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1522B1 -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01522B1 KR101301522B1 KR1020070113394A KR20070113394A KR101301522B1 KR 101301522 B1 KR101301522 B1 KR 101301522B1 KR 1020070113394 A KR1020070113394 A KR 1020070113394A KR 20070113394 A KR20070113394 A KR 20070113394A KR 101301522 B1 KR101301522 B1 KR 1013015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uch
- window
- key
- area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53)
- 제1영역과 제2영역을 구비하는 단말기 바디;상기 단말기 바디에 장착되고, 상기 제1 및 제2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을 구비하는 윈도우;상기 윈도우의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윈도우의 제1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시각 정보를 표시하도록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상기 윈도우의 상기 제2영역에 대응되는 부분 내에 형성되는 관통홀;상기 관통홀 내에 배치되어, 누름 조작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메커니컬 키;상기 윈도우의 제2영역에 대응되는 부분 내의 기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는 키; 및상기 윈도우의 배면에 배치되어 상기 시각 정보에 대한 상기 윈도우 상의 터치와 상기 키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며, 단일 레이어로 구성되는 터치 레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터치 레이어는 상기 시각 정보에 대한 상기 윈도우 상의 터치를 감지하도록 상기 제1영역을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영역으로 연장되어 상기 키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2항에 있어서,상기 터치 레이어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터치시트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3항에 있어서,상기 터치 레이어는 각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3항에 있어서,상기 제2영역으로 연장된 상기 터치 레이어의 내부에는 상기 관통홀에 대응되는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5항에 있어서,상기 메커니컬 키는 상기 홀 내에 배치되고, 상기 메커니컬 키의 외주는 상기 터치 레이어에 의하여 완전히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터치 레이어는 상기 윈도우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터치 레이어는,상기 터치 레이어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시각 정보에 대한 상기 윈도우 상의 터치를 감지하도록 상기 제1영역에 대응되는 제1도전패턴을 구비하는 도전층; 및상기 터치 레이어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상기 도전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도전패턴에 입력된 터치 신호를 전달하도록 이루어지는 데이터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8항에 있어서,상기 터치 레이어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도전층에서 발생한 전기장을 보정하는 보정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8항에 있어서,상기 터치 레이어는 상기 데이터 라인이 위치하는 면의 반대면에 상기 데이터 라인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데이터 라인을 통하여 전달되는 신호가 외부 전자파로부터 영향을 받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이루어지는 쉴딩패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8항에 있어서,상기 도전층은 상기 키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도록, 상기 키에 대응되는 제2도전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터치 레이어는 연성회로기판을 통하여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메커니컬 키의 외주는 상기 윈도우에 의하여 완전히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메커니컬 키의 크기 및 형태는 상기 관통홀의 크기 및 형태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메커니컬 키는 상기 윈도우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메커니컬 키는 상기 단말기 바디의 폭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키는 상기 제2영역 내에서 복수의 개소에 각각 떨어져 위치하는 복수의 터치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7항에 있어서,상기 메커니컬 키는 상기 복수의 터치키부 사이에 배치되며,상기 메커니컬 키와 상기 복수의 터치키부는 상기 단말기 바디의 폭방향으로 나란히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윈도우의 상기 제2영역에 대응되는 부분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키를 조명하도록 형성되는 조명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9항에 있어서,상기 조명 유닛은 상기 키에 터치가 가해졌을 때 발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9항에 있어서,상기 조명 유닛은 상기 키를 개별적으로 조명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9항에 있어서,상기 키는 상기 제2영역 내에서 복수의 개소에 각각 떨어져 위치하는 복수의 터치키부를 포함하며,상기 조명 유닛은 상기 복수의 터치키부에서 대응되는 터치키부를 조명시키도록 개별화된 복수의 조명 패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22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조명 패턴은 서로 다른 반경을 갖는 동심원들이 집합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22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조명패턴의 밝기를 상기 키에 대한 터치 시간에 근거하여 개별적으로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윈도우에 형성되어, 음향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방출하도록 이루어지는 음향출력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25항에 있어서,상기 관통홀과 상기 음향출력홀은 상기 제1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기 단말기 바디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25항에 있어서,상기 음향출력홀은 상기 단말기 바디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단말기 바디는,전면에 상기 제1 및 제2영역을 구비하는 제1바디; 및상기 제1바디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28항에 있어서,상기 제2바디의 전면에는 키패드가 구비되어 숫자, 문자 또는 기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단말기 바디는 윈도우 안착부를 구비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 안착부는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서 리세스되어 상기 윈도우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30항에 있어서,상기 단말기 바디는 상기 윈도우 안착부에 장착되고 일 영역에 조작 유닛을 구비하는 지지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상기 지지 프레임의 내측면에는 상기 조작 유닛이 누름 동작됨에 따라 가압되어 정보를 입력하도록 형성되는 스위치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30항에 있어서,상기 윈도우의 아래에 배치되어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도록 형성되는 제1영상입력유닛; 및상기 윈도우 안착부에 상기 제1영상입력유닛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개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32항에 있어서,상기 제1영상입력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영역을 벗어난 부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32항에 있어서,상기 제1영상입력유닛과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2영상입력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34항에 있어서,상기 제1 및 제2영상입력유닛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34항에 있어서,상기 제1 및 제2영상입력유닛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무선통신모듈을 통하여 외부로 전송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단말기 바디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덮도록 이루어지는 배터리 커버를 더 포함하며,상기 배터리 커버에는 기하학적 무늬를 포함하는 패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37항에 있어서,상기 기하학적 무늬는 격자 또는 빗살무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37항에 있어서,상기 패턴부는 수지물을 메탈 베이스에 코팅 또는 사출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OLED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윈도우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된 시각 정보가 보이도록 투광성 영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41항에 있어서,상기 윈도우는 강화유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윈도우의 상기 제1영역에는 선택 가능한 리스트가 표시되며,상기 리스트에는 커서 또는 포인터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43항에 있어서,상기 키는 상기 리스트에 위치한 커서 또는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는 방향키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휴대 단말기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되는 센싱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45항에 있어서,상기 센싱 유닛은 상기 키에 터치가 이루어지면, 상기 터치를 감지하여 터치 신호를 제어부에 인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47항에 있어서,상기 인터페이스는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48항에 있어서,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단말기 바디의 일측에 배치되며,상기 외장형 카드는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UIM(User Identity Module) 또는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단말기 바디의 일 측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형성되는 방송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51항에 있어서,상기 부가 데이터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채널 리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영역과 제2영역을 구비하는 단말기 바디;상기 단말기 바디에 장착되고, 상기 제1 및 제2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을 구비하는 윈도우;상기 윈도우의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윈도우의 상기 제1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시각 정보를 표시하도록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상기 윈도우의 상기 제2영역에 대응되는 부분 내의 기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는 키;상기 윈도우의 상기 제2영역에 대응되는 부분 내에 형성되는 관통홀;상기 윈도우의 배면에 배치되어 상기 시각 정보에 대한 상기 윈도우 상의 터치 및 상기 키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관통홀에 대응되는 홀을 구비하는 터치시트; 및상기 관통홀 및 상기 홀 내에 누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커니컬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Priority Applications (1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13394A KR101301522B1 (ko) | 2007-11-07 | 2007-11-07 | 휴대 단말기 |
TW097125382A TWI406551B (zh) | 2007-11-06 | 2008-07-04 | 行動式終端機 |
MX2008008909A MX2008008909A (es) | 2007-11-06 | 2008-07-10 | Terminal movil. |
US12/172,522 US8249661B2 (en) | 2007-11-06 | 2008-07-14 | Mobile terminal |
EP14151191.5A EP2722738B1 (en) | 2007-11-06 | 2008-09-04 | Mobile terminal |
ES08163667.2T ES2468245T3 (es) | 2007-11-06 | 2008-09-04 | Terminal móvil con teclado y pantalla táctil |
PL08163667T PL2058727T3 (pl) | 2007-11-06 | 2008-09-04 | Terminal przenośny z gładzikiem i ekranem dotykowym |
EP08163667.2A EP2058727B1 (en) | 2007-11-06 | 2008-09-04 | Mobile terminal with touchpad and touchscreen |
DE202008018311U DE202008018311U1 (de) | 2007-11-06 | 2008-09-04 | Mobiles Endgerät |
JP2008259500A JP4849483B2 (ja) | 2007-11-06 | 2008-10-06 | 移動端末機 |
CN201410008368.2A CN103761040B (zh) | 2007-11-06 | 2008-11-06 | 移动终端 |
CN200810176144.7A CN101431552B (zh) | 2007-11-06 | 2008-11-06 | 移动终端 |
US13/544,591 US8447364B2 (en) | 2007-11-06 | 2012-07-09 | Mobile terminal |
US13/865,565 US8712479B2 (en) | 2007-11-06 | 2013-04-18 | Mobi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13394A KR101301522B1 (ko) | 2007-11-07 | 2007-11-07 | 휴대 단말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47302A KR20090047302A (ko) | 2009-05-12 |
KR101301522B1 true KR101301522B1 (ko) | 2013-09-04 |
Family
ID=40856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13394A KR101301522B1 (ko) | 2007-11-06 | 2007-11-07 | 휴대 단말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01522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39993A (ja) * | 1996-07-26 | 1998-02-13 | Fujitsu Kiden Ltd | 透明タッチパネル及びそれを利用した入力装置 |
KR20040004365A (ko) * | 2000-08-17 | 2004-01-13 | 노키아 코포레이션 | 휴대용 전자 장치의 키 매트에 키 조명이 통합된 장치 |
KR20070023147A (ko) * | 2005-08-23 | 2007-02-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정보의 연속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그 방법 |
-
2007
- 2007-11-07 KR KR1020070113394A patent/KR10130152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39993A (ja) * | 1996-07-26 | 1998-02-13 | Fujitsu Kiden Ltd | 透明タッチパネル及びそれを利用した入力装置 |
KR20040004365A (ko) * | 2000-08-17 | 2004-01-13 | 노키아 코포레이션 | 휴대용 전자 장치의 키 매트에 키 조명이 통합된 장치 |
KR20070023147A (ko) * | 2005-08-23 | 2007-02-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정보의 연속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그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47302A (ko) | 2009-05-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01521B1 (ko) | 휴대 단말기 | |
JP4849483B2 (ja) | 移動端末機 | |
TWI387906B (zh) | 行動式終端機 | |
KR101485392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437991B1 (ko) | 휴대 단말기 | |
EP1887597B1 (en) | Mobile terminal | |
KR20110054482A (ko) | 이동 단말기 | |
KR101649626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301522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772078B1 (ko) | 이동 단말기 | |
KR20100025412A (ko) | 휴대 단말기 | |
KR20140001701A (ko) | 이동 단말기 | |
KR20090076109A (ko) | 휴대 단말기 | |
KR101409872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490167B1 (ko) | 휴대 단말기 | |
KR20090034659A (ko) | 휴대 단말기 | |
KR101474443B1 (ko) | 휴대 단말기 | |
KR20110058524A (ko) | 이동 단말기 | |
KR20100129029A (ko) | 터치 입력 유닛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 |
KR20090008927A (ko) | 터치 패널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 | |
KR20090030101A (ko) | 휴대 단말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0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11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11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3022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0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4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1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8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8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7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7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2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