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05404B1 - 캡 플레이트를 활용한 단부 연속화 데크 플레이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캡 플레이트를 활용한 단부 연속화 데크 플레이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5404B1
KR101105404B1 KR1020100081494A KR20100081494A KR101105404B1 KR 101105404 B1 KR101105404 B1 KR 101105404B1 KR 1020100081494 A KR1020100081494 A KR 1020100081494A KR 20100081494 A KR20100081494 A KR 20100081494A KR 101105404 B1 KR101105404 B1 KR 101105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eck plate
cap plate
deck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1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호
Original Assignee
김영호
주식회사 지원이엔지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주)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제일테크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호, 주식회사 지원이엔지,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주)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제일테크노스 filed Critical 김영호
Priority to KR1020100081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54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5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5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02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 E04B5/10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with metal beams or girders, e.g. with steel lattice gir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04B5/40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with metal form-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2001/2484Details of floor panels or sla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캡 플레이트를 활용하여 단부를 연속화함으로써 정모멘트를 저감시켜 시공중 동바리 설치가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합성 후 매우 효율적인 단면을 구성할 수 있고 시공중 데크 플레이트의 벌어짐과 횡비틀림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캡 플레이트를 활용한 단부 연속화 데크 플레이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평평한 부분에 의해 분리된 서로 평행한 복수 개의 개방된 리브를 가지는 단면 형상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는 데크 플레이트 본체; 데크 플레이트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양쪽 단부에서 개방된 리브를 폐합하도록 평평한 부분을 연결하는 부모멘트 보강용 캡 플레이트; 데크 플레이트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중앙부에서 개방된 리브를 폐합하도록 평평한 부분을 연결하는 정모멘트 보강용 캡 플레이트; 보의 상면에 놓여지는 이웃하는 데크 플레이트의 부모멘트 보강용 캡 플레이트를 연속시키는 연결철근; 및 보의 상면에 놓여지는 이웃하는 데크 플레이트의 개방된 리브의 바닥면을 연속시키는 하부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플레이트를 활용한 단부 연속화 데크 플레이트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캡 플레이트를 활용한 단부 연속화 데크 플레이트 시스템{Deck plate system using cap plate}
본 발명은 캡 플레이트를 활용하여 단부를 연속화함으로써 정모멘트를 저감시켜 시공중 동바리 설치가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합성 후 매우 효율적인 단면을 구성할 수 있고 시공중 데크 플레이트의 벌어짐과 횡비틀림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캡 플레이트를 활용한 단부 연속화 데크 플레이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고층건축물의 구조형식으로 내구성과 내진성이 우수한 철골구조나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가 주로 채택되고 있으며 이러한 고층건축물에서는 공기 단축과 노무비 절감의 필요성 때문에 바닥 슬래브 시스템에 데크 플레이트(Deck plate)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데크 플레이트는 크게 거푸집용과 구조용으로 구분된다. 거푸집용은 콘크리트 경화 전 액상 상태의 콘크리트 자중 및 시공시 하중을 견디는 역할을 하며 콘크리트 경화 후의 바닥하중은 콘크리트 바닥이 지지하게 된다. 구조용은 콘크리트 경화 후에도 콘크리트와 함께 하중을 지지하며 인장철근의 기능을 하게 된다. 구조용은 철근 추가의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철근량과 콘크리트 두께를 절감시켜준다.
구조용으로는 철근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 합성 데크 플레이트 등이 있다. 철근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는 바닥판에 소요되는 철근 일부를 트러스 형태로 제작한 구조부재와 플랫 타입의 거푸집용 데크 플레이트(플랫 데크플레이트)를 일체화시킨 것으로 철근 트러스에 의해 가설하중을 받을 수 있도록 하여 데크 플레이트의 두께를 줄이고 합성용 골형을 없앰으로써 전체적인 바닥판의 구조체 두께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철근트러스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어 있다.
합성 데크 플레이트는 슬래브 콘크리트와 일체로 합성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것으로 개방된 골이 연속된 단면 형상을 가지며 합성 효과를 높이기 위해 표면에 엠보싱 가공이나 홈을 형성한 것이다. 거푸집용도 합성 데크 플레이트와 거의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지나 상대적으로 춤이 작다.
그러나 이러한 데크 플레이트는 대개 단부가 보에 단순 지지되는 형태로 즉, 단부가 연속화되지 않아 구조적으로 비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장지간에 사용될 경우 과도한 정모멘트로 인해 시공중 동바리로 지지할 필요가 있으며 개방된 골이 콘크리트 타설시 측압이나 작업시 횡력에 의해 벌어지거나 횡비틀림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단부가 연속되고 시공하중에 의한 데크 플레이트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구조안전성과 시공성이 향상되어 시공중 동바리를 지지할 필요 없이 장지간화할 수 있고 고하중에 대응할 수 있는 캡 플레이트를 활용한 데크 플레이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평평한 부분에 의해 분리된 서로 평행한 복수 개의 개방된 리브를 가지는 단면 형상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는 데크 플레이트 본체; 데크 플레이트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양쪽 단부에서 개방된 리브를 폐합하도록 평평한 부분을 연결하는 부모멘트 보강용 캡 플레이트; 데크 플레이트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중앙부에서 개방된 리브를 폐합하도록 평평한 부분을 연결하는 정모멘트 보강용 캡 플레이트; 보의 상면에 놓여지는 이웃하는 데크 플레이트의 부모멘트 보강용 캡 플레이트를 연속시키는 연결철근; 및 보의 상면에 놓여지는 이웃하는 데크 플레이트의 개방된 리브의 바닥면을 연속시키는 하부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플레이트를 활용한 단부 연속화 데크 플레이트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평평한 부분에 의해 분리된 서로 평행한 복수 개의 개방된 리브를 가지는 단면 형상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는 데크 플레이트 본체; 데크 플레이트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양쪽 단부에서 개방된 리브를 폐합하도록 평평한 부분을 연결하는 부모멘트 보강용 캡 플레이트; 데크 플레이트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중앙부에서 개방된 리브를 폐합하도록 평평한 부분을 연결하는 정모멘트 보강용 캡 플레이트; 및 보의 상면에 놓여지는 이웃하는 데크 플레이트의 개방된 리브의 바닥면을 연속시키는 하부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보의 상면에 놓여지는 이웃하는 데크 플레이트는 부모멘트 보강용 캡 플레이트를 연장하여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플레이트를 활용한 단부 연속화 데크 플레이트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양쪽 단부의 부모멘트 보강용 캡 플레이트와 중앙부의 정모멘트 보강용 캡 플레이트 사이에서 개방된 리브를 폐합하도록 평평한 부분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폭 고정용 캡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개방된 리브를 구성하는 바닥면에는 도브 테일 홈이 형성되고, 도브 테일 홈을 정의하는 도브 테일 리브를 수직으로 이등분한 형태의 단부 결합부가 이웃하는 데크 플레이트의 폭방향으로 양측의 단부를 겹침 이음할 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하부 연결 플레이트는 도브 테일 리브와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지고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부모멘트 보강용 캡 플레이트, 정모멘트 보강용 캡 플레이트 및 폭 고정용 캡 플레이트는 전체적으로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강판을 덮개부와 덮개부의 양단에서 경사지게 연장된 결합부를 가지도록 절곡한 절곡강판으로 구성되고, 부모멘트 보강용 캡 플레이트와 정모멘트 보강용 캡 플레이트의 덮개부에는 콘크리트 타설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캡 플레이트를 활용한 단부 연속화 데크 플레이트 시스템은 얇은 강판으로 절곡하여 구성되는 데크 플레이트의 좌굴과 콘크리트 타설시 찌그러짐, 배부름 및 뒤틀림 등의 형상 변형 등의 문제를 다수 개의 캡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특히 부모멘트 보강용 캡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데크 플레이트의 연속화가 가능하여 중앙부에서 발생하는 정모멘트를 저감할 수 있어 시공중 동바리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을 가진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캡 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부 연속화 데크 플레이트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부 연속화 데크 플레이트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는 데크 플레이트 본체에 다수 개의 캡 플레이트를 결합하여 단부의 연속성을 확보하고 콘크리트 타설시 벌어짐과 횡비틀림을 방지하며 작용하는 외력(특히 휨모멘트)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데크 플레이트 본체(11)는 평평한 부분(111)과 평평한 부분(111)에서 경사지게 연장된 2개의 측면(121a,121a)을 가지고, 이웃하는 2개의 데크 플레이트 본체(11,11)가 단부 결합부(121e)를 이용해 폭방향(횡방향)으로 연결되어 평평한 부분(111)에 의해 분리된 서로 평행한 복수 개의 개방된 리브(121)를 가지는 단면형상이 된다. 개방된 리브(121)는 이웃하는 리브(121)의 측면(121a,121a) 사이에 간격을 가지는 것으로 이 간격은 바닥면(121b)의 폭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개방된 리브(121)는 바닥면(121b)과 양쪽의 측면(121a)을 가지고 평평한 부분(111) 사이의 상면은 개방된 구조를 가진다.
이렇게 구성된 데크 플레이트 본체(11)는 일정한 폭을 가질 수 있으며 이웃하는 데크 플레이트 본체(11)의 폭방향으로 양측의 단부를 겹치는 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리브(121)를 구성하는 바닥면(121b)에는 천장 마감재의 설치를 위한 철물의 결합을 위해 도브 테일 홈(121c)이 형성되고, 도브 테일 홈(121c)을 정의하는 도브 테일 리브(121d)를 수직으로 이등분한 형태의 단부 결합부(121e)가 이웃하는 데크 플레이트 본체(11)의 측면을 겹침 이음할 때 이용된다. 리브(121)의 바닥면(121b)에 도브 테일 홈(121c)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 즉 위에서 설명한 형태의 단부 결합부(121e)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는 별도의 겹침 이음을 위한 단부 구부림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고, 그러한 단부 구부림은 이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다.
한편, 위에서는 평평한 부분(111)과 평평한 부분(111)에서 경사지게 연장된 2개의 측면(121a,121a)을 가지는 이웃하는 2개의 데크 플레이트 본체(11)가 단부 결합부(121e)를 이용해 폭방향(횡방향)으로 연결되어 평평한 부분(111)에 의해 분리된 서로 평행한 복수 개의 개방된 리브(121)를 가지는 단면형상으로 구성하였으나 단일의 강판을 절곡하여 평평한 부분(111)에 의해 분리된 서로 평행한 복수 개의 개방된 리브(121)를 가지는 단면형상을 제조할 수도 있고, 이 경우 단부 결합부(121e)가 겹침 이음되어 도브 테일 리브(121d)를 형성하는 대신 도브 테일 리브(121d)는 개방된 리브(121)를 형성하기 위해 절곡하는 과정에서 형성될 수 있다.
데크 플레이트 본체(11)의 평평한 부분(111) 및 리브(121)에는 콘크리트와의 합성효과를 높이기 위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 분야에서 공지된 부착력을 높이는 수단 즉, 록킹 리브나 엠보스먼트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데크 플레이트 본체(11)의 춤의 높이는 특별한 제안이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140mm ~ 250mm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140mm보다 얇은 경우 춤이 얇은 데크 플레이트가 되며 주로 거푸집용으로 이용되고 그 자체의 강성이 낮아 독립적으로 합성용 데크 플레이트로 적용하기 곤란하며, 춤이 250mm를 넘을 경우 보와의 관계에서 적용에 제한이 따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데크 플레이트 본체(11)는 주로 거푸집용으로 사용되는 골형 데크 플레이트 또는 합성용으로 사용되는 딥덱(Deep deck)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본 발명은 골형 데크 플레이트 및 딥덱을 포함하여 춤과 리브의 형상에 무관하게 평평한 부분(111)에 의해 분리된 서로 평행한 복수 개의 개방된 리브(121)를 가지는 단면형상을 가지는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데크 플레이트에 적용할 수 있다.
데크 플레이트 본체(11)의 개방된 리브(121)의 양쪽 측면(121a,121a)은 다수 개의 캡 플레이트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캡 플레이트는 그 기능 및 설치 위치에 따라 3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데크 플레이트 본체(11)의 길이방향으로 양쪽 단부에는 부모멘트 보강용 캡 플레이트(13)가 설치되고, 중앙부에는 정모멘트 보강용 캡 플레이트(14)가 설치되며, 양쪽 단부의 부모멘트 보강용 캡 플레이트(13)와 중앙부의 정모멘트 보강용 캡 플레이트(14) 사이에는 복수 개의 폭 고정용 캡 플레이트(15)가 설치될 수 있다.
부모멘트 보강용 캡 플레이트(13)는 시공 중 데크 플레이트 본체(11)에 작용하는 부모멘트에 저항하면서 데크 플레이트 본체(11)의 단부의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데크 플레이트 본체(11)의 길이방향의 양쪽 단부에서 개방된 리브(121)의 개방된 상면을 연결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부모멘트 보강용 캡 플레이트(13)는 데크 플레이트 본체(11)의 단부에서 개방된 리브(121)를 폐합시킨다. 부모멘트 보강용 캡 플레이트(13)의 길이는 데크 플레이트 본체(11)가 연속될 때 부모멘트를 받는 구간의 길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데크 플레이트 본체(11)의 전체 길이(L)의 1/6 ~ 1/10이 될 수 있다. 부모멘트 보강용 캡 플레이트(13)의 횡단면 형상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개방된 리브(121)의 개방된 상면을 연결하면서 벌어짐과 횡비틀림을 구속하고 보 위에서 서로 이웃하는 데크 플레이트 본체(11)를 서로 연결할 수 있는 강성과 강도를 가지면 된다.
일 예로 도 3의 (a)에서와 같이, 부모멘트 보강용 캡 플레이트(13)는 전체적으로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강판을 덮개부(131)와 덮개부(131)의 양단에서 연장된 결합부(132)를 가지도록 절곡한 절곡강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덮개부(131)는 평평한 상면과 양쪽의 경사면을 가질 수 있고 상면에는 개방된 리브(121)로 콘크리트를 밀실하게 타설하고 콘크리트가 정모멘트 보강용 캡 플레이트(14)에 의해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합성되도록 하기 위한 복수 개의 콘크리트 타설공(131a)이 형성될 수 있다.
정모멘트 보강용 캡 플레이트(14)는 데크 플레이트 본체(11)의 길이방향으로 중앙에서 개방된 리브(121)의 개방된 상면을 연결하도록 결합되고, 복수 개의 폭 고정용 캡 플레이트(15)는 양쪽 단부의 부모멘트 보강용 캡 플레이트(13)와 중앙부의 정모멘트 보강용 캡 플레이트(14) 사이에 서로 간격을 두고 데크 플레이트 본체(11)의 개방된 리브(121)의 개방된 상면을 연결하도록 결합된다. 정모멘트 보강용 캡 플레이트(14)의 길이는 데크 플레이트 본체(11)가 연속될 때 정모멘트를 받는 구간의 길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데크 플레이트 본체(11)의 전체 길이(L)의 1/6 ~ 1/10이 될 수 있다. 폭 고정용 캡 플레이트(15)의 길이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콘크리트 타설시 골재의 분리가 발생되지 않을 정도의 폭과 벌어짐과 횡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와 강성을 가질 수 있으면 족하다. 정모멘트 보강용 캡 플레이트(14)와 폭 고정용 캡 플레이트(15)의 횡단면 형상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개방된 리브(121)의 개방된 상면을 연결하면서 벌어짐과 횡비틀림을 구속하고 데크 플레이트 본체(11)의 개방된 리브(121)를 서로 연결할 수 있는 강성과 강도를 가지면 된다. 따라서 정모멘트 보강용 캡 플레이트(14)와 폭 고정용 캡 플레이트(15)도 부모멘트 보강용 캡 플레이트(13)와 동일하게 개방된 리브(121)를 폐합시키게 된다.
일 예로 도 3의 (b)와 (c)에 각각 도시한 것처럼, 부모멘트 보강용 캡 플레이트(13)와 동일하게 전체적으로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강판을 덮개부(141,151)와 덮개부(141,151)의 양단에서 연장된 결합부(142,152)를 가지도록 절곡한 절곡강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덮개부(141,151)는 평평한 상면과 양쪽의 경사면을 가질 수 있고 정모멘트 보강용 캡 플레이트(14)의 상면에는 개방된 리브(121)로 콘크리트를 밀실하게 타설하고 콘크리트가 정모멘트 보강용 캡 플레이트(14)에 의해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합성되도록 하기 위한 복수 개의 콘크리트 타설공(141a)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데크 플레이트 본체(11)의 평평한 부분(111)에 ㄱ자형 돌기(111a)를 형성하고 이 돌기(111a)에 캡 플레이트(13,14,15)의 결합부(132,142,152)를 삽입하여 캡 플레이트(13,14,15)를 데크 플레이트 본체(11)의 평평한 부분(111)에 고정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캡 플레이트(13,14,15)를 데크 플레이트 본체(11)에 고정하는 방법은 용접, 볼트 접합, 피스 접합, 크린칭 등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캡 플레이트(13,14,15)의 결합부(132,142,152)의 형상은 도시된 ㄷ자형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데크 플레이트 본체(11)의 평평한 부분(111)에 ㄱ자형 돌기(111a)를 형성할 경우 슬래브 콘크리트(40)와의 부착력을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캡 플레이트(13,14,15)의 덮개부(131,141,151)가 위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아래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아래로 돌출되는 경우 슬래브 콘크리트의 높이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위로 돌출되는 경우 슬래브 콘크리트와의 합성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공중 하중에 대해 데크 플레이트 본체(11)를 효과적으로 보강할 할 수 있다면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평판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 개의 캡 플레이트를 갖는 데크 플레이트(10)는 얇은 강판으로 절곡하여 구성되는 데크 플레이트의 좌굴과 콘크리트 타설시 찌그러짐, 배부름 및 뒤틀림 등의 형상 변형 등의 문제를 다수 개의 캡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단부 연속화 데크 플레이트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부 연속화 데크 플레이트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서와 같이, 단부 연속화 데크 플레이트 시스템은 보(20)의 폭방향으로 양쪽에 올려지고 보(20)에 의해 지지되는 앞서 상세히 설명한 구조의 캡 플레이트를 갖는 데크 플레이트(10)와, 보(20)의 상면에 놓여지는 이웃하는 데크 플레이트(10)의 부모멘트 보강용 캡 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여 연속시키는 연결철근(30)과, 보(20)의 상면에 놓여지는 이웃하는 데크 플레이트(10)의 개방된 리브(121)의 바닥면(121b)을 서로 연결하여 연속시키는 하부 연결 플레이트(3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보(20)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현장타설 콘크리트 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 강재 보, 합성보 등 이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보에 적용될 수 있다.
연결철근(30)는 보(20)를 가로질러 배치되고, 서로 이웃하는 데크 플레이트(10)의 부모멘트 보강용 캡 플레이트(13)를 서로 연결하여 보(20) 위에 놓여진 이웃하는 데크 플레이트(10)를 연속시킨다. 도면에서 연결철근(30)은 2개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연결철근(30)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개방된 리브(12)의 바닥면(122)에 도브 테일 홈(123)이 형성될 경우 서로 이웃한 데크 플레이트 본체(11)의 도브 테일 리브(124)를 하부 연결 플레이트(33)로 서로 연결한다. 이 하부 연결 플레이트(33)는 도브 테일 리브(124)와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지고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도록 더 큰 단면치수를 가진다. 데크 플레이트 본체(11)에 도브 테일 리브(124)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 하부 연결 플레이트(33)는 판재 형상이 될 수 있고 개방된 리브(121)의 바닥면(121b)를 서로 연결하는 형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데크 플레이트(10)의 단부는 상부는 연결철근(30)으로 그리고 하부는 하부 연결 플레이트(33)로 서로 연속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부 연속화 데크 플레이트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보(20) 위에 놓여지고 보(20)에 의해 지지되는 데크 플레이트(10)는 연결철근(30)을 이용해 서로 연결하는 대신 부모멘트 보강용 캡 플레이트(13)를 연장하여 보의 양쪽에 올려지고 서로 이웃하는 데크 플레이트(1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부모멘트 보강용 캡 플레이트(13)는 데크 플레이트(10)를 보 위에 올려놓은 뒤 현장에서 이웃하는 데크 플레이트(10)를 연결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부 연속화 데크 플레이트 시스템은 부모멘트 보강용 캡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부모멘트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으며 데크 플레이트의 연속화가 가능하여 중앙부에서 발생하는 정모멘트를 저감할 수 있어 시공중 동바리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을 가진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데크 플레이트 본체
111: 평평한 부분
121: 개방된 리브
13: 부모멘트 보강용 캡 플레이트
14: 정모멘트 보강용 캡 플레이트
15: 폭 고정용 캡 플레이트
20: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
30: 연결철근
33: 하부 연결 플레이트

Claims (6)

  1. 평평한 부분에 의해 분리된 서로 평행한 복수 개의 개방된 리브를 가지는 단면 형상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는 데크 플레이트 본체;
    데크 플레이트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양쪽 단부에서 개방된 리브를 폐합하도록 평평한 부분을 연결하는 부모멘트 보강용 캡 플레이트;
    데크 플레이트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중앙부에서 개방된 리브를 폐합하도록 평평한 부분을 연결하는 정모멘트 보강용 캡 플레이트;
    보의 상면에 놓여지는 이웃하는 데크 플레이트의 부모멘트 보강용 캡 플레이트를 연속시키는 연결철근; 및
    보의 상면에 놓여지는 이웃하는 데크 플레이트의 개방된 리브의 바닥면을 연속시키는 하부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플레이트를 활용한 단부 연속화 데크 플레이트 시스템.
  2. 평평한 부분에 의해 분리된 서로 평행한 복수 개의 개방된 리브를 가지는 단면 형상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는 데크 플레이트 본체;
    데크 플레이트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양쪽 단부에서 개방된 리브를 폐합하도록 평평한 부분을 연결하는 부모멘트 보강용 캡 플레이트;
    데크 플레이트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중앙부에서 개방된 리브를 폐합하도록 평평한 부분을 연결하는 정모멘트 보강용 캡 플레이트; 및
    보의 상면에 놓여지는 이웃하는 데크 플레이트의 개방된 리브의 바닥면을 연속시키는 하부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보의 상면에 놓여지는 이웃하는 데크 플레이트는 부모멘트 보강용 캡 플레이트를 연장하여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플레이트를 활용한 단부 연속화 데크 플레이트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양쪽 단부의 부모멘트 보강용 캡 플레이트와 중앙부의 정모멘트 보강용 캡 플레이트 사이에서 개방된 리브를 폐합하도록 평평한 부분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폭 고정용 캡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플레이트를 활용한 단부 연속화 데크 플레이트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개방된 리브를 구성하는 바닥면에는 도브 테일 홈이 형성되고, 도브 테일 홈을 정의하는 도브 테일 리브를 수직으로 이등분한 형태의 단부 결합부가 이웃하는 데크 플레이트의 폭방향으로 양측의 단부를 겹침 이음할 때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플레이트를 활용한 단부 연속화 데크 플레이트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하부 연결 플레이트는 도브 테일 리브와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지고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플레이트를 활용한 단부 연속화 데크 플레이트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부모멘트 보강용 캡 플레이트, 정모멘트 보강용 캡 플레이트 및 폭 고정용 캡 플레이트는 전체적으로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강판을 덮개부와 덮개부의 양단에서 경사지게 연장된 결합부를 가지도록 절곡한 절곡강판으로 구성되고,
    부모멘트 보강용 캡 플레이트와 정모멘트 보강용 캡 플레이트의 덮개부에는 콘크리트 타설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플레이트를 활용한 단부 연속화 데크 플레이트 시스템.
KR1020100081494A 2010-08-23 2010-08-23 캡 플레이트를 활용한 단부 연속화 데크 플레이트 시스템 KR101105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494A KR101105404B1 (ko) 2010-08-23 2010-08-23 캡 플레이트를 활용한 단부 연속화 데크 플레이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494A KR101105404B1 (ko) 2010-08-23 2010-08-23 캡 플레이트를 활용한 단부 연속화 데크 플레이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5404B1 true KR101105404B1 (ko) 2012-01-17

Family

ID=45614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1494A KR101105404B1 (ko) 2010-08-23 2010-08-23 캡 플레이트를 활용한 단부 연속화 데크 플레이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540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464B1 (ko) * 2011-07-27 2013-04-16 주식회사 지원이엔지 캡 플레이트를 활용한 단부 연속화 데크 플레이트 시스템
KR101851824B1 (ko) * 2014-11-03 2018-04-25 주식회사 지원이엔지 캡 플레이트를 활용한 마구리 헌치형 단부 연속화 데크 플레이트 시스템
KR20230092344A (ko) 2021-12-17 2023-06-26 정성희 보강연결재를 사용하여 2개의 데크플레이트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 구조
KR20230135244A (ko) 2022-03-16 2023-09-25 박지은 장경간 무지주 딥데크 연속화 구조
KR102777953B1 (ko) * 2024-05-14 2025-03-12 (주)윈하이텍 장스팬용 무지보 데크플레이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30182A2 (de) * 2000-03-01 2001-09-05 HILTI Aktiengesellschaft Streifenformiges Verbundelement für Stahl-Beton-Verbund
KR100646363B1 (ko) * 2004-07-29 2006-11-23 조상규 장스팬용 보강데크식 바닥 구조물 및 그 축조 방법
JP2008180031A (ja) * 2007-01-25 2008-08-07 Sekino Kosan:Kk デッキプレート
KR20090001966A (ko) * 2007-05-30 2009-01-09 서울대학교병원 Emr 시스템과 연계된 고객관리 및 고객서비스 운영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30182A2 (de) * 2000-03-01 2001-09-05 HILTI Aktiengesellschaft Streifenformiges Verbundelement für Stahl-Beton-Verbund
KR100646363B1 (ko) * 2004-07-29 2006-11-23 조상규 장스팬용 보강데크식 바닥 구조물 및 그 축조 방법
JP2008180031A (ja) * 2007-01-25 2008-08-07 Sekino Kosan:Kk デッキプレート
KR20090001966A (ko) * 2007-05-30 2009-01-09 서울대학교병원 Emr 시스템과 연계된 고객관리 및 고객서비스 운영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464B1 (ko) * 2011-07-27 2013-04-16 주식회사 지원이엔지 캡 플레이트를 활용한 단부 연속화 데크 플레이트 시스템
KR101851824B1 (ko) * 2014-11-03 2018-04-25 주식회사 지원이엔지 캡 플레이트를 활용한 마구리 헌치형 단부 연속화 데크 플레이트 시스템
KR20230092344A (ko) 2021-12-17 2023-06-26 정성희 보강연결재를 사용하여 2개의 데크플레이트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 구조
KR20230135244A (ko) 2022-03-16 2023-09-25 박지은 장경간 무지주 딥데크 연속화 구조
KR102777953B1 (ko) * 2024-05-14 2025-03-12 (주)윈하이텍 장스팬용 무지보 데크플레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5464B1 (ko) 캡 플레이트를 활용한 단부 연속화 데크 플레이트 시스템
KR101144586B1 (ko) 장스팬 적용 및 층고 절감을 위한 폐단면 강재 보 및 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 합성보 시스템
JP5406563B2 (ja) 合成梁、建築物、及び合成梁の施工方法
KR101272116B1 (ko) 파형강판 복부 피에스씨 거더의 파형강판 복부와 콘크리트의 결합구조
KR101310039B1 (ko) 내하력이 향상된 파형강판 웨브 피에스씨 박스거더교의 연속지점부 구조 및 이를 구비한 파형강판 피에스씨 박스거더교
KR101084736B1 (ko) 위치고정수단을 가진 전단연결재와 이를 구비한 거더 및, 이들을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KR101816142B1 (ko) 아치형 합성 거더를 이용한 하로판형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05404B1 (ko) 캡 플레이트를 활용한 단부 연속화 데크 플레이트 시스템
KR101747097B1 (ko) 가로 방향 지지철물 일체형 철근트러스 데크플레이트 및 그 제작방법
KR101160763B1 (ko) 다수 개의 캡 플레이트를 갖는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KR100722809B1 (ko) 단면강성이 보강된 빔, 단면강성이 보강된 빔을 이용한교량 설치구조 및 교량시공방법
KR100728106B1 (ko) 교량 바닥판의 캔틸레버부 설치구조 및 시공방법
KR20100024768A (ko) 데크 플레이트 및 그 배치구조
KR101191545B1 (ko) 다수 개의 캡 플레이트를 갖는 데크 플레이트
KR20180058971A (ko) 아치 웨브 2중판을 갖는 충진콘크리트 강박스 거더 및 그 시공방법
KR100963579B1 (ko) 트러스근 일체형 데크플레이트
KR102314546B1 (ko) 기둥부재와 보의 보강구조물
KR101212259B1 (ko) 파형 굴곡판으로 형성된 보강재를 이용한 합성바닥판 및 그 제작방법
KR100634344B1 (ko) 합성바닥판 및 그 연결구조
EP1416101A1 (en) Composite beam
KR101012010B1 (ko) 골형 웨브 강판 조립보
KR100989153B1 (ko) 바닥판 주철근 대체가 용이하도록 횡방향 강성연결재를 구비한 십자형 피에스씨 거더 연결구조 및 십자형 피에스씨 거더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1300490B1 (ko) 이종재료 상부플랜지를 갖는 중공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KR101058906B1 (ko) 유지관리용 합성 데크플레이트와 이를 이용한 합성바닥판 시공방법
KR20200019807A (ko) 안장pc블럭을 이용한 역t형 psc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101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1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2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4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1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0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0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