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73553B1 -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 및 이를위한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 및 이를위한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3553B1
KR100773553B1 KR1020060044397A KR20060044397A KR100773553B1 KR 100773553 B1 KR100773553 B1 KR 100773553B1 KR 1020060044397 A KR1020060044397 A KR 1020060044397A KR 20060044397 A KR20060044397 A KR 20060044397A KR 100773553 B1 KR100773553 B1 KR 100773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terminal
button
buttons
displa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4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준일
최은석
방원철
김동윤
김연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4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3553B1/ko
Priority to US11/704,256 priority patent/US8024004B2/en
Priority to EP07075191A priority patent/EP1857910A3/en
Priority to JP2007077394A priority patent/JP2007312360A/ja
Priority to CN2007100894875A priority patent/CN101076166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3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355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방법이 개시된다. 그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에 미치는 중력 가속도를 상기 단말기에 대해 고정적인 좌표상에서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의 기울어진 모습을 산출하는 산출부와, 복수의 영상을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버튼 및 미리 마련된 영상 데이터 중 상기 산출된 결과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영상의 디스플레이를 지시하는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방법 {Terminal having display button and method of displaying using the display butt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폴더형 휴대 전화기의 펼쳐진 모습의 일 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 전화기를 이용하여 전화를 거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휴대 전화기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발신하거나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2에 도시된 휴대 전화기에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a 내지 도 6j는 도 2에 도시된 휴대 전화기를 이용하여 문자 메시지를 발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휴대 전화기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휴대 전화기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들 중 하나의 영상 데이터를 검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도 2에 도시된 휴대 전화기에 저장된 음악 데이터들 중 하나의 음악 데이터를 검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들이다.
도 10의 (a), (b), (c)는 도 2에 도시된 휴대 전화기의 각 버튼마다, 백라이트의 밝기 또는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밝기가 그 휴대 전화기의 기울어진 모습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를 위한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와 같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기와 같은 단말기는 다수의 버튼(button)을 구비함이 일반적이다. 이 때,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그러한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그 단말기에서 수행 가능한 다양한 기능 예를 들어, 전화 걸기 기능, 문자 메시지 작성 및 발신 기능, 및 동영상 파일 재생 기능 중 특정 기능을 선택하며, 그 단말기는 그 선택된 특정 기능을 수행한다.
결국, 단말기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이 많으면 많을 수록, 특정 기능을 선택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보다 많은 횟수의 버튼 조작을 수행하는 번거로움을 감수해야만 한다. 단순히 전화 통화 기능만 가능한 전화기보다는, 전화 통화 기능, 음악 재생 기능, 동영상 재생 기능, 인터넷 서핑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전화기가 보다 시장 경쟁력을 갖는 것이 최근의 실정임을 감안할 때, 현재의 버튼 체계 하에서 그러한 번거로움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단말기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이 많으면 많을 수록, 각각의 버튼이 갖는 용도가 많아질 수 밖에 없어, 각각의 버튼마다 그 버튼의 용도를 표현하고자 그 버튼의 표면에 표기되는 문자의 크기가 작아져, 시력이 약한 사람은 각각의 버튼 조작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버튼 횟수를 줄이고자 단말기에 많은 수의 버튼을 마련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도 있으나, 제품의 소형화를 추구하는 요즘의 추세에 부응한다면, 단말기에 마련된 버튼의 크기가 작아질 수 밖에 없어, 버튼 조작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제1 기술적 과제는, 단말기의 기울어진 모습에 따라 결정되는 복수의 영상을 그 단말기에 구비된 복수의 버튼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제2 기술적 과제는, 단말기의 기울어진 모습의 변화 추이에 따라 결정되는 복수의 영상을 그 단말기에 구비된 복수의 버튼에 디스플 레이하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제3 기술적 과제는, 단말기의 기울어진 모습에 따라 결정되는 복수의 영상을 그 단말기에 구비된 복수의 버튼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를 위한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제4 기술적 과제는, 단말기의 기울어진 모습의 변화 추이에 따라 결정되는 복수의 영상을 그 단말기에 구비된 복수의 버튼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를 위한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제1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에 미치는 중력 가속도를 상기 단말기에 대해 고정적인 좌표상에서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의 기울어진 모습을 산출하는 산출부와, 복수의 영상을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버튼 및 미리 마련된 영상 데이터 중 상기 산출된 결과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영상의 디스플레이를 지시하는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에 미치는 중력 가속도를 상기 단말기에 대해 고정적인 좌표상에서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의 기울어진 모습을 산출하는 산출부와, 복수의 영상을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버튼 및 미리 마련된 영상 데이터 중 상기 산출된 결과의 변화 추이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영상의 디스플레이를 지시하는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복수의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단말기에 미치는 중력 가속도를 상기 단말기에 대해 고정적인 좌표상에서 감지하는 (a) 단계와, 상기 감지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의 기울어진 모습을 구하는 (b) 단계 및 미리 마련된 영상 데이터 중 상기 구해진 결과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복수의 영상을 상기 복수의 버튼에 디스플레이하는 (c)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복수의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단말기에서 수행 가능한 복수의 상위 기능에 대응되는 복수의 영상을 상기 복수의 버튼에 디스플레이하는 (a) 단계와, 상기 단말기에 미치는 중력 가속도를 상기 단말기에 대해 고정적인 좌표상에서 감지하는 (b) 단계와, 상기 감지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의 기울어진 모습을 구하고, 상기 복수의 상위 기능 중 상기 구해진 결과에 상응하는 상위 기능을 선택하는 (c)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상위 기능에 속하는 복수의 하위 기능에 대응되는 복수의 영상을 상기 복수의 버튼에 디스플레이하는 (d)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복수의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수 행되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단말기에 미치는 중력 가속도를 상기 단말기에 대해 고정적인 좌표상에서 감지하는 (a) 단계와, 상기 감지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의 기울어진 모습을 구하는 (b) 단계 및 미리 마련된 영상 데이터 중 상기 구해진 결과의 변화 추이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복수의 영상을 상기 복수의 버튼에 디스플레이하는 (c)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그 첨부 도면을 설명하는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방법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감지부(110), 산출부(120), 복수의 버튼(130), 제어부(140), 저장부(150), 및 메인(main) 디스플레이부(16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의 버튼(130)은 제1 버튼(130-1) 내지 제N 버튼(130-N)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 n, 및 N은 1≤n≤N (단, N은 2이상의 정수)인 정수이다.
감지부(110)는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부(110)는 단말기에 미치는 중력 가속도를 그 단말기에 대해 고정적인 좌표상에서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그 단말기에 대해 고정적인 좌표란 그 단말기가 기울어질 경우 그 단말기와 함께 기울어지는 좌표를 의미한다. 설명의 편의상, 그 단말기에 대해 고정적인 좌표는, 직교(orthogonal)하는 x, y, z 축으로 이루어진 3차원의 좌표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 단말기가 기울어지면, 각 x, y, z축의 방향도 기울어진다. 예컨대, 단말기가 서쪽 방향으로 30도 기울어진다면, x축, y축, z축의 방향 모두가 서쪽 방향으로 30도 기울어진다. 이와 같이, 그 단말기에 대해 고정적인 좌표가 직교하는 x, y, z축으로 이루어져 있다면, 감지부(110)는 단말기에 미치는 중력 가속도를 x, y, z축의 각 성분별로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가 기울어지면, 감지부(110)에서 감지된 각 성분별 중력 가속도가 변경된다. 예컨대, 단말기가 어느 방향으로도 조금도 기울어지지 않았을 경우, 단말기에 미치는 중력 가속도에 z축 성분만이 존재한다면, 단말기가 기울어지는 경우, 단말기에 미치는 z축 성분의 중력 가속도는 줄어들고, x축, 및 y축 성분 중 적어도 하나의 중력 가속도는 증가한다.
이러한 감지부(110)는 단말기에 구비된 소정 버튼이 조작된 경우에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조작은 가압을 의미할 수도 있고, 접촉을 의미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는 것, 사용자가 버튼에 손가락 끝을 대는 것 등은 그러한 버튼 조작의 일 례들이다.
감지부(110)는 사용자가 그 소정 버튼을 지속적으로 누르고 있는 경우에 동작하고, 그 누르고 있던 소정 버튼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떼는 경우에 그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감지부(110)는 사용자가 그 소정 버튼에 손가락을 지속적으로 접촉하는 경우에 동작하고, 그 접촉하고 있던 소정 버튼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떼는 경우에 그 동작을 중단할 수도 있다.
한편, 감지부(110)는 그 소정 버튼의 조작이 개시된 시점과 종료된 시점에만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감지부(110)는 사용자가 그 소정 버튼을 누른 경우에 동작을 개시하고, 사용자가 그 소정 버튼을 재차 누른 경우에 그 동작을 중단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감지부(110)는 사용자가 그 소정 버튼에 접촉한 경우에 동작을 개시하고, 사용자가 그 소정 버튼에 재차 접촉한 경우에 그 동작을 중단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감지부(110)는 단속적으로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감지부(110)가 동작을 개시하는 시점에, 단말기는 항상 기울어있지 않다고 가정한다. 또한, 감지부(110)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그 소정 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 동작한다고 가정한다.
감지부(110)는 자신이 감지한 결과를 산출부(120)로 출력한다.
산출부(120)는 감지부(110)로부터 입력된 '그 감지된 결과'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기울어진 모습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상에서, 단말기의 기울어진 모습이란, 단말기의 기울어진 방향 및 단말기의 기울어진 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하면, 산출부(120)는 사용자가 그 소정 버튼에서 손가락을 뗄 당시의 그 단말기의 기울어진 모습을 산출한다. 이를 위해, 산출부(120)는 감지부(110)로부터 입력된 '그 감지된 결과' 중 가장 나중에 감지된 결과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기울어진 모습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산출부(120)는 사용자가 그 소정 버튼을 누르고 있는 매 순간마다의 그 단말기의 기울어진 모습을 산출한다. 이를 위해, 산출부(120)는 감지부(110)로부터 입력된 매 순간마다의 '그 감지된 결과'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기울어진 모습을 각 시점별로 산출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130)은 복수의 영상 예를 들어, N개의 영상을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이를 위해, 복수의 버튼(130-1, ..., 130-n, ..., 130-N)은 그 복수의 영상을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서브 디스플레이부(미 도시)를 구비한다. 이 때, 서브 디스플레이부(미 도시)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panel)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40)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신호는 미리 마련된 영상 데이터 중 산출부(120)에서 산출된 그 '단말기의 기울어진 모습'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가 갖는 복수의 영상의 디스플레이를 지시하는 신호이다. 구체적으로, k(단, k는 자연수)번째 생성된 제어신호는, 미리 마련된 영상 데이터 중 '복수의 버튼(130)에서 k-1번째 디스플레이되는 복수의 영상' 및 '단말기의 k번째 기울어진 모습'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복수의 영상의 디스플레이를 지시하는 신호이다.
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신호는 미리 마련된 영상 데이터 중 산출부(120)에서 산출된 그 '단말기의 기울어진 모습'의 변화 추이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가 갖는 복수의 영상의 디스플레이를 지시하는 신호이다. 구체적으로, k번째 생성된 제어신호는, 미리 마련된 영상 데이터 중 '복수의 버튼(130)에서 k-1 번째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영상' 및 '단말기의 기울어진 모습의 k번째 변화 추이'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복수의 영상의 디스플레이를 지시하는 신호이다.
한편, 복수의 버튼(130)이 k번째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영상은 제어부(140)가 k번째 생성하는 제어신호에 상응하여 결정된다. 즉, 제어부(140)는, '단말기가 소정 버튼이 조작된 채 기울어진 후, 그 소정 버튼의 조작이 해제될 때'마다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복수의 버튼(130)에 디스플레이되는 복수의 영상은 그 제어신호가 생성될 때마다 갱신될 수 있다.
저장부(150)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의 내부에 마련될 수도 있고, 외부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감지부(110), 산출부(120), 복수의 버튼(130), 제어부(140), 및 메인 디스플레이부(160)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미리 마련된 영상 데이터는 그러한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하면, 저장부(150)는 '단말기의 기울어진 모습'별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저장부(150)는 '단말기의 기울어진 모습의 변화 추이'별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140)는 그 미리 마련된 영상 데이터 중 '단말기의 k번째 기울어진 모습'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부(150) 에서 k번째 독출하고, 그 k번째 독출된 영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복수의 영상의 디스플레이를 지시하는 신호인 제어신호를 k번째 생성하고, 그 k번째 생성된 제어신호와 그 k번째 독출된 영상 데이터를 복수의 버튼(130) 각각에 전달한다. 그에 따라, 복수의 버튼(130)은 복수의 영상을 k번째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140)는 그 미리 마련된 영상 데이터 중 '단말기의 기울어진 모습의 k번째 변화 추이'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부(150)에서 k번째 독출하고, 그 k번째 독출된 영상 데이터가 갖는 복수의 영상의 디스플레이를 지시하는 신호인 제어신호를 k번째 생성하고, 그 k번째 생성된 제어신호와 그 k번째 독출된 영상 데이터를 복수의 버튼(130) 각각에 전달한다. 그에 따라, 복수의 버튼(130)은 복수의 영상을 k번째 디스플레이한다.
메인 디스플레이부(160)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이러한 메인 디스플레이부(160)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는 출력 장치로서만 동작할 수도 있고, 터치 스크린(touch screen)과 같이 입출력 장치로서 동작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폴더형 휴대 전화기의 펼쳐진 모습의 일 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는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가 휴대 전화기로 구현된 경우를 나타낸다. 여기서, 단말기에는 13개의 버튼(205 내지 265)이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식별번호 205, 210, 215, 220, 225, 230, 235, 240, 245, 250, 255, 260은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제7, 제8, 제9, 제10, 제11, 제12, 제13 버튼을 의미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기 능을 갖는 복수의 버튼은 제1 내지 제12 버튼(205 내지 260)이고, 전술한 소정 버튼은 제13 버튼(265)이다. 소정 버튼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복수의 버튼과 별개의 버튼일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복수의 버튼 중 하나의 버튼일 수도 있다. 한편, 식별번호 270은 휴대 전화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창을 의미한다. 그러한 디스플레이 창은 도 1에 도시된 메인 디스플레이부(160)의 가능한 구현 례이다.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은 사용자가 휴대 전화기의 폴더를 연 즉시, 그 휴대 전화기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컨대, 휴대 전화기에서 전화 통화 기능, 메시지 기능, 인터넷 서핑 기능, 촬영 기능, 음악 검색 기능, 음악 재생 기능, 정지영상 검색 기능, 정지영상 재생 기능, 동영상 검색 기능, 및 동영상 재생 기능 등이 수행 가능하다면,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은 그 기능들을 의미하는 영상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9에 대한 설명을 개시하되,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한해 개시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 전화기를 이용하여 전화를 거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전화 통화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된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휴대 전화기가 전화 통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전화 통화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된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 시작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통화 종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0 내지 9의 숫자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휴대 전화기는, 사용자가 전화 통화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된 버튼을 조작하지 않더라도, 전화 통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제13 버튼(265)을 누른 채 휴대 전화기를 북쪽 방향으로 45도 만큼 기울이고 난 뒤, 제13 버튼(265)에서 손가락을 뗌으로써,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 시작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통화 종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0 내지 9의 숫자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저장부(150)는, 휴대 전화기가 '북쪽 방향으로 45도 만큼 기울어진 경우'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 중의 하나로서, 통화 시작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통화 종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0 내지 9의 숫자들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제어부(140)는 휴대 전화기가 '북쪽 방향으로 45도 만큼 기울어진 경우(단, 기울어지기 직전의 휴대 전화기는 초기 상태에 있음)'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로서, 통화 시작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통화 종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0 내지 9의 숫자들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부(150)에서 독출한다. 여기서, 초기 상태란 휴대 전화기의 폴더가 열린 직후의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그 독출된 영상 데이터가 갖는 복수의 영상의 디스플레이를 지시하는 신호인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제어신호와 그 독출된 영상 데이터를 복수의 버튼(130) 각각에 전달한다. 그에 따라, 복수의 버튼(1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 시작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통화 종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0 내지 9의 숫자들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휴대 전화기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발신하거나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메시지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된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휴대 전화기가 메시지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메시지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된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 특히, 제6 버튼(230) 및 제10 버튼(250)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휴대 전화기는, 사용자가 메시지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된 버튼을 조작하지 않더라도, 메시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제13 버튼(265)을 누른 채 휴대 전화기를 남쪽 방향으로 45도 만큼 기울이고 난 뒤, 제13 버튼(265)에서 손가락을 뗌으로써,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된 메시지의 확인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메시지 작성 및 발신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저장부(150)는, 휴대 전화기가 '남쪽 방향으로 45도 만큼 기울어진 경우'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 중의 하나로서, 수신된 메시지의 확인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메시지 작성 및 발신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제어부(140)는 휴대 전화기가 '남쪽 방향으로 45도 만큼 기울어진 경우(단, 기울어지기 직전의 휴 대 전화기는 초기 상태에 있음)'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로서, 수신된 메시지의 확인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메시지 작성 및 발신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부(150)에서 독출한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그 독출된 영상 데이터가 갖는 복수의 영상의 디스플레이를 지시하는 신호인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제어신호와 그 독출된 영상 데이터를 복수의 버튼(130) 각각에 전달한다. 그에 따라, 복수의 버튼(1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된 메시지의 확인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메시지 작성 및 발신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2에 도시된 휴대 전화기에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사용자가 도 4에 도시된 휴대 전화기의 제6 버튼(230)을 조작한다면, 디스플레이 창(270)은 수신된 메시지 확인과 관련된 카테고리 예를 들어, '문자 사서함', '음성 사서함', '영상 사서함', '수신함 관리하기'를 디스플레이하고,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은 그 디스플레이 창(570)에 나타난 카테고리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화살표들, 확인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상위 기능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고 가정하자.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은, 사용자가 도 4에 도시된 제6 버튼(230)을 조작하지 않더라도, 디스플레이 창(570)에 나타난 카테고리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화살표들, 확인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제13 버튼(265)을 누른 채 휴대 전화기를 서쪽 방향으로 45도 만큼 기울이고 난 뒤, 제13 버튼(265)에서 손가락을 뗌으로써,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창(570)에 나타난 카테고리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화살표들, 확인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를 위해, 저장부(150)는, 휴대 전화기가 '서쪽 방향으로 45도 만큼 기울어진 경우'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 중의 하나로서, 디스플레이 창(570)에 나타난 카테고리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화살표들, 확인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제어부(140)는 휴대 전화기가 '서쪽 방향으로 45도 만큼 기울어진 경우(단,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은 휴대 전화기가 기울어지기 직전에 메시지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함)'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로서, 디스플레이 창(570)에 나타난 카테고리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화살표들, 확인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부(150)에서 독출한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그 독출된 영상 데이터가 갖는 복수의 영상의 디스플레이를 지시하는 신호인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제어신호와 그 독출된 영상 데이터를 복수의 버튼(130) 각각에 전달한다. 그에 따라, 복수의 버튼(130)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창(570)에 나타난 카테고리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화살표들, 확인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사용자가 도 5a에 도시된 휴대 전화기의 제4 버튼(220)을 조작한다면, 디스플레이 창(270)은 문자 사서함에 보관된 문자 메시지들을 디스플레이하고,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은 그 디스플레이된 문자 메시지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화살표들, 확인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디스플레이 창(270)은 문자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함에 있어, 각각의 문자 메시지마다 문자 메시지의 시작 부분만을 디스플레이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은, 사용자가 도 5a에 도시된 제4 버튼(220)을 조작하지 않더라도, 디스플레이 창(570)에 디스플레이된 문자 메시지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화살표들, 확인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제13 버튼(265)을 누른 채 휴대 전화기를 서쪽 방향으로 45도 만큼 기울이고 난 뒤, 제13 버튼(265)에서 손가락을 뗌으로써,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창(570)에 디스플레이된 문자 메시지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화살표들, 확인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를 위해, 저장부(150)는, 휴대 전화기가 '서쪽 방향으로 45도 만큼 기울어진 경우'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 중의 하나로서, 디스플레이 창(570)에 디스플레이된 문자 메시지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화살표들, 확인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제어부(140)는 휴대 전화기가 '서쪽 방향으로 45도 만큼 기울어진 경우(단,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은 휴대 전화기가 기울어지기 직전에, 디스플레이 창(570)에 나타난 카테고리들 중 하나 를 선택하기 위한 화살표들, 확인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함)'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로서, 디스플레이 창(570)에 디스플레이된 문자 메시지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화살표들, 확인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부(150)에서 독출한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그 독출된 영상 데이터가 갖는 복수의 영상의 디스플레이를 지시하는 신호인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제어신호와 그 독출된 영상 데이터를 복수의 버튼(130) 각각에 전달한다. 그에 따라, 복수의 버튼(130)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창(570)에 디스플레이된 문자 메시지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화살표들, 확인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1번째 문자 메시지가 선택된 상태에서 제4 버튼(220)을 조작한다면, 디스플레이 창(270)은 그 선택된 문자 메시지의 내용 전체를 디스플레이하고,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은 답장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번호 저장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삭제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그 선택된 문자 메시지를 발신한 휴대 전화로부터의 문자 메시지 수신을 거부하는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그 선택된 문자 메시지를 다른 휴대 전화기로 전달하는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고 가정하자.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은, 사용자가 도 5b에 도시된 제4 버튼(220)을 조작하지 않더라도, 답장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번호 저장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삭제 기능을 의미하는 영 상, 그 선택된 문자 메시지를 발신한 휴대 전화로부터의 문자 메시지 수신을 거부하는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그 선택된 문자 메시지를 다른 휴대 전화기로 전달하는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제13 버튼(265)을 누른 채 휴대 전화기를 서쪽 방향으로 45도 만큼 기울이고 난 뒤, 제13 버튼(265)에서 손가락을 뗌으로써,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답장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번호 저장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삭제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그 선택된 문자 메시지를 발신한 휴대 전화로부터의 문자 메시지 수신을 거부하는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그 선택된 문자 메시지를 다른 휴대 전화기로 전달하는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를 위해, 저장부(150)는, 휴대 전화기가 '서쪽 방향으로 45도 만큼 기울어진 경우'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 중의 하나로서, 답장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번호 저장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삭제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그 선택된 문자 메시지를 발신한 휴대 전화로부터의 문자 메시지 수신을 거부하는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그 선택된 문자 메시지를 다른 휴대 전화기로 전달하는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제어부(140)는 휴대 전화기가 '서쪽 방향으로 45도 만큼 기울어진 경우(단,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은 휴대 전화기가 기울어지기 직전에, 디스플레이 창(570)에 디스플레이된 문자 메시지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화살표들, 확인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함)'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로서, 답장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번호 저장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삭제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그 선택된 문자 메 시지를 발신한 휴대 전화로부터의 문자 메시지 수신을 거부하는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그 선택된 문자 메시지를 다른 휴대 전화기로 전달하는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부(150)에서 독출한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그 독출된 영상 데이터가 갖는 복수의 영상의 디스플레이를 지시하는 신호인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제어신호와 그 독출된 영상 데이터를 복수의 버튼(130) 각각에 전달한다. 그에 따라, 복수의 버튼(130)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답장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번호 저장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삭제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그 선택된 문자 메시지를 발신한 휴대 전화로부터의 문자 메시지 수신을 거부하는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그 선택된 문자 메시지를 다른 휴대 전화기로 전달하는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6a 내지 도 6j는 도 2에 도시된 휴대 전화기를 이용하여 문자 메시지를 발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사용자가 도 4에 도시된 휴대 전화기의 제10 버튼(250)을 조작한다면, 디스플레이 창(270)은 메시지 발신과 관련된 카테고리 예를 들어, '문자 메시지 작성', '음성 메시지 작성', '발신함 관리하기'를 디스플레이하고,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은 그 디스플레이 창(570)에 나타난 카테고리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화살표들, 확인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고 가정하자.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은, 사용자가 도 4에 도시된 제10 버튼(250)을 조작하지 않더라도, 디스플 레이 창(570)에 나타난 카테고리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화살표들, 확인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제13 버튼(265)을 누른 채 휴대 전화기를 동쪽 방향으로 45도 만큼 기울이고 난 뒤, 제13 버튼(265)에서 손가락을 뗌으로써,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창(570)에 나타난 카테고리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화살표들, 확인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를 위해, 저장부(150)는, 휴대 전화기가 '동쪽 방향으로 45도 만큼 기울어진 경우'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 중의 하나로서, 디스플레이 창(570)에 나타난 카테고리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화살표들, 확인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제어부(140)는 휴대 전화기가 '동쪽 방향으로 45도 만큼 기울어진 경우(단,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은 휴대 전화기가 기울어지기 직전에 메시지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함)'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로서, 디스플레이 창(570)에 나타난 카테고리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화살표들, 확인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부(150)에서 독출한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그 독출된 영상 데이터가 갖는 복수의 영상의 디스플레이를 지시하는 신호인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제어신호와 그 독출된 영상 데이터를 복수의 버튼(130) 각각에 전달한다. 그에 따라, 복수의 버튼(130)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창(570)에 나타난 카테고리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화살표들, 확인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사용자가 도 6a에 도시된 휴대 전화기의 제4 버튼(220)을 조작한다면, 디스플레이 창(270)은 문자 메시지 작성과 관련된 카테고리 예를 들어, '새 문장 쓰기', '휴대폰 호출하기'를 디스플레이하고,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은 그 디스플레이 창(570)에 나타난 카테고리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화살표들, 확인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고 가정하자.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은, 사용자가 도 6a에 도시된 제4 버튼(220)을 조작하지 않더라도, 디스플레이 창(570)에 나타난 카테고리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화살표들, 확인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제13 버튼(265)을 누른 채 휴대 전화기를 동쪽 방향으로 45도 만큼 기울이고 난 뒤, 제13 버튼(265)에서 손가락을 뗌으로써,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창(570)에 나타난 카테고리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화살표들, 확인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를 위해, 저장부(150)는, 휴대 전화기가 '동쪽 방향으로 45도 만큼 기울어진 경우'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 중의 하나로서, 디스플레이 창(570)에 나타난 카테고리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화살표들, 확인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제어부(140)는 휴대 전화기가 '동쪽 방향으로 45도 만큼 기울어진 경우(단,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은 디스플레이 창(570)에 나타난 카테고리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화살표들, 확인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함)'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로서, 디스플레이 창(570)에 나타난 카테고리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화살표들, 확인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부(150)에서 독출한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그 독출된 영상 데이터가 갖는 복수의 영상의 디스플레이를 지시하는 신호인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제어신호와 그 독출된 영상 데이터를 복수의 버튼(130) 각각에 전달한다. 그에 따라, 복수의 버튼(130)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창(570)에 나타난 카테고리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화살표들, 확인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만일, 사용자가 도 6b에 도시된 휴대 전화기의 제4 버튼(220)을 조작한다면,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은 각 종 한글 자음, 각 종 한글 모음, 문자 전환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고 가정하자.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은, 사용자가 도 6b에 도시된 제4 버튼(220)을 조작하지 않더라도, 각 종 한글 자음, 각 종 한글 모음, 문자 전환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제13 버튼(265)을 누른 채 휴대 전화기를 동쪽 방향으로 45도 만큼 기울이고 난 뒤, 제13 버튼(265)에서 손가락을 뗌으로써,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종 한 글 자음, 각 종 한글 모음, 문자 전환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를 위해, 저장부(150)는, 휴대 전화기가 '동쪽 방향으로 45도 만큼 기울어진 경우'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 중의 하나로서, 각 종 한글 자음, 각 종 한글 모음, 문자 전환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제어부(140)는 휴대 전화기가 '동쪽 방향으로 45도 만큼 기울어진 경우(단,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은 휴대 전화기가 기울어지기 직전에, 디스플레이 창(570)에 나타난 카테고리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화살표들, 확인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함)'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로서, 각 종 한글 자음, 각 종 한글 모음, 문자 전환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부(150)에서 독출한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그 독출된 영상 데이터가 갖는 복수의 영상의 디스플레이를 지시하는 신호인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제어신호와 그 독출된 영상 데이터를 복수의 버튼(130) 각각에 전달한다. 그에 따라, 복수의 버튼(130)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종 한글 자음, 각 종 한글 모음, 문자 전환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사용자가 도 6c에 도시된 휴대 전화기의 제4 버튼(220)을 조작한다면,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은 각 종 알파벳 대문자, 문자 전환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고 가정하자.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복수의 버튼(205 내 지 260)은, 사용자가 도 6c에 도시된 제4 버튼(220)을 조작하지 않더라도, 각 종 알파벳 대문자, 문자 전환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제13 버튼(265)을 누른 채 휴대 전화기를 동쪽 방향으로 45도 만큼 기울이고 난 뒤, 제13 버튼(265)에서 손가락을 뗌으로써,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은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종 알파벳 대문자, 문자 전환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를 위해, 저장부(150)는, 휴대 전화기가 '동쪽 방향으로 45도 만큼 기울어진 경우'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 중의 하나로서, 각 종 알파벳 대문자, 문자 전환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제어부(140)는 휴대 전화기가 '동쪽 방향으로 45도 만큼 기울어진 경우(단,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은 휴대 전화기가 기울어지기 직전에, 각 종 한글 자음, 각 종 한글 모음, 문자 전환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함)'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로서, 각 종 알파벳 대문자, 문자 전환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부(150)에서 독출한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그 독출된 영상 데이터가 갖는 복수의 영상의 디스플레이를 지시하는 신호인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제어신호와 그 독출된 영상 데이터를 복수의 버튼(130) 각각에 전달한다. 그에 따라, 복수의 버튼(130)은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종 알파벳 대문자, 문자 전환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도 6d에 도시된 휴대 전화기의 제4 버튼(220)을 조작한다면,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은 각 종 알파벳 소문자, 문자 전환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고 가정하자.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은, 사용자가 도 6d에 도시된 제4 버튼(220)을 조작하지 않더라도, 각 종 알파벳 소문자, 문자 전환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제13 버튼(265)을 누른 채 휴대 전화기를 동쪽 방향으로 45도 만큼 기울이고 난 뒤, 제13 버튼(265)에서 손가락을 뗌으로써,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은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종 알파벳 소문자, 문자 전환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를 위해, 저장부(150)는, 휴대 전화기가 '동쪽 방향으로 45도 만큼 기울어진 경우'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 중의 하나로서, 각 종 알파벳 소문자, 문자 전환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제어부(140)는 휴대 전화기가 '동쪽 방향으로 45도 만큼 기울어진 경우(단,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은 휴대 전화기가 기울어지기 직전에, 각 종 알파벳 대문자, 문자 전환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함)'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로서, 각 종 알파벳 소문자, 문자 전환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부(150)에서 독출한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그 독출된 영상 데이터가 갖는 복수의 영상의 디스플레이를 지시하는 신호인 제어신호를 생성 하고, 그 생성된 제어신호와 그 독출된 영상 데이터를 복수의 버튼(130) 각각에 전달한다. 그에 따라, 복수의 버튼(130)은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종 알파벳 소문자, 문자 전환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사용자가 도 6e에 도시된 휴대 전화기의 제4 버튼(220)을 조작한다면,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은 각 종 특수 기호, 문자 전환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고 가정하자.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은, 사용자가 도 6e에 도시된 제4 버튼(220)을 조작하지 않더라도, 각 종 특수 기호, 문자 전환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제13 버튼(265)을 누른 채 휴대 전화기를 동쪽 방향으로 45도 만큼 기울이고 난 뒤, 제13 버튼(265)에서 손가락을 뗌으로써,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은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종 특수 기호, 문자 전환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를 위해, 저장부(150)는, 휴대 전화기가 '동쪽 방향으로 45도 만큼 기울어진 경우'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 중의 하나로서, 각 종 특수 기호, 문자 전환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제어부(140)는 휴대 전화기가 '동쪽 방향으로 45도 만큼 기울어진 경우(단,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은 휴대 전화기가 기울어지기 직전에, 각 종 알파벳 소문자, 문자 전환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 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함)'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로서, 각 종 특수 기호, 문자 전환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부(150)에서 독출한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그 독출된 영상 데이터가 갖는 복수의 영상의 디스플레이를 지시하는 신호인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제어신호와 그 독출된 영상 데이터를 복수의 버튼(130) 각각에 전달한다. 그에 따라, 복수의 버튼(130)은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종 특수 기호, 문자 전환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사용자가 도 6f에 도시된 휴대 전화기의 제4 버튼(220)을 조작한다면,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은 각 종 이모티콘(emoticon), 문자 전환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고 가정하자. 이 때, 이모티콘은 각 종 특수 기호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은, 사용자가 도 6f에 도시된 제4 버튼(220)을 조작하지 않더라도, 각 종 이모티콘, 문자 전환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제13 버튼(265)을 누른 채 휴대 전화기를 동쪽 방향으로 45도 만큼 기울이고 난 뒤, 제13 버튼(265)에서 손가락을 뗌으로써,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은 도 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종 이모티콘, 문자 전환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를 위해, 저장부(150)는, 휴대 전화기가 '동쪽 방향으로 45도 만큼 기울어진 경우'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 중의 하나로서, 각 종 이모티콘, 문자 전환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제어부(140)는 휴대 전화기가 '동쪽 방향으로 45도 만큼 기울어진 경우(단,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은 휴대 전화기가 기울어지기 직전에, 각 종 특수 기호, 문자 전환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함)'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로서, 각 종 이모티콘, 문자 전환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부(150)에서 독출한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그 독출된 영상 데이터가 갖는 복수의 영상의 디스플레이를 지시하는 신호인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제어신호와 그 독출된 영상 데이터를 복수의 버튼(130) 각각에 전달한다. 그에 따라, 복수의 버튼(130)은 도 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종 이모티콘, 문자 전환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사용자가 도 6g에 도시된 휴대 전화기의 제4 버튼(220)을 조작한다면,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은 0 내지 9의 숫자들, 문자 전환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고 가정하자.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은, 사용자가 도 6g에 도시된 제4 버튼(220)을 조작하지 않더라도, 0 내지 9의 숫자들, 문자 전환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제13 버튼(265)을 누른 채 휴대 전화기를 동쪽 방향으로 45도 만큼 기울이고 난 뒤, 제13 버튼(265)에서 손가락을 뗌으로써,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은 도 6h에 도시된 바와 같이, 0 내지 9의 숫자들, 문자 전환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를 위해, 저장부(150)는, 휴대 전화기가 '동쪽 방향으로 45도 만큼 기울어진 경우'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 중의 하나로서, 0 내지 9의 숫자들, 문자 전환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제어부(140)는 휴대 전화기가 '동쪽 방향으로 45도 만큼 기울어진 경우(단,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은 휴대 전화기가 기울어지기 직전에, 각 종 이모티콘, 문자 전환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함)'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로서, 0 내지 9의 숫자들, 문자 전환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부(150)에서 독출한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그 독출된 영상 데이터가 갖는 복수의 영상의 디스플레이를 지시하는 신호인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제어신호와 그 독출된 영상 데이터를 복수의 버튼(130) 각각에 전달한다. 그에 따라, 복수의 버튼(130)은 도 6h에 도시된 바와 같이, 0 내지 9의 숫자들, 문자 전환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만일, 사용자가 도 6h에 도시된 휴대 전화기의 제4 버튼(220)을 조작한다면,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은 각 종 한글 자음, 각 종 한글 모음, 문자 전환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취소 및 주소록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고 가정하자.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은, 사용자가 도 6h에 도시된 제4 버튼(220)을 조작하지 않더라도, 각 종 한글 자음, 각 종 한글 모음, 문자 전환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취소 및 주소록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제13 버튼(265)을 누른 채 휴대 전화기를 동쪽 방향으로 45도 만큼 기울이고 난 뒤, 제13 버튼(265)에서 손가락을 뗌으로써,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은 도 6i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종 한글 자음, 각 종 한글 모음, 문자 전환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취소 및 주소록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를 위해, 저장부(150)는, 휴대 전화기가 '동쪽 방향으로 45도 만큼 기울어진 경우'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 중의 하나로서, 각 종 한글 자음, 각 종 한글 모음, 문자 전환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취소 및 주소록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제어부(140)는 휴대 전화기가 '동쪽 방향으로 45도 만큼 기울어진 경우(단,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은 휴대 전화기가 기울어지기 직전에, 0 내지 9의 숫자들, 문자 전환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취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함)'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로서, 각 종 한글 자음, 각 종 한글 모음, 문자 전환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취소 및 주소록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부(150)에서 독출한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그 독출된 영상 데이터가 갖는 복수의 영상의 디스플레이를 지시하는 신호인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제어신호와 그 독출된 영상 데이터를 복수의 버튼(130) 각각에 전달한다. 그에 따라, 복수의 버튼(130)은 도 6i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종 한글 자음, 각 종 한글 모음, 문자 전환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취소 및 주소록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문자 메시지 작성을 완료한 사용자는, 그 문자 메시지를 수신할 휴대 전화기의 전화 번호를 입력하고자 한다.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가 도 6i에 도시된 휴대 전화기의 제12 버튼(260)을 조작한다면,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은 0 내지 9의 숫자들, 확인 및 전송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취소 및 주소록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고 가정하자.
다만,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은, 사용자가 도 6i에 도시된 제12 버튼(260)을 조작하지 않더라도, 0 내지 9의 숫자들, 확인 및 전송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취소 및 주소록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제13 버튼(265)을 누른 채 휴대 전화기를 동쪽 방향으로 45도 만큼 기울이고 난 뒤, 제13 버튼(265)에서 손가락을 뗌으로써,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은 도 6j에 도시된 바와 같이, 0 내지 9의 숫자들, 확인 및 전송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취소 및 주소록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를 위해, 저장부(150)는, 휴대 전화기가 '동쪽 방향으로 45도 만큼 기울어진 경우'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 중의 하나로서, 0 내지 9의 숫자들, 확인 및 전송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취소 및 주소록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제어부(140)는 휴대 전화기가 '동쪽 방향으로 45도 만큼 기울어진 경우(단,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은 휴대 전화기가 기울어지기 직전에, 각 종 한글 자음, 각 종 한글 모음, 문자 전환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취소 및 주소록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함)'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로서, 0 내지 9의 숫자들, 확인 및 전송 기능을 의미하는 영 상, 취소 및 주소록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부(150)에서 독출한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그 독출된 영상 데이터가 갖는 복수의 영상의 디스플레이를 지시하는 신호인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제어신호와 그 독출된 영상 데이터를 복수의 버튼(130) 각각에 전달한다. 그에 따라, 복수의 버튼(130)은 도 6j에 도시된 바와 같이, 0 내지 9의 숫자들, 확인 및 전송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취소 및 주소록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휴대 전화기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촬영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된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휴대 전화기가 촬영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촬영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된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을 의미하는 영상, 줌인(zoom in)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줌아웃(zoom out)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셔터(shutter) 조절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플래쉬(flash) 조절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에서, 사용자는 제3 버튼(215)을 조작함으로써 셔터를 조절할 수 있고, 제6 버튼(230)을 조작함으로써 줌인할 수 있고, 제7 버튼(235)을 조작함으로써 플래쉬를 조절할 수 있고, 제10 버튼(250)을 조작함으로써 줌아웃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휴대 전화기는, 사용자가 촬영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된 버튼을 조작하지 않더라도, 촬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제13 버튼(265)을 누른 채 휴대 전화기를 북동쪽 방향으로 30도 만큼 기울이고 난 뒤, 제13 버튼(265)에서 손가락을 뗌으로써,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을 의미하는 영상, 줌인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줌아웃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셔터 조절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플래쉬 조절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저장부(150)는, 휴대 전화기가 '북동쪽 방향으로 30도 만큼 기울어진 경우'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 중의 하나로서, 촬영을 의미하는 영상, 줌인(zoom in)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줌아웃(zoom out)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셔터(shutter) 조절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플래쉬(flash) 조절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제어부(140)는 휴대 전화기가 '북동쪽 방향으로 30도 만큼 기울어진 경우(단, 기울어지기 직전의 휴대 전화기는 초기 상태에 있음)'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로서, 촬영을 의미하는 영상, 줌인(zoom in)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줌아웃(zoom out)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셔터(shutter) 조절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플래쉬(flash) 조절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부(150)에서 독출한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그 독출된 영상 데이터가 갖는 복수의 영상의 디스플레이를 지시하는 신호인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제어신호와 그 독출된 영상 데이터를 복수의 버튼(130) 각각에 전달한다. 그에 따라, 복수의 버튼(13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을 의미하는 영상, 줌인(zoom in)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줌아웃(zoom out)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셔터(shutter) 조절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플래쉬(flash) 조절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휴대 전화기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들 중 하나의 영상 데이터를 검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여기서, 휴대 전화기는 영상 데이터들을 내용별로 구분하여 저장한다고 가정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에서, 휴대 전화기는 영상 데이터들을 나, 가족, 친구, 풍경, 연예인, 동물별로 구분하여 저장한다.
만일, 사용자가 제6 버튼(230)을 조작한다면, 디스플레이 창(270)은 그 저장된 영상 데이터들 중 연예인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들을 디스플레이한다. 이 때, 사용자가 제13 버튼(265)을 누른 채 휴대 전화기를 기울인다면, 디스플레이 창(270)은 연예인과 관련된 그 저장된 영상 데이터들 각각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이 때, 사용자가 제13 버튼(265)을 누른 채 휴대 전화기를 동쪽 방향으로 기울인다면, 그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데이터들은 디스플레이 창(270) 내에서, 도 8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다. 반면, 사용자가 제13 버튼(265)을 누른 채 휴대 전화기를 서쪽 방향으로 기울인다면, 그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데이터들은 디스플레이 창(270) 내에서, 도 8에 도시된 화살표 반대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연예인과 관련된 그 저장된 영상 데이터들이 디스플레이되는 도중, 디스플레이 창(270)에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영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된다면, 사용자는 그 누르고 있던 제13 버튼(265)에서 손가락을 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창(270)은 사용자가 제13 버튼(265)에서 손가락을 뗄 당시에 디스플레이되던 영상 데이터를, 휴대 전화기의 기울어짐에 관계없이 계속 디스플레이한다.
도 9a 및 도 9b는 도 2에 도시된 휴대 전화기에 저장된 음악 데이터들 중 하 나의 음악 데이터를 검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들이다.
휴대 전화기가 재생 가능한 음악 데이터들이 그 휴대 전화기에 저장된 경우,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은, 그 저장된 음악 데이터들을 의미하는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a 및 도 9b에서, 휴대 전화기에는 총 108개의 음악 데이터들이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은 그 108개의 음악 데이터들 중 선택된 12개의 음악 데이터들을 의미하는 12개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이 때, 버튼(205 내지 260 중 하나)은 음악 데이터의 파일명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a.mp3, b.mp3, c.mp3, ..., k.mp3, l.mp3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9a에 도시된 바에서, 108개의 직사각형 중 선택된 12개의 직사각형은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을 의미한다. 참조번호 910, 920, 930은 그 선택된 12개의 직사각형의 일 례들을 의미한다.
이러한 108개의 음악 데이터들은 일정한 규칙에 따라 배열되어 휴대 전화기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a에 도시된 바의 경우, a방향으로 진행할수록 느린 템포를 갖는 음악 데이터들이 배열되고, b방향으로 진행할수록 빠른 템포를 갖는 음악 데이터들이 배열되고, c방향으로 진행할수록 연주 길이가 긴 음악 데이터들이 배열되고, d방향으로 진행할수록 연주 길이가 짧은 음악 데이터들이 배열된다고 가정한다.
한편, 사용자가 제13 버튼(265)을 누른 채 휴대 전화기를 기울이면,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이 디스플레이하는 12개의 영상은 갱신된다. 예컨대, 사용자가 제13 버튼(265)을 누른 채 휴대 전화기를 북쪽 즉, a방향으로 기울인다면, 그 108개의 직사각형 중 선택되는 12개의 직사각형이 a방향으로 이동한다.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제13 버튼(265)을 누른 채 휴대 전화기를 남쪽 즉, b방향으로 기울인다면, 그 108개의 직사각형 중 선택되는 12개의 직사각형이 b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사용자가 제13 버튼(265)을 누른 채 휴대 전화기를 서쪽 즉, c방향으로 기울인다면, 그 108개의 직사각형 중 선택되는 12개의 직사각형이 c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비슷하게, 사용자가 제13 버튼(265)을 누른 채 휴대 전화기를 동쪽 즉, d방향으로 기울인다면, 그 108개의 직사각형 중 선택되는 12개의 직사각형이 d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12개의 영상이 갱신되며 디스플레이되는 도중,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에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12개의 음악 데이터들을 의미하는 12개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면, 사용자는 그 누르고 있던 제13 버튼(265)에서 손가락을 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은 사용자가 제13 버튼(265)에서 손가락을 뗄 당시에 디스플레이되던 12개의 영상을, 휴대 전화기의 기울어짐에 관계없이 계속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12개의 영상이 갱신되며 디스플레이될 때, 디스플레이 창(270)은 그 선택된 12개의 음악 데이터들이 갖는 템포의 평균값을 의미하는 색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때, 그 디스플레이되는 색상은 템포가 느릴수록 어두운 색상일 수 있다.
도 10의 (a), (b), (c)는 도 2에 도시된 휴대 전화기의 각 버튼마다, 백라이트의 밝기 또는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밝기가 그 휴대 전화기의 기울어진 모습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들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휴대 전화기는, 휴대 전화기의 기울어진 정도를 사용자에게 인지시키고자, 그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 각 버튼(205 내지 260)의 백라이트(back-light)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휴대 전화기는, 휴대 전화기의 기울어진 정도를 사용자에게 인지시키고자, 그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 각 버튼(205 내지 260)마다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를 위한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로서, 단말기의 기울어진 모습에 따라 결정되는 복수의 영상을 그 단말기에 구비된 복수의 버튼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들(제1110~ 1130 단계들)로 이루어진다.
감지부(110)는 단말기에 미치는 중력 가속도를 그 단말기에 대해 고정적인 좌표상에서 감지하고(제1110 단계), 산출부(120)는 제1110 단계에서 감지된 결과를 이용하여 그 단말기의 기울어진 모습을 구한다(제1120 단계).
제1120 단계 후에, 복수의 버튼(130)은 미리 마련된 영상 데이터 중 제1120 단계에서 구해진 결과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제1130 단계).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방법은, 단말기의 기울어진 모습에 따라 결정되는 복수의 영상을 그 단말기에 구비된 복수의 버튼에 디스플레이하므로, 단말기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이 아무리 많더라도 버튼의 크기가 줄어들 필요가 없어, 버튼 조작을 하는 사용자의 작업 편의성을 도모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버튼의 용도가 버튼의 표면에 표기되지 않고 버튼 전체에 가변적으로 디스플레이되므로, 용도가 버튼에 작게 표기되던 종래에 버튼의 용도를 식별함에 곤란을 겪었던 사용자라도 버튼의 용도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그 버튼의 용도를 디스플레이함에 있어, 사용자가 현재 조작하고자 하는 용도를 예상하여 디스플레이하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버튼 조작을 위해 동일한 버튼을 반복적으로 누르는 번거로움을 감수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기에 구비되어야 하는 버튼의 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어, 단말기의 소형화를 통한 시장 경쟁력 강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23)

  1.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미치는 중력 가속도를 상기 단말기에 대해 고정적인 좌표상에서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의 기울어진 모습을 산출하는 산출부;
    복수의 영상을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버튼; 및
    미리 마련된 영상 데이터 중 상기 산출된 결과의 변화 추이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영상의 디스플레이를 지시하는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소정 버튼이 조작된 경우,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소정 버튼이 조작되어 있는 동안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소정 버튼이 조작된 때부터 상기 소정 버튼이 재차 조작될 때까지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소정 버튼의 조작이 개시된 시점과 종료된 시점에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버튼은 가압 또는 접촉에 의해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기울어진 모습은 상기 단말기의 기울어진 방향 및 상기 단말기의 기울어진 정도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버튼은
    상기 복수의 영상을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마련된 영상 데이터는, 상기 단말기의 내부 또는 외부에 저장되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는
    하나 이상의 영상을 상기 산출된 결과에 상응하는 순서에 따라 디스플레이하는 메인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상 각각의 명암, 및 상기 복수의 버튼 각각의 백라이트 밝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말기의 기울어진 모습에 상응하여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의 차원은 3차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
  13. 삭제
  14. 복수의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단말기에 미치는 중력 가속도를 상기 단말기에 대해 고정적인 좌표상에서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감지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의 기울어진 모습을 구하는 단계; 및
    (c) 미리 마련된 영상 데이터 중 상기 구해진 결과의 변화 추이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복수의 영상을 상기 복수의 버튼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소정 버튼이 조작된 경우,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기울어진 모습은 상기 단말기의 기울어진 방향 및 상기 단말기의 기울어진 정도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7. 복수의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단말기에서 수행 가능한 복수의 상위 기능에 대응되는 복수의 영상을 상기 복수의 버튼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b) 상기 단말기에 미치는 중력 가속도를 상기 단말기에 대해 고정적인 좌표상에서 감지하는 단계;
    (c) 상기 감지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의 기울어진 모습을 구하고, 상기 복수의 상위 기능 중 상기 구해진 결과에 상응하는 상위 기능을 선택하는 단계; 및
    (d) 상기 선택된 상위 기능에 속하는 복수의 하위 기능에 대응되는 복수의 영상을 상기 복수의 버튼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전화 걸기 기능을 선택하고,
    상기 (d) 단계는 통화 시작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통화 종료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0 내지 9의 숫자들을 상기 복수의 버튼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메시지 기능을 선택하고,
    상기 (d) 단계는 수신된 메시지의 확인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메시지의 작성 및 발신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을 상기 복수의 버튼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20.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새문장 쓰기 기능을 선택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단말기에 입력 가능한 복수의 문자를 상기 복수의 버튼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는 숫자, 한글 자음, 한글 모음, 알파벳 대문자, 알파벳 소문자, 기호, 또는 이모티콘(emoticon)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22.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촬영 기능을 선택하고,
    상기 (d) 단계는 플래시 조절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줌인(zoom in)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줌아웃(zoom out) 기능을 의미하는 영상, 및 촬영을 의미하는 영상을 상기 복수의 버튼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23. 삭제
KR1020060044397A 2006-05-17 2006-05-17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 및 이를위한 디스플레이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773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4397A KR100773553B1 (ko) 2006-05-17 2006-05-17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 및 이를위한 디스플레이 방법
US11/704,256 US8024004B2 (en) 2006-05-17 2007-02-09 Device having display buttons and display method and medium for the device
EP07075191A EP1857910A3 (en) 2006-05-17 2007-03-13 Device having display buttons and display method and medium for the device
JP2007077394A JP2007312360A (ja) 2006-05-17 2007-03-23 ディスプレイ機能を持つボタンを備えた端末機及びそのためのディスプレイ方法
CN2007100894875A CN101076166B (zh) 2006-05-17 2007-03-26 具有显示按钮的装置及用于所述装置的显示方法和介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4397A KR100773553B1 (ko) 2006-05-17 2006-05-17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 및 이를위한 디스플레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3553B1 true KR100773553B1 (ko) 2007-11-07

Family

ID=38370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4397A Expired - Fee Related KR100773553B1 (ko) 2006-05-17 2006-05-17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 및 이를위한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024004B2 (ko)
EP (1) EP1857910A3 (ko)
JP (1) JP2007312360A (ko)
KR (1) KR100773553B1 (ko)
CN (1) CN10107616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7001B1 (ko) * 2008-12-09 2015-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21968B2 (en) * 2003-10-31 2010-05-25 Iota Wireless, Llc Concurrent data entry for a portable device
US20080129552A1 (en) * 2003-10-31 2008-06-05 Iota Wireless Llc Concurrent data entry for a portable device
KR100911145B1 (ko) * 2006-10-02 2009-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방법
US8581850B2 (en) * 2009-11-19 2013-11-12 Blackberry Limited Adaptive keyboard with physical feedback
CN102375581B (zh) * 2010-08-11 2016-06-08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触摸式电子装置及提高其触摸准确度的方法
CN101980129A (zh) * 2010-10-25 2011-02-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便携式设备屏幕解锁装置及方法
CN102279647A (zh) * 2011-06-20 2011-12-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其实现光标移动的方法
KR20130095606A (ko) * 2012-02-20 2013-08-28 주식회사 팬택 3차원 기능 키를 갖는 휴대 단말 및 휴대 단말의 3차원 기능 키 표시 전환 방법
US10074345B2 (en) 2012-02-20 2018-09-11 Pantech Inc. Mobile terminal having a multifaceted graphical object and method for performing a display switching operation
CN102662582B (zh) * 2012-03-31 2016-01-06 华为终端有限公司 移动终端控制方法以及移动终端
CN103489413A (zh) * 2012-06-15 2014-01-01 谢骏 手机显示装置待机控制方法
CN102945649A (zh) * 2012-10-16 2013-02-27 天津三星电子有限公司 一种调节显示终端画面显示参数的方法及其显示终端
CN104049896B (zh) * 2014-06-24 2017-06-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装置
EP2996012B1 (en) * 2014-09-15 2019-04-1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D793353S1 (en) * 2016-02-15 2017-08-01 Jose Martinez Mobile telelphone
US10503273B1 (en) * 2018-05-15 2019-12-10 Ching-Hsiung Chu Array display switch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2946A (ja) 2000-08-16 2002-02-28 Fuji Xerox Co Ltd ソフトウェア使用料課金システム、ソフトウェア使用料課金方法、ソフトウェア評価システム、ソフトウェア評価方法
US20020034930A1 (en) 2000-09-11 2002-03-21 Shunpei Yamazaki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usage thereof
WO2003021922A1 (en) * 2001-09-06 2003-03-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touch screen with special input functionality
JP2005352987A (ja) 2004-06-14 2005-12-22 Mitsubishi Electric Corp キー入力装置
KR20060011170A (ko) * 2004-07-29 2006-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키 입력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6128788A (ja) 2004-10-26 2006-05-18 Yamaha Corp 携帯情報端末
KR20060057045A (ko) * 2004-11-23 2006-05-26 주식회사 팬택 개인 휴대 단말기의 키 기능 변경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9290A (ja) * 1996-08-05 1998-02-20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WO1998044482A1 (en) 1997-03-31 1998-10-08 Ttsi (Technical Telephone Systems, Inc.) Computer-telephony integration employing an intelligent keyboard and method for same
US5914676A (en) 1998-01-22 1999-06-22 Sony Corporation Multi-language display keypad
GB2357673B (en) * 1999-01-06 2002-02-13 Motorol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motion to input information to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6731227B2 (en) * 2000-06-06 2004-05-04 Kenichi Horie Qwerty type ten-key board based character input device
JP2002062964A (ja) * 2000-06-06 2002-02-28 Kenichi Horie パソコン配列で入力できるテンキーボード型文字入力装置
US6798359B1 (en) 2000-10-17 2004-09-28 Swedish Keys Llc Control unit with variable visual indicator
CA2411870A1 (en) * 2000-06-07 2001-12-13 Swedish Keys Llc Control unit with variable visual indicator
JP2002169645A (ja) * 2000-12-01 2002-06-14 Toshiba Corp 移動通信端末
US7002553B2 (en) * 2001-12-27 2006-02-21 Mark Shkolnikov Active keyboard system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JP2003271295A (ja) * 2002-03-18 2003-09-26 Nec Commun Syst Ltd 携帯情報端末
US7656393B2 (en) 2005-03-04 2010-02-02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and surrounding touch sensitive bezel for user interface and control
US11275405B2 (en) 2005-03-04 2022-03-15 Apple Inc. Multi-functional hand-held device
JP2004178551A (ja) * 2002-10-02 2004-06-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入力装置
JP2004287871A (ja) * 2003-03-24 2004-10-14 Hitachi Ltd 携帯端末
GB0312465D0 (en) * 2003-05-30 2003-07-09 Therefore Ltd A data input method for a computing device
DE10341580A1 (de) * 2003-09-09 2005-03-31 Siemens Ag Eingabevorrichtung für eine Datenverarbeitungsanlage
JP2005092441A (ja) 2003-09-16 2005-04-07 Aizu:Kk 文字入力方法
US20060022951A1 (en) * 2004-08-02 2006-02-02 Infinium Lab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acklighting of a keyboard for use with a game device
US20060061542A1 (en) * 2004-09-23 2006-03-23 Stokic Dragan Z Dynamic character display input device
JP2006113859A (ja) * 2004-10-15 2006-04-27 Nec Corp 携帯情報端末及びその表示制御方法
EP1804472A4 (en) * 2004-10-19 2009-10-21 Vodafone Plc FUNCTION CONTROL METHOD AND TERMINAL DEVIC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2946A (ja) 2000-08-16 2002-02-28 Fuji Xerox Co Ltd ソフトウェア使用料課金システム、ソフトウェア使用料課金方法、ソフトウェア評価システム、ソフトウェア評価方法
US20020034930A1 (en) 2000-09-11 2002-03-21 Shunpei Yamazaki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usage thereof
WO2003021922A1 (en) * 2001-09-06 2003-03-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touch screen with special input functionality
JP2005352987A (ja) 2004-06-14 2005-12-22 Mitsubishi Electric Corp キー入力装置
KR20060011170A (ko) * 2004-07-29 2006-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키 입력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6128788A (ja) 2004-10-26 2006-05-18 Yamaha Corp 携帯情報端末
KR20060057045A (ko) * 2004-11-23 2006-05-26 주식회사 팬택 개인 휴대 단말기의 키 기능 변경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7001B1 (ko) * 2008-12-09 2015-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312360A (ja) 2007-11-29
EP1857910A3 (en) 2012-05-09
CN101076166B (zh) 2013-01-02
CN101076166A (zh) 2007-11-21
EP1857910A2 (en) 2007-11-21
US8024004B2 (en) 2011-09-20
US20070270178A1 (en) 2007-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3553B1 (ko)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 및 이를위한 디스플레이 방법
US11743375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conversation management for incoming instant messages
US11307763B2 (en) Portable touch scre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using emoji characters
US8605039B2 (en) Text input
KR101495132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데이터 표시 방법
RU2677381C1 (ru) Устройства, способы и графические интерфейсы пользователя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объектами интерфейса пользователя с визуальной и/или гаптической обратной связью
US8407603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instant messaging multiple recipients
US20170262149A1 (en) Touch scre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on-screen objects without using a cursor
US9535511B2 (en) Character input device
JP2018530042A (ja) 文書編集における手書きサポートを提供するデバイス及び方法
US7450111B2 (en) Key functionality for communication terminal
CN101379474A (zh) 文字输入装置
CN100483320C (zh) 输入装置、携带终端装置及内容数据的操作方法
US20070057917A1 (en) Portable digital apparatus for conveniently inputting various character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apparatus
JP2004287871A (ja) 携帯端末
TWI457822B (zh) 資訊顯示方法及其系統與儲存媒體
JPWO2012008425A1 (ja)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WO201107943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input
KR20090065340A (ko)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KR101755807B1 (ko) 휴대단말의 화면에 문자를 표시하는 방법 및 저장매체
JP2006277314A (ja) アドレス入力装置、そのアドレス入力方法およびそのアドレス入力装置をもつ電子機器
KR101148827B1 (ko)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 및 이를위한 디스플레이 방법
KR101328924B1 (ko) 북마크 설정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북마크 설정 방법
JP2009151688A (ja) 電子機器、文字入力方法及び文字入力制御プログラム、タッチ入力ペン、及び携帯端末装置
KR20060069165A (ko) 조이스틱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3-3-V10-V11-apl-PJ0201

AMND Amendment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t.27 status event code: A-6-3-E10-E12-rex-PB0901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B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9-oth-PG1701

Patent document republication publication date: 20080415

Republication note text: Request for Correction Notice (Document Request)

Gazette number: 1007735530000

Gazette reference publication date: 2007110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5103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5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