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80479B1 - 오븐도어 - Google Patents

오븐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0479B1
KR100880479B1 KR1020060138033A KR20060138033A KR100880479B1 KR 100880479 B1 KR100880479 B1 KR 100880479B1 KR 1020060138033 A KR1020060138033 A KR 1020060138033A KR 20060138033 A KR20060138033 A KR 20060138033A KR 100880479 B1 KR100880479 B1 KR 100880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lass
oven
door frame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8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3430A (ko
Inventor
윤민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8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0479B1/ko
Publication of KR20080063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3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0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047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21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sealings for doors or transparent pan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6Arrangements for circulation of cool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23Mounting of doors, e.g. hinges, counterbalanc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26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stowing of door in open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4Elements and arrangements for heat storage or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3St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븐 도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후방에서 도어유리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오븐 도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오븐도어는, 전면 외관을 이루는 전면유리; 상기 전면유리를 지지하면서 복수개의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단열제가 구비되는 도어프레임; 상기 도어프레임의 중앙부에 위치되는 복수개의 도어유리; 상기 도어프레임으로부터 이탈 가능하고, 상기 도어유리의 위치를 제한하여 도어유리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제1브라켓; 상기 도어유리를 지지하고 상기 도어프레임의 후면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도어유리의 장착 및 이탈이 가능하도록 도어유리의 후면 테두리를 지지하는 제2브라켓;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오븐도어에 의하면, 도어유리의 탈착이 용이하고, 도어유리가 안정적으로 체결되는 이점이 있다.
오븐, 오븐도어, 도어유리, 도어프레임, 프레임홀, 브라켓, 차폐유닛

Description

오븐도어 {Oven door}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오븐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오븐의 전면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오븐의 오븐도어에 도어유리가 장착되는 순서를 나타낸 체결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가 채용된 오븐의 오븐도어에 도어유리가 장착되는 순서를 나타낸 체결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오븐의 오븐도어를 나타낸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캐비티 110. 측면시트
112. 그루브 120. 하면시트
130. 후면시트 140. 컨벡션어셈블리
142. 컨벡션커버 144. 컨벡션팬
200. 오븐도어 210. 전면유리
212. 도어손잡이 220. 도어프레임
230. 프레임홀 300. 제어부
310. 조작노브 320. 디스플레이
400. 도어유리 410. 전방유리
420. 제1브라켓 430. 후방유리
440. 제2브라켓 450. 차폐유닛
460. 제1차폐유닛 462. 상부유닛
464. 하부유닛 470. 제2차폐유닛
본 발명은 오븐 도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후방에서 도어유리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오븐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븐은 음식물을 밀폐된 공간에 수납하여 밀폐된 공간을 가열함으로써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리기기의 하나이다. 이러한 오븐은 열원(熱源)의 종류에 따라 가스오븐과 전기오븐으로 대별된다.
가스오븐은 주로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게 되며, 다수의 버너에 가스를 공급하여 점화시킴으로써 공급되는 가스가 타면서 발생되는 불꽃에 의해 음식물이 수납되는 밀폐된 공간을 가열하는 방식을 취하게 되며, 전기오븐은 가스오븐과 달리 전기를 이용하여 다수의 히터를 작동시켜 히터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음식물이 수납되는 밀폐된 공간을 가열하는 방식을 취하게 된다.
전기오븐은 재료의 겉 표면과 내부를 동시에 가열하게 되어 가스오븐보다 요리의 속도가 빠르고 열효율이 높으며, 안정성이 좋아 그 이용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하에서는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전기오븐에 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오븐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오븐을 살펴보면, 오븐은 전체적으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사각상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오븐의 전면 상부에는 사용자가 직접 오븐을 조작하기 위한 제어부(10)가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10)에는 오븐을 조작하기 위한 다수의 조작노브(12)가 장착되고, 오븐의 작동 상태 및 음식물이 요리되는 시간 등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14)가 형성된다.
상기 제어부(10)의 후방에는 제어부(10)의 작동을 위한 다수의 전장 부품들이 장착되는 전장실(20)이 형성된다. 상기 전장실(20)에는 다수의 전장 부품들을 냉각시키고, 오븐 내부의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블로우팬이 장착된다.
상기 전장실(20)의 하측에는 음식물이 수용되어 요리되는 공간인 캐비티(30)가 형성되며, 상기 캐비티(30)는 캐비티(30)의 외면을 형성하는 다수의 시트에 의해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10)의 하측에는 상기 캐비티(30)의 전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오븐도어(40)가 장착된다. 상기 오븐도어(40)는 후면 하단부가 오븐의 전면 하단부 에 힌지로 체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오븐도어(40)의 전면 상부에는 사용자가 오븐도어(40)를 회동시키게 될 때 파지하기 위한 도어손잡이(42)가 장착된다. 상기 도어손잡이(42)는 오븐도어(40)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장착되어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오븐도어(40)의 중앙부에는 사용자가 상기 캐비티(30)의 내부에서 요리되는 음식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창(44)이 형성된다. 상기 투시창(44)은 고온에서 견딜 수 있는 유리가 사용되어 사용자가 캐비티(30)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의한 오븐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종래 기술에 의한 상기 오븐도어(40)는 상기 투시창(44)을 형성하는 유리가 오븐도어(40)의 내부에서 체결되어 유리를 세척하거나, 교체하게 될 경우 오븐도어(40) 전체를 분해하여야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한 상기 오븐도어(40)에는 상기 투시창(44)의 테두리를 따라 절연물이 충진되어 투시창(44)을 형성하는 유리를 분리하기 위해서 오븐도어(40) 전체를 분해하게 되면, 절연물이 분해자의 손에 닿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분해자의 인체에 상해를 입히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투시창(44)을 형성하는 유리를 세척하거나 교체하게 될 경우 상기 오븐도어(40) 전체를 분해하게 됨으로써 청소성 및 서비스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오븐도어(40)의 분해 및 결합을 위한 시간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뿐만아니라, 상기 오븐도어(40) 전체를 분해 및 결합하게 됨으로써 부품의 손상 또는 분실 등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 유리의 탈착이 용이한 오븐도어가 구비되는 오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븐 도어 전체를 분해하지 않고, 도어 유리의 탈착이 가능한 오븐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오븐도어는, 전면 외관을 이루는 전면유리; 상기 전면유리를 지지하면서 복수개의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단열제가 구비되는 도어프레임; 상기 도어프레임의 중앙부에 위치되는 복수개의 도어유리; 상기 도어프레임으로부터 이탈 가능하고, 상기 도어유리의 위치를 제한하여 도어유리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제1브라켓; 상기 도어유리를 지지하고 상기 도어프레임의 후면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도어유리의 장착 및 이탈이 가능하도록 도어유리의 후면 테두리를 지지하는 제2브라켓;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삭제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에 의한 오븐도어는, 적어도 두 개의 프레임이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도어프레임; 상기 도어프레임에 제공되는 복수개의 유리가 포함되고, 상기 도어프레임의 내부에 제공되어, 상기 복수개의 유리가 상기 도어프레임이 분해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도어프레임으로부터 이탈 고정이 자유롭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측면벽이 제공되는 프레임홀; 및 상기 프레임홀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상기 유리가 지지되는 걸림턱; 상기 도어프레임으로부터 이탈 가능하도록 제공되어, 상기 복수개의 유리를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고정시키는 브라켓; 이 포함되는 구성을 가진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에 의한 오븐도어는, 복수개의 유리가 일정 간격을 가지면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차폐유닛; 상기 차폐유닛이 장착 또는 이탈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공간을 형성하고, 이 공간으로부터 상기 차폐유닛이 이탈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도어프레임이 포함되고,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도어프레임으로부터 이탈 가능하도록 제공되어, 상기 유리를 고정시키고 상기 유리의 요동을 방지하는 제1차폐유닛; 및 상기 도어프레임의 후면에 상기 유리의 테두리가 지지되도록 체결되는 제2차폐유닛; 이 포함되는 구성을 가진다.
삭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오븐 도어에 의하면, 도어유리의 탈착이 용이하고, 도어유리가 안정적으로 체결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오븐도어를 전기오븐의 예를 들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전기오븐의 전면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전기오븐을 살펴보면, 전기오븐은 전체적으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사각상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전기오븐에는 음식물이 수용되어 요리되는 공간인 캐비티(100)와, 상기 캐비 티(100)의 전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오븐도어(200) 그리고, 캐비티(100)의 내부에서 음식물이 요리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기오븐의 전면 상부에는 전기오븐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00)가 형성된다. 상기 제어부(300)에는 다수의 전장 부품이 장착되며, 제어부(30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직접 전기오븐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노브(310)와 상기 조작노브(310)에 의해 조작되는 전기오븐의 작동상태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320)가 구비된다.
상기 조작노브(310)는 전후 방향으로 누운,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상기 제어부(300)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제어부(300)의 전면 전방으로 돌출되는 조작노브(310)를 사용자가 파지하여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전기오븐을 조작하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조작노브(310)를 사용하여 전기오븐을 조작하게 되면, 전기오븐이 작동되고, 작동되는 전기오븐의 작동 상태 및 작동 시간 등은 상기 디스플레이(320)에 표시된다.
상기 제어부(300)의 하측에는 음식물이 수용되어 요리되는 공간인 캐비티(100)가 형성된다. 상기 캐비티(100)는 양 측면 및 후면, 상면과 하면을 형성하는 시트(sheet)에 의해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캐비티(100)의 전면은 상기 오븐도어(200)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즉, 사용자가 전기오븐을 사용하여 음식물을 요리할 경우 상기 오븐도어(200)를 회동시켜 상기 캐비티(100)의 전면을 개방시킨 다음 음식물을 캐비티(100)의 내부 공간에 수용시키고, 다시 오븐도어(200)를 회동시켜 캐비티(100)의 전면을 차폐시킨 다음 상기 조작노브(310)를 조작하게 된다.
상기 캐비티(100)는 양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시트(110)와, 하면을 형성하는 하면시트(120),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시트(130),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시트(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캐비티(100)는 캐비티(100)의 외부 공간과 구획된다.
상기 후면시트(130)에는 컨벡션어셈블리(140)가 장착되어 상기 캐비티(100)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공기를 대류시키게 된다. 상기 컨벡션어셈블리(140)는 후면시트(130)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컨벡션커버(142)와, 상기 컨벡션커버(142)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회전 운동으로 캐비티(100)의 내부 공기를 정면으로 흡입하여 측면으로 토출하는 컨벡션팬(14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측면시트(110)에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를 지지하는 랙(도시되지 않음)의 양측단부를 지지하는 그루브(112)가 다수의 층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그루브(112)는 측면시트(110)의 내측면에서 내측방 즉, 상기 캐비티(100)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소정의 상면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그루브(112)의 상면에 상기 랙(미도시)의 양측단부가 지지되면서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상기 캐비티(1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캐비티(1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게 되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 용기는 상기 컨벡션어셈블리(140)에 의해 대류되는 캐비티(100) 내부의 공기에 의해 골고루 익게 된다.
상기 캐비티(100)의 전방에는 상기 오븐도어(200)가 힌지로 체결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오븐도어(200)는 하단부가 전기오븐의 전면 하단부에 힌지로 체결되어, 하단부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오븐의 오븐도어에 도어유리가 장착되는 순서를 나타낸 체결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오븐도어(200)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 오븐도어(200)는 전체적으로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면(前面)에는 전면유리(210)가 구비된다. 상기 전면유리(21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형성되어 오븐도어(200)의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전면유리(210)는 긁힘 등의 외부 손상과 상기 캐비티(100)의 내부 열기가 외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표면이 특수코팅 된다.
상기 전면유리(210)의 전면 상부에는 사용자가 상기 오븐도어(200)를 회동시키기 위해 파지하는 도어손잡이(212)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장착된다. 전면유리(210)의 후측에는 도어프레임(220)이 장착된다. 상기 도어프레임(220)의 전면에 전면유리(210)의 후면이 접하면서 실리콘 등의 접착제에 의해 접착된다.
상기 도어프레임(220)은 후면이 후방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돌출 형성된다. 이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상기 캐비티(100)의 전단부와 접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캐비티(100)의 전면과 면접촉을 통해 캐비티(100) 내부의 열기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도어프레임(220)의 후면 테두리 부분은 상기 캐비티(100)의 전단부 외곽 테두리의 전면과 접하게 되고, 도어프레임(220)의 후면에 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은 캐비티(10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어 도어프레임(220)의 후면 돌출부 외면이 캐비티(100)의 전단부 내측면과 접하여 도어프레임(220)의 후면과 캐비티(100)의 전단부는 면접촉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도어프레임(220)의 후면과 상기 캐비티(100)의 전단부가 면접촉하게 되면 캐비티(100) 내부의 열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이 더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도어프레임(220)은 다수의 프레임이 체결되어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하나의 유닛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도어프레임(220)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캐비티(100)의 내부 열기가 외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절연체가 충진된다.
상기 도어프레임(220)의 중앙부는 소정의 단면적을 가지면서 사각형 형상의 프레임홀(230)이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홀(230)이 천공됨으로써 도어프레임(220)의 전면에 접착되는 상기 전면유리(210)를 통해 외부에서 상기 캐비티(100)의 내부 공간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프레임홀(230)에는 도어유리(400)가 수용된다. 상기 도어유리(400)는 단면적이 프레임홀(230)의 단면적과 대응되는 면적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도어유리(400)가 프레임홀(230)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수용되면서 도어유리(400)의 외측면이 상기 도어프레임(220)의 내측면과 접하면서 프레임홀(230)에 수용된다.
상기 도어유리(400)는 상대적으로 전방에 위치하게 되는 전방유리(410)와 상기 전방유리(410)의 후방에 위치하게 되는 후방유리(430)로 구성되며, 이러한 전방유리(410)와 후방유리(430)는 상기 캐비티(10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열기 를 반사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표면이 특수코팅 처리된 반사유리로 형성된다.
즉, 상기 캐비티(100)의 내부에서 발생하게 되는 고온의 열기가 캐비티(100)의 전방으로 유동하게 되더라도 표면이 특수코팅 처리된 상기 전방유리(410)와 후방유리(430)에 의해 캐비티(100)의 내부 공간으로 반사됨으로써 캐비티(100)의 내부 열기가 외부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캐비티(100)의 내부 열기가 상기 도어유리(400)에 의해 캐비티(100)의 내부로 반사됨으로써 캐비티(100)의 내부 온도가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전기오븐의 사용 효율이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유리(400)에 의해 상기 캐비티(100) 내부의 열기가 반사됨으로써 사용자가 외부에서 캐비티(100) 내부의 열기로 인해 인체에 상해를 입는 것이 예방되는 효과도 있다.
상기 도어프레임(220)의 내측면 전단부에는 상기 도어유리(400)의 전방 진행을 규제하는 걸림턱(240)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240)은 도어프레임(220)의 전면을 상기 프레임홀(230)의 단면적보다 더 작은 단면적을 가지도록 절제함으로써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턱(240)은 소정의 자체 탄성을 가지는 별도의 탄성부재로 상기 도어프레임(220) 내측면의 전단부 테두리를 따라 장착함으로써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도어프레임(220)의 내측면에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자체 탄성을 가지는 다수의 돌기를 형성하여 걸림턱(240)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상기 걸림턱(240)은 상기 도어프레임(220)의 후방으로부터 다음에 설명할 도어유리(400)가 상기 프레임홀(230)의 내부로 수용될 때 상기 도어유리(400)의 전면 테두리와 걸림턱(240)의 후면이 접하게 됨으로써 도어유리(400)의 전방 이동을 규제하게 된다.
상기 걸림턱(240)에 의해 상기 도어유리(400)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이 규제됨으로써 도어유리(400)가 상기 프레임홀(230)의 내부에 수용되며, 도어유리(400)의 전면 테두리가 걸림턱(240)의 후면에 지지된다.
상기 걸림턱(240)에 의해 전방 이동이 규제되는 상기 전방유리(410)는 걸림턱(240)의 후면에 전면 테두리가 접하면서 걸림턱(240)에 지지된다. 전방유리(410)의 후측에는 전방유리(410)와 상기 후방유리(430)의 사이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전방유리(410)와 후방유리(430)를 지지하는 제1브라켓(420)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1브라켓(420)은 사각형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가지는 각각의 프레임이 체결되어 사각형의 틀 형상으로 제1브라켓(420)이 형성된다. 제1브라켓(420)의 전단부와 후단부는 내측방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벤딩되어 상기 전방유리(410)의 후면과 상기 후방유리(430)의 전면과 접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도어유리(400)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브라켓(420)의 전단부 테두리와 후단부 테두리가 내측방으로 벤딩되어 상기 전방유리(410)의 후면과, 상기 후방유리(430)의 전면에 면 접촉하게 됨으로써 더 큰 지지력을 가지게 된다.
상기 제1브라켓(420)의 후측에는 상기 후방유리(430)가 위치하게 되고, 후방 유리(430)의 후측에는 후방유리(430)의 후방 이동을 규제하는 제2브라켓(440)이 상기 도어프레임(220)의 후면에 체결된다.
상기 제2브라켓(440)은 단면적이 상기 프레임홀(230)의 단면적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의 부재 중앙부를 프레임홀(230)의 단면적보다 좁은 면적을 가지도록 절제하여 사각형의 틀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브라켓(440)의 중앙부에 절제되는 면의 단면적이 너무 좁으면, 외부에서 사용자가 상기 캐비티(100)의 내부 공간을 확인하는 것이 제약되며, 절제되는 면의 단면적이 너무 넓으면, 상기 도어유리(400)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프레임홀(230)의 단면적보다 소정의 면적만큼 좁은 면적으로 절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2브라켓(440) 외측 테두리는 상기 프레임홀(230)의 테두리보다 소정 거리만큼 외측에 위치하게 되고, 제2브라켓(440)의 중앙부에 절제된 부분의 테두리는 프레임홀(230)의 테두리보다 소정 거리만큼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2브라켓(440)의 전면 일부가 상기 도어프레임(220)의 후면과 접하게 되면, 제2브라켓(440)이 도어프레임(220)과 접하는 부분에 스크류가 체결되어 제2브라켓(440)은 도어프레임(220)의 후면에 고정된다.
이처럼, 상기 제2브라켓(440)이 상기 도어프레임(220)의 후면에 고정되면, 상기 후방유리(430)의 후면 테두리가 제2브라켓(440)의 전면에 접하면서 후방유리(430)의 후방 이동이 규제된다.
이와 같이, 상기 프레임홀(230)의 내부에 상기 전방유리(410)가 수용되고, 전방유리(410)의 후측에 상기 제1브라켓(420)이 위치하게 되며, 제1브라켓(420)의 후측에 상기 후방유리(430)가 위치하게 되고, 후방유리(430)의 후측에 상기 제2브라켓(440)이 위치하게 되면, 프레임홀(230)의 내부에 상기 도어유리(400)가 수용되고, 도어유리(400)는 외부의 충격과 흔들림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보호된다.
이는 상기 전방유리(410)와 후방유리(430)의 단면적이 상기 프레임홀(230)의 단면적과 대응되는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됨에 따라 프레임홀(230)의 내부에 수용되면서, 상기 도어프레임(220)의 내측면에 의해 전기오븐의 좌, 우측 흔들림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보호된다.
또한, 상기 걸림턱(240)의 후면과 상기 제1브라켓(420)의 전면에 의해 상기 전방유리(410)가 지지되면서 고정되고, 제1브라켓(420)의 후면과 상기 제2브라켓(440)의 전면에 의해 상기 후방유리(430)가 지지되면서 고정되어 전기오븐의 전, 후방 흔들림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보호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유리(410)와 후방유리(430)는 상기 제1브라켓(420)에 의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고정되어, 전방유리(410)와 후방유리(430)의 충돌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보호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홀(230)에 상기 도어유리(400)와 제1브라켓(420)이 수용되고, 상기 도어프레임(220)의 후면에 상기 제2브라켓(440)이 스크류로 체결되면, 도어유리(400)를 청소하거나 교체하게 될 때, 제2브라켓(440)의 스크류를 제거하고 제2브라켓(440)을 도어프레임(220)의 후면으로부터 이탈시킨 다음 상기 후방유리(430)를 프레임홀(230)로부터 이탈시키게 된다.
이때, 압착부재 등의 다른 장비를 사용하여 상기 후방유리(430)와 전방유 리(410)를 고정시켜 상기 프레임홀(230)로부터 이탈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홀(230)로부터 상기 후방유리(430)를 이탈시킨 다음 상기 제1브라켓(420)을 프레임홀(230)로부터 이탈시키고, 제1브라켓(420)이 프레임홀(230)에서 이탈되면, 상기 전방유리(410)를 프레임홀(230)에서 이탈시켜 상기 도어유리(400)를 청소하거나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도록 한다.
전기오븐의 다른 구조는 동일함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상기 전방유리(410)와 후방유리(430)가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차폐유닛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 도어유리(40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상기 전방유리(410)와 후방유리(430)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차폐유닛(450)이 구비된다. 상기 차폐유닛(450)은 전방유리(410)와 후방유리(43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위치하는 제1차폐유닛(460)과 후방유리(430)의 후측에 위치하여 상기 도어프레임(220)의 후면에 체결되는 제2차폐유닛(4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차폐유닛(460)은 상기 도어유리(400)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상부유닛(462)과 도어유리(400)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하부유닛(464)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유닛(462)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부가 수직 하방으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상부유닛(462)의 중앙부는 수직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며, 중앙부의 좌 측과 우측은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처럼, 중앙부의 좌측과 우측이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상부유닛(462)의 좌측 하면에는 상기 전방유리(410)의 상면이 접하게 되고, 상부유닛(462)의 우측 하면에는 상기 후방유리(430)의 상면이 접하게 된다.
상기 상부유닛(462)의 중앙부 좌측면은 상기 전방유리(410)의 후면 상단부와 접하게 되고, 상부유닛(462)의 중앙부 우측면은 상기 후방유리(430)의 전면 상단부가 접하게 된다. 이러한 상부유닛(462)의 후단부는 상기 제2차폐유닛(470)의 전면과 접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유닛(464)은 상기 상부유닛(462)과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하부유닛(464)의 중앙부는 수직 상방으로 함몰 형성되며, 이러한 중앙부의 좌측과 우측은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부유닛(464)의 중앙부 좌측에 형성되는 상면에는 상기 전방유리(410)의 하면이 접하게 되고, 하부유닛(464)의 중앙부 우측에 형성되는 상면에는 상기 후방유리(430)의 하면이 접하게 된다.
상기 하부유닛(464)의 중앙부 좌측면은 상기 전방유리(410)의 후면 하단부와 접하게 되고, 하부유닛(464)의 중앙부 우측면은 상기 후방유리(430)의 전면 하단부가 접하게 된다. 이러한 하부유닛(464)의 후단부는 상기 제2차폐유닛(470)의 전면과 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차폐유닛(470)은 사각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프레임홀(230)의 단면적보다 넓은 단면적을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부 는 프레임홀(230)의 단면적보다 좁은 단면적을 가지도록 절제됨으로써 외측 테두리는 프레임홀(230)의 외측방에 위치하게 되고, 내측 테두리는 프레임홀(230)의 내측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처럼 형성되는 상기 제2차폐유닛(470)은 상기 제1차폐유닛(460)과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도어유리(400)를 일정 간격을 가지도록 이격시키고, 제2차폐유닛(470)이 상기 도어프레임(220)의 후면에 스크류로 체결되면서, 상기 도어유리(400)를 상기 프레임홀(230)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고정시키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오븐도어가 구비되는 오븐의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사용자가 상기 오븐을 사용하여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도어손잡이(212)를 파지한 다음 전방으로 회동시켜 상기 캐비티(100)의 전면을 개방하게 된다. 캐비티(100)의 전면을 개방한 다음 사용자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음식용기를 캐비티(100)의 내부 공간에 수용하게 된다.
상기 캐비티(100)의 내부 공간에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수용시킨 다음 상기 도어손잡이(212)를 파지하여 상기 오븐도어(200)를 상방으로 회동시켜 캐비티(100)의 전면을 차폐하게 된다. 캐비티(100)의 전면이 차폐되면, 상기 조작노브(310)를 조작하여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전기오븐을 사용한 다음 상기 오븐도어(2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도어유리(400)의 청소 또는 교체가 요구되는 경우 사용자는 오븐도어(200)의 후면에 스크류로 체결되는 상기 제2브라켓(440) 또는 제2차폐유닛(470) 의 스크류 체결을 해제하여 제2브라켓(440) 또는 제2차폐유닛(470)을 상기 도어프레임(220)의 후방으로 이탈시키게 된다.
상기 제2브라켓(440)을 상기 도어프레임(220)의 후방으로 이탈시킨 다음 상기 후방유리(430)를 상기 프레임홀(230)에서 후방으로 이탈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후방유리(430)를 프레임홀(230)에서 후방으로 이탈시키게 되면, 상기 제1브라켓(420)을 프레임홀(230)에서 후방으로 이탈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1브라켓(420)을 상기 프레임홀(230)에서 후방으로 이탈시키게 되면, 상기 전방유리(410)를 프레임홀(230)에서 후방으로 이탈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차폐유닛(470)을 상기 도어프레임(220)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이탈시키게 되면, 제2차폐유닛(47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제2차폐유닛(470)에 체결되는 상기 제1차폐유닛(460)이 상기 프레임홀(230)에서 후방으로 이탈된다.
상기 제1차폐유닛(460)이 상기 프레임홀(230)에서 후방으로 이탈되면, 제1차폐유닛(460)에 고정되면서 지지되는 상기 도어유리(400)가 동시에 프레임홀(230)의 후방으로 이탈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도어유리(400)가 상기 프레임홀(230)에서 후방으로 이탈되면, 사용자는 도어유리(400)를 청소하거나 교체한 다음 다시 이탈과 역순으로 도어유리(400)를 프레임홀(230)의 내부에 수용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에 대한 하나의 실시예들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 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 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오븐도어에는 제1브라켓 및 제2브라켓 또는 차폐유닛이 장착되어 상기 도어유리를 상기 도어프레임을 분해하지 않고, 도어프레임으로부터 이탈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유리를 청소하기 위한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으며, 도어유리의 교체를 위한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도어프레임을 분해하지 않고 도어유리를 도어프레임으로부터 이탈시키는 것이 가능해짐에 따라 도어프레임의 분해시 발생하게 되는 부품의 손상 및 부품의 분실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효과로 인해, 서비스성과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생산력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유리가 상기 도어프레임의 내부에 고정됨에 따라 외부의 충격 및 진동 등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됨으로써 오븐의 이동 시 도어유리의 파손이 방지되는 효과도 있으며, 상기 오븐도어의 회동에 따른 도어유리의 충격으로 인한 소음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아니라, 상기 도어프레임을 분해하지 않고 도어유리를 도어프레임으로부터 용이하게 탈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전면 외관을 이루는 전면유리;
    상기 전면유리를 지지하면서 복수개의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단열제가 구비되는 도어프레임;
    상기 도어프레임의 중앙부에 위치되는 복수개의 도어유리;
    상기 도어프레임으로부터 이탈 가능하고, 상기 도어유리의 위치를 제한하여 도어유리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제1브라켓;
    상기 도어유리를 지지하고 상기 도어프레임의 후면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도어유리의 장착 및 이탈이 가능하도록 도어유리의 후면 테두리를 지지하는 제2브라켓; 이 포함되는 오븐도어.
  2. 삭제
  3. 적어도 두 개의 프레임이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도어프레임;
    상기 도어프레임에 제공되는 복수개의 유리가 포함되고,
    상기 도어프레임의 내부에 제공되어, 상기 복수개의 유리가 상기 도어프레임이 분해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도어프레임으로부터 이탈 고정이 자유롭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측면벽이 제공되는 프레임홀; 및
    상기 프레임홀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상기 유리가 지지되는 걸림턱;
    상기 도어프레임으로부터 이탈 가능하도록 제공되어, 상기 복수개의 유리를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고정시키는 브라켓; 이 포함되는 오븐도어.
  4. 복수개의 유리가 일정 간격을 가지면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차폐유닛;
    상기 차폐유닛이 장착 또는 이탈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공간을 형성하고, 이 공간으로부터 상기 차폐유닛이 이탈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도어프레임이 포함되고,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도어프레임으로부터 이탈 가능하도록 제공되어, 상기 유리를 고정시키고 상기 유리의 요동을 방지하는 제1차폐유닛; 및
    상기 도어프레임의 후면에 상기 유리의 테두리가 지지되도록 체결되는 제2차폐유닛 이 포함되는 오븐도어.
  5. 삭제
KR1020060138033A 2006-12-29 2006-12-29 오븐도어 Expired - Fee Related KR100880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8033A KR100880479B1 (ko) 2006-12-29 2006-12-29 오븐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8033A KR100880479B1 (ko) 2006-12-29 2006-12-29 오븐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3430A KR20080063430A (ko) 2008-07-04
KR100880479B1 true KR100880479B1 (ko) 2009-01-28

Family

ID=39815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8033A Expired - Fee Related KR100880479B1 (ko) 2006-12-29 2006-12-29 오븐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04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6622B1 (ko) * 2009-12-31 2016-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102451452B1 (ko) * 2016-02-29 2022-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2783A (ko) * 1997-12-31 1999-07-26 윤종용 파지가 용이한 손잡이부를 갖는 전자렌지용 도어
KR20010056763A (ko) * 1999-12-16 2001-07-04 구자홍 가스오븐레인지의 오븐도어 구조
KR20050009546A (ko) * 2003-07-16 2005-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도어 어셈블리
KR20060032685A (ko) * 2004-10-13 2006-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오븐 도어의 내부유리 고정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2783A (ko) * 1997-12-31 1999-07-26 윤종용 파지가 용이한 손잡이부를 갖는 전자렌지용 도어
KR20010056763A (ko) * 1999-12-16 2001-07-04 구자홍 가스오븐레인지의 오븐도어 구조
KR20050009546A (ko) * 2003-07-16 2005-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도어 어셈블리
KR20060032685A (ko) * 2004-10-13 2006-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오븐 도어의 내부유리 고정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3430A (ko) 2008-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9178B1 (ko) 디바이더 보관부를 갖는 조리기기
KR100889132B1 (ko) 오븐
JP6692719B2 (ja) 加熱調理器及び厨房家具
KR20120126215A (ko) 전기오븐의 도어
JP5050531B2 (ja) 加熱調理器
KR100880479B1 (ko) 오븐도어
JP5824652B2 (ja) 加熱調理器
KR100688663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버너스프링
KR20090064611A (ko) 오븐 도어
KR101064060B1 (ko) 조리기기용 도어
JP6005452B2 (ja) コンロ
KR100700769B1 (ko) 오븐도어의 내부유리 장착구조
JP4964175B2 (ja) 加熱調理器
KR100697458B1 (ko) 전면유리형 오븐도어
KR101014437B1 (ko) 조리기기의 히터모듈
KR101079402B1 (ko) 과열방지 오븐도어
WO2022181538A1 (ja) 加熱調理器
JP6410665B2 (ja) 加熱調理器
KR20080044055A (ko) 오븐
KR101003668B1 (ko) 조리기기
KR20060030558A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JP2012054146A (ja) 加熱調理器及び排気口カバー
KR101231322B1 (ko) 가스 오븐 레인지의 오븐 도어 손잡이 체결구조
KR101623590B1 (ko) 조리기기
JP2019113311A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8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801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708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80222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1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80625

Appeal identifier: 2008101001419

Request date: 20080222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0222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222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71004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E0801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080425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0222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71004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B0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222

Effective date: 20080625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080625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080222

Decision date: 20080625

Appeal identifier: 2008101001419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8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PS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029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701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1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1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1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