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41071B1 - 가열조리장치 - Google Patents

가열조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1071B1
KR101041071B1 KR1020030099946A KR20030099946A KR101041071B1 KR 101041071 B1 KR101041071 B1 KR 101041071B1 KR 1020030099946 A KR1020030099946 A KR 1020030099946A KR 20030099946 A KR20030099946 A KR 20030099946A KR 101041071 B1 KR101041071 B1 KR 101041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water
cooking chamber
tank
heating tan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9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8482A (ko
Inventor
김성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9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1071B1/ko
Priority to US10/853,228 priority patent/US7045745B2/en
Priority to CNB2004100478109A priority patent/CN1311198C/zh
Priority to EP04253304A priority patent/EP1550828B1/en
Priority to DE602004027881T priority patent/DE602004027881D1/de
Publication of KR20050068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8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1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107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3/00Stoves or range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heating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C15/327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with air moisturi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Ovens (AREA)
  • Cookers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실 내부로 증기를 공급할 수 있는 가열조리장치를 개시한 것이다. 개시한 가열조리장치는 조리실이 형성된 본체와, 조리실 내부로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발생장치를 포함하며, 증기발생장치는 증기배출구를 구비하고 조리실의 내측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열탱크와, 가열탱크로 물을 공급하도록 가열탱크와 안내유로를 통해 연결되며 가열탱크 상부위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물탱크와, 가열탱크 내부의 물을 가열하도록 가열탱크 내에 설치되는 증기발생히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가열조리장치는 증기발생장치의 청소 및 위생관리가 용이하고 증기발생장치로의 물 공급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열조리장치{HEATING COOK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장치의 증기발생장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장치의 증기발생장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로, 물탱크의 출구가 폐쇄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장치의 증기발생장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로, 물탱크의 출구가 개방되고 증기발생동작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보인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11: 조리실,
12: 가열히터, 13: 송풍장치,
16: 도어, 20: 증기발생장치,
21: 증기발생히터, 22: 연결관,
23: 과열센서, 30: 가열탱크,
32: 증기배출구, 40: 물탱크,
41: 물탱크의 입구, 42: 물탱크의 출구,
50: 개폐부재, 52: 탄성부재,
54: 솔레노이드 구동장치, 60: 수위감지장치,
본 발명은 가열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실 내부로 증기를 공급할 수 있는 증기발생장치를 갖춘 가열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수용하는 조리실과, 이 조리실 내부의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을 구비하는 가열조리장치로는 통상적인 전자렌지, 전기오븐렌지, 가스오븐렌지 등이 있다.
전자렌지는 마그네트론으로부터 공급되는 고주파를 조리실 내부로 공급하여 음식물 자체의 발열을 통해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전기오븐렌지나 가스오븐렌지는 전기히터의 동작이나 가스의 연소를 통해 발생된 열기가 조리실 내부에 가해지도록 하여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가열조리장치들은 조리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조리실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의 수분이 증발하기 때문에 음식물이 건조되기 쉬운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 관련업계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가열조리장치의 조리실 내부로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발생장치를 마련하여 음식물의 건조를 방지함과 동시에 조리효과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가 활발하다. 그 예로는 조리실의 내측 하부에 물이 수용되는 저수부를 만들고 이 저수부의 내부에 히터를 설치하여 히터 가 물을 가열하도록 함으로써 증기가 생기도록 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열조리장치는 매번 사용자가 저수부에 물을 채워야 하는 등으로 사용이 불편할 뿐 아니라 사용하는 과정에서 음식물 찌꺼기나 기름 등이 저수부에 유입되기 때문에 위생상 좋지 않은 결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증기발생장치는 저수부 내부의 물에 히터가 침수된 상태이기 때문에 저수부의 내면과 히터의 표면에 생기는 이물질을 사용자가 청소해 주어야 하는데, 저수부와 히터를 조리실로부터 분리하기 어렵기 때문에 청소작업이 쉽지 않은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증기발생장치의 청소 및 위생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가열조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증기발생장치로의 물 공급이 용이하도록 하는 가열조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장치는, 조리실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조리실 내부로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발생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증기발생장치는 증기배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조리실의 내측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열탱크와, 상기 가열탱크로 물을 공급하도록 상기 가열탱크와 안내유로를 통해 연결되는 물탱크와, 상기 가열탱크 내부의 물을 가열하도록 상기 가열탱크 내에 설치되는 증기발생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물탱크로부터 상기 가열탱크로의 자연급수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물탱크가 상기 조리실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물탱크로부터 상기 가열탱크 쪽으로의 물 공급을 제어하도록 상기 물탱크의 출구에 설치된 출구개폐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출구개폐장치는 소정구간 진퇴하며 상기 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수밀유지를 위해 상기 개폐부재의 둘레에 설치된 패킹과, 상기 개폐부재가 평소 닫힌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개폐부재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소정구간 진퇴시키는 솔레노이드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열탱크에는 상기 가열탱크 내부의 수위가 상기 증기공급구의 높이 미만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가열탱크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출구개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수위감지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열탱크에는 과열을 감지하여 상기 증기발생히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과열센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열탱크는 상부가 개방된 용기로 이루어지고, 개방된 상부가 패킹을 개재한 상태로 상기 조리실의 내측 상면에 밀착되며, 상기 증기배출구가 그 측면 상부의 복수개소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열탱크 내부의 증기발생히터는 상기 가열탱크 내부의 물에 침수 될 수 있도록 상기 조리실의 내측 상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증기배출구에는 상기 가열탱크로부터 배출되는 증기를 상기 조리실의 하방으로 안내하는 유로를 형성하며 그 출구가 하부를 향하도록 된 증기안내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열탱크의 상측 둘레에는 상기 가열탱크를 상기 조리실 상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결합공이 형성된 고정부가 마련되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결합공을 통하여 상기 조리실의 내측 상면에 나사 결합되는 체결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결합공을 통하여 상기 조리실 상면에 체결되는 나사부와, 사용자가 손으로 조이거나 풀 수 있도록 상기 나사부와 일체로 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외부케이스와, 상기 조리실을 형성하도록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에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내부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물탱크와 상기 출구개폐장치는 상기 조리실 상부의 상기 외부케이스와 내부케이스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탱크는 상기 본체 전방에 형성되는 개구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리실의 내측 후면으로부터 소정깊이 후방으로 함몰된 함몰부와, 상기 조리실 내부공기의 순환을 위해 상기 함몰부 내에 설치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을 통해 순환하는 공기의 가열을 위해 상기 송풍팬의 외곽에 설치 된 가열히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함몰부의 전방에는 상기 함몰부의 전면을 덮으며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커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장치는 조리실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조리실 내부로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발생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증기발생장치는 증기공급구를 구비하며 상기 조리실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는 가열탱크와, 상기 가열탱크로의 물 공급을 위해 상기 조리실 상부위치의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물탱크와, 상기 가열탱크 내부의 물을 가열하는 증기발생히터와, 상기 물탱크로부터 상기 가열탱크로의 물 공급을 안내하는 안내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조리실(11)이 형성된 본체(10), 조리실(11) 내부의 가열을 위해 조리실(11)의 후면부에 설치되는 가열히터(12), 그리고 조리실(11) 내부공기의 순환을 위한 송풍장치(13)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가열조리장치는 조리실(11) 내부로 증기를 공급하기 위한 증기발생장치(20)를 구비한다.
본체(10)는 철판으로 된 외부케이스(14)와, 이 외부케이스(14)의 내부에 이격상태로 설치되며 조리실(11)을 형성하는 내부케이스(15)를 구비하며, 조리실(11)은 조리물의 입출이 가능하도록 전면이 개방된다. 또 본체(10)의 전면부에는 사용 자가 조리실(11)을 개폐할 수 있는 도어(16)가 설치되고, 조리실(11)의 내부에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음식물의 탑재를 위한 선반(17)이 설치된다.
조리실(11)의 내측 후면부에는 소정깊이 후방으로 함몰된 함몰부(18)가 마련되고, 이 함몰부(18) 내에는 상술한 가열히터(12)와 송풍장치(13)가 설치된다. 이때 송풍장치(13)는 함몰부(18)의 내측 중앙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심형 송풍팬(13a)과, 이 송풍팬(13a)을 회전시키도록 함몰부(18)의 후방에 설치되는 구동모터(13b)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가열히터(12)는 함몰부(18) 내부의 송풍팬(13a) 외곽 쪽에 설치된다. 또 함몰부(18)의 전방에는 함몰부(18)의 전방을 덮으며 다수의 통기공(19a)이 형성된 커버(19)가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은 가열히터(12)의 가동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송풍팬(13a)이 동작할 때 조리실(11) 내부의 공기가 송풍팬(13a) 쪽으로 흡입되어 송풍팬(13a)의 반경방향으로 토출되고, 가열히터(12)를 통해 가열된 후 다시 조리실(11) 내부로 공급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열풍순환을 통해 조리실(11) 내부의 가열이 이루어지면서 조리실(11)에 수용되는 음식물의 조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조리실(11) 내부로 증기를 공급하기 위한 증기발생장치(20)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리실(11)의 내측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열탱크(30), 이 가열탱크(30)의 내부로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는 증기발생히터(21), 가열탱크(30) 쪽으로 물을 공급하도록 조리실(11)의 상부에 설치되는 물탱크(40)를 포함한다. 또 증기발생장치(20)는 물탱크(40)로부터 가열탱크(30) 쪽으로의 물 공급을 안내하는 안내유로를 형성하는 연결관(22), 가열 탱크(30) 쪽으로의 물 공급을 제어하도록 물탱크(40)의 출구(42) 쪽에 설치되는 출구개폐장치, 가열탱크(30)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장치(60), 가열탱크(30)의 과열을 감지하는 과열센서(23)를 포함한다.
가열탱크(3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용기로 이루어지며, 개방된 상부가 조리실(11)의 내측 상면에 패킹(31)을 개재한 상태로 밀착 결합된다. 또 가열탱크(30)의 측면 상부에는 그 내부에서 생긴 증기가 조리실(11)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호 이격된 다수의 증기배출구(32)가 형성되고, 각 증기배출구(32)에는 가열탱크(30)로부터 배출되는 증기를 조리실(11)의 하방으로 안내하는 유로를 형성하며 그 출구가 하부를 향하도록 된 증기안내부(33)가 마련된다. 또 가열탱크(30)의 상부 양측에는 결합공(34)이 형성된 고정부(35)가 마련되고, 이 고정부(35)에는 결합공(34)을 통하여 조리실(11)의 상면에 나사 결합되는 체결부재(36)가 설치된다. 이때 체결부재(36)는 결합공(34)을 통하여 조리실(11) 상면에 체결되는 나사부(36a)와 사용자가 이를 손으로 조이거나 풀 수 있도록 나사부(36a)와 일체로 된 손잡이부(36b)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가열탱크(30)를 고정하는 체결부재(36)를 사용자가 손으로 조이거나 풀어서 가열탱크(30)를 손쉽게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열탱크(30)의 내부 청소를 손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가열탱크(30) 내부의 증기발생히터(21)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탱크(30) 내부의 물에 침수되도록 설치되며, 전원과 연결되는 단자부분이 고정너트(21a)의 체결을 통해 조리실(11)의 상면에 고정된다. 이는 사용자가 가열탱크(30)의 청소를 위해 가열탱크(30)를 분리하였을 때 증기발생히터(21)가 조리실(11) 상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증기발생히터(21) 표면의 이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탱크(4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탱크(30)로의 자연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리실(11) 상부의 외부케이스(14)와 내부케이스(15)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며, 본체(10)의 전면 상부에 형성된 개구(45)를 통하여 전방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본체(1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물탱크(4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에 마개(41a)를 통해 개폐되는 입구(41)가 형성되고 후면에 가열탱크(30) 쪽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출구(42)가 형성되며 전면에 손잡이(44)가 마련된 사각용기로 이루어진다. 이때 물탱크(40)는 사용자가 물탱크(40) 내부의 수위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투명한 용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또 물탱크(40)의 출구(42)는 가열탱크(30)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조리실(11)의 상부에 설치되는 연결관(22)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물탱크(40)의 출구(42)에는 외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연장부(43)가 마련되며 이 연장부(43)가 연결관(22)의 입구로 진입하는 형태로 결합된다.
물탱크(40)의 출구(42)를 개폐하는 출구개폐장치는 도 2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탱크(40) 내부의 출구(42) 쪽에 소정구간 전후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어 출구(42)를 개폐하는 개폐부재(50), 수밀유지를 위해 개폐부재(50)의 둘레 쪽에 설치되는 패킹(51), 개폐부재(50)가 평소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개폐부재(50)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52), 그리고 개폐부재(50)를 소정구간 진퇴시키 는 솔레노이드 구동장치(54)를 포함한다.
이때 개폐부재(50)는 그 일면으로부터 출구(42)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연장된 복수의 안내부(50a)를 통해 출구(42)의 전후방향으로 진퇴 가능한 상태로 지지된다. 탄성부재(52)는 통상의 인장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그 일단이 개폐부재(50)에 연결되고 타단이 연장부(43)의 단부 쪽에 마련되는 지지부(43a)에 연결된다. 이는 탄성부재(52)의 탄성에 의해 개폐부재(50)가 평소 출구(42)를 폐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솔레노이드 구동장치(54)는 물탱크(40) 출구(42) 후방의 외부케이스(14)와 내부케이스(15)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조리실(11) 외측 상면에 브래킷(54a)을 통해 고정되는 솔레노이드 구동부(54b), 이 솔레노이드 구동부(54b)로부터 물탱크(40)의 출구(42) 쪽으로 연장되는 로드부(54c), 로드부(54c)의 동작에 의해 개폐부재(50)를 전방으로 밀어줌으로써 물탱크(40)의 출구(42)를 개방시키도록 로드부(54c)의 단부에 연결된 누름부재(54d)를 포함한다. 이때 누름부재(54d)는 출구(42)에 마련된 연장부(43)의 상면 개방부분을 통해 연장부(43) 내부의 유로로 진입하도록 굴절된 후 개폐부재(50)의 후면을 가압하도록 개폐부재(50)의 후면 쪽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이러한 구성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 구동부(54b)의 동작에 의해 누름부재(54d)가 후퇴한 상태일 때 탄성부재(52)의 탄력에 의해 개폐부재(5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물탱크(40)의 출구(42)를 폐쇄하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름부재(54d)가 전진할 때 개폐부재(50)가 누름부재(54d)에 의해 전방으로 밀리면서 물탱크(40)의 출구(42)를 개방할 수 있도 록 한 것이다.
가열탱크(30)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장치(60)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탱크(30)의 내부에 설치되며 물에 뜨는 재질로 된 플로트부재(61)와, 플로트부재(61)의 상부로부터 조리실(11)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부로 연장되며 플로트부재(61)와 함께 승강하는 로드부(62), 그리고 로드부(62)의 상승을 감지하도록 로드부(62)의 위치와 대응하는 조리실(11) 외측 상면에 지지부재(66)를 통해 설치된 센서(65)로 구성된다. 또한 조리실(11)의 상면으로 관통하여 상부로 연장된 로드부(62)의 외면에는 둘레에 홈(63)이 형성되고, 이 홈(63)에는 로드부(62)의 하강을 제한하는 스냅 링(64)이 설치된다. 이러한 수위감지장치(60)는 가열탱크(30)의 수위가 높아져서 플로트부재(61)가 상승할 때 로드부(62)의 상승이 이루어지고, 로드부(62)의 상단이 센서(65)를 가압함으로써 센서(65)가 가열탱크(30) 내부의 상한수위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수위감지정보를 토대로 가열조리장치의 제어부(미도시)가 솔레노이드 구동장치(54)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가열탱크(30)의 상한수위를 증기배출구(32)의 높이 미만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는 가열탱크(30) 내부의 물이 증기배출구(32)를 통해 넘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과열센서(23)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탱크(30) 상부의 조리실(11) 외측 상면에 설치된다. 이러한 과열센서(23)는 과열을 감지하여 증기발생히터(21)를 제어함으로써 가열탱크(30) 내부에 물이 없는 상태에서 증기발생히터(21)가 동작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은 이러한 가열조리장치의 전체적인 동작 및 가열탱크와 증기발생히터의 청소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조리실(11) 내부의 선반(17)에 음식물을 놓은 후 가열조리장치를 가동시키면, 가열히터(12)와 송풍팬(13a)의 동작이 이루어진다. 이때 조리실(11) 내부의 공기는 송풍팬(13a)의 동작에 의해 송풍팬(13a)의 중앙부 쪽으로 흡입되어 송풍팬(13a)의 반경방향 송풍되며, 송풍팬(13a)의 반경방향으로 송풍되는 공기는 가열히터(12)를 통해 가열된 후 조리실(11) 내부로 공급됨으로써 조리실(11) 내부 음식물의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조리실(11) 내부로 증기를 공급하여 조리를 수행하고자 할 때는 먼저 조리실(11) 상부에 장착된 물탱크(40)를 전방으로 인출하는 방식으로 분리하여 물탱크(40) 내부에 물을 채운다. 그리고 물탱크(40)에 물을 채운 후에는 다시 본체(10) 상부의 개구(45)를 통해 밀어 넣는 방식으로 조리실(11)의 상부에 장착한다. 이때 물탱크(40) 출구(42 쪽 개폐부재(50)는 탄성부재(52)를 통해 지지되기 때문에 출구(42)를 폐쇄한 상태이다. 따라서 물탱크를 착탈하는 과정에서 출구(42)를 통한 물의 누수는 발생하지 않는다.
물을 채운 물탱크(40)가 장착된 후에는 기기의 조작을 통해 증기발생장치(20)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 구동장치(54)가 개폐부재(50)를 밀어 물탱크(40)의 출구(42)를 개방하게 되므로 물탱크(40)의 물이 연결관(22)을 통해 가열탱크(40) 내부로 공급된다. 그리고 이러한 동작을 통해 가열탱크(40)의 수위가 상승하면 수위감지장치(60)가 가열탱크(40)의 수위를 감지하고, 가열조리장치의 제어부(미도시)가 수위감지정보를 토대로 물탱크(40)의 출구(42)가 개폐될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 구동장치(54)의 동작을 제어하게 되므로 가열탱크(30)의 내부의 수위가 늘 적절하게 유지된다. 즉 가열탱크(30)의 내부 수위가 증기배출구(32) 높이의 미만으로 유지된다.
이러한 동작과 아울러 증기발생히터(21)의 동작이 이루어지면, 가열탱크(30) 내부의 물이 증기발생히터(21)에 의해 가열되면서 가열탱크(30) 내부에 증기가 생성된다. 그리고 이 증기는 가열탱크(30) 측면 상부에 형성된 증기배출구(32)를 통해 조리실(11) 내부로 공급된다. 또 조리실(11) 내부로 공급되는 증기는 증기안내부(33)를 통해 조리실(11) 내측 하부의 음식물 쪽으로 안내되므로 음식물의 건조를 방지함과 동시에 조리효과를 높여줄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가열탱크(30)의 내부와 증기발생히터(21)를 청소하고자 할 때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탱크(30)를 고정하는 체결부재(36)를 손으로 풀어서 가열탱크(30)를 분리한 후 가열탱크(30) 내부의 청소를 수행하면 된다. 이때 체결부재(36)의 손잡이부(36b)는 조리실(11) 내에 노출된 상태이므로 사용자가 이를 쉽게 풀 수 있다. 또한 가열탱크(30)를 분리하면 조리실(11) 상부에 고정된 증기발생히터(21)가 노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증기발생히터(21) 표면의 이물질도 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장치는 사용자가 조리실 내측 상부의 가열탱크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고, 가열탱크를 분리하면 증기발생히터가 노출되기 때문에 가열탱크 및 증기발생히터의 청소를 손쉽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증기발생장치의 가열탱크가 조리실 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음식물의 조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음식물 찌꺼기나 기름 등이 가열탱크로 진입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어 위생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물탱크에 물을 채울 때 물탱크를 본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고 물탱크 내부에 많은 양의 물을 채울 수 있기 때문에 증기발생장치로의 물 공급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17)

  1. 조리실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조리실 내부로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발생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증기발생장치는 증기배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조리실의 내측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열탱크와, 상기 가열탱크로 물을 공급하도록 상기 가열탱크와 안내유로를 통해 연결되는 물탱크와, 상기 가열탱크 내부의 물을 가열하도록 상기 가열탱크 내에 설치되는 증기발생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로부터 상기 가열탱크로의 자연급수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물탱크가 상기 조리실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로부터 상기 가열탱크 쪽으로의 물 공급을 제어하도록 상기 물탱크의 출구에 설치된 출구개폐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개폐장치는 소정구간 진퇴하며 상기 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수밀유지를 위해 상기 개폐부재의 둘레에 설치된 패킹과, 상기 개폐부재가 평소 닫힌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개폐부재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소정구간 진퇴시키는 솔레노이드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탱크에는 상기 가열탱크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출구개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수위감지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탱크에는 상기 가열탱크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솔레노이드 구동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수위감지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탱크에는 과열을 감지하여 상기 증기발생히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과열센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탱크는 상부가 개방된 용기로 이루어지고, 개방된 상부가 패킹을 개재한 상태로 상기 조리실의 내측 상면에 밀착되며, 상기 증기배출구가 그 측면 상부의 복수개소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탱크 내부의 증기발생히터는 상기 가열탱크 내부의 물에 침수될 수 있도록 상기 조리실의 내측 상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배출구에는 상기 가열탱크로부터 배출되는 증기를 상기 조리실의 하방으로 안내하는 유로를 형성하며 그 출구가 하부를 향하도록 된 증기안내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탱크의 상측 둘레에는 상기 가열탱크를 상기 조리실 상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결합공이 형성된 고정부가 마련되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결합공을 통하여 상기 조리실의 내측 상면에 나사 결합되는 체결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결합공을 통하여 상기 조리실 상면에 체결되는 나사부와, 사용자가 손으로 조이거나 풀 수 있도록 상기 나사부와 일체로 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장치.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외부케이스와, 상기 조리실을 형성하도록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에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내부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물탱크와 상기 출구개폐장치는 상기 조리실 상부의 상기 외부케이스와 내부케이스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는 상기 본체 전방에 형성되는 개구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의 내측 후면으로부터 소정깊이 후방으로 함몰된 함몰부와, 상기 조리실 내부공기의 순환을 위해 상기 함몰부 내에 설치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을 통해 순환하는 공기의 가열을 위해 상기 송풍팬의 외곽에 설치된 가열증기발생 히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의 전방에는 상기 함몰부의 전면을 덮으며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커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장치.
  17. 조리실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조리실 내부로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발생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증기발생장치는 증기공급구를 구비하며 상기 조리실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는 가열탱크와, 상기 가열탱크로의 물 공급을 위해 상기 조리실 상부위치의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물탱크와, 상기 가열탱크 내부의 물을 가열하는 증기발생히터와, 상기 물탱크로부터 상기 가열탱크로의 물 공급을 안내하는 안내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장치.
KR1020030099946A 2003-12-30 2003-12-30 가열조리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041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9946A KR101041071B1 (ko) 2003-12-30 2003-12-30 가열조리장치
US10/853,228 US7045745B2 (en) 2003-12-30 2004-05-26 Heating cooker having a steam generating unit
CNB2004100478109A CN1311198C (zh) 2003-12-30 2004-06-01 具有蒸汽发生单元的加热炊具
EP04253304A EP1550828B1 (en) 2003-12-30 2004-06-03 Heating cooker having a steam generating unit
DE602004027881T DE602004027881D1 (de) 2003-12-30 2004-06-03 Kochstelle mit Dampferzeug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9946A KR101041071B1 (ko) 2003-12-30 2003-12-30 가열조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8482A KR20050068482A (ko) 2005-07-05
KR101041071B1 true KR101041071B1 (ko) 2011-06-13

Family

ID=34567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9946A Expired - Fee Related KR101041071B1 (ko) 2003-12-30 2003-12-30 가열조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045745B2 (ko)
EP (1) EP1550828B1 (ko)
KR (1) KR101041071B1 (ko)
CN (1) CN1311198C (ko)
DE (1) DE602004027881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77158B2 (en) * 2002-04-23 2010-08-17 Cleveland Range Method and steaming oven and collector plate
JP2006038316A (ja) * 2004-07-26 2006-02-09 Toshiba Corp 加熱調理器
US7208702B2 (en) * 2004-11-22 2007-04-24 Goodway Electrical Co., Ltd. Steam cooker
KR100820734B1 (ko) * 2005-11-24 2008-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증기조리장치
EP1898156A1 (en) * 2006-09-06 2008-03-12 Ching-Hsiang Wang Steam oven
KR100802019B1 (ko) * 2006-09-27 2008-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갖는 가열조리장치
KR101041077B1 (ko) 2006-09-28 2011-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갖는 가열조리장치
KR100794597B1 (ko) * 2006-09-28 2008-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열조리장치
KR100824006B1 (ko) 2006-12-29 2008-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 오븐의 스팀 발생장치
KR100889132B1 (ko) * 2007-04-12 2009-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븐
KR100857800B1 (ko) * 2007-05-02 2008-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건조기
DE102008020671B4 (de) 2007-04-25 2022-01-27 Lg Electronics Inc. Bekleidungsbehandlungsmaschine
DE602007010294D1 (de) 2007-09-14 2010-12-16 Teka Portugal S A Dampfgarofen und Wassertank zur Verwendung darin
KR100893606B1 (ko) * 2007-10-23 2009-04-2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스팀오븐용 증기발생장치
BRPI0705924A2 (pt) * 2007-11-23 2009-07-21 Whirlpool Sa forno a gás para cozimento a vapor e fogão
WO2009089381A2 (en) * 2008-01-09 2009-07-16 Unified Brands, Inc. Boilerless combination convection steamer oven
KR100884378B1 (ko) * 2008-05-02 2009-02-17 주식회사 삼화에이스 증기발생기
DE102008041412A1 (de) * 2008-08-21 2010-03-04 Miwe Michael Wenz Gmbh Schwadenapparat für Radiatorenofen
US8258435B2 (en) * 2008-12-16 2012-09-04 Whirlpool Corporation Dual fan convection oven
JP5437666B2 (ja) * 2009-03-09 2014-03-12 株式会社ジャムコ 旅客機搭載用スチームオーブンの加熱むら防止装置
KR101086161B1 (ko) * 2009-04-06 2011-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제어방법
KR101101487B1 (ko) * 2009-04-09 2012-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조리기기
KR101593229B1 (ko) * 2009-04-10 2016-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발생장치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WO2010119816A1 (ja) * 2009-04-16 2010-10-21 シャープ株式会社 液体タンクおよび加熱調理器
CN102713442B (zh) * 2010-01-07 2015-01-28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带蒸汽产生功能的加热烹调器
FR2958717B1 (fr) * 2010-04-09 2014-08-29 Fagorbrandt Sas Four de cuisson comprenant un dispositif d'emission de lumiere emettant de la lumiere au travers d'un tiroir de remplissage d'eau.
CN101943394B (zh) * 2010-08-25 2013-07-10 晶辉科技(深圳)有限公司 蒸汽发生装置及家用电蒸箱
DE102011054687B4 (de) 2011-10-21 2018-04-05 Miele & Cie. Kg Gargerät mit Verdampfungs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Verdampfungseinrichtung
GB2500901B (en) * 2012-04-04 2014-02-26 Yao-Tsung Kao Household atomized oven
KR101981674B1 (ko) * 2012-12-21 2019-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기기
EP2775216B1 (en) * 2013-03-06 2017-05-03 LG Electronics Inc. Steam cooking appliance
EP2775217B1 (en) * 2013-03-06 2017-09-06 LG Electronics Inc. Steam cooking appliance
JP6082988B2 (ja) * 2013-03-14 2017-02-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蒸気発生装置と蒸気発生装置を備えた加熱調理器
KR200473935Y1 (ko) * 2013-07-19 2014-08-11 김태형 다기능 마이크로웨이브 오븐
US10588454B1 (en) * 2014-05-15 2020-03-17 Wells Bloomfield Llc Dry well food warmer assembly and method
KR101583503B1 (ko) 2014-05-30 2016-01-13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스팀 컨벡션 오븐의 열유체 유동 조절장치
WO2016016860A1 (en) * 2014-07-31 2016-02-04 I.R.C.A. S.P.A. Industria Resistenze Corazzate E Affini Domestic oven
US10874250B2 (en) * 2015-01-23 2020-12-29 Balmuda Inc. Heating cooker
DE102016215650A1 (de) * 2016-08-19 2018-02-22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argerät
CN107334372B (zh) * 2017-06-06 2022-10-21 山东东方方圆厨房设备有限公司 蒸柜
DE202018006409U1 (de) 2017-08-09 2020-04-23 Sharkninja Operating Llc Kochgerät und Komponenten davon
DE102017214929A1 (de) * 2017-08-25 2019-02-28 BSH Hausgeräte GmbH Dampfgargerät
CN109419323B (zh) * 2017-08-31 2024-01-16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水箱结构及具有该水箱结构的蒸制烹饪设备
CN107495829A (zh) * 2017-10-12 2017-12-22 南华大学 蒸盖
EP3553394A1 (en) 2018-04-09 2019-10-16 Whirlpool Corporation Steam generating system
US10955142B2 (en) 2018-07-03 2021-03-23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Cooking oven with steam generator inside cooking cavity
US11751710B2 (en) 2019-02-25 2023-09-12 Sharkninja Operating Llc Guard for cooking system
US11033146B2 (en) 2019-02-25 2021-06-15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GB2592224B (en) * 2020-02-19 2023-08-02 Gozney Group Ltd Oven
US11134808B2 (en) 2020-03-30 2021-10-05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CN112890577A (zh) * 2021-03-17 2021-06-0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烹饪器具
EP4327026A1 (en) * 2021-06-21 2024-02-28 Gorenje d.o.o. Steam generating device, oven and method for operating an oven
CN113925360A (zh) * 2021-09-01 2022-01-14 宁波市聚梦智能科技有限公司 带有水箱的烘焙装置
US12226040B2 (en) 2022-01-04 2025-02-18 Whirlpool Corporation Steam oven with check valve at water inlet for steam backflow prevent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91152U (ko) 1973-12-19 1975-08-01
JPH08178298A (ja) * 1994-12-28 1996-07-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高周波加熱装置
KR19980067625A (ko) * 1997-02-06 1998-10-15 구자홍 전자레인지의 수분 공급 장치
KR200141513Y1 (ko) 1996-07-18 1999-03-20 김광호 가스오븐렌지의 스팀발생장치
KR20010041513A (ko) * 1998-03-03 2001-05-25 노르만 엘. 터너 대형 유리판의 코팅 및 어닐링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2132B2 (ja) * 1978-05-08 1984-05-24 株式会社東芝 蒸気発生器付高周波加熱装置
US4281636A (en) * 1979-06-07 1981-08-04 Vegh Elmer S Steam processor
JPS56162328A (en) 1980-05-21 1981-12-14 Hitachi Heating Appliance Co Ltd High-frequency heating apparatus
FR2593587B1 (fr) * 1986-01-29 1990-01-05 Seb Sa Procede pour la cuisson des aliments en presence de vapeur d'eau et appareil de cuisson s'y rapportant
ATE67579T1 (de) * 1987-01-28 1991-10-15 Juno Kuechentech Electrolux Vorrichtung zum zugeben von wasser zur dampferzeugung in ein gargeraet.
FR2614976B1 (fr) * 1987-05-06 1990-03-09 Seb Sa Four electrique pour la cuisson des aliments comprenant un generateur de vapeur
JPH0412390A (ja) 1990-05-01 1992-01-16 Konratsukusu Matsumoto:Kk 表示装置
US5158064A (en) * 1991-05-13 1992-10-27 Willis Thomas J Steam drying element for steam cooking device
JPH05156455A (ja) 1991-12-02 1993-06-22 Hitachi Ltd 成膜装置
JPH094849A (ja) 1995-06-22 1997-01-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熱調理装置
JPH08128649A (ja) * 1994-10-31 1996-05-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高周波加熱装置
US5515773A (en) * 1995-02-16 1996-05-14 The Rival Company Steam oven
JP3701839B2 (ja) * 2000-04-20 2005-10-05 株式会社フジマック 強制対流式オーブンの排水口構造
JP2001355844A (ja) 2000-06-16 2001-12-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熱調理装置
JP3827303B2 (ja) * 2002-03-12 2006-09-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蒸気発生機能付き高周波加熱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91152U (ko) 1973-12-19 1975-08-01
JPH08178298A (ja) * 1994-12-28 1996-07-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高周波加熱装置
KR200141513Y1 (ko) 1996-07-18 1999-03-20 김광호 가스오븐렌지의 스팀발생장치
KR19980067625A (ko) * 1997-02-06 1998-10-15 구자홍 전자레인지의 수분 공급 장치
KR20010041513A (ko) * 1998-03-03 2001-05-25 노르만 엘. 터너 대형 유리판의 코팅 및 어닐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11198C (zh) 2007-04-18
DE602004027881D1 (de) 2010-08-12
CN1637348A (zh) 2005-07-13
US20050139588A1 (en) 2005-06-30
EP1550828B1 (en) 2010-06-30
EP1550828A1 (en) 2005-07-06
US7045745B2 (en) 2006-05-16
KR20050068482A (ko) 2005-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1071B1 (ko) 가열조리장치
KR101931364B1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기
US8420983B2 (en) Vapor cooker
JP4049787B2 (ja) 過熱蒸気調理器
CN1333203C (zh) 烹饪用加热设备及其控制方法
KR100629336B1 (ko) 스팀 오븐의 증기 발생 장치
KR20060006472A (ko) 가열조리장치
CN107208902B (zh) 加热烹调器
CN101152049A (zh) 蒸汽发生器和具有其的加热烹饪设备
JP2001304555A (ja) 調理オーブンにおける蒸気発生機構
KR100624080B1 (ko) 가열조리장치
JP4476881B2 (ja) 加熱調理器
JP5117215B2 (ja) 加熱調理器
KR100802019B1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갖는 가열조리장치
JP2009041822A (ja) 加熱調理器
JP6267309B2 (ja) 蒸気調理器
CN100453011C (zh) 用于烹饪的加热设备
KR101440981B1 (ko) 전기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
JP2009041819A (ja) 蒸気調理器
KR100691225B1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갖춘 조리장치
KR101554041B1 (ko) 스팀발생장치
KR20100012726A (ko) 전기 오븐
KR100676250B1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갖춘 오븐
JP5797729B2 (ja) 蒸気調理器
JP4990725B2 (ja) 蒸気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2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11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312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4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6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6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