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126215A - 전기오븐의 도어 - Google Patents

전기오븐의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6215A
KR20120126215A KR1020110043843A KR20110043843A KR20120126215A KR 20120126215 A KR20120126215 A KR 20120126215A KR 1020110043843 A KR1020110043843 A KR 1020110043843A KR 20110043843 A KR20110043843 A KR 20110043843A KR 20120126215 A KR20120126215 A KR 20120126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orous plate
rear glass
electric oven
glas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3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순
조풍연
이동진
류제형
오동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3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6215A/ko
Priority to US13/466,654 priority patent/US20120285437A1/en
Publication of KR20120126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6215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4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with transparent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조리 시 또는 조리실 내부의 셀프 클리닝(self cleaning) 시에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도어의 구조를 개선한 전기오븐의 도어를 제공한다.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전기오븐의 도어는 전면에 설치되는 전면글래스; 상기 전면글래스의 후면에 설치되는 후면글래스; 상기 전면글래스와 상기 후면글래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조리실 내부에서 발생된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외부에서 상기 조리실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복수의 투시홀이 형성되는 다공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오븐의 도어{DOOR OF ELECTRIC OVEN}
조리실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전기오븐의 도어를 개시한다.
오븐은 조리실 내의 음식물을 고온의 열기를 이용하여 요리하는 주방기기이다.
오븐은 열원의 종류에 따라 가스오븐과 전기오븐으로 나누어지며, 가스오븐은 가스를 열원으로 하여 다수개의 버너에 점화된 불꽃으로 음식물을 가열하여 요리하고, 전기오븐은 전기를 열원으로 히터에서 발산되는 열로 음식물을 가열하여 요리한다.
즉, 전기오븐은 전기를 열원으로 하여 복사열과 대류열 및 전도열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전기오븐은 요리할 음식물의 겉과 속을 동시에 가열하여 가스오븐보다 요리 속도가 빠르고, 열효율과 안정성이 높아 그 이용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오븐은 외관을 이루며 전면이 개방되어 내부에 조리될 음식물이 투입되는 조리실이 형성된 본체와, 본체의 전방에 설치되어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한다.
전기오븐의 도어는 조리실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의 글래스로 구성되고, 복수의 글래스 중 일부에는 열반사 코팅면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조리 시 또는 조리실 내부의 셀프 클리닝(self cleaning) 시에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도어의 구조를 개선한 전기오븐의 도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전기오븐의 도어는 전면에 설치되는 전면글래스; 상기 전면글래스의 후면에 설치되는 후면글래스; 상기 전면글래스와 상기 후면글래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조리실 내부에서 발생된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외부에서 상기 조리실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복수의 투시홀이 형성되는 다공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면글래스는 상기 다공 플레이트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제1 후면글래스와, 상기 제1 후면글래스 후면에 설치되는 제2 후면글래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후면글래스에는 상기 조리실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열을 반사하는 열반사 코팅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공 플레이트는 상기 전면글래스와 상기 제1 후면글래스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다공 플레이트는 상기 전면글래스와 상기 제1 후면글래스 사이에서 상기 제1 후면글래스에 밀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다공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후면글래스와 상기 제2 후면글래스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다공 플레이트는 상기 복수의 투시홀이 형성되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좌우측에 상기 후면글래스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공 플레이트의 상기 몸통부는 상기 복수의 투시홀이 형성되는 투시부와, 상기 투시부 상부에 형성되는 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공 플레이트의 상기 차단부는 상기 조리실 내부의 열이 도어그릴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모든 면이 밀폐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공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상기 복수의 투시홀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공 플레이트에는 상기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에서 돌출된 상기 돌출부에 의해 공기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 유로를 통해 상기 다공 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상부로 공기가 통과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전기오븐의 도어는 전면에 설치되는 전면글래스; 상기 전면글래스의 후면에 순서대로 설치되는 제1 후면글래스와 제2 후면글래스를 포함하는 후면글래스; 상기 전면글래스와 상기 후면글래스 사이에 설치되고, 복수의 투시홀이 형성되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좌우측에 상기 후면글래스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다공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다공 플레이트에는 상기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에서 돌출된 상기 돌출부에 의해 공기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 유로를 통해 상기 다공 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상부로 공기가 통과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후면글래스에는 상기 조리실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열을 반사하는 열반사 코팅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공 플레이트는 상기 전면글래스와 상기 제1 후면글래스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다공 플레이트는 상기 전면글래스와 상기 제1 후면글래스 사이에서 상기 제1 후면글래스에 밀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다공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후면글래스와 상기 제2 후면글래스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다공 플레이트의 상기 몸통부는 상기 복수의 투시홀이 형성되는 투시부와, 상기 투시부 상부에 형성되는 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공 플레이트의 상기 차단부는 상기 조리실 내부의 열이 도어그릴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모든 면이 밀폐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공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상기 복수의 투시홀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어에 설치되는 복수의 글래스 중 하나를 다공 플레이트로 대체함으로써, 복수의 글래스 중 일부에 형성되는 열반사 코팅면의 수를 줄일 수 있어 재료비 및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오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오븐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오븐의 도어에 포함되는 다공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오븐의 도어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전기오븐의 도어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전기오븐의 도어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오븐은 전면이 개방되어 내부에 조리실(11)을 형성하는 본체(10)와, 전면이 개방된 조리실(1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100)를 포함한다.
본체(10)의 상측 후방에는 전기오븐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2)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해 밀폐되는 조리실(1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전방으로 인출 가능한 수납부재(19)가 형성된다.
본체(10)의 조리실(11)에는 조리될 음식물을 얹을 수 있도록 격자 형상의 그릴선반(13)이 배치되며, 조리실(11)의 양 측벽에는 그릴선반(13)의 양단을 착탈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안내레일(14)이 설치된다.
도면상에는 그릴선반(13)이 3개로 구성되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그릴선반(13)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상에는 안내레일(14)이 그릴선반(13)의 개수에 맞게 3개로 구성되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 그릴선반(13)의 설치높이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3개 이상의 안내레일(14)이 설치될 수 있다.
본체(10) 내부에는 공기를 가열하며 가열된 공기를 조리실(11)로 순환시켜 조리실(11) 내의 음식물의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컨벡션 모듈(15)과, 조리실(11) 내의 음식물에 직접 복사열을 가열하여 음식물의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그릴 모듈(16)이 설치된다.
컨벡션 모듈(15)은 열을 발생시켜 공기를 가열하는 컨벡션 히터(15a)와, 흡입력 및 송풍력을 발생시켜 컨벡션 히터(15a)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조리실(11) 내로 순환되게 하는 컨벡션 팬(15b)과, 컨벡션 팬(15b)이 회전하도록 컨벡션 팬(15b)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5c)를 포함한다.
조리실(11)의 후방에는 컨벡션 모듈(15)의 설치를 위한 컨벡션 모듈 수용부(17)가 마련되는데, 이를 위해 조리실(11)의 후면에는 조리실(11)과 컨벡션 모듈 수용부(17)를 구획하는 구획판(18)이 설치된다.
구획판(18)의 중앙에는 조리실(11)의 공기를 컨벡션 모듈 수용부(17) 내로 흡입하기 위한 다수의 흡입구(18a)가 마련되고, 구획판(18)의 외곽에는 컨벡션 모듈(15)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조리실(11) 내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다수의 토출구(18b)가 마련된다.
따라서, 조리실(11) 내의 공기는 흡입구(18a)를 통해 컨벡션 팬(15b)의 전방측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흡입되어 반경방향 외측으로 유동하고, 컨벡션 팬(15b)의 외측에 설치된 컨벡션 히터(15a)에 의해 가열된 후 토출구(18b)를 통해 조리실(11) 내부로 유입되어 조리실(11) 내부의 음식물이 가열된 공기의 대류를 통해 가열되어 조리되도록 한다.
그릴 모듈(16)은 복사열을 통해 조리실(11) 내의 음식물을 직접 가열하도록 한 것으로, 조리실(11)의 하부에 설치된다.
그릴 모듈(16)은 조리실(11) 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그릴선반(13) 상측에 설치되어 음식물의 상측을 가열하는 상부그릴 히터(16a)와, 복수의 그릴선반(13) 하측에 설치되어 음식물의 하측을 가열하는 하부그릴 히터(16b)를 포함한다.
도어(100)는 본체(10)의 전면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조리실(1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도어(100)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도어(100)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101)와, 조리실(11)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는 도어그릴(103)이 설치될 수 있다.
전기오븐은 전기를 열원으로 상부그릴 히터(16a) 및 하부그릴 히터(16b)에서 발산되는 열로 음식물을 가열하여 요리하는 것으로 조리 시에는 조리실(11) 내부에 열이 발생되고, 조리실(11)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게 된다.
특히, 조리 후 조리실(11) 내부를 셀프 클리닝 할때도 열에 의해 조리실(11) 내부를 셀프 클리닝하기 때문에 조리실(11) 내부에 열이 발생되고, 조리실(11)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게 된다.
따라서, 조리실(11)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전기오븐의 도어(100)는 열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조리실(11)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도어의 구성을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오븐의 도어(100)는 본체(10)의 전면에 설치되는 전면글래스(110)와, 전면글래스(110)의 후면에 설치되는 후면글래스(120)와, 전면글래스(110)와 후면글래스(120) 사이에 설치되는 다공 플레이트(130)를 포함한다.
후면글래스(120)는 다공 플레이트(130)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제1 후면글래스(121)와, 제1 후면글래스(121) 후면에 설치되는 제2 후면글래스(123)를 포함한다.
제2 후면글래스(123)에는 조리실(11)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열을 반사하는 열반사 코팅면(123a)이 형성된다.
전면글래스(110)와 후면글래스(120) 사이에 설치되는 다공 플레이트(130)는 조리실(11)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몸통부(131)와, 몸통부(131)의 좌우측에 후면글래스(120)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139)를 포함한다.
다공 플레이트(130)의 몸통부(131)는 복수의 투시홀(137)이 형성되는 투시부(133)와, 투시부(135)의 상부에 형성되어 도어(100)의 도어그릴(103)을 통해 조리실(11) 내부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열을 차단하는 차단부(133)를 포함한다.
투시부(135)는 조리실(11)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동시에 외부에서 조리실(11) 내부의 조리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투시가 가능하도록 복수의 투시홀(137)이 형성된다.
도면상에는 투시부(135)에 형성되는 복수의 투시홀(137)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복수의 투시홀(137)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투시홀(137)의 크기도 한정되지 않고, 크기가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차단부(133)는 투시부(135)의 상부에 형성되어 조리실(11) 내부에서 도어(100)의 도어그릴(103)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열을 차단한다.
차단부(133)는 투시부(135)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투시부(135)처럼 외부에서 조리실(11)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구성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홀 없이 모든 면이 밀폐되도록 구성되어 조리실(11) 내부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다공 플레이트(130)의 돌출부(139)는 몸통부(131)의 좌우측에 후면글래스(120)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돌출부(139)가 몸통부(131)에서 돌출된 만큼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몸통부(131)와 돌출부(139)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은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공기 유로(P)로 이용되고, 공기 유로(P)를 통해 다공 플레이트(130)의 하부에서 상부로 공기가 통과하게 된다.
공기가 공기 유로(P)를 통해 다공 플레이트(130)의 하부에서 상부로 통과하게 됨으로써 조리실(11) 내부의 열에 의해 가열된 도어(100)가 냉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전면글래스(110)와 다공 플레이트(130) 사이의 공간은 넓게 형성될수록 조리실(11)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효과가 높기 때문에 다공 플레이트(130)는 전면글래스(110) 보다는 제1 후면글래스(121)에 인접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오븐의 도어(100)에 포함되는 다공 플레이트(130)는 전면글래스(110)와 제1 후면글래스(121) 사이에서 제1 후면글래스(121)에 밀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다공 플레이트(130)의 몸통부(131)에 제1 후면글래스(121)가 밀착되도록 설치됨으로써, 다공 플레이트(130)의 몸통부(131)와 돌출부(139)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 유로는 제1 후면글래스(121)에 의해 형성되지 않지만, 전면글래스(110)와 다공 플레이트(130) 사이의 공간이 넓게 형성되어 열 차단효과는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다공 플레이트(130)를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 제1 후면글래스(121)에 직접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재료비가 절감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오븐의 도어(100)에 포함되는 다공 플레이트(130)는 제1 후면글래스(121)와 제2 후면글래스(123)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다공 플레이트(130)가 제1 후면글래스(121)와 제2 후면글래스(123) 사이에 설치됨으로써, 전면글래스(110)와 제1 후면글래스(121) 사이의 공간이 넓게 형성되어 열 차단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전기오븐의 도어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본체 11 : 조리실
12 : 제어부 13 : 그릴선반
14 : 안내레일 15 : 컨벡션 모듈
15a : 컨벡션 히터 15b : 컨벡션 팬
15c : 구동모터 16 : 그릴 모듈
16a : 상부그릴 히터 16b : 하부그릴 히터
17 : 컨벡션 모듈 수용부 18 : 구획판
18a : 흡입구 18b : 토출구
19 : 수용부재
100 : 도어 101 : 손잡이
103 : 도어그릴
110 : 전면글래스
120 : 후면글래스 121 : 제1 후면글래스
123 : 제2 후면글래스 123a : 열반사 코팅면
130 : 다공 플레이트 131 : 몸통부
133 : 차단부 135 : 투시부
137 : 투시홀 139 : 돌출부
P : 공기 유로

Claims (19)

  1.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전기오븐의 도어에 있어서,
    전면에 설치되는 전면글래스;
    상기 전면글래스의 후면에 설치되는 후면글래스;
    상기 전면글래스와 상기 후면글래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조리실 내부에서 발생된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외부에서 상기 조리실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복수의 투시홀이 형성되는 다공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의 도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글래스는 상기 다공 플레이트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제1 후면글래스와, 상기 제1 후면글래스 후면에 설치되는 제2 후면글래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의 도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후면글래스에는 상기 조리실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열을 반사하는 열반사 코팅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의 도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 플레이트는 상기 전면글래스와 상기 제1 후면글래스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의 도어.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 플레이트는 상기 전면글래스와 상기 제1 후면글래스 사이에서 상기 제1 후면글래스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의 도어.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후면글래스와 상기 제2 후면글래스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의 도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 플레이트는 상기 복수의 투시홀이 형성되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좌우측에 상기 후면글래스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의 도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 플레이트의 상기 몸통부는 상기 복수의 투시홀이 형성되는 투시부와, 상기 투시부 상부에 형성되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의 도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 플레이트의 상기 차단부는 상기 조리실 내부의 열이 도어그릴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모든 면이 밀폐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의 도어.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상기 복수의 투시홀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의 도어.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 플레이트에는 상기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에서 돌출된 상기 돌출부에 의해 공기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 유로를 통해 상기 다공 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상부로 공기가 통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의 도어.
  12.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전기오븐의 도어에 있어서,
    전면에 설치되는 전면글래스;
    상기 전면글래스의 후면에 순서대로 설치되는 제1 후면글래스와 제2 후면글래스를 포함하는 후면글래스;
    상기 전면글래스와 상기 후면글래스 사이에 설치되고, 복수의 투시홀이 형성되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좌우측에 상기 후면글래스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다공 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다공 플레이트에는 상기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에서 돌출된 상기 돌출부에 의해 공기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 유로를 통해 상기 다공 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상부로 공기가 통과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의 도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후면글래스에는 상기 조리실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열을 반사하는 열반사 코팅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의 도어.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 플레이트는 상기 전면글래스와 상기 제1 후면글래스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의 도어.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 플레이트는 상기 전면글래스와 상기 제1 후면글래스 사이에서 상기 제1 후면글래스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의 도어.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후면글래스와 상기 제2 후면글래스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의 도어.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 플레이트의 상기 몸통부는 상기 복수의 투시홀이 형성되는 투시부와, 상기 투시부 상부에 형성되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의 도어.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 플레이트의 상기 차단부는 상기 조리실 내부의 열이 도어그릴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모든 면이 밀폐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의 도어.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상기 복수의 투시홀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의 도어.
KR1020110043843A 2011-05-11 2011-05-11 전기오븐의 도어 Withdrawn KR2012012621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843A KR20120126215A (ko) 2011-05-11 2011-05-11 전기오븐의 도어
US13/466,654 US20120285437A1 (en) 2011-05-11 2012-05-08 Door of electric ov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843A KR20120126215A (ko) 2011-05-11 2011-05-11 전기오븐의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6215A true KR20120126215A (ko) 2012-11-21

Family

ID=47141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3843A Withdrawn KR20120126215A (ko) 2011-05-11 2011-05-11 전기오븐의 도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285437A1 (ko)
KR (1) KR2012012621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6143A (ko) * 2016-03-11 2017-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븐 및 그 제어방법
WO2018048120A1 (ko) * 2016-09-09 2018-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어 및 이를 갖는 오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55558S1 (en) * 2014-04-21 2016-05-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Oven
CA160364S (en) * 2014-07-31 2015-08-25 Lg Electronics Inc Oven range
USD781648S1 (en) * 2015-05-28 2017-03-21 Sears Brands, L.L.C. Oven control panel
USD789740S1 (en) * 2015-05-28 2017-06-20 Sears Brands, L.L.C. Oven control panel
USD918639S1 (en) * 2019-04-25 2021-05-11 Lg Electronics Inc. Oven range
CA192058S (en) * 2019-04-25 2021-03-08 Lg Electronics Inc Oven range
JP7273750B2 (ja) * 2020-03-04 2023-05-15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加熱調理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77334A (en) * 1963-03-11 1965-04-06 Gen Electric Oven door window
US3664326A (en) * 1971-03-18 1972-05-23 Mills Prod Inc Safety screen for oven windows
US4084571A (en) * 1976-09-20 1978-04-18 The Tappan Company See-through oven door with reticulated heat shiel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6143A (ko) * 2016-03-11 2017-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븐 및 그 제어방법
WO2018048120A1 (ko) * 2016-09-09 2018-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어 및 이를 갖는 오븐
KR20180028856A (ko) * 2016-09-09 2018-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어 및 이를 갖는 오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85437A1 (en) 2012-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26215A (ko) 전기오븐의 도어
KR101531060B1 (ko) 공기 순환 수단을 포함한 오븐 레인지
EP3680555B1 (en) Cooking appliance
KR102124833B1 (ko) 오븐
KR100889132B1 (ko) 오븐
KR101323325B1 (ko) 조리기기
KR101847286B1 (ko) 냉기흐름유도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KR101064766B1 (ko) 스팀조리기기
JP2020125867A (ja) 加熱調理器
KR100686772B1 (ko) 전기오븐레인지
KR101101487B1 (ko) 스팀조리기기
KR100662922B1 (ko) 전기오븐레인지
KR20080044055A (ko) 오븐
JP7370169B2 (ja) 加熱調理器
KR100789831B1 (ko) 전기 오븐
CN114207358B (zh) 抽屉式加热烹调器
KR100826706B1 (ko) 빌트 인 조리기기
KR101531061B1 (ko) 열 차단 수단을 구비한 오븐 레인지
KR100813728B1 (ko) 전자레인지
JP4576296B2 (ja) 加熱調理器
KR100735184B1 (ko) 전기 오븐
KR100671569B1 (ko) 빌트인 타입의 냉각팬 흡입유로구조
KR101760948B1 (ko) 조리기기
KR20240084499A (ko) 조리기기
KR20240084500A (ko) 조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1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