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06980B1 - 다층으로된 바스 콘덴서 - Google Patents

다층으로된 바스 콘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6980B1
KR100806980B1 KR1020027016293A KR20027016293A KR100806980B1 KR 100806980 B1 KR100806980 B1 KR 100806980B1 KR 1020027016293 A KR1020027016293 A KR 1020027016293A KR 20027016293 A KR20027016293 A KR 20027016293A KR 100806980 B1 KR100806980 B1 KR 100806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r
bath
liquid
outlet
inl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6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7790A (ko
Inventor
칼 하인리히 슈바이거르트
알프레드 봔너
토마스 헤히트
만프레드 조체크
Original Assignee
린데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데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린데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30007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7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6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698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3/00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5/00Arrangements of cold exchangers or cold accumulators in separation or liquefaction plants
    • F25J5/002Arrangements of cold exchangers or cold accumulators in separation or liquefaction plants for continuously recuperating cold, i.e. in a so-called recuperative heat exchanger
    • F25J5/005Arrangements of cold exchangers or cold accumulators in separation or liquefaction plants for continuously recuperating cold, i.e. in a so-called recuperative heat exchanger in a reboiler-condenser, e.g. within a colum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3/00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 F25J3/02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by rectification, i.e. by continuous interchange of heat and material between a vapour stream and a liquid stream
    • F25J3/04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by rectification, i.e. by continuous interchange of heat and material between a vapour stream and a liquid stream for air
    • F25J3/04763Start-up or control of the process; Details of the apparatus used
    • F25J3/04866Construction and layout of air fractionation equipments, e.g. valves, machines
    • F25J3/04872Vertical layout of cold equipments within in the cold box, e.g. columns, heat exchangers etc.
    • F25J3/04884Arrangement of reboiler-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2250/00Details related to the use of reboiler-condensers
    • F25J2250/02Bath type boiler-condenser using thermo-siphon effect, e.g. with natural or forced circulation or pool boiling, i.e. core-in-kettle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2250/00Details related to the use of reboiler-condensers
    • F25J2250/10Boiler-condenser with superposed st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2290/00Other 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F25J2200/00 - F25J2280/00
    • F25J2290/32Details on header or distribution passages of heat exchangers, e.g. of reboiler-condenser or plate heat exchang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62/00Refrigeration
    • Y10S62/902Apparatus
    • Y10S62/903Heat exchange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paration By Low-Temperature Treatments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Engine Equipment That Uses Special Cycles (AREA)
  • Sorption Type Refrigeration Machines (AREA)
  • Moving Of Head For Track Selection And Chan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용 증발통로(8) 및 열매체용 액화통로(2)를 포함하는 콘덴서 블록(1)을 가진 바스 콘덴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콘덴서 블록(1)은 적어도 2개의 중첩되어 배치된 순환섹션(7)을 구비하며, 이 경우에 상기 증발통로(8)는 순환섹션(7)의 하단에 적어도 하나의 액체용 입구(9)를 각각 포함하고 순환섹션(7)의 상단에 적어도 하나의 출구(10)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콘덴서 블록(1)의 동일한 측면(12) 상에 위치하고 있는 출구(10) 및 입구(9)만이 액체의 유도를 위하여 수단(7, 30)을 통해 연결된다.

Description

다층으로된 바스 콘덴서{MULTISTOREYED BATH CONDENSER}
본 발명은 액체용 증발통로 및 열매체용 액화통로를 포함하고, 중첩되어 배치된 2개 이상의 순환섹션을 구비하는 콘덴서 블록을 가진 바스 콘덴서에 관한 것이며, 이 경우에 상기 증발통로는 순환섹션의 하단에 하나 이상의 액체용 입구를 각각 포함하고 순환섹션의 상단에 하나 이상의 출구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순환섹션의 출구로부터 그 아래에 놓여있는 순환섹션의 입구로 액체를 유도하기 위하여 수단이 제공된다.
압력기둥 및 저압기둥을 가진 저온 기체 분리 시설에서는 압력기둥에서 가스형태의 질소에 대항하여 저압기둥에서 유동하는 산소가 열교환기 내에서의 간접 열교환으로 증발되고, 반면에 상기 질소는 액화된다.
상기 열교환기는 실질적으로 2개의 상이한 기본 형태로 구현된다. 낙하 피막 증발기에서는 증발되어야 할 액체가, 가스폐쇄장치로 동시에 형성되는 분배 장치를 통해서 위쪽의 증발통로 내로 유입된다. 상기 액체는 액체피막으로서 가열 표면을 통해서 아래쪽으로 흐르게 되며, 이 경우에 상기 액체는 그 일부가 증발된다. 상기 생성된 가스 및 증발되지 않은 잔여 액체는 아래에서 상기 낙하 피막 증발기로부터 방출된다. 상기 액체는 콘덴서 아래에 배치된 축적 공간에서 축적되고, 반면에 상기 가스 분량은 계속 흐르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바스 콘덴서에서는, 액체가 증발되어야 하는 액체 바스(獨:Fluessigkeitsbad) 내에 콘덴서 블록이 위치한다. 상기 액체는 아래로부터 상기 콘덴서 블록의 증발통로 내로 들어가고 액화통로를 통해 흐르고 있는 열매체에 대항하여 그 일부가 증발된다. 상기 증발통로 내에서 증발되는 매체의 밀도가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액체 바스의 밀도보다 낮기 때문에 사이펀 작용이 일어나게 되어, 액체는 상기 액체 바스로부터 증발통로 내로 뒤따라 흐르게 된다. 상기 액체 바스 내에서 상기 콘덴서 블록의 액침 깊이가 크면 클수록, 상기 증발통로 내에서의 평균의 유체정역학적인 압력은 높아지고 액체의 증발이 어렵게 되는데, 그 이유는 상기 액체의 비등온도가 증기압 곡선에 따라서 상승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상기 바스 콘덴서 효율은 상기 콘덴서 블록(이하에서는 순환섹션으로 명명됨)을 다수의 중첩되어 배치된 섹션으로 분할하는 것에 의해 높아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배치의 장점은 단일의 높은 콘덴서 블록의 경우보다 다수의 순환섹션의 경우에 액침 깊이가 각각 더 작다는 것이다. 따라서 증발통로 내에서의 유체정역학적인 압력이 작아지며, 액체가 보다 쉽게 증발된다.
독일 특허출원 199 39 294호에는 다층으로된 바스 콘덴서가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바스 콘덴서에서는 2개의 콘덴서 블록이 평행으로 서로 마주보고 배치되어 있고 각 층에 대해서 상기 블록 사이에는 증발되어야할 액체를 위한 액체 저장기가 위치한다. 상기 증발통로는 수직 방향으로 다수의 층으로 분할되는데, 상기 층은 독자적인 순환섹션을 형성한다. 액침 깊이는 상대적으로 작게 유지된다.
개별적인 순환섹션 내에서 액체가 아래로부터 증발통로 내로 유입되고, 액체-가스-혼합물로서 입구 측과 마주 놓인 상기 콘덴서 블록의 측면 상에 있는 순환섹션의 상단에서 다시 방출된다. 상기 방출된 액체는 라인을 통하여 상기 콘덴서 블록 주위로 유도되고 다시 액체 저장기 내로 되돌아 흘러 들어간다. 상기와 같은 배치에서는, 2개의 평행한 콘덴서 블록 및 필요되는 배관으로 인하여 배관시 비용이 과도하고 공간소요가 많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견고한(獨:kompakt) 다층으로된 바스 콘덴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서두에 언급한 종류의 바스 콘덴서에 의해 달성되는데, 상기 바스 콘덴서에서는 액체의 유도를 위한 수단이 단지 상기 콘덴서 블록의 동일한 측면 상에 위치하고 있는 출구 및 입구에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바스 콘덴서는 2개 이상의 중첩되어 배치된 순환섹션으로 구성되며, 상기 순환섹션에는 액체를 가진 고유의 액체 저장기가 각각 제공된다. 상기 바스 콘덴서를 수직으로 분할함으로써, 각 순환섹션의 액체 저장기 내에 있는 액높이가 하나의 단일하게 통과되는 콘덴서 블록에서의 액높이에 비해서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액체는 순환섹션의 하단에 있는 입구를 지나서 증발통로 내로 들어가고, 위쪽으로 흐르게 되며, 그 일부가 증발되고 상기 순환섹션의 상단에서 적합한 출구를 지나 상기 통로를 떠나게 된다. 상기 통로로부터 방출된 액체-가스-혼합물 내에 있는 액체 분량은 한 편으로는 상기 순환섹션의 입구로 되돌아 흐르게 되고, 다른 한 편으로는, 상기 순환섹션의 액체 저장기 내에서의 액높이에 따라서, 그 아래에 놓여있는 순환섹션의 입구로 흐르게 되어, 그 곳에서 다시 증발통로를 통해서 내몰리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바스 콘덴서에서는, 그 사이로 액체가 흐르게 되는 출구 및 입구가 모두 콘덴서 블록의 동일한 측면 상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상기 순환섹션의 내부에서 액체를 여러차레 내몰리게 하기 위하여 또는 인접하는 순환섹션에 상기 액체를 공급하기 위하여 과도하게 배관을 할 필요가 없다.
바람직하게는 최대로 상기 콘덴서 블록의 2개 측면에 입구 및/또는 출구가 설치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서, 콘덴서 블록의 상이한 측면 상에 위치하는 입구 및 출구는 상기 콘덴서 블록의 외부에서는 흐름 측면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데, 다시 말해서 상기 콘덴서 블록의 어느 한 측면 상에 있는 출구로부터 나오는 액체는 상기 콘덴서 블록의 다른 한 측면 상에 위치하는 입구 내로 흘러들어갈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콘덴서 블록의 내부에서는 원칙적으로 증발통로간의 액체 교환이 근소한 정도로 가능하며, 그 이유는 개별 증발통로를 서로 분리시키고 있는 주름잡힌 평판이 종종 구멍이 뚫려 있기 때문이다. 상기 콘덴서 블록의 2개의 측면 상에 입구 내지는 출구가 존재한다면, 상기 콘덴서 블록은 그 사이에서는 액체가 교환되지 않는, 2개의 평행한 증발통로 그룹을 갖게 될 것이다. 한 측면의 출구로부터 나오는 액체는, 그 입구가 마찬가지로 상기 측면 상에 위치하는 증발통로 내로만 들어갈 것이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2개의 마주놓인 콘덴서 블록의 측면 상에 증발통로로의 입구 및 출구가 각각 위치한다. 이 경우에, 상기 콘덴서 블록이 상기 양 측면 사이의 중간지점에 거울대칭적으로 구성되어 있다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콘덴서 블록의 견고한 설계는 모든 입구 및 출구가 열교환기의 동일한 측면 상에 위치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입구 내지는 출구 서로간의 연결을 위한 라인은 단지 콘덴서 블록의 외측면 상에서만 필요할 뿐이다. 바스 콘덴서에 있는 다른 3개의 측면 경계들은 상기 콘덴서 블록의 외벽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관계로부터 어떤 다른 것이 생겨나지 않는 한, "위", "아래" 및 "옆"의 명칭은 각각 상기 바스 콘덴서의 작동시에 놓이게 되는 콘덴서의 배열과 관련이 있으며, 상기 배열에서는 개별적인 순환섹션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중첩되어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구 내지는 출구와 증발통로간의 흐름 연결은 수평으로 또는 경사져서 진행되는 채널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콘덴서 블록은 다수의 중첩되어 올려진, 주름잡힌 박판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박판은 평평한 분리 평판에 의해 서로간에 각각 분리되어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박판 및 분리 평판은 액화통로 및 증발통로를 형성한다. 상기 증발통로로의 입구 내지는 출구 영역 내에서는 상기 주름잡힌 박판이 경사져서 배치됨으로써, 상기 수직으로 진행되는 증발통로 내로 흘러들어가는 유체가 상기 콘덴서 블록의 측벽에 위치하는 입구 내지는 출구쪽으로 방향이 바뀌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입구 및/또는 출구가 위치하는 순환섹션의 측면에 액체공급라인 및 가스 도관을 포함하고 있는 축적기가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순환섹션은 직사각형의 측벽을 포함한다. 상기 축적기가 적어도 순환섹션의 측벽에 있는 입구 및 출구를 덮게 되며, 바람직하게는 순환섹션의 측벽 전체까지도 덮게 된다. 상기 축적기의 벽과 상기 순환섹션의 측벽에 의해서, 주위에 대해 차폐되고 이를 위해 제공된 공급라인 및 도관까지 가스밀봉 및 액체밀봉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본 변형예에서 상기 바스 콘덴서는 상기 콘덴서 블록의 측벽에 의해 또는 입구 및/또는 출구가 위치하는 측면 상에서 상기 축적기의 외벽에 의해 측면적으로 경계가 정해진다. 콘덴서를 최대한 견고하게 만드는, 바스 콘덴서를 둘러싸는 별개로된 용기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이로써 용기벽용 재료가 절약되고 제조에 필요한 용접점의 전체 길이가 현저하게 줄어들어, 생산이 간소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적기용 벽두께가 다른 필요되는 용기 벽에서보다 더 얇은 벽두께가 선택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상기 축적기의 직경이 콘덴서를 둘러싸고 있는 용기의 직경과 같은 크기로 구현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이것은 분명히 비용절감을 가져온다.
다수의 순환섹션의 측면을, 특히 입구 및/또는 출구가 위치하는 콘덴서 블록의 전체 측면을 액체공급라인과 가스 도관이 설비되어 있는 축적기로 덮는 것이 특히 장점인 것으로 밝혀졌다. 상기 축적기에서는 모든 순환섹션용으로 적합한 액체 저장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축적기 내에 또는 상기 축적기에는 순환섹션으로 및 순환섹션으로부터 액체 및/또는 가스를 공급 및 도출시키기 위한 라인 또는 개구가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축적기가 2개의 순환섹션의 경계에 접하여 층으로 분할되며, 이 경우에 2개의 인접한 층은 액체 라인 및 가스 라인을 통해서 흐름 방향으로 서로 연결된다. 다수의 순환섹션의 높이에 걸쳐서, 바람직하게는 콘덴서 블록의 전체 높이에 걸쳐서 연장되는 축적기는 순환섹션에 상응하게 층으로 분할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층은 평평한 평판 또는 구부러진 바닥에 의해 서로간에 경계가 정해진다. 개별적인 층이 서로에 대해 특별히 이를 위해 제공된 흐름 연결까지 가스 밀봉 및 액체 밀봉되는 경계가 결정됨으로써, 층의 볼륨이 인접한 순환섹션을 위한 액체 저장기로서 이용될 수 있다면 특히 바람직하다.
한 층으로부터 그 아래 놓여 있는 층으로의 액체 운송은 바람직하게 일류관을 통해서 보장된다. 상기 축적기의 층의 바닥은 일류관이 관통하고 상기 일류관의 개구는 상기 바닥의 상부에 위치한다. 순환섹션으로부터 상기 층으로 흘러들어가 액체가 상기 층의 바닥에 모아지고, 액높이가 상기 일류관의 개구 높이에 다다른 이후에 비로소 그 아래 놓여있는 층으로 흘러 내려간다. 보다 낮은 액높이에서는 상기 양 층 중 상부 층에서만 액체가 내몰리게 된다.
상기 축적기를 다수의 층으로 분할하는 것에 의해, 상기 할당되어 있는 순환섹션 내에서 증발되었던 가스만이 하나의 층을 관통하여 흐르게 된다. 그러므로 층에서의 가스 속도가 상대적으로 줄어드는데, 특히 상기 가스를 위한 축적기 영역이 분리되어 있지 않은 바스 콘덴서에서 보다 더 줄어든다. 상기 방식으로, 증발된 가스와 함께 다량의 액체가 휩쓸려 나오게 되어 액높이가 인접 층의 흐름 연결 개구보다 아래에, 예컨대 일류관의 유입 모서리 아래로 떨어지는 위험성이 방지될 수 있다.
액체가 함께 휩쓸려 나가는 위험성은 바람직하게 층의 가스 라인으로의 유입부가 상기 층의 증발통로의 출구 위에 위치함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순환섹션 내에서 증발된 가스는, 상기 가스가 관통하여 상기 층으로부터 도출되어지는 가스 라인 내로 유입되기 이전에, 일정 거리를 상승해야 한다. 상기 순환섹션으로부터의 출구와 상기 가스 라인으로의 유입부 사이의 볼륨은 추가적인 별도의 공간으로서 이용되고, 상기 추가적인 별도의 공간 내에서 가스와 함께 휩쓸려 나가는 액체가 가스 흐름으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가스라인의 가스 유입부를 증발통로의 출구와 반대되는 측면 상에 설치하는 것 또한 바람직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상기 출구로부터 방출되는 가스는 가스 라인으로 유입되기 이전에 상기 층 내에서 방향이 바뀌게 되는데, 이로써 액체가 마찬가지로 보다 쉽게 가스 흐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축적기가 액화통로 및 증발통로에 수직인 평면에 반원형의 또는 반타원형의 횡단면을 포함함으로써, 다시 말해서, 예컨대 반원형으로 구부러진 평판에 의해 구현됨으로써, 상기 축적기에 있어서 구성상의 비용이 낮게 유지될 수 있는데, 상기 반원형으로 구부러진 평판은 입구 내지는 출구가 제공되어 있는 콘덴서 블록 측면의 양 모서리와 결합된다.
2개의 층을 서로 연결하거나 층으로부터 가스를 유도하는, 상기 액체 라인 또는 가스 라인은 바람직하게 상기 축적기의 내부에서 진행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체 라인과 가스 라인이 동시에 축적기의 내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바스 콘덴서가 최대한 견고하게 유지되고 상기 콘덴서 블록 및 축적기의 외벽 에 의해서만 외부로 경계가 정해진다. 상기 경계의 외부에서 옆으로는 라인이 몸체의 대부분을 넘어서 진행되지 않는다. 단지, 증발되어야할 유체 및 액화되어야할 유체를 위한 적어도 하나씩의 공급 라인 및 도관만이 물론 필요할 뿐이다. 상기 유체들은 바람직하게도 바스 콘덴서의 상단 및 하단에서 흘러 나온다.
바람직하게는 모든 층을 관통하여 연장되고 각 층에서마다 가스 유입부를 가진 가스 라인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바스 콘덴서는 저온 기체 분리 시설의 메인 콘덴서로서 특히 장점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 및 본 발명에 대한 그 밖의 상세는 하기와 같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도 2의 라인 B - B를 따르는 본 발명에 따른 바스 콘덴서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라인 A - A를 따르는 본 발명에 따른 바스 콘덴서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대안적인 실시형태에 대한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4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는 기체 분리 시설에 있는 이중기둥의 메인 콘덴서로서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바스 콘덴서에 대한 단면도이다. 상기 메인 콘덴서는 이중기둥의 저압기둥 내에 배치될 수도 있고, 또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중기둥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은 도 2의 라인 B - B를 따르는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도 1의 라인 A - A를 따르는 단면도를 도시한다. 상기 바스 콘덴서는 다수의 평행하게 진행되는 열교환통로(2, 8)를 포함하는 콘덴서 블록(1)으로 구성되며, 상기 열교환통로 내에서 가스형태의 질소는 유동하는 산소가 열교환되는 가운데 액화되며, 이 경우에 산소는 증발된다.
질소 통로(2)는 콘덴서 블록(1)의 전체 높이에 걸쳐서 연장된다. 가스형태의 질소가 공급라인(4)을 지나서 상기 질소 통로(2)로 공급되고, 액체로서 상기 블록(1)의 하단에서 라인(5)을 통해서 배출된다. 상기 가스형태의 질소는 상기 콘덴서 블록(1)과 연결되어 있는 축적기/분배기(6)에 의해 상기 질소 통로(2)로 분배된다. 상기 콘덴서 블록(1)의 열교환통로로부터 방출되는 액체 질소는 유사한 방식으로 배출라인(5) 내로 모아진다.
산소 통로(8)는 상기 질소 통로(2)와는 반대로 콘덴서 블록(1)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지 않고, 라인(5) 내에서 순환섹션(7a 내지 7e)으로 분할되어 있다. 모든 순환섹션(7a 내지 7e)은 수직으로 진행되는 콘덴서 블록(1)의 중간지점에 수직으로 거울대칭적으로 구성된다. 상기 양 대칭적인 절반 중 모든 절반은 열교환통로(8)로 구성되고, 상기 열교환통로(8)에는 순환섹션(7)의 상단 및 하단에서 수평으로 진행되는 통로(9, 10)가 연결되는데, 상기 통로(9, 10)는 액체 및 가스를 상기 산소 통로(8) 내로 공급하고 반출하는데 이용된다. 순환섹션(7)에 있는 상기 양 대칭적인 절반의 유입통로 및 유출통로(9, 10)는 콘덴서 블록(1)의 동일한 측면 상에서 각각 끝난다.
상기 순환섹션(7a 내지 7e)은 모두 동일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콘덴서 블록(1)은 폐쇄판(11)으로 끝나는 2개의 측면 및 2개의 마주 놓인 측면(12)을 포함하며, 상기 측면(12) 내에는 모든 순환섹션(7a 내지 7e)을 위해서 액체 산소용 입구(9) 및 일부가 증발되어 있는 산소용 출구(10)가 각각 위치한다.
입구 및 출구(9, 10)가 제공된, 콘덴서 블록(1)의 양 측면(12)은 전체 측표면(12)을 덮는 반원통형 씌우개(13)와 결합된다. 상기 반원통형 씌우개(13)는 네모형태인 콘덴서 블록(1)의 수직 모서리를 끝마감한다. 상기 콘덴서 블록(1)의 서로 마주 놓인 측면 상에 위치하고 측벽(12) 및 반원통형 씌우개(13)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공간(14)은 상기 콘덴서 블록(1) 높이의 외형에 걸쳐서 서로 결합되어 있지 않다. 상기 양 공간(14)은 콘덴서 블록(1)의 상부에서 유일하게 결합되는데, 그 이유는 상기 반원통형 씌우개(13)가 콘덴서 블록(1)보다 높고 상기 콘덴서 블록(1)의 상부에 있는 영역에서 서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상기 바스 콘덴서는 2개의 반원통형 씌우개(13)가 그 양 측면(12)에 연결되어 있는 콘덴서 블록(1) 및 상기 콘덴서 블록(1)과 상기 양 반원통형 씌우개(13)를 팽팽하게 덮고 있는 두부(21a)로 구성된다.
상기 반원통형 씌우개(13)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 공간(14)은 평판(16)에 의해 다수의 층(15a 내지 15e)으로 분할된다. 상기 평판(16)은 2개의 순환섹션(7) 사이의 경계로부터 콘덴서 블록(1)의 측면 상에 배치된 반원통형 씌우개(13)까지 연장된다. 상기 평판(16)에는 유출개구(17)가 위치하고, 상기 유출개구(17)를 통하여 액체 산소가 예컨대 15b인 층으로부터 그 아래 놓여있는 예컨대 15c인 층 내 로 흘러 내려갈 수 있다. 또한, 평판(16)으로부터 그 아래 놓여있는 평판(16)의 하부에 까지 접근해 있는 가스갱(18)이 상기 평판(16)과 결합된다.
상기 가스갱(18)은 일렬로 배치되고 실용적으로 공동의 가스 축적 라인을 형성하는데, 이 경우에는 각 층(15)으로부터 상기 가스축적 라인 내로 가스의 유입을 가능하게 하는 갭(19)이 각 가스갱(18)의 상단과 그 아래 놓여있는 평판(16) 사이에 유지된다. 상기 평판(16)의 적어도 일부가 위쪽으로 상승하여 진행됨으로써, 상기 환형 갭(19)이 각 층(15)의 출구(10) 상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평판(16)이 직각으로 2번 접혀있어, 2개의 평판(16) 사이에 서로 결합되어 있는 2개의 공간(20, 21)으로 구성된 하나의 층(15)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20c)은 부속하는 순환섹션(7c)과 같은 높이로 있고 액체 저장기로서 이용된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제 2 공간(21c)은 그 다음으로 약간 높은 순환섹션(7b)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액체 저장기(20c) 옆으로 위쪽으로 옮겨져 있는 일종의 추가 저장소를 형성한다.
상기 바스 콘덴서가 작동하면, 라인(22)을 통하여 액체 산소가 맨 위에 있는 양 층(15a) 내로 들어간다. 우선 상기 산소는 저장기(20a) 내에 축적되고, 유입통로(9)를 통해서 산소통로(8) 내로 유입되고, 질소에 의한 간접 열교환으로 일부가 증발되고, 다시 상기 저장기(20a)로 축적되기 위하여 액체-가스-혼합물로서 유출통로(10)를 지나서 상기 콘덴서 블록(1)을 떠나게 된다. 상기 저장기 내에 있는 액체 정도가 유출 채널(10)의 높이까지 상승하면, 액체 산소는 연결 갭을 지나서 별도 공간으로 이용되고 있는 제 2 공간(21a) 내로 흐르게 된다.
상기 별도의 공간(21a)은 바닥에 유출개구(17)를 포함하며, 상기 유출개구를 통해서 잔여 액체 산소가 층(15a)로부터 그 아래 놓여있는 층(15b) 내로 흐르게 된다. 이 경우에 2개의 인접한 층(15)의 유출개구(17)는 서로 벗어나서 배치되도록 하여, 예컨대 층(15b)으로부터 떨어지는 산소가 층(15d)로 직접 흐르지 않고 우선은 층(15c)에 머물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출개구(17)는 적어도 부속하는 층(15)의 출구(10)가 위치하는 만큼 높게 배치된다. 즉, 상기 바스 콘덴서의 개별적인 순환섹션(7)이 적어도 액체 바스 내에 잠수되도록 하여, 적어도 저장기(20) 내의 액체수위가 출구(10)의 하부 모서리의 아래 가까이에 있게된다. 이로써, 증발통로(8) 내에서 전체 증발이 배제되고 비휘발성 성분에 의한 통로(8)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층(15b) 내로 흘러 내려간 산소는 다시 저장기(20b) 내에 축적되고, 순환섹션(7b) 내에서 내몰리고 그 일부가 증발된다. 그런 다음 상기 저장기(20b) 내의 잔여 액체는 유출개구(17)를 통해서 층(15c) 내로 흐르게 된다. 증발시에 순환섹션(7) 내에서 발생한 산소가스는 액체 산소와 함께 출구(10)로부터 흘러나오게 되고 가스갱(18)을 거치면서 방향이 바뀌게 된다. 상기 과정은 각각의 층(15)에서 반복된다.
측면으로 및 위쪽으로 벗어난 별도의 공간(21)의 배치 및 가스갱(18)으로 환형 갭형태로 된 가스 유입부(19)에 의해 산소가스는, 층(15)으로부터 빠져나오기 이전에 여러차레 방향을 바꾸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방향 전환될 때 가스형태의 산소의 유속이 급격히 떨어짐으로써, 상기 가스형태의 산소는 액체 산소와 함께 휩쓸리지 않게 되거나 거의 휩쓸리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별도의 공간(21) 내에서 매우 우수한 액체-가스-분리가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갱(18)을 지나서 상승하는 산소가스는 바스 콘덴서의 상단에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산소 배출 라인을 통해 방출된다.
도 3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스 콘덴서의 변형예에 대한 사시도가 도시된다. 상기 실시형태는, 상기 양 반원통형 씌우개(13)가 서로간에 어떠한 흐름 연결도 갖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도 1 및 도 2에 의해 설명된 콘덴서와 실질적으로 구별된다. 상기 반원통형 씌우개(13)는 콘덴서 블록(1)의 양쪽 개방되어 있는 측면(12)으로 끝난다. 상기 콘덴서 블록(1)과 양 반원통형 씌우개(13)를 팽팽하게 덮고 있는 두부(21a)를 포기함으로써, 상기 콘덴서는 도 1 및 도 2에 따른 바스 콘덴서보다 더 견고하게 되지만, 액체 산소 또는 가스형태의 산소의 공급 라인 및 도관용으로 많은 파이프 라인 내지는 연결 지지부를 이중으로 필요로 한다.
도 4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스 콘덴서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며, 상기 바스 콘덴서에서는 산소통로(8)가 콘덴서 블록(1)의 한 측면 상에서만 입구 및 출구(9, 10)를 갖는다. 도시되지 않은 질소통로는 도 2의 통로(2)와 동일하고 마찬가지로 콘덴서 블록의 전체 높이에 걸쳐서 연장된다. 열전달체로서 이용되는, 액화되어야할 질소가스는 축적기/분배기(6)를 통해서 질소통로 내로 분배되고 콘덴서 블록(1)의 하단에서 축적기(5) 내에 액체로서 모아지고 방출된다.
산소측에서 상기 콘덴서 블록(1)은 5개의 순환섹션(7a 내지 7e)으로 분할되고, 상기 순환섹션(7a 내지 7e)은 수평으로 진행되는 박판이 있는 입구 영역 및 출 구 영역(9, 10)과 수직 채널이 있는 본래의 열교환 영역(8)을 포함한다. 모든 입구(9) 및 출구(10)는 상기 콘덴서 블록(1)의 동일한 측면 상에 위치한다.
상기 콘덴서 블록(1)의 개방되어 있는 측면에는 마찬가지로 액체 저장기(20) 및 별도의 공간(21)이 제공된다. 층(15) 사이에서의 액체 흐름은 일류관(30)을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일류관(30)의 상부 모서리는 부속하는 순환섹션(7)의 상부 모서리와 같은 높이로 위치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산소통로(8)와 해당 입구 및 출구(9, 10)가 언제나 완전히 액체 바스 내에 있게 된다. 상기 증발통로(8)는 항상 액체로 채워지게 되고, 이로써 비휘발성 성분에 의한 통로(8)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Claims (16)

  1. 액체용 증발통로 및 열매체용 액화통로를 포함하고 2개 이상의 중첩되어 배치된 순환섹션이 구비된 콘덴서 블록을 가진 바스 콘덴서로서, 상기 증발통로가 순환섹션의 하단에 하나 이상의 액체용 입구를 각각 포함하고 순환섹션의 상단에 하나 이상의 출구를 각각 포함하며, 순환섹션의 출구로부터 그 아래 놓여있는 순환섹션의 입구로 액체를 유도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는, 바스 콘덴서에 있어서,
    상기 수단(17, 30)이 단지 액체의 유도를 위하여 콘덴서 블록(1)의 동일한 측면(12) 상에 위치하고 있는 출구(10) 및 입구(9)에만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 콘덴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콘덴서 블록(1)의 최대 2개 측면(12)에 입구(9) 또는 출구(10)가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 콘덴서.
  3. 제 1 항에 있어서,
    모든 입구(10) 및 출구(10)가 콘덴서 블록(1)의 동일한 측면(12) 상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 콘덴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입구(9) 내지는 출구(10)와 증발통로(8) 사이의 흐름 연결이 수평으로 진행되는 채널에 의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 콘덴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입구(9) 또는 출구(10)가 위치하는 순환 섹션(7)의 측면에 액체 공급 라인(22) 및 가스 도관(18)을 가진 축적기(13)가 설치되고, 축적기가 순환섹션(7)의 입구(9) 또는 출구(10)를 덮음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 콘덴서.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입구(9) 또는 출구(10)가 위치하는 콘덴서 블록(1)의 측면(12)에 액체 공급 라인(22) 및 가스 도관(18)을 가진 축적기(13)가 설치되고, 축적기가 다수의 순환섹션(7)의 측면을 덮음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 콘덴서.
  7. 제 6 항에 있어서,
    축적기(13)가 2개의 순환섹션(7)의 경계를 따라서 층(15)으로 각각 분할되고, 이 경우에 2개의 인접한 층(15)은 액체 라인(17, 30) 및 가스 라인(18)을 통해서 흐름 측면에서 서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 콘덴서.
  8. 제 7 항에 있어서,
    2개의 인접한 층(15)이 일류관(30)을 통해서 흐름 측면에서 서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 콘덴서.
  9. 제 7 항에 있어서,
    축적기(13)가 평평한 평판(16) 또는 구부러진 바닥에 의해 층(15)으로 분할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 콘덴서.
  10. 제 7 항에 있어서,
    층(15)의 가스 도관(18)으로의 유입부가 층(15)의 증발통로(8)의 출구(10) 상부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 콘덴서.
  11. 제 7 항에 있어서,
    축적기(13)가 액화통로(2) 및 증발통로(8)에 수직인 평면에서 반원형의 또는 반타원형의 횡단면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 콘덴서.
  12. 제 7 항에 있어서,
    2개의 층(15)을 연결하는 액체 라인(17, 30) 또는 가스 라인(18)이 축적기(13)의 내부에서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 콘덴서.
  13. 제 7 항에 있어서,
    가스 라인(18)의 가스 유입부가 증발통로(8)의 출구(10)와 마주하고 있지 않은 측면 상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 콘덴서.
  14. 제 7 항에 있어서,
    가스 라인(18)이 모든 층(15)을 관통해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 콘덴서.
  1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화통로(2)가 콘덴서 블록(1)의 전체 높이에 걸쳐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 콘덴서.
  1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저온 기체 분리 시설의 메인 콘덴서로서 사용하기 위한 바스 콘덴서.
KR1020027016293A 2000-05-31 2001-05-31 다층으로된 바스 콘덴서 Expired - Lifetime KR1008069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27139A DE10027139A1 (de) 2000-05-31 2000-05-31 Mehrstöckiger Badkondensator
DE10027139.1 2000-05-31
EP00115782.5 2000-07-21
EP00115782A EP1160526A1 (de) 2000-05-31 2000-07-21 Mehrstöckiger Badkondensator
PCT/EP2001/006207 WO2001092799A1 (de) 2000-05-31 2001-05-31 Mehrstöckiger badkondens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7790A KR20030007790A (ko) 2003-01-23
KR100806980B1 true KR100806980B1 (ko) 2008-02-25

Family

ID=26005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6293A Expired - Lifetime KR100806980B1 (ko) 2000-05-31 2001-05-31 다층으로된 바스 콘덴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748763B2 (ko)
EP (2) EP1160526A1 (ko)
JP (1) JP5452830B2 (ko)
KR (1) KR100806980B1 (ko)
CN (1) CN1208591C (ko)
AT (1) ATE305122T1 (ko)
AU (1) AU2001262327A1 (ko)
DE (2) DE10027139A1 (ko)
ES (1) ES2249439T3 (ko)
TW (1) TW497981B (ko)
WO (1) WO20010927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6187A (ja) * 2004-10-13 2008-05-15 ヨーク・インターナショナル・コーポレーション 落下フィルム蒸発器
EP1837614A1 (de) * 2006-03-23 2007-09-26 Lind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dampfen einer sauerstoffangereicherten Einsatzflüssigkeit un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Tieftemperaturzerlegung von Luft
EP2097687A2 (en) * 2006-12-21 2009-09-09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Falling film evaporator with a hood and a flow distributor
CN102788451B (zh) 2008-01-11 2014-07-23 江森自控科技公司 蒸汽压缩系统
US20110056664A1 (en) * 2009-09-08 2011-03-10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Vapor compression system
US10209013B2 (en) 2010-09-03 2019-02-19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Vapor compression system
EP2503270A1 (de) 2011-03-22 2012-09-26 Lind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zeugung eines Sauerstoffprodukts durch Tieftemperaturzerlegung von Luft
CN103998883B (zh) 2011-09-20 2016-12-14 林德股份公司 低温分离空气的方法和设备
DE102011113671A1 (de) 2011-09-20 2013-03-21 Linde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Tieftemperaturzerlegung von Luft
DE102011113668A1 (de) 2011-09-20 2013-03-21 Lind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Tieftemperaturzerlegung von Luft
DE102013017590A1 (de) 2013-10-22 2014-01-02 Lind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Gewinnung eines Krypton und Xenon enthaltenden Fluids und hierfür eingerichtete Luftzerlegungsanlage
DE102013018664A1 (de) 2013-10-25 2015-04-30 Lind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Tieftemperaturzerlegung von Luft und Tieftemperatur-Luftzerlegungsanlage
JP6087326B2 (ja) 2014-08-22 2017-03-01 大陽日酸株式会社 多段液溜式凝縮蒸発器
EP3040665A1 (de) 2014-12-30 2016-07-06 Linde Aktiengesellschaft Destillationssäulen-system und anlage zur erzeugung von sauerstoff durch tieftemperaturzerlegung von luft
EP3059536A1 (de) 2015-02-19 2016-08-24 Lind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Gewinnung eines Druckstickstoffprodukts
EP3067649A1 (de) 2015-03-13 2016-09-14 Linde Aktiengesellschaft Destillationssäulen-system und verfahren zur erzeugung von sauerstoff durch tieftemperaturzerlegung von luft
EP3067648A1 (de) 2015-03-13 2016-09-14 Linde Aktiengesellschaft Destillationssäulen-system und verfahren zur erzeugung von sauerstoff durch tieftemperaturzerlegung von luft
WO2016146238A1 (de) 2015-03-13 2016-09-22 Linde Aktiengesellschaft Destillationssäulen-system, anlage und verfahren zur erzeugung von sauerstoff durch tieftemperaturzerlegung von luft
WO2016146246A1 (de) 2015-03-13 2016-09-22 Linde Aktiengesellschaft Anlage zur erzeugung von sauerstoff durch tieftemperaturzerlegung von luft
EP3067650B1 (de) 2015-03-13 2018-04-25 Linde Aktiengesellschaft Anlage und verfahren zur erzeugung von sauerstoff durch tieftemperaturzerlegung von luft
DE102015009563A1 (de) 2015-07-23 2017-01-26 Linde Aktiengesellschaft Luftzerlegungsanlage und Luftzerlegungsverfahren
EP3133361B1 (de) 2015-08-20 2018-06-13 Linde Aktiengesellschaft Destillationssäulen-system und anlage zur erzeugung von sauerstoff durch tieftemperaturzerlegung von luft
EP3163237A1 (de) 2015-10-29 2017-05-03 Linde Aktiengesellschaft Destillationssäulen-system und verfahren zur erzeugung von sauerstoff durch tieftemperaturzerlegung von luft
DE102016003383A1 (de) 2016-03-18 2017-09-21 Lind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Tieftemperaturzerlegung von Luft
CN107588667B (zh) * 2017-10-12 2023-10-03 开封空分集团有限公司 星形多层冷凝蒸发器
CN107830753A (zh) * 2017-11-27 2018-03-23 南京高正农用化工有限公司 复合式天然气液化装置
JP7103816B2 (ja) * 2018-03-29 2022-07-20 大陽日酸株式会社 空気液化分離によるアルゴンの製造装置及び方法
EP3614084A1 (de) 2018-08-22 2020-02-26 Lind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anlage zur tieftemperaturzerlegung von luft
CN112805524B (zh) 2018-10-23 2022-12-06 林德有限责任公司 用于低温分离空气的方法和设备
US12130081B2 (en) 2019-01-28 2024-10-29 Taiyo Nippon Sanso Corporation Multistage liquid storage-type condenser-evaporator and nitrogen production device using the same
DE102019001960A1 (de) 2019-03-20 2019-07-18 Lind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Anlage zur Tieftemperaturzerlegung von Luft
WO2021190784A1 (de) 2020-03-23 2021-09-30 Linde Gmbh Verfahren und anlage zur tieftemperaturzerlegung von luft
EP3910274A1 (de) 2020-05-13 2021-11-17 Linde GmbH Verfahren zur tieftemperaturzerlegung von luft und luftzerlegungs anlage
CN111905672B (zh) * 2020-06-22 2021-10-08 西安交通大学 一种多通道连续在线检测光催化反应装置
EP4189311B1 (de) 2020-08-03 2024-08-28 Linde GmbH Verfahren und anlage zur durchführung eines industrieprozesses
DE102020006393A1 (de) 2020-10-17 2022-04-21 Linde Gmbh Verfahren und Anlage zur Tieftemperaturzerlegung von Luft
WO2023110142A1 (de) 2021-12-13 2023-06-22 Linde Gmbh Verfahren zur tieftemperaturzerlegung von luft und luftzerlegungsanlage
EP4230936A1 (en) 2022-02-17 2023-08-23 Linde GmbH Cryogenic air rectification system, control unit, air separation unit and method of cryogenically separating air
DE102023000844A1 (de) 2022-04-28 2023-11-02 Linde Gmbh Verfahren und eine Anlage zur kryogenen Abtrennung von Stickstoff aus einem Einsatzgas
CN120129811A (zh) 2022-11-17 2025-06-10 林德有限责任公司 用于低温分离空气的方法和空气分离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86248A1 (en) 1988-07-04 1990-09-12 Japan Oxygen Co. Ltd. Condenser/evaporator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390A (en) * 1934-04-11 1935-06-11 Griscom Russell Co Heat exchanger
DE1949609C3 (de) * 1969-10-01 1978-05-11 Linde Ag, 6200 Wiesbaden Kondensatorverdampfer für einen Doppelsäulenrektifikator
BE789479A (fr) * 1971-10-01 1973-03-29 Air Liquide Echangeur de chaleur et sa mise en oeuvre
FR2237158A1 (en) * 1973-07-03 1975-02-07 Teal Procedes Air Liquide Tech Heat exchanger module for several different coolants - esp. for gas liquefaction comprises one drum per coolant
JPS6043983U (ja) * 1983-09-02 1985-03-28 日本酸素株式会社 大型空気分離装置用凝縮器
JPS60253782A (ja) * 1984-05-30 1985-12-14 日本酸素株式会社 大型空気分離装置用凝縮器
JPH0668434B2 (ja) * 1986-12-26 1994-08-31 日本酸素株式会社 蒸発器
JPH0789008B2 (ja) * 1987-12-04 1995-09-27 日本酸素株式会社 凝縮蒸発器
NO164128C (no) * 1988-04-29 1990-08-29 Telavaag Energiteknikk A S Varmeveksler tilknyttet en vannavloepsledning.
JP2787594B2 (ja) * 1988-07-04 1998-08-20 日本酸素株式会社 蒸発器
JPH02233985A (ja) * 1989-03-03 1990-09-17 Nippon Sanso Kk 凝縮蒸発器
JP2787591B2 (ja) * 1989-05-22 1998-08-20 日本酸素株式会社 蒸発器
JP2787593B2 (ja) * 1989-06-02 1998-08-20 日本酸素株式会社 蒸発器
FR2665755B1 (fr) * 1990-08-07 1993-06-18 Air Liquide Appareil de production d'azote.
JPH0534082A (ja) * 1991-07-29 1993-02-09 Nippon Sanso Kk 凝縮蒸発器
JPH05280861A (ja) * 1992-03-31 1993-10-29 Nippon Sanso Kk 凝縮蒸発器
JP3323568B2 (ja) * 1993-01-11 2002-09-0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プレートフィン熱交換器内蔵型の多段サーモサイホン
JPH11244603A (ja) * 1998-03-03 1999-09-14 Mitsubishi Chemical Corp デフレグメータ
DE19939294A1 (de) 1999-08-19 2001-02-22 Linde Ag Mehrstöckiger Umlaufkondensator
DE10257916A1 (de) * 2002-12-11 2004-06-24 Linde Ag Wärmetausch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86248A1 (en) 1988-07-04 1990-09-12 Japan Oxygen Co. Ltd. Condenser/evapo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159810A1 (en) 2003-08-28
DE50107505D1 (de) 2005-10-27
EP1287302B1 (de) 2005-09-21
JP2003535301A (ja) 2003-11-25
DE10027139A1 (de) 2001-12-06
CN1432121A (zh) 2003-07-23
ATE305122T1 (de) 2005-10-15
ES2249439T3 (es) 2006-04-01
EP1160526A1 (de) 2001-12-05
WO2001092799A1 (de) 2001-12-06
US6748763B2 (en) 2004-06-15
JP5452830B2 (ja) 2014-03-26
KR20030007790A (ko) 2003-01-23
CN1208591C (zh) 2005-06-29
AU2001262327A1 (en) 2001-12-11
TW497981B (en) 2002-08-11
EP1287302A1 (de) 2003-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6980B1 (ko) 다층으로된 바스 콘덴서
KR100765573B1 (ko) 다층으로 된 바스 콘덴서
US5709264A (en) Heat exchanger
US3969447A (en) Grids for fluid contact apparatus
US4606745A (en) Condenser-evaporator for large air separation plant
RU2370299C1 (ru) Способ и аппарат для прямоточной парожидкостной контактной очистки
US2885195A (en) Fractionating apparatus
US9366464B2 (en) Device for separating droplets
JP4837029B2 (ja) プレート熱交換器
US5901574A (en) Device and process for evaporating a liquid
CN101151500A (zh) 板式热交换器
JPH07503057A (ja) プレート式熱交換器
TWI392842B (zh) 回流凝結器
RU2330704C2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жидкостный коллектор-смеситель для массообменной колонны
JP2537981Y2 (ja) 選択的凝縮装置
CN103458982A (zh) 用于在容器中冷凝蒸气的设备和方法
US6393864B1 (en) Bath reboiler-condenser consisting of brazed plates and its application to an air distillation plant
US385504A (en) Rectifying-column for the distillation of liquids and gases
US2399916A (en) Refrigeration
US1105430A (en) Vapor-condenser.
ZA200404837B (en) Device and method for distillation
RU2081697C1 (ru) Тепломассообменный аппарат
US458798A (en) Ammonia-still
KR20240051751A (ko) 열교환기용 트레이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SU1460556A1 (ru) Конденсато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12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5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4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7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2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2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1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1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1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0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08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11130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