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33056B1 - 수용성 콩류 추출물 - Google Patents

수용성 콩류 추출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3056B1
KR100733056B1 KR1020027007572A KR20027007572A KR100733056B1 KR 100733056 B1 KR100733056 B1 KR 100733056B1 KR 1020027007572 A KR1020027007572 A KR 1020027007572A KR 20027007572 A KR20027007572 A KR 20027007572A KR 100733056 B1 KR100733056 B1 KR 100733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extract
soluble
legume extract
pro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7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5870A (ko
Inventor
미츠노리 오노
게이조 고야
노리아키 다츠타
나오토 야마구치
란 보 첸
Original Assignee
미츠노리 오노
게이조 고야
란 보 첸
나오토 야마구치
노리아키 다츠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노리 오노, 게이조 고야, 란 보 첸, 나오토 야마구치, 노리아키 다츠타 filed Critical 미츠노리 오노
Publication of KR20020075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5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3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3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23L11/07Soya beans, e.g. oil-extracted soya bean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20Ingredients acting on or related to the structure
    • A23V2200/218Coagula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32Citr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16Flavonoids, isoflavones
    • A23V2250/21172Soy Isoflavones, daidzein, geniste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이소플라본 글리코시드를 함유하는 수용성 콩류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용성 콩류 추출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소플라본, 수용성 콩 추출물

Description

수용성 콩류 추출물{WATER-SOLUBLE BEAN-BASED EXTRACTS}
영양소 연구에서 최근 가장 흥미를 끌고 있는 분야 중의 하나는 식물화학물질(phytochemicals)이라 불리는 식품 성분에 관한 것이다. 이소플라본류 및 그들의 유도체 등의 식물화학물질은 단지 식물에서만 발견되며, 비록 이들이 영양소로 분류되지 않지만, 인간의 건강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참고, "Phytochemicals, A new paradigm" edited by W.R. Bidlack et al., published by Technomic publishing Co., Inc, 1998).
식물화학물질의 발견은 영양소의 새로운 시대의 서막을 열었다. 대두(soybean) 등의 콩류에서 발견되는 식물화학물질이 특히 중요하다. 콩류 및 그들로 만든 제품(예, 대두 및 대두 제품)은 암 등의 많은 만성 질병의 발생율을 낮추는 뛰어난 접근법을 제공한다(참고, Journal of Agricultural Food Chemistry, 42, 1666(1994); i.d., 43, 1184(1995)). 최근, 연구에서는 하루에 대두 식품 한 접시를 소비하는 것만으로 이들 식물화학물질의 이점을 충분히 얻을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참고, "The simple soybean and your health" by M. Messina et al., published by Avery publishing Group, Garden City Park, NY, 1994).
그러나, 많은 사람들은 대두 식품의 냄새, 맛, 및 질감 때문에 그들을 먹기 싫어한다. 대두 식품에 대한 반감을 없애는 한 방법으로는 영양 보충제(dietary supplements)로서 대두의 이소플라본을 섭취하는 것이 있다. 하지만, 대두 이소플라본 및 그들의 유도체는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기 때문에 영양 보충제로서 이용되지 못하였다(참고, "Genistein" by R.Elkins, published by Woodland Publishing, Pleasant Grove, Utah 1998).
본 발명의 하나의 태양은 다음 식으로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이소플라본 유도체를 함유하는 수용성 콩류 건식 또는 습식 추출물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112002018417311-pct00001
(식 중, R1은 수소 또는 하이드록시, R2는 수소 또는 메톡시, R3은 수소 또는 CO-R4(R4는 메틸 또는 카복시메틸)이다.)
건식 형태의 상기 수용성 콩류 추출물은, 건식 형태의 상기 수용성 콩류 추출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이소플라본 유도체를 약 5∼50중량부 함유하며, 약 25℃에서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약 10mg/ml ∼ 약 1000mg/ml이다. 상기 수용성 콩류 추출물에 존재하는 이소플라본 유도체의 예로는 다이드진(daidzin), 게니스틴, 글리시틴, 6"-O-아세틸다이드진, 6"-O-아세틸게니스틴, 6"-O-아세틸글리시틴, 6"-O-말로닐다이드진, 6"-O-말로닐게니스틴, 또는 6"-O-말로닐글리시틴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용성 콩류 추출물은 콩속에 함유된 다른 성분과 착체를 이루어 물에 대한 용해도를 상당히 증가시키는 하나 이상의 이소플라본 유도체(예, 이소플라본 글리코시드)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수용성 콩류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조방법은 분쇄한 콩 조(粗)추출물(bean crude extract)을 물과 혼합하여 가열한 다음, 이 혼합물에 응고제를 첨가하여 현탁액을 형성하고, 얻어진 현탁액을 가열한 다음, 상청액을 채취하여 수용성 콩류 추출물을 얻는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수용성 콩류 추출물은 좋은 맛과 향기를 가지며, 어떠한 식품 원료로서 사용했을 때 바람직한 조성과 성과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상기 수용성 콩류 추출물은 우유, 차, 소프트 드링크, 쥬스, 커피, 조미료, 씨리얼, 물, 맥주, 쿠키, 츄잉껌, 쵸콜렛, 또는 수프 등의 식품과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로부터 명백해진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1은 실시예1에서 제조한 수용성 콩류 추출물의 주요 성분의 HPLC 챠트를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다음식으로 나타내는 이소플라본 유도체를 함유하는 수용성 콩류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2018417311-pct00002
(식 중, R1은 수소 또는 하이드록시, R2는 수소 또는 메톡시, R3은 수소 또는 CO-R4(R4는 메틸 또는 카복시메틸)임)
본 발명의 추출물에 존재하는 이소플라본 유도체의 예로는 다이드진(daidzin), 게니스틴, 글리시틴, 6"-O-아세틸다이드진, 6"-O-아세틸게니스틴, 6"-O-아세틸글리시틴, 6"-O-말로닐다이드진, 6"-O-말로닐게니스틴, 및 6"-O-말로닐글리시틴을 들 수 있다. 다이드진 및 게니스테인 등의 이소플라본 글리코시드는 위 또는 소장에서 흡수되어, 람노시다제, 엑소-베타-글루코시다제, 엔도-베타-글루코시다제 또는 베타-글루쿠로니다제를 생산하는 인간의 장내세균(intestinal microflora)에 의해 아글리콘을 거쳐서 이소플라본으로 대사된다(참고, Biol. Pharm. Bull, 21(1998); Biol. Pharm. Bull, 17, 1369(1994); 및 Arch. Pharm. Res., 21, 17(1998)).
본 발명의 수용성 콩류 추출물은 식품에 사용했을 때 이소플라본 유도체의 인체에 대한 생리적인 흡수를 개선하기 위해서 물에 대한 용해도를 증가시켰다. 예를 들면, 게니스틴은 25℃에서의 메탄올에 대한 용해도가 약 5mg/ml, 물에 대한 용해도가 1mg/ml인 반면, 이소플라본 유도체를 약 10% 함유하는 본 발명의 수용성 콩류 추출물의 용해도는 약 300mg/ml이다. 통상, 본 발명의 수용성 콩류 추출물은 이소플라본 유도체의 용해도의 30배 증가된 용해도를 제공한다. 건식 형태에서는, 건식 형태의 상기 수용성 콩류 추출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이소플라본 유도체를 약 5∼50중량부 함유하며 약 25℃에서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약 10∼1000mg/ml이고; 바람직하게는 이소플라본 유도체를 약 10∼20 중량부 함유하며 물에 대한 용해도는 30∼300mg/ml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이소플라본 유도체를 약 10∼20 중량부 함유하며 물에 대한 용해도가 50∼200mg/ml이다. 물론, 이소플라본 유도체의 중량%는 수용성 콩류 추출물 전체의 용해도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면, 이소플라본 유도체의 중량%가 높은 추출물의 전체 용해도는 이소플라본 유도체의 중량%가 더 낮은 추출물보다 낮다.
본 발명의 수용성 콩류 추출물 제조에는 여러가지 콩들을 사용할 수 있다. 수용성 콩류 추출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콩의 예로는, 제한은 없지만, 대두, 녹두(mung bean), 검정 콩, 및 강낭콩을 들 수 있으며, 대두가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수용성 콩류 추출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는 대두는 두 개의 다른 타입, 예를 들면 식품 콩류 및 오일 콩류가 있다. 오일 콩류는 식품용 콩류에 비해 단백질 함량이 더 적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통상, 오일 대두류는 먼저 대두유를 제거함으로써 "처리된(processed)" 대두를 생산한다. 대두유 제거 방법의 예는 "Soybean Chemistry, Techonology, and Utilization", by K.S. Liu, Aspen Publishers, Inc. Gaithersburg, Maryland 1999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수용성 콩류 추출물의 제조 방법은 분쇄한 콩 조추출물 약 1∼50중량부와 물(온수 또는 냉수) 100중량부를 혼합함을 포함한다. 분쇄한 콩 조추출물은 으깬 콩(crushed beans)을 약 50%∼90%의 수성 알콜, 또는 에탄올, 메탄올, 또는 아세토니트릴 등의 100% 유기 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한다. 분쇄한 콩 조추출물의 예로는 대두 배아(soy germ)가 있다. 대두 배아는 대두의 약 1중량%에 해당되며 또한 나머지 대두 부분에 비해 이소플라본 유도체를 고농도로 함유한다. 예를 들면, 대두 배아 중 이소플라본 유도체의 농도는 나머지 대두 부분보다 약 6배 더 높다(참고, "Soybean Chemistry, Technology, and Utilization", by K.S. Liu, Aspen Publishers, Inc. Gaithersburg, Maryland 1999). 대두 배아와 같이 분쇄한 콩 조추출물로는 Schouten USA, Inc.제 Soylife 150 및 SoyLife 25를 사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분쇄한 대두 조추출물로는 Archar Daniels Midland Company제 NOVASOY를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물과 분쇄한 대두 조추출물의 혼합물을 약 60∼100℃에서 약 10∼120분간 가열한 다음, 이 혼합물에 물 100중량부당 응고제 약 0.001∼3.0 중량부를 첨가하여 현탁액을 형성하고, 다시 약 30∼100℃에서 약 1∼120분간 가열하였다. 그 다음, 상청액을 여과 또는 원심분리 등으로 채취하여 용해도가 증가된 수용성 콩류 추출물을 얻는다. 부가적으로, 현탁액 또는 상청액의 pH는 산 또는 염기를 첨가하여 이소플라본 유도체가 침전되지 않도록 조정할 수 있다. 통상, pH는 약 6.0으로 조정한다.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상청액은 탈색하여 어떠한 바람직하지 않은 컬러를 제거할 수 있다. 탈색 방법으로는, 제한은 없지만, 니켈 촉매를 이용한 수소화, 및 대두유 제조에 사용되는 다른 표백 기술을 들 수 있다. 탈색 방법은 예를 들면, "Soybeans, Chemistry, Technology and Utilization" by K. Liu, published by An Aspen Publication, 1999, 및 "In Introduction to oils and fats Technology" edited by P.J. Wan, p-95, published by AOCS Press, Champaign, IL에서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청액은, 제한은 없지만, 분자 증류 또는 증발법을 포함한 종래 공지의 증류 시스템으로 농축할 수 있다. 분자 증류 시스템의 예로는 Wiped-Film Still(351 N.Dekora Woods Blvd. Saukville, WI 53080, USA에 위치한 POPE SCIENTIFIC, INC.제)이 있다. 또한, 상기 상청액은 동결건조 또는 스프레이 건조법 등의 종래 공지의 건조법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참고, 미국 특허 5,882,717호).
본 발명의 수용성 콩류 추출물은 배치법 또는 흐름법, 즉, 연속적인 추출 및 여과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흐름법은 합당한 제조 비용 유지를 돕기 위해서 사용된다.
이소플라본 글리코시드의 용해도는 물 100중량부에 CaCl2, CaSO4, MgCl2, MgSO4, 어떠한 유기 또는 무기산(예, 시트러스 즙, 푸마르산, 젖산, 말산, 타르타르산, H2SO4, H3PO4, 또는 HCl), 사카린, 글루코노-D-락톤, 및 파파인 등의 응고제 약 0.001∼3.0중량부를 첨가하여 증가시킨다. 상기 추출물을 제조할 때, 첨가한 상기 응고제는 단순한 가교 또는 변성에 의해 콩 단백질 또는 다당류의 불용성 응집물을 형성하는 경향이 있다. 응고제의 농도는 추출물 중의 단백질 또는 다당류의 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면, 다량의 응고제가 더 많은 불용성 응집물을 형성시킨다. 이러한 효과에 의해 추출물 중의 수용성 단백질 또는 다당류의 전체 양은 물론 이소플라본 유도체의 용해도를 조절할 수 있다. 첨가되는 응고제의 양은 생성되는 콩류 추출물의 지방, 단백질 및 무기염 함량을 측정함으로써 결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응고제를 충분히 첨가하면 지방 약 1%이하, 단백질 약 1%∼5%, Na 약 0.01%∼3%, Ca 약 0.01%∼3% 및 산류 약 0.01%∼3%의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콩류 추출물 중의 지방, 단백질, Na, Ca 및 산의 양은, 미국 식품 의약국(FDA)이 추천하는 분석법 등, 공지의 분석법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통상, 상기 추출물에는 시트르산을 약 0.3중량부 첨가한다. 일반적으로, 응고제를 너무 많이 첨가하면, 상기 수용성 콩 단백질, 다당류, 또는 이소플라본 유도체가 추출물로부터 함께 침전되어, 추출물내의 이소플라본 유도체의 농도 또는 이소플라본 유도체의 용해도가 감소한다. 또, 응고제를 너무 적게 첨가하면, 상기 콩류 혼합물은 수용성 콩류 추출물이 쉽게 분리되지 않는 콜로이드 형태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수용성 콩류 추출물은 건식 또는 습식 형태의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식품으로는 우유, 차, 소프트 드링크, 쥬스, 커피, 조미료, 씨리얼, 물, 맥주, 쿠키, 츄잉껌, 쵸콜렛, 또는 수프 등의 고체상, 페이스트상, 또는 액상 식품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용성 콩류 추출물은 보리, 쌀, 및 맥아 등의 다른 곡물의 공추출물(co-extract)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다른 곡물을 상술한 방법을 이용하여 콩과 함께 처리하여 본 발명의 수용성 콩류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수용성 콩류 추출물에 전해질, 향료, 방부제 및 기타 첨가제(예, 비타민 보충제 및 말토덱스트란)를 첨가할 수 있다. 방부제의 예로는, 제한은 없지만, 아스코브산 및 프로필갈레이트를 들 수 있다. 전해질의 예로는, 제한은 없지만, 황산마그네슘 및 염화칼륨을 들 수 있다.
더 이상의 설명없이, 상기 기재가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하기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단순히 예로서 설명을 위한 것이며, 기재한 것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특허를 포함한 여기서 인용하는 모든 공보는 전부 참고로 기재한 것이다.
실시예 1
약 90%의 수성 에탄올로 추출한 분쇄한 대두 조생성물(crude product)(1kg)(즉, SoyLife 150, Schouten USA, Inc.사제)을 70℃의 열수 3리터에 첨가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90℃에서 30분간 교반한 다음 50℃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50℃에서 10,000xg로 원심분리하여 잔여물과 용액으로 대략 분리하였다. 분리한 상청액에 식품 첨가물 등급의(약 0.02M) CaCl2 6g을 첨가한 다음, 30℃에서 30분간 더 교반하였다. 이 상청액을 세공크기가 1㎛인 마이크로필터로 여과하여 노란색 용액(2.5리터)을 얻었다. 여과액은 5리터 유리 플라스크로 옮긴 후, 수소 10기압하에 5시간 동안, 5% Pd/C 촉매량(약 3g) 존재하에 수소화시켰다. 얻어진 탈색된 혼합물을 마이크로필터(세공크기 0.2㎛)로 여과하여 맑은 수용성 콩류 추출액(2.3리터)을 얻었다.
얻어진 수용성 콩류 추출액을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에 의해 특징을 조사하였다. HPLC는 C18-역상 컬럼 150mm×4.6mm(Symmetry Shield RP18, Waters사제)에서, 구배 용출법(gradient elution method)을 이용하여, 15∼40%의 수성 아세토니트릴 및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으로 30℃에서 20분간 1ml/분으로 행하였다. HPLC 검출기는 254nm로 설정하였다. 도1은 실시예 1의 가용성 대두 제품의 주요 성분의 HPLC 차트를 나타낸다. HPLC 차트의 각 피크를 하기 표1에 그들의 유지 시간, 피크 영역, 및 퍼센트 영역과 함께 나타낸다. 추출물의 여러 각 성분은 공지되지 않은 성분의 유지 시간과 HPLC에 의해 분석한 공지의 이소플라본 글리코시드의 유지 시간을 동일한 실험 조건하에서 비교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성 대두류 추출액은 추출물의 구성성분들의 상대량을 측정하여 특성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시료는 미국 오레곤주 포틀랜드에 소재한 Food Products Laboratory Inc.사에 보내서 FDA 승인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추출물은 지방 0.1% 미만, 단백질 5%, 탄수화물류(다당류) 65%, 이소플라본류 20%, 미네랄 8%, 및 수분 1%를 함유하였다.
<표 1> 실시예 1의 가용성 대두제품의 HPLC 분석
Figure 112002018417311-pct00003

실시예 2
약 90%의 수성 에탄올로 추출한 분쇄한 대두 조생성물(1kg)(SoyLife 150, Schouten USA사제)을 열수 27리터에 첨가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90℃에서 15분간 교반한 다음, 이 혼합물에 시트르산(90g) 수용액을 첨가한 뒤, 90℃에서 15분간 교반하였다. 진공 하에 여과지 위에 놓은 셀라이트(Celite)를 통해 잔여물과 용액을 여과하였다. 여과액은 연한 노란색의 맑은 용액(27리터)이었다. 이 여과액에 탄산칼륨(50mg)을 첨가하여 pH를 6.0으로 조정하였다. 이 여과액을 박테리아를 제거하기 위해 진공 하에 세공 크기가 0.45μM인 필터(Millipore Corporation 제)로 더 여과하여 정제하였다. 그 다음, 정제된 여과액은 2인치 Wiped-Film Still(Pope Scientific Inc.제)를 사용하여 20mmTorr 하, 70℃에서 농축하여 밝은 노란색 수용성 대두류 추출액(18리터)을 얻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맑은 수용성 대두류 추출물(2리터)을 얻었다. 그 다음, 얻어진 추출액은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10mmTorr하, -85℃에서 2일간 동결건조하여, 연한 노란색 건조 케이크(dry cake) 350g을 얻었다. 이 케이크는 이소플라본 유도체 70g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용해도가 약 200mg/ml였다. 25℃에서 5분간 교반하면서 상기 건조추출물 1g을 순수(pure water) 1ml에 첨가하여 용해도를 측정하였다. 추출물이 완전히 용해되지 않았을 경우(육안으로 확인), 물 1ml를 더 첨가하여 얻어진 혼합물을 25℃에서 5분간 교반하였다. 다음에, 혼합물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추출물이 완전히 용해되었는지를 조사하였다. 완전히 용해되지 않았을 경우, 육안으로 관찰하여 추출물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각각 25℃의 물을 1ml씩 증액하고 5분간 교반하였다.
기타 태양
이 명세서에 개시한 모든 특징은 어떠한 조합으로 조합해도 좋다. 이 명세서에 개시한 각 특징은 동일, 동등, 또는 유사한 목적을 달성하는 대체가능한 특징 으로 대체해도 좋다. 따라서, 특별히 설명하지 않더라도, 개시한 각 특징은 동등하거나 유사한 특징들의 포괄적인 시리즈의 예에 불과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자는 본 발명의 필수적인 특징을 그 기술 범위를 벗어남없이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그들의 용도와 조건에 맞게 다양하게 변화시키고 변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다른 태양도 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Claims (61)

  1.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이소플라본 유도체를 함유하는 수용성 콩류 추출물이며,
    Figure 112007026433548-pct00004
    (식 중, R1은 수소 또는 하이드록시, R2는 수소 또는 메톡시, R3은 수소 또는 CO-R4(R4는 메틸 또는 카복시메틸))
    상기 수용성 콩류 추출물은, 건식 형태에서, 건식 형태의 상기 수용성 콩류 추출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50중량부의 이소플라본 유도체를 함유하고, 25℃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10∼1000mg/ml인 수용성 콩류 추출물.
  2. 제1항에 있어서,
    콩류 추출물이 대두, 녹두, 검정 콩, 또는 강낭콩 추출물인 수용성 콩류 추출물.
  3. 제1항에 있어서,
    콩류 추출물이 대두 추출물인 수용성 콩류 추출물.
  4. 제1항에 있어서,
    건식 형태의 수용성 콩류 추출물은, 건식 형태의 상기 수용성 콩류 추출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이소플라본 유도체를 10∼20중량부 함유하고, 25℃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30∼300mg/ml인 수용성 콩류 추출물.
  5. 제1항에 있어서,
    건식 형태의 수용성 콩류 추출물은, 건식 형태의 상기 수용성 콩류 추출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이소플라본 유도체를 10∼20중량부 함유하고, 25℃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50∼200mg/ml인 수용성 콩류 추출물.
  6. 제1항에 있어서,
    이소플라본 유도체가 다이드진, 게니스틴, 글리시틴, 6"-O-아세틸다이드진, 6"-O-아세틸게니스틴, 6"-O-아세틸글리시틴, 6"-O-말로닐다이드진, 6"-O-말로닐게니스틴, 또는 6"-O-말로닐글리시틴인 수용성 콩류 추출물.
  7. 제6항에 있어서,
    콩류 추출물이 대두 추출물인 수용성 콩류 추출물.
  8. 제6항에 있어서,
    건식 형태의 수용성 콩류 추출물은, 건식 형태의 상기 수용성 콩류 추출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이소플라본 유도체를 10∼20중량부 함유하고, 25℃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30∼300mg/ml인 수용성 콩류 추출물.
  9. 제6항에 있어서,
    건식 형태의 수용성 콩류 추출물은, 건식 형태의 상기 수용성 콩류 추출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이소플라본 유도체를 10∼20중량부 함유하고, 25℃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50∼200mg/ml인 수용성 콩류 추출물.
  10. 분쇄한 콩류 조추출물을 물과 혼합하는 공정;
    혼합물을 가열하는 공정;
    혼합물에 응고제를 첨가하여 현탁액을 형성하는 공정;
    현탁액을 가열하는 공정; 및
    상청액을 채취하여 수용성 콩류 추출물을 얻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용성 콩류 추출물의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콩류 추출물이 대두, 녹두, 검정 콩, 또는 강낭콩 추출물인, 수용성 콩류 추출물의 제조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콩류 추출물이 대두 추출물인, 수용성 콩류 추출물의 제조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100중량부의 물에 0.01∼3중량부의 응고제를 첨가하는, 수용성 콩류 추출물의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응고제가 시트르산인, 수용성 콩류 추출물의 제조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청액은 현탁액을 여과함에 의해 채취하는, 수용성 콩류 추출물의 제조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건식 수용성 콩류 추출물을 얻기 위해 상청액을 건조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수용성 콩류 추출물의 제조 방법.
  17. 분쇄한 콩류 조추출물 1∼50중량부를 물 100중량부와 혼합하는 공정;
    혼합물을 60~100℃에서 10∼120분간 가열하는 공정;
    혼합물에 응고제를 첨가하여 현탁액을 형성하는 공정;
    현탁액을 30∼100℃에서 1∼120분간 가열하는 공정; 및
    상청액을 채취하여 수용성 콩류 추출물을 얻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용성 콩류 추출물의 제조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콩류 추출물이 대두, 녹두, 검정콩, 또는 강낭콩 추출물인, 수용성 콩류 추출물의 제조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콩류 추출물이 대두 추출물인, 수용성 콩류 추출물의 제조 방법.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제17항 기재의 방법으로 제조한 수용성 콩류 추출물.
  28. 제1항 기재의 수용성 콩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29. 제28항에 있어서,
    콩류 추출물이 대두, 녹두, 검정콩, 또는 강낭콩 추출물인 식품.
  30. 제29항에 있어서,
    콩류 추출물이 대두 추출물인 식품.
  31. 제9항 기재의 수용성 콩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32. 삭제
  33. 제28항에 있어서,
    식품이 우유, 차, 소프트 드링크, 쥬스, 커피, 조미료, 씨리얼, 물, 맥주, 쿠키, 츄잉껌, 초콜렛, 또는 수프인 식품.
  34. 제29항에 있어서,
    식품이 우유, 차, 소프트 드링크, 쥬스, 커피, 조미료, 씨리얼, 물, 맥주, 쿠키, 츄잉껌, 초콜렛, 또는 수프인 식품.
  35. 제30항에 있어서,
    식품이 우유, 차, 소프트 드링크, 쥬스, 커피, 조미료, 씨리얼, 물, 맥주, 쿠키, 츄잉껌, 초콜렛, 또는 수프인 식품.
  36. 제31항에 있어서,
    식품이 우유, 차, 소프트 드링크, 쥬스, 커피, 조미료, 씨리얼, 물, 맥주, 쿠키, 츄잉껌, 초콜렛, 또는 수프인 식품.
  37. 삭제
  38. 분쇄한 대두 배아(pulverized bean germ)를 물과 혼합하는 공정;
    상기 혼합물을 가열하는 공정;
    상기 혼합물에 응고제를 첨가하여 현탁액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현탁액을 가열하는 공정; 및
    상기 현탁액의 상청액을 채취하여 수용성 콩류 추출물을 얻는 공정을
    포함하는, 대두 배아로부터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용성 콩류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콩류 추출물은 대두, 녹두, 검정 콩, 또는 강낭콩 추출물인, 수용성 콩류 추출물의 제조 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콩류 추출물은 대두 추출물인, 수용성 콩류 추출물의 제조 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응고제는 산인, 수용성 콩류 추출물의 제조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응고제는 유기산인, 수용성 콩류 추출물의 제조 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응고제는 시트르산, 푸마르산, 젖산, 말산, 또는 타르타르산인, 수용성 콩류 추출물의 제조 방법.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응고제는 시트르산인, 수용성 콩류 추출물의 제조 방법.
  45.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응고제는 무기산인, 수용성 콩류 추출물의 제조 방법.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응고제는 HCl, H2SO4, 또는 H3PO4인, 수용성 콩류 추출물의 제조 방법.
  47.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응고제는 산인, 수용성 콩류 추출물의 제조 방법.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응고제는 유기산인, 수용성 콩류 추출물의 제조 방법.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응고제는 시트르산인, 수용성 콩류 추출물의 제조 방법.
  50. 분쇄한 대두 배아와 응고제를 가열수에서 교반해서 현탁액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현탁액의 상청액을 채취해서 수용성 콩류 추출물을 얻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가열수의 온도는 30~100℃인, 대두 배아로부터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용성 콩류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콩류 추출물은 대두, 녹두, 검정 콩, 또는 강낭콩 추출물인, 수용성 콩류 추출물의 제조 방법.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콩류 추출물은 대두콩 추출물인, 수용성 콩류 추출물의 제조 방법.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응고제는 산인, 수용성 콩류 추출물의 제조 방법.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응고제는 유기산인, 수용성 콩류 추출물의 제조 방법.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응고제는 시트르산, 푸마르산, 젖산, 말산, 또는 타르타르산인, 수용성 콩류 추출물의 제조 방법.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응고제는 시트르산인, 수용성 콩류 추출물의 제조 방법.
  57.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응고제는 무기산인, 수용성 콩류 추출물의 제조 방법.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응고제는 HCl, H2SO4, 또는 H3PO4인, 수용성 콩류 추출물의 제조 방법.
  59.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응고제는 산인, 수용성 콩류 추출물의 제조 방법.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응고제는 유기산인, 수용성 콩류 추출물의 제조 방법.
  61.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응고제는 시트르산인, 수용성 콩류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20027007572A 1999-12-17 2000-01-21 수용성 콩류 추출물 KR1007330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6426099A 1999-12-17 1999-12-17
US09/464,260 1999-1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5870A KR20020075870A (ko) 2002-10-07
KR100733056B1 true KR100733056B1 (ko) 2007-06-27

Family

ID=23843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7572A KR100733056B1 (ko) 1999-12-17 2000-01-21 수용성 콩류 추출물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2) US6458406B1 (ko)
EP (1) EP1239743B1 (ko)
JP (2) JP4413464B2 (ko)
KR (1) KR100733056B1 (ko)
CN (1) CN100366184C (ko)
AT (1) ATE442784T1 (ko)
AU (1) AU783822B2 (ko)
CA (1) CA2391247C (ko)
DE (1) DE60042980D1 (ko)
HK (1) HK1051951A1 (ko)
NZ (1) NZ520237A (ko)
TW (2) TWI227661B (ko)
WO (1) WO2001043566A1 (ko)
ZA (1) ZA20020565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82972B2 (en) * 1999-12-17 2007-02-27 Quercegen Pharma, Llc Water-soluble bean-based extracts
ATE442784T1 (de) * 1999-12-17 2009-10-15 Mitsunori Ono Wasserlösliche extrakte auf bohnenbasis
JP4475947B2 (ja) * 2001-07-24 2010-06-09 カーギ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フェノール化合物の単離方法
US20030099752A1 (en) 2001-10-19 2003-05-29 The Procter & Gamble Co. Liquid coffee concentrates
US20040121059A1 (en) * 2002-10-24 2004-06-24 Navpreet Singh Soy isoflavone concentrate process and product
US7122216B2 (en) * 2003-06-16 2006-10-17 I.P. Holdings, L.L.C. Vegetable oil extraction methods
CN1901814A (zh) * 2003-12-12 2007-01-24 天然香料公司 豆子胚芽提取物
KR100903909B1 (ko) * 2008-10-07 2009-06-19 유홍재 대두를 이용한 커피맛음료의 제조방법
US9173429B2 (en) 2009-02-13 2015-11-03 Harboes Bryggeri A/S Method for producing clear and soluble cereal-based extract
CN101962606B (zh) * 2010-09-28 2013-05-29 陕西天宝大豆食品技术研究所 五豆五行全营养酒及其制备方法
CN102697061A (zh) * 2012-06-04 2012-10-03 江苏南方食品科技有限公司 微波改性制备豆渣水溶性膳食纤维的方法
KR101539631B1 (ko) * 2012-11-28 2015-07-27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콩과작물 내의 이소플라본 함량 예측 모델을 이용한 콩과작물 내의 이소플라본 함량을 예측하는 방법
US20160235085A1 (en) * 2013-10-06 2016-08-18 Fuji Oil Holdings Inc. Oil and fat composition for non-tempering-type chocolate and oil and fat composition for tempering-type chocolate
BR112021010500A2 (pt) 2018-11-30 2021-08-24 Beth Israel Deaconess Medical Center, Inc. Método para reduzir a p-selectina solúvel em um paciente com câncer, método para reduzir ou prevenir a formação de um trombo em um paciente com câncer, método para promover a regressão tumoral em um paciente com câncer, método para estabilizar ou reduzir o câncer metastático em um paciente com câncer, composição farmacêutica para reduzir a p-selectina solúvel em um paciente com câncer, composição farmacêutica para reduzir ou prevenir a formação de um trombo em um paciente com câncer, composição farmacêutica para promover a regressão tumoral em um paciente com câncer e composição farmacêutica para estabilizar ou reduzir câncer metastático em um paciente com câncer
CN110692654A (zh) * 2019-10-23 2020-01-17 张拓 一种农作物光合增产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70495A (ja) * 1989-11-10 1991-07-24 Soc Prod Nestle Sa イソフラボンの製造方法
US5206050A (en) * 1991-02-01 1993-04-27 Rudolph Holscher Food analog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JPH09309902A (ja) * 1996-03-21 1997-12-02 Fujitsuko Kk イソフラボン誘導体の包接物及び該包接物を含む可食性組成物
KR19990032601A (ko) * 1997-10-20 1999-05-15 캐더린 엘. 해리스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이 풍부한 식물성 단백질 유장, 유장 단백질 재료,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재료, 제니스테인 함량이 높은재료 및 다이드제인 함량이 높은 재료 및 식물성 단백질 유장으로부터 이들을 제조하는 방법
KR100303909B1 (ko) * 1993-10-12 2001-11-30 캐더린 엘. 해리스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이 농후한 식물성 단백질 훼이,훼이단백질및이의생산방법
KR100323282B1 (ko) 1993-10-12 2002-05-13 캐더린 엘. 해리스 이소플라본화합물함량이높은단백질분리물및이것의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8929B2 (ko) * 1973-02-10 1978-08-17
US4119733A (en) 1977-05-13 1978-10-10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ethod of making soybean beverages
GB2095259B (en) * 1981-03-24 1984-08-30 Chi Ping Hwa Stephen Protein curd product and process of preparation
HU199444B (en) 1985-09-10 1990-02-28 Chinoin Gyogyszer Es Vegyeszet Process for producing 7-isopropoxy-isoflavone-cyclodextrene inclusion complex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herefrom
US4892746A (en) 1987-01-07 1990-01-09 Donida Carlos O Powdered soybeam extract
US4776104A (en) 1987-04-27 1988-10-11 Kuboyama Nobuyoshi Balanced extraction system
US5170697A (en) 1991-11-12 1992-12-15 Nobuyoshi Kuboyama Extraction apparatus, process and product produced thereby
JP2882171B2 (ja) 1992-03-23 1999-04-12 不二製油株式会社 水溶性多糖類及びその製造方法
US5558006A (en) 1994-08-04 1996-09-24 Kuboyama; Nobuyoshi Health beverage plant extraction apparatus
US5572923A (en) 1995-06-26 1996-11-12 Kuboyama; Nobuyoshi Health beverage that an extracted ingredient from plant, animal or mineral is major ingredient,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JP3009599B2 (ja) * 1995-02-24 2000-02-14 フジッコ株式会社 フラボノイド配糖体を含む骨粗鬆症治療剤および骨粗鬆症治療用の可食性組成物
JPH08283283A (ja) * 1995-04-14 1996-10-29 Kikkoman Corp マロニルイソフラボン配糖体及び該物質からイソフラボン配糖体又はイソフラボンアグリコンを取得する方法
JPH09157156A (ja) * 1995-12-01 1997-06-17 Kikkoman Corp 入浴剤
US5670632A (en) * 1996-01-18 1997-09-23 Acds Technologies, Ltd. Process for obtaining an isoflavone concentrate from a soybean extract
US6033714A (en) 1996-03-13 2000-03-07 Archer Daniels Midland Company Process for production of isoflavone fractions from soy
US5702752A (en) * 1996-03-13 1997-12-30 Archer Daniels Midland Company Production of isoflavone enriched fractions from soy protein extracts
US6261565B1 (en) * 1996-03-13 2001-07-17 Archer Daniels Midland Company Method of preparing and using isoflavones
US5847108A (en) * 1996-03-21 1998-12-08 Fujicco Co., Ltd. Clathrate of isoflavone derivatives and edibl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US6015785A (en) 1996-04-12 2000-01-18 Protein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Aglucone isofavone enriched vegetable protein extract and isolate and process for producing
US5821361A (en) * 1996-06-11 1998-10-13 Protein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Recovery of isoflavones from soy molasses
US5726034A (en) * 1996-09-06 1998-03-10 Protein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Aglucone isoflavone enriched vegetable protein extract and protein material, and high genistein and daidzein content material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6020471A (en) 1996-09-13 2000-02-01 Abbott Laboratories Process for isolating phytoestrogens from plant protein
JP2829388B2 (ja) * 1996-09-27 1998-11-25 農林水産省四国農業試験場長 脂肪細胞への細胞分化促進用組成物
US5882717A (en) 1996-10-30 1999-03-16 Kraft Foods, Inc. Soluble espresso coffee
JP3998293B2 (ja) * 1997-06-18 2007-10-24 株式会社ヤクルト本社 ヘリコバクター・ピロリ菌抑制剤
EP1001797B9 (en) * 1997-07-30 2005-11-23 INDENA S.p.A. Soya extract, process for its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AU2564399A (en) * 1998-01-28 1999-08-16 Dusan Miljkovic Isoflavanoid formul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US6004558A (en) * 1998-02-25 1999-12-21 Novogen, Inc. Methods for treating cancer with legume plant extracts
US6132795A (en) * 1998-03-15 2000-10-17 Protein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Vegetable protein composition containing an isoflavone depleted vegetable protein material with an isoflavone containing material
US5994508A (en) 1998-04-13 1999-11-30 Protein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Isoflavone rich protein isolate and process for producing
US6083553A (en) 1998-06-05 2000-07-04 Protein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Recovery of isoflavones from soy molasses
JP2000262244A (ja) * 1999-03-18 2000-09-26 Ajinomoto Co Inc 大豆イソフラボン含有組成物とその製造方法
ATE442784T1 (de) * 1999-12-17 2009-10-15 Mitsunori Ono Wasserlösliche extrakte auf bohnenbasi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70495A (ja) * 1989-11-10 1991-07-24 Soc Prod Nestle Sa イソフラボンの製造方法
US5206050A (en) * 1991-02-01 1993-04-27 Rudolph Holscher Food analog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KR100303909B1 (ko) * 1993-10-12 2001-11-30 캐더린 엘. 해리스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이 농후한 식물성 단백질 훼이,훼이단백질및이의생산방법
KR100323282B1 (ko) 1993-10-12 2002-05-13 캐더린 엘. 해리스 이소플라본화합물함량이높은단백질분리물및이것의제조방법
JPH09309902A (ja) * 1996-03-21 1997-12-02 Fujitsuko Kk イソフラボン誘導体の包接物及び該包接物を含む可食性組成物
KR19990032601A (ko) * 1997-10-20 1999-05-15 캐더린 엘. 해리스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이 풍부한 식물성 단백질 유장, 유장 단백질 재료,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재료, 제니스테인 함량이 높은재료 및 다이드제인 함량이 높은 재료 및 식물성 단백질 유장으로부터 이들을 제조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39743A1 (en) 2002-09-18
CN1411345A (zh) 2003-04-16
TW200305373A (en) 2003-11-01
EP1239743A4 (en) 2004-11-10
JP4413464B2 (ja) 2010-02-10
JP2009278986A (ja) 2009-12-03
HK1051951A1 (en) 2003-08-29
TWI278285B (en) 2007-04-11
DE60042980D1 (ko) 2009-10-29
US20020048627A1 (en) 2002-04-25
CN100366184C (zh) 2008-02-06
AU2970500A (en) 2001-06-25
CA2391247A1 (en) 2001-06-21
AU783822B2 (en) 2005-12-08
NZ520237A (en) 2004-05-28
ZA200205656B (en) 2004-05-18
JP2003516739A (ja) 2003-05-20
EP1239743B1 (en) 2009-09-16
WO2001043566A1 (en) 2001-06-21
US6616959B2 (en) 2003-09-09
CA2391247C (en) 2010-07-20
US6458406B1 (en) 2002-10-01
ATE442784T1 (de) 2009-10-15
KR20020075870A (ko) 2002-10-07
TWI227661B (en) 2005-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278986A (ja) 水溶性の豆ベース抽出物
US7595080B2 (en) Method for preparing an extract of fruit of Sophora japonica containing isoflavone
KR101451298B1 (ko)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및 그 제조방법
US7560131B2 (en) High solubility composition with high isoflavone concentration and process of producing same
US6541062B2 (en) Water-soluble soybean extracts
JP2014065683A (ja) 抗糖化用組成物
KR101376229B1 (ko) 콩 종실에서 분리한 배아의 영양학적 기능개선 및 생리활성물질이 증가한 발아배아의 제조방법
KR20010034952A (ko) 홍화씨로부터 뼈 형성을 촉진하는 세로토닌, 리그난 및플라보노이드 성분의 추출방법
US7182972B2 (en) Water-soluble bean-based extracts
JP2815136B2 (ja) リグナン配糖体を含有してなる飲食物
AU2005220186B2 (en) Water soluble bean-based extracts
KR100518360B1 (ko) 토대황에서 분리한 퀘르세틴-3-오-베타-디-글루쿠로니드를 분리하는 방법 및 이 화합물을 함유하는 위염 및 역류성 식도염 질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0523463B1 (ko) 노루오줌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아스틸빅산 및펠토보이키놀릭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항염증 또는항알러지 조성물
JP6364085B2 (ja) イソフラボン誘導体含量の高い豆葉部又は豆茎部及びそれを作製する方法
KR100489520B1 (ko) 누리장나무 잎 추출물로부터아피게닌-7-오-베타-디-글루쿠로니드를 분리하는 방법 및이 화합물을 함유하는 위염 및 역류성 식도염 질환 예방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CA2548906A1 (en) Bean germ extracts
KR20050023037A (ko) 탈지 홍화씨박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건강음료의제조방법 및 그 음료
KR20040111246A (ko) 토대황에서 분리한 퀘르세틴-3-오-베타-디-글루쿠로니드를분리하는 방법 및 이 화합물을 함유하는 위염 및 역류성식도염 질환 예방을 위한 건강보조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61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12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8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2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6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6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