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75909B1 - 합성수지 폐기물 열분해 유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합성수지 폐기물 열분해 유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5909B1
KR100675909B1 KR1020060093547A KR20060093547A KR100675909B1 KR 100675909 B1 KR100675909 B1 KR 100675909B1 KR 1020060093547 A KR1020060093547 A KR 1020060093547A KR 20060093547 A KR20060093547 A KR 20060093547A KR 100675909 B1 KR100675909 B1 KR 100675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pyrolysis
waste
pipe
oi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3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용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펄스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60093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5909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펄스에너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펄스에너지
Priority to MX2009003238A priority patent/MX2009003238A/es
Priority to CA002663556A priority patent/CA2663556A1/en
Priority to EP06812559A priority patent/EP2081701A1/en
Priority to JP2009530237A priority patent/JP2010505021A/ja
Priority to BRPI0621931-4A priority patent/BRPI0621931A2/pt
Priority to PCT/KR2006/004726 priority patent/WO2008038854A1/en
Priority to CNA2006800559122A priority patent/CN101528370A/zh
Priority to US12/442,250 priority patent/US20090314622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5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590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7/00Other carbonising or coking processes; Features of destructive distillation processes in general
    • C10B57/02Multi-step carbonising or cok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8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an extraction ste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7/00Destructive distillation of solid carbonaceous materials with indirect heating, e.g. by external combustion
    • C10B47/28Other processes
    • C10B47/30Other processes in rotary ovens or retor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3/00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 C10B53/07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of solid raw materials consisting of synthetic polymeric materials, e.g. tyr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1/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 C10G1/04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by extra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1/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 C10G1/1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from rubber or rubber was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27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pyrolising or gasifying st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23G7/06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waste gases or noxious gases, e.g.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9/00Specific waste
    • F23G2209/28Plastics or rubber like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incinerators
    • F23G2900/50205Waste pre-treatment by pyrolysis, gasification or cracking followed by condensation of gas into combustible oil or fa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41Feedstock
    • Y02P20/143Feedstock the feedstock being recycled material, e.g. plast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수지 폐기물을 열분해 시켜 오일을 추출할 수 있도록 된 열분해 유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수지 폐기물을 열분해조에 투입하는 폐기물투입장치, 투입된 폐기물을 열분해 시켜 가스를 생성하는 열분해조, 화실에 내장된 열분해조를 가열시킬 수 있도록 일측에 가열버너를 갖고 이중 자켓으로 이루어진 가열로, 가열로의 화실에 위치한 열분해조를 회전시키는 회동장치, 생성된 가스를 다시 열분해 시켜 탄화물과 찌꺼기를 분리하는 2차 열분해장치, 2차 열분해장치에서 분리된 가스를 액체화되도록 응축하는 응축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재생오일을 물과 정제 오일로 분리하는 유수분리기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열분해시 발생되는 가스를 효율적으로 모아 오일의 생산성을 향상시켜 경제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환경친화적인 합성수지 폐기물 열분해 유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열분해조, 가열로, 응축기, 유수부리기, 재생오일, 합성수지 폐기물

Description

합성수지 폐기물 열분해 유화 장치 및 방법{Oil extraction device for pyrolysis of plastics waste material and extraction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 유화장치의 전체적인 공정을 나타낸 시스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투입 및 탄화물 회수장치.
도 3은 본 가열로 내에 위치하는 열분해조를 나타낸 구성도.
도 4a는 본 발명의 가열로 외부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가열로 내부 구성도를 나타낸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열분해조를 회동시키는 회동장치의 구성도.
도 5b는 본 발명의 회동장치를 지지하는 수평롤러를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열분해 조에 의해 생성된 분해가스를 다시 분해하는 2차 열분해 장치 구성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조를 이동레일에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된 이동차를 나타낸 예시도.
도7b는 본 발명의 열분해조의 가스배출관과 회동장치의 회동축 가스관 연결상태도.
도8은 본 발명의 열분해 공정에 따른 블록 구성도.
도9는 본 발명의 유화장치에 대한 전체적인 세부공정도를 내타낸 블록 구성 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폐기물투입장치 10':탄화물회수장치
11:호퍼 12a:유압 실린더
12b:투입관 13:고정지지대
14:탄화물 배출관 15a:수거부
15b:걸름망 16:송풍기
17:반응로회동잔치 20:열분해조
21:경사면 22:가스배출관
23, 23':회동롤러 24:가스흡입관
25:이동레일 25':이동차
26:가스배출관플렌지 30:가열로
31:몸체 32a:출입문
32b:보조문 33:가열버너
34:내화벽돌 35:연통
40:회동장치 41,41':수평롤러
42:회동축가스관 43:체인기어
44:모터 45:지지대
46:연결관 47:회동축가스관 플렌지
50:2차 열분해장치51:가열판 52:회분제거밸브
53:찌꺼기수용부 54:역류방지장치
55:촉매단 56:송풍기
60:응축기 70:유수분리기
본 발명은 합성수지 폐기물을 열분해 하여 오일을 재생할 수 있도록 된 열분해 유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산업 폐기물로 발생되는 폐 플라스틱, 폐 스티로폼 등의 합성수지 폐기물을 가열로의 열분해조에서 열분해 시켜 생성된 가스를 응축 및 유수분리하여 정제유인 오일을 재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열분해시 발생되는 가스를 효율적으로 모아 오일의 생산성을 향상시켜 경제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플라스틱 폐기물 열분해 유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폐 플라스틱, 폐 스티로폼 등의 폐합성수지 또 는 폐타이어를 열분해 시켜 오일을 재생하는 장치들이 다수 제공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오일을 재생하기 위한 열분해장치들이 설치비용과 운전비용에 비하여 오일의 생산 양이 적어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다수 개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산업현장에서는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선 등록된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열분해 유화장치들을 살펴보면,
특허공고 제1995-7048호 "폐기물처리장치"는 폐기물분해 로를 내 외부로로 구성하되 내부로는 2중으로 된 내·외부중공축을 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고정설치되고, 상기한 내 외부중공축의 일측단은 재생회수처리부와 접속되며, 재생회수처리부는 활성탄이 내장된 중화소와 중화제가 저장된 가스중화조 및 냉각실과 차례로 파이프로 접속시켜서 내부로에서 열분해된 폐기물의 열분해가스가 상기한 각부재를 거치면서 여과, 중화 및 냉각되도록 하고, 내부로의 외측에 형성된 외부로는 하부에 연소실이 구비되고 상부에는 지그재그형의 연통로가 설치됨과 동시에 연통로의 외벽에는 냉각물탱크가 설치되며, 상기한 연통로는 연도에 의해 중화조과 접속되고, 중화조 일측에는 이송관을 접속시켜 가스중화조를 통하여 연소실로부터 발생된 연소가스가 여과 및 중화되어 외기로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한 냉각실과 연소실 사이에는 가스공급관이 설치되어 여과·중화 및 냉각시켜진 열분해가스가 연료대용으로서 연소실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된 구성이 나, 특허공고 제1995-7048호는 열분해 된 가열가스가 외부 축공축에 뚫린 다수의 구멍을 통하여 재생회수처리부로 이동되도록 구성된 것이나 폐기물을 열분해시 감속모터에 의해 내부로가 회전되는 고정에서 외부 축공축이 회전되면서 구멍에 막이 생겨 가스가 원활하게 빠져나가지 못하므로 오일 재생의 생산량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특허 제0486159호 "폐플라스틱유화장치"는 호퍼로 유입되는 분쇄된 폐합성수지를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압송하는 이송스크류와 그 이송스크류에 의해 압송된 폐합성수지를 외부에 설치되는 버너의 가열에 의해 상기 폐합성수지로 부터 유류성분을 가진 가스(Gas)를 생성하는 반응로와 그 유류성분을 가진 가 스(Gas)를 각하는 냉각타워와, 1차 여과장치를 통해 1차로 여과하고, 이를 탈취 및 탈색하는 촉매타워와 2차로 여과하는 2차 여과장치로 이루어진 유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스크류와 반응로 사이는 상기 분쇄된 폐합성수지를 1차로 가열하여 반용융상태로 상기 반응로로 유입되도록 가열하는 가용융부로 구성된 것이나, 선 특허 제0486159호는 원료를 투입후 가용융 과정을 거는 과정에서 재생오일의 원료인 가스가 1차 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가용융 과정을 거치는 것은 스티로폼, 비닐 등과 같은 합성수지를 가용유시켜 1차 압축형태로 만든 다음 이를 다시 가열분해시키는 과정에서 가스가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어 오일의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폐기물 처리장치들은 설비가 방대함에 비하여 폐기물을 열분해 시켜 가스를 생산하는 양이 적고 특히 열분해 된 가스를 재처리하기 위해 분해된 가스를 모으는 효과가 떨어져 재생되는 오일의 양이 적고 적은 양을 생산하다 보니 처리장치를 가동하면 가동할수록 적자가 발생되어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반증하듯 현재 우리나라 특허청에 등록 또는 출원된 합성수지 폐기물처리장치는 수 백건이 출원된 실정이나 이를 정상적으로 가동시켜 오일을 생산하는 회사는 한곳도 없는 것은 현재까지 출원 및 등록된 장치들이 경제성이 없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산업 폐기물로 발생되는 폐 플라스틱, 폐 스티로폼 등의 합성수지 폐기물을 가열로의 열분해조에서 열분해 시켜 생성된 가스를 응축 및 유수분리하여 정재유인 오일을 재생하고, 열분해시 발생되는 가스를 효율적으로 모아 오일의 생산성을 향상시켜 경제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합성수지 폐기물을 재활용하여 폐기물처리비용을 절감하고, 매립 및 소각 처리하지 않으므로 토양오염 및 대기오염에 대한 환경오염을 방지하며, 오일 부족국가에서 수입 대체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합성수지 폐기물을 호퍼에 내장시켜 투입관을 통하여 열분해조에 투입하는 폐기물투입장치, 투입된 폐기물을 열분해 시켜 반응로 역활을 하는 열분해조, 화실에 내장된 열분해조를 가열시킬 수 있도록 일측에 가열버너를 갖고 이중 자켓으로 이루어진 가열로, 가열로의 화실에 위치한 열분해조를 회전시키는 회동장치, 열분해조에서 생성된 가스를 다시 열분해 하여 탄화물과 찌꺼기를 분리하는 2차 열분해장치, 2차 열분해장치에서 분리된 가스를 액체화되도록 응축하여 재생오일을 형성하는 응축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재생오일을 물과 정제 오일로 분리하는 유수분리기로 이루어져 합성수지 폐기물을 처리하여 오일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부족한 오일자원을 충족시킬 수 있게 한 합성수지 폐기물 열분해 유화 장치 및 방법을 제공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호퍼(11)에 모아진 폐기물을 투입하고 남은 탄화물을 회수하는 폐기물투입장치(10) 및 탄화물 회수장치(10')와;
투입된 폐기물을 열분해 할 수 있도록 가스배출관(22) 축상의 외면에 결합되고 이동레일(25) 상부에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 열분해조(20)와
열분해조(20)가 인입될 수 있도록 화실이 형성되고, 일측에 가열버너(33)가 설치되어 열분해조를 가열할 수 있도록 하며, 몸체(31)가 이중 자켓으로 이루어진 가열로(30)와;
상기 가열로(30)의 화실에 위치한 열분해조(20)를 회동축 가스관(42)과 연결시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회동장치(40)와;
열분해조(20)에서 생성된 가스가 회동축 가스관(42)을 통하여 이동된 후 열분해 시켜 가스가 탄화물입자와 분리되고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2차 열분해장치(50)와;
2차 열분해장치(50)에서 열분해 된 가스를 응축기(60)로 응축시켜 유수분리필터로 이루어진 가스분리기(70)를 통과시켜 오일을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폐기물 투입 및 회수장치는, 고정지지대(13) 상부에 유압실린더(12a)를 갖는 투입관(12b)이 호퍼(11) 저부에 설치된 폐기물 투입장치(10)와;
고정지지대(13) 중간부에는 양측단에 유압실린더(17a)가 결합되고 유압실린더(17a)는 고정핀(17b)에 의해 지지된 반응로 회동장치(17)와;
고정지지대 하단부에는 탄화물배출관(14)과, 수거부(15a) 및 걸름망(15b), 송풍기(18)로 구성된 탄화물회수장치(10')로 구성된다.
상기 열분해조는, 가스배출관(22) 양측 단부에 회동롤러(23)(23')를 설치하고, 회동롤러(23)와 회동롤러(23') 사이의 가스배출관(22) 외면에 다수의 가스흡입 관(24)이 연결되어 생성된 가스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하며, 다수의 가스 흡입관(24)이 내부에 위치하도록 일측에 경사면(21) 형성된 원통형 몸체로 구성된다.
또한, 열분해조(20)의 가스 배출관(22) 일측단 외면으로 노출되는 가스배출관 플렌지(26) 일면에는 다수의 연결핀(26a)이 돌출되고 다른 일면에는 걸림홈(26b)이 구성된다.
상기 가스배축관(22)은, 몸체 외주면이 관통되도록 외면에 가스흡입관(24를 다수 설치하고, 가스흡이관(24)의 입구(24')는 흡입 단면적을 최대한 크게 경사면으로 형성하고 금속망이 설치된다.
상기 가열로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부로 이루어진 화실이 형성되고 화실의 내벽은 내화벽돌(34)로 형성되며, 화실 일측에는 가열 버너(33)를 구비하고 물을 수용하는 몸체는 이중 자켓으로 이루어져 상하단에 물 공급관(37a)과 배수관(37b)이 설치되며, 몸체 상단부는 화실과 연결되는 연통(35)이 구비되어 전후면에 출입문(32a)과 보조문(32b)이 구성된다.
상기 열분해조(20)가 설치된 이동레일(25)은 탄화물회수장치(10')에서 가열로 내부까지 설치된다.
상기 회동장치는 회동축 가스관(42) 외면의 수평롤러(41)와 수평롤러(41') 사이의 중앙부에 체인기어(43)가 설치되고 체인기어(43)는 모터(44)와 연결된 체인에 의해 회전되며, 회동축 가스관(42) 일측단은 열분해조(20)의 가스 배출관(22)과 연결되고 다른 일측단은 2차 열분해조(50)의 연결관(46)과 연결된다.
상기 수평롤러는, 상하부재로 이루어지고 일측 상부부재는 윤활유 주입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한쌍의 편형부재(41a)를 구성하여 회동축가스관(42)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써 회동축가스관이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열분해조(20)와 연결되는 회동축 가스관(42)의 일측단 회동축가스관 플렌지(47)는 일면에 연결핀(26a)이 끼워지는 다수의 삽입홈(47a)이 형성되고 회동축기스관 플렌지(47) 외주면 상하부에는 링크(47b) 일측단이 힌지핀에 연결되고 링크 타측 단은 유압실린더(47c) 및 잠금부재(47d)가 결합된다.
상기 유압실린더(47c)의 타단은 회동축가스관 외면에 고정된 구성이다.
상기 회동축가스관(42)과 연결관(46)의 연결부는 일측의 회동축가스관(42)은 회동되고, 타측의 연결관(46)은 회동되지 않도록 결합되며, 연결부의 내부에는 오링(47)과 윤활 패킹(48)이 설치된다.
상기 수평롤러는 상하부재로 이루어지고 일측 상부부재는 윤활유 주입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한짝의 편형부재(41a)가 위치하여 회동축가스관(42)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편형부재는 회동축가스관을 지지하는 동시에 회동축가스관과의 유격을 조절시켜 회전이 원활하게 작동되도록 한다.
상기 2차 열분해장치는 내벽 외부에 기공을 갖는 다수의 가열판(51)이 설치되고 일측에는 역류방지장치(54)가 구비된 연결관(46)과 결합되며, 하단부에는 회분제거밸브(52)와 찌꺼기 수용부(53)가 형성되고 상부는 촉매단(55)이 설치된 구성이다. 상기 2차 열분해장치는 열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외면에 단열보온재가 피복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플라스틱 폐기물 열분해 유화 방법을 설명하 면 다음과 같다.
폐 플라스틱, 폐 스치로 폼 등으로 이루어진 폐합성수지를 절단한 후 폐기 물 투입장치의 호퍼에 내장하는 단계;
호퍼의 합성수지 폐기물을 폐기물 투입장치로 열분해조 내에 투입 하는단계:
열분해조를 가열로 내의 화실로 이동시킨 다음 출입문을 닫고 가열버너로 가열하면서 열분해조를 회전시키는 단계;
가열로의 가열에 의해 열분해조 내의 폐기물이 연소되면서 생성된 가스가 가스흡입관을 해 이동되어 2차 분해조에서 열분해 되는 단계;
2차 열 분해조에서 열분해 된 가스를 응축시키 재생유로 형성하는 응축단계;
응축된 재생유를 유수분리기의 유수필터로 물과 오일을 분리하는 유수분리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있어서 합성수지 폐기물을 열분해시켜 유화처리하는 제조공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단계: 합성수지 폐기물의 호퍼에 내장
먼저, 폐 플라스틱, 폐 스티로폼 등으로 이루어진 폐합성수지 폐기물을 수거하여 선별한 후 절단하여 폐기물 투입장치에 설치된 호퍼(11)에 내장시킨다.
상기 호퍼(11)에 합성 수지 폐기물을 내장하는 방법은 컨베이어 벨트 또 는 스크류를 통하여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호퍼(11)에 내장되는 합성수지 폐기물은 별도의 절단장치에 의해 소정 의 크기로 절단된다.
상기 호퍼(11)는 밀폐형으로서 에어필터가 설치되어 먼지의 비산을 방지토록 된 것이다.
제2단계; 열분해조에 합성수지폐기물 투입
호퍼(11)의 합성수지 폐기물을 폐기물 투입장치(10)를 이용하여 열분해조(20) 내에 투입한다.
이때 열분해조(20)는 이동레일(25)에 설치된 이동차(25')을 타고 폐기물투입장치(10)에 근접되도록 이동된 후 별도의 크레인으로 반응로회동장치(17)에 올린 다음 유압실린더(17a)를 이용하여 열분해조를 회전시키면 고정핀(17b)를 중심으로 열분해조가 수직상태를 이루어 투입구가 위로 향한 상태가 된다. 상기 열분해조가 수직상태로 이루어지면 호퍼(11) 하단에 설치된 자바라 형태의 투입관(12b)을 열분해조(20)의 투입구에 끼워 합성수지 폐기물이 투입되도록 한다.
제3단계: 열분해조의 가열 및 회동
상기 폐기물투입 장치(10)로 합성수지 폐기물을 열분해조(20)에 투입한 후 열분해조를 다시 크레인으로 들어서 이동레일(25)의 이동차(25')상에 올려 당기면 열분해조는 가열로 내의 화실에 위치된다.
상기 열분해조(20)는 이동레일(25) 상부에 올려진 상태이므로 밀거나, 당기면 이동될 수 있으며 화실 내부로 들어온 열부해조의 일측 가스배출관(22)은 가열로의 일측으로 노출되어 회동장치의 회동축가스관(42)와 연결된다.
즉, 열분해조의 가스 배출관 플렌지(26)가 회동장치의 회동축 가스관 플렌 지(47)와 밀착대응되는 동시에 가스배출관 플렌지 일면에 돌출된 연결핀(26a)이 회동축 가스관 플렌지(47)의 삽입홈(47a)에 끼워지고 일단이 링크에 연결된 잠금부재(47d)는 가스배출관플렌지(26) 일측의 걸림홈(26b)에 걸린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가스배출관 플렌지(26)의 걸림홈(26b)에 잠금부재(47d)가 걸리면 회동축 가스관(42) 외면에 고정된 유압실린더(47c)를 작동시켜 회전축 가스관 플렌지(47) 외면 상하에 설치된 링크(47b)를 당겨 가스배출관 플렌지(26)가 밀착되면서 링크(47b)가 유압실린더(47c) 또는 수동 스프링방식에 의해 절첩되어 잠금부재(47d)가 가스 배출관 플렌지(26)를 견고하게 결합상태를 유지한다.
물론 열분해조의 탄화물을 배출하기 위해 분리시에는 당연히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접혔던 링크(47b)를 펼치면 잠금부재(47d)가 해제되면서 가스배출관 플렌지(26)와 회전축가스관 플렌지(47)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합성수지 폐기물이 내장된 열분해조(20)를 가열로(30) 내의 화실로 이동시킨 후 가열로(30)의 출입문(32a)을 닫고 일측에 설치된 가열버너(33)를 작동시켜 열분해조(20)를 가열한다.
상기 열분해조(20)를 가열버너(33)로 가열하는 동시에 일측에 설치된 회동장치(40)를 회전시켜 열분해조(20)가 가열로(30) 내에서 회전되도록 한다.
가열로(30) 내의 화실에 위치한 열분해조(20)는 가스배출관(22) 양측 단부에 회동롤러(23)(23')가 설치되고, 가스 배출관(22) 일측단은 회동장치(40)의 회동축 가스관(42)과 연결된 상태이다.
또한 열분해조(20)는 회동롤러(23)와 회동롤러(23') 사이의 가스배출관(22) 외면에 다수의 가스흡입관(24)이 연결되고 그 외면은 일측에 경사면(21)이 형성된 원통형 몸체로 형성되어 밀폐 상태로된 내부에는 합성수지 폐기물이 가열에 의해 용융되면서 분해되어 가스가 생성된다.
상기 열분해조(20) 내에서 생성된 가스는 가스흡입관(24)이 가스배출관(22) 외면에 연결되어 회전됨으로 가스흡입관(24)을 통하여 배출된다.
즉, 열분해조(20) 내의 합성수지 폐기물이 가열에 의해 분해되면서 가스가 생성되고, 가스는 가스배출관(22) 외면에 다수 설치된 가스흡입관(24)이 회전되면서 주걱으로 가스를 퍼담듯이 흡입시켜 가스배출관(22)을 통하여 이동시키도록 한다.
상기 가스흡입관(24)은 말단부가 일측 방향으로 절곡되고, 단부의 입구(24')는 경사면을 가지므로 가스가 흡입되는 단면적을 최대한 넓게 한 것이다.
또한, 가스흡입관(24)은 말단부가 절곡된 상태이므로 가스배출관(22)을 따라서 회전되면서 생성된 가스를 퍼담듯이 흡입함으로 많은 양의 가스를 가스배출관(22)을 통하여 2차 열분해장치(50)로 이송시킨다.
상기 가스흡입관(24) 말단 입구는 금속망이 형성되어 탄화물의 슬러지가 유입되는 것을 여과하여 가스만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 가스흡입관 입구에 설치된 금속망은 합성수지 연소시 진한 그을음에 의해 막힐 수 있으나, 이는 열분해조가 가열로에서 밖으로 나왔을 때 청소하게 되므로 아무런 문제가 없다.
또한, 가열로(30)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부로 이루어진 화실이 형성되고 화실 의 내벽은 열에 강한 내화벽돌(34)로 형성된다.
상기 화실 일측에는 가열 버너(33)가 설치되어 화실에서 회전되는 열분해조(20)를 가열한다.
가열로(30)의 몸체(31)는 이중 자켓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물이 채워진 상태이며, 몸체(31)의 상단 일측에는 물공급관(37a)이 형성되고 하단 양측에는 물 배수관(37b)이 설치되어 물을 자켓으로 공급하고, 자켓 내의 물은 배수시킬 수 있다. 상기 가열로(30)의 몸체(31)에 이중으로 형성된 자켓의 단면 형상은 말굽을 거꾸로 세워놓은 것과 같은 형상이다.
또한, 가열로(30) 상단에는 화실과 연통 되도록 복수의 연통(35)이 구비되고 연통에는 필터가 장착되어 화실에서 배출되는 연기와 배출열을 필터링하여 외기로 방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배출되는 연기는 합성수지 폐기물을 태워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가열버너(33)에서 점화시 가스를 연소시키면서 발생되는 배출가스로서 휘발성 유해가스 등이 발생되지 않는 단순한 연소가스이다.
또한, 가열로의 몸체 일측에 증기배출관(36a)이 설치되어 자켓의 물이 가열되어 증기압이 생기는 것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일측에는 안전변(36b)이 구비되어 증기압이 배출되지 않고 계속 올라갈 경우에는 자동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가열로(30)에는 증기압과 가열온도 등을 체크할 수 있도록 각종 계기가 설치되며 이러한 구성품들은 통상적인 가열로에 설치되는 것들과 같은 것으로 동일하게 설치되어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가열로(30) 뒷쪽에는 보조 문(32b)을 설치하여 필요시 가열로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가열로의 출입문(32a)은 하단부에 이동레일(25)이 설치된 상태에서 열고 닫을 수 있으며, 화실에서 가열되는 열기를 비롯한 공기가 유출되지 않고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가열로(30)의 화실에 위치한 열분해조(20)는 일측에 연결된 회동장치(40)에 의해 회전되며, 회동장치(40)는 회동축 가스관(42) 양측에 설치된 수평롤러(41)와 수평롤러(41') 사이에 체인기어(43)가 설치되고 이의 체인기어(43)는 하단 일측에 설치된 모터(44)의 체인에 연결되어 모터(44)의 구동에 따라서 회동 되도록 한다. 상기 회동장치의 구동부는 체인기어가 아닌 다른 기어 등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회동장치(40)의 회동축가스관(42)과 2차 열분해장치(50)를 연결하는 연결관(46)의 연결부는 오링과 윤할패킹이 설치되어 연결부의 기밀을 유지하며, 연결관(46)은 회전되지 않고 회동축가스관(42)만 회동되어 열분해조(2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제4단계: 2차 열분해장치에서 탄화물입자와 생성가스를 열분해
열분해조(20)에서 합성수지 폐기물이 가열로(30)에 의해 가열되면서 생성된 가스는 가스흡입관(24)으로 유입된 후 가스배출관(22)을 통하여 회동장치(40)의 회동축가스관(42), 연결관(46)을 지나 2차 열분해장치(50)로 유입된다.
이때 연결관(46)과 2차 열분해장치(50) 사이에는 역류방지장치(54)가 설치되 어 2차 열분해장치(50)로 유입된 가스가 열분해되면서 발생된 압력에 의해 팽창된 가스가 연결관(46)측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열분해조(20)에서 생성된 가스가 2차 열분해장치(50)에서 다시 가열되어 탄화물입자(카본 등), 미분해 찌꺼기와 가스를 열분해하여 분리하게 된다.
1차 열분해조(20)에서 생성된 가스는 탄화물과 미분해된 찌꺼기가 혼합된 상태이므로 이송관로를 막히게 하는 원인과 재생유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상기 2차 열분해장치(50)는 내벽 외부에 다수의 가열판(51)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고 하단부에는 회분제거밸브(52)와 분리된 찌꺼기 수용부(53)가 설치되어 2차 연분해장치(50)로 유입된 가스가 외부에 설치된 다수의 가열판(51)에 의하여 가열 분해되고 탄화물과 찌꺼기는 낙하되어 찌꺼기 수용부(53)에 모이고 분해된 가스는 분리되어 송풍기(56)의 흡입에 의해 응축기(60)로 이동된다.
상기 찌꺼기 수용부(53)에 모인 회분은 차후 별도로 폐기하게 된다.
상기 송풍기(56)는 열분해조(20)와 2차 열분해장치(50)에서 분리된 가스가 후단의 응축기로 신속하게 이동되도록 하여 가스가 체류되면서 팽창하여 폭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2차 열분해장치(50)를 관리할 수 있도록 각종 계기와 투시창, 드레인밸브 등의 설치는 일반적인 공지된 것에 의한다.
또한, 2차 열분해장치(50) 내부 상단에는 촉매단(55)이 설치되어 분리되어 상승되는 가스속에 포함된 기계를 부식하는 강한 염소가스, 경화성이 강한 왁스 등 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촉매단(55)은 합성수지 폐기물의 분해과정에서 생성되는 독성가스를 중화시켜 차후 재생되는 오일의 품질을 향상시키게 된다.
제5단계: 가스 응축
상기 2차 열분해장치에서 탄화물 및 찌꺼기와 분리된 가스는 송풍기에 의해 응축기(60)로 유입된 후 응축되어 액체로 변한다.
상기 응축기(60)는 통상적인 응축기(60)와 동일한 기능과 작용을 갖는 것으로 가스를 액체로 변환시켜 후단의 유수분리기(70)로 이송된다. 이때 응축되지 않은 가스는 일측의 이송라인을 통하여 가스저장탱크(80)로 유입되고, 가스저장탱크에 유입된 가스는 다시 가열로(30)의 가열버너(33)로 공급되어 가열버너의 열원이 된다.
제6단계: 유수분리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액체 상태의 재생유는 다시 유수분리기(70)의 필터에 의해 정재된 오일과 물이 분리되어 오일저장탱크로 저장된다.
상기 유수분리기(70)는 응축된 재생유을 필터로 오일과 분을 분리시킨 후 물을 별도의 수거조에 모아 버릴 수 있도록 하고 정재된 오일은 저장탱크로 모아지며 이때 응축기에서 분리되지 못한 가스는 다시 분리되어 일측의 가스이송라인을 통하여 가열버너의 열원으로 공급된다.
상기와 같은 공정으로 이루어는 본 발명의 첨부도면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 유화장치의 전체적인 공정을 나타낸 시스템으로서, 이의 처리과정을 간단히 살펴보면, 합성수지 폐기물을 호퍼(11)에 내장하여 투입관을 통하여 열분해조(20)에 투입하는 폐기물투입장치(10) → 투입된 폐기물을 열분해시켜 반응로 역할을 하는 열분해조(20)→ 화실에 내장된 열분해조(20)를 가열시킬 수 있도록 일측에 가열버너(33)를 갖고 이중 자켓으로 이루어진 가열로(30) → 가열로의 화실에 위치한 열분해조(20)를 회전시키는 회동장치(40) → 열분해조에서 생성된 가스를 다시 열분해하여 탄화물과 찌꺼기를 분리하는 2차 열분해장치(50) → 2차 열분해장치(50)에서 분리된 가스를 액체화되도록 응축하여 재생오일을 생성하는 응축기(60) → 응축기(60)에서 응축된 재생오일을 물과 정제 오일로 분리하는 유수분리기(70)의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투입 및 탄화물 회수장치로서, 호퍼에 내장된 합성수지 폐기물을 저부의 투입관을 통하여 크레인에 의해 반응로회동장치(17)에 올려진 열분해조(20)에 투입하도록한다.
또한, 열분해조에서 가열 연소되어 가스를 생성한 후에는 가열로의 출입문(32a)을 개방한 후 열분해조(20)를 당기면 이동레일(25)을 타고 폐기물 투입장치(10)에 근접되도록 이동시킨다.
상기 폐기물투입장치(10)로 근접된 열분해조(20)는 유압실린더(17a)를 갖는 반응로 회동장치(17)를 이용하여 열분해조(20)를 회동시켜 내부의 탄화물회수장치(10')에 남은 탄화물을 유압실린더(17a)를 갖는 반응로 회동창치(17)로 열분해조(20)를 회동시켜 탄화물 회수장치(10')로 연소되고 남은 탄화물을 회수한다.
상기 탄화물 회수장치(10')는 상부의 유압실린더에 의해 유동되는 탄화물 배출관(14)이 형성되고 그 하단에는 호퍼 형태의 수거부(15a)를 갖고 수거부(15a) 하단에는 걸름망(15b)이 설치되어 탄화물에 혼합된 철, 돌 등의 이물질을 걸러낸다. 상기 걸름망(15b)이 설치된 수거부(15a) 하단부는 관으로 연결되고 관일측에는 송풍기(16)가 설치되어 열분해조(20)의 탄화물을 흡입시켜 탄화물 수거부(15a)까지 이송시키고 수거부에 인입된 탄화물은 탄화물배출관을 통하여 처리시설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열분해조에 내장된 탄화물은 열분해조 내면 일측에 형성된 경사면(21)에 의해 용이하게 슬라이딩되어 배출된다.
도 3은 본 가열로 내에 위치하는 열분해조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가스 배출관(22) 외면에 다수의 가스 흡입관(24)이 설치되고 이의 외면에는 원통형의 함체로 열분해조(20)가 형성되며 열분해조(20) 내부 일측은 탄화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경사면(21)이 형성된다.
또한, 열분해조(20)가 원활하게 회동될 수 있도록 가스배출관(22) 양단에는 회동롤러(23)(23')가 설치된다. 상기 회동롤러(23)(23')는 가열로(30)의 화실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열분해조(20)를 공중에 뜬 상태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가열로 외부구성을 나타낸 정면도로서, 가열로의 몸체 외면에 2개의 연통(31)과 증기배출관(36a) 안전밸브(36b)를 구성하고 양측에 출입문(32a)과 보조문(32b)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가열로 내부 구성도를 나타낸 측 단면도로서, 가열로의 몸체가 2중 자켓으로 형성되고 열분해조가 위치하는 화실의 내벽에는 열에 강한 내화벽돌(34)이 설치되고 화실 일측에는 가열버너(33)가 설치된 것이다.
상기 가열버너(33)는 최초 운전시에는 별도의 가스가 공급되어 점화되나 열분해조가 가열됨에 따라서 가스가 발생되어 응축기에서 응축되고 남은 가스가 열원으로 공급되어 가열버너를 가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열로는 몸체가 이중자켓으로 이루어져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고 물공급관 및 배출관이 구비된 것으로 상기에서 언급하였듯이 가열로를 운전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계기와 구성품들이 설치되는 것은 별도의 설명이 없어도 당연한 것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열분해조를 회동시키는 회동장치의 구성도로서, 회동축가스관(42) 일측단은 열분해조(20)의 배출가스관(22)과 연결되고 타측단은 2차 열분해장치(50)와 연결된 연결관(46)과 결합된다. 또한, 회동축가스관(42)은 복수의 수평롤러(41)(41')에 지지되며 수평롤러는 하부에 설치된 지지대(45)에 고정된다.
상기 회동축가스관(42) 중앙부 외면에는 체인기어(43)가 설치되고 이의 구동은 하부에 설치된 지지대 내에 설치된 모터(44)에 의해 구동되며 모터축과 체인기어는 체인으로 연결되어 모터(44)의 구동을 체인기어(43)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회동장치(40)는 상부에 회동장치 덮개(49)가 설치되어 수평롤러와 체인기어를 빗물 등의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열분해조(20)와 연결되는 회동축 가스관(42)의 일측단 회동축가스관플 렌지(47)는 일면에 연결핀(26a)이 끼워지는 다수의 삽입홈(47a)이 형성되고 회동축가스관 플렌지(47) 외주면 상하부에는 링크(47b) 일측단이 힌지핀에 의해 연결되고 링크 타측 단은 유압실린더(47c) 및 잠금부재(47d)가 연결된다.
따라서 열분해조의 가스배출관(22) 일측단의 가스 배출관 플렌지(26)가 회동장치의 회동축 가스관 플렌지(47)와 밀착대응되는 동시에 가스배출관 플렌지 일면에 돌출된 연결핀(26a)이 회동축 가스관 플렌지(47)의 삽입홈(47a)에 끼워지고 일단이 링크(47b)에 연결된 잠금부재(47d)는 가스배출관플렌지(26) 일측의 걸림홈(26b)게 걸린상태에서 회동축가스관(42) 외주면에 고정된 유압실린더에 의해 밀착결합된다.
도 5b는 본 발명의 회동장치를 지지하는 수평롤러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이는 회동장치(40)의 지지대(45)에 고정되어 회동축가스관(42)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회동축가스관(42)은 모터(44)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시 수평롤러(41)(41')가 양측에서 지지하여 흔들림 없이 부드럽게 회전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열분해 조에 의해 생성된 분해가스를 다시 분해하는 2차 열분해 장치 구성도로서, 2차 열분해장치(50)는 수직의 원통형 함체로 이루어지고 내축 상부에는 촉매단(55)이 위치되고 그 하단에는 링형태로 된 다수의 가열판(51)이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된다.
가열판(51)이 설치되는 간격은 2차 열분해장치(50)의 용량에 따라서 제작시 그 간격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가열판(51)은 생성된 가스를 열분해 하기 위한 적정온도를 발생시키 며, 다수의 유공이 형성되어 가스는 상승하고 탄화물과 찌꺼기는 자체의 비중에 의해 하부의 찌꺼기 수용부(53)로 낙하된다. 찌꺼기 수용부 일측에 설치된 회분제거밸부(52)는 수용부(53)를 개폐하여 회수된 찌꺼기와 탄화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2차 열분해장치(50)와 연결관(46) 사이에는 역류방지장치(54)가 설치되어 인입된 가스가 2차 열분해장치(50)에서 분리된 가스가 압력차에 의하여 열분해조(20)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촉매단(55)은 2차 열분해된 가스의 성질을 조정하는 것으로 기계의 부식성이 강한 염소가스나 경화성이 강한 왁스 등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참고로 합성수지 폐기물은 열분해하는 과정에서 독성가스를 발생하게 되는데 이들을 촉매단에서 개질, 중화, 소멸시켜 생성되는 오일의 품질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단에 설치된 송풍기(56)는 2차 열분해장치(50)에서 분리된 가스를 신속하게 응축기(60)로 이송시켜 가스가 팽창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조를 이동레일에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이동차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본 발명의 이동레일에 이동차를 설치하여 열분해조를 이동차 상부에 설치하여 가열로로 용이하게 인입출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크레인으로 열분해조를 들어 올릴때 또는 내릴 때 이동차 위에 간단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7b는 본 발명의 열분해조의 가스배출관과 회동장치의 회동축 가스관 연결상태도로서, 본 발명의 열분해조를 가열로의 화실에 인입시키면 가스배출관 말단부 가 가열로 외부로 돌출되면서 회동축 가스관과 간단 용이하게 연결 될수도록 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열분해 공정에 따른 블록 구성도로서, 도1의 폐기물 유화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오일 생산 처리시스템을 블록화한 것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유화장치에 대한 전체적인 세부공정도를 내타낸 블록 구성도로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서 이루어지는 전체 세부공정도로서 도9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위한 참고도로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도9에 도시된 공정중 일부는 본 발명의 설명에 미기재되었다.
상기와 같이 실시되는 본 발명은 산업전반에 걸처 발생되는 합성수지 폐기물을 열분해 하여 오일로 환원시키는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서 폐기물 처리는 물론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오일 생산량에 따른 실험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실험예>
* 반응로 내의 원료 투입가능한 체적; 6.944㎥,
* 충진율: 80%
* 충진물 투입물 무게는 0.1003×0.8×0.45(비중)=2.5t(투입물량)로 하여 오일 생산량을 살펴보면, 오일: 60%, 가스: 20%, 탄화물(차르): 15%, 수분: 5%가 생산되었다.
상기 실험에서 수분과 오일은 함께 섞이게 되므로 차후 유수분리기로 오일을 분리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생산되는 오일과, 가스등을 실물량으로 환산하여보면,
* 오일: 2,5t ×0.6 ÷ 0.87(비중) = 1,724ℓ
* 가스: 2.5t ×0.2 = 500kg
* 탄화물: 2.5t ×0.15 = 375kg
* 수분: 2.5t ×0.05 =125kg와 같이 생산되었다.
따라서, 폐기물 2.5t에 오일 1,724ℓ을 생산한 것이므로 효율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상기와 같이 오일을 생상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경재성인 에너지 수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반응물질>
*투입폐기물 종류: 폐타이어
*1회투입량: 2.5t/batch(비중이 적용된 양임)
*반응물질 수지
1)오일:45%∼50% → 적용값: 50%
2)가스: 10%∼15% → 적용값: 15%
3)탄화물: 25%∼30% → 적용값: 30%
4)수분: 5%∼8% → 적용값: 5%
*생산물 량
1)오일2.5톤/bath×0.5=1.25톤
1.25톤× (1/0.87× 1,000L톤)=1,437L(정제연료유 기준)
2)가스 : 2.5톤/batch× 0.15=0.375톤
0.375톤× 1,000kg/톤=375kg
3)차르 :2.5톤/batch× 0.3=0.75톤
4)수분 : 2.5톤/batch × 0.05= 0.125톤
※ 0.87은 오일 생산물의 비중임.
<버너 소모 연료량>
*버너 규격
1) 주버너 : 320,000kcal/hr× 2대
2)보조버너 : 80,000kcal/hr× 2대
*소모 총열량 산출 800,000kcal/hr× 2.5시간 = 2,000,000 kcal/batch
*사용 연료량 산출
1) 버너 운전시 시간당 경유 소요량 : 123.1L(경유기준)
2) 버너의 실제 가열시간 : 2.5시간(150분)
3) 반응시간동안의 경유 소요량 : 123.1L× 2.5hr= 307.75L/batch
4) 소요량 대비 발열량 산출 : 307.75L/hr× 9,200kcal/L(경유의 열량 = 1L당 9,200kCAL)= 2,831,300kcal/bacth
<시스템의 에너지 수지>
* 발생가스를 경유로 대체하여 사용 할 경우의 가스 총 열량 산출
375kg/batch 11,900kcal/kg(발생가스의 열량)= 4,462,500kcal/batch
※ 발생가스의 열량 : (부탄gas 의 열량+ 프로판gas의 열량)/2(∵ 발생가스 ⇒ LPG성분)
* 시스템의 1batch시 필요한 열량
1) 버너 규격에 의한 필요량 : 2,000,000kcal/batch
2) 2.5시간동안 반응시 사용연료(경유) 기준에 의한 필요량 : 2,831,300kcal/batch
* 결론적으로 회수가스량 대비 사용연료량을 비교해 보면
* 462,500kcal/batch - 2,831,300kcal/batch = 1,631,200kcal/batch(2.5시간 반응시)
* 실공장 운영시 회수가스로 사용하고 남는 1,631,200kcal/batch는 공장운영에 사용된 것임.
본 발명의 유화장치는 최초 운전에 필요한 에너지를 소비한 후에는 자체적으로 생상되는 가스를 보충하여 운전함으로써 오일을 생산하기 위한 시스템의 가동에 따른 에너지 소비를 최대한 절감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폐 플라스틱, 스티로폼 등의 폐합성수지와 폐타이어를 열분해 시켜 오일을 재생함으로써, 첫째, 합성수지 폐기물을 재활용하여 폐기물처리비용을 절감하고, 둘째, 매립 및 소각 처리하지 않으므로 토양오염 및 대기오염에 대한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며, 셋째, 오일부족국가에서 수입대체 효과를 갖는 동시에 외화절약 효과를 가지며, 넷째, 열분해조의 가스흡입관의 말단부를 절곡시켜 입구에 경사면을 형성시켜 생성된 가스가 다량으로 흡입되도록 함으로서 오일생산 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합성수지 폐기물을 열분해 시켜 오일을 추출하는 유화장치에 있어서,
    호퍼(11)에 모아진 폐기물을 투입하고 남은 탄화물을 회수하는 폐기물투입장치(10) 및 탄화물 회수장치(10')와;
    투입된 폐기물을 열분해 할 수 있도록 가스배출관(22) 축상의 외면에 결합되고 이동레일(25)의 이동차(25') 상부에 위치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 열분해조(20)와
    열분해조(20)가 인입될 수 있도록 화실이 형성되고, 일측에 가열버너(33)가 설치되어 열분해조를 가열할 수 있도록 하며, 몸체(31)가 이중 자켓으로 이루어진 가열로(30)와;
    상기 가열로(30)의 화실에 위치한 열분해조(20)를 회동축 가스관(42)과 연결시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회동장치(40)와;
    열분해조(20)에서 생성된 가스가 회동축 가스관(42)을 통하여 이동된 후 열분해시켜 가스가 탄화물입자와 분리되고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2차 열분해장치(50)와;
    2차 열분해장치(50)에서 열분해 된 가스를 응축기(60)로 응축시켜 유수분리필터로 이루어진 가스분리기(70)를 통과시켜 오일을 추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폐기물 열분해 유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폐기물 투입 및 회수장치는, 고정지지대(13) 상부에 유압실린더(12a)를 갖는 투입관(12b)이 호퍼(11) 저부에 설치된 폐기물 투입장치(10)와;
    고정지지대(13) 중간부 양측단에 유압실린더(17a)가 결합되고 유압실린더(17a)는 고정핀(17b)에 의해 지지된 반응로 회동장치(17)와;
    고정지지대 하단부에는 탄화물배출관(14)과, 수거부(15a) 및 걸름망(15b), 송풍기(18)로 구성된 탄화물회수장치(1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폐기물 열분해 유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열분해조는, 가스배출관(22) 양측 단부에 회동롤러(23)(23')를 설치하고, 회동롤러(23)와 회동롤러(23') 사이의 가스배출관(22) 외면에 다수의 가스흡입관(24)이 연결되어 생성된 가스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하며, 다수의 가스 흡입관(24)이 내부에 위치하도록 일측에 경사면(21)이 형성된 원통형 몸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폐기물 열분해 유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가열로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부로 이루어진 화실이 형성되고 화실의 내벽은 내화벽돌(34)로 형성되며, 화실 일측에는 가열 버너(33)를 구비하고 물을 수용하는 몸체는 이중 자켓으로 이루어져 상하단에 물 공급관(37a)과 배수관(37b)이 설치되 며, 몸체 상단부는 화실과 연결되는 연통(35)이 구비되어 전후면에 출입문(32a)과 보조문(32b)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폐기물 열분해 유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회동장치는, 회동축 가스관(42) 외면의 수평롤러(41)와 수평롤러(41') 사이의 중앙부에 체인기어(43)가 설치되고 체인기어(43)는 모터(44)와 연결된 체인에 의해 회전되며, 회동축 가스관(42) 일측단은 열분해조(20)의 가스 배출관(22)과 연결되고 다른 일측단은 2차 열분해조(50)의 연결관(46)과 연결되어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폐기물 열분해 유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2차 열분해장치는, 내부에 기공을 갖는 다수의 가열판(51)이 설치되고 일측에는 역류방지장치(54)가 구비된 연결관(46)과 결합되며, 하단부에는 회분제거밸브(52)와 찌꺼기 수용부(53)가 형성되고 상부는 촉매단(55)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폐기물 열분해 유화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가스흡입관은, 가스배출관(22) 외면에 관통되도록 다수 설치하고, 가스흡입관(24)의 입구(24')는 흡입 단면적을 최대한 크게 경사면으로 형성하고 금속망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폐기물 열분해 유화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열분해조(20)의 가스 배출관(22)은 일측단 외면으로 노출되는 가스배출관 플렌지(26) 일면에 다수의 연결핀(26a)이 돌출되고 다른 일면에는 걸림홈(26b)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폐기물 열분해 유화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수평롤러는, 상하부재로 이루어지고 일측 상부부재는 윤활유 주입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한쌍의 편형부재(41a)를 구성하여 회동축가스관(42)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폐기물 열분해 유화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회동축가스관(42)과 연결관(46)의 연결부는 일측의 회동축가스관(42)은 회동되고, 타측의 연결관(46)은 회동되지 않도록 결합되며, 연결부의 내부에는 오링(47)과 윤활 패킹(48)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폐기물 열분해 유화 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회동축 가스관(42)은 일측단에 회동축가스관 플렌지(47)가 형성되고 일면에 연결핀(26a)이 끼워지는 다수의 삽입홈(47a)이 형성되며 회동축기스관 플렌지(47) 외주면 상하부에는 링크(47b) 일측단이 힌지핀에 연결되고 링크 타측 단은 유압실린더(47c) 및 잠금부재(47d)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폐기물 열분해 유화 장치.
  12. 합성수지 폐기물을 열분해시켜 오일을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폐 플라스틱 및 폐 스치로 폼으로 이루어진 폐합성수지를 절단한 후 폐기 물 투입장치의 호퍼에 내장하는 단계;
    열분해조를 크레인으로 들어 반응로회동장치에 안착시켜 유입실린더로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
    호퍼의 합성수지 폐기물을 투입관을 통하여 열분해조 내에 투입 하는단계:
    열분해조를 크레인으로 들어 이동레일의 이동차에 안착시킨 후 가열로 내의 화실로 이동시킨 다음 출입문을 닫고 가열버너로 가열하면서 열분해조를 회전시키는 단계;
    가열로의 가열에 의해 열분해조 내의 폐기물이 연소되면서 생성된 가스가 가스흡입관을 통하여 이송되어 2차 분해장치에서 열분해되는 단계;
    2차 열 분해장치에서 열분해 된 가스를 응축시켜 재생유로 형성하는 응축단계;
    응축된 재생유를 유수분리기의 유수필터로 물과 오일을 분리하는 유수분리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폐기물 열분해 유화 방법.
KR1020060093547A 2006-09-26 2006-09-26 합성수지 폐기물 열분해 유화 장치 및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675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3547A KR100675909B1 (ko) 2006-09-26 2006-09-26 합성수지 폐기물 열분해 유화 장치 및 방법
CA002663556A CA2663556A1 (en) 2006-09-26 2006-11-13 Oil extraction device for pyrolysis of plastics waste material and extraction method thereof
EP06812559A EP2081701A1 (en) 2006-09-26 2006-11-13 Oil extraction device for pyrolysis of plastics waste material and extraction method thereof
JP2009530237A JP2010505021A (ja) 2006-09-26 2006-11-13 プラスチック廃棄物の熱分解油化装置及びその方法
MX2009003238A MX2009003238A (es) 2006-09-26 2006-11-13 Dispositivo de extraccion de aceite para pirolisis de materiales plasticos de desecho y metodo de extraccion del mismo.
BRPI0621931-4A BRPI0621931A2 (pt) 2006-09-26 2006-11-13 sistema de extração de óleo para a pirólise de materiais residuais de plástico e método de extração de óleo para a pirólise de materiais residuais de plástico
PCT/KR2006/004726 WO2008038854A1 (en) 2006-09-26 2006-11-13 Oil extraction device for pyrolysis of plastics waste material and extraction method thereof
CNA2006800559122A CN101528370A (zh) 2006-09-26 2006-11-13 用于热解废塑料材料的石油提炼装置及其提炼方法
US12/442,250 US20090314622A1 (en) 2006-09-26 2006-11-13 Oil extraction device for pyrolysis of plastics waste material and extrac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3547A KR100675909B1 (ko) 2006-09-26 2006-09-26 합성수지 폐기물 열분해 유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5909B1 true KR100675909B1 (ko) 2007-02-02

Family

ID=38104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3547A Expired - Fee Related KR100675909B1 (ko) 2006-09-26 2006-09-26 합성수지 폐기물 열분해 유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90314622A1 (ko)
EP (1) EP2081701A1 (ko)
JP (1) JP2010505021A (ko)
KR (1) KR100675909B1 (ko)
CN (1) CN101528370A (ko)
BR (1) BRPI0621931A2 (ko)
CA (1) CA2663556A1 (ko)
MX (1) MX2009003238A (ko)
WO (1) WO2008038854A1 (ko)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573B1 (ko) * 2007-06-25 2008-10-07 한신테크놀로지 (주) 폐플라스틱의 오일 환원 장치에 장착되는 가열탱크
KR100884720B1 (ko) 2007-06-25 2009-02-19 한신테크놀로지 (주) 폐플라스틱의 오일 환원 장치
KR101380871B1 (ko) * 2012-05-14 2014-04-04 이인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농,산업용 재생유 생산장치
KR101534066B1 (ko) * 2014-10-31 2015-07-08 주)리크린 폐젤리통신선의 열분해시스템 및 열분해방법
KR101759242B1 (ko) * 2015-02-24 2017-07-18 정성화 폐전선 및 통신선 열분해장치
KR101780671B1 (ko) 2017-02-07 2017-09-21 주식회사동서산업롤 코킹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폐플라스틱 유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12813B1 (ko) * 2019-01-23 2019-08-21 이정율 자체적으로 생산되는 재생에너지를 사용하는 폐합성수지 재생장치
KR20200063611A (ko) 2018-11-28 2020-06-05 주식회사 에코인에너지 이동형 폐합성수지 열분해유화 재활용장치
CN112745867A (zh) * 2021-01-21 2021-05-04 华中科技大学 蓄热滚筒热解反应器
WO2021107181A1 (ko) * 2019-11-27 2021-06-03 주식회사 정도하이텍 폐 수지 유화 플랜트 시스템
KR20210098036A (ko) 2020-01-31 2021-08-10 주식회사 에코인에너지 재생연료유 생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재생연료유 생성장치
CN113604234A (zh) * 2021-07-09 2021-11-05 华北电力大学 一种多室有机固废热解反应器及其热解方法
KR102335758B1 (ko) * 2021-02-02 2021-12-06 주식회사 정도하이텍 고효율 유화시스템
CN113831925A (zh) * 2021-10-09 2021-12-24 华北电力大学 一种反向渐进式有机固废热解装置与方法
CN114220613A (zh) * 2021-12-14 2022-03-22 科博新能源环保研究院(清远)有限公司 一种漆包线热解处理设备
KR102410548B1 (ko) * 2021-11-13 2022-06-22 티엠에스꼬레아 주식회사 액체 및 고체폐기물 이동식 처리시스템
KR20220153694A (ko) * 2021-05-10 2022-11-21 주식회사 루소 대용량 폐플라스틱 공급원료 재활용 시스템
KR102515380B1 (ko) * 2022-02-21 2023-03-30 김영호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
KR102544280B1 (ko) * 2022-05-06 2023-06-15 박안수 폐합성수지 열분해장치
KR20230100257A (ko) 2021-12-28 2023-07-05 주식회사 에코인에너지 폐합성수지 열분해 장치 및 방법
KR102560428B1 (ko) * 2022-07-12 2023-08-01 주식회사 정한환경이엔지 연속성 열분해 유화장치
KR102718262B1 (ko) * 2023-12-01 2024-10-18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소 가스 획득을 위한 열분해유 생성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4266A2 (en) * 2009-09-21 2011-03-24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Apparatus for recovering styrene monomer and method of recovering styrene monomer using auxiliary solvent
US20150001061A1 (en) * 2011-07-28 2015-01-01 Jbi Inc. System and process for converting plastics to petroleum products
CN103084381A (zh) * 2013-02-07 2013-05-08 施雄飞 纺织工业废污资源再生装置及方法
AU2014241900A1 (en) * 2013-03-14 2015-10-22 Clean Blue Technologies,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materials
ES2533141B2 (es) * 2013-09-17 2015-11-23 Jordi HUGUET I FARRÉ Procedimiento de eliminación de plásticos contenidos en residuos urbanos e industriales e instalación para la puesta en práctica del mismo.
US10113118B2 (en) 2013-12-21 2018-10-30 Steeper Energy Aps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hydrocarbon
GB2536049B (en) * 2015-03-05 2017-06-07 Standard Gas Ltd Advanced thermal treatment method
GB2524405A (en) * 2015-04-01 2015-09-23 Green Conservation Resources Lt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ed supply of commingled plastic from municipal solid waste (MSW) to an in-vessel and obtaining oil/liquid fuel
KR101958824B1 (ko) * 2018-03-07 2019-03-18 지구화학(주) 폴리에틸렌 합성왁스 파우더 제조장치
CH716009B1 (fr) * 2019-03-29 2022-10-14 Greenlina Sa Procédé de transformation par pyrolyse de déchets mélangés en matières plastiques et en caoutchoucs et dispositif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édé.
KR102228583B1 (ko) * 2019-04-30 2021-03-1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가연성 폐기물으로부터 열분해 오일 생산 시스템 및 이의 이용
CN110066674B (zh) * 2019-05-28 2024-04-05 青岛伊克斯达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轮胎裂解炭渣和油气分离装置
GB2585872A (en) * 2019-07-18 2021-01-27 Powerhouse Energy Group Plc Treatment of waste material
GB2585873A (en) 2019-07-18 2021-01-27 Powerhouse Energy Group Plc Treatment of waste material
WO2021076670A1 (en) 2019-10-14 2021-04-22 William Marsh Rice University Porous polymeric carbon sorbents for co2 capture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CN113997459B (zh) * 2020-07-27 2024-05-03 广东沃府实业有限公司 基于plc智能控制再生塑料节能环保再生机
AU2021441253A1 (en) 2021-04-14 2023-11-23 William Marsh Rice University Porous polymeric carbon sorbent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KR102424530B1 (ko) * 2021-05-07 2022-07-25 조상태 연속식 폐합성수지 유화장치
CN113462421B (zh) * 2021-07-30 2023-03-28 重庆大学 一种熔融盐加热医疗废弃物或废旧塑料的热解方法
CN114135873A (zh) * 2021-12-31 2022-03-04 广州市通用新产品开发有限公司 一种一体式集成固体废物处理装置
KR102660629B1 (ko) 2022-01-28 2024-05-03 리젠에코솔루션(주) 폐합성수지의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
CN116294610B (zh) * 2023-04-21 2023-08-01 东营联合石化有限责任公司 一种原料油反应加热炉
CN117025248A (zh) * 2023-08-10 2023-11-10 江西省贞下起元再生资源利用有限公司 一种废塑料热解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4621A (ja) 1999-03-15 2000-09-19 Kawasaki Heavy Ind Ltd 廃プラスチック類を含有する有機性固形廃棄物の処理方法及び装置
KR200244749Y1 (ko) 2000-08-25 2001-09-25 김선미 폐유, 폐 플라스틱, 폐 고무의 유화 처리 설비
KR100342349B1 (ko) * 1998-06-17 2002-07-03 와다 요이치 고분자 폐기물의 열분해장치
KR200391404Y1 (ko) 2005-03-21 2005-08-05 류성춘 석유화학 폐기물 정제처리기
KR100512973B1 (ko) 2005-03-10 2005-09-07 이석전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 유화시스템의 잔재배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82523A (en) * 1930-05-12 1934-11-27 Berwind Fuel Company Of Delawa Apparatus for carbonization and distillation of solid hydrocarbons
US4402791A (en) * 1981-08-10 1983-09-06 Brewer John C Apparatus for pyrolyzing shredded tires
US4686008A (en) * 1985-10-08 1987-08-11 Gibson Harry T Pyrolytic decomposition apparatus
US5230777A (en) * 1991-12-13 1993-07-27 James Jarrell Apparatus for producing fuel and carbon black from rubber tires
DE4327953A1 (de) * 1993-08-19 1995-02-23 Siemens Ag Anlage zur thermischen Abfallentsorgung sowie Verfahren zum Betrieb einer solchen Anlage
US5783046A (en) * 1994-11-28 1998-07-21 Gentech, Inc.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destructive distillation of rubber
CA2194805C (en) * 1997-01-10 2004-04-27 Richard Bouziane Batch process for recycling hydrocarbon containing used material
JP4154029B2 (ja) * 1998-04-07 2008-09-24 株式会社東芝 廃棄物の処理方法および廃棄物処理装置
WO2002057391A1 (en) * 2001-01-22 2002-07-25 Chen, Yanping Method and system of converting waste plastics into hydrocarbon oi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2349B1 (ko) * 1998-06-17 2002-07-03 와다 요이치 고분자 폐기물의 열분해장치
JP2000254621A (ja) 1999-03-15 2000-09-19 Kawasaki Heavy Ind Ltd 廃プラスチック類を含有する有機性固形廃棄物の処理方法及び装置
KR200244749Y1 (ko) 2000-08-25 2001-09-25 김선미 폐유, 폐 플라스틱, 폐 고무의 유화 처리 설비
KR100512973B1 (ko) 2005-03-10 2005-09-07 이석전 폐 플라스틱 및 폐 비닐 유화시스템의 잔재배출장치
KR200391404Y1 (ko) 2005-03-21 2005-08-05 류성춘 석유화학 폐기물 정제처리기

Cited B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573B1 (ko) * 2007-06-25 2008-10-07 한신테크놀로지 (주) 폐플라스틱의 오일 환원 장치에 장착되는 가열탱크
KR100884720B1 (ko) 2007-06-25 2009-02-19 한신테크놀로지 (주) 폐플라스틱의 오일 환원 장치
KR101380871B1 (ko) * 2012-05-14 2014-04-04 이인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농,산업용 재생유 생산장치
KR101534066B1 (ko) * 2014-10-31 2015-07-08 주)리크린 폐젤리통신선의 열분해시스템 및 열분해방법
KR101759242B1 (ko) * 2015-02-24 2017-07-18 정성화 폐전선 및 통신선 열분해장치
KR101780671B1 (ko) 2017-02-07 2017-09-21 주식회사동서산업롤 코킹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폐플라스틱 유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63611A (ko) 2018-11-28 2020-06-05 주식회사 에코인에너지 이동형 폐합성수지 열분해유화 재활용장치
KR102012813B1 (ko) * 2019-01-23 2019-08-21 이정율 자체적으로 생산되는 재생에너지를 사용하는 폐합성수지 재생장치
JP2023503463A (ja) * 2019-11-27 2023-01-30 ジョンド ハイテック コーポレーション 廃樹脂乳化プラントシステム
WO2021107181A1 (ko) * 2019-11-27 2021-06-03 주식회사 정도하이텍 폐 수지 유화 플랜트 시스템
JP7352993B2 (ja) 2019-11-27 2023-09-29 ジョンド ハイテック コーポレーション 廃樹脂熱分解油プラントシステム
KR20210098036A (ko) 2020-01-31 2021-08-10 주식회사 에코인에너지 재생연료유 생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재생연료유 생성장치
CN112745867A (zh) * 2021-01-21 2021-05-04 华中科技大学 蓄热滚筒热解反应器
KR102335758B1 (ko) * 2021-02-02 2021-12-06 주식회사 정도하이텍 고효율 유화시스템
KR20220153694A (ko) * 2021-05-10 2022-11-21 주식회사 루소 대용량 폐플라스틱 공급원료 재활용 시스템
KR102534835B1 (ko) 2021-05-10 2023-05-31 주식회사 루소 대용량 폐플라스틱 공급원료 재활용 시스템
CN113604234A (zh) * 2021-07-09 2021-11-05 华北电力大学 一种多室有机固废热解反应器及其热解方法
CN113604234B (zh) * 2021-07-09 2024-02-02 华北电力大学 一种多室有机固废热解反应器及其热解方法
CN113831925A (zh) * 2021-10-09 2021-12-24 华北电力大学 一种反向渐进式有机固废热解装置与方法
CN113831925B (zh) * 2021-10-09 2024-02-02 华北电力大学 一种反向渐进式有机固废热解装置与方法
KR102410548B1 (ko) * 2021-11-13 2022-06-22 티엠에스꼬레아 주식회사 액체 및 고체폐기물 이동식 처리시스템
KR102509297B1 (ko) * 2021-11-13 2023-03-10 티엠에스꼬레아 주식회사 액체 및 고체폐기물 이동식 처리시스템
CN114220613A (zh) * 2021-12-14 2022-03-22 科博新能源环保研究院(清远)有限公司 一种漆包线热解处理设备
CN114220613B (zh) * 2021-12-14 2024-02-23 科博新能源环保研究院(清远)有限公司 一种漆包线热解处理设备
KR20230100257A (ko) 2021-12-28 2023-07-05 주식회사 에코인에너지 폐합성수지 열분해 장치 및 방법
KR20240010524A (ko) 2021-12-28 2024-01-23 주식회사 에코인에너지 폐합성수지열분해 장치 및 방법
KR102515380B1 (ko) * 2022-02-21 2023-03-30 김영호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
KR102544280B1 (ko) * 2022-05-06 2023-06-15 박안수 폐합성수지 열분해장치
KR102560428B1 (ko) * 2022-07-12 2023-08-01 주식회사 정한환경이엔지 연속성 열분해 유화장치
KR102718262B1 (ko) * 2023-12-01 2024-10-18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소 가스 획득을 위한 열분해유 생성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81701A1 (en) 2009-07-29
BRPI0621931A2 (pt) 2011-12-20
CA2663556A1 (en) 2008-04-03
MX2009003238A (es) 2009-07-27
JP2010505021A (ja) 2010-02-18
WO2008038854A1 (en) 2008-04-03
CN101528370A (zh) 2009-09-09
US20090314622A1 (en) 2009-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5909B1 (ko) 합성수지 폐기물 열분해 유화 장치 및 방법
CN107120656B (zh) 一种间接热裂解及灰渣燃烧熔融炉及其处理方法
JP4762981B2 (ja) 都市固形廃棄物の再生利用方法及びシステム、並びに、固形廃棄物回収燃料の利用方法
KR100628890B1 (ko) 폐타이어의 재활용 시스템
US8808508B2 (en)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hydrocarbons from organic and inorganic solid waste
CN111566187A (zh) 塑料的热分解乳化系统
US20100160709A1 (en) Process and appratus for waste treatment
EP1877700A1 (en) Integrated process for waste treatment by pyrolysis and related plant
US11807813B2 (en) Installation for the production and a method of producing oil, gas and char for a coal black from elastomers, especially rubber waste, in the process of continuous pyrolysis
CN211339227U (zh) 一种含油污泥工业化热解析处理工艺系统
EP2612715B1 (en) Recovery of sulfur from sulfur-containing waste
CN112222171B (zh) 三相分离装置、挥发性污染土壤热脱附处理工艺及系统
CN106675592B (zh) 一种间接热脱附炭化装置及处理方法
JP2006016594A (ja) 廃プラスチック油化処理装置および廃プラスチックの油化処理方法
KR20250052887A (ko) 합성수지의 열분해 유화 장치
KR100853557B1 (ko) 석유계분해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농축유기성폐기물의 연속탄화방법과 설비
KR20150003073U (ko) Al-PE 폐기물의 저온 연소처리장치
KR100638564B1 (ko) 폐합성수지 유화 처리장치
CN221117272U (zh) 一种油田采出水含汞污泥处理装置
JP3777339B2 (ja) 廃棄樹脂の油化装置
KR20040067266A (ko) 합성수지 폐기물의 건류유화용 장치
JP3156297U (ja) 排出物の溶融処理プラント
JP2007314754A (ja) 排出物の溶融処理プラント
CN210614635U (zh) 高浓有机污染废盐电加热碳化装置
KR20090106951A (ko) 열분해 방식을 채용한 폐타이어에서 오일을 추출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2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2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1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