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36051B1 - 부가적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및방법 - Google Patents

부가적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6051B1
KR100736051B1 KR1020050097590A KR20050097590A KR100736051B1 KR 100736051 B1 KR100736051 B1 KR 100736051B1 KR 1020050097590 A KR1020050097590 A KR 1020050097590A KR 20050097590 A KR20050097590 A KR 20050097590A KR 100736051 B1 KR100736051 B1 KR 100736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multimedia
multimedia broadcasting
reception sensitivity
broadcasting signal
command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7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1930A (ko
Inventor
오의택
왕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7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6051B1/ko
Priority to NL1032654A priority patent/NL1032654C2/nl
Priority to DE102006047955A priority patent/DE102006047955A1/de
Priority to US11/546,401 priority patent/US20070089148A1/en
Priority to CN2006101492070A priority patent/CN101014133B/zh
Publication of KR20070041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1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4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digital 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04N21/426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09Monitoring of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bandwidth variations of a wireless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3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mobile phon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6Arrangements for switching distribu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6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in that the receiver comprises more than one tu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가적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을 수신하는 튜너를 복수 개 구비하여 하나의 앙상블을 통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과 다른 앙상블의 수신 감도 측정을 동시에 수행하는 부가적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가적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에 대한 선택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어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튜너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 명령 메시지에 대응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복조부와, 상기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의 수신 감도를 확인하는 수신 감도 확인부 및 상기 확인된 수신 감도에 따라 상기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의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부를 포함한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튜너, 선택 명령 메시지

Description

부가적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upplementary function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도 1은 종래의 지상파 채널 중 하나의 채널에 포함된 앙상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서로 다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제공 업체에서 제공하는 앙상블의 수신 감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가적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의 역할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가적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 명령 메시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이 출력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알림 메시지가 출력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가적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기능을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410 : 복조부 420 : 채널 디코딩부
430 : 수신 감도 확인부 440 : 결정부
450 : A/V 디코딩부 460 : 제어부
470 : 사용자 인터페이스
본 발명은 부가적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하는 튜너를 복수 개 구비하여 하나의 앙상블을 통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과 다른 앙상블의 수신 감도 측정을 동시에 수행하는 부가적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라 한다)은 CD(Compact Disc) 수준의 음질과 데이터 또는 영상 서비스 등이 가능하고 우수한 고정 및 이동 수신 품질을 제공하는 디지털 방식의 멀티미디어 방송으로, 전송 수단(지상파 또는 위성)에 따라 지상파 DMB와 위성 DMB로 구분된다.
따라서, DMB는 다양한 디지털 컨텐츠를 고정 수신자 및 이동 중인 휴대용 단말 보유 가입자에게 경제적인 방송망을 통해 고품질로 제공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의미한다.
지상파 DMB는 지상 중계기를 이용하여 음악 및 영상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이는 사용 주파수에 따라 기존의 AM/FM 대역을 사용하는 인 밴드(In Band) 방식과 새로운 주파수 대역을 할당하여 사용하는 아웃 오브 밴드(Out of Band) 방식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인 밴드 방식에는 기존의 AM/FM 채널을 이용하여 미국의 IBOC(In Band On Channel) 방식과 기존 FM의 인접 채널을 사용하는 IBAC(In Band Adjacent Channel) 방식이 있으며, 아웃 오브 밴드 방식에는 유럽의 Eureka-147 방식과 일본이 추진하는 ISDB-T 방식이 있다.
지상파 DMB의 수신 비트율은 384kbps 또는 526kbps 정도가 되며, 비디오 서비스 압축 코드는 지상파 디지털 TV의 MPEG-2보다 압축 효율이 뛰어난 MPEG-4를 적용한다. 전송 방식은 많은 수의 반송파에 신호를 실어 보내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을 적용하는데, 이는 다중 경로 전파에 강인함을 내재하고 있어 이동 수신에 유리하다.
한편, 위성 DMB는 지상파보다 훨씬 높은 주파수 대역인 극초단파(UHF)에 해당하는 2.535~2.655GHz 대역에서 서비스가 이루어진다. 지상파 DMB가 지상의 송신소에서 전파를 발사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반면, 위성 DMB는 대기권 밖의 위성에서 지상으로 전파를 발사함으로써 보다 넓은 지역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아날로그 방송이 1개의 주파수 대역에 1개의 프로그램만 전송할 수 있는 것에 비하여 디지털 방송은 1개의 주파수 대역에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멀티플렉싱 (Multiplexing)하여 전송한다. 여기서, 멀티플렉싱된 방송 스트림을 앙상블(Ensemble)이라 하는데, DMB의 경우 Musicam(MPEG-1 layer-2)로 인코딩된 오디오 스트림, MPEG-4로 인코딩된 후 MPEG-2의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에 실려서 전송되는 A/V 스트림 및 DLS(Dynamic Label Service), BWS(Broadcast Web Site), JPEG 슬라이드 쇼,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등의 데이터가 하나의 앙상블에 포함된다.
도 1은 종래의 지상파 채널 중 하나의 채널에 포함된 앙상블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204~210MHz 대역폭의 지상파(10) 주파수 안에 1.536MHz 대역폭의 앙상블이 3개(11, 12, 13) 포함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하나의 앙상블(11, 12 또는 13)에는 최대 1.152Mbps 대역폭 이내로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 서비스의 다양한 조합에 따른 컨텐츠가 포함될 수 있는데, 포함되는 컨텐츠의 종류는 서비스 제공업자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는 다르게 다른 성격의 컨텐츠를 멀티플렉싱하여 1개의 주파수 대역에 송출하는데 이에 따라, DMB 단말기는 앙상블을 포함한 컨텐츠의 성격에 따라 각기 다른 디코딩 모듈을 지원해야 한다.
DMB 단말기는 소정의 전송 주기(국내의 경우 96ms)로 전송되는 프레임을 수신하는데, 프레임은 동기 채널(Synchronization Channel, 이하 SC라 한다) 필드, 빠른 정보 채널(Fast Information Channel, 이하 FIC라 한다) 필드 및 주 서비스 채널(Main Service Channel) 필드로 구성된다.
SC 필드는 프레임의 시작 위치를 나타내는 필드로서, 프레임의 동기화에 사 용된다. FIC 필드는 앙상블의 구성 정보 및 서비스 정보를 포함한다. MSC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필드로서 앙상블의 구성 내용에 따라 여러 개의 논리적인 서브 채널(sub-channel)로 구성된다.
따라서, DMB 단말기는 주파수를 동조(tune)한 후 FIC에 포함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MSC의 논리적인 구성 정보를 확인하고, MSC의 구성에 관한 정보 및 기타 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정보를 저장하거나 특정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DMB 단말기는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 포함된 복수 개의 앙상블 중 하나에 대한 주파수 동조를 한 후에 앙상블에 포함된 컨텐츠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 및 동조된 앙상블의 수신 강도를 출력한다.
이 때, 현재 동조된 앙상블 이외의 다른 앙상블의 수신 강도를 알기 위하여 또는 다른 앙상블에 포함된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하여 DMB 단말기는 다른 앙상블로 다시 동조하여야 한다.
또한, DMB 단말기는 하나의 컨텐츠만을 제공하므로, 서로 다른 앙상블에 포함된 컨텐츠를 동시에 제공할 수 없다.
도 2는 종래의 서로 다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제공 업체에서 제공하는 앙상블의 수신 감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제공 업체는 서로 다른 출력(capacity)으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송출한다. 이에 따라, DMB 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앙상블(21, 22, 23)의 수신 감도는 제공 업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수신 감도는 DMB 장치의 주변 환경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한국 공개 특허 10-2004-0100171은 복수의 튜너와 튜너를 통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방식으로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받아 처리하는 시스템을 별도로 구비시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신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듀얼 방송 출력 기능을 갖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단순히 복수 개의 튜너를 통하여 수신된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것에 불과하며, 현재 동조되지 않은 앙상블의 수신 강도를 알려주지는 못하고 있다. 즉, 수신 강도가 약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방송을 출력하므로 사용자는 수신 강도가 양호한 앙상블을 찾기 위하여 여전히 재동조를 하여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DMB 단말기를 통하여 수신 강도가 양호한 앙상블의 컨텐츠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하는 튜너를 복수 개 구비하여 하나의 앙상블을 통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과 다른 앙상블의 수신 감도 측정을 동시에 수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재 컨텐츠 수신에 사용되지 않는 다른 튜너를 이용하여 현재 컨텐츠를 포함하지 않는 다른 앙상블의 수신 감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수신 감도가 특정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 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가적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신호에 대한 선택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어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튜너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 명령 메시지에 대응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복조부와, 상기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의 수신 감도를 확인하는 수신 감도 확인부 및 상기 확인된 수신 감도에 따라 상기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의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가적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에 대한 선택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튜너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 명령 메시지에 대응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의 수신 감도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수신 감도에 따라 상기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의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제되는 것도 가능 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가적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의 역할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부가적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이하, DMB 장치라 한다)(300)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 대한 선택 명령 메시지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선택 명령 메시지에는 앙상블의 종류 필드, 서브 채널 필드, 수신 감도 확인 필드, 비트 에러율 필드, 알림 메시지 필드 및 예약 필드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선택 명령 메시지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5를 통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DMB 장치(300)는 복수 개의 튜너를 구비하여 복수 개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복수 개의 선택 명령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선택 명령 메시지를 입력받은 DMB 장치(300)는 구비된 튜너를 통하여 선택 명령 메시지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도 3은 3개의 튜너(310, 320, 330)가 구비된 DMB 장치(300)를 나타내고 있는데, 사용자로부터 비디오 수신, 데이터 수신 및 수신 감도 실시간 확인에 대한 선택 명령 메시지가 입력된 것을 가정한다.
사용자의 선택 명령 메시지에 따라, DMB 장치(300)의 제 1 튜너(310)는 특정 앙상블의 서브 채널에 해당하는 주파수로 동조(tune)하여 비디오(315)를 수신하고, 제 2 튜너(320)는 다른 앙상블의 서브 채널에 해당하는 주파수로 동조하여 데이터(325)를 수신하며, 제 3 튜너(330)는 또 다른 앙상블의 서브 채널에 해당하는 주파수로 동조하여 실시간으로 특정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335)를 수신한다. 여기서, 특정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335)는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로서 그 수신 감도가 미약하여 DMB 장치(300)에 의해 적절히 처리되지 못하는 정보를 의미하는데 이에 따라, DMB 장치(300)는 그 수신 감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한다.
도 3의 DMB 장치(300)는 3개의 튜너(310, 320, 330)를 통하여 3개의 컨텐츠(315, 325, 335)를 수신함에 따라 장치는 비디오 출력, 데이터 저장 및 특정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에 대한 수신 감도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서 실선과 점선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의 수신 감도를 나타낸다. 즉, 실선은 해당 신호의 수신 감도가 소정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을 나타내고, 점선은 해당 신호의 수신 감도가 소정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다시 말해, 제 1 튜너(310) 및 제 2 튜너(320)를 통해 각각 수신된 비디오(315) 및 데이터(325)의 수신 감도는 소정 임계치를 초과하므로 DMB 장치(300)에 의해 비디오 출력 및 데이터 저장이 수행되고, 제 3 튜너(330)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335)의 수신 감도는 소정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기 때문에 DMB 장치(300)에 의해 수신 감도 확인만이 수행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 1 튜너(310) 또는 제 2 튜너(320)를 통하여 수신되는 비디오(315) 또는 데이터(325)의 수신 감도가 소정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비디오 출력 및 데이터 저장이 수행되지 않고, 수신 감도 확인만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임계치는 사용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데, 비트 에러율(BER; Bit Error Ratio)이 그 기준이 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DMB 표준에서 제시하는 최저 비트 에러율인 10-2을 임계치로 설정할 수 있으며, 별도의 비트 에러율을 임계치로 설정할 수도 있다.
수신 감도는 DMB 장치(300)에 의해 실시간으로 확인되는데,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던 수신 감도가 임계치를 초과하게 되면 DMB 장치(300)는 해당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에 대한 기능(출력 또는 저장 등)을 수행하거나 별도의 알림 수단을 이용하여 알림 메시지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특정 비디오를 시청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특정 비디오에 대한 수신 감도가 미약한 경우, 특정 비디오에 대한 출력 예약을 한 상태에서 다른 비디오 또는 오디오를 시청 또는 청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DMB 장치(300)는 다른 비디오 또는 오디오를 출력하면서 특정 비디오의 수신 감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다가 그 수신 감도가 임계치를 초과하게 되면, 다른 비디오의 출력을 중단하고, 특정 비디오를 출력하거나 별도의 알림 메시지를 출력한다.
또한, 사용자는 현재 시청 중인 비디오를 계속 시청하면서, 자신이 시청하고자 하는 다른 방송 신호의 수신 감도를 확인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가적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DMB 장치(300)는 복조부(410), 채널 디코딩부(420), 수신 감도 확인부(430), 결정부(440), A/V 디코딩부(450), 제어부(46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4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부(460)는 사용자로부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에 대한 선택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70)를 이용하여 선택 명령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으며, 이렇게 입력된 선택 명령 메시지가 제어부(460)로 전달되는 것이다.
사용자는 자신이 청취 또는 시청하고자 하는 특정 앙상블(Ensemble) 및 앙상블에 포함된 서브 채널을 선택할 수 있는데 이 때, 복수 개의 앙상블을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동영상 시청을 위하여 제 1 앙상블의 동영상 채널을 선택함과 동시에 데이터 수신을 위하여 제 2 앙상블의 데이터 제공 채널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제어부(460)는 선택 명령 메시지에 따라 복조부(410), 채널 디코딩부(420), 수신 감도 확인부(430), 결정부(440), A/V 디코딩부(450), 사용자 인터페이스(470) 및 DMB 장치(300)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470)로부터 선택 명령 메시지를 전달 받아 복조부(410) 및 결정부(440)로 전달하거나, A/V 디코딩부(450)로부터 오디오 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전달 받아 사용자 인터페이스(47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복조부(4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튜너(411a, 412a, 413a)를 이용하여 선택 명령 메시지에 대응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복조부(4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튜너(411a, 412a, 413a) 및 복조기(411b, 412b, 413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튜너(411a, 412a 또는 413a)는 전달 받은 선택 명령 메시지에 대응되는 주파수로 동조(tune)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복조부(410)에는 서로 다른 복수 개의 튜너(411a, 412a, 413a)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서로 다른 주파수로 동조된 복수 개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가 수신될 수 있다.
복조부(410)는 구비된 각 튜너(411a, 412a 또는 413a)에 대응되는 복조기(411b, 412b 또는 413b)를 구비하는데 이에 따라, 튜너(411a, 412a 또는 413a)가 수신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는 대응되는 복조기(411b, 412b 또는 413b)에서 복조된다.
복조기(411b, 412b, 413b)는 피변조파에서 본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복조부(410)에 포함된 각 복조기(411b, 412b 또는 413b)는 자동 이득 제어 증폭부, 발진부, A/D 변환부, 심볼 복구부 및 채널 복호화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자동 이득 제어 증폭부는 전달 받은 방송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기 위하여 신호 이득을 보상하는 역할을 한다. 즉, 수신된 방송 신호가 미약하므로 정상적으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이 수행될 수 있도록 방송 신호의 출력을 증폭시키는 것이다.
발진부는 전달 받은 방송 신호를 샘플링하기 위한 샘플링 주파수를 발생하고, A/D 변환부는 자동 이득 제어 증폭부에서 증폭된 방송 신호를 발진부에서 발생된 샘플링 주파수에 따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이렇게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방송 신호는 심볼 복구부로 전달되는데, 심볼 복구부는 기저대역 신호 처리를 통해 나온 현재 심볼들의 타이밍 에러를 피드백 받아서 A/D 변환부로부터 전달 받은 디지털 신호와 신호 사이의 에러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그 다음, 위상 잡음 제거 및 심볼간 간섭을 제거한 후 채널 복호화부로 전달한다.
채널 복호화부는 기저대역 신호로부터 송신 시 삽입되었던 동기 신호들을 복원하고, 복원된 동기 신호들을 이용하여 수신된 데이터 즉,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복구한다.
참고적으로, 복조기(411b, 412b 또는 413b)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복조기일 수 있는데 이에 따라, 복조기(411b, 412b 또는 413b)는 하나의 채널을 다수의 협대역 부채널로 분할하고, 서로 직교하는 다수의 부반송파를 각 협대역 채널에 할당한 후에 이를 변조하여 다중화할 수 있다.
복조부(410)에 의해 복조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는 채널 디코딩부(420)로 전달되는데, 채널 디코딩부(420)는 전달 받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에 포함된 전송 오류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채널 디코딩부(420)는 복수 개의 튜너(411a, 412a, 413a) 및 복조기(411b, 412b, 413b)로 구성된 복조부(410)로부터 복수 개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전달 받을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채널 디코딩부(420)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채널 디코더(421, 422, 423)를 구비할 수 있으며, 하나의 채널 디코더가 전달된 순서대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의 전송 오류를 제거할 수도 있다.
오류가 제거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는 수신 감도 확인부(430)로 전달되고, 수신 감도 확인부(430)는 전달 받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의 수신 감도를 확인한다.
여기서, 수신 감도 확인부(430)는 상기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의 비트 에러율를 이용하여 수신 감도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된 수신 감도는 결정부(440)로 전달되고, 결정부(440)는 확인된 수신 감도에 따라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의 출력 여부를 결정한다. 즉, 결정부(440)는 확인된 수신 감도가 소정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 디어 방송 신호의 출력을 결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임계치는 비트 에러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데, 이는 사용자에 의해 별도로 설정될 수 있다.
결정부(440)에 의해 출력이 결정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는 A/V 디코딩부(450)로 전달되어 오디오 및 비디오에 대한 디코딩이 수행된다. 여기서, 결정부(440)로부터 전달받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가 복수 개일 수 있는데 이에 따라, A/V 디코딩부(450)는 복수 개의 A/V 디코더(441, 442, 443)를 구비할 수 있으며, 하나의 A/V 디코더(441, 442 또는 443)가 전달되는 순서대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에 대한 오디오 및 비디오 디코딩을 수행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70)는 입력 수단 및 출력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력 수단은 사용자로부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에 대한 선택 명령 메시지를 입력받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는 버튼, 터치 패드 및 터치 스크린 등의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선택 명령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70)의 출력 수단은 오디오 또는 비디오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출력 수단은 사용자의 선택 명령 메시지에 따라 선택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 중 결정부(440)에 의해 결정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가 있는 경우 이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의 수신 감도가 기준 미달인 경우, 이에 대한 설정을 한 상태에서 다른 주파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시청할 수 있는데 이 때, 설정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의 수신 감도가 양호해지면 출력 수단에 의해 출력된 알림 메시지를 통하여 시청하지 않고 있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의 수신 감도를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출력 수단으로는 스피커와 같은 오디오 출력 수단과 비디오를 출력할 수 있는 비디오 출력 수단으로 구성되는데, 비디오 출력 수단은 입력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음극선관(CRT, Cathode Ray Tube), 액정 화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Emitting Diode),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Plasma Display Panel) 등의 영상 표시 수단이 구비된 모듈로서 전달 받은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DMB 장치(300)는 결정부(440)에 의해 결정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 중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 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 명령 메시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선택 명령 메시지(500)는 앙상블의 종류 필드(510), 서브 채널 필드(520), 수신 감도 확인 필드(530), 비트 에러율 필드(540), 알림 메시지 필드(550) 및 예약 필드(5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앙상블의 종류 필드(510)에는 특정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제공 업체가 제공하는 앙상블의 종류가 입력된다.
서브 채널 필드(520)에는 선택된 앙상블에 포함된 서브 채널 중 하나가 입력된다. 즉, 사용자는 서브 채널을 선택함으로써 비디오, 오디오 또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DMB 장치(300)로 하여금 해당 기능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수신 감도 확인 필드(530)에는 선택된 앙상블에 포함된 서브 채널에 대한 수신 감도 확인 여부에 대한 플래그가 입력된다. 즉, 0 또는 1의 값이 입력되는 것으로서, 0의 값이 입력되면 DMB 장치(300)는 해당 앙상블에 포함된 서브 채널에 대한 수신 감도를 확인하지 않으며, 1의 값이 입력되면 DMB 장치(300)는 해당 앙상블에 포함된 서브 채널에 대한 수신 감도를 확인한다. 참고적으로, 수신 감도 확인 필드(530)에 0이 입력된 경우 이후 필드 즉, 비트 에러율 필드(540), 알림 메시지 필드(550) 및 예약 필드(560)에 입력된 값은 무시될 수 있다.
비트 에러율 필드(540)에는 전술한 임계치가 입력된다. 즉, 비트 에러율 필드(540)에 입력된 임계치는 선택되어 수신되고 있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 대한 작업 수행(방송 출력 또는 알림 메시지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알림 메시지 필드(550)에는 알림 메시지 출력 여부에 대한 플래그가 입력된다. 알림 메시지는 선택된 앙상블에 포함된 서브 채널에 대한 수신 감도가 비트 에러율 필드(540)에 입력된 비트 에러율을 초과하는 경우 이에 대한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출력되는 메시지로서, 0 또는 1의 값이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알림 메시지 필드(550)에 0의 값이 입력되면 DMB 장치(300)는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지 않고, 알림 메시지 필드(550)에 1의 값이 입력되면 DMB 장치(300)는 알림 메시지를 출력한다.
예약 필드(560)에는 수신 감도 확인 대상이 되는 특정 앙상블의 서브 채널에 대한 수신 감도 확인 시간 및 작업 수행 여부가 입력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시 작 시간과 종료 시간을 예약 필드(560)에 입력할 수 있는데, 예약 필드(560)에 설정된 시간이 입력되면 DMB 장치(300)는 설정된 시간 동안에만 수신 감도를 확인하고,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면 수신 감도 확인을 종료한다. 이에 따라, DMB 장치(300)는 불필요한 연산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예약 필드(560)에 입력된 작업 수행 여부는 해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 대한 수행 여부로서 0 또는 1의 값이 입력될 수 있다. 즉, 작업 수행 여부에 0의 값이 입력되면 DMB 장치(300)는 수신 감도가 임계치를 초과하더라도 별도의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작업 수행 여부에 1의 값이 입력되면 DMB 장치(300)는 수신 감도가 임계치를 초과함에 따라 출력 또는 저장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이 출력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의 선택 명령 메시지(500)에 따라 DMB 장치(300)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6은 제 1 컨텐츠(610a)와 제 2 컨텐츠(620a) 2개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DMB 장치(300)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 1 단계(S1010) 및 제 2 단계(S1020)로 구분된 DMB 장치(300)의 작업을 나타내고 있다.
제 1 단계(S1010)에서 DMB 장치(300)는 사용자의 선택 명령 메시지(500)에 따라 제 1 컨텐츠(610a) 및 제 2 컨텐츠(620a)를 수신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실제로 시청하고자 하는 컨텐츠는 제 2 컨텐츠(620a)인데, 제 2 컨텐츠(620a)의 수신 감도가 기 설정된 수신 감도를 초과하지 못하므로, DMB 장치(300)는 제 1 컨텐츠 (610a)만을 디스플레이하면서 제 2 컨텐츠(620a)에 대해서는 실시간 수신 감도 확인을 수행한다. 그러다가, 제 2 컨텐츠(620a)의 수신 감도가 기 설정된 수신 감도를 초과하게 되면 제 2 단계(S1020)로 전환되는데, 제 2 단계(S1020)에서 DMB 장치(300)는 제 1 컨텐츠(610b)의 디스플레이를 중단하고, 제 2 컨텐츠(620b)를 디스플레이한다. 즉, 별도의 알림 메시지 없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전환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차선으로 선택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시청하다가 자신이 최선으로 선택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신속하게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일단 화면의 전환이 수행된 후에 최선으로 선택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즉, 제 2 컨텐츠(620b)의 수신 감도가 다시 임계치 이하로 감소하게 되면, DMB 장치(300)는 다시 이전에 디스플레이 중이던 제 1 컨텐츠(610b)를 디스플레이하면서 제 2 컨텐츠(620b)에 대한 수신 감도 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알림 메시지가 출력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의 선택 명령 메시지(500)에 따라 DMB 장치(300)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7은 제 1 컨텐츠(710a)와 제 2 컨텐츠(720a) 2개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DMB 장치(300)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 1 단계(S1110) 및 제 2 단계(S1120)로 구분된 DMB 장치(300)의 작업을 나타내고 있다.
제 1 단계(S1110)에서 DMB 장치(300)는 사용자의 선택 명령 메시지(500)에 따라 제 1 컨텐츠(710a) 및 제 2 컨텐츠(720a)를 수신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실제로 시청하고자 하는 컨텐츠는 제 2 컨텐츠(720a)인데, 제 2 컨텐츠(720a)의 수신 감도가 기 설정된 수신 감도를 초과하지 못하므로, DMB 장치(300)는 제 1 컨텐츠(710a)만을 디스플레이하면서 제 2 컨텐츠(720a)에 대해서는 실시간 수신 감도 확인을 수행한다. 그러다가, 제 2 컨텐츠(720a)의 수신 감도가 기 설정된 수신 감도를 초과하게 되면 제 2 단계(S1120)로 전환되는데, 제 2 단계(S1120)에서 DMB 장치(300)는 제 1 컨텐츠(710b)의 디스플레이를 지속시키면서 구비된 출력 수단을 이용하여 알림 메시지(750 또는 760)를 출력한다. 즉, 음성 또는 영상으로 제 2 컨텐츠(720b)의 수신 감도가 양호하다는 메시지(750 또는 760)를 출력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차선으로 선택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시청하면서, 자신이 최선으로 선택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으로의 화면 전환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가적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기능을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부가적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DMB 장치(300)는 사용자로부터 선택 명령 메시지(500)를 입력받는다(S810). 여기서, 선택 명령 메시지(500)에는 앙상블의 종류 필드(510), 서브 채널 필드(520), 수신 감도 확인 필드(530), 비트 에러율 필드(540), 알림 메시지 필드(550) 및 예약 필드(560)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70)를 통하여 입력된 선택 명령 메시지(500)는 제어부 (460)로 전달되고, 제어부(460)는 선택 명령 메시지(500)에 따라 복조부(410), 채널 디코딩부(420), 수신 감도 확인부(430), 결정부(440) 및 A/V 디코딩부(450)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우선 제어부(460)는 선택 명령 메시지(500)에 포함된 앙상블의 종류 및 서브 채널을 복조부(410)로 전달하는데 이에 따라, 복조부(4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튜너(411a, 412a, 413a)를 이용하여 선택 명령 메시지(500)에 대응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S820).
복조부(410)는 서로 다른 복수 개의 튜너(411a, 412a, 413a) 및 복조기(411b, 412b, 413b)로 구성될 수 있는데, 튜너(411a, 412a, 413a)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복조기(411b, 412b, 413b)는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에 대한 복조를 수행한다.
복조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는 채널 디코딩부(420)로 전달되고, 채널 디코딩부(420)는 전달 받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에 포함된 전송 오류를 제거한다. 여기서, 채널 디코딩부(420)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채널 디코더를 이용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에 포함된 전송 오류를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오류가 제거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는 수신 감도 확인부(430)로 전달되고, 수신 감도 확인부(430)는 전달 받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의 수신 감도를 확인한다(S830).
여기서, 수신 감도 확인부(430)는 수신 감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의 비트 에러율을 확인할 수 있다. 확인된 수신 감도 즉, 비트 에 러율은 결정부(440)로 전달되고, 결정부(440)는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의 출력 여부를 결정한다.
이 때, 결정부(440)에 의한 결정은 선택 명령 메시지(500)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즉, 결정부(440)는 선택 명령 메시지(500)의 수신 감도 확인 필드(530)를 확인하는데(S840), 수신 감도 확인 플래그가 0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결정부(440)는 수신 감도 확인부(430)로부터 전달 받은 수신 감도를 무시하고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가 처리되도록 한다(S880). 이에 따라, 오디오 또는 비디오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는 A/V 디코딩부(450)로 전달되어 오디오 또는 비디오 디코딩이 수행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470)를 통하여 출력되며 데이터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는 DMB 장치(300)에 구비된 저장 수단(미도시)에 저장된다.
한편, 수신 감도 확인 플래그가 1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결정부(440)는 수신 감도가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확인한다(S850). 즉, 결정부(440)는 선택 명령 메시지(500)에 포함된 비트 에러율과 수신 감도 확인부(430)로부터 전달 받은 비트 에러율을 비교하는 것으로서, 수신 감도 확인부(430)로부터 전달 받은 비트 에러율이 선택 명령 메시지(500)에 포함된 비트 에러율보다 큰 경우 선택 명령 메시지(500)에 포함된 알림 메시지 필드(550)를 확인한다(S860).
그리하여, 알림 메시지 플래그가 0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결정부(440)는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의 출력을 결정하여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가 처리되도록 한다(S880). 이에 따라, 오디오 또는 비디오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는 A/V 디코딩부(450)로 전달되어 오디오 또는 비디오 디코딩이 수행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470)를 통하여 출력되며 데이터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는 DMB 장치(300)에 구비된 저장 수단(미도시)에 저장된다.
한편, 알림 메시지 플래그가 1로 설정된 경우 결정부(440)는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의 출력을 보류하고, 제어부(460)의 명령을 기다린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470)는 제어부(460)의 명령에 따라 알림 메시지를 출력한다. 즉, 음성 또는 영상의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이다(S870).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부가적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복수 개의 튜너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앙상블에 포함된 복수 개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현재 컨텐츠 수신에 사용되지 않는 다른 튜너를 이용하여 현재 컨텐츠를 포함하지 않는 다른 앙상블의 수신 감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수신 감도가 특정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편리함을 제공하는 장점도 있다.

Claims (12)

  1.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신호에 대한 선택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어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튜너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 명령 메시지에 대응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복조부;
    상기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의 수신 감도를 확인하는 수신 감도 확인부; 및
    상기 확인된 수신 감도에 따라 상기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의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부를 포함하는 부가적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명령 메시지는 앙상블의 종류 필드, 서브 채널 필드, 수신 감도 확인 필드, 비트 에러율 필드, 알림 메시지 필드 및 예약 필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부가적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확인된 수신 감도가 소정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의 출력을 결정하는 부가적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이 결정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의 오디오 및 비디오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는 A/V 디코딩부를 더 포함하는 부가적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명령 메시지를 입력 받고, 디코딩된 상기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부가적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7. (a)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에 대한 선택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b)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튜너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 명령 메시지에 대응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의 수신 감도를 확인하는 단계; 및
    (d) 상기 확인된 수신 감도에 따라 상기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의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가적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명령 메시지는 앙상블의 종류 필드, 서브 채널 필드, 수신 감도 확인 필드, 비트 에러율 필드, 알림 메시지 필드 및 예약 필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부가적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9. 삭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확인된 수신 감도가 소정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의 출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가 적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이 결정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의 오디오 및 비디오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부가적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명령 메시지를 입력 받는 단계; 및
    디코딩된 상기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부가적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KR1020050097590A 2005-10-17 2005-10-17 부가적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및방법 KR100736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7590A KR100736051B1 (ko) 2005-10-17 2005-10-17 부가적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및방법
NL1032654A NL1032654C2 (nl) 2005-10-17 2006-10-10 Toestel voor het verschaffen van een supplementaire functie voor digitale multimedia uitzendingen en werkwijze hiervoor.
DE102006047955A DE102006047955A1 (de) 2005-10-17 2006-10-10 Vorrichtung für das Vorsehen einer zusätzlichen Funktion digitalen Multimediasendens und zugehöriges Verfahren
US11/546,401 US20070089148A1 (en) 2005-10-17 2006-10-12 Apparatus for providing supplementary function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nd method of the same
CN2006101492070A CN101014133B (zh) 2005-10-17 2006-10-17 提供数字多媒体广播辅助功能的装置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7590A KR100736051B1 (ko) 2005-10-17 2005-10-17 부가적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및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1930A KR20070041930A (ko) 2007-04-20
KR100736051B1 true KR100736051B1 (ko) 2007-07-06

Family

ID=37949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7590A KR100736051B1 (ko) 2005-10-17 2005-10-17 부가적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및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089148A1 (ko)
KR (1) KR100736051B1 (ko)
CN (1) CN101014133B (ko)
DE (1) DE102006047955A1 (ko)
NL (1) NL1032654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78773B2 (en) * 2006-12-29 2011-07-12 Agere Systems Inc. Multi-channel receiver with improved AGC
US7809343B2 (en) 2007-04-25 2010-10-05 Agere Systems Inc. Multi-channel receiver with improved AGC
US7769357B2 (en) * 2007-04-25 2010-08-03 Agere Systems Inc. Multi-channel receiver with improved AGC
US8276178B2 (en) * 2007-08-24 2012-09-25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8776143B2 (en) 2007-08-24 2014-07-08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8185925B2 (en) * 2007-08-24 2012-05-22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the digital broadcasting system
WO2009028856A1 (en) * 2007-08-24 2009-03-05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8510781B2 (en) * 2007-08-24 2013-08-13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8683529B2 (en) * 2007-08-24 2014-03-25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KR101556130B1 (ko) * 2007-08-24 2015-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US8161511B2 (en) * 2007-08-24 2012-04-17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WO2010021526A2 (en) 2008-08-22 2010-02-25 Lg Electronics Inc. A method for proc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an announced service or content in an nrt service and a broadcast receiver
KR101092698B1 (ko) * 2009-12-04 2011-1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디지털 멀티미디어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US8705639B2 (en) * 2011-10-19 2014-04-22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Signal monitoring platform
US11070860B2 (en) 2013-02-14 2021-07-20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ontent delivery
US9300896B2 (en) 2013-06-03 2016-03-29 Sony Corporation Metho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reception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for identifying available channels and/or services
US10440499B2 (en) 2014-06-16 2019-10-08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User location and identity awareness
US10045090B2 (en) 2014-08-11 2018-08-07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Merging permissions and content access
CN105578156A (zh) * 2016-01-22 2016-05-11 珠海佳讯创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带高清显示屏和监控安防功能的数字寻星仪
US10200150B2 (en) * 2017-01-17 2019-02-05 Iheartmedia Management Services, Inc. Digital radio channel error detection
DE202019106206U1 (de) * 2019-11-08 2019-11-18 Hirschmann Car Communication Gmbh Digitaler Rundfunkempfänger und digitales Rundfunkempfängersystem
KR20240000822A (ko) * 2022-06-24 2024-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2431A (ko) * 2002-03-04 2003-09-15 대한민국(전남대학교총장) 지상파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수신 가능한 전계 강도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9768A (en) * 1980-09-30 1983-12-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mpany, Limited Wideband tuner for VHF, CATV and UHF television signals
JP2900680B2 (ja) * 1992-02-21 1999-06-02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電話装置
US6459427B1 (en) * 1998-04-01 2002-10-01 Liberate Technologies Apparatus and method for web-casting over digital broadcast TV network
JP2947280B1 (ja) * 1998-07-28 1999-09-13 日本電気株式会社 位置登録制御方法
US6574239B1 (en) * 1998-10-07 2003-06-03 Eric Morgan Dowling Virtual connection of a remote unit to a server
US6522875B1 (en) * 1998-11-17 2003-02-18 Eric Morgan Dowling Geographical web browser,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US6243581B1 (en) * 1998-12-11 2001-06-05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seamless roaming betwee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with a mobile terminal
US6667666B2 (en) * 1999-10-07 2003-12-23 Anthony Aeschlimann Synchronous oscillators
JP3875458B2 (ja) * 2000-06-30 2007-01-31 株式会社東芝 送受信一体型高周波装置
US20060064716A1 (en) * 2000-07-24 2006-03-23 Vivcom, Inc. Techniques for navigating multiple video streams
JP4078022B2 (ja) * 2000-09-06 2008-04-2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ゲートウェイサーバ及び情報提供方法
DE10110043A1 (de) * 2001-03-02 2002-09-19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Darstellung von Videodaten
US7050809B2 (en) * 2001-12-27 2006-05-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current data transmiss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JP4005374B2 (ja) * 2002-01-22 2007-11-07 富士通テン株式会社 デジタル放送受信機
JP2003259332A (ja) * 2002-03-06 2003-09-12 Sharp Corp デジタルcatv用チューナ
US7313375B2 (en) * 2002-05-02 2007-12-25 Lucent Technologies Inc. Follow-me broadcast reception method and system
FR2840480B1 (fr) * 2002-05-31 2004-11-26 Cit Alcatel Procede de gestion auto-adaptative de pertinence de contenus multimedia pour recepteur de ces contenus et recepteur associe
JP2004064549A (ja) * 2002-07-30 2004-02-26 Funai Electric Co Ltd 受信性能測定装置
CN1233164C (zh) * 2002-09-10 2005-12-21 夏普株式会社 数字广播接收装置及数字广播选台系统
US7599323B2 (en) * 2002-10-17 2009-10-06 Alcatel-Lucent Usa Inc. Multi-interface mobility client
CN1267814C (zh) * 2002-11-14 2006-08-02 三星电子株式会社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US6993347B2 (en) * 2002-12-17 2006-01-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 media interleaving
US7177655B2 (en) * 2003-03-24 2007-02-13 Inventec Appliances Corp. Method of instantly receiving and playing back audio data from wireless network by wireless terminal
KR100531378B1 (ko) * 2003-07-25 2005-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tv 서비스에서의 정보전송방법
KR100585933B1 (ko) * 2003-08-20 2006-06-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US7215382B2 (en) * 2003-10-21 2007-05-08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tatus in digital television channels
KR20050038143A (ko) * 2003-10-21 2005-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지역 특화 부가정보 방송을 위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그 방송 서비스 방법
JP2005130279A (ja) * 2003-10-24 2005-05-19 Sharp Corp ダイバーシティ受信用チューナ
JP4229816B2 (ja) * 2003-11-25 2009-02-25 シャープ株式会社 受信装置
KR100595208B1 (ko) * 2004-03-19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Dmb 수신기 및 소비 전력 절감 방법
JP2005269506A (ja) * 2004-03-22 2005-09-29 Casio Comput Co Ltd 放送受信装置および放送受信処理プログラム
KR101033582B1 (ko) * 2004-04-09 2011-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기에서의 시간 역인터리빙을 위한 메모리 제어 방법
US7555717B2 (en) * 2004-04-30 2009-06-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displaying screen image on mobile terminal
KR100630086B1 (ko) * 2004-05-12 2006-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수신하는 장치
KR100664917B1 (ko) * 2004-05-21 200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지털 방송 정보를 제공하는휴대용 디지털 장치 및 그 방법
KR100608059B1 (ko) * 2004-06-15 2006-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Mot 데이터 복호 방법 및 장치
KR100575931B1 (ko) * 2004-06-16 2006-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안내하는 디지털 방송수신용 단말 및 그 방법
KR100651939B1 (ko) * 2004-08-18 200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기 및 디코딩 방법
KR100689443B1 (ko) * 2004-08-21 200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송수신 방법
KR100644401B1 (ko) * 2004-08-25 2006-11-1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무선 단말기에서 방송 채널 번호 직접 입력을 통한 디지털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방법 및 그 장치
JP2008512037A (ja) * 2004-09-06 2008-04-17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デジタルマルチメディア放送受信装置及び方法
KR100689444B1 (ko) * 2004-09-07 200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정보 표시장치 및방법
KR100628077B1 (ko) * 2004-09-24 2006-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티브이의 광고 음악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US20070218850A1 (en) * 2004-10-08 2007-09-20 Jianping Pan Integrated Tuner for Terrestrial and Cable Television
KR100677150B1 (ko) * 2004-11-16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치기반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0672514B1 (ko) * 2004-11-23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Dmb 및 gps 서비스 수신용 이동통신 단말
KR20060082208A (ko) * 2005-01-11 2006-07-18 삼성전기주식회사 이미지 리젝션 믹서 및 이를 이용한 로우if 구조의지상파 dmb 튜너
KR100703371B1 (ko) * 2005-01-18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WO2006102631A2 (en) * 2005-03-24 2006-09-28 Siport, Inc. Low power digital media broadcast receiver with time division
US20060239378A1 (en) * 2005-03-25 2006-10-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ransmit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ystem
KR101099969B1 (ko) * 2005-03-31 2011-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겸용안테나 장치
KR100712228B1 (ko) * 2005-05-19 2007-04-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양방향 서비스를 위한 dmb/이동통신망 연동 플랫폼과,그를 이용한 dmb/이동통신망 통합 수신 단말 및 그 방법
KR100735264B1 (ko) * 2005-06-09 2007-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모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에서의 통합 전자프로그램 가이드 제공 방법
US7945233B2 (en) * 2005-06-16 2011-05-17 Sipor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controlling a tuner
KR100724980B1 (ko) * 2005-06-28 2007-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성 dmb와 지상파 dmb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는듀얼 모드 dmb 단말기
KR101002042B1 (ko) * 2005-06-30 2010-12-17 노키아 코포레이션 Rfid기술 기반 통신 환경에서 공유되는 안테나의동작을 위한 기기, 모듈 및 방법
KR100713478B1 (ko) * 2005-08-09 2007-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치정보를 이용한 디지털방송 채널 검색 장치 및 방법
KR20070018645A (ko) * 2005-08-10 2007-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지상파 dmb 방송 시스템에서의 부가 서비스 여부를표시하는 epg 방법
KR100744348B1 (ko) * 2005-08-10 2007-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Dmb 단말기에서의 알람 및 모닝콜 제공 방법
US20070038516A1 (en) * 2005-08-13 2007-02-15 Jeff Apple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enabling an advertiser to measure user viewing of and response to an advertisement
KR100735372B1 (ko) * 2005-08-17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지상파 dmb 수신 단말기에서 소프트웨어 다운로드를통한 업그레이드 방법
US7659919B2 (en) * 2005-08-25 2010-02-09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obile television channel switching system and method
KR20070026936A (ko) * 2005-08-29 2007-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지상파 dmb 방송 시스템에서 광고 정보를 포함시키는epg 정보 구성 방법
KR100724898B1 (ko) * 2005-09-05 2007-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지상파 dmb 시스템 및 위성 dmb 시스템 간의 서비스링킹 정보 제공 방법 및 dmb 단말기에서의 서비스 링킹정보를 이용한 서비스 변경 방법
KR101197008B1 (ko) * 2005-10-11 2012-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
KR20090004059A (ko) * 2007-07-06 2009-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이 가능한 텔레매틱스 단말기 및 방송 신호 처리방법
KR101480449B1 (ko) * 2007-10-16 2015-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기반 교통 및 여행 정보 메시지를 이용한 상세정보 제공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2431A (ko) * 2002-03-04 2003-09-15 대한민국(전남대학교총장) 지상파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수신 가능한 전계 강도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14133B (zh) 2010-05-19
DE102006047955A1 (de) 2007-05-10
NL1032654A1 (nl) 2007-04-18
NL1032654C2 (nl) 2009-09-21
KR20070041930A (ko) 2007-04-20
US20070089148A1 (en) 2007-04-19
CN101014133A (zh) 2007-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6051B1 (ko) 부가적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및방법
JP4329551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08535374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でロバスト受信を提供する方法及び装置
US11784736B2 (en)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digital broadcast receiver system
US20070103602A1 (en) Digital terrestrial broadcast tuner module and digital terrestrial broadcast receiver
JP4902937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06081176A (ja) 衛星dmb受信装置及び方法
US10608762B2 (en) Method for improving digital radio mondiale (DRM) acquisition time
KR20060066022A (ko) 지상파 및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통합 수신 시스템
KR100810238B1 (ko) 지상파 dmb 시스템에서 듀얼 튜너를 이용하여수신기능을 향상시키는 dmb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975712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
KR100706463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
KR100724359B1 (ko)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겸용 디지털 티브이 장치 및 그의 오디오신호 처리 방법
KR100843398B1 (ko) 듀얼 하이브리드 tv 수신 장치
KR100776090B1 (ko)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의멀티앙상블신호 수신 장치 및 방법
KR20030086193A (ko)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JP2004336093A (ja) 放送受信装置
KR100814412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송 신호수신 방법
KR101184477B1 (ko) 프로그램 타입의 우선순위에 따른 채널 자동 전환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KR101286335B1 (ko) Dmb 베이스밴드 수신기
KR101268198B1 (ko) Dmb 베이스밴드 수신기
KR100750471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의 방송 재생 방법
KR20070016410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및 그의 이동모드시제어방법
JP2010034942A (ja) 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KR20060105186A (ko) 방송프로그램 시작알림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0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1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6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7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