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96377B1 -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6377B1
KR100896377B1 KR1020070096224A KR20070096224A KR100896377B1 KR 100896377 B1 KR100896377 B1 KR 100896377B1 KR 1020070096224 A KR1020070096224 A KR 1020070096224A KR 20070096224 A KR20070096224 A KR 20070096224A KR 100896377 B1 KR100896377 B1 KR 100896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sub
switching element
signal
electro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6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8299A (ko
Inventor
겐이치 다지리
Original Assignee
엡슨 이미징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엡슨 이미징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엡슨 이미징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8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8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6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637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659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the addressing of the pixel involving the control of two or more scan electrodes or two or more data electrodes, e.g. pixel voltage dependant on signal of two data 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09G2300/0443Pixel structures with several sub-pixels for the same colour in a pixel, not specifically used to display grad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09G2300/0443Pixel structures with several sub-pixels for the same colour in a pixel, not specifically used to display gradations
    • G09G2300/0447Pixel structures with several sub-pixels for the same colour in a pixel, not specifically used to display gradations for multi-domain technique to improve the viewing angle in a liquid crystal display, such as multi-vertical alignment [MV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6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09G2310/061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for resetting or blank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7Flicker reduction other than flicker reduction circuits used for single beam cathode-ray tub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2Improving the response spe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61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in the context of movement of objects on the screen or movement of the observer relative to the scree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버 드라이브 처리를 행하지 않고서, 액정의 응답 속도를 개선할 수 있는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화소는 제 1 서브 화소(20)와 제 2 서브 화소(30)에 의해 구성되고, 제 2 서브 화소(30)의 스위칭 소자(34)에 접속되어 있는 제어선 W에, 스위칭 소자(34)를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로 하는 소정의 신호를 공급하는 신호 공급부(13)와, 귀선 기간에 있어서 흑색 삽입을 행하는 제어 회로(14)와, 외부로부터 공급된 화상 데이터의 계조값을 검출하는 계조값 검출부(15)와, 검출된 계조값이 중간 계조로 볼 수 있는 소정의 범위 내에 들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16)를 구비하되, 계조값이 중간 계조라고 판단되어, 제 1 서브 화소(20)의 스위칭 소자(24)가 온 상태일 때에, 신호 공급부(13)는 제어선 W에 소정의 신호를 공급하고, 스위칭 소자(34)를 오프 상태로 한다.

Description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기기{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 등의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전기 광학 장치로서, 액티브 매트릭스형의 액정 표시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액티브 매트릭스형의 액정 표시 장치는, 복수의 주사선과 복수의 데이터선의 교차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복수의 화소와, 복수의 주사선을 구동하는 주사선 구동 회로와, 복수의 데이터선을 구동하는 데이터선 구동 회로와, 전기 광학물질인 액정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액정의 구동 방식에는, TN(Twisted Nematic) 방식, VA(Vertical Alignment) 방식 및 IPS(In-Plane-Switching) 방식 등이 있다.
여기서, VA 방식에 대해서 설명한다. VA방식에서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가되는 전압이 오프 상태일 때에는 액정 분자가 협지되는 전극에 대하여 거의 수직하게 직립하여, 배면으로부터 조사되는 백 라이트의 광이 차단되어 흑표시로 되며(도 7(a)), 또한, 인가되는 전압이 소정값(중간값)일 때에는 액정 분자가 협지되는 전극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유지되어, 배면으로부터 조사되는 백 라이트의 광의 일부가 투과하며(도 7(b)), 또한, 인가되는 전압이 최대값일 때에는 액정 분자가 협지되는 전극에 대하여 거의 수평으로 고르게 되어, 배면으로부터 조사되는 백 라이트의 광이 모두 투과하여, 백표시로 된다(도 7(c)).
또한, VA 방식은 인가되는 전압이 오프 상태일 때에는 백 라이트의 광이 액정 분자의 영향을 받지 않고 편광판에 의해 거의 완전히 차단되기 때문에, TN 방식 등에 비해서, 순수한 흑색을 표현할 수 있고, 또한, 계조비를 높게 하기 쉬운 특징을 갖고 있다.
또한, VA 방식에서는, 상승(흑표시로부터 백표시로의 변화)의 응답 속도와, 하강(백표시로부터 흑표시로의 변화)의 응답 속도에 비해서, 중간 계조를 표시할 때의 응답 속도가 느리다고 하는 경향이 있다. 이 중간 계조의 응답 속도를 개선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오버드라이브 처리가 행해지고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여기서, 오버 드라이브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액정 표시 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로부터 계조 데이터를 검출하고, 검출한 계조 데이터를 보정 회로와 메모리에 공급한다. 메모리는 계조 데이터를 1 프레임 기간 기억한 후, 보정 회로에 출력한다.
보정 회로는 1 프레임 앞의 계조 데이터와, 1 프레임 뒤의 계조 데이터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1 프레임 뒤의 계조 데이터를 보정하여, 이러한 보정에 따른 인가 전압을 액정에 인가한다. 따라서, 중간 계조를 표시할 때에는, 액정 에 인가되는 전압을 크게 함으로써, 중간 계조의 응답 속도를 개선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43556호 공보
그러나, 이러한 오버 드라이브 처리를 행하기 위해서는, 1 프레임 앞의 계조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 유지하기 위한 메모리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처리부에 RAM 등의 메모리가 탑재되어 있지 않은 타입인 경우에는, 오버 드라이브 처리를 위해 전용 메모리를 마련할 필요가 있고, 이 메모리를 실장하기 위해서 기판 면적이 넓어져, 비용 상승으로 이어져 버린다.
또한, 오버 드라이브 처리에 있어서는, 1 프레임 앞의 계조 데이터와, 1 프레임 뒤의 계조 데이터의 비교 연산을 행하기 때문에, 그 만큼의 전력이 필요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오버 드라이브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전기 광학 물질의 응답 속도를 개선할 수 있는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전기 광학 장치는, 복수의 주사선과 복수의 데이터선의 교차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복수의 화소와, 상기 복수의 주사선을 소정의 순서로 선택하기 위한 선택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주사선에 공급하는 주사선 구동 회로와, 입력된 화상 데이터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소정의 신호를 상기 데이터선에 공급하는 데이터선 구동 회로를 구비하는 전기 광학 장치로서, 상기 화 소는 제 1 서브 화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서브 화소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제 1 서브 화소는, 제 1 화소 전극과, 당해 제 1 화소 전극과 대향하는 공통 전극과, 상기 주사선을 거쳐서 상기 선택 신호가 공급되었을 때에 온 상태로 되어, 상기 데이터선과 상기 제 1 화소 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 1 스위칭 소자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제 2 서브 화소는, 제 2 화소 전극과, 당해 제 2 화소 전극과 대향하는 상기 공통 전극과,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를 거쳐서 상기 데이터선과 상기 제 2 화소 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 2 스위칭 소자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에 접속되어 있는 제어선에,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를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로 하는 신호를 공급하는 신호 공급 수단을 구비하되, 수직 귀선 기간에 있어서, 상기 주사선 구동 회로는 상기 선택 신호를 상기 주사선에 공급하고, 또한, 상기 신호 공급 수단은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를 온 상태로 하는 신호를 공급하며, 상기 데이터선 구동 회로는 상기 제 1 화소 전극 및 상기 제 2 화소 전극의 전위가 최대 계조 또는 최소 계조로 되는 신호를 상기 데이터선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어 수단에 의해, 귀선 기간에 있어서, 전체 화소에 대하여 이른바 흑색 삽입을 행하고, 또한, 1 화소가 제 1 서브 화소와, 적어도 1 이상의 제 2 서브 화소에 의해 구성되며, 화소부에서의 스위칭 소자의 수를 최소한으로 하면서 흑색 삽입에 의한 동화상 블러링의 개선(동화상의 화질 개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전기 광학 장치에서는, 상기 화상 데이터의 계조값을 검출하는 계조값 검출 수단과, 상기 계조값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계조값이 중간 계조로 볼 수 있는 소정의 범위 내에 들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신호 공급 수단은,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계조값이 중간 계조로 볼 수 있는 소정의 범위 내에 들어가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가 온 상태일 때에, 상기 제어선에 상기 소정의 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를 오프 상태로 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판단 수단에 의해, 화상 데이터의 계조값이 중간 계조로 볼 수 있는 소정의 범위 내에 들어가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 제 1 서브 화소와, 제 2 서브 화소에 의해서 중간 계조를 행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오버 드라이브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서 중간 계조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오버 드라이브 처리를 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메모리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장치 전체를 축소화할 수 있어, 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고, 액정의 응답 속도를 개선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오버 드라이브 처리에 필요한 전력을 줄이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전기 광학 장치에서는, 상기 제 1 서브 화소 및 상기 제 2 서브 화소는, 각 화소 내에서 상기 주사선이 연재하는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열되고, 각 화소는, 인접하는 화소끼리의 경계를 사이에 두고, 서로 상이한 상기 제 1 서브 화소 및 상기 제 2 서브 화소가 늘어서도록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발명에 의하면, 계조 표시가 상이한 복수의 서브 화소가 화소 내에서, 주사선이 연재하는 방향(수평 방향)으로 병렬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도트 반 전 구동 방식과 마찬가지로 깜빡거림의 방지가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전기 광학 장치에서는, 상기 제 1 서브 화소 및 상기 제 2 서브 화소는, 각 화소내에서 상기 데이터선이 연재하는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열되고, 각 화소는, 인접하는 화소끼리의 경계를 사이에 두고, 서로 상이한 상기 제 1 서브 화소 및 상기 제 2 서브 화소가 늘어서도록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발명에 의하면, 계조 표시가 상이한 복수의 서브 화소가 화소 내에서 데이터선이 연재하는 방향(수직 방향)으로 종렬(縱列)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도트 반전 구동 방식과 마찬가지로 깜빡거림의 방지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위칭 소자를 배치하기 위한 공간을 용이하게 마련할 수 있어, 스위칭 소자의 증가에 따른 개구율의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전기 광학 장치에서는, 상기 제 1 화소 전극 및 상기 제 2 화소 전극과, 상기 공통 전극과의 사이에는, 유전율 이방성이 부인 액정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발명에 의하면, 낮은 계조로부터 높은 계조로의 응답이 느린 액정, 예컨대, VA 액정에 의해 구성되어 있더라도, 판단 수단에 의해, 화상 데이터의 계조값이 중간 계조로 볼 수 있는 소정의 범위 내에 들어가 있다고 판단된 경우, 제 1 서브 화소와, 제 2 서브 화소에 의해서 중간 계조를 행하기 때문에, 오버 드라이브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서 중간 계조 표시를 고속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상술한 전기 광학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효과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오버 드라이브 처리를 행하지 않고서, 액정의 응답 속도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 및 변형예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건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여기서, 도 1을 참조하여, 계조값과 액정의 응답 시간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제, 1 프레임 앞의 화상 데이터의 계조값이 「0」이고, 1 프레임 뒤의 계조값이 「64」로 되는 경우에는, 액정의 응답 시간은 81msec로 된다. 마찬가지로, 1 프레임 앞의 화상 데이터의 계조값이 「0」이고, 1 프레임 뒤의 계조값이 각각 「128」,「192」, 및 「255」로 되는 경우에는, 액정의 응답 시간은 각각 59msec, 44msec, 및 24msec로 된다. 마찬가지로, 1 프레임 앞의 화상 데이터의 계조값이 각각 「64」,「128」,「192」, 및 「255」인 경우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 프레임 뒤의 계조값에 의해서 그 응답 시간이 결정된다.
또한, 도 1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낮은 계조값으로부터 높은 계 조값으로 변화되는 경우나, 높은 계조값으로부터 낮은 계조값으로 변화되는 경우의 응답 시간과 비교해서, 낮은 계조값으로부터 중간의 계조값으로 변화되는 경우의 응답 시간이나, 높은 계조값으로부터 중간의 계조값으로 변화되는 경우의 응답 시간이 느린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중간의 계조값으로 변화되는 경우에 있어서, 오버 드라이브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서 분할 화소에 의한 면적 계조를 행함으로써, 액정의 응답 속도의 개선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동화상의 화질 개선으로, 면적 계조에 의해 액정의 응답 속도의 개선을 행하는 구동과, 흑색 삽입을 조합함으로써, 개구율을 내리지 않고서 화질 개선을 행하는 구성을 제안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기 광학 장치(1)는 예를 들면 MVA(Multi Domain Vertical Alignment) 방식을 채용하고, 유전율 이방성이 부(Δε<0)의 액정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전기 광학 장치(1)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화소를 갖는 표시 영역으로 구성되는 화소부 A와, 복수의 주사선 Y를 소정의 순서로 선택하는 주사선 구동 회로(10)와, 공통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을 공급하는 공통 전극 구동 회로(11)와, 주사선 Y가 선택되었을 때에 데이터선 X에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는 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선 구동 회로(12)와, 제어선 W에 소정의 신호를 공급하는 신호 공급 수단으로서의 신호 공급부(13)와, 주사선 구동 회로(10)와, 공통 전극 구동 회로(11)와, 데이터선 구동 회로(12)와, 신호 공급부(13)를 제어하는 제어 수 단으로서의 제어 회로(14)와, 화상 데이터의 계조값을 검출하는 계조값 검출 수단으로서의 계조값 검출부(15)와, 계조값 검출부(15)에 의해 검출된 계조값이 중간 계조로 볼 수 있는 소정의 범위 내에 들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으로서의 판단부(16)를 구비한다. 또한, 전기 광학 장치(1)는 도시하지 않지만 화소부 A를 배면으로부터 조사하는 백 라이트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화소부 A는 일부(제 1 화소(100), 제 2 화소(101), 제 3 화소(102), 제 4 화소(103))만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화소부 A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각 화소는 복수의 서브 화소를 1세트로서 각각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각 화소는 제 1 서브 화소(20)와 제 2 서브 화소(30)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제 1 서브 화소(2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소 전극(21)과, 화소 전극(21)에 대향하여 마련된 대향 전극(22)과, 전하를 축적하는 축적 용량(23)과, 주사선 Y로부터 공급되는 선택 신호에 따라서 데이터선 X와 화소 전극(21)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 1 스위칭 소자(예를 들면, TFT(Thin Film Transistor))(24)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스위칭 소자(24)는 제 1 단자(소스 단자 또는 드레인 단자)를 거쳐서 화소 전극(21)에 접속되고, 제 2 단자(게이트 단자)를 거쳐서 주사선 Y에 접속되며, 제 3 단자(드레인 단자 또는 소스 단자)를 거쳐서 데이터선 X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서브 화소(3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소 전극(31)과, 화소 전극(31)에 대향하여 마련된 대향 전극(32)과, 전하를 축적하는 축적 용량(33)과, 제어선 W로부터 공급되는 전환 신호에 따라서 화소 전극(31)과 제 1 스위칭 소자(24)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 2 스위칭 소자(34)로 구성된다. 또한, 대향 전극(22)과 대향 전극(32)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하에서는 공통 전극(40)이라고 부른다.
또한, 제 2 스위칭 소자(34)는 제 1 단자(소스 단자 또는 드레인 단자)를 거쳐서 화소 전극(31)에 접속되고, 제 2 단자(게이트 단자)를 거쳐서 제어선 W에 접속되며, 제 3 단자(드레인 단자 또는 소스 단자)를 거쳐서 제 1 스위칭 소자(24)의 제 1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화소부 A의 서브 화소의 배열에 대해서 설명한다.
<화소부 Aㆍ제 1 배열>
제 1 서브 화소(20)와 제 2 서브 화소(30)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소 내에서 주사선 Y가 연재하는 방향(수평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열되어 있다. 또한, 각 화소는 인접하는 화소끼리의 경계를 사이에 두고, 서로 상이한 상기 서브 화소가 늘어서도록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배열에 의하면, 제 1 서브 화소(20)와 제 2 서브 화소(30)가 수평 방향으로 병렬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깜빡거림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화소부 Aㆍ제 2 배열>
또한, 제 1 서브 화소(20)와 제 2 서브 화소(30)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소 내에서 데이터선 X가 연재하는 방향(수직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열되어 있다. 또한, 각 화소는 인접하는 화소끼리의 경계를 사이에 두고, 서로 상이한 상기 서브 화소가 늘어서도록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배열에 의하면, 제 1 서브 화소(20)와 제 2 서브 화소(30)가 화소 내에서 수직 방향으로 종렬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깜빡거림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스위칭 소자를 배치하기 위한 공간을 용이하게 마련할 수 있기 때문에, 스위칭 소자의 증가에 따른 개구율의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주사선 구동 회로(10)는 제 1 스위칭 소자(24)를 도통 상태로 하는 선택 신호를 주사선에 선(線)순차적으로 공급한다.
공통 전극 구동 회로(11)는 제 1 전압과, 이 제 1 전압보다 전위가 높은 제 2 전압을 1 수평 주사 기간마다 교대로 공통 전극(40)에 공급한다. 또한, 공통 전극 구동 회로(11)는 공통 전극(40)에 인가하는 전압(Vcom)을 1 수평 주사 기간마다 반전한다. 따라서, 액정은 교류 구동으로 되어, 열화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데이터선 구동 회로(12)는 화상 데이터를 데이터선 X에 공급하여, 온 상태의 제 1 스위칭 소자(24)를 거쳐서 상기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는 화상 전압을 화소 전극(21)에 기입하고, 제 2 스위칭 소자(34)가 온 상태인 경우에, 상기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는 화상 전압을 화소 전극(31)에 기입한다.
여기서, 데이터선 구동 회로(12)는 공통 전극(40)의 전압보다 전위가 높은 정극성의 화상 데이터를 데이터선 X에 공급하여, 이 정극성의 화상 데이터에 근거 하는 화상 전압을 화소 전극(21), 화소 전극(31)에 기입하는 정극성 기입과, 공통 전극(40)의 전압보다 전위가 낮은 부극성의 화상 데이터를 데이터선 X에 공급하여, 이 부극성의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는 화상 전압을 화소 전극(21), 화소 전극(31)에 기입하는 부극성 기입을, 1 수평 주사 기간마다 교대로 실행한다.
신호 공급부(13)는 제 2 스위칭 소자(34)에 접속되어 있는 제어선 W에, 제 2 스위칭 소자(34)를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로 하는 소정의 신호를 공급한다.
제어 회로(14)는 수직 귀선 기간에 있어서 전체 화소에 대하여 동화상 블러링의 개선을 행하기 위한 흑화면의 삽입 처리, 이른바 흑색 삽입을 행한다. 또한, 제어 회로(14)는 타이밍ㆍ콘트롤러도 겸하고 있어, 도시하지 않은 외부로부터 입력된 수직 동기 신호, 수평 동기 신호 및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소정의 타이밍 신호를 생성하고, 주사선 구동 회로(10), 공통 전극 구동 회로(11) 및 데이터선 구동 회로(12)에 공급한다.
여기서, 흑색 삽입의 필요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소정의 프레임 내에 표시된 화상은 다음 프레임으로 변환되기 직전까지 유지되는, 이른바 홀드형의 표기 방식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인간의 눈의 특성상 동화상을 표시할 때에 잔상이 눈에 띄어서 표시되는 화상이 선명하지 않게 되는(이후, 동화상 블러링이라고 부름) 경우가 있다. 또한, CRT(Cathode Ray Tube)나 PDP(Plasma Display Panel)에서는, 광의 점멸에 의해 화상을 표시하는 이른바 임펄스형의 표시 방식이기 때문에, 이러한 동화상 블러링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래서, 제어 회로(14)에서는 동화상 블러링을 저감시키기 위해서, 1 프레임 마다, 수직 귀선 기간에 있어서 흑화면을 삽입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회로(14)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직 귀선 기간 T에 있어서 주사선 Y에 선택 신호를 공급하도록 주사선 구동 회로(10)를 제어하고, 또한, 제어선 W에 소정의 신호를 공급하도록 신호 공급부(13)를 제어하며, 또한, 화소 전극(21) 및 화소 전극(31)의 전위가 최대 계조 또는 최소 계조로 되는 신호를 데이터선 X에 공급하도록 데이터선 구동 회로(12)를 제어한다. 또한, 표시 방식이 이른바 노멀리 블랙 모드를 채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어 회로(14)는 화소 전극(21) 및 화소 전극(31)의 전위가 공통 전극(40)의 전위와 등전위로 되는 소정의 신호를 데이터선 X에 공급하도록 데이터선 구동 회로(12)를 제어한다.
또한, 전기 광학 장치(1)에서는, 수직 귀선 기간에 있어서, 데이터선 구동 회로(12)와는 상이한 별도의 회로에, 화소 전극(21) 및 화소 전극(31)의 전위가 공통 전극(40)의 전위와 등전위로 되는 소정의 신호를 생성시켜서 데이터선 X에 공급하는 구성이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는, 상기 회로는 화소부 A를 거쳐서 데이터선 구동 회로(12)의 대향측에 스위치부를 사이에 두고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 회로(14)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스위치부가 온 상태로 되어, 상기 별도의 회로로부터 공급된 소정의 전압이 데이터선 X를 거쳐서 화소 전극(21) 및 화소 전극(31)에 인가된다.
계조값 검출부(15)는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의 계조값을 검출하여, 검출 결과를 판단부(16)에 공급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계조값 검출부(15)는 256계조로 화상 데이터의 계조값을 검출하지만, 특별히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판단부(16)는 계조값 검출부(15)로부터 공급된 계조값이, 중간 계조로 볼 수 있는 소정의 범위 내(예를 들면, 64 내지 128)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 회로(14)는 판단부(16)에 의해 상기 계조값이 중간 계조로 볼 수 있는 소정의 범위 내에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면적 계조에 의한 표시를 행하도록 신호 공급부(13)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스위칭 소자(24)가 온 상태일 때에, 신호 공급부(13)는 제어 회로(14)에 의한 제어에 따라서 제어선 W에 소정의 신호를 공급하고, 제 2 스위칭 소자(34)를 오프 상태로 한다.
따라서, 제 1 서브 화소(20)는 제 1 스위칭 소자(24)가 온 상태이기 때문에, 데이터선 X에 공급되는 소정의 전압에 따른 표시를 행한다. 또한, 제 2 서브 화소(30)는 제 2 스위칭 소자(34)가 오프 상태이기 때문에, 수직 귀선 기간에 있어서 기입되고 있는 흑의 계조 표시를 유지하여, 흑표시로 된다. 이렇게 해서, 제 1 서브 화소(20)에 고계조에 의한 표시를 시켜서, 제 2 서브 화소(30)에 저계조에 의한 표시를 시키는 것에 의해, 1 화소 전체에서 면적 계조를 행함으로써, 중간 계조의 표시를 행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예컨대, 계조값 검출부(15)에 의해서 검출된 계조값이 「64」인 경우에는, 제 1 서브 화소(20)를 「192」계조로 표시시키고, 제 2 서브 화소(30)를 「0」계조로 표시시켜서 면적 계조를 행함으로써, 화소 전체에서 「64」계조의 표시를 행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응답 속도는 44msec로 되어, 통상의 응답 속도(81msec)에 비해서, 약 37msec 빨리 중간 계조의 표시를 행할 수 있 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중간 계조에 의한 표시를 면적 계조에 의해 행함으로써, 응답 속도의 개선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어 회로(14)는 판단부(16)에 의해 계조값이 중간 계조로 볼 수 있는 소정의 범위 내에 없다고 판단된 경우(예를 들면, 0 내지 63 및 129 내지 255)에는, 면적 계조를 행하지 않고, 데이터선 구동 회로(12)에 대하여 제어를 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회로(14)는 제 1 서브 화소(20)에 의한 계조 표시와, 제 2 서브 화소(30)에 의한 계조 표시에서 동일한 계조 표시를 행하도록, 제 1 스위칭 소자(24) 및 제 2 스위칭 소자(34)를 모두 온 상태, 또는 모두 오프 상태로 되도록 데이터선 구동 회로(12)를 제어한다.
이렇게 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1)는 수직 귀선 기간에서 전체 화소에 대하여 이른바 흑색 삽입을 행하고, 또한, 제 1 서브 화소(20)와 제 2 서브 화소(30)에 의해 1 화소 전체의 계조를 표시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화소부 A 내에서의 스위칭 소자의 수를 최소한으로 하면서, 흑색 삽입에 따른 동화상 블러링의 개선(동화상의 화질 개선)을 행하고, 오버 드라이브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서 중간 계조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오버 드라이브 처리를 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메모리가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장치 전체를 축소화할 수 있어, 비용을 저렴하게할 수 있고, 액정의 응답 속도를 개선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오버 드라이브 처리를 할 때에 필요로 하고 있었던 전력의 절약화를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 1 서브 화소(20)와 제 2 서브 화소(30)는 상이한 면적비로 구성되더라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1 화소는 2개의 서브 화소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의 서브 화소에 의해 구성되더라도 좋다. 또한, 각각의 서브 화소에 화상 데이터를 공급하는 시간은 동일해도 되고, 또한, 상이해도 무방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액정의 구동 방식을 MVA 방식으로 했지만, ECB(Electrically Controlled Birefringence) 방식으로 해도 좋다.
<응용예>
다음에,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1)를 적용한 전자기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전기 광학 장치(1)를 적용한 휴대 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휴대 전화기(3000)는 복수의 조작 버튼(3001) 및 스크롤 버튼(3002), 및 전기 광학 장치(1)를 구비한다. 스크롤 버튼(3002)을 조작함으로써, 전기 광학 장치(1)에 표시되는 화면이 스크롤된다.
또한, 전기 광학 장치(1)가 적용되는 전자기기로서는, 도 6에 나타내는 것 이외에, 퍼스널 컴퓨터, 정보 휴대 단말, 디지털 스틸 카메라, 액정 텔레비전, 뷰파인더형, 모니터 직시형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카 네비게이션 장치, 페이저, 전자 수첩, 전자 계산기, 워드 프로세서, 워크 스테이션, 텔레비전 전화, POS 단말, 터치 패널을 구비한 기기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이들 각종 전자기기의 표시부로서, 전술한 전기 광학 장치가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계조값과 액정의 응답 시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화소부의 제 1 배열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화소부의 제 2 배열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수직 귀선 기간에 있어서, 주사선에 선택 신호를 공급하는 타이밍과, 제어선에 소정의 전압을 공급하는 타이밍과, 데이터선에 소정의 전압을 공급하는 타이밍을 나타내는 파형도,
도 6은 상술한 전기 광학 장치를 적용한 휴대 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VA 방식의 액정 분자 배열의 모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기 광학 장치 10 : 주사선 구동 회로
11 : 공통 전극 구동 회로 12 : 데이터선 구동 회로
13 : 신호 공급부(신호 공급 수단) 14 : 제어 회로(제어 수단)
15 : 계조값 검출부(계조값 검출 수단) 16 : 판단부(판단 수단)
20 : 제 1 서브 화소 21, 31 : 화소 전극
22, 32 : 대향 전극 23, 33 : 축적 용량
24 : 제 1 스위칭 소자 30 : 제 2 서브 화소
34 : 제 2 스위칭 소자 3000 : 휴대 전화기(전자기기)
A : 화소부 W : 제어선
X : 데이터선 Y : 주사선

Claims (6)

  1. 복수의 주사선과 복수의 데이터선의 교차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복수의 화소와, 상기 복수의 주사선을 소정의 순서로 선택하기 위한 선택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주사선에 공급하는 주사선 구동 회로와, 입력된 화상 데이터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소정의 신호를 상기 데이터선에 공급하는 데이터선 구동 회로를 구비하는 전기 광학 장치로서,
    상기 화소는 제 1 서브 화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서브 화소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제 1 서브 화소는, 제 1 화소 전극과, 당해 제 1 화소 전극과 대향하는 공통 전극과, 상기 주사선을 거쳐 상기 선택 신호가 공급되었을 때에 온 상태로 되어, 상기 데이터선과 상기 제 1 화소 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 1 스위칭 소자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제 2 서브 화소는, 제 2 화소 전극과, 당해 제 2 화소 전극과 대향하는 상기 공통 전극과,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를 거쳐 상기 데이터선과 상기 제 2 화소 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 2 스위칭 소자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에 접속되어 있는 제어선에,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를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로 하는 신호를 공급하는 신호 공급 수단을 구비하되,
    수직 귀선 기간에 있어서, 상기 주사선 구동 회로는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를 온 상태로 하는 상기 선택 신호를 상기 주사선에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신호 공급 수단은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를 온 상태로 하는 신호를 상기 제어선에 공급하며, 상기 데이터선 구동 회로는 상기 제 1 서브 화소 및 상기 제 2 서브 화소가 흑 표시로 되는 신호를 상기 데이터선에 공급하고,
    상기 화상 데이터의 계조값을 검출하는 계조값 검출 수단과,
    상기 계조값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계조값이 중간 계조로 간주할 수 있는 소정의 범위 내에 들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
    을 더 구비하고,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계조값이 중간 계조로 간주할 수 있는 소정의 범위 내에 들어가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주사선을 거쳐 상기 선택 신호가 공급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가 온 상태로 되었을 때에, 상기 신호 공급 수단이 상기 제어선에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를 오프 상태로 하는 신호를 공급하여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를 오프 상태로 함으로써, 상기 제 1 서브 화소에 고계조에 의한 표시를 행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서브 화소에 흑 표시를 유지시킴으로써,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중간 계조로 간주되는 계조값의 표시를 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계조값이 중간 계조 이외로 간주할 수 있는 소정의 범위 내에 들어가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주사선을 거쳐 상기 선택 신호가 공급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가 온 상태로 되었을 때에, 상기 신호 공급 수단이 상기 제어선에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를 온 상태로 하는 신호를 공급하여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를 온 상태로 함으로써, 상기 제 1 서브 화소와 상기 제 2 서브 화소가 모두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중간 계조 이외로 간주되는 계조값과 동일 계조값의 표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 화소 및 상기 제 2 서브 화소는 각 화소 내에서 상기 주사선이 연장하는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열되고,
    각 화소는, 인접하는 화소끼리의 경계를 사이에 두고, 서로 다른 상기 제 1 서브 화소 및 상기 제 2 서브 화소가 나열되도록 배열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 화소 및 상기 제 2 서브 화소는 각 화소 내에서 상기 데이터선이 연장하는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열되고,
    각 화소는, 인접하는 화소끼리의 경계를 사이에 두고, 서로 다른 상기 제 1 서브 화소 및 상기 제 2 서브 화소가 나열되도록 배열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소 전극 및 상기 제 2 화소 전극과, 상기 공통 전극과의 사이에는, 유전율 이방성이 음인 액정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6.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전기 광학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070096224A 2006-09-25 2007-09-21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기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8963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58774 2006-09-25
JP2006258774A JP4245028B2 (ja) 2006-09-25 2006-09-25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8299A KR20080028299A (ko) 2008-03-31
KR100896377B1 true KR100896377B1 (ko) 2009-05-08

Family

ID=39224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6224A Expired - Fee Related KR100896377B1 (ko) 2006-09-25 2007-09-21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723773B2 (ko)
JP (1) JP4245028B2 (ko)
KR (1) KR100896377B1 (ko)
CN (1) CN10055505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42297B2 (ja) 2007-05-17 2014-07-0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液晶表示装置、表示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CN101765883B (zh) 2007-10-10 2011-12-14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光拾取装置及准直透镜
TWI368201B (en) * 2007-10-31 2012-07-11 Hannstar Display Corp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panel thereof
CN101369082B (zh) * 2008-10-16 2010-06-09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像素阵列、驱动像素阵列的方法及显示面板
KR101319354B1 (ko) * 2009-12-21 2013-10-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영상 처리 방법
US9202422B2 (en) * 2011-01-07 2015-12-01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02650781B (zh) * 2011-10-18 2014-11-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用于立体显示的像素结构及其控制方法
CN104094343A (zh) * 2012-02-10 2014-10-08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和显示方法
KR102092703B1 (ko) * 2012-05-18 2020-03-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리페어 방법
CN102800290B (zh) * 2012-08-13 2014-07-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装置的插帧方法及液晶显示装置
CN102890363B (zh) * 2012-10-08 2016-06-0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设备及立体影像显示设备
KR20150069748A (ko) * 2013-12-16 2015-06-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JP2014197202A (ja) * 2014-05-07 2014-10-1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液晶表示装置
JP2019045686A (ja) * 2017-09-01 2019-03-22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EP3816486A4 (en) 2018-06-29 2022-03-02 Tpr Co., Ltd. PISTON RING
CN109166545B (zh) 2018-09-27 2022-02-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Ar/vr显示设备的驱动方法、驱动装置及显示设备
CN109543554B (zh) * 2018-10-30 2020-11-13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票据检测方法、装置、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024242B1 (en) * 2020-03-11 2021-06-01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Timing controller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113759621B (zh) * 2021-08-31 2022-05-10 惠科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和显示面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4214A (ja) * 1992-11-12 1994-08-05 Philips Electron Nv 能動マトリックス表示装置
KR19980018232A (ko) * 1996-08-28 1998-06-05 쯔지 하루오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 장치
KR20030008044A (ko) * 2001-07-12 2003-01-24 삼성전자 주식회사 광시야각 모드용 액정 표시 장치와 이의 구동 방법
JP2004062146A (ja) * 2002-06-06 2004-02-26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41734A (ja) 1992-06-10 1993-12-24 Fujitsu Ltd 液晶表示装置
JPH06301010A (ja) 1993-04-14 1994-10-28 Optrex Corp 液晶表示装置
JPH07261155A (ja) 1994-03-24 1995-10-13 Sony Corp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液晶表示素子
JPH09127530A (ja) 1995-10-30 1997-05-16 Sony Corp 液晶素子及びその駆動方法
GB9525638D0 (en) 1995-12-15 1996-02-14 Philips Electronics Nv Matrix display devices
JPH11142881A (ja) 1997-11-06 1999-05-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および駆動方法
US6493112B1 (en) * 1998-01-16 2002-12-10 University Of Delawar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halftone images using green-noise masks having adjustable coarseness
JP2000221524A (ja) * 1999-01-29 2000-08-11 Sanyo Electric Co Ltd カラー液晶表示装置
JP2001343941A (ja) 2000-05-30 2001-12-14 Hitachi Ltd 表示装置
JP4538915B2 (ja) 2000-07-24 2010-09-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
JP2002333870A (ja) 2000-10-31 2002-11-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装置、el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並びに副画素の表示パターン評価方法
JP3911141B2 (ja) * 2001-09-18 2007-05-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4320989B2 (ja) 2001-11-01 2009-08-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表示装置
JP2005010579A (ja) 2003-06-20 2005-01-13 Marubun Corp ホールド型表示パネルの駆動方法
JP2006078789A (ja) 2004-09-09 2006-03-23 Sharp Corp 半透過型液晶表示装置
TWI338796B (en) * 2004-10-29 2011-03-11 Chimei Innolux Corp Multi-domain vertically alignmentliquid crystal display pane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4214A (ja) * 1992-11-12 1994-08-05 Philips Electron Nv 能動マトリックス表示装置
KR19980018232A (ko) * 1996-08-28 1998-06-05 쯔지 하루오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 장치
KR20030008044A (ko) * 2001-07-12 2003-01-24 삼성전자 주식회사 광시야각 모드용 액정 표시 장치와 이의 구동 방법
JP2004062146A (ja) * 2002-06-06 2004-02-26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54005A (zh) 2008-04-02
US8723773B2 (en) 2014-05-13
JP4245028B2 (ja) 2009-03-25
JP2008076958A (ja) 2008-04-03
CN100555050C (zh) 2009-10-28
KR20080028299A (ko) 2008-03-31
US20080074371A1 (en) 2008-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6377B1 (ko)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기기
KR100511539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컴퓨터
KR101374425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도트 인버젼 제어방법
KR100815893B1 (ko)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및 장치
US831042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1329505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CN100583222C (zh) 共用电压补偿装置、液晶显示器及其驱动方法
US20040017344A1 (en)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9189999B2 (en) Signal processing device, liquid crystal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KR100349429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H06180564A (ja) 液晶表示装置
KR100899500B1 (ko)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EP1884916B1 (en) Driving device for display device and image signal compensating method therefor
JP2012234080A (ja) 表示装置
CN116343701A (zh) 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计算机存储介质
KR20060047359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621553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123075B1 (ko) 킥백전압 보상방법과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0870491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JP4941446B2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5107527A (ja) フィールド順次駆動方式の液晶表示装置
KR20110130707A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도트 인버젼 제어방법
KR20130018025A (ko) 신호 처리부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0815896B1 (ko)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및 장치
KR20090067522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9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4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4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