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9626B1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49626B1 KR101649626B1 KR1020090079962A KR20090079962A KR101649626B1 KR 101649626 B1 KR101649626 B1 KR 101649626B1 KR 1020090079962 A KR1020090079962 A KR 1020090079962A KR 20090079962 A KR20090079962 A KR 20090079962A KR 101649626 B1 KR101649626 B1 KR 1016496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emitting
- touch
- emitting elements
- light
- ke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5)
- 서로 결합되는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 사이에서 슬라이드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드홀이 형성되는 본체;상기 본체에 체결되고, 상기 슬라이드홀에 수용될 수 있게 슬라이드 방향으로 형성되어 일부가 전방으로 노출되는 제1 상태와 상기 노출된 부분이 본체에 의해 가려지는 제2 상태를 구현하는 투광성 슬라이더; 및상기 슬라이더의 전면에 장착되는 투광성 터치 입력부를 포함하고,상기 슬라이더는,상기 본체에 슬라이드되어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거나 본체로부터 인출될 수 있게 구성되는 투광성의 슬라이드부; 및상기 슬라이드부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슬라이드부에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드부와의 사이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2 상태에서 리어 케이스를 덮도록 형성되는 투광성의 커버부를 포함하고,상기 투광성 터치 입력부는,복수의 키 영역을 구비하며, 투광성 재질로 형성되는 투광성 키패드;상기 투광성 키패드의 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키 영역에 가해진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투광성의 제1도전패턴을 구비하는 제1투광시트;상기 키 영역들의 후방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키 영역들을 개별 조명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들; 및상기 발광소자들을 지지하며, 상기 발광소자들에 발광신호가 인가될 수 있도록 상기 발광소자들과 연결된 투광성의 제2도전패턴을 구비하는 제2투광시트를 포함하고,상기 제1도전패턴에서 발생하는 터치 신호를 근거로 상기 발광소자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상기 투광성 키패드에 방향 터치가 가해짐에 따라 가해진 방향 터치에 대응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상기 제1 및 제2 도전패턴은 방향 터치를 감지하고, 상기 방향 터치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방향성을 가지며,상기 제어부는 상기 투광성 키패드에 상기 방향 터치가 가해짐에 따라 상기 방향 터치의 궤적 상에 위치한 발광소자들을 순차적으로 동작시키며,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투광성 키패드에 방향 터치가 가해짐에 따라 방향 터치에 대응되는 정보를 표시하고,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제1 및 제2 도전패턴과 연결되고, 상기 키 영역을 조명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도전패턴으로부터 발광 신호를 수신하며,상기 제1 및 제2 도전패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발광소자의 양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도전패턴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발광소자의 음극에 연결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키 영역들에는 문자, 숫자, 기호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며,상기 발광소자들은 상기 키 영역들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터치된 키 영역에 대응되는 발광소자들을 동작시키거나 터치된 키 영역의 주변 영역에 대응되는 발광소자들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방향 터치의 방향에 대응되게 출력 화면을 이동시키거나 상기 방향 터치의 궤적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서로 결합되는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 사이에서 슬라이드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드홀이 형성되는 본체; 및상기 본체에 체결되고, 상기 슬라이드홀에 수용될 수 있게 슬라이드 방향으로 형성되어 일부가 전방으로 노출되는 제1 상태와 상기 노출된 부분이 본체에 의해 가려지는 제2 상태를 구현하는 투광성 슬라이더; 및상기 슬라이더의 전면에 장착되는 투광성 터치 입력부를 포함하고,상기 슬라이더는,상기 본체에 슬라이드되어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거나 본체로부터 인출될 수 있게 구성되는 투광성의 슬라이드부; 및상기 슬라이드부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슬라이드부에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드부와의 사이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2 상태에서 리어 케이스를 덮도록 형성되는 투광성의 커버부를 포함하고,상기 투광성 터치 입력부는,복수의 키 영역을 구비하며, 투광성 재질로 형성되는 투광성 키패드;상기 키 영역들의 후방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키 영역들을 개별 조명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들;상기 투광성 키패드의 후면에 배치되며, 상기 발광 소자들을 지지하는 투광시트; 및상기 투광시트 상에 투광성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키 영역에 가해진 터치를 감지함과 아울러 상기 발광소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광소자들에 발광신호가 인가되도록 하는 도전패턴을 포함하고,상기 도전패턴에서 발생하는 터치 신호를 근거로 상기 발광소자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상기 투광성 키패드에 방향 터치가 가해짐에 따라 가해진 방향 터치에 대응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상기 도전패턴은 방향 터치를 감지하고, 상기 방향 터치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방향성을 가지며,상기 제어부는 상기 투광성 키패드에 상기 방향 터치가 가해짐에 따라 상기 방향 터치의 궤적 상에 위치한 발광소자들을 순차적으로 동작시키며,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투광성 키패드에 방향 터치가 가해짐에 따라 방향 터치에 대응되는 정보를 표시하고,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도전패턴과 연결되고, 상기 키 영역을 조명하기 위하여 상기 도전패턴으로부터 발광 신호를 수신하는 이동 단말기.
- 제8항에 있어서,상기 키 영역들에는 문자, 숫자, 기호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며,상기 발광소자들은 상기 키 영역들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패턴은,일단이 상기 발광소자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키 영역의 일부 면적을 차지하는 제1패턴; 및일단이 상기 발광소자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기 제1패턴과 함께 상기 키 영역에 대응되는 터치 영역을 형성하는 제2패턴; 및상기 제1 및 제2패턴의 타단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발광소자들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와 연결되는 투명 배선들을 포함하고,상기 제1 및 제2 패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발광소자의 양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패턴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발광소자의 음극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터치 신호를 처리하는 제1인터페이스와, 상기 발광소자의 동작을 위한 발광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상기 제1 및 제2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및 제2패턴에 각각 병렬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삭제
- 삭제
- 제8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터치된 키 영역에 대응되는 발광소자들을 동작시키거나 터치된 키 영역의 주변 영역에 대응되는 발광소자들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79962A KR101649626B1 (ko) | 2009-08-27 | 2009-08-27 | 이동 단말기 |
US12/827,900 US9244534B2 (en) | 2009-08-27 | 2010-06-30 | Mobile terminal |
EP10006803.0A EP2290493B1 (en) | 2009-08-27 | 2010-07-01 | Mobi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79962A KR101649626B1 (ko) | 2009-08-27 | 2009-08-27 | 이동 단말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22386A KR20110022386A (ko) | 2011-03-07 |
KR101649626B1 true KR101649626B1 (ko) | 2016-08-19 |
Family
ID=43216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79962A Expired - Fee Related KR101649626B1 (ko) | 2009-08-27 | 2009-08-27 | 이동 단말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9244534B2 (ko) |
EP (1) | EP2290493B1 (ko) |
KR (1) | KR10164962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95818B1 (ko) * | 2010-07-28 | 2017-01-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가상 키 패드 제어 방법 |
FR2965438B1 (fr) * | 2010-09-23 | 2013-07-05 | Sagem Wireless | Terminal mobile comprenant un boitier comportant deux parties mobiles l'une par rapport a l'autre |
US10142448B2 (en) | 2011-03-04 | 2018-11-27 | Blackberry Limited | Separable mobile device having a control module and a docking station module |
TW201317834A (zh) * | 2011-10-21 | 2013-05-01 | Eturbotouch Technology Inc | 可攜式電子裝置 |
US9147058B2 (en) | 2012-10-12 | 2015-09-29 | Apple Inc. | Gesture entry techniques |
US9372970B2 (en) * | 2012-10-12 | 2016-06-21 | Apple Inc. | Gesture entry techniques |
US10474409B2 (en) * | 2014-09-19 | 2019-11-12 | Lenovo (Beijing) Co., Ltd. | Response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
US9696817B2 (en) * | 2015-07-09 | 2017-07-04 | Blackberry Limited |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keyboard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361860B2 (en) | 2001-11-20 | 2008-04-22 | Touchsensor Technologies, Llc | Integrated touch sensor and light apparatus |
TW537490U (en) * | 2002-07-05 | 2003-06-11 | Quanta Comp Inc | Structure of touch pad buttons |
US20040041791A1 (en) | 2002-08-30 | 2004-03-04 | Mr. Garrett Dunker | Keyboard touchpad combination |
JP4363205B2 (ja) * | 2004-02-05 | 2009-11-11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携帯端末装置 |
US7160043B2 (en) | 2004-03-17 | 2007-01-09 | Wen Lung Cheng | Keyboard having lighting device |
ATE532317T1 (de) * | 2005-04-06 | 2011-11-15 | Nokia Corp | Erweiterbares mobiles elektronisches gerät |
JP2006313709A (ja) | 2005-05-09 | 2006-11-16 | Hosiden Corp | El照光式スイッチ |
KR100751943B1 (ko) | 2006-03-28 | 2007-08-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외장 케이스 및 이를 갖는 휴대 단말기 |
KR100772914B1 (ko) | 2006-06-19 | 2007-11-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광 차폐를 이용한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
KR101303155B1 (ko) * | 2007-03-16 | 2013-09-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 |
KR100804550B1 (ko) | 2006-10-19 | 2008-02-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키패드 어셈블리 |
US20080207254A1 (en) | 2007-02-27 | 2008-08-28 | Pierce Paul M | Multimodal Adaptive User Interfac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
TWI339806B (en) | 2007-04-04 | 2011-04-01 | Htc Corp |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executing commands therein and method for executing commands in the same |
EP2135154B1 (en) * | 2007-04-12 | 2017-10-25 | Nokia Technologies Oy | Keypad |
JP4791427B2 (ja) | 2007-09-19 | 2011-10-12 |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 El発光式タッチスイッチ |
KR100904960B1 (ko) | 2007-11-09 | 2009-06-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 |
US8064973B2 (en) * | 2007-12-20 | 2011-11-22 | Nokia Corporation | Electronic device with integrated slide |
JP2009170194A (ja) | 2008-01-15 | 2009-07-30 | Panasonic Corp | タッチパネル及びこれを用いた可動接点体とスイッチ |
US20090194344A1 (en) * | 2008-01-31 | 2009-08-06 |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 Single Layer Mutual Capacitance Sensing Systems, Device, Components and Methods |
KR101474447B1 (ko) * | 2008-07-07 | 2014-12-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 |
KR101097453B1 (ko) * | 2008-09-09 | 2011-12-23 | 네오뷰코오롱 주식회사 | 키패드 장치,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 및 키패드 제어 방법 |
US8576179B2 (en) * | 2008-11-26 | 2013-11-05 | Motorola Mobility Llc | Slider form factor devices and methods for morphing indicia visible through a transparent member |
-
2009
- 2009-08-27 KR KR1020090079962A patent/KR101649626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
- 2010-06-30 US US12/827,900 patent/US9244534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07-01 EP EP10006803.0A patent/EP2290493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290493A2 (en) | 2011-03-02 |
US9244534B2 (en) | 2016-01-26 |
US20110050583A1 (en) | 2011-03-03 |
EP2290493B1 (en) | 2020-02-12 |
KR20110022386A (ko) | 2011-03-07 |
EP2290493A3 (en) | 2014-09-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31958B1 (ko) |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 |
KR101658084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613555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639406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529916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545584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398141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610207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533850B1 (ko) | 전자 종이를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에 적용된 제어방법 | |
KR101649626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821286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969801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901610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631907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602302B1 (ko) | 이동 단말기 | |
KR20150059470A (ko) | 이동 단말기 | |
KR101613934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에 적용된 케이싱의 제조방법 | |
KR101561906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951415B1 (ko) | 이동 단말기 | |
KR20130037121A (ko) | 이동 단말기 | |
KR101688140B1 (ko) | 키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 |
KR101622642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10002366A (ko) | 이동 단말기 | |
KR20150016808A (ko) | 이동 단말기 | |
KR101578726B1 (ko) | 이동 단말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2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8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8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0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603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10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3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111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52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604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3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111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8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8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