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6345B1 - Interlock device for switchgear breaker - Google Patents
Interlock device for switchgear break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96345B1 KR100896345B1 KR1020080108064A KR20080108064A KR100896345B1 KR 100896345 B1 KR100896345 B1 KR 100896345B1 KR 1020080108064 A KR1020080108064 A KR 1020080108064A KR 20080108064 A KR20080108064 A KR 20080108064A KR 100896345 B1 KR100896345 B1 KR 1008963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cb
- acbs
- emergency generator
- tie
- transformers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02—Details
- H01H31/04—Interlocking mechanism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H02B11/133—Withdrawal mechanism with interlock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3/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assembly, or maintenance of boards or switch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반용 차단기의 인터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3대 변압기의 2차측 전원이 동시에 투입됨에 따른 합선사고를 방지함과 동시에 정전 시 변압기를 대신하여 가동되는 비상발전기에 인터락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변압기(TR1, TR2, TR3) 2차측에 접속되는 ACB(A, D, G)를 통해 부하군(L1, L2, L3)이 연결되고, 변압기(TR1, TR2, TR3) 사이에 타이 ACB(C, F)가 설치되는 ACB 인터락 장치로서, 변압기(TR1, TR2, TR3)로부터 전압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를 대비한 비상발전기(10)에 일측이 접속되어 ACB(A) 및 타이 ACB(C)와 ACB(D) 및 타이 ACB(F)와 비상발전기(10) 및 ACB(G) 사이에 개재되는 비상발전기용 ACB(20)와; 변압기(T1, T2, T3)의 2차측 전압이 동시에 타이 ACB(C, F)에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변압기(T1, T2, T3) 모두로부터 전압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나, ACB(A, D, G) 중 하나 이상이나 타이 ACB(C, F)가 이상으로 인해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 비상발전기(10)로부터 전압을 인가받도록 비상발전기용 ACB(20)를 로직으로 제어하는 인터락제어부(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2개 전원이 동시에 부하군으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비상발전기로부터의 전원공급을 제어한다.
배전반, 인터락, 변압기, 비상발전기, DIP 스위치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lock device of a switchgear breaker, which provides an interlock structure to an emergency generator that is operated in place of a transformer during a power failure while preventing a short circuit caused by the simultaneous power supply of secondary transformers of three transformers. It is to.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the load group (L1, L2, L3) is connected through the ACB (A, D, G) connected to the secondary side of the transformer (TR1, TR2, TR3), transformer (TR1, TR2, TR3) An ACB interlock device having tie ACBs (C, F) provided therebetween, one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emergency generator 10 in case no voltage is supplied from the transformers TR1, TR2, TR3, and the ACB (A). And an emergency generator ACB 20 interposed between the tie ACB (C) and the ACB (D) and the tie ACB (F) and the emergency generator 10 and the ACB (G); The secondary voltages of the transformers T1, T2, and T3 are prevented from entering the tie ACBs C and F at the same time, and the voltage is not supplied from all the transformers T1, T2, and T3. Interlock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logic of emergency generator ACB 20 to receive voltage from emergency generator 10 when at least one of D, G or tie ACB (C, F) does not operate due to an error ( 30); characterized in that, to prevent the two power supply to the load group at the same time and to control the power supply from the emergency generator.
Switchgear, Interlock, Transformer, Emergency Generator, DIP Switch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전반용 차단기의 인터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전반용 변압기로부터 투입되는 전원의 합선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인터락 장치를 로직회로를 통해 제어하는 배전반용 차단기의 인터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lock device of a switchgear break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erlock device of a switchgear breaker for controlling an interlock device for preventing a short circuit of power input from a switchgear transformer through a logic circuit. It is about.
일반적으로 배전반이라 함은 발전소나 변전소 또는 전기 시설이 되어 있는 건물 같은 곳에 설치되어 변압기, 계기, 표시등, 계전기, 개폐기 따위를 포함함으로써 전로의 개폐나 기기의 제어와 감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이와 같은 배전반에서는 변압기의 2차측에 ACB(Air Circuit Breaker)가 설치되어 있어 이를 통해 저압 선로의 보호, 단락전류 차단, 지락전류차단, 과부하전류 저전압 차단 등의 기능과 ACB 2차측 모선의 사고시 선로보호와 변압기 보호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In general, switchboards are installed in power plants, substations, or buildings with electrical facilities, and include transformers, instruments, indicators, relays, and switches to facilitate the opening and closing of converters and the control and monitoring of devices. In this switchboard, the ACB (Air Circuit Breaker) is installed on the secondary side of the transformer, which protects the low-voltage line, short-circuit current cutoff, ground fault current cutoff, and overload current undervoltage cutoff. And transformer protection.
그런데 종래의 ACB를 사용한 배전반에서는 변압기용 ACB 사이에 타이(Tie) ACB를 연결 설치함으로써 양측 변압기로부터 동시에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타이 ACB의 동작은 수동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실수에 의해 양측 변압기로부터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타이 ACB를 접속시킴에 따라 합선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a switchboard using a conventional ACB, a tie ACB is connected between transformer ACBs to prevent voltage from being applied from both transformers at the same time. As a result of connecting the tie ACB in a state where voltage is applied from both transformers, a short circuit accident may occur.
등록특허 제10-0745621호에서는 상기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변압기용 ACB와 타이 ACB에 UVT(부족전압 트립장치)를 설치하여 타이 ACB의 UVT로 양측 변압기를 통해 모두 전원이 공급되거나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그 UVT에 동작전원을 공급하지 않고 한 쪽에서만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UVT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아날로그 방식의 인터락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In Patent No. 10-0745621,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when the UVT (Undervoltage Trip Device) is installed in the ACB and the tie ACB for the transformer, the power is not supplied or supplied through both transformers with the UVT of the tie ACB. An analog interlock structure is adopted to supply the operating power to the UVT when the power is supplied from only one side without supplying the operating power to the UVT.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는 그 제어대상이 타이 ACB에 국한되고, 실질적으로 배전반에 사용되는 비상발전기의 ACB와 연관되는 변압기용 ACB 또는 타이 ACB의 접속관계에 대해서도 기술되어 있지 않으며, 아날로그 방식에 따른 배선구조를 통해 실제 배선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patent does not describe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transformer ACB or a tie ACB, whose control object is limited to a tie ACB, and is substantially associated with an ACB of an emergency generator used in a switchboard. Through the actual wiring is a complicated problem.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디 지털 방식의 로직회로에 의해 각 ACB를 제어하여 변압기의 양측 전원이 동시에 투입됨에 따라 발생가능한 합선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배전반용 차단기의 인터락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 switchgear breaker for preventing the short circuit accident that can occur when the power supply to both sides of the transformer at the same time by controlling each ACB by a digital logic circuit Its purpose is to provide an interlock device.
또한 배전반의 비상발전기 ACB와 연동되는 변압기용 ACB 및 그 사이에 연결되는 타이 ACB를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단일칩을 통해 전체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실제 배선 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배전반용 차단기의 인터락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it provides an interlock device of a switchgear breaker that can provide convenience in actual wiring by controlling the ACB for a transformer that interworks with the emergency generator ACB of the switchboard and the tie ACB connected therebetween through a single chip such as a microprocessor. Its purpose is to.
추가적으로 변압기가 2대 또는 3대 사용하는 경우와 비상발전기의 사용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배전반용 차단기의 인터락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terlock device of a switchgear breaker in which two or three transformers are used and an emergency generator can be select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내지 제3 변압기 2차측에는 그 각각에 접속되는 제1 내지 제3 ACB(Air Circuit Breaker)를 통해 제1 내지 제3 부하군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변압기 사이에는 제1 및 제2 타이(Tie) ACB가 각각 설치되는 배전반용 ACB 인터락 장치로서, 상기 제1 내지 제3 변압기로부터 전압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를 대비한 비상발전기에 일측이 접속되며, 상기 제1 ACB 및 제1 타이 ACB 사이에 개재되는 제1 비상발전기용 ACB와 상기 제2 ACB 및 제2 타이 ACB 사이에 개재되는 제2 비상발전기용 ACB와 상기 비상발전기 및 상기 제3 ACB 사이에 개재되는 제3 비상발전기용 ACB로 구성되는 비상발전기용 ACB와; 상기 제1 내지 제3 변압기의 2차측 전압이 동시에 상기 제1 또는 제2 타이 ACB에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변압기 모두로부터 전압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나, 상기 제1 내지 제3 ACB 중 하나 이상이나 제1 또는 제2 타이 ACB가 이상으로 인해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비상발전기로부터 전압을 인가받도록 상기 제1 내지 제3 비상발전기용 ACB 중 하나 이상을 로직으로 제어하는 인터락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o third load group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o third transformer secondary side through the first to third ACB (Air Circuit Breaker) connected to each of them; And an ACB interlock device for a distribution board, in which first and second tie ACBs are respectively installed between the first and third transformers, in case an emergency voltage is not supplied from the first to third transformers.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generator, the first emergency generator ACB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CB and the first tie ACB and the second emergency generator ACB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ACB and the second tie ACB and the emergency generator And an emergency generator ACB comprised of a third emergency generator ACB interposed between the third ACBs. When the secondary voltages of the first to third transformers are prevented from being simultaneously introduced into the first or second tie ACBs, and voltages are not supplied from both of the first to third transformers, or the first to third voltages. An interlock for logic control of one or more of the first to third emergency generator ACBs so that a voltage is applied from the emergency generator when one or more of the three ACBs or the first or second tie ACBs do not operate due to an error. And a control unit.
상기 인터락 제어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변압기 2차측에서 발생되는 교류전압을 입력받아 전원용 직류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AC-DC 컨버터와, 상기 제1 내지 제3 ACB, 제1 및 제2 타이 ACB 및 제1 내지 제3 비상발전기용 ACB의 온 또는 오프상태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로직처리부와, 상기 로직처리부를 통해 결정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ACB, 제1 및 제2 타이 ACB 및 제1 내지 제3 비상발전기용 ACB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와, 상기 로직처리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ACB, 제1 및 제2 타이 ACB 및 제1 내지 제3 비상발전기용 ACB의 온 또는 오프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terlock control unit may include an AC-DC converter for receiving an AC voltage generated at the secondary side of the first to third transformers and converting it into a DC voltage for power, and the first to third ACBs, the first and second tie ACBs. And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n on or off state of the first to third emergency generator ACBs, a logic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a signal input to the input unit, and the first to the third signal according to a signal determined through the logic processing unit.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signal for controlling 3 ACBs, first and second tie ACBs, and ACBs for first to third emergency generators; and first to third ACBs and first to third outputs according to output signals of the logic processing unit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on or off state of the second tie ACB and the first to third emergency generator ACBs.
또한 상기 로직처리부는 (B'C') + (B'D'E') = A, (A'C') + (A'D'E') = B, (A'B'F') + (D'E'F') = C, (C'E'F') + (C'E'G'H') + (A'B'E'F') = D, (D'C'F') + (D'A'B'F') + (D'C'G'H') = E, (C'D'E') + (C'G'H') = F, (H'F') + (H'D'E') = G, (G'F') + (G'D'E') = H 에 따른 로직조건에 따라 구성되거나, B'(C' + D'E') = A, A'(C' + D'E') = B, F'(A'B' + (D'E') = C, E'(C'F' + C'G'H' + A'B'F')=D, D'(C'F' + A'B'F' + C'G'H') = E, C'(D'E' + G'H') = F, H'(F' + D'E') = G, G'(F' + D'E') = H (여기서 A 내지 F는 상기 제1 내지 제3 ACB, 제1 및 제2 타이 ACB 및 제1 내지 제3 비상발전기용 ACB의 a접점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A' 내지 F'는 b접점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에 따른 로직조건에 따라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ogic processing unit (B'C ') + (B'D'E') = A, (A'C ') + (A'D'E') = B, (A'B'F ') + (D'E'F ') = C, (C'E'F') + (C'E'G'H ') + (A'B'E'F') = D, (D'C'F ') + (D'A'B'F') + (D'C'G'H ') = E, (C'D'E') + (C'G'H ') = F, (H' F ') + (H'D'E') = G, (G'F ') + (G'D'E') = configured according to logic condition according to H, or B '(C' + D'E ') = A, A' (C '+ D'E') = B, F '(A'B' + (D'E ') = C, E' (C'F '+ C'G'H' + A'B'F ') = D, D' (C'F '+ A'B'F' + C'G'H ') = E, C' (D'E '+ G'H') = F, H '(F' + D'E ') = G, G' (F '+ D'E') = H (where A to F are the first to third ACBs, the first and second tie ACBs) And a contact state of the first to third emergency generator ACBs, and A 'to F' indicate a contact state b).
추가적으로 상기 인터락제어부에는 상기 제1 내지 제3 ACB, 제1 및 제2 타이 ACB 및 제1 내지 제3 비상발전기용 ACB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로직설정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dditionally, the interlock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logic setting unit for individually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first to third ACBs, the first and second tie ACBs, and the first to third emergency generator ACBs.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용 차단기의 인터락 장치는 인터락제어부를 통해 제1 내지 제3 ACB와 제1 및 제2 타이 ACB를 제어하여 제1 내지 제3 변압기의 양측 전원이 동시에 한 곳의 ACB로 투입됨에 따라 발생되는 사고를 방지하고, 정전 시와 같이 제1 내지 제3 변압기로부터 전압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비상발전기용 ACB를 제어하여 제1 내지 제3 부하군까지 안전하게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interlock device of the switchgear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first to third ACB and the first and second tie ACBs through the interlock control unit to simultaneously supply power to both sides of the first to third transformers. Prevents accidents caused by being put into one ACB and controls the emergency generator ACB to safely supply voltage to the first to third load groups when no voltage is supplied from the first to third transformers, such as during a power outage. Can supply
또한 배전반의 비상발전기용 ACB와 제1 내지 제3 ACB와 제1 및 제2 타이 ACB를 로직회로로 구성된 인터락제어부를 통해 소정조건에 따라 a접점 또는 b접점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을 통해 인터락을 위한 배선관계를 간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interlock control unit consisting of the emergency generator ACB, the first to third ACB, and the first and second tie ACB of the switchboard by a logic circuit,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maintain a contact or b contact stat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dition. The wiring relationship for the interlock can be simplified.
추가적으로 3대의 변압기 사용을 기본으로 하여 2대 변압기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상발전기의 사용여부를 로직설정부를 통해 선택적으로 채택하여 결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based on the use of three transformers, the use of two transformers and the use of emergency generators can be determined by selectively adopting the logic setting unit.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용 차단기의 인터락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interlock device of a switchgear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용 차단기의 인터락 장치의 결선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용 차단기의 인터락 장치 중 인터락제어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connection diagram of an interlock device of a switchgear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lock control unit among interlock devices of a switchgear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용 차단기의 인터락 장치는 기본적으로 제1 내지 제3 변압기(TR1, TR2, TR3)의 2차측 각각에 접속되는 제1 내지 제3 ACB(A, D, G)를 통해 제1 내지 제3 부하군(L1, L2, L3)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내지 제3 변압 기(TR1, TR2, TR3) 사이에 제1 및 제2 타이 ACB(C, F)가 각각 설치되는 배전반용 ACB 인터락 장치로서, 제1 내지 제3 ACB(A, D, G) 사이에 개재되는 비상발전기용 ACB(20)와, 제1 내지 제3 ACB(A, D, G), 제1 및 제2 타이 ACB(C, F) 및 비상발전기용 ACB(20)를 로직에 따라 제어하기 위한 인터락제어부(30)로 구성된다.The interlock device of the circuit breaker for a switch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provided through first to third ACBs (A, D, and G) connected to the secondary sides of the first to third transformers TR1, TR2, and TR3. The first to third load groups (L1, L2, L3) are electrically connected and the first and second tie ACB (C, F)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to third transformer (TR1, TR2, TR3), respectively An ACB interlock device for a switchboard, comprising: an
상기 비상발전기용 ACB(20)는 제1 내지 제3 변압기(TR1, TR2, TR3)로부터 전압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예로써 정전 시를 대비한 비상발전기(10)에 일측이 접속되며, 도 1에서와 같이 제1 ACB(A)에는 병렬로 제1 타이 ACB(C)에는 직렬로 연결되는 제1 비상발전기용 ACB(B)와, 제2 ACB(D)에는 병렬로 제2 타이 ACB(F)에는 직렬로 연결되는 제2 비상발전기용 ACB(E)와, 제3 ACB(G)에 병렬로 연결되어 제3 부하군(L3)에 접속되는 제3 비상발전기용 ACB(H)로 구성되어, 인터락제어부(30)의 신호에 따라 제1 내지 제3 비상발전기용 ACB(B, E, H) 중 하나 이상이 제어된다.When the
상기 인터락 제어부(30)는 제1 내지 제3 변압기(TR1, TR2, TR3) 2차측에서 발생되는 220V 교류전압을 24V, 12V, 5V 등의 디지털 회로에 사용되는 전원용 직류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AC-DC 컨버터(31)와, 제1 내지 제3 ACB(A, D, G), 제1 및 제2 타이 ACB(C, F) 및 제1 내지 제3 비상발전기용 ACB(B, E, H)의 온 또는 오프상태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32)와, 입력부(32)에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로직처리부(33)와, 로직처리부(33)를 통해 결정된 신호에 따라 제1 내지 제3 ACB(A, D, G), 제1 및 제2 타이 ACB(C, F) 및 제1 내지 제3 비상발전기용 ACB(B, E, H)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34)와, 로직처리부(33)의 출력신호에 따라 제1 내지 제3 ACB(A, D, G), 제1 및 제2 타이 ACB(C, F) 및 제1 내지 제3 비상발전기용 ACB(B, E, H)의 온 또는 오프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35)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상기 인터락제어부(30)는 제1 내지 제3 변압기(T1, T2, T3)의 2차측 전압이 동시에 제1 또는 제2 타이 ACB(C, F)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 보다 구체적으로 말해서 제1 및 제2 변압기(T1, T2)의 2차측 전압이 동시에 제1 타이 ACB(C)로 투입되거나 제2 및 제3 변압기(T2, T3)의 2차측 전압이 동시에 제2 타이 ACB(F)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고, 제1 내지 제3 변압기(T1, T2, T3) 모두로부터 전압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즉 정전과 같은 경우나, 제1 내지 제3 ACB(A, D, G)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나 제1 또는 제2 타이 ACB(C, F)가 올바르게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 비상발전기(10)로부터 전압을 인가받도록 제1 내지 제3 비상발전기용 ACB(B, E, H) 중 하나 이상을 로직에 따라 제어하도록 한다.The
한편으로 상기 로직처리부(33)의 로직조건을 살펴보면, 제1 ACB(A)는 제1 비상발전기용 ACB(B) 및 제1 타이 ACB(C)가 오프인 경우 또는 제1 비상발전기용 ACB(B), 제2 ACB(D) 및 제2 비상발전기용 ACB(E)가 오프인 경우에 사용되고, 제1 비상발전기용 ACB(B)는 제1 ACB(A) 및 제1 타이 ACB(C)가 오프인 경우 또는 제1 ACB(A), 제2 ACB(D) 및 제2 비상발전기용 ACB(E)가 오프인 경우에 사용되고, 제1 타이 ACB(C)는 제2 타이 ACB(F), 제1 ACB(A) 및 제1 비상발전기용 ACB(B)가 오프인 경우 또는 제2 타이 ACB(F), 제2 ACB(D) 및 제2 비상발전기용 ACB(E)가 오프인 경 우에 사용되고, 제2 ACB(D)는 제2 비상발전기용 ACB(E), 제1 타이 ACB(C) 및 제2 타이 ACB(F)가 오프인 경우 또는 제2 비상발전기용 ACB(E), 제1 타이 ACB(C), 제3 ACB(G) 및 제3 비상발전기용 ACB(H)가 오프인 경우 또는 제2 비상발전기용 ACB(E), 제1 ACB, 제1 비상발전기용 ACB(B), 제2 타이 ACB(F)가 오프인 경우에 사용되고, 제2 비상발전기용 ACB(E)는 제2 ACB(D), 제1 타이 ACB(C) 및 제2 타이 ACB(F)가 오프인 경우 또는 제2 ACB(D), 제1 ACB, 제1 비상발전기용 ACB(B) 및 제2 타이 ACB(F)가 오프인 경우 또는 제2 ACB(D), 제1 타이 ACB(C), 제3 ACB(G) 및 제3 비상발전기용 ACB(H)가 오프인 경우에 사용되고, 제2 타이 ACB(F)는 제1 타이 ACB(C), 제2 ACB(D) 및 제2 비상발전기용 ACB(E)가 오프인 경우 또는 제1 타이 ACB(C), 제3 ACB(G) 및 제3 비상발전기용 ACB(H)가 오프인 경우에 사용되고, 제3 ACB(G)는 제3 비상발전기용 ACB(H) 및 제2 타이 ACB(F)가 오프인 경우 또는 제3 비상발전기용 ACB(H), 제2 ACB(D) 및 제2 비상발전기용 ACB(E)가 오프인 경우에 사용되며, 제3 비상발전기용 ACB(H)는 제3 ACB(G) 및 제2 타이 ACB(F)가 오프인 경우 또는 제3 ACB(G), 제2 ACB(D) 및 제2 비상발전기용 ACB(E)가 오프인 경우에 사용된다.On the other hand, looking at the logic conditions of th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용 차단기의 인터락 장치 중 제1 실시예에 따른 로직처리부의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logic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an interlock device of a switchgear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의 로직조건을 논리 함수로 나타내면, (B'C') + (B'D'E') = A, (A'C') + (A'D'E') = B, (A'B'F') + (D'E'F') = C, (C'E'F') + (C'E'G'H') + (A'B'E'F') = D, (D'C'F') + (D'A'B'F') + (D'C'G'H') = E, (C'D'E') + (C'G'H') = F, (H'F') + (H'D'E') = G, (G'F') + (G'D'E') = H 과 같으며, 이에 대한 논리회로는 도 4와 같다. 여기서 A 내지 H는 제1 내지 제3 ACB(A, D, G), 제1 및 제2 타이 ACB(C, F) 및 제1 내지 제3 비상발전기용 ACB(B, E, H)의 a접점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A' 내지 H'는 오프상태(b접점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If the above logic condition is expressed as a logic function, (B'C ') + (B'D'E') = A, (A'C ') + (A'D'E') = B, (A'B 'F') + (D'E'F ') = C, (C'E'F') + (C'E'G'H ') + (A'B'E'F') = D, ( D'C'F ') + (D'A'B'F') + (D'C'G'H ') = E, (C'D'E') + (C'G'H ') = F, (H'F ') + (H'D'E') = G, (G'F ') + (G'D'E') = H, and the logic circuit for this is shown in FIG. . Where A to H are the first to the third ACB (A, D, G), the first and second tie ACB (C, F) and the first to third emergency generator ACB (B, E, H) The contact state is shown, and A 'to H' represent an off state (b contact stat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용 차단기의 인터락 장치 중 제2 실시예에 따른 로직처리부의 구성도이다.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logic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an interlock device of a switchgear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기된 논리 함수를 부울 대수 법칙에 따라 정리하면, B'(C' + D'E') = A, A'(C' + D'E') = B, F'(A'B' + D'E') = C, E'(C'F' + C'G'H' + A'B'F') = D, D'(C'F' + A'B'F' + C'G'H') = E, C'(D'E' + G'H') = F, H'(F' + D'E') = G, G'(F' + D'E') = H 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논리회로는 도 5와 같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Boolean algebraic law, B '(C' + D'E ') = A, A' (C '+ D'E') = B, F '(A'B' + D'E ') = C, E' (C'F '+ C'G'H' + A'B'F ') = D, D' (C'F '+ A'B'F' + C ' G'H ') = E, C' (D'E '+ G'H') = F, H '(F' + D'E ') = G, G' (F '+ D'E') = It can be represented by H, the logic circuit for this is shown in FIG.
추가적으로 상기 인터락제어부(30)에는 상기 제1 내지 제3 ACB(A, D, G), 제1 및 제2 타이 ACB(C, F) 및 제1 내지 제3 비상발전기용 ACB(B, E, H)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로직설정부(36), 예로써 DIP스위치가 더 포함되어 있어, 이를 통해 해당 ACB를 오프시킴에 따라 그 ACB를 제어하기 위한 로직조건만이 삭제된다. 예를 들어 제3 ACB(G) 및 제3 비상발전기용 ACB(H)를 로직설정부(36)를 통해 오프시키면 상기된 로직조건에서 그에 해당하는 ACB의 조건은 무시된다.Additionally, the
도 1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용 차단기의 인터락 장치의 실제 사용을 위한 배선을 살펴보면, 각 ACB의 상태가 특정 로직조건에 부합하는 경우에 인터락제어부(30)는 DO1 내지 DO8 중 하나 이상에 a 접점 신호를 출력하여 CB1 내지 CB8의 ACB 중 그에 해당하는 특정 ACB를 접속시킨다. Referring to the wiring for the actual use of the interlock device of the switchgear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ure 1, when the state of each ACB meets a specific logic condition, the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용 차단기의 인터락 장치는 제1 내지 제3 ACB(A, D, G), 제1 및 제2 타이 ACB(C, F) 및 제1 내지 제3 비상발전기용 ACB(B, E, H) 각각을 제어하도록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의 배경기술에 소개된 등록특허 제10-0745621호의 UVT를 제어하기 위한 인터락 수단으로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interlock device of the switchgear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rst to third ACBs (A, D, and G), first and second tie ACBs (C and F), and first and third emergency generator ACBs (B). , E, H) may be used to control each, but also may be used as an interlock means for controlling the UVT of Patent No. 10-0745621 introduced in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용 차단기의 인터락 장치의 결선도.1 is a connection diagram of the interlock device of the switchgear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용 차단기의 인터락 장치 중 인터락제어부를 도시한 블록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lock control unit of the interlock device of the breaker for switch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용 차단기의 인터락 장치 중 제1 실시예에 따른 로직처리부의 구성도.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logic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an interlock device of a switchgear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용 차단기의 인터락 장치 중 제2 실시예에 따른 로직처리부의 구성도.Figure 4 is a block diagram of a logic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interlock device of the switchgear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08064A KR100896345B1 (en) | 2008-10-31 | 2008-10-31 | Interlock device for switchgear break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08064A KR100896345B1 (en) | 2008-10-31 | 2008-10-31 | Interlock device for switchgear break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96345B1 true KR100896345B1 (en) | 2009-05-07 |
Family
ID=40861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08064A KR100896345B1 (en) | 2008-10-31 | 2008-10-31 | Interlock device for switchgear break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96345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00752B1 (en) | 2012-07-13 | 2013-08-28 | 주식회사 현태 | Low voltage distributing board system and power supply controller on low voltage distributing board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64355A (en) * | 1991-08-30 | 1993-03-12 | Toyoda Gosei Co Ltd | Reverse power protection method for network power distribution |
KR100745621B1 (en) | 2006-12-01 | 2007-08-02 | 한영전기공업주식회사 | Air Circuit Breaker Interlock Device for Switchgear |
KR20080059886A (en) * | 2006-12-26 | 2008-07-01 | 박기주 | Transformers and energy-saving transformers comprising them |
-
2008
- 2008-10-31 KR KR1020080108064A patent/KR100896345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64355A (en) * | 1991-08-30 | 1993-03-12 | Toyoda Gosei Co Ltd | Reverse power protection method for network power distribution |
KR100745621B1 (en) | 2006-12-01 | 2007-08-02 | 한영전기공업주식회사 | Air Circuit Breaker Interlock Device for Switchgear |
KR20080059886A (en) * | 2006-12-26 | 2008-07-01 | 박기주 | Transformers and energy-saving transformers comprising them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00752B1 (en) | 2012-07-13 | 2013-08-28 | 주식회사 현태 | Low voltage distributing board system and power supply controller on low voltage distributing boar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695361B2 (en) | Digitally controlled circuit interrupter with improved automatic selection of sampling interval for 50 hz and 60 hz power systems | |
EP2086087A2 (en) | Electronic Load Control Unit (ELCU) used as bus tie breaker in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 |
US20050243491A1 (en) | Multi-function power monitor and circuit protector | |
US20210175704A1 (en) | Electrical ac/dc conversion arrangement | |
CN105765393A (en) | Electronic circuit breaker | |
KR101211834B1 (en) | Power distribution system | |
KR100896345B1 (en) | Interlock device for switchgear breaker | |
KR101054386B1 (en) | Integrated DC Protection Relay System for Electric Railways | |
KR101050202B1 (en) | Emergency lighting control circuit and its control method | |
JP6860746B2 (en) | Double lead-in circuit breaker system for power system of power plant | |
KR20070058160A (en) | DC Switchgear Control Unit for Train Using PLC | |
KR101541208B1 (en) | Control module with connection devices for connection to connection terminals of a load feeder and load feeder | |
JP2008218221A (en) | Synchronous opening/closing control system of breaker | |
CN101194403B (en) | Method for avoiding undesired triggering of protection due to measurement error in protection system of HVDC transmission equipment | |
EP1926190A1 (en) | Control panel system with redundancy | |
JP5404081B2 (en) | Overcurrent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 |
RU2189680C2 (en) | Factory-assembled switch gear | |
US20070002596A1 (en) | Two-stage, wide range power supply for a network protector control relay | |
Hirahara | Malaysia kelana jaya line power supply system | |
JP2006192931A (en) | DC substation equipment for electric railways | |
JPH03212117A (en) | Load controller | |
RU25117U1 (en) | DEVICE FOR PROTECTING LOW VOLTAGE FEEDERS OF ELECTRICAL SUPPLY OF POSTS OF ELECTRIC CENTRALIZATION ON RAILWAYS | |
JPS6022773Y2 (en) |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device | |
KR200429059Y1 (en) | Multi-power automatic selection switch | |
JPH0246216Y2 (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0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811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103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1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3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4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904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42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4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2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5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