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04269B1 -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 이를 이용한일렉트로루미네슨스 발광 소자, 일렉트로루미네슨스 표시장치 및 전기 영동식 표시 패널 - Google Patents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 이를 이용한일렉트로루미네슨스 발광 소자, 일렉트로루미네슨스 표시장치 및 전기 영동식 표시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4269B1
KR100704269B1 KR1020057021100A KR20057021100A KR100704269B1 KR 100704269 B1 KR100704269 B1 KR 100704269B1 KR 1020057021100 A KR1020057021100 A KR 1020057021100A KR 20057021100 A KR20057021100 A KR 20057021100A KR 100704269 B1 KR100704269 B1 KR 100704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barrier
film
layer
transparent gas
transpar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1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8999A (ko
Inventor
와타루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08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8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4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426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45Insulating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 G02F1/16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by electrophoresi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75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32B2255/205Metall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8Multiple coating on on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32B2307/7244Oxygen b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32B2307/7246Water vapor b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40Close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70Food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80Medical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3/00Packaging equipment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38Polymer of monoethylenically unsaturated hydrocarb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적어도 2개의 투명 가스 배리어 필름과 투명 가스 배리어 필름 사이에 설치된 두께 1∼3Oμm의 점착층을 구비하는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
Figure 112005063863432-pct00001
캡슐, 점착층, 투명 가스 배리어 필름, 적층

Description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 이를 이용한 일렉트로루미네슨스 발광 소자, 일렉트로루미네슨스 표시 장치 및 전기 영동식 표시 패널{TRANSPARENT GAS BARRIER MULTILAYER FILM, ELECTROLUMINESCENT LIGHT-EMITTING DEVICE USING SAME, ELECTROLUMINESCENT DISPLAY, AND 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본 발명은 산소, 수증기 등의 높은 가스 배리어성을 가지며, 또한 높은 투명성이 요구되는 식품, 의약품, 전자 부재, 광학 부재 등에 포장 재료로서 사용 가능한 투명 적층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일렉트로루미네슨스 발광 소자, 일렉트로루미네슨스 표시 장치 및 전기 영동식 표시 패널에 관한 것이다.
식품 분야나 의약품, 전자 부재, 광학 부재 등의 비 식품 분야의 포장에 이용되는 포장 재료는, 내용물의 변질을 억제하고 이들의 기능이나 성질을 유지하기 위하여 포장 재료를 투과하는 산소, 수증기, 기타 내용물을 변질시키는 기체에 의한 영향을 방지할 필요가 있으며, 이들을 차단하는 가스 배리어성 등을 구비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 가스 배리어성 필름으로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금속 호일, 금속 증착 필름, 비교적 가스 배리어성이 뛰어난 가스 배리어성 수지 필름, 예컨대 염화 비닐리덴 수지 필름, 폴리비닐알코올과 에틸렌 비닐 공중 합체 필름,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등의 수지 필름 또는 이들 수지와의 적층 필름 등이 주로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금속 호일이나 금속 증착 필름은 가스 배리어성이 뛰어나지만, 투명성이 손상되기 때문에 내용물을 식별할 수가 없어 금속 탐지기에 의한 내용물 검사가 불가능하고, 나아가 사용 후 폐기시에는 불연물로서 처리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가스 배리어성 수지 필름이나 이들 적층 필름은 온도, 습도 의존성이 커서 고도의 가스 배리어성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나, 아울러 염화 비닐리덴이나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등은 폐기 및 소각시에 유해 물질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들 결점을 극복한 포장 재료로서, 예컨대 일본 특허 공고 소 63-28017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산화 규소, 산화 알루미늄, 산화 마그네슘 등의 무기 산화물을 플라스틱 필름 상에 진공 증착법이나 스퍼터링법 등의 형성 수단에 의해 증착한 증착막을 갖는 가스 배리어성 적층 필름이 출시되고 있다. 이들 증착 필름은 투명성 및 산소, 수증기 등의 가스 차단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들 금속 증착 필름이나 가스 배리어성 적층 필름은 일반적으로 이들의 특성을 향상시키거나 다른 기재의 특성을 발휘시키기 위하여, 동종의 필름 또는 이종의 필름을 더 적층하여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
예컨대, 일본 특허 공고 소58-42027호 공보에는 금속 또는 금속 화합물의 증착을 실시한 동종 또는 이종의 필름을 두께 1.5 내지 35μm의 접착층의 양면에 금 속 증착면을 안쪽으로 하여 라미네이트한 금속 증착 필름 복합체로 이루어지는 포장 재료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접착층으로서 각종 고분자 접착제 및 드라이 라미네이션 접착제가 이용되고 있다.
포장 재료 분야에서는, 일반적으로 주재료와 경화제로 이루어지는 2액 반응형 접착제를 이용하는 드라이 라미네이션법이 많이 채용되고 있다.
이 방법에서는, 예컨대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이용하고, 필요에 따라 촉매를 적용하여 반응시켜 사용 용도에 적합한 중합도를 갖도록 마감된다. 폴리올로는 2관능의 폴리에테르 또는 폴리에스테르가 이용되고 있으며, 또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TDI),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MDI),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XDI), 이소포린디이소시아네이트(IPDI) 등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2액 반응형 접착제를 사용한 드라이 라미네이션법에서는 서로 접착한 후 에이징이라는 숙성 기간을 두면 경화 도포막에 성장하는 가교 및 경화 반응 과정에서 이산화탄소(CO2) 가스가 발생한다. 가스 배리어성 필름끼리를 적층하는 경우, 예컨대 증착층 면을 안쪽으로 하여 적층하는 경우에는 이 이산화탄소 가스가 잘 증산되지 않고, 이 이산화탄소(CO2) 가스에 기인하는 직경 100μm 이하의 미세한 기포가 접착층에 생성되어 접착층이 불투명해지는 문제가 있어, 높은 투명성이 요구되는 식품, 의약품, 전자 부재, 광학 부재 등의 포장 분야, 특히 높은 투명성이 요구되는 광학 분야에서의 포장 재료로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산소, 수증기 등의 가스에 대하여 높은 가스 배리어성을 가지며, 또한 높은 투명성을 갖는 가스 배리어성 적층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산소, 수증기 등의 가스에 대하여 높은 가스 배리어성을 가지며, 또한 높은 투명성을 갖는 가스 배리어성 적층 필름을 사용하여 밀봉된 일렉트로루미네슨스 발광 소자, 일렉트로루미네슨스 표시 장치 및 전기 영동식 표시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첫째, 제1 투명 가스 배리어 필름과, 이 제1 투명 가스 배리어 필름 상에 설치된 두께 1∼30μm의 점착층 및 이 점착층 상에 설치된 제2 투명 가스 배리어 필름을 구비하는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둘째, 투명 전극층, 이 투명 전극층 상에 설치된 일렉트로루미네슨스 발광층, 이 일렉트로루미네슨스 발광층 상에 설치된 유전체층 및 절연층 중 하나, 및 그 위에 설치된 후면 전극층을 포함하는 적층체; 및 이 적층체를 덮어서 밀봉된, 제1 투명 가스 배리어 필름, 이 제1 투명 가스 배리어 필름 상에 설치된 두께 1∼30μm의 점착층 및 이 점착층 상에 설치된 제2 투명 가스 배리어 필름;을 구비하는 일렉트로루미네슨스 발광 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셋째, 컬러 필터층, 이 컬러 필터층 상에 설치된 투명 전극층, 이 투명 전극 상에 설치된 일렉트로루미네슨스 발광층, 이 일렉트로루미네슨스 발광층 상에 설치된 유전체층 및 절연층 중 하나, 및 그 위에 설치된 후면 전극층을 포함하는 적층체; 및 이 적층체를 덮어서 밀봉된, 제1 투명 가스 배리어 필름, 이 제1 투명 가스 배리어 필름 상에 설치된 두께 1∼30μm의 점착층 및 이 점착층 상에 설치된 제2 투명 가스 배리어 필름을 포함하는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을 구비하는 일렉트로루미네슨스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넷째, 투명 전극층, 이 투명 전극층 상에 설치되어 전기 영동 입자 및 전기 영동 입자를 분산시키는 절연성 유동체가 포함되는 표시 영역 및 이 표시 영역 상에 설치된 후면 전극을 갖는 표시부; 및 이 표시부를 덮어서 밀봉된, 제1 투명 가스 배리어 필름, 이 제1 투명 가스 배리어 필름 상에 설치된 두께 1∼30μm의 점착층 및 이 점착층 상에 설치된 제2 투명 가스 배리어 필름을 포함하는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을 구비하는 전기 영동식 표시 패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의 제1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의 제2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의 제3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의 제4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의 제5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의 제6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의 제7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의 제8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렉트로루미네슨스 발광 소자의 일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O은 본 발명의 일렉트로루미네슨스 표시 장치의 일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전기 영동식 표시 패널의 일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의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은 적어도 2개의 투명 가스 배리어 필름과 이들 투명 가스 배리어 필름의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 두께 1∼30μm의 점착층을 포함한다.
상기 점착층은 점착제(self-adhesive)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이 점착제는 감압 접착제라고도 불리우며, 응집력과 탄성을 가지고, 또한 상온에서 장시간 점착성을 가지며, 특히 열이나 용제 등의 힘을 필요로 하지 않아 작은 압력만으로 대상물에 접착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응집력은 접착제가 내부 파괴에 견디는 힘에 해당하며, 탄성은 외부로부터 힘을 인가받아 형태나 부피에 변화를 일으킨 물체가 힘을 제거하면 다시 원래의 상태로 회복되는 성질에 해당한다.
도 1에 본 발명의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의 대표적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10)은 2개의 투명 가스 배리어 필름(1)이 점착층(2)을 통하여 적층된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2개의 투명 가스 배리어 필름을 이 점착층을 이용하여 접착함으로써 종래의 드라이 라미네이션에서 문제가 되었던 기포의 발생도 없고, 투명한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이 용이하게 얻어진다. 또한, 점착층은 탄성을 가지므로, 얻어진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은 드라이 라미네이션으로 형성된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보다 훨씬 질겨 외부 응력에 따른 균열이 잘 발생하지 않으므로, 취급이 용이해진다.
또한, 이와 같이 투명성이 양호하면서 질긴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은 식품, 의약품 및 전자 부품 등의 포장 재료로서, 또는 광학 부품의 광학 부재로서 바람직하게 이용되며, 외부로부터 수분 또는 산소의 침입을 방해하여 내부에서의 산소 또는 습기에 의한 변질, 결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점착층으로는 투명성이 뛰어난 것이 사용된다. 점착층 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구성 성분으로는, 예컨대 아크릴 계열, 고무 계열, 우레탄 계열, 비닐에테르 계열, 실리콘 계열 등이 있고, 형태로는 용제형, 에멀전형, 핫멜트형 또는 자외선 경화형 등이 있다. 특히 아크릴 계열 프리모노머 또는 아크릴 계열 모노머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아크릴 계열 수지가 투명성, 내후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아크릴 계열 수지로는 아크릴기를 함유하는 비닐 모노머, 에폭시기를 갖는 비닐 모노머, 알콕실기를 갖는 비닐 모노머, 에틸렌옥사이드기를 갖는 비닐 모노머, 아미노기를 갖는 비닐 모노머, 아미드기를 갖는 비닐 모노머, 할로겐 원자를 갖는 비닐 모노머, 인산기를 갖는 비닐 모노머, 술폰산기를 갖는 비닐 모노머, 실란기를 갖는 비닐 모노머, 페닐기를 갖는 비닐 모노머, 벤질기를 갖는 비닐 모노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기를 갖는 비닐 모노머, 기타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를 함유하는 것을 임의의 방법으로 중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계열 수지의 점착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각종 첨가제, 예컨대 로진 등의 천연 수지, 변성 로진, 로진 및 변성 로진의 유도체, 폴리테르펜 계열 수지, 테르펜 변성체, 지방족 계열 탄화수소 수지, 시클로헥사논 계열 수지, 방향족 계열 석유 수지, 페놀 계열 수지, 알킬-페놀-아세틸렌 계열 수지, 크마론-인덴 수지, 비닐톨루엔-α-메틸스티렌 공중합체를 비롯한 점착 부여제, 노화 방지제, 안정제 및 연화제 등을 필요에 따라 첨가할 수 있다. 이들은 필요에 따라 2종 이상 병용할 수도 있다. 또한, 내광성을 높이기 위하여 점착제에 벤조페논 계열 또는 벤조트리아졸 계열 등의 유기 계열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할 수 있다.
점착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적층할 어느 하나의 기재의 적층면에 점착제를 도포하고, 필요에 따라 건조하여 점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 점착제의 도포 장치로는 리버스 롤 코터, 나이프 코터, 바 코터, 슬롯 다이 코터, 에어 나이프 코터, 리버스 그라비아 코터, 바리오 그라비아 코터 등이 사용된다. 점착제의 도포량은 두께로 1∼30μm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어느 하나의 투명 가스 배리어 필름에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점착층을 형성한 후, 다른 하나의 투명 가스 배리어 필름을 배치하고, 임의로 압력을 인가함으로써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투명 가스 배리어 필름은 그 수증기 투과도가 0 내지 50g/m2·day이거나, 또는 그 산소 투과도가 0 내지 50cc/m2·day·atm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이용되는 수증기 투과도는 JIS K7129B법에 준하여 수증기 투과율 측정 장치(모던 컨트롤사 제품 PERMATRAN 3/31)를 사용하여 온도 40℃, 습도 90% RH의 조건에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이용되는 산소 투과도는 JIS K7126B법에 준하여 산소 투과율 측정 장치(모던 컨트롤사 제품 OXTRAN 2/20)를 사용하여 온도 30℃, 습도 70% RH의 조건에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투명 가스 배리어 필름은 그 두께가 9μm 내지 50μm인 것이 바람직하다. 9μm 미만이면 필름 형성이 곤란해져 막 불량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고, 50μm를 초과하면 증착 가공 또는 적층 가공 등의 가공 효율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2개의 투명 가스 배리어 필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서, 기재와 기재 상에 증착된 무기 산화물 증착층을 포함하는 무기 산화물 증착 필름을 적용할 수 있다.
도 2에 도 1의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20)은 2개의 투명 가스 배리어 필름이 각각 기재(3)와 기재(3) 상에 증착된 무기 산화물 증착층(4)을 포함하는 무기 산화물 증착 필름(7)으로 이루어지고, 그 무기 산화물 증착층(4)이 점착층(2)을 통하여 적층된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무기 산화물 증착 필름의 기재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필름,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필름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특히, 내열성 등의 관점에서 2축 방향으로 임의로 연신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또한, 이 기재에 주지의 다양한 첨가제나 안정제 등을 첨가할 수도 있다. 첨가제 및 안정제로서, 예컨대 대전 방지제, 가소제, 윤활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 기재에 다른 각 층을 적층하는 경우에 밀착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기재의 적층면 측에 전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전처리로서 코로나 처리, 저온 플라즈마 처리, 이온 주입 처리, 약품 처리, 용제 처리 등의 어느 하나의 처리를 실시하여도 좋다.
기재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9 내지 50μm이다.
무기 산화물로서, 무기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증착층의 예로는 산화 알루미 늄, 산화 규소, 산화 주석, 산화 마그네슘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무기 산화물 증착층은 투명성을 가지며, 또한 산소 또는 수증기에 대하여 가스 배리어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산화 알루미늄, 산화 규소 및 산화 마그네슘을 1종 또는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무기 산화물 증착층의 두께는, 사용되는 무기 화합물의 종류 및 그 증착층의 구성에 따라 최적의 조건이 달라지는데, 5 내지 300nm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다. 이 두께가 5nm 미만이면 균일한 막이 얻어지지 않아 가스 배리어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고, 두께가 300nm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무기 산화물 증착 필름의 가요성이 저하되어 막 형성 후 휨, 인장 등의 외적 요인으로 인해 필름에 균열을 발생시키는 경향이 있다. 무기 산화물 증착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0nm의 범위 내이다.
무기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증착층을 폴리에스테르 필름 기재 상에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통상적인 진공 증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그 밖의 박막 형성 방법인 스퍼터링법이나 이온 도금법, 플라즈마 기상 성장법(CVD) 등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생산성을 고려하면, 바람직하게는 진공 증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진공 증착법의 가열 수단으로는 전자선 가열 방식, 저항 가열 방식 및 유도 가열 방식 중 어느 하나가 바람직하다. 또한, 증착층과 기재의 밀착성 및 증착층의 치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플라즈마 어시스트법, 또는 이온 빔 어시스트법을 이용하여 증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증착막의 투명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증착시 산소 가스 등을 불어 넣는 반응 증착을 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무기 산화물 증착 필름을 이용하면, 양호한 가스 배리어성과 뛰어난 투명성을 갖는 가스 배리어성 적층 필름이 얻어진다.
투명 가스 배리어 필름 중 어느 하나가 무기 산화물 증착 필름인 경우, 다른 하나에는 다른 가스 배리어 필름, 예컨대 투명 가스 배리어성 수지층을 적층할 수 있다.
도 3에 도 1의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30)은 어느 하나의 투명 가스 배리어 필름이 기재(3)와 기재(3) 상에 증착된 무기 산화물 증착층(4)을 포함하는 무기 산화물 증착 필름(7)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의 투명 가스 배리어 필름이 투명 가스 배리어성 수지층(5)으로 이루어지고, 투명 가스 배리어성 수지층(5)과 무기 산화물 증착 필름의 무기 산화물 증착층(4)이 점착층(2)을 통하여 적층된 구성을 갖는다.
투명 가스 배리어 필름에 적용되는 가스 배리어성 수지로서, 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 공중합체(PV0H),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EVOH) 및 염화 비닐리덴 필름(PVDC)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투명 가스 배리어 필름은 각각 9 내지 5Oμm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9μm 미만이면 필름 형성이 곤란해져 막 불량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고, 50μm를 초과하면 적층 가공 등의 가공 효율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으로서, 상기 투명 가스 배리어성 수지층, 무기 산화물 증착 필름 등을 단독으로 또는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적층의 예로서, 복수의 투명 가스 배리어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다층체, 복수의 무기 산화물 증착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다층체, 또는 투명 가스 배리어성 수지층과 무기 산화물 증착 필름의 적층체 및 투명 가스 배리어성 수지층 또는 무기 산화물 증착 필름과 다른 수지층의 적층체 및 그 다층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투명 가스 배리어 필름 내에 사용되는 다른 수지층으로서, 바람직하게는 가스 배리어성 피막층을 사용할 수 있다.
도 4에 도 1의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40)은 2개의 투명 가스 배리어 필름이 각각 기재(3), 기재(3) 상에 증착된 무기 산화물 증착층(4), 무기 산화물 증착층(4) 상에 형성된 제1 가스 배리어성 피막층(6)을 포함하는 복합 필름(8)으로 이루어지고, 그 2개의 복합 필름(8)이 점착층(2)을 통하여 적층된 구성을 갖는다.
가스 배리어성 피막층으로는, 예컨대 수용성 고분자와 (a) 1종 이상의 금속 알콕시드 또는/및 그 가수 분해물 및 (b) 염화 주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수용액 또는 물/알콜 혼합 용액을 주재료로 하는 코팅제를 도포하고 가열 건조하여 이루어지는 층을 들 수 있다.
예컨대, 수용성 고분자와 염화 주석을 물 계열(물 또는 물/알콜 혼합) 용매에서 용해시킨 용액, 또는 여기에 금속 알콕시드를 직접 또는 미리 가수분해시키는 등 처리를 행한 것을 혼합한 용액을 조제하여 코팅제로 한다. 이 코팅제를 무기 산화물 증착층(4) 상에 코팅한 후 가열 건조하여 형성된다. 이 코팅제에 포함되는 각 성분에 대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코팅제에 이용되는 수용성 고분자는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전분, 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알긴산 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알코올(이하, PVA라 함)을 사용할 수 있다. PVA를 이용한 경우 가스 배리어성이 특히 뛰어나다. 여기서 말하는 PVA는 일반적으로 폴리 아세트산 비닐을 비누화하여 얻어지는 것으로서, 예컨대 아세트산기가 수십 % 잔존해 있는 소위 부분 비누화 PVA 및 아세트산기가 수 %밖에 잔존해 있지 않는 완전 PVA 등을 포함한다.
또한, 코팅제에 사용되는 염화 주석은 염화 제1 주석(SnCl2), 염화 제2 주석(SnCl4)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어도 좋다. 또, 이들 염화 주석은 무수물이어도 좋고 수화물이어도 좋다.
또한, 금속 알콕시드는 일반식 M(OR)n(M:Si, Ti, Al, Zr 등의 금속, R:CH3, C2H5 등의 알킬기)로 나타낼 수 있는 화합물이다. 구체적으로는, (테트라에톡시실란(Si(OC2H5)4), 트리이소프로폭시알루미늄(Al(0-2'-C3H7)3)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가수 분해 후 물 계열의 용매 내에서 비교적 안정적이다.
코팅제의 가스 배리어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실란 커플링제 또는 분산제, 안정화제, 점도 조정제, 착색제 등의 공지의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 부가할 수 있다.
예컨대, 코팅제에 부가되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는 그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모노머류와 이들의 중합체, 유도체를 들 수 있다.
코팅제의 도포 방법에는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디핑법, 롤 코팅법, 스크린 인쇄법, 스프레이법, 그라비아 인쇄법 등의 종래 공지의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가스 배리어성 피막층의 두께는 코팅제의 종류나 가공기나 가공 조건에 따라 달라지는데, 0.01∼50μm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15μm의 범위에 있다.
가스 배리어성 피막층의 건조 후의 두께가 0.01μm 미만이면 균일한 도포막이 얻어지지 않아 충분한 가스 배리어성을 얻을 수 없는 경향이 있다. 또한, 두께가 50μm을 초과하면 가스 배리어성 피막층에 크랙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도 5에 도 1의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50)은 어느 하나의 투명 가스 배리어 필름이 기재(3), 기재(3) 상에 증착된 제1 무기 산화물 증착층(4), 제 1 무기 산화물 증착층(4) 상에 형성된 가스 배리어성 피막층(6)을 포함하는 복합 필름(8)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의 투명 가스 배리어 필름이 투명 가스 배리어성 수지층(5)으로 이루어지고, 투명 가스 배리어성 수지층(5)과 가스 배리어성 피막층(6)이 점착층(2)을 통하여 적층된 구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무기 산화물 증착 필름의 응용예로서 기재 상에 제1 무기 산화물 증착층을 형성하고, 이 위에 제1 가스 배리어성 피막층을 형성한 후, 제2 무기 산화물 증착층을 더 증착할 수 있다. 또한, 제2 무기 산화물 증착층 상에 제2 가스 배리어성 피막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재 상에 무기 산화물 증착층 및 가스 배리어성 피막층을 적층하여 얻어진 복합 필름은 보다 뛰어난 가스 배리어성을 갖는다.
도 6에 도 1의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60)은 2개의 투명 가스 배리어 필름이 각각 기재(3), 기재(3) 상에 증착된 제1 무기 산화물 증착층(4), 제1 무기 산화물 증착층(4) 상에 형성된 제1 가스 배리어성 피막층(6), 제1 가스 배리어성 피막층(6) 상에 형성된 제2 무기 산화물 증착층(4') 및 제2 무기 산화물 증착층(4') 상에 형성된 제2 가스 배리어성 피막층(6')을 포함하는 복합 필름(8')으로 이루어지고, 그 제2 가스 배리어성 피막층(6')이 점착층(2)을 통하여 적층된 구성을 갖는다.
도 7에 도 1의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70)은 어느 하나의 투명 가스 배리어 필름이 기재(3), 기재(3) 상에 증착된 제1 무기 산화물 증착층(4), 제1 무기 산화물 증착층(4) 상에 형성된 제1 가스 배리어성 피막층(6), 제1 가스 배리어성 피막층(6) 상에 형성된 제2 무기 산화물 증착층(4') 및 제2 무기 산화물 증착층(4') 상에 형성된 제2 가스 배리어성 피막층(6')을 포함하는 복합 필름(8')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의 투명 가스 배리어 필름이 투명 가스 배리어성 수지층(5)으로 이루어지며, 투명 가스 배리어성 수지층(5)과 제2 가스 배리어성 피막층(6')이 점착층(2)을 통하여 적층된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의 양 주요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주요면 상에 히트 실링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 히트 실링층은 투명 증착 필름 적층체를 봉지 등의 포장체 또는 광학 부품 등으로서 실용적으로 사용할 때 열 접착층으로서 설치될 수 있다.
도 8에 도 1의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80)은 2개의 투명 가스 배리어 필름(1)이 점착층(2)을 통하여 적층되고, 그 어느 하나의 투명 가스 배리어 필름(1)은 점착층(2)과 적층된 면과 반대되는 면 상에 히트 실링층(9)이 더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또한, 도 8의 투명 가스 배리어 필름(1)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무기 산화 물 증착 필름(7), 투명 가스 배리어성 수지층(5) 및 복합 필름(8, 8') 등을 하나 또는 그 이상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을 이용한 열 실링에 의한 성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상술한 히트 실링층으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및 이들의 금속 가교물 등의 수지가 이용된다. 두께는 목적에 따라 결정되는데, 일반적으로는 15-200μm의 범위이다.
히트 실링층의 형성 방법으로는, 바람직하게는 압출 샌드 라미네이션법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그 이외의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적층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압출 샌드 라미네이션법에 이용되는 접착 수지로는, 예컨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산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기재에 앵커 코팅 처리하지 않고, 또한 압출 라미네이트 수지의 용융막을 오존 처리하지 않고 폴리에스테르 필름 기재에 직접 압출 라미네이트하여 층간 접착성이 얻어지는 에틸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산 공중합체(예컨대, 미쓰이 듀폰 폴리케미칼 주식회사 제품, 상품명 "뉴크렐 AN4228C" 등)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은 포장 재료, 광학 부품 등에 바람직 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렉트로루미네슨스 발광 소자는 본 발명의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을 광학 부품으로 사용한 예의 하나로서, 투명 전극층, 투명 전극층 상에 설치된 일렉트로루미네슨스 발광층, 일렉트로루미네슨스 발광층 상에 설치된 유전체층 또는 절연층 및 그 위에 설치된 후면 전극층을 포함하는 적층체와, 이 적층체를 덮어서 밀봉된, 제1 투명 가스 배리어 필름, 제1 투명 가스 배리어 필름 상에 설치된 두께 1∼30μm의 점착층 및 점착층 상에 설치된 제2 투명 가스 배리어 필름을 포함하는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을 갖는다.
각 전극층, 절연층, 유전체층 및 일렉트로루미네슨스 발광층은 주지의 방법, 예컨대 증착 및 스퍼터링법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9에 본 발명의 일렉트로루미네슨스 발광 소자의 일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일렉트로루미네슨스 발광 소자(90)는 도시하지 않은 전극에 접속된 예컨대 산화 인듐 납으로 이루어지는 투명 전극층(11), 투명 전극층(11) 상에 설치된 예컨대 무기 EL 발광층(12), 무기 EL 발광층(12) 상에 설치된 예컨대 유전체층(13) 및 유전체층(13) 상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전극에 접속된 예컨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후면 전극층(14)을 포함하는 적층체와, 이 적층체를 덮어서 밀봉된 예컨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밀봉 필름(10)으로 구성된다.
또한, 일렉트로루미네슨스 표시 장치는 상기 일렉트로루미네슨스 발광 소자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일례로서, 컬러 필터층, 컬러 필터층 상에 설치된 투명 전 극층, 투명 전극 상에 설치된 예컨대 일렉트로루미네슨스 발광층, 일렉트로루미네슨스 발광층 상에 설치된 유전체층 및 유전체층 상에 설치된 후면 전극층을 포함하는 적층체와, 적층체를 덮어서 밀봉된, 제l 투명 가스 배리어 필름, 제1 투명 가스 배리어 필름 상에 설치된 두께 1∼30μm의 점착층 및 점착층 상에 설치된 제2 투명 가스 배리어 필름을 포함하는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을 구비한다.
컬러 필터는 주지의 방법, 예컨대 포토리소그래피법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각 전극층, 절연층, 유전체층 및 일렉트로루미네슨스 발광층은 주지의 방법, 예컨대 증착 및 스파터링법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10에 본 발명의 일렉트로루미네슨스 표시 장치의 일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일렉트로루미네슨스 표시 장치(100)는 컬러 필터층(15), 컬러 필터층(15) 상에 설치되며, 도시하지 않은 전극에 접속된 예컨대 산화 인듐 납으로 이루어지는 투명 전극층(11), 투명 전극층(11) 상에 설치된 예컨대 무기 EL 발광층(12), 무기 EL 발광층(12) 상에 설치된 예컨대 유전체층(13) 및 유전체층(13) 상에 설치되며, 도시하지 않은 전극에 접속된 예컨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후면 전극층(14)을 포함하는 적층체와, 이 적층체를 덮어서 밀봉된 예컨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밀봉 필름(10)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 영동식 표시 패널은 본 발명의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을 광학 부품으로 사용한 예의 다른 하나로서, 투명 전극층, 이 투명 전극층 상에 설치되며, 전기 영동 입자 및 전기 영동 입자를 분산시키는 절연성 유동체가 포함되는 표시 영역 및 표시 영역 상에 설치된 후면 전극을 갖는 표시부와, 표시부를 덮어서 밀봉된, 제1 투명 가스 배리어 필름, 제1 투명 가스 배리어 필름 상에 설치된 두께 1∼30μm의 점착층 및 점착층 상에 설치된 제2 투명 가스 배리어 필름을 포함하는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을 구비한다.
표시부는, 예컨대 전기 영동 입자를 분산시킨 절연성 유동체를 봉입한 캡슐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격벽에 의해 구분된 영역 내에 전기 영동 입자를 분산시킨 절연성 유동체를 봉입할 수 있다. 이 캡슐 및 구분된 영역은 복수 개 설치되며, 소정의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11에 본 발명의 전기 영동식 표시 패널의 일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전기 영동식 표시 패널은, 투명 유리 기판(25), 투명 유리 기판(25) 상에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된 예컨대 산화 인듐 납으로 이루어지는 화소 전극(24), 도시하지 않은 매트릭스 전극, 도시하지 않은 스위칭 소자, 화소 전극(24) 상에 설치된 복수의 마이크로 캡슐(23), 이 마이크로 캡슐(23) 상에 형성된 예컨대 산화 인듐 납으로 이루어지는 화소 전극(17) 및 화소 전극(17) 상에 설치된 유리 기판(16)을 갖는 표시부와, 이 표시부 위를 덮어서 밀봉된 예컨대 도 8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밀봉 필름(10)을 갖는다.
마이크로 캡슐(23)은 피막(22) 내에 백색 입자(18), 흑색 입자(19) 및 이들을 분산하는 절연성 용액(19)이 봉입되어 있다.
이 마이크로 캡슐(23)은 예컨대 아래와 같이 제조할 수 있다.
먼저, 테트라클로로에틸렌 용매 100부에 백색 입자로서 용액 내에서 음으로 대전하는 폴리에틸렌 수지로 피복한 평균 입자 직경 3μm의 산화 티타늄 60부와 흑색 입자로서 용액 내에서 양으로 대전하는 알킬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로 표면 처리한 평균 입자 크기 4.0μm의 카본 블랙 40부가 분산된 분산액을 제조한다.
이 분산액 40부와 물 80부에 젤라틴 10부와 유화제로서 폴리에틸렌 술폰산 나트륨 0.1부를 배합한 수용액을 혼합하고, 액체 온도를 40℃로 조정한 후, 액체 온도를 유지하면서 호모게나이저를 이용하여 교반하여 O/W 에멀전을 얻는다.
이어서, 얻어진 0/W 에멀전과 40℃로 조정된 물 80부에 아라비아 고무 10부를 배합한 수용액을 디스퍼를 이용하여 혼합하고, 용액의 온도를 40℃로 유지하면서 아세트산을 이용하여 용액의 pH를 4로 조정하고, 코아세르베이션(coacervation)에 의해 마이크로 캡슐 벽을 형성한다.
다음, 액체 온도를 5℃로 낮추고, 37 중량%의 포르말린 용액 1.9부를 부가하여 마이크로 캡슐을 경화시킨다. 이에 따라, 백색 입자, 흑색 입자 및 이들을 분산하는 절연성 용액이 봉입된 마이크로 캡슐이 얻어진다.
또한, 어느 하나의 투명 유리 기판 상에 예컨대 스퍼터링 등에 의해 예컨대 산화 인듐 납 등의 투명 전극을 형성한 후, 이 마이크로 캡슐과 바인더를 포함하는 도공액을 도포 및 건조하고, 다른 하나의 투명 유리 기판 상에 예컨대 스퍼터링 등에 의해 예컨대 산화 인듐 납 등의 투명 전극을 형성한 후, 두 유리 기판을 투명 전극 및 마이크로 캡슐을 안쪽으로 하여 접착함으로써 본 발명의 전기 영동식 표시 패널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에는 필요에 따라 점착층을 사용하여 다른 수지 필름을 더 적층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지 필름으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필름, 폴리스티렌 필름, 폴리아미드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아크릴니트릴 필름, 폴리이미드 필름 등의 투명한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은 기계적 강도나 치수 안정성을 갖는 것이면 연신된 것이어도 무방하고 연신되지 않은 것이어도 무방하다. 특히, 내열성 등의 관점에서 2축 방향으로 임의로 연신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주지의 다양한 첨가제나 안정제, 예컨대 대전 방지제, 자외선 방지제, 가소제, 윤활제 등이 사용되어도 좋다. 또한, 다른 기재와의 밀착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기재의 적층면 측에 전처리로서 코로나 처리, 저온 플라즈마 처리, 이온 주입 처리, 약품 처리, 용제 처리 등 어느 하나의 처리를 실시하여도 좋다.
실시예
실시예 1
기재로서 두께 12μm의 2축 연신 PET 필름을 준비하였다. 이 PET 필름을 전자선 가열 방식에 의한 진공 증착 장치 내에 안착시켜 금속 알루미늄을 증발시키고, 여기에 산소 가스를 도입하여 PET 필름의 한쪽 면에 15nm의 두께를 갖는 산화 알루미늄층을 증착하여 제1 증착층을 얻었다.
이어서, 아래의 코팅제를 제조하였다.
코팅제의 제조
먼저, 1액으로서 테트라에톡시실란 10.4g에 염산(0.1N) 89.6g을 부가하고 30 분간 교반하고 가수분해시켜, SiO2 환산으로 고형분이 3wt%인 가수 분해 용액을 제조하였다.
다음, 2액으로서 물과 이소프로필알코올을 중량비로 90대 10으로 혼합한 물-이소프로필알코올 용액 97중량%와 폴리비닐알코올 3중량%를 혼합하였다.
상기 1액과 2액을 60대 40의 중량 혼합비로 혼합하여 코팅액을 얻었다.
얻어진 중간층 코팅액을 그라비아 코팅법에 의해 도포하고, 그런 다음 120℃에서 1분간 건조시켜 5μm의 두께를 갖는 제1 가스 배리어성 피막층을 형성하였다.
그런 다음, 제1 증착층 및 제1 가스 배리어성 피막층이 형성된 기재를 전자선 가열 방식에 의한 진공 증착 장치 내에 안착시켜 금속 알루미늄을 증발시키고, 여기에 산소 가스를 도입하면서 15nm의 두께를 갖는 산화 알루미늄층을 증착하여 제2 증착층을 형성하였다. 제2 증착층 상에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2 가스 배리어성 피막층을 형성함으로써 투명한 적층체를 얻었다.
이 무기 산화물 증착 필름의 수증기 투과도는 0.04g/m2·day이었다.
이 무기 산화물 증착 필름을 2장 준비하고, 어느 하나의 무기 산화물 증착 필름의 제2 가스 배리어 피막층 표면 상에 아크릴 계열 점착제로서 BPS 5215(도요 잉크 제조(주) 제품)에 BXX 5134(도요 잉크 제조(주) 제품)을 첨가하여 건조시 10μm의 두께가 되도록 도포하고, 열풍 건조함으로써 점착층을 얻었다. 얻어진 점착 층 상에 다른 하나의 무기 산화물 증착 필름의 제2 가스 배리어 피막층 표면을 포개어서 압착함으로써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은 투명성이 양호하였으며, 그 투명성에 불균일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없었다.
또한, 손에 들어 보았을 때 적당한 탄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필름의 탄력 강도를 측정하였다.
탄력 강도 측정
길이가 긴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200mm와 길이 방향으로 15mm 크기의 스트립 형상의 시험편(가로)과 길이 방향으로 200mm와 폭 방향으로 15mm 크기의 스트립 형상의 시험편(세로)을 각각 3개씩 잘라내었다. 주식회사 도요세이키 세이사쿠쇼 제품 루프 스티프니스 테스터(Loop Stiffness Tester)의 양 측면의 가동 고정구 사이에 고정 구간 거리 150mm로 장착하여 양 측면의 가동 고정구를 중앙으로 이동시키고, 양 측면의 가동 고정구끼리 접촉시켜 시험편을 루프 형상으로 만든 다음, 90°로 센서 쪽으로 넘어뜨리고 센서에 접촉할 때까지 접근시켜 이 접촉하였을 때의 강도를 측정하고, 시험편 3개에서의 측정값의 평균값을 탄력 강도로 하였다.
그 결과, 시험편(세로)의 탄력 강도는 1.29g, 시험편(가로)의 탄력 강도는 1.22g이었다.
또, 얻어진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을 밀봉 필름으로 사용하여 각각 도 9, 도 l0, 도 11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일렉트로루미네슨스 발광 소자, 일렉트로루미네슨스 표시 장치 및 전기 영동식 표시 패널을 조립하였더니, 투명성이 양호하였고 적층 필름에 균열 등이 발생하지도 않았다.
비교예 1
어느 하나의 무기 산화물 증착 필름의 제2 가스 배리어 피막층 상에 점착제 대신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이용한 접착제(주재료:미쓰이 다케다 케미칼(주) 제품 A515, 경화제:미쓰이 다케다 케미칼(주) 제품 A50)를 도포하고, 드라이 라미네이트기를 사용하여 다른 하나의 무기 산화물 증착 필름의 가스 배리어 피막층 측을 포개도록 적층하여 가스 배리어성 적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가스 배리어성 적층 필름은 투명성은 있었으나 불균일성이 있었으며, 복수 개의 줄무늬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얻어진 가스 배리어성 적층 필름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탄력 강도를 측정하였더니, 시험편(세로)의 탄력 강도는 0.56g, 시험편(가로)의 탄력 강도는 0.55g으로서, 실시예 1에 비하여 탄력 강도가 현저하게 떨어졌다. 또한, 손에 쥐어 보았을 때 딱딱함이 있었다.
이와 같이 실시예 1의 가스 배리어성 적층 필름은 비교예 1의 가스 배리어성 적층 필름에 비하여 투명성 및 탄력 강도가 현저하게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은 산소, 수증기 등의 높은 가스 배리어성을 가지며, 또한 투명성이 뛰어나다. 따라서, 높은 가스 배리어성 및 높은 투 명성이 요구되는 식품, 의약품, 전자 부재, 광학 부재 등의 분야에 사용되는 광학 필름 또는 포장 재료로서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Claims (13)

  1. 제1 투명 가스 배리어 필름과, 이 제1 투명 가스 배리어 필름상에 설치된 두께 1∼30μm의 감압접착제층과 상기 감압접착제층상에 설치된 제2 투명가스배리어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감압접착제층은, 그 구성성분이, 아크릴 계열, 고무 계열, 우레탄 계열, 비닐에테르 계열, 실리콘 계열재료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그 형태가, 용제형, 에멀전형, 핫멜트형 및 자외선 경화형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 가스 배리어 필름 및 상기 제2 투명 가스 배리어 필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기재와 기재 상에 증착된 무기 산화물 증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 가스 배리어 필름은 기재 및 이 기재 상에 증착된 무기 산화물 증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스 배리어 필름은 가스 배리어성 수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산화물은 산화 알루미늄, 산화 규소, 산화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산화물 증착층 상에 수용성 고분자와 (a) 1종 이상의 금속 알콕시드 또는/및 그 가수 분해물 및 (b) 염화 주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수용액 또는 물/알콜 혼합 용액을 주재료로 하는 코팅제를 도포하고 가열 건조하여 이루어지는 가스 배리어성 피막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알콕시드가 테트라에톡시실란 및 트리이소프로폭시알루미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고분자가 폴리비닐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 가스 배리어 필름 및 상기 제2 투명 가스 배리어 필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필름 상에 히트 실링층을 더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
  9. 투명 전극층, 이 투명 전극층 상에 설치된 일렉트로루미네슨스 발광층, 이 일렉트로루미네슨스 발광층 상에 설치된 유전체층 또는 절연층 및 그 위에 설치된 후면 전극층을 포함하는 적층체; 및
    이 적층체를 덮어서 밀봉된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렉트로루미네슨스 발광 소자.
  10. 제9항에 기재된 일렉트로루미네슨스 발광 소자; 및
    이 투명 전극층과 이 투명 전극층 상의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 사이에 설치된 컬러 필터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렉트로루미네슨스 표시 장치.
  11. 투명 전극층, 이 투명 전극층 상에 설치된, 전기 영동 입자 및 전기 영동 입자를 분산시키는 절연성 유동체가 포함되는 표시 영역 및 이 표시 영역 상에 설치된 후면 전극을 갖는 표시부; 및
    이 표시부를 덮어서 밀봉된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영동식 표시 패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전기 영동 입자를 분산시킨 절연성 유동체를 봉입한 캡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영동식 표시 패널.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접착제층은 그 구성성분이 아크릴 계열재료이고, 상기 아크릴 계열재료는, 아크릴기를 함유하는 비닐 모노머, 에폭시기를 갖는 비닐 모노머, 알콕실기를 갖는 비닐 모노머, 에틸렌옥사이드기를 갖는 비닐 모노머, 아미노기를 갖는 비닐 모노머, 아미드기를 갖는 비닐 모노머, 할로겐 원자를 갖는 비닐 모노머, 인산기를 갖는 비닐 모노머, 술폰산기를 갖는 비닐 모노머, 실란기를 갖는 비닐 모노머, 페닐기를 갖는 비닐 모노머, 벤질기를 갖는 비닐 모노머 및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기를 갖는 비닐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모노머를 중합해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
KR1020057021100A 2003-05-16 2004-05-13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 이를 이용한일렉트로루미네슨스 발광 소자, 일렉트로루미네슨스 표시장치 및 전기 영동식 표시 패널 Expired - Fee Related KR1007042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38316 2003-05-16
JPJP-P-2003-00138316 2003-05-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8999A KR20060008999A (ko) 2006-01-27
KR100704269B1 true KR100704269B1 (ko) 2007-04-09

Family

ID=33447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1100A Expired - Fee Related KR100704269B1 (ko) 2003-05-16 2004-05-13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 이를 이용한일렉트로루미네슨스 발광 소자, 일렉트로루미네슨스 표시장치 및 전기 영동식 표시 패널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60062995A1 (ko)
EP (1) EP1634697B1 (ko)
JP (1) JP4654911B2 (ko)
KR (1) KR100704269B1 (ko)
CN (1) CN1791510B (ko)
CA (1) CA2525622C (ko)
TW (1) TWI294827B (ko)
WO (1) WO200410127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813B1 (ko) 2007-10-22 2009-03-04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투명 합성수지 판재 및 그 제조 방법
KR20240076203A (ko) * 2022-11-23 2024-05-30 이연순 그래픽 콘크리트용 요철시트 제조방법 및 그 요철시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0519478A2 (pt) * 2004-12-27 2009-02-03 Quantum Paper Inc display emissivo endereÇÁvel e imprimÍvel
CA2603626A1 (en) * 2005-04-15 2006-10-19 Ifire Ip Corporation Magnesium oxide-containing barrier layer for thick dielectric electroluminescent displays
JP4525521B2 (ja) * 2005-08-22 2010-08-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泳動装置、電子機器
JP2007127763A (ja) * 2005-11-02 2007-05-24 Seiko Epson Corp 電気泳動表示装置
JP5085865B2 (ja) * 2005-12-22 2012-11-28 三菱樹脂株式会社 粘着シート
WO2007123006A1 (ja) * 2006-04-21 2007-11-01 Konica Minolta Holdings, Inc. ガスバリアフィルム、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用樹脂基材、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ガスバリア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8052158A (ja) * 2006-08-28 2008-03-06 Mitsubishi Pencil Co Ltd 電気泳動表示装置
KR101392004B1 (ko) * 2006-11-16 2014-05-07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가스 배리어 필름 적층체
JP2008164339A (ja) 2006-12-27 2008-07-17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放射線像変換パネル
US7688497B2 (en) 2007-01-22 2010-03-30 E Ink Corporation Multi-layer sheet for use in electro-optic displays
TWI386313B (zh) * 2007-01-22 2013-02-21 E Ink Corp 用於光電顯示器之多層薄片
US9389445B2 (en) 2007-03-08 2016-07-12 Japan Display Inc. Electro-optic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5239241B2 (ja) * 2007-07-25 2013-07-17 凸版印刷株式会社 光学材料保護用積層体、これを用い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光学素子、及び電気泳動式表示パネル
JP5239240B2 (ja) * 2007-07-25 2013-07-17 凸版印刷株式会社 光学材料保護用積層体、これを用い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光学素子、及び電気泳動式表示パネル
JP2009248455A (ja) * 2008-04-07 2009-10-29 Dainippon Printing Co Ltd ハイガスバリア積層体および包装用容器
JP2009248454A (ja) * 2008-04-07 2009-10-29 Dainippon Printing Co Ltd ハイガスバリア積層体および包装用容器
US8192820B2 (en) * 2008-09-12 2012-06-05 Brigham Young University Data storage media containing carbon and metal layers
JP2012502188A (ja) * 2008-09-12 2012-01-26 ブリガム・ヤング・ユニバーシティ 酸素化ガスが注入された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155907B1 (ko) * 2009-06-04 2012-06-2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9605122B2 (en) 2009-07-31 2017-03-28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Gas-barrier multilayer film
EP2502100B1 (en) 2009-11-18 2020-09-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ulti-layer optical films
JP5493791B2 (ja) * 2009-12-09 2014-05-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JP5668459B2 (ja) * 2009-12-24 2015-02-12 東洋紡株式会社 ガスバリア性積層フィルム
JP5522521B2 (ja) * 2010-02-09 2014-06-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防湿性積層体
CN102191463B (zh) * 2010-03-15 2015-12-16 三菱综合材料株式会社 薄膜形成用气相沉积材、具备该薄膜的薄膜片材和层压片材
WO2012026715A2 (en) * 2010-08-23 2012-03-01 Lg Electronics Inc. Vacuum insulation material
JP2011073446A (ja) * 2010-09-24 2011-04-14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樹脂成形体の用途
KR20120033165A (ko) * 2010-09-29 2012-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진공단열재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캐비넷의 단열구조
KR101526083B1 (ko) * 2010-12-06 2015-06-04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가스 배리어성 필름, 가스 배리어성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
DE102011017404A1 (de) * 2011-04-18 2012-10-18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erfahren zum Abscheiden eines transparenten Barriereschichtsystems
JP5918488B2 (ja) * 2011-07-25 2016-05-18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ガスバリアフィルム積層体及び電子部材
TWI552883B (zh) * 2011-07-25 2016-10-11 Lintec Corp Gas barrier film laminates and electronic components
JP5937312B2 (ja) * 2011-07-25 2016-06-22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ガスバリアフィルム積層体および電子部材
EP2740777A4 (en) * 2011-08-03 2015-07-08 Lintec Corp ADHESIVE SHEET HAVING GAS BARRIER PROPERTI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AND ELECTRONIC ELEMENT AND OPTICAL ELEMENT
KR101859525B1 (ko) * 2011-08-30 2018-06-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US20140308494A1 (en) * 2011-11-04 2014-10-16 Lintec Corporation Gas barrier film, method for producing same, gas barrier film laminate, member for electronic devices, and electronic device
US20150030829A1 (en) * 2012-03-06 2015-01-29 Lintec Corporation Gas barrier film laminate, adhesive film, and electronic component
WO2013147093A1 (ja) * 2012-03-30 2013-10-03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ガスバリアフィルム積層体、電子デバイス用部材、及び電子デバイス
GB2505499B (en) * 2012-09-03 2017-03-08 Dst Innovations Ltd Electroluminescent displays and lighting
CN105073413A (zh) 2013-02-15 2015-11-18 琳得科株式会社 阻气膜叠层体、其制造方法、以及电子设备
SG11201600923YA (en) 2013-08-30 2016-03-30 Iucf Hyu Substrate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1494317B1 (ko) * 2013-08-30 2015-02-23 엠에스티코리아(주) 압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JP5817888B2 (ja) * 2014-05-21 2015-11-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耐湿熱性ガスバリアフィルム積層体、及び包装袋
JP6424513B2 (ja) 2014-08-22 2018-11-2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6117758B2 (ja) * 2014-09-30 2017-04-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液晶表示装置、および、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CN105793644B (zh) 2014-10-16 2018-04-03 凸版印刷株式会社 量子点保护膜、使用了该量子点保护膜的量子点膜及背光单元
KR101874292B1 (ko) * 2014-11-27 2018-08-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리어 필름
KR20170137824A (ko) * 2015-04-15 2017-12-13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전자 페이퍼
JP7000156B2 (ja) * 2015-09-07 2022-02-04 凸版印刷株式会社 波長変換シート用保護フィルム、並びに、波長変換シート及び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2017071133A (ja) * 2015-10-08 2017-04-1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ガスバリアー性フィルム積層体及び電子デバイス
JP6790345B2 (ja) * 2015-10-27 2020-11-25 凸版印刷株式会社 波長変換シート
WO2017073671A1 (ja) * 2015-10-27 2017-05-04 凸版印刷株式会社 発光体保護フィルム、波長変換シート、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発光ユニット
JP6202074B2 (ja) * 2015-11-20 2017-09-27 凸版印刷株式会社 波長変換シート
DK178929B9 (en) * 2015-12-15 2017-06-26 Radiometer Medical Aps A Bag Containing a Reference Fluid
DE102016103821A1 (de) * 2016-03-03 2017-09-07 Osram Oled Gmbh Organisches optoelektronisches Bauelement und Verfahren zur Verhinderung der Analyse der Materialzusammensetzung eines organischen optoelektronischen Bauelements
JP6859033B2 (ja) * 2016-07-07 2021-04-14 小林製薬株式会社 乳化組成物
JP6857477B2 (ja) * 2016-09-30 2021-04-14 日東電工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
JP6800721B2 (ja) * 2016-12-05 2020-12-16 東レ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光変換部材
JP7040038B2 (ja) * 2018-01-19 2022-03-23 凸版印刷株式会社 ガスバリア積層体の製造方法
JP7287069B2 (ja) * 2019-04-02 2023-06-06 凸版印刷株式会社 透明導電性ガスバリア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デバイス
JP7379963B2 (ja) * 2019-05-16 2023-11-1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粘接着バリアフィルム及びバリアフィルム付被着体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3832A (ja) * 2001-08-21 2003-02-26 Toray Ind Inc 透明蒸着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透明蒸着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08873A1 (fr) * 1981-07-06 1983-01-07 Rhone Poulenc Films Procede d'emballage de materiaux sensibles a l'oxygene et/ou a la vapeur d'eau
SE468082B (sv) * 1989-01-11 1992-11-02 Roby Teknik Ab Laminat foer framstaellning av foerpackningsbehaallare med goda gas- och arombarriaeregenskaper, innefattande ett skikt bestaaende av en kiselfoerening
DE4123127C2 (de) * 1991-07-12 1996-06-20 Hoechst Ag Mehrschichtenverbundfolie mit verbesserter Gasbarrierewirkung
JPH09104769A (ja) * 1995-08-04 1997-04-22 Toray Ind Inc 蒸着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9123338A (ja) * 1995-08-29 1997-05-13 Toray Ind Inc ガスバリア性フィルム
AU7158098A (en) * 1997-04-25 1998-11-24 Sarnoff Corporation Plasma display device
JP4247847B2 (ja) * 1997-06-27 2009-04-02 東レ株式会社 透明蒸着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1052530A (ja) * 1999-08-10 2001-02-23 Teijin Ltd 透明導電性基板
JP2000227603A (ja) * 1998-11-30 2000-08-15 Teijin Ltd 液晶表示素子及びそれに好適な透明導電性基板
WO2000033127A1 (fr) * 1998-11-30 2000-06-08 Teijin Limited Dispositif a cristaux liquides et substrat conducteur transparent prefere
WO2000075248A1 (fr) * 1999-06-04 2000-12-14 Jsr Corporation Composition de revetement formant barriere pour les gaz, procede de production de ladite composition et film de revetement formant barriere pour les gaz
US20010038894A1 (en) * 2000-03-14 2001-11-08 Minoru Komada Gas barrier film
JP2002088244A (ja) * 2000-04-21 2002-03-27 Kanegafuchi Chem Ind Co Ltd 硬化性組成物、光学材料用組成物、光学材料、液晶表示装置、透明導電性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747403B2 (ja) * 2000-08-08 2011-08-17 東洋紡績株式会社 優れた酸素ガスバリア性を有する多層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2166487A (ja) * 2000-12-01 2002-06-11 Toppan Printing Co Ltd ガスバリア性積層フィルムおよびこの積層フィルムを用いた包装材料
JP2002234102A (ja) * 2001-02-07 2002-08-20 Mitsui Chemicals Inc 輸液容器用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704606B2 (ja) * 2001-05-30 2011-06-15 共同印刷株式会社 ガスバリア性包装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355915A (ja) * 2001-06-01 2002-12-10 Kyodo Printing Co Ltd 帯電防止層を含むガスバリア性包装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3678361B2 (ja) * 2001-06-08 2005-08-0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ガスバリアフィルム
JP2003094538A (ja) * 2001-09-26 2003-04-03 Toppan Printing Co Ltd インスタント食品容器
TWI293091B (en) * 2001-09-26 2008-02-01 Tohcello Co Ltd Deposited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2003260749A (ja) * 2002-03-08 2003-09-16 Dainippon Printing Co Ltd ガスバリア性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
US6866949B2 (en) * 2002-03-08 2005-03-15 Dai Nippon Printing Co., Ltd. Substrate film, gas barrier film, and display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3832A (ja) * 2001-08-21 2003-02-26 Toray Ind Inc 透明蒸着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透明蒸着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813B1 (ko) 2007-10-22 2009-03-04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투명 합성수지 판재 및 그 제조 방법
KR20240076203A (ko) * 2022-11-23 2024-05-30 이연순 그래픽 콘크리트용 요철시트 제조방법 및 그 요철시트
KR102815570B1 (ko) 2022-11-23 2025-05-29 이연순 그래픽 콘크리트용 요철시트 제조방법 및 그 요철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654911B2 (ja) 2011-03-23
CA2525622A1 (en) 2004-11-25
KR20060008999A (ko) 2006-01-27
EP1634697B1 (en) 2014-08-27
EP1634697A4 (en) 2011-07-06
CN1791510A (zh) 2006-06-21
JPWO2004101276A1 (ja) 2006-07-13
TW200510177A (en) 2005-03-16
CA2525622C (en) 2010-10-26
WO2004101276A1 (ja) 2004-11-25
TWI294827B (en) 2008-03-21
CN1791510B (zh) 2010-10-13
EP1634697A1 (en) 2006-03-15
US20060062995A1 (en) 2006-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4269B1 (ko) 투명 가스 배리어 적층 필름, 이를 이용한일렉트로루미네슨스 발광 소자, 일렉트로루미네슨스 표시장치 및 전기 영동식 표시 패널
EP1384571B1 (en) Laminated body
JP2790054B2 (ja) ガスバリア性積層フィルムおよびこの積層フィルムを用いた包装材料
JP4200972B2 (ja) ガスバリア積層フィルム
EP3287500B1 (en) Coating agent and gas barrier film
JP6318656B2 (ja) 包装材料
CN107531381A (zh) 层叠膜及包装袋
TWI575050B (zh) 用於封裝電子組件之熱密封覆蓋膜
WO2012079258A1 (en) Heat-sealing film and cover tape for packaging electronic components
JPH10264292A (ja) 透明積層体
JP2005074731A (ja) 高ガスバリア性を有する透明積層体
JPH11227090A (ja) 積層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体とレトルト食品
JP4225032B2 (ja) 加熱処理耐性を有するガスバリアフィルム積層体
JP6074997B2 (ja) ガスバリア積層フィルム
JP5899822B2 (ja) ガスバリア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4033345A1 (ja) ディスプレイユニット収納外装体およびディスプレイ
JP2004276294A (ja) 高ガスバリア性を有する粘着性フィルム
JP5104207B2 (ja) 強密着ガスバリア透明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包装材
JP5157379B2 (ja) 強密着ガスバリア透明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包装材
JPH09156024A (ja) 被覆フィルム
JP2004314564A (ja) 高ガスバリア性を有する透明積層体
JP2008006637A (ja) 強密着ガスバリア透明フィルムおよび包装体
JP4325319B2 (ja) ディスプレイユニット収納外装体およびディスプレイ
JP4228687B2 (ja) ハイバリア透明積層体
JP2004202823A (ja) 蒸着フィルム積層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10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0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3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4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2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1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5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22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