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72168B1 - 이앙기의 주변 파종용 마커의 설치부 구조 - Google Patents

이앙기의 주변 파종용 마커의 설치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2168B1
KR100672168B1 KR1020017007796A KR20017007796A KR100672168B1 KR 100672168 B1 KR100672168 B1 KR 100672168B1 KR 1020017007796 A KR1020017007796 A KR 1020017007796A KR 20017007796 A KR20017007796 A KR 20017007796A KR 100672168 B1 KR100672168 B1 KR 100672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ing
marker
surrounding
weight
rice transplan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7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0674A (ko
Inventor
토시오 나카오
츠나다케 야마시타
코지 미야케
Original Assignee
얀마-노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노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노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20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0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2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216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9/00Steering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on a desired track
    • A01B69/02Ridge-marking or like devices; Checkrow wires; Accessories therefor
    • A01B69/024Ridge-marking or like devices; Checkrow wires; Accessories therefor adapted to cut and form a ridge or forrow in the soil surface, e.g. with a disc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웨이트 장착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파종시에 기계 본체와 밭이랑과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기계 본체의 측방으로 연장시켜 사용하는 주변 파종용 마커를 구비하는 이앙기에 있어서, 기계 본체 프레임의 일부를 구성하는 프레임 구성체를 주변 파종용 마커의 지지부재로서 겸용하는 것으로 하였다.

Description

이앙기의 주변 파종용 마커의 설치부 구조 {MOUNTING STRUCTURE OF PERIPHERAL TRANSPLANTING MARKER FOR RICE TRANSPLANTING VEHICLE}
본 발명은, 이앙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종시에 기계 본체와 밭이랑과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기계 본체의 측방으로 연장시켜 사용하는 주변 파종용 마커(marker)의 설치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앙기를 이용하여 논밭에 모종을 파종할 때에는, 이앙기로 동시에 파종할 수 있는 포기 수량(모종 재치대의 포기 수)의 간격만큼 밭이랑으로부터 떨어진 논밭부분에로의 파종작업(주변 파종작업)을 마지막으로 행함으로써, 파종작업시의 논밭 안에서의 주행거리를 짧게함과 동시에 손으로 파종하는 수고를 없애고, 파종작업의 효율을 향상시켜 왔다.
상기의 주변 파종작업을 행하기 위해서는, 파종시에 기계 본체와 밭이랑과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고, 그 때문에 기계 본체의 측방으로 주변 파종용 마커(marker)를 연장시킨 상태로 설치하고, 이 주변 파종용 마커의 앞 끝 부분을 밭이랑의 가장자리를 따라가게 하면서 이앙기를 주행시켜 왔다.
그리고, 종래의 이앙기에 있어서는 일본 특허공개 평성 10-29511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기계 본체 프레임에 좌우 한 쌍의 예비 모종 재치대(載 置台)를 설치하고, 각 예비 모종 재치대에 주변 파종용 마커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를 설치하며, 이 지지부재에 주변 파종용 마커를 설치하여 기계 본체의 좌우 양측부에 각각 주변 파종용 마커가 설계되어져 있다.
하지만, 주변 파종용 마커는 기계 본체의 좌우 어느 쪽 일방에만 설치해두면 충분한 것으로, 상기 종래의 이앙기와 같이 기계 본체의 좌우 양측부에 각각 주변 파종용 마커를 설치한 경우에는, 좌우 한 쌍의 주변 파종용 마커와 이들을 지지하기 위한 좌우 한 쌍의 지지부재가 필요하게 되고, 이앙기를 구성하는 부품 수가 증가하여, 조립작업성이 나빴다.
또한, 주변 파종용 마커를 지지하기 위한 특별의 지지부재를 이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높아지는 것을 초래하여 왔다.
나아가, 상기 종래의 이앙기에 있어서는, 주변 파종용 마커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주변 파종용 마커를 기단부로부터 기계 본체 후방쪽으로 접어 구부리고, 기계 본체의 측방을 따라가게 한 상태에서 주변 파종용 마커를 수용하도록 구성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앙기의 좌우측부에서 작업을 행하는 때나 운전석으로 승강할 때에 작업자의 신체와 주변 파종용 마커가 접촉하여, 주변 파종용 마커를 파손하고 마는 염려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파종시에 기계 본체와 밭이랑과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기계 본체의 측방으로 연장시켜 사용하는 주변 파종용 마커를 구비하는 이앙기에 있어서, 기계 본체 프레임의 일부를 구성하는 프레임 구성체를 주변 파종용 마커의 지지부재로서 겸용하게 하였다.
또한, 주변 파종용 마커를 지지하는 프레임 구성체의 내부에 주변 파종용 마커를 수납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주변 파종용 마커를 지지하는 프레임 구성체를 기계 본체의 좌우 폭 방향으로 연장시켜, 이 프레임 구성체의 좌우 양단부에 주변 파종용 마커를 착탈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또한, 주변 파종용 마커가 신축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이앙기의 주변 파종용 마커 설치구조는,
전후방향으로 연장시킨 좌우 한 쌍의 메인 파이프와, 상기 메인 파이프의 전단부 사이에 좌우 폭방향으로 연장시킨 상태로 걸쳐 설치한 전단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기계 본체 프레임을 구성하고, 이 기계 본체 프레임의 일부를 구성하는 전단 파이프에 주변 파종용 마커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기계 본체 프레임의 일부를 구성하는 프레임 구성체를 주변 파종용 마커의 지지부재로서 겸용하고 있기 때문에, 주변 파종용 마커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를 별도로 준비할 필요가 없어지고, 이앙기를 구성하는 부품 수를 줄일 수 있어, 제조 비용의 저렴화나 조립작업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전단 파이프의 내부에 주변 파종용 마커를 수납할 수 있어, 주변 파종용 마커를 사용하지 않는 때에는, 주변 파종용 마커의 컴팩트화를 꾀할 수 있고, 이앙기로 승강시에 작업자의 신체가 주변 파종용 마커에 접촉될 염려가 없어지고, 주변 파종용 마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앙기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2는, 기계 본체 프레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기계 본체 프레임의 전단부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기계 본체 프레임의 전단부분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웨이트 및 웨이트 지지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웨이트 및 웨이트 지지부재의 우측면도이다.
도 7은, 웨이트 및 웨이트 지지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보조 웨이트 및 웨이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보조 웨이트 및 웨이트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주변 파종용 마커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11은, 주변 파종용 마커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앙기(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스로 주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주행기 본체(2)의 후부에 파종기(3)를 승강기구(4)를 통하여 승강할 수 있도록 연이어 설치하고 있다.
주행기 본체(2)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계 본체 프레임(5)의 하부에 주행부(6)를 배설(配設)하는 한편, 기계 본체 프레임(5)의 앞쪽 상부에 원동기부(7)를 배설하고, 이 원동기부(7)의 바로 후방위치에 운전조작부(8)를 배설하고 있다.
기계 본체 프레임(5)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시킨 좌우 한 쌍의 단면 직사각형의 메인 파이프(9, 10)와, 이 메인 파이프(9, 10)의 전단부(前端部)간에 좌우 폭 방향으로 연장시킨 상태에서 가설(架設)한 안이 비어 있는 원통 형상의 전단 파이프(11)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기계 본체 프레임(5)은, 메인 파이프(9, 10)의 앞쪽 중간부 사이에 좌우 폭 방향으로 연장시킨 원통 형상의 엔진 지지 파이프(12)를 가설하고, 이 엔진 지지 파이프(12)의 중앙부와 전단 파이프(11)의 중앙부 사이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시킨 엔진 지지판(13)을 가설하는 한편, 엔진 지지 파이프(12)의 중앙후부에 좌우 한 쌍의 미션 지지 브래킷(14, 15)을 설치하고, 또한 메인 파이프(9, 10)의 후부를 앞은 낮고 뒤는 높은 경사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메인 파이프(9, 10)의 후단부에 앞은 높고 뒤는 낮은 경사를 갖는 형상으로 연장시킨 좌우 한 쌍의 단면이 직사각형인 경사 파이프(16, 17)의 전단부를 연이어 설치하고, 상기 엔진 지지 파이프(12)에 설치한 미션 지지 브래킷(14, 15)과 경사 파이프(16, 17)의 후단부 사이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시킨 미션 케이스(18)를 가설하고 있다. 도면 중 19는 메인 파이프(9, 10)의 중간부 사이에 가설한 문(門) 형상의 좌석 지지 파이프, 20, 21은 메인 파이프(9, 10)의 중간부에 좌우 폭 방향으로 연장시킨 상태에서 설치한 보행판 지지 파이프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계 본체 프레임(5)의 전측부에, 기계 본체 전후의 중량 밸런스를 조절하기 위한 좌우 한 쌍의 웨이트(weight)(22, 22)를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기계 본체 프레임(5)을 구성하는 프레임 구성체로서의 전단 파이프(11)에, 파종 포기 수량만큼 미리 밭이랑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파종할 때에, 기계 본체의 측방으로 연장시킨 기계 본체와 밭이랑과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주변 파종용 마커(23)를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들 웨이트 설치구조나 주변 파종용 마커 설치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주행부(6)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션 케이스(18)의 전측부에 전방 차축 케이스(front axle case)(24)를 일체식으로 형성하고, 이 전방 차축 케이스(24)에 좌우 한 쌍의 앞 차륜(25, 26)을 연동 연결하는 한편, 미션 케이스(18)의 후측부에 후방 차축 케이스(rear axle case)(27)를 일체식으로 형성하고, 이 후방 차축 케이스(27)에 좌우 한 쌍의 뒤 차륜(28, 29)을 연동 연결하고 있다.
원동기부(7)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진 지지판(13)의 상부에 원동기로서의 엔진(30)을 올려 놓고, 이 엔진(30)에 미션 케이스(18)를 연동 연결하고 있다.
또한, 원동기부(7)는 엔진(30)의 바로 상방 위치에 연료 탱크(101)를 배설함과 동시에, 엔진(30)을 보닛(31)으로 덮고 있고, 이 보닛(31)의 좌우측방 위치에는, 예비 모종을 재치해 두기 위한 예비 모종 재치대(32, 32)를 배설하고 있다.
운전조작부(8)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닛(31)에 스티어링 샤프트(102)가 회전 가능하도록 세워 설치하고, 이 스티어링 샤프트(102)의 상단에 스티어링 휠(33)을 설치하고, 이 스티어링 휠(33)의 직방향 위치에 좌석(34)을 배 설하고 있다.
또한, 운전조작부(8)는 보닛(31)의 좌측부에 주행기 본체(2)의 변속조작을 위한 변속 레버(35)와 기계 본체 외부에서도 클러치 조작을 할 수 있도록 한 클러치 레버(36)를 전후 방향으로 요동(搖動)조작 가능하도록 배설함과 동시에, 클러치 페달(37)을 밟아 조작할 수 있도록 배설하는 한편, 좌석(34)의 우측부에 파종기(3)의 승강 조작을 하기 위한 파종 승강 레버(38)를 전후 방향으로 요동조작할 수 있도록 배설하고 있다.
또한, 운전조작부(8)는 보닛(31)의 좌우측부에 좌우 한 쌍의 전방 보행판(39, 39)을 배설하는 한편, 좌석(34)의 하부에서 좌우측부에 걸쳐 커버 본체(40)를 배설하고 있어, 전방 보행판(39, 39)과 커버 본체(40)에 의해 바닥 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도면 중의 41은 커버 본체(40)에 형성한 승강 보행판이다.
파종기(3)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기구(4)의 후부에 파종작업 장치(92)를 연결하고, 이 파종작업 장치(92)의 상부에 모종 재치대(93)를 앞은 높고 뒤는 낮은 경사 형태로 올려 놓고 있다. 도면 중 94는 플로트(float)이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션 케이스(18)의 중간 부분에서 후방쪽으로 돌출한 PTO 출력축(95)의 앞 끝 부분에 PTO 조인트(joint)(96)의 기단부를 연동 연결하고, 이 PTO 조인트(96)의 앞 끝 부분에 중계축(97)의 기단부를 연동 연결하며, 이 중계축(97)의 앞 끝 부분에 전도축(98)의 기단부를 연동 연결하고, 이 전도축(98)의 앞 끝 부분을 파종작업 장치(92)에 연동 연결하여, 동력을 파종기(3)로 전달하고 있고, 중계축(97)을 지지하는 베어링(99)은 우측의 메인 파이프(10)의 내측부에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기계 본체의 외부에서 잘못하여 베어링(99)과 접촉하는 일은 없어지고,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미션 케이스(18)에서 파종작업 장치(92)로의 전달기구의 공간 절약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기계 프레임(5)에 직접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위치 정밀도를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웨이트 설치구조에 대해 설명하면, 도 3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파이프(9, 10)의 전단 부분의 간격을 중간부의 간격보다도 넓혀 메인 파이프(9, 10)의 전단부를 기계 본체의 앞쪽 좌우단의 부근에 위치시킴과 동시에, 전단 파이프(11)를 메인 파이프(9, 10)보다도 기계 본체의 좌우 외측방으로 튀어 나오게 하고, 메인 파이프(9, 10)의 전단부와 전단 파이프(11)의 튀어 나온 부분과의 교차 부분에 웨이트(22)를 지지하기 위한 웨이트 지지부재(42)를 설치하고, 이 웨이트 지지부재(42)에 웨이트(22)를 전후 방향으로 미끄러짐이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웨이트 지지부재(42)는, 상하 한 쌍의 수평 지지판(43, 44)과, 양 지지판(43, 44)의 기단부를 연결하는 연결판(45)에서 정면으로 바라보면 대략 コ 자 형상을 형성하고, 위쪽 지지판(43)의 전단부를 전단 파이프(11) 상부에 올려 놓은 상태에서 지지판(43, 44)의 앞 끝 부분을 메인 파이프(9, 10)의 전단부에 용접하고 있다.
이와 같이, 메인 파이프(9, 10)의 전단부와 전단 파이프(11)의 튀어 나온 부분과의 교차 부분에 웨이트 지지부재(42)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메인 파이프(9, 10)와 전단 파이프(11)로 웨이트 지지부재(42)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고, 웨이트 지지부재(42)에 무거운 웨이트(22)를 장착할 수 있음과 동시에, 메인 파이프(9, 10)의 비틀림 등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위쪽의 지지판(43)은, 앞쪽 중간부에 직사각형의 관통구(46)를 뚫어 설치하고, 이 관통공(46)의 상부에 너트(47)를 용접하여, 이 너트(47)에 고정용 볼트(48)가 앞뒤로의 움직임이 자유롭게 나사식으로 설치하고 있다. 아래쪽의 지지판(44)은, 후단부에 웨이트(22)의 가로 폭과 대략 동일한 폭을 갖는 노치(notch)(49)를 형성하고 있다.
한편, 웨이트(22)는 직사각형 상자 형상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하 중간부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한 노치(50)를 형성하고 있고, 상하 한 쌍의 웨이트 구성체(51, 52)와 연결체(53)를 측면에서 바라보면 대략 コ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위쪽의 웨이트 구성체(51)의 위쪽 표면의 앞쪽 좌우단 가장자리부에 좌우 폭 방향으로 연장한 좌우 한 쌍의 고정 홈(54, 55)을 새겨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웨이트 지지부재(42)의 위쪽 지지판(43)에 웨이트(22)의 노치(50)를 기계 본체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미끄러지게 하여, 위쪽 지지판(43)으로 웨이트(22)를 지지하고, 그 후 고정용 볼트(48)를 죄어 앞 끝 부분을 고정 홈(54)에 맞닿게 하여 고정용 볼트(48)와 아래쪽 지지판(44)에 웨이트(22)의 위쪽 웨이트 구성체(51)가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웨이트 지지부재(42)에 웨이트(22)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웨이트 지지부재(42)에 웨이트(22)를 미끄러지게 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웨이트(22)를 들어 올린 상태 그대로 유지하지 않아도 웨이트 지지부재(42)에 웨이트(22)를 장착할 수 있으며, 웨이트 장착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웨이트(22)의 상하 중간부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한 노치(50)를 형성하는 한편, 웨이트 지지부재(42)에 수평 지지판(43)을 설치하고, 이 지지판(43)에 웨이트(22)의 노치(50)를 미끄러지게 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웨이트(22)를 웨이트 지지부재(42)의 상방까지 들어 올리지 않아도 웨이트(22)의 일부를 지지판(43)의 상부에 올려 놓은 다음에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웨이트 지지부재(42)에 웨이트(22)를 장착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웨이트 장착작업의 작업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아래쪽의 지지판(44) 후단부에 웨이트(22)의 가로 폭과 대략 동일한 폭의 노치(49)를 형성하고, 이 노치(49)에 웨이트(22)의 연결체(53)를 위치시키고 있기 때문에, 웨이트(22)의 좌우 폭 방향으로의 이동이 노치(49)에 의해 규제되고, 또한 웨이트(22)의 측방에 메인 파이프(9, 10)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 메인 파이프(9, 10)에 의해서도 웨이트의 좌우 폭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이들 노치(49)나 메인 파이프(9, 10)에 의해 웨이트(22)가 기계 본체의 진동에 동반하여 좌우 폭 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웨이트(22)의 어긋남에 기인하는 진동음 발생이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웨이트(22)에 좌우 폭 방향으로 연장한 고정 홈(54, 55)을 새겨 설치하고, 이 고정 홈(54, 55)에 고정용 볼트(48)의 앞 끝 부분을 삽입하고 있기 때문 에, 고정용 볼트(48)에 의해 웨이트(22)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기계 본체의 진동에 의해 웨이트(22)가 전후 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이에 의해서도 웨이트(22)의 어긋남에 기인하는 진동음의 발생이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웨이트(22)에 좌우 한 쌍의 고정 홈(54, 55)을 새겨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좌우의 웨이트(22)를 겸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닛(31)의 좌우 측부에 배설한 좌우 한 쌍의 전방 보행판(39, 39) 보다 하방에 웨이트 지지부재(42)와 웨이트(22)를 위치시키고 있다.
따라서, 기계 본체의 전방측으로부터의 승강시나 파종의 계속적인 작업시에 작업자의 신체가 웨이트(22)나 웨이트 지지부재(42)에 충돌하는 일이 없어지게 되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3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웨이트 지지부재(42)로 예비 모종 재치대(32)를 지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예비 모종 재치대(32)를 상하 방향으로 연장시킨 지지지주(56)의 앞 끝 부분과 중간부에 예비 모종 유지틀(57, 57)을 브래킷(58, 58)을 통하여 설치하여 형성하는 한편, 웨이트 지지부재(42)의 아래쪽 지지판(44)의 후방 외측단부에 단면이 대략 C 자 형상의 지지 보스(boss)(59)를 세워 설치하고, 이 지지 보스(59)에 예비 모종 재치대(32)의 지지 지주(56)를 삽입하여, 웨이트 지지부재(42)로 예비 모종 재치대(32)를 지지하도록 하고 있다. 도면 중 60은 부착용 너트, 61은 부착용 나비 나사이다.
이와 같이, 웨이트 지지부재(42)로 예비 모종 재치대(32)를 지지하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웨이트 지지부재(42)를 예비 모종 재치대(32)의 지지부재로서도 겸용할 수 있고, 이앙기(1)를 구성하는 부품 수를 줄일 수 있어 제조 비용의 저렴화나 조립작업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웨이트 지지부재(42)에 웨이트(22)와는 별개의 보조 웨이트(62)를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웨이트 지지부재(42)의 아래쪽의 지지판(44)에 보조 웨이트(62)를 지지하기 위해 정면으로 보면 대략 コ 자 형상의 보조 웨이트 지지부재(63)를 착탈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이 보조 웨이트 지지부재(63)에 보조 웨이트(62)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 중 64는 스페이서(spacer), 65는 고정용 볼트, 66은 고정용 너트이다.
보조 웨이트 지지부재(63)는, 상하 한 쌍의 수평 지지판(67, 68)과, 양 지지판(67, 68)의 기단부를 연결하는 연결판(69)에서 정면으로 보면 대략 コ 자 형상을 형성하고, 위쪽 지지판(67)의 앞쪽 중간부에 관통공(70)을 뚫어 설치하며, 이 관통공(70)의 상부에 너트(71)를 용접하고, 이 너트(71)에 고정용 볼트(72)를 앞뒤로의 움직임이 자유롭게 나사식으로 설치하고 있다.
한편, 보조 웨이트(62)는 상하 한 쌍의 웨이트 구성체(73, 74)와 연결체(75)를 측면에서 바라보면 대략 コ 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하 웨이트 구성체(73, 74) 사이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한 노치(76)를 형성하며, 위쪽의 웨이트 구성체(73)의 위쪽 표면의 앞쪽 중앙부에 원 형상의 고정 홈(77)을 새겨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보조 웨이트 지지부재(63)의 위쪽 지지판(67)에 보조 웨이트(62)의 노치(76)를 기계 본체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슬라이드시켜, 위쪽 지지판(67)으로 보조 웨이트(62)를 지지하고, 그 후 고정용 볼트(72)를 죄어 앞 끝 부분을 고정 홈(77)에 맞닿게 하여 고정용 볼트(72)와 아래쪽 지지판(68)으로 보조 웨이트(62)의 위쪽 웨이트 구성체(73)를 끼워 지지함으로써, 보조 웨이트 지지부재(63)에 보조 웨이트(62)를 장착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웨이트(22)와는 별개로 설치한 보조 웨이트(62)를 지지하기 위한 보조 웨이트 지지부재(63)를 웨이트 지지부재(42)에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웨이트(22)만으로는 기계 본체의 전후 중량의 밸런스 조절이 곤란한 경우에도 더 한층 보조 웨이트(62)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주변 파종용 마커(23)의 설치구조에 대해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기계 본체 프레임(5) 일부를 구성하는 프레임 구성체로서의 전단 파이프(11)의 좌우 양단부에 주변 파종용 마커(23)를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전단 파이프(11)를 주변 파종용 마커(23)의 지지부재로서 겸용하고 있어, 안이 비어 있는 원통 형상의 전단 파이프(11)의 내부에 신축이 자유롭게 형성한 주변 파종용 마커(23)를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면 중 100은 센터 마커이다.
다시 말하면, 도 3, 도 4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단 파이프(11)의 좌우 양단 상부에 관통공(78, 78)을 뚫어 설치하고, 이 관통공(78, 78)에 고정용 너트(79, 79)를 용접하고, 이 고정용 너트(79, 79)에 고정용 볼트(80, 80)를 앞뒤로의 움직임이 자유롭게 나사식으로 설치하고, 이 고정용 볼트(80)에 의해 전단 파이프(11)의 내부에 삽입한 주변 파종용 마커(23)의 기단부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주변 파종용 마커(23)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단 파이프(11)의 내부 지름보다도 가는 안이 비어 있는 원통 형상의 제 1 단 마커 구성체(81)의 앞 끝 부분 내부에 제 1 단 마커 구성체(81)의 내부 지름보다도 가는 안이 비어 있는 원통 형상의 제 2 단 마커 구성체(82)의 기단부를 앞뒤로의 움직임이 자유롭게 수용하고, 이 제 2 단 마커 구성체(82)의 앞 끝 부분 내부에 제 2 단 마커 구성체(82)의 내부 지름보다도 가는 원통 형상의 제 3 단 마커 구성체(83)의 기단부를 앞뒤로의 움직임이 자유롭게 수용하여 신축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제 3 단 마커 구성체(83)의 중간부를 전방쪽으로 꺽어 구부림과 동시에 제 3 단 마커 구성체(83)의 앞 끝 부분에 선단 마커(84)를 장착하고 있다.
또한 주변 파종용 마커(23)는, 제 1 단 마커 구성체(81)의 앞 끝 부분 상부에 관통공(85)을 뚫어 설치하고, 이 관통공(85)에 고정용 너트(86)를 용접하고, 이 고정용 너트(86)에 고정용 볼트(87)를 앞뒤로의 움직임이 자유롭게 나사식으로 설치하고, 고정용 볼트(87)에 의해 제 1 단 마커 구성체(81)의 앞 끝 부분에서 제 2 단 마커 구성체(82)의 기단부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제 2 단 마커 구성체(82)의 앞 끝 부분에 고정용 파이프(88)의 기단부를 설치하고, 이 고정용 파이프(88)의 앞 끝 부분 상부에 관통공(89)을 뚫어 설치하고, 이 관통공(89)에 고정용 너트(90)를 용접하여, 이 고정용 너트(90)에 고정용 볼트(91)를 앞뒤로의 움직임이 자유롭게 나사식으로 설치하고, 고정용 볼트(87)에 의해 제 2 단 마커 구성체(82)의 앞 끝 부분에서 제 3 단 마커 구성체(83)의 기단부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기계 본체 프레임(5) 일부를 구성하는 프레임 구성체로서의 전단 파이프(11)를 주변 파종용 마커(23)의 지지부재로서 겸용하고 있기 때문에, 주변 파종용 마커(23)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를 별도로 준비할 필요가 없고, 이앙기(1)를 구성하는 부품 수를 줄일 수 있어, 제조 비용의 저렴화나 조립작업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주변 파종용 마커(23)를 전단 파이프(11)의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주변 파종용 마커(23)를 사용하지 않는 때에는, 주변 파종용 마커(23)의 컴팩트화가 도모되고, 주변 파종용 마커(23)에 장해물이 접촉할 염려가 없어져, 주변 파종용 마커(23)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단 파이프(11)의 좌우 양단부에 주변 파종용 마커(23)를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주변 파종용 마커(23)를 1 개 준비해 두는 것만으로, 이를 좌우로 바꾸어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서도 이앙기(1)를 구성하는 부품 수를 줄일 수 있어, 제조 비용의 저렴화나 조립작업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주변 파종용 마커(23)를 신축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주변 파종용 마커(23)를 사용하고 있지 않는 때에는, 주변 파종용 마커(23)의 컴팩트화가 도모되고, 주변 파종용 마커(23)에 장해물이 접촉할 염려가 없어져, 주변 파종용 마커(23)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주변 파종용 마커(23)를 신축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일부 구성체(81, 82, 83)가 손상된 경우에는, 그 일부 구성체(81, 82, 83)만 교환하면 되어, 주변 파종용 마커(23)의 유지보수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각 구성체(81, 82, 83)를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선단 마커(84)의 회전운동 각도나 각 고정용 볼트(87, 91)의 회전운동 각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웨이트(22) 및 보조 웨이트(62)를 좌우 폭 방향으로 연장시킨 전단 파이프(11)보다도 후방에 위치시키고 있기 때문에, 전단 파이프(11)에 수용된 주변 파종용 마커(23)와 웨이트(22)나 보조 웨이트(62)가 간섭하지 않고, 전단 파이프(11)에 주변 파종용 마커(23)를 컴팩트하게 수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형태로 실시되고, 이하에 기재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낸다.
(1) 본 발명은, 기계 본체 프레임 일부를 구성하는 프레임 구성체를 주변 파종용 마커의 지지부재로서 겸용하고 있기 때문에, 주변 파종용 마커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를 별도로 준비할 필요가 없어지고, 이앙기를 구성하는 부품 수를 줄일 수 있어, 제조 비용의 저렴화나 조립작업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2) 본 발명에서는, 주변 파종용 마커를 지지하는 프레임 구성체 내부에 주변 파종용 마커를 수납가능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주변 파종용 마커를 사용하지 않는 때에는, 주변 파종용 마커의 컴팩트화가 도모되고, 이앙기로 승강시에 작업자의 신체가 주변 파종용 마커에 접촉할 염려가 없어져, 주변 파종용 마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3) 본 발명에서는,주변 파종용 마커를 지지하는 프레임 구성체를 기계 본체의 좌우 폭 방향으로 연장시키고, 이 프레임 구성체의 좌우 양단부에 주변 파종용 마커를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주변 파종용 마커 1 개만을 준비하여 두고 좌우를 바꾸어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서도 이앙기를 구성하는 부품 수를 줄일 수 있어, 제조 비용의 저렴화나 조립작업성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4) 본 발명에서는, 주변 파종용 마커를 신축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주변 파종용 마커를 사용하지 않는 때에는, 주변 파종용 마커의 컴팩트화가 도모되고, 이앙기로 승강시에 작업자의 신체가 주변 파종용 마커에 접촉할 염려가 없어져, 주변 파종용 마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주변 파종용 마커를 신축이 가능하게 구성하는 일부의 구성체가 손상한 경우에는, 그 일부 구성체만 교환하면 되어, 주변 파종용 마커의 유지보수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5)

  1. 파종시에 기계 본체와 밭이랑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기계 본체의 측방으로 연장시켜 사용하는 주변 파종용 마커를 구비하는 이앙기로서,
    기계 본체 프레임의 일부를 구성하는 프레임 구성체를 전후방향으로 연장시킨 좌우 한 쌍의 메인 파이프와, 상기 메인 파이프의 전단부 사이에 좌우 폭방향으로 연장시킨 상태로 걸쳐 설치한 전단 파이프로 구성하고, 상기 주변 파종용 마커의 지지부재로서 겸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의 주변 파종용 마커의 설치부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주변 파종용 마커를 지지하는 프레임 구성체 내부에 주변 파종용 마커를 수납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의 주변 파종용 마커의 설치부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주변 파종용 마커를 지지하는 프레임 구성체를 기계 본체의 좌우 폭 방향으로 연장시키고, 상기 프레임 구성체의 좌우 양단부에 주변 파종용 마커를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의 주변 파종용 마커의 설치부 구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주변 파종용 마커를 신축이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의 주변 파종용 마커의 설치부 구조.
  5. 제 3 항에 있어서,
    주변 파종용 마커를 신축이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의 주변 파종용 마커의 설치부 구조.
KR1020017007796A 2000-05-24 2000-12-19 이앙기의 주변 파종용 마커의 설치부 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06721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53872 2000-05-24
JP2000153872A JP4510228B2 (ja) 2000-05-24 2000-05-24 田植機の回り植え用マーカーの取付部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0674A KR20020020674A (ko) 2002-03-15
KR100672168B1 true KR100672168B1 (ko) 2007-01-19

Family

ID=18659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7796A Expired - Fee Related KR100672168B1 (ko) 2000-05-24 2000-12-19 이앙기의 주변 파종용 마커의 설치부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510228B2 (ko)
KR (1) KR100672168B1 (ko)
CN (1) CN1177520C (ko)
TW (1) TW455473B (ko)
WO (1) WO200108928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0450A (ko) 2022-09-29 2022-10-18 (주)평화하이텍 인덕션 히터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위 수량 측정기
KR20230017156A (ko) 2022-12-15 2023-02-03 (주)평화하이텍 다중주파수 마이크로웨이브 수분 센서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위 수량 측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35650B2 (ja) * 2008-05-31 2011-12-14 井関農機株式会社 田植機
JP6495757B2 (ja) * 2015-06-16 2019-04-03 株式会社タカキタ マーカーの取り付け構造
KR102654006B1 (ko) 2016-03-29 2024-04-03 주식회사 대동 중량조절 웨이트가 부착된 승용 이앙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7006A (ja) * 1997-11-12 1999-05-25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乗用田植機における回り植え用マーカー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91924U (ko) * 1976-12-27 1978-07-27
JPS56114613U (ko) * 1980-02-01 1981-09-03
JPH01202582A (ja) * 1988-02-05 1989-08-15 Iseki & Co Ltd トラクタフレーム
JPH02139158U (ko) * 1989-04-21 1990-11-20
JPH0361805U (ko) * 1989-10-19 1991-06-18
JPH07132003A (ja) * 1993-11-10 1995-05-23 Iseki & Co Ltd 田植機
JP3674240B2 (ja) * 1997-04-25 2005-07-20 井関農機株式会社 苗植機
JP2000043753A (ja) * 1998-07-29 2000-02-15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乗用管理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7006A (ja) * 1997-11-12 1999-05-25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乗用田植機における回り植え用マーカ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0450A (ko) 2022-09-29 2022-10-18 (주)평화하이텍 인덕션 히터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위 수량 측정기
KR20230017156A (ko) 2022-12-15 2023-02-03 (주)평화하이텍 다중주파수 마이크로웨이브 수분 센서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위 수량 측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50423A (zh) 2002-05-22
CN1177520C (zh) 2004-12-01
JP2001333608A (ja) 2001-12-04
JP4510228B2 (ja) 2010-07-21
KR20020020674A (ko) 2002-03-15
TW455473B (en) 2001-09-21
WO2001089287A1 (fr) 2001-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16441B2 (ja) 乗用型田植機
KR100672168B1 (ko) 이앙기의 주변 파종용 마커의 설치부 구조
JP4591437B2 (ja) 苗植機
JP3497409B2 (ja) 乗用型田植機
KR20020039642A (ko) 승용 이앙기
JP5568269B2 (ja) 乗用型田植機
JP2010187581A (ja) 田植機
JP4188799B2 (ja) 建設機械
JP2684169B2 (ja) 田植機の苗載装置
JP2001333612A (ja) 田植機のウエイト取付構造
JP5352269B2 (ja) 田植機
JP2010187579A (ja) 田植機
JP3519982B2 (ja) 乗用型田植機のバランスウエイト装置
JP4568131B2 (ja) 農用作業車
WO2010106894A1 (ja) 乗用型農作業機及びその一例としての乗用型田植機
JP2644520B2 (ja) 乗用田植機
JP3198394B2 (ja) 移動農機
JPH0639536Y2 (ja) 乗用田植機
JP3538865B2 (ja) 田植機
JP4116231B2 (ja) 乗用田植機
JPH07170822A (ja) 移動農機
JP2002337553A (ja) 田植機
JPH10323106A (ja) 田植機
JP2003023820A (ja) 水田作業機
JP2944362B2 (ja) 苗植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62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07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9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1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