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48148B1 - 막대모양의 끽연물품을 위한 텅 리드형 팩 및 그 블랭크 - Google Patents

막대모양의 끽연물품을 위한 텅 리드형 팩 및 그 블랭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8148B1
KR100748148B1 KR1020057012625A KR20057012625A KR100748148B1 KR 100748148 B1 KR100748148 B1 KR 100748148B1 KR 1020057012625 A KR1020057012625 A KR 1020057012625A KR 20057012625 A KR20057012625 A KR 20057012625A KR 100748148 B1 KR100748148 B1 KR 100748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ue
box
pack
lid
ope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2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1060A (ko
Inventor
마코토 센도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91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1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8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814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65D85/1036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401/00Tamper-indic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Cookers (AREA)

Abstract

필터(filter) 담배용 텅 리드(tongue lid)형 팩(pack)은, 박스(box, 2), 상기 박스(2) 내에 수용되는 내용물(6)로 구성되고, 포재(包材, 8)에 의해 감싸진 담배 묶음(CB), 상기 박스(2)의 개구단(開口端)을 개폐하는 텅 리드(16) 및 상기 박스(2)의 양측벽에 붙은 가드 러그(guard lug, 30)를 포함한다. 상기 텅 리드(16)가 최초로 열리기 전의 상태일 때, 상기 가드 러그(30)는 절취선(28)을 통하여 상기 텅 리드(16)의 대응하는 측연(側緣)에 연결된다.
담배, 텅(tungue), 리드(lid), 끽연(喫煙), 포장, 접착제도포, 블랭크(blank)

Description

막대모양의 끽연물품을 위한 텅 리드형 팩 및 그 블랭크 {TONGUE LID TYPE PACK FOR BAR-LIKE SMOKING ARTICLE AND BLANK THEREOF}
본 발명은, 담배나 필터(filter) 담배 등의 막대모양의 끽연(喫煙)물품을 위한 텅 리드(tongue lid)형 팩(pack) 및 그 블랭크(blank)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힌지(hinge) 리드형 팩은, 예를 들어 일본국 특개평11-49134호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 공보의 팩은, 내부 프레임(frame) 및 외부 케이싱(casing)을 가진 박스(box)와, 이 박스의 개구단(開口端)을 개폐하는 리드와, 박스 내에 수용되는 내용물을 포함한다. 내부 프레임은 외부 케이싱과 협동하여 박스의 개구단을 형성하고, 리드는 개구단의 후연(後緣), 즉, 외부 케이싱에 힌지 결합되어 있다. 내용물은, 복수의 막대모양의 끽연제품 묶음과, 이 묶음을 감싸는 포재(包材)를 포함한다.
팩은 투명한 필름(film)에 의해 추가로 감싸지고, 이 필름 포장은 개봉 테이프(tape)를 가진다.
상술한 필름 포장은 팩의 상면 및 하면에서, 폐색단면(閉塞端面)을 각각 가지고, 이들 폐색단면은 필름의 접힘 및 히트 씰링(heat sealing)에 의해 형성된다.
그렇지만, 히트 씰링의 접착력은 비교적 약하고, 이 때문에, 폐색단면에서의 필름의 접힘이 쉽게 풀어지게 되며, 폐색단면이 훼손되어 열리게 될 우려가 있다. 더욱이, 이 후, 필름을 다시 접어서 폐색단면을 원래의 상태로 되돌리는 것도 비교적 용이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폐색단면이 일단 열리게 되면, 팩의 개봉도 또한 용이하게 되므로, 팩의 내용물을 훼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팩의 필름 포장은, 막대모양의 끽연물품의 품질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한다. 그렇지만, 필름 포장을 구비한 팩의 경우, 막대모양의 끽연물품을 위한 포장형태는 상술한 포재, 팩의 블랭크 및 필름을 포함하는 3중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3중 구조의 포장형태는 최근의 에너지 보호의 흐름으로 보면, 과잉포장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훼손 방지기능을 구비함과 동시에 필름 포장이 필요하지 않은 막대모양의 끽연물품을 위한 텅 리드형 팩 및 그 블랭크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텅 리드형 팩은,
박스로서, 전벽(前壁), 개구단, 양측벽, 저벽(底壁) 및 상기 전벽에 형성된 삽입 슬릿(slit)을 가지는, 박스와,
상기 박스 내에 수용되는 내용물로서, 복수의 막대모양의 끽연물품 및 상기 막대모양의 끽연물품을 감싸는 포재를 가지는, 내용물과,
상기 박스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단의 후연에 셀프(self) 힌지를 통해 결합되는, 개구단을 개폐가능하게 하는 텅 리드로서,
상기 텅 리드의 닫힌 상태에서, 상기 박스의 상기 개구단을 덮는 리드, 상기 리드에 접는선을 통해 접속되고, 상기 박스의 상기 전벽에 상기 삽입 슬릿을 덮은 상태로 중첩할 수 있는 텅을 포함하는, 텅과,
상기 텅 리드가 최초로 열리기 전의 상태에 있을 때에는 상기 텅 리드와 상기 박스와의 사이를 서로 분리가능하게 접속하고, 한편, 상기 텅 리드가 일단 열려지 때에는 상기 텅 리드가 이미 열린 상태인 것을 흔적으로 남기는 조인트(joint)
를 구비한다.
발명의 효과에 관하여 살펴보면, 상술한 텅 리드형 팩에 의하면, 텅 리드가 최초로 열려질 때, 텅 리드는 박스로부터 조인트에서 분리되고, 이 조인트에 텅 리드가 이미 열린 것을 나타내는 흔적이 남는다. 이와 같은 흔적은, 내용물의 막대모양의 끽연물품에 대한 훼손을 방지하는데 유효하다.
한편, 텅 리드가 최초로 열리기까지의 사이의 박스의 삽입 슬릿은 텅 리드에 의해 덮혀진 상태이다. 그러므로, 박스 내의 내용물이 삽입 슬릿을 통하여 외기에 노출되는 것도 적고, 내용물 내의 막대모양의 끽연물품의 품질 유지에 도움이 된다. 이것은, 팩의 필름 포장을 필요치 않게 한다.
텅 리드는, 텅의 선단에 삽입편을 가질 수 있다. 텅 리드가 일단 열렸다가 다시 닫혀질 때, 삽입편은 삽입 슬릿을 통하여 박스 내에 삽입된다. 이와 같은 삽입편의 삽입은, 텅 리드를 그 닫힌 위치에서 안정하게 유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조인트는, 박스의 양측면에 각각 접착된 한 쌍의 가드 러그(guard lug)와, 텅 리드가 최초로 열려지기 전의 상태로 있을 때, 각 가드 러그를 텅의 대응하는 쪽의 측연(側緣)에 분리가능하게 접속하는 절취선(切取線)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텅 리드가 최초로 열려질 때, 텅과 한 쌍의 가드 러그와의 사이의 절취선은 각각 파단된다. 파단된 절취선은 팩의 외면에 흔척으로 남고, 이들 흔적이 훼손 방지에 도움이 된다.
박스는, 그 전벽에 형성되고, 개구단의 전연(前緣)으로부터 넣은 슬릿으로 향하여 연장하는 액세스(access)개구 및 액세스개구를 형성하기 위해서 절취선을 통해 구획된 개구예정영역의 일측을 포함하며, 그래서, 포재는, 액세스개구에 대응하는 부분에 잘라낸 선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구획된 분리가능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팩은, 텅의 이면(裏面)과 포재의 분리가능영역을 액세스개구 또는 개구예정영역을 통해서 서로 접착하는 제1 접착제도포영역을 더 포함한다.
상술한 팩의 경우, 텅 리드가 최초로 열려질 때, 포재의 분리가능영역은 포재의 남은 부분으로부터 단독으로 잘라내지거나, 또는, 개구예정영역의 잘라냄과 함께 포재의 남은 부분으로부터 잘라내지고, 내용물의 막대모양의 끽연물품은 박스의 액세스개구를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하여, 박스로부터 막대모양의 끽연물품을 꺼내기가 쉬워진다.
분리가능영역 및 개구예정영역의 잘라냄은 분리조각을 형성한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분리조각은 텅 리드의 이면에 접착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분리조각이 쓰레기로 되는 것은 아니다.
박스가 개구예정영역을 구비하는 경우, 박스의 액세스개구는, 텅 리드가 최초로 열리는 것으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팩의 제조 후, 텅 리드가 최초로 열려지기 까지의 사이, 박스의 전벽에는 액세스개구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박스는 텅 리드와 협동하여 내용물을 효과적으로 씰링할 수 있어, 팩의 필름 포장이 불필요하다.
더욱이, 내용물은, 박스의 개구단측에 배치되고, 한편, 포재의 접힘에 의해 형성된 상측폐색단면을 포함하고 있고, 이 상측폐색단면은, 한 쌍의 엔드 플랩(end flap)과, 이들 엔드 플랩에 순차 중첩되는 내부/외부 플랩 및 상기 분리가능영역의 일부를 형성하는 외부 플랩을 가진다. 이 경우, 팩은, 외부 플랩과 상기 리드의 이면을 서로 접착하는 제2 접착제도포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재의 분리가능영역은 제1 및 제2 접착제도포영역을 통해 텅 리드에 접착되어 있는 것으로써, 분리가능영역의 잘라냄은 더 용이한 한편 확실해진다.
더욱이, 내용물은, 박스의 일측벽측에 배치되고, 한편, 포재의 접힘에 의해 형성된 폐색측면을 포함하며, 이 폐색측면은 포재의 양단 가장자리에 서로 중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팩은, 폐색측면과 박스의 내면을 상호 접착하는 제3 접착제도포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용물은, 박스의 저벽측에 배치되고, 한편, 포재의 접힘에 의해 성형된 하측폐색단면을 포함하며, 이 경우, 팩은, 하측폐색단면과 박스의 저벽을 상호 접착하는 제4 접착제도포영역을 더 포함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제3 및 제4 접착제도포영역은, 내용물의 씰링성을 높이고, 팩의 필름 포장을 불필요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삽입 슬릿은, 박스의 상기 개구단측으로 향하여 열려진 대략 'V'자 형상을 한다. 이와 같은 삽입 슬릿에 의하면, 박스 내에서의 텅 리드의 삽입이 용이하다.
상술한 조인트는, 박스의 전벽에 절취선을 통하여 구획된 절취 예정영역과, 텅 리드에 형성되며, 텅 리드가 최초로 열리기 전 상태로 있을 때, 절취예정영역을 텅 리드에 접착시키는 제5 접착제도포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조인트는, 텅에 절취선을 통하여 구획된 절취예정영역과, 박스의 전벽에 형성되며, 텅 리드가 최초로 열리기 전 상태로 있을 때, 절취예정영역을 상기 전벽에 접착시키는 제5 접착제도포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조인트는, 리드의 이면에 접착된 한 쌍의 보강부재와, 텅 리드가 최초로 열리기 전의 상태로 있을 때, 보강부재를 박스의 양측벽에 각각 절취 가능하게 접속하는 절취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절취예정부 또는 보강부재를 위한 절취선은, 텅 리드가 최초로 열려질 때에 파단되고, 이 결과, 텅 리드가 이미 열려진 것을 나타내는 흔적이 팩의 외면에 남는다.
상술한 가드 러그가 부착된 팩을 성형을 위한 블랭크는,
길이방향축선과,
메인 섹션(main section)으로서, 상기 길이방향축선을 따라 서로 접는선을 통해 인접한 후방 패널(pannel), 외부 하면 패널 및 전방 패널을 가지고, 이들 패널이 상기 박스의 후벽, 저벽 및 전벽을 각각 형성하는, 메인 섹션과,
상기 후방 패널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접는선을 통해 접속되는 한 쌍의 내부 사이드 플랩과,
상기 외부 하면 패널의 양측에 위치하여 부착되는 한편 상기 각 내부 사이드 플랩에 접는선을 통해 접속된 한 쌍의 내부 하면 플랩으로서, 이들 내부 하면 플랩은, 상기 박스의 저벽을 위한 보강부재를 형성하는, 한 쌍의 내부 하면 플랩과,
상기 전방 패널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접는선을 통해 접속된 한 쌍의 외부 사이드 플랩으로서, 이들 외부 사이드 플랩은 대응하는 쪽의 상기 내부 사이드 플랩과 동시에, 상기 박스의 측벽을 형성하는, 한 쌍의 외부 사이드 플랩과,
상기 메인 섹션에서부터 상기 길이방향축선을 따라 연장하고, 상기 후방 패널에 셀프 힌지로서의 접는선을 통해 접속된 서브 섹션(sub-section)으로서, 상기 서브 섹션은, 접는선을 통해 구획된 외부 상면 패널 및 텅 패널을 가지고, 이들 패널이 상기 박스의 상기 리드 및 상기 텅을 각각 형성하는, 서브 섹션과,
상기 텅 패널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절취선을 통해 접속된 한 쌍의 러그 플랩으로서, 이들 러그 플랩은 대응하는 측의 외부 사이드 플랩에 접착될 때, 제1 조인트에서의 상기 가드 러그를 형성하는, 한 쌍의 러그 플랩과,
를 구비한다.
이 경우, 블랭크는, 외부 상면 패널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내부 상면 플랩으로서, 이들 내부 상면 플랩이 대응하는 쪽의 상기 내부 사이드 플랩에 절취선을 통해 접속되어 있고, 한 쌍의 내부 상면 플랩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텅 리드가 최초로 열려지기 전의 상태로 있을 때, 상기 내부 상면 플랩은 상기 텅 리드의 상기 리드에 접착되고, 제2 조인트을 형성한다.
도 1은, 일실시예의 텅 리드형 팩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팩이 열려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팩 내에 수용된 내용물의 사시도.
도 4는, 제 3의 내용물의 포재를 전개하여 도시한 도.
도 5는, 도 1 및 도 2의 팩을 성형하기 위한 블랭크를 도시한 도.
도 6 ~ 도 8은, 도 5의 블랭크의 접는 순서를 순서대로 도시한 도.
도 9는, 변형예의 텅 리드형 팩의 사시도.
도 10은, 변형예의 텅 리드형 팩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팩이 열려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변형예의 텅 리드형 팩의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팩이 열려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변형예의 텅 리드형 팩의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팩이 열려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 및 도 2는, 필터 담배을 위한 텅 리드형 팩을 도시하고 있다.
이 팩은 직방체(直方體)형상의 박스(2)를 포함하고, 이 박스(2)는 개구단(4)를 가진다. 박스(2) 내에는 내용물(6)을 수용하고 있고, 이 내용물(6)은, 20개의 필터 담배 묶음(CB)과, 이 담배 묶음(CB)을 감싸는 포재(8)를 포함한다. 포재(8)는 종이 등으로 된 베이스(base)층과, 이 베이스층의 표면에 형성된 금속의 박막(薄膜)을 가진다. 포재(8)는 쓰레기의 분별폐기처리의 관점에서 보아, 박스(2)와 마찬가지로 가연물로서 폐기된다.
구체적으로는, 내용물(6)은 포재(8)의 접는 형태로 보아서, 더블 포인트 엔드 폴드(double-point end fold)의 양단면, 즉, 폐색단면(10, 12)과, 측면에 긴 봉합선이 있는 측면(14)을 가진다.
한편, 박스(2)에 있어서의 개구단(4)의 후단에는 셀프 힌지를 통해 텅 리드(16)가 접속되어 있어, 텅 리드(16)는 개구단(4)을 개폐가능하게 한다. 텅 리드(16)가 닫힌 위치에 있을 때, 텅 리드(16)는 개구단(4)을 덮는 리드(18)와, 이 리드(18)에 접는선을 통해 접속된 텅(22)을 가지고, 텅(22)은 박스(2)의 전벽(20)의 일부를 덮는다. 더욱이, 텅(22)의 선단부는 끝이 가느다란 형상이 아니고, 접는선(24)에 의해 구획된 삽입편(26)을 가진다.
더욱이, 박스(2)의 양측벽은 가드 러그(30)를 각각 가지고, 이들 가드 러그(30)는 대응하는 쪽의 박스(2)의 측벽에 접착되어 있다. 텅 리드(16)가 아직 열리지 않을 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가드 러그(30)는 텅(22)의 기부(基部)에 절취선(28)을 통해 각각 접속된 상태로 있다. 그렇지만, 텅 리드(16)가 최초로 열려질 때, 텅(22)은 절취선(28)을 따라, 가드 러그(30)로부터 분리된다.
그래서, 텅 리드(16)가 최초로 열려질 때,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스(2)의 전벽(20)에 액세스개구(32)가 형성된다. 이 액세스개구(32)는 대략 'U'자 형상을 이루며, 박스(2)의 개구단(4)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액세스개구(32)의 형성과 동시에, 내용물(6)에 있어서의 포재(8)의 일부가 잘려나가고, 이에 의해, 내용물(6)의 담배 묶음(CB)이 부분적으로 액세스개구(32)를 통하여 노출한다. 이 결과, 내용물(6) 내의 필터 담배는 액세스개구(32)를 통하여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잘려나간 포재(8)의 일부는 액세스개구(32)와 마찬가지의 형상을 가진다.
더욱이, 텅 리드(16)가 열려질 때, 삽입 슬릿(34)이 노출되고, 이 삽입 슬릿(34)은 박스(2)의 전벽(20)에 미리 형성되어 있다. 텅 리드(16)가 최초로 열려지기 까지의 사이, 텅 리드(16)의 텅(22)은 삽입 슬릿(34)을 덮은 상태로 있다.
도 2에서 명확한 것처럼 삽입 슬릿(34)은, 액세스개구(32)로 향하여 열려진 대략 'V'자형상을 이루고, 텅(22)의 삽입편(26)이 용이하게 드나드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텅 리드(16)가 일단 열려진 후, 텅(22)의 삽입편(26)은 삽입 슬릿(34)을 통하여 박스(2) 내에 삽입되어, 텅 리드(126)가 닫힌 위치로 유지된다. 또한, 삽입 슬릿(34)의 형상은 'V'자 형상으로 한정하지 않고, 오목한 형상으로 있어도 좋다.
상술한 액세스개구(32)의 형성 및 포재(8)의 잘려나감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재(8)에는 잘려나가는 선(3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잘려나가는 선(36)은 대략 'U'자 모양의 천공열(穿孔列, 36a)과, 이 천공열(36a)의 양단에서부터 각각 연장된 슬릿(36b)을 가진다. 천공열(36a)은, 내용물(6)의 상측폐색단면(10) 측에 위치하여 부착되고, 내용물(6)의 전면을 형성하는 포재(8)에 영역을 구획한다. 이 영역은 액세서개구(32)와 마찬가지의 형상 및 크기를 가진다. 슬릿(36b)은 상측폐색단면(10)에 위치하여 부착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3에서 명확한 것 처럼 상측폐색단면(10)은, 좌우의 엔드 플랩(40)과, 이들 엔드 플랩(40)에 순차 중첩된 내부 플랩(42) 및 외부 플랩(44)을 포함하고, 외부 플랩(44)은 슬릿(36b)에 의해 포재(8)의 남은 부분으로 미리 분리되어 있다.
도 4는 포재(8)의 전개도를 나타낸다. 이 전개도에서 명확한 것처럼 외부 플랩(44)을 형성하는 부분 및 엔드 플랩(40)을 형성하는 부분은 슬릿(36b)에 의해 미리 서로 분리되어 있다.
잘려나가는 선(36)은, 포재(8)에 분리가능영역(38)을 구획하고, 분리가능영역(38)은 천공열(36a)에 의해 구획된 영역과 외부 플랩(44)을 포함한다. 또한, 잘려나가는 선(36)은 그 전체가 천공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 4 중의 파선(破線)은, 포재(8)의 접는선을 도시하고, 이들 접는선에 따른 포재는 담배 묶음(CB)의 주위에서 접혀져, 내용물(6)을 성형한다.
도 5는, 상술한 박스(2) 및 텅 리드(16)를 성형하기 위한 블랭크(46)를 나타낸다.
블랭크(46)는, 박스(2)를 형성하는 메인 섹션(46m)과, 텅 리드(16)를 형성하는 서브 섹션(46s)을 포함한다. 이들 섹션(46m, 46s)은 상술한 셀프 힌지를 형성하는 파선의 접는선(48)을 통해 서로 접속되고, 블랭크(46)의 길이축선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의 다른 접는선은 모두, 도 5 중에 파선으로 나타나 있 다.
메인 섹션(46m)은 2개의 접는선에 의해, 블랭크(46)의 길이방향으로 보아서 3개의 패널로 구분되어 있다. 이들 패널은 서브 섹션(46s)측에서부터 후방 패널(50), 외부 하면 패널(52) 및 전방 패널(54)로 불리운다. 이들 패널(50, 52, 54)은 박스(2)의 후벽, 저벽 및 전벽(20)을 각각 형성하기 위한 부분이다.
후방 패널(50)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접는선을 통해서 한 쌍의 내부 사이드 플랩(56)이 접속되어 있고, 이들 내부 사이드 플랩(56)의 하연에는 접는선을 통해서 내부 하면 플랩(58)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이들 내부 하면 플랩(58)은 외부 하면 패널(52)의 양측에 배치되어, 외부 하면 패널(52)의 보강부재를 형성한다.
전방 패널(54)의 양측연에서도 접는선을 통하여 한 쌍의 외부 사이드 플랩(60)이 접속되어 있고, 이들 외부 사이드 플랩(60)은 대응하는 측의 내부 사이드 플랩(56)과 협동하여 박스(2)의 측벽을 형성할 수 있다.
서브 섹션(46s)은 접는선에 의해 2개의 패널로 구획되어 있고, 이들 패널은 후방 패널(50)측에서부터, 외부 상면 패널(62) 및 텅 패널(64)로 불리운다. 외부 상면 패널(62)은 텅 리드(16)의 리드(18)를 형성하기 위한 부분이다. 텅 패널(64)은 상술한 삽입편(26) 및 접는선(24)를 가진다.
텅 패널(64)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절취선(28)을 통하여 러그 플랩(66)이 각각 형성되고, 이들 러그 플랩(66)은 상술한 가드 러그(30)를 형성하기 위한 부분이다.
또한, 외부 상면 패널(62)의 양측에는 한 쌍의 내부 상면 플랩(68)이 배치되 어 있고, 이들 내부 상면 플랩(68)은 내부 사이드 플랩(56)의 상연에 절취선(69)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내부 상면 플랩(68)은 리드(18)의 보강부재로 되는 부분이다.
더욱이, 전방 패널(54)에는 상술한 삽입 슬릿(34) 및 절취선(70)이 미리 형성되어 있다. 절취선(70)은 전방 패널(54)의 하연에 개구예정영역(72)을 구획하고, 이 개구예정영역(72)는 상술한 액세스개구(32)를 형성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술한 패널 및 플랩은 그 이면의 소정개소에 접착제도포영역(74)을 각각 가지고, 이들 접착제도포영역(74)은 도 5 중에 해칭(hatching)을 하여 나타내고 있다. 접착제도포영역(74)은, 패널 및/또는 플랩과 내용물(6)과의 사이의 접속이나, 플랩 상호 접착에 사용된다.
상기 접착제도포영역(74)은 통상의 팩의 블랭크에도 구비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블랭크(46)에는, 접착제도포영역(74) 이외에도 복수의 접착제도포영역(76)을 새로 구비하고 있다. 이들 접착제도포영역(76)도 또한 블랭크(46)의 이면에 각각 형성되고, 도 5 중에서는 망목(網目)의 해칭으로 나타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접착제도포영역(76)은, 개구예정영역(72), 외부 하면 패널(52)의 양측 가장자리부, 내용물(6)의 사이드 봉합선 측에 대응한 일측의 내부 사이드 플랩(56), 외부 상면 패널(62)의 양측연부, 한 쌍의 내부 상면 플랩(68) 및 한 쌍의 러그 플랩(66)으로, 각각 형성된다.
접착제도포영역(76)의 기능은,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는 팩의 제조공정으로부터 명확하게 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랭크(46)의 이면 위에 우선 내용물(6)이 공급된다. 이 내용물(6)은 후방 패널(50) 위에 중첩되고, 후방 패널(50)의 접착제도포영역(74)은 내용물(6)과 후방 패널(50)을 상호 접착한다.
이 후, 한 쌍의 내부 사이드 플랩(56)은 내용물(6)의 양측면으로 향하여 접혀지고, 이들 양측면에 중첩된다. 일측의 내부 사이드 플랩(56)의 접착제도포영역(76)은 내용물(6)의 일측면과 일측의 내부 사이드 플랩(56)을 서로 접속하고, 타측의 내부 사이드 플랩(56)의 접착제도포영역(74)은 내용물(6)의 타측면과 타측의 내부 사이드 플랩(56)을 서로 접착한다.
도 6에서 명확한 것처럼, 내부 사이드 플랩(56)의 접힘 후, 내부 하면 플랩(58) 및 내부 상면 플랩(68)은 대응하는 내부 사이드 플랩(56)과 동일한 선상에 나란히 정열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측의 내부 사이드 플랩(56)은 접착제도포영역(76)을 통해서 내용물(6)의 폐색측면(14)(도 3 참조)에 접착됨으로써, 폐색측면(14)의 사이드 봉합선을 덮어, 사이드 봉합선의 밀봉성을 향상시킨다.
여기에서, 폐색면(14)의 사이드 봉합선은, 담배 묶음(CB)의 둘레에서 'U'자 모양으로 말려진 포재(8)의 양단 가장자리을 담배 묶음(CB)의 측면 위에서 서로 중첩함으로써 얻어진다.
이 후,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내부 하면 플랩(58)은 내용물(6)의 하측폐색면(12)으로 향하여 접혀져, 이 하측폐색면(12)에 중첩된다. 또한, 내부 하면 플랩(58)의 접힘과 동시에, 한 쌍의 내부 상면 플랩(68)도 또한 절취선(69)( 도 5 참조)으로부터 내용물(6)의 상측폐색면(10)(도 3 참조)으로 향하여 접혀져, 상측폐색단면(10) 위에 중첩된다. 내부 상면 플랩(68)의 접착제도포영역(76)은, 그 내부 상면 플랩(68)과 상측폐색단면(10)의 외부 플랩(44)을 접착한다. 외부 플랩(44)에 대한 한 쌍의 내부 상면 플랩(68)의 접착위치는 도 3 중, 마크(M)로 표시되어 있다.
이 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하면 패널(52)은 전방 패널(54)과 함께 내용물(6)의 하측폐색면(12)을 향하여 접혀져, 이미 접혀져 있는 내부 하면 블랩(58)을 통해 하측폐색면(12) 위에 중첩된다. 외부 하면 패널(52)의 접착제도포영역(76)은 외부 하면 패널(52)과 한 쌍의 내부 하면 플랩(58)을 접착한다. 이 시점에서, 박스(2)의 저벽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한 쌍의 내부 하면 플랩(58)과 외부 하면 패널(52)이 접착되어 있으면, 박스(2)의 저벽은 내용물(6)의 밀봉성을 향상시킨다.
이 후, 전방 패널(54)는 한 쌍의 외부 사이드 플랩(60)과 함께, 내용물(6)의 상면으로 향하여 접혀, 내용물(6)의 상면에 중첩된다. 전방 패널(54)의 접착제도포영역(74)은 전방 패널(54)과 내용물(6)을 서로 접착하고, 전방 패널(54)의 접착제도포영역(76)은, 상술한 개구예정영역(72)과 내용물(6)에 있어서의 포재(8)의 분리가능영역(38)을 서로 접착한다. 개구예정영역(72)과 분리가능영역(38)과의 접착위치도 또한 도 3 중, 마크(M)로 나타나 있다.
전방 패널(54)의 접힘을 완료하면, 외부 상면 패널(62)은 텅 패널(64)과 함께, 내용물(6)의 상측폐색면(10)으로 향하여 접혀지고, 이 상측폐색면(10)에서 접 힘이 끝난 한 쌍의 내부 상면 플랩(68)을 통해 중첩된다. 외부 상면 패널(62)의 한 쌍의 접착제도포영역(76)은, 외부 상면 패널(62)과 내부 상면 플랩(68)과 각각 접착한다. 이 시점에서, 텅 리드(16)의 리드(18)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외부 상면 패널(62)이 한 쌍의 내부 상면 플랩(68)을 통하여 포재(8)의 외부 플랩(44)에 접착되고, 각 내부 상면 플랩(68)이 절취선(69)을 통해 대응하는 내부 사이드 플랩(56)에 접속되어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이 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텅 패널(64)은 내용물(6)의 상면으로 향하여 접혀지고, 이미 접힌 전방 패널(54) 위에 중첩되며, 그래서, 전방 패널(54)의 삽입 슬릿(34)를 덮는다. 텅 패널(64)의 접착제도포영역(76)은, 텅 패널(64)과 전방 패널(54)의 개구예정영역(72)을 서로 접착한다. 따라서, 텅 패널(64)은 개구예정영역(72)을 통해 내용물(6)의 분리가능영역(38)에 접착된 상태로 된다.
텅 패널(64)의 접힘과 함께, 한 쌍의 러그 플랩(66)은 전방 패널(54)의 외부 사이드 플랩(60)에 중첩되고, 텅 플랩(66) 접착제도포영역(76)은 텅 플랩(66)과 대응하는 측의 외부 사이드 플랩(60)을 서로 접착한다. 이 상태는, 도 8에 나타나 있다.
이 후, 도 8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한 쌍의 외부 사이드 플랩(60)이 러그 플랩(68)과 함께, 내용물(6)의 양측면으로 향하여 접혀지고, 이들 양측면에서 이미 접힘이 끝난 한 쌍의 내부 사이드 플랩(56) 위에 각각 중첩된다. 각 외부 사이드 플랩(60)의 접착제도포영역(74)은 그 외부 사이드 플랩(60)과 대응하는 내부 사이드 플랩(76)을 상호 접착한다. 이 시점에서, 박스(2)의 양측벽이 형성되고, 도 1의 팩의 제조가 완료된다. 팩의 제조시, 양측벽은 가드 러그(30)를 각각 가지고, 이들 가드 러그(30)는 절취선(28)을 통하여 텅 리드(16)에 접속된 상태이다.
상술한 블랭크(46)의 접는 순서는, 통상의 팩에 있어서의 블랭크의 접는 순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팩은, 통상의 팩 포장기에서 접착제도포역(76)을 위한 접착제도포 장치(도시 생략)를 추가하는 것만으로, 제조가능하다.
본 발명의 팩이 최초로 열려질 때에는, 우선, 텅 리드(16)의 텅(22)이 박스(2)의 전벽(20)으로부터 들어올려진다. 이 텅(22)의 들어올려짐과 함께, 박스(2)의 전벽(20)으로부터 개구예정영역(72)이 절취되어, 전벽(20)에 액세스개구(32)가 형성된다. 개구예정영역(72)은 접착제도포영역(76)을 통해 내용물(6)의 분리가능영역(38)의 일부에도 접착되어 있으므로, 분리가능영역(38)도 또한, 절취선(36)의 천공열에 따라 잘려나간다.
텅(22)의 들어올려짐을 더 진행하면, 텅(22)은 절취선(28)에 따라 한 쌍의 가드 러그(30)로부터 절취된다. 이 후, 텅 리드(16)가 그 셀프 힌지의 주위로 회동되면, 리드(18)(한 쌍의 내부 상면 플랩(68))는 절취선(69)에 따라 박스(2)의 양측벽(한 쌍의 내부 사이드 플랩(56))으로부터 절취되고(도 1 참조), 박스(2)로부터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절취선(28, 69)은 어느 것이나 박스(2)의 외측에 노출되어 있어서, 텅(22) 및 리드(18)가 가드 러그(30) 및 박스(2)의 측벽에서부터 일단 잘려나가면, 절취선(28, 69)이 박스(2)의 외면에 각각 파단선으로서 남는다. 이와 같은 파단선의 흔적 은 내용물(6)에 대한 훼손을 방지하는 데 유효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텅 리드(16)가 박스(2)의 개구단(4)을 완전하게 열면, 내용물(6)의 담배 묶음(CB)은 박스(2)의 액세스개구(32) 및 개구단(4)의 일부를 통하여 외측에 노출된다. 이 결과, 내용물(6) 내의 필터 담배로의 액세스가 허용되고, 박스(2)에서부터 필터 담배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상술한 개구예정영역(72)의 절취나 분리가능영역(38)의 절취는, 이들 영역(72, 38)에 대응한 분리편(72a, 38a)을 형성한다. 그렇지만, 이들 분리편(72a, 38a)은 서로 접착제도포영역(76)에 의해 접착된 상태로 있고, 또한, 분리편(72a)은 텅(22)의 이면에 접착제도포영역(76)을 통하여 접착된 상태로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편(72a, 38a)는 텅(22)의 이면에 접착된 대로의 상태로 유지된다.
이 결과, 분리편(38a, 72a)이 팩 본체(2)와는 별체의 쓰레기로서 폐기되는 것이 아니어서, 쓰레기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분리가능영역(38)의 외부 플랩(44)은, 리드(18)의 내부 상면 플랩(68)에 접착제도포영역(76)을 통하여 접착되어 있음으로써, 분리가능영역(38)의 제거가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외부 플랩(44)은 리드(18)의 내면(내부 상면 플랩(68))에 접착되어 있음으로써, 분리가능영역(38)의 일부가 텅 리드(16)에서부터 딸려 나오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제약되는 것이 아니고,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한 쌍의 내부 하면 플랩(58)은 그 이면에 접착제도포영역을 가진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내부 하면 플랩(58)은 내용물(6)의 하측폐색단면(14)에 직접 접착하고, 하측폐색면(14)의 밀봉성능을 높인다.
또한, 블랭크(46)는 한 쌍의 내부 상면 플랩(68)을 반드시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 경우, 외부 상면 패널(62)는 내용물(6)에 있어서 포재(8)의 외부 플랩(44)에 한 쌍의 접착제도포영역(76)을 통하여 접착된다.
한 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텅 리드(16)가 최초로 열려질 때, 박스(2)의 전벽(20)에 액세스개구(32)가 형성된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액세스개구(32)는 블랭크(46)의 전방 패널(54)에 미리 형성되어 있는 것도 좋다. 이 경우, 텅 패널(64)이 접착제도포영역(76)을 통하여 분리가능영역(38)에 접착되어 있다. 따라서, 텅 리드(16)가 최초로 열려질 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가능영역(38)만이 포재(8)로부터 잘려나가, 분리편(38a)을 형성한다. 이 분리편(38a)은 텅 리드(16)의 이면에 접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더욱이, 한 쌍의 가드 러그(30)는, 절취선(28)에 대신하여,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는 접는선(78)을 통해 텅(22)에 접속되어 있는 것도 좋다. 이 경우, 텅 리드(16)가 최초로 열려질 때,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텅(22)은 접는선(78)을 따라 가드 러그(30)로부터 파단되고, 파단선(80)이 텅(22) 및 가드 러그(30)의 쌍방에 흔적으로서 남는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팩은, 텅(22)의 이면에 예를 들어 원형의 접착제도포영역(82)를 가지는 한편, 박스(2)의 전벽(20)에 원형의 절취예정영역(84)를 가질 수 있다. 절취예정영역(84)은 절취선에 의해 구획되고, 액세스개구(32)(또는 개구예정영역(72))와 삽입 슬릿(34)과의 사이에 위치한다. 그래서, 팩이 제조될 때, 텅(22)은 접착제도포영역(82)을 통하여 절취예정영역(84)에 접착된 상태로 있다.
이 경우, 텅 리드(16)가 최초로 열려질 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텅(22)의 접착제도포영역(82)은, 전벽(20)으로부터 절취예정영역(84)을 절취하여, 전벽(20)에 영역(84)에 대응한 원형 구멍(86)을 형성한다. 이 원형 구멍(86)은, 텅 리드(16)가 즉시 열려진 것을 나타내는 흔적이 된다. 따라서, 텅 리드(16)가 일단 열려지면, 텅 리드(16)는 결코 박스(2)의 전벽(20)에 다시 접착될 수 없으므로, 내용물(6)의 필터 담배에 대한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도 12 및 도 13의 텅 리드형 팩의 경우, 상술한 한 쌍의 가드 러그(30)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2 및 도 13의 팩의 경우, 텅(22)이 절취예정영역(84)을 가지고, 박스(2)의 전벽(20)이 접착제도포영역(82)을 가져도 좋다. 이 경우, 텅 리드(16)가 일단 열려지면, 텅(22)에 원형 구멍(86)이 형성됨으로써, 이 원형 구멍(86)이 훼손을 방지하기 위한 명료한 흔적이 된다.
더욱이, 도 14 및 도 15에서 명확한 것처럼 절취예정영역(84)은, 접착제도포영역(82)과 마찬가지로 접착제도포영역(88)으로 대체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텅 리드(16)가 일단 열려지면, 텅 리드(16)는 박스(2)의 전벽(20)에 결코 다시 접착되지 않고, 또한, 접착제도포영역(82, 88)이 서로 떨어진 것을 나타내는 흔적이 영역(82, 88)의 접착면으로 남는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내용물(6)의 필터 담배에 대한 훼손을 방지하는 데 유효하다. 이 결과, 도 14 및 도 15의 팩에 있어서도, 한 쌍의 가드 러그(30)은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Claims (15)

  1. 박스(box)로서, 전벽(前壁), 개구단(開口端), 양측벽, 저벽(底壁) 및 상기 전벽에 형성된 삽입 슬릿(slit)을 가지는, 박스와,
    상기 박스 내에 수용되는 내용물로서, 복수의 막대모양의 끽연물품 및 상기 막대모양의 끽연물품을 감싸는 포재(包材)를 가진, 내용물과,
    상기 박스에 있어서 상기 개구단의 후연(後緣)에 셀프 힌지(self hinge)를 통하여 결합되고, 상기 개구단을 개폐가능하게 하는 텅 리드로서,
    상기 텅 리드의 닫힌 상태에서, 상기 박스의 상기 개구단을 덮는 리드, 상기 리드에 접는선을 통해 접속되고, 상기 박스의 상기 전벽에 상기 삽입 슬릿을 덮은 상태로 중첩할 수 있는 텅을 포함하는, 텅과,
    상기 텅 리드가 최초로 열리기 전의 상태로 있을 때에는 상기 텅 리드와 상기 박스와의 사이를 서로 분리가능하게 접속하고, 한편, 상기 텅 리드가 일단 열려진 때에는 상기 텅 리드가 즉시 열린 상태인 것을 흔적으로서 남는 조인트(joint)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모양의 끽연(喫煙)물품의 텅 리드(tongue lid)형 팩(pack)으로서,
    상기 조인트는, 상기 박스의 양측면에 각각 접착된 한 쌍의 가드 러그(guard lugs)와, 상기 텅 리드가 최초로 열리기 전의 상태로 있을 때 상기 각 가드 러그를 상기 텅의 대응하는 측의 측연(側緣)에 분리가능하게 접속하는 절취선(切取線)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모양의 끽연물품의 텅 리드형 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텅 리드는, 상기 텅의 선단(先端)에 상기 삽입 슬릿을 통하여 상기 박 스 내에 삽입 가능한 삽입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모양의 끽연물품의 텅 리드형 팩.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는, 상기 전벽에 형성되고, 상기 개구단의 전연(前緣)으로부터 상기 삽입 슬릿으로 향하여 연장하는 액세스(access)개구 및 상기 액세스개구를 형성하기 위한 절취선을 통하여 구획되는 개구예정영역의 일측을 포함하고,
    상기 포재는, 상기 액세스개구에 대응한 부분으로 잘려나간 선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구획되는 분리가능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팩은, 상기 팩의 이면과 상기 포재의 상기 분리가능영역을 상기 액세스개구 또는 상기 개구예정영역을 통하여 서로 접착하는 제1 접착제도포(糊塗布)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모양의 끽연물품의 텅 리드형 팩.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은, 상기 박스의 상기 개구단측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포재의 접는 것에 의해 형성된 상측폐색단면(上側閉塞端面)을 포함하고,
    상기 상측폐색단면은, 한 쌍의 엔드 플랩(end flat)과, 이들 엔드 플랩에 순차적으로 중첩되는 내부 외부 플랩 및 상기 분리가능영역의 일부를 형성하는 외부 플랩을 가지며,
    상기 팩은, 상기 외부 플랩과 상기 리드의 이면을 서로 접착하는 제2 접착제도포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모양의 끽연물품의 텅 리드형 팩.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은, 상기 박스의 한 쪽 벽측에 배치되고, 한편, 상기 포재의 접힘에 의해 형성된 폐색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폐색측면은 상기 포재의 양단 가장자리을 서로 중첩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팩은, 상기 폐색측면과 상기 박스의 내면을 상호 접착하는 제3 접착제도포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모양의 끽연물품의 텅 리드형 팩.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은, 상기 박스의 상기 저벽측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포재의 접힘에 의해 형성된 하측폐색단면을 포함하고,
    상기 팩은, 상기 하측폐색단면과 상기 박스의 상기 저벽을 상호 접착하는 제4 접착제도포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모양의 끽연물품의 텅 리 드형 팩.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슬릿은, 상기박스의 상기 개구단측으로 향하여 열려진 'V'자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모양의 끽연물품의 텅 리드형 팩.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는, 상기 박스의 상기 전벽에 절취선을 통하여 구획된 절취예정영역과, 상기 텅 리드에 형성되고, 상기 텅 리드가 최초로 열리기 전의 상태로 있을 때, 상기 절취예정영역을 상기 텅 리드에 접착시키는 제5 접착제도포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모양의 끽연물품의 텅 리드형 팩.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는, 상기 텅에 절취선을 통하여 구획된 절취예정영역과, 상기 박스의 상기 전벽에 형성되고, 상기 텅 리드가 최초로 열리기 전의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절취예정영역을 상기 전벽에 접착시키는 제5 접착제도포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모양의 끽연물품의 텅 리드형 팩.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는, 상기 리드의 이면에 접착된 한 쌍의 보강부재와, 상기 텅 리드가 최초로 열리기 전의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보강부재를 상기 박스의 상기 양측벽에 각각 절취 가능하게 접속하는 절취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모양의 끽연물품의 텅 리드형 팩.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는,
    상기 박스의 상기 전벽에 절취선을 통하여 구획된 절취예정영역과,
    상기 텅 리드에 형성되고, 상기 텅 리드가 최초로 열리기 전의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절취예정영역을 상기 텅 리드에 접착시키는 제5 접착제도포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모양의 끽연물품의 텅 리드형 팩.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텅에 절취선을 통하여 구획된 절취예정영역과,
    상기 박스의 상기 전벽에 형성되고, 상기 텅 리드가 최초로 열리기 전의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절취예정영역을 상기 전벽에 접착시키는 제5 접착제도포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모양의 끽연물품의 텅 리드형 팩.
  14. 제 1항의 텅 리드형 팩을 형성하고, 상기 팩이 박스 및 텅 리드를 가지는, 블랭크(blank)는,
    길이방향축선과,
    메인 섹션(main section)으로서, 상기 길이방향축선을 따라 서로 접는선을 통하여 인접한 후방 패널(pannel), 외부 하면 패널 및 전방 패널을 가지고, 이들 패널이 상기 박스의 후벽, 저벽 및 전벽을 각각 형성하는, 메인 섹션과,
    상기 후방 패널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접는선을 통하여 접속되는 한 쌍의 내부 사이드(side) 플랩과,
    상기 외부 하면 패널의 양측에 위치하고, 한편 상기 각 내부 사이드 플랩에 접는선을 통해 접속되는 한 쌍의 내부 하면 플랩으로서, 이들 내부 하면 플랩은, 상기 박스의 저벽을 위한 보강부재를 형성하는, 한 쌍의 내부 하면 플랩과,
    상기 전방 패널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접는선을 통해 접속되는 한 쌍의 외부 사이드 플랩으로서, 이들 외부 사이드 플랩은 대응하는 쪽의 상기 내부 사이드 플랩과 함께, 상기 박스의 측벽을 형성하는, 한 쌍의 외부 사이드 플랩과,
    상기 메인 섹션으로부터 상기 길이방향축선을 따라 연장하고, 상기 후방 패널에 셀프 힌지로서의 접는선을 통해 접속된 서브(sub) 섹션으로서, 상기 서브 섹션은, 접는선을 통해 구획된 외부 상면 패널 및 텅 패널을 가지고, 이들 패널이 상기 박스의 상기 리드 및 상기 텅을 각각 형성하는, 서브 섹션과,
    상기 텅 패널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절취선을 통해 접속된 한 쌍의 러그 플랩에 있어서, 이들 러그 플랩은 대응하는 쪽의 외부 사이드 플랩에 접착된 때, 제1 조인트로서의 상기 가드 러그를 형성하는, 한 쌍의 러그 플랩과,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모양의 끽연물품의 텅 리드형 팩을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블랭크는, 상기 외부 상면 패널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내부 상면 플랩으로서, 이들 내부 사이드 플랩이 대응하는 쪽의 상기 내부 상면 플랩에 절취선을 통해 접속되어 있는, 한 쌍의 내부 상면 플랩을 더 포함하고,
    상기 텅 리드가 최초로 열리기 전의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내부 상면 플랩은 상기 텅 리드의 상기 리드에 접착되고, 제2 조인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모양의 끽연물품의 텅 리드형 팩을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
KR1020057012625A 2003-01-20 2003-12-26 막대모양의 끽연물품을 위한 텅 리드형 팩 및 그 블랭크 Expired - Fee Related KR1007481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11362 2003-01-20
JPJP-P-2003-00011362 2003-0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1060A KR20050091060A (ko) 2005-09-14
KR100748148B1 true KR100748148B1 (ko) 2007-08-09

Family

ID=32767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2625A Expired - Fee Related KR100748148B1 (ko) 2003-01-20 2003-12-26 막대모양의 끽연물품을 위한 텅 리드형 팩 및 그 블랭크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7353940B2 (ko)
EP (1) EP1588633B1 (ko)
JP (1) JP4242843B2 (ko)
KR (1) KR100748148B1 (ko)
CN (1) CN1738553B (ko)
AT (1) ATE531648T1 (ko)
AU (1) AU2003292633A1 (ko)
CA (1) CA2513112C (ko)
DK (1) DK1588633T3 (ko)
ES (1) ES2376747T3 (ko)
PT (1) PT1588633E (ko)
RU (1) RU2299846C2 (ko)
TW (1) TWI235039B (ko)
UA (1) UA78147C2 (ko)
WO (1) WO20040645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006018855D1 (de) 2005-01-14 2011-01-27 Japan Tobacco Inc Laschendeckelpackung für stäbchenförmige rauchartikel und zuschnitt dafür
JP4633065B2 (ja) * 2005-01-14 2011-02-16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棒状喫煙物品のためのヒンジリッドパッケージ及びそのブランク
ATE414650T1 (de) * 2005-07-01 2008-12-15 Nestec Sa Kartonverpackung für lebensmittel
UA89718C2 (ru) * 2005-12-15 2010-02-25 Джапан Тобакко Инк. Сигаретная пачка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RU2434800C1 (ru) * 2008-01-18 2011-11-27 Джапан Тобакко Инк. Сигаретная пачка
EP2277797B1 (en) * 2008-05-15 2013-12-04 Japan Tobacco, Inc. Tongue-lid package
JP5227086B2 (ja) * 2008-06-06 2013-07-03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タングリッド型パッケージ
DE102008035467A1 (de) * 2008-07-30 2010-02-04 Focke & Co.(Gmbh & Co. Kg) (Zigaretten-)Packung sowie Zuschnit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derselben
CN101445177B (zh) * 2008-12-31 2011-03-16 广东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卧式香烟包装盒
WO2011007422A1 (ja) * 2009-07-14 2011-01-20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シガレットパッケージ
US8235205B2 (en) 2010-05-21 2012-08-07 Altria Client Services Inc. Folded pack for holding thin elongate products
US9290301B2 (en) * 2011-11-09 2016-03-22 Del Monte Foods, Inc. Packaging of multiple cups
TWI586596B (zh) * 2012-02-15 2017-06-11 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容器用強化之可再密封內包裝
KR20170063533A (ko) * 2014-09-26 2017-06-08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개봉-흔적 뚜껑을 갖춘 소비자 물품용 용기
USD778150S1 (en) 2015-01-12 2017-02-07 Maui Kahawaiolaa Cigarette package
CN107150862A (zh) * 2016-03-04 2017-09-12 上海烟草集团有限责任公司 软包硬化侧开卷烟包装盒及制作方法
ITUA20164636A1 (it) * 2016-06-24 2017-12-24 Gd Spa Pacchetto rigido di articoli da fumo con coperchio incernierato e provvisto di una etichetta di chiusura riutilizzabile e corrispondente metodo di incarto.
USD801803S1 (en) * 2016-06-29 2017-11-07 Altria Client Services Llc Re-closeable tear open pack
US10407208B2 (en) 2016-06-29 2019-09-10 Altria Client Services Llc Re-closeable tear open pack, a blank for forming the pack, and a method of making the pack
US10086987B2 (en) 2016-10-13 2018-10-02 Altria Client Services Llc Reseal label for box in a box re-sealable pack
US10124953B2 (en) 2016-10-13 2018-11-13 Altria Client Services Llc Box in a box re-sealable cigarette pack
EP4173994A1 (en) * 2017-03-01 2023-05-03 Altria Client Services LLC Pull tab
JP6868446B2 (ja) * 2017-04-03 2021-05-12 Fdk株式会社 紙製電池パッケージ
USD918030S1 (en) * 2018-07-25 2021-05-04 China Tobacco Hubei Industrial Corporation Limited Cigarette packaging box
RU206978U1 (ru) * 2021-06-18 2021-10-05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ВИМАКС" Трансформируемая в емкость упаковка для средств по очистке подошвы утюга
USD1074436S1 (en) 2022-09-19 2025-05-13 Altria Client Services Llc Insert with base, lid, and cartridges
US12297022B2 (en) 2022-09-19 2025-05-13 Altria Client Services Llc Insert with undercuts
USD1074437S1 (en) 2022-09-19 2025-05-13 Altria Client Services Llc Insert with base, lid, and cartridges
USD1076666S1 (en) 2022-09-19 2025-05-27 Altria Client Services Llc Re-closeable packag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1405A (ja) * 1989-10-13 1991-06-05 Daido Steel Co Ltd 切削性能に優れた高靭性溶製高速度鋼工具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9134A (en) * 1885-10-27 Robert brotz
US160239A (en) * 1875-02-23 Improvement in paper boxes
US1822512A (en) * 1930-07-02 1931-09-08 Arnold J Tanner Container for merchandise
US3861583A (en) * 1973-05-07 1975-01-21 Nabisco Inc Reclosable carton
DE3806819A1 (de) * 1988-03-03 1989-09-14 Focke & Co Zigaretten-packung, insbesondere klappschachtel
US5042653A (en) * 1990-08-20 1991-08-27 Brown & Williamson Tobacco Corporation Tamper proof package
DE4032870A1 (de) * 1990-10-17 1992-04-23 Focke & Co Klappschachtel fuer zigaretten
US5123589A (en) * 1991-04-03 1992-06-23 Waldorf Corporation Reusable rigid film pack
DE4241176B4 (de) * 1992-12-08 2005-12-22 Focke & Co.(Gmbh & Co. Kg) Vorrichtung zum Auftragen von Leim auf Zuschnitte für Klappschachteln
DE4342836A1 (de) * 1993-12-16 1995-06-22 Focke & Co Klappschachtel für Zigaretten
DE4410803A1 (de) * 1994-03-30 1995-10-05 Focke & Co Klappschachtel für Zigaretten oder dergleichen
WO1996025333A1 (de) 1995-02-14 1996-08-22 Dividella Ag Faltschachtel mit garantieverschluss
JP3131405B2 (ja) * 1997-08-04 2001-01-31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タングリッドボックス、そのブランク及び製造方法
US6360943B1 (en) 1999-02-17 2002-03-26 Focke & Co. (Gmbh & Co.) Flip-top box for cigarett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1405A (ja) * 1989-10-13 1991-06-05 Daido Steel Co Ltd 切削性能に優れた高靭性溶製高速度鋼工具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특허공보 제3131405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4064550A1 (ja) 2006-05-18
CN1738553A (zh) 2006-02-22
TW200418401A (en) 2004-10-01
CN1738553B (zh) 2011-04-06
UA78147C2 (en) 2007-02-15
HK1085097A1 (en) 2006-08-18
KR20050091060A (ko) 2005-09-14
JP4242843B2 (ja) 2009-03-25
TWI235039B (en) 2005-07-01
PT1588633E (pt) 2012-01-20
CA2513112C (en) 2008-12-16
EP1588633B1 (en) 2011-11-02
EP1588633A1 (en) 2005-10-26
DK1588633T3 (da) 2012-02-27
ATE531648T1 (de) 2011-11-15
RU2299846C2 (ru) 2007-05-27
CA2513112A1 (en) 2004-08-05
RU2005126442A (ru) 2006-01-20
US7353940B2 (en) 2008-04-08
WO2004064550A1 (ja) 2004-08-05
EP1588633A4 (en) 2010-03-17
AU2003292633A1 (en) 2004-08-13
US20050241967A1 (en) 2005-11-03
ES2376747T3 (es) 201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8148B1 (ko) 막대모양의 끽연물품을 위한 텅 리드형 팩 및 그 블랭크
KR100632863B1 (ko) 막대모양 끽연물품을 위한 팩키지
RU2474524C2 (ru) Пачка с язычковой крышкой
US9004273B2 (en) Hinge-lid pack for rod-shaped smoking articles and a blank therefor
KR101316359B1 (ko) 시가렛 패키지
JP4302105B2 (ja) 棒状喫煙物品のヒンジリッド型パック及びそのブランク
KR100844602B1 (ko) 봉모양 끽연물품의 힌지 리드형 패키지의 블랭크
JPWO2005007538A1 (ja) 棒状喫煙物品のハードパック及びそのブランク
HK1085097B (en) Tongue lid type pack for bar-like smoking article and blank thereof
HK1085096B (en) Package for bar-like smoking article
HK1108416B (en) Hinge lid package for bar-like smoking article and blank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70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9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8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8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2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