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72535B1 - 유기 el 소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기 el 소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2535B1
KR100672535B1 KR1020050067301A KR20050067301A KR100672535B1 KR 100672535 B1 KR100672535 B1 KR 100672535B1 KR 1020050067301 A KR1020050067301 A KR 1020050067301A KR 20050067301 A KR20050067301 A KR 20050067301A KR 100672535 B1 KR100672535 B1 KR 100672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c
layer
light emitting
electron transport
electr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7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섭
박상태
이재만
성창제
차은수
이경훈
서정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7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2535B1/ko
Priority to JP2005356611A priority patent/JP4925088B2/ja
Priority to EP06003603.5A priority patent/EP1748504B1/en
Priority to US11/357,951 priority patent/US8563144B2/en
Priority to CN2006100591454A priority patent/CN1905236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2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253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6Electron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6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conductive material used as an electrod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8Carrier block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1/00Properties of the organic materials covered by group H10K85/00
    • H10K2101/10Triplet emiss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9Tandem OLED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30Coordination compounds
    • H10K85/321Metal complexes comprising a group IIIA element, e.g. Tris (8-hydroxyquinoline) gallium [Gaq3]
    • H10K85/324Metal complexes comprising a group IIIA element, e.g. Tris (8-hydroxyquinoline) gallium [Gaq3] comprising aluminium, e.g. Alq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30Coordination compounds
    • H10K85/341Transition metal complexes, e.g. Ru(II)polypyridine complexes
    • H10K85/342Transition metal complexes, e.g. Ru(II)polypyridine complexes comprising iridiu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전자 수송층을 갖는 유기 EL 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 1전극과 제 2 전극 사이에 발광층, 전자 수송층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전자 수송층은 적어도 하나의 정공 억제(hole block) 성질을 갖는 물질과 적어도 하나의 전자 수송(electron transport) 성질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소자가 개시된다..
정공, 전자, 전자 수송층, 혼합물, 정공 억제 물질, 전자 수송 물질

Description

유기 EL 소자 및 그 제조방법{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도 1은 도 1은 일반적인 유기 EL 소자를 보여주는 구조단면도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 EL 소자의 전자 수송층에 사용되는 정공 억제 물질들의 화학구조식
도 3a 내지 도 3h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 EL 소자의 전자 수송층에 사용되는 유도체들의 화학구조식
도 4a 내지 도 4h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 EL 소자의 전자 수송층에 사용되는 전자 수송 물질들의 화학구조식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소자를 보여주는 구조단면도
도 9와 도 10은 전자 수송층에 사용되는 물질에 따른 IVL의 특성을 비교한 그래프
도 11은 Balq:Alq3 전자 수송층을 갖는 유기 EL 소자의 구조단면도
도 12과 13은 Balq:Alq3 전자 수송층의 조성비에 따른 IVL의 특성을 비교한 그래프
도 14는 Balq:BeBq2 전자 수송층을 갖는 유기 EL 소자의 구조단면도
도 15는 전자 수송층에 사용되는 물질에 따른 소자의 수명을 비교한 그래프
도 16과 도 17은 본 발명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유기 EL 소자의 구조단면도
본 발명은 유기 EL 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 수송층을 갖는 유기 EL 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기 EL 소자는 ITO 등으로 이루어진 양극(anode)과 Al 등으로 이루어진 음극(cathode) 사이에 유기물층을 그 기능별로 적층하고 전기장을 가함으로 빛을 내는 소자로서, 낮은 전압에서 구동이 가능하고, 전력 소모가 비교적 적고, 또한 가볍고 flexible한 기판 위에도 소자제작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일반적인 유기 EL 소자의 제작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 기판 위에 ITO 등으로 양극을 형성하고, O2 플라즈마(plasma) 또는 UV-오존(Ozone) 등으로 표면처리를 한다.
이어, 양극 위에 정공주입층(HIL : hole injecting layer)으로 copper phthalocyanine (CuPc)을 약 10 ~ 50 nm 두께로 증착한다.
다음, 정공주입층 위에 정공수송층 (HTL : hole transport layer)으로 4,4'- bis[N-(1-naphthy1)-N-pheny1-amino]bipheny1(NPD)를 약 30 ~ 60 nm 두께로 증착한다.
그리고, 정공수송층 위에 발광층 (emitting layer)을 형성한다.
이때, 필요에 따라 발광층에 도펀트(dopant)를 첨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녹색(green) 발광의 경우, 흔히 발광층으로 tris (8-hydroxy-quinolate) aluminum (Alq3라 약칭함)를 약 30 ~ 60 nm 두께 정도로 증착하고, 녹색 도펀트(green dopant)로는 coumarin545T 등이 사용된다.
다음, 발광층 위에 전자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으로 Alq3를 약 200Å~ 400Å 두께로 증착한다.
그리고, 전자수송층 위에 전자 주입층(EIL : electron injection layer)으로 LiF나 Li2O를 약 5Å 두께로 얇게 증착하거나 또는 Li, Ca, Mg, Sm 등 알카리 금속 또는 알카리 토금속을 약 200Å 두께로 증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자 주입층 위에 음극(cathode)로 Al을 약 1000Å 두께로 증착한다.
그리고, 음극 위에 UV 경화형 접착제로 흡습제가 함유된 씰 캡(seal cap)을 합착시킴으로써, 대기중의 수분이나 O2 등으로부터 유기 EL 소자를 보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작되는 일반적인 유기 EL 소자들은 사용되는 재료 및 적층 구조, 그리고 양극의 표면 처리 조건 등에 따라 소자의 수명 및 효율에 큰 변화를 가져온다.
따라서, 현재 유기 EL 소자의 수명 및 효율의 증가를 위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만족할만한 연구 결과가 나타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새로운 물질로 전자 수송층을 형성하여 수명 및 효율이 향상된 유기 EL 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새로운 물질로 전자 수송층을 형성하여 공정이 단순화된 유기 EL 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EL 소자는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사이에 발광층, 전자 수송층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전자 수송층은 적어도 하나의 정공 억제(hole block) 성질을 갖는 물질과 적어도 하나의 전자 수송(electron transport) 성질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전자 수송층은 제 1 물질과 제 2 물질이 혼합된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제 1 물질과 제 2 물질의 조성비는 제 1 물질 X : 제 2 물질 Y = 1 - 100 : 1 이거나 또는 제 1 물질 X : 제 2 물질 Y = 1 : 1 - 100 일 수 있다.
또한, 전자 수송층은 제 1 물질과 2개 이상의 복수 물질이 혼합된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제 1 물질과 복수 물질의 조성비는 제 1 물질 X : 복수 물질 Y = 1 - 100 : 1 이거나 또는 제 1 물질 X : 복수 물질 Y = 1 : 1 - 100 일 수 있다.
삭제
여기서, 정공 억제 성질을 갖는 물질은 산화 포텐셜(Oxidation Potential)이 0.4V 보다 크고, HOMO(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의 절대값이 5.2eV 이상일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수송 성질을 갖는 물질은 모빌리티(mobility)가 1.0*10-6 cm2/Vs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전자 수송층은 적어도 하나의 정공 억제(hole block) 성질을 갖는 물질과, 적어도 하나의 전자 수송(electron transport) 성질을 갖는 물질과, 적어도 하나의 전자 주입 또는 수송을 용이하게 도와주는 성질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양극과 음극 사이에 발광층, 전자 수송층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풀 컬러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은 적어도 하나의 인광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 수송층은 적어도 하나의 정공 억제(hole block) 성질을 갖는 물질과 적어도 하나의 전자 수송(electron transport) 성질을 갖는 물질이 혼합된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양극과 음극 사이에, 발광층, 전자 수송층을 포함하는 다수개의 발 광 유닛들을 갖는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는 상기 서로 인접한 발광 유닛들은 계면층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전자 수송층은 적어도 하나의 정공 억제(hole block) 성질을 갖는 물질과 적어도 하나의 전자 수송(electron transport) 성질을 갖는 물질이 혼합된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발광 유닛들은 서로 동일한 적층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서로 다른 적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유기 EL 소자 제조방법은 기판 위에 제 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 1 전극 위에 적어도 하나의 인광 물질을 포함하는 발광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발광층 전체 위에 공통으로 적어도 하나의 정공 억제(hole block) 성질을 갖는 물질과 적어도 하나의 전자 수송(electron transport) 성질을 갖는 물질이 혼합된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전자 수송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전자 수송층 위에 제 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유기 EL 소자는 음극과 양극을 통하여 주입된 전자와 정공이 발광층 내에서 재결합(recombination)하여 엑시톤을 형성함으로써, 특정한 파장의 빛을 발생한다.
효율적인 유기 EL 소자의 구조는 양극과 발광층 사이에 정공 수송층을 삽입하고, 음극과 발광층 사이에 전자 수송층을 삽입한 구조이다.
이 구조는 재결합에 의한 발광영역이 발광층 내로 제한되므로 효율이 높다.
또한, 최적의 발광효율을 얻기 위해서는 발광층으로 주입된 캐리어(Carrier)들이 발광층의 중심에서 여기 되도록 정공과 전자의 균형을 맞추어 주는 것도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정공 수송층과 전자 수송층의 수송능력을 고려하여 적층된 각층의 두께를 조절함으로 최적의 효율을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기 EL 소자는 순방향 전압이 인가되면 양극인 ITO 전극에서는 정공이 발광층으로 주입되고, 음극에서는 전자가 발광층으로 주입되며, 발광층에서 정공과 전자가 재결합하여 빛을 낸다.
따라서, 유기 EL 소자의 내부 양자 효율은 외부 전극으로부터 주입된 전하 수에 대해 소자 내부에서 발생한 광자 수의 비율로 주어진다.
내부 양자 효율(nint) ηint = γ ηr ηf 이다.
여기서, γ는 전자와 정공 주입의 균형에 관한 인자이고, ηr 는 전자-정공 재결합에 의한 단일항 엑시톤의 생성 효율이며, ηf 은 단일항 엑시톤의 발광 양자 효율이다.
스핀 S=1/2인 전자와 정공이 발광층에서 엑시톤을 형성할 때, 두 스핀이 대칭으로 배열하는 S=1인 삼중항 (triplet) 상태와 두 스핀이 반대칭으로 배열하는 S=0인 단일항 상태가 3:1의 비율로 생성되는데, 대부분의 분자의 바닥 상태는 스핀 단일항 상태이다.
따라서, 양자역학적 선택률 (selection rule)에 의하면 단일항 엑시톤은 바 닥 상태로 발광 천이 (radiative transition)가 허용되는데 이것을 형광 (fluorescence)이라고 한다.
삼중항 엑시톤이 단일항인 바닥상태로 빛을 내며 천이하는 것은 금지된다.
그런데, 스핀-궤도 결합 (spin-orbit coupling)과 같은 섭동에 의해 삼중항 엑시톤도 빛을 내며 천이할 수 있는데 이것을 인광 (phosphorescence)이라 한다.
인광 또는 형광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 최대의 효율을 얻기 위해서는 전자와 정공 주입이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γ : charge balance factor)
일반적인 유기 EL 소자에서는 대부분의 경우 전자(electron) 보다 정공(hole)의 수가 과도하게 발광층에 주입이 된다.
이로 인해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데, 이를 막기 위해 발광층 내로 주입되는 정공을 억제할 경우, 대부분 이로 인해 I-V 커브(curve)에서 전압(voltage)이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단점을 보안하기 위해서는 발광층으로 전자의 주입을 최대한 높이고, 발광층으로 주입된 정공을 적절하게 차단할 수 있는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새로운 물질로 전자 수송층을 이용하여 고효율의 유기 EL 소자를 얻을 수 있고, 이로 인해 수명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EL 소자는 기판, 기판 위에 형성되는 제 1 전극, 제 1 전극 위에 형성되는 발광층, 발광층 위에 형성되는 제 2 전극, 그리고, 제 1 전극과 발광층 사이, 제 2 전극과 발광층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형성되는 전자 수송층으로 크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제 2 전극 중 어느 하나는 투명한 물질로 형성된 양극 또는 음극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전자 수송층은 적어도 2개 이상의 물질이 혼합된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혼합물은 유기화합물, 금속화합물, 무기화합물로부터 선택된 2개 이상의 물질이 혼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전자 수송층은 하나의 유기화합물과 하나 이상의 다른 유기화합물들, 또는 하나의 금속 또는 무기화합물과 하나 이상의 다른 금속 또는 무기화합물들, 또는 하나 이상의 유기화합물들과 하나 이상의 금속 또는 무기화합물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수송층의 두께는 약 0.1 - 500n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수송층은 제 1 물질과 제 2 물질이 혼합된 혼합물로 이루어지는데, 이 때, 제 1 물질과 제 2 물질의 조성비는 제 1 물질 X : 제 2 물질 Y = 1 - 100 : 1 이거나 또는 제 1 물질 X : 제 2 물질 Y = 1 : 1 - 100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 수송층이 제 1 물질과 2개 이상의 복수 물질이 혼합된 혼합물로 이루어진다면, 제 1 물질과 복수 물질의 조성비는 제 1 물질 X : 복수 물질 Y = 1 - 100 : 1 이거나 또는 제 1 물질 X : 복수 물질 Y = 1 : 1 - 100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수송층은 적어도 하나의 정공 억제(hole block) 성질을 갖는 물질과 적어도 하나의 전자 수송(electron transport) 성질을 갖는 물질을 포함한다.
여기서, 정공 억제 성질을 갖는 물질은 산화 포텐셜(Oxidation Potential)이 0.4V 보다 크고, HOMO(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의 절대값이 5.2eV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HOMO의 절대값이 녹색 도펀트(Green dopant)의 경우, 약 5.2eV, 적색 도펀트의 경우, 약 5eV, 청색 도펀트의 경우, 약 5.1eV 이상이므로, 정공 억제 물질(hole blocking material)은 HOMO의 절대값이 5.2eV 이상인 물질이 사용되고, 정공 및 발광층 내에서 형성된 엑시톤(exciton)을 차단(blocking)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정공 억제 성질을 갖는 물질은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는 8-hydroxyquinoline을 포함하는 금속 착물이고, 상기 금속은 알루미늄(Al), 아연(Zn), 마그네슘(Mg), 리튬(Li)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정공 억제 성질을 갖는 물질은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1,10-phenathroline 유도체이거나 또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Carbazole 유도체일 수 있다.
정공 억제 성질을 갖는 물질은 도 2a 내지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Balq(aluminum(III) bis(2-methyl-8-quinolinato) 4-phenylphenolate), BCP(2,9-Dimethyl-4,7-diphenyl-1,10-phenanthroline), CBP [ 4,48-N,N8-dicarbazole-1,18-biphenyl ], CF-X, CF-Y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수송 성질을 갖는 물질은 모빌리티(mobility)가 1.0*10-6 cm2/Vs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 수송 성질을 갖는 물질은 도 3a 내지 도 3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Al 콤플렉스(complex),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Be 콤플렉스,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Zn 콤플렉스,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oxidiazole 유도체,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triazole 유도체,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thiophene 유도체,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pyrrole 유도체,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sila-cyclopentadiene 유도체,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anthracene 유도체,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pyrene 유도체,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perylene 유도체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전자 수송 성질을 갖는 물질은 도 4a 내지 도 4h에 도시된 바와 같이, Alq3[ Tris-(8-hydroxyquinolinolato)-aluminium ], BeBq2[ bis(10-hydroxybenzofhgqinolinato)beryllium ], Zn(oxz)2 [Bis(2-(2-hydroxyphenyl0-benz-1,3-oxadiazoleato)zinc], PBD[ 2-(4-biphenylyl)-5-(4-tert-butyl-phenyl0-1,3,4-oxadiazole ], TAZ [ 3-(4-Biphenylyl)-4-phenyl-5-tert-butylphenyl-,2,4-triazole ], Liq [8-Quinolinolato Lithium], Mgq2 [Bis(8-Quinolinolato) Magnesium], Znq2 [Bis(8-Quinolinolato) Zinc] 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전자 수송층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기 화합물 또는 적어 도 하나 이상의 유기 금속 화합물로 이루어진다면, 유기 또는 유기 금속 화합물은 프탈로시안 (phthalocyanine) 유도체 및 금속 프탈로시안 (metallophthalocyanine) 유도체들로서, 금속 성분은 Co, AlCl, Cu, Li2, Fe, Pb, Mg, Na2, Sn, Zn, Ni, Mn, VO, Ag2, MnCl, SiCl2, SnCl2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포르피린 (porphyrin) 유도체 및 금속 포르피린 (metalloporphyrin) 유도체들로서, 금속 성분은 Co, AlCl, Cu, Li2, Fe, Pb, Mg, Na2, Sn, Zn, Ni, Mn, VO, Ag2, MnCl, SiCl2, SnCl2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수송층은 적어도 하나의 정공 억제(hole block) 성질을 갖는 물질과, 적어도 하나의 전자 수송(electron transport) 성질을 갖는 물질과, 적어도 하나의 전자 주입 또는 수송을 용이하게 도와주는 성질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전자 주입 또는 수송을 용이하게 도와주는 성질을 갖는 물질은 무기 화합물 또는 금속일 수 있다.
무기 화합물은 알카리 금속 화합물, 알카리 토금속 화합물, 토금속 화합물, 란타나이드 화합물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기 화합물은 LiF, NaF, KF, RbF, CsF, FrF, MgF2, CaF2, SrF2, BaF2, LiCl, NaCl, KCl, RbCl, CsCl, FrCl의 할라이드 화합물과 Li2O, Li2O2, Na2O, K2O, Rb2O, Rb2O2, Cs2O, Cs2O2, LiAlO2, LiBO2, LiTaO3, LiNbO3, LiWO4, Li2CO, NaWO4, KAlO2, K2SiO3, B2O5, Al2O3, SiO2 의 산화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금속은 알카리 금속, 알카리 토금속, 토금속, 희토류 금속 및 그들의 합금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금속은 Li, Na, K, Cs, Be, Mg, Ca, Sr, Ba, Y, La, Ce, Sm, Gd, Eb, Yb, Al:Li 합금, Mg:Sr 합금, In:Li 합금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새로운 물질의 전자 수송층은 다양한 구조의 유기 EL 소자에 적용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소자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과 발광층 사이에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중 적어도 어느 한 층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음극과 전자 수송층 사이에 전자 주입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발광층은 적어도 하나의 인광 물질이 포함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층을 복수의 층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구조의 유기 EL 소자를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 타입의 유기 EL 소자를 제작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양극과 음극 사이에, 발광층, 전자 수송층을 포함하는 다수개의 발광 유닛(unit)들을 가지고 있고, 서로 인접한 발광 유닛들은 계면층(interlayer)에 의해 분리된다.
여기서, 각 발광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정공 억제(hole block) 성질을 갖는 물질과 적어도 하나의 전자 수송(electron transport) 성질을 갖는 물질이 혼합된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전자 수송층을 포함한다.
그리고, 발광 유닛들은 서로 동일한 적층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서로 다른 적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EL 소자는 다음과 같이 제작될 수 있다.
먼저, 기판 위에 제 1 전극을 형성하고, 제 1 전극 위에 적어도 하나의 인광 물질을 포함하는 발광층을 형성한다.
다음, 발광층 전체 위에 공통으로 적어도 하나의 정공 억제(hole block) 성질을 갖는 물질과 적어도 하나의 전자 수송(electron transport) 성질을 갖는 물질이 혼합된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전자 수송층을 형성한다.
그리고, 전자 수송층 위에 제 2 전극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인광(phosphorescence materials) 물질이 포함된 발광층(emitting layer)을 사용할 경우 (인광 유기 EL 소자),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은 정공 억제(Hole block)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정공 억제층을 따로 형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별도의 정공 억제층 없이 전자 수송층만 형성하므로 공정 이 단순화되는 장점이 있다.
특히, 풀 컬러(full color) 유기 EL 소자을 제작할 때, 적색(Red), 녹색(Green), 청색(Blue) 발광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형광 발광층이고,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인광 발광층인 경우 (인광-형광 하이브리드(hybrid) 유기 EL 소자), 본 발명은 인광 발광층에 별도의 정공 억제층을 형성하지 않고, 정공 억제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수송층을 인광 및 형광 발광층 전체에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공정이 단순화된다.
이와 같이 제작되는 본 발명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먼저, 일반적인 전자 수송층 물질로 사용되는 Alq3와 정공 억제 물질로 사용되는 Balq [aluminum(III) bis(2-methyl-8-quinolinato) 4-phenylphenolate]의 IVL 특성을 비교해 보았다.
예 1.
1) 먼저, 투명 기판 위에 ITO인 양극을 형성하고, 양극 위에 copper phthalocyanine (CuPc)로 이루어진 정공 주입층을 약 25 nm 정도 입힌다.
2) 그 위에 정공 수송층으로서 4,4'-bis[N-(1-naphthyl)-N-phenyl- amino]biphenyl (NPD)를 약 35 nm 정도 입힌다.
3) 그리고, 녹색 발광층을 만들기 위해 정공 수송층 위에 8-hydroxyquinoline aluminum (Alq3)에 C545T을 약 1% 정도 도핑하여 25nm 정도 입힌다.
4) 다음으로 발광층 위에 전자 수송층(ETL)으로 Alq3 (소자 A) 또는 Balq ( 소자 B)를 35nm 정도 입힌다.
5) 다음으로 전자 수송층 위에 전자 주입층(EIL)으로 LiF를 0.5nm 정도 입힌다.
6) 다음으로 전자 주입층 위에 음극으로 Al을 150nm을 입힌다.
이와 같이, 제작된 소자 A와 소자 B의 IVL을 비교해 보면, 도 9 및 도 10과 같은 그래프가 나타난다.
즉, 전자 수송층이 Alq3가 사용된 소자 A에서는 정공(hole)이 다수 캐리어(carrier)가 된다.
따라서, 발광층에는 주입된 다수의 정공들이 남게 된다.
이러한 정공들을 억제(block)하기 위해, Balq를 사용할 경우에는 정공은 억제되지만, Balq의 전자 이동도(electron mobility)가 Alq3보다 떨어진다.
따라서,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수송층으로 Balq을 사용한 소자 B가 Alq3을 사용한 소자 A 보다 I-V 커브(curve)에서 전압이 약 1.2V 정도 높음을 볼 수 있다.
위의 결과에서 보듯이, 정공 억제 성질과 전자 수송 성질을 갖는 물질이 필요 하지만, 아직까지는 이 두 개의 성질을 동시에 만족하는 물질이 개발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전자 수송층의 물질을 정공 억제 성질을 갖는 물질과 전자 수송 성질을 갖는 물질을 혼합해 줌으로써, 전자 수송층의 전자 수송 능력을 유지함과 동시에 정공을 억제하여 발광층 내에서 정공과 전자의 차지 밸런스(charge balance)를 맞추어줌으로써 유기 EL 소자의 효율을 향상 시켰다.
예 2.
도 11은 본 발명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이다.
1) 먼저, 투명 기판 위에 ITO인 양극을 형성하고, 양극 위에 copper phthalocyanine (CuPc)로 이루어진 정공 주입층을 약 25 nm 정도 입힌다.
2) 그 위에 정공 수송층으로서 4,4'-bis[N-(1-naphthyl)-N-phenyl- amino]biphenyl (NPD)를 약 35 nm 정도 입힌다.
3) 그리고, 녹색 발광층을 만들기 위해 정공 수송층 위에 8-hydroxyquinoline aluminum (Alq3)에 C545T을 약 1% 정도 도핑하여 25nm 정도 입힌다.
4) 다음으로 발광층 위에 전자 수송층(ETL)으로 전자 이동도(electron mobility)가 좋은 Alq3와 정공 억제 능력이 좋은 Balq를 Balq : Alq3 = 3:7 (소자 C), 또는 Balq : Alq3 = 5:5 (소자 D), 또는 Balq : Alq3 = 7:3 (소자 E) vol % 비율로 35nm 정도 입힌다.
5) 다음으로 전자 수송층 위에 전자 주입층(EIL)으로 LiF를 0.5nm 정도 입힌다.
6) 다음으로 전자 주입층 위에 음극으로 Al을 150nm을 입힌다.
이렇게 제작된 소자 C, 소자 D, 소자 E의 IVL을 비교해 보면 도 12 및 도 13 과 같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자 C(Balq : Alq3 = 3:7)는 I-L 특성은 좋지 않지만, I-V 특성은 Alq3을 단독으로 사용한 소자 A의 경우와 비슷하다.
반면에 소자 E(Balq : Alq3 = 7:3)는 I-L 특성이 좋고, I-V 특성은 세 소자 중 가장 좋지 않지만, 앞의 예에서 보여준 Balq 단독으로 사용된 소자 B의 경우 보다 전압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의 실험 결과로 알 수 있듯이, 유기 EL 소자에서 전자 수송층에 정공 억제 성질을 가지는 물질을 적절히 혼합해 줌으로서, 양극(ITO)에서 주입되어 정공수송층을 지나 발광층으로 주입된 정공을 발광층 내에 제한(confine)함으로써 유기 EL 소자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하기 표1은 전류 밀도(Current density) 50mA/cm2 에서 각 소자의 특성을 비교한 것이다.
전자수송층 전압(V) 휘도(nit) cd/A lm/W 효율(%)
소자 A Alq3 7.5 6712 13.4 5.6 Ref
소자 B Balq 8.7 6454 12.9 4.7 83
소자 C Balq:Alq3 = 3:7 7.38 8155 16.3 6.9 123
소자 D Balq:Alq3 = 5:5 7.59 9118 18.2 7.5 134
소자 E Balq:Alq3 = 7:3 7.87 10080 20.2 8.0 143
예 3.
다음은 본 발명에서 사용된 전자 수송층의 다른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자를 수송하는 물질로 BeBq2을 사용하고, 정공을 억제하는 물질로 Balq를 사용해서 소자를 제작하였다.
여기서, BeBq2는 앞에서 사용된 Alq3보다 전자수송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소자의 성능을 더 높일 수 있었다.
도 14는 본 발명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이다.
1) 먼저, 투명 기판 위에 ITO인 양극을 형성하고, 양극 위에 copper phthalocyanine (CuPc)로 이루어진 정공 주입층을 약 25 nm 정도 입힌다.
2) 그 위에 정공 수송층으로서 4,4'-bis[N-(1-naphthyl)-N-phenyl- amino]biphenyl (NPD)를 약 35 nm 정도 입힌다.
3) 그리고, 녹색 발광층을 만들기 위해 정공 수송층 위에 8-hydroxyquinoline aluminum (Alq3)에 C545T을 약 1% 정도 도핑하여 25nm 정도 입힌다.
4) 다음으로 발광층 위에 전자 수송층(ETL)으로 전자 이동도(electron mobility)가 좋은 BeBq2와 정공 억제 능력이 좋은 Balq를 Balq : BeBq2 = 5:5 (소자 F) vol % 비율로 35nm 정도 입힌다.
5) 다음으로 전자 수송층 위에 전자 주입층(EIL)으로 LiF를 0.5nm 정도 입힌다.
6) 다음으로 전자 주입층 위에 음극으로 Al을 150nm을 입힌다.
이렇게 제작된 소자 F를 소자 A, 소자 D의 특성과 비교해 보면 하기 표 2와 같다.
하기 표 2는 전류 밀도(Current density) 50mA/cm2 에서 각 소자를 특성을 비교한 것이다.
전자수송층 전압(V) 휘도(nit) cd/A lm/W 효율(%)
소자 A Alq3 7.5 6712 13.4 5.6 Ref
소자 D Balq:Alq3 = 5:5 7.59 9118 18.2 7.5 134
소자 F Balq:BeBq2 = 5:5 6.7 10532 21.1 9.9 176
상기 표 2에 보는 바와 같이, Balq와 BeBq2을 혼합한 소자 F는 소자 A에 비해 I-V 특성이 0.8V 향상되었고, I-L 특성이 약 3820 nit 정도 더 향상된다.
따라서, 소자 F의 파워 효율(power efficiency)은 소자 A의 기준치보다 약 176% 향상되었다.
소자 A와 소자 F의 수명을 비교해 보면 도 15와 같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휘도 5000 nit에서, 소자 F의 수명이 소자 A에 비해 현저히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다음은 본 발명에서 사용된 전자 수송층이 인광 유기 EL 소자에 사용된 경우의 예를 들어 보겠다.
일반적으로 스핀 S=1/2인 전자와 정공이 발광층에서 엑시톤을 형성할 때, 두 스핀이 대칭으로 배열하는 S=1인 삼중항(triplet) 상태와 두 스핀이 반대칭으로 배열하는 S=0인 단일항 상태가 3:1의 비율로 생성되는데, 대부분의 분자의 바닥 상태는 스핀 단일항 상태이다.
따라서, 양자역학적 선택률 (selection rule)에 의하면 단일항 엑시톤은 바닥 상태로 발광 천이(radiative transition)가 허용되는데 이것을 형광 (fluorescence)이라고 한다.
삼중항 엑시톤이 단일항인 바닥상태로 빛을 내며 천이하는 것은 금지된다.
그런데, 스핀-궤도 결합 (spin-orbit coupling)과 같은 섭동에 의해 삼중항 엑시톤도 빛을 내며 천이할 수 있는데 이것을 인광 (phosphorescence)이라 한다.
인광 소자에서는 삼중항 엑시톤을 이용해서 빛을 얻게 되는데, 발광층에서 형성된 삼중항 엑시톤이 cathode쪽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발광층 내에 삼중항 엑시톤을 제한(confine)하기 위해서 발광층 다음에 정공 억제층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인광 유기 EL 소자는 발광층 다음에 삼중항 엑시톤을 제한(confine) 할 수 있는 정공 억제층과 전자 수송층, 두 층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상기와 같은 두 가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수송층을 사용한다면, 정공 억제층을 따로 사용할 필요가 없다.
예 4.
도 16과 도 17은 본 발명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이다.
1) 먼저, 투명 기판 위에 ITO인 양극을 형성하고, 양극 위에 copper phthalocyanine (CuPc)로 이루어진 정공 주입층을 약 25 nm 정도 입힌다.
2) 그 위에 정공 수송층으로서 4,4'-bis[N-(1-naphthyl)-N-phenyl- amino]biphenyl (NPD)를 약 35 nm 정도 입힌다.
3) 인광 녹색 발광층을 만들기 위해, 4,48-N,N8-dicarbazole-1,18-biphenyl (CBP)에 tris~2-phenylpyridine!iridium [ Ir(ppy)3 ]을 약 8% 정도 도핑하여 약 25nm 정도 입힌다.
4) 다음으로 삼중항 엑시톤을 억제하는 물질로 2,9-dimethyl-4,7-diphenyl 1,10-phenanthrolin[BCP]를 10nm 정도 입히고, 전자수송층(ETL)으로 Alq3를 25nm정도 입힌다.
즉, CBP + Ir(ppy)3(8%) / BCP / Alq3 --------------- 소자 G
25nm 10nm 25nm
또는, 전자 이동도(electron mobility)가 좋은 BeBq2와 정공 억제 능력이 좋은 Balq를 각각 vol %로 5:5 비율로 35nm 정도 입힌다.
즉, CBP + Ir(ppy)3(8%) / Balq : BeBq2 = 5:5 ----------소자 H
25nm 35nm
5) 다음으로 전자 수송층 위에 전자 주입층(EIL)으로 LiF를 0.5nm 정도 입힌다.
6) 다음으로 전자 주입층 위에 음극으로 Al을 150nm을 입힌다.
이렇게 제작된 소자 G와 소자 H의 특성과 비교해 보면 하기 표 3과 같다.
표 3은 전류 밀도 25mA/cm2 에서 각 소자의 특성을 비교한 것이다.
전자수송층 전압(V) 휘도(nit) cd/A lm/W 효율(%)
소자 G BCP / Alq3 8 6857 27.4 10.8 Ref
소자 H Balq:BeBq2 = 5:5 7.8 6702 26.8 10.8 100
상기 표 3과 같이, 소자 G와 소자 H는 동일한 특성 lm/W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된 전자 수송층은 정공 억제층을 따로 두었던 기존 소자에 비해 동일한 특성 및 효율을 얻을 수 있고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는 장점을 더 포함한다.
다음은, 유기 EL 소자를 이용하여 풀 컬러 유기 EL 패널(full color panel)을 제작하는 경우이다.
만일, R, G, B 발광 소자가 모두 형광, 또는 인광 물질을 사용한다면, 전자 수송층은 동일한 것을 사용한다.
그러나, R, G, B 발광 소자 중 하나 또는 두 개가 인광 또는 형광 물질을 사용한다면, 인광 물질을 사용하는 소자는 삼중항 엑시톤을 억제하는 억제층(Blocking layer)을 사용해야 한다.
그러므로, 인광 물질을 사용하는 소자와 형광 물질을 사용하는 소자는 발광층 다음에 증착되는 전자 수송층이 서로 다르다.
즉, 전자 수송층은 각 소자마다 하기와 같이 증착된다.
예를 들면,
Green 인광 소자 : CBP+Ir(ppy)3 / BCP(10nm) / Alq3(25nm)
Red 형광 소자 : Alq3 + dcjtb / Alq3(35nm)
Blue 형광소자 : DPVBi / Alq3(35nm)
하지만, 본 발명의 전자 수송층은 정공 억제 물질이 혼합되어 있으므로, 각 발광 소자마다 다른 구조로 전자 수송층들을 형성할 필요가 없이 하나의 전자 수송층만을 형성하므로 공정이 간단하다.
예를 들면,
Green 인광 소자 : CBP+Ir(ppy)3 / Balq:BeBq 2 = 5:5, 35nm
Red 형광 소자 : Alq3 + dcjtb / Balq:BeBq 2 = 5:5, 35nm
Blue 형광소자 : DPVBi / Balq:BeBq 2 = 5:5, 35nm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인광-형광 하이브리드(hybrid) 소자에서도 공정의 단순화 뿐 아니라 소자의 효율도 높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기 EL 소자 및 그 제조방법은 정공 억제 물질과 전자 수송 물질이 혼합된 전자 수송층을 사용하므로, 소자의 수명 및 효율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정공 억제 물질과 전자 수송 물질이 혼합된 전자 수송층을 사용하므로, 인광-형광 하이브리드(hybrid) 소자 제작시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31)

  1.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사이에 발광층, 전자 수송층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갖는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
    상기 전자 수송층은 적어도 하나의 정공 억제(hole block) 성질을 갖는 물질과 적어도 하나의 전자 수송(electron transport) 성질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수송층의 두께는 0.1 - 500n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소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수송층은 제 1 물질과 제 2 물질이 혼합된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물질과 제 2 물질의 조성비는 제 1 물질 X : 제 2 물질 Y = 1 - 100 : 1 이거나 또는 제 1 물질 X : 제 2 물질 Y = 1 : 1 - 1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소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수송층은 제 1 물질과 2개 이상의 복수 물질이 혼합된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물질과 복수 물질의 조성비는 제 1 물질 X : 복수 물질 Y = 1 - 100 : 1 이거나 또는 제 1 물질 X : 복수 물질 Y = 1 : 1 - 1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소자.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 억제 성질을 갖는 물질은 산화 포텐셜(Oxidation Potential)이 0.4V 보다 크고, HOMO(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의 절대값이 5.2eV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소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 억제 성질을 갖는 물질은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는 8-hydroxyquinoline을 포함하는 금속 착물이고, 상기 금속은 알루미늄(Al), 아연(Zn), 마그네슘(Mg), 리튬(Li)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소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 억제 성질을 갖는 물질은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1,10-phenathroline 유도체이거나 또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Carbazole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소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 억제 성질을 갖는 물질은 Balq(aluminum(III) bis(2-methyl-8-quinolinato) 4-phenylphenolate), BCP(2,9-Dimethyl-4,7-diphenyl-1,10-phenanthroline), CBP [ 4,48-N,N8-dicarbazole-1,18-biphenyl ], CF-X, CF-Y 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소자.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수송 성질을 갖는 물질은 모빌리티(mobility)가 1.0*10-6 cm2/Vs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소자.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수송 성질을 갖는 물질은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Al 콤플렉스(complex),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Be 콤플렉스,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Zn 콤플렉스,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oxidiazole 유도체,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triazole 유도체,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thiophene 유도체,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pyrrole 유도체,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sila-cyclopentadiene 유도체,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anthracene 유도체,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pyrene 유도체,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perylene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소자.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수송 성질을 갖는 물질은 Alq3[ Tris-(8-hydroxyquinolinolato)-aluminium ], BeBq2[ bis(10-hydroxybenzofhgqinolinato)beryllium ], Zn(oxz)2 [Bis(2-(2-hydroxyphenyl0-benz-1,3-oxadiazoleato)zinc], PBD[ 2-(4-biphenylyl)-5-(4-tert-butyl-phenyl0-1,3,4-oxadiazole ], TAZ [ 3-(4-Biphenylyl)-4-phenyl-5-tert-butylphenyl-,2,4-triazole ], Liq [8-Quinolinolato Lithium], Mgq2 [Bis(8-Quinolinolato) Magnesium], Znq2 [Bis(8-Quinolinolato) Zinc] 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소자.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수송층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기 화합물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기 금속 화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기 또는 유기 금속 화합물은 프탈로시안 (phthalocyanine) 유도체 및 금속 프탈로시안 (metallophthalocyanine) 유도체들로서, 금속 성분은 Co, AlCl, Cu, Li2, Fe, Pb, Mg, Na2, Sn, Zn, Ni, Mn, VO, Ag2, MnCl, SiCl2, SnCl2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포르피린 (porphyrin) 유도체 및 금속 포르피린 (metalloporphyrin) 유도체들로서, 금속 성분은 Co, AlCl, Cu, Li2, Fe, Pb, Mg, Na2, Sn, Zn, Ni, Mn, VO, Ag2, MnCl, SiCl2, SnCl2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소자.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수송층은 적어도 하나의 전자 주입 또는 수송을 용이하게 도와주는 성질을 갖는 물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소자.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주입 또는 수송을 용이하게 도와주는 성질을 갖는 물질은 무기 화합물 또는 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소자.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화합물은 알카리 금속 화합물, 알카리 토금속 화합물, 토금속 화합물, 란타나이드 화합물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소자.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화합물은 LiF, NaF, KF, RbF, CsF, FrF, MgF2, CaF2, SrF2, BaF2, LiCl, NaCl, KCl, RbCl, CsCl, FrCl의 할라이드 화합물과 Li2O, Li2O2, Na2O, K2O, Rb2O, Rb2O2, Cs2O, Cs2O2, LiAlO2, LiBO2, LiTaO3, LiNbO3, LiWO4, Li2CO, NaWO4, KAlO2, K2SiO3, B2O5, Al2O3, SiO2 의 산화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소자.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알카리 금속, 알카리 토금속, 토금속, 희토류 금속 및 그들의 합금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소자.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Li, Na, K, Cs, Be, Mg, Ca, Sr, Ba, Y, La, Ce, Sm, Gd, Eb, Yb, Al:Li 합금, Mg:Sr 합금, In:Li 합금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소자.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과 발광층 사이, 또는 상기 제 2 전극과 발광층 사이에는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중 적어도 어느 한 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소자.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과 전자 수송층 사이, 또는 상기 제 2 전극과 전자 수송층 사이에는 전자 주입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소자.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은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소자.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은 인광 물질이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소자.
  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전극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투명한 물 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소자.
  25. 양극과 음극 사이에 발광층, 전자 수송층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갖는 풀 컬러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은 적어도 하나의 인광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 수송층은 적어도 하나의 정공 억제(hole block) 성질을 갖는 물질과 적어도 하나의 전자 수송(electron transport) 성질을 갖는 물질이 혼합된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소자.
  26. 양극과 음극 사이에, 발광층, 전자 수송층을 포함하는 발광 유닛을 다수개 갖는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
    상기 서로 인접한 발광 유닛들은 계면층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전자 수송층은 적어도 하나의 정공 억제(hole block) 성질을 갖는 물질과 적어도 하나의 전자 수송(electron transport) 성질을 갖는 물질이 혼합된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소자.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유닛들은 서로 동일한 적층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서로 다른 적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소자.
  28. 기판 위에 제 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전극 위에 적어도 하나의 인광 물질을 포함하는 발광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발광층 전체 위에 공통으로 적어도 하나의 정공 억제(hole block) 성질을 갖는 물질과 적어도 하나의 전자 수송(electron transport) 성질을 갖는 물질이 혼합된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전자 수송층을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전자 수송층 위에 제 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소자 제조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은 양극이고, 상기 제 2 전극은 음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소자 제조방법.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과 발광층 사이에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소자 제조방법.
  31.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극과 전자 수송층 사이에 전자 주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소자 제조방법.
KR1020050067301A 2005-07-25 2005-07-25 유기 el 소자 및 그 제조방법 Expired - Lifetime KR100672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7301A KR100672535B1 (ko) 2005-07-25 2005-07-25 유기 el 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05356611A JP4925088B2 (ja) 2005-07-25 2005-12-09 有機el素子
EP06003603.5A EP1748504B1 (en) 2005-07-25 2006-02-22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11/357,951 US8563144B2 (en) 2005-07-25 2006-02-22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CN2006100591454A CN1905236B (zh) 2005-07-25 2006-03-15 有机电致发光器件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7301A KR100672535B1 (ko) 2005-07-25 2005-07-25 유기 el 소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2535B1 true KR100672535B1 (ko) 2007-01-24

Family

ID=37177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7301A Expired - Lifetime KR100672535B1 (ko) 2005-07-25 2005-07-25 유기 el 소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63144B2 (ko)
EP (1) EP1748504B1 (ko)
JP (1) JP4925088B2 (ko)
KR (1) KR100672535B1 (ko)
CN (1) CN1905236B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755B1 (ko) 2007-12-28 2009-10-2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US7973467B2 (en) 2007-11-15 2011-07-05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S8142910B2 (en) 2008-03-04 2012-03-27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US8183771B2 (en) 2008-06-05 2012-05-22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8274212B2 (en) 2007-12-28 2012-09-25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first hole injection layer and second hole injection layer
KR101213498B1 (ko) 2010-10-25 2012-12-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장치
US8557398B2 (en) 2007-12-24 2013-10-15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101341012B1 (ko) * 2008-08-29 2013-12-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패널
KR20150106507A (ko) * 2014-03-11 2015-09-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US9293725B2 (en) 2012-05-22 2016-03-22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20160043891A (ko) * 2014-10-13 2016-04-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
US10374187B2 (en) 2012-05-22 2019-08-06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10483327B2 (en) 2017-03-14 2019-11-19 Samsung Display Co., Ltd. Light emitting diod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706937B2 (en) 2020-03-19 2023-07-18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US11968888B2 (en) 2020-06-15 2024-04-23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812B1 (ko) * 2005-07-25 2008-02-2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유기 el 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4804196B2 (ja) * 2006-03-31 2011-11-02 キヤノン株式会社 有機電界発光素子及び発光装置
CN101461073B (zh) * 2006-06-01 2013-01-02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发光元件、发光器件和电子器件
JP5361719B2 (ja) * 2006-07-19 2013-12-04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短絡保護層を有する高濃度ドープ電気光学活性有機ダイオード
US9397308B2 (en) * 2006-12-04 2016-07-1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 emitting element, light 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100858816B1 (ko) * 2007-03-14 2008-09-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안트라센 유도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막을 구비하는유기 발광 소자
US8040047B2 (en) * 2007-10-19 2011-10-1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device
KR101320107B1 (ko) * 2007-12-31 2013-10-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WO2009116547A1 (en) * 2008-03-18 2009-09-2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element, light-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N101978784B (zh) 2008-03-18 2012-12-05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发光元件、发光装置及电子装置
US9587172B2 (en) * 2008-10-01 2017-03-07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10114070A (ja) * 2008-10-10 2010-05-20 Canon Inc 白色有機el素子
US8766291B2 (en) * 2008-10-28 2014-07-0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Stacked white OLED having separate red, green and blue sub-elements
EP2200407B1 (en) * 2008-12-17 2017-11-2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element, light 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WI528862B (zh) 2009-01-21 2016-04-01 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發光元件,發光裝置以及電子裝置
JP5180369B2 (ja) * 2009-04-01 2013-04-10 エイソン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
JP5692082B2 (ja) * 2009-10-17 2015-04-0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白色に発光する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表示装置及び照明装置
KR101182446B1 (ko) * 2010-04-02 2012-09-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JP2014508535A (ja) 2011-03-17 2014-04-10 ダニスコ・ユーエス・インク グリコシルヒドロラーゼ並びにバイオマスを加水分解する際のその使用法
KR20120128483A (ko) * 2011-05-17 2012-11-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장치
WO2013018251A1 (ja) * 2011-08-03 2013-02-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有機発光素子
CN102738412B (zh) * 2012-05-30 2015-06-24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一种具有掺杂型电子传输层结构的有机电致发光器件
CN103346270A (zh) * 2013-05-21 2013-10-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有机电致发光器件及显示装置
EP3010057B1 (en) * 2014-10-13 2020-04-29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2562894B1 (ko) * 2015-12-28 2023-08-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JP6855362B2 (ja) * 2017-10-27 2021-04-07 株式会社Joled 有機電界発光素子、有機電界発光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10892297B2 (en) * 2017-11-27 2021-01-12 Seoul Viosys Co., Ltd. Light emitting diode (LED) stack for a display
US11527519B2 (en) 2017-11-27 2022-12-13 Seoul Viosys Co., Ltd. LED unit for display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0892296B2 (en) 2017-11-27 2021-01-12 Seoul Viosys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commonly connected LED sub-units
US11282981B2 (en) 2017-11-27 2022-03-22 Seoul Viosys Co., Ltd. Passivation covered light emitting unit stack
US12100696B2 (en) 2017-11-27 2024-09-24 Seoul Viosys Co., Ltd. Light emitting diode for display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0748881B2 (en) 2017-12-05 2020-08-18 Seoul Viosys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with LED stack for display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0886327B2 (en) 2017-12-14 2021-01-05 Seoul Viosys Co., Ltd. Light emitting stacked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11552057B2 (en) 2017-12-20 2023-01-10 Seoul Viosys Co., Ltd. LED unit for display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1522006B2 (en) 2017-12-21 2022-12-06 Seoul Viosys Co., Ltd. Light emitting stacked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11552061B2 (en) 2017-12-22 2023-01-10 Seoul Viosys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with LED stack for display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1114499B2 (en) 2018-01-02 2021-09-07 Seoul Viosys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light emitting stacked structure
US10784240B2 (en) 2018-01-03 2020-09-22 Seoul Viosys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with LED stack for display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CN112542555B (zh) * 2019-09-20 2023-02-03 Tcl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复合物及其制备方法与量子点发光二极管
CN112331787B (zh) * 2019-12-27 2022-07-12 广东聚华印刷显示技术有限公司 金属四苯基卟啉复合物在电子传输材料中的应用、量子点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和发光装置
KR102331370B1 (ko) 2020-01-08 2021-11-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소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한 장치
CN115052953A (zh) * 2020-02-10 2022-09-13 三菱化学株式会社 含半导体纳米粒子的组合物、彩色滤光片及图像显示装置
JP7593156B2 (ja) 2020-02-10 2024-12-03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半導体ナノ粒子含有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及び画像表示装置
CN113517415A (zh) 2020-04-09 2021-10-19 三星显示有限公司 发光器件和包括其的设备
KR20220063861A (ko) 2020-11-10 2022-05-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0165A (ja) * 1998-11-12 2000-05-30 Samsung Sdi Co Ltd 有機電子発光素子
JP2000164362A (ja) 1998-05-19 2000-06-16 Sanyo Electric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86713B2 (ja) * 1997-01-27 2010-06-23 淳二 城戸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
JPH10270171A (ja) * 1997-01-27 1998-10-09 Junji Kido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
JPH10321376A (ja) * 1997-03-19 1998-12-04 Minolta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素子
US6420031B1 (en) * 1997-11-03 2002-07-16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Highly transparent non-metallic cathodes
CN1155115C (zh) 1997-11-17 2004-06-23 Lg电子株式会社 有机场致发光器件
US6064151A (en) * 1997-12-08 2000-05-16 Motorola, Inc.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with enhanced performance
JP4068279B2 (ja) * 2000-02-23 2008-03-26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US6639357B1 (en) * 2000-02-28 2003-10-28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High efficiency transparent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KR100329571B1 (ko) * 2000-03-27 2002-03-23 김순택 유기 전자 발광소자
JP3822029B2 (ja) * 2000-06-07 2006-09-13 シャープ株式会社 発光器、発光装置、及び表示パネル
US6392250B1 (en) * 2000-06-30 2002-05-21 Xerox Corporatio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having improved performance
JP3889564B2 (ja) * 2000-10-31 2007-03-07 三洋電機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2002198176A (ja) * 2000-12-26 2002-07-12 Toray Ind Inc 発光素子
TW545080B (en) * 2000-12-28 2003-08-01 Semiconductor Energy Lab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4076769B2 (ja) * 2000-12-28 2008-04-1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装置及び電気器具
SG138466A1 (en) 2000-12-28 2008-01-28 Semiconductor Energy Lab Luminescent device
SG118110A1 (en) 2001-02-01 2006-01-27 Semiconductor Energy Lab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element
SG118118A1 (en) 2001-02-22 2006-01-27 Semiconductor Energy Lab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display using the same
US6627333B2 (en) * 2001-08-15 2003-09-30 Eastman Kodak Company Whit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with improved efficiency
US6750608B2 (en) * 2001-11-09 2004-06-15 Konica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element and display
US6872472B2 (en) 2002-02-15 2005-03-29 Eastman Kodak Company Providing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stacked electroluminescent units
GB0206169D0 (en) * 2002-03-15 2002-04-24 Isis Innovation Rhenium compounds
JP4032783B2 (ja) 2002-03-15 2008-01-16 株式会社デンソー 有機el素子
JP4165692B2 (ja) * 2002-08-05 2008-10-1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の製造方法
JP2004119145A (ja) 2002-09-25 2004-04-1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有機el素子
US6717358B1 (en) * 2002-10-09 2004-04-06 Eastman Kodak Company Cascade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with improved voltage stability
US20040086743A1 (en) * 2002-11-06 2004-05-06 Brown Cory S. Organometallic compounds for use in electroluminescent devices
KR101061890B1 (ko) * 2002-12-19 2011-09-02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유기발광소자, 유기발광소자를 사용한 발광장치 및 상기발광장치를 사용한 전기기구
JP2005108441A (ja) 2003-08-28 2005-04-21 Nippon Kayaku Co Ltd 発光素子
US20040142207A1 (en) * 2003-01-17 2004-07-22 Wen-Chun Wang Organic electoluminescent device with improved performance
US20040219390A1 (en) * 2003-01-23 2004-11-0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Benzoxazinone and quinazolinone derivatives
JP4357854B2 (ja) * 2003-02-28 2009-11-0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フィルターおよびこれを用いた有機elディスプレイ
US6991859B2 (en) 2003-03-18 2006-01-31 Eastman Kodak Company Cascade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US6703180B1 (en) * 2003-04-16 2004-03-09 Eastman Kodak Company Forming an improved stability emissive layer from a donor element in an OLED device
KR100560778B1 (ko) * 2003-04-17 2006-03-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JP2005063831A (ja) * 2003-08-13 2005-03-10 Fujitsu Ltd 有機el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843897B2 (ja) 2003-09-16 2011-12-21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表示装置及び照明装置
US7887931B2 (en) * 2003-10-24 2011-02-15 Global Oled Technology Llc Electroluminescent device with anthracene derivative host
KR20050050487A (ko) * 2003-11-25 2005-05-3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풀칼라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1013656B1 (ko) 2003-12-27 2011-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카메라장치
US7211948B2 (en) * 2004-01-13 2007-05-01 Eastman Kodak Company Using a crystallization-inhibitor i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KR100806812B1 (ko) * 2005-07-25 2008-02-2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유기 el 소자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4362A (ja) 1998-05-19 2000-06-16 Sanyo Electric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2000150165A (ja) * 1998-11-12 2000-05-30 Samsung Sdi Co Ltd 有機電子発光素子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73467B2 (en) 2007-11-15 2011-07-05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S8557398B2 (en) 2007-12-24 2013-10-15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S8274212B2 (en) 2007-12-28 2012-09-25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first hole injection layer and second hole injection layer
KR100922755B1 (ko) 2007-12-28 2009-10-2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US8142910B2 (en) 2008-03-04 2012-03-27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US8183771B2 (en) 2008-06-05 2012-05-22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341012B1 (ko) * 2008-08-29 2013-12-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패널
US8604501B2 (en) 2010-10-25 2013-12-10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1213498B1 (ko) 2010-10-25 2012-12-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장치
US9293725B2 (en) 2012-05-22 2016-03-22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10374187B2 (en) 2012-05-22 2019-08-06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20150106507A (ko) * 2014-03-11 2015-09-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KR102147845B1 (ko) * 2014-03-11 2020-08-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KR20160043891A (ko) * 2014-10-13 2016-04-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2326951B1 (ko) * 2014-10-13 2021-11-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
US10483327B2 (en) 2017-03-14 2019-11-19 Samsung Display Co., Ltd. Light emitting diod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706937B2 (en) 2020-03-19 2023-07-18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US11968888B2 (en) 2020-06-15 2024-04-23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48504B1 (en) 2014-04-23
US8563144B2 (en) 2013-10-22
CN1905236B (zh) 2011-10-26
JP2007036176A (ja) 2007-02-08
JP4925088B2 (ja) 2012-04-25
EP1748504A3 (en) 2011-08-10
CN1905236A (zh) 2007-01-31
EP1748504A2 (en) 2007-01-31
US20070020484A1 (en) 200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2535B1 (ko) 유기 el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806812B1 (ko) 유기 el 소자 및 그 제조방법
EP1845568B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5333211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EP2076928B1 (en) Architectures for efficient harvesting of singlet and triplet excitons for white light emitting oleds
US7474048B2 (en) Fluorescent filtered electrophosphorescence
JP5746269B2 (ja) りん光増感蛍光発光層を有する有機発光装置
JP4315874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表示装置
US20060289882A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US20050074629A1 (en) Doping of organic opto-electronic devices to extend reliability
JP4565922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表示装置
JP4565921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表示装置
US20080238300A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0698300B1 (ko) 유기 el 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10205427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KR20160043891A (ko)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1101940B1 (ko) 이중 도핑을 이용한 고효율 진적색 인광 유기발광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685971B1 (ko) 유기 el 소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7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9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1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1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1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2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2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16

Start annual number: 19

End annual number: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