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11410B1 - 하드 코팅액 및 하드 코팅 필름 - Google Patents

하드 코팅액 및 하드 코팅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1410B1
KR101111410B1 KR1020090081193A KR20090081193A KR101111410B1 KR 101111410 B1 KR101111410 B1 KR 101111410B1 KR 1020090081193 A KR1020090081193 A KR 1020090081193A KR 20090081193 A KR20090081193 A KR 20090081193A KR 101111410 B1 KR101111410 B1 KR 101111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d coating
weight
film
aluminum
zinc ox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1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3362A (ko
Inventor
임상규
황성호
김순현
이수근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90081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1410B1/ko
Publication of KR20110023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3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1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141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70Additives characterised by shape, e.g. fibres, flakes or microsphe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05Reinforced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nanosized materials, e.g. nanoparticles, nanofibres, nanotubes, nanowires, nanorods or nanolayered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2Ingredients treated with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4Electrically-conducting pai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400/12Polym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e.g. anisotropy, viscosity or electrical conductiv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96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zin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7Additives being an antistatic ag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no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전방지층을 별도로 형성할 필요없이 하드 코팅층에 대전방지 기능을 포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알루미늄이 도핑된 산화아연 나노로드를 포함하는 하드 코팅액 및 이를 이용한 하드 코팅 필름을 제공한다.
대전방지, 알루미늄이 도핑된 산화아연, 나노로드, 하드코팅 필름

Description

하드 코팅액 및 하드 코팅 필름{hard coating liquid and film}
본 발명은 대전방지 기능을 갖는 하드 코팅액 및 하드 코팅 필름에 관한 것이다.
LCD, PDP, Touch Panel, OLED 등의 디스플레이 제품에서는 표면보호재로 기재 필름 상에 내긁힘성(anti-scratch)이 뛰어난 하드 코팅층이 형성된 하드 코팅 필름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통상의 대전방지제가 들어가지 않는 하드 코팅 필름은 표면저항이 1013Ω/sq 이상이기 때문에 주위의 먼지 등 오염원이 표면에 부착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하드 코팅층에 대전 방지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대전방지제를 첨가하거나, 대전 방지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계면활성제 등의 대전방지제를 수지표면에 도포하는 방법에서는, 장기간 경과하면 제전성이 현저하게 저하하므로, 지속성을 갖는 제전성 수지로서 실용성이 부족할 수 있다. 또한, 계면활성제 등의 대전방지제는 온도의존성이 있고, 저온도하에서는 제전효과가 저하할 수 있다.
또한, 카본블랙이나 탄소나노튜브 등을 수지에 혼입하여 도포하는 방법도 제안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 의하면, 투명한 코팅층이 얻어지지 않거나, 성형품의 색의 선택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금속 화합물을 증착하는 방법은 대전방지성이 우수하여 최근에는 도전성 필름용도로 많이 이용될 수 있다.
최근에는 물 및 유기용매에 용해되는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또는 폴리티오펜 등의 전도성 고분자가 개발되면서 이를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 또는 다른 고분자 표면에 전도성을 부여할 수도 있다.
이 중 일반적인 방법은 도핑이 완료된 전도성 고분자를 만든 후 이를 적당한 용매에 폴리에스테르를 비롯한 각종 고분자 표면에 코팅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전기전도성 중합체를 함유하는 코팅액을 플라스틱 기재에 도포하는 경우, 기재에 대한 밀착성, 투명성, 내수성, 내용제성 및 전기전도성의 성능을 동시에 만족시키지 못할 수 있다. 대전방지 기능을 첨가한 알칼리 금속 Eshs 알루미늄 염과 이미다졸린계 계면활성제를 적용한 방법은 대전방지 코팅 층의 표면저항이 습도에 따라 변하므로 기술 적용에 제약을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전 방지층을 하드 코팅층 위에 따로 형성하지 않고 투과성이 높고 높은 대전방지성을 갖는 하드 코팅 필름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하드 코팅액을 제공할 수 있다.
일측면에서, 본 발명은, 알루미늄이 도핑된 산화아연 나노로드를 포함하는 대전방지성 하드 코팅액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기재 필름; 및 상기 기재 필름의 한쪽면에 대전 방지성 하드 코팅액으로 형성한 코팅층;을 포함하는 대전 방지성 하드 코딩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기재 필름; 상기 기재 필름의 양쪽면에 알루미늄이 도핑된 산화아연 나노로드을 포함하는 대전 방지성 하드 코팅액으로 형성한 코팅층; 및 상기 기재 필름의 양쪽면에 부착되는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대전 방지성 하드 코팅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대전 방지층을 하드 코팅층 위에 따로 형성하지 않고 투과성이 높고 높은 대전방지성을 갖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대전방지 기능을 갖는 하드 코팅액 및 하드 코팅 필름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들이 가능하다.
발명에 따른 대전방지성 하드 코팅액은 알루미늄이 도핑된 산화아연 나노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명에 따른 대전방지성 하드 코팅액은 알루미늄이 도핑된 산화아연 나노로드과 함께 열 또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경화개시제,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명에 따른 대전방지성 하드 코팅액은 (A)열 또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100 중량부, (B) 경화개시제 0.1~20 중량부, (C) 용매 20~100 중량부 및 (D) 알루미늄이 도핑된 산화아연 나노로드 0.1~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하드코팅 필름은 기재필름와 상기 기재 필름의 한 쪽 면에 대전 방지성 하드 코팅액으로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용도에 따라 상기 기재 필름의 하드코팅층은 보호필름을 형성할 수 있으며 다른 한 쪽은 점착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 점착층은 이형필름을 라미네이션시켜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전 방지성 하드 코팅액을 이루는 각 구성요소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열 및 자외선 경화형 수지
대전방지성 하드 코팅액에 사용되는 열 및 자외선 경화형 수지(A)는 2개 이상의 관능기를 가진 화합물로 이루어진다. 이용가능한 관능기로는 (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불포화 이중결합을 갖는 것과 에폭시기 또는 실란올기와같은 반응성의 치환기를 들 수 있다.
이 중, 활성화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가 쉽게 일어날 수 있는 불포화 이중결합을 가진 관능기가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관능기의 구체적인 예로는 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 메틸올 프로 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 에리스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올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A-디글리시딜 에테르의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다가 알코올과 다가 카르복실산 및 그 무수물과 아크릴산을 에스테르화 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실옥산 폴리아크릴레이트,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 메타크릴레이트, 글리세린 트리 메타크릴레이트 등이 있다. 또는 불소를 함유하는 불소 함유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불소 함유 알콕시실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페플루오로데실)에틸 메타크릴레이트, 3-퍼플루오로옥틸-2-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3-(퍼플루오로-9-메틸데실)-1, 2-에폭시 프로판, (메타)아크릴산-2,2,2-트리플루오르에틸, (메타)아크릴산-2-트리플루오르메틸 3, 3,3-트리플루오르프로필 등이 있다.
위에서 구체적으로 나열한 화합물들을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열 및 자외선 경화성 수지(A)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다른 성분의 조성비를 결정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B) 경화 개시제
대전 방지성 하드 코팅액에 사용되는 경화 개시제(B)는 코팅액의 경화를 돕는다.
그 구체적인 예로는 벤조인, 벤조 인 메틸에테르, 벤조 인 이소프로필에테르 등의 벤조 인계 화합물, 벤질, 벤조페논, 아세토페논 등의 카르보닐 화합물, 아조비스이소부틸니트릴, 아조디벤조일 등의 아조 화합물, 디케톤과 삼급 아민과의 혼 합물등의 광중합 개시제가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경화 개시제의 사용량은 상기 열 및 자외선 경화성 수지(A) 100 중량부에 대해 0.1~20 중량부의 범위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C) 용매
대전 방지성 하드 코팅액에 사용되는 용매(C)의 구체적인 예로는 메틸 알코올, 에틸 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프로판올, 이소 프로판올 등의 알코올류, 메틸 이소부틸 케톤, MEK 등의 케톤류, 초산 메틸, 초산 에틸 등의 에스테르류, 톨루엔, 크실렌, 벤젠 등의 방향족 화합물, 디에틸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등을 들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D) 알루미늄이 도핑된 산화아연 나노로드
대전 방지성 하드 코팅액에 사용되는 알루미늄이 도핑된 산화아연 나노로드(D)은 하드 코팅층에 대전 방지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때 알루미늄 0.1~10 at.% 도핑된 산화아연 나노로드로부터 선택된 도전성이 우수한 알루미늄이 도핑된 산화아연 나노로드를 사용한다(도 1 참조).
하드 코팅액은 상기 알루미늄이 도핑된 산화아연 나노로드(D)을 첨가하여 대전 방지성을 부여하였기 때문에 하드 코팅 필름을 제조할 때 별도로 대전 방지층을 적층하지 않고서도 대전 방지성을 갖는 코팅 필름의 제조가 가능하다.
하드 코팅액에 사용하는 알루미늄이 도핑된 산화아연 나노로드(D)의 함량은 0.1~50 중량부의 범위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위에서 설명한 하드 코팅액으로 기재필름에 하드코팅층을 형성한 하드코팅 필름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대전 방지성 하드코팅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하드코팅 필름(100)은 기재필름(110)와 상기 기재 필름(110)의 한쪽면에 대전 방지성 하드 코팅액으로 형성된 코팅층(1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드 코팅 필름(100)은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터치 패널 등에 보호 필름 및 기능성 필름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상기 기재 필름(110)의 다른 한쪽 면, 즉 하드 코팅층(120)이 형성된 면의 반대 쪽 면에 다음의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점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전 방지성 하드코팅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대전 방지성 하드 코팅 필름(200)은 상기 제조된 하드 코팅액을 기재 필름(210) 위에 경화시켜 대전 방지성을 갖는 하드 코팅층(220)을 형성하고, 상기 기재 필름(210)의 다른 한쪽 면에 형성된 점착층(230)을 형성한다. 이후 상기 점착층(230)의 다른한쪽 면에 이형 필름(240)을 부착하여 제조하여 제조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재 필름(210)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필름 또는 시트상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공지의 투명한 기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폴리올레핀(PO), 폴리비닐알코올(PVA), 폴리아마이드(PA), 폴리염화비닐(PVC)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기재 필름(210)은 투명 지지체에 적외선 흡수제 또는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이 적외선 흡수제를 첨가하는 경우의 첨가량은 투명 지지체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10 중량%를 사용할 수 있다.
하드코팅 필름의 대전 방지성이 부여된 하드 코팅층(220)은 상기 제조한 본 발명의 하드 코팅액을 경화시켜 제조할 수 있다. 하드 코팅층(220)을 기재 필름(210)에 적층하는 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경화성 수지(A), 경화 개시제(B), 용매(C), 및 알루미늄이 도핑된 산화아연 나노로드(D)를 혼합한 후 이를 잘 섞어 롤 코팅, 딥 코팅, 나이프 코팅, 바 코팅, 스핀 코팅 등의 방법을 이용해 도포한 후 할로겐 램프, 고압 수은 램프,메탈 할라이드 램프를 이용해 경화시킬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 도포방법이나 경화방법에 제한되지 않는다.
하드코팅 필름의 하드 코팅층(220)은 표면 저항율이 102~1012 Ω/sq의 범위가 일반적이지만 108~1012 Ω/sq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표면 저항율이 1012 Ω/sq 이상일 경우에는 표면 대전 방지 기능이 충분하지 못하여 먼지의 부착 등 오염을 방지하기에 부적합하며, 102 Ω/sq 이하의 경우에는 다량의 대전 방지제가 첨가되어야 하므로 접착 강도가 약해지며, 헤이즈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하드 코팅층(2)을 적층한 후의 도막은 0.1~30 ㎛의 범위의 두께로 형성하는데, 특히 필름의 투명성과 헤이즈에 영향을 주지 않는 점을 고려하면 0.5~15 ㎛의 범위의 두께가 바람직할 수 있다. 도막의 두께가 15 ㎛를 초과하게 되면 투과성 저하 및 헤이즈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으며, 0.5 ㎛ 이하의 경우에는 내찰상성 및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드 코팅 필름(200)은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터치 패널 등에 보호 필름 및 기능성 필름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상기 기재 필름(210)의 다른 한쪽 면, 즉 하드 코팅층(220)이 형성된 면의 반대 쪽 면에 점착층(230)을 형성한다. 점착층에 사용되는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사용하는 공지의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그 구체적인 예로는 아크릴계 점착제, 자외선 경화형 점착제, 열 경화형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 점착층에 자외선 차단을 위해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해도 좋고, 색 콘트라스트(contrast) 향상을 위해 블랙 안료 및 카본 블랙을 함유하여도 좋다.
하드 코팅 필름(200)에 사용하는 이형 필름(240)은 점착층(230)을 보호하기 위해 적층하는 것으로, 사용되는 기재물질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필름 또는 시트상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폴리올레핀(PO), 폴리비닐알코올(PVA), 폴리아마이드(PA), 폴리염화 비닐(PVC)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보다 구체화될 것이며,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거나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실시예 1에서는 하드 코팅액의 경화형 수지(A)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75 중량%의 올리고머 및 아크릴레이트모노머 25 중량%의 고형분 100 중량부에 광 개시제(B)로써 Ciba-geigy사의 Igacure 184(상품명) 10 중량부, 알루미늄이 도핑된 산화아연 나노로드(D) 1 중량부 및 톨루엔(C) 100 중량부를 평활제와 자외선 흡수제를 1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한 뒤, 이들을 혼합하여 대전 방지성 하드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하드 코팅액을 PET 필름(도요보사의 상품명 A4100) 위에 바 코팅기를 이용하여 하드 코팅막을 형성한 후, 100 ℃에서 30초간 건조시킨 다음, 80 W/㎝의 수은 램프를 이용해 30 초간 UV경화를 시켰다(도 4 참조).
실시예 2
실시예 2에서는 하드 코팅액의 경화형 수지(A)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75 중량%의 올리고머 및 아크릴레이트모노머 25 중량%의 고형분 100 중량부에 광 개시제(B)로써 Ciba-geigy사의 Igacure 184(상품명) 10 중량부, 알루미늄이 도핑된 산화아연 나노로드(D) 3 중량부 및 톨루엔(C) 100 중량부를 평활제와 자외선 흡수제를 1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한 뒤, 이들을 혼합하여 대전 방지성 하드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하드 코팅액을 PET 필름(도요보사의 상품명 A4100) 위에 바 코팅기를 이용하여 하드 코팅막을 형성한 후, 100 ℃에서 30초간 건조시킨 다음, 80 W/㎝의 수은 램프를 이용해 30 초간 UV경화를 시켰다(도 5 참조).
실시예 3
실시예 3에서는 하드 코팅액의 경화형 수지(A)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75 중량%의 올리고머 및 아크릴레이트모노머 25 중량%의 고형분 100 중량부에 광 개시제(B)로써 Ciba-geigy사의 Igacure 184(상품명) 10 중량부, 알루미늄이 도핑된 산화아연 나노로드(D) 5 중량부 및 톨루엔(C) 100 중량부를 평활제와 자외선 흡수제를 1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한 뒤, 이들을 혼합하여 대전 방지성 하드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하드 코팅액을 PET 필름(도요보사의 상품명 A4100) 위에 바 코팅기를 이용하여 하드 코팅막을 형성한 후, 100 ℃에서 30초간 건조시킨 다음, 80 W/㎝의 수은 램프를 이용해 30 초간 UV경화를 시켰다(도 6 참조).
실시예 4
실시예 4에서는 하드 코팅액의 경화형 수지(A)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75 중량%의 올리고머 및 아크릴레이트모노머 25 중량%의 고형분 100 중량부에 광 개시제(B)로써 Ciba-geigy사의 Igacure 184(상품명) 10 중량부, 알루미늄이 도핑된 산화아연 나노로드(D) 7 중량부 및 톨루엔(C) 100 중량부를 평활제와 자외선 흡수제를 1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한 뒤, 이들을 혼합하여 대전 방지성 하드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하드 코팅액을 PET 필름(도요보사의 상품명 A4100) 위에 바 코팅기를 이용하여 하드 코팅막을 형성한 후, 100 ℃에서 30초간 건조시킨 다음, 80 W/㎝의 수은 램프를 이용해 30 초간 UV경화를 시켰다.(도 7 참조)
비교실시예 1
비교실시예 1에서는 하드 코팅액의 경화형 수지(A)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75 중량%의 올리고머 및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25 중량%의 고형분 100 중량부에 광 개시제(B)로써 Ciba-geigy사의 Igacure 184(상품명) 10 중량부, 및 톨루엔 용매(C) 100 중량부를 평활제와 자외선 흡수제를 1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한 후 혼합하여 하드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실시예1에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달리 알루미 늄이 도핑된 산화아연 나노로드(D)를 첨가하지 않았다.
제조된 하드 코팅액을 PET 필름(도요보사의 상품명 A4100) 위에 바 코팅기를 이용하여 하드 코팅막을 형성한 후, 100 ℃에서 30초간 건조시킨 다음, 80 W/㎝의 수은 램프를 이용해 30 초간 UV 경화를 시켰다.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실시예 1에서 제조된 하드 코팅 필름 및 원판 필름으로 아래와 같은 물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은 실시예들 및 비교실시예 1의 헤이즈, 투과도, 막강도, 밀착성 및 표면저항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표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실시예 1 원판 필름
헤이즈 1.2 1.3 1.7 1.7 0.6 1.00
투과도(%) 90 89 88 88 91 90
막 강도(H) 3 3 3 3 3 2
밀착성(*/100) 100 100 100 100 100 -
표면 저항(Ω/sq) 5×1011 1×1010 1.1×109 5×108 1013이상 1013이상
(1) 헤이즈 및 투과도 측정: 헤이즈 및 투과도는 일본 덴쇼쿠 고교사(Nippon Denshoku Kogyu Co.)의 헤이즈 및 투과도 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2) 막 강도 측정: 1 ㎏/㎠의 하중과 45o의 기울기를 갖는 연필 경도 시험기를 이용해 막 강도를 측정하였다.
(3) 밀착성 테스트: 필름 표면에 1㎜×1㎜로 100 개의 셀을 갖도록 접착 커 터(cross hatch cutter)로 만든 후 셀로판 테이프로 부착한 다음 박리 시험을 시행하였다. 필름에 그대로 붙어 있는 셀의 개수로서 결과를 나타내었다.
(4) 표면 저항: Shishido electrostatic사의 Megaresta Model HO709를 사용하여 표면저항을 측정하였다.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드 코팅액을 사용하여 제조한 하드 코팅 필름은 우수하고, 3 H 이상의 막 강도를 유지하고 대전방지 특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광학 물품에 적용하기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대전방지성 하드 코팅액은 알루미늄이 도핑된 산화아연 나노로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알루미늄이 도핑된 산화아연 나노로드과 함께 열 또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경화개시제,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열 또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및 경화개시제, 용매는 하드 코딩필름의 기재 필름에 하드 코딩층을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범위에서 대전방지성 하드 코팅액에 포함되지 않거나 동일한 기능의 다른 성분 또는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화개시제는 열 또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가 충분한 경화성을 갖는 경우 코팅액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하드 코팅 필름은 기재필름과 기재 필름의 한쪽면에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를 제품에 구현하기 위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하드 코팅 필름처럼 구현할 수도 있고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
위 실시예에서 코팅층과 이형필름 사이에 접착층이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 점착층은 코팅층과 이형필름 사이에 별도의 접착층을 형성하지 않고 코팅층과 이형필름을 접착할 수도 있다.
위 실시예에서, 대전 방지성 하드 코팅 필름이 기재 필름 및 상기 기재 필름의 한쪽면에 형성된 알루미늄이 도핑된 산화아연 나노로드를 포함하는 코팅층, 상기 기재 필름의 다른 한쪽 면에 형성된 점착층, 상기 점착층의 다른 한쪽 면에 부착되는 이형 필름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하드 코팅 필름은 기재 필름과 상기 기재 필름의 양쪽면에 제1항의 대전 방지성 하드 코팅액으로 형성한 코팅층, 상기 기재 필름의 양쪽면에 부착되는 보호 필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사용된 알루미늄이 도핑된 산화아연 나노로드의 TEM 및 EDS 사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대전 방지성 하드코팅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전 방지성 하드코팅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1의 대전방지 하드코팅 필름 표면의 SEM 사진이다.
도 5는 실시예2의 대전방지 하드코팅 필름 표면의 SEM 사진이다.
도 6은 실시예3의 대전방지 하드코팅 필름 표면의 SEM 사진이다.
도 7은 실시예4의 대전방지 하드코팅 필름 표면의 SEM 사진이다.

Claims (8)

  1. 알루미늄이 도핑된 산화아연 나노로드; 및 열 또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경화개시제, 및 용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알루미늄이 도핑된 산화아연 나노로드에 있어서 알루미늄은 알루미늄이 도핑된 산화아연 나노로드의 0.1~10 at.%로 도핑되며,
    상기 열 또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A)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경화 개시제(B) 0.1~20 중량부, 상기 용매(C) 20~100 중량부, 및 알루미늄이 도핑된 산화아연 나노로드 0.1~5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코팅액.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알루미늄이 도핑된 산화아연 나노로드는 도전성을 가지며 나노로드의 두께가 2nm~1μm이며 길이가 10nm~10μm를 가지는 나노로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코팅액.
  5. 기재 필름; 및
    상기 기재 필름의 한쪽면에 알루미늄이 도핑된 산화아연 나노로드을 포함하는 대전 방지성 하드 코팅액으로 형성한 코팅층;
    을 포함하며,
    상기 알루미늄이 도핑된 산화아연 나노로드에 있어서 알루미늄은 알루미늄이 도핑된 산화아연 나노로드의 0.1~10 at.%로 도핑되며,
    상기 대전 방지성 하드 코팅액은 열 또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및 경화개시제, 용매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열 또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A)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경화 개시제(B) 0.1~20 중량부, 상기 용매(C) 20~100 중량부, 및 알루미늄이 도핑된 산화아연 나노로드 0.1~5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코팅 필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의 다른 한쪽 면에 형성된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의 다른 한쪽 면에 부착되는 이형 필름;
    을 추가로 포함하는, 하드 코팅 필름.
  7. 기재 필름;
    상기 기재 필름의 양쪽면에 알루미늄이 도핑된 산화아연 나노로드을 포함하는 대전 방지성 하드 코팅액으로 형성한 코팅층; 및
    상기 기재 필름의 양쪽면에 부착되는 보호 필름;
    을 포함하며,
    상기 알루미늄이 도핑된 산화아연 나노로드에 있어서 알루미늄은 알루미늄이 도핑된 산화아연 나노로드의 0.1~10 at.%로 도핑되며,
    상기 대전 방지성 하드 코팅액은 열 또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및 경화개시제, 용매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열 또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A)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경화 개시제(B) 0.1~20 중량부, 상기 용매(C) 20~100 중량부, 및 알루미늄이 도핑된 산화아연 나노로드 0.1~5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코팅 필름.
  8. 삭제
KR1020090081193A 2009-08-31 2009-08-31 하드 코팅액 및 하드 코팅 필름 Active KR101111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193A KR101111410B1 (ko) 2009-08-31 2009-08-31 하드 코팅액 및 하드 코팅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193A KR101111410B1 (ko) 2009-08-31 2009-08-31 하드 코팅액 및 하드 코팅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362A KR20110023362A (ko) 2011-03-08
KR101111410B1 true KR101111410B1 (ko) 2012-02-15

Family

ID=43931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1193A Active KR101111410B1 (ko) 2009-08-31 2009-08-31 하드 코팅액 및 하드 코팅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14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7682A (ko) 2019-04-05 2020-10-14 (주)포스케미칼 내스크래치성 및 굴곡성이 우수한 광경화형 하드 코팅액 및 이를 이용한 하드 코팅 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1623B1 (ko) * 2010-11-08 2012-06-11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기능성 폴리우레탄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8625A (ja) * 2003-07-15 2005-02-10 Mitsubishi Materials Corp 金属ナノロッドおよび金属酸化物粉末を含有する組成物とその用途
KR100548826B1 (ko) * 2003-11-28 2006-02-02 제일모직주식회사 대전 방지성 하드 코팅액 및 하드 코팅 필름
WO2008133156A1 (ja) 2007-04-20 2008-11-06 Nanotec Corporation 導電性保護膜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8625A (ja) * 2003-07-15 2005-02-10 Mitsubishi Materials Corp 金属ナノロッドおよび金属酸化物粉末を含有する組成物とその用途
KR100548826B1 (ko) * 2003-11-28 2006-02-02 제일모직주식회사 대전 방지성 하드 코팅액 및 하드 코팅 필름
WO2008133156A1 (ja) 2007-04-20 2008-11-06 Nanotec Corporation 導電性保護膜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7682A (ko) 2019-04-05 2020-10-14 (주)포스케미칼 내스크래치성 및 굴곡성이 우수한 광경화형 하드 코팅액 및 이를 이용한 하드 코팅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362A (ko) 201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9532B1 (ko) 반사 방지 필름
KR101415840B1 (ko) 하드코팅 필름
KR101150719B1 (ko) 자외선 경화형 기능성 하드코팅제
KR100896303B1 (ko) 대전 방지성 하드 코트 필름
CN106030479B (zh) 电子板
US10449705B2 (en) Transfer film for in-mold molding, method for producing in-mold molded product, and molded product
KR101067519B1 (ko) 표면보호용 점착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241280B1 (ko) 자외선 경화형 방오성 대전방지 하드코팅용 조성물
KR101813749B1 (ko) 투명 도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20120074815A (ko) 정전기 방지 성능이 우수한 이형필름 및 그 제조방법
CN102911539A (zh) 防眩性防反射涂层组合物、使用该组合物的防眩性防反射薄膜、偏光板以及显示装置
JP6858912B2 (ja) 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光学積層体
KR20160013924A (ko) (메트)아크릴 중합체, (메트)아크릴 수지 조성물, (메트)아크릴 수지 시트, (메트)아크릴 수지 적층체 및 복합 시트
TWI482705B (zh) 抗靜電層用硬化性樹脂組成物、光學薄膜、偏光板及顯示面板
KR101111410B1 (ko) 하드 코팅액 및 하드 코팅 필름
JP2010234610A (ja) 防眩性を有する帯電防止インモールド転写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射出成形品
JP5227778B2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透明導電性積層体、光学素子および電子機器
KR20190109024A (ko) 다기능성 막-형성용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되는 다기능성 막, 및 상기 다기능성 막을 포함하는 보호막
KR20070105869A (ko) 대전방지성 고경도 하드코팅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72549A (ko) 대전방지 코팅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대전방지 보호필름
JP6288666B2 (ja) ハードコート転写媒体
WO2021070756A1 (ja) 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光学積層体
KR100548826B1 (ko) 대전 방지성 하드 코팅액 및 하드 코팅 필름
JP6903830B1 (ja) 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光学積層体
JP4247182B2 (ja) 透明導電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1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0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2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