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25959B1 - 차량의 리어 차체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리어 차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5959B1
KR100925959B1 KR1020080077075A KR20080077075A KR100925959B1 KR 100925959 B1 KR100925959 B1 KR 100925959B1 KR 1020080077075 A KR1020080077075 A KR 1020080077075A KR 20080077075 A KR20080077075 A KR 20080077075A KR 100925959 B1 KR100925959 B1 KR 100925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inner panel
mounting bracket
shock absorber
common moun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7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7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5959B1/ko
Priority to US12/332,829 priority patent/US7926869B2/en
Priority to DE102008062887A priority patent/DE102008062887A1/de
Priority to CN2008101891633A priority patent/CN101643089B/zh
Priority to CN201310122710.7A priority patent/CN103223978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5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595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6Mud-guards or wings; Wheel cover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7Lugg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8Details of structures as upper supports for springs or da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36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side panels, sills or pill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리어 차체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휠 하우징 인너 판넬과; 상기 휠 하우징 인너 판넬의 외표면에 차체의 전후 방향으로 결합되며, 2륜 쇽 업쇼바와 4륜 쇽 업쇼바가 각각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이 형성된 공용 마운팅 브래킷과; 상기 공용 마운팅 브래킷을 쿼터 인너 판넬에 연결하여 강성을 보강하는 쿼터 인너 연결 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2륜 쇽 업쇼바용 브래킷과 4륜 쇽 업쇼바용 브래킷이 별도로 제작 및 조립될 필요없이 하나의 공용 마운팅 브래킷을 이용하여 2륜 구동 시스템과 4륜 구동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또한, 2륜 구동 시스템과 4륜 구동 시스템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공용 마운팅 브래킷이 휠 하우징 인너 판넬에 고정되기 때문에 공용 마운팅 브래킷을 쿼터 인너 판넬에 연결하여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구조가 2륜 구동 시스템과 4륜 구동 시스템에 따라 달리 할 필요가 없으므로 차체 강성을 향상시키는 구조를 구성함에 있어서 매우 효율적이다.

Description

차량의 리어 차체구조{REAR CAR BODY STRUCTUR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리어 차체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2륜 쇽 업쇼바용 마운팅 브래킷과 4륜 쇽 업쇼바용 마운팅 브래킷을 별도로 제작할 필요없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용 마운팅 브래킷을 구비하고, 이 공용 마운팅 브래킷을 쿼터 인너 판넬에 연결함으로써 차체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리어 차체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의 리어 차체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휠이 장착되기 위한 휠 하우징 인너 판넬(110)과, 휠 하우징 인너 판넬(110)에 결합되는 쿼터 인너 판넬(150)과, 휠 하우징 인너 판넬(110)에 연결되는 리어 플로어 멤버(17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휠 하우징 인너 판넬(110)의 외표면에는 2륜 쇽 업쇼바(122) 또는 4륜 쇽 업쇼바(124)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121, 125)이 형성된 2륜 쇽 업쇼바용 마운팅 브래킷(120) 또는 4륜 쇽 업쇼바용 마운팅 브래킷(127)이 장착되어 있다.
2륜 쇽 업쇼바(122) 또는 4륜 쇽 업쇼바(124)는 삽입공(121, 125)에 각각 삽입된 후 2륜 쇽 업쇼바용 마운팅 브래킷(120) 또는 4륜 쇽 업쇼바용 마운팅 브래 킷(127)에 볼트로 체결된다.
그런데, 종래 리어 차체구조에 따르면 2륜 쇽 업쇼바용 마운팅 브래킷(120) 또는 4륜 쇽 업쇼바용 마운팅 브래킷(127)이 쿼터 인너 판넬(150)과 연결되지 않고 단독으로 휠 하우징 인너 판넬(110)에 조립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2륜 쇽 업쇼바(122) 또는 4륜 쇽 업쇼바(124)의 마운팅 부분이 가진될 때 특히 진동 절연이 취약한 M 부분에서 진동이 흡수되지 않아 실내로 노이즈 및 진동이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 리어 차체구조의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륜 구동 시스템인 경우에는 2륜 쇽 업쇼바용 마운팅 브래킷(120)이 (a) 위치에 장착되고, 4륜 구동 시스템인 경우에는 4륜 쇽 업쇼바용 마운팅 브래킷(127)이 (b) 위치에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2륜 구동 시스템인 경우와 4륜 구동 시스템인 경우에 2륜 쇽 업쇼바(122)와 4륜 쇽 업쇼바(124)가 마운팅되기 위한 마운팅 브래킷(120, 127)이 각각 별도로 제작되고, 각 쇽 업쇼바(122, 124)가 마운팅되는 위치가 상이하므로, 차체 전체의 강성을 강화시키기 위한 구조물을 구성하기에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2륜 쇽 업쇼바 또는 4륜 쇽 업쇼바가 쿼터 인너 판넬에 연결 가능하여, 2륜 쇽 업쇼바 또는 4륜 쇽 업쇼바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쿼터 인너 판넬로 진동이 흡수됨으로써 실내로 노이즈 및 진동이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차량의 리어 차체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2륜 쇽 업쇼바와 4륜 쇽 업쇼바가 공통으로 마운팅될 수 있는 공용 마운팅 브래킷을 마련함으로써 차체 전체의 강성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차량의 리어 차체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차량의 리어 차체구조에 따라, 휠 하우징 인너 판넬과; 상기 휠 하우징 인너 판넬의 외표면에 차체의 전후 방향으로 결합되며, 2륜 쇽 업쇼바와 4륜 쇽 업쇼바가 각각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이 형성된 공용 마운팅 브래킷과; 상기 공용 마운팅 브래킷을 쿼터 인너 판넬에 연결하여 강성을 보강하는 쿼터 인너 연결 멤버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리어 플로어 멤버, 상기 휠 하우징 인너 판넬, 상기 쿼터 인너 판넬, 루프 인너 판넬의 각 내표면에 일체로 결합되는 상하 보강 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상하 보강 멤버는 상기 공용 마운팅 브래킷과 교차하는 위치에 장착되는 것이 좋다.
또한,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의 하부면에는 스프링 시트가 마련되며, 상기 공용 마운팅 브래킷을 상기 스프링 시트에 연결하여 강성을 보강하는 스프링 시트 연결 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차량의 리어 차체구조에 따라, 휠 하우징 인너 판넬과; 상기 휠 하우징 인너 판넬의 외표면에 차체의 전후 방향으로 결합되며, 2륜 쇽 업쇼바와 4륜 쇽 업쇼바가 각각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이 형성된 공용 마운팅 브래킷과; 리어 플로어 멤버, 상기 휠 하우징 인너 판넬, 쿼터 인너 판넬, 루프 인너 판넬의 각 내표면에 마련되어 상기 공용 마운팅 브래킷과 교차하는 위치에 일체로 결합되는 상하 보강 멤버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의 하부면에는 스프링 시트가 마련되며, 상기 공용 마운팅 브래킷을 상기 스프링 시트에 연결하여 강성을 보강하는 스프링 시트 연결 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2륜 쇽 업쇼바용 브래킷과 4륜 쇽 업쇼바용 브래킷이 별도로 제작 및 조립될 필요없이 하나의 공용 마운팅 브래킷을 이용하여 2륜 구동 시스템과 4륜 구동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원가가 절감될 수 있는 차량의 리어 차체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2륜 구동 시스템과 4륜 구동 시스템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공용 마운팅 브래킷이 휠 하우징 인너 판넬에 고정되기 때문에 공용 마운팅 브래킷을 쿼터 인너 판넬에 연결하여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구조가 2륜 구동 시스템과 4륜 구동 시스템에 따라 달리 할 필요가 없으므로 차체 강성을 향상시키는 구조를 구성함에 있어서 매우 효율적인 차량의 리어 차체구조가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리어 차체구조를 나타낸 것인데, 설명의 편의상 우측(RH)은 생략하고 죄측(LH) 만을 나타낸 것임을 참고하길 바란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리어 차체구조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 하우징 인너 판넬(10)과, 휠 하우징 인너 판넬(10)의 외표면에 차체의 전후 방향(P)으로 결합되어 2륜 쇽 업쇼바(22)와 4륜 쇽 업쇼바(24)가 공용 장착되기 위한 공용 마운팅 브래킷(20)과, 공용 마운팅 브래킷(20)을 쿼터 인너 판넬(50, 도 5 참조)에 연결하여 강성을 보강하는 쿼터 인너 연결 멤버(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공용 마운팅 브래킷(20)은 휠 하우징 인너 판넬(10)의 전후 방향(P)으로 길게 결합되어 전후 방향(P)의 차체 강성을 증대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 때, 공용 마운팅 브래킷(20)의 판면에는 2륜 구동 시스템의 경우에는 2륜 쇽 업쇼바(22)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21)이 형성되어 있고 4륜 구동 시스템의 경우에는 4륜 쇽 업쇼바(24)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25)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2륜 쇽 업쇼바용 브래킷과 4륜 쇽 업쇼바용 브래킷이 별도로 제작 및 조립될 필요없이 하나의 공용 마운팅 브래킷(20)을 이용하여 2륜 구동 시스템과 4륜 구동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경우에는 2륜 구동 시스템일 경우와 4륜 구동 시스템일 경우 각 전용 마운팅 브래킷(120, 127)의 장착 위치가 달라 차체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조로 개선하기 어려웠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2륜 구동 시스템과 4륜 구동 시스템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공용 마운팅 브래킷(20)이 휠 하우징 인너 판넬(10)에 고정되어 위치가 변동되지 않고, 이 공용 마운팅 브래킷(20)을 쿼터 인너 판넬(50)에 연결하여 차체 강성을 향상시키는 구조를 구성함에 있어서 2륜 구동 시스템과 4륜 구동 시스템에 따라 달리 할 필요가 없으므로 매우 효율적이다.
이 때, 공용 마운팅 브래킷(20)을 쿼터 인너 판넬(50)에 연결하기 위한 멤버는 휠 하우징 인너 판넬(10)의 외표면에 일단이 공용 마운팅 브래킷(20)에 결합되고 타단이 쿼터 인너 판넬(50)에 결합되는 쿼터 인너 연결 멤버(30)와(도 6 및 도 8 참조); 공용 마운팅 브래킷(20)과 교차하는 위치에 리어 플로어 멤버(73), 휠 하우징 인너 판넬(10), 쿼터 인너 판넬(50), 루프 인너 판넬(미도시)의 각 내표면에 일체로 결합되는 상하 보강 멤버(40)로 구성된다(도 5 및 도 7 참조). 이와 같이, 쿼터 인너 연결 멤버(30)와 상하 보강 멤버(40)에 의해 공용 마운팅 브래킷(20)이 차체의 상하 방향(Q)으로 연결됨에 따라 상하 방향(Q)의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쿼터 인너 연결 멤버(30)와 상하 보강 멤버(40)는 결합되는 부위에 모두 용접 결합되어 공용 마운팅 브래킷(20)과 하나의 몸체를 이루게 된다.
쿼터 인너 연결 멤버(30)는 2륜 쇽 업쇼바(22) 또는 4륜 쇽 업쇼바(24)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공용 마운팅 브래킷(20)으로 전달된 진동을 쿼터 인너 판넬(50)로 전달함으로써 실내로 노이즈 및 진동이 유입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상하 보강 멤버(40)는 도 3 내지 도 5에서 좌측 부분(LH)만을 나타내어 끊어 져 보이나, 리어 플로어 멤버(73), 양측(RH, LH)의 휠 하우징 인너 판넬(10), 양측(RH, LH)의 쿼터 인너 판넬(50), 루프 인너 판넬까지 연결되어 환형(環形)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쇽 업쇼바(22 또는 24)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공용 마운팅 브래킷(20)으로 전달된 진동이 차체 전체적으로 분산될 수 있으므로 실내로 유입되는 노이즈 및 진동이 최대한 저감될 수 있다.
또한,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70)의 하부면에는 스프링 시트(60)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 때 스프링 시트(60)는 스프링 시트 연결 멤버(80)에 의해 공용 마운팅 브래킷(20)에 연결되는 것이 좋다. 이에, 스프링 시트 연결 멤버(80)는 쿼터 인너 연결 멤버(30)와 함께 상하 방향(Q)으로의 차체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2륜 쇽 업쇼바(22)와 4륜 쇽 업쇼바(24)를 장착할 수 있는 공용 마운팅 브래킷(20)을 적용함으로써 전후 방향 / 상하 방향으로의 차체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구조를 효과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차량의 리어 차체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 차량의 리어 차체구조에서 2륜 쇽 업쇼바 및 4륜 쇽 업쇼바가 각각 2륜 쇽 업쇼바용 마운팅 브래킷 및 4륜 쇽 업쇼바용 마운팅 브래킷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리어 차체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공용 마운팅 브래킷에 2륜 쇽 업쇼바 및 4륜 쇽 업쇼바가 각각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도 3의 C-C선 단면도.
도 8은 도 3의 D-D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휠 하우징 인너 판넬 20 : 공용 마운팅 브래킷
22 : 2륜 쇽 업쇼바 24 : 4륜 쇽 업쇼바
30 : 쿼터 인너 연결 멤버 40 : 상하 보강 멤버
50 : 쿼터 인너 판넬 60 : 스프링 시트
70 :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 73 : 리어 플로어 멤버
80 : 스프링 시트 연결 멤버

Claims (5)

  1. 휠 하우징 인너 판넬과;
    상기 휠 하우징 인너 판넬의 외표면에 차체의 전후 방향으로 결합되며, 2륜 쇽 업쇼바와 4륜 쇽 업쇼바가 각각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이 형성된 공용 마운팅 브래킷과;
    상기 공용 마운팅 브래킷을 쿼터 인너 판넬에 연결하여 강성을 보강하는 쿼터 인너 연결 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어 차체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리어 플로어 멤버, 상기 휠 하우징 인너 판넬, 상기 쿼터 인너 판넬, 루프 인너 판넬의 각 내표면에 일체로 결합되는 상하 보강 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어 차체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하 보강 멤버는 상기 공용 마운팅 브래킷과 교차하는 위치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어 차체구조.
  4. 휠 하우징 인너 판넬과;
    상기 휠 하우징 인너 판넬의 외표면에 차체의 전후 방향으로 결합되며, 2륜 쇽 업쇼바와 4륜 쇽 업쇼바가 각각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이 형성된 공용 마운팅 브래킷과;
    리어 플로어 멤버, 상기 휠 하우징 인너 판넬, 쿼터 인너 판넬, 루프 인너 판넬의 각 내표면에 마련되어 상기 공용 마운팅 브래킷과 교차하는 위치에 일체로 결합되는 상하 보강 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어 차체구조.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의 하부면에는 스프링 시트가 마련되며,
    상기 공용 마운팅 브래킷을 상기 스프링 시트에 연결하여 강성을 보강하는 스프링 시트 연결 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어 차체구조.
KR1020080077075A 2008-08-06 2008-08-06 차량의 리어 차체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0925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7075A KR100925959B1 (ko) 2008-08-06 2008-08-06 차량의 리어 차체구조
US12/332,829 US7926869B2 (en) 2008-08-06 2008-12-11 Rear body structure of vehicle
DE102008062887A DE102008062887A1 (de) 2008-08-06 2008-12-23 Heckkarosserie-Vorrichtung eines Fahrzeugs bzw. Kraftfahrzeugs
CN2008101891633A CN101643089B (zh) 2008-08-06 2008-12-29 机动车的后部主体结构
CN201310122710.7A CN103223978B (zh) 2008-08-06 2008-12-29 机动车的后部主体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7075A KR100925959B1 (ko) 2008-08-06 2008-08-06 차량의 리어 차체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5959B1 true KR100925959B1 (ko) 2009-11-09

Family

ID=41501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7075A Expired - Fee Related KR100925959B1 (ko) 2008-08-06 2008-08-06 차량의 리어 차체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926869B2 (ko)
KR (1) KR100925959B1 (ko)
CN (2) CN101643089B (ko)
DE (1) DE102008062887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003B1 (ko) * 2011-05-26 2013-05-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트레일링 암 마운팅 장치
KR101451159B1 (ko) * 2013-11-15 2014-10-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휠하우스패널과 리어플로어 연결구조
KR101916476B1 (ko) 2013-08-08 2018-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어 쇽업소버 지지용 리어 필러 보강 장치
CN110843932A (zh) * 2018-08-21 2020-02-28 宝沃汽车(中国)有限公司 车身结构及车辆
CN112319622A (zh) * 2020-11-10 2021-02-05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后轮罩结构及其汽车
US20220340209A1 (en) * 2021-04-26 2022-10-27 Hyundai Motor Company Rear body struc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15461A2 (en) 2007-03-16 2008-09-25 Polaris Industries Inc. Vehicle
JP4658157B2 (ja) * 2008-04-28 2011-03-23 豊田鉄工株式会社 車両用冷却部品支持装置
DE102009043913A1 (de) * 2009-08-31 2011-03-10 Thyssenkrupp Automotive Systems Gmbh Fahrzeugkarosserie mit modularer Hinterachskonstruktion
US8789876B2 (en) * 2010-09-09 2014-07-29 Honda Motor Co., Ltd. Structure for vehicle body rear portion
KR20120063373A (ko) * 2010-12-07 2012-06-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쇽업쇼바 마운팅 브라켓 보강구조
KR101382336B1 (ko) * 2012-08-20 2014-04-08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스트럿 마운팅 보강 유닛
DE102013212447A1 (de) * 2013-02-18 2014-08-21 Hyundai Motor Company Verstärkungsstruktur eines hinteren Federtellers
KR101526411B1 (ko) * 2013-12-17 2015-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후방 차체 보강구조
FR3036677B1 (fr) * 2015-05-26 2019-01-25 Renault S.A.S Structure de chassis de vehicule automobile renforcee
WO2016199499A1 (ja) * 2015-06-08 2016-12-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後部構造
JP6390595B2 (ja) * 2015-11-18 2018-09-19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後部車体構造
JP6259476B2 (ja) * 2016-01-13 2018-01-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後部構造
US9701182B1 (en) * 2016-02-24 2017-07-11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Door reinforcement beam catch projections for vehicle side structures
KR101744835B1 (ko) * 2016-04-21 2017-06-20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휠 하우스 보강 구조체
DE102018001541A1 (de) * 2017-03-27 2018-09-27 Mazda Motor Corporation Heck-Fahrzeugkarosseriestruktur für ein Fahrzeug
KR20220015170A (ko) * 2020-07-30 2022-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전방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0917A (ja) * 1996-02-20 1997-08-26 Mitsubishi Motors Corp 車体構造
KR20060071799A (ko) * 2004-12-22 2006-06-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쇽업소버 장착브라켓의 보강구조
JP2006182081A (ja) * 2004-12-27 2006-07-13 Toyota Auto Body Co Ltd 車両用ショックアブソーバ取付部構造
KR100844723B1 (ko) * 2007-11-19 2008-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어휠하우스패널의 하중분산 및 강성 보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126787B (it) * 1977-07-14 1986-05-21 Apparecchi Sollevamento Perfezionamenti nei convoglitori aerei
JPS5784266A (en) * 1980-11-11 1982-05-26 Mazda Motor Corp Chassis structure of rear suspension tower part
US5013063A (en) * 1989-07-10 1991-05-07 Ridewell Corporation Air ride suspension system with rigid bolster beam and slipper load bushing
US5015004A (en) * 1989-12-28 1991-05-14 Ridewell Corporation Elevating, reversible self-steering suspension system
US5305858A (en) * 1991-07-22 1994-04-26 Toyoda Koki Kabushiki Kaisha Rotary shock absorber having vanes with radial flow clearance
US5431363A (en) * 1993-12-23 1995-07-11 General Motors Corporation Shock absorber mounting bracket
US6241266B1 (en) * 1995-08-03 2001-06-05 Holland Neway International, Inc. Trailing arm suspension with wrapper compression axle mounting and articulated axle mounting
US5580121A (en) * 1995-12-19 1996-12-03 Chrysler Corporation Vehicle body rear support arrangement
JP3498604B2 (ja) 1998-12-03 2004-02-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リヤサスペンション取付部構造
KR20020056492A (ko) * 2000-12-29 2002-07-10 이계안 현가장치의 쇽업소버와 스프링 장착 구조
DE50109497D1 (de) * 2001-07-05 2006-05-24 Ford Global Tech Llc Kraftfahrzeugkarosserie
US6764116B2 (en) * 2002-01-18 2004-07-20 Transfreight Technology, Llc Adjustable safety bumper
JP4108513B2 (ja) * 2003-03-19 2008-06-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ホイール構造及びホイール組付け方法
TWI239918B (en) * 2003-03-20 2005-09-21 Mitsubishi Motors Corp Vehicle body structure of periphery of rear suspension
US6830287B1 (en) * 2003-07-24 2004-12-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ar rail neutralizing member
CN100358769C (zh) * 2003-10-07 2008-01-02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车辆的后部构造
JP4094588B2 (ja) * 2004-08-03 2008-06-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リヤサスペンションの取付構造
JP4268597B2 (ja) * 2005-05-09 2009-05-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CN1994803A (zh) * 2005-12-28 2007-07-11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的后部构造
KR20080077075A (ko) 2008-07-30 2008-08-21 전자빔기술센터 주식회사 멀티 에스에프이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0917A (ja) * 1996-02-20 1997-08-26 Mitsubishi Motors Corp 車体構造
KR20060071799A (ko) * 2004-12-22 2006-06-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쇽업소버 장착브라켓의 보강구조
JP2006182081A (ja) * 2004-12-27 2006-07-13 Toyota Auto Body Co Ltd 車両用ショックアブソーバ取付部構造
KR100844723B1 (ko) * 2007-11-19 2008-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어휠하우스패널의 하중분산 및 강성 보강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003B1 (ko) * 2011-05-26 2013-05-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트레일링 암 마운팅 장치
KR101916476B1 (ko) 2013-08-08 2018-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어 쇽업소버 지지용 리어 필러 보강 장치
KR101451159B1 (ko) * 2013-11-15 2014-10-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휠하우스패널과 리어플로어 연결구조
CN110843932A (zh) * 2018-08-21 2020-02-28 宝沃汽车(中国)有限公司 车身结构及车辆
CN112319622A (zh) * 2020-11-10 2021-02-05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后轮罩结构及其汽车
US20220340209A1 (en) * 2021-04-26 2022-10-27 Hyundai Motor Company Rear body structure
US11840281B2 (en) * 2021-04-26 2023-12-12 Hyundai Motor Company Rear body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23978A (zh) 2013-07-31
CN103223978B (zh) 2015-09-09
US7926869B2 (en) 2011-04-19
DE102008062887A1 (de) 2010-02-11
US20100032229A1 (en) 2010-02-11
CN101643089B (zh) 2013-09-18
CN101643089A (zh) 2010-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5959B1 (ko) 차량의 리어 차체구조
JP5918511B2 (ja) 車両のショックアブソーバー装着部の構造
WO2010087276A1 (ja) 作業車輌
WO2009001655A1 (en) Rear vehicle body structure
KR101526411B1 (ko) 후방 차체 보강구조
JP6547782B2 (ja) 車両下部構造
JP2003252235A (ja) サイドメンバとクロスメンバとの連結構造
KR101705146B1 (ko) 차량용 서브프레임의 구조
JP2009001197A (ja) 車体後部構造
KR101361372B1 (ko) 자동차용 펜더패널 조립 장치
JP4951459B2 (ja) 車体前部構造
KR20130033786A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용 결합구조
JP4133723B2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KR20110060979A (ko) 자동차 리어 패키지 트레이의 보강구조
JP2008012971A (ja) 被取付部材の取付構造
KR100887825B1 (ko) 차량의 로우아암구조
US7370871B2 (en) Vehicle frame with shock absorbing system
KR100680359B1 (ko) 해치백형 자동차의 후방 필러 보강 구조
KR100391657B1 (ko) 자동차의 리어서스펜션 마운팅부 구조
KR101495429B1 (ko) 자동차의 엔진 크레이들 구조물
KR20100003549A (ko) 엔진 마운팅 브라켓의 보강구조
KR100570019B1 (ko) 자동차용 카울크로스바 마운팅 구조
KR100666542B1 (ko) 카울 크로스바 마운팅 브래킷의 결합구조
JP3969160B2 (ja) サスペンションメンバの取付部構造
JPH024829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8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1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1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