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98511B1 - 인버터장치 및 그 전류제한방법 - Google Patents

인버터장치 및 그 전류제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8511B1
KR100798511B1 KR1020037000031A KR20037000031A KR100798511B1 KR 100798511 B1 KR100798511 B1 KR 100798511B1 KR 1020037000031 A KR1020037000031 A KR 1020037000031A KR 20037000031 A KR20037000031 A KR 20037000031A KR 100798511 B1 KR100798511 B1 KR 100798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voltage
vector
limit
comman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0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7933A (ko
Inventor
모리모토신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야스카와덴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야스카와덴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야스카와덴키
Publication of KR20030027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7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8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851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9/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electric motors, appropriate for both AC and DC motors
    • H02P29/02Providing protection against overload without automatic interruption of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1/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electric machines by vector control, e.g. by control of field orientation
    • H02P21/22Current control, e.g. using a current control loo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3/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a control method other than vector control
    • H02P23/0004Control strategies in general, e.g. linear type, e.g. P, PI, PID, using robust contro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47V/F converter, wherein the voltage is controlled proportionally with the frequ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순시로 전류를 제한하는 것으로 소자의 파괴를 방지하고, 전동기를 효율적으로 안정되게 운전시킬 수 있는 인버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주파수 지령치 Fref와, 주파수 지령치로부터 V/f연산(7)에 의해 구한 전압지령치에서 또한 구한 전압지령 벡터를 기초로 PWM변조하여 전압을 출력하는 인버터장치에 있어서, 전류의 크기 I1과 전류위상 θi로 이루어지는 전류벡터를 검출하는 전류검출수단(12a)과, 전류의 크기가 전류제한치 Imax를 넘었을 때 초과분에 비례한 전압제한치 △V를 구하는 전압제한치 연산수단(15)과, 전압제한치를 전류위상을 기초로 전압제한 벡터 △Vq, △Vd로 변환하는 전압제한 벡터 연산수단(16)과, 전압지령 벡터에 전압제한 벡터를 가산하는 전압보정수단(17)과, 전압제한치와 전류위상을 기초로 주파수의 가속도 지령을 수정하는 가속도 수정수단(11)을 구비하였다.

Description

인버터장치 및 그 전류제한방법{INVERTER DEVICE AND CURRENT LIMIT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V/f에 의해 유도전동기 등을 구동할 때 과전류의 억제를 강화한 인버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도전동기를 V/f제어할 때 급가속이나 부하의 급변이 있으면 전류가 커진다. 그 경우 인버터 장치의 반도체 소자에 허용량을 넘는 전류가 흐르면 소자가 파괴되므로 과전류 레벨을 설정하여 이를 넘는 전류가 흐르면 과전류 보호기능이 작용하여 게이트차단에 의해 소자의 파괴를 억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 과전류 보호기능에 의한 게이트 차단은 재기동의 필요가 요구되므로 먼저의 과전류 레벨보다 낮은 레벨로 자동복귀시키는 기능을 갖는 게이트 차단회로나 또한 저레벨로 0전압패턴을 출력하는 전류제한회로를 이용하여 전류제한과 반도체의 보호를 행하였다.
또 전류의 크기를 검출하여 주파수를 수정하는 방법이나 가속중에 전류가 증가한 경우에 가속을 정지하고, 정상운전중에 전류가 증가한 경우는 주파수를 내리는 등 전류의 크기에만 주목한 제어가 행해졌다.
다음에 종래의 V/f제어의 실제에 대해 구체예를 도시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종래의 V/f제어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8은 도 5와 같은 V/f제어의 어떤 역행(力行)상태에서의 전압지령 Vq*과 전류 I 및 전동기의 전압성분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여기서는 d축을 제어출력의 기준위상으로 취하고, d축에서 90도의 위치에 설정한 q축의 전압을 제어하는 제어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V/f제어에서는 θ는 어느 기준위치(예를들어 U상)에서 본 d축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주파수 지령 연산부(1)는 주파수 지령 Fref를 입력하여 가속지령 연산수단(2)에 의해 설정한 가속시간으로부터 가속주파수를 계산하고, 가속주파수 적분수단(3)에 의해 적분하며, 지령치 제한수단(4)에 의해 설정한 주파수 지령치가 되면 가속을 정지하도록 하여 현시점에서의 주파수 지령을 작성한다.
또 감속시에는 가속주파수 적분수단(3)에 의해 적분한 속도를 지령치 제어수단(4)에 의해 하한치가 주파수 지령치가 되면 감속을 정지하도록 한다. 미끄럼 주파수 수단(5)은 토오크분 전류검출치로부터 전동기의 미끄럼 주파수를 계산하고 출력주파수(6)를 구한다.
V/f연산부(7)는 출력주파수로부터 도 7과 같은 주파수-전압패턴에 의해 전압지령 Vq*를 구한다. 또 출력주파수로부터 위상연산수단(8)에 의해 적분하여 출력위상 θ을 구하고, 전압지령 Vq*, Vd*(값 0)과 θ에서 PWM지령 연산부(9)에 의해 3상(UVW상)의 전압지령을 구하여 PWM패턴으로 변환하고, 게인드라이버 회로(10)로 출력하여 전동기 IM에 전압을 인가한다.
또 종래는 스톨(정지상태) 방지책으로서 전류검출수단(12b)에 의해 전류의 크기 I1을 검출하여, 가속도 보정수단(11b)에 의해 I1의 크기가 커졌을 때 가속중이면 가속을 느리게 하고, 정상운전중이면 마이너스 값으로 가속(감속)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급가속이나 급격한 부하변동이 있는 경우에는 전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없어 하드의 과전류 보호에 걸려 스톨하는 경우가 있다.
이 문제에 대해서는 도 6과 같은 전류제한회로를 작성하여 전류를 억제하면서 스톨을 방지하는 대책이 취해지고 있다.
도 6과 같이 PWM지령 연산부(9)내의 전압변환수단(9a)에 의해 dq축에서 UVW상의 전압으로 변환되고 이를 삼각파 비교기(9b)에 의해 PWM변조를 행하여, 반전회로와 온디레이 회로(26)를 통해 게이트 드라이브신호를 작성한다는 통상의 구성에 전류제한회로를 가하여 반도체 소자의 파괴를 방지하고 있다. 도에서는 과전류 레벨을,
Ioc> Ic1b>Ic1a
의 3단계로 나누어 우선 전류검출치 I1과 과전류 레벨 Ioc를 비교기(21)에 의해 비교하고, I1이 Ioc보다 클 때에는 래치회로(24)에 의해 래치게이트 차단선택회로(27)에 의해 게이트 차단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또한 래치회로(24)는 소정의 타이밍으로 콘트롤러로부터의 reset신호에 의해 리셋된다.
전류가 그보다 작은 경우는 전류검출치 I1과 다음의 전류제한 레벨 Ic1b를 비교기(20)에 의해 비교한 결과가 래치회로(23)에 래치되고, 게이트 차단선택회로(27)에 의해 게이트 차단신호가 출력된다. 이 비교기(20)와 래치회로(23)를 CLB회로라 한다.
또한 전류가 작은 경우는 전류검출치 I1과 그 다음의 전류제한 레벨 Ic1a를 비교계(19)에 의해 비교하여, I1쪽이 크면 on신호를 래치회로(22)에 의해 래치하고, 그 신호를 0전압 변환회로(25)에 의해 0전압패턴 발생기(18)로 작성된 0전압 패턴을 출력한다. 이 비교기(19)와 래치회로(22), 0전압 패턴발생회로(18)와 0전압 변환회로(25)를 총칭하여 CLA회로라 한다.
래치회로(22)(23)는 어떤 설정된 타이밍 CLK에 의해 자동적으로 리셋된다. 이에 따라 전류검출치 I1이 과전류 레벨 Ioc보다 낮고, 전류제한 레벨 Icla보다 큰 경우는 고정패턴의 게이트 드라이브 신호가 되지만 게이트 차단은 아니므로 전류를 제한하면서 운전은 계속할 수 있다. 단 이러한 전류의 크기만에 의한 과전류 방지책에서는 전동기의 회생상태일 때 전압을 작게하면 역으로 전류가 증가하거나 또는 CLA, CLB회로가 동작하고 있는 동안은 전동기에 대해 파워가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효율이 떨어지는 점은 부정할 수 없다.
다음에 전류의 크기에 의한 보정이외의 방식으로서는 검출한 전류와 역방향의 전압제한 벡터(vector)을 이용하여 전압의 보정을 행하고, 전압제한 벡터의 크기에 대해 PI제어를 실시하여 속도지령의 보정을 행하도록 하는 방식이 있다.
그러나 도 6의 방식의 경우는 전류의 크기로부터 전압의 크기를 보정하여 전류제한을 행하고 있기 때문에 전동기가 회생상태일 때 전압을 작게하면 역으로 전류를 증가시켜 버리는, 이와같이 전동기의 상태에 의해서는 전류를 제한할 수 없고 역으로 전류가 커져 과전류 보호기능이 작용해 게이트 차단에 의해 스톨하는 경우 가 있다.
또 0전압을 사용하는 방식에서는 전류가 왜곡전동기로의 파워의 공급이 없어지므로 결과적으로 효율이 나빠지게 된다. 이 때문에 전류를 확실하게 떨어뜨리면서 파워효율이 좋은 전류제한방법이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아직 요구가 채워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검출한 전류와 역방향의 전압제한 벡터를 이용하여 전압의 보정을 행하고, 전압제한 벡터에 대해 PI제어를 실시하여 속도지령을 보정하는 경우는 전류와 역방향의 벡터로 전압을 보상함으로써 전류를 줄일 수 있도록 되어있지만 속도지령에 대해 전류의 크기에만 주목한 PI제어를 실시하기 위해 전동기가 역행상태인 경우는 보정이 작용하지만 회생의 경우에는 주파수 보정이 역으로 악영향을 미쳐 전류를 제한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 속도의 보정방법이 PI제어이므로 순간적으로 큰 부하가 걸린 경우에는 그에 따른 큰 주파수 보정이 들어가 불안정하게 되기 쉽다. 또 불안정한 상태일 때에는 적분이 쌓여 폭주의 위험성이 있다. 거기에 전압의 보정 DVq, DVd의 방향이 전압제어축 방향만이 아닌 그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까지 보정을 가하므로 난조(亂調)등의 문제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어렵고, 안정성을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동기의 상태에 상관없이 확실하게 전류를 제한하여 소자의 파괴와 스톨을 방지하고, 전동기를 효율적으로 안정되게 운전할 수 있는 인버터장치 및 그 전류제한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특징은 주파수 지령치와, 상기 주파수 지령치로부터 V/f연산에 의해 구한 전압지령치에서 전압지령 벡터를 구하고, 상기 전압지령 벡터를 기초로 PWM변조하여 전압을 출력하는 인버터 장치에 있어서, 전류의크기와 전류위상으로 이루어지는 전류벡터를 검출하는 전류검출수단과, 상기 전류의 크기가 전류제한치를 넘었을 때 초과분에 비례한 전압제한치를 구하는 전압제한치 연산수단과, 상기 전압제한치를 상기 전압위상을 기초로 전압제한 벡터로 변환하는 전압제한 벡터 연산수단과, 상기 전압지령벡터에 상기 전압제한 벡터를 가산하는 전압보정수단과, 상기 전압제한치와 상기 전류위상을 기초로 주파수의 가속도 지령을 수정하는 가속도 수정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제2특징은 상기 전압제한치 연산수단은 상기 전류제한치를 넘었을 때 초과분에 비례한 값에 대해 1차 지연필터에 의해 필터링한 결과를 전압제한치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제3특징은 상기 전압제한 벡터 연산수단은 상기 전압제한치를 상기 전류위상과 역방향의 벡터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제4특징은 상기 전압제한 벡터 연산수단은 상기 전압제한치를 상기 전류위상과 역방향의 벡터중 상기 전압지령 벡터방향에 직교하는 성분을 0으로 하여 전압제한 벡터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제5특징은 전류의 크기가 상기 전류제한치보다 큰 제 2의 전류제한치를 넘는 동안은 강제적으로 0전압의 PWM패턴을 출력하는 제 2전류제한수단과, 전류의 크기가 상기 제 2전류제한치보다 큰 제 3전류 제한치를 넘는 동안은 게이트를 차단하는 제 3전류제한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제6특징은 주파수 지령치와, 상기 주파수 지령치로부터 V/f연산에 의해 구한 전압지령치에서 전압지령 벡터를 구하고, 상기 전압지령 벡터를 기초로 PWM변조하여 전압을 출력하여 과전류가 검출된 경우에는 보호동작을 행하는 인버터 장치의 전류제한방법에 있어서, 전류의 크기 I1과 전류위상 θi로 이루어지는 전류벡터를 검출하여 상기 전류의 크기가 전류제한치 Imax를 넘었을 때 초과분에 비례한 전압제한치 △V를 구하고, 상기 전압제한치 △V를 상기 전류위상 θi를 기초로 전압제한 벡터 Vq, △Vd로 변환하여 상기 전압지령 벡터에 가산하고 전압보정을 행하는 순시에 전류를 제한하며, 상기 전압제한치와 상기 전류위상을 기초로 주파수의 가속도 지령을 수정하여 파워효율이 좋은 전류제한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제7특징은 상기 전압제한치 △V는 상기 전류의 크기가 전류제한치 Imax를 넘었을 때 초과분에 비례한 값에 대해 1차 지연 필터에 의해 필터링하여 고주파를 제거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8특징은 상기 전압제한 벡터 △Vq, △Vd는 상기 전압제한치 △V를 전류위상 θi와는 역방향인 벡터 △q = -△Vsinθi(또는 △Vq = - △V X Iq/I1) 및 △d = -△Vcosθi (또는 △d= -△V X Id/I1)으로 변환하여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제9특징은 상기 전압제한 벡터는 상기 전압제한치 △V를 상기 전류위상 θi에 대해 역방향의 벡터 △q, △d중 상기 전압지령 벡터방향에 직교하는 △d성분을 0으로 하여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은 제10특징은 전류의 크기가 상기 전류제한치 Imax보다 큰 제 2전류 제한치 Ic1a'를 넘고 있는 동안은 강제적으로 0전압의 PWM패턴을 출력하고, 또한 전류의 크기가 상기 제 2전류제한치 Ic1a'보다 큰 제 3의 전류제한치 Ic1b', Ioc'를 넘고 있는 동안은 게이트를 차단하여 보호동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인버터 장치 및 그 과전류 억제방법에 의하면 도 1에서 과전류 제한치 Imax를 넘은 초과분에 비례한 전압제한치 △V를 구하고, 전압제한치를 전류위상을 기초로 한 전압제한 벡터 △Vq, △Vd로 변환하여 전압지령 벡터에 가산함으로써 순시의 과전류를 억지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전압제한치 △V과 전류위상 θi를 기초로 주파수의 가속도 지령을 수정함으로써 전류를 제한하면서 스톨을 피해 효율적으로 운전할 수 있다.
그 때 전압제한치 △V에 대해서는 1차 지연 필터(K/1 + Ts)를 통과한 후 전압제한 벡터를 구하도록 했기 때문에 전류에 포함되는 고주파 성분을 제거한 안정된 보상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 전압제한치 △V를 전압제한 벡터 △Vq, △Vd로 변환했을 때 전류방향과 역방향이 되도록 전압제한 벡터를 구하여 보상을 행하므로 저항부하 등의 용도에 대해서는 순시로 전류를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모터등을 제어할 경우에는 전압제한 벡터의 전류와 역방향의 성분 중 전압지령 벡터과 직교하는 방향성분 △Vd를 0이 되도록 하고 V/f제어되는 전압지령 벡터방향에 대해서만 보상을 행하도록 하는 것으로 안정된 전류제한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전류제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은 경우의 보호대책으로서는 전류의 크기 I1가 과전류 제한치 Imax보다 큰 제 2의 과전류 제한치 Ic1a'를 넘고 있는 동안은 강제적으로 0전압의 PWM패턴을 출력하여 보호동작을 행하고, 전류의 크기가 제 2과전류 제한치 Icla'보다 큰 제 3의 과전류 제한치 Ic1b' 또는 Ioc'를 넘고 있는 동안은 게이트를 차단하여 보호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전류의 크기 I1이 과전류 제한치 Imax를 크게 넘어도 제 2, 제 3의 과전류 제한치 Ic1a', Ic1b', Ioc'의 3단계의 보호가 행해지므로 확실하고 안전한 과전류 억제가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의 설정레벨의 대소관계는 Ioc'> Ic1b' > Ic1a'> Imax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는 과전류 제한치 Imax에 의한 억제에 의해 거의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경우의 과전류 레벨이 설정된 CLA, CLB회로의 설정레벨 Ioc, Ic1b, Ic1a의 값을 높일 수 있다.
또 과전류 제한치 Imax의 억제로 대부분 충분하기 때문에 CLA, CLB회로를 무효로 하는 변환수단(29a)(29b)를 배치하여 CLA, CLB회로를 ON/OFF할 수 있도록 하여 폭넓은 제어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인버터장치에 의한 V/f제어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인버터 장치의 제어시의 벡터도.
도 3은 도 2에 있어 Vd를 0으로 한 경우의 벡터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인버터 장치의 전류제한 회로의 블록도이다.
도 5는 종래의 인버터 장치에 의한 V/f제어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하는 인버터 장치의 전류제한회로의 블록도.
도 7은 종래의 주파수-전압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종래의 인버터장치의 제어시의 벡터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주파수 지령연산부 2: 가속지령 연산수단
3: 가속주파수 적분수단 4: 지령치 제한수단
5: 미끄럼 주파수 연산수단 6: 출력주파수
7: V/f연산부 8: 위상연산수단
9: PWM지령 연산부 10: 게이트 드라이버 회로
11a: 전류제한 가속도 보정수단 11a': 주파수 지령 변환수단
12a: 전류검출수단 13: 전류비교수단
14: 리밋회로 15: 전압제한치 연산수단
16: 전압제한 벡터연산수단 17a: q축 가산수단
17b: d축 가산수단 18: 0전압 패턴발생회로
19,20,21: 비교기 22,23,24: 래치회로
25: 0전압 변환회로 26: 온디레이 회로
27: 게이트 차단선택회로 28: 게이트 차단선택회로
29: 무효수단
다음 본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인버터 장치에 의한 V/f제어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인버터 장치의 제어시의 벡터도.
도 3은 도 2에 있어서 Vd를 0으로 한 경우의 벡터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인버터장치의 전류제한회로의 블록도.
도 1에 있어서 부호 11a는 가속도를 수정하는 전류제한 가속도 보정수단, 11a'는 주파수 지령과 전류제한시 출력주파수를 변환하는 주파수 지령변환수단, 부호 12a는 전류의 크기 I1과 전류위상 θi를 출력하는 전류검출수단, 부호 13은 검출전류 I1과 과전류 제한치 Imax를 비교하는 전류비교수단, 부호 14는 비교결과를 출력하는 리밋회로, 부호 15는 전압제한치 △V를 연산하는 전압제한치 연산수단, 부호 16은 전압제한 벡터 △Vq, △Vd를 구하는 전압제한 벡터 연산수단, 부호 17a,17b는 전압제한 벡터의 가산수단이다.
또한 그외의 도 5와 동일 구성에는 동일부호를 붙여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있어서 부호 29a, 부호 29b는 전류제한회로의 무효수단으로 Ic1a'는 제 2의 전류제한치, Ic1b', Ioc'는 제 3의 전류제한치이다.
또한 그 외의 도 6과 동일 구성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전류검출수단(12a)에 의해 전류의 크기 I1과, 기준위상 θ에 대한 전류위상 θi을 구하고, 전류비교수단(13)에 의해 설정한 전류제한치 Imax로부터 전류의 크기 I1을 감산하여 리밋회로(14)에 의해 감산결과가 마이너스인 경우는 0으로 하고, 전압제한 연산수단(15)으로 게인 및 필터처리(K/1 + Ts)를 실시하여 전압제한치 △V를 구한다. 전압제한 벡터 연산수단(16)에서는 구한 전압제한치 △V와 전류위상 θi에서 다음식으로,
△Vq = -△Vsinθi
△Vd = -△Vcosθi
dq축 전압제한치 △Vq, △Vd를 구한다.
또한 전류검출치 Id, Iq를 이용하여
△Vq = -△V X Iq /I1
△Vd = -△V X Id /I1
로서 구해도 같은 결과가 얻어진다.
다음에 연산한 △Vq, △Vd를 전압지령 Vq*, Vd*에 가산수단(17a)(17b)에 의해 가산하여 출력전압지령 Vq, Vd를 구해 PWM 지령연산부(9)에 의해 3상(UVW상)의 전압지령을 구해 PWM패턴으로 변환하고, 게이트 드라이버 회로(10)로 출력하여 전동기 IM에 전압을 인가한다. 이에 따라 순시로 전류를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동안의 전압제한 벡터△V, 전압지령 벡터 V*, 전류벡터 I의 함수는 도 2(a)에 역행상태의 경우를, 도 2(b)에 회생상태의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2(a)에서는 q축상의 전압지령 V*에 대해 전류와 역방향의 전압제한 벡터△V을 가산하고, 인가전압 V를 작게하여 전류벡터 I를 제한하는 모양을 도시하고 있다.
도 2(b)에 도시하는 회생상태에서는 역으로 동방향으로 △V를 가산하여 인가전압 V를 크게하여 전류벡터 I를 제한하는 모양을 도시하고 있다.
이와같이 전동기의 상태에 관계없이 순시로 전류를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V/f제어에 의해 모터 등을 제어할 경우, 모터나 부하의 상태에 의해 불안정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상태일 때 도 2와 같이 dq축 각각에 대해 전압보정을 행하면 q축 방향은 제어가능하지만 d축방향은 제어를 행하고 있지 않으므로 불안정 상태를 피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도 3과 같이 △Vd를 0으로 하여 △Vq만을 전압지령 V*에 가산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이를 피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3(a)은 역행상태를, 도 3(b)는 회생상태를 도시하여, 도 3(a)에서는 전압지령 V*에 역방향의 전압제한 벡터 △Vq를 가산하여 전압 V를 작게하고, 전류 I를 제한하고 있다. 도 3(b)의 경우는 역으로 전압 V를 크게하여 전류 I를 제한하고 있다. 실제로 전류가 커지는 경우는 제어가 정상으로 회전수가 어느 정도 있으면 q축 방향으로 증가하므로 전류의 억제능력은 △Vq만의 보정으로 충분한다.
이상의 조작에 의해 전류를 순시로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지만 정상적으로 전류를 제한하고, 전동기의 효율을 고려할 경우는 주파수를 보정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도 1에 도시하는 전류제한 가속도 보정수단(11a)은 전류위상 θi를 이용하여 전동기의 상태가 역행인지 회생인지를 판단하고 가속도의 수정방향을 설정하며, 전압제한치 △V를 이용하여 가속도의 크기를 수정한다. 수정량은 설정치 또는 전압제한치 △V의 부하방향 성분계산치 등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또 전류제한 가속도 보정수단(11a)은 부하의 상태에 의해 회생인 경우는 최대치가 최고주파수, 역행인 경우는 최소치가 0이 되도록 전류제한시의 주파수 지령을 출력하고, 주파수 지령 변환수단(11a')에 의해 주파수 지령과 전류제한시 출력주파수를 변환한다.
또한 역행/회생의 판단은 q축 전류만을 참조하는 방법, 무효전력에서 연산하는 방법 등 여러가지 있지만 여기서는 생략한다.
회전방향과 부하방향에 의해 가속도 보정을 다음과 같이 하여 행한다.
a) 정회전으로 역행의 경우는 정측(正側)으로 보정.
b) 정회전으로 회생의 경우는 부측(負側)으로 보정
c) 역회전으로 역행의 경우는 부측으로 보정
d) 역회전으로 회생의 경우는 정측으로 보정.
가속도 보정의 가장 단순한 방법은 가속중이면 전압제한치 △V가 0이 아닌 경우에 역행부하이면 가속을 정지하고, 정상운전중이면 △V가 0이 아닌 경우에 역행중이면 감속, 회생중이면 가속이 되도록 가감속도 설정치를 가속도에 대입하는 방법이지만 이들 방법으로도 충분히 과전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예기하지 않은 전류변동이 있는 경우를 위한 보호대책으로서 도 4에 도시하는 전류제한회로를 이용한다. 도 4의 회로에서는 검출전류 I1이 전류제한치 Imax보다 큰 과전류 레벨 Ioc'보다 큰 경우는 게이트 차단회로(27)에 의해 게이트차단신호를 선택·출력한다.
전류 I1이 그 보다 작은 경우는 또한 전류제한 레벨 Ic1b'과 비교하여 전류 I1쪽이 크면 마찬가지로 게이트 차단신호를 출력한다.
전류 I1이 그보다도 작고 전류제한 레벨 Ic1a'보다도 큰 경우는 0전압 패턴을 출력하게 된다.
이 경우의 각 레벨의 대소관계는 다음과 같이 된다.
Ioc' > Ic1b' > Icla' > Imax
또한 도 1에 도시한 전압제한 벡터 △Vq, △Vd 및 전류제한 가속도 보정 등의 제어에 의해 상당한 부분에서 제한이 가능하게 되므로 각 과전류 레벨 Ioc', Ic1b', Ic1a'는 도 6의 종래예에서 도시한 대응하는 각 과전류 레벨 Ioc, Ic1b, Ic1a를 up한 값(Ioc' > Ioc, Ic1b' > Ic1b, Ic1a'>Ic1a)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 게 되어 스톨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용도에 따라서는 도 1의 제어로 충분한 경우도 있기 때문에 무효수단(29a)(29b)에 의해 도 4의 전류제한회로를 절리하여 무효로 하고, O전압변환회로(25)와 게이트 차단선택회로(27)의 변환부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이 무효수단(29)은 전류제한회로를 원하는 형태(자동/수동도 포함)로 ON/Off할 수 있으면 어떠한 방식이라도 상관없다.
이와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전류의 위상 θi와 전류의 크기 I1을 검출하여 전류의 크기 I1과 전류제한치 Imax를 비교하고, 전압제한치 △Vq, △Vd를 구하여 전압지령에 가산하고 순시의 전류제한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전압제한치 △V와 전류위상 θi를 이용하여 가속도를 수정함으로써 스톨을 방지하여 효율적으로 운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압지령에 대해 전류제한치를 초과한 분에 비례하여 전류벡터과 역방향 또는 역방향내의 전압지령축 상의 성분의 전압제한 벡터를 가함으로써 순시로 전류를 제한할 수 있게 되고 또한 3개의 레벨의 전류제한방법을 갖게함으로써 전류에 의한 소자의 파괴와, 스톨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전압제한치와 전류위상으로부터 가속도를 보정함으로써 정상적으로 전류를 제한하고 유도전동기를 효율적으로 운전할 수 있다.

Claims (14)

  1. 주파수 지령치와, 상기 주파수 지령치로부터 V/f연산에 의해 구한 전압지령치에서 전압지령 벡터를 구하고, 상기 전압지령 벡터를 기초로 PWM변조하여 전압을 출력하는 인버터 장치에 있어서,
    전류의 크기와 전류위상으로 이루어지는 전류벡터를 검출하는 전류검출수단과, 상기 전류의 크기가 전류제한치를 넘었을 때 초과분에 비례한 전압제한치를 구하는 전압제한치 연산수단과, 상기 전압제한치를 상기 전류위상과 역방향의 벡터 중 상기 전압지령 토오크 방향에 직교하는 성분을 0으로 하여 전압제한 벡터를 구하는 전압제한 벡터 연산수단과, 상기 전압지령 벡터에 상기 전압제한 벡터를 가산하는 전압보정수단과, 상기 전압제한치와 상기 전류위상을 기초로 주파수의 가속도 지령을 수정하는 가속도 수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주파수 지령치와, 상기 주파수 지령치로부터 V/f연산에 의해 구한 전압지령치에서 전압지령 벡터를 구하고, 상기 전압지령 벡터를 기초로 PWM변조하여 전압을 출력하는 인버터장치에 있어서,
    전류의 크기와 전류위상으로 이루어지는 전류벡터를 검출하는 전류검출수단과, 상기 전류의 크기가 전류제한치를 넘었을 때 초과분에 비례한 전압제한치를 구하는 전압제한치 연산수단과, 상기 전압제한치를 상기 전류위상과 역방향의 전압제한 벡터로 변환하는 전압제한 벡터 연산수단과, 상기 전압지령 벡터에 상기 전압제한 벡터를 가산하는 전압보정수단과, 상기 전류의 크기가 상기 전류제한치보다 큰 제 2전류제한치를 넘는 동안은 강제적으로 0전압의 PWM패턴을 출력하는 제 2전류제한수단과, 상기 전류의 크기가 상기 제2 전류제한치보다 큰 제 3전류제한치를 넘는 동안은 게이트를 차단하는 제 3전류제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장치.
  6. 삭제
  7. 주파수 지령치와, 상기 주파수 지령치로부터 V/f연산에 의해 구한 전압지령치에서 전압지령 벡터를 구하고, 상기 전압지령 벡터를 기초로 PWM변조하여 전압을 출력하여, 과전류가 검출된 경우에는 보호동작을 행하는 인버터 장치의 전류제한방법에 있어서,
    전류의 크기 I1과 전류위상 θi로 이루어지는 전류벡터를 검출하여 상기 전류의 크기가 전류제한치 Imax를 넘었을 때 초과분에 비례한 전압제한치 △V를 구하고, 상기 전압제한치 △V를 상기 전류위상 θi를 기초로 전압제한 벡터 △Vq = - △Vsinθi(또는 △Vq = -△V X Iq/I1) 및 △Vd=0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압지령 벡터에 가산하고 전압보정을 행하여 순시로 전류를 제한하며, 상기 전압제한치 △V와 상기 전류위상 θi를 기초로 주파수의 가속도 지령을 수정하여 파워효율이 좋은 전류제한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장치의 전류제한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주파수 지령치와, 상기주파수 지령치로부터 V/f연산에 의해 구한 전압지령치에서 전압지령 벡터를 구하고, 상기 전압지령 벡터를 기초로 PWM변조하여 전압을 출력하여, 과전류가 검출된 경우에는 보호동작을 행하는 인버터 장치의 전류제한방법에 있어서,
    전류의 크기 I1과 전류위상 θi로 이루어지는 전류벡터를 검출하고, 상기 전류의 크기가 전류제한치 Imax를 넘었을 때 초과분에 비례한 전압제한치 △V를 구하며, 상기 전압제한치 △V를 상기 전류위상 θi에 대해 역방향인 벡터△Vq= -△Vsinθi, (또는 △Vq = -△V X Iq/I1) 및 △Vd= -Vcosθi(또는 △Vd = -△V X Id/I1)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압지령 벡터에 가산하고 전압보정을 행함으로써 전류를 제한하며, 상기 전류의 크기 I1이 상기 전류제한치 Imax보다 큰 제 2전류제한치 Icla'를 넘는 동안은 강제적으로 0전압의 PWM패턴을 출력하고, 또한 상기 전류의 크기 I1이 상기 제 2전류제한치 Icla'보다 크고 회로보호 레벨 Ioc'보다도 작은 제 3전류제한치 Iclb'를 넘는 동안은 게이트를 차단하여 순시로 전류제한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장치의 전류제한방법.
  12. 삭제
  13.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제한치와 상기 전류위상을 기초로 주파수의 가속도 지령을 수정하는 가속도 수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제한치 △V와 상기 전류위상 θi를 기초로 주파수의 가속도 지령을 수정하여 파워효율이 좋은 전류제한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장치의 전류제한방법.
KR1020037000031A 2000-07-12 2001-07-10 인버터장치 및 그 전류제한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7985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11426A JP4131079B2 (ja) 2000-07-12 2000-07-12 インバータ装置およびその電流制限方法
JPJP-P-2000-00211426 2000-07-12
PCT/JP2001/005986 WO2002005415A1 (en) 2000-07-12 2001-07-10 Inverter device and current limiting method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7933A KR20030027933A (ko) 2003-04-07
KR100798511B1 true KR100798511B1 (ko) 2008-01-28

Family

ID=18707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0031A Expired - Fee Related KR100798511B1 (ko) 2000-07-12 2001-07-10 인버터장치 및 그 전류제한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804130B2 (ko)
EP (1) EP1306967B1 (ko)
JP (1) JP4131079B2 (ko)
KR (1) KR100798511B1 (ko)
CN (1) CN1227805C (ko)
TW (1) TWI243532B (ko)
WO (1) WO200200541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125B1 (ko) * 2005-12-19 2012-05-25 두산산업차량 주식회사 전동지게차 구동용 모터 제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8293A (ja) * 2001-02-14 2002-08-23 Mitsubishi Electric Corp モータ制御装置
KR101034129B1 (ko) 2004-11-11 2011-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버터 시스템의 과전류 제한장치 및 방법
FR2881296B1 (fr) * 2005-01-27 2007-03-09 Schneider Toshiba Inverter Procede et systeme de limitation du courant en sortie d'un variateur de vitesse fonctionnant selon une loi de commande u/f
CN101313455B (zh) * 2005-11-21 2012-01-18 Abb瑞士有限公司 运行转换电路的方法及实施该方法的装置
KR20070072088A (ko) * 2005-12-30 2007-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버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761268B1 (ko) * 2006-01-06 2007-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
US7193388B1 (en) 2006-02-02 2007-03-20 Emerson Electric Co. Offset PWM signals for multiphase motor
KR100734530B1 (ko) * 2006-04-12 2007-07-04 주식회사 피플웍스 액정표시장치 백라이트 인버터 전류제한회로
JP5131725B2 (ja) * 2006-10-23 2013-01-30 国立大学法人長岡技術科学大学 電力変換器の制御装置
JP2008167630A (ja) * 2007-01-05 2008-07-17 Fuji Electric Fa Components & Systems Co Ltd 電力変換器の制御装置
CN101453191B (zh) * 2007-12-07 2010-07-14 上海智维电子科技有限公司 数控喷气织机超起动控制驱动电源
JP5251104B2 (ja) * 2007-12-11 2013-07-31 富士電機株式会社 インバータ装置
US7843162B2 (en) * 2008-03-13 2010-11-3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Current regulator and current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AC motors
JP2011176918A (ja) * 2010-02-23 2011-09-08 On Semiconductor Trading Ltd モータ駆動回路
JP5447645B2 (ja) * 2010-03-03 2014-03-19 株式会社安川電機 インバータ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IT1402368B1 (it) * 2010-04-15 2013-09-04 Ansaldo Electric Drives S P A Ora Ansaldo En Holding S P A Macchina elettrica, dispositivo di controllo per controllare detta macchina elettrica, sistema elettrico di propulsione comprendente detta macchina elettrica e detto dispositivo di controllo, e metodo per controllare detta macchina elettrica
US9287812B2 (en) * 2013-06-29 2016-03-15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tability control of open loop motor drive operation
US10158314B2 (en) 2013-01-16 2018-12-18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Feedforward control of motor drives with output sinewave filter
US9490738B2 (en) 2013-01-16 2016-11-08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Sensorless motor drive vector control
JP5811363B2 (ja) * 2013-03-13 2015-11-11 株式会社デンソー 回転電機制御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5835272B2 (ja) * 2013-05-30 2015-12-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動力装置の制御装置
DE102014103027A1 (de) * 2014-03-07 2015-09-10 Baumüller Nürnberg GmbH Nachführregler für eine U/f-gesteuerte Asynchronmaschine
KR101601444B1 (ko) 2014-07-04 2016-03-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모터 구동 시스템의 인버터 6-스텝 제어 장치 및 방법
US9654035B1 (en) * 2014-09-30 2017-05-16 Sandia Corporation High-temperature brushless DC motor controller
CN104868799B (zh) * 2014-12-08 2017-08-04 北京车和家信息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获取电机转子位置、速度的方法及装置
US9716460B2 (en) 2015-01-28 2017-07-25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peed reversal control of motor drive
US9774284B2 (en) 2015-02-19 2017-09-26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Rotor position estimation apparatus and methods
US9595896B1 (en) 2015-12-16 2017-03-14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sensorless closed loop motor speed and torque control
US9800190B2 (en) 2016-02-03 2017-10-24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Control of motor drives with output sinewave filter capacitor current compensation using sinewave filter transfer function
EP3437182A4 (en) * 2016-03-30 2019-08-07 Ideal Power Inc. POWER ARCHITECTURE FOR MICRONETS
US9985565B2 (en) 2016-04-18 2018-05-29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Sensorless motor drive vector control with feedback compensation for filter capacitor current
US10020766B2 (en) 2016-11-15 2018-07-10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Current control of motor drives with output sinewave filter
JP7536418B2 (ja) 2017-10-24 2024-08-20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電力変換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676830B1 (ja) * 2018-11-21 2020-04-08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
EP4075649A4 (en) * 2019-12-13 2023-12-06 Kabushiki Kaisha Yaskawa Denki POWER CONVERSION DEVICE, CONVEYOR SYSTEM, POWER CONVERSION METHOD, PROGRAM AND DIAGNOSTIC DEVICE
JP2021136730A (ja) * 2020-02-25 2021-09-13 株式会社Flosfia 電力変換装置および電力変換システム
CN112398400A (zh) * 2020-09-12 2021-02-23 上海新时达电气股份有限公司 三相电机电流限制方法及其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7085A (ja) * 1995-07-28 1997-02-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インバータ装置
JPH11150998A (ja) * 1997-11-17 1999-06-02 Meidensha Corp インバー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3382B2 (ja) * 1988-05-27 1998-04-22 三菱電機株式会社 誘導電動機駆動用インバータ装置
US4994950A (en) * 1990-07-31 1991-02-19 Eaton Corporation Waveform generator for inverter control
KR100237306B1 (ko) * 1997-03-25 2000-01-15 윤종용 2관성 공진계의 진동 억제방법 및 장치
EP1221761B1 (en) * 1999-08-12 2009-07-22 Kabushiki Kaisha Yaskawa Denki Method for controlling neutral point potential of inverter of neutral point clamping typ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7085A (ja) * 1995-07-28 1997-02-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インバータ装置
JPH11150998A (ja) * 1997-11-17 1999-06-02 Meidensha Corp インバータ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125B1 (ko) * 2005-12-19 2012-05-25 두산산업차량 주식회사 전동지게차 구동용 모터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05415A1 (en) 2002-01-17
EP1306967B1 (en) 2015-04-22
KR20030027933A (ko) 2003-04-07
CN1441994A (zh) 2003-09-10
EP1306967A1 (en) 2003-05-02
TWI243532B (en) 2005-11-11
US6804130B2 (en) 2004-10-12
JP2002034289A (ja) 2002-01-31
EP1306967A4 (en) 2014-03-12
CN1227805C (zh) 2005-11-16
JP4131079B2 (ja) 2008-08-13
US20040052097A1 (en) 2004-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8511B1 (ko) 인버터장치 및 그 전류제한방법
US7106017B2 (en) Motor control device
JP6107936B2 (ja) 電力変換装置
KR20140141484A (ko) 전동기 구동용 인버터 장치
JP6226566B2 (ja) モータ制御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建設機械
JP3674741B2 (ja) 永久磁石同期電動機の制御装置
WO2020054407A1 (ja) モータ制御装置及びモータ制御方法
CN104779872B (zh) 同步电动机的控制装置及控制方法
CN111418144B (zh) 电动机的控制方法以及电动机的控制装置
JPH11150998A (ja) インバータ装置
JP2009189146A (ja) 電動モータの制御装置
JP2008167630A (ja) 電力変換器の制御装置
JPH10313592A (ja) モータ制御装置およびモータ制御方法
KR102485408B1 (ko) 인버터 제어방법
JP5131725B2 (ja) 電力変換器の制御装置
JP7183740B2 (ja) インバータ装置
CN103166560A (zh) 电动机的控制装置
JP2013233062A (ja) モータ制御装置およびモータ制御方法
JP4008930B2 (ja) モータ制御装置
JP6949242B2 (ja) 交流回転電機の制御装置
JP2023072565A (ja) 電動機制御方法、及び、電動機制御装置
JP4771035B2 (ja) 永久磁石同期機の制御装置
JP3462347B2 (ja) 可変速発電電動機の制御装置
JP7424109B2 (ja) 電力変換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9161854A (ja) モータ制御方法、及び、モータ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10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4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4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1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1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