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4586B1 - 장스팬 적용 및 층고 절감을 위한 폐단면 강재 보 및 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 합성보 시스템 - Google Patents
장스팬 적용 및 층고 절감을 위한 폐단면 강재 보 및 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 합성보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44586B1 KR101144586B1 KR1020110021137A KR20110021137A KR101144586B1 KR 101144586 B1 KR101144586 B1 KR 101144586B1 KR 1020110021137 A KR1020110021137 A KR 1020110021137A KR 20110021137 A KR20110021137 A KR 20110021137A KR 101144586 B1 KR101144586 B1 KR 1011445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ction
- plate
- cross
- section member
- clos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386 neutral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351 stiffen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8 quality contro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장스팬 적용 및 층고 절감을 위한 폐단면 강재 보는 하부 반단면 부재, 상부 반단면 부재 및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하부 반단면 부재는 하부판, 하부판의 폭방향으로 양쪽 끝에서 위쪽으로 연장된 2개의 측면판, 및 2개의 측면판에서 각각 외측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받침판으로 구성되고, 상부 반단면 부재는 간격을 다수 개의 콘크리트 타설용 구멍이 천공된 상부판, 상부판의 폭방향으로 양쪽 끝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된 2개의 경사판으로 구성되고 하부 반단면 부재의 상부에 결합되어 단면을 폐합시키며, 연결부재는 하부 반단면 부재와 상부 반단면 부재가 결합되어 이루는 폐합된 단면의 길이방향으로 양쪽 끝에 각각 설치된다.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폐단면 강재 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폐단면 강재 보의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폐단면 강재 보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폐단면 강재 보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제시된 폐단면 강재 보를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 합성보 시스템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기존의 강합성 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111: 하부판
112: 측면판
113: 받침판
114: 앵글부재
115: 보강철근
12: 상부 반단면 부재
121: 상부판
121a: 콘크리트 타설용 구멍
122a, 122b, 122c: 개구부
122: 경사판
13: 연결부재
Claims (9)
- 하부판, 하부판의 폭방향으로 양쪽 끝에서 위쪽으로 연장된 2개의 측면판, 및 2개의 측면판에서 각각 외측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받침판으로 구성된 하부 반단면 부재;
다수 개의 콘크리트 타설용 구멍이 천공된 상부판, 상부판의 폭방향으로 양쪽 끝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된 2개의 경사판으로 구성되고 하부 반단면 부재의 상부에 결합되어 단면을 폐합시키는 상부 반단면 부재; 및
하부 반단면 부재와 상부 반단면 부재가 결합되어 이루는 폐합된 단면의 길이방향으로 양쪽 끝에 각각 설치된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연결부재는 상부 플랜지, 복부 및 하부 플랜지를 가지는 'H'자 또는 'I'자 형상의 단면으로 하부 반단면 부재와 상부 반단면 부재가 결합되어 이루는 폐합 단면의 높이보다 더 큰 높이를 가지며 하부 반단면 부재와 상부 반단면 부재가 결합되어 이루는 폐합 단면의 양쪽 끝에서 일정 길이가 안쪽으로 삽입되고 하부 플랜지와 하부판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도록 결합된 장스팬 적용 및 층고 절감을 위한 폐단면 강재 보. - 청구항 1에 있어서,
경사판과 받침판이 만나는 부분에 형성된 하측 개구부, 받침판과 상부판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부분에 형성된 중앙 개구부, 경사판과 상부판이 만나는 부분에 형성된 상측 개구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조합되어 형성된 장스팬 적용 및 층고 절감을 위한 폐단면 강재 보. -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부 반단면 부재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하부판과 2개의 측면판에 결합되는 다수 개의 앵글부재가 설치되고, 앵글부재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보의 전체 길이에 걸쳐 다수 개의 보강철근이 설치된 장스팬 적용 및 층고 절감을 위한 폐단면 강재 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부 반단면 부재의 상부판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의 미끄럼 방지 철근이 결합된 장스팬 적용 및 층고 절감을 위한 폐단면 강재 보.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연결부재의 하부 플랜지와 하부 반단면 부재의 하부판 사이에 높이방향으로 다수 개의 스티프너가 설치된 장스팬 적용 및 층고 절감을 위한 폐단면 강재 보. - 하부판, 하부판의 폭방향으로 양쪽 끝에서 위쪽으로 연장된 2개의 측면판, 및 2개의 측면판에서 각각 외측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받침판으로 구성된 하부 반단면 부재;
다수 개의 콘크리트 타설용 구멍이 천공된 상부판, 상부판의 폭방향으로 양쪽 끝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된 2개의 경사판으로 구성되고 하부 반단면 부재의 상부에 결합되어 단면을 폐합시키는 상부 반단면 부재; 및
하부 반단면 부재와 상부 반단면 부재가 결합되어 이루는 폐합된 단면의 길이방향으로 양쪽 끝에 각각 설치된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연결부재는 상기 하부 반단면 부재와 상부 반단면 부재가 결합되어 이루는 폐합된 단면이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 사이에 결합될 수 있는 높이를 가진 'H'자 또는 'I'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부재와 그 하부에 결합된 역'T'자 형상의 부재가 결합된 장스팬 적용 및 층고 절감을 위한 폐단면 강재 보. - 하부판, 하부판의 폭방향으로 양쪽 끝에서 위쪽으로 연장된 2개의 측면판, 및 2개의 측면판에서 각각 외측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받침판으로 구성된 하부 반단면 부재;
다수 개의 콘크리트 타설용 구멍이 천공된 상부판, 상부판의 폭방향으로 양쪽 끝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된 2개의 경사판으로 구성되고 하부 반단면 부재의 상부에 결합되어 단면을 폐합시키는 상부 반단면 부재; 및
하부 반단면 부재와 상부 반단면 부재가 결합되어 이루는 폐합된 단면의 길이방향으로 양쪽 끝에 각각 설치된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연결부재는 상부 'T'자형 부재와 하부 역'T'자형 부재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H'자 또는 'I'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상부 'T'자형 부재의 복부는 상부판과 하부판에 일정 길이가 삽입되고 상부판은 상부 플랜지에 결합되며, 하부 역'T'자형 부재는 상부 'T'자형 부재의 하부에 결합된 장스팬 적용 및 층고 절감을 위한 폐단면 강재 보. - 청구항 1,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기재된 폐단면 강재 보;
강재 보의 받침판에 거치되는 데크 플레이트;
테크 플레이트의 상부에 일체로 합성되는 슬래브 콘크리트; 및
폐단면 강재 보의 내부에 채워지는 충전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충전 합성보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1137A KR101144586B1 (ko) | 2011-03-09 | 2011-03-09 | 장스팬 적용 및 층고 절감을 위한 폐단면 강재 보 및 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 합성보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1137A KR101144586B1 (ko) | 2011-03-09 | 2011-03-09 | 장스팬 적용 및 층고 절감을 위한 폐단면 강재 보 및 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 합성보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44586B1 true KR101144586B1 (ko) | 2012-05-09 |
Family
ID=46271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21137A Active KR101144586B1 (ko) | 2011-03-09 | 2011-03-09 | 장스팬 적용 및 층고 절감을 위한 폐단면 강재 보 및 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 합성보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44586B1 (ko) |
Cited B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2643B1 (ko) * | 2013-08-07 | 2014-03-11 | 장민우 | 무거푸집 합성보 및 이의 제조공법 |
KR101464866B1 (ko) * | 2013-03-18 | 2014-11-24 | 김영호 | 반채움 pc 타이앵커 합성보 |
KR101544803B1 (ko) | 2014-07-23 | 2015-08-17 |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 절곡강판 합성보의 기둥 접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 |
KR101557226B1 (ko) | 2014-04-23 | 2015-10-02 |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강콘크리트 합성보 |
KR101557554B1 (ko) * | 2013-09-16 | 2015-10-07 | 주식회사 길교이앤씨 | 전단 연결재 일체형 광폭 psc 거더를 이용한 무조인트 교량의 시공방법 |
KR101615853B1 (ko) | 2015-06-02 | 2016-04-26 | 신영관 | 강 합성 거더 |
KR101637963B1 (ko) * | 2016-03-18 | 2016-07-08 | 힐 중공업 주식회사 | 슬림플로어용 하이브리드 합성구조물 |
KR101747097B1 (ko) * | 2015-12-22 | 2017-06-14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가로 방향 지지철물 일체형 철근트러스 데크플레이트 및 그 제작방법 |
KR20180025372A (ko) * | 2016-08-30 | 2018-03-09 | 주식회사 포스코 | 보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슬림플로어 |
EP3296485A1 (en) * | 2016-09-16 | 2018-03-21 | Peikko Group Oy | Steel beam |
KR101858817B1 (ko) * | 2016-08-05 | 2018-05-18 | 주식회사 포스코 | 연결보유닛의 설치시스템 및, 연결보유닛의 시공방법 |
KR20190007991A (ko) | 2017-07-14 | 2019-01-23 | 김건영 | 포스트 텐션 더블 거더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
KR20190031752A (ko) | 2017-09-18 | 2019-03-27 | (주)엔테이지 | 커플링근과 t형 보강 부재를 이용한 단부보강 빔 및 이를 이용한 기둥과의 연결구조 |
CN114991371A (zh) * | 2022-06-15 | 2022-09-02 | 中建八局装饰工程有限公司 | 装配式楼板结构及其施工方法 |
EP4585384A1 (en) * | 2024-01-10 | 2025-07-16 | Anstar Oy |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mposite beam of steel and concrete, and steel beam filled with concret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2268Y1 (ko) * | 2006-09-19 | 2006-11-30 | 이선구 | 골조와 일체로 제작된 복공판 |
KR100654075B1 (ko) * | 2005-01-18 | 2006-12-05 | 유성근 | 덮개형 전단구속판을 갖는 강재 영구거푸집 보 및 그를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
KR100739823B1 (ko) | 2007-02-05 | 2007-07-13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복공판과 거더 일체형 가설교량 |
KR100879305B1 (ko) | 2008-09-24 | 2009-01-19 | 혜동브릿지 주식회사 | 교량시공용 합성거어더 |
-
2011
- 2011-03-09 KR KR1020110021137A patent/KR101144586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54075B1 (ko) * | 2005-01-18 | 2006-12-05 | 유성근 | 덮개형 전단구속판을 갖는 강재 영구거푸집 보 및 그를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
KR200432268Y1 (ko) * | 2006-09-19 | 2006-11-30 | 이선구 | 골조와 일체로 제작된 복공판 |
KR100739823B1 (ko) | 2007-02-05 | 2007-07-13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복공판과 거더 일체형 가설교량 |
KR100879305B1 (ko) | 2008-09-24 | 2009-01-19 | 혜동브릿지 주식회사 | 교량시공용 합성거어더 |
Cited By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4866B1 (ko) * | 2013-03-18 | 2014-11-24 | 김영호 | 반채움 pc 타이앵커 합성보 |
KR101372643B1 (ko) * | 2013-08-07 | 2014-03-11 | 장민우 | 무거푸집 합성보 및 이의 제조공법 |
KR101557554B1 (ko) * | 2013-09-16 | 2015-10-07 | 주식회사 길교이앤씨 | 전단 연결재 일체형 광폭 psc 거더를 이용한 무조인트 교량의 시공방법 |
KR101557226B1 (ko) | 2014-04-23 | 2015-10-02 |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강콘크리트 합성보 |
KR101544803B1 (ko) | 2014-07-23 | 2015-08-17 |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 절곡강판 합성보의 기둥 접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 |
KR101615853B1 (ko) | 2015-06-02 | 2016-04-26 | 신영관 | 강 합성 거더 |
KR101747097B1 (ko) * | 2015-12-22 | 2017-06-14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가로 방향 지지철물 일체형 철근트러스 데크플레이트 및 그 제작방법 |
KR101637963B1 (ko) * | 2016-03-18 | 2016-07-08 | 힐 중공업 주식회사 | 슬림플로어용 하이브리드 합성구조물 |
KR101858817B1 (ko) * | 2016-08-05 | 2018-05-18 | 주식회사 포스코 | 연결보유닛의 설치시스템 및, 연결보유닛의 시공방법 |
KR20180025372A (ko) * | 2016-08-30 | 2018-03-09 | 주식회사 포스코 | 보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슬림플로어 |
KR101940859B1 (ko) * | 2016-08-30 | 2019-01-22 | 주식회사 포스코 | 보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슬림플로어 |
US9945123B2 (en) | 2016-09-16 | 2018-04-17 | Peikko Group Oy | Steel beam |
EP3296485A1 (en) * | 2016-09-16 | 2018-03-21 | Peikko Group Oy | Steel beam |
KR20190007991A (ko) | 2017-07-14 | 2019-01-23 | 김건영 | 포스트 텐션 더블 거더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
KR20190031752A (ko) | 2017-09-18 | 2019-03-27 | (주)엔테이지 | 커플링근과 t형 보강 부재를 이용한 단부보강 빔 및 이를 이용한 기둥과의 연결구조 |
CN114991371A (zh) * | 2022-06-15 | 2022-09-02 | 中建八局装饰工程有限公司 | 装配式楼板结构及其施工方法 |
CN114991371B (zh) * | 2022-06-15 | 2023-11-07 | 中建八局装饰工程有限公司 | 装配式楼板结构及其施工方法 |
EP4585384A1 (en) * | 2024-01-10 | 2025-07-16 | Anstar Oy |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mposite beam of steel and concrete, and steel beam filled with concret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44586B1 (ko) | 장스팬 적용 및 층고 절감을 위한 폐단면 강재 보 및 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 합성보 시스템 | |
KR101152270B1 (ko) | 장경간 고하중 건물에 적합한 피씨 슬래브 및 그 시공방법 | |
JP5406563B2 (ja) | 合成梁、建築物、及び合成梁の施工方法 | |
KR101255464B1 (ko) | 캡 플레이트를 활용한 단부 연속화 데크 플레이트 시스템 | |
KR102170635B1 (ko) | 비용절감형 중공pc 바닥판넬 | |
KR20090068536A (ko) |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 | |
KR20100012404A (ko) | 리브드 하프피씨 바닥판 | |
KR100963579B1 (ko) | 트러스근 일체형 데크플레이트 | |
KR101105404B1 (ko) | 캡 플레이트를 활용한 단부 연속화 데크 플레이트 시스템 | |
KR101483362B1 (ko) | 외부 돌출 결합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 |
KR101160763B1 (ko) | 다수 개의 캡 플레이트를 갖는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 |
KR100720067B1 (ko) | 아치형 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 보의 시공방법 | |
KR101738244B1 (ko) | 트러스보강 조립보 | |
KR101191545B1 (ko) | 다수 개의 캡 플레이트를 갖는 데크 플레이트 | |
KR100761786B1 (ko) |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 |
KR102314546B1 (ko) | 기둥부재와 보의 보강구조물 | |
KR101212259B1 (ko) | 파형 굴곡판으로 형성된 보강재를 이용한 합성바닥판 및 그 제작방법 | |
KR101038291B1 (ko) | 슬림플로어형 철골보 및 이를 이용한 합성보 | |
KR101752285B1 (ko) | 광폭 psc 하부플랜지와 단면확대용 상부플랜지를 갖는 하이브리드 보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 |
KR102129130B1 (ko) | Z형 강선 래티스근 부착형 합성 데크플레이트 및 그 제조 방법 | |
EP1416101A1 (en) | Composite beam | |
KR20110065616A (ko) | 유-자형 철골보의 측판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자형 철골보 | |
KR101010109B1 (ko) | 조립형 콘크리트 충전 강합성 복공판 | |
KR20120008667A (ko) | 데크플레이트용 단부보강체를 이용한 보 시공방법 | |
KR101797960B1 (ko) | 중립축 상승부재를 갖는 강재보 및 이를 이용한 합성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108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0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5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5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4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1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3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2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2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