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96345B1 - 배전반용 차단기의 인터락 장치 - Google Patents

배전반용 차단기의 인터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6345B1
KR100896345B1 KR1020080108064A KR20080108064A KR100896345B1 KR 100896345 B1 KR100896345 B1 KR 100896345B1 KR 1020080108064 A KR1020080108064 A KR 1020080108064A KR 20080108064 A KR20080108064 A KR 20080108064A KR 100896345 B1 KR100896345 B1 KR 100896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b
acbs
emergency generator
tie
transform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8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호삼
여일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주식회사 세화이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주식회사 세화이엘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108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63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6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6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02Details
    • H01H31/04Interlock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H02B11/133Withdrawal mechanism with interloc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3/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assembly, or maintenance of boards or switch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반용 차단기의 인터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3대 변압기의 2차측 전원이 동시에 투입됨에 따른 합선사고를 방지함과 동시에 정전 시 변압기를 대신하여 가동되는 비상발전기에 인터락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변압기(TR1, TR2, TR3) 2차측에 접속되는 ACB(A, D, G)를 통해 부하군(L1, L2, L3)이 연결되고, 변압기(TR1, TR2, TR3) 사이에 타이 ACB(C, F)가 설치되는 ACB 인터락 장치로서, 변압기(TR1, TR2, TR3)로부터 전압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를 대비한 비상발전기(10)에 일측이 접속되어 ACB(A) 및 타이 ACB(C)와 ACB(D) 및 타이 ACB(F)와 비상발전기(10) 및 ACB(G) 사이에 개재되는 비상발전기용 ACB(20)와; 변압기(T1, T2, T3)의 2차측 전압이 동시에 타이 ACB(C, F)에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변압기(T1, T2, T3) 모두로부터 전압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나, ACB(A, D, G) 중 하나 이상이나 타이 ACB(C, F)가 이상으로 인해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 비상발전기(10)로부터 전압을 인가받도록 비상발전기용 ACB(20)를 로직으로 제어하는 인터락제어부(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2개 전원이 동시에 부하군으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비상발전기로부터의 전원공급을 제어한다.
Figure R1020080108064
배전반, 인터락, 변압기, 비상발전기, DIP 스위치

Description

배전반용 차단기의 인터락 장치{INTERLOCK APPARATUS OF DISTRIBUTING BOARD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배전반용 차단기의 인터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전반용 변압기로부터 투입되는 전원의 합선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인터락 장치를 로직회로를 통해 제어하는 배전반용 차단기의 인터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이라 함은 발전소나 변전소 또는 전기 시설이 되어 있는 건물 같은 곳에 설치되어 변압기, 계기, 표시등, 계전기, 개폐기 따위를 포함함으로써 전로의 개폐나 기기의 제어와 감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이와 같은 배전반에서는 변압기의 2차측에 ACB(Air Circuit Breaker)가 설치되어 있어 이를 통해 저압 선로의 보호, 단락전류 차단, 지락전류차단, 과부하전류 저전압 차단 등의 기능과 ACB 2차측 모선의 사고시 선로보호와 변압기 보호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ACB를 사용한 배전반에서는 변압기용 ACB 사이에 타이(Tie) ACB를 연결 설치함으로써 양측 변압기로부터 동시에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타이 ACB의 동작은 수동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실수에 의해 양측 변압기로부터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타이 ACB를 접속시킴에 따라 합선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0745621호에서는 상기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변압기용 ACB와 타이 ACB에 UVT(부족전압 트립장치)를 설치하여 타이 ACB의 UVT로 양측 변압기를 통해 모두 전원이 공급되거나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그 UVT에 동작전원을 공급하지 않고 한 쪽에서만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UVT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아날로그 방식의 인터락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는 그 제어대상이 타이 ACB에 국한되고, 실질적으로 배전반에 사용되는 비상발전기의 ACB와 연관되는 변압기용 ACB 또는 타이 ACB의 접속관계에 대해서도 기술되어 있지 않으며, 아날로그 방식에 따른 배선구조를 통해 실제 배선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디 지털 방식의 로직회로에 의해 각 ACB를 제어하여 변압기의 양측 전원이 동시에 투입됨에 따라 발생가능한 합선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배전반용 차단기의 인터락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배전반의 비상발전기 ACB와 연동되는 변압기용 ACB 및 그 사이에 연결되는 타이 ACB를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단일칩을 통해 전체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실제 배선 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배전반용 차단기의 인터락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추가적으로 변압기가 2대 또는 3대 사용하는 경우와 비상발전기의 사용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배전반용 차단기의 인터락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내지 제3 변압기 2차측에는 그 각각에 접속되는 제1 내지 제3 ACB(Air Circuit Breaker)를 통해 제1 내지 제3 부하군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변압기 사이에는 제1 및 제2 타이(Tie) ACB가 각각 설치되는 배전반용 ACB 인터락 장치로서, 상기 제1 내지 제3 변압기로부터 전압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를 대비한 비상발전기에 일측이 접속되며, 상기 제1 ACB 및 제1 타이 ACB 사이에 개재되는 제1 비상발전기용 ACB와 상기 제2 ACB 및 제2 타이 ACB 사이에 개재되는 제2 비상발전기용 ACB와 상기 비상발전기 및 상기 제3 ACB 사이에 개재되는 제3 비상발전기용 ACB로 구성되는 비상발전기용 ACB와; 상기 제1 내지 제3 변압기의 2차측 전압이 동시에 상기 제1 또는 제2 타이 ACB에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변압기 모두로부터 전압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나, 상기 제1 내지 제3 ACB 중 하나 이상이나 제1 또는 제2 타이 ACB가 이상으로 인해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비상발전기로부터 전압을 인가받도록 상기 제1 내지 제3 비상발전기용 ACB 중 하나 이상을 로직으로 제어하는 인터락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터락 제어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변압기 2차측에서 발생되는 교류전압을 입력받아 전원용 직류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AC-DC 컨버터와, 상기 제1 내지 제3 ACB, 제1 및 제2 타이 ACB 및 제1 내지 제3 비상발전기용 ACB의 온 또는 오프상태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로직처리부와, 상기 로직처리부를 통해 결정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ACB, 제1 및 제2 타이 ACB 및 제1 내지 제3 비상발전기용 ACB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와, 상기 로직처리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ACB, 제1 및 제2 타이 ACB 및 제1 내지 제3 비상발전기용 ACB의 온 또는 오프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직처리부는 (B'C') + (B'D'E') = A, (A'C') + (A'D'E') = B, (A'B'F') + (D'E'F') = C, (C'E'F') + (C'E'G'H') + (A'B'E'F') = D, (D'C'F') + (D'A'B'F') + (D'C'G'H') = E, (C'D'E') + (C'G'H') = F, (H'F') + (H'D'E') = G, (G'F') + (G'D'E') = H 에 따른 로직조건에 따라 구성되거나, B'(C' + D'E') = A, A'(C' + D'E') = B, F'(A'B' + (D'E') = C, E'(C'F' + C'G'H' + A'B'F')=D, D'(C'F' + A'B'F' + C'G'H') = E, C'(D'E' + G'H') = F, H'(F' + D'E') = G, G'(F' + D'E') = H (여기서 A 내지 F는 상기 제1 내지 제3 ACB, 제1 및 제2 타이 ACB 및 제1 내지 제3 비상발전기용 ACB의 a접점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A' 내지 F'는 b접점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에 따른 로직조건에 따라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인터락제어부에는 상기 제1 내지 제3 ACB, 제1 및 제2 타이 ACB 및 제1 내지 제3 비상발전기용 ACB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로직설정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용 차단기의 인터락 장치는 인터락제어부를 통해 제1 내지 제3 ACB와 제1 및 제2 타이 ACB를 제어하여 제1 내지 제3 변압기의 양측 전원이 동시에 한 곳의 ACB로 투입됨에 따라 발생되는 사고를 방지하고, 정전 시와 같이 제1 내지 제3 변압기로부터 전압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비상발전기용 ACB를 제어하여 제1 내지 제3 부하군까지 안전하게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전반의 비상발전기용 ACB와 제1 내지 제3 ACB와 제1 및 제2 타이 ACB를 로직회로로 구성된 인터락제어부를 통해 소정조건에 따라 a접점 또는 b접점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을 통해 인터락을 위한 배선관계를 간소화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3대의 변압기 사용을 기본으로 하여 2대 변압기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상발전기의 사용여부를 로직설정부를 통해 선택적으로 채택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용 차단기의 인터락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용 차단기의 인터락 장치의 결선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용 차단기의 인터락 장치 중 인터락제어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용 차단기의 인터락 장치는 기본적으로 제1 내지 제3 변압기(TR1, TR2, TR3)의 2차측 각각에 접속되는 제1 내지 제3 ACB(A, D, G)를 통해 제1 내지 제3 부하군(L1, L2, L3)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내지 제3 변압 기(TR1, TR2, TR3) 사이에 제1 및 제2 타이 ACB(C, F)가 각각 설치되는 배전반용 ACB 인터락 장치로서, 제1 내지 제3 ACB(A, D, G) 사이에 개재되는 비상발전기용 ACB(20)와, 제1 내지 제3 ACB(A, D, G), 제1 및 제2 타이 ACB(C, F) 및 비상발전기용 ACB(20)를 로직에 따라 제어하기 위한 인터락제어부(30)로 구성된다.
상기 비상발전기용 ACB(20)는 제1 내지 제3 변압기(TR1, TR2, TR3)로부터 전압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예로써 정전 시를 대비한 비상발전기(10)에 일측이 접속되며, 도 1에서와 같이 제1 ACB(A)에는 병렬로 제1 타이 ACB(C)에는 직렬로 연결되는 제1 비상발전기용 ACB(B)와, 제2 ACB(D)에는 병렬로 제2 타이 ACB(F)에는 직렬로 연결되는 제2 비상발전기용 ACB(E)와, 제3 ACB(G)에 병렬로 연결되어 제3 부하군(L3)에 접속되는 제3 비상발전기용 ACB(H)로 구성되어, 인터락제어부(30)의 신호에 따라 제1 내지 제3 비상발전기용 ACB(B, E, H) 중 하나 이상이 제어된다.
상기 인터락 제어부(30)는 제1 내지 제3 변압기(TR1, TR2, TR3) 2차측에서 발생되는 220V 교류전압을 24V, 12V, 5V 등의 디지털 회로에 사용되는 전원용 직류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AC-DC 컨버터(31)와, 제1 내지 제3 ACB(A, D, G), 제1 및 제2 타이 ACB(C, F) 및 제1 내지 제3 비상발전기용 ACB(B, E, H)의 온 또는 오프상태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32)와, 입력부(32)에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로직처리부(33)와, 로직처리부(33)를 통해 결정된 신호에 따라 제1 내지 제3 ACB(A, D, G), 제1 및 제2 타이 ACB(C, F) 및 제1 내지 제3 비상발전기용 ACB(B, E, H)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34)와, 로직처리부(33)의 출력신호에 따라 제1 내지 제3 ACB(A, D, G), 제1 및 제2 타이 ACB(C, F) 및 제1 내지 제3 비상발전기용 ACB(B, E, H)의 온 또는 오프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35)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상기 인터락제어부(30)는 제1 내지 제3 변압기(T1, T2, T3)의 2차측 전압이 동시에 제1 또는 제2 타이 ACB(C, F)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 보다 구체적으로 말해서 제1 및 제2 변압기(T1, T2)의 2차측 전압이 동시에 제1 타이 ACB(C)로 투입되거나 제2 및 제3 변압기(T2, T3)의 2차측 전압이 동시에 제2 타이 ACB(F)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고, 제1 내지 제3 변압기(T1, T2, T3) 모두로부터 전압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즉 정전과 같은 경우나, 제1 내지 제3 ACB(A, D, G)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나 제1 또는 제2 타이 ACB(C, F)가 올바르게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 비상발전기(10)로부터 전압을 인가받도록 제1 내지 제3 비상발전기용 ACB(B, E, H) 중 하나 이상을 로직에 따라 제어하도록 한다.
한편으로 상기 로직처리부(33)의 로직조건을 살펴보면, 제1 ACB(A)는 제1 비상발전기용 ACB(B) 및 제1 타이 ACB(C)가 오프인 경우 또는 제1 비상발전기용 ACB(B), 제2 ACB(D) 및 제2 비상발전기용 ACB(E)가 오프인 경우에 사용되고, 제1 비상발전기용 ACB(B)는 제1 ACB(A) 및 제1 타이 ACB(C)가 오프인 경우 또는 제1 ACB(A), 제2 ACB(D) 및 제2 비상발전기용 ACB(E)가 오프인 경우에 사용되고, 제1 타이 ACB(C)는 제2 타이 ACB(F), 제1 ACB(A) 및 제1 비상발전기용 ACB(B)가 오프인 경우 또는 제2 타이 ACB(F), 제2 ACB(D) 및 제2 비상발전기용 ACB(E)가 오프인 경 우에 사용되고, 제2 ACB(D)는 제2 비상발전기용 ACB(E), 제1 타이 ACB(C) 및 제2 타이 ACB(F)가 오프인 경우 또는 제2 비상발전기용 ACB(E), 제1 타이 ACB(C), 제3 ACB(G) 및 제3 비상발전기용 ACB(H)가 오프인 경우 또는 제2 비상발전기용 ACB(E), 제1 ACB, 제1 비상발전기용 ACB(B), 제2 타이 ACB(F)가 오프인 경우에 사용되고, 제2 비상발전기용 ACB(E)는 제2 ACB(D), 제1 타이 ACB(C) 및 제2 타이 ACB(F)가 오프인 경우 또는 제2 ACB(D), 제1 ACB, 제1 비상발전기용 ACB(B) 및 제2 타이 ACB(F)가 오프인 경우 또는 제2 ACB(D), 제1 타이 ACB(C), 제3 ACB(G) 및 제3 비상발전기용 ACB(H)가 오프인 경우에 사용되고, 제2 타이 ACB(F)는 제1 타이 ACB(C), 제2 ACB(D) 및 제2 비상발전기용 ACB(E)가 오프인 경우 또는 제1 타이 ACB(C), 제3 ACB(G) 및 제3 비상발전기용 ACB(H)가 오프인 경우에 사용되고, 제3 ACB(G)는 제3 비상발전기용 ACB(H) 및 제2 타이 ACB(F)가 오프인 경우 또는 제3 비상발전기용 ACB(H), 제2 ACB(D) 및 제2 비상발전기용 ACB(E)가 오프인 경우에 사용되며, 제3 비상발전기용 ACB(H)는 제3 ACB(G) 및 제2 타이 ACB(F)가 오프인 경우 또는 제3 ACB(G), 제2 ACB(D) 및 제2 비상발전기용 ACB(E)가 오프인 경우에 사용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용 차단기의 인터락 장치 중 제1 실시예에 따른 로직처리부의 구성도이다.
상기의 로직조건을 논리 함수로 나타내면, (B'C') + (B'D'E') = A, (A'C') + (A'D'E') = B, (A'B'F') + (D'E'F') = C, (C'E'F') + (C'E'G'H') + (A'B'E'F') = D, (D'C'F') + (D'A'B'F') + (D'C'G'H') = E, (C'D'E') + (C'G'H') = F, (H'F') + (H'D'E') = G, (G'F') + (G'D'E') = H 과 같으며, 이에 대한 논리회로는 도 4와 같다. 여기서 A 내지 H는 제1 내지 제3 ACB(A, D, G), 제1 및 제2 타이 ACB(C, F) 및 제1 내지 제3 비상발전기용 ACB(B, E, H)의 a접점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A' 내지 H'는 오프상태(b접점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용 차단기의 인터락 장치 중 제2 실시예에 따른 로직처리부의 구성도이다.
또한 상기된 논리 함수를 부울 대수 법칙에 따라 정리하면, B'(C' + D'E') = A, A'(C' + D'E') = B, F'(A'B' + D'E') = C, E'(C'F' + C'G'H' + A'B'F') = D, D'(C'F' + A'B'F' + C'G'H') = E, C'(D'E' + G'H') = F, H'(F' + D'E') = G, G'(F' + D'E') = H 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논리회로는 도 5와 같다.
추가적으로 상기 인터락제어부(30)에는 상기 제1 내지 제3 ACB(A, D, G), 제1 및 제2 타이 ACB(C, F) 및 제1 내지 제3 비상발전기용 ACB(B, E, H)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로직설정부(36), 예로써 DIP스위치가 더 포함되어 있어, 이를 통해 해당 ACB를 오프시킴에 따라 그 ACB를 제어하기 위한 로직조건만이 삭제된다. 예를 들어 제3 ACB(G) 및 제3 비상발전기용 ACB(H)를 로직설정부(36)를 통해 오프시키면 상기된 로직조건에서 그에 해당하는 ACB의 조건은 무시된다.
도 1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용 차단기의 인터락 장치의 실제 사용을 위한 배선을 살펴보면, 각 ACB의 상태가 특정 로직조건에 부합하는 경우에 인터락제어부(30)는 DO1 내지 DO8 중 하나 이상에 a 접점 신호를 출력하여 CB1 내지 CB8의 ACB 중 그에 해당하는 특정 ACB를 접속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용 차단기의 인터락 장치는 제1 내지 제3 ACB(A, D, G), 제1 및 제2 타이 ACB(C, F) 및 제1 내지 제3 비상발전기용 ACB(B, E, H) 각각을 제어하도록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의 배경기술에 소개된 등록특허 제10-0745621호의 UVT를 제어하기 위한 인터락 수단으로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용 차단기의 인터락 장치의 결선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용 차단기의 인터락 장치 중 인터락제어부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용 차단기의 인터락 장치 중 제1 실시예에 따른 로직처리부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용 차단기의 인터락 장치 중 제2 실시예에 따른 로직처리부의 구성도.

Claims (5)

  1. 제1 내지 제3 변압기(TR1, TR2, TR3) 2차측에는 그 각각에 접속되는 제1 내지 제3 ACB(Air Circuit Breaker)(A, D, G)를 통해 제1 내지 제3 부하군(L1, L2, L3)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변압기(TR1, TR2, TR3) 사이에는 제1 및 제2 타이(Tie) ACB(C, F)가 각각 설치되는 배전반용 ACB 인터락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변압기(TR1, TR2, TR3)로부터 전압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를 대비한 비상발전기(10)에 일측이 접속되며, 상기 제1 ACB(A) 및 제1 타이 ACB(C) 사이에 개재되는 제1 비상발전기용 ACB(B)와 상기 제2 ACB(D) 및 제2 타이 ACB(F) 사이에 개재되는 제2 비상발전기용 ACB(E)와 상기 비상발전기(10) 및 상기 제3 ACB(G) 사이에 개재되는 제3 비상발전기용 ACB(H)로 구성되는 비상발전기용 ACB(20)와;
    상기 제1 내지 제3 변압기(T1, T2, T3)의 2차측 전압이 동시에 상기 제1 또는 제2 타이 ACB(C, F)에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변압기(T1, T2, T3) 모두로부터 전압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나, 상기 제1 내지 제3 ACB(A, D, G) 중 하나 이상이나 제1 또는 제2 타이 ACB(C, F)가 이상으로 인해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비상발전기(10)로부터 전압을 인가받도록 상기 제1 내지 제3 비상발전기용 ACB(B, E, H) 중 하나 이상을 로직으로 제어하는 인터락제어부(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용 차단기의 인터락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터락 제어부(30)는 상기 제1 내지 제3 변압기(TR1, TR2, TR3) 2차측에서 발생되는 교류전압을 입력받아 전원용 직류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AC-DC 컨버터(31)와, 상기 제1 내지 제3 ACB(A, D, G), 제1 및 제2 타이 ACB(C, F) 및 제1 내지 제3 비상발전기용 ACB(B, E, H)의 온 또는 오프상태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32)와, 상기 입력부(32)에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로직처리부(33)와, 상기 로직처리부(33)를 통해 결정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ACB(A, D, G), 제1 및 제2 타이 ACB(C, F) 및 제1 내지 제3 비상발전기용 ACB(B, E, H)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34)와, 상기 로직처리부(33)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ACB(A, D, G), 제1 및 제2 타이 ACB(C, F) 및 제1 내지 제3 비상발전기용 ACB(B, E, H)의 온 또는 오프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3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용 차단기의 인터락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로직처리부(33)는,
    (B'C') + (B'D'E') = A, (A'C') + (A'D'E') = B, (A'B'F') + (D'E'F') = C, (C'E'F') + (C'E'G'H') + (A'B'E'F') = D, (D'C'F') + (D'A'B'F') + (D'C'G'H') = E, (C'D'E') + (C'G'H') = F, (H'F') + (H'D'E') = G, (G'F') + (G'D'E') = H (여기서 A 내지 H는 상기 제1 내지 제3 ACB(A, D, G), 제1 및 제2 타이 ACB(C, F) 및 제1 내지 제3 비상발전기용 ACB(B, E, H)의 a접점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A' 내지 H'는 b접점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에 따른 로직조건에 따라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용 차단기의 인터락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로직처리부(33)는,
    B'(C' + D'E') = A, A'(C' + D'E') = B, F'(A'B' + D'E') = C, E'(C'F' + C'G'H' + A'B'F') = D, D'(C'F' + A'B'F' + C'G'H') = E, C'(D'E' + G'H') = F, H'(F' + D'E') = G, G'(F' + D'E') = H (여기서 A 내지 H는 상기 제1 내지 제3 ACB(A, D, G), 제1 및 제2 타이 ACB(C, F) 및 제1 내지 제3 비상발전기용 ACB(B, E, H)의 a접점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A' 내지 H'는 b접점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에 따른 로직조건에 따라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용 차단기의 인터락 장치.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인터락제어부(30)에는 상기 제1 내지 제3 ACB(A, D, G), 제1 및 제2 타이 ACB(C, F) 및 제1 내지 제3 비상발전기용 ACB(B, E, H)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로직설정부(36)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용 차단기의 인터락 장치.
KR1020080108064A 2008-10-31 2008-10-31 배전반용 차단기의 인터락 장치 KR100896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8064A KR100896345B1 (ko) 2008-10-31 2008-10-31 배전반용 차단기의 인터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8064A KR100896345B1 (ko) 2008-10-31 2008-10-31 배전반용 차단기의 인터락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6345B1 true KR100896345B1 (ko) 2009-05-07

Family

ID=40861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8064A KR100896345B1 (ko) 2008-10-31 2008-10-31 배전반용 차단기의 인터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63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752B1 (ko) 2012-07-13 2013-08-28 주식회사 현태 저압 배전반 시스템 및 저압 배전반의 전력공급 제어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4355A (ja) * 1991-08-30 1993-03-12 Toyoda Gosei Co Ltd ネツトワーク配電用逆電力保護方法
KR100745621B1 (ko) 2006-12-01 2007-08-02 한영전기공업주식회사 수배전반의 기중차단기 인터록 장치
KR20080059886A (ko) * 2006-12-26 2008-07-01 박기주 변압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절전형 변압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4355A (ja) * 1991-08-30 1993-03-12 Toyoda Gosei Co Ltd ネツトワーク配電用逆電力保護方法
KR100745621B1 (ko) 2006-12-01 2007-08-02 한영전기공업주식회사 수배전반의 기중차단기 인터록 장치
KR20080059886A (ko) * 2006-12-26 2008-07-01 박기주 변압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절전형 변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752B1 (ko) 2012-07-13 2013-08-28 주식회사 현태 저압 배전반 시스템 및 저압 배전반의 전력공급 제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95361B2 (en) Digitally controlled circuit interrupter with improved automatic selection of sampling interval for 50 hz and 60 hz power systems
EP2086087A2 (en) Electronic Load Control Unit (ELCU) used as bus tie breaker in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US20050243491A1 (en) Multi-function power monitor and circuit protector
US20210175704A1 (en) Electrical ac/dc conversion arrangement
CN105765393A (zh) 电子式电路断路器
KR101211834B1 (ko) 배전 시스템
KR100896345B1 (ko) 배전반용 차단기의 인터락 장치
KR101054386B1 (ko) 전기철도의 통합형 직류 보호 계전 시스템
KR101050202B1 (ko) 비상조명등 제어회로 및 그 제어방법
JP6860746B2 (ja) 発電所の電力系統の二重引込遮断器システム
KR20070058160A (ko) Plc를 이용한 전철용 직류 배전반 제어장치
KR101541208B1 (ko) 로드 피더의 연결 단자들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디바이스들을 갖는 제어 모듈 및 로드 피더
JP2008218221A (ja) 遮断器の同期開閉制御システム
CN101194403B (zh) 避免在高压直流传输设备保护系统内因测量错误导致不期望地触发保护的方法
EP1926190A1 (en) Control panel system with redundancy
JP5404081B2 (ja) 過電流検出装置及び方法
RU2189680C2 (ru) Комплектное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20070002596A1 (en) Two-stage, wide range power supply for a network protector control relay
Hirahara Malaysia kelana jaya line power supply system
JP2006192931A (ja) 電鉄用直流変電設備
JPH03212117A (ja) 負荷制御装置
RU2511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низковольтных фидеров электроснабжения постов электрической централизации на железных дорогах
JPS6022773Y2 (ja) 無停電給電装置
KR200429059Y1 (ko) 다중전원 자동선택 절환장치
JPH024621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0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103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1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3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4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4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