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31967B1 - 이송 구이장치 - Google Patents

이송 구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1967B1
KR101031967B1 KR1020090049984A KR20090049984A KR101031967B1 KR 101031967 B1 KR101031967 B1 KR 101031967B1 KR 1020090049984 A KR1020090049984 A KR 1020090049984A KR 20090049984 A KR20090049984 A KR 20090049984A KR 101031967 B1 KR101031967 B1 KR 101031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guide
main body
plat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9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1207A (ko
Inventor
전경표
Original Assignee
전경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경표 filed Critical 전경표
Priority to KR1020090049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1967B1/ko
Publication of KR20100131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1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1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1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conveyors moving in a horizontal or an inclined pla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구부(112)와 제1 개구부(1133)가 형성된 중공의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 내에 구비되며 제1 모터(163)에 연결된 열풍팬(161)을 구비하여 안내부(120)로 열풍을 공급하는 송풍부(160)와, 상기 개구부(112)와 제1 개구부(1133)에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복수의 안내부(120)와, 상기 안내부(120) 사이에 구비되어 커버(115)의 양측으로 돌출되며 피구이체를 이송하는 컨베이어부(140)와, 상기 본체(110) 내에 송풍부(160)의 일측으로 구비되는 발열부와, 상기 안내부(120)를 덮도록 상기 본체(110)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커버(115)를 포함하는 이송 구이장치(100)에 관한 것으로; 열풍이 피구이체로 골고루 전달되며, 회수되는 열풍이 정화되면서 순환하며, 설치와 교체가 용이하며, 제작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안내부(120)를 용이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화재의 위험성이 없는 효과가 있다.
구이, 정화, 장치

Description

이송 구이장치{Transferring Baking Device}
본 발명은 이송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풍이 골고루 피구이체로 전달되며, 회수되는 열풍이 정화되면서 순환하며, 제작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화재의 위험성이 없는 이송 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이송 구이장치를 사시도이며, 도 2 및 도 3은 도 1의 구이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면부호 7은 이송 구이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이며, 상기 케이스(7)의 전면에는 개폐 가능하게 도어(14)가 형성되며, 케이스(7)의 일측으로는 구이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기능키이가 형성된 키이부(15)가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7)의 내부에는 공기 공급팬(2), 버너(3), 열풍팬(4), 상,하부 안내판(5, 6), 이송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공기 공급팬(2)은 케이스(1)의 내부 후면에 형성되어 케이스(1) 밖의 공기를 흡입하여 케이스(7) 내부로 공급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버너(3)는 공기 공급팬(2)의 동작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이용해서 연료를 연소시켜 고온의 열을 발생시킨다. 열풍팬(4)은 상기 버너(3)의 연소동작에 의해 발생된 열을 케이스(7) 내부에 형성되는 상,하부 안내판(5, 6)을 통하여 케이스(7) 내부로 순환시킨다.
상기 케이스(7)의 내부 상단에는 상기 열풍팬(4)에 의해 공급되는 열풍이 하측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상부 안내판(5)이 형성되는데, 이 상부 안내판(5)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측은 열풍이 유입될 수 있도록 넓게 형성되고, 타측은 좁게 막혀있는 모양으로 형성되며, 이 상부 안내판(5)의 저면에는 다수의 통공(5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공(5a)은 열풍팬(4)으로부터 공급되는 열풍이 케이스(1)의 하측으로 이동하는 통로가 된다.
한편, 케이스(1)의 내부 하단에는 하부 안내판(6)이 형성되는데, 이 하부 안내판(6)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측은 개방된 상태로 넓게 형성되고 타측은 좁게 막혀있는 모양으로 형성되며, 이 상단의 평평한 부분에는 다수의 통공(6a)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 안내판(5)의 통공(5a)을 통해 하측으로 이동한 열풍은 상기 하부안내판(6)의 통공(6a)을 통해 하측으로 이동하여 하부 안내판(6)의 개방부위를 통해 다시 열풍팬(4)으로 재순환된다. 상부 안내판(5)과 하부 안내판(6)의 사이에는 반죽된 피자 원판을 일정한 속도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이 형성되는데, 이 이송수단은 지지판(8, 9), 회전구동부(10, 11), 컨베이어(12), 모터(13)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판(8, 9)은 케이스(1)의 양측면에 수평으로 각각 형성되며, 회전 구동부(10, 11)는 각각의 지지판(8, 9) 끝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된다.
회전 구동부(1O, 11)의 외주면 상에는 다수의 걸림홈(10a, 1la)이 형성되는 데, 이 걸림홈(10a, 1la)에는 컨베이어(12)가 걸려 회전하게 된다. 상기 컨베이어(12)는 걸림홈(10a, 1la)에 걸려 회전하며, 그 상면에는 피구이체인 반죽된 피자 원판이 놓여져 상,하부 안내판(5, 6) 사이로 공급되는 열풍을 통과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이송 구이장치는 일방향에서만 열풍이 공급되므로 상하면이 모두 열풍에 충분히 접촉할 수 없는 구조이며, 피구이체에 고르게 열풍이 공급되지 않으며, 공기를 정화시키는 구조가 없어 지속적인 공기 순환에 의하여 오염의 정도가 심해지며, 구성의 교체와 보수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상하 방향에서 열풍이 공급되며, 열풍이 고르게 피구이체로 공급되며, 회수되는 열풍은 정화되어 순환 공급되며, 교체와 보수가 용이한 이송 구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개구부와 제1 개구부가 형성된 중공의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며 제1 모터에 연결된 열풍팬을 구비하여 안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송풍부와, 상기 개구부와 제1 개구부에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복수의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 사이에 구비되어 커버의 양측으로 돌출되며 피구이체를 이송하는 컨베이어부와, 상기 본체 내에 송풍부의 일측으로 구비되는 발열부와, 상기 안내부를 덮도록 상기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커버를 포함하 며; 상기 안내부는 서로 이격된 측판과, 상기 측판 사이에 위치하며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하판과, 상기 측판 사이에서 하판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며 하판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된 복수의 가이드부재로 이루어진 중간부와, 상기 측판 사이에서 위치하며 중간부로부터 하판의 반대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와, 상기 중간부과 고정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정화부를 구비하며; 상기 안내부는 하판이 서로 마주 보는 이송 구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부재의 길이는 하류 쪽에 위치할수록 길어지는 이송 구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중간부의 가이드부재 사이에는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은 안내부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가이드부재의 하류 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하류를 향하며 길이 방향에 대한 경사각은 90°보다는 크고 180°보다는 작게 형성되는 이송 구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는 개구부의 하부에서 개구부의 형성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중공의 하부수용부와, 상기 하부수용부가 돌출된 방향으로 개구부와 하부수용부 사이에 상기 하부수용부의 돌출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를 가지고; 상기 제1 개구부는 하부수용부에 상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컨베이어부는 상기 걸림돌기와 하부수용부의 상면에 의하여 지지되어 제1 개구부 상부로 위치하며, 상기 하부수용부는 제1 개구부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컨베이어부의 하부로 위치하는 지지판을 가지며; 상기 안내부 중 하나는 상기 개구부의 전방으로 구비되고, 상기 안내부 중 다른 하나는 하부수용부의 내측 하부에 설치된 받침부재에 의하여 하부 수용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개구부 내에 위치하는 이송 구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컨베이어부는 직사각형의 테두리로 이루어진 지지틀과, 양단이 지지틀을 관통하여 테두리 내측으로 위치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양단이 지지틀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이격하여 테두리 내측으로 위치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 모터에 연결된 구동축과, 환형으로서 양측이 상기 회전축과 구동축에 걸리어 상기 테두리 내측으로 위치하는 망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축은 구동축과 일체로 회전하면서 망체에 걸리어 망체를 회전시키는 하나 이상의 회전구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축의 일단은 테두리 외측으로 연장되며 오목하게 삽입홈이 형성된 돌출부를 가지는 이송 구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컨베이어부는 지지틀의 외측에 복수의 안내부 지지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안내부 지지부재는 본체와 대면하며 지지틀의 상부로 연장된 판상의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측방으로 구비되어 상기 본체를 향하여 연장되며 상부에 안내부의 하부가 안착하는 단턱부를 가지는 측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구부에 구비되는 안내부는 일측은 상기 개구부에 걸리고 타측은 상기 안내부 지지부재의 단턱부에 안착하여 컨베이어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이송 구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이송 구이장치(100)는 열풍이 골고루 피구이체로 전달되며, 회수되는 공기가 정화부(129)를 통하여 정화되면서 순환하며, 안내부(120)와 컨베이어부(140)의 설치와 교체가 용이하며, 컨베어어부(140)에 탄성 변헝이 용이한 형태의 안내부 지지부재(114)를 구비함으로써 제작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안내부(120)를 용이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정화부(129)로 직접 열풍이 공급되지 않는 구조이므로 화재의 위험성이 없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이송 구이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종래 기술과 동등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며, 종래 기술에서 설명된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이송 구이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이송 구이장치로서 커버를 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이송 구이장치를 이루는 안내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일부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A-A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르는 이송 구이장치를 이루는 컨베이어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컨베이어부를 이루는 구동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8의 컨베이어부에 구비되는 안내부 지지부재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모터축과 구동축의 연결 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일부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이송 구이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이송 구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7에서의 가로 방향을 '길이 방향'이라고 하고, 도 13에 서 열풍팬(161)에 가까운 좌측을 '상류'라 하고, 열풍팬(161)에서 먼 우측을 '하류'라 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이송 구이장치(100)는 중공의 본체(110)를 가진다. 상기 본체(110)에는 도 5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112)와 제1 개구부(1133)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110)는 개구부(112)의 하부에서 개구부(112)의 형성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중공의 하부수용부(113)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1 개구부(1133)는 하부수용부(113)에 상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개구부(112)와 제1 개구부(1133)는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개구된다. 상기 개구부(112)와 하부수용부(113) 사이에는 하부수용부(113)의 연장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1101)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본체(110) 내에는 개구부(112)와 제1 개구부(1133)로 구비되는 안내부(120)로 열풍을 공급하는 송풍부(160)가 설치된다. 상기 송풍부(160)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풍팬(161)과, 상기 열풍팬(161)에 연결된 제1 모터(163)로 이루어진다. 상기 송풍부(160)의 일측으로는 열기를 발생시키는 버너인 발열부(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에는 발열부로 외기를 공급하는 공급팬(도시하지 않음)이 구비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는 일측으로 연장되는 중공의 제1 수납부(111)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발열부는 제1 수납부(111)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발열부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동등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 및 도 5에서 도면 부호 130은 본 발명에 따르는 구이장치(100)의 작동 이나 정지, 컨베이어부(140)의 이송 속도나, 열풍의 온도 등을 입력하기 위한 키이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개구부(112)와 제1 개구부(1133)에는 하판(123)이 서로 마주 보게 이격되어 안내부(120)가 구비된다. 도 5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안내부(120) 중 하나는 개구부(112)의 전방으로 구비되며, 상기 안내부(120) 중 다른 하나는 하부수용부(113)의 내측 하부에 설치된 받침부재(1131)에 의하여 하부수용부(113)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개구부(1133) 내에 위치한다.
도 13에서 도면부호 165는 본체(110)에 구비되는 안내부재(165)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안내부재(165)는 열풍팬(161)의 전방으로 열풍팬(161)을 향하여 중심 부분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열풍이 통로(128)로 흐르게 유도하는 작용을 한다. 도면부호 1651은 상기 본체(110)에 구비되어 안내부재(165)와 함께 개구부(112)를 형성하며 회수되는 공기의 유동로를 형성하는 제2 안내부재를, 1137은 상기 하부수용부(113)에 바닥면으로부터 이격하여 구비되어 하부수용부(113)에 구비되는 안내부(120)의 통로(128)로 열풍이 공급되도록 하며, 회수되는 공기의 유동로를 형성하는 제1 안내부재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 안내부재(1137)는 하부수용부(113)에 구비되는 안내부(120)와 열풍팬(161)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받침부재(1131)에는 회수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통공이 형성되나, 도시는 생략하였다.
상기 안내부(120)는 도 6, 도 7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된 측판(121)과, 상기 측판(121) 사이에 위치하며 복수의 통공(1231)이 형성된 하 판(123)과, 상기 측판(121) 사이에서 하판(123)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며 하나 이상의 통공(1251)이 형성된 중간부(125)과, 상기 측판(121) 사이에서 위치하며 중간부(125)로부터 하판(123)의 반대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122)와, 상기 중간부(125)와 고정부재(122) 사이에 위치하는 정화부(129)로 이루어진다. 상기 측판(121)과, 하판(123)과, 중간부(125)에 의하여 통로(128)가 형성된다. 도 7에서 도면부호 127은 상기 하판(123)과 중간부(125) 사이의 하류 단부에 위치하여 정화부(129)를 지지하는 받침판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간부(125)는 하판(123)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된 복수의 가이드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받침판(127)에 대하여 상류에 위치한다. 상기 가이드부재의 길이는 하류 쪽에 위치할수록 길어지며, 하류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장 하류 측에 위치하는 가이드부재는 하판(123)에 접촉되도록 하여 하류 단부에서 통로를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며, 받침판(127)의 끝단이 하판(123)에 접촉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재는 하류를 향하며 길이 방향에 대한 가이드부재의 경사각(θ)은 90°보다는 크고 180°보다는 작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재의 길이가 하류 쪽에 위치할수록 길어지므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의 간섭에 의하여 하판(123)에 형성된 통공(1231)으로 열풍이 고르게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중간부(125)의 가이드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통공(1251)은 안내부(120) 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에 대하여 하류 측에 형성된다. 송풍부(160)에서 안내부(120)로 공급되는 열풍은 통로(128)를 따라 진행하며 가이드부재의 간섭에 의하여 하판(123)에 형성된 통공(1231)을 향하여 방향이 변환되며, 중간부(125)에 형성되는 통공(1251)은 가이드부재에 대하여 하류 측에 형성되므로 직접 정화부(129)로 향하지 않게 되어 고온의 열풍에 의하여 정화부(129)가 연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22)는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고정나사(124) 등으로 고정부재(122)의 양단은 측판(121)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된다. 안내부(120)의 하류측 단부에 구비되는 고정부재(122)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져 정화부(129)가 길이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정화부(129)의 예로는 숯을 들 수 있으며, 숯을 안내부(120)의 길이 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나란하게 복수개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활성탄과 같은 흡착 성능을 가지는 입자를 금속 망사 등에 투입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 및 도 7에서 도면부호 126은 안내부(120)의 상류 쪽으로 돌출된 후면돌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개구부(112)의 전방에 구비되는 안내부(120)의 후면돌기(126)가 개구부(112)에 걸쳐지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내부(120)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컨베이어부(140)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1101)와 제1 개구부(1133)를 지나서 위치하는 하부수 용부(113)의 상면(1135)에 의하여 지지되어 제1 개구부(1133) 상부로 위치하며, 상기 하부수용부(113)는 제1 개구부(1133)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컨베이어부(140)의 하부로 위치하는 지지판(119)을 가진다. 상기 지지판(119)은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어 컨베이어부(140)의 상부에 놓여 이송되는 피구이체로부터 이탈되는 입자 등이 수집되는 장소를 제공한다.
상기 컨베이어부(140)는 도 8, 도 9, 도 10,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테두리로 이루어진 지지틀(141)과, 양단이 지지틀(141)을 관통하여 테두리 내측으로 위치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147)과, 양단이 지지틀(141)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축(147)으로부터 이격하여 테두리 내측으로 위치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된 구동축(145)과, 폭을 가지는 환형으로서 양측이 상기 회전축(147)과 구동축(145)에 걸리어 상기 테두리 내측으로 위치하는 망체(143)로 이루어진다. 상기 망체(143)는 금속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구동축(145)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축(145)과 일체로 회전하면서 망체(143)에 걸리어 망체(143)를 회전시키는 하나 이상의 회전구동부(1453)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축(147)에도 회전구동부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구동부(1453)는 구동축(145)으로부터 반지름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일 수 있으며, 기어 등을 구동축(145)에 삽입시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구동축(145)의 일단으로 테두리 외측으로 연장되며 오목하게 삽입홈(1452)이 형성된 돌출부(1451)가 구비된다. 상기 돌출부(1451)에 도시하지 않은 제2 모터의 모터축(161)이 결합하여 구동축(145)이 구동된다. 구동축(145)을 구동하는 제2 모터는 상기 제1 수납부(111)에 설치되고, 도 4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축(161)이 본체(110)로부터 돌출되어 구동축(145)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1에서 도면부호 1611은 상기 삽입홈(1452)에 삽입되는 연장돌출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구동축(145)에 연장돌출부가 구비되고 모터축(161)에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 모터(163), 제2 모터 및 발열부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에 연결되어 역시 제어부에 연결된 키이부의 입력 신호에 따라 작동하게 된다.
상기 컨베이어부(140)는 도 5, 도 8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틀(141)의 외측에 복수의 안내부 지지부재(114)를 구비한다. 상기 안내부 지지부재(114)는 하부수용부(113)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안내부 지지부재(114)는 본체(110)로부터 이격되어 제1 개구부(1133)를 지나서 위치하여 개구부(112)의 전방으로 설치되는 안내부(120)의 하단을 지지한다. 상기 안내부 지지부재(114)는 본체(110)와 대면하며 지지틀(141)의 상부로 연장된 판상의 전면부(1141)와, 상기 전면부(1141)의 측방으로 구비되어 상기 본체(110)를 향하여 연장되며 상부에 안내부(120)의 하부가 안착하는 단턱부(1145)를 가지는 측면부(1143)로 이루어진다. 상기 개구부(112)에 구비되는 안내부(120)는 일측은 상기 개구부(112)에 걸리고 타측은 상기 안내부 지지부재(114)의 단턱부(1145)에 안착하여 컨베이어부(140)의 상부로, 개구부(112)의 전방으로 위치한다. 도 8에서 도면부호 146은 망체(143)의 회전 방향으로 지지틀(141)의 일측에 구비되는 엔드부재로서 망체(143)에서 안내부(120) 사이를 지나온 피구이체가 망체(143)로부터 이탈하 여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안내부 지지부재(114)는 본체(110)와 대면하는 판상의 전면부(1141)로 이루어지므로 작은 하중에 의하여 도 10에 화살표로 도시한 방향으로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체(110)로부터 단턱부(1145)까지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정하여 안내부(120)를 안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에서 도면부호 148은 지지부재(114)의 반대 쪽으로 지지틀(141) 일측에 구비되어 피구이체가 망체(143)에 적치될 때 지지틀(141)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하는 돌출방지부재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이송 구이장치(100)는 본체(110)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115)를 구비한다. 상기 커버(115)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112)의 상부로 본체(110)에 경첩(117)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커버(115)는 단면이 "┏"자 형태로서 우측 상단이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양측면으로 개구부(112) 전방에 구비되는 연결부(120)의 양측으로 위치하는 측면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커버(115)와 본체(110)에는 고정장치(116)가 구비되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15)는 본체(110)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115)를 닫았을 경우, 상기 커버(115)의 측면부재와 본체(110) 사이에는 피구이체의 이송 방향 양측으로 제2 개구부(105)가 형성되며, 상기 제2 개구부(105)를 통하여 양측으로 컨베이어부(140)가 돌출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115)를 열어 컨베이어부(140)와 안내부(120)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이송 구이장치(100)의 작동을 설명한다. 컨베이버부(140) 의 망체(143) 위에 통닭이나 피자와 같은 피구이체를 적치하고, 키이부(130)에 작동 명령을 입력하면, 버너(발열체)가 작동하고, 제1 모터(163)가 구동하여 열풍팬(161)이 회전하면서 열풍이 안내부(120)로 공급된다. 그리고 제2 모터가 구동되어 피구이체는 망체(143)의 회전과 함께 안내부(120) 사이로 서서히 이송된다. 열풍팬(161)과 발열체에 의하여 공급되는 열풍은 도 13에 화살표 A로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부재(165)와, 제1 안내부재(1651) 및 제2 안내부재(1137)에 의하여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안내부(120)의 통로(128)로 안내되며, 통로(128)로 연장된 가이드부재에 의하여 차례로 방향이 전환되어 하판(123)의 통공(1231)을 통하여 망체(143) 위의 피구이체로 전달된다. 그리고 화살표 B로 표시한 바와 같이 다시 하판(123)의 통공(1231)과 중간부(125)의 통공(1251)을 통하여 정화부(129)를 거치면서 회수되어 순환된다. 정화부(129)를 거치면서 정화부(129)로부터 발생하는 원적외선이 포함되어 다시 피구이체로 전달되는 한편, 순환되는 열풍에 포함된 유해 물질은 정화부(129)에 포집되어 제거되므로, 위생적인 조리가 가능하게 된다.
도 13에서 도면 부호 1158은 커버(115)에 구비되어 커버(115)와 본체(110) 사이에 발생하는 틈새의 내측에 위치하여 열풍이 틈새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판을 도시한 것이다.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원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원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는 본원 발명의 권리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구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구이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이송 구이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이송 구이장치로서 커버를 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이송 구이장치를 이루는 안내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일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르는 이송 구이장치를 이루는 컨베이어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컨베이어부를 이루는 구동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컨베이어부에 구비되는 안내부 지지부재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모터축과 구동축의 연결 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일부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이송 구이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이송 구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Claims (7)

  1. 개구부(112)와 제1 개구부(1133)가 형성된 중공의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 내에 위치하며 제1 모터(163)에 연결된 열풍팬(161)을 구비하여 안내부(120)로 열풍를 공급하는 송풍부(160)와, 상기 개구부(112)와 제1 개구부(1133)에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복수의 안내부(120)와, 상기 안내부(120) 사이에 구비되어 커버(115)의 양측으로 돌출되며 피구이체를 이송하는 컨베이어부(140)와, 상기 본체(110) 내에 송풍부(160)의 일측으로 구비되는 발열부와, 상기 안내부(120)를 덮도록 상기 본체(110)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커버(115)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부(120)는 서로 이격된 측판(121)과, 상기 측판(121) 사이에 위치하며 복수의 통공(1231)이 형성된 하판(123)과, 상기 측판(121) 사이에서 하판(123)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며 하판(123)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된 복수의 가이드부재로 이루어진 중간부(125)와, 상기 측판(121) 사이에서 위치하며 중간부(125)로부터 하판(123)의 반대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122)와, 상기 중간부(125)와 고정부재(122) 사이에 위치하는 정화부(129)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내부(120)는 하판(123)이 서로 마주 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구이장치(100).
  2. 일측으로 개구부(112)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112)의 하부에서 개구부(112)의 형성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며 개구부(112)의 형성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제1 개구부(1133)가 형성된 중공의 하부수용부(113)를 가지는 본체(110)와; 상기 본 체(110) 내에 위치하며 제1 모터(163)에 연결된 열풍팬(161)을 구비하여 안내부(120)로 열풍를 공급하는 송풍부(160)와; 상기 개구부(112)의 전방과 제1 개구부(1133)에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며 서로 이격된 측판(121)과, 상기 측판(121) 사이에 위치하며 복수의 통공(1231)이 형성된 하판(123)과, 상기 측판(121) 사이에서 하판(123)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는 중간부(125)와, 상기 하판(123)과 중간부(125) 사이의 하류 단부에 위치하여 하판(123)과 중간부(125) 사이에 형성된 통로(128)를 차단하는 받침판(127)으로 이루어지며, 하판(123)이 서로 마주 보게 구비되는 복수의 안내부(120)와; 상기 안내부(120) 사이에 구비되어 커버(115)의 양측으로 돌출되며 피구이체를 이송하는 컨베이어부(140)와; 상기 본체(110) 내에 송풍부(160)의 일측으로 구비되는 발열부와; 단면이 "┏"자 형태로서 우측 상단이 상기 개구부(112)의 상부로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양측면으로 개구부(112) 전방에 구비되는 연결부(120)의 양측으로 위치하는 측면부재를 구비하는 커버(11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이송 구이장치(100).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길이는 하류 쪽에 위치할수록 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구이장치(100).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125)의 가이드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통공(1251)은 안내부(12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가이드부재의 하류 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하류를 향하며 길이 방향 에 대한 가이드부재 사이의 경사각(θ)은 90°보다는 크고 180°보다는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구이장치(100).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는 개구부(112)의 하부에서 개구부(112)의 형성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중공의 하부수용부(113)와, 상기 하부수용부(113)가 돌출된 방향으로 개구부(112)와 하부수용부(113) 사이에 상기 하부수용부(113)의 돌출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1101)를 가지고; 상기 제1 개구부(1133)는 하부수용부(113)에 상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컨베이어부(140)는 상기 걸림돌기(1101)와 하부수용부(113)의 상면에 의하여 지지되어 제1 개구부(1133) 상부로 위치하며, 상기 하부수용부(113)는 제1 개구부(1133)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컨베이어부(140)의 하부로 위치하는 지지판(119)을 가지며; 상기 안내부(120) 중 하나는 상기 개구부(112)의 전방으로 구비되고, 상기 안내부(120) 중 다른 하나는 하부수용부(113)의 내측 하부에 설치된 받침부재(1131)에 의하여 하부수용부(113)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개구부(1133)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구이장치(100).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부(140)는 직사각형의 테두리로 이루어진 지지틀(141)과, 양단이 지지틀(141)을 관통하여 테두리 내측으로 위치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147)과, 양단이 지지틀(141)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축(147)으로부터 이격하여 테두리 내측으로 위치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 모터에 연 결된 구동축(145)과, 환형으로서 양측이 상기 회전축(147)과 구동축(145)에 걸리어 상기 테두리 내측으로 위치하는 망체(143)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축(145)은 구동축(145)과 일체로 회전하면서 망체(143)에 걸리어 망체(143)를 회전시키는 하나 이상의 회전구동부(1453)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축(145)의 일단은 테두리 외측으로 연장되며 오목하게 삽입홈(1452)이 형성된 돌출부(1451)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구이장치(100).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부(140)는 지지틀(141)의 외측에 복수의 안내부 지지부재(114)를 구비하며; 상기 안내부 지지부재(114)는 본체(110)와 대면하며 지지틀(141)의 상부로 연장된 판상의 전면부(1141)와, 상기 전면부(1141)의 측방으로 구비되어 상기 본체(110)를 향하여 연장되며 상부에 안내부(120)의 하부가 안착하는 단턱부(1145)를 가지는 측면부(1143)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구부(112)에 구비되는 안내부(120)는 일측은 상기 개구부(112)에 걸리고 타측은 상기 안내부 지지부재(114)의 단턱부(1145)에 안착하여 컨베이어부(14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구이장치(100).
KR1020090049984A 2009-06-05 2009-06-05 이송 구이장치 KR101031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984A KR101031967B1 (ko) 2009-06-05 2009-06-05 이송 구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984A KR101031967B1 (ko) 2009-06-05 2009-06-05 이송 구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1207A KR20100131207A (ko) 2010-12-15
KR101031967B1 true KR101031967B1 (ko) 2011-04-29

Family

ID=43507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9984A KR101031967B1 (ko) 2009-06-05 2009-06-05 이송 구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19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96220A (zh) * 2016-01-07 2016-04-20 胡启德 一种旋转烤盘式空气炸锅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192B1 (ko) * 2010-11-23 2013-06-28 전경표 이송 구이장치
KR102367292B1 (ko) * 2018-03-29 2022-02-25 안원기 구이장치
KR200496361Y1 (ko) * 2021-08-30 2023-01-12 원 앤 원(주) 오븐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7826B1 (ko) * 1987-01-14 1990-10-20 린컨 푸드서비스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음식물 제조용 오븐
US5423248A (en) 1989-09-22 1995-06-13 Patentsmith Corporation Air circulator for impingement heat transfer apparatus
JPH08112206A (ja) * 1994-10-17 1996-05-07 Seiriyou Denshiyou Kk コンベア式オーブン
US20080092754A1 (en) 2006-10-19 2008-04-24 Wayne/Scott Fetzer Company Conveyor ove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7826B1 (ko) * 1987-01-14 1990-10-20 린컨 푸드서비스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음식물 제조용 오븐
US5423248A (en) 1989-09-22 1995-06-13 Patentsmith Corporation Air circulator for impingement heat transfer apparatus
JPH08112206A (ja) * 1994-10-17 1996-05-07 Seiriyou Denshiyou Kk コンベア式オーブン
US20080092754A1 (en) 2006-10-19 2008-04-24 Wayne/Scott Fetzer Company Conveyor ov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96220A (zh) * 2016-01-07 2016-04-20 胡启德 一种旋转烤盘式空气炸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1207A (ko) 201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1967B1 (ko) 이송 구이장치
US10024548B2 (en) Self-cleaning oven
EP1288129A2 (en) Thermoshrinking tunnel oven for making thermoshrinking plastic material film packages and the packaging method performed thereby
EP2629012B1 (en) Pellet stove with system of self-cleaning of the brazier
KR20090021036A (ko) 이중 전기오븐의 냉각 및 배기 시스템
KR100837069B1 (ko) 훈제 구이기
US20090120304A1 (en) Apparatus for Cooking Food
KR101280192B1 (ko) 이송 구이장치
KR20100083898A (ko) 가스버너를 이용한 농산물건조기의 폐열 회수장치
CA2552187C (en) Frame seal for a solid fuel distributor
KR101318121B1 (ko) 배기부를 구비하는 회전 구이기
CN102481072A (zh) 用于加热处理食物块的烤炉
KR101318120B1 (ko) 그릴회전 구동부를 구비하는 회전 구이기
KR100837505B1 (ko) 가스버너를 이용한 농산물건조기의 폐열 회수장치
CN115560573A (zh) 一种受热均匀的隧道炉
CN111118771B (zh) 具备自动过滤装置的纤维烘燥定型机
KR200400357Y1 (ko) 꼬치구이기
KR20110080740A (ko) 구이물에 따른 화력조절이 용이한 다기능 로스터
KR200321549Y1 (ko) 고기구이기
CN111345491B (zh) 烟丝烘烤机
US20240225013A9 (en) Conveyor oven
WO2016093404A1 (ko) 스마트 에어 시스템을 구비한 난로
JP4273984B2 (ja) 穀物乾燥機
KR102662300B1 (ko) 이중 레일을 활용한 조리 시스템
JP4640002B2 (ja) 循環式穀物乾燥機における通風規制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4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4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4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1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1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22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