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54127B1 -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4127B1
KR100754127B1 KR1020060014323A KR20060014323A KR100754127B1 KR 100754127 B1 KR100754127 B1 KR 100754127B1 KR 1020060014323 A KR1020060014323 A KR 1020060014323A KR 20060014323 A KR20060014323 A KR 20060014323A KR 100754127 B1 KR100754127 B1 KR 100754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ayer
red
green
hole transpo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4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1965A (ko
Inventor
정재경
안태경
모연곤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4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4127B1/ko
Publication of KR20070081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1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4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412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Hole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색 및 녹색 발광층과 정공수송층 사이에 보조 정공수송층을 형성하는 풀칼라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풀칼라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는 적색, 녹색 및 청색 화소영역을 갖는 전도성 기판과, 상기 화소영역 상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전극층들과, 상기 제1 전극층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전극층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적색 화소영역 및 녹색 화소영역 내에 패터닝되어 형성되는 보조 정공수송층과, 상기 보조 정공수송층 상의 상기 적색 화소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적색 발광물질을 패터닝하여 적색 발광층을 형성하고, 상기 녹색 화소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녹색 발광물질을 패터닝하여 형성되는 녹색 발광층과, 상기 적색 발광층 및 상기 녹색 발광층이 형성된 상기 기판 전면에 청색 발광물질로 형성되는 청색 발광층과, 상기 청색 발광층 상에 형성되는 제2 전극층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풀칼라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의 수명 개선 및 색순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보조 정공수송층, 발광층, 미세공동, 색순도

Description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FULL COLOR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하나의 화소영역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레이아웃도.
도 2는 도 1의 Ⅰ-Ⅰ´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화소영역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레이아웃도.
도 4는 도 3의 Ⅱ-Ⅱ´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0 : 기판 221,223,225 : 제1 전극층
230 : 정공주입층 240 : 정공수송층
251,253 : 보조 정공수송층 261,263,270 : 적색, 녹색, 청색 발광층
280 : 전자수송층 290 : 제2 전극층
본 발명은 풀칼라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적색 및 녹색 발광층과 정공수송층 사이에 보조 정공수송층을 형성하여 적색 및 녹색 파장대역의 색광 휘도를 증폭시키며 색순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풀칼라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음극선관(CRT:Cathode Ray Tube)의 무게와 크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소형 경량화의 장점을 가지고 있는 평판표시장치(FPD:Flat Panel Display)가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평판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LCD:Liquid Crystal Display), 발광표시장치(LED:Light Emitting Diode), 전계방출표시장치(FED:Field Emitter Display) 및 플라즈마 표시장치(PDP:Plasma Display Panel) 등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평판표시장치 중에서도 발광표시장치는 다른 평판표시장치보다 사용온도 범위가 넓고, 충격이나 진동에 강하며, 시야각이 넓고, 응답속도가 빨라 깨끗한 동화상을 제공할 수 있다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향후 차세대 평판표시장치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발광표시장치로는 유기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와 무기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무기 발광표시장치가 있다. 유기 발광다이오드는 애노드 전극, 캐소드 전극 및 이들 사이에 위치하여 전자와 정공의 결합에 의하여 발광하는 유기발광층을 포함한다. 무기 발광다이오드는 유기 발광다이오드와 달리 무기물인 발광층, 일례로 PN 접합된 반도체로 이루어진 발광층을 포함한다.
이 중,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는 기판 상의 적어도 하나의 화소영역에 형성된 서브화소영역에 적색(R), 녹색(G), 청색(B)을 내는 물질을 침착시켜서, 기판 상에 형성된 박막트랜지스터의 구동에 의해 각각의 서브화소영역이 발광하게 된다. 적색(R), 녹색(G), 청색(B)의 서브화소영역 각각을 상이한 위치에 배치시키는 것은, 삼원색으로부터의 광이 단지 이들의 원색만으로 갖가지 색을 인식할 수 있도록 인간의 눈에 의해 통합되는 경우에 풀칼라 디스플레이를 실현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하나의 화소영역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레이아웃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화소영역(10)은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화소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화소영역의 면적이 동일하게 스트라이프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화소 사이에 형성된 화소정의막(11)에 의해 각각의 화소영역이 구분된다.
도 2는 도 1의 Ⅰ-Ⅰ´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풀칼라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는 기판(110) 상에 각 화소에 따라 형성되는 제1 전극층(121,123,125)이 패터닝되어 형성되고, 정공주입층(130)과 정공수송층(140)이 전면에 형성된다. 각 화소의 제1 전극에 대응하여 적색(R), 녹색(G), 청색(B)의 발광층(151,153,155)이 형성되고, 정공억제층(160)과 전자수송층(170)이 전면에 형성된다. 상기 전자수송층(170) 상에 제2 전극층(180)을 형성한다.
상기 적색(R), 녹색(G), 청색(B) 화소의 발광층(151,153,155)은 각각의 적색(R), 녹색(G), 청색(B) 칼라에 적합한 두께로 적색(R), 녹색(G), 청색(B) 화소의 제1 전극층(121,123,125)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전하수송층인 정공주입층(130)과 정공수송층(140) 그리고 정공억제층(160)과 전자수송층(170)은 공통층으로 기판 전 면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의 경우 적색(R), 녹색(G), 청색(B) 화소영역을 형성할 때 최소한 3번의 증착 또는 전사에 의한 패터닝 공정이 필요하고 적색(R), 녹색(G), 청색(B) 화소영역의 미세한 패턴을 형성해야 하므로 미스 얼라인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적색(R), 녹색(G), 청색(B) 화소영역을 형성하는 발광 물질로 인광 발광 물질 즉, 발광 호스트로는 형광 발광 물질에 도판트로 인광 물질을 사용하기 때문에 정공의 이동이 전자의 이동보다 빠르게 되어 발광층 상부에 정공의 이동을 방지하는 정공억제층이 필수적이었다. 이에 따라 인광 발광소자의 경우 정공억제층이 더 필요하게 됨으로써 공정적으로 하나의 공정이 더 늘어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 들어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구동특성상 플랙서블화가 가능하여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플랙서블한 기판인 전도성 기판의 표면이 수십 Å이하로 거울처럼 매끄러워서 가시광선에 대한 반사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의 발광층으로부터 발생된 빛이 상기 기판의 표면 상에 반사되어 발광층의 색순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발명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도성 기판 상에 적색 및 녹색 발광층과 정공수송층 사이에 보조 정공수송층을 형성함으로써 적색 및 녹색 파장대역의 색광 휘도를 증폭시키며 색순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풀칼라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풀칼라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는 적색, 녹색 및 청색 화소영역을 갖는 전도성 기판과, 상기 화소영역 상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전극층들과, 상기 제1 전극층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전극층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적색 화소영역 및 녹색 화소영역 내에 패터닝되어 형성되는 보조 정공수송층과, 상기 보조 정공수송층 상의 상기 적색 화소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적색 발광물질을 패터닝하여 적색 발광층을 형성하고, 상기 녹색 화소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녹색 발광물질을 패터닝하여 형성되는 녹색 발광층과, 상기 적색 발광층 및 상기 녹색 발광층이 형성된 상기 기판 전면에 청색 발광물질로 형성되는 청색 발광층과, 상기 청색 발광층 상에 형성되는 제2 전극층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조 정공수송층은 상기 정공수송층의 에너지레벨을 갖으며, 상기 에너지레벨은 2.41ev 내지 5.45ev이다. 상기 제1 전극층이 형성된 기판 상에 정공주입층 및 정공수송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청색 발광층과 상기 제2 전극층 사이에 전자수송층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전도성 기판은 금속 박막이며, 상기 금속 박막은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티타늄을 이용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풀칼라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화소영역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레이아웃도이 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나의 화소영역(20)은 적색(R), 녹색(G), 청색(B)의 화소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화소영역의 면적이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적색(R) 및 녹색(G) 화소영역은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형성되며, 상대적으로 발광효율이 낮은 청색(B) 화소영역이 전체 화소영역(20) 즉, 적색(R) 및 녹색(G) 화소영역 전면에 공통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적색(R) 화소 및 녹색(G) 화소가 형성된 면적을 제외한 청색(B) 화소의 면적이 적색(R) 발광층의 면적 및 녹색(G) 발광층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청색(B)의 화소영역을 화소영역 전면에 공통적으로 형성하여, 발광효율이 낮은 청색(B)의 발광효율을 적색(R) 및 녹색(G)의 발광효율과 유사한 수준으로 향상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풀칼라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의 수명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적색(R) 화소 및 녹색(G) 화소에는 보조 정공수송층(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적색(R) 화소 및 녹색(G) 화소의 색광 효율 및 색순도를 향상시킨다.
도 4는 도 3의 Ⅱ-Ⅱ´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풀칼라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200)는 적색, 녹색 및 청색 화소영역을 갖는 전도성 기판(210)과, 상기 화소영역 상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전극층(221,223,225)들과, 상기 제1 전극층(221,223,225) 상에 형성되는 정공주입층(230)과, 상기 정공주입층(230) 상에 형성되는 정공수송층(240)과, 상기 정공수송층(240)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적색 화소영역 및 상기 녹색 화소영역 상에 정공수송물질이 패터닝되어 형성되는 보조 정공수송층(251,253)과, 상기 보조 정공수송층(251,253)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적색 화소영역 상에 적색 발광물질이 패터닝되어 형성되는 적색 발광층(261) 및 상기 녹색 화소영역 상에 녹색 발광물질이 패터닝되어 형성되는 녹색 발광층(263)과, 상기 정공수송층(240) 전면에 걸쳐 적층되며, 상기 적색 발광층(261)과 상기 녹색 발광층(263)이 형성된 상기 정공수송층(240) 전면에 적층되어 청색 발광물질로 형성되는 청색 발광층(270)과, 상기 청색 발광층(270) 상에 형성되는 전자수송층(280)과, 상기 전자수송층(280) 상에 형성되는 제2 전극층(290)을 포함한다.
상기 전도성 기판(210)은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단위 화소영역들을 갖는다. 상기 기판(210)은 스테인레스 스틸(SUS) 또는 티타늄(Ti) 등을 이용하여 형성하여, 플렉서블 가능한 박막(Metal foil) 형태로 형성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에 따라 상기 기판(210)을 형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기판(210)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된다. 설명의 편의상, 박막 트랜지스터에 대한 세부적인 개시 및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 전극층(221,223,225)들은 상기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단위 화소영역들을 갖는 기판(210) 상에 각각 패터닝되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면 발광구조로써 상기 제1 전극층(221,223,225)의 적어도 한 층을 반사막인 금속막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화소정의막(미도시)을 형성한다.
이 후, 상기 제1 전극층(221,223,225)이 형성된 상기 기판(210) 전면에 상기 정공주입층(230) 및 상기 정공수송층(240)을 형성한다. 상기 정공주입층(230)은 통상적으로 CuPc, TNATA, TCTA, TDAPB와 같은 저분자와 PANI,PEDOT와 같은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사용된다. 또한, 상기 정공수송층(240)은 통상적으로 아릴아민계 저분자, 히드라존계 저분자, 스틸벤계 저분자, 스타버스트계 저분자로 NPB, TPD, s-TAD, MTADATTA 등의 저분자와 카바졸계 고분자, 아릴아민계 고분자, 페릴렌계 및 피롤계 고분자로 PVK와 같은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정공수송 재료는 정공을 쉽게 운반시킬 뿐만 아니라, 여기자 형성 확률을 높여준다. 또한, 상기 정공주입층(230) 및 상기 정공수송층(240) 중 어느 하나를 생략할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 적색 발광층(261) 및 상기 녹색 발광층(263)은 상기 적색 화소영역 및 녹색 화소영역에 형성된 제1 전극층(221,223)에 대응하여 상기 정공수송층(240) 상에 패터닝되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적색 발광층(261)과 상기 정공 수송층(240) 및 상기 녹색 발광층(263)과 상기 정공수송층(240) 사이에 각각 보조 정공수송층(251,253)을 형성한다. 상기 보조 정공수송층(251,253)은 상기 정공수송층(240)의 에너지 레벨을 가지고 있는 물질로 대략 100Å 내지 1000Å의 두께로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의 전도성 기판에 있어서, 금속 박막으로 형성된 기판의 표면은 거칠게 형성되어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금속 박막을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의 기판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금속 기판의 표면을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방법에 의해 상기 금속 기판의 표면을 평평하게 연마시켜야한다. 이러한 공정을 통해 상기 금속 기판의 표면은 수십 Å이하로 평탄하게 형성된다.
전술한 공정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된 기판을 전면 발광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에 적용하였을 경우,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의 발광층으로부터 발생된 빛은 상기 기판의 표면에 반사되어 일부는 투과하고 일부 광은 다시 반사하여 제2 전극층(290)으로 향한다. 그러나 이러한 전도성 기판은 기존의 유리 기판에 비해 가시광 영역에서의 광에 대한 반사특성이 매우 높아 발광층의 색순도를 현저하게 저하시킨다. 이는 상기 기판의 표면이 수십 Å이하로 거울처럼 매끄러워 빛에 대한 반사도가 매우 높기 때문이다.
상기 보조 정공수송층(251,253)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미세공동(Microcavity) 효과를 이용하여 원하는 파장대의 빛을 도출시키기 위한것으로써, 상기 적색 및 녹색 발광층(261,263)으로부터 발생된 빛을 보강 또는 소멸시켜 상기 적색 및 녹색 발광층(261,263)의 색순도를 조절한다.
미세공동 효과란 상기 기판(210)과 상기 제2 전극층(290) 사이에서 광이 투과와 반사를 거듭하며 간섭을 일으키는데 이 때 상기 기판(210)과 상기 제2 전극층(290) 사이에 광학적 공진이 일어나도록 보조 정공수송층(251,253)을 형성하여 적색 및 녹색 발광층(261,263)의 색순도를 조절하는 것을 말한다.
예컨대 상기 적색 및 녹색 발광층(261,263)의 가시광이 발광하는데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층(290)에서 상기 보조 정공수송층(251,253)에 의해 반사되는 광의 파장들과 상기 보조 정공수송층(251,253)을 투과하여 상기 기판(210)에 의해 반사되는 파장들이 상기 적색 및 녹색 발광층(261,263)과 상기 보조 정공수송층(251,253)의 계면 사이에서 보강간섭 및 상쇄간섭이 일어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보강 간섭이 일어나는 경우 광의 간섭강도는 피크가 되며, 상쇄간섭이 일어나는 경우 광의 간섭강도는 0이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광의 간섭강도가 최적화 되도록 상기 보조 정공수송층(251,253)을 형성함으로써, 풀칼라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의 효율을 높이고 발광색의 변화를 감소시켜 상기 적색 및 녹색 발광층(261,263)의 색광 휘도 및 색순도를 최적화시킨다. 뿐만아니라 더 나아가서는 양호한 화질의 화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는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청색 발광층(270)은 상기 적색 발광층(261) 및 상기 녹색 발광층(263) 보다 수명 특성 및 발광 효율이 상대적으로 낮아, 상기 청색의 특성을 고려하여 상기 적색 발광층(261) 및 상기 녹색 발광층(263)이 형성된 상기 정공수송층(240) 전면에 대략 100Å 내지 2000Å으로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각 발광층에 사용되는 물질에 제한을 두지 않았지만, 상기 적색 발광층(261) 및 상기 녹색 발광층(263)을 각각 형성한 뒤, 상기 청색 발광층(270)을 공통층으로 형성할 때, 형광 발광물질을 발광층으로 사용하는 형광 발광층의 경우보다, 인광 발광물질을 발광층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엑시톤의 수명 및 확산거리가 더 길다. 이에 따라, 상기 인광 발광물질을 발광층으로 사용하는 발광층의 경우, 상기 발광층의 HOMO(Highly Occupied Molecular Orbital) 값보다 큰 HOMO 값을 갖는 즉, 엑시톤의 확산을 즉, 전자 및 정공의 이동을 막는 정공 저지층을 반드시 형성해야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청색 발광층(270)은 정공저지층의 에너지레벨 즉, HOMO(Highly Occupied Molecular Orbital) 에너지준위 및 청색 발광물질 특성을 가지고 있는 물질로 형성된다. 예컨데, 정공저지층의 에너지레벨은 2.75ev 내지 5.92ev일 수 있다. 상기 청색 발광층(270)은 상기 적색 발광층(261) 및 상기 녹색 발광층(263)으로부터 발생되는 정공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으며, 정공저지층을 도입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으며, 상기 정공저지층 형성에 따른 공정 수가 줄어들어 원가절감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상기 청색 발광층(270)은 상기 적색 및 녹색 발광층(261,263)이 형성된 상기 정공수송층(240) 전면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청색 발광층(270)에 따른 미세 패턴이 필요없게되어 패턴화 공정이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적색,녹색 및 청색 발광층(261,263,270)은 진공증착, 습식코팅, 잉크젯 및 레이저 열전사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전자수송층(280)은 상기 청색 발광층(270) 상에 형성된다. 상기 전자 수송층(280)은 상기 제2 전극층(290)으로부터 상기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층(261,263,270)으로 전자가 원활히 수송될 수 있도록한다. 상기 전자수송층(280)은 상기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층(261,263,270)에서 정공과 결합하지 못한 정공의 이동을 억제하여 상기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층(261,263,270) 내의 재결합 기회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전극층(290)은 상기 전자수송층(280) 상에 형성된다. 상기 제2 전 극층(290)은 투명전극인 ITO, IZO 등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전자수송층(280)과 상기 제2 전극층(290) 사이에 전자주입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지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적색 및 녹색 발광층과 정공수송층 사이에 각각 보조 정공수송층을 형성함으로써 적색 및 녹색 파장대역의 색광 휘도를 증폭시키며 색순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발광효율이 낮은 청색 발광층은 적색 및 청색 발광층이 형성된 기판 상에 전면 도포되며, 정공저지층의 에너지레벨을 가지고 있는 물질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청색 발광층에 따른 미세 패턴이 필요없으며, 정공저지층의 형성에 따른 공정 수가 줄어들어 원가절감 효과를 얻게 된다.
이에 따라, 풀칼라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의 고해상도, 고성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현 할 수 있다.

Claims (14)

  1. 적색, 녹색 및 청색 화소영역을 갖는 전도성 기판과,
    상기 화소영역 상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전극층들과,
    상기 제 1전극층 상에 형성되는 정공수송층과,
    상기 정공수송층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전극층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적색 화소영역 및 녹색 화소영역 내에 패터닝되어 형성되는 보조 정공수송층과,
    상기 보조 정공수송층 상의 상기 적색 화소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적색 발광물질을 패터닝하여 형성되는 적색 발광층과,
    상기 녹색 화소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녹색 발광물질을 패터닝하여 형성되는 녹색 발광층과,
    상기 적색 발광층 및 상기 녹색 발광층이 형성된 상기 기판 전면에 청색 발광물질로 형성되는 청색 발광층과,
    상기 청색 발광층 상에 형성되는 제2 전극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칼라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정공수송층은 상기 정공수송층의 에너지레벨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칼라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상기 에너지레벨은 2.41ev 내지 5.45e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칼라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층이 형성된 기판 상에 정공주입층 및 정공수송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칼라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색 발광층과 상기 제2 전극층 사이에 전자수송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칼라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기판은 금속 박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칼라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박막은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티타늄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칼라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색 발광층은 정공저지층의 에너지 레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칼라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상기 에너지레벨은 2.75ev 내지 5.92e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칼라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청색 발광층은 100Å 내지 2000Å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칼라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11. 적색, 녹색 및 청색 화소영역으로 정의된 전도성 기판 상에 제1 전극층을 적층하여 각각 패터닝하는 단계;
    상기 적색 및 녹색 화소영역의 제1 전극층 상에 패터닝된 보조 정공수송층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보조 정공수송층 상의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적색 화소영역의 적색 발광층 및 상기 녹색 화소영역의 녹색 발광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적색 발광층 및 상기 녹색 발광층이 형성된 기판의 전면에 청색 발광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청색 발광층 상에 제2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칼라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층은 진공 증착, 습식코딩, 잉크젯 및 레이저 열전사법 중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칼라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층이 형성된 상기 기판 상에 정공주입층과 정공수송층을 더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칼라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색 발광층과 상기 제2 전극층 사이에 전자수송층을 더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칼라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0060014323A 2006-02-14 2006-02-14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Active KR100754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4323A KR100754127B1 (ko) 2006-02-14 2006-02-14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4323A KR100754127B1 (ko) 2006-02-14 2006-02-14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1965A KR20070081965A (ko) 2007-08-20
KR100754127B1 true KR100754127B1 (ko) 2007-08-30

Family

ID=38611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4323A Active KR100754127B1 (ko) 2006-02-14 2006-02-14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412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58060B2 (en) 2008-12-19 2013-01-22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8410683B2 (en) 2008-12-02 2013-04-02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780148B2 (en) 2014-08-20 2017-10-0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2442B1 (ko) * 2010-01-27 2012-09-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705823B1 (ko) 2011-06-30 2017-02-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KR101888157B1 (ko) * 2011-12-20 2018-08-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
KR102013879B1 (ko) * 2012-11-30 2019-08-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998627B1 (ko) 2013-01-25 2019-07-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40116692A (ko) 2013-03-25 2014-10-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117607B1 (ko) * 2013-07-23 2020-06-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107566B1 (ko) * 2013-09-30 2020-05-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249192B1 (ko) * 2013-11-22 2021-05-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98122B1 (ko) * 2014-09-26 2021-09-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268507B1 (ko) * 2014-11-07 2021-06-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555434B1 (ko) * 2014-12-19 2023-07-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4600199B (zh) * 2014-12-30 2017-08-04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一种有机电致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
KR102397823B1 (ko) * 2015-11-30 2022-05-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17905B1 (ko) * 2017-08-08 2021-10-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12018268B (zh) * 2020-09-28 2025-04-29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有机发光显示器件、制备方法以及显示装置
CN114335371B (zh) * 2021-12-29 2024-03-12 湖北长江新型显示产业创新中心有限公司 一种显示器件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7467A (ko) * 2003-09-15 2005-03-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풀칼라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50067055A (ko) * 2003-12-26 2005-06-30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7467A (ko) * 2003-09-15 2005-03-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풀칼라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50067055A (ko) * 2003-12-26 2005-06-30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10683B2 (en) 2008-12-02 2013-04-02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8358060B2 (en) 2008-12-19 2013-01-22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780148B2 (en) 2014-08-20 2017-10-0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0283570B2 (en) 2014-08-20 2019-05-0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0665639B2 (en) 2014-08-20 2020-05-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1056542B2 (en) 2014-08-20 2021-07-0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1965A (ko) 2007-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4127B1 (ko)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220352273A1 (en) Display panel, fabrication method therefor, and display device
US7999457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N100482025C (zh) 有机电致发光显示器及其制造方法
JP6479738B2 (ja) 有機デバイス上の非共通キャッピング層
CN102024844B (zh) 有机发光显示设备
TWI500144B (zh) 有機發光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US9343510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9859340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having bent type or curved surface type display
US11362311B2 (en) Sub-electrode microlens array for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KR101074808B1 (ko) 청색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WO2017043243A1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の製造方法、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US7808173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070058765A (ko) 전계 발광소자
KR10211360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TWI711028B (zh) 有機發光二極體顯示裝置
KR20250081222A (ko) 유기 발광 소자 및 그를 이용한 표시 장치
CN117641965A (zh) 有机电致发光器件、制备方法以及显示装置
KR20090046051A (ko)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49143A (ko) 유기 전계발광 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2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1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8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8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0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0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01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23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