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79588B1 -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9588B1
KR100979588B1 KR1020087012906A KR20087012906A KR100979588B1 KR 100979588 B1 KR100979588 B1 KR 100979588B1 KR 1020087012906 A KR1020087012906 A KR 1020087012906A KR 20087012906 A KR20087012906 A KR 20087012906A KR 100979588 B1 KR100979588 B1 KR 100979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button
transparent
metal
resin sheet
transparent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2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5125A (ko
Inventor
카츠히코 카토
히토시 우치야마
Original Assignee
신에츠 폴리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323562A external-priority patent/JP428265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055956A external-priority patent/JP4594880B2/ja
Application filed by 신에츠 폴리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신에츠 폴리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5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5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9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9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8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f rectilinearly movable switches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layers, e.g. by their material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9/00Layers
    • H01H2209/002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9/00Layers
    • H01H2209/002Materials
    • H01H2209/0021Materials with metallic appearance, e.g. polymers with dispersed particles to produce a metallic appeara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9/00Layers
    • H01H2209/068Properties of the membrane
    • H01H2209/07Properties of the membrane metall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9/00Manufacturing
    • H01H2229/044Injection moul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5Switch m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자연스러운 금속감과 고급감을 부여하고, 정확한 푸시 버튼의 배치와 박형화를 도모하고, 또한 더러워지기 어려운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로 하기 위해서, 서로 이웃하는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의 간극에 투명한 유기 고분자체(15)가 충전된 형태를 가지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1)로서, 투명한 유기 고분자체(15)가 간극의 내측면으로부터 푸시 버튼의 상면측으로 뻗어나가는 투명한 수지 시트(11)와, 당해 투명한 수지 시트(11)의 내측에 있는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12)를 포함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1)로 한다.
푸시 버튼, 간극, 충전, 유기 고분자체, 고무상 탄성체

Description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 및 그 제조 방법{MEMBER FOR PUSH BUTTON SWITCH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 기기의 조작면에 이용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push button switch)용 부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기, 특히 휴대 전화의 조작면에 이용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의 업계에서는, 디자인(design) 및 기능의 다양화가 더욱더 강해져 오고 있다. 근년 들어, 휴대 전화 등의 전자 기기에 이용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에는, 고급감이 있는 디자인으로서 금속조(調)의 외관을 가지는 것이 이용되고 있다. 당해 금속조의 외관을 가지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는 푸시 버튼(push button)의 표면측으로부터 도금층, 수지 성형부, 그리고 베이스 러버(base rubber)의 순으로 적층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도금층은 예를 들면 니켈(nickel) 도금, 동 도금, 크롬(chromium) 도금으로 이루어진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도금층을 보호하기 위해 도금층의 표면에 투명한 수지 도장층을 형성하는 기술도 알려져 있다. 또, 금속 증착을 한 수지 필름(film)을 드로잉(drawing)하여, 그것을 겉껍데기로 하고 그 내부에 수지 또는 고무로 이루어지는 심재를 충전하여 일체화한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도 알려져 있다.
또, 휴대 전화 등의 전자 기기의 고급감을 더 높일 수 있도록, 실리콘(silicone) 고무 등의 연질 시트(sheet)의 표면에 금속제의 푸시 버튼을 붙인 구조를 가지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이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는 또한 어두운 장소에서의 사용 및 디자인성을 고려하여, 푸시 버튼 자체에 숫자 등의 형상의 구멍을 뚫고, 그 구멍에 투명한 수지를 끼워넣고, 푸시 버튼의 이면측으로부터 광을 쬠으로써 숫자 등을 시인(視認)하기 쉽게 하고 있다.
또한, 휴대 전화 등의 전자 기기에는 박형의 요구도 강하다. 이 때문에, 휴대 전화 등의 전자 기기에 장착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에 대해서도 박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3-129248호 공보(특허청구의 범위 등)
특허문헌 2: 한국 특허공개 100454203호 공보(특허청구의 범위 등)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상술의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수지 성형부 표면에 도금층을 형성함으로써 금속조의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를 제조하는 경우, 도금층이 벗겨지기 쉽고, 장기간의 사용에 견딜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도금 처리에 의해 금속조를 부여하면, 생산성이 나쁘고, 또한 환경에 악영향을 준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더 나아가, 도금 처리를 한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는 금속조의 소재감을 어느 정도 표현할 수 있지만, 아무래도 자연스러운 금속감을 주는 것은 어렵다. 또, 금속조를 한 수지제의 푸시 버튼의 경우, 소재로서 수지를 이용하는 이상,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어느 정도의 두께가 필요하게 된다. 그것은 박형화를 도모하는데 있어서의 장해가 된다.
한편,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은 연질 시트의 표면에 금속제의 푸시 버튼을 붙이는 경우에는, 금속제의 푸시 버튼을 이용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문제는 거의 없다. 그러나, 개개의 금속제의 푸시 버튼을 키패드(keypad) 위에 정확하게 위치를 결정하여 접착시키는 공정은 극히 번잡한 공정이다. 또, 금속제의 푸시 버튼의 간극에 실리콘 고무 등의 연질 시트가 존재하기 때문에, 그 간극 부분이 비교적 마찰 계수가 커져, 더러운 것 및 먼지가 붙기 쉽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자연스러운 금속감과 고급감을 가지고, 정확한 푸시 버튼의 배치와 박형화를 도모하고, 또한 더러워지기 어려운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로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로 이웃하는 금속제의 푸시 버튼의 간극에 투명한 유기 고분자체가 충전된 형태를 가지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로서, 유기 고분자체가 간극의 내측면으로부터 푸시 버튼의 상면측으로 뻗어나가는 투명한 수지 시트와, 당해 투명한 수지 시트의 내측에 있는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를 포함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푸시 버튼은 금속제의 부재이기 때문에, 도금층과 수지 성형부의 밀착력이 저하되는 것과 같은 문제가 생기지 않고, 또한 자연스러운 금속감을 실현할 수 있다. 또, 금속제의 푸시 버튼을 이용함으로써 그 박형화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는, 서로 이웃하는 금속제의 푸시 버튼의 간극에 투명한 수지 시트로 덮이는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를 충전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금속제의 푸시 버튼끼리의 간극에, 투명한 수지 시트라고 하는 마찰 계수가 비교적 작은 재료가 개재한다. 따라서, 더러운 것이나 먼지 등이 붙기 어렵다. 또한, 금속제의 푸시 버튼은 유기 고분자체에 개개로 붙이고 있지 않기 때문에, 푸시 버튼의 정확한 배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은 앞의 발명에 있어서, 투명한 수지 시트에 있어서의 적어도 금속제의 푸시 버튼의 상면측으로 뻗어나가는 부분에, 인쇄층 또는 착색층을 가지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금속제의 푸시 버튼의 각각에 대해서 그 기능을 표시시킬 수가 있다. 특히,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의 이면측으로부터 광을 조사하면, 어두운 장소에서도 그 인쇄층 또는 착색층의 부분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어두운 장소에서의 사용이 용이하게 된다. 금속제의 푸시 버튼에 구멍을 설치하여 투명한 수지 시트가 보이는 구성으로 하는 경우에는, 금속제의 푸시 버튼의 이면측에도 인쇄층 혹은 착색층을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또, 다른 본 발명은 앞의 각 발명에 있어서, 금속제의 푸시 버튼의 표면에 요철 혹은 구멍을 설치하고, 숫자, 기호, 모양 혹은 그림을 형성한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금속제의 푸시 버튼의 표면에 요철 혹은 구멍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푸시 버튼의 조작에 의해 당해 요철 혹은 구멍으로 그려진 상기 숫자 등이 지워질 가능성은 극히 낮아지게 된다. 당해 요철 혹은 구멍으로 형성되는 모양은, 예를 들면 레이저(laser), 프레스(press), 에칭(etching), 매트(mat)나 헤어라인(hairline) 등의 가공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 금속제의 푸시 버튼에 구멍을 뚫은 경우, 당해 푸시 버튼의 이면측으로부터 광을 조사함으로써 그 모양의 부분을 시인하기 쉽게 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특히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를 이용한 전자 기기를 어두운 장소에서 사용할 때에 편리하다.
또, 다른 본 발명은 앞의 각 발명에 있어서,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에 있어서의 금속제의 푸시 버튼과 반대측의 면과, 그 하방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의 사이에, 발광 부재를 배치한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푸시 버튼끼리의 간극을 빛나게 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해, 각 푸시 버튼의 장소를 시인하기 쉽게 되고,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를 이용한 전자 기기를 어두운 장소에서 사용할 때에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발광 부재로서는 예를 들면 LED, EL 시트를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가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은 앞의 각 발명에 있어서, 금속제의 푸시 버튼에 그 표리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을 형성하고, 투명한 유기 고분자체를 그 구멍으로부터 금속제의 푸시 버튼의 상면측으로 뻗어나가게 한 형태를 가지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당해 푸시 버튼의 이면측으로부터 광을 조사함으로써 푸시 버튼의 준별을 하기 쉽게 된다. 이 때문에, 특히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를 이용한 전자 기기를 어두운 장소에서 사용할 때에 편리하다. 더 나아가, 그 구멍에 투명한 유기 고분자체가 충전되어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티끌 혹은 먼지가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가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은 앞의 각 발명에 있어서,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보다 하방에 스위치를 누르기 위한 누름자를 구비한 시트를 가지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최초부터 누름자를 구비한 시트를 붙이고 있으므로, 휴대 전화 등의 전자 기기를 조립하기 쉽게 된다.
또, 다른 본 발명은 앞의 각 발명에 있어서, 투명한 유기 고분자체를 금속제의 푸시 버튼의 표면보다도 돌출시킨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투명한 유기 고분자체가 금속제의 푸시 버튼의 표면보다도 움푹 들어가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금속제의 푸시 버튼끼리의 간극에 티끌 혹은 먼지가 쌓이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금속제의 푸시 버튼 자체를 관통하는 구멍에 투명한 유기 고분자체가 충전되어 있는 경우에는, 당해 푸시 버튼 자체의 식별이 용이하게 되는 외에, 투명한 유기 고분자체가 금속제의 푸시 버튼의 표면보다도 움푹 들어가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당해 관통하는 구멍에 충전된 투명한 유기 고분자체의 부분에 티끌 혹은 먼지가 쌓이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금속제의 푸시 버튼의 표면보다도 돌출」의 의미는, 당해 푸시 버튼의 표면이 비평면 형상인 경우에는, 투명한 유기 고분자체의 테두리에 있어서의 금속제의 푸시 버튼의 표면 부분보다도, 당해 투명한 유기 고분자체가 돌출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금속제의 푸시 버튼끼리의 간극에 있는 투명한 유기 고분자체의 높이가, 중앙이 볼록 형상인 금속제의 푸시 버튼의 천정 부분보다도 낮은 경우라도, 당해 푸시 버튼의 테두리보다도 높으면, 금속제의 푸시 버튼의 표면보다도 돌출되어 있게 된다.
또, 다른 본 발명은, 서로 이웃하는 금속제의 푸시 버튼의 간극에 투명한 유기 고분자체가 충전된 형태를 가지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의 제조 방법으로서, 금속판의 일면에 투명한 수지 시트를 붙이는 공정과, 금속판에 있어서의 당해 투명한 수지 시트를 붙인 면과 반대측의 면으로부터 그 투명한 수지 시트에 이를 때까지 에칭하여 구멍을 형성하는 공정과, 투명한 수지 시트의 외측으로부터 구멍을 향해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를 넣어, 구멍에 투명한 수지 시트로 덮이는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를 충전하는 공정을 가지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의 제조 방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금속판의 일면측으로부터도 그 반대측에 붙인 수지 시트까지 구멍을 뚫고 있으므로, 각 푸시 버튼이 분리된 형태의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라도, 금속판을 개개의 푸시 버튼마다 분리하지 않고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를 제조할 수가 있다. 따라서, 푸시 버튼의 위치는 에칭하는 영역을 그리는 공정에 있어서의 정확함에 전적으로 의존한다. 이 때문에, 각 푸시 버튼을 붙이는 공정에 비해, 용이하고 정확하게 푸시 버튼을 배치할 수 있다. 또,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의 충전압을 이용하여, 투명한 수지 시트를 구멍에 밀어넣도록 하고 있으므로, 투명한 수지 시트와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를 개별적으로 충전할 필요가 없고, 제조 공정의 간략화가 가능하다.
또, 다른 본 발명은, 서로 이웃하는 금속제의 푸시 버튼의 간극에 투명한 유기 고분자체가 충전된 형태를 가지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의 제조 방법으로서, 금속판의 일면으로부터 그 두께의 도중 위치까지 에칭하여 오목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당해 일면의 오목부를 막도록 금속판에 투명한 수지 시트를 붙이는 공정과, 당해 투명한 수지 시트를 붙인 면과 반대측의 면으로부터 에칭하여 미리 형성되어 있는 상기 오목부와 연결되는 구멍을 형성하는 공정과, 투명한 수지 시트의 외측으로부터 구멍을 향해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를 넣고, 그 구멍에 투명한 수지 시트로 덮이는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를 충전하는 공정을 가지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의 제조 방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금속판의 양면측으로부터 에칭을 하고, 금속판의 판 두께의 소정 위치에서 연결되는 구멍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금속판의 양면측에 있어서의 구멍의 에지(edge) 부분이 깨끗하게 형성되기 쉽다. 따라서, 푸시 버튼을 정확한 형상으로 가공할 수 있다. 또, 앞의 제조 방법과 같이, 각 푸시 버튼이 분리된 형태의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라도, 금속판을 개개의 푸시 버튼마다 분리하지 않고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를 제조할 수가 있다. 따라서, 푸시 버튼의 위치는 에칭하는 영역을 그리는 공정에 있어서의 정확함에 전적으로 의존한다. 이 때문에, 각 푸시 버튼을 붙이는 공정에 비해, 용이하고 정확하게 푸시 버튼을 배치할 수 있다.
또,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의 충전압을 이용하여, 투명한 수지 시트를 구멍에 밀어넣도록 하고 있으므로, 투명한 수지 시트와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를 개별적으로 충전할 필요가 없고, 제조 공정의 간략화가 가능하다.
또, 다른 본 발명은 앞의 각 발명에 있어서, 투명한 수지 시트에 있어서의 적어도 금속제의 푸시 버튼의 상면측으로 뻗어나가는 부분에, 인쇄층 또는 착색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의 제조 방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제조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금속제의 푸시 버튼의 각각에 대해서 그 기능을 표시시킬 수가 있다. 특히,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의 이면측으로부터 광을 조사하면, 어두운 장소에서도 그 인쇄층 또는 착색층의 부분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어두운 장소에서 사용하기 쉬운 전자 기기의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를 제조할 수가 있다. 또, 금속제의 푸시 버튼에 구멍을 설치하여, 투명한 수지 시트가 보이는 구성으로 하는 경우에는, 금속제의 푸시 버튼의 이면측에도 인쇄층 혹은 착색층을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또, 다른 본 발명은 앞의 각 발명에 있어서, 금속제의 푸시 버튼의 표면에 요철 혹은 구멍을 설치하고, 숫자, 기호, 모양 혹은 그림을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의 제조 방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금속제의 푸시 버튼의 표면에 요철 혹은 구멍을 형성하는 공정을 채용하고 있으므로, 푸시 버튼의 조작에 의해 당해 요철 혹은 구멍으로 그려진 상기 숫자 등이 지워질 가능성이 극히 낮은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를 제조할 수 있다. 당해 요철 혹은 구멍으로 형성되는 모양은, 예를 들면 레이저, 프레스, 에칭, 매트나 헤어라인 등의 가공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 금속제의 푸시 버튼에 구멍을 뚫은 경우, 당해 푸시 버튼의 이면측으로부터 광을 조사함으로써, 그 모양의 부분을 시인하기 쉽게 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특히 어두운 장소에서 사용하기 쉬운 전자 기기의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를 제조할 수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은 앞의 각 발명에 있어서,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에 있어서의 금속제의 푸시 버튼과 반대측의 면과, 그 하방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의 사이에, 발광 부재를 배치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의 제조 방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제조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푸시 버튼끼리의 간극을 빛나게 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해, 각 푸시 버튼의 장소를 시인하기 쉽게 되고, 어두운 장소에서 사용하기 쉬운 전자 기기의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를 제조할 수 있다. 발광 부재로서는 예를 들면 LED, EL 시트를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가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은 앞의 각 발명에 있어서, 금속제의 푸시 버튼에 그 표리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을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고,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를 충전하는 공정에서는, 투명한 유기 고분자체를 그 구멍으로부터 금속제의 푸시 버튼의 상면측으로 뻗어나가게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의 제조 방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제조 방법을 채용하면, 당해 푸시 버튼의 이면측으로부터 광을 조사함으로써 푸시 버튼의 준별을 하기 쉽게 된다. 이 때문에, 특히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를 이용한 전자 기기를 어두운 장소에서 사용할 때에 편리하다. 더 나아가, 그 구멍에 투명한 유기 고분자체가 충전되어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티끌 혹은 먼지가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가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은 앞의 각 발명에 있어서,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보다 하방에 스위치를 누르기 위한 누름자를 구비한 시트를 가지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의 제조 방법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를 이용하여 휴대 전화 등의 전자 기기를 조립하기 쉽게 된다.
또, 다른 본 발명은 앞의 각 발명에 있어서,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를 충전하는 공정에서는, 투명한 유기 고분자체를 금속제의 푸시 버튼의 표면보다도 돌출시키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의 제조 방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제조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투명한 유기 고분자체가 금속제의 푸시 버튼의 표면보다도 움푹 들어가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금속제의 푸시 버튼끼리의 간극에 티끌 혹은 먼지가 쌓이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금속제의 푸시 버튼 자체를 관통하는 구멍에 투명한 유기 고분자체가 충전되어 있는 경우에는, 당해 푸시 버튼 자체의 식별이 용이하게 되는 외에, 투명한 유기 고분자체가 금속제의 푸시 버튼의 표면보다도 움푹 들어가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당해 관통하는 구멍에 충전된 투명한 유기 고분자체의 부분에 티끌 혹은 먼지가 쌓이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를 구성하는 금속제의 푸시 버튼의 재료로는,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 외에 알루미늄(aluminum), 마그네슘(magnesium), 동, 아연, 티타늄(titanium) 등과 이들의 합금류를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가 있고, 특히 스테인리스강계를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만, 상술의 금속은 일례에 지나지 않고, 다른 금속 재료를 채용해도 좋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를 구성하는 투명한 유기 고분자체의 재료는, 투명한 수지 시트와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로 이루어져 있다. 투명한 수지 시트의 재료로는 PET 이외에 우레탄(urethane)계,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계, 폴리스티렌(polystyrene)계나 폴리에스테르(polyester)계 등의 연전성(延展性)이 풍부한 투명 수지를 채용해도 좋다. 또,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의 재료로서 특히 바람직한 것은 실리콘 고무이다. 다만, 실리콘 고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로서 예를 들면 우레탄 고무를 채용해도 좋다. 또, 본 발명에서 말하는 「투명한」은 무색 투명, 유색 투명 및 반투명을 포함하도록 광의로 해석되는 것으로 한다.
금속제의 푸시 버튼은 각각 분리된 상태라도, 혹은 복수개 모인 상태라도 좋다. 또한, 당해 푸시 버튼은 모두 분리되지 않고, 각 푸시 버튼의 주위의 일부에 칼자국을 낸 상태에서 연접된 상태라도 좋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자연스러운 금속감과 고급감을 가지고, 정확한 푸시 버튼의 배치와 박형화를 도모하고, 또한 더러워지기 어려운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로 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의 평면도 (a) 및 당해 평면도 (a)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 (b)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b)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flowchart)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를 제조하는 각 공정에 있어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를 제조하는 각 공정에 있어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에 있어서, 도 1의 A-A선과 동일 선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의 일부 확대도이다. (a)는 금속제의 푸시 버튼의 표면에 형성된 투명한 수지 도장층과 투명한 유기 고분자체가 면 하나의 상태로 되어 있는 예를 나타낸다. 또, (b)는 투명한 유기 고분자체가 투명한 수지 도장층보다 표면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는 예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의 평면도 (a) 및 당해 평면도 (a)에 있어서의 B-B선 단면도 (b)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의 평면도 (a) 및 당해 평면도 (a)에 있어서의 C-C선 단면도 (b)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와 아울러,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를 구성하고 있는 복수의 금속제의 푸시 버튼의 하나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금속제의 푸시 버튼의 하나를 D-D선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와, 금속제의 푸시 버튼의 하방에 배치되는 기판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 를 제조하는 각 공정에 있어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7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를 구성하는 금속제의 푸시 버튼의 하나를, 도 10에 나타내는 D-D선과 마찬가지의 선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와, 금속제의 푸시 버튼의 하방에 배치되는 기판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7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7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를 제조하는 각 공정에 있어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8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E-E선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8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8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를 제조하는 각 공정에 있어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9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를 도 17의 E-E선과 마찬가지의 선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푸시 버튼 스위치(push button switch)용 부재
10  금속제의 푸시 버튼(push button)
10a  금속판
11  투명한 수지 시트(sheet)
12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
12a  누름자
13  투명한 수지 도장층
14  발광 부재
15  투명한 유기 고분자체
16  푸셔 시트(pusher sheet)(시트)
16a  누름자
20  구멍
21  오목부
25  인쇄층, 착색층
30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
40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
50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
60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
61  기판
62  고정 접점(스위치(switch))
63  고정 접점(스위치(switch))
64  금속제의 접시 스프링(spring)
70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
80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
90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
이하, 본 발명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 및 그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각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술한다. 각 실시의 형태에서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를 휴대 전화의 조작부로서 채용한 예로 설명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하는 각 실시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휴대 전화 이외의 전자 기기, 예를 들면 노트(notebook)형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전자 수첩 등의 조작부에도 채용 가능하다.
(제1의 실시의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의 평면도 (a) 및 당해 평면도 (a)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 (b)이다. 또,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b)의 일부 확대도이다.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1)는 복수의 금속제의 푸시 버튼(10)과, 이들 금속제의 푸시 버튼(10)끼리의 간극을 메우도록 배치되는 투명한 유기 고분자체(15)(투명한 수지 시트(11)와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12)를 포함한다)와, 각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의 표면에 도포되는 투명한 수지 도장층(13)과, 투명한 유기 고분자체(15)의 이면측(금속제의 푸시 버튼(10)과 반대측)에 배치되는 발광 부재(14)를 주로 구 비하고 있다.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은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1)에 있어서의 누름 가능한 조작 부분이다.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의 조작면에는 프레스에 의해, 숫자와 알파벳(alphabet)의 양 모양이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만, 당해 조작면에 형성되는 모양은 숫자, 알파벳 이외의 모양(예를 들면, 기호나 그림 등)이라도 좋고, 또 레이저, 에칭, 매트나 헤어라인 등의 가공 방법에 의해 형성된 것이라도 좋다. 또,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의 재료로서는 스테인리스강을 이용하고 있다. 다만, 알루미늄, 마그네슘, 동, 아연, 티타늄, 혹은 각종 합금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을 형성하기 위한 금속판(10a)의 바람직한 두께는 0.1mm 이상 0.5mm 이하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mm 이상 0.25mm 이하의 범위로 한다. 이러한 두께의 범위를 채용함으로써 조작에 의한 변형이 생기기 어렵고, 또한 박형의 요구에도 대응할 수 있다. 다만, 금속판(10a)의 두께는 상술의 범위에 한정되지 않고, 0.1mm 미만으로 하거나 0.5mm를 초과하도록 설계해도 좋다.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의 조작면에 형성되어 있는 투명한 수지 도장층(13)에는, 고경도의 아크릴(acryl)계, 폴리카보네이트계, 에폭시(epoxy)계, 옥세탄(oxetane)계 등의 투명한 합성 수지 외에, 이들보다 경도가 낮은 우레탄계 혹은 불소계 등의 투명한 합성 수지를 사용할 수가 있다.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의 금속 외관을 유지하면서, 조작시의 감촉, 금속의 깔쭉깔쭉한 부분(burr) 등에 접촉하는 것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당해 투명한 수지 도장층(13)으로서는, 특히 경도가 높은 수지 도료를 이용하는 편이 보다 바람 직하다. 다만, 상술의 수지 도료는 일례에 지나지 않고, 다른 수지 도료를 채용해도 좋다. 또한, 투명한 수지 도장층(13)은 필수의 층은 아니고, 금속의 종류 및 깔쭉깔쭉한 부분 등이 발생하지 않는 가공의 선택에 의해, 조작시의 감촉이 좋고 손상의 위험성이 낮은 경우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투명한 유기 고분자체(15)를 구성하고 있는 투명한 수지 시트(11)는 연전성을 가지는 투명한 시트상의 수지이고,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PBT), 폴리카보네이트(PC), 우레탄 등의 유기 고분자 화합물 또는 이들의 복합물이다. 예를 들면, PC와 PBT의 알로이(alloy)도 드로잉 특성이 풍부하여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투명한 유기 고분자체(15)를 구성하고 있는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12)는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우레탄 고무 등이다. 다만,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12)로서 다른 재료(예를 들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 등)를 채용해도 좋다. 투명한 수지 시트(11)의 바람직한 두께는 0.03mm 이상 0.2mm 이하의 범위로 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mm 이상 0.1mm 이하의 범위로 한다. 후술하듯이 투명한 수지 시트(11)가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12)의 충전에 의해 구멍이 뚫리지 않고, 또한 금속제의 푸시 버튼(10)끼리의 간극에 부드럽게 뻗어 들어가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다만, 투명한 수지 시트(11)의 두께는 0.03mm 미만으로 하거나 0.2mm를 초과하도록 해도 좋다.
도 1에 나타내듯이, 투명한 수지 시트(11)는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의 간극에 있어서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12)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의 조작면측에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12)가 노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의 간극에 더러운 것이나 먼지가 부착하기 어렵다. 더 나아가, 금속제의 푸시 버튼(10)과 당해 푸시 버튼(10)끼리의 간극에 배치되는 투명한 수지 시트(11)가 거의 동일 평면이 되도록,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1)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금속제의 푸시 버튼(10)끼리의 간극에 더러운 것 등이 더 부착하기 어렵다.
또,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12)와, 그 하방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의 사이에는 발광 부재(14)가 설치되어 있다. 발광 부재(14)로서는 EL 시트를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다만, EL 시트 이외의 발광 부재(14)(예를 들면, LED)를 채용해도 좋다. 이와 같이, 발광 부재(14)를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12)의 하방에 배치함으로써, 발광 부재(14)의 발광에 의해 투명한 수지 시트(11)를 빛나게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어두운 장소에서도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1)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또,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의 조작면에 구멍을 뚫어, 각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의 기능(예를 들면, 숫자와 알파벳)을 표시해 두면, 발광 부재(14)를 발광 시켰을 때에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12), 투명한 수지 시트(11), 당해 구멍을 통하여 조작면측에 그 구멍의 형상대로의 광을 시인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어두운 장소에 있어서 각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을 더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구멍을 뚫지 않고,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의 조작면으로부터 그 반대측의 면에 이르기 직전의 깊이까지 오목부를 형성하고, 당해 오목부의 저면을 다른 영역보다 얇게 함으로써, 오목부의 형상대로 광을 투과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오목부를 형성한 경우라도, 어두운 장소에 있어서 각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을 더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다음에, 제1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1)의 제조 방법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제1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1)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또, 도 4는 제1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1)를 제조하는 각 공정에 있어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먼저,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의 가공 전의 상태인 금속판(10a)의 일면측에 투명한 수지 시트(11)를 접착시킨다(스텝 S101). 이 접착에는 가열에 의해 접착 기능을 발휘하는 열강화성의 접착제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양면 테이프(tape)나 실온에서 경화 가능한 점착제를 이용해도 좋다. 이 스텝 S101에 의해,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1)는 도 4의 (a) 내지 (b)에 나타내는 상태로 된다. 다음에, 금속판(10a)에 있어서의 투명한 수지 시트(11)를 붙인 면과는 반대측의 푸시 버튼으로 되는 표면에, 프레스에 의해 모양을 형성한다(스텝 S102).
다음에, 투명한 수지 시트(11)에 도달할 때까지 금속판(10a)의 에칭을 한다(스텝 S103). 이 결과 구멍(20)이 형성된다. 이 스텝 S103에 의해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1)는 도 4의 (b) 내지 (c)에 나타내는 상태로 된다.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설계의 자유도, 가공 정밀도가 높음, 초기 비용이 낮음 등의 장점을 가지는 에 칭 방법으로서 포토에칭(photoetching)을 채용하고 있다. 또한, 포토에칭 이외의 구멍(20)의 형성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정밀 가공용의 공구를 이용한 기계 가공을 채용해도 좋다.
다음에,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의 표면에 투명한 수지 도장층(13)을 형성한다(스텝 S104). 이 공정은 예를 들면 스프레이(spray)나 도포, 도장 등의 방법에 의해 행해진다. 이 공정은 투명한 수지 도장층(13)과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을 밀착시키고,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에 생긴 깔쭉깔쭉한 부분 등에 접촉함으로써 손을 다치거나, 터치(touch)의 감촉을 나쁘게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행해진다. 또,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의 조작면에 형성되는 모양에 더러운 것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기도 하다. 이 스텝 S104에 의해,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1)는 도 4의 (c) 내지 (d)에 나타내는 상태로 된다.
다음에, 투명한 수지 시트(11)를 붙인 측으로부터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12)를 고압으로 구멍(20)을 향해 충전한다(스텝 S105). 이 결과,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12)는 투명한 수지 시트(11)를 구멍(20)으로 밀어넣으면서 그 자신도 구멍(20)으로 충전된다.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12)의 충전시의 압력은 200kgf/cm2 이하로 하고, 동 충전시의 온도를 100∼180℃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압력 및 온도 모두 상술의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투명한 수지 시트(11) 및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12)의 재질 등의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가 있다. 이 스텝 S105에 의해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1)는 도 4의 (d) 내지 (e)에 나타내 는 상태로 된다. 즉, 투명한 수지 시트(11)는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의 이면으로부터 간극의 내측면을 따라 당해 간극의 상면을 형성하도록 연전(延展)된다. 또,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12)는 투명한 수지 시트(11)의 이면측으로부터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의 이면측에 걸쳐 존재한다. 
다음에,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12)의 이면측으로부터 발광 부재(14)를 붙인다(스텝 S106). 붙이는 방법으로서는 접착제, 양면 테이프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스텝 S106에 의해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1)는 도 4의 (e) 내지 (f)에 나타내는 상태로 된다.
(제2의 실시의 형태)
다음에, 본 발명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 및 그 제조 방법의 제2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는, 먼저 설명한 제1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1)와 동일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제2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에 대해서도 제1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1)와 동일 부호를 이용하는 것으로 한다. 또, 제2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1)를 구성하는 구성부에 대해서도, 제1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1)를 구성하는 구성부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부호를 이용하여 제1의 실시의 형태와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제2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1)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또, 도 6은 제2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1)를 제조하는 각 공정에 있어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먼저, 금속판(10a)의 일면측으로부터 금속판(10a)의 두께의 도중까지 에칭을 하여 오목부(21)를 형성한다(스텝 S201). 에칭에 대해서는 제1의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포토에칭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텝 S201에 의해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1)는 도 6의 (a)에 나타내는 상태로 된다.
다음에, 금속판(10a)에 있어서의 오목부(21)의 개구측의 면에 투명한 수지 시트(11)를 접착시킨다(스텝 S202). 이 접착에는 가열에 의해 접착 기능을 발휘하는 열강화성의 접착제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양면 테이프나 실온에서 경화 가능한 점착제를 이용해도 좋다. 이 스텝 S202에 의해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1)는 도 6의 (a) 내지 (b)에 나타내는 상태로 된다. 다음에, 금속판(10a)에 있어서의 투명한 수지 시트(11)를 붙인 면과는 반대측의 푸시 버튼으로 되는 표면에 프레스에 의해 모양을 형성한다(스텝 S203).
다음에, 오목부(21)의 개구측과 반대측으로부터 에칭을 하여 오목부(21)로 연결되는 구멍(20)을 형성한다(스텝 S204). 이 스텝 S204에 의해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1)는 도 6의 (b) 내지 (c)에 나타내는 상태로 된다.
다음에,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에 있어서의 투명한 수지 시트(11)를 붙인 면과 반대측의 면에 투명한 수지 도장층(13)을 형성한다(스텝 S205). 이 스텝 S205에 의해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1)는 도 6의 (c) 내지 (d)에 나타내는 상태로 된 다.
다음에, 투명한 수지 시트(11)를 붙인 측으로부터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12)를 고압으로 구멍(20)을 향해 충전한다(스텝 S206). 이 결과,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12)는 투명한 수지 시트(11)를 구멍(20)으로 밀어넣으면서 그 자신도 구멍(20)으로 충전된다. 이 스텝 S206에 의해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1)는 도 6의 (d) 내지 (e)에 나타내는 상태로 된다. 즉, 투명한 수지 시트(11)는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의 이면으로부터 간극의 내측면을 따라 당해 간극의 상면을 형성하도록 연전된다. 또,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12)는 투명한 수지 시트(11)의 이면측으로부터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의 이면측에 걸쳐 존재한다.
다음에,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12)의 이면측으로부터 발광 부재(14)를 붙인다(스텝 S207). 이 스텝 S207에 의해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1)는 도 6의 (e) 내지 (f)에 나타내는 상태로 된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제조 공정을 채용함으로써, 에칭시에 투명한 수지 시트(11)에 손상을 주기 어려워진다. 즉, 오목부(21)를 형성한 후 그 오목부(21)의 개구면과 반대측으로부터 에칭을 하여, 오목부(21)와 연결된 시점에서 에칭을 정지하면 좋으므로, 투명한 수지 시트(11)에 에칭에 의한 손상을 주기 어려워진다. 또, 금속판(10a)의 양면으로부터 에칭을 하여 구멍(20)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구멍(20)의 양 개구부에 에지를 형성하기 쉽고,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의 에지를 내기 쉽다. 따라서, 투명한 유기 고분자체(15)를 충전했을 때에 금속제의 푸시 버튼(10)과 투명한 유기 고분자체(15)의 계면이 명확하게 된다.
(제3의 실시의 형태)
다음에, 본 발명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 및 그 제조 방법의 제3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3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30)는, 먼저 설명한 제1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1)와 공통되는 구성부를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제3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30)와 제1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1)에 공통되는 구성부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이용하여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제3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30)에 있어서, 도 1의 A-A선과 마찬가지의 선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7에 있어서 (a)는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의 표면에 형성된 투명한 수지 도장층(13)과 투명한 유기 고분자체(15)가 면 하나의 상태로 되어 있는 예를 나타낸다. 또, (b)는 투명한 유기 고분자체(15)가 투명한 수지 도장층(13)보다 표면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는 예를 나타낸다.
도 7과 도 2를 비교하면 명확한 바와 같이, 제3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30)는 투명한 수지 시트(11)와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12)의 사이에 인쇄층(25) 혹은 착색층(25)(이후, 「인쇄층 등」(25)이라 한다)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제1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1)와 다르다. 도 7에서는 인쇄층 등(25)을 검은 굵은 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 투명한 수지 시트(11)로서 우레탄 수지를 이용하고 있는 점에서도, 제1의 실시의 형태에 관 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1)와 다르다.
인쇄층 등(25)은 투명한 수지 시트(11) 혹은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12)에 미리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혹은 금속판(10a)에 투명한 수지 시트(11)를 붙이기 전 혹은 후에 별도 형성되도록 해도 좋다. 후자의 경우에는, 인쇄층 등(25)의 형성 공정을 도 5에 있어서의 스텝 S202보다 전에, 혹은 스텝 S202와 스텝 S206의 사이에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쇄층 등(25)은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12)의 이면측으로부터의 광의 조사에 의해,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30)의 표면측으로부터 인쇄 혹은 착색을 시인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인쇄층 등(25)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소망의 디자인을 CAD 공정에서 데이터(data)로 변환하고, 작성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투명한 수지 시트(11) 혹은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12)에 묘화(描畵)하는 방법을 들 수가 있다. 구체적인 인쇄층 등(25)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스크린(screen) 인쇄, 곡면 인쇄 등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인쇄층 등(25)을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의 표면과 투명한 수지 시트(11)의 사이에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투명한 수지 시트(11)로서 우레탄 수지를 채용하면, PET에 비해 보다 높은 연전성을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12)를 충전할 때의 압력이 비교적 작은 경우, 혹은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의 두께가 큰 경우라도, 금속제의 푸시 버튼(10)끼리의 간극에 투명한 수지 시트(11)와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12)를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다.
또, 도 7 (b)에 나타내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30)는, 투명한 유기 고분 자체(15)가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의 표면에 형성되는 투명한 수지 도장층(13)보다도 표면측으로 돌출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도 7 (a)에 나타내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30)와 다르다. 이와 같이,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의 간극을 볼록 형상으로 함으로써, 각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의 위치를 손가락의 감촉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숫자 「5」의 푸시 버튼의 주위의 일부 또는 전부를 볼록 형상으로 하면, 기존의 휴대 전화에 있어서의 숫자 「5」의 푸시 버튼 표면의 돌기의 역할과 마찬가지의 역할을 부여할 수가 있다. 더 나아가, 투명한 유기 고분자체(15)를 돌출시키는 편이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의 표면의 일부를 돌출시키는 것보다도 사용자의 손가락을 보호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도 7 (b)에 나타내는 구조는, 예를 들면 성형용의 금형의 오목형의 내면에 오목 형상의 부위를 설치함으로써 용이하게 성형 가능하다. 또, 금속제의 푸시 버튼(10) 중 숫자 「5」의 푸시 버튼에 그 숫자의 형상으로 구멍을 설치하고, 그 구멍에 이면측으로부터 투명한 유기 고분자체(15)를 돌출시켜, 기존의 휴대 전화에 있어서의 숫자 「5」의 푸시 버튼 표면의 돌기의 역할과 마찬가지의 역할을 부여할 수도 있다. 또한, 숫자 「5」의 푸시 버튼뿐만 아니라, 다른 숫자의 푸시 버튼의 표면에 투명한 유기 고분자체(15)를 돌출시켜, 손가락의 감촉에 의해 각 푸시 버튼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제4의 실시의 형태)
다음에, 본 발명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 및 그 제조 방법의 제4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4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40)는, 먼저 설명한 제1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1)와 공통되는 구성부를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제4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40)와 제1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1)에 공통되는 구성부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이용하여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또, 제4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먼저 설명한 제1 및 제2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각 제조 방법의 어느 방법을 채용해도 좋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40)의 평면도 (a) 및 당해 평면도 (a)에 있어서의 B-B선 단면도 (b)이다.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40)는 각 금속제의 푸시 버튼(10)과 외주 프레임(41)을 일체화한 것이다.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40)는 섬 형상으로 떠오른 금속제의 푸시 버튼(10)끼리 및 금속제의 푸시 버튼(10)과 외주 프레임(41)의 각 간극에, 그 이면측으로부터 투명한 유기 고분자체(15)(투명한 수지 시트(11)+투명한 고무상 탄성체(12))를 충전시킨 구조를 가지고 있고, 제1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1)와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금속제의 푸시 버튼(10)과 외주 프레임(41)의 일체감이 얻어지기 쉽게 된다.
(제5의 실시의 형태)
다음에, 본 발명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 및 그 제조 방법의 제5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5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50)는, 먼저 설명한 제1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1)와 공통되는 구성부를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제5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50)와 제1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1)에 공통되는 구성부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이용하여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또, 제5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먼저 설명한 제1 및 제2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각 제조 방법의 어느 방법을 채용해도 좋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50)의 평면도 (a) 및 당해 평면도 (a)에 있어서의 C-C선 단면도 (b)이다.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50)에 있어서, 각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의 일부는 각각 분리되어 있지 않고, 일부의 칼자국에 의해 연접되어 있다. 당해 칼자국의 이면측으로부터는 투명한 유기 고분자체(15)가 충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이 완전히 분리되어 있지 않은 영역을 형성하는 경우라도, 당해 금속제의 푸시 버튼(10)끼리를 구분하고 있는 칼자국에 투명한 유기 고분자체(15)를 충전시켜, 전술의 각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1, 30, 40)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제6의 실시의 형태)
다음에, 본 발명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 및 그 제조 방법의 제6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6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60)는, 먼저 설명한 제1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1)와 공통되는 구성부를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제6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60)와 제1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1)에 공통되는 구성부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이용하여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제6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60)와 아울러,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60)를 구성하고 있는 복수의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의 하나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에서는,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의 표면에는 투명한 수지 도장층(13)이 덮여 있으므로,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을 나타내는 부호를 「10(13)」으로 표시하고 있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의 하나를 D-D선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와,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의 하방에 배치되는 기판(61)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에 나타내듯이, 투명한 유기 고분자체(15)는 투명한 수지 도장층(13)보다 표면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에 그곳에 표시해야 할 숫자, 문자 혹은 기호의 형상으로 구멍을 설치하고, 그 구멍에 이면측으로부터 투명한 유기 고분자체(15)를 돌출시키면, 손가락의 감촉에 의해 각 푸시 버튼(10)을 인식하기 쉽게 된다. 또, 입체 문자로서의 디자인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12)는 고정 접점(스위치)을 누르기 위한 누름자(12a)를 가진다. 기판(61)에는 스위치(switch)(62, 62, 63)가 배치되어 있다. 금속제의 접시 스프링(64)은 그 개구 주단부(周端部)를 스위치(62, 62)에 고정하고 있다. 금속제의 접시 스프링(64)의 내측의 공간에는 금속제의 접시 스프링(64)과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기판(61)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스위치(63)가 배치되어 있다. 금속제의 접시 스프링(64)의 외면과 기판(61)의 표면에는 EL 시트 등의 발광 부재(14)가 배치되어 있다.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을 누르면,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12)의 하방에 형성된 누름자(12a)는 발광 부재(14) 상으로부터 금속제의 접시 스프링(64)을 밀어넣는다. 이 결과, 금속제의 접시 스프링(64)은 탄성적으로 움푹 들어가 스위치(63)를 누른다.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의 누름을 해제하면, 누름자(12a)는 금속제의 접시 스프링(64)으로부터 떨어지고, 금속제의 접시 스프링(64)도 원래의 반구체의 형상으로 돌아온다. 이에 의해 스위치(63)의 누름도 해제된다.
다음에, 제6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60)의 제조 방법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는 제6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60)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또, 도 13은 제6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60)를 제조하는 각 공정에 있어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의 스텝 S301∼스텝 S304는 도 3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의 스텝 S101∼스텝 S104와 각각 마찬가지의 스텝이다. 마찬가지로, 도 13에 나타내는 (a)∼(d)의 각 상태는, 도 4에 나타내는 (a)∼(d)의 각 상태와 마찬가지의 상태이다. 다만, 제6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60)의 경우, 금속제의 푸시 버튼(10) 자체에 구멍(20)을 형성하고, 그 구멍(20)에도 투명한 유기 고분자체(15)를 충전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도 12에 나타내는 스텝 S303에서는, 금속제의 푸시 버튼(10)끼리의 간극뿐만 아니라, 금속제의 푸시 버튼(10) 자체에도 구멍(20)을 형성하도록 에칭을 하고 있다. 또, 도 13에서는 제조 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도 11에 나타내는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의 단면 부분이 변화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 제조 공정에 대해서는 제1의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제조 공정과 중복되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6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제1의 실시의 형태와 크게 다른 부분은,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12)의 형상이 누름자(12a)를 가지는 형상인 것과, 발광 부재(14)를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12)의 하면에 붙이는 공정(스텝 S106)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발광 부재(14)는 기판(61)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기 때문이다.
또한, 전술의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인쇄층 등(25)을 투명한 수지 시트(11)에 미리 형성해도 좋다. 당해 형성 시기는 금속판(10a)에 투명한 수지 시트(11)를 붙이기 전이라도 후라도 좋다.
(제7의 실시의 형태)
다음에, 본 발명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 및 그 제조 방법의 제7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7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70)는, 먼저 설명한 제1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1)와 공통되는 구성부를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제7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70)와 제1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1)에 공통되는 구성부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이용하여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는 제7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70)를 구성하는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의 하나를, 도 10에 나타내는 D-D선과 마찬가지의 선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와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의 하방에 배치되는 기판(61)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에 나타내듯이, 투명한 유기 고분자체(15)는 투명한 수지 도장층(13)보다 표면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에 그곳에 표시해야 할 숫자, 문자 혹은 기호의 형상으로 구멍을 설치하고, 그 구멍에 이면측으로부터 투명한 유기 고분자체(15)를 돌출시키면, 손가락의 감촉에 의해 각 푸시 버튼(10)을 인식하기 쉽게 된다. 또, 입체 문자로서의 디자인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70)의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12)보다 하방에는 EL 시트 등의 발광 부재(14)가 배치되고, 또 그 하방에는 누름자(16a)를 가지는 푸셔 시트(pusher sheet)(시트)(16)가 배치되어 있다. 푸셔 시트(16)는 투명이라도 불투명이라도 좋다. 이와 같이, 발광 부재(14)는 기판(61)측이 아니라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70)측에 배치되도록 해도 좋다. 기판(61)에는 고정 접점(스위치)(62, 62, 63)이 배치되어 있다. 금속제의 접시 스프링(64)은 그 개구 주단부를 스위치(62, 62)로 고정하고 있다. 금속제의 접시 스프링(64)의 내측의 공간에는 금속제의 접시 스프링(64)과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기판(61)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스위치(63)가 배치되어 있다.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을 누르면, 푸셔 시트(16)의 누름자(16a)는 금속제의 접시 스프링(64)을 밀어넣는다. 이 결과, 금속제의 접시 스프링(64)은 탄성적으로 움푹 들어가 스위치(63)를 누른다.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의 누름을 해제하면, 누름자(16a)는 금속제의 접시 스프링(64)으로부터 떨어지고, 금속제의 접시 스프링(64)도 원래의 반구체의 형상으로 돌아온다. 이에 의해 스위치(63)의 누름도 해제된다.
다음에, 제7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70)의 제조 방법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5는 제7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70)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또, 도 16은 제7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70)를 제조하는 각 공정에 있어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의 스텝 S401∼스텝 S406은 도 3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의 스텝 S101∼스텝 S106과 각각 마찬가지의 스텝이다. 마찬가지로, 도 16에 나타내는 (a)∼(f)의 각 상태는 도 4에 나타내는 (a)∼(f)의 각 상태와 마찬가지의 상태이다. 다만, 제7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70)의 경우, 금속제의 푸시 버튼(10) 자체에 구멍(20)을 형성하고, 그 구멍(20)에도 투명한 유기 고분자체(15)를 충전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도 15에 나타내는 스텝 S403에서는, 금속제의 푸시 버튼(10)끼리의 간극뿐만 아니라 금속제의 푸시 버튼(10) 자체에도 구멍(20)을 형성하도록 에칭을 하고 있다. 또, 도 16에서는 제조 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도 14에 나타내는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의 단면 부분이 변화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 제조 공정에 대해서는 제1의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제조 공정과 중복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7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제1의 실시의 형태와 다른 부분은, 발광 부재(14)의 하방에 누름자(16a)를 가지는 푸셔 시트(16)를 붙이는 공정(스텝 S407)이 존재하는 것이다. 푸셔 시트(16)는 휴대 전화 등의 전자 기기의 구조상 필요한 부재이지만, 본 발명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는 푸셔 시트를 붙인 상태 혹은 붙이지 않은 상태의 양 상태를 포함하도록 광의로 해석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스텝 S405의 후에 발광 부재(14)와 푸셔 시트(16)를 붙이는 공정을 행하고, 그 후에 당해 붙이는 공정에서 얻어진 부재의 발광 부재(14)측을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12)에 붙이는 공정을 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 스텝 S405의 후에 발광 부재(14)와 누름자(16a)를 가지는 고무상 탄성체를 일체 성형하는 공정을 행하고, 당해 일체 성형하는 공정에서 얻어진 부재의 발광 부재(14)측을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12)에 붙이는 공정을 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전술의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인쇄층 등(25)을 투명한 수지 시트(11)에 미리 형성해도 좋다. 당해 형성 시기는 금속판(10a)에 투명한 수지 시트(11)를 붙이기 전이라도 후라도 좋다.
(제8의 실시의 형태)
다음에, 본 발명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 및 그 제조 방법의 제8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8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80)는, 먼저 설명한 제1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1)와 공통되는 구성부를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제8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80)와 제1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1)에 공통되는 구성부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이용하여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7은 제8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80)의 평면도이다. 또, 도 18은 도 17의 E-E선 단면도이다. 도 18 중 X는 도 17에 나타내는 「1」로 표시된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이고, Y는 도 17에 나타내는 「2」로 표시된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이고, Z는 도 17에 나타내는 「3」으로 표시된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이다.
도 18에 나타내듯이,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의 이면에는 투명한 수지 시트(11)가 배치되어 있다. 그 투명한 수지 시트(11)의 이면측,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의 내부의 구멍의 내면, 당해 구멍의 표면에 걸쳐, 다른 투명한 수지 시트(도 18에서는 검은 굵은 선으로 나타낸다)(11)가 배치되어 있다. 당해 다른 투명한 수지 시트(11)의 이면측에는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12)가 배치되어 있다. 다른 투명한 수지 시트(11)와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12)로 이루어지는 투명한 유기 고분자체(15)는,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의 이면으로부터 금속제의 푸시 버튼(10)끼리의 간극 및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의 구멍을 메우도록 붙여 있다.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12)에 있어서의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의 하방의 위치에는 누름자(12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발광 부재(도시하지 않음)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80)측이 아니라,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80)의 하방에 배치되는 기판측에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제8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80)의 제조 방법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9는 제8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80)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또, 도 20은 제8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80)를 제조하는 각 공정에 있어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먼저,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의 가공 전의 상태인 금속판(10a)의 일면측에 투명한 수지 시트(11)를 접착시킨다(스텝 S501). 이 접착에는 가열에 의해 접착 기능을 발휘하는 열강화성의 접착제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양면 테이프나 실온에서 경화 가능한 점착제를 이용해도 좋다. 이 스텝 S501에 의해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80)는 도 20의 (a) 내지 (b)에 나타내는 상태로 된다. 다음에, 투명한 수지 시트(11)의 일부에 관통 구멍(81)을 형성한다(스텝 S502). 이 관통 구멍(81)은 금속제의 푸시 버튼(10) 및 그 각 표면에 표시되는 문자 등의 형상에 맞추어 형성된다.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의 주위 전체에 관통 구멍(81)을 설치하면,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이 탈락해 버리므로, 주위의 일부를 남기도록 관통 구멍(81)을 설치하고 있다. 스텝 S502에 의해,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80)는 도 20의 (b) 내지 (c)에 나타내는 상태로 된다.
다음에, 투명한 수지 시트(11)와 반대측으로부터 그 투명한 수지 시트(11)에 도달할 때까지 금속판(10a)의 에칭을 한다(스텝 S503). 이 결과, 구멍(20)이 형성된다. 또한, 관통 구멍(81)의 부분에는 투명한 수지 시트(11)는 존재하지 않는다. 스텝 S503에 의해,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80)는 도 20의 (c) 내지 (d)에 나타내는 상태로 된다.
다음에, 다른 투명한 수지 시트(11)와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12)를 포개어 합치도록 하여, 구멍(20)을 메우는 형상의 볼록부와 각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의 하방에 누름자(12a)를 가지는 성형체를 제작한다(스텝 S504). 성형의 바람직한 방법은 사출 성형이지만, 이외의 성형 방법을 채용해도 좋다. 스텝 S504에 의해, 도 20의 (e)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투명한 유기 고분자체(15)가 완성된다.
다음에, 스텝 S501∼스텝 S503까지의 공정에서 제작한 금속제의 푸시 버튼(10)과 투명한 수지 시트(11)로 이루어지는 구성 부재와, 스텝 S504에서 제작한 투명한 유기 고분자체(15)를 접착시킨다(스텝 S505). 이렇게 해서, 도 20의 (f)에 나타내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80)가 완성된다.
또한, 스텝 S504에 있어서, 다른 투명한 수지 시트(11)를 사용하지 않고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12)만을, 금속제의 푸시 버튼(10)과 투명한 수지 시트(11)로 이루어지는 구성 부재에 접착시킬 수도 있다. 또, 가식(加飾) 인쇄층을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의 내부에 삽입되는 투명한 유기 고분자체(15)에 형성할 수가 있다. 이 경우, 가식 인쇄층은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12) 혹은 다른 투명한 수지 시트(11)의 적어도 어느 일방에 형성하면 좋다.
(제9의 실시의 형태)
다음에, 본 발명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 및 그 제조 방법의 제9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9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90)는, 먼저 설명한 제1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1)와 공통되는 구성부를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제9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90)와 제1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1)에 공통되는 구성부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이용하여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1은 제9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90)를 도 17에 나타내는 E-E선과 마찬가지의 선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제9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90)는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의 표면측의 면에 투명한 수지 시트(11)를 가지고 있다. 또, 그 투명한 수지 시트(11)의 반대측의 면으로부터, 금속제의 푸시 버튼(10)끼리의 간극 및 각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의 내부의 구멍을 메우도록, 다른 투명한 수지 시트(11)와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12)로 이루어지는 투명한 유기 고분자체(15)가 배치되어 있다.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12)에 있어서의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의 하방의 위치에는 누름자(12a)가 형성되어 있다.
도 21에 나타내는 구조의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90)는 도 20의 (b)에 나타내는 상태의 후에, 붙여진 투명한 수지 시트(11)와 반대측의 면으로부터 에칭을 하여, 그 에칭에 의해 형성된 구멍(20)의 측에 도 20의 (e)에 나타내는 투명한 유기 고분자체(15)를 접착시킴으로써 제작할 수가 있다.
도 21에 나타내는 구조의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90)는, 상술의 제법과 다른 이하와 같은 제법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먼저, 금속판(10a)의 일면에 투명한 수지 시트(11)를 붙이고, 그 투명한 수지 시트(11)와 반대측으로부터 에칭을 한다. 그 후, 에칭에 의해 형성된 구멍(20)의 개구측에 다른 투명한 수지 시트(11)를 붙인다. 다음에, 양측의 투명한 수지 시트(11)의 어느 일방으로부터 구멍(20)을 향해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12)를 밀어넣는다.
또, 금속제의 푸시 버튼(10)의 외측의 표면에 붙인 투명한 수지 시트(11)의 이면측에 있어서의 일부 혹은 전면에 인쇄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 및 그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각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의 각 실시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을 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금속판(10a)과 투명한 수지 시트(11)의 접착은 접착제 혹은 양면 테이프 등의 접착재를 개재하여 행하는 것이 아니라, 금속판(10a)의 일면을 거칠게 하고, 당해 면에 투명한 수지 시트(11)를 용착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 필요하다면, 그 후에 투명한 수지 시트(11) 상에 다른 투명한 수지 시트(11)를 접착시켜도 좋다.
또, 투명한 수지 시트(11)마다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12)를 구멍(20)에 충전할 때에, 투명한 수지 시트(11)에 프라이머(primer) 처리를 하여, 당해 프라이머 처리를 한 면에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12)를 공급하면, 투명한 수지 시트(11)와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12)의 접합력이 높아지므로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의 제 조 방법에 있어서, 도 3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중의 스텝 S101과 스텝 S102를 역순으로 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 스텝 S104를 스텝 S105 혹은 스텝 S106의 후에 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스텝 S102, 스텝 S104 및 스텝 S106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스텝을 행하지 않아도 좋다.
또,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도 5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중의 스텝 S203을 스텝 S201, 스텝 S202 혹은 스텝 S205의 전에 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 스텝 S205를 스텝 S206 혹은 스텝 S207의 후에 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스텝 S203, 스텝 S205 및 스텝 S207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스텝을 행하지 않아도 좋다.
또, 본 발명의 제6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도 12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중의 스텝 S301과 스텝 S302를 역순으로 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 스텝 S304를 스텝 S305의 후에 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스텝 S302 및 스텝 S304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스텝을 행하지 않아도 좋다.
또, 본 발명의 제7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도 15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중의 스텝 S401과 스텝 S402를 역순으로 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 스텝 S404를 스텝 S405, 스텝 S406 혹은 스텝 S407의 후에 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스텝 S402, 스텝 S404 및 스텝 S406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스텝을 행하지 않아도 좋다.
또, 본 발명의 제8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의 제 조 방법에 있어서, 도 19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중의 스텝 S501과 스텝 S502를 역순으로 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 스텝 S504를 스텝 S501∼스텝 S503의 어느 것의 전에 행하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은 전자 기기의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를 제조 혹은 사용하는 산업에 있어서 이용할 수가 있다.

Claims (15)

  1. 서로 이웃하는 금속제의 푸시 버튼의 간극에 투명한 유기 고분자체가 충전된 형태를 가지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로서,
    상기 유기 고분자체는,
    상기 간극의 내측면으로부터 푸시 버튼의 상면측으로 뻗어나가는 투명한 수지 시트와,
    당해 투명한 수지 시트의 내측에 있으며, 상기 간극의 내측면으로부터 푸시 버튼의 상면측으로 뻗어나가는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한 수지 시트에 있어서의 적어도 상기 금속제의 푸시 버튼의 상면측으로 뻗어나가는 부분에 인쇄층 또는 착색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제의 푸시 버튼의 표면에 요철 혹은 구멍을 설치하고, 숫자, 기호, 모양 혹은 그림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에 있어서의 상기 금속제의 푸시 버튼과 반대측의 면과, 그 하방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의 사이에, 발광 부재를 배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제의 푸시 버튼에 그 표리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투명한 유기 고분자체를 그 구멍으로부터 상기 금속제의 푸시 버튼의 상면측으로 뻗어나가게 한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보다 하방에 스위치를 누르기 위한 누름자를 구비한 시트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한 유기 고분자체는 상기 금속제의 푸시 버튼의 표면보다도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
  8. 서로 이웃하는 금속제의 푸시 버튼의 간극에 투명한 유기 고분자체가 충전된 형태를 가지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의 제조 방법으로서,
    금속판의 일면에 투명한 수지 시트를 붙이는 공정과,
    상기 금속판에 있어서의 당해 투명한 수지 시트를 붙인 면과 반대측의 면으로부터 그 투명한 수지 시트에 이를 때까지 에칭하여 구멍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투명한 수지 시트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구멍을 향해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를 넣어, 상기 구멍에 상기 투명한 수지 시트로 덮이는 상기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를 충전하는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의 제조 방법.
  9. 서로 이웃하는 금속제의 푸시 버튼의 간극에 투명한 유기 고분자체가 충전된 형태를 가지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의 제조 방법으로서,
    금속판의 일면으로부터 그 두께의 도중 위치까지 에칭하여 오목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당해 일면의 상기 오목부를 막도록 투명한 수지 시트를 상기 금속판에 붙이는 공정과,
    상기 금속판에 있어서의 당해 투명한 수지 시트를 붙인 면과 반대측의 면으로부터 에칭하여 미리 형성되어 있는 상기 오목부와 연결되는 구멍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투명한 수지 시트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구멍을 향해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를 넣고, 상기 구멍에 상기 투명한 수지 시트로 덮이는 상기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를 충전하는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의 제조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한 수지 시트에 있어서의 적어도 상기 금속제의 푸시 버튼의 상면측으로 뻗어나가는 부분에 인쇄층 또는 착색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의 제조 방법.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제의 푸시 버튼의 표면에 요철 혹은 구멍을 설치하고, 숫자, 기호, 모양 혹은 그림을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의 제조 방법.
  12.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에 있어서의 상기 금속제의 푸시 버튼과 반대측의 면과, 그 하방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의 사이에, 발광 부재를 배치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의 제조 방법.
  13.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제의 푸시 버튼에 그 표리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을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를 충전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투명한 유기 고분자체를 그 구멍으로부터 상기 금속제의 푸시 버튼의 상면측으로 뻗어나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의 제조 방법.
  14.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보다 하방에 스위치를 누르기 위한 누름자를 구비한 시트를 가지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의 제조 방법.
  15.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한 고무상 탄성체를 충전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투명한 유기 고분자체를 상기 금속제의 푸시 버튼의 표면보다도 돌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의 제조 방법.
KR1020087012906A 2005-11-08 2006-06-27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09795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23562 2005-11-08
JP2005323562A JP4282656B2 (ja) 2005-11-08 2005-11-08 押釦スイッチ用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JP-P-2006-00055956 2006-03-02
JP2006055956A JP4594880B2 (ja) 2006-03-02 2006-03-02 押釦スイッチ用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5125A KR20080075125A (ko) 2008-08-14
KR100979588B1 true KR100979588B1 (ko) 2010-09-01

Family

ID=38023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2906A KR100979588B1 (ko) 2005-11-08 2006-06-27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855347B2 (ko)
EP (1) EP1959467B1 (ko)
KR (1) KR100979588B1 (ko)
DE (1) DE602006015229D1 (ko)
WO (1) WO200705504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782B1 (ko) 2019-07-04 2020-01-08 박세홍 실리콘 접점 및 실리콘 접점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90568B1 (ja) * 2007-07-30 2008-12-03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端末
TWI345251B (en) * 2007-11-07 2011-07-11 Ichia Tech Inc Method for manufacturing metallic key having ripple luster
TWI317307B (en) * 2007-11-07 2009-11-21 Ichia Tech Inc Method for manufacturing metallic panel having ripple luster
CN101436475B (zh) * 2007-11-12 2012-05-02 毅嘉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波纹光泽的金属按键制作方法
CN101777454A (zh) * 2009-01-13 2010-07-14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按键面板及其制作方法
US9967508B2 (en) * 2013-08-27 2018-05-08 Thomson Licensing Device for remotely controlling electric equipment
WO2018156032A1 (en) * 2017-02-21 2018-08-30 Howard Wright Limited A side rail
TWI702626B (zh) * 2018-03-30 2020-08-21 英屬開曼群島商康而富控股股份有限公司 具有較佳按壓手感的觸控按鍵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8743A (ko) * 2004-06-22 2005-02-28 (주)삼영테크놀로지 휴대폰용 금속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0452A (ja) 2000-03-06 2001-09-14 Polymatech Co Ltd キーシート
JP3710408B2 (ja) 2001-10-19 2005-10-26 株式会社太洋工作所 メッキ成形品の製造方法
JP4398718B2 (ja) * 2003-12-24 2010-01-13 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キーシート一体型筐体パネル
EP1571682A1 (en) * 2004-03-02 2005-09-07 Nec Corporation Transmissive key sheet, input keys using transmissive key sheet and electronic equipment with input keys
JP4405288B2 (ja) * 2004-03-03 2010-01-27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押釦スイッチ用カバー部材
KR100454203B1 (ko) 2004-03-17 2004-10-26 (주)하운 휴대폰용 키패드 조립체
US7070349B2 (en) * 2004-06-18 2006-07-04 Motorola, Inc. Thin keyboard and components for electronics devices and methods
JP4679226B2 (ja) * 2004-10-28 2011-04-27 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押釦スイッチ用カバーシート
JP4653119B2 (ja) * 2004-12-28 2011-03-16 サンアロー株式会社 薄型キーシート及び該薄型キーシートを組み込んだ薄型キーユニット
JP2006216473A (ja) * 2005-02-07 2006-08-17 Sunarrow Ltd 薄型キーシート
EP1717834B1 (en) * 2005-04-28 2011-10-12 Polymatech Co., Ltd. Pushbutton switch cover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WI269332B (en) * 2005-06-29 2006-12-21 Speed Tech Corp Keypa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256866B2 (ja) * 2005-09-01 2009-04-22 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キーシート及びキーシートの製造方法
JP2007141662A (ja) * 2005-11-18 2007-06-07 Polymatech Co Ltd キーシート
JP4413892B2 (ja) * 2006-07-03 2010-02-10 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キーシート
KR101228452B1 (ko) * 2006-09-12 2013-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키패드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US7586056B2 (en) * 2006-09-15 2009-09-08 Shin-Etsu Polymer Co., Ltd Resin molded body, receiving ji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ush button switch member
US7503683B2 (en) * 2007-02-22 2009-03-17 Delta Electronics, Inc. Light guide method of double-layer light guide plate and keypad structure using the double-layer light guide plate
TWI315537B (en) * 2007-03-14 2009-10-01 Ichia Tech Inc Method for manufacturing compact keypad
US7671290B2 (en) * 2007-10-29 2010-03-02 Research In Motion Limited Illuminated key-pad assembly
TWM335002U (en) * 2007-11-07 2008-06-21 Ichia Tech Inc Metallic key panel assembly having ripple luster
TWM335000U (en) * 2007-11-07 2008-06-21 Ichia Tech Inc Metallic panel assembly having ripple luster
TWM335733U (en) * 2008-01-22 2008-07-01 Ichia Tech Inc Key pressing structure with 3-dimension patter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8743A (ko) * 2004-06-22 2005-02-28 (주)삼영테크놀로지 휴대폰용 금속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782B1 (ko) 2019-07-04 2020-01-08 박세홍 실리콘 접점 및 실리콘 접점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6015229D1 (de) 2010-08-12
US7855347B2 (en) 2010-12-21
EP1959467A4 (en) 2009-04-08
WO2007055048A1 (ja) 2007-05-18
EP1959467A1 (en) 2008-08-20
EP1959467B1 (en) 2010-06-30
US20090133997A1 (en) 2009-05-28
KR20080075125A (ko) 2008-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9588B1 (ko)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JP4820405B2 (ja) 押釦スイッチ用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473752B2 (ja) 押釦スイッチ用カバーシート
EP1717834B1 (en) Pushbutton switch cover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4146866B2 (ja) 押釦スイッチ用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EP0845795A2 (en) Keytop plat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101351859B (zh) 按键用部件及其制造方法
JP2008204871A (ja) 押釦スイッチ用加飾キーシート
JP4594880B2 (ja) 押釦スイッチ用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679226B2 (ja) 押釦スイッチ用カバーシート
JP4151849B2 (ja) キーシート
JP2009146642A (ja) キーシート
JP4113784B2 (ja) 押釦スイッチ用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251323A (ja) パネル一体型押釦スイッチ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323827A (ja) 押釦スイッチ用部材とその製造方法
JPH11126536A (ja) 押釦スイッチ用カバー部材および押釦スイッチ
JP4467997B2 (ja) 金属めっき層付き樹脂キートップ及び金属めっき層付き樹脂キートップの製造方法
JP4235005B2 (ja) フィルムキーシート
JP2005019264A (ja) 押釦スイッチ用カバー部材
JP2011187261A (ja) キーシート及びキーシートの製造方法
JP4843639B2 (ja) キーシート
JP2001266691A (ja) シート状キートッ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20006816A (ko) 키버튼의 제조방법 및 키버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2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6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8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8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