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11834B1 - 배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1834B1
KR101211834B1 KR1020080138864A KR20080138864A KR101211834B1 KR 101211834 B1 KR101211834 B1 KR 101211834B1 KR 1020080138864 A KR1020080138864 A KR 1020080138864A KR 20080138864 A KR20080138864 A KR 20080138864A KR 101211834 B1 KR101211834 B1 KR 101211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ransformer
distribution unit
low voltage
high volt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8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0218A (ko
Inventor
이재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8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1834B1/ko
Publication of KR20100080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0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1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183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65Means for detecting or reacting to mechanical or electrical defec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40Testing power supplies
    • G01R31/42AC power suppl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 전원을 공급하는 고압 배전부; 상기 고압 배전부의 고압 전원을 저압 전원으로 변환하는 변압부; 및 상기 변압부에서 변환된 저압 전원을 공급하는 저압 배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압 배전부, 변압부 및 저압 배전부가 하나의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배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배전, 고압, 저압, 변압, 지중, RMU

Description

배전 시스템{POWER DISTRIBUTION SYSTEM}
본 발명은 배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중 배전 계통은 도심의 전력증가에 따른 설비증설 및 신도시 개발 과정에서의 설치 공간/개소의 축소, 친환경성, 편리한 설치 및 유지보수 및 조작 안전상의 문제점 등 다양한 요구사항을 해결하여 가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지중 배전 계통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지중 배전 계통은 22.9kV 고압 배전 선로에 3회로 스위치(3L) 또는 4회로 스위치(4L)로서 구역을 분할하여 고압 배전 계통이 구성된다.
국내의 지중 배전 계통은 변전소에서 공급된 고압 전원에 대하여 상기 3 또는 4 회로 스위로 구성된 다회로 개폐기(110)를 사용하여 계통을 구분하거나 및 분기하고 있다.
고압 수용가는 단독의 3 또는 4회로 스위치에서 분기하여 고압 수전을 하는 반면, 저압 수용가의 경우는 2대의 스위치 사이에 4~7개의 변압기(130)를 직렬로 연결한 직렬 π방식의 변압기 단독설치 방식을 적용하여 저압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고압 배전 계통의 고압 전원을 상기 변압기를 거쳐 저압 전원으로 변환하여 저압 배전 계통에 적용하게 된다. 상기 저압 배전 계통은 분전을 위한 분전기(미도시)가 배치되어 있다.
이상의 종래의 지중 배전 계통에 적용되는 다회로 개폐기, 변압기, 분전기는 개별적으로 제작되어 각각이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종래의 지중 배전 계통에 적용되는 다회로 개폐기를 나타내었다.
상기 다회로 개폐기(110)는 공통의 모선을 갖고, 3개 이상의 스위치를 갖는 개폐기로서, 도 2와 같이 1개 회로가 3상으로 이루어진 4회로 다회로 개폐기는 계통구성에 따라 인커밍(incoming) 스위치, 아웃고잉(outgoing) 스위치, 변압기 선로 스위치, 타회로 연결 스위치 등으로 사용된다.
도 3은 종래의 지중 배전 계통에 적용된 변압기를 나타낸다.
상기 변압기(130)는 고압 단자부(131)과 저압 단자부(133)로 구분되어 있으며, 고압 단자부는 고압 선로의 인입출을 위해 2쌍의 3상 접속부가 설치되어 있다.
도 4는 종래의 변압기 2차측인 저압 단자부에서 인출된 저압 선로의 분기용으로 사용되는 분전기인 지중 저압 분전함을 나타낸다.
이상에서 살펴본 종래의 지중 배전 계통에서 고압 배전 계통, 변압기, 저압 배전 계통을 이루는 다회로 개폐기, 변압기 및 분전기는 각각 개별 기기로 제작되며 또한 개별로 구분지어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개별적으로 구분된 기기들은 고압 및 저압 선로로 상호 접속되어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여 고압 수용가에 공급되는 경우에 대해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3회로인 다회로 개폐기(110)인 경우에, 송전소측인 22.9kV 배전 계통에 다회로 개폐기의 1회로 스위치가 접속되어 배전 계통에 연결되며, 2회로 스위치는 고압 수용가에게 연결되어 있는 선로를 개폐하여 계통의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나머지 3회로 스위치를 통해 배전 선로의 다음 다회로 개폐기 또는 기타 배전 기기와 연결된다. 저압 수용가에 공급되는 저압 계통의 경우는, 두 대의 다회로 개폐기가 연결된 배전 선로의 중간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변압기(130)를 거쳐, 상기 변압기 2차측에 발생되는 380/220V 저압 전원을 저압 수용가에게 공급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변압기 2차측의 저압 전원은 복수의 저압 수용가에게 공급하기 위해 도 4의 지중 저압 분전함을 통해 분기되어 공급된다.
기존의 배전 계통 방식인 직렬 π방식의 변압기 단독설치 방식은 계통에 서로 연결되어 있는 2개의 개폐기 사이에 지상용 PAD변압기를 4~7대 정도를 직렬로 연결한 방식임으로 중간에 연결된 변압기의 사고 또는 유지 보수시에는 저압 배전 계통에 연결된 양단의 다회로 개폐기(110a, 110b)를 모두 오픈(Open)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함께 연결되어 있는 나머지 변압기도 모두 전원 공급이 중단되어 광범위한 구역에 대해 정전이 발생하게 되며, 또한 최신의 무정전 공법을 통한 복구를 위해서도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이러한 개별 기기의 단독 설치는 고도화된 현대의 도시환경에서는 설치 위치와 설치 개소의 제약을 받게 된다. 즉 저압배전을 위해서는 지중 배전 계통의 다회로 개폐기, 변압기 및 분전기 각각 단독으 로 설치되어야 하므로, 최소 3곳의 설치 개소가 소요되며, 주변 경관을 해치는 환경적인 문제를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는 사회의 고밀도화 등으로 인한 전력수요의 증가와 집중현상에 대응 하기에는 각각의 기기를 개별로 설치하기는 공간적인 제약, 비용의 과다 소요, 혐오시설의 설치에 대한 민원발생, 유지 관리 비용의 증대, 도시미관의 저하 등의 많은 문제점에 봉착하게 된다. 특히, 지상에 주로 배치되는 변압기의 경우는 유입식 변압기 내부에 퓨즈를 설치한 구조로, 예기치 못한 사고의 발생시에 변압기 내부의 퓨즈가 용단되어, 재운전시까지 유지 보수 시간 및 비용이 과다하게 소용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저압 분전함은 단순히 기계식 MCCB를 적용하며, 공통의 N상을 사용하므로, 저압선로에서의 지락사고 발생시 지락을 검출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저압 분전반에서 분기된 여러 저압 선로중에 한 곳에서의 사고발생시 동일 분전함에서 분기된 타 선로에도 사고가 파급될 가능성이 크다. 정리하면, 각각 개별적으로 설비되는 다회로 개폐기, 변압기, 분전기의 효율적인 관리가 불가능한 상황이다.
본 발명은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한 배전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시스템은 고압 전원을 공급하는 고압 배전부; 상기 고압 배전부의 고압 전원을 저압 전원으로 변환하는 변압부; 상기 변압부에서 변환된 저압 전원을 공급하는 저압 배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압 배전부, 변압부 및 저압 배전부가 하나의 케이스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압 배전부는 다회로 개폐기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다회로 개폐기는 고압가스 부하개폐기일 수 있다.
상기 저압 배전부는 분전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고압 배전부, 변압부 및 저압 배전부의 공통 접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변압부는 상기 고압 배전부에 대해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시스템은 개별적으로 설비되던 고압 배전부, 변압부 및 저압 배전부를 하나의 케이스 내에 설비함으로써,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배전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배전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시된 배전 시스템(200)은 고압 전원을 공급하는 고압 배전부(210), 상기 고압 배전부의 고압 전원을 저압 전원으로 변압하는 변압부(230) 및 상기 변압부에서 변환된 저압 전원을 공급하는 저압 배전부(250) 등을 포함하고, 상기 고압 배전부, 변압부 및 저압 배전부가 하나의 케이스(270) 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고압 배전부(210)는 송전소 또는 소정 다회로 개폐기로부터 고압 전원을 입력받아 타 회로, 고압 수용가 등으로 분기하여 공급하게 된다. 상기 고압 배전부는 3회로 또는 4회로 등의 다회로 개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구체적으로는 고압가스 부하개폐기(RMU, Ring Main Units)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압부(230)는 상기 고압 배전부에서 분기 및 공급되는 고압 전원을 저 압 수용가 등에서 요구하는 저압 전원으로 변환하는 요소로, 일반적으로 강압이 가능한 변압기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변압부는 상기 고압 배전부의 다회로 개폐기 중 상기 저압 배전부 측에 연결되는 적어도 2개의 다회로 개폐기에 연결되어 상기 다회로 개폐기의 고압 전원을 저압 전원으로 변환하여 저압 수용가로 공급한다. 상기 다회로 개폐기에 대하여 상기 변압기는 직렬로 연결될 수도 있으나,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장 등의 문제 발생시, 상기 다회로 개폐기 자체를 오픈시키고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상기 변압기는 병렬로 연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압 배전부(250)는 상기 변압부에서 변환된 저압 전원을 저압 수용가 등으로 공급하게 되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변압부의 저압 출력측인 2차측에 연결된 분전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저압 배전부는 상기 분전기를 통하여 상기 변압기에서 변환된 저압 전원을 분기하여 각 저압 수용가에 공급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고압 배전부, 변전부 및 저압 배전부는 하나의 케이스(270) 내에 배치된다. 상기 케이스는 기존의 배전반 또는 분전함의 형상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이와는 다르게 제작하여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전 시스템은 상기 고압 배전부, 변전부 및 저압 배전부가 공통의 케이스에 설비되므로, 상기 3가지 요소에 대한 공통 접지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접지 처리에 요구되는 자원의 낭비를 방지함과 동시에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통 접지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 및 내측에 형성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배전 시스템은 상기 고압 배전부, 변압부 및 저압 배전부의 상태를 검출 및 표시하는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존에는 고압 배전부, 변압부, 저압 배전부 각각이 개별로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 통합 모니터링에 어려움이 있었다. 각각을 모니터링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각각의 모니터링 데이터를 추출하는 요소가 각각의 요소에 설비되어 있어야 하므로 비용이 증가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통합된 모니터링부를 통하여 고압 배전부, 변압부, 저압 배전부 모두를 한번에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케이스에서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케이스와 이격되어 있는 중앙 관리부에서 모니터링을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고압 배전부, 변압부, 저압 배전부의 상태를 추출하여 생성된 상태 신호를 상기 중앙 관리부로 전송할 수 있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정리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배전 시스템은 기존 개별로 형성되었던 고압 배전부, 변압부 및 저압 배전부를 하나의 케이스에 통합 설비함으로써, 계통의 신뢰성 저하, 설치 개소의 증가로 인한 설치 및 유지 보수 비용의 증가, 무분별한 전력기기의 설치로 인한 도시 미관의 저해 등을 해결할 수 있고,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감시, 진단, 보호, 통신, 제어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해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 시스템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배전 시스템은 종래 개별 설치되어 운전되었던 기기들을 하나의 케이스(270) 내에 설치하여 하나의 배전 시스템으로 구성한 것으로, 종래의 배전 시스 템에서 개별 관리 되었던 기기들을 통합관리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 내장형 고압가스 부하개폐기인 RMU(Ring Main Units)를 고압 배전부(210)로 적용하였으며, 고압부를 데드엔드 접속재로 접속할 수 있는 변압기를 변압부(230)로 채용하였다. 그리고 저압 배전부(250)로 LV 판넬(low Voltage Panel)을 변압기 2차 측에 직접 접속하여 하나의 케이스 내에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기존의 옥외형 수배전반 등에서 적용하는 강제 냉각 방식이 아닌, 열 유동에 대한 최적의 설계를 통해 최적화된 공기의 유동로를 포함함으로써 케이스 내부의 발열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자연 냉각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배전 시스템의 회로도이다.
도시된 배전 시스템은 크게 고압 배전부(210)인 RMU와 변압부(230)인 변압기 그리고 저압 배전부(250)인 LV 판넬을 포함하고 있다.
고압 배전부(210)는 배전 계통의 선로와 연결되는 2개의 LBS(Load Break Switch) 스위치가 있으며, 수용가에 공급될 부하로 사용되는 VCB(Vacuum Circuit Breaker, 진공 차단기)로 구성된다. 상기 LBS 및 VCB 각각에는 모두 접지 스위치가 부착되어있는 구조로, 배전 계통 및 부하단의 유지 보수시의 안전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변압부(230)인 데드엔드 접속형 변압기는 3상 4선식의 Y결선 변압기로 배전 시스템 내부에서 고압 배전부(210) 및 저압 배전부(250)와 접속되어 있다.
저압 배전부(250)인 LV 판넬은 주 차단기로 전자식 ACB(Air Circuit Breaker, 기중 차단기)가 설치되고, 부하측 분기 차단기로 전자식 MCCB(Molded Case Circuit Breaker, 배선용 차단기)가 설비되어 있다. 저압 배전부는 전자식 차단기(ACB, MCCB)를 적용하여, 상호간의 통신을 통한 선택차단 및 지락 보호 기능이 가능하다.
상기 RMU는 1.0급 이상의 전자식 전압/전류 변성기를 적용하여 계측 정밀도를 극대화하는 것이 바라직하며, 메커니즘 구동 모터 및 투입 트립 코일에 홀 센서(Hall sensor)를 적용하여 구동부의 동작 상태를 감시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가스 밀도 센서와 부분 방전을 감지할 수 있는 PD(Partial Discharge) 센서를 탱크에 부착하여 탱크 내부의 가스 상태와 부분방전 발생 여부를 상시 모니터링할 수 있다.
RMU는 배전 스테이션의 고압 배전부로서 좌우의 LBS는 지중 배전 선로에 연결되며, 중앙의 VCB를 통해서 배전 시스템의 변압기로 고압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또한 상기 RMU는 부하 공급단에 VCB 차단기를 적용하므로, 기존의 다회로 개폐기를 적용했을 경우에 비해 부하단의 사고시에 신속히 분리할 수 있으므로 배전 선로의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변압기는 고저압 케이블의 결선을 용이하게 하기위해 데드엔드 접속용 부싱과 저압 부싱을 모두 변압기 외형 중 상부에 취부하여, 설치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변압기에는 아날로그방식의 유온, 유위 게이지 외에 유온과 유위센서를 추가로 장착하여 변압기의 상태를 상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종래 지중 배전 계통의 변압기에 설치된 CL-Fuse, Bay-O-Net Fuse등 변압기 내부에 장착된 퓨즈를 제거하여 변압기의 고장 발생 부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는 변압기 내부에 장착된 변압기 보호 장치를 변압기 1차측 RMU의 VCB 차단기와 2차측의 전자식 ACB를 통하여 대신함으로써 가능한 것으로, 이를 통하여 변압기의 점검 및 유지보수 포인트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압 배전부의 VCB 차단기와 저압 배전부의 ACB 차단기로 상기 변압부의 안정 장치를 대신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구성은 하나의 케이스에 통합 설비함으로써 가능해진다.
상기 LV 판넬은 변압기 2차측에서 공급된 저압 전원을 전자식 ACB를 주차단기로 하고, 전자식 MCCB를 분기차단기로 적용하여 저압 수용가에 직접 공급하게 된다. 상기 LV 파넬은 전자식으로 구동되는 ACB와 MCCB의 상호 보호협조가 이루어지며, 상호간의 통신을 통해 선택차단이 가능한 구조이다. 또한 지락검출 기능을 갖는 전자식 MCCB를 적용함으로써 MCCB 각각의 부하별로 지락보호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 배전 시스템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요소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배전 시스템과 이격되어 있는 중앙 관리부에서의 모니터링를 위하여 상태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중앙 관리부는 통신 제어 모듈인 CCU(Communication Control Unit)를 통해 감시 및 제어가 이루어지며, 또한 이러한 감시 및 제어는 복수의 배전 시스템 간에서도 가능하며, 이때는 일정 배전 시스템이 중계기의 역할 또는 중앙 관리부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배전 시스템이 적용되었을 때의 배전 계통도에 대한 예시이다.
도시된 계통도에서 고압 공급단은 RMU의 VCB 차단기가 설치되어 보호되고, 저압 공급단은 저압 배전부의 차단기(ACB, MCCB)에서 개별 보호가 되므로, 배전 계통의 신뢰도와 안정성이 극대화된다.
그외에 배전 시스템에는 자동 소화부(미도시)를 장착하여 내부의 화재 등 이상 상태 발생시 자동으로 소화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침수레벨 센서(미도시)를 장착하여 천재지변 등에 의한 침수여부를 상시 감시할 수도 있다. 상기 자동 소화부 및 침수레벨 센서는 배전 시스템의 케이스의 내부에 설비될 수 있으며, 고압 배전부, 변전부, 저압 변전부 중 적어도 하나에 설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 시스템은 지중 배전 계통의 구성 기기를 집약하여, 단일 제품으로 구현하므로 설치 공간 및 비용절감의 효과가 있으며, RMU에 의해 배전 선로와 배전용 변압기의 연결 및 분리가 가능하여, 변압부의 사고시 RMU에 의해 자동으로 계통과 분리되어 변압기 및 저압부의 사고시 배전 계통으로의 파급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전선로에서 변압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저압 배전 구간의 유지 보수시에 대상 변압부만을 단독으로 분리하여 유지보수가 가능하므로, 정전 구간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보호기능의 확대로 인한 계통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변압부 2차측의 저압선로는 전자식 ACB를 주 차단기로 적용하고, 전자식 MCCB를 분기차단기로 적용하여, 부하별로 전원 공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전자식 차단기를 적용함으로써 상호간의 통신을 통해 계측 및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주 차단기과 분기 차단기를 적용함으로써 저압 배전부의 사고시 보호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저압 분전 반에서 공급되는 저압전원은 각각의 분기차단기인 MCCB에 N상을 공급하고, N상의 전류를 감시하게 되므로 지락사고 발생시의 발생부하를 즉시 확인하고, 차단할 수 있게 되어, 지락사고 발생의 파급을 방지하고, 발생부위만 선택적으로 계통에서 분리할 수 있으므로, 정전 구간을 최소화하여 계통의 전력 공급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그 외에도 고압 인입부인 RMU의 스위치를 도 8에서와 같이 4개 이상으로 적용하게 되면, 계통과 연계되는 2개의 스위치와 변압기로 공급되는 하나의 스위치 외에 나머지 하나 이상의 스위치를 고압 수용가에게도 공급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배전 시스템의 설치로 고압수용가 및 저압수용가 모두에게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될 경우 종래에 고압 공급을 위한 다회로 개폐기, 저압 공급을 위한 변압기, 저압 선로의 분기를 위한 저압 분전기 등 3개 이상의 독립적인 기기들이 적용되므로, 설치 공간 확보, 공사비용의 증가, 유지보수 비용의 증가등의 문제가 발생하였으나, 본 발명의 배전 시스템을 적용할 경우에는 소규모의 배전 시스템을 통하여 고압 및 저압을 모두 공급할 수 있게 되므로, 공간확보도 용이하고, 공사비용의 최소화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지중 배전 계통도.
도 2는 종래의 지중 배전 계통에 적용되는 다회로 개폐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종래의 지중 배전 계통에 적용된 변압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종래의 변압기 2차측인 저압 단자부에서 인출된 저압 선로의 분기용으로 사용되는 분전기인 지중 저압 분전함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배전 시스템의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 시스템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배전 시스템의 회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배전 시스템이 적용되었을 때의 배전 계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고압 배전부 230...변압부
250...저압 배전부 270...케이스

Claims (10)

  1. 고압 전원을 공급하는 고압 배전부;
    상기 고압 배전부의 고압 전원을 저압 전원으로 변환하는 변압부;
    상기 변압부에서 변환된 저압 전원을 공급하는 저압 배전부; 및
    상기 고압 배전부, 변압부 및 저압 배전부가 설비되는 하나의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고압 배전부, 변압부 및 저압 배전부의 상태를 검출 및 표시하는 모니터링부와, 상기 고압 배전부, 변압부 및 저압 배전부의 상태 신호를 중앙 관리부로 전송하는 통신부가 설치되며,
    상기 고압 배전부는 상기 변압부에 연결되는 VCB(Vacuum Circuit Breaker, 진공 차단기)와 다회로 개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저압 배전부는 상기 변압부에 연결되는 ACB(Air Circuit Breaker, 기중 차단기)와 분전기를 포함하며,
    상기 변압부는 상기 고압 배전부에 대해 병렬로 연결되는 배전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회로 개폐기는 고압가스 부하개폐기를 포함하는 배전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냉각을 위한 공기 유동로가 형성되는 배전 시스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이상 상태 발생시 동작하는 자동 소화부가 더 포함되는 배전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침수 정도를 검출하는 침수레벨 센서가 더 포함되는 배전 시스템.
KR1020080138864A 2008-12-31 2008-12-31 배전 시스템 Active KR101211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864A KR101211834B1 (ko) 2008-12-31 2008-12-31 배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864A KR101211834B1 (ko) 2008-12-31 2008-12-31 배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0218A KR20100080218A (ko) 2010-07-08
KR101211834B1 true KR101211834B1 (ko) 2012-12-12

Family

ID=42641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8864A Active KR101211834B1 (ko) 2008-12-31 2008-12-31 배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18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74347A (zh) * 2015-07-21 2017-02-01 上海航星通用电器有限公司 模数化高可靠智能低压配电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01040A (zh) * 2013-12-30 2014-04-02 国能子金电器(苏州)有限公司 光伏发电用组合式变压器的高低压柜
KR20170139205A (ko) * 2016-06-08 2017-12-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플러그유닛
CN109638659A (zh) * 2017-10-06 2019-04-16 镇江长河电力技术有限公司 一种自动降温的配电设备开关柜
CN108039660B (zh) * 2017-12-20 2020-03-17 上元电力科技有限公司 一种防潮的户外高压配电柜
CN108879363A (zh) * 2018-07-02 2018-11-23 安徽泾县宏图信息科技有限公司 配电终端综合集成信息采集系统
KR102215075B1 (ko) 2020-06-26 2021-02-10 황성태 컨테이너형 수배전반 시스템
KR102802994B1 (ko) 2023-05-25 2025-05-07 황성태 소형 적층배열 수배전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6749Y1 (ko) * 2004-11-25 2005-06-16 이한신 특고압 밀폐형 수변전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6749Y1 (ko) * 2004-11-25 2005-06-16 이한신 특고압 밀폐형 수변전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74347A (zh) * 2015-07-21 2017-02-01 上海航星通用电器有限公司 模数化高可靠智能低压配电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0218A (ko) 201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1834B1 (ko) 배전 시스템
US9246325B2 (en) Connection device for transformer substation modules
CN112117735B (zh) 电弧保护系统及电弧保护系统的控制方法
KR100990736B1 (ko) 보호 배전반의 상태를 감시하고 제어하는 보호 시스템
CN113168981A (zh) 低压板的开关和保护装置及包含开关和保护装置的低压板
WO2021074812A1 (en) High voltage overhead electric transmission line equipped with switchgear unit
KR101658705B1 (ko) 무정전 2모선수변전설비
KR101123272B1 (ko) 임시송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손 변압기 교체방법
US20230170686A1 (en) Device, method, and power distribution system for preventing electric shock and fire in case of short circuit and ground fault
KR101084104B1 (ko) 결상검출 선택차단기능을 갖는 고·저압 배전반
KR20200107511A (ko) 반지상 하이브리드 지상기기
KR102262386B1 (ko) 시험용 단자대 디지털 잠금 장치를 포함하는 변압기 보호반
KR100861915B1 (ko) 계기용 변성기가 외부 설치된 수전반을 구비한 수변전 장치
KR100460622B1 (ko) 개폐장치가 내장된 지상변압기
KR101008234B1 (ko) 접지가 형성된 특별고압 수변전설비
KR102813480B1 (ko) 가스절연개폐장치의 가스 오회수 차단 방법과 그에 따른 장치
CN105794059A (zh) 带母线侧电压互感器或避雷器的开关设备
KR102788186B1 (ko) 수배전반 설비의 보호계전기 트립 방지장치 및 고압배전반의 운전제어방법
KR100734334B1 (ko) 가스절연형 간이수변전장치
KR100571291B1 (ko) 특별고압 수전설비
KR100940230B1 (ko) 접지가 형성된 가스 절연형 간이 수변전장치
KR100662077B1 (ko) 수배전반의 전력보호 장치
KR20110006673U (ko) 옥외용 전력 기기의 이상 검출 장치
KR20220150777A (ko) 배전 계통 토폴로지를 반영한 분산형전원 단독운전 방지 방법 및 장치
JPH0556521A (ja) 配電用変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9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05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9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10628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5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20423

Appeal identifier: 2011101004228

Request date: 20110628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1062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628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01125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B0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Report of Result of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10829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628

Effective date: 20120423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20423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10628

Decision date: 20120423

Appeal identifier: 2011101004228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5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S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29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25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2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2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