 존재하는 Al량을 뺀 양으로 했다. Al 질화물로서 존재하는 Al량은 비수 용매 전해액에 의한 정전위 전해 부식법의 SPEED법과 0.1㎛의 필터에 의해 전해 추출한 잔사를 ICP 발광 분석 장치에 의해 측정했다.
또한, 이들 인장 시험, 충격 시험, 피삭성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표 3의 평가 결과 내의 가로선은 드릴 천공 시험에 있어서 절삭 속도 1m/min으로 누적 구멍 깊이 1000㎜까지 절삭할 수 없었던 것을 나타낸다.
도 1은, 표 3의 본 발명예 No.1 내지 16과 비교예 No.19 내지 23을 횡축에 인장 강도, 종축에 VL1000의 결과를 작도한 것이다.
Figure 112009025663049-pct00002
Figure 112009025663049-pct00003
상기 표 3에 나타낸 No.1 내지 16은 본 발명예, No.17 내지 29는 비교예이다.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예 No.1 내지 16의 강재에서는, 평가 지표인 인장 강도, 흡수 에너지 및 VL1000의 모두에 있어서 양호한 값을 나타내고, 비교예와 비교해도, 모두 동일 레벨의 강도에서 보았을 때의 피삭성이, 또한 동일 레벨의 피삭성에서 보았을 때의 강도가 우수하고, 강도ㆍ인성 등의 기계적 성질에 부가하여, 피삭성을 함께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 명백하게 되었다.
한편, 비교예 No.17 내지 29의 강재에서는, 평가 지표 3개 중 적어도 1개 이상의 특성이, 본 발명예의 강재와 비교하여 떨어지고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비교예 No.17은, 본 발명에서 필수 원소인 C를 필요량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강도가 본 발명재보다 떨어지고 있었다. 또한, 비교예 No.18은, 본 발명에서 필수 원소인 C를 과잉으로 첨가하고 있기 때문에, 강도가 본 발명재보다 높고, 인성과 함께 피삭성이 극단적으로 떨어지고 있었다.
비교예 No.19, 22, 23은, 본 발명에서 필수 원소인 Al을 필요량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비교예 No.21은, N를 과잉으로 첨가했기 때문에, 모두 고용 Al량이 0.05 질량%보다 적고, 또한 비교예 No.20은 본 발명에서 필수 원소인 Al을 과잉으로 첨가했기 때문에 경질 산화물이 증가하고, 모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 레벨의 인장 강도에서 보았을 때에, VL1000이 본 발명 강재보다 극단적으로 떨어지고 있었다.
그 중에서도 No.22, 23은 모두, 조직은 면적률 95% 이상의 마텐자이트 조직이지만, 냉각 속도가 느리고, Al 질화물에 의한 유효 결정립의 조대화 억제 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유효 결정 입경이 모두 15㎛를 초과하고 있기 때문에 규정을 벗어나, 인성이 본 발명재보다 떨어지고 있었다. 한편, 이 No.22, No.23과 Ti, B의 함유량을 대략 동일 조건하에서 제어한 본 발명예 No.13, 14는 냉각 속도가 느림에도 불구하고, Al 질화물에 의한 유효 결정립의 조대화 억제 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유효 결정립이 15㎛ 이하로 고인성을 확보하고 있다.
비교예 No.24는, 본 발명 필수 원소의 Si를 과잉으로 첨가하고 있기 때문에, 강도가 본 발명재보다 높고, 인성과 함께 피삭성이 극단적으로 떨어지고 있었다.
비교예 No.25는 본 발명 필수 원소의 Mn을 필요량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켄칭성이 저하되고, 주체 조직이 베이나이트로 되어, 인성이 본 발명재보다 극단적으로 떨어지고 있었다.
비교예 No.26 내지 29는 본 발명에서 필수 원소인 Mn, Cr, Ti, B, P을 과잉으로 첨가하고 있기 때문에, 인성 또는 피삭성이 극단적으로 떨어지고 있었다.
본 발명을 적용한 마텐자이트형 열간 단조용 비조질강 및 열간 단조 비조질강 부품은, 강 성분으로서, Al을, 통상의 비조질강보다 많은 0.1 초과 내지 0.20%를 첨가하고, N를 통상의 비조질강보다 낮은 0.0020 내지 0.0080%를 함유시키고 있기 때문에, 강도ㆍ인성 등의 기계적 성질에 부가하여, 피삭성을 함께 향상시킬 수 있고, 고강도, 고인성을 필요로 하는 자동차, 산업 기계 등의 기계 부품에 가공되는 강, 및 상기 강으로 이루어지는 기계 부품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열간 단조로 성형한 후의 제어 냉각에 의해, 그 후 재가열하여 켄칭 템퍼링의 조질 처리를 행하지 않더라도, 강의 주체 조직을 마텐자이트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조질 비용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5)

  1. 질량%로,
    C : 0.14 내지 0.20%,
    Si : 0.10 내지 0.50%,
    Mn : 1.0 내지 3.0%,
    P : 0.001 내지 0.1%,
    S : 0.005 내지 0.8%,
    Cr : 0.10 내지 1.50%,
    Al : 0.1 초과 내지 0.20%,
    N : 0.0020 내지 0.0060%를 함유하고, 잔량부가 Fe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텐자이트형 열간 단조용 비조질강.
  2. 제1항에 있어서, 질량%로,
    B : 0.0005 내지 0.0050%,
    Ti : 0.005 내지 0.030%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텐자이트형 열간 단조용 비조질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질량%로,
    Nb : 0.05 내지 0.30%,
    V : 0.05 내지 0.30%,
    Mo : 0.05 내지 1.0%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텐자이트형 열간 단조용 비조질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마텐자이트형 열간 단조용 비조질강으로 이루어지는 열간 단조 비조질강 부품이며, 상기 부품의 일부 또는 전부에 있어서의 전체 단면의 강 조직이 유효 결정 입경 : 15㎛ 이하인 마텐자이트 조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단조 비조질강 부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의 일부 또는 전부에 있어서의 전체 단면의 강 조직이 유효 결정 입경 : 15㎛ 이하인 마텐자이트 조직인 부위의 강 중의 고용 Al이 0.05 내지 0.18 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단조 비조질강 부품.
KR1020097008669A 2007-10-29 2008-10-27 마텐자이트형 열간 단조용 비조질강 및 열간 단조 비조질강 부품 Expired - Fee Related KR1011254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80258 2007-10-29
JP2007280258 2007-10-29
PCT/JP2008/069835 WO2009057731A1 (ja) 2007-10-29 2008-10-27 マルテンサイト型熱間鍛造用非調質鋼及び熱間鍛造非調質鋼部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8806A KR20090078806A (ko) 2009-07-20
KR101125404B1 true KR101125404B1 (ko) 2012-03-27

Family

ID=40591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8669A Expired - Fee Related KR101125404B1 (ko) 2007-10-29 2008-10-27 마텐자이트형 열간 단조용 비조질강 및 열간 단조 비조질강 부품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9376738B2 (ko)
EP (1) EP2204463B8 (ko)
JP (1) JP5079788B2 (ko)
KR (1) KR101125404B1 (ko)
CN (1) CN101568661B (ko)
BR (1) BRPI0805832B1 (ko)
PL (1) PL2204463T3 (ko)
RU (1) RU2439189C1 (ko)
TW (1) TWI393790B (ko)
WO (1) WO200905773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2132A (ko) 2021-12-17 2023-06-26 주식회사 포스코 충격인성이 우수한 열간 단조용 비조질강,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부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57942B (zh) * 2010-07-06 2012-06-20 攀钢集团钢铁钒钛股份有限公司 一种抗拉强度590MPa级的热轧钢板及其生产方法
CN102397965B (zh) * 2010-09-17 2014-11-19 机械科学研究总院先进制造技术研究中心 微合金非调质钢控锻-控冷技术及自动生产线
KR101661045B1 (ko) 2012-01-13 2016-09-28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냉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EP2803747B1 (en) 2012-01-13 2019-03-27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Cold-rolled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cold-rolled steel sheet
MX373607B (es) 2012-01-13 2020-05-15 Nippon Steel Corp Artículo moldeado estampado en caliente y método para la producción del mismo.
ES2666968T3 (es) 2012-01-13 2018-05-08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Artículo moldeado por estampado en caliente y método para producir un artículo moldeado por estampado en caliente
JP6225988B2 (ja) 2013-04-02 2017-11-08 新日鐵住金株式会社 ホットスタンプ成形体、冷延鋼板、及びホットスタンプ成形体の製造方法
PL3009526T3 (pl) * 2013-06-11 2020-02-28 Nippon Steel Corporation Produkt wytłaczany na gorąco i sposób wytwarzania produktu wytłaczanego na gorąco
EP3075872A4 (en) * 2013-11-29 2017-05-03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Hot-formed steel sheet member,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steel sheet for hot forming
JP5852728B2 (ja) * 2013-12-25 2016-02-03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熱間成形用鋼板および熱間プレス成形鋼部材の製造方法
RU2544216C1 (ru) * 2014-04-08 2015-03-10 Юлия Алексеевна Щепочкина Сталь
CN105734249A (zh) * 2014-12-10 2016-07-06 陕西宏远航空锻造有限责任公司 一种大型1Cr11Ni2W2MoV轴类锻件晶粒度的细化方法
BR112017020165A2 (pt) * 2015-03-31 2018-06-05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chapa de aço para estampagem a quente e método para produção de chapa de aço para estampagem a quente e corpo formado por estampagem a quente
CN105256238B (zh) * 2015-10-27 2017-10-20 西安交通大学 一种汽车零件用低碳马氏体非调质钢的制备方法
CN105220072B (zh) * 2015-11-09 2017-03-22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低铬低钼型2000MPa级非调质钢板及其制造方法
US10650621B1 (en) 2016-09-13 2020-05-12 Iocurrents, Inc. Interfacing with a vehicular controller area network
CA3053396C (en) 2017-03-01 2022-08-09 Ak Steel Properties, Inc. Press hardened steel with extremely high strength
JP2020510758A (ja) * 2017-03-01 2020-04-09 エーケー スティール プロパティ−ズ、インク. 非常に高強度の熱間圧延鋼および製造方法
US11261511B2 (en) * 2017-10-31 2022-03-01 Nippon Steel Corporation Hot forged steel material
WO2019240209A1 (ja) * 2018-06-13 2019-12-19 日鉄ステンレス株式会社 マルテンサイト系s快削ステンレス鋼
CN109023039B (zh) * 2018-07-20 2020-08-25 首钢集团有限公司 一种980MPa级别ATM机用防暴钢板及其制造方法
CN111304546A (zh) * 2020-04-07 2020-06-19 四川泰铸耐磨材料有限公司 一种超强度耐磨合金及其制备方法
KR20230048109A (ko) * 2020-09-07 2023-04-10 아르셀러미탈 강의 단조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CN113046631B (zh) * 2021-02-22 2022-08-19 南京钢铁股份有限公司 易切削非调质钢及其制备方法
CN114231717B (zh) * 2021-12-31 2024-02-02 无锡派克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马氏体不锈钢锻件锻造方法
JP2025519207A (ja) * 2022-05-31 2025-06-24 ポスコ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切削性および衝撃靭性が向上した非調質線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5354119B (zh) * 2022-08-23 2024-01-16 大冶特殊钢有限公司 一种二次硬化型钢的锻件热处理方法
CN115301878A (zh) * 2022-08-30 2022-11-08 昆明理工大学 一种改善低、中碳钢性能的方法
CN117488049A (zh) * 2023-12-28 2024-02-02 烟台台海玛努尔核电设备有限公司 一种低碳马氏体钢封头的热处理装置及热处理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7589A (ja) * 1997-02-25 1998-09-08 Daido Steel Co Ltd 被削性に優れた高強度・高靱性マルテンサイト型非調質鋼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82749A (en) 1978-12-18 1980-06-21 Nippon Steel Corp Heat treatment omitting type high tensile steel bar for hot forging
JPS5582750A (en) 1978-12-18 1980-06-21 Nippon Steel Corp Heat treatment omitting type steel bar for hot forging
JPS6045250B2 (ja) 1980-05-28 1985-10-08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非調質鍛造部品の製造方法
JP2508034B2 (ja) 1986-11-21 1996-06-19 大同特殊鋼株式会社 高強度高靭性熱間鍛造焼入用鋼
JPH01129953A (ja) 1987-11-16 1989-05-23 Kobe Steel Ltd 高強度非調質鋼とその製造方法
JP2805845B2 (ja) * 1989-06-07 1998-09-30 大同特殊鋼株式会社 浸炭焼入れ用快削鋼
JPH05279788A (ja) * 1992-03-31 1993-10-26 Sumitomo Metal Ind Ltd 強度および靱性に優れた熱間鍛造用非調質鋼
JP3297500B2 (ja) * 1993-07-15 2002-07-02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被削性の優れた高強度棒鋼
JP3098366B2 (ja) * 1993-09-29 2000-10-16 エヌケーケー条鋼株式会社 空冷型マルテンサイト系強靱性熱間鍛造用非調質鋼
JPH07316737A (ja) * 1994-05-18 1995-12-05 Toa Steel Co Ltd 空冷型マルテンサイト系強靱性熱間鍛造用非調質鋼
JP3514018B2 (ja) 1995-12-16 2004-03-31 大同特殊鋼株式会社 高強度−高靱性マルテンサイト型非調質鋼の製造方法
JP3644275B2 (ja) 1998-10-28 2005-04-27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被削性に優れたマルテンサイト・ベイナイト型非調質鋼材及びその製造方法
DE19936151A1 (de) * 1999-07-31 2001-02-08 Thyssenkrupp Stahl Ag Höherfestes Stahlband oder -blech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2003171730A (ja) * 1999-12-08 2003-06-20 Nkk Corp 耐遅れ破壊性を有する耐摩耗鋼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113442A (ja) * 2001-10-05 2003-04-18 Sumitomo Metal Ind Ltd 温間成形性にすぐれた高張力鋼板
JP3851146B2 (ja) * 2001-11-14 2006-11-29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非調質高強度・高靭性鍛造用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鍛造品の製造方法
JP4123467B2 (ja) 2002-01-08 2008-07-23 日立金属株式会社 快削性低熱膨張材料
JP2003328079A (ja) * 2002-05-14 2003-11-19 Nippon Steel Corp 加工性に優れた冷間鍛造用鋼管とその製造方法。
JP4325277B2 (ja) * 2003-05-28 2009-09-02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熱間成形法と熱間成形部材
CN1210430C (zh) * 2003-08-01 2005-07-13 清华大学 中低碳锰系空冷贝氏体钢
JP2008013788A (ja) 2006-07-03 2008-01-24 Nippon Steel Corp 被削性と強度特性に優れた機械構造用鋼
JP5114658B2 (ja) * 2006-12-20 2013-01-09 新日鐵住金株式会社 機械的特性及び被削性に優れた機械構造用鋼
WO2008084749A1 (ja) 2006-12-25 2008-07-17 Nippon Steel Corporation 被削性と強度特性に優れた機械構造用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7589A (ja) * 1997-02-25 1998-09-08 Daido Steel Co Ltd 被削性に優れた高強度・高靱性マルテンサイト型非調質鋼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2132A (ko) 2021-12-17 2023-06-26 주식회사 포스코 충격인성이 우수한 열간 단조용 비조질강,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부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04463B8 (en) 2019-08-14
CN101568661B (zh) 2012-05-02
EP2204463A1 (en) 2010-07-07
KR20090078806A (ko) 2009-07-20
BRPI0805832A2 (pt) 2011-08-30
TWI393790B (zh) 2013-04-21
PL2204463T3 (pl) 2019-10-31
WO2009057731A1 (ja) 2009-05-07
EP2204463B1 (en) 2019-05-01
US9487848B2 (en) 2016-11-08
JP5079788B2 (ja) 2012-11-21
US20160251743A1 (en) 2016-09-01
TW200932923A (en) 2009-08-01
EP2204463A4 (en) 2017-12-27
CN101568661A (zh) 2009-10-28
US9376738B2 (en) 2016-06-28
US20100183473A1 (en) 2010-07-22
RU2439189C1 (ru) 2012-01-10
BRPI0805832B1 (pt) 2014-11-25
JPWO2009057731A1 (ja) 201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5404B1 (ko) 마텐자이트형 열간 단조용 비조질강 및 열간 단조 비조질강 부품
KR101386871B1 (ko) 고강도 스프링용 중공 시임리스 파이프
KR101239416B1 (ko) 피삭성과 충격 값이 우수한 열간 가공 강재
KR101031679B1 (ko) 스프링용 강 선재의 제조 방법
KR101965520B1 (ko) 냉간 단조 부품용 압연 봉강 또는 압연 선재
JP6073167B2 (ja) 面疲労強度と冷間鍛造性に優れた肌焼用鋼材
KR20130083924A (ko) 기계 구조용 강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1330756B1 (ko) 피삭성이 우수한 저비중 단조용 강
JP5871085B2 (ja) 冷間鍛造性および結晶粒粗大化抑制能に優れた肌焼鋼
KR20130081312A (ko) 기계 구조용 강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83925A (ko) 기계 구조용 강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JP5181621B2 (ja) マルテンサイト型熱間鍛造用非調質鋼及び熱間鍛造非調質鋼部品
JP6390685B2 (ja) 非調質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489376B2 (ja) 高強度高靱性快削非調質鋼材
JP6791179B2 (ja) 非調質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310152A (ja) 熱間鍛造用非調質鋼
KR20110075316A (ko) 피로수명이 우수한 고인성 스프링용 강선, 이를 이용한 스프링 및 이들의 제조방법
JP3617187B2 (ja) 高強度コネクティングロッドの製法
WO2024181151A1 (ja) 非調質鍛造用鋼、非調質鍛造鋼および非調質鍛造部品
KR101388409B1 (ko) 비조질강 및 그 제조 방법
JP2024122846A (ja) 非調質鍛造用鋼、非調質鍛造鋼および非調質鍛造部品
JPH11269599A (ja) 高強度非調質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2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4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3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3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