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15046B1 - 철근 콘크리트 보수용 표면 침투 보강제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의 보수 방법 - Google Patents

철근 콘크리트 보수용 표면 침투 보강제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의 보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5046B1
KR100815046B1 KR1020060120233A KR20060120233A KR100815046B1 KR 100815046 B1 KR100815046 B1 KR 100815046B1 KR 1020060120233 A KR1020060120233 A KR 1020060120233A KR 20060120233 A KR20060120233 A KR 20060120233A KR 100815046 B1 KR100815046 B1 KR 100815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concrete
reinforced concrete
repair
carbon ato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0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명석
송영철
임재호
김종근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060120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5046B1/ko
Priority to US11/888,129 priority patent/US806269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5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5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03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6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organic materials
    • C04B41/49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arbon-to-metal or carbon-to-silicon linkages ; Organo-clay compounds; Organo-silicates, i.e. ortho- or polysilicic acid esters ; Organo-phosphorus compounds; Organo-inorganic complexes
    • C04B41/4905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arbon-to-metal or carbon-to-silicon linkages ; Organo-clay compounds; Organo-silicates, i.e. ortho- or polysilicic acid esters ; Organo-phosphorus compounds; Organo-inorganic complexes containing silicon
    • C04B41/4988Organosilicium-organic copolymers, e.g. olefins with terminal silan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9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re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2Multiple coating or impregnating multiple coating or impregnating with the same composition or with compositions only differing in the concentration of the constituents, is classified as single coating or impreg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6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of only artificial stone
    • C04B41/61Coating or impregnation
    • C04B41/62Coating or impregnation with organic materials
    • C04B41/64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arbon-to-metal of carbon-to-silicon linka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6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of only artificial stone
    • C04B41/61Coating or impregnation
    • C04B41/70Coating or impregnation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 C04B41/71Coating or impregnation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n organ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3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 C08F230/04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containing a metal
    • C08F230/08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containing a metal containing silicon
    • C08F230/085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containing a metal containing silicon the monomer being a polymerisable silane, e.g. (meth)acryloyloxy trialkoxy silanes or vinyl trialkoxysil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34Filling pas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72Repairing or restoring existing buildings or building materials
    • C04B2111/723Repairing reinforced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상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효과적으로 보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표면 침투 보강제 및 이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열화등급에 따라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리케이트 화합물,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아민계 화합물 및 실란계 화합물의 반응물을 포함하는 표면 침투 보강제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손상부위의 철근 부식여부와 탄산화 정도에 따라 열화 등급을 분류하여 효율적으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따른 철근 콘크리트의 보수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표면 침투 보강제를 이용하여 철근 콘크리트의 열화(aging)정도에 따른 등급별로 보수 방법을 다르게 함으로써, 기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증진은 물론 외부로부터의 열화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수명 및 사용수명을 증진시킬 수 있다.
철근 콘크리트, 졸-겔 프로세스, 표면 침투 보강제, 열화등급

Description

철근 콘크리트 보수용 표면 침투 보강제를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의 보수 방법{Method for Repairing Aged Concrete using surface penetrating reinforcement agent}
도 1은 철근 콘크리트의 손상 정도를 열화물질의 침입 및 철근 부식 정도에 따라 4등급으로 분류한 그래프이며,
도 2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등급이 Ⅰ인 경우에 표면 침투 보강제를 사용하여 보수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을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3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등급이 Ⅱ인 경우에 표면 침투 보강제를 사용하여 보수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을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4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등급이 Ⅲ 및 Ⅳ인 경우에 표면 침투 보강제를 사용하여 보수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을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 침투 보강제를 사용한 철근 콘크리트의 열화등급에 따른 보수방법의 공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콘크리트 재료는 강재와 더불어 건설 산업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콘크리트의 성형성, 시공성은 이미 오래 전부터 그 우수성이 입증되어 왔으며, 내구성 및 내화성 등의 품질 측면에서도 우수성이 입증되어 콘크리트를 사용한 구조물은 반영구적인 것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콘크리트의 사용연수가 증가함에 따라 콘크리트가 열화(aging) 되고 철근의 부식으로 인한 내구성의 저하가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면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사용성 및 안정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유지보수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종래의 손상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수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프라이머(primer)를 도포하는 단계, 단면을 충전하는 단계 및 표면에 마감 코팅을 하는 단계로 구분된다. 상기와 같은 보수방법에 사용되고 있는 프라이머는 단면 충전 보수용 모르타르(mortar)와의 접착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주로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머 혼입 시멘트계 페이스트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수지계의 프라이머는 초기 접착력은 우수하지만, 기존 콘크리트와의 열적 거동이 매우 상이하여 장기 접착력이 약하여, 결국에는 탈락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들 수지계의 프라이머는 도포되는 표면에 막을 형성시킬 뿐 콘크리트 내부로의 침투가 어려워 구체강화의 효과는 거의 없다.
또한 콘크리트나 단면충전 보수용 모르타르에서 발생되는 백화현상을 방지하고 외부로부터 물, 이산화탄소 및 염화물 등이 침투되는 것을 억제하여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마감 코팅제가 사용되고 있다. 마감 코팅제로서 사용되는 에폭시, 우레탄 등의 재료들은 가용성분이 포함된 물이 외부로 용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열화요인들의 침투를 억제하는데 효과적이다. 그러나, 콘크리트 내부와 외부의 습도차이에 의해 내부에서 수증기가 발생할 경우, 외부로 방출되려는 수증기에 의해 피막이 벗겨지고, 수증기의 외부 방출 압력 때문에 마감 코팅제가 들뜨거나 탈락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게다가 코팅제에 용제를 사용하게 되면, 시공 할 때 독성이 강한 냄새가 발생되고, 폭발의 위험까지 있어 작업자의 안전이 보장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생긴다.
또한, 손상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일률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을 채택하는 경우 손상의 정도에 따라 불필요한 보수작업을 할 수도 있고, 철근의 부식정도를 충분히 수용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졸-겔 프로세스 원리에 근거한 표면 침투 보강제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등급에 따라 방법을 달리하여 보수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보수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증진은 물론 외부로부터의 열화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함으로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수명 및 사용수명을 증진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표면 침투 보강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수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실리케이트 고분자 중합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표면 침투 보강제를 콘크리트 구조물의 손상부위에 도포하여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시키는 (a) 단계를 포함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등급이 I인 양호한 상태의 경우에 상기 (a) 단계의 방법만으로도 가능하다.
화학식 1
Figure 112006089226513-pat00001
여기서 R1 은 탄소수 1 내지 1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렌기이며, R2 내지 R4는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1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이며, n은 1 내지 50의 정수이며, X, Y, Z는 화학식 4의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들이 각각의 X, Y, Z에 위치에서 결합된 치환기이며,
화학식 4
Figure 112007071358937-pat00002

여기서 R5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케닐기이며, R6 내지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 또는 수산화 알킬기이다.
여기서 화학식 4의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들이 결합되어 각각 X, Y, Z에 위치되는 경우, R5의 알케닐기는 대응하는 알킬렌기가 되며, R6 및 R7은 각각의 아크릴레이트 모노머가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각각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
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가 된다.

화학식 1에서, X, Y, Z 중 적어도 하나는 수산화알킬로 치환된 아크릴레이트 모노머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치환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보수방법은 콘크리트 단면에 보수용 모르타르를 충진시키는 (b)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등급이 II인 경우, 즉 철근의 부식은 없으나 강도가 저하되고, 탄산화 깊이가 큰 경우에는 제1 단계로 (a) 단계를 수행한 후 제2 단계로 (b)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수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보수용 표면 침투 보강제로 마감하는 단계(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어느 열화단계의 콘크리트 보수이더라도 마무리 단계에서 항상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등급이 II인 경우에는 제1단계로 (a) 단계, 제2단계로 (b) 단계, 제3단계로 (c) 단계를 수행하여 콘크리트 손상을 보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수방법은 철근 표면에 부식 방지제를 도포하는 단계(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등급이 III 및 IV인 철근의 부식이 발생되고 내구성이 저하된 경우에는 제1 단계로 (d) 단계, 제2단계로 (a) 단계, 제3단계로 (b) 단계 및 제4단계로 (c) 단계를 수행하여 철근 콘크리트를 보수할 수 있다.
상기 표면 침투 보강제는 화학식 2의 실리케이트 고분자 중합체를 화학식 1의 실리케이트 고분자 중합체에 대하여 5~50: 50~95 중량비로 더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06089226513-pat00003
여기서 R2 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이며, R1 , R3 , R4는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1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이다.
상기 표면 침투 보강제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콕시 관능기로 1 내지 4 치환된 실란을 표면 침투 보강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5~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30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실리케이트 고분자 중합체 조성물에 발수성을 부여한다.
상기 표면 침투 보강제는, 지시약 1~2 중량% 및 탄소수 1~5의 저급알콜,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98~99 중량%의 알콜 혼합물을, 표면 침투 보강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5~20 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화학식 1의 실리케이트 고분자 중합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보수용 표면 침투 보강제를 콘크리트 구조물의 손상부위에 도포하여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시키는 단계(a)를 포함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등급이 I인 양호한 상태의 경우에 상기 단계(a)의 방법만으로도 가능하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등급은 복구 대상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염화물 이온 침투 정도, 탄산화 정도, 철근 부식여부에 따라 표 1 및 도 1과 같은 기준에 의해 4등급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도 1에 그래프로 설명되어 있다.
열 화 등 급 구조물 열화 상태
. 양호한 상태 . 표면 백화 또는 변색 발생 . 약간의 탄산화 (탄산화 깊이 1~2mm)
. 강도저하 . 염화물 이온 침투 . 탄산화 . 철근 부식 없음
. 강도 저하 . 염화물 이온 침투 . 탄산화 . 철근 부식 우려
. 강도 저하 . 염화물 이온 침투 . 탄산화 . 철근 부식 및 내하력 저하
또한 열화등급 I인 경우 본 발명에 따라 보수된 콘크리트 단면의 개략도가 도 2에 개시되어 있다. 즉,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열화등급 Ⅰ은 비교적 양호한 상태로서, 약간의 표면 백화나 변색이 발생한 정도로서 탄산화의 정도가 심하지 않아 표면 복구 필요가 없고, 철근의 부식도 없는 정도이기 때문에, 철근에 부식방지제를 도포하는 단계(d), 단면을 보수용 모르타르(mortar)로 충전하는 단계(b) 및 표면 침투 보강제로 마감하는 단계(c)를 생략하고 철근 콘크리트 표면에 침투 보강제를 도포하는 것(a)으로 완료할 수 있다. 즉, 열화등급 Ⅰ의 구조물은 손상된 콘크리트를 제거하는 단계, 고압수로 세정하는 단계 및 표면 침투 보강제를 붓이나 롤러 및 스프레이 등으로 2회 이상 도포하는 단계를 거쳐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를 마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수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보수용 표면 침투 보강제로 마감하는 단계(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보수후 다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수방법은 콘크리트 단면에 보수용 모르타르를 충진시키는 단계(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등급이 II인 경우, 즉 철근의 부식은 없으나 강도가 저하되고, 탄산화 깊이가 큰 경우에는 (a) 단계를 수행한 후 (b) 단계 및 (c) 단계를 수행하여 콘크리트 손상을 보수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보수된 콘크리트 단면의 개략도가 도 3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열화등급 Ⅱ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염화물 이온 침투 및 탄산화가 어느 정도 진행되어 표면의 복구는 필요하나, 철근 부식의 우려가 없어 철근에 부식방지제를 도포하는 단계(d)를 생략할 수 있다. 즉, 열화등급 Ⅱ는 구조물에 손상된 콘크리트를 제거하는 단계, 고압수로 세정하는 단계, 표면 침투 보강제를 침투시키는 단계, 보수용 모르타르로 단면을 충전하는 단계 및 표면 침투 보강제로 마감하는 단계를 거쳐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를 마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수방법은 철근 표면에 부식 방지제를 도포하는 단계(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등급이 III 및 IV인 철근의 부식이 발생되고 내구성이 저하된 경우에 (d) 단계, (a) 단계, (b) 단계 및 (c) 단계를 수행하여 철근 콘크리트를 보수할 수 있다. 이의 방법으로 보수된 콘크리트 단면의 개략도가 도 4에 개시되어 있다.
열화등급 Ⅲ 및 IV는 콘크리트의 염화물 이온 침투 및 탄산화가 상당정도 진행되어 철근의 부식이 우려되거나 진행된 정도로 내구성 저하가 우려되는 상태로서, 철근에 부식방지제를 도포하는 단계, 단면을 보수용 모르타르(mortar)로 충전하는 단계 및 표면 침투 보강제로 마감하는 단계 모두 포함하여 복구를 하여야 한다. 즉, 철근 콘크리트의 강도저하, 염화물이온 침투, 중성화가 발생되고 철근이 부식될 우려가 있는 열화등급 Ⅲ 및 철근 콘크리트의 강도저하, 염화물이온 침투, 중성화가 발생되고 철근이 부식된 열화등급 Ⅳ의 구조물에 손상된 콘크리트를 제거하는 단계, 철근 표면에 부식방지제를 도포하는 단계, 고압수로 세정하는 단계, 표면 침투 보강제를 침투시키는 단계, 보수용 모르타르로 단면을 충전하는 단계 및 표면 침투 보강제로 마감하는 단계를 거쳐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를 마친다.
즉, 도 4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등급이 Ⅲ 및 Ⅳ인 경우 보수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제 1단계는 철근의 표면에 부식방지제를 붓으로 도포하는 단계이고, 제 2단계는 표면 침투 보강제를 붓이나 롤러로 도포하거나 상기 스프레이 방식에 의해서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시키는 단계이고, 제 3단계는 콘크리트 단면에 흙손이나 헤라 또는 토출압력 3~5bar의 스프레이 장비로 보수용 모르타르를 충전시키는 단계이며, 제 4단계는 충전된 보수용 모르타르 표면에 붓이나 롤러 또는 상기 스프레이 방식을 사용하여 표면 침투 보강제로 마감하는 단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표면 침투 보강제는 손상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 도포할 때에는 졸 상태여서 손상된 콘크리트 구조물 및 단면충전 보수용 모르타르의 공극 속으로 침투가 용이한 반면, 졸-겔 프로세스에 의해 시멘트의 수화물 및 가용성 알칼리 물질과 반응하여 겔 상태의 불용성 물질이 되어 콘크리트 내부의 공극을 치밀하게 충전할 수 있어, 콘크리트 구체 및 단면충전 보수용 모르타르의 강도를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백화발생 억제하고, 콘크리트 구체와 단면충전 보수용 모르타르와의 접착력 증진, 열화물질의 침투 억제 및 방수 성능을 증진시킴으로서 손상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수명과 사용수명을 증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철큰 콘크리트 구조물의 복구를 위하여 사용되는 철근 부식방지제 및 단면충전을 위한 보수용 모르타르는 그 성능과 효과가 검증된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예로는 한일시멘트(주)에서 생산되는 레미탈, (주)동방에서 생산되는 자기응력모르타르, (주)하이콘의 고성능 섬유보강콘크리트, (주)콘테크에서 생산되는 CTR(보수용 모르타르)가 있다.
각 보수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 (a) 단계는 본 발명에서 제조한 표면 침투 보강제를 콘크리트 표면에 도포하여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시키는 것이다. 상기 표면 침투 보강제를 시공하는 방법은 붓이나 롤러, 스프레이 등 어느것으로도 가능하고, 면적이 큰 경우에는 3~5bar의 압력으로 스프레이 한다. 스프레이 방식의 경우는 2회 시공하고, 1회와 2회의 시공방향은 직각방향으로 교차되게 한다. 또한 기존 철근 콘크리트 표면의 흡수성이 크거나 공극이 많은 경우에는 3회 이상으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단계는 콘크리트 단면에 흙손이나 헤라 또는 토출압력 3~5bar의 스프레이 장비로 보수용 모르타르를 충전시키는 것이다.
상기 (c)단계는 충전된 보수용 모르타르 표면에 붓이나 롤러 또는 상기 스프레이 방식을 사용하여 표면 침투 보강제로 마감하는 단계이고, 상기 (d)단계는 철근 표면에 부식방지제를 도포하는 단계로서, 도포하는 방법은 (a) 단계에서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침투 보강제를 사용한 철근 콘크리트의 열화등급에 따른 보수방법의 공정도를 도 5에 전체적으로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방법에 따르면, 콘크리트 손상부위를 제거하는 단계(S101)는 콘크리트 표면에 발생된 열화부위, 백화 및 변색 부위를 제거하는 단계로서 열화등급 Ⅰ인 경우에는 그라인딩 또는 300~500bar의 워터젯 또는 7~7.5bar의 샌드블라스팅이나 샌드와 물을 혼합하고 분사하여 콘크리트 표면을 처리하고, 열화등급 Ⅱ,Ⅲ 및 Ⅳ의 경우는 착암기나 500~1200bar의 워터젯으로 처리한다.
콘크리트 내의 철근 표면에 발생된 녹을 제거하고 부식방지제를 도포하는 단계(S102)는 철근 콘크리트의 열화등급인 Ⅲ 및 Ⅳ에 해당하는 공종으로서 와이어브러시나 7~7.5bar의 샌드블라스팅이나 샌드와 물을 혼합하고 분사하여 녹을 제거한 후 붓을 이용하여 철근 표면에 부식방지제를 도포한다.
모든 철근 콘크리트 열화등급의 공종에 포함되는 고압수 세정단계(S103)은 손상된 콘크리트를 제거한 후 실시하거나 철근 부식방지제를 도포한 경우에는 철근 부식방지제가 충분히 경화된 후에 실시하는 것으로서, 100~300bar의 고압수 세정기를 이용하여 손상된 콘크리트를 제거하는 단계에서 발생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표면 침투 보강제의 침투를 방해하는 물질을 제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의 열화등급에 따른 보수방법을 실시할 때 사용되는 표면 침투 보강제는 붓이나 롤러 또는 3~5bar의 압력으로 도포하여 철근 콘크리트의 열화등급이Ⅰ인 경우에는 철근 콘크리트의 마감층(S104)으로 사용되고 철근 콘크리트의 열화등급이 Ⅱ, Ⅲ 및 Ⅳ인 경우는 단면충전 보수용 모르타르의 접착을 위한 프라이머(S104)층으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마감층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콘크리트에 침투하여 콘크리트의 강도 증진, 백화발생 억제 및 외부로부터의 열화물질 침투억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프라이머층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기존 철근 콘크리트의 강도증진, 백화발생 억제 및 기존 콘크리트와 단면충전 보수용 모르타르와의 접착력 증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침투 보강제를 도포하는 단계(S104)를 완료한 후에 실시하는 보수용 모르타르 단면충전단계(S105)는 철근 콘크리트 열화등급 Ⅱ, Ⅲ 및 Ⅳ인 경우에 이루어지며, 흙손이나 헤라 또는 토출압력 3~5bar의 건식이나 습식 스프레이 장비로 보수용 모르타르를 충전시키는 단계이다. 단면충전 보수용 모르타르는 성능과 효과가 충분히 검증되고, 일반인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면 가능하다.
철근 콘크리트의 열화등급이 Ⅱ,Ⅲ 및 Ⅳ인 경우에서의 마지막 단계로서 표면 침투 보강제 마감단계(S106)는 상기 침투성 보강제를 도포하는 방법으로 철근 콘크리트 보수용 모르타르가 충전된 단면에 도포한다. 이 때 보수용 모르타르를 충전한 후에는 최소 3일간 양생기간을 두어야 한다. 이러한 이유는 철근 콘크리트에 충전된 보수용 모르타르의 양생기간이 너무 짧으면 표면 침투 보강제의 침투가 보수용 모르타르 내부의 모세관 공극에 존재하는 수분에 의해서 방해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손상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에 있어서, 콘크리트 손상부위를 제거하고, 콘크리트의 손상 진행으로 인한 철근의 노출 및 철근의 부식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철근의 부식이 확인된 경우, 철근의 녹을 제거하고 부식방지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콘크리트의 손상부위에 표면 침투 보강제를 도포하고 침투시키는 단계; 손상된 콘크리트 부위의 염화물 이온 침투 및 탄산화의 진행으로 인한 표면 복구 필요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표면 복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보수용 모르타르로 단면을 충전하고, 표면 침투 보강제로 마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화학식 1의 실리케이트 고분자 중합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표면 침투 보강제는 화학식 3의 실리케이트와 화학식 4의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반응시켜 얻어질 수 있다(도식 1 참조)
화학식 3
Figure 112007071358937-pat00004

여기서 R1 내지 R4는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1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이다.
화학식 4
Figure 112006089226513-pat00005
여기서 R5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케닐기이며, R6 내지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 또는 수산화 알킬이며, 상기 화학식 4의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가능하나, 적어도 1종은 수산화기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사용될 수 있는 반응 촉매는 AIBN(azobisbutylronitrile), BPO(bezoyl peroxide)등과 같이 화학식 3의 실리케이트 화합물에 녹는 중합촉매가 바람직하며, 반응 물질에 대하여 0.1~10 중량%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식 1
Figure 112007071358937-pat00006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t-부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메틸 아크릴레이트
화학식 4의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Figure 112007071358937-pat00007

화학식 1의 실리케이트 고분자 중합체
삭제
상기 화학식 1의 실리케이트 고분자 중합체는 반응기 내에 화학식 3의 실리케이트와 화학식 4의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반응촉매와 함께 투입하는 단계, 상기 반응기 내부로 질소 가스를 유입시키면서 상기 반응물을 30 내지 100rpm의 속도로 교반시키는 단계, 반응기 내부 온도를 60 내지 100℃로 유지시키면서 5 내지 10시간 동안 반응시키는 단계, 및 반응 부산물에서, 처음 나오는 알콜이 반응기에 첨가된 -OH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 몰수의 85%에 해당하는 알콜이 환류관에서 응축되는 시점을 반응 종료시점으로 한다. 반응 종료후 반응물의 온도를 40℃ 이하로 떨어질때까지 냉각하는 단계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상기 표면 침투 보강제는 화학식 2의 실리케이트 고분자 중합체를 화학식 1의 실리케이트 고분자 중합체에 대하여 5~50: 50~95 중량비로 더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2의 실리케이트 고분자 중합체는 화학식 3의 실리케이트와 화학식 5의 아민을 반응시켜 얻어질 수 있다(도식 2) 참조
화학식 5
HN(R)2
여기서 R은 각각 같거나 다른 탄소수 1 내지 10의 수산화 알킬이다.
도식 2
Figure 112007071358937-pat00008

화학식 3의 실리케이트 화학식 5의 아민
Figure 112007071358937-pat00009

화학식 2의 실리케이트 중합체
상기 화학식 2의 실리케이트 고분자 중합체는 반응기 내부에 화학식 3의 실리케이트와 화학식 5의 아민, 및 반응 촉매를 투입하는 단계, 상기 반응기 내부로 질소 가스를 유입시키는 단계, 상기 반응기 내부 온도를 60 내지 100℃로 유지시키면서 5 내지 10시간 동안 반응시키는 단계, 및 반응 부산물에서, 처음 나오는 알콜이 20% 미만이거나 더 이상의 알콜이 나오지 않는 시점에서 질소가스의 유입을 중지하고 반응물의 온도를 40℃ 이하로 떨어질때까지 냉각하는 단계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화학식 1의 실리케이트 고분자 중합체와 화학식 2의 실리케이트 고분자 중합체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표면 침투 보강제 혼합물은 화학식 1의 실리케이트 고분자 중합체와 화학식 2의 실리케이트 고분자 중합체를 50~95 : 5~50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70~90: 10~30 중량비로 혼합한 후 30 내지 100rpm의 교반속도,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rpm에서 10 내지 60분,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분 동안 교반하는 얻어질 수 있다. 화학식 1의 메톡시기 또는 에톡시기등 알콕시기를 포함하는 실리케이트 고분자 중합체는 콘크리트 내부의 수산화칼슘을 촉매로하여 알콜 성분을 내놓고 겔 형태 물질로 반응하게 되어, 자연스럽게 유,무기 복합물로 반응하게 되고, 종래 물질들과 달리 알킬등의 관능기로 인하여 발수성을 나타내게 된다. 또한, 화학식 2의 실리케이트 고분자 중합체는 아민을 포함하고 있어 콘크리트 내에 이미 중화되었거나 진행중인 구조물에 침투해가면서 경화반응을 일으키고 콘크리트 내부의 pH를 알카리화 하여 중성화를 억제하여 철근부식을 억제하는 성질을 갖는다.
따라서 화학식 2의 실리케이트 고분자 중합체가 5 중량비 이하로 첨가되면 화학식 2의 실리케이트 고분자 중합체를 첨가하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50 중량비 이상으로 첨가되면 화학식 1의 실리케이트 고분자 중합체가 나타내는 상기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없다.
상기 표면 침투 보강제는 치환된 실란을 표면 침투 보강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5~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30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실리케이트 고분자 중합체 조성물에 발수성을 부여한다.
본 발명에 따라 치환된 알킬알콕시실란은 상기 표면 침투 보강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5~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30 중량부로 첨가되어 40 내지 80rpm의 속도로 20 내지 40분 동안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란화합물을 발수성을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50 중량부 이상으로 포함되면, 실리케이트 고분자 중합체의 방수효과가 낮아지고, 5중량부 이하로 포함되면 발수성 보강효과가 없다.
상기 표면 침투 보강제는, 지시약 1~2 중량% 및 탄소수 1~5의 저급알콜,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98~99 중량%의 알콜 혼합물을, 표면 침투 보강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5~20 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급 알코올로는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프로판올 등이 있으며, 에탄올, 특히 순도 95% 이상의 에탄올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콜 혼합물은 알콜에 의해 표면 침투 보강제의 침투력을 높이며, 지시약에 의해 표면 침투 보강제의 침투 깊이를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지시약은 pH에 따라 발색될 수 있는 양이면 적당하다. 콘크리트는 시멘트 수화물중의 수산화 칼슘에 의해 pH 12.5의 높은 알카리도를 지니게 되므로 알카리성 지시약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시약으로는 페놀프탈레인이 있으며 pH 8.2~10 이상의 알카리 용액에서 선홍색으로 발색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에탄올이 5 중량부 이하로 포함되면 표면 장력 감축 효과가 없으며, 20 중량부 이상에서는 표면 장력의 변화가 크지 않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표면 침투 보강제는 간략하게 기재하자면, 화학식 3의 실리케이트 화합물과 화학식 4의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반응시켜 화학식 1의 실리케이트 고분자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화학식 3의 실리케이트와 화학식 5의 아민을 반응시켜 화학식 2의 실리케이트 고분자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화학식 1과 2의 실리케이트 고분자 중합체를 혼합시키는 단계; 상기 화학식 1과 2의 실리케이트 고분자 중합체 혼합물에 알킬알콕시실란 화합물을 첨가하는 단계; 및 상기 실란 첨가 혼합물에 지시약을 포함하는 알콜을 첨가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다만, 화학식 1과 2의 실리케이트 고분자 중합체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생략할 수도 있다.
상기 화학식 3의 실리케이트 화합물은 탄소수 2~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 또는 알킬 알콕시 실리케이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테트라에틸오소실리케이트, 테트라메틸오소실리케이트, 트리메틸메톡시오소실리케이트, 트리메틸에톡시오소실리케이트, 디메틸디메톡시오소실리케이트, 디메틸디에톡시오소실리케이트, 메틸트리메톡시오소실리케이트, 메틸트리에톡시오소실리케이트, 테트라메톡시오소실리케이트, 테트라에톡시오소실리케이트, 메틸디메톡시오소실리케이트, 메틸디에톡시오소실리케이트, 디메틸에톡시오소실리케이트, 디메틸비닐메톡시오소실리케이트, 디메틸비닐에톡시오소실리케이트, 메틸비닐디메톡시오소실리케이트, 메틸비닐디에톡시오소실리케이트, 디페닐디메톡시오소실리케이트, 디페닐디에톡시오소실리케이트, 페닐트리메톡시오소실리케이트, 페닐트리에톡시오소실리케이트, 옥타데실트리메톡시오소실리케이트 및 옥타데실트리에톡시오소실리케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4의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터드(tert: 명칭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부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5의 아민계 화합물로는 탄소수 1~10의 알콜아민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디에탄올아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란계 화합물은 이소부틸트리에톡시실란, 이소부틸트리메톡시실란 및 n-옥틸트리에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반응 촉매는 고분자 중합 반응에 사용되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할 것이다.
실시예 1: 표면 침투 보강제의 제조
1) 화학식 1의 실리케이트 고분자 중합체의 제조
테트라에틸오소실리케이트 중량 60중량%, 부틸아크릴레이트 28.3중량%, 메타메틸아크릴레이트 9.7중량%,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중량%을 중합기안에 투입하고 개시제로서 α,α'-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azobisisobutyronitrile: AIBN)을 사용하여 교반 속도 60rpm, 80℃로 온도를 유지하며 8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반응물의 온도를 실온으로 냉각시켜 화학식 1의 실리케이트 고분자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2) 화학식 2의 실리케이트 고분자 중합체의 제조
테트라에틸오소실리케이트 85 중량%와 디에탄올아민 14.17 중량%, 그리고 p-톨루엔술폰산(-toluic sulfonicacid) 0.83 중량%를 반응기 내부로 투입하고 교반속도 80rpm, 반응기 온도를 85℃로 유지하고 8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반응물의 온도를 실온으로 냉각시켜 제조하였다.
3) 화학식 1의 실리케이트 고분자 중합체 및 화학식 2의 실리케이트 고분자 중합체의 혼합
상기 1) 단계 및 2) 단계에서 각각 제조된 화학식 1의 실리케이트 고분자 중합체 80중량%와 화학식 2의 실리케이트 고분자 중합체 20중량%를 혼합하여 조성물C를 제조하였다. 혼합은 실험실에서 이루어졌으며, 교반속도 60rpm의 속도로 30분간 교반하였다.
4) 실란 화합물의 첨가
단계 3에서 제조된 실리케이트 고분자 중합체 혼합물 80중량%에 이소부틸트리에톡시실란 8중량%, 이소부틸트리메톡시실란 7중량% 및 n-옥틸트리에톡시실란 5중량%를 첨가하고 느린속도로 10분간 교반하여 표면 침투 보강제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표면 침투 보강제의 물성 측정
이렇게 제조된 혼합물은 KS F 3705의 단일원통 회전점도계에 의한 방법에 따라 점도를 측정하였으며, 본 시험에 사용한 기기는 브룩필드 점도계(Brookfield viscometer DV-II+)로서 스핀들(spindle)을 표시선까지 시료 안에 넣어 스핀들이 혼합물 안에서 일정하게 회전하는데 걸리는 토크(torque)를 측정하여 점도를 계산하는 기기로 본 혼합물의 점도는 550cps이었다. 또한 표면장력은 공학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Du Nouy 장력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혼합물의 표면장력은 104dyne/cm이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표면침투보강제를 23℃의 실내에서 24시간동안 보관하여 안정화시켰다. 이어서 에탄올의 함량이 95%이상인 에탄올 98.9중량%을 느린속도로 교반하면서 페놀프탈레인 1.4중량%를 상기 에탄올에 천천히 떨어뜨리면서 첨가하였으며, 페놀프탈레인이 완전히 녹아서 무색투명한 조성물이 될 때까지 느린속도로 교반하였다.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표면 침투 보강제 50중량%, 70중량%, 80중량%, 90중량%, 95중량%에 상기 페놀프탈레인이 용해된 에탄올 50중량%, 30중량%, 20중량%, 10중량%, 5중량%를 혼합하여 느린속도로 10분간 교반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면 침투 보강제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2: 실시예 2의 표면 침투 보강제의 물성 측정
이렇게 제조된 실시예 2의 표면 침투 보강제를 실험예 1에서와 같이 KS F 3705의 단일원통 회전점도계에 의한 방법 및 Du Nouy 장력계를 사용하여 점도 및 표면장력을 측정하였다. 혼합물의 점도 및 표면장력이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의 표면침투 보강제 : 에탄올 (중량비) 점 도 (cps) 표면장력(dyne/cm)
50 : 50 24 46
70 : 30 31 48
80 : 20 56 49
90 : 10 113 56
95 : 5 385 87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탄올 조성물의 첨가량이 늘어나면 점도 및 표면장력이 낮아짐을 알 수 있으며 실시예 1의 표면침투보강제 : 에탄올 조성물의 중량비 80:20 이하에서는 점도 및 표면장력의 변화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에탄올 조성물의 첨가량은 5~20중량%범위가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손상된 철근 콘크리트의 보수 공정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하여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 80중량%에 에탄올 20중량%를 혼합하여 표면침투보강제를 제조하였다. 또한, 충전모르타르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시도하여 본 결과 아래의 원료 및 조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장 좋은 결과를 얻어 아래의 표와 같이 충전모르타르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표면침투보강제 및 충전모르타르를 손상된 철근콘크리트의 보수공정에 사용하였다.
조성비(중량%)
재료명 함량(중량%) 생산업체(제품명)
시멘트 47.5 한일시멘트(포틀랜드시멘트)
규사 50 진성소재(진성규사)
아크릴 분말수지 1.0 한국바스프(아크릴레이트)
실리카흄 1.0 남아프리카 공화국 생산제품
고유동화제 0.5 케미콘(폴리카본산염계)
실시예에서 대상으로 한 구조물은 지방 도로상에 있는 철거 대상 교량으로서 동결융해와 제설재속의 염화물에 의해 철근부식이 가속되어 손상된 콘크리트 구조물이다.
먼저 손상된 콘크리트면을 망치, 정 등을 이용하여 제거한 후 부식된 철근은 블라스팅(Blasting)으로 처리하였으며 콘크리트 하지면은 고압세척기로 세척하였다. 이후 콘크리트 면에 표면침투보강제 1ℓ/㎡를 도포하고 철근부위에 부식방지제를 도포한 다음 상기의 표와 같이 제작된 보수용 단면충전 모르타르를 충전시킨 후 3일동안 자연양생(대기중 방치)을 실시하였다. 이후 표면침투보강제 1ℓ/㎡를 도포하였다.
실험예 4: 보수된 철근 콘크리트 성능 확인
인발강도실험
인발강도는 ASTM D 4541에 규정된 Pull off 시험장치로 10mm 깊이의 콘크리트 인발강도를 측정하였으며, 측정결과, 보수된 콘크리트는 55.2kg/㎠인 반면 보수되지 않은 콘크리트는 21.3kg/㎠을 나타내어 보수가 소정의 요구강도를 달성함을 확인하였다.
흡수율실험
보수된 콘크리트 면과 보수되지 않은 콘크리트 면으로부터 직경 5cm 길이 10cm의 코어를 채취한 후 표면을 제외한 모든 측면을 에폭시로 코팅하였다. 흡수율실험은 흡수비의 분석으로 실시하였다. 흡수비 실험은 KS F 2451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윗면을 제외하고 모두 코팅된 코어공시체를 20±2℃의 물이 담긴 수조에 완전히 침적되도록 넣은후 흡수전의 시편무게, 물에 잠긴후로부터 24시간이 경과한 시점의 시편 무게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이 흡수비를 계산하였다.:
Figure 112007071358937-pat00010
그리고 흡수비 실험이 끝난 즉시 실험체를 이등분으로 양분하여 그 면에 수분 흡수깊이 측정용 시약을 뿌려 버니어캘리퍼스를 이용하여 흡수깊이를 mm단위로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보수된 콘크리트 시편의 흡수량은 0.6g인 반면 보수되지 않은 콘크리트 시편의 흡수량은 12.4g으로 나타나 흡수비는 0.05로 분석되어 방수재로써의 KS F 4930 규정인 0.1이하를 만족하였다. 따라서, 보수된 콘크리트 구조물은 충분한 방수성능을 확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수방법은 기존의 보수방법과 달리 열화의 정도에 맞추어 단계별로 보수공사를 할 수 있어, 보수 시공을 단순화시킬 수 있으면서도 비용측면에서도 유리하며, 이렇게 단순화된 공사임에도, 콘크리트 내면까지 깊게 침투하여 더욱 견고한 보수가 달성되어 표면에 막을 형성시킬뿐인 기존의 방법을 개량한 방법임을 알 수 있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방법은 종래의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방법에서 발생되는 프라이머의 장기 접착불량으로 인한 탈락, 구체강화 효과의 결여 및 마감 코팅제의 백화물질 용출에 의한 벗겨짐, 수증기 투과성 결여로 인한 들뜸이나 탈락, 코팅제 자체의 잠재적인 폭발성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aging)등급을 달리하여 보수함으로서 보수공사의 목적에 매우 부합될 수 있고 불필요한 보수 공사기간의 소요 및 사용 보수재료의 낭비 등을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5)

  1. 화학식 1의 실리케이트 고분자 중합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표면 침투 보강제를 콘크리트 구조물의 손상부위에 도포하여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시키는 (a)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07071358937-pat00011
    여기서 R1 은 탄소수 1 내지 1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렌기이며, R2 내지 R4는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1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이며, n은 1 내지 50의 정수이며, X, Y, Z는 화학식 4의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들이 각각의 X, Y, Z에 위치에서 결합된 치환기이며,
    화학식 4
    Figure 112007071358937-pat00012
    여기서 R5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케닐기이며, R6 내지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 또는 수산화 알킬기이며,
    여기서 화학식 4의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들이 결합되어 각각 X, Y, Z에 위치되는 경우, R5의 알케닐기는 대응하는 알킬렌기가 되며, R6 및 R7은 각각의 아크릴레이트 모노머가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각각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
    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가 된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이 콘크리트 단면에 보수용 모르타르를 충진시키는 (b)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이 콘크리트 보수용 표면 침투 보강제로 마감하는 단계(c)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이 철근 표면에 부식 방지 제를 도포하는 단계(d)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침투 보강제가 화학식 2의 실리케이트 고분자 중합체를 화학식 1의 실리케이트 고분자 중합체에 대하여 5~50: 50~95 중량비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화학식 2
    Figure 112007071358937-pat00013
    여기서 R2 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이며, R1 , R3 , R4는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1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이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침투 보강제가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콕시 관능기로 1 내지 4 치환된 실란계 화합물을 표면 침투 보 강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5~50 중량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침투 보강제가, 지시약 1~2 중량% 및 에탄올 98~99 중량%의 알콜 혼합물을, 표면 침투 보강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5~20 중량부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실리케이트 고분자 중합체가 화학식 3의 실리케이트와 화학식 4의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반응시켜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화학식 3
    Figure 112007071358937-pat00014
    여기서 R1 내지 R4는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1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이며,
    화학식 4
    Figure 112007071358937-pat00015
    여기서 R5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케닐기이며, R6 내지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 또는 수산화 알킬이다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의 실리케이트 고분자 중합체가 화학식 3의 실리케이트와 화학식 5의 아민을 반응시켜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화학식 5
    HN(R)2
    여기서 R은 각각 같거나 다른 탄소수 1 내지 10의 수산화 알킬이다.
  10. 제8항 또는 제9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3의 실리케이트 화합물이 테트라에틸오소실리케이트, 테트라메틸오소실리케이트, 트리메틸메톡시오소실리케이트, 트리 메틸에톡시오소실리케이트, 디메틸디메톡시오소실리케이트, 디메틸디에톡시오소실리케이트, 메틸트리메톡시오소실리케이트, 메틸트리에톡시오소실리케이트, 테트라메톡시오소실리케이트, 테트라에톡시오소실리케이트, 메틸디메톡시오소실리케이트, 메틸디에톡시오소실리케이트, 디메틸에톡시오소실리케이트, 디메틸비닐메톡시오소실리케이트, 디메틸비닐에톡시오소실리케이트, 메틸비닐디메톡시오소실리케이트, 메틸비닐디에톡시오소실리케이트, 디페닐디메톡시오소실리케이트, 디페닐디에톡시오소실리케이트, 페닐트리메톡시오소실리케이트, 페닐트리에톡시오소실리케이트, 옥타데실트리메톡시오소실리케이트 및 옥타데실트리에톡시오소실리케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4의 아크릴레이트 모노머가 tert-부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5의 아민계 화합물이 디에탄올아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란계 화합물이 이소부틸트리에톡시실란, 이소부틸트 리메톡시실란 및 n-옥틸트리에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 콘크리트 보수방법이 손상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손상 부위의 철근 표면에 부식 방지제를 도포하는 단계(d);
    콘크리트 보수용 표면 침투 보강제를 콘크리트 구조물의 손상부위에 도포하여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시키는 (a) 단계;
    상기 콘크리트 단면에 보수용 모르타르를 충진시키는 단계(b); 및
    상기 콘크리트 보수용 표면 침투 보강제로 마감하는 단계(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 콘크리트 보수 방법이
    콘크리트 손상부위를 제거하고, 콘크리트의 손상 진행으로 인한 철근의 노출 및 철근의 부식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철근의 부식이 확인된 경우, 철근의 녹을 제거하고 부식방지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콘크리트의 손상부위에 표면 침투 보강제를 도포하고 침투시키는 단계;
    손상된 콘크리트 부위의 표면 복구 필요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표면 복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보수용 모르타르로 단면을 충전하고, 표면 침투 보강제로 마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20060120233A 2006-11-30 2006-11-30 철근 콘크리트 보수용 표면 침투 보강제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의 보수 방법 KR100815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0233A KR100815046B1 (ko) 2006-11-30 2006-11-30 철근 콘크리트 보수용 표면 침투 보강제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의 보수 방법
US11/888,129 US8062699B2 (en) 2006-11-30 2007-07-30 Method for repairing aged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using surface-penetration reinforcing ag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0233A KR100815046B1 (ko) 2006-11-30 2006-11-30 철근 콘크리트 보수용 표면 침투 보강제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의 보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5046B1 true KR100815046B1 (ko) 2008-03-18

Family

ID=39411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0233A KR100815046B1 (ko) 2006-11-30 2006-11-30 철근 콘크리트 보수용 표면 침투 보강제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의 보수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062699B2 (ko)
KR (1) KR10081504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094B1 (ko) * 2009-08-03 2010-09-02 중앙크리텍 주식회사 겔 타입 발수제를 이용한 기존 및 신설 콘크리트 구조물의 염해 및 중성화 방지용 친환경 표면보호공법
KR100986184B1 (ko) * 2010-06-22 2010-10-07 주식회사 칠만공사 방수용 보강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049960B1 (ko) * 2011-03-08 2011-07-20 (유)원도그린건설 친환경 실리케이트 불연 코팅재를 이용한 건축물의 보수방법
KR101139942B1 (ko) * 2009-03-23 2012-04-30 임채열 노출콘크리트 표면의 보수 및/또는 보강공법
KR101685001B1 (ko) 2016-04-29 2016-12-12 계룡건설산업 주식회사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침투성 코팅보호재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침투성 코팅보호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2848600T3 (da) * 2013-09-13 2019-06-11 Etex Services Nv Hydrofobiseret fibercementprodukt omfattende mindst en profileret overflade
US9476212B2 (en) * 2014-06-10 2016-10-25 Seyed Hossein Abbasi System and method for structural rehabilitation and enhancement
US10980236B2 (en) 2014-11-04 2021-04-20 Allied Bioscience, Inc. Broad spectrum antimicrobial coatings comprising combinations of organosilanes
US10993441B2 (en) 2014-11-04 2021-05-04 Allied Bioscience, Inc. Antimicrobial coatings comprising organosilane homopolymers
US10258046B2 (en) 2014-11-04 2019-04-16 Allied Bioscience, Inc. Antimicrobial coatings comprising quaternary silanes
US9856360B2 (en) * 2014-11-04 2018-01-02 Allied Bioscience, Inc. Composition and method to form a self decontaminating surface
CN104405170A (zh) * 2014-11-26 2015-03-11 国家电网公司 一种复合渗透防护增强材料的使用方法
WO2016130837A1 (en) 2015-02-11 2016-08-18 Allied Bioscience, Inc. Anti-microbial coating and method to form same
JP2016179919A (ja) * 2015-03-24 2016-10-13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鉄筋コンクリート用防食剤及び防食方法
JP6458995B2 (ja) * 2015-03-31 2019-01-30 大日本塗料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の断面修復及び剥落防止工法
US20170058511A1 (en) * 2015-08-24 2017-03-02 Carlos E. Pena Ramos System and method for filling construction joint spaces
JP6968087B2 (ja) * 2016-03-16 2021-11-17 コンストラクション リサーチ アンド テクノロジー ゲーエムベーハーConstruction Research & Technology GmbH 腐食防止剤が塗布された表面
JP6813958B2 (ja) * 2016-03-31 2021-01-13 株式会社長谷工コーポレーション 高強度コンクリート躯体に対する補修用高強度モルタルの設置方法
JP6940972B2 (ja) * 2017-03-31 2021-09-29 太平洋マテリアル株式会社 鉄筋コンクリートの劣化抑制方法
JP2018172951A (ja) * 2017-03-31 2018-11-08 太平洋マテリアル株式会社 鉄筋コンクリートの劣化抑制方法
JP7184611B2 (ja) * 2018-11-27 2022-12-0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セメント硬化体構造物の保護構造及びセメント硬化体構造物の保護工法
CN109880102B (zh) * 2019-01-15 2021-09-03 中冶建筑研究总院有限公司 海洋工程混凝土结构涂装防护用渗透型防护剂及制备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65884A (ja) 1987-04-22 1988-11-02 Kowa Kagaku Kogyo Kk コンクリ−ト構造物の劣化防止及び補修方法
JPH01160886A (ja) * 1987-12-16 1989-06-23 Yoshio Ichikaw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またはその他のセメント系材料の劣化防止及び補修方法
JPH07157522A (ja) * 1993-12-03 1995-06-20 Nippon Paint Co Ltd 分子内にヒドロシリル基およびアルケニル基を有するアクリル系樹脂およびそれを含む硬化性樹脂組成物
KR20020036930A (ko) * 2000-11-11 2002-05-17 이경정 콘크리트 건축물의 침투성 무기보수재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KR100599586B1 (ko) 2005-03-30 2006-07-13 곽주호 구조물의 균열보수제 및 이의 적용방법
KR100602793B1 (ko) * 2005-03-17 2006-07-20 (주)피엠씨 콘크리트의 표면강화 코팅액의 제조방법
KR20070046583A (ko) * 2005-10-31 2007-05-03 한국전력공사 콘크리트 열화방지를 위한 표면침투 보강제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65884A (ja) 1987-04-22 1988-11-02 Kowa Kagaku Kogyo Kk コンクリ−ト構造物の劣化防止及び補修方法
JPH01160886A (ja) * 1987-12-16 1989-06-23 Yoshio Ichikaw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またはその他のセメント系材料の劣化防止及び補修方法
JPH07157522A (ja) * 1993-12-03 1995-06-20 Nippon Paint Co Ltd 分子内にヒドロシリル基およびアルケニル基を有するアクリル系樹脂およびそれを含む硬化性樹脂組成物
KR20020036930A (ko) * 2000-11-11 2002-05-17 이경정 콘크리트 건축물의 침투성 무기보수재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KR100602793B1 (ko) * 2005-03-17 2006-07-20 (주)피엠씨 콘크리트의 표면강화 코팅액의 제조방법
KR100599586B1 (ko) 2005-03-30 2006-07-13 곽주호 구조물의 균열보수제 및 이의 적용방법
KR20070046583A (ko) * 2005-10-31 2007-05-03 한국전력공사 콘크리트 열화방지를 위한 표면침투 보강제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942B1 (ko) * 2009-03-23 2012-04-30 임채열 노출콘크리트 표면의 보수 및/또는 보강공법
KR100979094B1 (ko) * 2009-08-03 2010-09-02 중앙크리텍 주식회사 겔 타입 발수제를 이용한 기존 및 신설 콘크리트 구조물의 염해 및 중성화 방지용 친환경 표면보호공법
KR100986184B1 (ko) * 2010-06-22 2010-10-07 주식회사 칠만공사 방수용 보강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049960B1 (ko) * 2011-03-08 2011-07-20 (유)원도그린건설 친환경 실리케이트 불연 코팅재를 이용한 건축물의 보수방법
KR101685001B1 (ko) 2016-04-29 2016-12-12 계룡건설산업 주식회사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침투성 코팅보호재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침투성 코팅보호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31594A1 (en) 2008-06-05
US8062699B2 (en) 201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5046B1 (ko) 철근 콘크리트 보수용 표면 침투 보강제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의 보수 방법
KR101882787B1 (ko) 친환경 코팅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및 강재 구조물의 표면 코팅 및 보호 공법
KR102063011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보수 공법
US7670421B2 (en) Penetration reinforcing agent for preventing aging of concrete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KR101364077B1 (ko) 친환경 단면 복구 모르타르 및 표면 보호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단면의 보수 보호 공법
KR101691845B1 (ko) 코코스 섬유를 혼입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친환경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1624950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 공법
KR102158503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및 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및 보강 공법
KR100820276B1 (ko) 콘크리트 보수재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콘크리트 보수재용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KR101133782B1 (ko) 고분자 융합 신소재와 탄소 나노튜브 단면 보수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증대를 위한 표면 처리 공법과 그 콘크리트 구조물
KR101222086B1 (ko) 알카노아민계 다기능 첨가제가 혼합된 콘크리트 보수보강재를 이용한 시공방법
JP2015531737A (ja) 建造物用途の多目的のモルタル組成物又はセメント組成物
KR102021817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유지 보수 방법
KR102102627B1 (ko) 균열억제형 기능성 보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유지 및 보수 방법
KR102193762B1 (ko) 속건성 충진보수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복합 보수공법
KR102168861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및 보강용 기능성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및 보강 공법
KR102266502B1 (ko) 콘크리트 단면 보수 보강공법
KR101747319B1 (ko) 점자블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자블록 제조방법
KR102261573B1 (ko) 콘크리트 보수 보강공법
KR102361953B1 (ko) 공압방식의 치핑장치를 이용하여 철거함에 따라 기존 구조물의 손상이 적고 우수한 배합비의 폴리머 몰탈을 분사장치로 시공하며 마감처리 보호재를 균일한 도포방식으로 시공하여 부착력을 향상시킨 보수공법
KR101046970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보호재로서 레이들 슬래그 결정성장반응을 이용한 마감재 조성물
KR100526418B1 (ko) 콘크리트 무기보수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표면처리 방법
KR102172007B1 (ko) 성능 개선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시공 방법
KR20120039938A (ko) 시멘트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투수성 도로포장공법
KR101482976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알칼리 회복용 침투성 프라이머 및 이를 이용한 단면복구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8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3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3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1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1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2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08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06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1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12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