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60905B1 - 검지부재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세트 - Google Patents

검지부재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0905B1
KR100860905B1 KR1020060116601A KR20060116601A KR100860905B1 KR 100860905 B1 KR100860905 B1 KR 100860905B1 KR 1020060116601 A KR1020060116601 A KR 1020060116601A KR 20060116601 A KR20060116601 A KR 20060116601A KR 100860905 B1 KR100860905 B1 KR 100860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lock arm
base plate
wedge
protru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6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6922A (ko
Inventor
연복희
조세훈
이성준
박완기
김대기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6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0905B1/ko
Publication of KR20080046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6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0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090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sting or measuring purpo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의 검지부재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의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커넥터의 검지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구조의 검지부재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검지부재는 웨지를 구비한 커넥터와 결합되는 대응 커넥터에 구비되는 검지부재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 상에 구비된 돌기; 상기 돌기를 수용하는 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일 단부에 걸쇠가 마련된 락암; 상기 락암의 타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락암의 일 단부를 상기 웨지의 중심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키는 연결부재; 및 대응 커넥터 하우징의 외벽에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판의 이동공간을 마련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커넥터, 검지부재, 결합

Description

검지부재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세트{Detecting member and connector set having the same}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커넥터 세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검지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검지부재를 결합과정에 따라 순서대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0,30...커넥터 11,55..락암
12...돌기 13...락암조작부
20,50...대응 커넥터 21...고정부
31...웨지몸체 32...웨지의 전단부
33...웨지의 후단부 34...고정부
51...베이스판 52...돌기
56...걸쇠 57...홀
58...초크 60...연결부재
65...고정부재 66...홈
67...걸림턱
본 발명은 커넥터의 검지부재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의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커넥터의 검지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구조의 검지부재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많은 전장품들이 있으며 이들은 케이블을 통해 다른 전장품이나 전원 등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케이블을 전장품이나 다른 전원 및 기기에 직접 접속하는 경우 작업이 번잡할 뿐만 아니라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커넥터를 이용해 접속하게 된다. 이러한 커넥터는 통상적으로 케이블의 단부에 접속되는 터미널과 터미널을 감싸 보호하고 누전되지 않도록 절연재로 제작된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커넥터는 와이어 형태의 케이블의 절연 피복부를 벗겨낸 다음 피복부가 제거된 심선을 터미널 뒤쪽에 삽입하여 압착해서 터미널과 케이블이 서로 접속되도록 만들어진다. 이렇게 커넥터 하우징에 조립된 터미널을 암/수 커넥터가 서로 결합할 때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커넥터 및 대응 커넥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커넥터(10)는 커넥터와 대응 커넥터의 결합을 유지하기 위한 락암(11) 및 상기 락암(11)을 구동하기 위한 락암 조작부(13)을 구비한다. 락암(11)은 상부로 탄성 변형되며, 일 부분에 돌기(12)를 구비한다.
대응 커넥터(20)는 커넥터(10)가 결합됨에 따라, 상기 락암(11)에 구비된 돌기(12)를 수용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고정부(21)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21)는 길이방향의 홀로 이루어진다.
커넥터(10) 및 대응 커넥터(20)의 결합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고정된 길이방향의 홀로 이루어진 고정부(21)에 락암(21)이 삽입된다. 이때, 락암(11)에 구비된 돌기(12)는 일시적으로 아래쪽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 후, 고정부(21)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커넥터(10)와 대응 커넥터(20)를 결합한 상태에서, 락암 조작부(13)가 외부 물체에 의하여 외력을 인가받을 경우, 락암(11)이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결국, 돌기(12)가 고정부(21)로부터 이탈되어 커넥터(10)와 대응 커넥터(20)가 서로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커넥터 및 대응 커넥터의 결합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그 결합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검지부재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세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검지부재는 웨지를 구비한 커넥터와 결합되는 대응 커넥터에 구비되는 검지부재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 상에 구비된 돌기; 상기 돌기를 수용하는 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일 단부에 걸쇠가 마련된 락암; 상기 락암의 타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락암의 일 단부를 상기 웨지의 중심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키는 연결부재; 및 대응 커넥터 하우징의 외벽에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판의 이동공간을 마련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대응 커넥터는 락암의 상기 타 단부에 연결되는 초크를 더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초크의 이동경로 상에 걸림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초크는 커넥터의 상기 웨지가 대응커넥터의 걸쇠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걸림턱으로부터 이탈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락암은 상기 돌기를 중심으로 수평 방향으로 구동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돌기 및 상기 락암은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되되, 상기 한 쌍의 돌기는 상기 베이스판의 중심부로부터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홀은 상기 한 쌍의 락암 각각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커넥터 세트는 웨지를 구비한 커넥터; 및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 상에 구비된 돌기와, 상기 돌기를 수용하는 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일 단부에 걸쇠가 마련된 락암과, 상기 락암의 타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락암의 일 단부를 상기 웨지의 중심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키는 연결부재와, 외벽에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판의 이동공간을 마련하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대응 커넥터;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30)는 웨지(31)를 구비하며, 상기 커넥터(30)에 결합되는 대응커넥터(50)는 베이스판(51), 락암(55), 연결부재(60), 및 고정부재(65)를 구비한다.
웨지(31)는 웨지몸체(32,33) 및 고정부(34)를 구비한다. 웨지몸체(32,33)는 쐐기형의 전단부(32)와 락암(55)이 체결되는 후단부(33)로 이루어진다. 전단부(32)는 커넥터(30)의 삽입구(커넥터(30)와 대응커넥터(50)의 체결됨에 따라 대응커넥터(50)로 삽입되는 부분)가 형성된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마련되며, 후단부(33)는 커넥터(30)와 대응커넥터(50)이 완전하게 체결됨에 따라, 락암(55)에 구비되는 걸쇠(56)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걸쇠(56)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된 다. 고정부(34)는 웨지몸체의 후단부(33)와 커넥터 사이에 구비되어, 웨지몸체(32,33)를 커넥터(30)에 고정한다.
베이스판(51)은 락암(55)이 수평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기준을 제공하고 검지부재의 체결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부재로써, 중심점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마련된 돌기(52)를 구비하며, 마주보는 적어도 한 쌍의 면이 서로 평행하게 이루어진다. 베이스판(51)에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상기 한 쌍의 면은 고정부재(65)에 형성된 홈에 끼워지며, 상기 홈이 제공하는 공간 내에서 이동된다.
락암(55)은 외부로부터 인입된 상기 웨지(31)가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부재로써, 일 단부에 걸쇠(56)가 마련된 바(bar)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락암(55)에는 상기 돌기(52)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홀(57)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홀(57)은 웨지(31)의 인입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락암(55)이 원할하게 구동될 수 있도록, 락암(55)의 타 단부와 중심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판(51)에는 한 쌍의 돌기(5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돌기(52)는 상기 베이스판(51)의 중심부로부터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돌기(52)에는 한 쌍의 락암(55)이 각각 결합된다. 이에 따라, 웨지(31)가 한 쌍의 락암(55)의 일 단부에 형성된 걸쇠(56)를 경유하여 락암(55)의 사이로 인입되면, 상기 한 쌍의 락암(55)은 웨지(31)의 전단부(32)에 의해 상기 홀(57)에 끼워진 돌기(52)를 중심으로 각각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연결부재(60)는 한 쌍의 락암(55)의 타 단부를 서로 연결하며, 그 중심부로 부터 상기 락암(55)이 마련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즉, 연결부재(60)는 한 쌍의 락암(55)을 상기 걸쇠(56)가 형성된 부분이 상기 돌기(52)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킨다.
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한 쌍의 락암(55)이 구비되고, 연결부재(60)가 그(한 쌍의 락암(55)) 사이에 마련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에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하나의 락암(55) 및 상기 락암(55)에 대칭되는 부분에 마련되는 고정바(bar)를 구비하고, 락암(55)과 고정바 사이에 연결부재(60)가 장착되어 락암(55)의 걸쇠(56)가 형성된 부분을 상기 돌기(52)를 중심으로 상기 고정바가 마련된 부분으로 탄성 변형시킬 수도 있다.
고정부재(65)는 대응 커넥터(50)의 외부면에 수직으로 세워진 한 쌍의 벽이다. 한 쌍의 벽은 베이스판(51)의 너비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며, 벽 사이에 베이스팡(51), 락암(55), 및 연결부재(60)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고정부재(65)에는 베이스판(51)이 상기 벽 사이의 공간에서 슬라이딩되며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벽의 내측에 연속적으로 마련된 홈(66)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고정부재(65)는 연속적으로 마련된 홈(66)의 일 부분에 걸림턱(67)을 더 구비할 수 있고, 락암(55)은 타 단부에 연결되는 초크(58)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걸림턱(67)과 초크(58)는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며, 걸림턱(67)은 락암(55)에 구비된 초크(58)의 이동 경로를 방해하여 초크(58)가 자유롭게 이동하지 못하도록 한다. 또한, 한 쌍의 락암(55) 사이로 웨지(31)가 인입될 경우, 락암(55) 의 타 단부가 돌기(52)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상기 초크(58)를 걸림턱(67)으로부터 이탈시킨다. 결국, 걸림턱(67)은 초크(58)의 이동을 제한하여 상기 락암(55)과 연결되는 베이스판(51)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시킨다.
이하, 전술한 구성요소 및 첨부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30)와 대응커넥터(50)의 결합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커넥터(30)와 대응 커넥터(50)가 결합됨에 따라, 커넥터(30)에 구비된 웨지(31)의 전단부(32)가 한 쌍의 락암(55)의 걸쇠(56) 사이로 인입된다(도 3a).
상기 웨지(31)가 락암(55) 사이로 인입되면, 락암(55)은 걸쇠(56)가 마련된 부분이 서로 바깥 방향으로 벌어지며, 베이스판(51)에 마련된 돌기(52)를 중심으로 회전 구동되어 락암(55)의 타 단부(연결부재(60)가 결합되는 부분)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구동된다. 이에 따라, 락암(55)의 타 단부에 마련된 초크(58)는 고정부재(65)에 마련된 걸림턱(67)으로부터 이탈된다(도 3b).
그리고, 웨지(31)가 계속적으로 인입되어 락암(55) 사이에 완전하게 장착되면, 락암(55)은 걸쇠(56)가 마련된 부분이 연결부재(60)의 탄성력에 의해 웨지(31)가 위치한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웨지(31)의 후단부(33)를 고정한다(도 3c).
또한, 상기 걸림턱(67)으로부터 초크(58)가 이탈됨에 따라, 베이스판(51)은 고정부재(6)의 홈(66)이 제공하는 이동 경로 상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베이스판(51)은 웨지(51)가 락암(55)사이에 완전하게 결합된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이동하므로, 사용자는 베이스판(51)의 고정 상태 확인하여 커넥터(30)와 대응커넥터(50)가 완전하게 결합 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검지부재에 따르면, 외력에 의하여 커넥터와 대응 커넥터의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여 커넥터와 대응 커넥터의 결합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검지부재의 상태를 확인하여 커넥터와 대응 커넥터의 결합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Claims (9)

  1. 웨지를 구비한 커넥터와 결합되는 대응 커넥터에 구비되는 검지부재에 있어서,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 상에 구비된 돌기;
    상기 돌기를 수용하는 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일 단부에 걸쇠가 마련된 락암;
    상기 락암의 타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락암의 일 단부를 상기 웨지의 중심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키는 연결부재; 및
    대응 커넥터 하우징의 외벽에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판의 이동공간을 마련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지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커넥터는 락암의 상기 타 단부에 연결되는 초크를 더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초크의 이동경로 상에 걸림턱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지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초크는 커넥터의 웨지가 대응커넥터의 걸쇠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 상 기 걸림턱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지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암은 상기 돌기를 중심으로 수평 방향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지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및 상기 락암은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되되,
    상기 한 쌍의 돌기는 상기 베이스판의 중심부로부터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홀은 상기 한 쌍의 락암 각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지부재.
  6. 웨지를 구비한 커넥터; 및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 상에 구비된 돌기와, 상기 돌기를 수용하는 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일 단부에 걸쇠가 마련된 락암과, 상기 락암의 타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락암의 일 단부를 상기 웨지의 중심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키는 연결부재와, 외벽에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판의 이동공간을 마련하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대응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세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커넥터는 락암의 상기 타 단부에 연결되는 초크를 더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초크의 이동경로 상에 걸림턱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세트.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초크는 커넥터의 웨지가 대응커넥터의 걸쇠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걸림턱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세트.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및 상기 락암은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되되,
    상기 한 쌍의 돌기는 상기 베이스판의 중심부로부터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홀은 상기 한 쌍의 락암 각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세트.
KR1020060116601A 2006-11-23 2006-11-23 검지부재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세트 Active KR100860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6601A KR100860905B1 (ko) 2006-11-23 2006-11-23 검지부재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6601A KR100860905B1 (ko) 2006-11-23 2006-11-23 검지부재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6922A KR20080046922A (ko) 2008-05-28
KR100860905B1 true KR100860905B1 (ko) 2008-09-29

Family

ID=39663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6601A Active KR100860905B1 (ko) 2006-11-23 2006-11-23 검지부재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09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1002B1 (ko) * 2012-06-19 2013-12-13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커넥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2808A (ja) * 1993-12-28 1995-07-28 Yazaki Corp コネクタのロック保障機構
KR20000004040U (ko) * 1998-07-31 2000-02-25 서평원 동축케이블의 연결구조
JP2005050702A (ja) 2003-07-29 2005-02-24 Tyco Electronics Amp Kk コネクタ組立体
KR100549788B1 (ko) 2003-07-09 2006-02-08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2808A (ja) * 1993-12-28 1995-07-28 Yazaki Corp コネクタのロック保障機構
KR20000004040U (ko) * 1998-07-31 2000-02-25 서평원 동축케이블의 연결구조
KR100549788B1 (ko) 2003-07-09 2006-02-08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
JP2005050702A (ja) 2003-07-29 2005-02-24 Tyco Electronics Amp Kk コネクタ組立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1002B1 (ko) * 2012-06-19 2013-12-13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6922A (ko) 2008-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13306B (zh) 介面模組
US6217364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guide pin latching system
KR100858755B1 (ko) 전기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US8585427B2 (en) Connector, card edge connector, and sensor using the same
US20030148645A1 (en) Connector shutter
EP3179570A1 (en) Connector apparatus
JPH06236784A (ja) 端子位置保証部材付き電気コネクター
US9281605B2 (en) Plug-and-socket connector arrangement with first and second plugs and mating plug
CN107925183B (zh) 插拔连接器
JP2008220927A (ja) コネクタ用保護カバー
CN102544856A (zh) 连接部件
JPH11250967A (ja) 端子保持装置を有するコネクタ装置
JP4658429B2 (ja) フレキシブル回路の接続装置の改良
JP2008277292A (ja) プリント基板等のコネクタ装置
JP2020149969A (ja) 複数のラッチを有する端子位置保証部材
US7351086B2 (en) Connector
KR100996328B1 (ko) 커넥터 리셉터클 어셈블리
JP2006510169A (ja) 端子位置維持(assurance)システム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CN103620878B (zh) 具有第二触头固定装置的连接器元件
US9853391B2 (en) Wire connector with integrated coaxial connection and front loaded terminal position assurance structures
TWI550964B (zh) 連接器
JP6339698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システム
WO2009099748A2 (en) Connector cover
CN106887726B (zh) 夹持装置、电连接器和连接器组件
KR100860905B1 (ko) 검지부재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1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729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807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9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9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3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1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13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