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8645A - 지상파 dmb 방송 시스템에서의 부가 서비스 여부를표시하는 epg 방법 - Google Patents
지상파 dmb 방송 시스템에서의 부가 서비스 여부를표시하는 epg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18645A KR20070018645A KR1020050073514A KR20050073514A KR20070018645A KR 20070018645 A KR20070018645 A KR 20070018645A KR 1020050073514 A KR1020050073514 A KR 1020050073514A KR 20050073514 A KR20050073514 A KR 20050073514A KR 20070018645 A KR20070018645 A KR 2007001864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epg
- service
- additional service
- forma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2—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 H04N7/163—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by receiver means on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4—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fitting data in a restricted space on the screen, e.g. EPG data in a rectangular gri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 H04N21/8133—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specifically related to the content, e.g. biography of the actors in a movie, detailed information about an article seen in a video progra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3—Content authoring using a description language, e.g. Multimedia and Hypermedia information coding Expert Group [MHEG],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시스템에서 EPG(Electronic Programme Guide)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DMB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에 관한 정보(EPG)를 제공함에 있어서 각각의 메인 방송 서비스에 관하여 분류하고 해당 메인 방송 서비스의 부가 서비스 유무를 파악하여 이를 표시함으로써 메인 방송 서비스에 대한 부가 서비스 제공 여부를 표시하는 DMB 방송 시스템에서의 부가 서비스 여부를 표시하는 EPG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지상파 DMB 방송 시스템에서의 부가 서비스 여부를 표시하는 EPG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상파 DMB 방송 시스템의 DMB 단말기가, DMB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1 단계; 상기 DMB 방송 데이터로부터 상기 EPG 정보를 추출하는 제 2 단계; 상기 추출된 EPG 정보에 대해, 상기 EPG 정보를 제공하는 XML 스키마의 서비스 포맷에 따라 분류하는 제 3 단계; 상기 분류된 EPG 정보에 대해, 상기 EPG 정보를 제공하는 XML 스키마의 프로그램 포맷을 통해 해당 프로그램의 부가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EPG 정보와 같이 저장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EPG 정보를 표시함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의 정보에 상기 부가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같이 제공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지상파 DMB 시스템 등에 이용됨.
DMB, EPG, 부가 서비스
Description
도 1 은 지상파 DMB에서 EPG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일반적인 XML 문서 제공 시스템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2a 내지 도 2c 는 DAB 표준에서 정의하는 XML 스키마에 따른 서비스 정보, 스케줄 정보 및 그룹 정보에 대한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EPG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일실시예 동작 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표시된 지상파 DMB의 EPG 정보 제공 화면의 일실시예 예시도.
본 발명은 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시스템에서 EPG(Electronic Programme Guide)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상파 DMB 시스템에서 메인 방송 서비스에 관한 부가 서비스 정보를 EPG로 제공하기 위한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기반의 EPG(Electronic Programme Guide) 방법에 관한 것이다.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는 CD급의 고품질 오디오 서비스와 데이터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는 유럽의 디지털 라디오 방송 표준인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Eureka -147)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여 비디오를 포함한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세계 최초로 국내에서 시도되는 시스템 표준으로 위성을 전송 매체로 한 위성 DMB와 지상파를 전송 매체로 하는 지상파 DMB로 나뉜다.
이러한 DMB는 비디오 정보 뿐만 아니라 오디오, 데이터 등의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지상파 DMB에서는 이러한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 서비스를 앙상블(Ensemble)이라는 주파수 태그에서 각각의 서비스를 나누어 전송함으로써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지상파 DMB에서는 EPG 정보의 제공이 중요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 XML 방식을 통해 정보가 제공되도록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XML 방식은 문서의 내용과 문서의 표현을 분리시켜 전송하는 방법으로, 문서 제작자가 문서의 표현에 신경 쓰지 않고 문서 내용을 작성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XML 문서를 여러 스타일 시트 문서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게 하는 특징을 가지게 한다.
이와 같은 XML 문서는 그 자체로는 정보의 표현을 목적으로 하기보다는 정보의 구조적 저장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XML 문서를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과 같은 형태로 표현을 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CSS(Cascading Style Sheet)나 XSL(eXtensible Markup Language) 같은 스타일 시트 문서를 만들어야 한다.
도 1 은 지상파 DMB에서 EPG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일반적인 XML 문서 제공 시스템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상파 DMB에서 EPG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일반적인 XML 문서 제공 시스템은 XML 문서를 작성하는 문서 작성 장치(100)와 작성된 XML 문서를 전달받아 번역하고 이를 웹 문서의 형태로 수신하는 문서 수신 장치(200)와 문서 작성 장치(100)와 문서 수신 장치(200)를 연결하는 방송망(14)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문서 작성 장치(100)는 입력되는 문서(11)를 XML 작성기(12)를 통해 XML 문서화하여 방송망(14)으로 전달한다. 이때, XML 작성기(12)는 문서 내용만으로 표현이 되는데, 이에 대해 HTML 문서와 같은 문서로 표시를 하기 위해 스타일 시트 문서를 제공하는 CSS(Cascading Style Sheet)/XSL(eXtensible Markup Language)(13)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문서 수신 장치(200)는 방송망(14)을 통해 전달된 XML 문서를 XML 번역기(15)를 통해 번역하여 HTML 형태의 문서(16)로 표시되도록 한다.
이러한 지상파 DMB를 위한 XML 기반의 EPG 정보의 생성을 위해서는, ETSI(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에서 제안된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를 위한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기반 EPG 표준안(ETSI TS 101 818)에서 데이터 방송을 위한 XML 스키마를 제안하여 그에 따라 구성 되도록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EPG 정보는 방송 서비스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방송 서비스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서비스 또는 관련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해 주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EPG 정보는 방송망에서 사용되는 단말이 다양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유연성이 필요하다. 이러한 단말의 종류에 관계없는 EPG 정보의 제공을 위해서, ETSI에서 XML을 이용하여 DAB 서비스를 위한 XML 스키마를 정의하였다.
이와 같이, ETSI에서 정의한 EPG는 DAB 서비스를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현재 대한민국의 정보통신기술협회(TTA)에서 지상파 DMB 서비스를 위한 부분, 즉 비디오 서비스 관련 부분에 대해서 추가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DAB 표준에 따라 "ETSI TS 101 818"에서 정의된 XML 스키마는 서비스 정보(Service information), 스케줄 정보(Schedule information) 및 그룹 정보(Group information)를 포함한다.
도 2a 내지 도 2c 는 DAB 표준에서 정의하는 XML 스키마에 따른 서비스 정보, 스케줄 정보 및 그룹 정보에 대한 예시도이다.
우선 도 2a는 서비스 정보에 관한 것으로, 서비스 정보는 앙상블(Ensemble)에 관한 정보를 특정하는 앙상블 태그(21)와, 방송 서비스에 관한 정보와 그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는 앙상블에 대한 링크 정보를 특정하는 서비스 태그(24)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서비스 태그(24)는 앙상블 태그(21)와 연계되며, 서비스 태그(24)는 앙상블 태그(21)의 하위 태그로 처리된다. 그리고 서비스 태그(24)의 특성(attribute) 중 하나가 "포맷(format)"인데, 기존의 DAB 표준에서 정의해 놓은 포맷은 "audio(default)", "DLS(Dynamic Label Service)", "MOTSlideshow", "MOTBWS",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s Group)" 및 "DGPS(Differential GPS)"의 6가지이다.
그리고 도 2b는 스케줄 정보에 관한 것으로, 스케줄 정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비스들을 위한 시간 정보(스케줄)를 특정하는 스케줄 태그(23)와,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와 해당 프로그램의 서비스에 대한 링크 정보를 특정하기 위한 프로그램 태그(24)와, 이벤트와 그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특정하기 위한 이벤트 태그(25)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줄 태그(23)를 가장 상위 태그로 하여 프로그램 태그(24), 이벤트 태그(25)의 순위를 갖는다.
그리고 도 2c는 그룹 정보에 관한 것으로, 그룹 정보는 하나의 그룹에 대한 정보를 특정하는 그룹P(Parents) 태그(26)와, 하나의 그룹에 대한 정보와 그 상위 그룹들에 대한 링크 정보를 특정하는 그룹S(Son) 태그(27-1 내지 27-n)와, 하나의 프로그램이 링크되는 그룹들에 대해 특정하는 프로그램 태그(28)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룹P 태그(26)를 가장 상위 태그로 하여 그룹S 태그(27-1 내지 27-n), 프로그램 태그(28)의 순위를 갖는다.
<표 1> 은 기존의 "ETSI TS 101 818"에서 정의된 XML 스키마 중의 서비스 정보에 관한 스키마를 예시한 것이다.
<xs:element name="service" minOccurs="0" maxOccurs="unbounded"> <xs:complexType> <xs:sequence> <xs:element name="serviceID" minOccurs="1" maxOccurs="unbounded"> <xs:complexType> <xs:attribute name="id" type="epg:dabIDType" use="required"/> <xs:attribute name="type" default="primary"> <xs:simpleType> <xs:restriction base="xs:NMTOKEN"> <xs:enumeration value="primary"/> <xs:enumeration value="secondary"/> </xs:restriction> </xs:simpleType> </xs:attribute> </xs:complexType> </xs:element> <xs:group ref="epg:serviceNameGroup" maxOccurs="unbounded"/> <xs:element name="mediaDescription" type="epg:mediaDescriptionType" minOccurs="0" maxOccurs="unbounded"/> <xs:element name="genre" type="epg:genreType" minOccurs="0" maxOccurs="unbounded"/> minOccurs="0" maxOccurs="unbounded"/> <xs:element name="parentalRating" typattribute name="type" default="primary"> <xs:simpleType> <xs:restriction base="xs:NMTOKEN"> <xs:enumeration value="primary"/> <xs:enumeration value="secondary"/> </xs:restriction> </xs:simpleType> </xs:attribute> </xs:complexType> </xs:element>e="epg:parentalRatingType" minOccurs="0"/> <xs:element name="CA" type="epg:CAType" minOccurs="0"/> <xs:element name="keywords" type="epg:keywordsType" minOccurs="0"/> <xs:element name="link" type="epg:linkType" minOccurs="0" maxOccurs="unbounded"/> </xs:sequence> <xs:attribute name="version" type="xs:integer"/> <xs:attribute name="format" default="audio"> <xs:simpleType> <xs:restriction base="xs:NMTOKEN"> <xs:enumeration value="audio"/> <xs:enumeration value="DLS"/> <xs:enumeration value="MOTSlideshow"/> <xs:enumeration value="MOTBWS"/> <xs:enumeration value="TPEG"/> <xs:enumeration value="DGPS"/> <xs:enumeration value="proprietary"/> </xs:restriction> </xs:simpleType> </xs:attribute> <xs:attribute name="bitrate" type="xs:nonNegativeInteger"/> </xs:complexType> </xs:element> </xs:sequence> <xs:attribute name="id" type="epg:ensembleIDType" use="required"/> <xs:attribute name="version" type="xs:integer"/> </xs:complexType> </xs:element> |
이와 같은 EPG 정보를 통해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어서, 현재 제공되는 XML 스키마를 통해서는 그 정보 제공의 한계를 가진다.
즉, <표 1>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현재 제공되는 XML 스키마의 서비스 "포맷"은 "비디오" 정보를 특정하지 않고 있으며, 게다가 오디오 방송 또는 비디오 방송에 연계되는 데이터 방송이 있는 경우 이를 표시할 방법이 없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서, 현재 제공되고 있는 DMB 방송에서는 크게 비디오 방송, 오디오 방송 및 데이터 방송의 3가지 방송을 제공한다. 여기서, 데이터 방송은 독립적인 채널을 통한 데이터 방송을 의미하는데, 실질적으로는 이와 같은 독립적인 채널을 통한 데이터 방송뿐만 아니라, 비디오 방송 또는 오디오 방송에서 프로그램 연동형 서비스를 통해 데이터 방송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면, 오디오 방송에서 PAD(DMB Audio Data) 방식으로 DLS(Dynamic Label Service) 및 SLS(Slide Show Service) 등을 함께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비디오 방송 중에도 자바 응용프로그램 등을 이용한 부가적인 데이터 방송이 더욱 증가 할 것이다. 따라서 DMB 데이터 방송에 대한 원할한 정보의 제공을 위해서는 독립적인 데이터 방송에 관한 정보 뿐만 아니라 오디오 방송 또는 비디오 방송 등의 주된 방송 서비스에 연동되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정보 또한 EPG 상에 보여 주도록 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DMB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에 관한 정보(EPG)를 제공함에 있어서 각각의 메인 방송 서 비스에 관하여 분류하고 해당 메인 방송 서비스의 부가 서비스 유무를 파악하여 이를 표시함으로써 메인 방송 서비스에 대한 부가 서비스 제공 여부를 표시하는 DMB 방송 시스템에서의 부가 서비스 여부를 표시하는 EPG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DMB 방송 시스템에서의 부가 서비스 여부를 표시하기 위하여, EPG를 제공하기 위한 XML 스키마에 프로그램 연동형 부가 서비스에 대해 해당 서비스의 존재 유무와 서비스 유형을 나타내는 포맷 필드를 추가하도록 하는 새로운 XML 스키마를 제공하는데 그 또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상파 DMB 방송 시스템에서의 부가 서비스 여부를 표시하는 EPG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상파 DMB 방송 시스템의 DMB 단말기가, DMB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1 단계; 상기 DMB 방송 데이터로부터 상기 EPG 정보를 추출하는 제 2 단계; 상기 추출된 EPG 정보에 대해, 상기 EPG 정보를 제공하는 XML 스키마의 서비스 포맷에 따라 분류하는 제 3 단계; 상기 분류된 EPG 정보에 대해, 상기 EPG 정보를 제공하는 XML 스키마의 프로그램 포맷을 통해 해당 프로그램의 부가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EPG 정보와 같이 저장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EPG 정보를 표시함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의 정보에 상기 부가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같이 제공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EPG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일실시예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지상파 DMB 시스템에서 소정의 지상파 DMB 단말기가 DMB 방송 데이터를 수신한다(31). 그리고 수신된 DMB 방송 데이터로부터 EPG 정보를 추출한다(32). 여기서 EPG 정보는 DMB 방송 데이터의 FIC(Fast Information Channel)를 통해 수신되는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술을 생략한다.
그리고 추출된 EPG 정보를 각각의 서비스 포맷에 따란 분류한다(33). 여기서 각각의 서비스 포맷이라 함은, 비디오 방송, 오디오 방송 및 데이터 방송의 3가지 메인 방송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러한 서비스 포맷은 XML 스키마로 정의된 EPG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얻어내게 된다. 그러나 기존의 DAB 표준에서 정의한 XML 스키마에서는 비디오 방송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없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비디오 방송임을 표시하는 새로운 서비스 포맷을 지원하는 XML 스키마를 제안한다.
<표 2>는 본 발명에서 비디오 방송 정보를 표시하기 위하여 제안한 서비스 포맷에 관한 XML 스키마이다.
<xs:element name="service" minOccurs="0" maxOccurs="unbounded"> <xs:complexType> <xs:attribute name="format" default="audio"> <xs:simpleType> <xs:restriction base="xs:NMTOKEN"> <xs:enumeration value="video"/> <xs:enumeration value="audio"/> <xs:enumeration value="DLS"/> <xs:enumeration value="MOTSlideshow"/> <xs:enumeration value="MOTBWS"/> <xs:enumeration value="TPEG"/> <xs:enumeration value="DGPS"/> <xs:enumeration value="proprietary"/> </xs:restriction> </xs:simpleType> </xs:attribute> </xs:complexType> </xs:element> |
<표 2>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기존의 "audio(default)", "DLS(Dynamic Label Service)", "MOTSlideshow", "MOTBWS",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s Group)" 및 "DGPS(Differential GPS)"의 6가지에 덧붙여서 "video"를 추가적으로 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추가적인 서비스 포맷을 통해 비디오 방송, 오디오 방송 및 데이터 방송을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각각의 방송 서비스 별로 부가 서비스의 존재 여부를 확인한다(34, 36, 38). 이러한 부가 서비스의 존재 여부에 대해서는 XML 스키마의 프로그램 태그(24)를 통해 정의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XML 스키마에 추가할 수 있도록 새로운 "Type"을 정의하여 부가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EPG 상에서 나타낼 수 있도록 한다.
<표 3>은 본 발명에 따라 새롭게 정의된 프로그램 포맷이 추가된 XML 스키마에 대한 예이다.
<!-- ################################################################## --> <!-- Definition of ProgrammeFormatType --> <!-- ################################################################## --> <xs:complexType name="ProgrammeFormatType"> <xs:sequence> <xs:element name="ProgrammeFormat" maxOccurs="unbounded"> <xs:complexType> <xs:attribute name="type" default="NORMAL" use="required"/> <xs:simpleType> <xs:restriction base="xs:NMTOKEN"> <xs:enumeration value="NORMAL"/> <xs:enumeration value="PAD"/> <xs:enumeration value="proprietary"/> </xs:restriction> </xs:simpleType> </xs:attribute> <xs:attribute name="format" use="required"/> <xs:simpleType> <xs:restriction base="xs:NMTOKEN"> <xs:pattern value= "((video)|(audio)|(DLS)|(MOTSlideshow)|(MOTBWS)|(TPEG)|(DGPS)|(proprietary)) ((,video)|(,audio)|(,DLS)|(,MOTSlideshow)|(,MOTBWS)|(,TPEG)|(,DGPS)|(,proprietary))*" /> </xs:restriction> </xs:simpleType> </xs:complexType> </xs:element> </xs:sequence> </xs:complexType> |
<표 3>을 참조하면, 새롭게 정의한 타입은 'ProgrammeFormat'이라는 요소(element)를 정의하는 것으로, 'type' 속성(attribute)과 'format' 속성을 포함 하고 있다.
여기서, 'type' 속성은 현재 프로그램과 연동 되는 부가 서비스가 존재하는 지 여부를 나타낸다. 따라서, 'type' 속성의 값이 'NORMAL'인 경우 현재 프로그램은 연동되는 부가서비스가 없는 경우를 나타내고, 'type' 속성의 값이 'PAD'인 경우는 PAD를 통해서 연동형 부가 서비스가 전송되는 것을 나타낸다.
한편, 'format' 속성은 'type' 속성의 값이 'NORMAL'인 경우는 앞서 <표 2>에서 정의된 서비스 포맷인 'video', 'audio', 'DLS', 'MOTSlideshow', 'MOTBWS', 'TPEG', 'DGPS', 'proprietary' 중에 하나의 값을 갖는다. 즉, 해당 프로그램의 유형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리고 'type' 속성의 값이 'PAD'인 경우, 해당 프로그램은 2개 이상의 'format' 속성을 갖을 수 있다.
이러한 2개 이상의 'format' 속성 중의 첫 번째 값은 주 서비스의 유형을 나타내는 값(해당 프로그램의 서비스 포맷과 일치)이고, 두 번째 값부터는 연동형 부가 서비스의 유형을 나타낸다. 기존의 DAB 표준에서 PAD 서비스는 최대 12개까지 가능하므로, 현재까지는 'format' 속성은 최대 13개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부가 서비스의 존재를 확인하여(34, 36, 38), 부가 서비스의 존재가 확인되면, 해당 부가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주 서비스에 관한 정보와 같이 EPG 정보에 저장하여, 이후 EPG 정보 제공 시에 이에 대한 정보를 같이 표시한다(35, 37, 39).
이상에서 지상파 DMB 단말기에서 EPG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처리하는 과정에 관한 설명을 통해, 지상파 DMB 시스템에서 EPG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서 필요한 새로운 XML 스키마의 정의를 제안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XML 스키마는 단지 수신에 있어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고 시스템 전반에서 이에 대한 정의를 적용하여 이를 송수신에 있어서 모두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정의된 부가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EPG 화면 상에 표시하기 위한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제안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서비스 종류에 따라 해당 주 서비스에 관한 영역의 바탕색을 변경시키는 방법(예컨데, MOT BWS인 경우 바탕을 붉은 색, TPEG 인 경우 바탕을 파란 색 등등), 각각의 서비스 종류에 따라 해당 주 서비스에 관한 영역에 아이콘을 포함시키는 방법(예컨데, MOT BWS인 경우 ⓑ, TPEG인 경우는 ⓟ) 등으로 다양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표시된 지상파 DMB의 EPG 정보 제공 화면의 일실시예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EPG 정보는 각각의 주 서비스 목록별(41, 42, 43)로 표시가 가능하며, 해당 주 서비스(41, 42, 43)를 선택함으로써 주 서비스별 EPG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주 서비스 중의 비디오(VIDEO) 서비스(41)를 선택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리고 선택된 주 서비스에 해당하는 각각의 프로그램들은 부가 서비스 여부에 관한 정보를 아이콘의 형태(401, 402, 403, 404)로 표시하고 있다. 도 4에서 예시되고 있는 아이콘 중 401은 "MOT BWS"에 관한 것임을 표시하는 것이고, 402는 "TPEG"에 관한 것임을 표시하는 것이고, 403은 "MOT SlideShow"에 관한 것임을 표시하는 것이고, 404는 "Dynamic Label"에 관한 것임을 표시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지상파 DMB 시스템에서 EPG 정보를 제공하는 XML 스키마에 DMB 서비스에 따른 새로운 서비스 포맷인 "video" 포맷을 포함시키고, 각각의 프로그램 포맷들에 대한 부가 서비스 정보에 대한 표시를 위한 "ProgrammeFormat" 요소를 새롭게 정의하여 EPG 정보를 통해 부가 서비스의 유무를 확인하기 용이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에 따라 EPG를 제공하는 경우, 하나의 서비스에 대해 다수의 "포맷"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포맷 타입(formatType)"이라는 새로운 타입을 정의하고, <표 1>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은 기존의 서비스 정보내의 서비스 태그에 대한 스키마에서 "포맷"의 타입을 새롭게 정의한 "포맷 타입"으로 변경하고 서비스 태그에 대한 XML 파일에서 포맷의 값이 다수 갖을 수 있도록 설정한다.
<표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새롭게 정의한 서비스 태그에 포함되는 "포맷 타입"에 대한 값을 정의하는 XML 스키마이다.
<!--#####################################################--> <!--Definition of formatType--> <!--#####################################################--> <xs:simpleType name="formatType"> <xs:restriction base="xs:string"> <xs:whiteSpace value="collapse"/> <xs:pattern value="((video)|(audio)|(DLS)|(MOTSlideshow)|(MOTBWS)|(TPEG)|(DGPS)| (proprietry)) ((,video)|(,audio)|(,DLS)|(,MOTSlideshow)|(,MOTBWS)|(,TPEG)|(,DGPS) (proprietry))*"/> </xs:restriction> </xs:simpleType> |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표 4>와 같이 서비스 태그의 "포맷" 속성으로 정의된 스키마를 별도의 타입으로 정의하여 사용할 수도 있게 되는데, <표 4>와 같이 정의된 "포맷 타입"을 기존의 <표 2>의 서비스 정보에 관한 스키마에서 서비스 태그의 "format attribute value"의 타입을 "포맷 타입"으로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같이 정의된 새로운 "포맷 타입"은 중복된 스키마 내용을 하나의 타입으로 정의하여 사용함으로써 간단하고 정형화하여 스키마를 제시할 수 있게 된다.
<표 5>는 서비스 태그의 포맷 속성에 새롭게 정의된 "포맷 타입"을 적용한 경우의 XML 스키마에 대한 예이다.
<xs:element name="service" minOccurs="0" maxOccurs="unbounded"> <xs:complexType> <xs:attribute name="format" type="formatType" default="audio" /> </xs:complexType> </xs:element> |
또한, 정의된 새로운 "포맷 타입"은 <표 3>의 "프로그램 포맷 타입"의 포맷 속성(format attribute)으로도 적용 가능하다.
<표 6>은 이와 같이 "프로그램 포맷 타입"의 포맷 속성으로 새로운 "포맷 타입"이 사용되는 경우의 XML 스키마를 보여준다.
<!--###################################################--> <!-- Definition of programmeFormatType --> <!--################################################### --> <xs:complexType name="programmeFormatType"> <xs:sequence> <xs:element name="programmeFormat" maxOccurs="unbounded"> <xs:complexType> <xs:attribute name="type" use="required"> <xs:simpleType> <xs:restriction base="xs:NMTOKEN"> <xs:enumeration value="normal"/> <xs:enumeration value="PAD"/> <xs:enumeration value="BIFS"/> <xs:enumeration value="proprietary"/> </xs:restriction> </xs:simpleType> </xs:attribute> <xs:attribute name="format" type="formatType" use="required"/> </xs:complexType> </xs:element> </xs:sequence> </xs:complexType> |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DMB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에 관한 정보(EPG)를 제공함에 있어서 각각의 메인 방송 서비스에 관하여 분류하고 해당 메인 방송 서비스의 부가 서비스 유무를 파악하여 이를 표시함으로써 메인 방송 서비스에 대한 부가 서비스 제공 여부를 표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EPG를 제공하기 위한 XML 스키마에 프로그램 연동형 부가 서비스에 대해 해당 서비스의 존재 유무와 서비스 유형을 나타내는 포맷 필드를 추가함으로써, DMB 방송 시스템에서의 부가 서비스 여부를 표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 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송 시스템에서의 부가 서비스 여부를 표시하는 EPG(Electronic Programme Guide) 방법에 있어서,상기 지상파 DMB 방송 시스템의 DMB 단말기가, DMB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1 단계;상기 DMB 방송 데이터로부터 상기 EPG 정보를 추출하는 제 2 단계;상기 추출된 EPG 정보에 대해, 상기 EPG 정보를 제공하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스키마의 서비스 포맷에 따라 분류하는 제 3 단계;상기 분류된 EPG 정보에 대해, 상기 EPG 정보를 제공하는 XML 스키마의 프로그램 포맷을 통해 해당 프로그램의 부가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EPG 정보와 같이 저장하는 제 4 단계; 및상기 EPG 정보를 표시함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의 정보에 상기 부가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같이 제공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지상파 DMB 방송 시스템에서의 부가 서비스 여부를 표시하는 EPG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부가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같이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부가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아이콘으로 변환하여 해당 프로그램 정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파 DMB 방송 시스템에서의 부가 서비스 여부를 표시하는 EPG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부가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같이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부가 서비스에 관한 정보에 따라 각각의 색상을 부여하고, 해당 색상으로 상기 프로그램 정보의 바탕색을 표시함으로써 해당 프로그램 정보에 상기 부가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파 DMB 방송 시스템에서의 부가 서비스 여부를 표시하는 EPG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EPG 정보를 제공하는 XML 스키마의 서비스 포맷에 "video" 포맷을 추가로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파 DMB 방송 시스템에서의 부가 서비스 여부를 표시하는 EPG 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video" 포맷이 추가된 서비스 포맷에 관한 XML 스키마는 <표 7>와 같음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파 DMB 방송 시스템에서의 부가 서비스 여부를 표시하는 EPG 방법.
<xs:element name="service" minOccurs="0" maxOccurs="unbounded"> <xs:complexType> <xs:attribute name="format" default="audio"> <xs:simpleType> <xs:restriction base="xs:NMTOKEN"> <xs:enumeration value="video"/> <xs:enumeration value="audio"/> <xs:enumeration value="DLS"/> <xs:enumeration value="MOTSlideshow"/> <xs:enumeration value="MOTBWS"/> <xs:enumeration value="TPEG"/> <xs:enumeration value="DGPS"/> <xs:enumeration value="proprietary"/> </xs:restriction> </xs:simpleType> </xs:attribute> </xs:complexType> </xs:element>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프로그램 포맷에 관한 XML 스키마로부터 상기 부가 서비스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상기 부가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ProgrammeFormat"을 상기 프로그램 포맷에 관한 XML 스키마에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파 DMB 방송 시스템에서의 부가 서비스 여부를 표시하는 EPG 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부가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ProgrammeFormat"은 <표 8>과 같음을 특 징으로 하는 지상파 DMB 방송 시스템에서의 부가 서비스 여부를 표시하는 EPG 방법.
<!-- ################################################################## --> <!-- Definition of ProgrammeFormatType --> <!-- ################################################################## --> <xs:complexType name="ProgrammeFormatType"> <xs:sequence> <xs:element name="ProgrammeFormat" maxOccurs="unbounded"> <xs:complexType> <xs:attribute name="type" default="NORMAL" use="required"/> <xs:simpleType> <xs:restriction base="xs:NMTOKEN"> <xs:enumeration value="NORMAL"/> <xs:enumeration value="PAD"/> <xs:enumeration value="proprietary"/> </xs:restriction> </xs:simpleType> </xs:attribute> <xs:attribute name="format" use="required"/> <xs:simpleType> <xs:restriction base="xs:NMTOKEN"> <xs:pattern value= "((video)|(audio)|(DLS)|(MOTSlideshow)|(MOTBWS)|(TPEG)|(DGPS)|(proprietary)) ((,video)|(,audio)|(,DLS)|(,MOTSlideshow)|(,MOTBWS)|(,TPEG)|(,DGPS)|(,proprietary))*" /> </xs:restriction> </xs:simpleType> </xs:complexType> </xs:element> </xs:sequence> </xs:complexType>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73514A KR20070018645A (ko) | 2005-08-10 | 2005-08-10 | 지상파 dmb 방송 시스템에서의 부가 서비스 여부를표시하는 epg 방법 |
US11/502,648 US20070039022A1 (en) | 2005-08-10 | 2006-08-10 | Method for indicating whether to provide supplementary services through EPG information in a terrestrial DMB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73514A KR20070018645A (ko) | 2005-08-10 | 2005-08-10 | 지상파 dmb 방송 시스템에서의 부가 서비스 여부를표시하는 epg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18645A true KR20070018645A (ko) | 2007-02-14 |
Family
ID=37744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73514A KR20070018645A (ko) | 2005-08-10 | 2005-08-10 | 지상파 dmb 방송 시스템에서의 부가 서비스 여부를표시하는 epg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20070039022A1 (ko) |
KR (1) | KR20070018645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9105B1 (ko) * | 2007-06-07 | 2008-06-19 | 티유미디어 주식회사 | 멀티미디어 epg를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그방법 |
KR100935303B1 (ko) * | 2008-04-02 | 2010-01-06 | 브로드밴드미디어주식회사 | lPTV 서비스들 중 관련 서비스들 간 연동 방법 및 이를구현하기 위한 lPTV 시스템 |
KR100937323B1 (ko) * | 2008-04-21 | 2010-01-18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이동통신 방송 시스템 및 동기를 위한 부가 정보의바이너리 변환 방법 |
US8898703B2 (en) | 2007-04-05 | 2014-11-25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pplication format generat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36051B1 (ko) * | 2005-10-17 | 2007-07-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부가적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및방법 |
WO2008084965A1 (en) * | 2007-01-08 | 2008-07-17 | Lg Electronics Inc. | Method of processing channel information and receiver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418672B2 (en) * | 2000-12-21 | 2008-08-26 | Exaflop Llc | Integrated content guide for interactive selection of content and services on personal computer systems with multiple sources and multiple media presentation |
JP3925996B2 (ja) * | 1997-09-05 | 2007-06-06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情報表示装置 |
MY147018A (en) * | 2001-01-04 | 2012-10-15 | Thomson Licensing Sa | A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media services available from content aggregators |
US20020144289A1 (en) * | 2001-03-30 | 2002-10-03 | Yuichi Taguchi | Global multi media service method and apparatus |
US6760918B2 (en) * | 2001-06-29 | 2004-07-06 | Scientific-Atlanta,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able media content distribution |
US7073193B2 (en) * | 2002-04-16 | 2006-07-04 | Microsoft Corporation | Media content descriptions |
US20040003403A1 (en) * | 2002-06-19 | 2004-01-01 | Marsh David J. | Methods and systems for reducing information in electronic program guide and program recommendation systems |
AU2002953555A0 (en) * | 2002-12-23 | 2003-01-16 | Canon Kabushiki Kaisha | Method for presenting hierarchical data |
-
2005
- 2005-08-10 KR KR1020050073514A patent/KR2007001864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6
- 2006-08-10 US US11/502,648 patent/US20070039022A1/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898703B2 (en) | 2007-04-05 | 2014-11-25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pplication format generat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
KR100839105B1 (ko) * | 2007-06-07 | 2008-06-19 | 티유미디어 주식회사 | 멀티미디어 epg를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그방법 |
KR100935303B1 (ko) * | 2008-04-02 | 2010-01-06 | 브로드밴드미디어주식회사 | lPTV 서비스들 중 관련 서비스들 간 연동 방법 및 이를구현하기 위한 lPTV 시스템 |
KR100937323B1 (ko) * | 2008-04-21 | 2010-01-18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이동통신 방송 시스템 및 동기를 위한 부가 정보의바이너리 변환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070039022A1 (en) | 2007-02-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244287B2 (en) |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recep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 |
US9769526B2 (en) |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for filtering content | |
US9179188B2 (en) |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recep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 |
KR100800860B1 (ko) |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전자 서비스 가이드를 이용한미리보기 서비스 방법 및 장치 | |
US20120054267A1 (en) |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recep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 |
CN103975602B (zh) | 广播服务接收方法和广播服务接收装置 | |
US20030051246A1 (en) | System and method for combining several EPG sources to one reliable EPG | |
CN104509120A (zh) | 用于高级电视服务的个性化信息的宽带交付 | |
US20070199037A1 (en) | Broadcast program content retrieving and distributing system | |
WO2006035450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soliciting feedback using print-augmented broadcast signal | |
US20070039022A1 (en) | Method for indicating whether to provide supplementary services through EPG information in a terrestrial DMB system | |
CN109964486B (zh) | 广播标识符信令 | |
US20080072258A1 (en) |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notification data in a dvb-h system | |
US20070074249A1 (en) | Broadcasting system for providing program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 |
US20070050814A1 (en) | Method for forming EPG information including advertisement information in terrestrial DMB system | |
KR20070082461A (ko) | 방송 수신 장치, 방송 프로그램 정보 송수신방법 및 방송프로그램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 | |
US8930995B2 (en) | Method for providing multiple formats through XML based EPG schema in terrestrial DMB system | |
JP2004334372A (ja) | データコンテンツ送信装置、データコンテンツ送信方法、データコンテンツ送信プログラムおよびデータコンテンツ受信変換装置、データコンテンツ受信変換方法、データコンテンツ受信変換プログラム | |
US10389461B2 (en) | Method for decoding a service guide | |
US20180359518A1 (en) | Service list | |
US20090100471A1 (en) |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electronic service guide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 |
KR20080015304A (ko) |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81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