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98139B1 -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 키 입력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 키 입력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8139B1
KR100698139B1 KR1020040059869A KR20040059869A KR100698139B1 KR 100698139 B1 KR100698139 B1 KR 100698139B1 KR 1020040059869 A KR1020040059869 A KR 1020040059869A KR 20040059869 A KR20040059869 A KR 20040059869A KR 100698139 B1 KR100698139 B1 KR 100698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key
key information
information
key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9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1170A (ko
Inventor
이상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9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8139B1/ko
Publication of KR20060011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1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8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8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유기 EL로 되어 자체 발광하는 버튼으로 키패드를 구성함으로써, 버튼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동상태에 맞는 키 정보만을 표시하여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고, 버튼의 자체 발광으로 충분한 밝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가 어떠한 작동상태에 있어도 적절하게 대응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 키 입력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키 입력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에 사용되는 키 입력 장치에 있어서, 각기 유기 EL 소자로 되어 키 정보를 화상출력하면서, 사용자에 의하여 눌리면 후면에 배치된 스위치를 조작하여 키 입력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다수의 버튼과; 상기 유기 EL 소자로 된 버튼이 키 정보를 화상출력하도록 구동하는 드라이버와; 상기 버튼에 화상출력되는 키 정보를 제어하고 상기 드라이버를 구동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단말기, 키 입력, 유기 EL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 키 입력 장치 및 그 제어방법{Mobile Phone and Key Inputing Device thereof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의 키 입력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키 입력 장치를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구성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키 입력 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키 입력 장치의 제어방법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종래 기술의 키패드 11: 버튼
12: 누름버튼 13: 투명부
20: 스위치 21: 메탈돔
22: 접점 23: 회로기판
30: 발광소자
200: 메모리
300: 무선신호 송수신부 400: 표시부
500: 키 입력 장치 510: 버튼
520: 드라이버 530: 컨트롤러
540: 키패드 550: 스위치
600: 2축 스위블 힌지
610: 폴더부 620: 단말기 본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 키 입력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구성하는 버튼이 유기 EL로 되어 키에 관한 정보를 다양하게 화상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 키 입력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단말기 상태의 제어, 전화번호 입력 및 한글/영문자 입력을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로 키 입력 장치가 구비된다.
종래의 이러한 키 입력 장치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탄성을 갖는 다수의 버튼(11)이 형성된 키패드(key pad:10) 하부에 각 버튼(11)이 눌리는 것을 감지하는 스위치(20)가 회로기판(23)에 구현되어 이루어지고, 스위치(20)는 접점(22)이 형성된 회로기판(23) 위에 메탈돔(21)이 구비되면서 이루어져, 버튼(11)이 눌리면 버튼(11)의 하부에 돌출된 누름돌기(12)가 메탈돔(21)을 누르고, 이에 연동하여 메탈돔(21)이 접점(22)을 눌러 키 입력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각 버튼(11)에는 단말기의 제어명령, 숫자, 한글/영문자 등의 키 정보가 표시되고, 조명이 필요할 때 회로기판(23)에 임의의 간격으로 형성된 발광소자(LED:30)가 발광하여 키패드의 투명부(13)를 통하여 외부로 누출되면서, 조명이 없는 곳에서도 버튼(11)의 키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키 입력 장치는, 각 버튼에 해당 버튼의 조작으로 입력이 가능한 모든 키 정보가 미리 표시되어 있어야 하므로 외관이 깔끔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발광소자에서 발광된 빛이 투명부를 통하여만 외부로 누출되므로 조명이 충분하지 않았던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스위블 힌지를 이용하여 폴더부와 단말기 본체가 결합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는, 폴더부의 회동상태에 따라 단말기 본체를 측면으로 눕혀서 사용할 경우가 있는데 이때에는 버튼의 정보가 정상적으로 보이지 않으므로 사용이 매우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유기 EL로 되어 자체 발광하는 버튼으로 키패드를 구성함으로써, 버튼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동상태에 맞는 키 정보만을 표시하여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고, 버튼의 자체 발광으로 충분한 밝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가 어떠한 작동상태에 있어도 적절하게 대응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 키 입력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키 입력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에 사용되는 키 입력 장치에 있어서, 각기 유기 EL 소자로 되어 키 정보를 화상출력하면서, 사용자에 의하여 눌리면 후면에 배치된 스위치를 조작하여 키 입 력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다수의 버튼과; 상기 유기 EL 소자로 된 버튼이 키 정보를 화상출력하도록 구동하는 드라이버와; 상기 버튼에 화상출력되는 키 정보를 제어하고 상기 드라이버를 구동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다수의 버튼은 탄성을 가지는 키패드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라이버는 각 버튼별로 구비되어 상기 키패드에 내설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와 같이 이루어진 키 입력 장치의 제어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또는 인가되는 소정의 조작을 감지하는 감지단계와; 상기 감지단계에서 감지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또는 조작에 따라 버튼에 화상출력될 키 정보를 결정하는 정보결정단계와; 상기 정보결정단계에서 결정된 키 정보를 화상으로 구성하여 버튼에서 화상출력하는 정보출력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감지단계에서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부 회동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단계에서는 사용자의 버튼 표시설정을 변경을 위한 조작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튼 표시설정은 버튼에서 화상출력되는 키 정보의 글자체, 폰트, 색상, 밝기, 배열에 대한 설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단계에서는 키 입력장치를 통해 어떠한 키 정보가 입력되어야 하는 상태인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키 정보는 숫자이거나, 한글이거나, 영어이거나, 기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출력단계에서는 상기 키 정보를 각기 버튼별로 분리하여 화상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 상기 단말기 본체와 연결되어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단말기 본체에 결합하여 회동, 회전 및 슬라이딩 중 적어도 어느 한 동작을 수행하는 표시부; 상기 단말기 본체에 구비되고 유기EL소자로 형성되어 키 정보를 화상출력하는 복수개의 버튼; 상기 복수개의 버튼 각각에 구비되어 상기 유기EL소자로 된 버튼이 화상출력하도록 구동하는 드라이버; 및 상기 단말기 본체 및 표시부의 동작상태, 단말기의 입력상태 및 상기 버튼의 조작을 감지하여 상기 버튼에 화상출력되는 키 정보를 제어하도록 상기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키 입력 장치를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구성도이고,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키 입력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키 입력 장치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530)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반 동작 수행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200)와, 이동통신 단말기와 단말기가 가입된 기지국과의 무선신호 송수신에 대한 전반적인 처리를 수행하는 무선신호 송수신부(300)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상태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표시해주는 표시부(400)와, 사용자의 정보 입력 수단인 키 입력 장치(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인 키 입력 장치(500)는, 각기 유기 EL 소자로 되어 키 정보를 화상출력하면서, 사용자에 의하여 눌리면 후면에 배치된 스위치(550)를 조작하여 키 입력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다수의 버튼(510)과; 상기 유기 EL 소자로 된 버튼(510)이 키 정보를 화상출력하도록 구동하는 드라이버(520)와; 상기 버튼(510)에 화상출력되는 키 정보를 제어하고 상기 드라이버(520)를 구동시키는 컨트롤러(5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각기의 버튼(510)은 유기 EL 소자가 소정의 키 정보를 출력하는 방향이 외부가 되도록 탄성을 가지는 키패드(540) 상에서 일정한 배열을 가지며 돌출되어 구비되어진다.
유기 EL 소자(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전계발광소자)는 음/양 전하가 유기 박막으로 된 발광층에서 결합하면서 빛을 방출하여 화상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소자로, 당업자에게 공지의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키패드(540)는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일체로 구성되고, 키패드의 버튼이 돌출된 저면에는 누름돌기(미도시)가 구비되어져 버튼(510)이 눌리면 스위치(550)가 연동되어 눌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트롤러(53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또는 조작에 따라 버튼(510)에서 출력될 키 정보를 제어한다.
드라이버(520)는 컨트롤러(530)의 제어 하에서 버튼(510)을 구동하여 키 정보를 표시하도록 한다.
드라이버(520)는 키패드(540)의 외부에서 다수의 버튼(510)을 동시에 구동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키패드(540) 내부에서 각 버튼(510)에 별도로 구비되면서 개별적으로 구동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때 키패드에는 각 드라이버에 신호를 전달하도록 신호연결선이 내설된다.
본 발명의 키 입력 장치가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플립타입, 폴더타입, 슬라이드타입 기타 여하한 타입의 것이라도 가능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부(610)가 단말기 본체(620)에 대하여 2축 스위블 힌지(600)로 결합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대상으로 한다.
이러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직사각형의 표시부(400)를 내면에 구비한 폴더부(610)를 2축 스위블 힌지(600)로 단말기 본체(620)에 체결하여 폴더부(610)가 개폐동작 외에 회전동작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폴더부(610)가 열린 상태에서 90도 회전시켜 표시부(400)가 가로로 긴 위치가 되도록 하여 와이드화면을 구현할 수도 있게 되고, 이러한 폴더부(610)의 동작상태는 감지수단에 의하여 인식되면서 컨트롤러(530)에 전달된다.
이와같이 이루어진 키 입력 장치의 제어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감지하고 소정의 조작이 인가되면 이를 감지하는 감지단계(S100)와; 상기 감지단계(S100)에서 감지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또는 조작에 따라 버튼에 출력될 키 정보를 결정하는 정보결정단계(S200)와; 상기 키 정보를 버튼에 출력하는 정보출력단계(S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키 입력 장치의 제어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특히 폴더부(610)가 단말기 본체(620)에 닫혀 있으면서 단말기가 사용되지 않고 있거나, 열려있으면서 사용되고 있거나, 폴더부(610)가 단말기 본체(620)에 대하여 90도 회전된 상태에 있거나 등의 동작상태나, 폴더부(610)의 동작상태를 변경하는 조작에 따라 버튼(510)에서 화상출력될 키 정보를 제어하여 이루어진다.
감지단계(S100)에서는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상태 또는 조작을 감지 장치를 통하여 감지한다.
정보결정단계(S200)에서는 컨트롤러(530)가 감지장치를 통하여 감지된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버튼(510)에서 출력될 키 정보를 결정한다.
키 정보는, 폴더부(610)가 닫혀 있을 때에는 버튼에서의 출력을 구동오프하고, 폴더부(610)가 통상적인 방향대로 열려 있으면서 단말기가 사용되고 있으면 각 버튼(510)에서 정상적인 배열순서 및 방향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정보이다.
또는, 폴더부(510)가 90도 회전된 상태에서 표시부(400)의 화면이 세로로 긴 방향으로 출력되고 있으면 단말기 본체(520)가 가로로 눕혀 진 채 사용되고 있으므로 키 정보를 도4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배열과 방향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정보이다.
또는, 폴더부(510)의 회동상태가 변경되도록 조작되면 그에 맞도록 버튼에서의 키 정보 출력을 변경하는 정보이다.
정보출력단계(S300)에서는 컨트롤러(530)에서 상기 결정된 키 정보에 따라 각 버튼(510)의 실제 출력될 정보를 화면으로 구성하고, 드라이버(520)에 의하여 유기 EL 소자를 구동하여 키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버튼(510)에서 표시되는 키 정보의 글자체, 폰트, 색상, 밝기, 배열 등을 조절할 수 있는 버튼표시 설정메뉴가 구비되면서, 사용자가 소정의 키 입력을 통해 버튼표시 설정메뉴에 진입하여 직접 버튼표시 설정을 변경할 수 있으며, 키 입력 장치의 제어는 이러한 버튼표시 설정에 따라 이루어진다.
감지단계(S100)에서는 사용자가 키 입력을 통하여 버튼표시 설정을 변경하는 것을 인식한다.
정보결정단계(S200)에서는 사용자가 변경한 버튼표시 설정에 따라 메모리(200)에 저장된 키 정보의 글자체, 폰트, 색상, 밝기, 배열 등의 데이터를 읽어들여 폴더부(610)의 동작상태에 따른 키 정보와 함께 컨트롤러(530)로 인가한다.
정보출력단계(S300)에서는 폴더부(610)의 동작상태에 키 정보의 글자체, 폰트, 색상, 밝기, 배열 등의 데이터를 적용하여 버튼(510)에서 실제 출력될 정보를 화면으로 구성하고, 드라이버(520)에 의하여 유기 EL 소자를 구동하여 키 정보를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한다.
한편, 키 입력 장치의 제어는 키 입력 장치를 통해 어떠한 키 정보가 입력되어야 하는 상태인가에 따라 버튼에서 표시될 키 정보를 제어하여 이루어진다.
즉, 감지단계(S100)에서는 현재 단말기의 상태가 전화통화를 하기 위하여 혹은 기타의 상황에서 숫자 입력을 해야 하는 상태인지, SMS 메세지를 작성하거나 기타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하여 한글 입력을 해야 하는 상태인지, 영어 입력을 해야 하는 상태인지, 기호 입력을 해야 하는 상태인지를 감지한다.
정보결정단계(S200)에서는 버튼(510)에서 표시될 키 정보가 각기 숫자, 한글, 영어, 기호임을 결정하여 결과를 컨트롤러(530)로 인가한다.
정보출력단계(S300)에서는 컨트롤러(530)가 숫자, 한글, 영어, 기호로 구성되어 각 버튼(510)에 대응되도록 배열된 키 정보를 화면으로 구성하고, 드라이버(520)를 구동시켜 유기 EL 소자에서 도 6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 키 입력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버튼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동상태에 맞는 정보만을 표시하게 되어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게되고, 유기 EL 소자가 발광하여 정보를 표시하므로 충분한 밝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양한 작동상태에 적절하게 대응하여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에 사용되는 키 입력 장치에 있어서,
    각기 유기 EL 소자로 형성되어 키 정보를 화상출력하면서, 사용자에 의하여 눌리면 후면에 배치된 스위치가 조작되어 키 입력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다수의 버튼과;
    상기 버튼 각각에 인접하여 구비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유기 EL 소자로 된 버튼이 키 정보를 화상출력하도록 구동하는 드라이버와;
    상기 버튼에 화상출력되는 키 정보를 제어하고 상기 드라이버를 구동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버튼은 탄성을 가지는 키패드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키패드에 내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장치.
  4. 청구항 1과 같이 이루어진 키 입력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상태, 입력상태 및 키 입력에 의해 인가되는 소정의 조작을 감지하는 감지단계와;
    상기 감지단계에서 감지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상태, 입력상태 또는 조작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된 키 정보 가운데 버튼에 화상출력될 키 정보를 결정하여 컨트롤러로 인가하는 정보결정단계와;
    상기 정보결정단계에서 상기 컨트롤러로 인가된 키 정보에 의해 드라이버가 구동되고 상기 드라이버에 의해 유기EL소자가 구동되어 상기 키 정보가 버튼에 화상출력되는 정보출력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장치의 제어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감지단계에서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부 회동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장치의 제어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감지단계에서는 사용자의 버튼 표시설정을 변경을 위한 조작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장치의 제어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버튼 표시설정은 버튼에서 화상출력되는 키 정보의 글자체, 폰트, 색상, 밝기, 배열에 대한 설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장치의 제어방법.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감지단계에서는 키 입력장치를 통해 어떠한 키 정보가 입력되어야 하는 상태인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장치의 제어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키 정보는 숫자이거나, 한글이거나, 영어이거나, 기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장치의 제어방법.
  10. 청구항 6, 청구항 7, 청구항 9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출력단계에서는 상기 키 정보를 각기 버튼별로 분리하여 화상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장치의 제어방법.
  11. 단말기 본체;
    상기 단말기 본체와 연결되어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단말기 본체에 결합하여 회동, 회전 및 슬라이딩 중 적어도 어느 한 동작을 수행하는 표시부;
    상기 단말기 본체에 구비되고 유기EL소자로 형성되어 키 정보를 화상출력하는 복수개의 버튼;
    상기 복수개의 버튼 각각에 구비되어 상기 유기EL소자로 된 버튼이 화상출력하도록 구동하는 드라이버; 및
    상기 단말기 본체 및 표시부의 동작상태, 단말기의 입력상태 및 상기 버튼의 조작을 감지하여 상기 버튼에 화상출력되는 키 정보를 제어하도록 상기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40059869A 2004-07-29 2004-07-29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 키 입력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98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9869A KR100698139B1 (ko) 2004-07-29 2004-07-29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 키 입력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9869A KR100698139B1 (ko) 2004-07-29 2004-07-29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 키 입력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1170A KR20060011170A (ko) 2006-02-03
KR100698139B1 true KR100698139B1 (ko) 2007-03-26

Family

ID=37121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9869A KR100698139B1 (ko) 2004-07-29 2004-07-29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 키 입력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81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392B1 (ko) * 2005-02-04 2007-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키 디스플레이부가 결합된 키 입력장치 및 이를 제공하는디지털 장치
KR100773553B1 (ko) * 2006-05-17 2007-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 및 이를위한 디스플레이 방법
KR101463806B1 (ko) * 2007-06-25 2014-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6570A (ja) * 2000-09-11 2002-08-02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電子装置
KR20060009769A (ko) * 2004-07-26 2006-02-01 주식회사 모센 돔 스위치 조립체 및 그 돔 스위치 조립체를 구비한 휴대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6570A (ja) * 2000-09-11 2002-08-02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電子装置
KR20060009769A (ko) * 2004-07-26 2006-02-01 주식회사 모센 돔 스위치 조립체 및 그 돔 스위치 조립체를 구비한 휴대폰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60009769
1421657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1170A (ko) 2006-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4960B1 (ko) 휴대 단말기
KR101301521B1 (ko) 휴대 단말기
KR101328132B1 (ko) 작동 모드 전환장치와 작동 모드 전환장치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및 작동 모드 전환방법
US7170497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element
US75465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tching a control with an icon
KR100846188B1 (ko) 복수의 접촉 센서를 구비한 사용자 입력 장치, 및 상기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여 디지털 기기를제어하는 방법
KR101105770B1 (ko) 색상 변화기능을 구비한 단말기 및 그 색상 변화방법
US20080280652A1 (en) Reconfigurable keypad method in handset device operable with plural subsystems
KR20050058582A (ko) 멀티입력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EP1887597B1 (en) Mobile terminal
KR20090113371A (ko)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멀티모드 적응적 사용자 인터페이스
TWI459789B (zh) 用於在終端機輸入區域上顯示符號之裝置與方法
KR20090125071A (ko)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적응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메커니즘
KR10069813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 키 입력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10175817A1 (en) Mobile terminal
JP4992847B2 (ja) 携帯端末装置
KR101409872B1 (ko) 휴대 단말기
KR101031008B1 (ko) 전환형 아이콘표시모듈을 갖춘 리모콘
JP2007104704A (ja) 電子機器のダイヤル操作機構、及びダイヤル操作機構を搭載した電子機器
KR101097733B1 (ko) 전환형 아이콘표시모듈을 갖춘 리모콘
KR101490167B1 (ko) 휴대 단말기
KR101398137B1 (ko) 휴대 단말기
KR20070071922A (ko) 키패드 색상 변경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를 통한키패드 색상 변경방법
KR101301522B1 (ko) 휴대 단말기
JP4929959B2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7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4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0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3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3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