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9192B1 -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49192B1 KR102249192B1 KR1020140153424A KR20140153424A KR102249192B1 KR 102249192 B1 KR102249192 B1 KR 102249192B1 KR 1020140153424 A KR1020140153424 A KR 1020140153424A KR 20140153424 A KR20140153424 A KR 20140153424A KR 102249192 B1 KR102249192 B1 KR 1022491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d
- transport layer
- green
- light emitting
- lay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Hole transporting layer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ical arrangement of the RGB subpixel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기판 상의 상기 표시영역에 각 서브픽셀 별로 제 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전극 상의 상기 표시영역 전면에 정공주입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정공주입층 상의 상기 표시영역 전면에 제 1 정공수송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정공수송층 상의 서로 이웃한 상기 적색 및 녹색 서브픽셀 각각에 대응하여 개구부를 갖는 적녹 쉐도우 마스크를 이용하여 성막을 진행함으로써 상기 적색 및 녹색 서브픽셀 각각에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제 2 정공수송층을 동시에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청색, 녹색, 적색 서브픽셀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및 제 2 정공수송층 상에 각각 청색, 녹색, 적색을 발광하는 발광물질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발광물질층 상의 상기 표시영역 전면에 전자수송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수송층 상의 상기 표시영역 전면에 제 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 2는 도 1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 있어서 적, 녹, 청색의 서브픽셀에 대한 유기발광다이오드의 단면 구조를 간략화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한 화소에 대한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일부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 있어서 적, 녹, 청색의 서브픽셀에 대한 유기발광다이오드의 단면 구조를 간략화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서 하나의 픽셀을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제조공정에 적용되는 마스크들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 있어서 적, 녹, 청색의 서브픽셀에 대한 유기발광다이오드의 단면 구조를 간략화하여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의 단면 구조에 따른 수명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 있어서 적, 녹, 청색의 서브픽셀에 대한 유기발광다이오드의 단면 구조를 간략화하여 도시한 도면.
도 11a 내지 11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의 단면 구조에 따른 적, 녹, 청색 서브픽셀의 수명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로서 적, 녹, 청색 서브픽셀의 시간변화에 따른 휘도 변화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 있어 적, 녹, 청색의 서브픽셀 내부에 각각 구비된 적, 녹, 청색 유기 발광 물질과 제1 및 제 2 전자수송층의 LUMO(lowest unoccupied molecular orbital) 에너지 레벨을 비교한 도면.
조건 | volt | cd/A | 수명 | |
Green | 실시예 1 | 4.1 | 101.2 | 225hr |
실시예 2 | 4.3 | 105.0 | 410hr |
조건 | volt | cd/A | 수명 | |
Red | 실시예 1 | 4.4 | 44.0 | 620hr |
실시예 3 | 4.8 | 50.5 | 1300hr | |
Green | 실시예 1 | 4.1 | 112.8 | 167hr |
실시예 3 | 4.3 | 124.6 | 275hr | |
Blue | 실시예 1 | 4.2 | 4.8 | 158hr |
실시예 3 | 4.2 | 5.6 | 225hr |
147 : 제 1 전극
148 : 정공주입층
149(149a, 149b) : 정공수송층(제 1 , 2 정공수송층)
150(150a, 150b, 150c) : 발광물질층(청, 녹, 청색의 발광물질층)
152 : 전자수송층
158 : 제 2 전극
Claims (16)
- 적색, 녹색, 청색을 각각 발광하는 3개의 서브픽셀을 하나의 픽셀로 정의하며, 다수의 픽셀을 구비한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기판 상의 상기 표시영역에 각 서브픽셀 별로 제 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전극 상의 상기 표시영역 전면에 정공주입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정공주입층 상의 상기 표시영역 전면에 제 1 정공수송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정공수송층 상의 서로 이웃한 상기 적색 및 녹색 서브픽셀 각각에 대응하여 개구부를 갖는 쉐도우 마스크를 이용하여 성막을 진행함으로써 상기 적색 및 녹색 서브픽셀 각각에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제 2 정공수송층을 동시에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청색, 녹색, 적색 서브픽셀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및 제 2 정공수송층 상에 각각 청색, 녹색, 적색을 발광하는 발광물질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발광물질층 상의 상기 표시영역 전면에 전자수송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수송층 상의 상기 표시영역 전면에 제 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수송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적색 서브픽셀과 상기 청색 서브픽셀을 제외한 상기 녹색 서브픽셀에 대응하여 제 1 전자수송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전자수송층, 상기 적색 서브픽셀의 상기 발광물질층, 상기 청색 서브픽셀의 상기 발광물질층 상에 제 2 전자수송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 및 녹색 서브픽셀 각각은 가로로 긴 슬릿 형태를 가지며 세로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청색 서브픽셀은 세로로 긴 슬릿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적색 및 녹색 서브픽셀의 일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극 상에 캡핑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물질층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표시영역 전체 또는, 상기 적색, 녹색 및 청색 서브픽셀 중 하나에 대응하여 차단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물질층을 형성한 후에,
상기 표시영역 전체 또는, 상기 적색, 녹색 및 청색 서브픽셀 중 하나에 대응하여 차단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 적색, 녹색, 청색을 각각 발광하는 3개의 서브픽셀을 하나의 픽셀로 정의하며, 다수의 픽셀을 구비한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의 상기 표시영역에 각 서브픽셀 별로 형성된 제 1 전극과;
상기 제 1 전극 상의 상기 표시영역 전면에 형성된 정공주입층과;
상기 정공주입층 상의 상기 표시영역 전면에 형성된 제 1 정공수송층과;
상기 제 1 정공수송층 상의 서로 이웃한 상기 적색 및 녹색 서브픽셀 각각에 동일한 두께로 형성된 제 2 정공수송층과;
상기 제 1 정공수송층과 상기 제 2 정공수송층 상의 상기 청색, 녹색, 적색 서브픽셀 각각에 대응하여 형성된 청색, 녹색, 적색의 발광물질층과;
상기 발광물질층 상의 상기 표시영역 전면에 형성된 전자수송층과;
상기 전자수송층 상의 상기 표시영역 전면에 형성된 제 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적색 및 녹색 서브픽셀 각각에 형성된 상기 제 2 정공수송층은 동일 물질로 형성되며,
상기 전자수송층은 상기 표시영역 전면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제 1 전자수송층과 제 2 전자수송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전자수송층은 제 1 LUMO 레벨을 가지며, 상기 제 2 전자수송층은 상기 제 1 LUMO 레벨 보다 작은 제 2 LUMO 레벨을 갖고, 상기 청색, 녹색, 적색의 발광물질층 중 가장 낮은 LUMO 레벨 값을 갖는 발광물질층은 상기 제 1 전자수송층보다 큰 제 3 LUMO 레벨을 가지며,
상기 제 1 LUMO 레벨 값과 상기 제 3 LUMO 레벨 값의 차이는 상기 제 1 LUMO 레벨 값과 상기 제 2 LUMO 레벨 값 차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 및 녹색 서브픽셀 각각은 가로로 긴 슬릿 형태를 가지며 세로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청색 서브픽셀은 세로로 긴 슬릿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적색 및 녹색 서브픽셀의 일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극 상에 형성된 캡핑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 삭제
- 삭제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청색, 녹색, 적색의 발광물질층 전체 또는 이들 중 하나의 하부 표면과 접하며 형성된 차단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청색, 녹색, 적색의 발광물질층 전체 또는 이들 중 하나의 상부 표면과 접하며 형성된 차단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 서브픽셀의 상기 발광물질층의 두께는 상기 녹색 서브픽셀의 상기 발광물질층 두께와 상기 제 1 전자수송층 두께의 합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42702 | 2013-11-22 | ||
KR1020130142702 | 2013-11-22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59715A KR20150059715A (ko) | 2015-06-02 |
KR102249192B1 true KR102249192B1 (ko) | 2021-05-10 |
Family
ID=53490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53424A Active KR102249192B1 (ko) | 2013-11-22 | 2014-11-06 |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49192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533674A (ja) * | 2005-03-15 | 2008-08-21 | ノヴァレッド・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 発光素子 |
JP2011054526A (ja) * | 2009-09-04 | 2011-03-17 | Fujifilm Corp | 有機電界発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JP2011065992A (ja) * | 2009-09-15 | 2011-03-31 |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 有機発光ディスプレイ装置 |
JP2012146764A (ja) * | 2011-01-11 | 2012-08-02 | Canon Inc | 表示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54127B1 (ko) * | 2006-02-14 | 2007-08-30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DE102011053000B4 (de) * | 2010-08-27 | 2017-08-17 | Lg Display Co., Ltd. | Organische elektrolumineszente Vorrichtung |
KR101829847B1 (ko) * | 2011-10-28 | 2018-02-20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
-
2014
- 2014-11-06 KR KR1020140153424A patent/KR102249192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533674A (ja) * | 2005-03-15 | 2008-08-21 | ノヴァレッド・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 発光素子 |
JP2011054526A (ja) * | 2009-09-04 | 2011-03-17 | Fujifilm Corp | 有機電界発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JP2011065992A (ja) * | 2009-09-15 | 2011-03-31 |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 有機発光ディスプレイ装置 |
JP2012146764A (ja) * | 2011-01-11 | 2012-08-02 | Canon Inc | 表示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59715A (ko) | 2015-06-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00389B1 (ko) | 유기발광소자 | |
KR102702122B1 (ko) | 표시장치 | |
KR101864332B1 (ko) | 유기발광소자 | |
US9252193B2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
US8664646B2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 |
US7511420B2 (en) | Light emitting display suppressing color variations due to viewing angle | |
KR102166341B1 (ko) | 고 개구율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KR101703343B1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102802881B1 (ko) | 전계발광 표시장치 | |
US9343510B2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
KR102370715B1 (ko) | 양자점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 |
KR20150025727A (ko) | 백색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 |
KR20160031652A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JP2015069956A (ja) | 有機el表示装置 | |
KR20140062258A (ko) | 투명 유기발광소자 | |
KR20130093187A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JP2017120788A (ja) | 有機発光ダイオード表示装置 | |
KR20130007167A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
KR102445868B1 (ko) | 유기발광표시장치 | |
KR102723296B1 (ko) | 전계발광 표시장치 | |
KR102042534B1 (ko) | 유기 전계 발광 표시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 |
KR100739065B1 (ko) | 유기 발광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
JP2015069757A (ja) | 有機el表示装置 | |
KR102184939B1 (ko) |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KR20190070192A (ko) | 전계발광 표시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0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10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11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27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4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4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