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003073U - Al-PE 폐기물의 저온 연소처리장치 - Google Patents

Al-PE 폐기물의 저온 연소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073U
KR20150003073U KR2020150004579U KR20150004579U KR20150003073U KR 20150003073 U KR20150003073 U KR 20150003073U KR 2020150004579 U KR2020150004579 U KR 2020150004579U KR 20150004579 U KR20150004579 U KR 20150004579U KR 20150003073 U KR20150003073 U KR 2015000307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combustion
furnace
condenser
ga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45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0366Y1 (ko
Inventor
백병덕
Original Assignee
백병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병덕 filed Critical 백병덕
Priority to KR20201500045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366Y1/ko
Publication of KR201500030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0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3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366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27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pyrolising or gasifying st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27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pyrolising or gasifying stage
    • F23G5/0276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pyrolising or gasifying stage using direct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23G7/06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waste gases or noxious gases, e.g.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8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Al-PE폐기물의 저온 연소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알루미늄(Al) 박이 합착된 폴리에틸렌(PE) 필름, 즉, Al-PE 폐기물을 200~400℃ 정도의 연소로에 의해 열 분해한 다음 응축하여 액상의 PE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액상의 PE를 연료로 하여 상기 연소로에서 배출되는 PE 잔류 연소가스를 800℃의 고온으로 가열로에 의해 가열하여 다이옥신 물질을 제거한 다음 활성탄소등 여과재가 충전된 여과기에 의해 유해가스 및 분진을 제거하여 정화된 그린 가스만 대기에 배출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Al-PE 폐기물을 단계적인 처리에 의해 별도의 연료를 사용하지 않고 자체의 응축된 액상의 PE를 연료로 사용하여 친환경적으로 폐기물을 유효하게 처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Al-PE 폐기물의 저온 연소처리장치 {APPARATUS FOR DISPOSING Al-PE WASTE MATERIAL BY LOW TEMPERATURE BURNING PROCESS}
본 고안은 알루미늄(Al) 박이 합착된 폴리에틸렌(PE) 필름의 Al-PE 폐기물을 연소로에 의해 200~400℃ 정도로 가열하여 열 분해한 다음 응축하여 액상의 PE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액상의 PE를 연료로 하여 상기 연소로에서 배출되는 PE 잔류 연소가스를 가열로에 의해 800℃이상의 고온으로 가열하여 다이옥신을 제거한 다음 활성탄소가 충전된 여과기에 의해 유해가스 및 분진을 제거하여 별도의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친환경적으로 AL-PE의 폐기물을 안전하게 처리하는 Al-PE 폐기물의 저온 연소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박이 합착된 폴리에틸렌 필름은 각종 포장재(包裝材)로 사용하기 때문에 다량의 Al-PE 폐기물이 나오고 있으며 그대로는 부식이나 산화되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 수거하여 소각처리하고 있다.
합성수지 폐기물의 소각처리장치는 많은 선행기술이 알리어져 있으며 선행문헌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672908호(2007.01.24.공고) 폐기물 처리용 진공 소각장치 및 소각장치의 진공유지방법은 폐기물의 소각로에 진공장치를 결합시키어 폐기물의 소각 중에 발생된 기체를 강제 흡인할 수 있는 복수의 진공탱크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키어 소각로 내부의 진공도를 유지시키어 폐기물을 효과적으로 유해물질의 발생을 차단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302482호 가연성 폐기물의 처리장치는 냉각관이 구비된 폐기물을 탄화처리하는 회전소각로와, 폐기물을 투입시키는 이송부와, 폐기물을 회전소각로에서 가열하여 탄화하는 막음판과, 회전소각로의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외부자켓과, 소각로의 탄화물을 배출하는 배출부와, 배기가스를 유도하는 배기가스 통로와, 다수의 집진장치 및 침전조를 결합하여 연속적으로 각종 폐기물을 소각 처리하고 집진기에 염소가스를 반응시키어 수소화된 가스를 배출하게 된 것이다.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055854호(2011.08.09공고) 폐기물 건류 소각장치는 폐기물 건류 소각장치의 내부 공간에 나선형으로 공기가 와류되는 공기 유입부를 형성하여 소각장치에 투입된 폐고무, 폐합성수지 등을 완전 연소시키어 매연(煤煙)이 발생되지 않고 대기오염을 방지하면서 폐기물을 소각처리하게 된 것이다.
상기한 선행 기술뿐 아니라 일반적으로 가연성 폐기물을 소각 처리함에 있어서 별도의 연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폐기물의 소각처리비용이 높게 되어 경제적 부담이 크고 따라서 효율적으로 폐기물의 처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폐기물의 소각처리 장치와 달리, 알루미늄(Al) 박이 합착된 폴리에틸렌(PE) 필름, 즉, Al-PE 폐기물을 연소로에 의해 200~400℃ 정도의 비교적 저온의 가열에 의해 열 분해한 다음 응축하여 액상의 PE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액상의 PE를 연료로 하여 상기 연소로에서 배출되는 PE 잔류 연소가스를 가열로에 의해 800℃이상의 고온으로 가열하여 다이옥신을 제거한 다음 활성탄소 등 여과재가 충전된 여과기에 의해 유해가스 및 분진을 제거하여 별도의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친환경적으로 AL-PE의 폐기물을 안전하게 처리하는 Al-PE 폐기물의 저온연소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AL-PE 폐기물을 200~400℃정도의 저온으로 연소하여 PE를 열 분해하는 연소로와, 상기 연소로에서 발생 된 연소가스에 함유된 기체상태의 PE를 응축하여 액상의 PE를 추출하는 응축기와, 상기 추출된 액상의 PE를 연료로 사용하여 상기 연소로에서 배출된 PE 잔류 연소가스를 800℃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환경공해물질인 다이옥신을 제거하는 가열로와, 상기 가열로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냉각처리하는 냉각기와, 상기 냉각기에서 응결된 미립자의 분진 및 유해가스를 흡착 여과하는 여과재가 구비된 여과기의 결합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연소로는 상부 측에 Al-PE 폐기물을 투입하여 로스틀(roast frame) 상부에 적재하여 덮는 덮개가 밀폐되고 상부에 온도조절기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응축기는 내부에 냉수가 순환되는 냉각코일이 구비된 것으로 응축기의 유입구는 상기 연소로의 배출구와 연관되고 응축기의 경사진 하단 유출구에는 트레인 밸브가 구비되어 연소가스 중에서 웅축된 액상의 PE를 수집용기에 추출하여 수집하게 되어 있다.
상기 수집용기에 수집된 액상의 PE는 본 발명의 폐기물 처리장치의 에너지원으로 사용한다.
상기 가열로는 버너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응축기의 배출구와 가열로의 유입구가 흡입팬을 통하여 연관되어 있다. 흡입팬의 가동에 의해 응축기에서 응축되지 않은 연소가스를 가열로에 흡입시키어 고온으로 가열하여 환경공해물질인 다이옥신을 제거하게 된 것이다.
상기 냉각기는 상기 가열로의 배출구와 냉각기의 유입구가 연관되어 있어 가열된 여소가스를 냉각하여 수분 및 미립자의 분진이 응집하게 되어 있다.
상기 여과기에는 활성탄소, 흡착재 등 각종 여과재가 채워져 있고 냉각기의 배출구와 여과기의 유입구가 연관되어 있다.
상기 여과기에 유입된 미세 분진, 및 PE 에 함유된 유해물질이 분해된 유해가스를 흡착하여 무해한 기체만이 여과기의 배출구로 배출하게 되어 있다.
상기 구성요소의 개체는 각각 공지된 장치에 속하는 것이나 본 고안에서는 Al-PE 폐기물의 저온 열처리에 적합한 순서로 배치된 구성에 특징이 있다.
상기한 구성을 이용한 본 고안의 Al-PE 폐기물의 저온 열처리장치를 단계별로 실시하는 것으로서 Al-PE 폐기물의 연소처리단계와, PE의 추출단계와, 다이옥신의 제거단계 및 배기가스의 여과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Al-PE 폐기물의 연소처리 단계는, 연소로에 소정량의 Al-PE 폐기물을 투입하고 연소로에 구비된 공기조절기를 이용하여 200~400℃의 비교적 저온으로 연소처리하는 것이다. 연소로에 투입된 Al-PE 폐기물 중 PE는 가연성 물질이기 때문에 연화되고 연소 된다. 상기 연소로의 배출구에는 가열로에 구비된 흡입팬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흡입팬의 가동으로 연소로의 내부는 부압(負壓)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연소로의 내부온도가 약200~ 400℃정도에서도 PE가 용이하게 열 분해되어 일부는 연소되고 일부는 연화 및 기체상태로 되어 연소가스와 함께 배출된다.
Al-PE 폐기물 중 PE는 50% 이상의 에틸렌 중합체로서 고밀도(0.97)의 PE와, 저밀도(0.91)의 PE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연소처리에는 이러한 구분이 없다. PE는 100~130℃에서 연화되고 약 200~400℃ 정도의 온도로 가열하면 에틸렌은 중합 상태에서 열 분해되어 분해된 에틸렌의 일부는 연소 되고 너머지 일부의 PE는 기체상태로 연소가스와 함께 배출구로 배출된다.
PE와 합착되어 있는 Al(aliminium)의 녹는점은 약 660℃이므로 400℃의 온도에서는 녹지 않고 PE와 분리상태로 타지 않는 무기질 물질과 함께 연소로에 남게 된다. 연소로는 1회성 처리의 배치(batch) 타입이다.
PE의 추출단계에서는, 상기 연소로에서 연소처리된 연소가스 및 기체상태의 분해물질이 연소로에서 배출되어 응축기에 유입된다. 응축기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이다.
상기 응축기에 유입된 연소가스를 포함하는 기체상태의 PE는 냉각코일을 통과하는 냉수의 냉각작용에 의해 액상의 PE로 응축된다, 웅축되지 않는 가스와 응축되는 액상의 PE가 분리되며, 응축된 액상의 PE는 냉각기의 유출구로 추출되어 수집용기에 수집된다. 수집된 액상의 PE는 상온에서 액체상태이기 때문에 그대로 직접 폐기물 처리의 열에너지 원(源)으로 버너에 공급하여 사용된다.
다이옥신의 제거단계에서는,응축기에 의해 응축된 액상의 PE를 추출하고 응축되지 않는 연소가스기는 응축기의 배출구로 배출되어 흡입팬의 가동에 의해 가열로의 유입구로 유입된다.
가열로에 구비된 버너에 의해 가열로에 유입된 가스를 800℃ 이상의 고온으로 가열시키어 연소가스 중에 존재하는 공해물질인 다이옥신을 제거시킨다.
다이옥신은 2개의 산소원자로 2개의 벤젠고리가 연결되고 그 외에 염소가 결합된 방향족 화합물로서 가장 독성이 강한 공해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고열에 의해 다이옥신 분자가 분해되어 제거된다.
배기가스의 여과단계에서는, 상기 가열로에서 다이옥신이 제거된 연소가스가 가열로의 배출구에서 냉각기의 유입구로 유입되어 냉각기의 냉각작용에 의해 냉각된다. 이때 연소가스의 냉각에 따라 미세한 분진이 수분의 응결에 의해 응집되면서 냉각기의 배출구로 배출되어 여과기의 유입구로 유입된다. 여과기에는 활성탄소, 흡착제 등의 여과재가 구비되어있기 때문에 여과기로 유입된 미세분진과, PE에서 분해된 유해 가스 등이 여과재에 흡착되고 정화된 그린 가스는 여과기의 유출구를 통하여 대기로 배출된다.
본 고안은 Al-PE 폐기물을 별도의 열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다이옥신의 배출 없이 친환경적으로 처리하는데 고안의 요지가 있다.
연소로에는 연소 되지않는 Al이 잔류되어 회수가 가능하고 또 회수된 Al은 재활용이 가능하다. 이는 PE의 폐기물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부산물이며, 고안의 목적물은 아니다.
상기한 일련의 처리 단계는 연소로에서 폐기물의 연소작용과 연관되어 이루어지기 때문에 연소로에 투입된 Al-PE의 폐기물이 모두 연소된 후에는 상기한 모든 처리 단계도 종료되며 그 후에는 다시 연소로의 잔류물을 제거하고 처리할 Al-PE 폐기물을 투입하여 상기와 같은 단계별로 반복하여 처리한다.
본 고안은 Al-PE 폐개물을 약 200~400℃ 처리하는 연소로와, 연소가스를 냉각하여 액상의 PE를 추출하는 응축기와, 연소가스에 함유된 공해물질인 다이옥신을 제거하는 가열로와, 다이옥신이 제거된 연소가스의 분진과 가스를 냉각하는 냉각기와, 여과재가 구비된 여과기의 결합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Al-PE폐기물을 순차적인 처리 단계에 의하여 Al-PE 폐기물 안전하고 능률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 상기한 장치에 의해 Al-PE 폐기물의 연소처리단계와, PE의 추출단계와, 다이옥신의 제거단계와, 배기가스의 여과단계에 의해 폐기물을 처리하였기 때문에 연소로의 내부를 부압으로 유지하여 비교적 저온 연소에 의해 PE를 용이하게 분해하고 응축기에 의해 액상의 PE를 추출한 다음 이를 연료로 사용하여 폐기물의 연소 및 다이옥신을 제거하기 때문에 종래 별도의 연료를 사용하여 폐기물을 처리하던 것에 비하여 보다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으로 Al-PE 폐기물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Al-PE폐기물의 처리 단계별로 배치된 처리장치의 한 실시 예시도
본 고안의 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 표시된 알루미늄(Al)박이 합착된 폴리에틸렌(PE)필름, 즉 AL-PE 폐기물을 200~400℃정도의 저온으로 연소하는 연소로(1)와; 상기 연소로에서 발생된 연소가스를 응축하여 액상의 PE를 추출하는 응축기(2)와; 상기 응축기(2)에서 추출된 액상의 PE를 연료로 사용하여 상기 연소로(1)에서 배출된 연소가스를 800℃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환경공해물질인 다이옥신을 제거하는 가열로(3)와; 상기 가열로(3)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냉각 처리하는 냉각기(4)와; 상기 냉각기에서 응축된 미립자의 분진 및 유해가스를 흡착 여과하는 여과기(5)의 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연소로(1)는 Al-PE 페기물(Al-PE)을 투입하여 밀폐하는 덮개(1c)가 구비되고 덮개(1c)에는 온도계(1g) 및 공기 조절기(1d)가 부착되어 있으며, 연소로(1)의 로스틀(1s)의 하부 측에는 배출구(1u)가 응축기(2)의 상부 측에 연결되어있다.
상기 응축기(2)는 냉수가 순환되는 냉각코일(2c)이 구비된 냉각탑으로 응축기(2)의 상부 측의 유입구(2n)에 상기 연소로(1)의 배출구(1u)가 도관으로 연관되고 응축기(2)의 하단 유출구(2d)에는 트레인 밸브(2v)가 구비되어 연소가스 중에서 응축된 액상의 PE를 수집용기(2t)에 추출하여 수집하게 되어 있다.
상기 가열로(3)는 버너(3b)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응축기(2)의 배출구(2u)와 상기 가열로(3)의 유입구(3n)가 흡입팬(3f)을 통하여 도관으로 연관되어 있다. 상기 가열로(3)는 상기 응축기(2)에서 응축되지 않고 배출되는 연소가스에 존재하는 환경공해물질인 다이옥신을 고온으로 가열하여 제거하게 된 것이다.
또한 상기 흡입팬(3f)은 응측기(2)를 통하여 상기 연소로(1)의 배출구(1u)와 응축기(2) 상부측의 유입구(2n)와 도관으로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흡입팬(3f)의 가동으로 연소로(1)의 내부가 부압으로 유지된다.
상기 냉각기(4)는 상기 가열로(3)의 배출구(3u)와 냉각기(4)의 유입구(4n)가 도관으로 연관되어 있어 가열된 기체를 냉각하여 수분의 응결에 따라 미립자의 분진이 응집하게 되어 있다.
상기 여과기(5)는 활성탄소(5c), 흡착제 등 각종 여과재(5m)가 충전되어 있고 상기 냉각기(4)의 배출구(4u)와 여과기(5)의 유입구(5n)가 도관으로 연관되어 분진과 유해가스를 여과한 정화된 가스가 대기로 배출하게 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요소의 연소로(1), 응축기(2), 가열로(3), 냉각기(4) 및 여과기(5) 등은 개체적으로 각각 공지된 통상의 장치에 속하는 것이나 본 고안에서는 Al-PE 폐기물의 저온 열처리 장치의 공정별로 실시하기에 적합한 순서로 배치되어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장치에 의하여 Al-PE 폐기물을 아래와 같은 단계로 처리된다.
(1) Al-PE 폐기물의 연소단계
즉 연소로(1)의 덮개(1c)를 개방하고 연소로(1) 내부에 약 100kg의 Al-PE 폐기물을 투입하며, 이때에 덮개(1c)에 설치된 공기 조절기(1d)로 공기를 조절하여 공기를 공급하고 덮개(1c)를 밀폐한 후 불씨를 공기조절기(1d)에 공급하여 연소를 촉진시킨다. Al-PE 폐기물 중 PE는 가연성 물질이기 때문에 불씨를 공급하는 즉시 연소 된다. 온도계(1g), 공기조절기(1d) 등은 연소로(1)를 내부 안전하게 가동하는데 유용한 통상적인 제어기구이다.
연소로(1)의 배출구(1U)에는 가열로에 구비된 흡입팬(3f)이 응축기(2)를 통하여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흡입팬(3f)의 가동에 따라 연소로(1)의 내부가 부압(負壓)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PE는 100~130℃에서 연화되고 약 200~400℃ 정도의 비교적 저온에서 PE는 중합 상태에서 열 분해되어 분해된 에틸렌의 일부는 연소 되고 나머지 일부의 기체상태의 PE는 연소가스와 함께 연소로(1)의 배출구(1u)를 통하여 응축기(2)의 유입구(2n)로 유입된다.
PE와 합착되어 있는 Al의 녹는점은 약 660℃이므로 상기 연소로의 온도에서는 녹지 않고 PE와 분리상태로 가열로(1) 내부에 타지 않는 다른 무기질 물질과 함께 남게 된다.
연소로(1)는 1회성 처리의 배치(batch) 타입이므로 한번에 100kg정도의 Al-PE폐기물을 연소로(1)에 투입한 후에는 가열로(1)에 투입된 Al-PE 폐기물이 모두 연소처리되기 전에는 새로운 폐기물의 투입이 없다. 본 실시 예에서 처리시간은 한 배치당 약 3~4시간 정도였다.
(2) PE의 추출단계
연소로(1)에서 연소된 연소가스는 연소로(1)의 배출구(1u)에서 배출되어 웅축기(2)의 유입구(2n)로 유입된다.
응축기(2)에 유입된 연소가스는 기체상태의 PE와 기타 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냉각코일(2c)을 통과하는 냉수의 냉각작용에 의해 기체상태의 PE는 액상의 PE로 응축된다, 응축되지 않는 기체와 응축되는 액상의 PE는 응축기(2)에서 증류작용에 의해 분리된다. 응축된 액상의 PE는 응축기(2)의 유출구(2d)를 통하여 추출되어 수집용기(2t)에 수집된다. 상기 수집용기(2t)에 수집된 액상의 PE는 가연성의 에틸렌 주성분으로 상온에서 액체상태이므로 폐기물 처리의 열에너지 원(源)으로 연관된 도관을 통하여 버너(3b)에 직접 공급하여 사용된다.
(3) 다이옥신의 제거단계
응축기(2)에서 응축되지 않은 연소가스는 배출구(2u)로 배출되어 흡입팬(3f)의 가동에 의해 가열로(3)의 유입구(3n)로 유입된다. 흡입팬(3f)의 가동으로 상기 연소로(1)에서 연소된 연소가스가 응측기(2)를 통하여 가열로(3)에 유입되는 작용이 지속되기 때문에 연소로(1)에서 연소작용과 가열로(3)의 가열작용이 서로 연관된다.
가열로(3)에 구비된 흡입팬(3f)에 의해 가열로(3)의 유입구(3n)에 유입된 가스와 수집용기(2t)의 응축된 액상의 PE를 버너(3b)에 의해 약 800℃의 고온으로 가열하여 연소가스 중에 존재하는 공해물질인 다이옥신을 제거시킨다.
다이옥신은 2개의 산소원자로 2개의 벤젠고리가 연결되고 그 외에 염소가 결합된 방향족 화합물로서 가장 독성이 강한 공해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800℃ 이상의 고열에 의해 다이옥신 분자가 분해되어 제거된다.
이때 다이옥신의 제거에 소요되는 에너지 비용이 많이 들게 되나, 본 발명에서는 폐기물에서 추출된 액상의 PE를 연료로 하기 때문에 외부 연료가 사용되지 않아, 그만큼 경제적으로 다이옥신을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4) 배기가스의 여과 단계
상기 가열로(3)에서 다이옥신이 제거된 연소가스는 가열로(3)로의 배출구(3u)에서 연관된 도관으로 냉각기(4)의 유입구(4n)로 유입되어 냉각기(4)의 냉각작용에 의해 냉각된다. 이때 연소가스에 함유된 수분의 응결에 따라 미세한 분진이 응집되면서 냉각기(4)의 배출구(4u)로 배출되어 여과기(5)의 유입구(5n)로 유입된다.
여과기(5)에는 활성탄소(5c), 흡착제 등의 여과재(5m)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여과기(5)로 유입된 미세분진과 PE에서 분해된 유해 가스 등은 활성탄소(5c) 및 여과재(5m)에 흡착되고 정화된 그린 가스는 여과기(5)의 배출구(5u)를 통하여 대기(大氣)로 배출된다.
연소로에는 연소 되지않는 Al 및 기타 무기질 물질이 남게 되며, Al은 회수하여 재활용 할 수 있다.
상기한 일련의 처리 단계는 배치 타입(batch type)으로 이루어지며, 매번 동일한 장치와 처리단계에 의해 반복적으로 PE폐기물을 유효하게 처리할 수 있다.
1 : 연소로 1c : 덮개 1d : 공기조절기
1g : 온도계, 1u : 배출구
2 : 응축기 2c : 냉각코일 2d : 유출구 2n : 유입구
2t : 수집용기 2u : 배출구
3 : 가열로 3b : 버너 3f : 흡입팬 3n : 유입구 3u : 배출구
4 : 냉각기 4n : 유입구 4u : 배출구
5 : 여과기 5c : 활성탄소 5m : 여과재 5n : 유입구 5u : 배출구

Claims (3)

  1. AL-PE 폐기물의 처리장치에 있어서,
    Al-PE폐기물을 200~400℃의 저온으로 연소하여 PE를 열 분해하는 연소로와, 상기 연소로에서 발생 된 연소가스를 응축하여 액상의 PE를 추출하는 응축기와, 상기 추출된 액상의 PE를 연료로 사용하여 상기 연소로에서 배출된 연소가스를 800℃의 온도로 가열하여 환경공해물질인 다이옥신을 제거하는 흡입팬과 버너가 구비된 가열로와, 상기 가열로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냉각처리하는 냉각기와, 상기 냉각기에서 응결 및 응집된 미립자의 분진 및 유해가스를 흡착 여과하는 여과재가 구비된 여과기가 폐기물의 처리단계의 순서로 배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Al-PE 폐기물의 저온 연소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연소로의 배출구에 연결된 응축기는 수냉 코일이 구비되고 응축기의 유출구 측에 액상의 PE의 수집용기가 구비되어 연소로에서 분해된 기체상태의 PE를 액상의 PE로 추출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Al-PE 폐기물의 저온 연소처리장치.
  3. Al-PE 폐기물을 버너와 흡입팬이 구비된 연소로에 의하여 200~400℃의 온도로 연소하여 Al-PE 폐기물의 연소단계와;
    상기 연소로에서 배출된 연소가스를 냉각 코일이 구비된 응축기에 의해 액상의 PE를 응축하여 추출하는 PE의 추출단계와;
    상기 추츨된 액상의 PE를 연료로 사용하여 연소가스 중에 함유된 다이옥신을 가열로에 의해 800℃의 온도로 가열하여 제거하는 다이옥신의 제거단계와;
    다이옥신이 제거된 연소가스를 냉각기에 의해 냉각하여 분진을 응집하고 여과재가 구비된 여과기에 의해 분진 및 유해가스를 흡착제거하는 배기가스의 여과단계;
    를 거쳐 처리하게 된 Al-PE 폐기물의 저온 연소처리장치.
KR2020150004579U 2015-07-07 2015-07-07 Al-PE 폐기물의 저온 연소처리장치 Expired - Lifetime KR2004803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579U KR200480366Y1 (ko) 2015-07-07 2015-07-07 Al-PE 폐기물의 저온 연소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579U KR200480366Y1 (ko) 2015-07-07 2015-07-07 Al-PE 폐기물의 저온 연소처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0780A Division KR20150057418A (ko) 2013-11-19 2013-11-19 Al-PE 폐기물의 저온 연소처리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073U true KR20150003073U (ko) 2015-08-12
KR200480366Y1 KR200480366Y1 (ko) 2016-05-31

Family

ID=54014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4579U Expired - Lifetime KR200480366Y1 (ko) 2015-07-07 2015-07-07 Al-PE 폐기물의 저온 연소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36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28569A (zh) * 2018-09-09 2018-12-18 无锡博众热能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烟气全循环热风炉
CN111288451A (zh) * 2020-02-11 2020-06-16 王丽枝 一种生活垃圾热解气化处理成套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5519B1 (ko) * 2008-06-19 2008-12-23 인선이엔티 주식회사 활성탄을 이용한 소각로 배기가스의 유해물질 저감 플랜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28569A (zh) * 2018-09-09 2018-12-18 无锡博众热能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烟气全循环热风炉
CN109028569B (zh) * 2018-09-09 2024-01-05 无锡博众热能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烟气全循环热风炉
CN111288451A (zh) * 2020-02-11 2020-06-16 王丽枝 一种生活垃圾热解气化处理成套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366Y1 (ko) 2016-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49362B1 (en) Method for treating solid waste based on a gradient generated by two different heat sources
WO2016173448A1 (zh) 两段式绞龙间接热脱附装置
KR100949037B1 (ko) 유기성 슬러지 처리시 발생하는 배출가스처리장치
CN111566187A (zh) 塑料的热分解乳化系统
KR100897521B1 (ko) 폐전선의 재활용 장치 및 그 방법
KR100734092B1 (ko) 자체 에너지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CN112499925A (zh) 一种用于处理含油污泥的间接电热回转窑热解系统
KR101179523B1 (ko) 하수 슬러지를 이용한 활성화 물질의 제조장치
KR20150003073U (ko) Al-PE 폐기물의 저온 연소처리장치
US20130199091A1 (en) Process and system for converting waste material to fuel or synthetic gas feedstock
KR101334880B1 (ko) 폐기물 처리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사용되는 배기가스 방지장치
KR20170017492A (ko) 의료 폐기물 열처리장치
KR101416679B1 (ko) 음식물 쓰레기 및 폐기물 고주파 탄화처리장치
CN204276512U (zh) 一种撬装式土壤热分离设备
CN210065650U (zh) 一种立式热解炉
KR20150057418A (ko) Al-PE 폐기물의 저온 연소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2337210B1 (ko) 아스팔트 저장탱크의 휘발성 유기화학물질 처리 및 탈취장치
CN106675592B (zh) 一种间接热脱附炭化装置及处理方法
KR100639643B1 (ko) 폐열을 이용한 다기능 폐기물의 재활용 장치 및 그 방법
KR101218127B1 (ko) 하수 슬러지를 이용한 활성화 물질의 제조방법
JP2000051657A (ja) 残留物質及び煤煙ガスの処理
CN110760322B (zh) 一种立式热解炉
KR102825463B1 (ko) 유화 공정을 이용한 폐기물 처리설비
KR200392072Y1 (ko) 열분해법에 의한 지정폐기물을 포함하는 폐드럼의 재활용장치
CN210647705U (zh) 热解吸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5 Converted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07

Patent event code: UA01011R05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Conversion into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30140780

Filing date: 20131119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07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5083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2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51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6051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4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