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4127B1 -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 Google Patents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54127B1 KR100754127B1 KR1020060014323A KR20060014323A KR100754127B1 KR 100754127 B1 KR100754127 B1 KR 100754127B1 KR 1020060014323 A KR1020060014323 A KR 1020060014323A KR 20060014323 A KR20060014323 A KR 20060014323A KR 100754127 B1 KR100754127 B1 KR 1007541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emitting
- layer
- red
- green
- hole transpor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Hole transporting layer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색 및 녹색 발광층과 정공수송층 사이에 보조 정공수송층을 형성하는 풀칼라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ll color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auxiliary hole transport layer between the red and green light emitting layers and the hole transport layer.
본 발명의 풀칼라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는 적색, 녹색 및 청색 화소영역을 갖는 전도성 기판과, 상기 화소영역 상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전극층들과, 상기 제1 전극층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전극층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적색 화소영역 및 녹색 화소영역 내에 패터닝되어 형성되는 보조 정공수송층과, 상기 보조 정공수송층 상의 상기 적색 화소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적색 발광물질을 패터닝하여 적색 발광층을 형성하고, 상기 녹색 화소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녹색 발광물질을 패터닝하여 형성되는 녹색 발광층과, 상기 적색 발광층 및 상기 녹색 발광층이 형성된 상기 기판 전면에 청색 발광물질로 형성되는 청색 발광층과, 상기 청색 발광층 상에 형성되는 제2 전극층을 포함한다. A full color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ductive substrate having red, green, and blue pixel regions, first electrode layers formed on the pixel regions, and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An auxiliary hole transport layer patterned in the red pixel area and the green pixel area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lectrode layer, and a red light emitting layer by patterning a red light emitting material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d pixel area on the auxiliary hole transport layer; A green light emitting layer formed by patterning a green light emitting material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reen pixel region, a blue light emitting layer formed of a blue light emitting material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ubstrate on which the red light emitting layer and the green light emitting layer are formed, and formed on the blue light emitting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layer to be formed.
이에 따라, 풀칼라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의 수명 개선 및 색순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lifespan and color purity of the full color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an be improved.
보조 정공수송층, 발광층, 미세공동, 색순도 Auxiliary hole transport layer, light emitting layer, microcavity, color purity
Description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하나의 화소영역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레이아웃도.1 is a schematic layout showing one pixel area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도 1의 Ⅰ-Ⅰ´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 of FIG. 1.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화소영역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레이아웃도.3 is a schematic layout showing one pixel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Ⅱ-Ⅱ´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 of FIG. 3.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210 : 기판 221,223,225 : 제1 전극층 210:
230 : 정공주입층 240 : 정공수송층 230: hole injection layer 240: hole transport layer
251,253 : 보조 정공수송층 261,263,270 : 적색, 녹색, 청색 발광층 251,253: Secondary hole transport layer 261,263,270: Red, green, blue light emitting layer
280 : 전자수송층 290 : 제2 전극층 280: electron transport layer 290: second electrode layer
본 발명은 풀칼라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적색 및 녹색 발광층과 정공수송층 사이에 보조 정공수송층을 형성하여 적색 및 녹색 파장대역의 색광 휘도를 증폭시키며 색순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풀칼라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ll color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an auxiliary hole transport layer is formed between a red and green light emitting layer and a hole transport layer to amplify the color light luminance of the red and green wavelength bands and to improve color purit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ll color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최근에, 음극선관(CRT:Cathode Ray Tube)의 무게와 크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소형 경량화의 장점을 가지고 있는 평판표시장치(FPD:Flat Panel Display)가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평판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LCD:Liquid Crystal Display), 발광표시장치(LED:Light Emitting Diode), 전계방출표시장치(FED:Field Emitter Display) 및 플라즈마 표시장치(PDP:Plasma Display Panel) 등이 있다.Recently, a flat panel display (FPD: Flat Panel Display) having the advantages of small size and light weight by solving problems of weight and size of a cathode ray tube (CRT)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Such flat panel displays include liquid crystal displays (LCDs), light emitting diodes (LEDs), field emitter displays (FEDs), and plasma display panels (PDPs). There is this.
그리고, 이와 같은 평판표시장치 중에서도 발광표시장치는 다른 평판표시장치보다 사용온도 범위가 넓고, 충격이나 진동에 강하며, 시야각이 넓고, 응답속도가 빨라 깨끗한 동화상을 제공할 수 있다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향후 차세대 평판표시장치로 주목받고 있다.Among the flat panel display devices, the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s a wider operating temperature range than other flat panel display devices, is resistant to shock and vibration, has a wide viewing angle, and provides a fast response speed, thereby providing clean moving images. In the future, it is attracting attention as the next generation flat panel display.
이러한 발광표시장치로는 유기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와 무기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무기 발광표시장치가 있다. 유기 발광다이오드는 애노드 전극, 캐소드 전극 및 이들 사이에 위치하여 전자와 정공의 결합에 의하여 발광하는 유기발광층을 포함한다. 무기 발광다이오드는 유기 발광다이오드와 달리 무기물인 발광층, 일례로 PN 접합된 반도체로 이루어진 발광층을 포함한다.Such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s includ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an in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ing an inorganic light emitting diod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includes an anode electrode, a cathode electrode,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disposed between them and emitting light by a combination of electrons and holes. The inorganic light emitting diode, unlik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includes an emission layer made of an inorganic material, for example, a light emitting layer made of a PN bonded semiconductor.
이 중,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는 기판 상의 적어도 하나의 화소영역에 형성된 서브화소영역에 적색(R), 녹색(G), 청색(B)을 내는 물질을 침착시켜서, 기판 상에 형성된 박막트랜지스터의 구동에 의해 각각의 서브화소영역이 발광하게 된다. 적색(R), 녹색(G), 청색(B)의 서브화소영역 각각을 상이한 위치에 배치시키는 것은, 삼원색으로부터의 광이 단지 이들의 원색만으로 갖가지 색을 인식할 수 있도록 인간의 눈에 의해 통합되는 경우에 풀칼라 디스플레이를 실현한다.Among them,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deposits a material emitting red (R), green (G), and blue (B) in a subpixel area formed in at least one pixel area on a substrate, thereby forming a thin film transistor formed on the substrate. Each subpixel region emits light by driving. Positioning each of the red (R), green (G), and blue (B) subpixel regions at different positions is integrated by the human eye so that light from the three primary colors can recognize various colors with only their primary colors. In this case, a full color display is realized.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하나의 화소영역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레이아웃도이다.1 is a schematic layout showing one pixel area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화소영역(10)은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화소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화소영역의 면적이 동일하게 스트라이프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화소 사이에 형성된 화소정의막(11)에 의해 각각의 화소영역이 구분된다.Referring to FIG. 1, the
도 2는 도 1의 Ⅰ-Ⅰ´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 of FIG. 1.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풀칼라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는 기판(110) 상에 각 화소에 따라 형성되는 제1 전극층(121,123,125)이 패터닝되어 형성되고, 정공주입층(130)과 정공수송층(140)이 전면에 형성된다. 각 화소의 제1 전극에 대응하여 적색(R), 녹색(G), 청색(B)의 발광층(151,153,155)이 형성되고, 정공억제층(160)과 전자수송층(170)이 전면에 형성된다. 상기 전자수송층(170) 상에 제2 전극층(180)을 형성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full-color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formed by patterning
상기 적색(R), 녹색(G), 청색(B) 화소의 발광층(151,153,155)은 각각의 적색(R), 녹색(G), 청색(B) 칼라에 적합한 두께로 적색(R), 녹색(G), 청색(B) 화소의 제1 전극층(121,123,125)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전하수송층인 정공주입층(130)과 정공수송층(140) 그리고 정공억제층(160)과 전자수송층(170)은 공통층으로 기판 전 면에 형성된다. The
이와 같이, 종래 기술의 경우 적색(R), 녹색(G), 청색(B) 화소영역을 형성할 때 최소한 3번의 증착 또는 전사에 의한 패터닝 공정이 필요하고 적색(R), 녹색(G), 청색(B) 화소영역의 미세한 패턴을 형성해야 하므로 미스 얼라인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적색(R), 녹색(G), 청색(B) 화소영역을 형성하는 발광 물질로 인광 발광 물질 즉, 발광 호스트로는 형광 발광 물질에 도판트로 인광 물질을 사용하기 때문에 정공의 이동이 전자의 이동보다 빠르게 되어 발광층 상부에 정공의 이동을 방지하는 정공억제층이 필수적이었다. 이에 따라 인광 발광소자의 경우 정공억제층이 더 필요하게 됨으로써 공정적으로 하나의 공정이 더 늘어난다는 문제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ior art, when forming red (R), green (G), and blue (B) pixel regions, at least three patterning processes by deposition or transfer are required, and red (R), green (G), Since a fine pattern of the blue (B) pixel region must be formed, a misalignment may occur. In addition, since the phosphorescent material is used as a dopant for the fluorescent light emitting material, that is, the fluorescent light emitting material as the light emitting host. The hole suppression layer, which is faster than the movement of H and prevents the movement of holes on the light emitting layer, was essential. Accordingly, in the case of the phosphorescent light emitting device, since the hole suppression layer is requir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one process is further increased.
또한, 최근 들어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구동특성상 플랙서블화가 가능하여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In addition, in recent years,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s flexible in view of driving characteristics, and thus,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그러나 플랙서블한 기판인 전도성 기판의 표면이 수십 Å이하로 거울처럼 매끄러워서 가시광선에 대한 반사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의 발광층으로부터 발생된 빛이 상기 기판의 표면 상에 반사되어 발광층의 색순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However, since the surface of the conductive substrate, which is a flexible substrate, is tens of microseconds or less, and has a very high reflectivity to visible light,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emitting layer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s reflected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so that There is a problem of lowering the color purity.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발명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도성 기판 상에 적색 및 녹색 발광층과 정공수송층 사이에 보조 정공수송층을 형성함으로써 적색 및 녹색 파장대역의 색광 휘도를 증폭시키며 색순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풀칼라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lor hole luminance of red and green wavelength bands by forming an auxiliary hole transport layer between a red and green light emitting layer and a hole transport layer on a conductive sub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ull color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can amplify and improve color purity.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풀칼라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는 적색, 녹색 및 청색 화소영역을 갖는 전도성 기판과, 상기 화소영역 상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전극층들과, 상기 제1 전극층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전극층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적색 화소영역 및 녹색 화소영역 내에 패터닝되어 형성되는 보조 정공수송층과, 상기 보조 정공수송층 상의 상기 적색 화소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적색 발광물질을 패터닝하여 적색 발광층을 형성하고, 상기 녹색 화소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녹색 발광물질을 패터닝하여 형성되는 녹색 발광층과, 상기 적색 발광층 및 상기 녹색 발광층이 형성된 상기 기판 전면에 청색 발광물질로 형성되는 청색 발광층과, 상기 청색 발광층 상에 형성되는 제2 전극층을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ull color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nductive substrate having red, green and blue pixel regions, first electrode layers formed on each of the pixel regions,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An auxiliary hole transport layer formed on the red pixel area and the green pixel area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a red light emitting material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d pixel area on the auxiliary hole transport layer; A green light emitting layer is formed by patterning a red light emitting layer, and a green light emitting layer is formed by patterning a green light emitting material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reen pixel region. And a second electrode layer formed on the blue light emitting layer.
바람직하게, 상기 보조 정공수송층은 상기 정공수송층의 에너지레벨을 갖으며, 상기 에너지레벨은 2.41ev 내지 5.45ev이다. 상기 제1 전극층이 형성된 기판 상에 정공주입층 및 정공수송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청색 발광층과 상기 제2 전극층 사이에 전자수송층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전도성 기판은 금속 박막이며, 상기 금속 박막은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티타늄을 이용한다.Preferably, the auxiliary hole transport layer has an energy level of the hole transport layer, and the energy level is 2.41ev to 5.45ev. The semiconductor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hole injection layer and a hole transport layer on the substrate on which the first electrode layer is formed, and further include an electron transport layer between the blue light emitting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The conductive substrate is a metal thin film, and the metal thin film uses stainless steel or titanium.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풀칼라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full color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화소영역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레이아웃도이 다.3 is a schematic layout showing one pixel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하나의 화소영역(20)은 적색(R), 녹색(G), 청색(B)의 화소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화소영역의 면적이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적색(R) 및 녹색(G) 화소영역은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형성되며, 상대적으로 발광효율이 낮은 청색(B) 화소영역이 전체 화소영역(20) 즉, 적색(R) 및 녹색(G) 화소영역 전면에 공통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3, one
적색(R) 화소 및 녹색(G) 화소가 형성된 면적을 제외한 청색(B) 화소의 면적이 적색(R) 발광층의 면적 및 녹색(G) 발광층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한다. The area of the blue (B) pixel except for the area where the red (R) pixel and the green (G) pixel are formed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red (R) light emitting layer and the area of the green (G) light emitting layer.
따라서, 청색(B)의 화소영역을 화소영역 전면에 공통적으로 형성하여, 발광효율이 낮은 청색(B)의 발광효율을 적색(R) 및 녹색(G)의 발광효율과 유사한 수준으로 향상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풀칼라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의 수명을 개선시킬 수 있다.Accordingly, by forming a blue (B) pixel area in common on the entire pixel area, the luminous efficiency of blue (B) with low luminous efficiency is improved to a level similar to that of red (R) and green (G), The lifespan of the full color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roved.
또한 적색(R) 화소 및 녹색(G) 화소에는 보조 정공수송층(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적색(R) 화소 및 녹색(G) 화소의 색광 효율 및 색순도를 향상시킨다. In addition, an auxiliary hole transport layer (not shown) is formed in the red (R) pixel and the green (G) pixel to improve color light efficiency and color purity of the red (R) pixel and the green (G) pixel.
도 4는 도 3의 Ⅱ-Ⅱ´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 of FIG.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풀칼라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200)는 적색, 녹색 및 청색 화소영역을 갖는 전도성 기판(210)과, 상기 화소영역 상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전극층(221,223,225)들과, 상기 제1 전극층(221,223,225) 상에 형성되는 정공주입층(230)과, 상기 정공주입층(230) 상에 형성되는 정공수송층(240)과, 상기 정공수송층(240)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적색 화소영역 및 상기 녹색 화소영역 상에 정공수송물질이 패터닝되어 형성되는 보조 정공수송층(251,253)과, 상기 보조 정공수송층(251,253)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적색 화소영역 상에 적색 발광물질이 패터닝되어 형성되는 적색 발광층(261) 및 상기 녹색 화소영역 상에 녹색 발광물질이 패터닝되어 형성되는 녹색 발광층(263)과, 상기 정공수송층(240) 전면에 걸쳐 적층되며, 상기 적색 발광층(261)과 상기 녹색 발광층(263)이 형성된 상기 정공수송층(240) 전면에 적층되어 청색 발광물질로 형성되는 청색 발광층(270)과, 상기 청색 발광층(270) 상에 형성되는 전자수송층(280)과, 상기 전자수송층(280) 상에 형성되는 제2 전극층(29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full color organic light
상기 전도성 기판(210)은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단위 화소영역들을 갖는다. 상기 기판(210)은 스테인레스 스틸(SUS) 또는 티타늄(Ti) 등을 이용하여 형성하여, 플렉서블 가능한 박막(Metal foil) 형태로 형성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에 따라 상기 기판(210)을 형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기판(210)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된다. 설명의 편의상, 박막 트랜지스터에 대한 세부적인 개시 및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The
상기 제1 전극층(221,223,225)들은 상기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단위 화소영역들을 갖는 기판(210) 상에 각각 패터닝되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면 발광구조로써 상기 제1 전극층(221,223,225)의 적어도 한 층을 반사막인 금속막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화소정의막(미도시)을 형성한다. The first electrode layers 221, 223, and 225 are patterned and formed on the
이 후, 상기 제1 전극층(221,223,225)이 형성된 상기 기판(210) 전면에 상기 정공주입층(230) 및 상기 정공수송층(240)을 형성한다. 상기 정공주입층(230)은 통상적으로 CuPc, TNATA, TCTA, TDAPB와 같은 저분자와 PANI,PEDOT와 같은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사용된다. 또한, 상기 정공수송층(240)은 통상적으로 아릴아민계 저분자, 히드라존계 저분자, 스틸벤계 저분자, 스타버스트계 저분자로 NPB, TPD, s-TAD, MTADATTA 등의 저분자와 카바졸계 고분자, 아릴아민계 고분자, 페릴렌계 및 피롤계 고분자로 PVK와 같은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정공수송 재료는 정공을 쉽게 운반시킬 뿐만 아니라, 여기자 형성 확률을 높여준다. 또한, 상기 정공주입층(230) 및 상기 정공수송층(240) 중 어느 하나를 생략할 수도 있다. Thereafter, the
이어서, 상기 적색 발광층(261) 및 상기 녹색 발광층(263)은 상기 적색 화소영역 및 녹색 화소영역에 형성된 제1 전극층(221,223)에 대응하여 상기 정공수송층(240) 상에 패터닝되어 형성된다. Subsequently, the red
한편, 상기 적색 발광층(261)과 상기 정공 수송층(240) 및 상기 녹색 발광층(263)과 상기 정공수송층(240) 사이에 각각 보조 정공수송층(251,253)을 형성한다. 상기 보조 정공수송층(251,253)은 상기 정공수송층(240)의 에너지 레벨을 가지고 있는 물질로 대략 100Å 내지 1000Å의 두께로 형성한다. Meanwhile, auxiliary
일반적으로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의 전도성 기판에 있어서, 금속 박막으로 형성된 기판의 표면은 거칠게 형성되어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금속 박막을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의 기판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금속 기판의 표면을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방법에 의해 상기 금속 기판의 표면을 평평하게 연마시켜야한다. 이러한 공정을 통해 상기 금속 기판의 표면은 수십 Å이하로 평탄하게 형성된다. In general, in the conductive substrat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formed of the metal thin film is roughened. Accordingly, in order to use the metal thin film as a substrate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he surface of the metal substrate must be flattened by a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 method. Through this process, the surface of the metal substrate is flattened to several tens of microwatts or less.
전술한 공정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된 기판을 전면 발광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에 적용하였을 경우,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의 발광층으로부터 발생된 빛은 상기 기판의 표면에 반사되어 일부는 투과하고 일부 광은 다시 반사하여 제2 전극층(290)으로 향한다. 그러나 이러한 전도성 기판은 기존의 유리 기판에 비해 가시광 영역에서의 광에 대한 반사특성이 매우 높아 발광층의 색순도를 현저하게 저하시킨다. 이는 상기 기판의 표면이 수십 Å이하로 거울처럼 매끄러워 빛에 대한 반사도가 매우 높기 때문이다.When the substrate formed using the above-described process method is applied to the top-emitting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emitting layer of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is reflected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partially transmitted and some light is reflected again. To the
상기 보조 정공수송층(251,253)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미세공동(Microcavity) 효과를 이용하여 원하는 파장대의 빛을 도출시키기 위한것으로써, 상기 적색 및 녹색 발광층(261,263)으로부터 발생된 빛을 보강 또는 소멸시켜 상기 적색 및 녹색 발광층(261,263)의 색순도를 조절한다. The auxiliary
미세공동 효과란 상기 기판(210)과 상기 제2 전극층(290) 사이에서 광이 투과와 반사를 거듭하며 간섭을 일으키는데 이 때 상기 기판(210)과 상기 제2 전극층(290) 사이에 광학적 공진이 일어나도록 보조 정공수송층(251,253)을 형성하여 적색 및 녹색 발광층(261,263)의 색순도를 조절하는 것을 말한다. The microcavity effect means that the light is repeatedly transmitted and reflected between the
예컨대 상기 적색 및 녹색 발광층(261,263)의 가시광이 발광하는데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층(290)에서 상기 보조 정공수송층(251,253)에 의해 반사되는 광의 파장들과 상기 보조 정공수송층(251,253)을 투과하여 상기 기판(210)에 의해 반사되는 파장들이 상기 적색 및 녹색 발광층(261,263)과 상기 보조 정공수송층(251,253)의 계면 사이에서 보강간섭 및 상쇄간섭이 일어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보강 간섭이 일어나는 경우 광의 간섭강도는 피크가 되며, 상쇄간섭이 일어나는 경우 광의 간섭강도는 0이된다. For example, when the visible light of the red and green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광의 간섭강도가 최적화 되도록 상기 보조 정공수송층(251,253)을 형성함으로써, 풀칼라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의 효율을 높이고 발광색의 변화를 감소시켜 상기 적색 및 녹색 발광층(261,263)의 색광 휘도 및 색순도를 최적화시킨다. 뿐만아니라 더 나아가서는 양호한 화질의 화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는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상기 청색 발광층(270)은 상기 적색 발광층(261) 및 상기 녹색 발광층(263) 보다 수명 특성 및 발광 효율이 상대적으로 낮아, 상기 청색의 특성을 고려하여 상기 적색 발광층(261) 및 상기 녹색 발광층(263)이 형성된 상기 정공수송층(240) 전면에 대략 100Å 내지 2000Å으로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각 발광층에 사용되는 물질에 제한을 두지 않았지만, 상기 적색 발광층(261) 및 상기 녹색 발광층(263)을 각각 형성한 뒤, 상기 청색 발광층(270)을 공통층으로 형성할 때, 형광 발광물질을 발광층으로 사용하는 형광 발광층의 경우보다, 인광 발광물질을 발광층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엑시톤의 수명 및 확산거리가 더 길다. 이에 따라, 상기 인광 발광물질을 발광층으로 사용하는 발광층의 경우, 상기 발광층의 HOMO(Highly Occupied Molecular Orbital) 값보다 큰 HOMO 값을 갖는 즉, 엑시톤의 확산을 즉, 전자 및 정공의 이동을 막는 정공 저지층을 반드시 형성해야 한다. The blue
이에 따라 상기 청색 발광층(270)은 정공저지층의 에너지레벨 즉, HOMO(Highly Occupied Molecular Orbital) 에너지준위 및 청색 발광물질 특성을 가지고 있는 물질로 형성된다. 예컨데, 정공저지층의 에너지레벨은 2.75ev 내지 5.92ev일 수 있다. 상기 청색 발광층(270)은 상기 적색 발광층(261) 및 상기 녹색 발광층(263)으로부터 발생되는 정공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으며, 정공저지층을 도입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으며, 상기 정공저지층 형성에 따른 공정 수가 줄어들어 원가절감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상기 청색 발광층(270)은 상기 적색 및 녹색 발광층(261,263)이 형성된 상기 정공수송층(240) 전면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청색 발광층(270)에 따른 미세 패턴이 필요없게되어 패턴화 공정이 줄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blue
이러한 상기 적색,녹색 및 청색 발광층(261,263,270)은 진공증착, 습식코팅, 잉크젯 및 레이저 열전사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형성된다.The red, green, and blue
상기 전자수송층(280)은 상기 청색 발광층(270) 상에 형성된다. 상기 전자 수송층(280)은 상기 제2 전극층(290)으로부터 상기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층(261,263,270)으로 전자가 원활히 수송될 수 있도록한다. 상기 전자수송층(280)은 상기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층(261,263,270)에서 정공과 결합하지 못한 정공의 이동을 억제하여 상기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층(261,263,270) 내의 재결합 기회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상기 제2 전극층(290)은 상기 전자수송층(280) 상에 형성된다. 상기 제2 전 극층(290)은 투명전극인 ITO, IZO 등으로 형성된다. The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전자수송층(280)과 상기 제2 전극층(290) 사이에 전자주입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an electron injection layer may be further formed between the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지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and not of limitation.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적색 및 녹색 발광층과 정공수송층 사이에 각각 보조 정공수송층을 형성함으로써 적색 및 녹색 파장대역의 색광 휘도를 증폭시키며 색순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발광효율이 낮은 청색 발광층은 적색 및 청색 발광층이 형성된 기판 상에 전면 도포되며, 정공저지층의 에너지레벨을 가지고 있는 물질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청색 발광층에 따른 미세 패턴이 필요없으며, 정공저지층의 형성에 따른 공정 수가 줄어들어 원가절감 효과를 얻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uxiliary hole transport layer is formed between the red and green light emitting layers and the hole transport layer, respectively, thereby amplifying the color light luminance of the red and green wavelength bands and improving color purity. In addition, the blue light emitting layer having low luminous efficiency is entirely coated on the substrate on which the red and blue light emitting layers are formed, and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n energy level of the hole blocking layer, thereby eliminating the need for a fine pattern according to the blue light emitting layer, and forming the hole blocking layer. This reduces the number of processes resulting in cost savings.
이에 따라, 풀칼라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의 고해상도, 고성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현 할 수 있다. Accordingly, a high resolution, high performance flexible display of a full color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an be implemented.
Claims (1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14323A KR100754127B1 (en) | 2006-02-14 | 2006-02-14 |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14323A KR100754127B1 (en) | 2006-02-14 | 2006-02-14 |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81965A KR20070081965A (en) | 2007-08-20 |
KR100754127B1 true KR100754127B1 (en) | 2007-08-30 |
Family
ID=38611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14323A Active KR100754127B1 (en) | 2006-02-14 | 2006-02-14 |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54127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358060B2 (en) | 2008-12-19 | 2013-01-22 | Samsung Display Co., Ltd. |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US8410683B2 (en) | 2008-12-02 | 2013-04-02 | Samsung Display Co., Ltd.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US9780148B2 (en) | 2014-08-20 | 2017-10-03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82442B1 (en) * | 2010-01-27 | 2012-09-12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OLE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KR101705823B1 (en) | 2011-06-30 | 2017-02-1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
KR101888157B1 (en) * | 2011-12-20 | 2018-08-14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
KR102013879B1 (en) * | 2012-11-30 | 2019-08-29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KR101998627B1 (en) | 2013-01-25 | 2019-07-11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20140116692A (en) | 2013-03-25 | 2014-10-06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102117607B1 (en) * | 2013-07-23 | 2020-06-02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102107566B1 (en) * | 2013-09-30 | 2020-05-0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
KR102249192B1 (en) * | 2013-11-22 | 2021-05-10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
KR102298122B1 (en) * | 2014-09-26 | 2021-09-02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KR102268507B1 (en) * | 2014-11-07 | 2021-06-22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KR102555434B1 (en) * | 2014-12-19 | 2023-07-13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f the same |
CN104600199B (en) * | 2014-12-30 | 2017-08-04 |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 A kind of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KR102397823B1 (en) * | 2015-11-30 | 2022-05-12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KR102317905B1 (en) * | 2017-08-08 | 2021-10-27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CN112018268B (en) * | 2020-09-28 | 2025-04-29 |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preparation method and display device |
CN114335371B (en) * | 2021-12-29 | 2024-03-12 | 湖北长江新型显示产业创新中心有限公司 | Display devic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27467A (en) * | 2003-09-15 | 2005-03-21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Full col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KR20050067055A (en) * | 2003-12-26 | 2005-06-30 |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device |
-
2006
- 2006-02-14 KR KR1020060014323A patent/KR10075412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27467A (en) * | 2003-09-15 | 2005-03-21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Full col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KR20050067055A (en) * | 2003-12-26 | 2005-06-30 |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device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410683B2 (en) | 2008-12-02 | 2013-04-02 | Samsung Display Co., Ltd.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US8358060B2 (en) | 2008-12-19 | 2013-01-22 | Samsung Display Co., Ltd. |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US9780148B2 (en) | 2014-08-20 | 2017-10-03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US10283570B2 (en) | 2014-08-20 | 2019-05-07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US10665639B2 (en) | 2014-08-20 | 2020-05-26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US11056542B2 (en) | 2014-08-20 | 2021-07-06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81965A (en) | 2007-08-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54127B1 (en) |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 |
US20220352273A1 (en) | Display panel, fabrication method therefor, and display device | |
US7999457B2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
CN100482025C (en) |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
JP6479738B2 (en) | Non-common capping layer on organic devices | |
CN102024844B (en) | O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 |
TWI500144B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 |
US9343510B2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
US9859340B2 (en) |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having bent type or curved surface type display | |
US11362311B2 (en) | Sub-electrode microlens array for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 |
KR101074808B1 (en) | Blue light emitting element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dopting the element | |
WO2017043243A1 (en) |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manufacturing method, ligh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 |
US7808173B2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KR20070058765A (en) | EL | |
KR102113609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anufactucring method of the same | |
TWI711028B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 |
KR20250081222A (en) | Light emitting diod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
CN117641965A (en) |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preparation method and display device | |
KR20090046051A (en) |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20040049143A (en) |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2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1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8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8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7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7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7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7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8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8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0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0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01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23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