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65099B1 -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5099B1
KR100865099B1 KR1020060061158A KR20060061158A KR100865099B1 KR 100865099 B1 KR100865099 B1 KR 100865099B1 KR 1020060061158 A KR1020060061158 A KR 1020060061158A KR 20060061158 A KR20060061158 A KR 20060061158A KR 100865099 B1 KR100865099 B1 KR 100865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setting information
display setting
information
interfa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1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6735A (ko
Inventor
카즈요시 토야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6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6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5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509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기기나 장소를 막론하고 동일한 조작감이 있는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가 사용하는 제1 표시 기기(기준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환경을 조절하여 제2 표시 기기(이용 기기)에 적응시키는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시스템은, 상기 기준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커스터마이즈한 설정 정보를 입력하여, 그 표시 정보를 저장하여, 이용 기기를 사용할 때에, 그 저장된 기준 기기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최적화한 설정치를 그 이용 기기의 인터페이스에 적응함으로써, 상기 과제의 해결을 도모한다.
Figure R1020060061158
인터페이스 조절, 네트워크, 기준 기기, 이용 기기, 최적화 설정

Description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시스템{INTERFACE ADJUSTMENT SUPPORT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시스템의 전체 구성의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IF 조절 지원 시스템(20)의 일련의 흐름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IF 조절 지원 서버(21)에 저장되는 테이블군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공통 포맷 파일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준 기기 등록 페이즈>의 처리 플로우를 도시한다.
도 7(a)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용 기기 내 IF 참조 페이즈>의 제1 처리 플로우를, 도 7(b)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용 기기 내 IF 참조 페이즈>의 제2 처리 플로우를, 도 7(c)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용 기기 내 IF 참조 페이즈>의 제3 처리 플로우를, 도 7(d)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용 기기 내 IF 참조 페이즈>의 제4 처리 플로우를, 도 7(e)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용 기기 내 IF 참조 페이즈>의 제5 처리 플로우를, 도 7(f)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용 기기 내 IF 참조 페이즈>의 제6 처리 플로우를, 도 7(g)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용 기기 내 IF 참조 페이즈>의 제7 처리 플로우를, 도 7(h)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용 기기 내 IF 참조 페이즈>의 제8 처리 플로우를, 도 7(i)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용 기기 내 IF 참조 페이즈>의 제9 처리 플로우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네트워크 IF 참조 페이즈>의 처리 플로우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종료 페이즈>의 처리 플로우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분 정보 제공 페이즈>의 처리 플로우를 도시한다.
도 11은 IF 조절 지원 시스템(20)을 경유하여 네트워크 상의 인터페이스를 참조하는 경우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클라이언트 또는 서버의 하드웨어 환경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3은 종래에 있어서의 기기 내에 완결된 인터페이스의 사용예를 도시한다.
도 14는 종래에 있어서의 기기 내에서 완결되지 않는 경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사용예(프로덕트 크리에이터의 의도한 표시)를 도시한다.
도 15는 종래에 있어서의 기기 내에서 완결되지 않는 경우의 사용자 인터페 이스의 사용예(사용자에 의한 표시 조정된 후)를 도시한다.
도 16은 종래에 있어서의 기기마다 표시 형태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시스템
2 : 제1 표시 설정 정보 입력 수단
3 : 제1 표시 설정 정보 저장 수단
4 : 표시 적응 수단 5 : 제2 표시 설정 정보 취득 수단
6 : 비교 수단 7 : 최적화 수단
8 : 최적 표시 적응 수단 9 : 복원 수단
10 : 차분 정보 저장 수단 11 : 차분 정보 제공 수단
20 :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시스템
21 : IF 조절 지원 서버 22 : 기준 기기
23 : 이용 기기 24 : 프로덕트 크리에이터 단말
25 : 네트워크 30 : 사용자 테이블
31 : UI 설정 정보 테이블 32 : 패스워드 테이블
33 : UI 차분 저장 테이블(기준 기기용)
34 : UI 차분 저장 테이블(이용 기기 참조용)
35 : UI 기준 정보 테이블 50 : 외부 서버
본 발명은, 네트워크 환경 하에서, 표시 가변 기능을 가진 기기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사람이 네트워크에 접속된 클라이언트 기기를 사용함으로써, 가시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하, 가시화된 인터페이스를 「인터페이스」 또는 「UI」라고 표현함)에 접촉할 기회가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환경 하에서, 사용자 스스로가 유용성(USABILITY) 향상을 위해, 임의의 표시 조절을 하면, 종종 생산자나 연구자 등의 프로덕트 크리에이터(product creator)의 의도에 반한 표시가 되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사용하는 기기 내에서 완결된 인터페이스」와, 「기기 내에서 완결되지 않는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의 기호에 맞은 표시를 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기기 내에서만 완결하고 있는 경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기 내에서 완결된 인터페이스」란, 네트워크와의 접속 유무나 연계와는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그 기기에 준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리킨다. 이「기기 내에 완결된 인터페이스」에서는, 프로덕트 크리에이터가 의도하는 범위 내에서의 커스터마이즈가 가능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 경우,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임의의 사이즈나 색 등을 변경하더라도, 그 인터페이스의 조작 통일성이 도모되어 있어, 지장 없이 기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프로덕트 크리에이터가 미리 복수 패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 경우라도, 충분한 테스트를 한 뒤에 제공되기 때문에 조작에 지장 없이 기기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그 인터페이스의 커스터마이즈가 그 기기 내에서 완결되는 한, 거의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다.
(기기 내에서 완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기 내에서 완결되어 있지 않은 인터페이스」란, 그 대상의 인터페이스가 네트워크 상에 있어, 그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경우에 그 기기로부터 그 인터페이스를 네트워크를 통해 불러내어, 사용하는 형태의 것을 가리킨다(도 14 참조).
「기기 내에서 완결되어 있지 않은 인터페이스」인 경우에는, 인터페이스마다 프로덕트 크리에이터가 무수히 존재하고, 표현 수법도 다양이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기기의 표시 형태에 관해서 임의의 표시 조절을 하는 경우에, 항상 일정한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또한, 항상 프로덕트 크리에이터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의식해야만 한다. 따라서, 프로덕트 크리에이터를 의식하지 않고서 기기의 표시 형태에 대해 임의의 표시 조절을 강제적으로 행한 경우에, 예컨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1) 레이아웃의 흐트러짐, (2) 표시 내용의 중복, (3) 문자 표시의 흐트러짐(색 설정에서는 사용자의 색 설정에 의한 다른 구성물과의 동색화가 일어나는 경우가 있음), (4) 표시 영역 밖으로 인터페이스 부품의 잠복 등과 같은 일이 일부 또는 전부가 발생할 수 있다.
(복수 지점에서 기기를 사용하는 경우)
최근, 옥외에서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경우에 반드시 스스로 기기를 준비하지 않고서, 세상에 산재한 기기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왔다. 유 비쿼터스 컴퓨팅이 목표로 하는 「언제나 어디서나」까지는 실현되고 있지 않지만, 복수의 지점에서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는 환경이 실현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 하에서, 기존의 사용자 인증, 생체 인증, 또는 본인밖에 알 수 없는 정보에 의한 인증 방법 등을 사용하고자 함으로써, 각 기기로부터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개인을 식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인증 자체는 용이하게 행할 수는 있다. 그러나, 각각의 기기의 화면의 표시 형태를 전부 동일한 설정으로 하는 것은 어렵다. 그 때문에, 도 16과 같이, 복수의 지점에 준비된 단일 사양의 기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생각된다. 우선, 언제나 동일한 유용성을 재현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또한, 기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표시 사이즈의 차이 등에 의한 표시 형태에 위화감을 생기게 하기 때문에 조작성이 저하된다. 또한, 개인의 취향과 틀린 인터페이스의 강요에 의한 생산성 저하의 가능성이 있다. 또한, 개인의 커스터마이즈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에 있어서, 배색의 설정에 대해서 특정한 색에 특별한 관련된 의미를 갖게 하고 있는 경우에,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에서는, 경고 표시 등의 간과나 대응 지연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있다.
종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형태의 변경이 가능한 경우에, 그 표시 형태에 관해서, 변경한 항목, 표시 사이즈 및 색 지정 등의 설정치가 그 기기 내에서만 보존되고 있다. 그 때문에, 많은 유용성을 개선하는 수법이나 기술적인 해결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1-306204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2004-56469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해결 방법을 실제로 사용한 경우, 개인의 커스터마이즈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과 그것 이외의 인터페이스 환경 사이에 있어서, 조작감에 차이가 느껴진다. 또한, 그 차이에 의한 조작 사이의 갭이 확대됨으로써, 조작성의 통일성이 유지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기기나 장소를 막론하고 동일한 조작감이 있는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환경을 조절하여 제2 표시 기기에 적응시키는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시스템은, 상기 제1 표시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설정 정보인 제1 표시 설정 정보가 입력되는 제1 표시 설정 정보 입력 수단과, 상기 제1 표시 설정 정보가 저장되는 제1 표시 설정 정보 저장 수단과, 상기 제1 표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표시 기기에 상기 제1 표시 기기의 표시 환경을 적응시키는 표시 적응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1 표시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2 표 시 기기에 적응시킬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적응 수단은, 상기 제2 표시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설정 정보인 제2 표시 설정 정보를 취득하는 제2 표시 설정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제1 표시 설정 정보와 상기 제2 표시 설정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 수단과, 상기 비교 수단에 의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표시 설정 정보와 상기 제2 표시 설정 정보로부터, 상기 제2 표시 기기에 표시하게 하는 최적의 상기 표시 설정 정보를 생성하는 최적화 수단과, 상기 최적화 수단에 의해 얻어진 최적 표시 설정 정보를 상기 제2 표시 기기에 적응시키는 최적 표시 적응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2 표시 기기의 스펙 범위 내에서 제1 표시 기기의 인터페이스 환경을 재현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최적화 수단은, 상기 제1 표시 설정 정보를 기준으로 한 상기 최적 설정 정보의 변화량을 차분 정보로서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2 표시 기기에 최적 설정 정보를 적응시키는 것과 동시에, 차분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시스템은, 또한, 상기 최적화 수단에 의해 얻어진 상기 차분 정보가 저장되는 차분 정보 저장 수단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차분 정보를 축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관리 장치로부터, 기준 기기의 기본 표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기본 표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 환경을 적응시키는 표시 적응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기준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그 정보 처리 장치에 적응시킬 수 있다.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적응 수단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현재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설정 정보인 현 표시 설정 정보를 취득하는 표시 설정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기본 표시 설정 정보와 상기 현 표시 설정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 수단과, 상기 비교 수단에 의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기본 표시 설정 정보와 상기 현 표시 설정 정보로부터,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표시하게 하는 최적의 상기 표시 설정 정보를 생성하는 최적화 수단과, 상기 최적화 수단에 의해 얻어진 최적 표시 설정 정보를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적응시키는 최적 표시 적응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그 정보 처리 장치의 스펙 범위 내에서 기준 기기의 인터페이스 환경을 재현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적응 수단은, 또한, 상기 최적 표시 적응 수단에 의해 상기 최적 표시 설정 정보가 적응된 후에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관리 장치와의 통신이 종료되는 경우, 그 최적 표시 설정 정보를 소거하고, 미리 기억한 상기 현 최적 표시 설정 정보를 기초로 그 최적 표시 설정 정보의 적용 하기 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으로 복원하는 복원 수단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시스템에의 로그인 종료시 또는 강제 종료시에 그 최적 표시 설정 정보를 소거하고, 그 적용하기 전의 제2 표시 기기의 인터페이스 환경을 신속하게 복원함으로써, 개인 정보의 보호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관리 장치로부터, 기준 기기의 기본 표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표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 환경을 적응시키는 표시 적응 수단을 기능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기준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그 정보 처리 장치에 적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표시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환경을 조절하여 제2 표시 기기에 적응시키는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관리 장치는, 상기 제1 표시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설정 정보인 제1 표시 설정 정보가 저장되는 제1 기기 표시 저장 수단과, 상기 제2 표시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설정 정보인 제2 표시 설정 정보와 상기 제1 표시 설정 정보가 비교되어, 상기 제1 표시 설정 정보를 기준으로 한 상기 최적 설정 정보의 변화량이 차분 정보로서 저장되는 차분 정보 저장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1 표시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2 표시 기기에 적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은, 제1 표시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환 경을 조절하여 제2 표시 기기에 적응시키는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관리 컴퓨터를, 상기 제1 표시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설정 정보인 제1 표시 설정 정보가 저장되는 제1 기기 표시 저장 수단과, 상기 제2 표시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설정 정보인 제2 표시 설정 정보와 상기 제1 표시 설정 정보가 비교되어, 상기 제1 표시 설정 정보를 기준으로 한 상기 최적 설정 정보의 변화량이 차분 정보로서 저장되는 차분 정보 저장 수단을 기능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1 표시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2 표시 기기에 적응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시스템의 전체 구성의 개념도를 도시한다.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시스템(1)을 이용함으로써, 네트워크를 통해, 제1 표시 기기(후술하는 「기준 기기」에 대응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환경을 조절하여 제2 표시 기기(후술하는 「이용 기기」에 대응함)에 적응시킬 수 있다.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시스템(1)은 제1 표시 설정 정보 입력 수단(2), 제1 표시 설정 정보 저장 수단(3), 표시 적응 수단(4), 차분 정보 저장 수단(10), 차분 정보 제공 수단(11)으로 구성된다.
제1 표시 설정 정보 입력 수단(2)은 제1 표시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설정 정보(제1 표시 설정 정보)가 입력된다. 제1 표시 설정 정보 저장 수단(3)은 제1 표시 설정 정보가 저장된다. 표시 적응 수단(4)은 제1 표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제2 표시 기기에 제1 표시 기기의 표시 환경을 적응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1 표시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2 표시 기기에 적응시킬 수 있다.
표시 적응 수단(4)은 제2 표시 설정 정보 취득 수단(5), 비교 수단(6), 최적화 수단(7), 최적 표시 적응 수단(8), 복원 수단(9)으로 구성된다. 제2 표시 설정 정보 취득 수단(5)은 제2 표시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설정 정보(제2 표시 설정 정보)를 취득한다. 비교 수단(6)은 상기 제1 표시 설정 정보와 상기 제2 표시 설정 정보를 비교한다.
최적화 수단(7)은 상기 비교 수단에 의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표시 설정 정보와 상기 제2 표시 설정 정보로부터, 상기 제2 표시 기기에 표시하게 하는 최적의 상기 표시 설정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최적화 수단(7)은 상기 제1 표시 설정 정보를 기준으로 한 상기 최적 설정 정보의 변화량을 차분 정보로서 취득할 수 있다.
최적 표시 적응 수단(8)은 상기 최적화 수단(7)에 의해 얻어진 최적 표시 설정 정보를 상기 제2 표시 기기에 적응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2 표시 기기의 스펙 범위 내에서 제1 표시 기기의 인터페이스 환경을 재현할 수 있다.
복원 수단(9)은 상기 최적 표시 적응 수단(8)에 의해 상기 제2 표시 기기에 상기 최적 표시 설정 정보가 적응된 후에 그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시스템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제2 표시 기기로부터 그 적용된 최적 표시 설정 정보를 소거하여, 상기 제2 표시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그 적용하기 전의 사용자 인터페 이스 환경으로 복원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시스템에의 로그인 종료시 또는 강제 종료시에 그 최적 표시 설정 정보를 소거하여, 그 적용하기 전의 제2 표시 기기의 인터페이스 환경을 신속하게 복원함으로써, 개인 정보의 보호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적응 수단(4)은 상기 제2 표시 기기 내에 존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참조하는 경우, 또는 상기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참조하는 경우, 상기 최적 표시 설정 정보를 상기 제2 표시 기기에 적응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2 표시 기기 내에 존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참조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상에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참조하는 경우에도, 제2 표시 기기에 제1 표시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적응시킬 수 있다.
차분 정보 저장 수단(10)에는 최적화 수단(7)에 의해 얻어진 상기 차분 정보가 저장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차분 정보를 축적할 수 있다.
차분 정보 제공 수단(11)은 상기 차분 정보 저장 수단(10)에 저장된 상기 차분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차분 정보 제공 수단은 상기 차분 정보에 대하여 통계화 처리를 하고, 시각화하여 그 차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축적된 차분 정보를 프로덕트 크리에이터 등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그 차분 정보에 기초한 통계 정보를 개발 사이드로 피드백하기 쉽게 되어, 보다 개선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공이 용이하게 된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다.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시스템(20)은 네트워크(25)를 통해, 기준 기기(22), 이용 기기(23), 프로덕트 크리에이터 단말(24),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서버(21)로 구성되어 있다.
프로덕트 크리에이터 단말(24)은 네트워크 상에서의 콘텐츠나 시스템의 제공자 측의 단말을 나타낸다.
기준 기기(22)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용자가 사용하는 기기 중 기준으로 하는 고유 기기이다. 예컨대, 사용자가 소유하는 PC(퍼스널 컴퓨터) 등에 해당한다. 기준 기기(22)로 설정한 표시 형태(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서버(21)에 등록된다.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서버(21)(이하, IF 조절 지원 서버라 함)에는 사용자가 기준 기기(22)로 설정한 인터페이스에 관한 설정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그 사용자가 기준 기기의 인터페이스에 관한 설정 정보를 다른 기기(이용 기기(23))에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IF 조절 지원 서버(21)는 그 설정 정보를 이용 기기(23)에 제공한다. 한편, IF 조절 지원 서버는 하나 이상의 서버 장치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이용 기기(23)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IF 조절 지원 서버(21)에 등록된 기준 기기의 인터페이스에 관한 설정 내용을 적응시킬 수 있는 기기이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기기 중 기준 기기(22) 이외의 소정의 기기를 말한다.
그런데, 기준 기기(2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설정 내용을 이용 기기(23)에 반영할 때에 이들의 기종이 다르면, 이용 기기(23)에 있어서, 기준 기기(2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완전하게 재현할 수 없다. 예컨대, 해상도의 차이, 화면의 구성 비율의 차이 등의 하드웨어에 의존한 상이점이 있는 경우, 기준 기기(2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완전하게 재현할 수 없다.
그래서, 이들 상이점을 되도록 흡수하여, 기준 기기(22)의 설정 내용을 이용 기기(23)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이용 기기(23)에서는, IF 조절 지원 서버(21)와의 사이에서 이들의 상이점을 되도록 완화하기 위한 처리를 하여, 기준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가능한 한 재현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 기준 기기(2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설정 정보를 이용 기기(23)에 적용시키기 위해서 보정한 정보는 차분 정보로서 IF 조절 지원 서버(21)에 축적되고 있다.
또한, IF 조절 지원 서버(21)는 프로덕트 크리에이터 단말(24)의 요구에 기초하여, 그 축적한 차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IF 조절 지원 시스템(20)의 일련의 흐름을 도시한다. 기준 기기(22)의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스스로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커스터마이즈된 기준 기기(22)의 인터페이스의 설정 정보는 IF 조절 지원 서버(21)에 등록된다. 그리고, 이용 기기(23)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IF 조절 지원 서버(21)에 등록된 기준 기기(22)의 설정 내용을 적용할 수 있다.
그러면,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한편, 기준 기기(22) 및 이용 기기(23)에는 각각 본 실시형태에 따른 소정의 소프트웨어(이하, 설정 정보 핸들링 에 이전트(설정 정보(HA)라 함)가 인스톨되어 있다.
<기준 기기 등록 페이즈>
기준 기기 등록 페이즈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커스터마이즈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설정 정보를 IF 조절 지원 서버(21)에 송신한다. 이 페이즈에서는, 이하의 (a)∼(c)를 행한다.
(a) 우선, 사용자는 기준 기기(2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설정을 변경한다. 이 변경된 인터페이스의 설정 내용은 후술하는 공통 포맷 파일을 이용하여 기준 기기(22) 내에서 설정 정보(HA)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
(b) 인터페이스의 설정 변경이 종료된 후, 사용자는 기준 기기(22) 상의 소정의 버튼을 누른다. 그러면, 설정 정보(HA)는 인터페이스의 표시 형태의 구성 요소(표시에 필요한 표시 영역의 사이즈, 화면 비율, 색의 수, 언어 셋트(사용자가 표준으로 사용하는 말), 플러그인의 네트워크 상의 위치 정보, 등)의 설정 내용(표시 설정 정보)이 포함되는 정보를, 본 실시형태에서 공통의 포맷 파일 형식으로 하여, 그 공통 포맷 파일을 파일 IF 조절 지원 서버(21)에 송신한다.
(c) 상기 (b)와 함께, 설정 정보(HA)는 사용자 인증용의 증서를 발행하여, IF 조절 지원 서버(21)에 송신한다. 여기서는,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시스템(20) 내에서 사용자를 고유하게 관리하기 위한 인증의 오리지널 데이터(사용자 ID나 패스워드, 설정 정보(HA)의 시리얼 넘버 등의 개인 정보)를 기준 기기(22)의 속성데이터로서 송신한다.
IF 조절 지원 서버(21)는 그 사용자 정보 및 인터페이스 설정 정보를 수신한 다. 그리고, IF 조절 지원 서버(21)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설정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설정 정보 테이블(31)에 저장하고,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테이블(30) 및 패스워드 테이블(32)에 저장한다. 이들 테이블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관련지어져 저장되고 있다.
<이용 기기 내 IF 참조 페이즈>
이용 기기 내 IF 참조 페이즈에서는, 기준 기기(22)의 사용자가 이용 기기(23)를 사용할 때에, 그 이용 기기(23)에 기준 기기(22)의 인터페이스의 설정을 적용하는 페이즈이다. 이 페이즈에서는, 이하의 (d)∼(g)를 행한다.
(d) 이용 기기(23)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IF 조절 시스템(20)에 로그인한다. 그러면, 설정 정보(HA)는 그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정보와, 그 이용 기기(23)의 현재의 인터페이스의 설정 상태의 정보를 공통 포맷 파일에 의해 IF 조절 지원 서버(21)에 송신한다.
(e) IF 조절 지원 서버(21)에 의한 인증을 한 후, 이용 기기(23)는 IF 조절 지원 서버(21)로부터 기준 기기(22)의 표시 설정 정보를 취득한다(IF 조절 지원 서버(21)로부터 이용 기기(23)에 공통 포맷 파일이 송신됨).
(f) 사용자가 사용하는 기기가 이용 기기(23)인 경우, 그 취득한 표시 설정 정보를 이용 기기(23)에 설정하여 표시하게 한다.
(g) 다만, 상기 (f)에 있어서, 이용 기기(23) 상에서 재현 불가능한 표시 설정 정보인 경우에는, 송신이 끝난 표시 설정 정보를 변경하지 않고서, 그 이용 기기(23) 상에서 재현 가능한 표시 설정 정보만 적용한다. 또한, 오리지널의 설정 정 보에 대하여 어떤 설정 정보로 하여 적용했는지, 오리지널의 설정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보정하여 적용했는지 등을 나타내는 차분 정보가 IF 조절 지원 서버(21)에 축적된다.
이와 같이, 기준 기기 등록 페이즈로 IF 조절 지원 서버(21)에 등록된 표시 설정 정보를 이용 기기(23) 상에서 재현시켜 사용할 때에는, 사용자가 이용 기기(23)에 의해 네트워크에 액세스한다. 이에 따라, 상기 (d)가 성공한 경우에는 상기 (e) 및 상기 (f)를 행하여, 이용 기기(23) 상에서 기준 기기(22)의 표시 환경을 재현할 수 있다. 그러나, 이용 기기(23)의 하드웨어 환경에서는 그 재현을 할 수 없는 경우는, 상기 (g)와 같이, 적응 가능한 범위에서 기준 기기(22)의 표시 환경을 재현할 수 있다.
한편, 이용 기기 내 IF 참조 페이즈로 설정되는 것은, 이용 기기 내에 있어서의 인터페이스 환경에 관한 기준 기기(22)의 표시 환경을 재현하는 것이며, 네트워크 상의 인터페이스의 참조에 대해서는 다음의 「네트워크 IF 참조 페이즈」에서 설명한다.
<네트워크 IF 참조 페이즈>
네트워크 IF 참조 페이즈에서는, 네트워크 상의 인터페이스를 참조하는 경우에, 기준 기기에서 설정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한다. 이 페이즈에서는, 이하의 (h)∼(j)를 행한다.
(h) 상기 「이용 기기 내 IF 참조 페이즈」에서 설정된 이용 기기(23)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상에 산재하는 인터페이스에 액세스한다. 그러면 이용 기기는, 기준 기기의 인터페이스 환경이 재현된 표시 설정으로 액세스를 시행하여, IF 조절 지원 서버(21)를 통해 네트워크 상의 인터페이스를 요청한다.
(i) IF 조절 지원 서버(21)에서는, 네트워크 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원래 가지고 있는 기능 및 표시 내용을 유지한 채로, 최적화 처리에 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형태만 변경하여, 사용자에게 요청을 회신한다. 이에 따라, 이용 기기(23)에서는, 최적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 하에서, 그 네트워크 상의 인터페이스를 참조할 수 있다. 또한, 오리지널의 설정 정보에 대하여 어떤 설정 정보로 적용했는지, 오리지널의 설정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보정하여 적용했는지 등을 나타내는 차분 정보가 IF 조절 지원 서버(21)에 축적된다.
<종료 페이즈>
종료 페이즈에서는, 이용 기기의 사용을 종료하는 경우나 네트워크로부터 로그아웃하는 경우에, 상기 <이용 기기 내 IF 참조 페이즈>에서 적용한 설정 내용을 종료하여, 이용 기기(23)의 인터페이스 환경을 그 적용하기 전의 원래의 상태로 복원한다.
즉, 네트워크에 로그인했을 때에, 로그인하기 전의 이용 기기(23)의 인터페이스 환경의 설정 정보를 백그라운드로 유지해 둔다. 그리고, 이용 기기(23)의 사용을 끝내는 경우에는, 그 백그라운드로 유지하고 있는 이용 기기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이용 기기(23)의 인터페이스 환경을 복원한다.
종료 페이즈는 반드시 종료시에 행할 필요가 있다. 이 페이즈는 클라이언트가 IF 조절 지원 서버(21)와의 연계가 계속 될 수 없게 되거나 했을 때에, 클라이 언트 내에 보존한 원래의 인터페이스를 복원함으로써, 개인 정보의 유실을 막을 수 있다. 종료 페이즈에서는, 이하의 (j)∼(k)를 행한다.
(j) 네트워크로부터 로그아웃한다. 또는, 네트워크와의 접속이 단절된다.
(k) 미리 백그라운드로 유지하고 있는 이용 기기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이용 기기(23)의 인터페이스 환경을 복원한다. 이에 따라, 복원이 완료되어 종료한다.
<데이터 축적 페이즈>
데이터 축적 페이즈란, 상기 「이용 기기 내 IF 참조 페이즈」, 「네트워크 IF 참조 페이즈」에 있어서, IF 조절 지원 서버(21)에 차분 정보가 축적되는 페이즈를 말한다.
<차분 정보 제공 페이즈>
차분 정보 제공 페이즈에서는, 인터페이스의 프로덕트 크리에이터를 대상으로, IF 조절 지원 서버(21)에 축적된 차분 정보를 인터페이스마다 제공한다. 이 페이즈에서는, 이하의 (l)∼(m)을 행한다.
(l) 프로덕트 크리에이터 단말(24)로부터 IF 조절 지원 서버(21)에 축적된 차분 정보를 제공하도록 요구한다.
(m) IF 조절 지원 서버(21)는 프로덕트 크리에이터 단말(24)에 차분 정보를 송신한다.
여기서는, 예컨대, 수치화되어 있는 차분 정보에 대하여 통계적 연산을 하여, 그 결과를 그래프화 등에 의해 시각화하여 제시한다. 이에 따라, 인터페이스가 안고 있는 약점의 파악과 개량이 용이하게 되어, 공정수나 시간, 테스트의 프로덕트 크리에이터에의 부하, 조작성의 평균화, 색채의 트렌드 등의 기호 조사 등이 용이하게 된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IF 조절 지원 서버(21)에 저장되는 테이블군을 도시한다. IF 조절 지원 서버(21)에는 사용자 관리용의 테이블군과, 프로덕트 크리에이터 참조용의 테이블군이 있다. 사용자 관리용의 테이블에는 사용자 테이블(30), UI 설정 정보 테이블(31), 패스워드 테이블(32)이 있다. 프로덕트 크리에이터 참조용의 테이블에는 UI 차분 저장 테이블(기준 기기용)(33), UI 차분 저장 테이블(이용 기기용)(34), UI 기준 정보 저장 테이블(35)이 있다.
사용자 테이블(30)은 상기 「기준 기기 등록 페이즈」에서 송신된 사용자 정보가 저장된다. 사용자 테이블(30)은 「설정 정보(HA)의 시리얼 넘버(데이터 길이 : 20 byte, 데이터형 : 영숫자)」, 「사용자 ID(데이터 길이 : 20 byte, 데이터형 : 영숫자)」, 「언어(데이터형 : 영문자)」, 「도시(데이터 길이 : 20 byte, 데이터형 : 영문자)」, 「등록일(데이터 길이 : 8 byte, 데이터형 : 숫자)」, 「파일네임(데이터형 : 영문자)」의 데이터 항목으로 구성된다.
「시리얼 넘버」에는 설정 정보(HA) 고유의 시리얼 넘버가 저장된다. 「사용자 ID」에는 사용자를 고유하게 인식하기 위한 ID가 저장된다. 「언어」에는 사용하는 언어명이 저장된다. 「도시」에는 네트워크 상의 위치 정보(예컨대, "Tokyo" 등)이 저장된다.
「등록일」에는 그 사용자 ID에 관련된 데이터가 IF 조절 지원 서버(21)에 등록한 날짜가 저장된다. 파일네임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파일네임이 저장된다.
UI 설정 정보 테이블(31)에는 상기 「기준 기기 등록 페이즈」에서 사용자에 의해 커스터마이즈되어 송신된 기준 기기(22)의 인터페이스의 설정 정보가 저장된다. 이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이용 기기(23)에서 기준 기기(22)와 같은 인터페이스 환경을 재현할 수 있다.
UI 설정 정보 테이블(31)은 「사용자 ID(데이터 길이 : 20 byte, 데이터형 : 영숫자)」 및 그 밖의 데이터 항목으로 구성된다. 그 밖의 데이터 항목이란, 도 5에 도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설정 항목에 관한 정보이다.
패스워드 테이블(32)은 상기 「기준 기기 등록 페이즈」에서 송신된 패스워드가 저장된다. 패스워드 테이블(32)은 「사용자 ID(데이터 길이 : 20 byte, 데이터형 : 영숫자)」, 「패스워드(데이터 길이 : 20 byte, 데이터형 : 영숫자)」의 데이터 항목으로 구성된다. 「패스워드」에는 사용자 ID에 대응하는 패스워드가 저장된다.
UI 기준 정보 저장 테이블(35)은 상기 「기준 기기 등록 페이즈」에서 송신된 기준 기기(22)의 디폴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설정 정보 및 상기 「이용 기기 내 IF 참조 페이즈」 송신된 이용 기기의 디폴트의 설정 정보가 저장된다.
UI 차분 저장 테이블(기준 기기용)(33)에는 UI 설정 정보 테이블(31)과 UI 기준 정보 저장 테이블(35)로부터 얻어지는 설정치의 차분 정보가 저장된다.
UI 차분 저장 테이블(이용 기기용)(34)에는 상기 <데이터 축적 페이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제로 적용한 설정 항목 및 차분 정보가 저장된다. 즉, 기준 기기(22)의 설정 정보에 대하여 이용 기기에 실제로 적용한 설정 항목명, 기준 기기(22)의 설정 정보에 대하여 이용 기기에 어느 정도 보정하여 적용했는지 등을 나타내는 차분 정보가 저장된다.
UI 설정 정보 테이블(31), 패스워드 테이블(32), UI 차분 저장 테이블(마스터용)(33), UI 차분 저장 테이블(34), UI 기준 정보 저장 테이블(35)은 사용자 테이블(30)과 관련지어져 있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공통 포맷 파일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5는 UI 설정 정보 테이블(31), UI 차분 저장 테이블(기준 기기용)(33), UI 차분 저장 테이블(이용 기기 참조용)(34), UI 기준 정보 테이블(35)로의 저장대상이 되는 데이터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공통 포맷 파일로 클라이언트로부터 서버 측으로 송신되고 있는 예를 도시한다. 공통 포맷 파일의 형식으로서는 예컨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CSV 형식이 있다.
공통 포맷 파일에는 설정 항목명, R, G, B, Font 사이즈, 문자 장식, 화면 내의 설정치(도트), 화면 비율, 옵션 1, 옵션 2, ··· 등의 정보가 저장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준 기기(22)로부터 송신된 사용자 정보([USER Setting])나 디스플레이의 정보([HardWareDisplayProperty]), GUI의 설정 정보([GUI Setting]) 등이 IF 조절 지원 서버(21)에 저장된다(도 5에서는, 지면 관계상 설정 정보의 후반을 생략하고 있지만, 실제는 기준 기기(22)에 갖춰져 있는 GUI의 설정 정보가 전부 망라되어 있음).
이어서, 상술한 각 페이즈의 처리 플로우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준 기기 등록 페이즈>의 처리 플로우를 도시한다. 설정 정보(HA)가 인스톨된 클라이언트에 있어서, 사용자가 그 클라이언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커스터마이즈하여, 클라이언트 상에서 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설정을 확정시킨다. 그러면, 설정 정보(HA)는 IF 조절 지원 서버(21)와의 사이에서 이하의 처리를 행한다.
우선, 설정 정보(HA)는 클라이언트 속성을 판단한다(단계 1. 이하, 단계를 「S」라고 부름). 여기서는, 기준 기기(22)를 IF 조절 지원 서버(21)에 등록하는 단계이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해 그 사용 기기를 기준 기기로서 설정한다는 취지가 지정된다. 그러면, 클라이언트 속성은 기준 기기가 된다. 또한, 이미 기준 기기로서 등록되어, 설정 내용을 갱신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 클라이언트에 이미 공통 포맷 파일이 존재한다. 이 경우, 설정 정보(HA)는 그 파일을 검색함으로써, 클라이언트 속성을 기준 기기라고 판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클라이언트 속성이 기준 기기라고 판단된 경우, S2의 처리를 한다. 한편, 클라이언트 속성이 「기준 기기」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즉, 이용 기기인 경우), 도 7(a)의 S23으로 진행한다.
이어서, 그 클라이언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커스터마이즈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S2).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커스터마이즈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클라이언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그대로 표시된다(S6). 즉, 특별한 처리는 이루어지지 않고, 통상 그대로 표시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커스터마이즈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 클라이언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디폴트의 설정 정보가 공통 포맷 파일(이하, 「기준 기기 UI 디폴트 설정 정보」라 함)에 수집되어, IF 조절 지원 서버(21)에 송신된다(S3). 이 때, 사용자 ID, 패스워드 등의 사용자의 인증 정보도 공통 포맷 파일에 저장되어 송신된다(도 5 참조).
S3에서의 송신 처리가 불가능한(즉, 네트워크에 접속 불능) 경우, 클라이언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그대로 표시된다(S6). S3에서의 송신 처리가 가능(즉, 네트워크에 접속가능)이라면, 또한, 사용자에 의해 커스터마이즈된 클라이언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설정 정보가 공통 포맷 파일(이하, 「기준 기기 UI 커스텀 설정 정보」라고 함)에 수집되어, IF 조절 지원 서버(21)에 송신된다(S5). 또한, 클라이언트에서 IF 조절 지원 시스템(20)으로 로그인이 이루어진다.
IF 조절 지원 서버(21)는 클라이언트로부터 로그인된 경우(S7), S3과 S5에서 송신된 기준 기기 UI 디폴트 설정 정보와 기준 기기 UI 커스텀 설정 정보를 수신한다(S8, S9).
IF 조절 지원 서버(21)는 S8, S9에서 수신한 기준 기기 UI 디폴트 설정 정보와 기준 기기 UI 커스텀 설정 정보의 내용이 완전히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0). S10에 있어서, 일치한 경우, S12의 처리를 한다.
S10에 있어서, 일치하지 않는 경우, IF 조절 지원 서버(21)는 기준 기기 UI 커스텀 설정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11). 즉, 기준 기기 UI 커스텀 설정 정보는 UI 설정 정보 테이블(31)에 저장된다.
이어서, 클라이언트의 디폴트 설정(기준 기기 UI 디폴트 설정 정보)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즉, 기준 기기 UI 디폴트 설정 정보는 UI 기준 저장 테이블(35)에 저장된다. 또한, UI 설정 정보 테이블(31)과 UI 기준 저장 테이블(35)의 차분 정보가 UI 기준 정보 저장 테이블(35)에 저장된다.
또한, 사용자 ID 등이나 패스워드 등도 각각, 사용자 테이블(30), 패스워드 테이블(32)에 저장된다. 이렇게 해서, 기준 기기의 IF 조절 지원 서버(21)에의 등록이 완료된다(S13).
도 7(a)∼도 7(i)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용 기기 내 IF 참조 페이즈>의 처리 플로우를 도시한다. 사용자가 클라이언트를 사용하는 경우, 우선, 클라이언트 속성이 기준 기기가 된다. 도 6의 S1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클라이언트가 기준 기기라고 판단된 경우, 도 6의 기준 기기 등록 페이즈의 처리 플로우를 행한다(S22).
클라이언트 속성이 이용 기기라고 판단된 경우, 네트워크에의 접속이 시도된다(S23).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없는 경우, 도 6의 S6과 마찬가지로, 클라이언트의 설정이 그대로 표시된다(S27).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었던 경우, 클라이언트의 초기 설정의 인터페이스의 디폴트의 설정 정보와, 클라이언트의 현재의 인터페이스의 설정 정보를 일시적으로 클라이언트에 저장한다(S24). 또한, 클라이언트로부터 IF 조절 지원 시스템(20)에 로그인이 이루어진다.
IF 조절 지원 서버(21)는, 클라이언트로부터 로그인된 경우(S28), 그 클라이 언트에 공통 포맷 파일이 있는지가 확인된다(S26). 한편, 로그인되지 않은 경우에는 도 9의 플로우가 이루어진다.
공통 포맷 파일이 없는 경우, 도 7(b)의 S41로 진행한다. 공통 포맷 파일이 있는 경우, IF 조절 지원 서버(21)는 그 로그인하고 있는 클라이언트가 기준 기기라고 판단한다(S29).
또한, IF 조절 지원 서버(21)는 클라이언트의 인터페이스가 커스터마이즈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0). 클라이언트의 인터페이스가 커스터마이즈되어 있지 않은 경우, 클라이언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설정을 그대로 표시한다(S27). 클라이언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커스터마이즈가 되어 있는 경우(예컨대, 기준 기기 UI 커스텀 설정 정보가 이미 존재하는 경우), 도 6의 기준 기기 등록 페이즈의 처리 플로우를 행한다(S22).
S26에서 공통 포맷 파일이 없는 경우, 클라이언트의 GUI의 설정 정보(이용 기기 설정 정보)가 수집되어, IF 조절 지원 서버(21)에 송신된다(S41). 그 이용 기기 설정 정보를 수신한 IF 조절 지원 서버(21)에서는, 그 이용 기기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설정 정보(HA)의 시리얼 넘버가, UI 설정 정보 테이블(31)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ID에 대응하는 시리얼 넘버와 다르므로, IF 조절 지원 서버(21)는 사용자가 이용 기기를 이용하여 액세스하고 있다고 판단한다(S42).
IF 조절 지원 서버(21)는 S11에서 저장한 커스터마이즈한 후의 공통 포맷 파일(기준 기기 UI 커스텀 설정 정보)과, S41에서 수신한 정보를 비교한다(S43).
S43에서 비교한 내용에 차가 없는 경우, 클라이언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설정을 그대로 표시한다(S27). S43에서 비교한 내용에 차가 있는 경우, 도 7(c) 이후의 처리를 하여, 설정 정보(HA)에 의해 클라이언트의 GUI는 재설정되고(S44), IF 조절 지원 서버(21)에 등록한 GUI 환경이 클라이언트 측(이용 기기(23))에서 재현된다(S45).
이하에서는, S43에서 차가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 관해서 상술한다. S43에서 차가 있다고 판단된 경우, 설정 정보(HA)에 의해, 표시 대상이 확인된다(S52). 표시 대상이 클라이언트의 GUI 이외인 경우(예컨대, 네트워크 상의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게 하는 경우)(S53), 도 8의 S141로 진행한다.
또한, 표시 대상이 클라이언트의 GUI인 경우(클라이언트 내의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게 하는 경우)(S53), IF 조절 지원 서버(21)는 S42에서 수신한 이용 기기 설정 정보를 읽어들인다(S54). 또한, IF 조절 지원 서버(21)는 UI 설정 정보 테이블(31)에 저장한 기준 기기 UI 커스텀 설정 정보를 읽어들인다(S55).
IF 조절 지원 서버(21)는 S54와 S55에서 읽어들인 이용 기기 설정 정보와 기준 기기 UI 커스텀 설정 정보를 1행씩 비교한다(S56). 여기서의 비교는 GUI의 항목명(예컨대, 도 5의 [GUI Setting]의 항목)에서 공통되는 것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57). 합치하는 항목은 추출한다(S58). GUI의 항목에 관해서, 전부 비교가 끝나면, 도 7(d)의 S61의 처리로 행한다.
설정 정보(HA)는 클라이언트의 GUI의 디폴트 설정을 수집하여, 공통 포맷 파일에 저장하여 IF 조절 지원 서버(21)에 송신한다(S61). IF 조절 지원 서버(21)는 그 공통 포맷 파일을 수신하여(S62), 데이터베이스(UI 기준 정보 저장 테이블(35)) 에 저장한다(S63).
IF 조절 지원 서버(21)는 도 7(c)의 S58에서 합치한 GUI의 공통 항목 정보와, S63에서 저장한 공통 포맷 파일 중의 데이터 항목「HardwareDisplayProperty」를 클라이언트에게 송신한다(S64). 클라이언트에서는 이들 송신 정보를 수신한다(S65).
설정 정보(HA)는 이들 수신 정보(S58)에서 합치한 GUI의 공통 항목 정보와, S63에서 저장한 공통 포맷 파일 중의 데이터 항목「HardwareDisplayProperty」(도 5 참조))에 기초하여, 우선, 최소 Dpi 사이즈「MIN DPI Size」를 비교한다(S66). Dpi(Dot per inch)는 1 인치의 길이를 몇개의 점으로 표현하는 것인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표시 기기의 점의 밀도를 나타낸다.
S66에 있어서, 수신 정보에 최소 Dpi의 정의가 없는 경우, 즉, [HardwareDisplayProperty]의 「MIN DPI Size」(도 5 참조)가 없는 경우, 표준 Dpi 사이즈치 96 Dpi를 설정한다(S67).
S66에 있어서, IF 조절 지원 서버(21)에 등록된 Dpi 사이즈치가 표시할 곳보다 낮은 경우, Dpi 사이즈치를 표시할 곳의 사이즈치로 설정한다(S68).
S66에 있어서, IF 조절 지원 서버(21)에 등록된 Dpi 사이즈치가 표시할 곳의 사이즈치보다 높은 경우, IF 조절 지원 서버(21)에 등록된 사이즈치로 설정한다.
이어서, 설정 정보(HA)는 S65의 수신 정보에 기초하여, 최대 Dpi 사이즈「MAX DPI Size」를 비교한다(S71).
S71에 있어서, 수신 정보에 최대 Dpi의 정의가 없는 경우, 즉, [HardwareDisplayProperty]의 「MAX DPI Size」가 없는 경우, 표준 Dpi 사이즈치 96 Dpi를 설정한다(S72).
S71에 있어서, IF 조절 지원 서버(21)에 등록된 Dpi 사이즈치가 표시할 곳의 사이즈치보다 낮은 경우, IF 조절 지원 서버(21)에 등록된 사이즈치로 설정한다(S73).
S71에 있어서, IF 조절 지원 서버(21)에 등록된 Dpi 사이즈치가 표시할 곳의 사이즈치보다 높은 경우, Dpi 사이즈치를 표시할 곳의 사이즈치로 설정한다(S74).
설정 정보(HA)는 S67∼S69, S72∼S74에서 설정된 최소 Dpi치 및 최대 Dpi치를 IF 조절 지원 서버(21)에 송신한다(S75). IF 조절 지원 서버(21)는 그 Dpi치를 수신한다(S76).
설정 정보(HA)에 의해, 그 클라이언트의 폰트 사이즈가, 그 설정한 최소 Dpi치 및 최대 Dpi치에 기초하여 변경된다(S77). 이 DPI치나 이 폰트 사이즈는 메모리의 템포러리 영역에 임시 설정된다(S78).
이어서, 설정 정보(HA)는 S65의 수신 정보에 기초하여, 화면 비율(도 5에서 말하면, [HardwareDisplayProperty]의 「MIN/MAX Display resolution」의 [4:3], [16:9])을 비교한다.
S81에 있어서, 화면 비율이 같은 경우, 설정 정보(HA)는 해상도([HardwareDisplayProperty]의 「MIN/MAX Display resolution」)의 비교를 한다(S90).
S90에 있어서, 공통 포맷 파일의 해상도 쪽이 표시할 곳의 해상도보다도 높 은 경우, 표시할 곳의 해상도를 설정한다(S91).
S90에 있어서, 표시할 곳의 해상도가 공통 포맷 파일의 해상도보다도 높은 경우, 표시할 곳의 해상도에 공통 포맷 파일의 해상도를 설정한다(S92). 그 후, 도 7(i)의 S121의 처리로 진행한다.
S81에 있어서, 화면 비율이 다른 경우, 설정 정보(HA)는 S65의 수신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할 곳의 가로 도트 폭(도 5에서 말하면, [HardwareDisplayProperty]의 「MIN/MAX Display resolution」의 [600] 또는 [1600])에 관한 비교를 한다(S82).
S82에 있어서, 표시할 곳의 폭이 공통 포맷 파일의 설정치보다 넓은 경우, 가로 폭을 표시할 곳의 도트 폭으로 확대한다(S83).
S82에 있어서, 표시할 곳의 폭이 공통 포맷 파일의 설정치보다도 좁은 경우, 가로 폭을 표시할 곳의 도트 폭으로 한다(S84).
그리고 나서, 설정 정보(HA)는 공통 포맷 파일의 설정치를 기준으로 한 가로 도트 폭의 변화량(%)을 기록한다(S85). 즉, [(표시할 곳의 가로 도트 폭-공통 포맷 파일의 설정치)/공통 포맷 파일의 설정치]의 값이 기록된다.
이어서, 설정 정보(HA)는 S65의 수신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할 곳의 세로 도트 폭(도 5에서 말하면, [HardwareDisplayProperty]의 「MIN/MAX Display resolution」의 [400] 또는 [900])에 관한 비교를 한다(S86).
S86에 있어서, 표시할 곳의 세로 도트 폭이 공통 포맷 파일의 설정치보다 넓은 경우, 세로 도트 폭을 표시할 곳의 도트폭으로 확대한다(S87).
S86에 있어서, 표시할 곳의 세로 도트 폭이 공통 포맷 파일의 설정치보다도 좁은 경우, 세로 도트 폭을 표시할 곳의 도트폭으로 한다(S88).
그리고 나서, 설정 정보(HA)는 공통 포맷 파일의 설정치를 기준으로 한 세로 도트 폭의 변화량(%)을 기록한다(S89). 즉, [(표시할 곳의 가로 도트 폭-공통 포맷 파일의 설정치)/공통 포맷 파일의 설정치]의 값이 기록된다.
이어서, 설정 정보(HA)는 S85에서 기록한 가로 도트 폭의 변화량(마이너스측(%))과 공통 포맷의 설정치([GUI Setting]의 「DPI Threshold of side(Minus)」를 비교한다(S101).
S101에 있어서, 그 변화량이 공통 포맷의 설정치 범위 밖인 경우(예컨대, 75%를 넘고 있는 경우), 설정 정보(HA)는 클라이언트의 디스플레이에, 이 가로 도트 폭에 관한 설정을 적용하는지 여부의 다이얼로그 화면을 표시하게 한다(S102).
이 다이얼로그 화면에서는, 적응시키는 경우에는 「y」 버튼, 캔슬하는 경우에는 「N」버튼을 누를 수 있다. 「y」 버튼이 눌린 경우(S103), 설정 정보(HA)는 도 7(h)의 S111의 처리로 진행한다. 「N」버튼이 눌린 경우(S105), 설정 정보(HA)는 표시할 곳의 설정을 디폴트 그대로 하고(S104), 도 7(h)의 S111의 처리로 진행한다.
S101에 있어서, 그 변화량이 공통 포맷의 설정치 범위 안인 경우(예컨대, 75% 이하인 경우), 그 S85에서 기록한 가로 도트 폭의 변화량(마이너스측(%))을 IF 조절 지원 서버(21)에 송신한다(S105). IF 조절 지원 서버(21)에서는, 그 변화량을 수신하여(S106), 차분 정보로서 UI 차분 저장 테이블(이용 기기용)(34)에 저장한 다. 그리고 나서, 도 7(h)의 S111의 처리로 진행한다.
이어서, 설정 정보(HA)는 S89에서 기록한 세로 도트 폭의 변화량(마이너스측(%))과 공통 포맷의 설정치([GUI Setting]의「DPI Threshold of length(Minus)」를 비교한다(S111).
S111에 있어서, 그 변화량이 공통 포맷의 설정치 범위 밖인 경우(예컨대, 75%를 넘고 있는 경우), 설정 정보(HA)는 클라이언트의 디스플레이에, 이 세로 도트 폭에 관한 설정을 적용하는지 여부의 다이얼로그 화면을 표시하게 한다(S112).
이 다이얼로그 화면에서는, 적응시키는 경우에는 「y」버튼, 캔슬하는 경우에는 「N」버튼을 누를 수 있다. 「y」 버튼이 눌린 경우(S113), 설정 정보(HA)는 도 7(i)의 S121의 처리로 진행한다. 「N」 버튼이 눌린 경우(S113), 설정 정보(HA)는 다이얼로그 화면으로 재조정하는지의 여부를 표시한다(S114).
이 다이얼로그 화면에는, 적응시키는 경우에는 「y」 버튼, 캔슬하는 경우에는 「N」 버튼을 누를 수 있다. 「y」 버튼이 눌린 경우(S115), 설정 정보(HA)는 도 7(a)의 S22의 처리로 진행한다. 「N」 버튼이 눌린 경우(S115), 설정 정보(HA)는 표시할 곳의 설정을 디폴트 그대로로 한다(S116).
S111에 있어서, 그 변화량이 공통 포맷의 설정치 범위 안인 경우(예컨대, 75% 이하인 경우), 그 S89에서 기록한 세로 도트 폭의 변화량(마이너스측(%))을 IF 조절 지원 서버(21)에 송신한다(S117). IF 조절 지원 서버(21)에서는, 그 변화량을 수신하여(S118), 차분 정보로서 UI 차분 저장 테이블(이용 기기용)(34)에 저장한다. 그리고 나서, 도 7(i)의 S121의 처리로 진행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설명의 형편상, 「DPI Threshold of side(Minus Percent)」와 「DPI Threshold of length(Minus Percent)」만을 구체화했지만, 이것뿐만 아니라 「DPI Threshold of side(P1us Percent)」와 「DPI Threshold of length(Plus Percent)」, 그 밖의 항목에 관해서도 비교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어서, 설정 정보(HA)는 S65의 수신 정보에 있어서 변경하는 항목이 아직 있는지의 여부에 관해서 판단한다(S121).
S121에 있어서, 변경하는 항목이 아직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설정 정보(HA)는 공통 포맷의 항목을 설정한다(S122). 그리고, 설정 정보(HA)는 클라이언트의 디스플레이에, 이 항목의 설정을 적용하는지 여부의 다이얼로그 화면을 표시하게 한다(S123).
이 다이얼로그 화면에서는, 적응시키는 경우에는 「y」 버튼, 캔슬하는 경우에는 「N」 버튼을 누를 수 있다. 「y」 버튼이 눌린 경우(S124), 설정 정보(HA)는 S121의 처리로 진행한다. 「N」 버튼이 눌린 경우(S124), 설정 정보(HA)는 다이얼로그 화면에서 재조정하는지의 여부를 표시한다(S125).
이 다이얼로그 화면에서는, 적응시키는 경우에는 「y」 버튼, 캔슬하는 경우에는 「N」 버튼을 누를 수 있다. 「y」 버튼이 눌린 경우(S126), 설정 정보(HA)는 도 7(a)의 S22의 처리로 진행한다. 「N」 버튼이 눌린 경우(S126), 설정 정보(HA)는 표시할 곳의 설정을 디폴트 그대로 하고(S127), S121의 처리로 진행한다.
S121에 있어서, 변경하는 항목이 없다고 판단된 경우, 적응 결과를 공통 포맷으로 IF 조절 지원 서버(21)에 송신한다(S128). IF 조절 지원 서버(21)에서는, 그 적응 결과의 공통 포맷을 수신하여(S129), UI 차분 저장 테이블(이용 기기용)(34)에 저장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에서는, 지금까지 설정 정보(HA)에 의해 적응된 결과에 의한 GUI 환경으로 화면이 표시된다(S130).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네트워크 IF 참조 페이즈>의 처리 플로우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7(c)의 표시 대상이 클라이언트의 GUI 이외인 경우(S53)로 진행한 경우에 실행되는 플로우이다.
우선, 사용자가 네트워크 상에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요청한다(S141). 여기서는, 클라이언트 측에서는, IF 조절 지원 서버(21)를 통해, 네트워크 상에 있는 임의의 콘텐츠 서버 등에 액세스하고 있다(S142).
그 임의의 콘텐츠 서버는 그 액세스에 따라서 콘텐츠(인터페이스) 클라이언트에 제공한다. 이 때, 그 콘텐츠(인터페이스)는 IF 조절 지원 서버(21)에 수신된다. IF 조절 지원 서버(21)에서는 그 콘텐츠(인터페이스) 정보에 대하여, 도 7(c)∼도 7(i)의 처리를 하여, 클라이언트에게 건넨다(S143). 그리고, 클라이언트에서는, 지금까지 설정 정보(HA)에 의해 적응된 결과에 의한 GUI 환경으로 화면이 표시된다(S144).
이에 따라, 이용 기기 내에 존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참조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상에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참조하는 경우에도, 이용 기기에 기준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적응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종료 페이즈>의 처리 플로우를 도시한다. 도 9는 도 7(a)의 S28에서 IF 조절 지원 시스템(20)에 로그인하지 않는 경우에 실 행되는 플로우이다.
우선, 설정 정보(HA)는 클라이언트의 인터페이스와 클라이언트의 설정 정보를 읽어낸다(S151). 다음에, 현재 클라이언트에 표시되어 있는 인터페이스와 설정 정보를 읽어들인다(S152).
설정 정보(HA)는 S151에서 읽어들인 정보와 S152에서 읽어들인 정보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53). 일치하는 경우, 도 7(a)의 S27로 진행한다. 불일치인 경우, 설정 정보(HA)는 현재 클라이언트에 표시되어 있는 인터페이스와 설정 정보를 소거한다(S154).
그리고 나서, 도 7(a)의 24에 있어서, 일시적으로 클라이언트에 저장한, 클라이언트의 초기 설정의 인터페이스의 디폴트의 설정 정보와, 클라이언트의 기준 기기의 환경 적용하기 전의 인터페이스의 설정 정보를 그 클라이언트에 적응한다(S155).
이에 따라, 시스템에의 로그인을 종료할 때 또는 네트워크 끊김 등의 통신 에러에 의해 강제 종료되었을 때 등에 그 최적 표시 설정 정보를 소거하여, 그 적용하기 전의 이용 기기의 인터페이스 환경을 신속하게 복원함으로써, 개인 정보의 보호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분 정보 제공 페이즈>를 도시한다. 우선, 프로덕트 크리에이터 단말(24)에서 차분 정보로부터 차분 정보의 요청이 IF 조절 지원 서버(21)에 송신되는 (S161).
IF 조절 지원 서버(21)에서는, 데이터베이스의 UI 차분 저장 테이블(34)로부 터 차분 정보를 빼내어, 그 차분 정보를 클라이언트에 송신한다(S162). 그 차분 정보를 취득한 클라이언트 측에서는, 그 수치화되어 있는 차분 정보에 대하여 통계적 수법을 이용하여 연산을 한다(S163). 통계적 수법이란, 예컨대, 대상이 되는 사용자군 및 인터페이스군의 차분 정보에 대하여, 집계를 하여, 그 평균, 표준 편차, 정규 분포, 분산, 최빈도 등을 행하는 것이다. 한편, 통계적 수법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것을 전부 포함한다.
그 통계 결과는 그래프화 등에 의해 시각화되어 클라이언트의 표시 화면에 표시된다(S164).
도 11은 본 실시형태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1은 IF 조절 지원 시스템(20)을 경유하여 네트워크 상의 인터페이스를 참조하는 경우에 관해서 나타내고 있다. 우선, 사용자는 이용 기기(23)를 이용하여, 종래와 동일한 수법으로 네트워크 상의 인터페이스를 참조하고자, IF 조절 지원 서버(21)를 통해, 네트워크 상의 외부 서버(50)에 액세스한다. 그러면, IF 조절 지원 서버(21)가 외부 서버(50)로부터 인터페이스를 취득한다.
IF 조절 지원 서버(21)에서는, 그 취득한 인터페이스를 이용 기기(23)에 의해 지정된 사이즈로 최적화하여, 이용 기기(23)에 송신한다. IF 조절 지원 서버(21)에서는 최적화시의 차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한다.
이용 기기(23)에서는, 최적화된 인터페이스가 표시된다. 이용 기기(23)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네트워크 상의 새로운 인터페이스에 액세스할 때마다, IF 조절 지원 서버(21)에 의한 상기한 최적화 처리 및 차분 정보의 축적이 이루어진다.
차분 정보를 참고로 함으로써, 프로덕트 크리에이터는 새로운 인터페이스의 작성에 있어서, 보다 최적의 인터페이스를 작성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클라이언트 측에서의 처리 및 서버 측에서의 처리는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고, 가능하면, 본 실시형태에서의 클라이언트 측에서의 처리를 서버 측에서 행하더라도 좋고, 본 실시형태에서의 서버 측에서의 처리를 클라이언트 측에서 행하더라도 좋다.
도 12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클라이언트 또는 서버의 하드웨어 환경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2에 있어서 클라이언트는 CPU(62), 리드-온리-메모리(ROM)(63), 랜덤-액세스-메모리(RAM)(66), 통신 인터페이스(이하, 인터페이스를 I/F라 함)(64), 기억 장치(67), 출력 I/F(61), 입력 I/F(65), 휴대형 기억 매체의 판독 장치(68) 및 이들 전부가 접속된 버스(69), 출력 I/F(61)에 접속하고 있는 출력 장치(70), 입력 I/F(65)에 접속하고 있는 입력 장치(71)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기억 장치(67)로서는 하드디스크, 자기 디스크 등 여러 가지 형식의 기억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기억 장치(67) 또는 ROM(63)에는 상기한 실시형태에서 이용한 플로우의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기억 장치(67)에는 IF 조절 지원 서버(21)의 경우라면, 공통 포맷 파일, 데이터베이스, 도 5의 테이블군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기억 장치(67)에는 클라이언트의 경우라면, 클라이언트의 디폴트의 인터페이스 설정의 공통 포맷 파일, 커스터마이즈한 후의 인터페이스 설정의 공통 포맷 파일 등이 저장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제공자 측으로부터 네트워크(69) 및 통신 I/F(64)를 통해, 예컨대 기억 장치(67)에 저장하더라도 좋다. 또한, 이 프로그램은 시판되어 유통되고 있는 휴대형 기억 매체에 저장되고, 판독 장치(68)에 셋트되어, CPU(62)에 의해서 실행하더라도 좋다. 휴대형 기억 매체로서는 CD-ROM, 플렉시블 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IC 카드 등 여러 가지 형식의 기억 매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억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이 판독 장치(68)에 의해서 읽어들여진다.
또한, 입력 장치(71)에는 키보드, 마우스, 또는 전자 카메라, 마이크, 스캐너, 센서, 타블렛 등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출력 장치(70)에는 디스플레이, 프린터, 스피커 등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네트워크(69)는 인터넷, LAN, WAN, 전용선, 유선, 무선 등의 통신망이라도 좋다.
이상에서,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해서, 종래는 사용하는 기기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다른 기기를 사용할 때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의 조절을 해야만 했다. 그 때문에, 일정한 효과를 항상 얻기가 어려웠다.
그러나, 본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다른 기기(이용 기기)에 기준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설정을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기기를 막론하고 일정한 조작감을 기대할 수 있다.
즉, 본 시스템을 기기의 종류를 막론하고 채용하여, 여러 가지 인증 방법에 대응시킴으로써, 사용자가 고유하게 특정 가능하면, 가정에 있는 퍼스널 컴퓨터에서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한 조작감을, 은행의 현금 출납기나 철도 의 티켓 판매기 등에 대하여 그 인터페이스의 효과를 재현할 수 있다.
즉, 개개의 사용자에게 알맞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네트워크에 산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활용을 할 수 있다. 따라서, 기기의 장벽이 낮게 억제됨으로써, 장벽없는 촉진이 용이하게 되어, 개개의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정보는, 기기의 표시의 최적화에만 공헌하여 왔지만, 본 시스템에서는 최적화에 있어서 축적된 인터페이스 설정의 차분 정보에 대하여 통계적 연산을 하고, 그 결과를 그래프화 등에 의해 시각화하여 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터페이스가 안는 약점의 파악과 개량이 용이하게 되어, 공정수나 시간, 테스트의 프로덕트 크리에이터에의 부하, 조작성의 평균화, 색채의 트레인 등의 기호 조사 등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임의의 표시 조절을 지닌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사용자 스스로가 유용성의 향상을 위해 표시 형태의 커스터마이즈를 행한 경우, 그 표시 형태의 설정 내용이나 기능 확장용의 소프트웨어나 플러그인을 네트워크 상에 등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비쿼터스 사회를 위해, 장소나 기기를 막론하고 장벽없는 환경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고유의 표시 설정을 사용했을 때에, 네트워크 상의 인터페이스에 대해서는 프로덕트 크리에이터의 의도에 반하지 않는 표시 레이아웃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 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구성 또는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부기 1) 제1 표시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환경을 조절하여 제2 표시 기기에 적응시키는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표시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설정 정보인 제1 표시 설정 정보가 입력되는 제1 표시 설정 정보 입력 수단과,
상기 제1 표시 설정 정보가 저장되는 제1 표시 설정 정보 저장 수단과,
상기 제1 표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표시 기기에 상기 제1 표시 기기의 표시 환경을 적응시키는 표시 적응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시스템.
(부기 2) 상기 표시 적응 수단은,
상기 제2 표시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설정 정보인 제2 표시 설정 정보를 취득하는 제2 표시 설정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제1 표시 설정 정보와 상기 제2 표시 설정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 수단과,
상기 비교 수단에 의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표시 설정 정보와 상기 제2 표시 설정 정보로부터, 상기 제2 표시 기기에 표시하게 하는 최적의 상기 표시 설정 정보를 생성하는 최적화 수단과,
상기 최적화 수단에 의해 얻어진 최적 표시 설정 정보를 상기 제2 표시 기기에 적응시키는 최적 표시 적응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 한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시스템.
(부기 3) 상기 최적화 수단은, 상기 제1 표시 설정 정보를 기준으로 한 상기 최적 설정 정보의 변화량을 차분 정보로서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에 기재한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시스템.
(부기 4) 상기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시스템은, 또한,
상기 최적화 수단에 의해 얻어진 상기 차분 정보가 저장되는 차분 정보 저장 수단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3에 기재한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시스템.
(부기 5) 상기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시스템은, 또한,
상기 차분 정보 저장 수단에 저장된 상기 차분 정보를 제공하는 차분 정보 제공 수단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4에 기재한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시스템.
(부기 6) 상기 차분 정보 제공 수단은, 상기 차분 정보에 대하여 통계화 처리를 하고, 시각화하여 그 차분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5에 기재한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시스템.
(부기 7) 상기 표시 적응 수단은, 또한,
상기 최적 표시 적응 수단에 의해 상기 제2 표시 기기에 상기 최적 표시 설정 정보가 적응된 후에 그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시스템이 종료하는 경우, 상기 제2 표시 기기로부터 그 적용된 최적 표시 설정 정보를 소거하고, 상기 제2 표시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그 적용하기 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으로 복원하는 복원 수단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에 기재한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시스템.
(부기 8) 상기 표시 적응 수단은, 상기 제2 표시 기기 내에 존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참조하는 경우, 또는, 상기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참조하는 경우, 상기 최적 표시 설정 정보를 상기 제2 표시 기기에 적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에 기재한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시스템.
(부기 9)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관리 장치로부터, 기준 기기의 기본 표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기본 표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 환경을 적응시키는 표시 적응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부기 10) 상기 표시 적응 수단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현재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설정 정보인 현 표시 설정 정보를 취득하는 표시 설정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기본 표시 설정 정보와 상기 현 표시 설정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 수단과,
상기 비교 수단에 의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기본 표시 설정 정보와 상기 현 표시 설정 정보로부터,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표시시키는 최적의 상기 표시 설정 정보를 생성하는 최적화 수단과,
상기 최적화 수단에 의해 얻어진 최적 표시 설정 정보를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적응시키는 최적 표시 적응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9에 기재한 정보 처리 장치.
(부기 11) 상기 표시 적응 수단은, 또한,
상기 최적 표시 적응 수단에 의해 상기 최적 표시 설정 정보가 적응된 후에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관리 장치와의 통신이 종료되는 경우, 그 최적 표시 설정 정보를 소거하고, 미리 기억한 상기 현 최적 표시 설정 정보를 기초로 그 최적 표시 설정 정보의 적용하기 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으로 복원하는 복원 수단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0에 기재한 정보 처리 장치.
(부기 12) 컴퓨터를,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관리 장치로부터, 기준 기기의 기본 표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표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 환경을 적응시키는 표시 적응 수단을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부기 13) 상기 표시 적응 수단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현재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설정 정보인 현 표시 설정 정보를 취득하는 표시 설정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기본 표시 설정 정보와 상기 현 표시 설정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 수단과,
상기 비교 수단에 의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기본 표시 설정 정보와 상기 현 표시 설정 정보로부터,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표시시키는 최적의 상기 표시 설정 정보를 생성하는 최적화 수단과,
상기 최적화 수단에 의해 얻어진 최적 표시 설정 정보를 상기 정보 처리 장 치에 적응시키는 최적 표시 적응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2에 기재한 프로그램.
(부기 14) 상기 표시 적응 수단은, 또한,
상기 최적 표시 적응 수단에 의해 상기 최적 표시 설정 정보가 적응된 후에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관리 장치와의 통신이 종료되는 경우, 그 최적 표시 설정 정보를 소거하여, 미리 기억한 상기 현 최적 표시 설정 정보를 기초로 그 최적 표시 설정 정보의 적용하기 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으로 복원하는 복원 수단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3에 기재한 프로그램.
(부기 15) 제1 표시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환경을 조절하여 제2 표시 기기에 적응시키는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관리 장치로서,
상기 제1 표시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설정 정보인 제1 표시 설정 정보가 저장되는 제1 기기 표시 저장 수단과,
상기 제2 표시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설정 정보인 제2 표시 설정 정보와 상기 제1 표시 설정 정보가 비교되어, 상기 제1 표시 설정 정보를 기준으로 한 상기 최적 설정 정보의 변화량이 차분 정보로서 저장되는 차분 정보 저장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관리 장치.
(부기 16) 상기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관리 장치는, 또한,
상기 차분 정보 저장 수단에 저장된 상기 차분 정보를 제공하는 차분 정보 제공 수단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5에 기재한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관리 장치.
(부기 17) 상기 차분 정보 제공 수단은, 상기 차분 정보에 대하여 통계화 처리를 하고, 시각화하여 그 차분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6에 기재한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관리 장치.
(부기 18) 상기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관리 장치는, 또한,
상기 제1 표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표시 기기에 상기 제1 표시 기기의 표시 환경을 적응시키는 표시 적응 수단을 갖추고,
상기 표시 적응 수단은,
상기 제2 표시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설정 정보인 제2 표시 설정 정보를 취득하는 제2 기기 표시 취득 수단과,
상기 제1 표시 설정 정보와 제2 표시 설정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 수단과,
상기 비교 수단에 의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표시 설정 정보와 상기 제2 표시 설정 정보로부터, 상기 제2 표시 기기에 표시시키는 최적의 상기 표시 설정 정보를 취득하는 최적화 수단과,
상기 최적화 수단에 의해 얻어진 최적 설정 정보를 상기 제2 표시 기기에 적응시키는 최적 표시 적응 수단을 지니고,
상기 표시 적응 수단은, 상기 제2 표시 기기로부터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참조한다는 취지의 요구가 있었던 경우에, 상기 제2 표시 기기에 상기 최적 표시 설정 정보를 적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5에 기재한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관리 장치.
(부기 19) 제1 표시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환경을 조절하여 제2 표시 기기에 적응시키는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관리 컴퓨터를,
상기 제1 표시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설정 정보인 제1 표시 설정 정보가 저장되는 제1 기기 표시 저장 수단과,
상기 제2 표시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설정 정보인 제2 표시 설정 정보와 상기 제1 표시 설정 정보가 비교되어, 상기 제1 표시 설정 정보를 기준으로 한 상기 최적 설정 정보의 변화량이 차분 정보로서 저장되는 차분 정보 저장 수단을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부기 20) 또한, 상기 차분 정보 저장 수단에 저장된 상기 차분 정보를 제공하는 차분 정보 제공 수단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9에 기재한 프로그램.
본 발명을 이용함으로써, 네트워크의 유무에 관계없이, 위화감이 적은 인터페이스를 실현하면서,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인터페이스의 레이아웃을 최대한 무너뜨리는 일이 없는 환경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인터페이스의 설계와 액세스한 사용자와의 표시의 차분을 축적하여, 인터페이스의 적정화를 위해, 프로덕트 크리에이터에게 그 축적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제1 표시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환경을 조절하여 제2 표시 기기에 적응시키는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표시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설정 정보인 제1 표시 설정 정보가 입력되는 제1 표시 설정 정보 입력 수단과,
    상기 제1 표시 설정 정보가 저장되는 제1 표시 설정 정보 저장 수단과,
    상기 제1 표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표시 기기에 상기 제1 표시 기기의 표시 환경을 적응시키는 표시 적응 수단
    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 적응 수단은,
    상기 제2 표시 기기의 성능에 기초하는 디폴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설정 정보인 제2 표시 설정 정보를 취득하는 제2 표시 설정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제1 표시 설정 정보와 상기 제2 표시 설정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 수단과,
    상기 제2 표시 기기의 성능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표시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2 표시 기기에 표시시키기 위해, 상기 비교 수단에 의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표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표시 기기의 성능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표시 설정 정보를 최적화하여 최적 표시 설정 정보를 생성하는 최적화 수단과,
    상기 최적화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최적 표시 설정 정보를 상기 제2 표시 기기에 적응하는 최적 표시 적응 수단
    을 구비하는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화 수단은 상기 제1 표시 설정 정보를 기준으로 한 상기 최적 표시 설정 정보의 변화량을 차분 정보로서 취득하는 것인,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시스템은, 또한,
    상기 최적화 수단에 의해 얻어진 상기 차분 정보가 저장되는 차분 정보 저장 수단을 구비하는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시스템.
  5.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관리 장치로부터 기준 기기의 기본 표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기본 표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 환경을 적응시키는 표시 적응 수단
    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 적응 수단은,
    정보 처리 장치의 성능에 기초하여 디폴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설정 정보인 디폴트 표시 설정 정보를 취득하는 표시 설정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기본 표시 설정 정보와 상기 디폴트 표시 설정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 수단과,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성능 범위 내에서 상기 기준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표시시키기 위해, 상기 비교 수단에 의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디폴트 표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성능 범위 내에서 상기 기본 표시 설정 정보를 최적화하여 최적 표시 설정 정보를 생성하는 최적화 수단과,
    상기 최적화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최적 표시 설정 정보를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적응하는 최적 표시 적응 수단
    을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적응 수단은, 또한,
    상기 최적 표시 적응 수단에 의해 상기 최적 표시 설정 정보가 적응된 후에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관리 장치와의 통신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최적 표시 설정 정보를 소거하여, 미리 기억한 상기 최적 표시 설정 정보 적용 전의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현재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설정 정보를 기초로 상기 최적 표시 설정 정보의 적용하기 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으로 복원하는 복원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8. 컴퓨터로 하여금,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관리 장치로부터 기준 기기의 기본 표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표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 환경을 적응시키는 표시 적응 수단과,
    상기 표시 적응 수단이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성능에 기초하여 디폴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설정 정보인 디폴트 표시 설정 정보를 취득하는 표시 설정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기본 표시 설정 정보와 상기 디폴트 표시 설정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 수단과,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성능 범위 내에서 상기 기준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표시시키기 위해, 상기 비교 수단에 의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디폴트 표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성능 범위 내에서 상기 기본 표시 설정 정보를 최적화하여 최적 표시 설정 정보를 생성하는 최적화 수단과,
    상기 최적화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최적 표시 설정 정보를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적응하는 최적 표시 적응 수단
    을 기능시키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9. 제1 표시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환경을 조절하여 제2 표시 기기에 적응시키는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관리 장치로서,
    상기 제1 표시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설정 정보인 제1 표시 설정 정보가 저장되는 제1 기기 표시 저장 수단과,
    상기 제2 표시 기기의 성능에 기초하여 디폴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설정 정보인 제2 표시 설정 정보와 상기 제1 표시 설정 정보가 비교되어, 상기 제2 표시 기기의 성능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표시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2 표시 기기에 표시시키기 위해,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표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표시 기기의 성능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표시 설정 정보를 최적화한 표시 설정 정보인 최적 표시 설정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상기 제1 표시 설정 정보를 기준으로 한 상기 최적 표시 설정 정보의 변화량이 차분 정보로서 저장되는 차분 정보 저장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관리 장치.
  10. 제1 표시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환경을 조절하여 제2 표시 기기에 적응시키는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관리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1 표시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설정 정보인 제1 표시 설정 정보가 저장되는 제1 기기 표시 저장 수단과,
    상기 제2 표시 기기의 성능에 기초하여 디폴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설정 정보인 제2 표시 설정 정보와 상기 제1 표시 설정 정보가 비교되어, 상기 제2 표시 기기의 성능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표시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2 표시 기기에 표시시키기 위해,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표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표시 기기의 성능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표시 설정 정보를 최적화한 표시 설정 정보인 최적 표시 설정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상기 제1 표시 설정 정보를 기준으로 한 상기 최적 표시 설정 정보의 변화량이 차분 정보로서 저장되는 차분 정보 저장 수단
    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포터블(portable) 기억 매체.
KR1020060061158A 2006-03-27 2006-06-30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08650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86657A JP4755004B2 (ja) 2006-03-27 2006-03-27 インターフェース調節支援システム
JPJP-P-2006-00086657 2006-03-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6735A KR20070096735A (ko) 2007-10-02
KR100865099B1 true KR100865099B1 (ko) 2008-10-24

Family

ID=38532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1158A Expired - Fee Related KR100865099B1 (ko) 2006-03-27 2006-06-30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519907B2 (ko)
JP (1) JP4755004B2 (ko)
KR (1) KR100865099B1 (ko)
CN (1) CN10050784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25801B2 (en) * 2006-11-21 2014-05-13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image sharing in a healthcare setting while maintaining diagnostic image quality
US8700697B2 (en) * 2009-11-30 2014-04-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RUI-based specialized control user interface
JP5373590B2 (ja) * 2009-12-25 2013-12-18 ヤフー株式会社 ツールバー・アプリケーションを管理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JP5428952B2 (ja) * 2010-03-08 2014-02-2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画面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2011250356A (ja) * 2010-05-31 2011-12-08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2012038210A (ja) * 2010-08-10 2012-02-23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テンツ表示システム
JP5970887B2 (ja) * 2012-03-19 2016-08-1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システム、それに用いる画像処理装置及び表示装置並びに画像処理システムにおける画像処理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6311A (ko) * 2001-04-05 2003-11-07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이동식 저장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환경 데이터 수집 및복원
KR20040032071A (ko) * 2002-10-08 2004-04-14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의 소프트웨어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47704B2 (ja) * 1994-03-04 1999-09-13 株式会社ピーエフユー 表示画面の作成方法および表示画面作成装置
US5831608A (en) * 1994-04-21 1998-11-03 Advanced Transition Technologies, Inc. User interface for a remote terminal
JPH1074137A (ja) * 1996-08-30 1998-03-17 Hitachi Ltd グラフィック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変更システム
US6023714A (en) * 1997-04-24 2000-02-08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adapting the layout of a document to an output device
JP3196827B2 (ja) * 1997-12-04 2001-08-06 日本電気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通信システム
JPH11306121A (ja) * 1998-04-17 1999-11-05 Toshiba Corp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
JP2001034580A (ja) * 1999-07-21 2001-02-0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共同利用コンピュータ利用方法
JP2002007241A (ja) * 2000-04-13 2002-01-11 Fujitsu Ltd 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1306204A (ja) * 2000-04-26 2001-11-02 Fuji Xerox Co Ltd ユーザー設定共用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装置
US7089499B2 (en) * 2001-02-28 2006-08-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ersonalizing user interfaces across operating systems
CN1378133A (zh) 2001-04-04 2002-11-06 旭丽股份有限公司 显示资料转换装置
JP2003076458A (ja) * 2001-09-05 2003-03-14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子フォーム入力装置および電子フォーム入力支援プログラム
JP2004056469A (ja) * 2002-07-19 2004-02-19 Sony Corp 電子機器装置とそのメディア再生方法
JP2004185553A (ja) * 2002-12-06 2004-07-02 Fujitsu Ltd Web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のコンポーネント化方法及び装置
CN100353707C (zh) 2003-04-09 2007-12-05 华为技术有限公司 实现设备登录界面可动态设置的装置及其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6311A (ko) * 2001-04-05 2003-11-07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이동식 저장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환경 데이터 수집 및복원
KR20040032071A (ko) * 2002-10-08 2004-04-14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의 소프트웨어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22702A1 (en) 2007-09-27
JP2007264844A (ja) 2007-10-11
CN100507841C (zh) 2009-07-01
JP4755004B2 (ja) 2011-08-24
CN101046743A (zh) 2007-10-03
US8519907B2 (en) 2013-08-27
KR20070096735A (ko) 2007-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5099B1 (ko) 인터페이스 조절 지원 시스템
CN104350719B (zh) 联合数据服务装置和方法
US9912823B2 (en) Server stor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 association with device information in storage
CN102306256A (zh) 对获取的文件进行信誉检查
US10567435B2 (en) Apparatus that is managed in accordance with a security policy,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CN111125017B (zh) 基于树形结构的数据存储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US20150092222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to which security policy is applicable,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therefor
CN106878366A (zh) 一种文件上传方法和装置
JP7184386B2 (ja) 対話装置、制御装置、対話システム、対話方法、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1431755B (zh) 一种实现用户登录的系统及方法
US2006008517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deling and analyzing network simulation for network simulation package
JP6451888B2 (ja) 情報処理装置、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01853256A (zh) 依据使用者数据调整使用者界面的系统、装置及其方法
US799648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wing a portable device to provide rich site summary service
JP7466176B2 (ja) 情報処理装置、端末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30418984A1 (en) Artwork managing method, computer, and program
US20240012909A1 (en) Correction of non-compliant files in a code repository
US20050011942A1 (en) Information transmitting apparatus and method, information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an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8352647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information accessibility based on user location
TWI551105B (zh) 管理憑證之系統及其方法
JP2005339228A (ja) ソフトウェア管理システム及び管理装置及び操作装置及びソフトウェア管理方法及びソフトウェア操作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8396631B (zh) 一种线上协议文本交互方法、系统、电子设备和存储介质
JP2014146104A (ja) 中継サーバ、中継プログラム及び中継方法
JP727045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1283957B2 (en) Manage and perform job based on blockchain in image form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9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3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9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10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10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1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1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