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88730B1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8730B1
KR100688730B1 KR1020047016333A KR20047016333A KR100688730B1 KR 100688730 B1 KR100688730 B1 KR 100688730B1 KR 1020047016333 A KR1020047016333 A KR 1020047016333A KR 20047016333 A KR20047016333 A KR 20047016333A KR 100688730 B1 KR100688730 B1 KR 100688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terweight
hoisting
elevator
hoistway
main rop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6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9438A (ko
Inventor
하시구치나오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99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9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8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873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66B11/005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on the counterw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로(1)내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카(4)와 균형추(3)가 메인 로프(9)에 의해 현가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메인 로프(9)가 감겨지고, 엘리베이터 카(4) 및 균형추(3)를 구동하는 권상 장치(10)를 구비한 것이다. 권상 장치(10)는 메인 로프(9)가 감겨진 구동 시브(12)와 이 구동 시브(12)를 회전 구동하는 전동기(13)로 이루어지는 권상기(11)를 적어도 2대 구비하며, 이중 적어도 1대가 균형추(3)에 탑재된 것이다. 그리고, 권상 장치(10)에 사용되는 권상기(11)는 모두 균형추(3)에 탑재되어 있다. 혹은, 권상 장치(10)의 권상기(11)중, 적어도 다른 1대가 승강로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EQUIPMENT}
본 발명은 권상 장치(hoisting device)를 이용한 로프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균형추(counterweight)에 권상 장치가 탑재된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내의 필요 공간을 될 수 있는 한 저감할 목적으로, 균형추의 프레임체내에 수납되는 박형의 권상기를 균형추에 탑재한 엘리베이터 장치가 이미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사용되는 권상기로서는, 일반적으로 박형으로서 비교적 용량이 큰 전동기가 요구되기 때문에, 권상기의 구동 시브의 회전축과 동축상에 로터(rotor)의 회전축이 배치된 전동기로서, 영구 자석을 이용한 축방향 갭형(axial gap type), 또는 반경방향 갭형(radial gap type)의 전동기가 채용되고 있다. 여기서, 축방향 갭형의 전동기는 스테이터(stator)와 로터가 공기 갭(air gap)을 거쳐서 로터의 회전축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것이고,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 1995-137963 호 공보에는 이 축방향 갭형의 전동기를 사용한 권상기가 균형추에 탑재된 엘리베이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한쪽의 반경방 향 갭형의 전동기는 스테이터와 로터가 공기 갭을 거쳐서 로터의 회전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것이고, 종래부터 이 반경방향 갭형의 전동기도 권상기에 사용되고 있다.
이상과 같은 균형추에 권상기가 탑재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elevator car)의 적재 중량을 보다 크게 한 엘리베이터, 즉 대용량의 엘리베이터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권상기를 대형화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권상기에 사용되는 전동기의 토크를 크게 하려고 하면, 축방향 갭형의 전동기에서는 일반적으로 스테이터와 로터의 공기 갭 직경을 크게 함으로써 대응하지만, 그 결과 전동기가 대구경이 되고, 그에 따라 로터를 지지하는 베어링도 커지므로 로터의 회전축 방향의 전동기의 두께도 동시에 커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권상기의 외형, 즉 직경 방향의 치수 및 권상기의 구동 시브 회전축 방향의 두께가 커지게 된다. 또한, 또 한쪽의 반경방향 갭형의 전동기에 있어서, 권상기에 사용되는 전동기의 토크를 크게 하려고 할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로터와 스테이터를 로터의 회전축 방향으로 두껍게 함으로써 대응한다. 따라서, 권상기는 구동 시브의 회전축 방향의 두께가 커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축방향 갭형, 또는 반경방향 갭형중 어떤 방식의 전동기를 이용하여도, 엘리베이터의 대용량화에 대응시켜서 권상기의 토크를 크게 하려고 하면, 권상기가 대형화함으로써, 균형추의 프레임체의 폭을 확대하지 않으면 전부 수납될 수 없게 되어버린다. 그 결과, 승강로의 수평 투영 면적을 증대하는 것으로 되어, 승강로의 필요 공간이 증대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균형추의 프레임체내에 1대의 권상기를 배치한 경우에, 엘리베이터 용량의 증대에 대응시키려고 하면, 각각의 용량의 영역에 맞추어진 사이즈의 권상기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소용량 영역으로부터 대용량 영역까지를 1종류의 권상기로 대응하려고 하면, 모든 영역에 대응할 수 있는 대용량으로 고가인 대형의 권상기로 통일할 필요가 있어, 불합리하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균형추에 권상기가 탑재된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승강로의 수평 투영 면적의 증대, 즉 건물에 필요한 승강로 공간의 증대를 가져오는 일없이, 엘리베이터 대용량화에 대응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카와, 승강로내를 엘리베이터 카와 반대 방향으로 승강하는 균형추와, 엘리베이터 카 및 균형추를 현가하는 메인 로프(main rope)를 구비하며, 메인 로프가 감겨진 권상 장치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 및 균형추가 구동된다. 이 권상 장치에 사용되는 권상기는 메인 로프가 감겨진 구동 시브와 이 구동 시브를 회전 구동하는 전동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권상 장치는 이 권상기를 적어도 2대 구비하여, 이 중 적어도 1대가 균형추에 탑재된 것이다.
또한, 권상 장치에 사용되는 권상기는 모두 균형추에 탑재된 것으로서 구성된다.
또한, 권상 장치의 권상기중, 적어도 다른 1대가 승강로 상부에 설치된 것으 로서 구성된다.
이상과 같은 발명에 따르면, 승강로의 수평 투영 면적의 증대, 즉 건물에 필요한 승강로 공간의 증대를 가져오는 일없이, 엘리베이터 대용량화에 대응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동일 사양의 권상기를 복수대 사용하여 구성하면, 권상기의 대수를 조정하는 것만으로, 소용량 영역으로부터 대용량 영역까지의 엘리베이터에 대해서, 용이하게 시리즈화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배치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배치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배치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배치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배치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배치예를 도시한 도 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배치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첨부 도면에 따라서 이것을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어, 그 중복 설명은 적절하게 간략화 또는 생략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배치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엘리베이터 장치를 승강로의 수평 방향으로부터 본 입면도를 전개하여, 엘리베이터 메인 로프에 의해 현가된 엘리베이터 카 및 균형추가 균형추에 탑재된 권상 장치에 의해 구동되어서 승강로내를 승강하고 있는 형상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평면도이며, 본 도면은 주로 균형추에 탑재된 권상 장치의 배치, 및 엘리베이터 카와 균형추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사용하기 위해서, 디플렉터 시브(deflector sheave), 메인 로프의 배치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한다.
도 1, 도 2에 있어서, 승강로(1)내에는, 한쌍의 균형추용 가이드 레일(2)과 다른 한쌍의 엘리베이터 카용 가이드 레일(도시하지 않음)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균형추(3)는 균형추용 가이드 레일(2)로 안내되어서 승강로(1)내를 승강한다. 엘 리베이터 카(4)는 엘리베이터 카용 가이드 레일로 안내되어서 균형추(3)와 반대 방향으로 승강로(1)내를 승강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카(4)에는 출입구 도어(5)가 설치되어 있고, 이 출입구 도어(5)를 갖는 일면을 카(4)의 정면으로 한다. 균형추(3)는 엘리베이터 카(4)의 정면과 대향하는 카(4)의 배면과 승강로(1)의 벽면(1a)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균형추(3)는 엘리베이터 카(4)의 정면과 직교하는 카(4)의 양측면중 어느 하나와 승강로(1)의 벽면(1a)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다음에, 엘리베이터 메인 로프(9)가 감겨지고, 엘리베이터 카(4) 및 균형추(3)를 구동하는 권상 장치(10)가 균형추(3)에 탑재되어 있다. 권상 장치(10)는 2대의 권상기(11)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고, 엘리베이터의 구동에 필요한 토크를 2대의 권상기(11)로 분담하고 있다. 각각의 권상기(11)는 메인 로프(9)가 감겨진 구동 시브(12)와 이 구동 시브(12)를 회전 구동하는 전동기(13)를 갖고, 외경 방향의 치수(C)에 비하여 구동 시브(12)의 회전축 방향의 두께(D)가 작게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2대의 권상기(11)는, 균형추(3)의 외형을 구성하는 프레임체내에, 서로 수평 방향으로는 겹치지 않고, 수직 방향으로는 겹치도록 탑재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균형추(3)는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 형상이 카(4)와 벽면(1a)의 간극 방향으로 짧고, 카(4)의 폭 방향으로 긴 장방형 단면을 갖고, 더구나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직방체의 외형을 갖고 있다. 즉, 균형추(3)는, 승강로(1)의 수평 투영면상에 있어서, 될 수 있는 한 공간을 차지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균형추(3)의 외형은 프레임체에 의해 구성되고, 프레임체내의 하부에 균형추용 추가 탑재되어 있다. 또한, 도 1(이하의 도면도 동일)에 있어서 도시하는 균형추(3)에서는, 균형추용 추의 도시는 생략하고, 도면중의 균형추(3)의 외형은 프레임체의 외형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 1의 권상 장치(10)는, 승강로(1)의 수평 투영면상에 있어서의 균형추(3)의 세로 방향의 치수(A)[본 발명에서는, 균형추(3)의 횡폭(A)이라고도 칭함]를 확대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2대의 권상기(11)가 수직 방향으로 겹치도록 탑재되어 있다. 또한, 권상 장치(10)는, 상기 치수(A)에 직교하는 세로 방향의 치수(B)[본 발명에서는, 균형추(3)의 두께(B)라고도 칭함]를 확대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권상기(11)의 두께 방향을 균형추(3)의 세로 방향과 부합하도록 하여 균형추(3)에 탑재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 1에서는, 권상 장치(10)는 동일 사양의 권상기를 2대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메인 로프(9)는 양단부가 함께 승강로(1) 상부에 고정되어 있고, 메인 로프(9)의 일단부는 승강로(1) 상부를 기점으로 2대의 권상기(11)에 순차로 감겨진 후, 권상기(11)로의 메인 로프(9)의 권취량을 증대할 목적으로 균형추(3)에 탑재된 균형추용 디플렉터 시브(8)에 감겨지고, 상승하여 승강로(1) 상부에 설치된 2개의 승강로 상부 디플렉터 시브(7)에 감겨져 있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카(4)의 하방에 설치된 한쌍의 카용 현수 시브(suspension sheave)(6)에 순차로 감겨지고, 다시 상승하여 메인 로프(9)의 타단부가 승강로(1) 상부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 1에서는, 복수개의 로프로 구성되는 메인 로프(9)는 단일의 경로만을 갖 고 있어, 2대의 권상기(11)에 연속하여 감겨져 있다.
이상의 실시예 1에 의하면, 권상 장치(10)는 권상기(11)를 2대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구동에 필요한 토크를 2대의 권상기(11)에서 분담할 수 있다. 종래에는, 엘리베이터 카의 적재 중량을 보다 크게 한 엘리베이터, 즉 대용량의 엘리베이터에 대응하기 위해서, 1대의 권상기에서 엘리베이터의 구동에 필요한 토크를 얻기 위해서는 권상기를 크게 할 필요가 있었지만,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 1의 권상 장치(10)에서는 각각의 권상기(11)의 외형을 크게 할 필요가 없다. 더욱이, 2대의 권상기(11)는 균형추(3)의 프레임체내에 서로 수평 방향으로는 겹치지 않고, 수직 방향으로는 겹치도록 탑재되어 있다. 이로써, 반경방향 갭형의 전동기(13)를 사용하는 권상기(11)에서는, 구동 시브(12)의 회전축 방향의 두께(D)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어, 균형추(3)의 두께(B)를 확대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축방향 갭형의 전동기(13)를 사용한 권상기(11)에서는, 외경 방향의 치수(C) 및 권상기의 구동 시브 회전축 방향의 두께(D)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어, 균형추(3)의 횡폭(A) 및 두께(B)를 확대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어떠한 형식의 전동기(13)를 사용한 권상 장치(10)에서도 승강로의 수평 투영 면적을 증대하는 일없이, 용량을 크게 한 엘리베이터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권상 장치(10)의 2대의 권상기(11)를 동일 사양의 권상기(11)로 함으로써, 권상기(11)의 생산성, 장착성이 향상한다. 그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용량을 더욱 크게 할 경우에는, 권상 장치(10)에 사용하는 동일 사양의 권상기(11)의 대수를 증대함으로써 대응이 가능해진다. 즉, 권상기(11)의 대수를 조정함으로써, 소 용량 영역으로부터 대용량 영역까지의 엘리베이터에 대해서, 용이하게 시리즈화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2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배치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엘리베이터 장치를 승강로의 수평 방향으로부터 본 입면도를 전개하여, 메인 로프에 의해 현가된 엘리베이터 카 및 균형추가 균형추에 탑재된 권상 장치에 의해 구동되어서 승강로내를 승강하고 있는 형상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 2에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2대의 권상기(11)를 이용하여 구성된 권상 장치(10)가 균형추(3)에 탑재되어 있고, 2대의 권상기(11)는 균형추(3)의 프레임체내에 서로 수평 방향으로는 겹치지 않고, 수직 방향으로는 겹치도록 탑재되어 있다. 즉, 이 경우에 있어서도, 균형추(3)의 횡폭(A) 및 두께(B)를 확대할 필요가 없도록, 2대의 권상기(11)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메인 로프(9)는 단일의 경로만을 갖고 있어, 2대의 권상기(11)에 연속하여 감겨져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 2에서는, 권상기(11)의 구동 시브로의 메인 로프(9)의 권취방향과 그에 따른 균형추용 디플렉터 시브(8)의 배치만이 실시예 1과 상이하다. 즉, 실시예 1에서는, 승강로(1) 상부에 일단부가 고정된 메인 로프(9)가 2대의 권상기(11)에 순차로 감겨진 후에, 균형추용 디플렉터 시브(8)가 배치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 2에서는, 메인 로프(9)의 경로상에서의 2대의 권상기(11)의 사이에 균형추용 디플렉터 시브(8)가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균형추용 디플렉 터 시브(8)의 배치 장소를 변경함으로써, 균형추(3)에 권상기(11)를 장착할 때의 상황에 따라서, 적절한 권상 장치(10)의 배치 장소를 선택할 수 있다. 그 밖의 구성 및 그 동작은,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동일 또는 유사 부분에 동일하게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의 실시예 2에 있어서도, 권상 장치(10)는 권상기(11)를 2대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어, 엘리베이터의 구동에 필요한 토크를 2대의 권상기(11)에서 분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대용량의 엘리베이터에 대응하기 위해서 각각의 권상기(11)의 외형을 크게 할 필요가 없다. 더욱이, 2대의 권상기(11)는 균형추(3)의 프레임체내에 서로 수평 방향으로는 겹치지 않고, 수직 방향으로는 겹치도록 탑재되어 있다. 따라서, 축방향 갭형, 또는 반경방향 갭형중 어떠한 형식의 전동기(13)를 사용한 권상 장치(10)에서도, 균형추(3)의 횡폭(A) 및 두께(B)를 확대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승강로의 수평 투영 면적을 증대하는 일없이, 용량을 크게 한 엘리베이터에 대응할 수 있다.
그밖에, 실시예 1에서 얻어지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3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배치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엘리베이터 장치를 승강로의 수평 방향으로부터 본 입면도를 전개하여, 메인 로프에 의해 현가된 엘리베이터 카 및 균형추가 균형추에 탑재된 권상 장치에 의해 구동되어서 승강로내를 승강하고 있는 형상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 3에서는, 실시예 1 및 2와 마찬가지 로, 2대의 권상기(11)를 이용하여 구성된 권상 장치(10)가 균형추(3)에 탑재되고 있고, 2대의 권상기(11)는 균형추(3)의 프레임체내에 서로 수평 방향으로는 겹치지 않고, 수직 방향으로는 겹치도록 탑재되어 있다. 즉, 이 경우에 있어서도, 균형추(3)의 횡폭(A) 및 두께(B)를 확대할 필요가 없도록, 2대의 권상기(11)가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 3에서 사용되는 메인 로프(9)는 각각이 복수개의 로프로 구성된 2세트의 메인 로프 유닛(9a, 9b)으로 이루어진다. 메인 로프 유닛(9a)은 일단부가 승강로(1) 상부에 고정되고 있고, 2대의 권상기(11)중 한쪽의 권상기(11)에 감겨지고, 승강로 상부측 디플렉터 시브(7)에 이른다. 그리고, 2개의 승강로 상부측 디플렉터 시브(7)에 감겨진 후, 엘리베이터 카(4)의 하방에 설치된 한쌍의 카용 현수 시브(6)에 순차로 감겨지고, 다시 상승하여 타단부는 승강로(1) 상부에 고정되어 있다. 또 한쪽의 메인 로프 유닛(9b)은 메인 로프 유닛(9a)과 동일하게 일단부가 승강로(1) 상부에 고정되어 있지만, 다음에 2대의 권상기(11)중 내부의 다른쪽 권상기(11)에 감겨져 있다. 그 이후의 경로는 메인 로프 유닛(9a)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2세트의 메인 로프 유닛(9a, 9b)은 병렬로 장착되어 있고, 서로 다른 권상기에 감겨져 있다. 그 밖의 구성 및 그 동작은 실시예 1 등과 동일하므로, 동일 또는 유사 부분에 동일하게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의 실시예 3에 있어서도, 권상 장치(10)는 권상기(11)를 2대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어, 엘리베이터의 구동에 필요한 토크를 2대의 권상기(11)에서 분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대용량의 엘리베이터에 대응하기 위해서 각각의 권상기(11)의 외형을 크게 할 필요가 없다. 더욱이, 2대의 권상기(11)는 균형추(3)의 프레임체내에 서로 수평 방향으로는 겹치지 않고, 수직 방향으로는 겹치도록 탑재되어 있다. 따라서, 축방향 갭형, 또는 반경방향 갭형중 어떠한 형식의 전동기(13)를 사용하는 권상 장치(10)에서도, 균형추(3)의 횡폭(A) 및 두께(B)를 확대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승강로의 수평 투영 면적을 증대하는 일없이, 용량을 크게 한 엘리베이터에 대응할 수 있다.
그밖에, 실시예 1 등에서 얻어지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4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배치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엘리베이터 장치를 승강로의 수평 방향으로부터 본 입면도를 전개하여, 메인 로프에 의해 현가된 엘리베이터 카 및 균형추가 균형추에 탑재된 권상 장치에 의해 구동되어서 승강로내를 승강하고 있는 형상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 4에서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2대의 권상기(11)를 이용하여 구성된 권상 장치(10)가 균형추(3)에 탑재되고 있고, 2대의 권상기(11)는 균형추(3)의 프레임체내에 서로 수평 방향으로는 겹치지 않고, 수직 방향으로는 겹치도록 탑재되어 있다. 즉, 이 경우에 있어서도, 균형추(3)의 횡폭(A) 및 두께(B)를 확대할 필요가 없도록, 2대의 권상기(11)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 4에서 사용되는 메인 로프(9)도, 실시예 3과 동일한 것이므로, 각각이 복수개의 로프로 구성된 2세트의 메인 로프 유닛(9a, 9b)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실시예 4에서는, 한쪽의 메인 로프 유닛(9a)의 경로상에 균형추용 디플렉터 시브(8)를 사용하고 있는 점에서, 실시예 3과 상이하다. 이렇게 하여, 균형추용 디플렉터 시브(8)를 사용함으로써, 수평 방향에서의 메인 로프(9)의 승강로(1) 상부의 고정 위치, 및 균형추(3)내의 권상기(11)의 탑재 위치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그 밖의 구성 및 그 동작은, 실시예 1 등과 동일하므로, 동일 또는 유사 부분에 동일하게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의 실시예 4에 있어서도, 권상 장치(10)는 권상기(11)를 2대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어, 엘리베이터의 구동에 필요한 토크를 2대의 권상기(11)에서 분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대용량의 엘리베이터에 대응하기 위해서 각각의 권상기(11)의 외형을 크게 할 필요가 없다. 더욱이, 2대의 권상기(11)는 균형추(3)의 프레임체내에 서로 수평 방향으로는 겹치지 않고, 수직 방향으로는 겹치도록 탑재되어 있다. 따라서, 축방향 갭형, 또는 반경방향 갭형중 어떠한 형식의 전동기(13)를 사용한 권상 장치(10)에서도, 균형추(3)의 횡폭(A) 및 두께(B)를 확대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승강로의 수평 투영 면적을 증대하는 일없이, 용량을 크게 한 엘리베이터에 대응할 수 있다.
그밖에, 실시예 1 등에서 얻어지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5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배치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엘리베이터 장치를 승강로의 수평 방향으로부터 본 입면도를 전개하여, 메인 로프에 의해 현가된 엘리베이터 카 및 균형추가 균형추에 탑재된 권상 장치에 의해 구동되어서 승강로내를 승강하고 있는 형상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 5에서는, 실시예 1 내지 4와 마찬가지로, 2대의 권상기(11)를 이용하여 구성된 권상 장치(10)가 균형추(3)에 탑재되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 5에서는, 이상의 실시예 1 내지 4와 상이하고, 2대의 권상기(11)는 균형추(3)의 프레임체내에 서로 수평 방향으로는 겹치지만, 수직 방향으로는 겹치지 않도록 탑재되어 있다. 즉, 2대의 권상기(11)는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 5에서 사용되는 메인 로프(9)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단일의 경로만을 갖고, 메인 로프(9)의 경로상에서의 2대의 권상기(11) 사이에 균형추용 디플렉터 시브(8)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메인 로프(9)는 일단부가 승강로(1) 상부에 고정되어 있고, 한쪽의 권상기(11), 균형추용 디플렉터 시브(8), 다른쪽의 권상기(11)의 순으로 연속하여 감겨지고, 승강로 상부측 디플렉터 시브(7)에 이른다. 그리고, 2개의 승강로 상부측 디플렉터 시브(7)에 감겨진 후, 엘리베이터 카(4)의 하방에 설치된 한쌍의 카용 현수 시브(6)에 순차로 감겨지고, 다시 상승하여 타단부는 승강로(1) 상부에 고정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 및 그 동작은, 실시예 1 등과 동일하므로, 동일 또는 유사 부분에 동일하게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의 실시예 5에 의하면, 권상 장치(10)는 권상기(11)를 2대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구동에 필요한 토크를 2대의 권상기(11)에서 분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대용량의 엘리베이터에 대응하기 위해서 각각의 권상기 (11)의 외형을 크게 할 필요가 없다. 또한, 2대의 권상기(11)는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하면, 균형추(3)의 횡폭(A)은 증대하지만, 균형추(3)의 프레임체내에 있어서의 수평 방향의 쓸데없는 간극을 저감한 배치가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대용량의 엘리베이터에 대응시켜서 권상기(11)의 대수를 더욱 증대한 경우에, 균형추(3)의 수직 방향의 치수(E)의 증대를 크게 억제할 수 있어, 균형추(3)의 프레임체내로의 권상기(11)의 배치에 있어서 용적 효율을 양호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밖에, 실시예 1 등에서 얻어지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6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배치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엘리베이터 장치를 승강로의 수평 방향으로부터 본 입면도를 전개하여, 메인 로프에 의해 현가된 엘리베이터 카 및 균형추가 균형추에 탑재된 권상 장치에 의해 구동되어서 승강로내를 승강하고 있는 형상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 6에서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2대의 권상기(11)를 이용하여 구성된 권상 장치(10)가 균형추(3)에 탑재되어 있고, 2대의 권상기(11)는 균형추(3)의 프레임체내에 서로 수평 방향으로는 겹치지만, 수직 방향으로는 겹치지 않도록 탑재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 6에서 사용되는 메인 로프(9)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각각이 복수개의 로프로 구성된 2세트의 메인 로프 유닛(9a, 9b)으로 이루어진다. 메인 로프 유닛(9a)은 일단부가 승강로(1) 상부에 고정되어 있고, 2대의 권상기 (11)중 한쪽의 권상기(11)에 감겨지고, 승강로 상부측 디플렉터 시브(7)에 이른다. 그리고, 2개의 승강로 상부측 디플렉터 시브(7)에 감겨진 후, 엘리베이터 카(4)의 하방에 설치된 한쌍의 카용 현수 시브(6)에 순차로 감겨지고, 다시 상승하여 타단부는 승강로(1) 상부에 고정되어 있다. 또 한쪽의 메인 로프 유닛(9b)은, 메인 로프 유닛(9a)과 마찬가지로, 일단부가 승강로(1) 상부에 고정되어 있지만, 다음에 2대의 권상기(11)중 내부의 다른쪽 권상기(11)에 감겨져 있다. 그 이후의 경로는 메인 로프 유닛(9a)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2세트의 메인 로프 유닛(9a, 9b)은 병렬로 장착되어 있고, 서로 다른 권상기에 감겨져 있다. 그 밖의 구성 및 그 동작은, 실시예 1 등과 동일하므로, 동일 또는 유사 부분에 동일하게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의 실시예 6에 의하면, 권상 장치(10)는 권상기(11)를 2대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구동에 필요한 토크를 2대의 권상기(11)에서 분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대용량의 엘리베이터에 대응하기 위해서 각각의 권상기(11)의 외형을 크게 할 필요가 없다. 또한, 2대의 권상기(11)는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하면, 균형추(3)의 횡폭(A)은 증대하지만, 균형추(3)의 프레임체내에 있어서의 수평 방향의 쓸데없는 간극을 저감한 배치가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대용량의 엘리베이터에 대응시켜서 권상기(11)의 대수를 더욱 증대한 경우에, 균형추(3)의 수직 방향의 치수(E)의 증대를 크게 억제할 수 있어, 균형추(3)의 프레임체내로의 권상기(11)의 배치에 있어서 용적 효율을 양호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밖에, 실시예 1 등에서 얻어지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7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배치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엘리베이터 장치를 승강로의 수평 방향으로부터 본 입면도를 전개하여, 메인 로프에 의해 현가된 엘리베이터 카 및 균형추가 균형추에 탑재된 권상 장치에 의해 구동되어서 승강로내를 승강하고 있는 형상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권상 장치(10)는 다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2대의 권상기(11)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 7에서는, 1대의 권상기(11)가 균형추(3)에 탑재되고, 다른 1대의 권상기(11)는 승강로(1) 상부에 수직 방향에서 보아 균형추(3)와 겹치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다. 즉, 균형추용 가이드 레일(2)에 의해 안내되어서 승강하는 균형추(3)의 승강 구간보다 상방에 있고, 대향하는 한쌍의 가이드 레일(2)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 있어서도, 균형추(3)의 횡폭(A) 및 두께(B)를 확대할 필요가 없도록, 2대의 권상기(11)가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 7에서 사용되는 메인 로프(9)는 단일의 경로만을 갖고 있다. 그리고, 메인 로프(9)는 일단부가 승강로(1) 상부에 고정되어 있고, 2대의 권상기(11)에 연속하여 감겨지고, 승강로 상부측 디플렉터 시브(7)에 이른다. 그리고, 2개의 승강로 상부측 디플렉터 시브(7)에 감겨진 후, 엘리베이터 카(4)의 하방에 설치된 한쌍의 카용 현수 시브(6)에 순차로 감겨지고, 다시 상승하여 타단부는 승강로(1) 상부에 고정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 및 그 동작은, 실시예 1 등과 동 일하므로, 동일 또는 유사 부분에 동일하게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의 실시예 7에 있어서도, 권상 장치(10)는 권상기(11)를 2대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어, 엘리베이터의 구동에 필요한 토크를 2대의 권상기(11)에서 분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대용량의 엘리베이터에 대응하기 위해서 각각의 권상기(11)의 외형을 크게 할 필요가 없다. 더욱이, 2대의 권상기(11)는 균형추(3)의 프레임체내에 서로 수평 방향으로는 겹치지 않고, 수직 방향으로는 겹치도록 탑재되어 있다. 따라서, 축방향 갭형, 또는 반경방향 갭형중 어떠한 형식의 전동기(13)를 사용한 권상 장치(10)에서도, 균형추(3)의 횡폭(A) 및 두께(B)를 확대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승강로의 수평 투영 면적을 증대하는 일없이, 용량을 크게 한 엘리베이터에 대응할 수 있다.
그밖에, 실시예 1 등에서 얻어지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권상 장치(10)가 2대의 권상기(11)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권상기(11)의 대수는 2대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적어도 1대의 권상기(11)를 균형추(3)에 탑재하고, 나머지 복수의 권상기(11)를 균형추(3)에 탑재, 혹은 승강로(1) 상부에 설치하면 좋다. 이로써, 권상 장치(10)를 동일 사양의 권상기(11)를 n대 이용하여 구성하면, 균형추(3)의 횡폭(A) 및 두께(B)를 증대하는 일없이, n배 용량의 엘리베이터에까지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권상 장치(10)에 탑재하는 권상기(11)의 대수를 조정함으로써, 승강로(1)의 수평 투영 면적을 증대하는 일없이, 엘리베이터의 용량이 작은 영역으로부터 큰 영역까지 대응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권상 장치(10)는 동일 사양의 권상기(11)를 이용하여 구성된 예를 설명했지만, 복수의 권상기는 다른 사양의 권상기, 예를 들면 용량이 다른 권상기를 조합한 것이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의 수평 투영 면적의 증대, 즉 건물에 필요한 승강로 공간의 증대를 가져오는 일없이, 엘리베이터 대용량화에 대응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동일 사양의 권상기를 복수대 이용하여 구성하면, 권상기의 대수를 조정하는 것만으로, 소용량 영역으로부터 대용량 영역까지의 엘리베이터에 대해서, 용이하게 시리즈화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균형추에 권상 장치가 탑재된 공간 절약형의 엘리베이터의 장점을 손상하는 일없이, 생산성, 장착성도 우수하고, 엘리베이터의 대용량화에 대응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로서 유용하다.

Claims (8)

  1. 승강로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카와,
    상기 승강로내를 상기 엘리베이터 카와 반대 방향으로 승강하는 균형추와,
    상기 엘리베이터 카 및 상기 균형추를 현가하는 메인 로프와,
    상기 메인 로프가 감겨지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 및 상기 균형추를 구동하는 권상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권상 장치는 상기 메인 로프가 감겨진 구동 시브와 이 구동 시브를 회전 구동하는 전동기로 이루어지는 권상기를 적어도 2대 구비하며, 이중 적어도 1대가 상기 균형추에 탑재되며,
    상기 권상 장치의 적어도 2대의 상기 권상기는 상기 균형추의 프레임체 내에 수평방향으로는 겹치지 않고, 수직방향으로 겹치도록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권상 장치의 상기 권상기가 모두 상기 균형추에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삭제
  4. 승강로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카와,
    상기 승강로내를 상기 엘리베이터 카와 반대 방향으로 승강하는 균형추와,
    상기 엘리베이터 카 및 상기 균형추를 현가하는 메인 로프와,
    상기 메인 로프가 감겨지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 및 상기 균형추를 구동하는 권상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권상 장치는 상기 메인 로프가 감겨진 구동 시브와 이 구동 시브를 회전 구동하는 전동기로 이루어지는 권상기를 적어도 2대 구비하며, 이중 적어도 1대가 상기 균형추에 탑재되며,
    상기 권상 장치의 상기 권상기중, 적어도 다른 1대가 승강로 상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47016333A 2003-02-13 2003-02-13 엘리베이터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6887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3/001470 WO2004071926A1 (ja) 2003-02-13 2003-02-13 エレベー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9438A KR20040099438A (ko) 2004-11-26
KR100688730B1 true KR100688730B1 (ko) 2007-03-02

Family

ID=32866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6333A Expired - Fee Related KR100688730B1 (ko) 2003-02-13 2003-02-13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593640B1 (ko)
JP (1) JP4429920B2 (ko)
KR (1) KR100688730B1 (ko)
CN (1) CN100333991C (ko)
WO (1) WO20040719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61290B2 (ja) * 2004-10-06 2010-10-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装置
WO2006070437A1 (ja) * 2004-12-27 2006-07-06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装置
CN1970422A (zh) * 2006-12-05 2007-05-30 孟繁贵 间接驱动曳引电梯
KR100872928B1 (ko) 2007-03-26 2008-12-0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FI20070562L (fi) * 2007-07-20 2009-01-21 Kone Corp Hissi
JP5468679B2 (ja) * 2009-03-16 2014-04-09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エレベータの巻上装置
JP5932486B2 (ja) * 2012-05-28 2016-06-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装置
CN102942098A (zh) * 2012-11-09 2013-02-27 江苏大学 一种双电机电梯曳引系统及其控制方法
JPWO2015025397A1 (ja) * 2013-08-22 2017-03-0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WO2015125288A1 (ja) * 2014-02-24 2015-08-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装置
CN105775969A (zh) * 2015-12-15 2016-07-20 上海长江斯迈普电梯有限公司 电梯曳引机抱闸制动分压控制电路
CN108928716A (zh) * 2017-05-23 2018-12-04 奥的斯电梯公司 曳引机组件及电梯
US12116242B2 (en) * 2022-10-25 2024-10-15 Tk Elevator Innovation And Operations Gmbh Elevator counterweight mounted governor assemblie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0057A (ja) * 1991-09-17 1993-03-23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装置
EP0565516A1 (de) * 1992-04-09 1993-10-13 Werner Mag. Dr. Hagel Aufzug
FI95687C (fi) * 1993-06-28 1996-03-11 Kone Oy Vastapainoon järjestetty hissikoneisto/hissimoottori
JP4380914B2 (ja) * 1998-02-26 2009-12-09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つりあいおもり内部に駆動手段が設けられたベルト上昇式エレベータ
JP2002504473A (ja) * 1998-02-26 2002-02-12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平形の可撓性ロープを使用する二重綱車ロープ式のエレベータ装置
US6085874A (en) * 1998-12-22 2000-07-11 Otis Elevator Company Rail-climbing elevator counterweight having flat machines
JP4219034B2 (ja) * 1999-03-03 2009-02-04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
JPWO2002094701A1 (ja) * 2001-05-24 2004-09-0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39046A (zh) 2005-07-13
JPWO2004071926A1 (ja) 2006-06-01
JP4429920B2 (ja) 2010-03-10
EP1593640B1 (en) 2012-10-03
EP1593640A4 (en) 2011-04-13
CN100333991C (zh) 2007-08-29
KR20040099438A (ko) 2004-11-26
WO2004071926A1 (ja) 2004-08-26
EP1593640A1 (en) 2005-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873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61846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H07137964A (ja) カウンタウエイトに配置したエレベータ駆動装置
JP2000255933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H06255959A (ja) カウンタウエイト内に配置したエレベータモータ
JP2002080178A (ja) エレベータ装置
JPWO2005121008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2326778A (ja) エレベータおよび立体駐車設備
CN1938212B (zh) 电梯装置
JP4762907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3961718B2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
JP4294056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WO2006021996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6199394A (ja) エレベータ装置
CN101143677B (zh) 电梯装置
KR10072498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872928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123152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CN101734535A (zh) 电梯系统
JP2001310883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6151644A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6256867A (ja) エレベーター
JP2006151673A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装置
KR100735338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00103582A (ja) トラクションエレベ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01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10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2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2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