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59242B1 - 폐전선 및 통신선 열분해장치 - Google Patents

폐전선 및 통신선 열분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9242B1
KR101759242B1 KR1020150025901A KR20150025901A KR101759242B1 KR 101759242 B1 KR101759242 B1 KR 101759242B1 KR 1020150025901 A KR1020150025901 A KR 1020150025901A KR 20150025901 A KR20150025901 A KR 20150025901A KR 101759242 B1 KR101759242 B1 KR 101759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wire
fixed
baskets
pyrolysi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5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3416A (ko
Inventor
정성화
Original Assignee
정성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화 filed Critical 정성화
Priority to KR1020150025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9242B1/ko
Publication of KR20160103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3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9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924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5/00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 H01B15/003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by heating u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5/00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11/0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 C08J11/04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 C08J11/1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by chemically breaking down the molecular chains of polymers or breaking of crosslinks, e.g. devulcanisation
    • C08J11/12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by chemically breaking down the molecular chains of polymers or breaking of crosslinks, e.g. devulcanisation by dry-heat treatment on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전선 및 통신선 열분해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형연료를 연소하는 연소로(10)와; 상기 연소로(10)에 연결되어 폐전선 및 통신선의 피복을 열분해 하는 탄화설비(20); 상기 연소로(10)와 탄화설비(20)의 연결부에 설치되어 기체 연료를 공기와 혼합하여 연소시키는 버너(30)와; 상기 탄화설비(20)에서 발생하는 폐가스를 연료로 순환시키는 폐가스 순환라인(40)과; 열분해장치의 각부를 제어하는 제어수단(50) 및; 상기 탄화설비(20)의 제 1 내지 제 4 열분해로(22a ∼ 22d) 각각에 폐전선 및 통신선이 담긴 제 1 내지 제 4 바스켓(23a ∼ 23d) 각각을 장착하는 크레인(6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폐전선의 피복을 열분해의 연료로 사용하여 저비용으로 폐전선 및 통신선으로부터 구리를 회수하여 재활용하고, 폐전선의 피복을 완전 연소시켜 폐전선 및 통신선 열분해장치 연료로 사용함으로써 공해 없이 폐전선 및 통신선으로부터 구리를 회수하며, 간단한 구조의 폐전선 및 통신선 열분해장치로서, 사용이 간편하고, 장치의 설치 비용을 최소화하여 경제성이 탁월하면서도 고장 없이 장기간 안정되게 사용할 수 있는 수명이 긴 각별한 장점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폐전선 및 통신선 열분해장치{Pyrolysis apparatus of waste electric wire and communication line}
본 발명은 폐기되는 전선(혹은 통신선)에 피복된 외피를 열분해로 제거하여 선로의 구리선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회수하는 폐전선 및 통신선 열분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체 피복을 열분해의 연료로 사용하여 저비용으로 공해 없이 폐전선 및 통신선으로부터 구리를 회수하여 재활용하는 폐전선 및 통신선 열분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전선의 외피를 탈피하는 이유는 경제성이 좋은 폐전선 내부의 동(銅)을 재활용하기 위함인데, 현재까지는 탈피의 방법으로 연소에 의한 탈피와 롤러를 이용한 탈피가 있다.
그러나 폐전선의 외피를 연소하여 탈피하는 방식은 대기오염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그 실시에 있어 상당한 제약을 받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고급에 속하는 폐전선 외피를 연소시킴에는 경제성을 떨어지게 하는 단점도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폐전선 외피를 절개하여 동과 외피를 분리하는 롤러탈피 방식을 이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롤러 탈피기는 하기 문헌들의 표시와 같이 여러 개의 특허들이 공개되어 있다.
즉, 롤러를 이용한 탈피기는 탈피할 전선의 굵기를 선택하여 전선을 탈피할 수 있음은 물론 탈피할 전선의 굵기에 맞추어 롤러의 간격을 조절하면서 전선을 탈피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탈피기는 부피가 커서 일정 면적 이상의 작업 공간이 필요한 단점이 있기 때문에 처리량이 많지 않은 소비자가 구매하여 사용하기에는 부담스러운 크기와 가격이 고가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실정을 고려하여 종래 개발된 기술로서, 특허 제1285133호의 "폐전선 피복의 탈피장치"가 특허등록공보(특허문헌 6)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 제1285133호의 "폐전선 피복의 탈피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전선을 공급할 수 있는 폐전선 공급로(111)를 갖는 몸체(110); 상기 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모터(121)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122)과 상기 구동축(122)에 결합되어 상기 공급로(111)를 통해 공급되는 폐전선을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나비형 롤러(124)와 상기 나비형 롤러(124)의 상부로 인접하게 설치된 회전축(126)과 상기 회전축(126)에 결합되어 상기 나비형 롤러(124)에 의해 이동되는 폐전선의 피복을 절개할 수 있는 원판형 칼날(128)과 상기 원판형 칼날(128)에 의해 절개되는 폐전선을 받혀주어 배출될 수 있게 상기 나비형 롤러(124)의 후방으로 인접하게 설치되는 받침편(129)으로 이루어진 폐전선 절개수단(120); 및 상기 폐전선 절개수단(120)의 원판형 칼날(128)과 나비형 롤러(124)의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상기 원판형 칼날(128)이 결합되는 회전축(126)의 양단이 지지됨과 아울러 승강되게 설치되는 승강블록(132)과 상기 승강블록(132)의 양측부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블록(132)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블록(134)과 상기 가이드블록(134)에 안내되는 승강블록(132)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그 승강블록(132)을 승강시킬 수 있게 하는 나선축(136)과 상기 나선축(136)의 상단에 설치된 핸들(138)로 이루어진 간격조절수단(13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폐전선 피복의 탈피장치"는 폐전선의 피복을 탈피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탈피한 피복을 재처리하여야 하는 불편함도 있었다.
또한, 폐기되는 전선(혹은 통신선)에 피복된 외피를 제거하여 구리선을 재사용하기 위한 종래의 장치로서, 특허 제1437549호의 "폐전선의 젤리 분리장치"가 등록특허공보(특허문헌 7)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 제1437549호의 "폐전선의 젤리 분리장치"는 도 3,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피가 제거된 폐전선을 투입하는 투입부(111), 투입된 폐전선을 산개하기 위한 산개롤러(112), 상기 산개롤러(112)를 통과한 폐전선의 젤리를 용해시켜 분리하기 위한 히팅롤러(113), 및 상기 히팅롤러(113)를 통과한 폐전선을 배출하는 배출부(114)가 구비된 산개조(110)와; 상기 산개조(110)의 배출부를 통과한 폐전선을 일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 벨트(121), 및 상기 컨베이어 벨트(121) 상에서 이송되는 폐전선의 젤리를 용해시키기 위한 약품과 폐전선의 잔류된 젤리를 분리하기 위한 브러쉬롤러(122)가 구비된 반응조(120);를 포함하고, 상기 히팅롤러(113)는 제1 히팅롤러(113a) 및 제2 히팅롤러(113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히팅롤러(113a) 및 제2 히팅롤러(113b)는 150 내지 220℃의 온도로 가열되며, 상기 제1 히팅롤러(113a) 및 제2 히팅롤러(113b)는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젤리 분리장치에는 약품을 가열하고 가열된 약품을 상기 반응조(120)로 이송시키는 가열조(130)와; 상기 반응조(120)로부터 폐전선에서 분리된 젤리 및 약품을 포함하는 용액을 공급받아 냉각시켜, 상부로 부상된 젤리는 배출하고, 하부의 약품은 상기 가열조(130)로 이송시키는 냉각조(140);를 포함하고, 상기 약품은 전체를 100중량%로 기준했을 때 1,2,3-벤조트리아졸은 0.5 내지 3중량%, 프로필렌 글라이콜은 1 내지 5중량%,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는 2 내지 10중량%, 2-(2-부톡시에톡시)-에탄올은 10 내지 20중량%, 2-하이드로시프로파노익 에틸에스터는 15 내지 25중량%, 메틸-2-피롤리딘은 25 내지 40중량%, 테트라클로로에틸렌은 25 내지 40중량%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전자제품 등에서 회수되는 세선의 열분해 추출이 어렵다. 즉 열 분해 과정 중 구리와 피복제가 함께 녹거나 소각되어 구리를 회수하기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현재까지 폐 전선으로부터 피복제를 제거하여 동선을 회수하는 방법은 폐 전선을 잘게 잘라(chopping)서 피복제와 동선을 분리시켜서 회수하거나 피복선을 칼로 쪼개서 벗겨낸 뒤 회수하는 방법, 그리고 소각로를 통해서 열분해 하는 방법이다.
전자제품 등에서 회수되는 세선의 경우 위와 같은 방법으로는 회수가 불가능하여 피복제를 소각시켜 없애는 방법으로 회수하는데 이 경우 소각으로 인한 대기 및 환경 오염 문제가 뒤따르고 구리와 피복제가 같이 소각되어 구리만 회수하기 어렵다.
그리고 대규모 시설 투자비와 인건비 등 처리비용과 함께 고비용의 연료 사용으로 경제성이 낮다. 또한 폐전선의 대량 연속처리에 한계가 있다.
소각 방법은 융점이 비교적 낮은 구리가 열분해 과정에서 고열로 인해 원형이 변형되거나 또는 녹아내려 손실되는 등 동선의 회수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국내 특허 제0837311호, 폐전선 탈피장치. 특허문헌 2 : 국내 특허 공개번호 제1999-0024153호, 폐전선 탈피기. 특허문헌 3 : 국내 특허 공개번호 제2000-0002891호, 전선 껍질 탈피장치. 특허문헌 4 : 국내 특허 공개번호 제1999-0073624호, 폐전선 탈피기. 특허문헌 5 : 국내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09-0005757호, 폐전선 탈피기용 절개롤러. 특허문헌 6 : 국내 특허 제1285133호, 폐전선 피복의 탈피장치. 특허문헌 7 : 국내 특허 제1437549호, 폐전선의 젤리 분리장치.
본 발명은 종래 폐전선의 젤리 분리장치에서 야기되는 여러 가지 결점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폐전선의 피복을 열분해의 연료로 사용하여 저비용으로 폐전선 및 통신선으로부터 구리를 회수하여 재활용하는 폐전선 및 통신선 열분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폐전선의 피복을 완전 연소시켜 폐전선 및 통신선 열분해장치 연료로 사용함으로써 공해 없이 폐전선 및 통신선으로부터 구리를 회수하여 재활용하는 폐전선 및 통신선 열분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의 폐전선 및 통신선 열분해장치로서, 사용이 간편하고, 장치의 설치 비용을 최소화하여 경제성이 탁월하면서도 고장없이 장기간 안정되게 사용할 수 있는 수명이 긴 폐전선 및 통신선 열분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폐전선 및 통신선 열분해장치는 고형연료를 연소하는 연소로(10)와; 상기 연소로(10)에 연결되어 폐전선 및 통신선의 피복을 열분해 하는 탄화설비(20)와; 상기 연소로(10)와 탄화설비(20)의 연결부에 설치되어 기체 연료를 공기와 혼합하여 연소시키는 버너(30)와; 상기 탄화설비(20)에서 발생하는 폐가스를 연료로 순환시키는 폐가스 순환라인(40)과; 열분해장치의 각부를 제어하는 제어수단(50) 및; 상기 탄화설비(20)의 제 1 내지 제 4 열분해로(22a ∼ 22d) 각각에 폐전선 및 통신선이 담긴 제 1 내지 제 4 바스켓(23a ∼ 23d) 각각을 장착하는 크레인(6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폐전선의 피복을 열분해의 연료로 사용하여 저비용으로 폐전선 및 통신선으로부터 구리를 회수하여 재활용하고, 폐전선의 피복을 완전 연소시켜 폐전선 및 통신선 열분해장치 연료로 사용함으로써 공해 없이 폐전선 및 통신선으로부터 구리를 회수하며, 간단한 구조의 폐전선 및 통신선 열분해장치로서, 사용이 간편하고, 장치의 설치 비용을 최소화하여 경제성이 탁월하면서도 고장 없이 장기간 안정되게 사용할 수 있는 수명이 긴 각별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폐전선 피복의 탈피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폐전선 피복의 탈피장치의 정단면도,
도 3은 종래 폐전선의 젤리 분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종래 폐전선의 젤리 분리장치에 따른 산개조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폐전선 및 통신선 열분해장치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 폐전선 및 통신선 열분해장치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탄화설비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로의 상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로의 분해 사시도,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로의 덮개가 닫힌 동작 상태도,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로의 덮개가 열린 동작 상태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로에서 바스켓을 크레인으로 인출하는 동작 상태도 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폐전선 및 통신선 열분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 폐전선 및 통신선 열분해장치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 폐전선 및 통신선 열분해장치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탄화설비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로의 상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로의 분해 사시도,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로의 덮개가 닫힌 동작 상태도,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로의 덮개가 열린 동작 상태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로에서 바스켓을 크레인으로 인출하는 동작 상태도로서, 본 발명 폐전선 및 통신선 열분해장치는 고형연료를 연소하는 연소로(10)와; 상기 연소로(10)에 연결되어 폐전선 및 통신선의 피복을 열분해 하는 탄화설비(20)와; 상기 연소로(10)와 탄화설비(20)의 연결부에 설치되어 기체 연료를 공기와 혼합하여 연소시키는 버너(30)와; 상기 탄화설비(20)에서 발생하는 폐가스를 연료로 순환시키는 폐가스 순환라인(40)과; 열분해장치의 각부를 제어하는 제어수단(50) 및; 상기 탄화설비(20)의 제 1 내지 제 4 열분해로(22a ∼ 22d) 각각에 폐전선 및 통신선이 담긴 제 1 내지 제 4 바스켓(23a ∼ 23d) 각각을 장착하는 크레인(6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연소로(10)로는 건류 소각장치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연소로(10)와 탄화설비(20)의 연결 통로 내부 벽에는 온도센서(10a)를 설치하여 온도센서(10a)로 측정한 온도를 설정온도(850℃ ∼ 900℃)로 유지시켜 상기 제 1 내지 제 4 바스켓(23a ∼ 23d) 각각의 내부 온도를 300 ∼ 450℃로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화설비(20)는 육면체 상의 가열로(20a)와; 상기 가열로(20a) 외면에 지지대(20b)로 고정되는 레일(21a, 21b, 21c, 21d)과; 상기 레일(21a, 21b) 사이의 좌우에 레일(21a, 21b)의 상단 가장자리에 상부 턱이 고정되는 제 1, 2 열분해로(22a, 22b)와; 상기 레일(21c, 21d) 사이의 좌우에 레일(21c, 21d)의 상단 가장자리에 상부 턱이 고정되는 제 3, 4 열분해로(22c, 22d)와; 상기 제 1 내지 제 4 열분해로(22a ∼ 22d) 각각에 담겨지는 폐전선 및 통신선이 담긴 제 1 내지 제 4 바스켓(23a ∼ 23d)과; 상기 제 1 내지 제 4 바스켓(23a ∼ 23d)이 담긴 제 1 내지 제 4 열분해로(22a ∼ 22d)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24)와; 하면에 롤러(25a ∼ 25d)가 각각 설치되는 4세트의 롤러 지지프레임(25)과; 상기 4세트의 롤러 지지프레임(25) 각각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4세트의 고정프레임(26)과; 상기 4세트의 고정프레임(26)의 일측 바깥면 중앙부에 연결고정되는 수평변위 실린더의 제 1 내지 제 4 실린더로드(26a ∼ 26d)와; 상기 고정프레임(26)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판(27)과; 상기 베이스판(27) 윗면에 고정 설치된 다수의 실린더(27a ∼ 27d)와; 상기 실린더(27a ∼ 27d)의 상단면에 하면이 고정되는 이동판(28)과; 상기 이동판(28)의 윗면 중앙부에 설치된 정역회전용 모터(29) 및; 상기 이동판(28)의 하면 중앙부에 일측 단부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덮개(24)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타측 단부에 결합용 기어(29a)가 고정된 회전축(29')으로 구성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20c는 가스 배출구, 20d는 가열로 도어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4 바스켓(23a ∼ 23d) 각각의 상단부 측 내면에는 다수의 지지대(23')의 일단이 고정되고, 중앙부로 모아지는 상기 다수의 지지대(23') 각각의 타단에는 내부에 기어가 형성된 원통상 결합구(23)가 고정되며, 원통상 벽면에는 다수의 가스 배출공(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덮개(24)의 하면에는 온도센서(24a)를 설치하여 온도센서(24a)로 측정한 제 1 내지 제 4 바스켓(23a ∼ 23d) 각각의 내부 온도가 설정온도(300℃) 보다 낮아지면, 버너(30)를 가동시키고, 설정온도(450℃) 보다 높아지면, 버너(30)의 가동을 정지시켜 제 1 내지 제 4 바스켓(23a ∼ 23d) 각각의 내부 온도를 300 ∼ 450℃로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판(28)의 하면에는 가이드축(28a)이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판(27) 윗면에 상기 가이드축(28a)이 삽입되는 안내관(27')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폐가스 순환라인(40) 상에는 폐가스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화방지기(40a)와, 유량계(40b) 및 유량계(40b)의 측정값에 따라 폐가스의 흐름을 조절하는 폐가스 조절밸브(40c)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폐전선 및 통신선 열분해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0a와 같이 제 1 내지 제 4 열분해로(22a ∼ 22d)의 덮개(24)가 덮인 상태에서 실린더(27a ∼ 27d)가 작동하여 이동판(28)을 상부로 밀어 올리면, 회전축(29')도 상승하게 되어 회전축(29')의 하단에 고정된 기어(29a)가 원통상 결합구(23)에서 빠져 덮개(24)와 함께 상승한다.
그에 따라 덮개(24)가 완전히 상승한 상태(도 10b)에서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4 실린더로드(26a ∼ 26d)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 1 내지 제 4 열분해로(22a ∼ 22d)의 모든 덮개(24)를 측면으로 이동시킨 다음 제 1 내지 제 4 열분해로(22a ∼ 22d) 각각에 크레인(60)으로 일정한 길이의 폐전선 또는 폐통신선이 담긴 제 1 내지 제 4 바스켓(23a ∼ 23d)을 각각 삽입한다.
이어서 도 11a에 도시한 화살표 반대방향으로 제 1 내지 제 4 실린더로드(26a ∼ 26d)가 이동하여 제 1 내지 제 4 열분해로(22a ∼ 22d)의 상부에 모든 덮개(24)가 정렬된 다음 실린더(27a ∼ 27d)가 작동하여 이동판(28)을 하부로 당기면, 회전축(29')도 하강하게 되어 회전축(29')의 하단에 고정된 기어(29a)가 원통상 결합구(23)에 삽입되어 제 1 내지 제 4 열분해로(22a ∼ 22d)의 상부에 모든 덮개(24)가 덮혀 밀폐된다.
그 다음에 연소로(10)의 가동으로 가열로(20a)가 가열되어 제 1 내지 제 4 바스켓(23a ∼ 23d) 내부의 온도를 300 ∼ 450℃로 유지시켜 정역회전용 모터(29)로 제 1 내지 제 4 바스켓(23a ∼ 23d) 각각을 90°정역회전 교대로 시키면서 제 1 내지 제 4 바스켓(23a ∼ 23d) 내부에 있는 폐전선 또는 폐통신선의 피복을 열분해 한다. 그에 따라 폐전선 또는 폐통신선의 피복은 열분해 되어 폐가스로 된 다음 다수의 가스 배출공(23")으로 배출되어 제 1 내지 제 4 열분해로(22a ∼ 22d)와 폐가스 순환라인(40)을 거쳐 연소로(10)와 가열로(20a)의 연결부로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열분해로(22a ∼ 22d)에 연결되는 폐가스 순환라인(40)의 도입부에 안전밸브를 설치하고, 상기 덮개(24)의 하면에는 온도센서(24a)를 설치하여 온도센서(24a)로 측정한 제 1 내지 제 4 바스켓(23a ∼ 23d) 각각의 내부 온도가 설정온도(300℃) 보다 낮아지면, 제 1 내지 제 4 바스켓(23a ∼ 23d) 내부의 폐가스를 제 1 내지 제 4 열분해로(22a ∼ 22d)와 폐가스 순환라인(40)을 통해 연소로(10)와 가열로(20a)의 연결부로 공급함과 동시에 버너(30)를 작동시켜 연소로(10)와 가열로(20a)의 연결부 내에서 폐가스를 연소시키고, 제 1 내지 제 4 바스켓(23a ∼ 23d) 각각의 내부 온도가 설정온도(450℃) 보다 높아지면, 안전밸브를 작동시켜 폐가스 순환라인(40)으로 도입되는 폐가스의 흐름을 차단함과 동시에 버너(30)의 가동을 정지시킨다.
이와 같은 폐가스의 순환공급은 연소로(10)의 연료를 최소화함으로써 열분해장치의 가동 에너지를 최소화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 1 내지 제 4 바스켓(23a ∼ 23d) 내부에 있는 폐전선 또는 폐통신선의 피복이 완전히 분해되면, 도 10a와 같이 제 1 내지 제 4 열분해로(22a ∼ 22d)의 덮개(24)가 덮인 상태에서 실린더(27a ∼ 27d)가 작동하여 이동판(28)을 상부로 밀어 올리면, 회전축(29')도 상승하게 되어 회전축(29')의 하단에 고정된 기어(29a)가 원통상 결합구(23)에서 빠져 덮개(24)와 함께 상승한다.
그에 따라 덮개(24)가 완전히 상승한 상태(도 10b)에서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4 실린더로드(26a ∼ 26d)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 1 내지 제 4 열분해로(22a ∼ 22d)의 모든 덮개(24)를 측면으로 이동시킨 다음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4 열분해로(22a ∼ 22d) 각각에서 크레인(60)으로 제 1 내지 제 4 바스켓(23a ∼ 23d)을 들어올려 제 1 내지 제 4 열분해로(22a ∼ 22d)로부터 제 1 내지 제 4 바스켓(23a ∼ 23d)을 분리한 다음 제 1 내지 제 4 바스켓(23a ∼ 23d) 내부의 구리선을 모아 재활용하고, 다시 제 1 내지 제 4 바스켓(23a ∼ 23d) 내에 폐전선 또는 폐통신선을 담아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폐전선 또는 폐통신선으로부터 피복을 분해하고, 구리선을 재활용할 수 있는 상태로 획득하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 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연소로 10a : 온도센서
20 : 탄화설비 20a : 가열로
20b : 지지대 20c : 가스 배출구
20d : 가열로 도어 21a, 21b, 21c, 21d : 레일
22a ∼ 22d : 제 1 내지 제 4 열분해로 23 : 결합구
23' : 지지대 23" : 가스 배출공
23a ∼ 23d : 제 1 내지 제 4 바스켓 24 : 덮개
24a : 온도센서 25 : 롤러 지지프레임
25a ∼ 25d : 롤러 26 : 고정프레임
26a ∼ 26d : 제 1 내지 제 4 실린더로드 27 : 베이스판
27' : 안내관 27a ∼ 27d : 실린더
28 : 이동판 28a : 가이드축
29 : 정역회전용 모터 29' : 회전축
29a : 기어 30 : 버너
40 : 폐가스 순환라인 40a : 역화방지기
40b : 유량계 40c : 폐가스 조절밸브
50 : 제어수단 60 : 크레인

Claims (7)

  1. 고형연료를 연소하는 연소로(10)와; 상기 연소로(10)에 연결되어 폐전선 및 통신선의 피복을 열분해 하는 탄화설비(20)와; 상기 연소로(10)와 탄화설비(20)의 연결부에 설치되어 기체 연료를 공기와 혼합하여 연소시키는 버너(30)와; 상기 탄화설비(20)에서 발생하는 폐가스를 연료로 순환시키는 폐가스 순환라인(40)과; 열분해장치의 각부를 제어하는 제어수단(50) 및; 상기 탄화설비(20)의 제 1 내지 제 4 열분해로(22a ∼ 22d) 각각에 폐전선 및 통신선이 담긴 제 1 내지 제 4 바스켓(23a ∼ 23d) 각각을 장착하는 크레인(6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소로(10)는 건류 소각장치이며, 상기 연소로(10)와 탄화설비(20)의 연결 통로 내부 벽에는 온도센서(10a)를 설치하여 온도센서(10a)로 측정한 온도를 설정온도(850℃ ∼ 900℃)로 유지시켜 상기 제 1 내지 제 4 바스켓(23a ∼ 23d) 각각의 내부 온도를 300 ∼ 450℃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전선 및 통신선 열분해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화설비(20)는 육면체 상의 가열로(20a)와; 상기 가열로(20a) 외면에 지지대(20b)로 고정되는 레일(21a, 21b, 21c, 21d)과; 상기 레일(21a, 21b) 사이의 좌우에 레일(21a, 21b)의 상단 가장자리에 상부 턱이 고정되는 제 1, 2 열분해로(22a, 22b)와; 상기 레일(21c, 21d) 사이의 좌우에 레일(21c, 21d)의 상단 가장자리에 상부 턱이 고정되는 제 3, 4 열분해로(22c, 22d)와; 상기 제 1 내지 제 4 열분해로(22a ∼ 22d) 각각에 담겨지는 폐전선 및 통신선이 담긴 제 1 내지 제 4 바스켓(23a ∼ 23d)과; 상기 제 1 내지 제 4 바스켓(23a ∼ 23d)이 담긴 제 1 내지 제 4 열분해로(22a ∼ 22d)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24)와; 하면에 롤러(25a ∼ 25d)가 각각 설치되는 4세트의 롤러 지지프레임(25)과; 상기 4세트의 롤러 지지프레임(25) 각각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4세트의 고정프레임(26)과; 상기 4세트의 고정프레임(26)의 일측 바깥면 중앙부에 연결고정되는 수평변위 실린더의 제 1 내지 제 4 실린더로드(26a ∼ 26d)와; 상기 고정프레임(26)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판(27)과; 상기 베이스판(27) 윗면에 고정 설치된 다수의 실린더(27a ∼ 27d)와; 상기 실린더(27a ∼ 27d)의 상단면에 하면이 고정되는 이동판(28)과; 상기 이동판(28)의 윗면 중앙부에 설치된 정역회전용 모터(29) 및; 상기 이동판(28)의 하면 중앙부에 일측 단부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덮개(24)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타측 단부에 결합용 기어(29a)가 고정된 회전축(29')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전선 및 통신선 열분해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24)의 하면에는 온도센서(24a)를 설치하여 온도센서(24a)로 측정한 제 1 내지 제 4 바스켓(23a ∼ 23d) 각각의 내부 온도가 설정온도(300℃) 보다 낮아지면, 버너(30)를 가동시키고, 설정온도(450℃) 보다 높아지면, 버너(30)의 가동을 정지시켜 제 1 내지 제 4 바스켓(23a ∼ 23d) 각각의 내부 온도를 300 ∼ 450℃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전선 및 통신선 열분해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28)의 하면에는 가이드축(28a)이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판(27) 윗면에 상기 가이드축(28a)이 삽입되는 안내관(27')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전선 및 통신선 열분해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바스켓(23a ∼ 23d) 각각의 상단부 측 내면에는 다수의 지지대(23')의 일단이 고정되고, 중앙부로 모아지는 상기 다수의 지지대(23') 각각의 타단에는 내부에 기어가 형성된 원통상 결합구(23)가 고정되며, 원통상 벽면에는 다수의 가스 배출공(2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전선 및 통신선 열분해장치.
  7. 삭제
KR1020150025901A 2015-02-24 2015-02-24 폐전선 및 통신선 열분해장치 Active KR101759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901A KR101759242B1 (ko) 2015-02-24 2015-02-24 폐전선 및 통신선 열분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901A KR101759242B1 (ko) 2015-02-24 2015-02-24 폐전선 및 통신선 열분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416A KR20160103416A (ko) 2016-09-01
KR101759242B1 true KR101759242B1 (ko) 2017-07-18

Family

ID=56942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5901A Active KR101759242B1 (ko) 2015-02-24 2015-02-24 폐전선 및 통신선 열분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92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16389A (zh) * 2020-07-06 2020-10-23 安徽绿能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漆包线无氧热解方法
KR102267471B1 (ko) * 2020-10-22 2021-06-23 주식회사 삼성스틸 폐전선 열분해장치
KR102355504B1 (ko) * 2021-03-15 2022-02-08 이정율 폐합성수지의 열분해 시설의 과가스 생성시 안전장치
CN114220613B (zh) * 2021-12-14 2024-02-23 科博新能源环保研究院(清远)有限公司 一种漆包线热解处理设备
CN115655812B (zh) * 2022-09-26 2025-06-27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滁州供电公司 电缆绝缘层热解产物采样装置及采样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5909B1 (ko) * 2006-09-26 2007-02-02 주식회사 펄스에너지 합성수지 폐기물 열분해 유화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85133A (en) 1915-02-23 1918-11-19 John L Kennedy Automatic sprinkler.
US1437549A (en) 1922-05-15 1922-12-05 Henry S Putnam Electrically-operated transportation apparatus
EP0837311B1 (en) 1996-05-02 2004-07-21 Sankyo Manufacturing Company, Ltd. Noncontact inspection apparatus
KR100287812B1 (ko) 1998-06-24 2001-07-12 김춘동 전선껍질탈피장치
KR100289499B1 (ko) 1998-12-12 2001-05-02 남호창 전선의 절연피복체 탈피기
KR100320790B1 (ko) 1999-07-31 2002-01-18 남호창 폐전선 탈피기
KR200446019Y1 (ko) 2007-12-08 2009-09-17 박재식 폐전선 탈피기용 절개롤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5909B1 (ko) * 2006-09-26 2007-02-02 주식회사 펄스에너지 합성수지 폐기물 열분해 유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416A (ko) 2016-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9242B1 (ko) 폐전선 및 통신선 열분해장치
KR102060395B1 (ko) 생산성 및 안전성 향상을 위한 폐합성수지의 열분해 유화발전 시스템, 이를 위한 가열로
EP0906249B1 (en) Method and system for high-temperature waste treatment
KR100815857B1 (ko) 폐플라스틱의 유화 환원 장치
JP5819607B2 (ja) 減圧熱分解処理装置及び連続油化炭化設備
NO802554L (no) Fremgangsmaate og apparat for pyrolyse.
JP2008082640A (ja) 有価金属回収装置
CN100447263C (zh) 含有机物和玻璃纤维铜粉的无害化处理系统及处理工艺
CN106350093A (zh) 连续出渣系统
EP3336855B1 (en) Plasma melting furnace
KR101896541B1 (ko) 폐플라스틱 열분해 리액터의 잔여물 제거장치
KR101026199B1 (ko) 열풍건조수단이 구비된 폐플라스틱용 오일환원장치
CN116538817A (zh) 一种钢铁废品用智能化回炉熔炼装置
KR20170052216A (ko) 가느다란 굵기를 갖는 폐전선의 구리선 분리가 용이한 피복분리장치
WO2022239902A1 (ko) 폐합성수지의 유화장치
CN211232882U (zh) 一种大型垃圾处理机
CN106610023A (zh) 一种工业危险废弃物等离子熔融固化处理装置
CN215001595U (zh) 废盐处理用回转射流加热炉及系统
CN206109316U (zh) 连续出渣系统
CN216844694U (zh) 一种等离子体炉
JPH07139883A (ja) 金属溶解装置
CN216770151U (zh) 一种可实现余热回收再利用的化工生产用煅烧设备
CN215723234U (zh) 一种可移动小型生活垃圾焚烧炉
CN222093278U (zh) 一种松香树脂的融化装置
CN209568062U (zh) 过热蒸汽连续无氧碳化运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5120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4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7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7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7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