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28371B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8371B1
KR100928371B1 KR1020080010057A KR20080010057A KR100928371B1 KR 100928371 B1 KR100928371 B1 KR 100928371B1 KR 1020080010057 A KR1020080010057 A KR 1020080010057A KR 20080010057 A KR20080010057 A KR 20080010057A KR 100928371 B1 KR100928371 B1 KR 100928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ata
subpixels
pixels
display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0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4743A (ko
Inventor
준이찌 마루야마
요시히사 오오이시
요시끼 구로까와
다까시 쇼지
기꾸오 오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디스프레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디스프레이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디스프레이즈
Publication of KR20080074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4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37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18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 G09G3/2022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using sub-frames
    • G09G3/2025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using sub-frames the sub-frames having all the same time dur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6Driving circuits for producing the waveforms applied to the driving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09G2300/0452Details of colour pixel setup, e.g. pixel composed of a red, a blue and two green compon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57Improvement of perceived resolution by subpixel rend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표시부(5200)를 n배속으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 변환부(5100)는, 입력 표시 데이터(5002)의 1프레임 기간을 n개의 서브프레임으로 n배속화하고, n배속화한 표시 데이터마다 샘플링 위치를 시프트하고, 해상도를 변환하기 위해 샘플링하고, 샘플링한 출력 표시 데이터의 1개의 픽셀을 구성하는 서브픽셀의 조합을 n가지로 재배열하고, 서브프레임마다 샘플링 위치와 서브픽셀의 조합을 연동하여 서로 다르게 한다.
서브픽셀, n배속화, 재배열 회로, 해상도, 서브프레임, 샘플링, 서브픽셀 배열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출원은 일본 특허 출원 2007-030356(2007년 2월 9일)에 기초한 것으로서, 그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서 인용된다.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LCD),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 디스플레이, 투사형 디스플레이,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ED)와 같은 고정 픽셀을 갖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LCD)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등의,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고정 픽셀을 갖는 표시 장치에서 컬러 표시를 행하는 경우, 적(R), 녹(G), 청(B)의 3개의 부화소(이하 「서브픽셀」이라고 함)를 단위로 하여 1개의 화소(이하 「픽셀」이라고 함)를 구성하고, 3개의 서브픽셀의 휘도를, 각각 개별로 제어함으로써 컬러 표시를 행하는 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p×q(p, q는 자연수)의 픽셀수(즉 해상도)를 갖는 고정 픽셀의 표시 장치에서 표시를 행하는 경우, 입력 표시 데이터도 p×q의 해상도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대하여, 입력 표시 데이터가 P×Q(P, Q는 자연수)의 해상도이며, p≤P 내지 q≤Q의 관계에 있는 경우, 축소 처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축소 처리로서 는, 일본 특개 2000-165664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업 샘플러, 필터, 다운 샘플러에 의해 축소 회로를 구성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또한, 해상도가 높은 고정밀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1프레임을 2개의 필드로 나누고, 각 필드에서 서브픽셀의 조합을 변화시키는 방법이 일본 특개 2002-215082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고정 픽셀의 표시 장치에서, 축소를 수반하는 표시를 행하는 경우에, 해상도 변환 처리에 의해 입력된 표시 데이터의 정보의 일부가 상실되어, 지각되는 영상의 정밀도가 저하되게 된다. 또한,2개의 필드에서 서브픽셀의 조합을 변화시키는 경우에는, 서브픽셀의 면적을 서로 다르게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n개의 서브픽셀을 복수 갖는 고정 픽셀의 표시 장치를 n배속으로 표시하는 수단과, 입력 표시 데이터의 1프레임 기간에 n개의 서브프레임을 표시하는 수단과, n개의 서브프레임마다 샘플링 위치를 어긋나게 하는 수단과, 1개의 픽셀을 구성하는 서브픽셀의 조합을 n가지로 재배열하고, 서브프레임마다 샘플링 위치와 서브픽셀의 조합을 연동하여 서로 다르게 하는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르면, 픽셀수가 고정된 표시 장치에서, 축소를 수반하는 표시를 행하는 경우에, 해상도 변환 처리에 의해 상실되는 표시 데이터의 정보량을 삭감하여, 지각되는 영상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WXGA(1366×768)의 해상도의 표시 장치에, Full HD 해상도(1920×1080)의 표시 데이터를 입력하였을 때에, WXGA 이상의 정밀도의 영상을 지각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종래의 표시 장치의 동작의 개요에 대해서, 도 1, 도 2,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계속해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동작의 개요에 대해서, 도 1, 도 4,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대해서, 도 5, 도 6,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2 내지 7에 대해서, 도 8 내지 도 13을 이용하여 각각 설명한다. 이 실시예 2 내지 7은, 주로 표시 장치의 서브픽셀의 구성 방법이 상이하다. 또한,이하의 설명에서, 입력 표시 데이터를 n배속화하여 표시하는 수단의 설명 시에는, 서브픽셀수 n=3의 경우에 대해 설명하지만, n의 값은 3에 한하지 않고, 다른 값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1>
도 1은, 표시에 이용하는 픽셀수가 고정된, 소위, 고정 픽셀의 표시 장치에서의 축소 처리의 개념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후,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표시 장치란, 고정 픽셀의 표시 장치를 가리킨다. 도 1의 (a)는, 종래의 축소 처리의 개념을 도시하고, 도 1의 (b)는 본 발명을 적용한 축소 처리의 개념을 도시한 다. 각각, 횡축은 시간의 경과를 나타낸다.
도 1의 (a)에서,1프레임 기간당 P픽셀×Q라인(P, Q는 자연수)의 해상도의 입력 표시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입력된다. 1프레임 기간은, 예를 들면, NTSC 규격의 텔레비전 신호의 영상 데이터이면 16.6㎳이고, 이 때 프레임 주파수는 60㎐로 된다.
이 입력 표시 데이터에 대하여, 축차적으로, 필터 처리 및 샘플링 레이트 변환 처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해상도 변환 처리를 행하여, p픽셀×q라인(p, q는, p≤P, q≤Q를 만족시키는 자연수)의 출력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 출력 표시 데이터를, 각종 표시 장치를 이용하여 표시한다. 여기서, 출력 표시 데이터의 1프레임 기간과 입력 표시 데이터의 1프레임 기간은 변화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종래의 표시 장치에서는, 지각되는 화상의 정밀도는, 표시 장치의 총 픽셀수(즉 p픽셀×q라인)에 의해 정해진다. 이에 대하여, 도 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는, 입력 표시 데이터에 대하여, 1프레임 기간에 n회의 표시를 행한다. 즉, 출력 표시 데이터의 프레임 주파수를 n배화한다. 이 때, 표시 데이터의 갱신 간격은 1/n프레임 기간으로 된다. 이 n회의 표시를, 이 이후 서브프레임으로 부른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n개의 서브프레임에, 각각 서로 다른 해상도 변환 처리를 실시하고, 그들 n개의 서브프레임을 n배속으로 표시시키도록 표시 장치를 구동한다. 이 해상도 변환 처리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그 표시 장치의 실제의 총 픽셀수(p픽셀×q라인) 이상의 정밀도의 화상을 지각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도 1을 이용하여 종래의 표시 장치와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동작 원리의 차이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하였다. 계속해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를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종래의 표시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종래의 표시 장치에서의 축소 표시의 개념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이후,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서, 수평 방향의 해상도 변환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수직 방향에 대해서도 수평 방향의 처리 개념을 응용함으로써 마찬가지로 실현 가능하다.
도 2의 (a)는, 입력 표시 데이터의 수평 방향의 공간적 변화의 예를 도시한다. 도 2의 (a)의 횡축은, 입력 표시 데이터의 수평 방향의 위치이다. 한편, 종축은, 입력 표시 데이터(또는, 입력 표시 데이터에 업 샘플링 처리 및 필터 처리를 적용한 후의 표시 데이터)의 신호 레벨로서, 표시 장치에서 표시될 밝기를 나타낸다. 수평 방향의 위치에 따라서 레벨이 변화되는 R, G, B 각각의 영상 신호를, 픽셀 피치 d의 간격으로 샘플링하고, 각 픽셀 X1, X2, …마다 서브픽셀의 신호 강도를 얻는다.
도 2의 (b)는, 스트라이프 배열의 표시 장치에서의 수평 방향(즉 행 방향)의 픽셀 배열의 예를 도시한다. 픽셀 피치 d의 간격마다 픽셀 X1, X2, …를 배치하고, 픽셀 Xi는, Ri, Gi, Bi(i는 자연수)의 서브픽셀로 구성한다. 각각의 서브픽셀에서, 샘플링된 신호 강도에 대응하는 명도를 표시함으로써 컬러 표시를 실현한다.
이와 같이, 입력 표시 데이터(또는, 입력 표시 데이터에 업 샘플링 처리 및 필터 처리를 적용한 후의 표시 데이터)의 신호 레벨을 간격 d로 샘플링함으로써 해상도의 축소를 실현한다.
도 3은, 종래의 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표시 장치(3000)는, 신호 변환부(3100)와 표시부(3200)를 구비한다. 신호 변환부(3100)는, 제어 신호 변환 회로(3110)와 해상도 변환 회로(3120)를 구비한다.
신호 변환부(3100)에는, 입력 제어 신호군(3001) 및 입력 표시 데이터(3002)가 입력되고, 출력 제어 신호군(3111) 및 출력 표시 데이터(3122)를 출력한다.
해상도 변환 회로(3120)는, 입력 표시 데이터(3002)의 해상도를 변환한다. 예를 들면, 입력 표시 데이터(3002)의 수평 해상도가 P픽셀이고, 표시부(3200)의 수평 해상도(즉 픽셀수)가 p픽셀이며, P>q의 관계가 성립하는 경우, 해상도 변환 회로(3120)는 p/P배의 축소 처리를 실시하게 된다. p/P배의 레이트 변환은, 예를 들면, 일본 특개 2000-165664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입력 표시 데이터(3002)를 p배로 업 샘플링 처리하고, 업 샘플링 처리한 표시 데이터를 각종 왜곡의 발생을 억제하도록 적절하게 선택한 필터 처리를 적용하고, 필터 적용 후의 표시 데이터를 1/P로 다운 샘플링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제어 신호 변환 회로(3110)는, 입력 제어 신호군(3001)으로부터 출력 표시 데이터(3122)와 동기한 출력 제어 신호군(3111)을 생성한다.
표시부(3200)는, 예를 들면, 액정 표시(LCD) 패널이나,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 패널이나, 투사형 디스플레이 패널,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ED) 패 널과 같은 고정 픽셀을 갖는 표시 패널이다. 이 표시부(3200)는, 제어 신호 변환 회로(3110)로부터 출력된 출력 제어 신호군(3111)에 동기하여, 해상도 변환 회로(3120)로부터 출력된 출력 표시 데이터(3122)를 표시한다.
이상, 종래의 표시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의 축소 표시의 개념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의 (a)는, 도 2의 (a)와 마찬가지로 입력 표시 데이터의 공간적 변화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의 (a)의 횡축은, 입력 표시 데이터의 수평 방향의 위치이다. 한편, 종축은, 입력 표시 데이터(또는, 입력 표시 데이터에 업 샘플링 처리 및 필터 처리를 적용한 후의 표시 데이터)의 신호 레벨로서, 표시 장치에서 표시될 밝기를 나타낸다.
도 4의 (a)에서, 수평 방향의 위치에 따라서 레벨이 변화되는 R, G, B의 각 영상 신호를, 픽셀 피치 d의 간격으로 샘플링한다. 이 때, 종래의 표시 장치와 같이, 샘플링하는 위치를 픽셀 피치 d의 간격으로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3개의 서브프레임마다 상이한 위치에서 샘플링한다.
예를 들면, 제1 서브프레임에서는, 위치 X1, X2, …에서 서브픽셀의 신호 레벨 Ri, Gi, Bi(i는 자연수)를 샘플링한다. 다음 제2 서브프레임에서는, 위치 Y1, Y2, …에서 서브픽셀의 신호 레벨 Ri, Gi, Bi를 샘플링한다. 이 때 위치 Xi와 Yi는 d/3만큼 위치를 어긋나게 한다. 다음 제3 서브프레임에서는, 위치 Z1, Z2, …에서 서브픽셀의 신호 레벨 Ri, Gi, Bi를 샘플링한다. 이 때 위치 Xi와 Zi는 (2× d)/3만큼 위치를 어긋나게 하고, Yi과 Zi는 d/3만큼 위치를 어긋나게 한다.
이와 같이, 샘플링 위치를 간격 d마다의 하나로 고정하지 않고, 서브프레임마다 서브픽셀 단위로 어긋나게 함으로써, 샘플링에 의해 취득할 수 있는 신호 레벨의 정보량이 증가한다. 또한, 입력 표시 데이터(또는, 입력 표시 데이터에 업 샘플링 처리 및 필터 처리를 적용한 후의 표시 데이터)의 신호 레벨을 간격 d로 샘플링함으로써 해상도의 축소를 실현한다.
이와 같이 하여 취득한 표시 데이터에 대해서, 도 4의 (b), (c), (d)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의 (b), (c), (d)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라이프 배열의 표시 장치에서의 수평 방향(즉 행 방향)의 픽셀 배열의 예를 도시한다.
종래의 도 2의 (b)에 도시한 표시 장치에서는,1픽셀을 구성하는 3개의 서브픽셀의 조합의 순서는, (R, G, B)의 1종류만이었지만, 본 발명에서는,1픽셀을 구성하는 3개의 서브픽셀의 조합의 순서를 서브프레임마다 서로 다르게 한다.
즉,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서브프레임에서는,1개의 픽셀 Xi를 3개의 서브픽셀 (Ri, Gi, Bi)(i는 자연수)로 구성하여 표시를 행한다. 다음 제2 서브프레임에서는, 도 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의 픽셀 Yi를 3개의 서브픽셀 (Gi, Bi, Ri+1)로 구성하여 표시를 행한다. 다음 제3 서브프레임에서는, 도 4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의 픽셀 Zi를 3개의 서브픽셀 (Bi, Ri+1, Gi+1)로 구성하여 표시를 행한다. 이와 같이, 각 서브프레임에서 샘플링한 신호 레벨에 대응하도록, 서브픽셀 (R, G, B)의 조합의 순서를 재배열하여 컬러 표시를 행한다.
이와 같이, 각 샘플링 위치에 대응하는 서브픽셀의 조합 순서를 재배열하여 표시를 행함으로써, 표시할 수 있는 공간적인 정보량이 증가하여, 고정 픽셀의 표시 장치에서, 픽셀수 이상의 정밀도를 관측자에 지각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5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에서, 표시 장치(5000)는, 신호 변환부(5100)와 표시부(5200)로 이루어지고, 입력 표시 데이터(5002)를, 신호 변환부(5100)에서 변환하고, 표시부(5200)에 표시한다. 입력 표시 데이터(5002)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 수상기나 비디오 녹화 재생기에서의 신호 처리 회로군(도시 생략)이나, PC나 휴대 전화에서의 그래픽 처리 회로군(도시 생략) 등에서 생성된다.
또한, 표시 장치(5000)에는, 입력 표시 데이터(5002)와 함께, 입력 제어 신호군(5001)이 입력된다. 입력 제어 신호군(5001)은, 예를 들면, 입력 표시 데이터(5002)의 1프레임 기간(1화면분을 표시하는 기간)을 규정하는 수직 동기 신호, 1수평 주사 기간(1라인분을 표시하는 기간)을 규정하는 수평 동기 신호, 입력 표시 데이터(5002)의 유효 기간을 규정하는 데이터 유효 기간 신호 및 입력 표시 데이터(5002)와 동기한 기준 클럭 신호 등으로 이루어진다. 입력 표시 데이터(5002) 및 입력 제어 신호군(5001)은, 외부의 신호 발생 장치(도시 생략)로부터 표시 장치(5000)에 전송된다. 이 전송에는, 예를 들면, LVDS 레벨, CMOS 레벨, LVTTL 레벨 등의 각종 전기적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신호 변환부(5100)는, 입력 표시 데이터(5002)의 해상도를 변환하여 출력 표시 데이터(5182)를 생성하고, 표시부(5200)에 출력한다. 이 신호 변환부(5100)는, n배속화 회로(5130), 프레임 메모리(5140), 위상 시프터(5150, 5160), 셀렉터(5170), 해상도 변환 회로(5120), 재배열 회로(5180) 및 제어 신호 변환 회로(5110)를 구비하고 있다.
n배속화 회로(5130)는, 입력 표시 데이터(5002)의 프레임 주파수에 대하여, 프레임 주파수를 n배화한 n배속화 표시 데이터(5132)를 생성한다. 또한,n배속화 회로(5130)는, 입력 표시 데이터(5002)를 프레임 메모리(5140)에 순차적으로 저장한다. 저장한 1프레임 기간분의 데이터를 판독할 때에는, 1프레임 기간을 n분할한 시간 내에 판독한다. 이 판독 동작을 1프레임 기간에 n회 실시함으로써, 프레임 주파수의 n배화를 실현할 수 있다.
프레임 메모리(5140)는, 적어도 1프레임분의 표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을 구비한 기억 소자로서, 입력 표시 데이터(5002)의 기입, n배속화 표시 데이터(5132)의 판독 처리를 행한다. 프레임 메모리(5140)로서는, 예를 들면, 각종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참조 부호 5141은 프레임 메모리에의 기입 데이터, 참조 부호 5142는 프레임 메모리로부터의 판독 데이터이다.
또한,n배속화 회로(5130)는, n배속화 제어 신호군(5131)과 서브프레임 식별 신호(5133)를 생성한다. n배속화 제어 신호군(5131)은, 예를 들면, 1서브프레임 기간을 규정하는 n배속 수직 동기 신호, 1수평 주사 기간을 규정하는 n배속 수평 동기 신호, n배속화 표시 데이터(5132)의 유효 기간을 규정하는 n배속화 표시 데이터 유효 기간 신호 및 n배속화 표시 데이터(5132)와 동기한 n배속 클럭 신호 등으 로 이루어진다. 서브프레임 식별 신호(5133)는, n배속화 표시 데이터(5132)에 동기하고 있으며, n배속화 표시 데이터(5132)가 몇번째의 서브프레임인지를 식별하기 위해서 이용한다.
위상 시프터(5150, 5160)는, n배속화 표시 데이터의 위상을 시프트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위상 시프터(5150)는 d/n, 위상 시프터(5160)는 (2×d)/n만큼 n배속화 표시 데이터(5132)의 위상을 시프트한다. 이 시프트 동작에 의해, 제1 서브프레임용의 n배속화 표시 데이터(5132), 제2 서브프레임용의 위상 시프트 n배속화 표시 데이터(5152), 제3 서브프레임용의 위상 시프트 n배속화 표시 데이터(5162)가 얻어진다.
셀렉터(5170)는, 제1 서브프레임용의 n배속화 표시 데이터(5132), 제2 서브프레임용의 위상 시프트 n배속화 표시 데이터(5152), 제3 서브프레임용의 위상 시프트 n배속화 표시 데이터(5162) 중으로부터, 서브프레임 식별 신호(5133)에 기초하여, 각 서브프레임에 대응한 n배속화 표시 데이터를 선택하고, 선택 n배속화 표시 데이터(5172)로서 출력한다.
해상도 변환 회로(5120)는, 셀렉터(5170)에서 선택된 선택 n배속화 표시 데이터(5172)의 해상도를 변환하여, 해상도 변환 표시 데이터(5122)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입력 표시 데이터(5002)의 수평 해상도(즉 픽셀수)가 P픽셀이고, 표시부(5200)의 수평 해상도(즉 픽셀수)가 p픽셀이며, P>q의 관계가 성립하는 경우에, 해상도 변환 회로(5120)는 p/P배의 축소 처리를 행한다.
p/P배의 레이트 변환은, 예를 들면, 일본 특개 2000-165664호 공보에 기재되 어 있는 바와 같이, 표시 데이터를 p배로 업 샘플링 처리하고, 업 샘플링 처리한 표시 데이터를 각종 왜곡의 발생을 억제하도록 적절하게 선택한 필터 처리를 적용하고, 필터 적용 후의 표시 데이터를 1/P로 다운 샘플링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혹은,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해상도 변환을 행해도 된다.
단,이 때 해상도 변환되는 선택 n배속화 표시 데이터(5172)는, 위상 시프터(5150, 5160) 및 셀렉터(5170)의 동작에 의해, 서브프레임마다 위상이 서로 달라져 있다. 이 동작은, 도 4에서, 제1 서브프레임에서는 위치 Xi에서 샘플링하고, 제2 서브프레임에서는 위치 Yi에서 샘플링하고, 제3 서브프레임에서는 위치 Zi에서 샘플링하는 동작에 상당한다.
재배열 회로(5180)는, 해상도 변환 회로(5120)로부터 출력된 해상도 변환 표시 데이터(5122)를, 서브프레임 식별 신호(5133)에 기초하여, 서브픽셀의 조합의 순서(서브픽셀의 배열)를 재배열하여, 출력 표시 데이터(5182)를 출력한다. 여기서의 처리는, 도 4의 (b), (c), (d)에서,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제1 서브픽셀 배열, 제2 서브프레임에서의 제2 서브픽셀 배열, 제3 서브프레임에서의 제3 서브픽셀 배열을, 서브프레임마다 절환하는 처리에 상당한다.
제어 신호 변환 회로(5110)는, n배속화 제어 신호군(5131)으로부터, 출력 표시 데이터(5182)와 동기한 출력 제어 신호군(5111)을 생성한다. 이 출력 제어 신호군(5111)은, 예를 들면, 출력 표시 데이터(5182)의 1서브프레임 기간(1화면분을 표시하는 기간)을 규정하는 수직 동기 신호, 1수평 주사 기간(1라인분을 표시하는 기간)을 규정하는 수평 동기 신호, 출력 표시 데이터(5182)의 유효 기간을 규정하 는 데이터 유효 기간 신호 및 출력 표시 데이터(5182)와 동기한 기준 클럭 신호 등으로 이루어진다.
표시부(5200)는, 예를 들면, 액정 표시(LCD) 패널이나,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 패널이나, 투사형 디스플레이 패널,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ED) 패널과 같은 고정 픽셀을 갖는 표시 패널이다. 표시 수단으로서 액정 표시 패널(5240)을 이용하는 예를 나타내지만, 다른 표시 수단을 이용해도 된다.
표시부(5200)는, 타이밍 생성 회로(5210), 데이터선 구동 회로(5220), 주사선 구동 회로(5230), 액정 표시 패널(5240), 참조 전압 생성 회로(5250)를 구비하고 있다.
타이밍 생성 회로(5210)에는, 신호 변환부(5100)로부터 출력된 출력 제어 신호군(5111)과 출력 표시 데이터(5182)가 입력된다. 이 타이밍 생성 회로(5210)는, 출력 제어 신호군(5111)과 출력 표시 데이터(5182)로부터, 데이터선 구동 회로(522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선 구동 회로 제어 신호군(5211)과 데이터선 구동 표시 데이터(5212)와, 주사선 구동 회로(5230)를 제어하기 위한 주사선 구동 회로 제어 신호군(5213)을 생성한다.
데이터선 구동 회로 제어 신호군(5211)은, 예를 들면, 데이터선 구동 표시 데이터(5212)에 기초하는 데이터 전압의 출력 타이밍을 규정하는 출력 타이밍 신호와 소스 전압의 극성을 결정하는 교류화 신호, 표시 데이터와 동기한 클럭 신호 등으로 이루어진다. 주사선 구동 회로 제어 신호군(5213)은, 예를 들면, 1라인의 주사 기간을 규정하는 시프트 신호, 선두 라인의 주사 개시를 규정하는 수직 스타트 신호 등으로 이루어진다. 참조 부호 5250은 참조 전압 생성 회로, 참조 부호 5251은 참조 전압이다.
데이터선 구동 회로(5220)는, 참조 전압(5251)으로부터 표시 계조의 수에 대응하는 전위를 생성함과 함께, 데이터선 구동 표시 데이터(5212)에 대응한 1레벨의 전위를 선택하고, 액정 표시 패널(5240)에 인가하는 데이터 전압(5221)을 출력한다.
주사선 구동 회로(5230)는, 주사선 구동 회로 제어 신호군(5213)에 기초하여 주사선 선택 신호(5231)를 생성하여, 액정 표시 패널(5240)의 주사선에 출력한다.
액정 표시 패널(5240)의 1서브픽셀(5241)은, 소스 전극, 게이트 전극, 드레인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TFT(Thin Film Transistor)와, 액정층, 대향 전극으로 구성된다. 주사 신호를 게이트 전극에 인가함으로써 TFT의 스위칭 동작을 행하고, TFT가 온 상태에서는, 데이터 전압이, 소스 전극을 통하여, 액정층의 한쪽과 접속한 드레인 전극에 기입되고, TFT가 오프 상태에서는, 드레인 전극에 기입된 전압이 유지된다. 이 드레인 전극의 전압을 Vd로 하고, 대향 전극 전압을 VCOM으로 한다. 액정층은, 드레인 전극 전압 Vd와 대향 전극 전압 VCOM의 전위차에 기초하여 편광 방향을 변화시킴과 함께, 액정층의 상하에 배치된 편광판을 통함으로써, 이면에 배치된 백라이트로부터의 투과광량이 변화되어 계조 표시를 행한다.
다음으로, 도 6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표시 장치의 동작의 타이밍차트이다. 도 6의 횡축은 시간을 나타낸다. 우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의 신호 발생 장치(도 시 생략)로부터 입력 표시 데이터(5002)와 입력 제어 신호군(5001)이 입력된다. 도 6에서는, 입력 제어 신호군(5001)의 하나인 입력 수직 동기 신호(601)와, 입력 표시 데이터(5002)를 나타낸다. 입력 수직 동기 신호(601)는, 입력 표시 데이터(5002)의 1프레임 기간을 규정하는 신호로, 입력 표시 데이터(5002)의 프레임의 절환에 동기한 펄스이다.
도 6에서,D(j)는 제j 프레임(j는 자연수)의 입력 표시 데이터를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D(j+1)은 제j+1 프레임의 입력 표시 데이터를 나타낸다. 입력 표시 데이터(5002)는, 각 프레임의 데이터가, 1프레임 기간 단위로, … D(j), D(j+1), D(j+2), …과 같이 순차적으로 입력된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한 n배속화 회로(5130)에 의해, n배속화 처리를 실행한다. 도 6에서는,n배속화 회로(5130)에 의해 생성된 n배속화 제어 신호군(5131)의 하나인 n배속 수직 동기 신호(602)와, n배속화 표시 데이터(5132)와, 서브프레임 식별 신호(5133)를 나타낸다. n배속 수직 동기 신호(602)는, n배속화 표시 데이터(5132)의 1서브프레임 기간(즉 1/n프레임 기간)을 규정하는 신호로, n배속화 표시 데이터(5132)의 서브프레임의 절환에 동기한 펄스이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수직 동기 신호(601) 및 입력 표시 데이터(5002)와, n배속 수직 동기 신호(602) 및 n배속화 표시 데이터(5132) 사이에는, n배속화 처리에 의한 지연이 생기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n배속화 회로(5130)는, 입력 제어 신호군(5001)으로부터 서브프레임 식별 신호(5133)를 생성한다. 서브프레임 식별 신호(5133)는, n배속화 표시 데이 터(5132)의 서브프레임을 판별하기 위해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서브픽셀의 수 n=3의 경우에, 즉, 입력 표시 데이터(5002)의 1프레임을 제1 서브프레임, 제2 서브프레임 및 제3 서브프레임의 3개로 분할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서브프레임 식별 신호(5133)는, 예를 들면, 0, 1, 2의 각 값을 순차적으로 카운트하는 카운터로 구성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제1 서브프레임에 카운터값 0, 제2 서브프레임에 카운터값 1, 제3 서브프레임에 카운터값 2를 할당한 예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한 위상 시프터(5150, 5160), 셀렉터(5170) 및 해상도 변환 회로(5120)에 의해, n배속화 표시 데이터(5132)에 대하여 해상도 변환을 실행한다. 셀렉터(5170)는, 서브프레임 식별 신호(5133), 제1 서브프레임용의 n배속화 표시 데이터(5132), 제2 서브프레임용의 위상 시프트 n배속화 표시 데이터(5152), 제3 서브프레임용의 위상 시프트 n배속화 표시 데이터(5162)를 입력으로서 접수하고, 서브프레임 식별 신호(5133)에 기초하여, 해당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선택 n배속화 표시 데이터(5172)를 선택한다.
도 6에서,D'(j)는, 제j 프레임의 n배속화 표시 데이터 D(j)에 대하여 제2 서브프레임용의 위상 시프트를 실시한 위상 시프트 n배속화 표시 데이터(5152)를 나타내고, D''(j)는, 제j 프레임의 n배속화 표시 데이터 D(j)에 대하여 제3 서브프레임용의 위상 시프트를 실시한 위상 시프트 n배속화 표시 데이터(5162)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한 재배열 회로(5180)에서, 프레임 식별 신호(5133)에 기초하여, 선택 n배속화 표시 데이터(5172)의 서브픽셀의 배열을 재배열하여, 출력 표시 데이터(5182)를 생성한다. 또한, 제어 신호 변환 회로(5110)에서,n배속화 제어 신호군(5131)으로부터 출력 표시 제어 신호군(5111)을 생성한다.
도 6에는, 출력 제어 신호군(5111) 중으로부터, 출력 표시 데이터(5182)의 1서브프레임 기간을 규정하는 수직 동기 신호(603)를 나타낸다. 도 6에서,S(j)는, 제j 프레임의 제1 서브프레임의 n배속화 표시 데이터에 대하여 해상도 변환을 실시한 해상도 변환 표시 데이터, S'(j)는, 제j 프레임의 제2 서브프레임용의 위상 시프트 n배속화 표시 데이터에 대하여 해상도 변환을 실시한 해상도 변환 표시 데이터, S''(j)는, 제j 프레임의 제3 서브프레임용의 위상 시프트 n배속화 표시 데이터에 대하여 해상도 변환을 실시한 해상도 변환 표시 데이터를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A(j)는, 제j 프레임의 제1 서브프레임의 출력 표시 데이터, A'(j)는, 제j 프레임의 제2 서브프레임의 출력 표시 데이터, A''(j)는, 제j 프레임의 제3 서브프레임의 출력 표시 데이터를 나타낸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n배속 수직 동기 신호(602) 및 n배속 표시 데이터(5132)와, 출력 수직 동기 신호(603) 및 출력 표시 데이터(5182) 사이에는, 각종 데이터 변환 처리에 의한 지연이 생기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서브픽셀을 격자 형상으로 배열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표시 패널의 일부를 확대하고, 태선으로 둘러싼 3개의 동일한 면적의 서브픽셀을 단위로 하여, 1개의 픽셀을 구성한다. 도 7의 (a), (b), (c)는, 동일 표시 장치의 동일 위치에서의 각 서브프레임의 픽셀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7의 (a)는,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서브픽셀 배열로, 동일한 면적의 서브픽셀 R, G, B의 배열로 1픽셀을 구성한다. 도 7의 (b)는, 제2 서브프레임에서의 서브픽셀 배열로, 동일한 면적의 서브픽셀 G, B, R의 배열로 1픽셀을 구성한다. 도 7의 (c)는, 제3 서브프레임에서의 서브픽셀 배열로, 동일한 면적의 서브픽셀 B, R, G의 배열로 1픽셀을 구성한다. 이와 같이 제1, 제2, 제3의 각 서브프레임에서 서브픽셀의 배열을 서로 다르게 한다. 또한, 서브프레임의 표시 순서나, 행 내의 서브픽셀의 배열순은, 도 7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2>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서브픽셀을 격자 형상으로 배열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표시 패널의 일부를 확대하고, 태선으로 둘러싼 3개의 동일한 면적의 서브픽셀을 단위로 하여, 1개의 픽셀을 구성한다. 도 8의 (a), (b), (c)는, 동일 표시 장치의 동일 위치에서의 각 서브프레임의 픽셀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8의 (a)는,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서브픽셀 배열로, 1행째는, 동일한 면적의 서브픽셀 R, G, B의 배열로 1픽셀을 구성한다. 2행째는, 동일한 면적의 서브픽셀 G, B, R의 배열로 1픽셀을 구성한다. 3행째는, 동일한 면적의 서브픽셀 B, R, G의 배열로 1픽셀을 구성한다. 4행째 이후는, 이상의 3행의 주기를 반복한다. 도 8의 (b)는, 제2 서브프레임에서의 서브픽셀 배열로, 도 8의 (a)에 도시한 제1 서브프레임과는, 각 행마다의 서브픽셀의 배열이 상이하다. 도 8의 (c)는, 제3 서브프레임에서의 서브픽셀 배열로, 도 8의 (a)에 도시한 제1 서브프레임 및 도 8의 (b)에 도시한 제2 서브프레임과는, 각 행마다의 서브픽셀의 배열이 상이하다.
도 7에서는, 각 서브프레임에서, 각 행의 서브픽셀의 배열은 동일하였지만, 도 8에서는, 각 서브프레임에서, 또한 각 행마다 서브픽셀의 배열을 서로 다르게 하는 점이 상이하다. 또한, 서브프레임의 표시 순서나, 행 내의 서브픽셀의 배열순, 행마다의 서브픽셀의 배열 순서는, 도 8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서브픽셀 배열 이외의 표시 장치의 구성이나 동작은, 실시예 1에서 설명한 표시 장치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3>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서브픽셀 배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표시 패널의 일부를 확대하고, 태선으로 둘러싼 3개의 동일한 면적의 서브픽셀을 단위로 하여, 1개의 픽셀을 구성한다. 행마다 수평 위치를 0.5서브픽셀 분만큼 어긋나게 한, 소위 델타-나브라 배치의 표시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의 예이다.
델타-나브라 배치의 표시 장치에서는, 서브픽셀의 배열이 6가지 있다. 도 9의 (a), (b), (c), (d), (e), (f)는, 동일 표시 장치의 동일 위치에서의 6가지의 서브픽셀의 배열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서브프레임수를, 예를 들면, 서브픽셀의 수 n=3의 2배인 6으로 하고, 도 9에 도시한 각 배열을, 각각의 서브프레임에 할당한다. 또한, 각 픽셀의 무게 중심 위치에서, 샘플링을 행하도록, 해상도 변환 회로를 조정한다.
또한, 도 9로부터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델타-나브라 배치의 표시 장치에서는,6가지의 픽셀의 무게 중심 위치는, 수평 방향뿐만 아니라, 수직 방향으로도 변 동한다. 즉, 델타-나브라 배치의 표시 장치에서, 본 발명을 적용하면, 수평 방향뿐만 아니라, 수직 방향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게 할 수 있다.
또한, 서브프레임의 표시 순서나, 행 내의 서브픽셀의 배열순은, 도 9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서브픽셀 배열 이외의 표시 장치의 구성이나 동작은, 실시예 1에서 설명한 표시 장치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4>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서브픽셀을 격자 형상으로 배열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표시 패널의 일부를 확대하고, 태선으로 둘러싼 4개의 동일한 면적의 서브픽셀을 단위로 하여, 1개의 픽셀을 구성한다. R, G, B의 서브픽셀 외에, W(백)의 서브픽셀을 가한, 소위 RGBW 배치의 표시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의 예이다.
RGBW 배치의 표시 장치에서는, 서브픽셀의 배열이 4가지 있다. 도 10의 (a), (b), (c), (d)는, 동일 표시 장치의 동일 위치에서의 4가지의 서브픽셀 배열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서브프레임수를, 예를 들면, 서브픽셀의 수 n=4로 하고, 도 10에 도시한 각 배열을, 각각의 서브프레임에 할당한다. 또한, 각 픽셀의 무게 중심 위치에서, 샘플링을 행하도록, 해상도 변환 회로를 조정한다.
또한, 도 10으로부터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RGBW 배치의 표시 장치에서는,4가지의 픽셀의 무게 중심 위치는, 수평 방향뿐만 아니라, 수직 방향으로도 변동한다. 즉, RGBW 배치의 표시 장치에서, 본 발명을 적용하면, 수평 방향뿐만 아니라, 수직 방향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게 할 수 있다.
또한, 서브프레임의 표시 순서나, 행 내의 서브픽셀의 배열순은, 도 10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서브픽셀 배열 이외의 표시 장치의 구성이나 동작은, 실시예 1에서 설명한 표시 장치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5>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서브픽셀 배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표시 패널의 일부를 확대하고, 태선으로 둘러싼 3개의 동일한 면적의 서브픽셀을 단위로 하여, 1개의 픽셀을 구성한다. R, G, B의 서브픽셀을 L자 및 역L자로 배열한, 소위 L자 배치의 표시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의 예이다.
L자 배치의 표시 장치에서는, 서브픽셀의 배열이 6가지 있다. 도 11의 (a), (b), (c), (d), (e), (f)는, 동일 표시 장치의 동일 위치에서의 6가지의 서브픽셀의 배열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서브프레임수를, 예를 들면, 서브픽셀의 수 n=3의 2배인 6으로 하고, 도 11에 도시한 각 배열을, 각각의 서브프레임에 할당한다. 또한, 각 픽셀의 무게 중심 위치에서, 샘플링을 행하도록, 해상도 변환 회로를 조정한다.
또한, 도 11로부터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L자 배치의 표시 장치에서는,6가지의 픽셀의 무게 중심 위치는, 수평 방향뿐만 아니라, 수직 방향으로도 변동한다. 즉, L자 배치의 표시 장치에서, 본 발명을 적용하면, 수평 방향뿐만 아니라, 수직 방향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게 할 수 있다.
또한, 서브프레임의 표시 순서나, 행 내의 서브픽셀의 배열순은, 도 11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서브픽셀 배열 이외의 표시 장치의 구성이나 동 작은, 실시예 1에서 설명한 표시 장치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6>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서브픽셀 배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표시 패널의 일부를 확대하고, 태선으로 둘러싼 3개의 동일한 면적의 서브픽셀을 단위로 하여, 1개의 픽셀을 구성하는 것을 도시한다. R, G, B의 서브픽셀을 L자 및 역L자로 배열한, 소위 L자 배치의 표시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의 예이다. 도 11에 도시한 L자 배치의 표시 장치와는, B의 서브픽셀의 배열이 열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정렬하고 있는 점이 상이하다.
이 L자 배치의 표시 장치에서는, 서브픽셀의 배열이 2가지 있다. 도 12의 (a), (b)는, 동일 표시 장치의 동일 위치에서의, 2가지의 서브픽셀의 배열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서브프레임수를 예를 들면 2로 하고, 도 12에 도시한 각 배열을, 각각의 서브프레임에 할당한다. 또한, 각 픽셀의 무게 중심 위치에서, 샘플링을 행하도록 해상도 변환 회로를 조정한다.
또한, 도 12로부터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L자 배치의 표시 장치에서는,2가지의 픽셀의 무게 중심 위치는, 수평 방향으로는 변동하지 않고, 수직 방향으로 변동한다. 즉, L자 배치의 표시 장치에서, 본 발명을 적용하면, 수직 방향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게 할 수 있다.
또한, 서브프레임의 표시 순서나, 행 내의 서브픽셀의 배열순은, 도 12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서브픽셀 배열 이외의 표시 장치의 구성이나 동작은, 실시예 1에서 설명한 표시 장치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7>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서브픽셀 배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표시 패널의 일부를 확대하고, 태선으로 둘러싼 3개의 동일한 면적의 서브픽셀을 단위로 하여, 1개의 픽셀을 구성한다. R, G, B의 서브픽셀을 L자 및 역L자로 배열한, 소위 L자 배치의 표시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의 예이다. 도 11에 도시한 L자 배치의 표시 장치와는, 서브픽셀의 배열과 조합 방법이 상이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1에 도시한 L자 배치의 표시 장치는, 2행 3열분의 서브픽셀로 2개의 픽셀을 구성하는 것에 대해, 도 13에 도시한 L자 배치의 표시 장치는, 3행 2열분의 서브픽셀로 2개의 픽셀을 구성한다.
이 L자 배치의 표시 장치에서는,서브픽셀의 배열이 6가지 있다. 도 13의 (a), (b), (c), (d), (e), (f)는, 동일 표시 장치의 동일 위치에서의 6가지의 서브픽셀의 배열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서브프레임수를, 예를 들면, 서브픽셀의 수 n=3의 2배인 6으로 하고, 도 13에 도시한 각 배열을, 각각의 서브프레임에 할당한다. 또한, 각 픽셀의 무게 중심 위치에서, 샘플링을 행하도록, 해상도 변환 회로를 조정한다.
또한, 도 13으로부터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L자 배치의 표시 장치에서는,6가지의 픽셀의 무게 중심 위치는, 수평 방향뿐만 아니라, 수직 방향으로도 변동한다. 즉, L자 배치의 표시 장치에서, 본 발명을 적용하면, 수평 방향뿐만 아니라, 수직 방향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게 할 수 있다.
또한, 서브프레임의 표시 순서나, 행 내의 서브픽셀의 배열순은, 도 13의 예 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서브픽셀 배열 이외의 표시 장치의 구성이나 동작은, 실시예 1에서 설명한 표시 장치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고정 픽셀의 표시 장치에서의 축소 처리의 개념도.
도 2는 종래의 표시 장치에서의 축소 표시의 개념도.
도 3은 종래의 표시 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의 축소 표시의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동작도.
도 7은 1픽셀에서의 3개의 서브픽셀 배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1픽셀에서의 3개의 서브픽셀 배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1픽셀에서의 3개의 서브픽셀 배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1픽셀에서의 4개의 서브픽셀 배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1픽셀에서의 3개의 서브픽셀 배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1픽셀에서의 3개의 서브픽셀 배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1픽셀에서의 3개의 서브픽셀 배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0, 5000: 표시 장치
3002, 5002: 입력 표시 데이터
3001, 5001: 입력 제어 신호군
3100, 5100: 신호 변환부
3110, 5110: 제어 신호 변환 회로
3120, 5120: 해상도 변환 회로
3111, 5111: 출력 제어 신호군
3122, 5182: 출력 표시 데이터
5130: n배속화 회로
5131: n배속화 제어 신호군
5132: n배속화 표시 데이터
5133: 서브프레임 식별 신호
5140: 프레임 메모리
5141: 프레임 메모리 라이트 데이터
5142: 프레임 메모리 리드 데이터
5150, 5160: 위상 시프터
5152, 5162: 위상 시프트 n배속화 표시 데이터
5170: 셀렉터
5172: 선택 n배속화 표시 데이터
5122: 해상도 변환 표시 데이터
5180: 재배열 회로
5200: 표시부
5210: 타이밍 생성 회로
5211: 데이터선 구동 회로 제어 신호군
5212: 데이터선 구동 표시 데이터
5213: 주사선 구동 회로 제어 신호군
5220: 데이터선 구동 회로
5221: 데이터 전압
5230: 주사선 구동 회로
5231: 주사선 선택 신호
5240: 액정 표시 패널
5241: 액정 표시 서브픽셀
5250: 참조 전압 생성 회로
5251: 참조 전압

Claims (10)

  1. 표시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화소는 n개의 부화소를 단위로 하여 1화소를 구성하는 표시 패널과,
    상기 화소에 표시 데이터에 따른 표시 신호를 출력하는 주사선 구동 회로와,
    입력된 입력 표시 데이터의 1프레임을 n 서브프레임으로 n배속화하는 n배속화 회로와,
    n배속화 회로에서 생성된 n개의 표시 데이터의 해상도를 변환하는 해상도 변환 회로와,
    변환된 n개의 표시 데이터의 1화소를 구성하는 n개의 부화소의 조합을, n개의 서브프레임에 대응하여 n가지로 바꾸는 재배열 회로를 포함하는 신호 변환부
    를 포함하고,
    상기 해상도 변환에 있어서는, n배속화된 n개의 표시 데이터의 각각의 위상을 서로 다르게 하기 위한 위상 시프터와, 위상이 서로 다른 n개의 표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셀렉터를 이용하여, n개의 서브프레임마다 입력 표시 데이터의 샘플링 위치를 서로 다르게 하여 입력 표시 데이터의 해상도를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열 회로에서 바꾸어진 부화소의 조합은, n개의 서브프레임에 대응한 표시 영역마다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부화소는, n개의 색으로 구성되고, 상기 부화소를 격자 형상으로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부화소는, n개의 색으로 구성되고, 상기 부화소를 행마다 또는 열마다 0.5 부화소만큼 어긋나게 하여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화소는, 4개의 부화소를 포함하고, 4개의 색으로 구성되며, 4개의 부화소를 격자 형상으로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화소는, 3개의 부화소를 포함하고, 3개의 색으로 구성되며, 3개의 부화소를 L자 형상으로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부화소 중 적어도 1개의 색을 직선 형상으로 배열하고, 상기 3개의 부화소의 배열을 2개의 서브프레임에 대응하여 2가지로 재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L자 형상으로 배열된 3개의 부화소를 단위로 하는 L자 형상의 화소와, 상기 L자 형상의 화소와 쌍을 이루는 역L자 형상의 화소를 행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열하고, 2개의 화소가 2행×3열의 격자를 이루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L자 형상으로 배열된 3개의 부화소를 단위로 하는 L자 형상의 화소와, 상기 L자 형상의 화소와 쌍을 이루는 역L자 형상의 화소를 열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열하고, 2개의 화소가 3행×2열의 격자를 이루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화소를 구성하는 n개의 부화소는, 동일한 면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080010057A 2007-02-09 2008-01-31 표시 장치 Active KR1009283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030356 2007-02-09
JP2007030356A JP5441312B2 (ja) 2007-02-09 2007-02-09 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4743A KR20080074743A (ko) 2008-08-13
KR100928371B1 true KR100928371B1 (ko) 2009-11-23

Family

ID=39706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0057A Active KR100928371B1 (ko) 2007-02-09 2008-01-31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120629B2 (ko)
JP (1) JP5441312B2 (ko)
KR (1) KR100928371B1 (ko)
CN (1) CN101241666B (ko)
TW (1) TWI4675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35546B2 (ja) * 2009-08-10 2014-07-02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ドライバ
EP2549466A4 (en) * 2010-03-19 2014-02-26 Sharp Kk DISPLAY DEVICE AND DISPLAY ACTUATION METHOD
JP5321627B2 (ja) * 2011-03-24 2013-10-23 船井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20120133901A (ko) * 2011-06-01 2012-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광원을 순차적으로 구동시키는 영상 신호 처리 장치와 이를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CN103137059B (zh) * 2011-12-02 2016-04-06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用以提升显示装置领域的视觉效果的系统与方法
US9053557B2 (en) 2011-12-02 2015-06-09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visual effect of a display device
KR101981288B1 (ko) * 2012-07-13 2019-05-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 방법
JP2014130224A (ja) * 2012-12-28 2014-07-10 Seiko Epson Corp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TWI548081B (zh) * 2014-02-12 2016-09-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面板
KR20150112620A (ko) * 2014-03-28 2015-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04319283B (zh) * 2014-10-27 2016-03-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有机电致发光显示器件、其驱动方法及显示装置
JP6314902B2 (ja) * 2015-04-30 2018-04-25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点灯制御回路並びに表示装置の点灯駆動方法
CN105070220B (zh) * 2015-09-11 2017-11-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的显示方法、显示器件及显示装置
WO2018092877A1 (ja) * 2016-11-17 2018-05-24 凸版印刷株式会社 反射型表示装置
KR102825728B1 (ko) * 2016-11-30 2025-06-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CN106920502A (zh) * 2017-05-12 2017-07-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显示装置的控制方法
KR102466271B1 (ko) * 2017-08-31 2022-11-14 쿤산 고-비젼녹스 옵토-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픽셀 구조체, oled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구동 방법
WO2020054039A1 (ja) * 2018-09-13 2020-03-19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10112189B (zh) * 2019-04-25 2021-03-2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JP2022174568A (ja) * 2021-05-11 2022-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6959354B (zh) * 2023-06-21 2024-08-16 重庆惠科金渝光电科技有限公司 驱动电路、电路驱动方法以及显示面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8018A (ko) * 2002-08-24 2004-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델타 구조 디스플레이에서의 칼라영상의 표현 방법 및 장치
JP2005316392A (ja) 2004-03-30 2005-11-10 Victor Co Of Japan Ltd サンプリングレート変換装置及びフィルタ方法
KR20050116207A (ko) * 2004-06-07 2005-12-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장치와 그의 구동방법
JP2006031003A (ja) 2004-07-12 2006-02-02 Sharp Corp サブピクセルサンプリングおよび視覚のエラー補償を使用しているディスプレイ解像度を改善するための方法と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42910B1 (fr) * 1995-12-22 1998-04-17 Thomson Multimedia Sa Procede et dispositif d'adressage d'un ecran matriciel
JP2000165664A (ja) * 1998-11-30 2000-06-16 Sony Corp 画像の解像度変換装置及び方法
JP2002049361A (ja) * 2000-08-04 2002-02-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2002221935A (ja) * 2000-11-24 2002-08-09 Mitsubishi Electric Corp 表示装置
JP2002215082A (ja) * 2001-01-23 2002-07-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表示パネル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4037181B2 (ja) * 2002-06-07 2008-01-2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データ処理装置、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システム
US6963319B2 (en) * 2002-08-07 2005-11-0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mage display system and method
JP2004252273A (ja) * 2003-02-21 2004-09-09 Sharp Corp 表示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回路装置
JP4366988B2 (ja) * 2003-05-01 2009-11-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有機el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5011314A (ja) * 2003-05-23 2005-01-13 Fujitsu Ltd 画像フィルタおよび画像変換方法
JP2006113445A (ja) * 2004-10-18 2006-04-27 Tohoku Pioneer Corp 自発光表示パネルの駆動装置および同装置を搭載した電子機器
TWI341413B (en) * 2004-12-27 2011-05-01 Chimei Innolux Corp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transmission and reflective display modes and method of displaying balanced chromaticity image for the same, lcd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JP4684046B2 (ja) * 2005-03-30 2011-05-18 三洋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8018A (ko) * 2002-08-24 2004-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델타 구조 디스플레이에서의 칼라영상의 표현 방법 및 장치
JP2005316392A (ja) 2004-03-30 2005-11-10 Victor Co Of Japan Ltd サンプリングレート変換装置及びフィルタ方法
KR20050116207A (ko) * 2004-06-07 2005-12-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장치와 그의 구동방법
JP2006031003A (ja) 2004-07-12 2006-02-02 Sharp Corp サブピクセルサンプリングおよび視覚のエラー補償を使用しているディスプレイ解像度を改善するための方法と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441312B2 (ja) 2014-03-12
CN101241666B (zh) 2010-09-08
TWI467532B (zh) 2015-01-01
US20080198185A1 (en) 2008-08-21
US8120629B2 (en) 2012-02-21
TW200901124A (en) 2009-01-01
CN101241666A (zh) 2008-08-13
KR20080074743A (ko) 2008-08-13
JP2008197228A (ja) 2008-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8371B1 (ko) 표시 장치
KR100642558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JP4877363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TWI276038B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9083965B2 (en) Stereoscopic display device
KR101703875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CN104183221B (zh) 液晶显示器及其显示方法
US20070176948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of displaying a more-than-three primary color image
TWI413958B (zh) 主動矩陣型顯示裝置的驅動電路、驅動方法及主動矩陣型顯示裝置
JP2009175468A (ja) 表示装置
JP2011007889A (ja) 液晶表示装置
KR20130100679A (ko)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전자 기기
JP2014232321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表示方法
CN101086824A (zh) 液晶显示器像素结构及其驱动方法
JP5115001B2 (ja) 表示パネル及びそれを用いたマトリックス表示装置
KR20160096776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JP2009020197A (ja) 表示装置ならびにその駆動回路および駆動方法
JP2008151986A (ja) 電気光学装置、走査線駆動回路および電子機器
KR20070109674A (ko) 평면표시장치의 화소구조
JP4995370B2 (ja) 表示装置
JP5353332B2 (ja) 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及び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
JP2007171367A (ja) 液晶表示装置
KR20070113673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WO2014010010A1 (ja) 液晶パネルの駆動装置及び液晶パネルの駆動方法並びに液晶表示装置
CN117809591A (zh) 一种显示屏的驱动方法、驱动系统和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4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10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11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11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2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2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1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1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