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25567B1 -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이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이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5567B1
KR100925567B1 KR1020090031721A KR20090031721A KR100925567B1 KR 100925567 B1 KR100925567 B1 KR 100925567B1 KR 1020090031721 A KR1020090031721 A KR 1020090031721A KR 20090031721 A KR20090031721 A KR 20090031721A KR 100925567 B1 KR100925567 B1 KR 100925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sensitive plate
container body
delete delete
fitting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1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패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패트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패트론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5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556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그러한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제조방법은, 제1 끼움결합부를 구비한 용기 본체를 만드는 공정과, 제2 끼움결합부를 구비한 감응판을 만드는 공정 그리고, 용기 본체와 감응판을 끼움결합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감응판, 억지 끼움결합, 제1 끼움결합부, 제2 끼움결합부

Description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이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제조방법{cooking vess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이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덕션 렌지(induction range)용 조리용기에는 감응판이 구비된다.
상기 감응판은 인덕션 렌지의 그릴부 측에 내장된 발열 코일체의 자기장과 반응하면서 발열을 유도하는 것으로서, 조리용기의 바닥면에서 일부면이 노출된 상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감응판은 대부분 조리용기를 다이캐스팅으로 성형할 때 금형 내부에 삽입되어 이른 바, 인서트(insert) 성형으로 조리용기의 바닥면 측에 일체로 부착 고정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인서트 성형으로 감응판을 부착 고정하는 방식은 조리용기의 성형 작업시 여러 가지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금형 내부에 감응판을 셋팅할 때 이 감응판에 형성된 고정용 돌기들의 잦은 접촉(마모)에 의해 성형공간의 내부면이 비정상으로 변형되거나 파손될 수 있다.
그리고, 금형의 성형공간 내부면에 파손 부위가 발생하면 조리용기의 표면에 흡집이 발생하거나 감응판의 고정용 돌기들의 끝단부가 조리용기의 내부면 측에 노출되면서 과다한 불량 품질이 발생하는 한 요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감응판의 부착 고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한층 향상된 내구성을 갖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이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바닥면에 위치하는 감응판;
상기 감응판과 용기 본체를 끼움결합으로 부착 고정하는 제1 끼움결합부 및 제2 끼움결합부;
를 포함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제1 끼움결합부를 구비한 용기 본체를 만드는 공정;
제2 끼움결합부를 구비한 감응판을 만드는 공정;
용기 본체와 감응판을 끼움결합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특히 조리용기의 바닥면 측에 위치하는 감응판이 용기 본체와 직접 끼움결합(억지 끼움결합)되어 부착 고정된 상태로 제공되므로 예를 들어, 용기 측에 감응판을 통상의 인서트(insert) 성형으로 부착 고정할 때 발생하는 문제들을 간편하게 해결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제조방법의 전체 작업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각 공정들을 거치면서 제조된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한 도 1의 공정들 중에서 도면 부호 S1은, 제1 끼움결합부를 구비한 용기 본체를 만드는 공정을 지칭한다.
도 3 및 도 4는 상기 제1 끼움결합부를 구비한 용기 본체를 만드는 공정(S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즉, 용기 본체(2)는 두 개의 금형(M1, M2)을 이용하여 통상의 다이캐스팅으로 성형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금형(M1, M2)은 도 3에서와 같이 배치되면서 상기 용기 본 체(2)와 대응하는 성형공간(H)을 형성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므로, 상기 금형(M1, M2) 일측에 마련된 주입구(L)를 통해 상기 성형공간(H) 내부로 액상의 성형용 원료(W, 예: 알루미늄)를 주입하여 도 2에서와 같은 용기 본체(2)를 통상의 다이캐스팅으로 간편하게 성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 본체(2) 측에 제공되는 제1 끼움결합부(4)는 끼움돌기(F1)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 본체(2)를 다이캐스팅할 때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금형(M1, M2)들 내부의 성형공간(H) 바닥면에 성형용 홈부(H1)를 성형하면, 이 성형용 홈부(H1) 측에 성형용 원료(W)들이 채워지면서 용기 본체(2) 바닥면 측에 끼움돌기(F1)들을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끼움돌기(F1)들은 상기 용기 본체(2)의 바닥면 전체에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형성하면 좋다. 그러면, 후술하는 감응판(6)을 용기 본체(2)의 바닥면 측에 부착 고정할 때 균일한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한 끼움돌기(F1)들은 상기와 같이 용기 본체(2)를 성형할 때 일체로 성형하는 방법 이외에도 예를 들어, 용기 본체(2)를 성형한 다음, 선반이나 밀링 또는 그라인더 등을 이용하여 후 작업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끼움돌기(F1)들의 돌출 길이는 후술하는 감응판(6)의 두께와 비교할 때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하면 좋다. 예를 들어, 상기 끼움돌기(F1)의 돌출 길이가 상기 감응판(6) 두께보다 짧으면 접촉면이 작아져서 만족할 만한 고정 력을 확보하기 어렵다.
다음으로, 도 1의 공정들 중에서 제2 끼움결합부를 구비한 감응판을 만드는 공정(S2)을 진행한다.
도 5 및 도 6은 제2 끼움결합부를 구비한 감응판을 만드는 공정(S2)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감응판(6)은 용기 본체(2) 바닥면과 대응하는 면적을 갖는 원판(또는 다각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감응판(6)은 자장(磁場)의 감응이 용이한 금속판 중에서 사용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내구성 및 내부식성 등이 우수하여 각종 주방 용품 제조에 주로 사용하는 24종 스테인레스 스틸판(예: SUS409호, SUS430호)을 사용하면 좋다.
상기 감응판(6)은 예를 들어, 블랭킹 프레스를 이용한 통상의 블랭킹(blanking) 작업으로 상기 용기 본체(2)의 바닥면과 대응하는 면적을 갖도록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응판(6) 측에 제공되는 제2 끼움결합부(8)는 끼움홀(F2)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감응판(6) 상에서 상기 제1 끼움결합부(4)의 끼움돌기(F1)들과 끼움결합이 가능하게 형성한다.
상기 끼움홀(F2)들은 예를 들어, 통상의 블랭킹 작업으로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감응판(6) 측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끼움홀(F2)들은 상기 감응판(6)의 블랭킹 작업 중에 형성하거나 이외에도 예를 들어, 상기 감응판(6)을 먼저 만든 다음, 블랭킹 프레스 또는 드릴장치 등을 이용하여 후 작업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끼움홀(F2)들은 상기 끼움돌기(F1)들과 통상의 억지 끼움(press fit) 결합이 가능한 크기를 갖도록 형성한다.
도 7은 상기 제2 끼움결합부(8)의 다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2 끼움결합부(8)의 끼움홀(F2)들은 상기 감응판(4) 상에서 원형이나 슬롯형(또는 다각형)으로 타공되어 복수 개가 적절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끼움결합부(6)의 끼움돌기(F1)들은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끼움홀(F2)들과 대응하는 모양 및 배열을 갖도록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1의 공정들 중에서 용기 본체와 감응판을 끼움결합하는 공정(S3)을 진행한다.
도 8 및 도 9는 용기 본체와 감응판을 끼움결합하는 공정(S3)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즉, 상기 제1 끼움결합부(4)의 끼움돌기(F1)들과 상기 제2 끼움결합부(8)의 끼움홀(F2)들이 서로 끼움결합이 가능하게 위치를 맞춘 다음, 상기 용기 본체(2)의 바닥면을 향하여 감응판(6)을 일정 압력으로 누른다.
그러면, 상기 각 끼움돌기(F1) 측에 끼움홀(F2)들이 끼워지면서 억지 끼움 결합력에 의해 상기 감응판(6)이 상기 용기 본체(2) 바닥면을 덮는 상태로 부착 고정된다.
이와 같은 끼움결합 작업은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예를 들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감응판(6) 또는 용기 본체(2)을 직접 누르거나 이외에도 프레스를 이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누르면서 끼움결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용기 본체(2) 측에 감응판(6)을 끼움결합으로 부착 고정한 다음,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선반이나 밀링, 그라인더 등을 이용하여 상기 용기 본체(2) 하부면을 가공하여 평탄하게 표면 처리하면 좋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제조방법은, 감응판 측에 걸림돌기들을 형성하는 공정(S4)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감응판 측에 걸림돌기들을 형성하는 공정(S4)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즉, 도 10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각 끼움홀(F2)들의 가장자리 부분이 홀부 안쪽을 향하여 경사진 상태로 돌출되도록 상기 감응판(6) 상에 걸림돌기(F3)들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F3)들을 상기 감응판(6)을 만드는 작업 중에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감응판(6) 측에 제2 끼움결합부(8)의 끼움홀(F2)들을 형성한 다음, 이 끼움홀(F2)들의 가장자리 부분을 통상의 방법(예: 프레스)으로 눌러서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걸림돌기(F3)들의 구조에 의하면, 상기 용기 본체(2)와 감응판(6)의 끼움결합시 끼움결합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걸림 접촉력을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은 상기 걸림돌기(F3)들이 상기 각 끼움홀(F2)들의 가장자리에서 경사진 상태로 돌출 형성되기 때문이다.
즉,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용기 본체(2)와 감응판(6)이 서로 끼움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돌기(F3)들은 상기 용기 본체(2)로부터 상기 감응판(6)이 분리되지 않도록 걸림 접촉력으로 잡아주는 일종의 스토퍼(stopper) 역할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12는 감응판 측에 걸림돌기들을 형성하는 공정(S4)의 다른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용기 본체(2)와 감응판(6)의 끼움결합 작업 중에 형성할 수도 있다.
즉, 도 12를 참조하면, 용기 본체(2) 측에 감응판(6)을 억지 끼움결합으로 부착할 때 상기 끼움홀(F2)들의 내부면이 끼움돌기(F1)들의 외부면과 접촉하면서 상기 끼움홀(F2)들의 가장자리 부분이 접촉 압력에 의해 경사진 상태로 휘어지면서 걸림돌기(F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용기 본체(2) 측에 감응판(6)을 끼움결합하는 작업 중에 상기 걸림돌기(F3)들을 상기 감응판(6) 측에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걸림돌기(F3)들의 구조에 의하면, 상기 용기 본체(2)와 감응판(6)의 끼움결합시 끼움결합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걸림 접촉력을 발생할 수 있으므로 한층 향상된 결합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상기한 걸림돌기(F3)들은 예를 들어, 인덕션 렌지에서 발생하는 열기에 의해 상기 감응판(6)이 팽창(또는 수축)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개선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돌기(F3)들은 상기 끼움돌기(F1)들과 끼움홀(F2)들의 끼움결합 지점에서 상기 감응판(6)을 더욱 안정적으로 잡아주면서 상기 감응판(6)의 팽창력 (또는 수축력)을 원활하게 억제 및 분산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감응판(6)이 팽창 또는 수축에 의해 변형되면서 용기 본체(2)의 바닥면 측에서 들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결합 안전성(밀착력)을 확보할 수 있다.
만일, 상기 걸림돌기(F3)들이 없는 상태로 끼움결합이 이루어지면, 상기 감응판(6)의 팽창 또는 수축을 적절하게 억제 및 분산시킬 수 없으므로 예를 들어, 용기 본체(2)의 바닥면에서 감응판(6)이 들뜨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내구성 및 열 전달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3 내지 도 15는 상기 걸림돌기(F3)들의 다른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즉, 상기 각 걸림돌기(F3) 측에 도 13에서와 같이 절개부(F4)들을 더 형성하면 좋다.
상기 절개부(F4)들은 상기 감응판(6) 상에서 상기 각 끼움홀(F2)들의 내부 둘레를 따라 이격된 복수 개의 지점에서 외측을 향하여 절개된 상태로 형성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걸림돌기(F3)들의 일단(고정단)은 상기 감응판(6)과 연결되고, 타단(자유단)은 상기 끼움홀(F2)들의 내측을 향하는 상태가 된다.
상기한 절개부(F4)들의 구조에 의하면, 도 14 및 도 15에서와 같이 상기 감응판(6)을 용기 본체(2) 측에 끼움결합할 때 상기 걸림돌기(F3)들의 자유단들이 상기 끼움돌기(F1)들의 외부면과 탄력적인 접촉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걸림돌기(F3)들은 용기 본체(2)와 감응판(6)의 끼움 결합 후, 외부 충격이나 진동 등의 흡수가 가능하여 더욱 향상된 결합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공정들을 거치면서 도 2에서와 같이 용기 본체(2)의 바닥면 측에 감응판(6)이 끼움결합으로 부착 고정된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를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공정들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제조방법은 예를 들어, 용기 측에 감응판을 통상의 인서트(insert) 성형으로 부착 고정하는 종래의 조리용기 제조방법이 갖는 문제(예: 금형 파손 및 변형, 불량품질 발생)들을 간편하게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제조방법은 용기 본체(2) 측에 감응판(6)을 부착 고정할 때 예를 들어, 별도의 체결부재(나사, 핀)나 접착제 등을 일체 사용하지 않고 억지 끼움결합으로만 부착 고정이 가능하므로 작업성의 향상은 물론이거니와 제작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제조방법의 전체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공정들 중에서 제1 끼움결합부를 구비한 용기 본체를 만드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공정들 중에서 제2 끼움결합부를 구비한 감응판을 만드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은 제2 끼움결합부의 다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1의 공정들 중에서 용기 본체와 감응판을 끼움결합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1의 공정들 중에서 감응판 측에 걸림돌기들을 형성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2는 감응판 측에 걸림돌기들을 형성하는 공정의 다른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걸림돌기들의 다른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Claims (18)

  1. 끼움돌기들로 구성되는 제1 끼움결합부를 구비한 용기 본체를 만드는 공정;
    끼움홀들로 구성되는 제2 끼움결합부를 구비한 감응판을 만드는 공정;
    상기 감응판 측에 걸림돌기들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감응판을 끼움결합하는 공정;
    을 포함하며,
    상기 감응판 측에 걸림돌기들을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제2 끼움결합부의 각 끼움홀들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이격된 복수 개의 지점에 절개부를 형성하고 상기 끼움홀들의 가장자리를 일측으로 눌러서 상기 절개부들 사이에 경사지게 돌출된 걸림돌기들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와 감응판을 끼움결합하는 공정은,
    제1 끼움결합부의 끼움돌기들과 제2 끼움결합부의 끼움홀들을 끼움결합하여 감응판을 용기 본체의 바닥면 측에 억지 끼움결합력으로 부착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바닥면에 위치하는 감응판;
    상기 용기 본체의 바닥면에 형성된 끼움돌기들로 구성되는 제1 끼움결합부;
    상기 감응판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끼움결합부의 끼움돌기들과 끼움결합되는 끼움홀들로 구성되는 제2 끼움결합부;
    상기 제1 끼움결합부의 끼움돌기들과 대응하여 걸림접촉이 가능하도록 상기 감응판 상에 형성된 걸림돌기들;
    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돌기들은,
    상기 제2 끼움결합부의 끼움홀들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이격된 지점에서 절개부를 사이에 두고 경사지게 돌출되어 일단이 상기 끼움돌기들의 외부면과 탄력적으로 접촉되면서 상기 용기 본체와 감응판의 끼움결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걸림 접촉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감응판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090031721A 2009-01-30 2009-04-13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이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9255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7466 2009-01-30
KR1020090007466 2009-01-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5567B1 true KR100925567B1 (ko) 2009-11-05

Family

ID=41561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1721A Expired - Fee Related KR100925567B1 (ko) 2009-01-30 2009-04-13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이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55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351Y1 (ko) 2011-10-21 2013-08-07 주식회사 리홈쿠첸 인덕션 용기 가이드
KR20180034364A (ko) 2018-03-23 2018-04-04 공재철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3612A (ja) * 1984-07-27 1986-02-17 新光金属株式会社 調理用又は飲食用容器の製造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3612A (ja) * 1984-07-27 1986-02-17 新光金属株式会社 調理用又は飲食用容器の製造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351Y1 (ko) 2011-10-21 2013-08-07 주식회사 리홈쿠첸 인덕션 용기 가이드
KR20180034364A (ko) 2018-03-23 2018-04-04 공재철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5567B1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이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KR20170083941A (ko) 인덕션 렌지용 이중조리용기
WO2018176806A1 (zh) 磁条安装架及家用电器
KR101456014B1 (ko) 열변형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리 용기
KR101954781B1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KR101367636B1 (ko) 인덕션 렌지용 이중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00975A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이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JP3196620U (ja) 電磁調理器具
JP2008194087A (ja) 浴槽蓋
KR101111656B1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JP2006000357A (ja) Ih加熱装置用鍋
KR20100138512A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US8212193B2 (en) Aluminium cooking vessel for use on induction planes
JP2016195664A (ja) シンクの取付方法および取付構造
KR100799741B1 (ko) 인덕션 렌지용 주방용기의 제조방법
CN203857567U (zh) 室内机的排水管及室内机
CN109237553B (zh) 具有热板的热板装置及炉架
CN211484055U (zh) 一种电磁加热用玻璃水壶
KR20170092943A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KR200185688Y1 (ko) 전기보온압력밥솥용 압력패킹
JP6453256B2 (ja) 電磁誘導加熱方式を利用する調理器
JP6057846B2 (ja) 炊飯器
CN222516606U (zh) 一种覆底聚油锅
TWI870258B (zh) 具有凸型華司之螺絲釘帶組件
JP2018191969A (ja) 電磁誘導加熱方式を利用する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1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6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10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10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1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