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30615B1 - 압력스위치 - Google Patents

압력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0615B1
KR100930615B1 KR1020070126797A KR20070126797A KR100930615B1 KR 100930615 B1 KR100930615 B1 KR 100930615B1 KR 1020070126797 A KR1020070126797 A KR 1020070126797A KR 20070126797 A KR20070126797 A KR 20070126797A KR 100930615 B1 KR100930615 B1 KR 100930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coupling
pressure switch
pressure
housing
stopp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6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2494A (ko
Inventor
히로시 카와카미
카즈히로 쿠라하라
Original Assignee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52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2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0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061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 H01H35/24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fluid pressure, by fluid pressure waves, or by change of fluid flow
    • H01H35/26Details
    • H01H35/28Compensation for variation of ambient pressure or tempera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007Fluidic connecting means
    • G01L19/003Fluidic connecting means using a detachable interface or adapter between the process medium and the pressure gau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 Switches Operated By Changes In Physical Conditions (AREA)

Abstract

압력스위치(10)에서는, 하우징(12)을 구성하는 케이스(28)에 개구부(30)에 의해 조인트커플링홀더(18)가 설치된다. 상기 조인트커플링홀더(18)를 구성하는 복수의 결합폴(44)이 상기 케이스(28)의 바닥부(28a)에 결합된다. 또, 상기 조인트커플링홀더(18)의 오목부(60)에 캡(62)이 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결합폴(44)의 결합상태가 유지되고, 그로 인하여, 수지제 재료로 이루어지는 상기 하우징(12)과 상기 조인트커플링홀더(18)가 함께 견고하게 연결된다.
압력스위치

Description

압력스위치{PRESSURE SWITCH}
본 발명은, 검출기에 의해 검지된 압력유체의 압력값이 미리 설정된 압력값과 일치하였을 때에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압력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예를 들면, 부압유체를 흡착용 패드로 구성되는 흡착반송수단에 공급하는 것에 의해, 자재를 상기 흡착용 패드에 의해 흡인하면서 소정의 위치로 반송하는 것이 실시되어 왔다. 이 경우, 흡착용 패드에 공급된 부압유체의 압력값이 소정의 압력에 도달하여 자재가 확실하게 흡착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압력스위치가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이러한 압력스위치에서는, 반도체 압력센서로 구성되는 검출기가 장착되서, 상기 유체의 압력은 상기 검출기에 부여된 압력에 따라 변화하는 저장값에 기초하여 검출된다. 또한, 상기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압력값이 미리 설정된 설정 압력값과 일치하였을 때에 자재가 흡착된 것으로 판단하여 검출신호를 출력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 평07-037473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유형의 압력스위치에서는, 검출기가 수용된 본체부의 압력 취입구에 파이프 커플링에 의해 진공배관이 탈착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진공배관을 통해 유통하는 부압유체가 상기 본체부에 도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부압유체의 압력을 검출한다.
덧붙여 말하자면, 전술한 종래의 압력스위치로, 본체부와 진공배관을 연결하는 파이프조인트가 금속제 재료로 형성된다. 금속제 재료로 형성된 상기 파이프조인트는 코킹, 크림핑(crimping ) 등에 의해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형의 파이트조인트의 연결구조에서는, 상기 파이프조인트의 구성이 복잡해지기 때문에 제조비용이나 가공시간이 증대하므로 생산성이 저하하게 된다.
또, 검출기가 수용되는 본체부는, 수지제 재료로부터 형성되는 경우가 종종 있으므로, 금속제의 금속제 파이프조인트가 연결될 때에 소정의 연결 강도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금속제 워셔(metal washer)를 상기 본체부와 파이프조인트의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강도를 증대시키고 있으나, 그 조립단계와 사용 부품의 수가 증가하여 조립의 변동이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반 목적은, 수지제 재료로 형성되는 조인트커플링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조인트커플링을 하우징에 대하여 용이하고 확실하게 연결할 수 있는 압력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도시예의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첨부 도면과 함께,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압력유체의 압력을 검출하는 검출기를 가지며, 상기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압력값에 기초한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압력스위치에 있어서, 수지제 재료로 이루어지며, 상기 검출기가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압력유체가 유통하는 통로를 가지며, 상기 압력유체가 공급되는 배관이 연결되는 조인트커플링; 수지제 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과 상기 조인트커플링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에 반지름 방향으로 틸팅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폴과, 상기 폴의 반지름 내측으로의 변위를 조절하는 스토퍼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연결부재를 연결하는 연결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와 결합한 상기 폴의 변위를 상기 스토퍼에 의해 조절한 결과로써, 상기 폴을 통하여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하나 이상의 폴은,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에 둘레방향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폴을 포함하고, 상기 폴의 내주측에는 상기 스토퍼가 장착되는 장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복수의 폴의 외주면은, 상기 조인트커플링이 연결된 단부측을 향하여 서서히 축경하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폴의 단부에는, 반지름 외측 방향으로 팽출한 팽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팽출부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폴은, 상기 개구부의 내주면을 향하여 반지름 외측 방향으로 상기 스토퍼에 의해 압박되서, 상기 개구부에 대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개구부는, 상기 조인트커플링의 측으로 서서히 축경하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폴의 외주면은 상기 개구부의 내주면에 맞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폴은, 반지름 방향으로 상기 스토퍼와 상기 개구부 사이에 개재되고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통로에 면하는 기판에는, 상기 검출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조인트커플링에는, 외주면을 따라서 환상의 핀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에는, 연결핀이 삽입되는 것에 의해 한 쌍의 핀홀이 형성되서, 상기 조인트커플링과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핀홀을 통하여 삽입된 상기 연결핀이 상기 핀홈과 결합하는 것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스토퍼의 외주면은, 상기 스토퍼의 단부를 향하여 서서히 축경하는 테이퍼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하여, 수지제 재료로 형성되는 조인트커플링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상기 조인트를 하우징에 대하여 용이하고 확실하게 연결할 수 있는 압력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 있어서, 참조번호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압력스위치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력스위치(10)는, 하우징(12)과, 상기 하우징(12)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어기판(14)과, 상기 제어기판(14)에 형성되며, 압력유체(예를 들면, 부압유체)의 압력을 검출하는 검출기(16)와, 상기 하우징(12)의 개구부(30)에 설치되는 조인트커플링홀더(연결부재)(18)와, 상기 조인트커플링홀더(18)에 연결되어 유체가 유통하는 조인트커플링(20)를 포함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2)은, 디스플레이(22) 및 조작버튼(24)이 형성되는 플레이트형상의 커버(26)와, 상기 커버(26)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기판(14)이 내부에 수용되는 바닥이 있는 상자 형상의 케이스(28)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28)의 개구(開口)는, 제어기판(14) 및 검출기(16)가 수용된 상태에서 그 개구에 커버(26)를 장착되는 것에 의해 폐쇄되며, 이로써 상기 케이스(28)가 기밀하게 밀봉된다.
또, 상기 케이스(28)의 바닥부(측면)(28a)(도 3 참조)에는, 대략 중앙부에 개구부(30)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30)에는 상기 조인트커플링홀더(18)가 장착된다.
상기 제어기판(14)은, 상기 케이스(28)의 내부에 바닥부(28a)와 대략 평행으로 고정된다. 상기 제어기판(14)은, 상기 디스플레이(22) 및 상기 조작버튼(2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22)는, 예를 들면, 상기 검출기(16)에 의해 검출된 압력유체의 압력값을 표시가능하다. 상기 조작버튼(24)은, 예를 들면, 다양한 조작모드의 설정을 실시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상기 검출기(16)는, 상기 케이스(28)의 개구부(30)에 면하는 상기 제어기판(14)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기판(14)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검출기(16)는, 예를 들면, 반도체 압력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검출기(16)에 대하여 부여되는 압력유체의 압력에 의해 변화하는 저항값에 기초하여 상기 압력은 검출가능하다
상기 센서홀더(32)는, 단면이 대략 T자 형상이며, 그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기판(14)에 대하여 상기 검출기(16)를 둘러싸도록 장착되는 베이스부재(34)와, 상기 베이스부재(34)로부터 돌출하고 그 내부에 압력유체가 유통하는 통로(36)를 갖는 통부(38)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부재(34)의 내부에는 상기 검출기(16)가 수용되는 공간부(40)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40)는 통부(38)의 통로(36)와 연통한다. 상기 통부(38)는, 상기 베이스부재(34)의 대략 중앙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기판(14)으로부터 이격되 는 방향을 향해서 소정의 높이로 일직선상으로 형성되며, 그 축선상을 따라서 상기 통로(36)가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통로(36)는, 상기 공간부(40) 내부에 배치된 상기 검출기(16)에 면하도록 정렬된다.
상기 조인트커플링홀더(18)는, 대략 중앙부에 축선방향을 따른 관통홀(통로)(42)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조인트커플링홀더(18)의 일단부는, 상기 하우징(12)의 상기 개구부(30)에 삽입가능하고, 상기 관통홀(42)의 외주측에는 반지름 방향으로 축경이 자유로운 복수의 결합폴(폴부)(44)이 설치된다. 상기 결합폴(44)은, 상기 조인트커플링홀더(18)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그 선단에는 반지름 외측 방향으로 팽출한 팽출부(46)를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팽출부(46)를 갖는 상기 결합폴(44)의 선단은 틸팅 또는 반지름 내측방향으로의 굴곡이 자유롭게 형성된다.
또, 상기 결합폴(44)의 외주면(44a)은, 상기 조인트커플링홀더(18)의 타단부측으로부터 상기 팽출부(46)를 향해서 서서히 확경하는 페이퍼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42)은, 상기 조인트커플링홀더(18)의 일단부측에 형성되며 상기 센서홀더(32)의 통부(38)가 삽입되는 제1홀부(48)와, 상기 제1홀부(48)에 인접하고 상기 제1홀부(48)에 대하여 확경한 제2홀부(50)와, 상기 조인트커플링홀더(18)의 타단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홀부(50)보다 확경한 제3홀부(52)를 포함한다.
또, 상기 제1홀부(48)와 상기 제2홀부(50)의 경계위치에 상기 제1단차부(54)가 형성되고, 한편 상기 제2홀부(50)와 상기 제3홀부(52)의 경계위치에 제2단차부(56)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단차부(54,56)는, 상기 관통홀(42)의 축선과 대략 직교하는 평면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관통홀(42)을 구성하는 상기 제2 및 제3홀부(50,52)에 조인트커플링(20)이 삽입되었을 때, 상기 조인트커플링(20)의 일부가 상기 제1 및 제2단차부(54,56)에 맞접하는 것에 의해 결합된다(도 3 참조).
또한, 상기 관통홀(42)에는, 상기 제1홀부(48)의 내주면을 따라서 형성된 환상홈에 의해 오링(58)이 장착되서, 상기 관통홀(42)에 상기 센서홀더(32)의 통부(38)가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오링(58)이 상기 통부(38)의 외주면에 맞접한다. 따라서, 상기 조인트커플링홀더(18)의 관통홀(42)과 상기 센서홀더(32)의 통부(38)의 사이로부터의 압력유체의 누출이 저지되며, 상기 조인트커플링홀더(18) 내부의 기밀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상의 오목부(장착홈)(60)가 상기 조인트커플링홀더(18)의 일단부에서 상기 관통홀(42)과 상기 결합폴(44)과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오목부(60)에는 단면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된 캡(스토퍼)(62)이 삽입된다. 상기 캡(62)은, 상기 오목부(60) 내에 있어서 상기 결합폴(44)의 내주면에 맞접하고, 그로 인하여, 상기 결합폴(44)의 반지름 내측 방향으로의 변위를 조절한다.
상기 캡(62)은, 대략 중앙부에 홀부(64)가 형성되고, 상기 조인트커플링홀더(18)가 장착될 때에 상기 홀부(64)를 통해 상기 센서홀더(32)의 통부(38)가 삽입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통부(38)는, 상기 캡(62)의 홀부(64)에 의해 상기 조인트커플링홀더(18)의 관통홀(42)에 삽입되게 된다.
또,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캡(62)의 외주면에는, 상기 캡(62)의 단부를 향해서 서서히 축경하는 테이퍼면(6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캡(62)은 상기 테이퍼면(66)으로부터 오목부(60)에 대하여 삽입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조인트커플링홀더(18)의 결합폴(44)이, 상기 캡(62)의 테이퍼면(66)에 의해 서서히 반지름 외측 방향으로 압박되며, 그로 인하여 상기 결합폴(44)이 상기 캡(62)의 외주면에 의해 상기 조인트커플링홀더(18)의 축선에 대하여 대략 평행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조인트커플링홀더(18)를 확실히 고정한다.
환언하자면, 상기 캡(62)은, 상기 조인트커플링홀더(18)를 구성하는 결합폴(44)의 반지름 내측 방향으로의 변위를 조절하는 스토퍼로서 기능한다.
또한, 상기 캡(62)은 상기 관통홀(42)의 일부를 덮기 때문에, 상기 관통홀(42)에 장착된 오링(58)의 이탈을 적절하게 방지한다(도 4 참조).
한편, 상기 조인트커플링홀더(18)의 외주면에는, 한쌍의 핀홀(74a,74b)이 형성된다. 상기 한쌍의 핀홀(74a,74b)은 상기 조인트커플링홀더(18)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대략 대칭이 되는 위치에 일직선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핀홀(74a,74b)에는, 상기 조인트커플링(20)을 상기 조인트커플링홀더(18)에 연결하기 위하여 연결핀(72)이 삽입된다.
상기 연결핀(72)은,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한쌍의 핀부재(76)의 단부측으로부터 상기 핀홀(74a)의 한쪽으로 삽입하며, 상기 핀부재(76)는 상기 조인트커플링홀더(18)의 내부를 통과하여 다른쪽의 핀홀(74b)을 통하여 삽입된다.
상기 조인트커플링(20)은, 축선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원통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인트커플링(20)의 일단부가 상기 조인트커플링홀더(18)의 타단부에 연결핀(72)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조인트커플링(20)의 타단부에는, 유체가 유통하는 배관(77)이 착탈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조인트커플링(20)은, 그 일단부로부터 타단부까지의 일직선상으로 정렬된 직선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단면이 대략 L자 형상인 절곡된 엘보형상(elbow shape)을 갖는 조인트커플링(20)도 허용가능하다.
상기 조인트커플링(20)의 내부에는, 상기 배관(77)을 통하여 압력유체가 유통하는 관로(78)가 형성되며, 상기 조인트커플링(20)이 상기 조인트커플링홀더(18)에 연결될 때에, 상기 조인트커플링(20)의 타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관로(78)와 상기 관통홀(42)이 일직선상에 정렬되며, 서로 연통한다.
또, 상기 조인트커플링(20)의 외주면에는, 환상형상의 핀홈(80)이 상기 조인트커플링(20)의 축선에 대해서 대칭인 위치에 형성되서, 상기 핀홈(80)에는 상기 연결핀(72)의 핀부재(76)가 각각 삽입된다. 즉, 상기 조인트커플링(20)의 일단부가 상기 조인트커플링홀더(18)의 관통홀(42)에 삽입되며, 상기 제1 및 제2단차부(54,56)에 상기 조인트커플링(20)이 고정결합의 상태일 때, 상기 조인트커플링홀더(18)에서의 하나의 상기 핀홀(74a)로부터 상기 연결핀(72)을 삽입하는 것에 의해, 상기 연결핀(72)의 핀부재(76)가 상기 조인트커플링(20)의 핀홈(80)에 각각 결합된다. 이의 결과로써, 축선방향을 따른 상기 조인트커플링(20)과 상기 조인트커플링홀더(18)의 각각의 상대적인 위치결정이 상기 연결핀(72)에 의해 조절되고, 상 기 조인트커플링(20)은 상기 조인트커플링홀더(18)와 함께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압력스위치는, 기본적으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이어서 상기 압력스위치(10)의 설치 방법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다음의 기재에서, 상기 하우징(12)의 하나의 요소를 구성하는 상기 커버(26)에 디스플레이(22), 조작버튼(24) 및 제어기판(14) 등이 미리 조립되어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우선, 도 6a에 나타낸 상기 하우징(12)을 구성하는 상기 케이스(28)의 개구부(30)에는, 상기 조인트커플링홀더(18)의 일단부가 삽입되고(도 6b 참조), 상기 개구부(30)를 통해 상기 결합폴(44)은 상기 케이스(28)의 바닥부(28a)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한다(도 6c 참조). 이때, 상기 결합폴(44)은, 상기 개구부(30)의 내벽면에 의해 우선 반지름 내측 방향으로 압박되어 축경하고(도 6b 참조), 그 이후에 상기 케이스(28)의 바닥부(28a)에 대하여 돌출한 상기 팽출부(46)에 의해 다시 반지름 외측 방향으로 약간 확경한다.
또한, 상기 조인트커플링홀더(18)의 관통홀(42)에 상기 오링(58)을 장착하고, 상기 케이스(28)측으로부터 상기 조인트커플링홀더(18)의 오목부(60)에 상기 캡(62)을 삽입하는 것에 의해, 상기 결합폴(44)이 반지름 외측 방향으로 압박되어 반지름 내측 방향에서 변위가 조절된다(도 6d 참조). 이의 결과로써, 상기 결합폴(44)의 팽출부(46)가 상기 케이스(28)의 바닥부(28a)에 결합되고, 상기 조인트커플링홀더(18)가 케이스(28)에 대하여 연결된다(도 4 참조).
또, 이와 동시에, 상기 결합폴(44)의 외주면(44a)이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되 기 때문에, 상기 캡(62)에 의해 반지름 외측 방향으로 압박되는 것에 의해서 틸팅되고 결합되서, 상기 결합폴(44)의 외주면(44a)이 상기 개구부(30)의 내주면을 변형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팽출부(46)가 상기 케이스(28)의 상기 바닥부(28a)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폴(44)의 반지름 내측 방향으로의 변위가 조절되기 때문에, 상기 결합폴(44)이 상기 개구부(30)의 내부로 이동하지 않고, 상기 케이스(28)에 대하여 확실히 고정된다. 상기 결합폴(44)의 외주면(44a)이 상기 개구부(30)에 대하여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결합부재(44)를 포함하는 상기 조인트커플링홀더(18)의 회전변위도 조절되게 된다.
이어서, 상기 검출기(16)를 포함하는 상기 센서홀더(32)가 설치된 상기 제어기판(14)이 상기 커버(26)의 부착과 함께 위로부터 케이스(28)에 장착된다(도 4 참조). 이에 의해, 상기 제어기판(14) 및 상기 센서홀더(32)가 상기 케이스(28)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커버(26)에 의해 상기 케이스(28)의 개구한 단부가 폐쇄된다(도 3 참조). 또, 상기 센서홀더(32)의 통부(38)가 상기 조인트커플링홀더(18)의 제1홀부(48)에 삽입되고, 상기 통부(38)의 외주면이 상기 오링(58)에 의해 포위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센서홀더(32)와 상기 조인트커플링홀더(18) 사이의 기밀이 확실히 유지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조인트커플링홀더(18)의 관통홀(42)에 상기 조인트커플링(20)의 일단부를 삽입하고, 상기 제1 및 제2단차부(54,56)에 대하여 맞접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조인트커플링(20)가 위치결정된다. 상기 연결핀(72)을 상기 조인트 커플링홀더(18)의 하나의 핀홀(74a)로부터 삽입하여 다른 핀홀(74b)로 지속적으로 삽입하는 것에 의해, 상기 조인트커플링홀더(18)의 내부에 삽입된 상기 조인트커플링(20)의 핀홈(80)을 통하여 상기 핀부재(76)가 삽입되고, 따라서, 상기 조인트커플링홀더(18)와 상기 조인트커플링(20)이 일체적으로 연결된다.
이어서, 전술한 방식으로 조립된 상기 압력스위치(10)의 동작 및 효과를 설명한다.
우선, 도시하지 않는 압력유체의 공급원(예를 들면, 컴프레서)으로부터 상기 배관(77)으로 압력유체가 공급되며, 상기 압력유체가 상기 배관(77)을 통하여 상기 조인트커플링(20) 내의 관로(78)로 유통한다. 또, 상기 관로(78)로부터 상기 조인트커플링홀더(18)의 관통홀(42)로 유통한 압력유체가, 상기 센서홀더(32)의 통로(36)를 통하여 상기 공간부(40)로 도입된다. 이에 의해, 상기 공간부(40)에 수용된 상기 검출기(16)에 대하여 압력유체의 압력이 부여된다. 그 압력에 의해 변화한 저항값이 상기 제어기판(14)으로 출력되고, 상기 저항값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압력유체의 압력이 산출된다. 이 압력유체의 압력값이 상기 제어기판(14)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22)에 출력되어 표시되고, 동시에 상기 압력값에 기초한 출력신호가 외부장치로 출력된다.
전술한 방식으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원통형상의 조인트커플링홀더(18)는 수지제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조인트커플링홀더(18)에 의해 상기 조인트커플링(20)이 상기 하우징(12)에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조인트커플링홀더(18)의 일단부에, 반지름 외측 방향으로 팽출한 상기 팽출부(46)를 갖는 복수의 결합폴(44) 이 틸팅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하우징(12)의 개구부(30)에 상기 일단부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상기 결합폴(44)은 상기 케이스(28)의 바닥부(28a)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결합폴(44)의 내부 둘레측에 형성된 상기 조인트커플링홀더(18)의 오목부(60)에 상기 캡(62)을 삽입하는 것에 의해, 상기 결합폴(44)의 반지름 내측 방향으로의 변위가 조절되며, 상기 결합폴(44)에 의한 상기 조인트커플링홀더(18)의 하우징(12)에 대한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지제 재료로 이루어지는 상기 조인트커플링홀더(18)를 사용하고, 그 결합폴(44)을 상기 하우징(12)의 개구부(30)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캡(62)을 장착하는 것에 의해, 상기 조인트커플링홀더(18)는 수지제 재료로 이루어지는 상기 하우징(12)에 대하여 쉽고 확실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 결과, 금속제 재료로 이루어지는 조인트를 본체부에 코킹하여(caulking) 고정하는 종래의 압력스위치와 비교하여, 상기 조인트에 대한 코킹 또는 크림핑(crimping)가공이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제조비용을 삭감시킬 수가 있으며, 또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가 있다.
또, 상기 연결은 간편한 작업에 의해 확실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상기 조인트커플링홀더(18)의 일단부를 상기 하우징(12)의 개구부(30)에 삽입하고, 복수의 결합폴(44)을 상기 하우징(12)의 바닥부(28a)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캡(62)을 상기 오목부(60)에 삽입하고, 또, 수지제 재료로 이루어지는 상기 조인트커플링홀더(18)를 상기 하우징(12)에 대하여 직접 연결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압력스위치와 같이 금속제의 워셔를 형성하여 연결부분의 강도를 증대 시킬 필요가 없으며, 부품수도 줄일 수 있게 되고, 조립의 변동도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조인트커플링홀더(18)를 수지제 재료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종래의 압력스위치와 비교하여 부품비용을 절감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캡(62)은, 상기 조인트커플링홀더(18)의 일단부를 덮도록 장착되기 때문에, 상기 조인트커플링홀더(18)의 관통홀(42)에 장착된 상기 오링(58)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압력스위치는, 상술한 실시형태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의 구성을 채용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압력스위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압력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압력스위치를 다른 방향에서 본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압력스위치에 있어서 조인트커플링홀더의 근방을 나타내는 확대된 수직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압력스위치에 있어서의 조인트커플링홀더, 캡, 오링을 다른 방향에서 본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6a, 도 6b, 도 6c 및 도 6d는, 조인트커플링홀더가 하우징에 대하여 설치할 때 채용된 설치순서를 도시하는 확대된 수직단면도이다.

Claims (10)

  1. 압력유체의 압력을 검출하는 검출기를 가지며, 상기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압력값에 기초한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압력스위치에 있어서,
    수지제 재료로 이루어지며, 상기 검출기(16)가 수용되는 하우징(12);
    상기 압력유체가 유통하는 통로(42)를 가지며, 상기 압력유체가 공급되는 배관(77)이 연결되는 조인트커플링(20);
    수지제 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2)과 상기 조인트커플링(20)을 연결하는 연결부재(18); 및
    상기 하우징(12)에 대하여 상기 연결부재(18)를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부재(18)의 단부에 반지름 방향으로 틸팅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2)의 개구부(30)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폴(44)과, 상기 폴(44)의 반지름 내측으로의 변위를 조절하는 스토퍼(62)를 가지는 연결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62)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30)와 결합한 상기 폴(44)의 변위를 상기 스토퍼(62)에 의해 조절한 결과로써, 상기 폴(44)을 통하여 상기 연결부재(18)가 상기 하우징(12)에 대하여 지지되고,
    상기 스토퍼(62)의 외주면은, 상기 스토퍼(62)의 단부를 향하여 서서히 축경하는 테이퍼면(6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폴(44)은, 상기 연결부재(18)의 단부에 둘레방향에서 소정 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폴(44)을 포함하고, 상기 폴(44)의 내주측에는 상기 스토퍼(62)가 장착되는 장착홈(6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스위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폴(44)의 외주면(44a)은, 상기 조인트커플링(20)이 연결된 단부측을 향하여 서서히 축경하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스위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폴(44)의 단부에는, 반지름 외측 방향으로 팽출한 팽출부(46)가 형성되고, 상기 팽출부(46)는 상기 하우징(12)의 측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스위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44)은, 상기 개구부(30)의 내주면을 향하여 반지름 외측 방향으로 상기 스토퍼(62)에 의해 압박되서, 상기 개구부(30)에 대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스위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30)는, 상기 조인트커플링(20)의 측으로 서서히 축경하는 테이 퍼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폴(44)의 외주면(44a)은 상기 개구부(30)의 내주면에 맞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스위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폴(44)은, 반지름 방향으로 상기 스토퍼(62)와 상기 개구부(30) 사이에 개재되고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스위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42)에 면하는 기판(14)에는, 상기 검출기(16)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스위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커플링(20)에는, 외주면을 따라서 환상의 핀홈(80)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18)에는, 연결핀(72)이 삽입되는 것에 의해 한 쌍의 핀홀(74a, 74b)이 형성되서, 상기 조인트커플링(20)과 상기 연결부재(18)가 상기 핀홀(74a, 74b)을 통하여 삽입된 상기 연결핀(72)이 상기 핀홈(80)과 결합하는 것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스위치.
  10. 삭제
KR1020070126797A 2006-12-07 2007-12-07 압력스위치 Active KR1009306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331110 2006-12-07
JP2006331110A JP4203678B2 (ja) 2006-12-07 2006-12-07 圧力スイッ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2494A KR20080052494A (ko) 2008-06-11
KR100930615B1 true KR100930615B1 (ko) 2009-12-09

Family

ID=39363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6797A Active KR100930615B1 (ko) 2006-12-07 2007-12-07 압력스위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63496B2 (ko)
JP (1) JP4203678B2 (ko)
KR (1) KR100930615B1 (ko)
CN (1) CN101197223B (ko)
DE (1) DE102007058597B4 (ko)
TW (1) TWI34236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3678B1 (ko) 2021-03-31 2021-07-30 (주)센서시스템기술 디지털 압력 게이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03559B2 (ja) * 2006-12-07 2010-01-27 Smc株式会社 圧力スイッチ
ITTO20080483A1 (it) * 2008-06-19 2009-12-20 Eltek Spa Dispositivo sensore di pressione
ITTO20080484A1 (it) * 2008-06-19 2009-12-20 Eltek Spa Dispositivo sensore di pressione
FR2933035B1 (fr) * 2008-06-26 2011-11-04 Michelin Soc Tech Dispositif de mesure de pression et moule pour la vulcanisation d'une gomme pour pneumatique
DE202009002485U1 (de) * 2009-02-23 2009-04-30 Wika Alexander Wiegand Gmbh & Co. Kg Verbindungselement für Kapillarrohr
TWD145079S (zh) * 2010-11-10 2012-01-21 Smc股份有限公司 附有數位顯示部之壓力開關
US8839806B2 (en) * 2012-03-15 2014-09-23 General Electric Company Pressure tap assembly for turbine system and method for assembly of a pressure tap assembly
DE102012112872A1 (de) * 2012-12-21 2014-07-10 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Sensoranordn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ensoranordnung
USD772171S1 (en) * 2015-03-13 2016-11-22 Smc Corporation Pressure switch
JP6531904B2 (ja) * 2015-06-09 2019-06-19 Smc株式会社 圧力スイッチ
USD843330S1 (en) * 2017-02-13 2019-03-19 Smc Corporation Sensor monitor
JP1594072S (ko) * 2017-05-25 2018-01-09
USD878307S1 (en) * 2018-05-04 2020-03-17 Abac Aria Compressa S.P.A. Electronic pressure switch
USD878306S1 (en) * 2018-05-04 2020-03-17 Abac Aria Compressa S.P.A. Electronic pressure switch
USD939450S1 (en) * 2019-09-12 2021-12-28 Saginomiya Seisakusho, Inc. Pressure switch
USD949801S1 (en) * 2019-09-12 2022-04-26 Saginomiya Seisakusho, Inc. Pressure switch
JP1664761S (ko) * 2019-09-12 2020-07-27
CN111664988A (zh) * 2020-06-19 2020-09-15 南阳理工学院 一种水管压力在线检测方法
JP2023089990A (ja) * 2021-12-17 2023-06-29 Smc株式会社 圧力計及び流体圧システ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4208U (ko) * 1996-12-31 1998-10-07 구자홍 펌프의 압력 스위치
US5878770A (en) * 1996-09-13 1999-03-09 Toyo Electric Co., Ltd. Pressure release mechanism for heating apparatus using saturated vapor as heating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01973A (en) 1975-03-04 1976-09-08 Mitsubishi Chem Ind Torohochionruino niryokaseiseibutsu oyobi niryokadatsuryuseiseibutsuno seizoho
JPS62115694A (ja) 1985-11-13 1987-05-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薄膜el素子
DE3918769C2 (de) 1988-06-08 2001-12-13 Denso Corp Halbleiterdrucksensor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SRE34893E (en) 1988-06-08 1995-04-04 Nippondenso Co., Ltd. Semiconductor pressure sens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H0737473A (ja) 1993-07-27 1995-02-07 Murata Mfg Co Ltd 圧力スイッチ
JPH0821775A (ja) * 1994-07-08 1996-01-23 Fuji Koki Seisakusho:Kk 圧力センサ
JP3404257B2 (ja) 1997-07-11 2003-05-06 三菱電機株式会社 圧力センサ装置
DE19807200A1 (de) * 1998-02-20 1999-08-26 Grohe Armaturen Friedrich Wasserarmatur mit Rohranschlußverbindung
GB9816537D0 (en) * 1998-07-29 1998-09-30 Guest John D Tube coupling devices
JP2001033336A (ja) 1999-07-23 2001-02-09 Nippon Seiki Co Ltd 圧力検出器
JP2002310836A (ja) 2001-04-12 2002-10-23 Fuji Electric Co Ltd 圧力センサ装置および圧力センサ収納容器
US6447342B1 (en) * 2001-05-10 2002-09-10 Delphi Technologies, Inc. Pressure sensor connector
JP4110520B2 (ja) 2002-10-23 2008-07-02 Smc株式会社 管継手
DE20219732U1 (de) * 2002-12-18 2003-03-06 Dbt Autom Gmbh Druckaufnehmer für die Messung hydraulischer Drücke
US6997059B2 (en) * 2003-10-07 2006-02-14 Cts Corporation Pressure sensor
US7240558B2 (en) * 2003-11-19 2007-07-10 Cts Corporation Pressure sensor
JP4177294B2 (ja) 2004-06-07 2008-11-05 三菱電機株式会社 圧力センサ装置
US7270010B2 (en) * 2004-08-27 2007-09-18 Ashcroft-Nagano, Inc. System and method for pressure measurement
US7204150B2 (en) 2005-01-14 2007-04-17 Mks Instruments, Inc. Turbo sump for use with capacitive pressure sensor
JP2006286359A (ja) 2005-03-31 2006-10-19 Smc Corp 圧力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8770A (en) * 1996-09-13 1999-03-09 Toyo Electric Co., Ltd. Pressure release mechanism for heating apparatus using saturated vapor as heating medium
KR19980054208U (ko) * 1996-12-31 1998-10-07 구자홍 펌프의 압력 스위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3678B1 (ko) 2021-03-31 2021-07-30 (주)센서시스템기술 디지털 압력 게이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97223A (zh) 2008-06-11
TWI342362B (en) 2011-05-21
JP4203678B2 (ja) 2009-01-07
US7663496B2 (en) 2010-02-16
DE102007058597B4 (de) 2013-05-23
US20080291035A1 (en) 2008-11-27
DE102007058597A1 (de) 2008-06-12
KR20080052494A (ko) 2008-06-11
TW200835855A (en) 2008-09-01
JP2008146945A (ja) 2008-06-26
CN101197223B (zh) 201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0615B1 (ko) 압력스위치
US7627943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pressure sensor
US10145749B2 (en) Physical quantity measuring device including a sensor module and a joint for locking the sensor module
CN101197222A (zh) 压力开关
CN105628293B (zh) 压力传感器
CN107271098B (zh) 压力传感器
JP2003329495A (ja) 空気流量測定装置およびその取り付け構造
US10119878B2 (en) Oil-pressure-sensor attachment structure
US11536405B2 (en) Connector
US20060039812A1 (en) Pulsation damper designed to ensure alignment of diaphragm during assembling
JP2021015064A (ja) センサ装置
JP2006022654A (ja) 燃料噴射弁の組付け構造
JP2006527839A (ja) 圧力センサ装置
JP3141225B2 (ja) 圧力検出装置とその取付け方法
JP2007278788A (ja) 圧力検出装置
JP3920028B2 (ja) 圧力センサ
JP4848909B2 (ja) 圧力センサ
CN119173749A (zh) 压力传感器、压力传感器单元和压力传感器的使用
JP5997686B2 (ja) 物理量測定センサ
CN119096125A (zh) 传感器模块
JP2004045253A (ja) 圧力センサ
JP2005221314A (ja) 圧力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4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10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1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1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1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