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62108B1 - 선도의 작성방법 및 선도의 작성기구 - Google Patents

선도의 작성방법 및 선도의 작성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2108B1
KR100762108B1 KR1020000019465A KR20000019465A KR100762108B1 KR 100762108 B1 KR100762108 B1 KR 100762108B1 KR 1020000019465 A KR1020000019465 A KR 1020000019465A KR 20000019465 A KR20000019465 A KR 20000019465A KR 100762108 B1 KR100762108 B1 KR 100762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paper
dyes
pigments
az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9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0738A (ko
Inventor
유아사도시나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사쿠라 크레파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사쿠라 크레파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사쿠라 크레파스
Publication of KR20010020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0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2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2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0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C09D11/037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characterised by the pig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26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 B41M1/36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on pretreated paper, e.g. parchment, oiled paper, paper for registration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04Producing precipi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D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SERVING PAINTINGS; SURFACE TREATMENT TO OBTAIN SPECIAL ARTISTIC SURFACE EFFECTS OR FINISHES
    • B44D2/00Special techniques in artistic painting or drawing, e.g. oil painting, water painting, pastel painting, relief pa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D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SERVING PAINTINGS; SURFACE TREATMENT TO OBTAIN SPECIAL ARTISTIC SURFACE EFFECTS OR FINISHES
    • B44D3/00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Methods or devices for colour determination, selection, or synthesis, e.g. use of colour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00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 B44F1/08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characterised by colour eff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9/00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 B44F9/08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of crystalline structures, pearl effects, or mother-of-pearl eff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9/00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 B44F9/10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of metallic or oxidised metallic surf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16Writing inks
    • C09D11/18Writing inks specially adapted for ball-point writing instru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Abstract

새로운 선도의 묘화(작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종래, 존재하지 않는 신선한 시각 효과를 발휘하는 작성 방법을 개발하려고 하는 것이다.
최초의 공정(工程)으로서, 도포 기구에 의해 종이에 잉크를 도포한다. 도포하는 잉크는 종이에 대한 부착력이 다른 2 이상의 안료 또는 염료가 혼합된 것이다. 이어서, 원하는 선도에 따라 도포한 잉크를 지우개로 문지른다. 문지를 때에는 프리핸드로 소정의 궤적을 그리거나 또는 형을 놓고, 그 형 위에서 잉크를 문지른다. 잉크를 문지르는 것에 의해, 종이에 대한 부착력이 약한 쪽의 안료 또는 염료가 종이로부터 이탈하고, 부착력이 강한 측의 안료 또는 염료가 종이에 남기 때문에 남은 궤적에 따른 선도가 나타난다.
작성방법, 안료, 염료, 도표, 착색제

Description

선도의 작성방법 및 선도의 작성기구{Method of and a tool assembly for drawing linear figures}
도 1은 본 발명의 선도의 작성 방법의 공정을 도시한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선도의 작성 방법의 공정을 도시한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선도의 작성 방법의 공정을 도시한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표출된 선도의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표출된 선도의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선도의 작성 방법의 공정을 도시한 설명도.
도 7은 도 6의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형(型)의 예를 도시한 형의 정면도.
도 8은 도 6의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형의 예를 도시한 형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의 선도의 작성 방법의 공정을 도시한 설명도.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표출(表出)된 선도의 설명도.
도 11은 도 10의 일부를 확대한 설명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선도의 작성 기구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도포 기구(볼펜) 2: 종이
5: 염료 6: 금속분말
7: 지개 11: 형판
12: 개구 20: 선
21: 금속 분말 등과 염료가 들어가 섞인 선
22, 23: 스며든 부분의 선
25: 금속 분말 등과 염료가 들어가 섞인 색조 부분
26: 염료만이 나타난 색조부분 30: 자루
본 발명은 그림이나 문자 등의 선화(線畵)를 종이에 그리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유의 시각적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그림이나 문자 등의 선화는 볼펜이나, 만년필, 라인 마커 등의 필기 도구나, 붓, 크레용 등의 회화용구에 의해 그려진다. 이들 공지된 도구에 의해 그려진 그림이나 문자 등은 모두 단순한 단색의 선을 기본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새로운 선도의 묘화(작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종래, 존재하지 않는 신선한 시각 효과를 발휘하는 작성 방법을 개발하려고 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 등이 개발한 새로운 시각 효과를 발휘하는 선도의 작성 방법은, 종이에 대한 부착력이 다른 2 이상의 안료 또는 염료가 혼합된 잉크를 도포 기구에 의해 종이에 도포하고, 그위에 원하는 선도에 따라 상기 잉크를 문지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최초의 공정으로서, 도포 기구에 의해 종이에 잉크를 도포한다. 여기서 최초에 도포하는 잉크는 종이에 대한 부착력이 다른 2 이상의 안료 또는 염료가 혼합된 것이 채용된다.
최초에 행하는 잉크의 도포는, 종이에 대하여 동일하게 행하여도 되고, 문자나 도형 등의 선도를 그리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계속해서, 원하는 선도에 따라 도포한 잉크를 문지른다. 잉크를 문지르기 위한 도구로서는 지우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우개 등으로 문지를 때에는 프리핸드에 의해 원하는 궤적을 그려도 되지만, 템플리트나 문자지우개판과 같은 형을 놓고, 그 형 위에서 잉크를 문지르는 것도 추천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잉크가 도포된 위에서 해당 잉크를 문지르지만, 잉크에는 상기와 같이 종이에 대한 부착력이 다른 2 이상의 안료 또는 염료가 혼합되어 있다. 그 때문에 잉크를 문지르는 것에 의해, 종이에 대한 부착력이 약한 쪽의 안료 또는 염료가 종이로부터 이탈하고, 부착력이 강한 측의 안료 또는 염료가 종이에 남는다. 그 때문에 문지른 궤적에 따른 선도가 나타난다.
또한, 도포 기구는 볼펜 또는 마킹 펜이며, 종이에 대한 부착력이 다른 2 이상의 안료 또는 염료가 혼합된 잉크는 금속 분말 함유 잉크, 2중 발색 잉크, 진주 광택 함유 잉크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잉크는 도포 기구에 내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선도의 작성 방법에서는 도포 기구는 볼펜 또는 마킹 펜이고, 잉크는 도포 기구에 내장되어 있다. 그러므로, 통상적인 문자나 도형 혹은 그림을 그리는 감각으로, 종이에 잉크를 도포할 수 있다. 또한 잉크는 금속 분말 함유 잉크, 2중 발색 잉크, 진주 광택 함유 잉크 중 어느 하나가 채용되어 있다.
예를 들면, 잉크에 금속 분말 함유 잉크를 채용하면, 지우개 등으로 잉크를 문질렀을 때, 금속 분말이 종이로부터 이탈하고, 다른 염료나 안료가 종이에 남는다. 진주 광택 함유 잉크를 채용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2중 발색 잉크를 채용한 경우는, 지우개 등으로 문지른 경우에, 선의 중심부분의 발색이 선명해져, 특유의 시각 효과가 나타난다.
종이에 대한 부착력이 다른 2 이상의 안료 또는 염료가 혼합된 잉크에는, 증점제(增粘劑)로서, 틱소트로피성 다당류 또는 그의 유도체가 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이에 대한 부착력이 다른 2 이상의 안료 또는 염료가 혼합된 잉크에는, 진주 광택 함유 잉크가 사용 가능하다.
또한, 종이에 대한 부착력이 다른 2 이상의 안료 또는 염료가 혼합된 잉크에는 종이에 대한 부착력이 약한 안료 또는 염료로서, 카본 블랙, 금속 산화물 또는 유기 안료가 사용 가능하다.
종이에 대한 부착력이 다른 2 이상의 안료 또는 염료가 혼합된 잉크는, 종이에 대한 부착력이 강한 염료로서, 벤젠 아조계, 피라졸론아조계, 아세토아세트산아닐리드아조계, 나프탈렌 유도체 아조계, 심색화(深色化)디스아조계, 고성능화디스아조계, 퀴니잘린계, 블로아민계, 니트로계 중 하나인 산성 염료 또는 구리 프탈로시아닌계, 벤진계, 톨리딘계, 디아니시딘계, 스틸벤조아조계, 요소 결합을 갖는 디아조 또는 커플링 성분을 사용한 아조계, 디아민디페닐아민아조계, 연속 아조형 폴리아조계, 폴리아조계, 티아졸아조계, 안료 설폰화물계 중 하나인 직접 염료 혹은 퀴논이민계, 아조계, 폴리메틴계, 아조메틴계, 디아조메틴계, 디아조트리메틴계, 트리아조트리메틴계, 트리아졸아조계, 티아졸아조계, 벤조티아졸아조계 중 하나인 염기성 염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기구의 발명은 금속 분말 안료와 염료가 혼합된 잉크가 내장된 도포 기구와, 소정 형상의 형이 조합되어 구성되는 상술한 발명의 선도의 작성 방법에 사용하는 작성 기구이다.
본 발명의 작성 기구에서는 금속 분말 안료와 염료가 혼합된 잉크가 내장된 도포 기구와, 소정 형상의 형이 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술한 발명을 즉시 실시할 수 있다.
이하에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선도의 작성 방법의 공정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표출된 선도의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표출된 선도의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선도의 작성 방법의 공정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7, 도 8은 도 6의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형의 예를 도시한 형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의 선도의 작성 방법의 공정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표출된 선도의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일부를 확대한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선도의 작성 기구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선도의 작성 방법에서는, 도 1과 같이 특유의 잉크가 내장된 도포 기구(1: 볼펜)를 사용한다.
도포 기구(1)의 기계적 구조는 공지된 볼펜과 같다. 또한 볼펜 대신에 마킹 펜이나 만년필도 활용 가능하다.
볼펜(1)에 내장된 잉크는, 종이에 대한 부착력이 다른 2 이상의 안료 또는 염료가 혼합된 것이다. 이 성질을 갖는 잉크에는 예를 들면 금속 분말 함유 잉크, 2중 발색 잉크, 진주 광택 함유 잉크를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선도의 작성 방법의 공정 설명에 앞서서, 볼펜(1)에 내장된 잉크 특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금속 분말 함유 잉크는 금속 분말 안료 함유 잉크 혹은 메탈릭 잉크라고도 하며, 알루미늄 분말이나 황동 분말 등의 금속 분말 안료를 함유하는 잉크이다.
금속 분말 함유 잉크에 있어서, 금속 분말 안료로서 알루미늄 분말, 황동 분 말, 금분, 은분 등의 하나를 사용하여도 되지만, 특히 알루미늄 분말 안료를 사용하는 잉크를 채용한 경우에 본 발명의 효과가 현저하다.
알루미늄 분말 안료는 리핑 형태도 가능하며, 넌리핑 형태라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상품명 「알페이스트 WJP-U75C」,「알페이스트 WE1200」,「알페이스트 WXM 7675」,「알페이스트 WXM0630」(이상, 동양 알루미늄(주)제),「1110W」, 「2172SW」(이상, 쇼와 알루미늄사 제조), 「AW-808C」, 「AW-7000R」(이상, 아사히카세이사 제조)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F500-RG」,「F500BG-W」,「F70lRE-G」(이상, 쇼와 알루미늄사 제조) 등의 착색 알루미늄계 안료도 사용할 수 있다.
그 밖의 금속 분말 안료로서, 황동 분말 안료의 구체적인 예를 들면,상품명「BS-605」, 「BS-607」(이상, 토우요우 알루미늄(주) 제조), 「브론즈 파우더 P-555」,「브론즈 파우더 P-777」(이상, 나카시마 긴죠쿠 하쿠분 고교(주) 제조) 등이다.
이들 금속 분말 안료는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금속 분말 안료의 평균 입자 직경이 지나치게 작으면 필적의 금속 광택이 부족하고, 지나치게 크면 펜 끝 등에서 쉽게 막히어, 잉크의 유출이 나쁘게 되기 때문에, 평균 입자 직경이 5 내지 30μm, 특히 5 내지 15μm의 범위에 있는 경우, 필기성, 인쇄 적합성이 우수하다.
또한 2중 발색 잉크는 종이에 침투하기 쉬운 착색제와 침투하기 어려운 착색제의 양쪽을 함유하는 잉크이며, 예를 들면, 금속 분말 안료, 수용성 염료, 물 및 침투성 유기 용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잉크를 종이, 천 등의 용제 침투성 표면에 도포하여 문자, 기호 도형 등을 필기하면, 금속 분말 안료는 필기된 채의 도형 등을 형성하는 데 반해, 수용성 염료는 용제와 동시에 그 도형 등의 외측까지 침투 확산하여, 마치 도형 등에 테두리를 붙인 듯한 외관을 나타내어, 독특한 시각적 효과를 갖는다.
2중 발색 잉크는 상기한 바와 같이, 종이에 침투하기 어려운 착색제와, 피도포 표면에 침투하기 쉬운 착색제와, 물과, 수용성 유기 용제를, 통상적으로 함유한다.
종이에 침투하기 어려운 착색제로서, 알루미늄 분말 안료, 황동 분말 안료 등의 금속 분말 안료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착색제를 함유하는 잉크는 일종의 금속 분말 함유 잉크이기도 하다. 잉크에 함유되는 금속 분말 안료의 구체적인 예는 상기와 완전히 동일하므로, 열거는 생략한다.
이들 금속 분말 안료의 평균 입자 직경이 지나치게 작으면 필적의 금속광택이 부족하고, 지나치게 크면 펜 끝 등에서 쉽게 막히어, 잉크의 유출이 나쁘게 되기 때문에, 평균 입자 직경이 1 내지 20μm의 범위에 있는 경우, 필기성이 우수하다.
또한, 금속 분말 안료 이외에도, 종래 수성 잉크에 사용되고 있는 통상적인 안료는, 피도포 표면에 침투하기 어려운 착색제로서 사용 가능하다. 이러한 종류의 안료로서는 카본 블랙, 산화티타늄 등의 무기 안료나, 퀴나크리돈바이올렛(quinacridonviolet) 등의 퀴나크리돈계 또는 한사옐로우(Hansayellow) 10G 등의 불용성 아조안료 등의 유기 안료를 들 수 있다.
종이에 침투하기 쉬운 착색제로서는, 용매에 대한 용해성 또는 분산성에 지장이 없는 것이면 공지된 염료, 안료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그와 같은 염료로서는, 예를 들면 금속착염계 염료, 벤젠 아조계, 피라졸론아조계, 아세토아세트산아닐리드아조계, 나프탈렌 유도체 아조계, 심색화 디스아조계, 고성능화 디스아조계, 퀴니잘린계, 블로아민계, 안트라퀴논계, 니트로계 등의 산성염료; 구리 푸탈로시아닌계, 벤진계, 트리아진계, 디아니시딘계, 스틸벤조아조계, 요소 결합을 갖는 디아조 또는 커플링 성분을 사용한 아조계, 디아민디페닐아민아조계, 연속 아조형 폴리아조계, 폴리아조계, 티아졸아조계, 안료설폰화물계 등의 직접 염료; 디페닐메탄, 트리페닐메탄계, 아크리딘계, 디(트리)아릴메탄계, 퀴논이민계, 크산틴계, 아조계, 폴리메틴계, 아조메틴계, 디아조메틴계, 디아조트리메틴계, 트리아조트리메틴계, 트리아졸아조계, 티아졸아조계, 벤조티아졸아조계 등의 염기성 염료를 들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염기성 염료와 일부 중복되지만, 카보늄계 염료로 분류되는 것도 사용 가능하다.
안료로서는, 예를 들면 프탈로시아닌, 디옥사딘, 카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형광 안료 등의 안료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착색제는 1종이나 2종 이상도 사용할 수 있다.
수용성 유기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알콜류, 글리콜류, 글리콜에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헥실렌글리콜 등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진주 광택 안료 함유 잉크는, 운모를 미세한 분말로 하여, 그 표면을 산화 티타늄 및 산화철 등의 고굴절율의 금속 산화물로 피복하여 안정화시켜 제조한 소위 진주 광택 안료를 포함하는 잉크이다. 이 잉크에 있어서는, 고굴절율의 금속 산화물 층과, 저굴절율의 운모 및 주위의 매체와의 경계에서 반사한 빛이 진주형상 또는 금속형상의 광택을 자아내는 것이다.
진주 광택 안료 함유 잉크에 함유되는 진주 광택 안료를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상품명「Iriodin 100」, 동일의 103, 동일의 111, 동일의 120, 동일의 123, 동일의 151, 동일의 153, 동일의 163, 동일의 173, 동일의 201, 동일의 211, 동일의 221, 동일의 223, 동일의 231, 동일의 205, 동일의 215, 동일의 217, 동일의 219, 동일의 225, 동일의 235, 동일의 249, 동일의 259, 동일의 289, 동일의 299, 「Timiron MP-115」, 동일의 MP-1001, 동일의 MP-47, 동일의 MP-l005, 동일의 MP-10, 동일의 MP-45SP, 「Extender W」(이상 모두 멜크 저펜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진주 광택 안료 함유 잉크에는, 상기와 같은 진주 광택 안료 외에, 공지의 염료 및 또는 카본 블랙을 함유시킴으로써, 여러 종류의 색조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소위 착색형 진주 광택 안료인 상품명「Iriodin 300」, 동일의 302, 동일의 303, 동일의 306, 동일의 309, 동일의 320, 동일의 323, 동일의 351, 동일의 355, 동일의 500, 동일의 502, 동일의 504, 동일의 505, 동일의 507, 동일의 520, 동일의 522, 동일의 524, 동일의 530, 동일의 532, 동일의 534,「Timiron MP -25」, 동일의 MP-20, 「Colorona Bronze」,「Colordna Light Blue」, 「Colorona Platina Silver」(이상 모두 멜크 저펜사 제조) 등을 사용하면, 염료 등을 첨가하지 않아도 여러 종류의 색조를 선택할 수 있으며, 더구나, 내광성, 내수성이 우수한 잉크를 제조할 수 있다.
이들 진주 광택 안료의 평균 입자 직경이 지나치게 작으면 필적의 광택이 부족하고, 지나치게 크면 펜 끝 등에서 쉽게 막히어, 잉크의 유출이 나쁘게 되기 때문에, 평균 입자 직경이 5 내지 60μm의 범위에 있는 경우, 필기성, 인쇄 적합성이 우수하다.
또한 수성 잉크에는 점도 조정을 위해, 증점제가 첨가되는 것이 통상적이지만, 볼펜(1)에 내장하는 잉크의 증점제로서, 틱소트로피성 다당류 또는 그의 유도체를 사용할 수 있다.
증점제로서 틱소트로피성 다당류 또는 그의 유도체를 사용하면, 틱소트로피의 성질을 갖는, 소위「겔타입」의 잉크를 용이하게 조제할 수 있다. 이것은 볼펜에 사용하였을 때, 회전하는 볼에 의해 잉크의 점도가 저하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수성 볼펜용 잉크로서 유용한 성질이다.
증점제로서는 특히, 천연 다당류(多糖類) 또는 그의 유도체, 즉, 미생물산계 다당류 또는 그의 유도체, 수용성 식물계 다당류 또는 그의 유도체, 수용성 동물계 다당류 또는 그의 유도체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생물산계 다당류 또는 그의 유도체로서는 예를 들면, 푸란, 크산탄검(잔산검), 웰란검, 람잔검, 석시노글루칸, 덱스트란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식물계 다당류 또는 이의 유도체로서는 예를 들면, 트라간트검, 구아검, 타라검, 로커스트 빈검, 가티검, 아라비노갈락탄검, 아라비아검, 퀴스시드검, 펙틴, 전분, 사이륨시드검, 카라기난, 알긴산, 한천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동물계 다당류 또는 그 유도체로서는 예를 들면, 젤라틴, 카제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증점제 중에서도, 특히 미생물산계 다당류 또는 그 유도체가 잉크에 함유되는 경우에, 알루미늄 분말 안료에 대한 보존성이 양호하며, 도포 기구는 필기성이 우수하다.
특히 람잔검이 알루미늄 분말 안료에 대한 보존성의 점에 있어서 추천된다. 람잔검으로서는 산쇼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K7C233」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잉크 조성물의 점도는, 금속 분말 함유 잉크에 있어서는, 20℃ 에서 2000 내지 40000mPa·s로 조정하면 알루미늄 분말 안료 등의 금속 분말 안료가 침강(沈降)하지 않고, 필기, 인쇄 적합성이 우수한 잉크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특히 가장 적합한범위로서, 20℃ 에서 3000 내지 15000mPa·s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명세서에 기재하는 점도는 모두 ELD형 점도계로 콘로터(3° 콘 R14)를 사용하여 0.5rpm에 의해 측정한 것이다.
2중 발색 잉크에 있어서는 20℃ 에서 1000 내지 10000mPa·s로 조정하면 금속 분말 안료 등이 침강하지 않고, 필기, 인쇄 적합성이 우수한 잉크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특히 가장 적합한 범위로서, 20℃ 에서 2000 내지 5000mPa·s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주 광택 안료 함유 잉크에 있어서는, 20℃ 에서 2000 내지 40000mPa·s로 조정하면 알루미늄 분말 안료 등을 침강하지 않고, 필기, 인쇄 적합성이 우수한 잉크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특히 가장 적합한 범위로서, 20℃에서 3000 내지 15000mPa·s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당류의 사용량의 적정량으로서는 예를 들면, 잉크 조성 전량에 대하여 0.01 내지 4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2중량%이다. 다당류의 사용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금속 분말 등의 안료의 분산성이 저하하여, 안료가 침강하기 쉽게 된다. 한편, 사용량이 지나치게 적으면,잉크의 점도가 높게 되어, 필기성, 인쇄 적합성이 저하한다.
잉크에는 필요에 따라, 안정화제를 첨가한다. 안정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안식향산의 나트륨염 등의 카본산의 나트륨염을 들 수 있다.
또, 잉크에는 종래와 같이 염료, 계면활성제, 분산제, 방부제, PH 조정제, 방청제, 소포제 등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선도의 묘화(작성) 방법의 구체적인 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선도의 작성 방법에서는, 볼펜(1)에 의해, 종이(2)의 소정의 범위에 잉크를 도포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2)의 일부 또는 전부에 잉크를 도포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 도포된 잉크는 염료(5) 등의 종이(2)에 대한 부착력이 강한 것(도 2에 있어서, 작은 점으로 나타낸다)과, 금속 분말(6) 등의 종이(2)에 대한 부착력이 약한 것(도 2에 있어서, 큰 점으로 나타낸다)이 혼재하고 있다. 따라서, 종이(2)의 색깔은 염료(5)와 금속 분말(6)이 혼합된, 양자의 중간적인 색 조가 된다.
계속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3과 같이 지우개(7)를 종이(2)에 눌러, 지우개(7)로 잉크의 도포막을 문지르면서, 원하는 선도를 그린다. 예를 들면, 「サクラ」의 문자를 그린다.
그 결과, 지우개(7)에 의해, 잉크의 도막으로부터 금속 분말(6)만이 제외되고, 종이(2) 상에, 「サクラ」의 문자가 떠오른다. 즉 종이(2)의 대부분은 염료(5)와 금속 분말(6)이 혼합된, 중간적인 색조이고, 대부분의 경우, 금속 광택이 있는 색깔인데 반해, 지우개(7)에 의해 문지른 부위는 표면의 금속 분말(6)이 제거되어, 염료(5)의 색이 선명하게 도드라진다. 그러므로 종이(2)에 「サクラ」의 문자가 도드라진다.
상술한 예는 종이(2)에 잉크를 칠하여 지우개(7)로 문지른 예를 설명하였지만, 종이(2)에 문자 등의 선도를 그린 뒤에, 지우개(7)로 문지르더라도, 흥미 있는 표현을 행할 수 있다.
도 5는 종이(2)에 문자 등의 선도를 그린 뒤에, 지우개(7)로 문지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즉 도 5에 도시한 예에서는 볼펜(1)에 의해, 종이에 「サクラ」의 문자를 그린다. 그리고 그의 잉크 문자를, 지우개(7)로 「クレパス」의 문자궤적을 그려 문지른다. 그 결과, 도 5와 같이, 「サクラ」의 문자의 일부에「クレパス」의 문자가 떠오른다. 즉「サクラ」의 문자 부분은 염료(5)와 금속 분말(6)이 혼합된 중간적인 색깔인데 반해, 「クレパス」의 문자 부분은 금속분말(6)이 제외되고 염료(5) 단독의 색조가 된다.
또한 「クレパス」와 같은 문자 뿐만 아니라, 하트와 같은 도형(10)을 넣을 수도 있다. 도형은 예를 들면 하트형의 궤적을 거슬러올라 지우개(7)를 움직여도 되지만, 예를 들면 템플리트나, 지우개판과 같은 소정 형상의 구멍이 형성된 형판을 사용하면, 보다 용이하게 표출시킬 수 있다. 즉, 도 6과 같이, 종이(2) 위에, 형판(11)을 놓고, 형판(11)의 개구(12)를 지우개(7)로 문지른다. 그 결과, 개구(12)의 부분에서만 지우개(7)가 잉크와 접촉하고, 하트형 부분만 금속 분말(6)이 제외된다.
형판의 형상으로서는 도 7,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각종의 것이 채용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각종 잉크 중에서, 2중 발색 잉크를 채용한 경우에는 더욱 특유한 시각 효과가 얻어진다.
2중 발색 잉크를 내장하는 볼펜(1)으로, 종이(2)에 선(20)을 그리면, 도 9a와 같이 중간부에 금속 분말 등과 염료가 들어가 섞인 선(21)이 그려지고, 선(21)의 양측에 염료만의 선(22, 23)이 테두리를 두른(침투한) 형태로 나타난다.
그리고 선(20)을 지우개(7)로 문지르면, 문질러진 부위의 중앙 선(21)으로부터 금속 분말 만이 제외된다. 그 결과, 문질러진 부위는 다른 부위와 분명히 다른 색조가 된다. 또한 해당 부분의 색조는 테두리를 두른 형상으로 나타난 부분의 선(22, 23)과도 다르다.
따라서 선(20)을 지우개(7)로 문지르는 것에 의해, 금속 분말 등과 염료가 섞여 들어간 색조 부분(25)과, 염료만이 나타난 색조 부분(26)과, 스며든 부분의 선(22, 23)의 3색의 색조가 나타난다.
예를 들면, 도 10과 같이 「サクラ クレパス」의 문자를 필기 도구(1)로 여러개 그리고, 그 위에 하트형 형판(10)을 얹고, 지우개(7)로 문지르면,하트 부분에, 염료만이 나타난 색조 부분(26)과, 스며든 부분의 선(22, 23)의 2색의 색조가 되고, 다른 부위는 금속 분말 등과 염료가 섞여들어간 색조 부분(25)과, 스며든 부분의 선(22, 23)의 2색의 색조가 된다.
보다 상세하게 도해하면, 도 11과 같이, 「ラ」의 문자의 오른쪽은 염료만이 나타난 색조부분(26)과, 스며든 부분의 선(22, 23)의 2색의 색조가 되고, 다른 부위에 대해서는 금속 분말 등과 염료가 섞여들어간 색조 부분(25)과, 스며든 부분의 선(22, 23)의 2색의 색조가 된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잉크를 지우개(7)에 의해 문지르는 예를 설명하였다. 지우개(7)의 사용은 지우개가 박리 효과가 높기 때문으로 추천되지만, 예를 들면 통상적인 고무나, 천을 사용하여 잉크를 문질러도, 상당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볼펜(1)과, 지우개(7) 및 형판(11)은 하나의 상자나 자루(30)에 넣어, 세트 상태로 판매하거나, 운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선도의 묘화(작성) 방법은 종이에 대한 부착력이 다른 2 이상의 안료 또는 염료가 혼합된 잉크를 도포 기구에 의해 종이에 도포하고, 그 위에 원하는 선도에 따라 상기 잉크를 문지르는 것에 의해, 원하는 선도를 도드라지게 할 수 있어, 종래에 없던 시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포된 잉크 위에, 형을 놓고, 그 위에 그 형 위에서 잉크를 문지르는 것에 의해, 동일의 도형을 용이하게 표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금속 분말 안료와 염료가 혼합된 잉크가 내장된 도포 기구와, 소정 형상의 형(型; template)이 조합되어 이루어진 제 1 항에 따른 선도의 작성 방법에 사용하는 작성 기구는 운반에 편리하다.

Claims (11)

  1. 종이에 대한 부착력이 다른 2 이상의 안료 또는 염료가 혼합된 잉크를 도포 기구에 의해 종이에 도포하고, 그 위에 원하는 선도에 따라 상기 잉크를 문지르는 것에 의하여 종이에 대한 부착력이 상대적으로 적은 하나 이상의 안료 또는 염료가 종이로 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도의 작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 기구는 볼펜 또는 마킹 펜이고, 종이에 대한 부착력이 다른 2 이상의 안료 또는 염료가 혼합된 잉크는, 금속 분말 함유 잉크, 2중 발색(發色) 잉크, 진주 광택 함유 잉크 중 하나이며, 상기 잉크는 도포 기구에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도의 작성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지우개를 가지고 잉크를 문지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도의 작성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잉크를 종이에 대하여 동일하게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도의 작성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잉크를 종이에 대하여 원하는 선도를 그려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도의 작성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도포된 잉크 위에, 형을 놓고, 그 위에 그의 형 위로부터 잉크를 문지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도의 작성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종이에 대한 부착력이 다른 2 이상의 안료 또는 염료가 혼합된 잉크에는, 증점제(增粘劑)로서, 틱소트로피(thixotropy)성 다당류(多糖類) 또는 그의 유도체가 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도의 작성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종이에 대한 부착력이 다른 2 이상의 안료 또는 염료가 혼합된 잉크는, 진주광택 함유 잉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도의 작성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종이에 대한 부착력이 다른 2 이상의 안료 또는 염료가 혼합된 잉크는, 종이에 대한 부착력이 약한 안료 또는 염료로서, 카본 블랙, 금속 산화물 또는 유기안료가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도의 작성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종이에 대한 부착력이 다른 2 이상의 안료 또는 염료가 혼합된 잉크는, 종이에 대한 부착력이 강한 염료로서, 벤젠(bezene)아조계, 피라졸론(pyrazolone)아조계, 아세토아세트산아닐리드아조계, 나프탈렌 유도체 아조계, 심색화(深色化) 디스아조계, 고성능화 디스아조계, 퀴니잘린계, 블로아민계, 니트로계 중 어느 하나인 산성 염료, 또는 구리 푸탈로시아닌계, 벤진계, 트리아진계, 디아니시딘계, 스틸벤조아조계, 요소 결합을 갖는 디아조 또는 커플링 성분을 사용한 아조계, 디아민디페닐아미시아조계, 연속 아조형 폴리 아조계, 폴리아조계, 티아졸아조계, 안료 설폰화물계 중 어느 하나인 직접 염료, 혹은 퀴논이민계, 아조계, 폴리메틴계, 아조메틴계, 디아조메틴계, 디아조트리메틴계, 트리아조트리메틴계, 트리아졸아조계, 티아졸아조계, 벤조티아졸아조계 중 어느 하나인 염기성 염료가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도의 작성 방법.
  11. 금속 분말 안료와 염료가 혼합된 잉크가 내장된 도포 기구와, 소정형상의 형이 조합되어 이루어진 제 1 항에 따른 선도의 작성 방법에 사용하는 작성 기구.
KR1020000019465A 1999-04-16 2000-04-14 선도의 작성방법 및 선도의 작성기구 KR1007621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981199 1999-04-16
JP99-109811 1999-04-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0738A KR20010020738A (ko) 2001-03-15
KR100762108B1 true KR100762108B1 (ko) 2007-10-02

Family

ID=14519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9465A KR100762108B1 (ko) 1999-04-16 2000-04-14 선도의 작성방법 및 선도의 작성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329018B1 (ko)
KR (1) KR1007621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77974B2 (en) 2006-07-28 2011-12-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mpact stylus-based input technique for indic script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4587A (en) * 1992-10-23 1996-07-09 Avery Dennison Corporation Color-changeable marking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4587A (en) * 1992-10-23 1996-07-09 Avery Dennison Corporation Color-changeable marking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329018B1 (en) 2001-12-11
KR20010020738A (ko) 200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69383A (ko) 금속 광택의 색을 갖는 볼펜용 수성 잉크
US6706101B1 (en) Double-color ink and writing utensil containing the same
US7455725B2 (en) Washable marker ink composition
US6497759B1 (en) Scratch ink composition and writing utensil containing the same
KR100762108B1 (ko) 선도의 작성방법 및 선도의 작성기구
US6390710B1 (en) Aqueous gel ink-filled ball point pen
JP3500554B2 (ja) ボールペン用水性金属光沢色インキ組成物
JP4567841B2 (ja) 線図の描画方法及び線図の描画器具
Pfingstag Colorants in inks for writing, drawing and marking
JPS63243179A (ja) 水性インキ
JPS59129272A (ja) 多用途インキ
JP3969680B2 (ja) 水性メタリックインキ組成物
JP4952482B2 (ja) ボールペンチップ
JP3051101U (ja) 二重発色水性インキを充填したボールペン
EP1342761A1 (en) Water-based solid marking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water-based marking instrument containing the same
US20220064464A1 (en) Dry Erase Inks, and Associated Methods and Writing Instruments
JP7394519B2 (ja) 水性クレヨン
JP4956855B2 (ja) 変色性光沢インキ組成物
JP2003049109A (ja) 固形状描画材
JP2000072995A (ja) 筆記具用インキ組成物
JP3932223B2 (ja) 水性ボールペン
JP4979182B2 (ja) ミニチュア模型用水性塗装液塗布具セット及びミニチュア模型用水性塗装液描線の調整方法
JP2001294795A (ja) 水性ボールペン用金属光沢インキ
JP2003003106A (ja) ボールペン用水性インキ組成物
JP2001329201A (ja) 光輝性水性イン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41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01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004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3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08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03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61002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8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70620

Appeal identifier: 2006101008879

Request date: 20061002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1101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002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0615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B0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1002

Effective date: 20070620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070620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061002

Decision date: 20070620

Appeal identifier: 2006101008879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706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1109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9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9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