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59192B1 - 중앙분리대의 비상 우회 장치 - Google Patents

중앙분리대의 비상 우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9192B1
KR100759192B1 KR1020060075519A KR20060075519A KR100759192B1 KR 100759192 B1 KR100759192 B1 KR 100759192B1 KR 1020060075519 A KR1020060075519 A KR 1020060075519A KR 20060075519 A KR20060075519 A KR 20060075519A KR 100759192 B1 KR100759192 B1 KR 100759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separator
gear train
highway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5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기현
Original Assignee
임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기현 filed Critical 임기현
Priority to KR1020060075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91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9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9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1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and having means for providing occasional passage, e.g. for emergency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속도로의 차로중앙에 배치되어 상하행선을 구획하는 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으로; 상기 중앙분리대(10)의 소정위치에, 상기 분리대(11)의 측부에 제1회동축(21)을 통해 장착되어 구동수단(40)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회동함은 물론 그 전면에 안내문구가 표기된 알림판(20)과, 이 알림판(20)에 일정거리를 두고 제2회동축(31)을 통해 장착되어 구동수단(4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동하는 우회문(30)이 구비되어, 상기 고속도로에 비상사태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알림판(20)을 통해 펼쳐 비상사태를 알림과 더불어 상기 우회문(30)을 개방하여 차량의 우회로를 형성함으로써; 운행차량의 지체현상이나 연료의 낭비 등이 최소화되어 편리성이 제공될 뿐만 아니라 중앙분리대의 유지 및 보수에 따른 각종 부대비용이 절감되어 경제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다.
중앙분리대, 알림판, 우회문, 구동수단, 모우터

Description

중앙분리대의 비상 우회 장치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median strip}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우회장치의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우회장치가 작동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우회장치의 우회문을 도시한 일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우회장치의 우회문을 도시한 타실시예이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중앙분리대 11 : 분리대
20 : 알림판 21,31 : 제1,2회동축
30 : 우회문 40 : 구동수단
41 : 권취드럼 42,45 : 모우터
43 : 와이어부재 46 : 연결부재
본 발명은 고속도로의 차로중앙에 배치되어 상하행선을 구획하는 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앙분리대의 소정위치에 비상우회로를 구성하여 차량의 정 상 주행이 불가능해지는 경우 반대편 차선으로 우회시킬 수 있도록 한 중앙분리대의 비상 우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앙분리대는, 고속도로와 같은 고속주행이 요구되는 차도를 상하행선으로 구획하여 안전한 교통흐름을 확보하기 위한 도로 구조물로서, 이 중앙분리대는 4차로 이상의 차도에 설치하거나 또는 노면에 황색선을 마킹하여 차량의 왕복운행에 따른 원활한 흐름을 유도한다.
여기서, 중앙분리대는 콘크리트 성형물 여러개를 연속적으로 배치하여 구성하거나 또는 철구조물을 고정하는 방식이 주로 이용되며, 특히 중앙분리대의 폭은 차도로부터의 여유공간 내지는 방호책이나 식수나 방현막이나 교차도로 교각 등과 같은 주변시설물을 고려하여 설계된다.
그러나, 중앙분리대는 차로중앙에 연속적으로 설치된 상태로서, 고속도로에서 대형사고나 천재지변에 의한 낙석사고 등의 비상사태가 발생하는 경우 운행차량이 우회하여 빠져나갈 비상통로가 구비되지 않아 운행중인 차량의 지체현상이 지속되어 심한 불편함을 초래하는 것이다.
따라서, 중앙분리대의 일정부분을 해체하여 차량의 우회로를 형성하는 방법이 있기는 하지만, 중앙분리대의 파손부분을 재보수하거나 교체하는 과정이 요구되므로 막대한 금전적인 및 물질적인 낭비를 초래하여 중앙분리대의 유지 및 보수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 로서, 중앙분리대의 소정위치에 비상우회로를 구성하여 차량의 정상주행이 불가능해지는 경우 반대편 차선으로 우회시킬 수 있도록 한 중앙분리대의 비상 우회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속도로의 차로 중앙부분에 연속적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분리대를 통해 상행선과 하행선을 구획하는 중앙분리대로서; 상기 중앙분리대의 소정위치에, 상기 분리대의 측부에 제1회동축을 통해 장착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회동함은 물론 그 전면에 안내문구가 표기된 알림판과, 이 알림판에 일정거리를 두고 제2회동축을 통해 장착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동하는 우회문이 구비되어, 상기 고속도로에 비상사태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알림판(20)을 통해 펼쳐 비상사태를 알림과 더불어 상기 우회문(30)을 개방하여 차량의 우회로를 형성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우회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우회장치가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우회장치의 우회문을 도시한 일실시예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우회장치의 우회문을 도시한 이실시예이다.
고속도로의 차로 중앙부분에 연속적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분리대(11)를 통해 상행선과 하행선을 구획하는 중앙분리대(10)로서; 상기 중앙분리대(10)의 소정위치에, 상기 중앙분리대(10)의 소정위치에, 상기 분리대(11)의 측부에 제1회동축(21) 을 통해 장착되어 구동수단(40)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회동함은 물론 그 전면에 안내문구가 표기된 알림판(20)과, 이 알림판(20)에 일정거리를 두고 제2회동축(31)을 통해 장착되어 구동수단(4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동하는 우회문(30)이 구비되어; 상기 고속도로에 비상사태가 발생하는 경우 알림판(20)을 통해 펼쳐 비상사태를 알림과 더불어 우회문(30)을 개방하여 차량의 우회로를 형성한다.
먼저, 중앙분리대(10)는 고속도로의 차로 중앙부분에 배치되는 콘크리트구조물 내지는 철구조물로서, 본원에서는 콘크리트 형태의 분리대(11)가 연속배치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차로에 설치되는 모든 분리대(11)의 구조 및 구성이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됨은 당연하다.
또한, 본원의 비상우회장치는 중앙분리대(10)에 연속적으로 구성된 분리대(11) 중 일부의 분리대를 제거한 상태에서, 상기 분리대(11)의 사이에 알림판(20)과 우회문(30)을 설치한 것임을 첨언한다.
이때, 비상우회장치의 알림판(20)과 우회문(30)이 서로 겹쳐지게 배치하여 차지하는 면적을 최소화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원에서는 알림판(20)과 우회문(30)이 서로 인접한 곳에 형성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그 밖에도 알림판(20)과 우회문(30)을 일정거리를 두고 형성시킬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알림판(20)은, 분리대(11)의 측부에 제1회동축(21)을 통해 장착되어 좌우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으로서, 그 일단부에 제1회동축(21)에 힌지식으로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면서, 이 결합부에 상기 알림판(20)을 좌우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40)이 장착된다.
이때, 알림판(20)에 형성된 구동수단(40)은 이후에 설명하게 되는 우회문(30)에 형성된 구동수단(40)과 설치위치만 상이할 뿐 작동구조가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을 유보하기로 한다.
또한, 알림판(20)은 차량과의 접촉 및 마찰에 따른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고무재질로 성형함이 바람직하며, 특히 그 전면에 비상사태 또는 정지 또는 양보 등과 같은 각종 안내문구가 표기된다.
물론, 알림판(20)의 전면에 형성된 안내문구는 엘이디(LED) 등과 같은 발광수단을 이용함이 바람직하지만, 그 밖에도 야광도료 등과 같은 야간 식별성이 우수한 소재를 도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우회문(30)은, 분리대(11)의 측부에 제2회동축(31)을 통해 장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으로서, 그 하단부에 제2회동축(31)에 힌지식으로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면서, 이 결합부에 우회문(30)을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40)이 장착된다.
또한, 우회문(30)은, 중앙분리대(10)에 구성된 분리대(11)를 대신하여 비상용으로 장착된 것이므로, 철구조물 등과 같은 경질소재로 성형하여 분리대(11)와 비슷한 강도를 유지시킴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구동수단(40)은, 도 3에서와 같이, 알림판(20) 또는 우회문(30)에 장착된 기어열(44)와, 상기 기어열(44)의 일측부에 또는 양측부에 결합되어 제어장치의 신호에 따라 정/역회전하는 모우터(45) 및, 상기 기어열(44)과 모우터(45)의 축을 연결하는 체인 또는 벨트인 연결부재(46)로 이루어진다.
이때, 구동수단(40)으로서, 모우터(45)를 대신하여 회전손잡이(미도시)를 장착하여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구동수단(40)은, 도 4에서와 같이, 우회문(30)에 장착된 권취드럼(41)과, 상기 권취드럼(41)의 일측부 또는 양측부에 결합되어 제어장치의 신호에 따라 정/역회전하는 모우터(42) 및, 상기 권취드럼(41)과 상기 우회문(30)에 연결되어 상기 모우터(42)의 작동과정에서 상기 권취드럼(41)을 따라 감겨지거나 풀려지는 와이어부재(43)로 이루어진다.
또한, 구동수단(40)으로서, 모우터(42)를 대신하여 회전손잡이(미도시)를 장착하여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구동수단(40)으로서 도 3과 도 4의 작동기구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그 밖에도 알림판(20)과 우회문(30)을 좌우 및 상하회동시키는 모든 수단이라면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됨은 당연하다.
또한, 우회문(30)의 구동수단으로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은 구동수단 모두를 사용할 수 있지만, 알림판(20)은 좌우방향으로 회동하는 구성이므로 도 3에서와 같은 구동수단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도 3를 참고로 설명한다.
먼저, 고속도로 등을 주행하는 과정에서 교통사고나 천재지변에 의해 더 이상 차량을 운행할 수 없는 경우, 일단 중앙분리대(10)에 위치하는 알림판(20)을 측방향으로 펼쳐 운전자를 환기시킨다.
즉, 고속도로관리소에 구성된 제어장치(미도시)의 스위치를 작동하면, 알림판(20)에 구성된 모우터(45)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연결부재(46)와 기어열(44)에 의해 알림판(20)이 회동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고속도로를 주행하던 운전자가 알림판(20)에 나타난 안내문구를 육안으로 확인하므로, 고속도로에서 교통사고나 천지지변 등과 같은 비상사태가 발생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 다음, 고속도로관리소에 구성된 제어장치(미도시)의 스위치를 작동하면, 우회문(30)에 구성된 모우터(45)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연결부재(46)와 기어열(44)에 의해 우회문(30)이 회동한다.
이렇게 하면, 우회문(30)의 상향에 의해 상기 제1,2회동축(21,31)의 사이에 우회로가 형성되므로, 고속도로를 더 이상 주행할 수 없었던 차량이 우회로를 따라 반대편 차선으로 주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고속도로에서 발생한 비상사태가 해제되어 차량의 정상주행이 가능해지는 경우, 상기 우회문(30)을 하향시키고 알림판(20)을 원상태로 리턴시키면 중앙분리대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앙분리대의 비상 우회 장치에 의하면, 비상분리대에 우회수단을 구성하여 차량의 정상주행이 불가능해지는 경우 우회로를 형성함으로써, 운행차량의 지체현상이나 연료의 낭비 등이 최소화되어 편리성이 제공될 뿐만 아니라 중앙분리대의 유지 및 보수에 따른 각종 부대비용이 절 감되어 경제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삭제)
  2. (보정)
    고속도로의 차로 중앙부분에 연속적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분리대(11)를 통해 상행선과 하행선을 구획하는 중앙분리대(10)로서,
    상기 분리대(11)의 측부에 제1회동축(21)을 통해 장착되어 회동함은 물론 그 전면에 안내문구가 표기된 알림판(20)과; 상기 알림판(20)에 일정거리를 두고 제2회동축(31)을 통해 장착되어 회동하는 우회문(30);
    상기 알림판(20)에 장착된 기어열(44)과, 상기 기어열(44)에 일정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정/역회전하는 모우터(45) 및, 상기 기어열(44)과 모우터(45)을 축을 연결하는 연결부재(46)가 결합된 구동수단 및;
    상기 우회문(30)에 장착된 기어열(44)과, 상기 기어열(44)에 일정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정/역회전하는 모우터(45) 및, 상기 기어열(44)과 모우터(45)을 축을 연결하는 연결부재(46)가 결합된 구동수단;
    으로 이루어져;
    상기 고속도로에 비상사태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구동수단을 작동하여 상기 알림판(20)을 펼쳐 비상사태를 알림과 더불어 상기 우회문(30)을 개방하여 차량의 우회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분리대의 비상 우회 장치.
  3. (보정)
    고속도로의 차로 중앙부분에 연속적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분리대(11)를 통해 상행선과 하행선을 구획하는 중앙분리대(10)로서,
    상기 분리대(11)의 측부에 제1회동축(21)을 통해 장착되어 회동함은 물론 그 전면에 안내문구가 표기된 알림판(20)과;
    상기 알림판(20)에 일정거리를 두고 제2회동축(31)을 통해 장착되어 회동하는 우회문(30);
    상기 알림판(20)에 장착된 기어열(44)과, 상기 기어열(44)에 일정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정/역회전하는 모우터(45) 및, 상기 기어열(44)과 모우터(45)을 축을 연결하는 연결부재(46)가 결합된 구동수단 및;
    상기 우회문(30)에 장착된 권취드럼(41)과, 상기 권취드럼(41)에 결합되어 정/역회전하는 모우터(42) 및, 상기 권취드럼(41)과 우회문(30)에 연결되어 상기 모우터(42)에 의해 상기 권취드럼(41)을 따라 감겨지는 와이어부재(43)가 결합된 구동수단;
    으로 이루어져;
    상기 고속도로에 비상사태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구동수단을 작동하여 상기 알림판(20)을 펼쳐 비상사태를 알림과 더불어 상기 우회문(30)을 개방하여 차량의 우회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분리대의 비상 우회 장치.
KR1020060075519A 2006-08-10 2006-08-10 중앙분리대의 비상 우회 장치 KR100759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519A KR100759192B1 (ko) 2006-08-10 2006-08-10 중앙분리대의 비상 우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519A KR100759192B1 (ko) 2006-08-10 2006-08-10 중앙분리대의 비상 우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9192B1 true KR100759192B1 (ko) 2007-09-14

Family

ID=38737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5519A KR100759192B1 (ko) 2006-08-10 2006-08-10 중앙분리대의 비상 우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919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16706A (ja) * 1990-03-06 1992-08-06 Energy Absorption Syst Inc 交通用障壁
KR0146372B1 (ko) * 1990-01-18 1998-09-15 톰 플린토프 도로의 가동성 중앙 분리대
JP2002069951A (ja) 2000-08-31 2002-03-08 Nippon Kokan Light Steel Kk 開閉扉を備えるガードレール
JP2004211340A (ja) 2002-12-27 2004-07-2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可動式分離帯
KR100585818B1 (ko) 2006-03-15 2006-06-07 (주)아름드리엔지니어링 도로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게이트 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6372B1 (ko) * 1990-01-18 1998-09-15 톰 플린토프 도로의 가동성 중앙 분리대
JPH04216706A (ja) * 1990-03-06 1992-08-06 Energy Absorption Syst Inc 交通用障壁
JP2002069951A (ja) 2000-08-31 2002-03-08 Nippon Kokan Light Steel Kk 開閉扉を備えるガードレール
JP2004211340A (ja) 2002-12-27 2004-07-2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可動式分離帯
KR100585818B1 (ko) 2006-03-15 2006-06-07 (주)아름드리엔지니어링 도로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게이트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85890B2 (en) Vertically actuated vehicle barrier system
US6259375B1 (en) Highway warning system
CN1289295A (zh) 一种具有强适应性的站台门系统
KR102176518B1 (ko) 스쿨존의 횡단보도를 어린이가 안전하게 건너가도록 횡단보도와 차도에 게이트를 설치하는 방법
KR100722868B1 (ko) 보행자 안전장치
CN107268358A (zh) 一种高速公路应急出入口
KR100759192B1 (ko) 중앙분리대의 비상 우회 장치
Bryden et al. Guidelines for design and operation of nighttime traffic control for highway maintenance and construction
KR101512038B1 (ko) 경계석용 교통 표지장치
CN114999190B (zh) 声光一体路沿石与交通系统联动的行人警示系统
US5474266A (en) Railroad highway crossing
KR20030089966A (ko) 횡단보도용 신호 차단장치
KR100700064B1 (ko) 보도를 갖는 도로의 보행자 보호장치
KR200299918Y1 (ko) 보행자 보호용 차량 진입 차단봉의 은폐 구조
CN110130241A (zh) 一种预防行人闯红灯阻拦装置及阻拦方法
US1529744A (en) Emergency traffic barrier
CN105040538B (zh) 单双道信号交叉口防闯红灯系统
KR101184093B1 (ko) 1차로 전용 차량의 차로 변경 시스템
KR0133194Y1 (ko) 양방향 차단용 전동 차단기
CN213896844U (zh) 市区道路施工交通避让控制系统
JPH0624342A (ja) 踏切遮断装置
KR20050103557A (ko) 철도 건널목의 안전 경보장치
TWM661559U (zh) 行人導護系統
Eck et al. Railroad-highway Grade Crossings: A Look Forward
Schrock et al. Work zone positive protection policy guidance: Synthesis of devices and state of pract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5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9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9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3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1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1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07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7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22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